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605B1 -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 - Google Patents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605B1
KR101898605B1 KR1020180017784A KR20180017784A KR101898605B1 KR 101898605 B1 KR101898605 B1 KR 101898605B1 KR 1020180017784 A KR1020180017784 A KR 1020180017784A KR 20180017784 A KR20180017784 A KR 20180017784A KR 101898605 B1 KR101898605 B1 KR 101898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inlet
center
wal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곤
Original Assignee
이에스피 주식회사
이기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스피 주식회사, 이기곤 filed Critical 이에스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7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6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02F3/205Moving, e.g. rotary, diffusers; Stationary diffusers with moving, e.g. rotary, distributors
    • C02F3/206Moving, e.g. rotary, diffusers; Stationary diffusers with moving, e.g. rotary, distributors with helical screw impe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는, 개구부 형상의 제1 유입구가 상측에 형성되고 제1 배출구가 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케이싱과, 제2 유입구가 측면 상부에 형성되고 개구부 형상의 제2 배출구가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배출구가 상기 제1 유입구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배열되는 제2 케이싱을 구비하는 케이싱; 수직으로 세워진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이 상기 제2 배출구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중심관과, 끝단이 상기 제1 케이싱의 내벽을 향하도록 상기 중심관의 외벽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제1 회전날개와, 상기 중심관의 중심부에 배열되는 센터블록과, 상기 센터블록의 외벽과 상기 중심관의 내벽을 연결하도록 배열되는 다수 개의 제2 회전날개를 구비하는 스크류; 상기 제2 케이싱의 상부에 안착되되, 끝단이 상기 제2 케이싱의 상면에 형성된 샤프트관통공을 관통한 후 상기 센터블록의 샤프트체결공에 결합되는 구동축을 구비하는 구동수단; 상단이 상기 반응조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되고 하단이 상기 제2 유입구에 고정결합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제2 케이싱 내부로 안내하는 공기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 {Aaeration apparatus with self air suction function}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용 수중 폭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별도의 공기펌프를 구비하지 아니하더라도 반응조 내측으로 공기를 폭기시킬 수 있는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생활하수나 오수 또는 산업 폐수로 인한 환경오염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천 등으로 방류하는 생활하수 등을 환경기준에 적합한 수준으로 정화 처리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하수 종말 처리장이나 일반 폐수 처리시설 등에는 생활하수 등의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을 적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기계적인 장치로 수중 내에 공기를 투입하여 그 투입되는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산소가 생활하수 등에 용해되어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수중 폭기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수중 폭기장치에 관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수중 폭기장치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중 폭기장치는, 상부케이스(11)에 수직으로 관통하는 유입구(14)가 형성되고 상부케이스(11)의 하측에 중앙을 천공한 하부케이스(12)가 결합되되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 사이에 측방으로 수류분출구(13)가 형성되어 유입구(14)로부터 유입된 하수를 측하방으로 유도하는 챔버(10)와, 상기 챔버(10)의 유입구(14)에 구동수단(23)을 구비한 회전날개(22)가 설치되어 하수를 하측으로 순환시키는 유체기동부(20)와, 상기 챔버(10)의 하부케이스(12)의 상면 중앙을 커버링하는 폭기실(38)을 구비하되 폭기실(30)의 내부 중앙에 가이드날개(35)가 설치되는 폭기부(30)와, 상기 챔버(10)의 하부케이스(12) 하측에 결합되어 폭기실(38)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40)으로 구성된다.
공기공급관(40)으로 외부공기를 수중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구동수단(23)을 동작시켜 회전날개(22)를 회전시키면, 회전날개(22)의 회전으로 하수가 유입구(14)를 통해 하향으로 유도되어 흐르게 되고, 이와 동시에 폭기실(38)의 내부로 공급한 공기의 충돌에너지로 가이드날개(35)를 회전시키므로 충돌과 회전으로 공기가 폭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수중 폭기장치를 이용하면 수중으로 다량의 공기를 폭기시킬 수 있지만, 회전날개(22)에 의해 물이 유동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고압의 공기를 불어 넣는 별도의 공기펌프나 공기압축기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바, 제품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제조원가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수중 폭기장치는 물을 유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각각 별도로 작동시켜야 하므로, 유지비용이 매우 높아지는 단점이 발생된다.
