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616A - 이중원추형 회전차가 구비된 교반기 - Google Patents

이중원추형 회전차가 구비된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616A
KR20090061616A KR1020090043281A KR20090043281A KR20090061616A KR 20090061616 A KR20090061616 A KR 20090061616A KR 1020090043281 A KR1020090043281 A KR 1020090043281A KR 20090043281 A KR20090043281 A KR 20090043281A KR 20090061616 A KR20090061616 A KR 20090061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ical
stirrer
rotary
rotary wheel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3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7956B1 (ko
Inventor
한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기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기술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기술산업
Priority to KR1020090043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956B1/ko
Publication of KR20090061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9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7Stirrers provided with conical-shaped elements, e.g. funnel-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rotary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rotary dis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가공공장의 발효조, 하폐수처리시설의 반응조와 슬러지 소화조 등에 설치되어 액상물질을 교반하는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는 구동부와 회전축과 이중원추형 몸체의 양면에 각각 하나 이상의 깃이 마련된 원추형 몸체로 구성된 회전차를 포함하고, 상기 이중원추형 몸체는 그 내부에 수밀한 구조의 빈 공간이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과 회전차 사이 또는 상기 회전차와 회전차 사이는 지지축으로 서로 연결하여 지지함으로써, 작동하중이 적고, 수심이 깊고 폭이 일정하지 않은 반응조도 효율적으로 교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중원추형, 구동부, 회전축, 회전차, 교반기

