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863B1 -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방법 및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방법 및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863B1
KR101220863B1 KR1020050125501A KR20050125501A KR101220863B1 KR 101220863 B1 KR101220863 B1 KR 101220863B1 KR 1020050125501 A KR1020050125501 A KR 1020050125501A KR 20050125501 A KR20050125501 A KR 20050125501A KR 101220863 B1 KR101220863 B1 KR 101220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unch
workpiece
core
circumferenti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4835A (ko
Inventor
에이조 우에노
Original Assignee
에이조 우에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조 우에노 filed Critical 에이조 우에노
Publication of KR20060074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4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8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tubes or other hollow bod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10T83/0481Pun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10T83/0524Plural cutting ste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10T83/0596Cutting wall of hollow 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384By tool inside hollow 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384By tool inside hollow work
    • Y10T83/395One tool having only rectilinear motion[s]
    • Y10T83/398Internal tool is an active cut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92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83/9411Cutting couple type
    • Y10T83/9423Punching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 모양부의 내주면에 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생산성이 높고 가공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방법 및 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워크10을 다이20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외팔보로 지지된 막대 모양의 심금32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펀치30을, 관통구멍70을 뚫어야 할 부분의 내벽면과 대면하는 상태에서 통 모양부12의 내측에 삽입하고, 심금32를 통하여 펀치30을 다이20과의 사이에서 펀칭가공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가압 이동시킴과 동시에 워크10에 있어서 관통구멍70을 뚫어야 할 원주벽 부분과는 반대측의 부분에 형성된 작업용 관통구멍72를 통하여, 심금에 있어서 펀치30이 돌출하도록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33에 접촉하도록 워크10 내에 삽입된 가압핀35를 심금32 및 펀치30과 함께 가압 이동시킴으로써 펀치30을 통 모양부12의 내측으로부터 원주벽15에 박아 넣어 관통구멍70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방법 및 형성장치{METHOD OF FORMING THROUGH-HOLE AND THROUGH-HOLE FORMING MACHINE}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구멍형성장치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는 워크의 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제2구멍형성장치 유닛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는 워크를 세트한 상태의 구멍형성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5는 관통구멍을 형성하기 시작하는 상태의 구멍형성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6은 관통구멍의 형성이 완료된 상태의 구멍형성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7은 펀치를 워크로부터 뽑을 때의 구멍형성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8은 관통구멍을 뚫기 시작하는 상태의 펀치 부근의 상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9는 관통구멍의 형성이 완료된 상태의 펀치 부근의 상세를 나타내 는 정면도이다.
도10은 부압흡인장치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구멍형성장치 유닛의 하나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2는 작업용 관통구멍을 형성 중인 상태의 구멍형성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13은 작업용 관통구멍의 형성이 완료된 상태의 구멍형성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14는 제1작업용 관통구멍이 형성된 워크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15는 제2작업용 관통구멍이 형성된 워크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16은 제1 관통구멍이 형성된 워크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17은 제2 관통구멍이 형성된 워크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18은 제3관통구멍이 형성된 워크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19는 제4관통구멍이 형성된 워크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20은 종래의 구멍형성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워크 12 통 모양부
15 원주벽 20 다이
24 배출구멍 30 펀치
30a 베벨링부 32 심금
35 가압핀 37 펀치
40 승강 블록 42 지지 구멍
50 가압수단 60 흡인수단
62 압축공기원 70 관통구멍
72 작업용 관통구멍 80 펀칭 찌꺼기
82 펀칭 찌꺼기 100 제1구멍형성장치 유닛
200 제2구멍형성장치 유닛
본 발명은, 적어도 일부에 통 모양부를 구비하는 워크(work)에 있어서 그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프레스 펀칭가공에 의하여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방법, 그 형성장치 및 그 형 성방법 또는 형성장치에 의하여 관통구멍이 개구(開口)된 워크에 관한 것이다.
