KR101615562B1 - 교반기의 거품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교반기의 거품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562B1
KR101615562B1 KR1020140169613A KR20140169613A KR101615562B1 KR 101615562 B1 KR101615562 B1 KR 101615562B1 KR 1020140169613 A KR1020140169613 A KR 1020140169613A KR 20140169613 A KR20140169613 A KR 20140169613A KR 101615562 B1 KR101615562 B1 KR 101615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bubble
bubbles
guide pip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아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91942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1556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아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아지텍
Priority to KR1020140169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품, 화학 및 관련 산업용 액체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저장탱크에 유입되는 액체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흡입력과 회전력으로 제거하여 거품 제거율을 향상시키고자 발명한 교반기의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교반기의 거품제거장치는, 상기 거품제거수단(300)은, 구동부(200)의 구동축(201) 하단에 고정설치되어 직경이 작은 거품의 유입과 액체의 배출을 위하여 원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거품유입구(311)와 배출구(312)가 형성된 거품유입통(310)과, 거품유입통(310)의 내부에 각각의 거품유입구(311)와 배출구(312)가 위치되게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공간(s)이 형성되도록 한 뒤 진공압의 발생시 유입된 거품을 충돌시켜 파쇄되게 하여 액체를 배출시키도록 안내하는 격벽(313)과, 각각의 거품유입구(311)와 배출구(312) 사이에 방사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큰 직경의 거품을 파쇄하는 외부날개(314)와, 거품유입통(310)의 바닥면에 외부날개(314)와 동일한 방향으로 다수개 돌출되어 하방에 위치된 큰 직경의 거품을 파쇄하는 하부날개(315)로 구성되는 거품파쇄부(300a)와; 상기 구동축(201)과 동축선상으로 위치되어 구동축(201)과의 사이에 흡입안내통로(321a)가 형성되도록 구동부(200)에 상단이 고정설치되는 한편 하단은 상기 거품유입통(310)의 상면과 슬라이딩되면서 시일링되도록 하는 가스안내관(320)과, 가스안내관(320)의 상부 일측에 진공압을 발생시키도록 진공펌프(340)와 연결되는 진공안내관(330)과, 거품유입통(310)의 상부에 거품유입통(310)과 가스안내관(320) 사이를 개방시켜 진공압의 발생시 파쇄되어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공(316), 으로 구성되는 가스배출부(300b); 로 구성한 다.

Description

교반기의 거품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of agitator}
본 발명은 약품, 화학 및 관련 산업용 액체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저장탱크에 유입되는 액체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흡입력과 회전력으로 제거하여 거품 제거율을 향상시키고자 발명한 교반기의 거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화학·물리적 물질 전환 공정에 있어서, 다소 강렬한 거품 발생이 일어나서 공정의 제어가 어려워지거나 심지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거품의 제거 및/또는 거품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줄이기 위하여 특별한 대책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열적, 화학적 그리고 기계적인 방법을 포함하여 발생된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강구하여야 된다.
거품을 제거하기 위하여 화학적인 소포제를 이용하는 경우 생성물의 순도를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관련 공정이 보다 복잡하며, 생산비도 증가하기 때문에 기계적인 방법으로 발생된 거품을 제거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수지용액의 거품제거장치의 상세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B 단면도로써, 써크레이션 탱크(1) 내부에 발생되는 거품(19)을 제거하기 위한 4개의 거품 흡입관(16)과, 상기 흡입관(16)과 부레(14)를 연결해주는 지지대(15)와, 상기 부레(14)와 연결된 흡입관(16)을 회전시키기 위한 교반기(11)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피동축(18)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써크레이션 탱크(1) 내에 상기 교반기(11)를 구비하고, 상기 교반기(11)의 구동축(12)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사각형의 피동축(18)에 부레(14)와 거품(19)을 흡입하는 흡입관(16)과, 원심력에 의해 구동되는 흡입팬(17)과, 흡입된 거품(19)을 터트리는 철심(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써크레이션 탱크(1) 내부의 거품제거장치는 4개의 흡입관(16)과, 상기 흡입관 (16) 내부에 4개의 날개를 가진 흡입팬(17)이 설치되고, 상기 흡입팬 축(31) 및 흡입관(16) 내부에 흡입된 거품(19)을 터트리는 역할을 하는 철심(또는 가는 바늘)(30)이 설치된다.