KR 10-1353852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별도의 공기펌프 없이도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수중으로 폭기시킬 수 있고, 내부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 및 유지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는, 개구부 형상의 제1 유입구가 상측에 형성되고 제1 배출구가 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케이싱과, 제2 유입구가 측면 상부에 형성되고 개구부 형상의 제2 배출구가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배출구가 상기 제1 유입구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배열되는 제2 케이싱을 구비하는 케이싱; 수직으로 세워진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이 상기 제2 배출구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중심관과, 끝단이 상기 제1 케이싱의 내벽을 향하도록 상기 중심관의 외벽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제1 회전날개와, 상기 중심관의 중심부에 배열되는 센터블록과, 상기 센터블록의 외벽과 상기 중심관의 내벽을 연결하도록 배열되는 다수 개의 제2 회전날개를 구비하는 스크류; 상기 제2 케이싱의 상부에 안착되되, 끝단이 상기 제2 케이싱의 상면에 형성된 샤프트관통공을 관통한 후 상기 센터블록의 샤프트체결공에 결합되는 구동축을 구비하는 구동수단; 상단이 상기 반응조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되고 하단이 상기 제2 유입구에 고정결합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제2 케이싱 내부로 안내하는 공기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케이싱의 외경은 상기 제1 케이싱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싱의 내벽 상부와 상기 제2 케이싱의 외벽 하부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연결프레임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샤프트관통공과 상기 구동축 사이를 밀폐시키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기공급관의 하단은 상기 제2 유입구를 밀봉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제2 회전날개는, 상기 중심관 중 상기 제1 회전날개가 결합된 지점보다 높은 지점에 결합된다.
상기 스크류는, 제2 회전날개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제1 회전날개에 의해 배출되는 물의 압력보다 크게 제작된다.
상기 제1 케이싱의 바닥면 중심부에는 상향으로 뾰족하게 돌출되는 상향돌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를 이용하면, 별도의 공기펌프 없이도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수중으로 폭기시킬 수 있어 적은 동력으로도 폭기가 가능하고, 내부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중 폭기장치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에 포함되는 케이싱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에 포함되는 스크류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에 포함되는 스크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에 포함되는 케이싱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에 포함되는 스크류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는 하수 종말 처리장이나 일반 폐수 처리시설 등에서 하수에 다량의 공기를 폭기시켜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을 적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별도의 공기펌프나 공기압축기 없이도 수중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는, 공기와 물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100) 내부에 장착되어 물의 유동압을 발생시키는 스크류(200)와, 상기 스크류(200)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300)과, 외부의 공기를 상기 케이싱(100)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공급관(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스크류(200)가 물을 유동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된 압력에 의해 대기 중의 공기가 자흡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00)은, 개구부 형상의 제1 유입구(112)가 상측에 형성되고 제1 배출구(114)가 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케이싱(110)과, 제2 유입구(122)가 측면 상부에 형성되고 개구부 형상의 제2 배출구(124)가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배출구(124)가 상기 제1 유입구(112)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배열되는 제2 케이싱(120)으로 구성된다. 이때 반응조(1) 내의 물은 상기 제1 유입구(112)를 통해 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되었다가 제1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되고, 대기 중의 공기는 공기공급관(400)와 제2 유입구(122)를 통해 제2 케이싱(120) 내부로 유입된 후 제2 배출구(124)와 제1 배출구(114)를 통해 반응조(1) 내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200)는 반응조(1) 내의 물을 유동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수직으로 세워진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이 상기 제2 배출구(124)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케이싱(110)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중심관(210)과, 끝단이 상기 제1 케이싱(110)의 내벽을 향하도록 상기 중심관(210)의 외벽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제1 회전날개(220)와, 상기 중심관(210)의 중심부에 배열되는 센터블록(230)과, 상기 센터블록(230)의 외벽과 상기 중심관(210)의 내벽을 연결하도록 배열되는 다수 개의 제2 회전날개(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회전날개(220)는 제2 배출구(124)의 끝단과 제1 케이싱(110)의 내벽 사이에 배치되어 반응조(1) 내의 물을 제1 유입구(112)로 유입시킨 후 제1 배출구(114)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 회전날개(240)는 제2 케이싱(120) 내부(더 명확하게는 제2 배출구(124) 내부)에 배치되어 제2 유입구(122)로 유입된 공기를 제1 케이싱(110) 내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구동수단(300)은 상기 스크류(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2 케이싱(120)의 상부에 안착되되, 끝단이 상기 제2 케이싱(120)의 상면에 형성된 샤프트관통공(126)을 관통한 후 상기 센터블록(230)의 샤프트체결공(232)에 결합되는 구동축(31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관(400)은, 상단이 상기 반응조(1)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되고 하단이 상기 제2 유입구(122)에 고정결합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제2 케이싱(120) 내부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구동수단(300)이 기동되어 구동축(310)이 회전되면, 상기 구동축(310)에 결합된 스크류(200)는 구동축(310)과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 회전날개(220)는 제1 유입구(112)를 통해 물을 유입하여 제1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시킨다. 상기 스크류(200)가 회전하게 되면 제1 회전날개(220)만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제2 회전날개(240)도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제2 회전날개(240)는 제2 케이싱(120)의 내부에 장착되므로 반응조(1) 외부의 공기를 공기공급관(400) 및 제2 유입구(122)을 통해 흡입한 후, 제2 배출구(124)를 통해 배출시킨다.
