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925B1 -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 - Google Patents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925B1
KR101525925B1 KR1020140162359A KR20140162359A KR101525925B1 KR 101525925 B1 KR101525925 B1 KR 101525925B1 KR 1020140162359 A KR1020140162359 A KR 1020140162359A KR 20140162359 A KR20140162359 A KR 20140162359A KR 101525925 B1 KR101525925 B1 KR 101525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wastewater
rotating shaft
cone
con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화준
Original Assignee
심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화준 filed Critical 심화준
Priority to KR1020140162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 반응조에 저장된 오폐수에 잠겨 회전되게 구비되는 회전축, 이 회전축의 하측에 연결되고 평면상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점차로 확대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향하는 오폐수의 흐름을 발생시켜 상호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원추형 임펠러, 및 이 원추형 임펠러의 상측면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로 증가되는 높이를 갖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원추형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부하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원추형 임펠러의 가장자리에서의 회전력을 극대화하는 회전깃을 포함하고, 회전축에 피치 블레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저소음 무진동으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적은 동력소모로 가동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회전축을 다단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오폐수의 수심에 따라 회전축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회전축의 둘레면에도 임펠러를 더 구비하여 오폐수의 교반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HYPER BLOID TYPE MIXER}
본 발명은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축에 연결되어 하측을 향하여 점차로 확대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그 상부면에 하부를 향하여 점차로 증가되는 높이를 갖는 호 궤적의 회전깃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원추형 임펠러를 구비하여 저소음 무진동으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적은 동력소모로 가동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회전축을 다단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오폐수의 수심에 따라 회전축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회전축의 둘레면에도 임펠러를 더 구비하여 오폐수의 교반력을 더욱 향상시키고자 하는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규모 수처리 시스템의 혐기조(Anaerobic Zone) 또는 무산소조(Anoxic Zone)등에 사용되는 교반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교반기에 사용되는 임펠러는 동력발생장치와 변속장치및 동력 전달축이 연결되고, 동력 전달축은 반응조 내부로 연장되어져 임펠러가 결합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임펠러는, 축방향(axial)의 아래방향으로만 속도분포가 발생하고 원주방향(radial)으로의 속도분포가 미약한 바, 임펠러가 회전할 때 반응조 내에서 형성되는 난류운동에너지가 반응조 내의 사각지역에까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여 혼합효율이 저하되었다.
그래서, 교반기용 임펠러의 구조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70137호(발명의 명칭: 수처리용 교반기 임펠러)에 개시되어 있다.
기존 수처리용 임펠러는 오폐수의 저부에 위치하여 회전됨에 따라, 오폐수 전체가 교반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교반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임펠러는 오폐수의 저항이 증가하여 동력소모가 증가됨은 물론 소음과 진동이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회전축에 연결되어 하측을 향하여 점차로 확대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그 상부면에 하부를 향하여 점차로 증가되는 높이를 갖는 호 궤적의 회전깃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원추형 임펠러를 구비하여 저소음 무진동으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적은 동력소모로 가동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회전축을 다단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오폐수의 수심에 따라 회전축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심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의 회전축을 제작할 때보다 제작비를 줄이고자 하는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회전축의 하단에 임펠러를 분리 가능하게 구비함과 더불어 회전축의 둘레면에 임펠러를 더 구비함으로써 오폐수의 교반력을 더욱 향상시키고자 하는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의 하단에 구비된 임펠러에 홀을 뚫어 오폐수의 순환이 더욱 원활히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오폐수의 교반 시간을 줄이고자 하는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원추형 임펠러를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원추형으로 형성하여 회전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교반되는 오폐수의 간섭을 방지하고자 하는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는: 반응조에 저장된 오폐수에 잠겨 회전되게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하측에 연결되고, 평면상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점차로 확대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향하는 오폐수의 흐름을 발생시켜 상호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원추형 임펠러; 및 상기 원추형 임펠러의 상측면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로 증가되는 높이를 갖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추형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부하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상기 원추형 임펠러의 가장자리에서의 회전력을 극대화하는 회전깃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은 상측 오폐수를 교반시켜 교반력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피치 블레이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피치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오폐수에 대한 저항을 줄이면서 교반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추형 임펠러는 회전시의 진동을 최소화하고, 경우에 따라 전단력을 높이고자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리브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응조는 상기 원추형 임펠러의 하측에 위치하여 외기를 상기 원추형 임펠러 방향으로 분출시키는 폭기부를 구비하여 외기를 미립화시켜 폭기할 수 있다.