Description

이중원추형 회전차가 구비된 교반기{ Mixer with A Double Conical Impeller }
본 발명은 식품가공공장의 발효조, 하폐수처리시설의 반응조와 슬러지 소화조 등에 설치되어 액상물질을 교반하는 교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패들 또는 프로펠러가 구비된 종래의 입축형 교반기는 주로 pH조정조, 응집반응조 등 반응시간이 짧은 소용량의 반응기에 사용되고 대용량의 반응조에는 적용이 어렵다.
종래의 입축 원추형 교반기는 패들형과 프로펠러형 교반기들보다 교반동력효율이 우수하고 반응액의 순환이 잘 이루어지는 편이다. 그러나 반응조가 대용량인 경우 여러 대의 교반기를 설치하여야 되며 수심이 깊은 반응조에는 적용이 어렵다.
또한, 원추형 회전차가 반응기의 바닥에 근접하여 설치되므로 반응조 바닥의 소류속도(Scouring Velocity)는 확보되고 침전물의 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상부에는 교반력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므로 스컴이 발생되는 반응조에서는 수 면에 스컴이 누적되므로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모든 회전형 기계장치들과 같이 교반기도 자중이 무거우면 동력 소요가 크고, 지지용 부재가 증가되며, 부품의 소손이 빠르게 진행된다. 종래의 입축 원추형 교반기도 축의 길이가 길고 회전차의 중량도 다른 교반기들보다 무거워서 하중으로 인하여 구동부에 무리가 주어지고 교반동력이 낭비되므로 개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반응액 중에서 작동하중이 작고, 교반력이 반응조의 일측에 편중되지 않으며, 하나의 구동부를 이용하여 대용량의 반응조와 수심이 깊은 반응조도 효율적으로 교반할 수 있고, 한 개의 회전차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순환수류를 생성할 수 있으며, 폭과 수심이 일정하지 않은 반응조에서도 교반력이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는 교반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는 구동부와, 회전축과, 이중원추형 몸체의 양면에 각각 하나 이상의 깃이 마련되어 구성된 이중원추형 회전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구동부와 회전축에 의하여 상기 이중원추형 회전차가 회전하면 이중원추형 몸체의 양면에 형성된 깃에 의하여 회전차의 양면에서 축과 직각방향으로 2개의 원심형의 토출수류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 차의 양측을 향하여 각각 축류형의 수류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차는 그 단면이 직각면이 아닌 완만한 포물선으로 이루어진 원추형이므로 축류형 수류가 원심형 수류로 부드럽게 전환되므로 에너지가 낭비되지 않고 큰 순환수류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중원추형 회전차이므로 하나의 회전차에 의하여 2개의 순환수류가 생성되므로 교반력이 편중되지 않고 수심이 깊거나 대용량의 반응조에서도 적은 수량의 교반기 및 회전차를 이용하여 원활한 교반이 이루어진다.
또한, 난형의 슬러지 소화조와 같이 반응조의 수심이 매우 깊고 반응조의 상부와 중앙 및 하부의 직경들이 서로 다른 반응조에서 수심에 따른 반응조 용적 변화와 관계없이 동일한 용량의 회전차들을 복수개 설치할 경우 반응조의 폭에 따라 교반력의 과부족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반응조의 폭 즉, 수심별 반응조의 용적에 따라 상기 회전차의 직경, 깃의 수, 또는 깃의 크기 등을 달리하여 교반용량이 다른 회전차들을 설치함으로써 반응조 전체에 균일한 교반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교반기의 작동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회전차를 구성하는 상기 원추형 몸체에 수밀한 구조의 빈 공간을 구비하였다. 교반기를 반응조에 설치하면 상기 회전차가 반응액 중에 잠기게 되므로 부력의 작용에 의하여 구동부와 회전축에 미치는 하중이 감소된다. 수밀한 구조의 빈 공간은 상기 원추형 몸체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회전축도 수밀한 중공관으로 구성하여 작동하중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수심이 깊거나 스컴이 발생되는 반응조에서 수면에 스컴이 적체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수면과 근접한 낮은 수심에서 원심형의 토출수류를 발생하여 수면에 부상하는 스컴을 해체할 수 있도록 수면과 근접한 낮은 수심에 원추형의 회전차를 추가로 구성하되, 상기 원추형 몸체의 꼭짓점이 바닥을 향하도록 회전축에 설치하여 교반기를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침전물이 포함된 반응조에서 바닥에 침전물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과 근접한 깊은 수심에서 원심형의 수류가 방사상으로 발생되어 침전물이 소류될 수 있도록 바닥과 근접한 깊은 수심에 상기 원추형의 회전차를 추가로 설치하되, 상기 원추형 몸체의 꼭짓점이 수면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설치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심이 깊은 반응조용 교반기는 회전축이 길어지거나, 하나의 축에 복수개의 회전차를 설치하므로 회전축이 뒤틀리거나 흔들리게 되어 고장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차의 몸체와 몸체 사이, 상기 회전축과 상기 회전차의 몸체 사이를 하나 이상의 지지축으로 연결하여 회전축의 흔들림을 방지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에 의하면, 하나의 회전차로 2개의 순환수류를 형성하므로 수심이 깊은 반응조와 대용량의 반응조도 적은 수량의 교반기 또는 회전차를 이용하여 원활하게 교반할 수 있고, 구동부와 회 전축에 미치는 작동하중이 작고, 장방형의 반응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세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는 구동부(1)와, 회전축(2)과, 이중원추형 몸체(31)의 양측 표면에 각각 하나 이상의 깃(32)이 마련되어 구성된 이중원추형 회전차(3)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구동부(1)와 회전축(2)에 2개의 원추형 몸체가 일체로 결합된 형태의 이중원추형 몸체 양면에 깃을 마련하여 이중원추형 회전차(3)를 설치하여 교반기를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교반기가 작동하면 상기 이중원추형 회전차가 회전하면서 이중원추형 몸체의 양면에 마련된 깃(32)에 의하여 회전축과 직각방향으로 2개의 원심형의 수류가 방사상으로 분출되고 상기 회전축과 평행 하게 상기 이중원추형 회전차 양 측면 방향으로 각각 인수력(引水力)이 발생되므로 상기 이중원추형 회전차의 양면을 향하여 각각 축류형의 수류가 형성되면서 상기 이중원추형 회전차를 중심으로 크게 2개의 순환수류가 형성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교반기의 작동하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차를 구성하는 이중원추형 몸체의 내부에는 수밀한 구조의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교반기를 반응조(10)에 설치하여 상기 이중원추형 회전차가 반응액 중에 잠기게 되면 부력의 작용에 의하여 구동부와 회전축에 미치는 하중이 감소될 수 있다.