이때, 상기 제2 배출구(12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제1 케이싱(110) 내부로 공급되는데, 상기 제1 케이싱(110) 내부의 물은 제1 회전날개(220)에 의해 빠르게 유동하므로, 상기 제2 배출구(124)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작은 기포로 분산되어 제1 배출구(114)를 통해 폭기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를 이용하면, 공기 공급을 위한 별도의 장치 즉, 공기펌프나 공기압축기를 사용하지 아니하고서도 대기 중의 공기를 반응조(1) 내부에 폭기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1 케이싱(110) 내벽과 제2 케이싱(120) 외벽 사이에 제1 유입구(112)가 확보되기 위해서는 제2 케이싱(120)의 외경이 제1 케이싱(110)의 내경보다 작게 제작되어야 하는데, 상기 제1 케이싱(110)과 제2 케이싱(120)이 독립적으로 분리되면 상기 제1 케이싱(110)과 제2 케이싱(120)을 각각 독립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가 추가로 요구된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100)은, 제1 케이싱(110)과 제2 케이싱(120) 사이에 제1 유입구(112)가 확보되면서 상기 제1 케이싱(110)과 제2 케이싱(120)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케이싱(110)의 내벽 상부와 상기 제2 케이싱(120)의 외벽 하부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연결프레임(130)을 추가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다수 개의 연결프레임(130)은 제2 케이싱(120)의 수직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되되, 상호 등간격으로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유입구(122)와 공기공급관(400) 하단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면, 반응조(1) 내의 물이 제2 유입구(122)를 통해 제2 케이싱(1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바, 상기 공기공급관(400)의 하단은 상기 제2 유입구(122)를 밀봉하도록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싱(110) 내부의 물과 기포가 제1 회전날개(220)에 의해 제1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될 때 사방으로 고르게 분산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케이싱(110)의 바닥면 중심부에는 상향으로 뾰족하게 돌출되는 상향돌출부(116)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향돌출부(116)는 원뿔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제2 케이싱(120)의 수직 중심축 상에 배열되는바, 상기 스크류(200)에 의해 하강하는 물과 기포는 상기 상향돌출부(116)에 의해 방사형을 이루도록 수평으로 분산된 후 제1 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기포가 사방으로 고르게 분산 배출되면, 반응조(1) 내의 용존산소량을 보다 고르고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의 사용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케이싱(100) 내에 위치된 스크류(200)에 구동수단(300)의 구동축(310)을 결합시킨 후 상기 구동수단(300)을 작동시키면, 상기 스크류(200)는 구동축(310)과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회전날개(220)와 제2 회전날개(240) 역시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제1 회전날개(220)와 제2 회전날개(240)는 상측에 위치하는 유체를 하향으로 유동시키도록 비스듬히 경사지게 배열되는바, 제1 회전날개(220)가 회전함에 따라 반응조(1) 내의 물은 제1 유입구(112)를 통해 제1 케이싱(110) 내부로 흡입된 후 제1 배출구(114)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배출된다. (도 7에서는 물의 유동 방향을 실선으로 표시한다.)
또한, 제2 회전날개(240)가 회전함에 따라 제2 케이싱(120)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면, 반응조(1) 외부의 공기는 공기공급관(400)을 통해 흡입되어 제2 유입구(122)를 통해 제2 케이싱(120) 내부로 유입된 후 제2 배출구(124)를 통해 제1 케이싱(110) 내부로 공급된다. (도 7에서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점선으로 표시한다.)