상기 원추형 임펠러는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오폐수의 순환을 위해 상하 연통되는 연통홀을 복수 개 형성하며, 수지나 유리섬유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오폐수의 수심에 따라 복수 개가 연결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는 종래 기술과 달리 회전축에 연결되어 하측을 향하여 점차로 확대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그 상부면에 하부를 향하여 점차로 증가되는 높이를 갖는 호 궤적의 회전깃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원추형 임펠러를 구비하여 저소음 무진동으로 동작이 가능할 수 있고, 적은 동력소모로 가동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회전축을 다단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오폐수의 수심에 따라 회전축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심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의 회전축을 제작할 때보다 제작비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회전축의 하단에 임펠러를 분리 가능하게 구비함과 더불어 회전축의 둘레면에 임펠러를 더 구비함으로써 오폐수의 교반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축의 하단에 구비된 임펠러에 홀을 뚫어 오폐수의 순환이 더욱 원활히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오폐수의 교반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원추형 임펠러를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원추형으로 형성하여 회전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에서 교반되는 오폐수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진부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부 중 완충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 중 원추형 임펠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깃의 높이를 보인 원추형 임펠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 중 회전축과 임펠러의 연결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과 임펠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추형 임펠러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작업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진부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진부 중 완충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 중 원추형 임펠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깃의 높이를 보인 원추형 임펠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 중 회전축과 임펠러의 연결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축과 임펠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추형 임펠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100)는 거치대(300), 회전축(400), 원추형 임펠러(500) 및 피치 블레이드(600)를 포함한다.
거치대(300)는 오폐수를 저장하고 있는 반응조(10)의 상측에 구비된다. 거치대(300)는 원추형 임펠러(500) 및 피치 블레이드(600)를 장착한 회전축(400)을 연결하는 구동부(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거치대(300)는 양측이 반응조(1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물론, 거치대(30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구동부(200)는 회전축(400)을 회전시키도록 연결하는 구동모터와 감속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축(400)은 구동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회전축(400)이 구동부(200)에 연결되는 방식은 통상적인 것으로 하고, 상세한 설명은 미도시한다.
아울러, 회전축(400)은 일부 또는 전체가 오폐수에 잠긴 상태로 구동부(200)에 연결된다. 이때, 회전축(400)은 회전시 오폐수의 저항에 의해 비틀림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비틀림력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회전축(400)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회전축(400)은 SUS 또는 에프알피(FRP)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원추형 임펠러(500)는 회전축(400)의 하측 단부에 구비된다. 특히, 원추형 임펠러(500)는 회전축(400)에 고정되어 회전축(400)과 함께 회전되며 오폐수의 저부를 교반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원추형 임펠러(500)는 회전축(400)의 하측에 연결되면서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점차로 확대되는 단면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원추형 임펠러(500)는, 정면에서 봤을 때, 대략 원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원추형 임펠러(500)는 회전축(400)을 중심으로 대향되는 유체 흐름을 형성하여 상호간의 간섭을 최소화함은 물론 교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반응조(10)의 내측 저부에 위치한 원추형 임펠러(500)가 회전되면, 원추형 임펠러(500)에 의해 도 1과 같은 유체의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원추형 임펠러(500)는 상측면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로 증가되는 높이를 갖는 호 형상의 회전깃(510)이 형성된다. 즉, 원추형 임펠러(500)의 상측에서의 회전깃(510)의 높이(h1)는 하측에서의 회전깃(510)의 높이(h2)보다 높게 형성된다.(h1〈 h2)
이때, 회전깃(510)은 평면상 원추형 임펠러(500)의 상측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아울러, 회전깃(510)은 회전 방향으로 볼록한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원추형 임펠러(500)는 회전에 따른 부하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가장자리에서의 회전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물론, 회전깃(510)의 개수 및 곡률은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원추형 임펠러(500)는 수지 또는 유리섬유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회전축(400)은 반응조(10)에 저장된 오폐수 중 상측의 오폐수를 교반시켜 교반력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피치 블레이드(6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원추형 임펠러(500)가 반응조(10) 내부 오폐수의 저부를 교반시킴과 동시에, 피치 블레이드(600)는 오폐수의 중간 부위와 상부를 교반시킴으로써, 오폐수는 단시간에 충분히 교반될 수 있다.