상기 흡입관(16)을 부레(14)와 지지대(15)로서 연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부레(14)의 내부에 부레(14)와 연결된 거품(19) 흡입관(16)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사각형(14-1)으로 가공 설치하고, 피동축(18) 또한 사각으로 가공 설치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피동축(18)을 거품(19) 흡입이 원활하도록 교반기(11) 구동축(12)과 역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동축(12)에 큰 피니언 기어(20-1)를 설치하고, 상기 피니언 기어(20-1)에 탱크 상판부(10)에 베어링부를 매개로 하는 피니언 기어(20-2)를 장착하고 그 하부에 피니언 기어(20-3)를 설치하고, 다시 베어링부를 매개로 하는 피니언기어(20-4)를 장착하여 피동축(18)의 중간 피니언 기어(20-5)를 회전하도록 하여 교반기(11) 구동축(12)과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거품제거장치를 구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기(11)의 구동축(12)에 피니언 기어(20-1)를 사용하여 써크레이션 탱크(1) 상판부(40)에 고정된 축(22)의 상,하부에 베어링을 매개로 하는 피니언 기어(20-2)(20-3)를 설치하고, 다시 탱크 상판부(40)에 고정된 축에 피니언 기어(20-4)와 피동축(18)에 피니언 기어(20-5)를 설치함으로써 구동모터(7)에 의한 교반기(11) 가동시 교반기(11)와 역방향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축(18)의 구동에 따라 회전함에 있어서 피동축(18)을 사각형으로 가동하고, 그 외부에 거품제거장치가 회전할 수 있도록 부레(14) 안쪽을 사각형으로 가공하여 회전하며, 이 회전하는 부레(14) 외곽에 거품(19)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관(16)이 있다.
상기 흡입관(16) 입구는 거품이 원활히 흡입할 수 있도록 넓게 하고, 또한 원심력에 의한 회전이 가능한 흡입팬(17)이 가동되어 거품(19)이 흡입되어 흡입관(16) 내부에 설치된 첨심(30) 출구로 액화되어 써크레이션 탱크(1)로 돌아간다.
또한, 써크레이션 탱크(1) 레벨에 따라 거품제거장치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7)와 믹싱탱크(3) 하부에 설치된 오토밸브(6)와의 인터록 구성에 있어서, 써크레이션 탱크(1)의 레벨은 레벨 포인트에 의해 믹싱탱크(3)의 오토밸브(6)가 작동되므로 오토밸브(6) 오픈시 구동모터(7)가 스톱되어 거품제거장치가 상부로 올라가며, 오토밸브(6) 클로즈시 구동모터(7)가 재가동되어 거품제거작업을 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21733호(2002. 03. 22)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0-0879329호(2009. 01. 12)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교반기의 거품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교반기(11)에 의한 교반작동과 흡입관(16)의 흡입작동을 위한 구동력 전달이 2중으로 이루어져 있고, 수위에 따라 흡입관(16)을 상,하 이동토록 하는 부레(14)가 설치되며, 흡입관(16)내의 흡입팬(17), 흡입팬축(31), 철심(30) 등의 설치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의 증가요인이 되었으며,
둘째, 흡입관(16)으로의 거품 유입은 4개의 흡입관(16)의 회전시 내부에 설치된 흡입팬(17)이 회전(팔랑개비 효과)하면서 거품을 유입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력의 상승을 위한 흡입팬(17)의 회전을 위해서는 설정된 회전력을 유지시켜야 되며, 또한 4개의 흡입팬(17)이 써크레이션 탱크(1) 내에서 동시에 회전하도록 되어 있어 소음발생의 요인이 되었고,
셋째, 흡입팬(17)에 의하여 유입된 거품은 흡입관(16)을 통과하면서 회전하는 흡입팬축(31)의 철심과 흡입관(16) 내벽의 철심(30)에 부딪쳐 깨지도록 하여 거품을 제거하도록 되어 있으나, 철심과 접촉하지 못한 거품은 그대로 방출되기 때문에 거품 제거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저장탱크에 유입되는 액체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흡입력과 회전력으로 제거하여 거품 제거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유입되는 액체를 저장하면서 유입된 양만큼 배출되도록 하는 저장탱크와, 구동부의 