여기서 수밀한 구조의 빈 공간은 상기 이중원추형 몸체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회전축도 수밀한 중공관으로 구성하여 교반기의 작동하중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그 내부에 빈공간이 마련되어 부력의 작용을 받는 이중원추형 회전차(3)로 인하여 회전축의 흔들림이 증폭되고 고장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과 상기 회전차의 몸체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축(5)으로 연결하여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축을 반응조 바닥까지 연장하고, 연장된 회전축의 하단과 상기 반응조의 바닥 사이에는 지지베어링[도면생략] 을 추가로 설치하여 회전축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세로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1)와 회전축(2)과, 이중원추형 몸체(31) 에 하나 이상의 깃(32)이 마련되어 구성된 이중원추형 회전차가 포함된 제1실시예의 교반기에 있어서, 상기 이중원추형 회전차(3)에 추가하여 원추형 회전차(4)를 더 설치하되, 상기 원추형의 회전차(4)가 수면과 근접한 낮은 수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2)의 상단 부근에 상기 원추형 회전차의 꼭짓점이 바닥을 향하도록 설치하여 교반기를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원추형 회전차에 의하여 수면과 근접한 낮은 수심에서 원심형의 수류가 방사형으로 분출되므로 스컴이 발생되는 반응조에서 수면에 스컴이 적체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침전물이 적고 스컴 등 부유성 물질이 많이 발생되는 반응조 및 제1실시예에서 보다 수심이 깊은 반응조에 적합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세로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원추형 회전차(3)가 포함된 제1실시예의 교반기에 있어서, 상기 이중원추형 회전차에 추가하여 하나 이상의 깃(42)이 마련된 원추형 몸체(41)로 구성된 원추형의 회전차(4a)를 더 설치하되, 추가 설치되는 상기 원추형 회전차가 반응조(10)의 바닥면과 근접한 깊은 수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2)을 길게 구성하고, 상기 원추형 회전차의 꼭짓점이 수면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설치하여 교반기를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원추형 회전차에 의하여 상기 반응조의 바닥과 근접한 깊은 수심에서 원심형의 수류가 방사형으로 분출되므로 바닥측에 소류력이 증대되고 슬 러지 등 침강성 물질의 퇴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교반기는 스컴 등 부유성 물질이 적고 침전물이 많이 발생되는 반응조 및 제1실시예에서 보다 수심이 깊은 반응조에 적합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세로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는 수심이 비교적 깊은 반응조(10)에서도 교반력이 편중되지 않고 원활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제1실시예의 교반기의 회전축(2)을 길게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의 상부 측과 하부 측에 각각 하나 이상의 깃(42)이 마련된 원추형 몸체(41)로 구성된 원추형 회전차(4,4a)를 추가 설치하고, 상기 상부 측 회전차(4)는 상기 원추형 회전차의 꼭지점이 아래를 향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하부 측 회전차(4a)는 상기 원추형 회전차의 꼭지점이 수면을 향하도록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나의 구동부(1)와 회전축(2)에 이중원추형 회전차(3)를 설치하고 추가하여 상기 회전축의 상부 측과 하부 측에 2개의 원추형 회전차(4,4a)를 더 설치하여 교반기를 구성함에 따라, 상기 상부 측 회전차(4)와 하부 측 회전차(4a)도 이중원추형 회전차와 함께 동시에 회전하면서 3개의 회전차에 의하여 4개의 순환수류가 형성되면서 수심이 깊은 반응조에서도 교반력이 편중되지 않고 원활한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하면 반응조 수면에 스컴 적체를 방지하고 동시에 바닥에 침전물 퇴적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5실시예의 교반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세로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난형(卵形)의 슬러지 소화조와 같이 반응조의 수심이 매우 깊고 반응조의 상부와 중앙 및 하부의 직경들이 서로 다른 반응조에서 수심에 따른 반응조 용적 변화와 관계없이 수심에 따라 동일한 용량의 회전차들을 복수개 설치할 경우 반응조의 폭에 따라 교반력의 과부족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반응조(10)의 폭 즉, 수심별 반응조의 용적에 따라 회전차(4,3,3a,4a)의 직경, 깃의 수, 또는 깃의 크기 등을 달리하여 회전차의 교반용량이 반응조의 폭에 맞추어 설치함으로써 반응조 전체에 균일한 교반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반응조의 폭이 넓은 중앙부에 설치되는 회전차(3,3a)는 큰 용량을 설치하고, 반응조의 폭이 좁은 상부에 하부에 설치되는 회전차(4,4a)는 상대적으로 작은 용량을 설치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5실시예의 교반기를 횡축형으로 설치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장방형의 반응조(10)에서도 교반력이 일측에 편중되지 않고 원활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축(2)을 횡 방향으로 길게 구성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반응조의 양측 내벽에 근접한 위치에 각각 하나 이상의 원추형 회전차(4,4a) 또는 이중원추형 회전차(3,3a)를 설치하되, 상기 회전차들은 상기 원추형 몸체의 꼭짓점들이 서로 마주 향하도록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제 1 내지 제 5실시예도 입축형에 국한되지 않고,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횡축형으로 구성하면 폭과 수심에 비교하여 길이가 긴 장방형의 반응조도 원활하게 교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원추형 회전차가 구비된 교반기에 추가 설치되는 회전차는 상기 원추형 회전차에 국한되지 않고 패들, 프로펠러 등 다양한 형태 중에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내지 제6실시예의 교반기들도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원추형 회전차와 상기 이중원추형 회전차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그 내부에 빈 공간을 구성하여 작동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축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축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 제1실시예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 제2실시예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 제3실시예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 제4실시예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 제5실시예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 제5실시예를 횡축형으로 설치한 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구동부 2 : 회전축
3,3a : 이중원추형 회전차 4,4a : 원추형 회전차
5 : 지지축 6 : 지지베어링
10 : 반응조 31 : 이중원추형 몸체
41 : 원추형 몸체 32,42 : 깃