워크에 관통구멍을 뚫기 위하여는, 드릴에 의한 절삭가공(切削加工), 프레스의 펀칭가공, 방전가공(放電加工) 등이 있다. 워크가 파이프 등 적어도 일부에 통 모양부를 구비하는 경우로서, 그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관통구멍을 뚫기 위하여도 상기 가공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드릴이나 프레스에 의한 구멍가공에서는, 구멍 테두리에 버가 발생하므로 버의 제거에 시간이 걸린다. 특히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관통구멍을 개구(開口)할 때에 드릴에 의한 경우나 통 모양부의 외측으로부터 펀치로 프레스 펀칭가공을 하였을 경우에는, 통 모양부의 내주면에 버가 발생해 버린다. 워크에 따라서는 통 모양부의 내측에 버를 전혀 허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워크가 작은 부품인 경우에, 이렇게 통 모양부의 내측에 발생한 버를 제거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종래부터 워크가 통 모양부를 구비하는 작은 부품이고 원주벽이 비교적 두꺼운 경우로서, 그 원주벽에 작은 관통구멍을 개구하기 위하여는 방전가공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방전가공은 가공 시간이 오래 걸리고, 생산성이 나쁘기 때문에 가공비용을 줄일 수 없다.
또한 작은 부품에서도 비교적 큰 관통구멍을 개구하는 경우에는, 통 모양부의 외측으로부터 펀치를 박아 넣어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나중에 내측의 버를 수작업으로 제거하고 있다. 이것도 생산성이 나쁘므로 가공비용 을 줄일 수 없다.
그런데 판재(板材)에 관하여는 도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판재(107b)에 프레스의 펀칭가공에 의하여 버를 생기게 하는 않고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1 참조).
이것은 프레스 또는 절삭에 의한 1차가공에 의하여 판재(워크)(107b)의 적어도 이면에, 뚫어야 할 관통구멍170a의 지름에 대응하는 원주홈174a를 형성하고(도20(a)), 도20(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레스에 의한 2차가공에 의하여 판재(107b)에 있어서 원주홈의 반대측면에서 원주홈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펀치(151a)를 박아 넣어 관통구멍(170a)을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178a는 스크랩(scrap; 펀칭 찌꺼기)이다.
그러나 이 판재에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이15lb에 대하여 펀치151a를 단순하게 위에서 똑바로 가압하는 것으로서, 작은 부품의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관통구멍을 뚫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다.
거기에서 워크 내측에 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통 모양부의 내측으로부터 프레스 금형(펀치)으로 뚫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통 모양부의 내측에 삽입할 수 있는 작은 형틀이 필요하게 되고, 그 형틀의 수명이 충분하여 생산성이 높은 형성방법 및 그 장치는 전혀 존재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워크의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부분의 양방에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바람직한 형성방법 및 그 장치는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
특허문헌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5-42330호 공보([0005], [0006], [0009], [0019] 등)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방법 및 형성장치에 관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버가 없는 관통구멍을 뚫기 위하여 종래의 방법 및 장치는 생산성이 낮다는 것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통 모양부의 내주면에 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생산성이 높고 가공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방법 및 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구성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방법의 하나의 예에 의하면, 적어도 일부에 통 모양부를 구비하는 워크(work)에 있어서 그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프레스 펀칭가공에 의하여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워크를, 상기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있어서 관통구멍이 뚫려야 할 부분의 외벽면에 접촉하는 다이(die)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외팔보로 지지된 막대 모양의 심금(芯金)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펀치를, 관통구멍이 뚫려야 할 부분의 내벽면과 대면하는 상태에서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에 삽입하고, 상기 심금을 통하여 펀치를 다이와의 사이에서 펀칭가공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가압 이동시킴과 동시에, 워크에 있어서 관통구멍을 뚫어야 할 원주벽 부분과는 반대측의 부분에 형성된 작업용 관통구멍을 통하여, 심금에 있어서 펀치가 돌출하도록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 접촉하도록 워크 내에 삽입된 가압핀을 상기 심금 및 펀치와 함께 가압 이동시킴으로써 펀치를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원주벽에 박아 넣어 관통구멍을 형성하도록, 상기 심금을 외팔보로 지지하고 프레스 펀칭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홀더와, 상기 가압핀을, 압력반(壓力盤)에 의하여 동시에 가압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방법의 하나의 예에 의하면, 적어도 일부에 통 모양부를 구비하는 워크에 있어서 