구동축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액체상의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제거수단으로 구성된 교반기의 거품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품제거수단은, 구동부의 구동축 하단에 고정설치되어 직경이 작은 거품의 유입과 액체의 배출을 위하여 원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거품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거품유입통과, 거품유입통의 내부에 각각의 거품유입구와 배출구가 위치되게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뒤 진공압의 발생시 유입된 거품을 충돌시켜 파쇄되게 하여 액체를 배출시키도록 안내하는 격벽과, 각각의 거품유입구와 배출구 사이에 방사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큰 직경의 거품을 파쇄하는 외부날개와, 거품유입통의 바닥면에 외부날개와 동일한 방향으로 다수개 돌출되어 하방에 위치된 큰 직경의 거품을 파쇄하는 하부날개로 구성되는 거품파쇄부와;
상기 구동축과 동축선상으로 위치되어 구동축과의 사이에 흡입안내통로가 형성되도록 구동부에 상단이 고정설치되는 한편 하단은 상기 거품유입통의 상면과 슬라이딩되면서 시일링되도록 하는 가스안내관과, 가스안내관의 상부 일측에 진공압을 발생시키도록 진공펌프와 연결되는 진공안내관과, 거품유입통의 상부에 거품유입통과 가스안내관 사이를 개방시켜 진공압의 발생시 파쇄되어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공, 으로 구성되는 가스배출부; 로 구성한 교반기의 거품제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거품유입통의 거품유입구는 진공압의 발생시 거품유입통내로 자연스럽게 안내 유도할 수 있도록 배출구보다는 크게 형성하고, 배출구는 파쇄되어 잔존하는 액체가 배출되도록 거품유입구보다는 작게 형성하며, 그 비율은 3:1 ~ 5:1 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안내관내에 반응물이 고착되지 않도록 진공안내관에 수압안내관을 연결시켜 주기적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부수적인 특징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의 장치는 하나의 구동력과 진공수단이 필요하게 되므로 구조가 단순하고,
둘째, 거품유입통이 회전하면서 거품의 유입과 액체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구동시 발생되는 소음이 현저히 차단되며,
셋째, 직경이 큰 거품은 각각의 날개에 의하여 파쇄되고 직경이 작은 거품은 진공압에 의하여 거품유입통내로 유입시켜 격벽에 의하여 2차로 파쇄되게 하므로써 거품은 대부분 제거되어 요구하는 거품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수지용액의 거품제거장치의 상세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가"부를 발췌한 평면도
도 6은 도 4의 "가"부를 발췌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거품유입통을 발췌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거품유입통의 내부를 발췌하기 위하여 상부를 개방시킨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교반기의 거품제거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가"부를 발췌한 평면도,
도 6은 도 4의 "가"부를 발췌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거품유입통을 발췌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거품유입통의 내부를 발췌하기 위하여 상부를 개방시킨 사시도이다.
본 발명 교반기의 거품제거장치는, 유입되는 액체를 저장하면서 유입된 양만큼 배출되도록 하는 저장탱크(100)와, 구동부(200)의 구동축(201)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액체상의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제거수단(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탱크(100)는 상부에 액체 유입관(101)이 설치되어 계속적으로 액체가 공급되고 있으며,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액체의 양만큼 하부의 배출관(102)을 통해 액체가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거품제거수단(300)은 거품파쇄부(300a)와 가스배출부(300b)로 구성된다.