Claims (5)

  1. 구동부와, 회전축과, 이중원추형 몸체의 양면에 각각 하나 이상의 깃이 마련되어 구성된 이중원추형 회전차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원추형 회전차가 구비된 교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원추형 몸체에 하나 이상의 깃이 마련되어 구성된 원추형 회전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원추형 회전차가 구비된 교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차의 몸체는 그 내부에 빈 공간이 마련되고 수밀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원추형 회전차가 구비된 교반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에는 지지축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원추형 회전차가 구비된 교반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회전차가 복수개 설치되고 반응조의 폭에 맞추어 상기 회전차의 용량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원추형 회전차가 구비된 교반기.
KR1020090043281A 2009-05-18 2009-05-18 이중원추형 회전차가 구비된 교반기 Active KR101147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281A KR101147956B1 (ko) 2009-05-18 2009-05-18 이중원추형 회전차가 구비된 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3281A KR101147956B1 (ko) 2009-05-18 2009-05-18 이중원추형 회전차가 구비된 교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616A true KR20090061616A (ko) 2009-06-16
KR101147956B1 KR101147956B1 (ko) 2012-05-24

Family

ID=40991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3281A Active KR101147956B1 (ko) 2009-05-18 2009-05-18 이중원추형 회전차가 구비된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9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80326A (zh) * 2010-09-06 2012-03-21 三星电机株式会社 搅拌器及包括该搅拌器的镀覆设备
WO2014001436A1 (en) * 2012-06-29 2014-01-03 Nestec S.A. Double-cone pumping device
CN110237572A (zh) * 2019-06-26 2019-09-17 华中科技大学 一种剪切变稀非牛顿流体的气泡去除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1745A (en) * 1992-04-13 1993-11-16 Watkins James R Mixing apparatus with frusto-conically shaped impeller for mixing a liquid and a particulate solid
JPH0810597A (ja) * 1994-06-29 1996-01-16 Fuji Electric Co Ltd 気体と液体を混合し移送する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80326A (zh) * 2010-09-06 2012-03-21 三星电机株式会社 搅拌器及包括该搅拌器的镀覆设备
WO2014001436A1 (en) * 2012-06-29 2014-01-03 Nestec S.A. Double-cone pumping device
CN104379246A (zh) * 2012-06-29 2015-02-25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双锥式泵送装置
US9744504B2 (en) 2012-06-29 2017-08-29 Nestec S.A. Double-cone pumping device
CN110237572A (zh) * 2019-06-26 2019-09-17 华中科技大学 一种剪切变稀非牛顿流体的气泡去除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7956B1 (ko)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265B1 (ko) 슬러지 교반 및 건조장치
KR101015470B1 (ko) 다축 교반기
FI124934B (fi) Sekoitussäiliöreaktori
KR101168062B1 (ko) 포기 및 교반장치
MX2015005704A (es) Mezclador reactor de enzimas de alto contenido de solidos con paleta vertical y metodo.
CN102068955A (zh) 带有异型扰流板的絮凝反应器
KR101147956B1 (ko) 이중원추형 회전차가 구비된 교반기
CN203855461U (zh) 一种双叶轮表面曝气装置
KR101014593B1 (ko) 소화조 교반기
JP3163821U (ja) 生ごみ発酵処理装置
KR20180085137A (ko) 친환경 고효율 교반기
KR101103552B1 (ko) 교반기
CN214916032U (zh) 反应釜搅拌装置
JP7134917B2 (ja) 撹拌方法
CN107715726A (zh) 一种新型组合式混合搅拌桨
JP3160718U (ja) 循環式上下軸流撹拌装置
US20110261644A1 (en) Mixer flow direc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17010131A1 (ja) 撹拌装置及び撹拌方法
CN104043371B (zh) 一种离心分散器
JP6251547B2 (ja) 撹拌装置
CN207243878U (zh) 立式固体生物反应器
CN220132060U (zh) 一种完全混合反应器及其内部设置的螺旋输送机
JP2019111535A (ja) 撹拌装置
JP5978558B2 (ja) 撹拌槽
CN218307427U (zh) 用于制浆机的搅拌装置和制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527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3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20501

Appeal identifier: 2012101001841

Request date: 20120223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02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2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2022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61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205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327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2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