이때, 상기 스크류(200)가 회전하는 아니하는 동안에는 제1 케이싱(110) 내부뿐만 아니라 제2 케이싱(120) 내부에도 물이 채워지지만, 제1 회전날개(220)의 회전이 시작되면 제2 케이싱(120) 내부의 물이 제1 회전날개(220)에 의해 모두 하향으로 배출되어 제2 케이싱(120)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는바, 대기 중의 공기가 공기공급관(400)을 통해 제2 케이싱(120) 내부로 흡입된다. 제1 케이싱(11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제2 회전날개(240)에 의해 와류 상태로 빠르게 공급되므로, 제1 회전날개(220)에 의해 유동하는 물과 만나는 과정에서 작은 기포로 분할된 후 제1 배출구(114)를 통해 케이싱(100)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샤프트관통공(126)을 통해 물이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관통공(126)과 상기 구동축(310) 사이를 밀폐시키는 별도의 실링부재(3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320)는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하게 상용화되어 있는바, 상기 실링부재(320)의 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는, 구동수단(300)에 의해 스크류(200)가 회전될 때 반응조(1)의 물이 제1 회전날개(220)에 의해 유동할 뿐만 아니라 대기 중의 공기가 제2 회전날개(240)에 의해 흡입되어 반응조(1) 내부로 방출되므로, 공기펌프나 공기압축기 등과 같이 압축공기 공급을 위한 별도의 장치 없이도 폭기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를 이용하면, 공기펌프나 공기압축기 가동을 위한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지 아니하는바, 폭기에 소요되는 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는, 하나의 구동수단(300)과 하나의 스크류(200)만이 요구되므로 내부 구조가 단순해지고,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에 포함되는 스크류(2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는 하나의 스크류(200)에 두 개의 회전날개 즉, 물 유동을 위한 제1 회전날개(220)와 공기 유동을 위한 제2 회전날개(240)가 각각 구비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는데, 물 유동을 위한 제1 회전날개(220)가 공기 유동을 위한 제2 회전날개(240)보다 높게 위치되면, 제1 회전날개(220)에 의해 유동하는 고압의 물이 제2 회전날개(240) 측을 통해 제2 케이싱(120)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회전날개(240)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중심관(210) 중 상기 제1 회전날개(220)가 결합된 지점보다 높은 지점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회전날개(220)에 의해 유동하는 물이 제2 케이싱(120)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2 회전날개(240)가 물을 유동시키는 제1 회전날개(220)보다 크게 제작될 수도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2 회전날개(240)의 상단은 상기 제1 회전날개(220)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제2 회전날개(240)의 하단은 상기 제1 회전날개(220)의 하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회전날개(220)보다 제2 회전날개(240)의 높이가 크게 제작되면, 제2 회전날개(240)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제1 회전날개(220)에 의해 배출되는 물의 압력보다 커지게 되는바, 제1 회전날개(220)에 의해 배출되는 물이 제2 케이싱(120)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2 회전날개(240)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 압력이 제1 회전날개(220)에 의해 배출되는 물의 압력보다 커질 수 있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날개(220)의 높이와 제2 회전날개(240)의 높이가 동일하게 제작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스크류(200)는, 제2 회전날개(240)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압이 제1 회전날개(220)에 의해 발생되는 수압보다 크게 확보될 수 있다면, 상기 제1 회전날개(220)의 제2 회전날개(240)의 형상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 반응조 100 : 케이싱
110 : 제1 케이싱 112 : 제1 유입구
114 : 제1 배출구 116 : 상향돌출부
120 : 제2 케이싱 122 : 제2 유입구
124 : 제2 배출구 126 : 샤프트관통공
130 : 연결프레임 200 : 스크류
210 : 중심관 220 : 제1 회전날개
230 : 센터블록 232 : 샤프트체결공
240 : 제2 회전날개 300 : 구동수단
310 : 구동축 320 : 실링부재
400 : 공기공급관

Claims (7)

  1. 반응조 내의 물에 공기를 폭기시키기 위한 수중 폭기장치에 있어서,
    개구부 형상의 제1 유입구가 상측에 형성되고 제1 배출구가 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1 케이싱과, 제2 유입구가 측면 상부에 형성되고 개구부 형상의 제2 배출구가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배출구가 상기 제1 유입구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배열되며 외경이 상기 제1 케이싱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제2 케이싱을 구비하는 케이싱;
    수직으로 세워진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이 상기 제2 배출구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중심관과, 끝단이 상기 제1 케이싱의 내벽을 향하도록 상기 중심관의 외벽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제1 회전날개와, 상기 중심관의 중심부에 배열되는 센터블록과, 상기 센터블록의 외벽과 상기 중심관의 내벽을 연결하도록 배열되는 다수 개의 제2 회전날개를 구비하는 스크류;
    상기 제2 케이싱의 상부에 안착되되, 끝단이 상기 제2 케이싱의 상면에 형성된 샤프트관통공을 관통한 후 상기 센터블록의 샤프트체결공에 결합되는 구동축을 구비하는 구동수단;