물론, 회전축(400)의 둘레면에 대해 피치 블레이드(600)의 장착 위치 및 장착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회전축(400)은 구동부(200)의 구동에 의해 강제 회전되는데, 구동부(200)가 구동시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회전축(400)이 흔들리게 됨으로써, 오폐수의 원활한 교반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구동부(200)는 방진부(700)에 의해 거치대(300)에 지지된다.
방진부(700)는 베이스플레이트(710), 앵커부재(720), 로어플레이트(730), 완충부재(740) 및 어퍼플레이트(750)를 포함한다.
베이스플레이트(710)는 구동부(200)를 볼팅 등에 의해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710)는 구동부(200)에 연결되는 회전축(400)을 통과시키기 위해 삽입홀(714)을 통공한다.
아울러, 베이스플레이트(710)는 가장자리에 원 궤적을 따라 일정 간격 유격되는 설치홀(712)을 통공한다. 이때, 설치홀(712)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710)는 평면상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앵커부재(720)는 거치대(300)에 고정 설치되고, 베이스플레이트(71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홀(712)에 일대일 삽입된다. 여기서, 앵커부재(720)는 앵커볼트로 한다.
로어플레이트(730)는 앵커부재(720) 각각에 위치 설정된다. 특히, 로어플레이트(730)는 동일 높이가 되도록 앵커부재(720) 각각에 구비된다. 이때, 앵커부재(720) 각각은 로어너트(722)가 나사 결합되는데, 각 로어너트(722)는 동일 높이가 된다. 그리고, 로어플레이트(730) 각각은 대응되는 앵커부재(720)를 삽입한 채 로어너트(722)에 지지된다.
완충부재(740)는 로어플레이트(730)에 지지된 채 앵커부재(720)를 축 삽입하여 베이스플레이트(710)를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완충부재(740)는 완충력을 가지도록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완충부재(740)는 지지부재(742), 삽입부재(744) 및 삽입가이드부재(746)를 포함한다.
지지부재(742)는 회전축(400)을 축 삽입한 채 베이스플레이트(71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지지부재(742)는 설치홀(7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삽입부재(744)는 지지부재(742)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회전축(400)을 축 삽입한다. 그리고, 삽입부재(744)는 설치홀(71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삽입부재(744)는 설치홀(712)에 삽입되는 회전축(400)의 흔들림에 의한 베이스플레이트(710)와 부딪힘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삽입부재(744)는 회전축(400)과 함께 회전됨에 따라, 설치홀(712)에 억지 삽입되지 않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삽입가이드부재(746)는 삽입부재(744)의 둘레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삽입부재(744)보다 두께가 얇다. 그래서, 삽입가이드부재(746)는 중심으로 모이도록 오므려지게 된다. 이로 인해, 삽입가이드부재(746)는 설치홀(712)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특히, 삽입가이드부재(746)의 하측과 삽입부재(744)의 둘레면에는 유격된 틈새가 발생된다. 그리고, 삽입가이드부재(746)는 내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된다. 그래서, 삽입가이드부재(746)는 회전축(400)에 밀착되고, 회전축(400)의 흔들림시 틈새에 의해 삽입부재(744)의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여 회전축(400)의 흔들림에 의한 완충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한편, 어퍼플레이트(750)는 베이스플레이트(710)가 앵커부재(720)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어퍼플레이트(750)는 앵커부재(720)를 축 삽입하며 베이스플레이트(710)의 상측면에 인접되거나 접하게 위치한다. 그리고, 앵커부재(720)에는 어퍼너트(724)가 체결된다. 어퍼너트(724)는 어퍼플레이트(750)가 앵커부재(720)의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삽입가이드부재(746)는 베이스플레이트(710)의 상측에 위치하는 어퍼플레이트(750)를 지지한다. 이때, 삽입가이드부재(746)는 변형되며 어퍼플레이트(750)를 탄성 지지한다.