상기 거품파쇄부(300a)는, 구동부(200)의 구동축(201) 하단에 고정설치되어 직경이 작은 거품의 유입과 액체의 배출을 위하여 원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거품유입구(311)와 배출구(312)가 형성된 거품유입통(310)과, 거품유입통(310)의 내부에 각각의 거품유입구(311)와 배출구(312)가 위치되게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공간(s)이 형성되도록 한 뒤 진공압의 발생시 유입된 거품을 충돌시켜 파쇄되게 하여 액체를 배출시키도록 안내하는 격벽(313)과, 각각의 거품유입구(311)와 배출구(312) 사이에 방사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큰 직경의 거품을 파쇄하는 외부날개(314)와, 거품유입통(310)의 바닥면에 외부날개(314)와 동일한 방향으로 다수개 돌출되어 하방에 위치된 큰 직경의 거품을 파쇄하는 하부날개(315)로 구성된다.
상기 가스배출부(300b)는, 상기 구동축(201)과 동축선상으로 위치되어 구동축(201)과의 사이에 흡입안내통로(321a)가 형성되도록 구동부(200)에 상단이 고정설치되는 한편 하단은 상기 거품유입통(310)의 상면과 슬라이딩되면서 시일링되도록 하는 가스안내관(320)과, 가스안내관(320)의 상부 일측에 진공압을 발생시키도록 진공펌프(340)와 연결되는 진공안내관(330)과, 거품유입통(310)의 상부에 거품유입통(310)과 가스안내관(320) 사이를 개방시켜 진공압의 발생시 파쇄되어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공(316), 으로 구성된다.
상기 거품유입통(310)의 중앙부에는 구동축(201)과의 조립을 위한 축구멍(317)이 형성되어 일체화 한다.
상기 거품유입통(310)의 거품유입구(311)는 진공압의 발생시 거품유입통(310)내의 각 공간(s)으로 자연스럽게 안내 유도할 수 있도록 3개를 형성하고, 배출구(312)는 파쇄되어 잔존하는 액체가 배출되도록 1개를 형성한다.
상기 하부날개(315)는 하방에 위치하는 거품을 파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외부날개(314)의 개수보다는 적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품유입통(310)의 상면과 가스안내관(320)의 하단을 시일링하여 설정된 진공압을 유지시키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진공안내관(330)내에 반응물이 고착되지 않도록 진공안내관(330)에 수압안내관(350)을 연결시켜 주기적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한다. 이는 액체상의 반응물은 점도가 있어 주기적으로 세척을 하지 않으면 진공안내관(330)내에 반응물이 고착되어 통로가 막히거나 설정된 진공압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교반기의 거품제거장치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장탱크(100)로 액체 유입관(101)을 통해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액체는 그 수면 상부에 거품이 계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거품유입통(310)은 액체의 수면위에 위치되어 거품에 둘러 쌓이게 된다.
따라서 구동부(200)와 진공펌프(340)를 구동시키게 되면 구동축(201)과 연결된 거품유입통(310)이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진공안내관(330), 가스안내관(320)을 거쳐 거품유입통(310)의 각 공간(s)으로 진공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구동과 진공을 각각 시간차를 두고 작동시키거나 동시에 작동시켜도 무방하다.
상기 거품유입통(310)의 회전시 외부날개(314)와 하부날개(315)의 회전으로 크기에 관계없이 거품이 파쇄되며, 대부분 직경이 큰 거품이 파쇄된다고 보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진공압에 의하여 거품유입통(310)의 거품유입구(311)로 거품이 유입되는 데, 거품유입구(311)보다 직경이 큰 거품은 거품유입구(311)에서 진공압에 의하여 파쇄되고, 직경이 작은 거품은 거품유입구(311)로 유입되어 거품유입통(310)의 각 공간(s)으로 유입된다.