    상단이 상기 반응조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되고 하단이 상기 제2 유입구에 고정결합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제2 케이싱 내부로 안내하는 공기공급관;
    상기 제1 케이싱의 내벽 상부와 상기 제2 케이싱의 외벽 하부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연결프레임;
    상기 샤프트관통공과 상기 구동축 사이를 밀폐시키는 실링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회전날개는 상기 중심관 중 상기 제1 회전날개가 결합된 지점보다 높은 지점에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는, 제2 회전날개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이 제1 회전날개에 의해 배출되는 물의 압력보다 크게 설정되며,
    상기 제1 케이싱의 바닥면 중심부에는 상향으로 뾰족하게 돌출되는 상향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관의 하단은 상기 제2 유입구를 밀봉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17784A 2018-02-13 2018-02-13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 KR101898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784A KR101898605B1 (ko) 2018-02-13 2018-02-13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784A KR101898605B1 (ko) 2018-02-13 2018-02-13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605B1 true KR101898605B1 (ko) 2018-09-14

Family

ID=63599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784A KR101898605B1 (ko) 2018-02-13 2018-02-13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6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865A (ko) 2018-12-27 2020-07-07 이에스피 주식회사 이중축 구조의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
KR20210064753A (ko) 2019-11-26 2021-06-03 (주)우천환경이엔지 자흡식 싸이클론 폭기장치
CN113859487A (zh) * 2021-09-30 2021-12-31 武汉船用电力推进装置研究所(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二研究所) 一种全海深自适应管道及深海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0514A (ko) * 1999-11-12 2001-06-15 사이카와 시코오 폭기장치
KR20010090953A (ko) * 2000-04-08 2001-10-22 이정표 자흡식 이중 임펠라형 수중폭기장치
JP2004188259A (ja) * 2002-12-09 2004-07-08 Tsurumi Mfg Co Ltd 水中曝気装置
KR101353852B1 (ko) 2013-09-02 2014-01-22 고일영 하수처리장용 수중 폭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0514A (ko) * 1999-11-12 2001-06-15 사이카와 시코오 폭기장치
KR20010090953A (ko) * 2000-04-08 2001-10-22 이정표 자흡식 이중 임펠라형 수중폭기장치
JP2004188259A (ja) * 2002-12-09 2004-07-08 Tsurumi Mfg Co Ltd 水中曝気装置
KR101353852B1 (ko) 2013-09-02 2014-01-22 고일영 하수처리장용 수중 폭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865A (ko) 2018-12-27 2020-07-07 이에스피 주식회사 이중축 구조의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
KR102132973B1 (ko) 2018-12-27 2020-07-21 이에스피 주식회사 이중축 구조의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
KR20210064753A (ko) 2019-11-26 2021-06-03 (주)우천환경이엔지 자흡식 싸이클론 폭기장치
CN113859487A (zh) * 2021-09-30 2021-12-31 武汉船用电力推进装置研究所(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二研究所) 一种全海深自适应管道及深海设备
CN113859487B (zh) * 2021-09-30 2024-05-03 武汉船用电力推进装置研究所(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二研究所) 一种全海深自适应管道及深海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1658B2 (en) Submersible hollow shaft motor and submersible floating aerator comprising the same
KR101898605B1 (ko)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
KR101378181B1 (ko) 분산기
US396944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erating liquids
US4917577A (en) High speed centrifugal oxygenator
KR101367695B1 (ko) 다단펌프를 이용한 마이크로 버블 발생장치
KR102093837B1 (ko) 나노버블 발생 및 기체혼합 장치
JP2008119567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H0470076B2 (ko)
JP4377087B2 (ja) 気液混合溶解装置
KR101306145B1 (ko) 폭기형 수중믹서
KR101254873B1 (ko) 폭기장치
KR20030071706A (ko) 다단계 혼합분산 기능이 구비된 수중포기장치
KR101802769B1 (ko) 미세 기포 생성용 순환펌프
KR102132973B1 (ko) 이중축 구조의 자흡식 수중 폭기장치
US20110156290A1 (en) Medium Orbital Flow Oxygenator
JP2018020305A (ja) 気体分離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気体溶解装置
WO2017124128A1 (en) Jet aeration and mixing nozzle
CA2919280A1 (en) Rotary gas bubble ejector
KR100795592B1 (ko) 하수처리장에서의 자원절감형 처리수 이송펌프시스템
JP4104965B2 (ja) 水中曝気装置
KR20180113477A (ko) 순환구조를 가지는 유체혼합 토출장치
JPS5916597A (ja) 曝気装置
KR200309221Y1 (ko) 원심다단펌프가 설치된 산기장치
US20080226467A1 (en) Impeller with anti-vapor lock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