아울러, 지지부재(742)와 삽입부재(744)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보강심재(748)를 구비한다. 보강심재(748)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지지부재(742)와 삽입부재(744)에 축 삽입되며, 내부에 앵커부재(720)를 삽입한다.
또한, 원추형 임펠러(500)는 회전축(400)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축(400)은 오폐수의 수심에 따라 복수 개를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며, 피치 블레이드(600)는 회전축(4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피치 블레이드(600)는 회전축(400)에 축 방향을 따라 대략 중간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원추형 임펠러(500)와 회전축(400)은 대응되도록 각각 제 1플랜지(540)를 형성한다. 마주하는 제 1플랜지(540)끼리는 면접된 상태로 볼팅에 의해 분리 가능하고, 용이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다단의 회전축(400)은 마주하도록 각각 제 2플랜지(410)를 구비한다. 마주하는 제 2플랜지(410)끼리는 면접된 상태로 볼팅에 의해 분리 가능하고, 용이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피치 블레이드(600)는 클램퍼(610)로써 회전축(40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클램퍼(610)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때, 피치 블레이드(600)는 회전축(400)의 회전시 오폐수에 대한 저항을 줄이면서 교반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피치 블레이드(600)는 회전되는 방향을 향하는 측면이 수평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피치 블레이드(600)는 오폐수의 저항에 의해 회전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되는 방향을 향하는 측면의 반대되는 측면에 보강리브(62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100)는 거치대(300), 회전축(400), 원추형 임펠러(500), 피치 블레이드(600) 및 폭기부(800)를 포함한다.
거치대(300), 회전축(400) 및 피치 블레이드(600)는 상술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원추형 임펠러(500)는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내부에 공간(530)을 형성하고, 오폐수의 순환을 위해 상하 연통되는 연통홀(520)을 복수 개 형성한다.
그래서, 원추형 임펠러(500)가 회전되면, 원추형 임펠러(500) 하측의 오폐수는 연통홀(520)을 통해 원추형 임펠러(500)의 상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더욱 잘 혼합된다. 이때, 원추형 임펠러(500)는 공간(530)을 형성함에 따라 경량화할 수 있다.
여기서, 연통홀(520)의 직경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원추형 임펠러(500)는 교반력 향상을 위해 하측에 하부리브(550)를 돌출 형성한다. 하부리브(550)는 회전되며 오폐수의 교반력을 향상시킨다. 이때, 하부리브(550)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하부리브(550)는 원추형 임펠러(500) 하측면 전체에 걸쳐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원추형 임펠러(500)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될 수도 있다.
하부리브(550)는 원추형 임펠러(500) 회전시의 진동을 최소화하고, 교반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원추형 임펠러(500)는 연통홀(520)과 하부리브(550) 중 어느 하나의 구성만이 적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반응조(10)는 원추형 임펠러(5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외기를 원추형 임펠러(500) 방향으로 분출시키는 폭기부(800)를 구비한다.
폭기부(800)는 반응조(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외기를 공급받는 폭기파이프(810), 및 폭기파이프(810)의 둘레면에서 원추형 임펠러(500)의 하측으로 외기를 분출시키는 폭기노즐(820)을 포함한다.
즉, 외기가 폭기파이프(810)로 공급되어 폭기노즐(820)을 통해 원추형 임펠러(500)의 공간(530) 측으로 분출됨으로써, 원추형 임펠러(500) 하측의 오폐수는 연통홀(520)을 통해 빠르게 원추형 임펠러(500)의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아울러, 분출되는 외기에 의해 오폐수의 흐름이 빨라, 교반력이 더욱 향상된다. 특히, 폭기부(800)는 분출되는 외기를 미립화시켜 충분히 산기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100)는 원추형 임펠러(500)를 2대 이상 설치시 별도의 분리용막이 없이도 격벽효과를 가져와 각 원추형 임펠러(500)가 구동하는 구역에서의 간섭에 따른 교반효과를 저하를 방지하도록 한다.