그런데 각 공간(s)으로 유입되는 거품은 순간적인 유입으로 각 격벽(313)과 상부벽에 부딪치게 되어 파쇄되며, 이는 유입되는 거품이 가스배출공(316)으로 미처 빠져나가지 못하고 부딪치게 되므로 직경이 작은 거품은 파쇄되어 액체는 배출구(312)를 통해 외부(저장탱크)로 방출되고 가스는 가스배출공(316), 가스안내관(320), 진공안내관(330) 순을 거쳐 설정된 탱크에 저장하게 된다. 즉, 가스는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아니고 별도로 포집하여 대기의 오염을 방지하는 동시에 고가의 가스혼합물의 낭비를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필요시 상기 진공안내관(330)내에 반응물이 고착되지 않도록 수압안내관(350)을 통해 주기적으로 세척수를 공급하여 청결을 유지하여 주므로써 거품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력과 진공수단이 필요하게 되므로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 또는 교체가 간편하고, 저장탱크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거품유입통이 회전하면서 거품의 유입과 액체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구동시 발생되는 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가 있으며, 직경이 큰 거품은 각각의 날개에 의하여 파쇄되고 직경이 작은 거품은 진공압에 의하여 거품유입통내로 유입시켜 격벽에 의하여 2차로 파쇄되게 하므로써 거품은 대부분 제거되어 요구하는 거품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저장탱크 200: 구동부
201: 구동축 300a: 거품파쇄부
300b: 가스배출부 300: 거품제거수단
310: 거품유입통 311: 거품유입구
312: 배출구 313: 격벽
314: 외부날개 315: 하부날개
316: 가스배출공 320: 가스안내관
321a: 흡입안내통로 330: 진공안내관
340: 진공펌프 350: 수압안내관
s: 공간

Claims (3)

  1. 유입되는 액체를 저장하면서 유입된 양만큼 배출되도록 하는 저장탱크(100)와, 구동부(200)의 구동축(201)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액체상의 거품을 제거하는 거품제거수단(300)으로 구성된 교반기의 거품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품제거수단(300)은, 구동부(200)의 구동축(201) 하단에 고정설치되어 직경이 작은 거품의 유입과 액체의 배출을 위하여 원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거품유입구(311)와 배출구(312)가 형성된 거품유입통(310)과, 거품유입통(310)의 내부에 각각의 거품유입구(311)와 배출구(312)가 위치되게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각각의 공간(s)이 형성되도록 한 뒤 진공압의 발생시 유입된 거품을 충돌시켜 파쇄되게 하여 액체를 배출시키도록 안내하는 격벽(313)과, 각각의 거품유입구(311)와 배출구(312) 사이에 방사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큰 직경의 거품을 파쇄하는 외부날개(314)와, 거품유입통(310)의 바닥면에 외부날개(314)와 동일한 방향으로 다수개 돌출되어 하방에 위치된 큰 직경의 거품을 파쇄하는 하부날개(315)로 구성되는 거품파쇄부(300a)와;
    상기 구동축(201)과 동축선상으로 위치되어 구동축(201)과의 사이에 흡입안내통로(321a)가 형성되도록 구동부(200)에 상단이 고정설치되는 한편 하단은 상기 거품유입통(310)의 상면과 슬라이딩되면서 시일링되도록 하는 가스안내관(320)과, 가스안내관(320)의 상부 일측에 진공압을 발생시키도록 진공펌프(340)와 연결되는 진공안내관(330)과, 거품유입통(310)의 상부에 거품유입통(310)과 가스안내관(320) 사이를 개방시켜 진공압의 발생시 파쇄되어 잔존하는 가스를 배출시키는 가스배출공(316), 으로 구성되는 가스배출부(300b); 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의 거품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품유입통(310)의 거품유입구(311)는 진공압의 발생시 거품유입통(310)내로 자연스럽게 안내 유도할 수 있도록 배출구(312)보다는 크게 형성하고, 배출구(312)는 파쇄되어 잔존하는 액체가 배출되도록 거품유입구(311)보다는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의 거품제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공안내관(330)내에 반응물이 고착되지 않도록 진공안내관(330)에 수압안내관(350)을 연결시켜 주기적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의 거품제거장치.