원추형 임펠러(500)는 반응조(10)의 상부에서 결합되거나, 반응조(10)의 내측에 침적되는 상태로 동작되고, 구동부(2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반응조(10) 내에 충진되는 오폐수 등을 교반하여 원활하게 반응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
300: 거치대 400: 회전축
500: 원추형 임펠러 510: 회전깃
520: 연통홀 530: 공간
600: 피치 블레이드 700: 방진부
710: 베이스플레이트 720: 앵커부재
730: 로어플레이트 740: 완충부재
750: 어퍼플레이트 800: 폭기부

Claims (6)

  1. 반응조에 저장된 오폐수에 잠겨 회전되게 구비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하측에 연결되고, 평면상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점차로 확대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향하는 오폐수의 흐름을 발생시켜 상호간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원추형 임펠러; 및 상기 원추형 임펠러의 상측면에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로 증가되는 높이를 갖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추형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부하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상기 원추형 임펠러의 가장자리에서의 회전력을 극대화하는 회전깃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측 오폐수를 교반시켜 교반력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피치 블레이드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반응조는 상측에 구동부를 지지하는 거치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방진부에 의해 상기 거치대에 지지되며,
    상기 방진부는, 상기 구동부를 고정 결합하고,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유격되는 설치홀을 통공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거치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설치홀에 일대일 삽입되는 앵커부재;
    수평 조절과 높이 조절되도록 상기 앵커부재 각각에 위치 설정되는 로어플레이트;
    상기 로어플레이트에 지지된 채 상기 앵커부재를 축 삽입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완충하는 완충부재;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상기 앵커부재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퍼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치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시 오폐수에 대한 저항을 줄이면서 교반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임펠러는 회전시의 진동을 최소화하고, 경우에 따라 전단력을 높이고자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리브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는 상기 원추형 임펠러의 하측에 위치하여 외기를 상기 원추형 임펠러 방향으로 분출시키는 폭기부를 구비하여 외기를 미립화시켜 폭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임펠러는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오폐수의 순환을 위해 상하 연통되는 연통홀을 복수 개 형성하며, 수지나 유리섬유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오폐수의 수심에 따라 복수 개가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
KR1020140162359A 2014-11-20 2014-11-20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 KR101525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359A KR101525925B1 (ko) 2014-11-20 2014-11-20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359A KR101525925B1 (ko) 2014-11-20 2014-11-20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5925B1 true KR101525925B1 (ko) 2015-06-09

Family

ID=53503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359A KR101525925B1 (ko) 2014-11-20 2014-11-20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925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051B1 (ko) * 2017-04-04 2017-09-07 이상기 교반기
KR101776082B1 (ko) * 2017-04-04 2017-09-07 이상기 교반기용 믹싱 샤프트
KR101791143B1 (ko) * 2017-04-06 2017-10-27 (주)오비스 수처리용 교반기
KR102131988B1 (ko) * 2020-01-06 2020-07-08 김유학 저속회전으로도 데드존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수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반기용 임펠러
KR102131970B1 (ko) * 2020-01-06 2020-07-08 김유학 저속회전으로도 데드존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수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처리용 교반기
KR102182924B1 (ko) 2020-04-13 2020-11-27 (주)일신오토클레이브 교반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축의 연결구조를 가지는 교반기
KR20210065361A (ko) * 2019-11-27 2021-06-04 나종래 혐기성소화조의 교반기
KR102341415B1 (ko) * 2020-12-30 2021-12-21 (주)상원이엔씨 표면 포기장치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수처리 시스템
KR102589760B1 (ko) * 2023-03-24 2023-10-16 주식회사 부강테크 에너지 소비효율의 개선과 미세조류 입상화를 가속할 수 있는 탄소중립형 하수처리 장치
KR102594125B1 (ko) * 2023-01-13 2023-10-26 주식회사 크로바기계 토크암 리본 블랜더
CN117816011A (zh) * 2024-03-06 2024-04-05 山东和瑞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钙锌稳定剂制备装置
WO2024205011A1 (ko) * 2023-03-24 2024-10-03 (주)부강테크 에너지 소비효율의 개선과 미세조류 입상화를 가속할 수 있는 탄소중립형 하수처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845B1 (ko) * 2007-04-09 2008-01-24 (주)세종산업개발 지중 연속벽과 개량체 형성을 위한 천공교반장치
KR20090061615A (ko) * 2009-05-18 2009-06-16 주식회사 그린기술산업 교반기
JP2009163622A (ja) * 2008-01-09 2009-07-23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攪拌具
KR20090117680A (ko) * 2009-10-16 2009-11-12 박상민 포기 및 교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845B1 (ko) * 2007-04-09 2008-01-24 (주)세종산업개발 지중 연속벽과 개량체 형성을 위한 천공교반장치
JP2009163622A (ja) * 2008-01-09 2009-07-23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攪拌具
KR20090061615A (ko) * 2009-05-18 2009-06-16 주식회사 그린기술산업 교반기
KR20090117680A (ko) * 2009-10-16 2009-11-12 박상민 포기 및 교반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082B1 (ko) * 2017-04-04 2017-09-07 이상기 교반기용 믹싱 샤프트
KR101776051B1 (ko) * 2017-04-04 2017-09-07 이상기 교반기
KR101791143B1 (ko) * 2017-04-06 2017-10-27 (주)오비스 수처리용 교반기
KR20210065361A (ko) * 2019-11-27 2021-06-04 나종래 혐기성소화조의 교반기
KR102283116B1 (ko) * 2019-11-27 2021-07-29 나종래 혐기성소화조의 교반기
KR102131988B1 (ko) * 2020-01-06 2020-07-08 김유학 저속회전으로도 데드존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수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반기용 임펠러
KR102131970B1 (ko) * 2020-01-06 2020-07-08 김유학 저속회전으로도 데드존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수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처리용 교반기
KR102182924B1 (ko) 2020-04-13 2020-11-27 (주)일신오토클레이브 교반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축의 연결구조를 가지는 교반기
KR102286219B1 (ko) 2020-04-13 2021-08-09 (주)일신오토클레이브 교반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축의 연결구조를 가지는 교반기
KR102341415B1 (ko) * 2020-12-30 2021-12-21 (주)상원이엔씨 표면 포기장치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수처리 시스템
KR102594125B1 (ko) * 2023-01-13 2023-10-26 주식회사 크로바기계 토크암 리본 블랜더
KR102589760B1 (ko) * 2023-03-24 2023-10-16 주식회사 부강테크 에너지 소비효율의 개선과 미세조류 입상화를 가속할 수 있는 탄소중립형 하수처리 장치
WO2024205011A1 (ko) * 2023-03-24 2024-10-03 (주)부강테크 에너지 소비효율의 개선과 미세조류 입상화를 가속할 수 있는 탄소중립형 하수처리 장치
CN117816011A (zh) * 2024-03-06 2024-04-05 山东和瑞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钙锌稳定剂制备装置
CN117816011B (zh) * 2024-03-06 2024-05-14 山东和瑞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钙锌稳定剂制备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5925B1 (ko) 하이퍼 블로이드형 교반기
KR101566240B1 (ko) 에어레이션 임펠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교반기
KR101015470B1 (ko) 다축 교반기
US9744505B2 (en) Stirrer
US7661659B2 (en) Swing-type submersible floating aerator
KR101168062B1 (ko) 포기 및 교반장치
JP2000317488A (ja) 水中曝気撹拌装置
CN103028360B (zh) 用于搅拌反应器的剪切装置和搅拌反应器
JP2010264337A (ja) 曝気攪拌機
CN103007866B (zh) 搅拌反应器
KR101014593B1 (ko) 소화조 교반기
JP4716039B2 (ja) 矩形の攪拌反応槽
KR100552148B1 (ko) 교반기
KR100734094B1 (ko) 고농도 폐수 교반기
KR200392269Y1 (ko) 교반기
JP2009178619A (ja) 曝気攪拌機
PT2542333E (pt) Sistema de mistura e bombagem de líquidos, sistema de tratamento de águas residuais que compreende o mesmo e processo relacionado
CN211706774U (zh) 一种搅拌均匀的反应釜
KR101900593B1 (ko) 친환경 고효율 교반기
JP2008188543A (ja) 撹拌方法及び撹拌機
JP4686414B2 (ja) 撹拌インペラ、水中撹拌装置及び水中撹拌曝気装置
KR20090061616A (ko) 이중원추형 회전차가 구비된 교반기
KR101478099B1 (ko) 스컴 블레이드를 장착한 다축 교반기
JP2519058Y2 (ja) 培養装置
KR200325111Y1 (ko) 원추형 교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