KR1020140169613A 2014-12-01 2014-12-01 교반기의 거품제거장치 KR101615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613A KR101615562B1 (ko) 2014-12-01 2014-12-01 교반기의 거품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613A KR101615562B1 (ko) 2014-12-01 2014-12-01 교반기의 거품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562B1 true KR101615562B1 (ko) 2016-04-26

Family

ID=55919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613A KR101615562B1 (ko) 2014-12-01 2014-12-01 교반기의 거품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5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2770A (zh) * 2018-11-30 2019-04-30 潘晓青 一种波浪型反搅桥梁用钢筋喷涂设备
KR102204424B1 (ko) 2020-07-24 2021-01-18 (주)월드에너지 진공 증발 농축장치의 거품 제거용 팬
CN115400621A (zh) * 2022-08-20 2022-11-29 徐州华东纺织浆料有限公司 纺织浆料制备设备
CN115400621B (zh) * 2022-08-20 2024-05-28 徐州华东纺织浆料有限公司 纺织浆料制备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64986A (ja) 2012-09-26 2014-04-17 Mitsubishi Heavy Industries Environmental & Chemical Engineering Co Ltd 消泡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64986A (ja) 2012-09-26 2014-04-17 Mitsubishi Heavy Industries Environmental & Chemical Engineering Co Ltd 消泡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2770A (zh) * 2018-11-30 2019-04-30 潘晓青 一种波浪型反搅桥梁用钢筋喷涂设备
KR102204424B1 (ko) 2020-07-24 2021-01-18 (주)월드에너지 진공 증발 농축장치의 거품 제거용 팬
CN115400621A (zh) * 2022-08-20 2022-11-29 徐州华东纺织浆料有限公司 纺织浆料制备设备
CN115400621B (zh) * 2022-08-20 2024-05-28 徐州华东纺织浆料有限公司 纺织浆料制备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5925B1 (ko)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
KR101566240B1 (ko) 에어레이션 임펠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교반기
KR101615562B1 (ko) 교반기의 거품제거장치
KR100520692B1 (ko) 다단계 혼합분산 기능이 구비된 수중포기장치
CN100577277C (zh) 自吸式内循环超重场气液反应器
KR101898605B1 (ko)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
CN107899462A (zh) 带取样和快速冷却的化工溶液混合搅拌装置
PL181786B1 (en) Rotary agitator for a flotation tank
JP2010264337A (ja) 曝気攪拌機
CN102233245B (zh) 高效柔性结构气、固、液搅拌机
CN100340329C (zh) 自引气式气液混合叶轮
KR100581748B1 (ko) 자흡기능과 교반기능이 구비된 유체공급장치와 이를이용한 포기장치
KR102132973B1 (ko) 이중축 구조의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
CN214809983U (zh) 一种不锈钢旋涡式气液混合水泵
CN206965196U (zh) 机械乳化连续萃取设备
CN207493688U (zh) 一种自动控制化工反应釜
CN102352308A (zh) 发酵料液搅拌装置
KR20210157041A (ko)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처리장치
CN111841367A (zh) 一种清洗剂生产用搅拌装置
CN211463524U (zh) 浮选装置
CN220610832U (zh) 一种兼有搅拌混合和离心功能的离心机
CN212328257U (zh) 一种化工物料搅拌釜
CN218962274U (zh) 一种浆液乳化机
CN113952882B (zh) 一种组合水力空化装置及其空化发生方法
KR100372940B1 (ko) 자흡 형 미세 기포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285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913

Effective date: 2017072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5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036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210

Effective date: 2023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