그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부분의 양방에 프레스 펀칭가공에 의하여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워크에 있어서 최초로 관통구멍을 뚫어야 할 원주벽 부분과는 반대측의 부분에, 나중에 뚫어야 할 관통구멍보다 작은 구멍인 작업용 관통구멍을, 통 모양부의 외측으로부터 펀치를 박아 넣어 먼저 미리 형성하고, 상기 워크를 상기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있어서 최초로 관통구멍이 뚫려야 할 부분의 외벽면에 접촉하는 다이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외팔보로 지지된 막대 모양의 심금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펀치를, 최초로 관통구멍이 뚫려야 할 부분의 내벽면과 대면하는 상태에서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에 삽입하고, 상기 심금을 통하여 펀치를 다이와의 사이에서 펀칭가공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가압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작업용 관통구멍을 통하여, 심금에 있어서 펀치가 돌출하도록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 접촉하도록 워크 내에 삽입된 가압핀을 상기 심금 및 펀치와 함께 가압 이동시킴으로써 펀치를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원주벽에 박아 넣어 관통구멍을 형성하도록, 상기 심금을 외팔보로 지지하고 프레스 펀칭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홀더와, 상기 가압핀을, 압력반에 의하여 동시에 가압 이동시키고, 상기 워크를 상기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있어서 나중에 관통구멍이 뚫려야 할 상기 작업용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부분의 외벽면에 접촉하는 다이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외팔보로 지지된 막대 모양의 심금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펀치를, 나중에 관통구멍이 뚫려야 할 상기 작업용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벽면과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에 삽입하고, 상기 심금을 통하여 펀치를 다이와의 사이에서 펀칭가공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가압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전 공정에서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심금에 있어서 펀치가 돌출하도록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 접촉하도록 워크 내에 삽입된 가압핀을 상기 심금 및 펀치와 함께 가압 이동시킴으로써 펀치를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원주벽에 박아 넣어 상기 작업용 관통구멍을 내포(內包)하는 관통구멍을 형성하도록, 상기 심금을 외팔보로 지지하고 프레스 펀칭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홀더와, 상기 가압핀을, 압력반에 의하여 동시에 가압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장치의 하나의 예에 의하면, 적어도 일부에 통 모양부를 구비하는 워크에 있어서 그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프레스 펀칭가공에 의하여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상기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있어서 관통구멍이 뚫려야 할 부분의 외벽면에 접촉하는 다이와, 프레스 펀칭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홀더와, 상기 홀더에 외팔보로 지지되고 선단측이 상기 워크의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서 프레스 펀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막대 모양으로 형성된 심금과, 상기 심금의 선단측에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관통구멍이 뚫려야 할 부분의 내벽면과 대면하는 상태에서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에 상기 심금의 선단측과 함께 삽입되는 펀치와, 워크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을 뚫어야 할 원주벽 부분과는 반대측의 부분에 형성된 작업용 관통구멍을 통하여, 심금에 있어서 펀치가 돌출하도록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 접촉하도록 워크 내에 삽입되는 가압핀과, 상기 펀치를 상기 다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가압 이동시켜서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원주벽에 박아 넣어 관통구멍을 형성하도록, 상기 심금을 지지하는 상기 홀더와, 상기 가압핀을, 동시에 가압 이동시키는 압력반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장치의 하나의 예에 의하면, 상기 심금은, 펀치가 돌출하도록 형성된 선단측과는 반대측의 후단측이 그 심금을 지지하는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장치의 하나의 예에 의하면, 상기 펀치의 단면(端面)은, 상기 통 모양부의 내주면의 형상을 따르도록 베벨링(bevelling)이 된 것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장치의 하나의 예에 의하면, 상기 관통구멍이 형성될 때에 그 관통구멍을 개 구하기 위하여 펀칭 찌꺼기를 다이의 펀칭 찌꺼기 배출구멍으로부터 흡인 제거하는 흡인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장치의 한 예에 의하면, 적어도 일부에 통 모양부를 구비하는 워크에 있어서 그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부분의 양방(兩方)에 프레스 펀칭가공에 의하여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상기 워크에 있어서 최초로 관통구멍을 뚫어야 할 원주벽 부분과는 반대측의 부분에, 통 모양부의 외측으로부터 박아 넣어 나중에 뚫어야 할 관통구멍보다 작은 구멍인 작업용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펀치를 구비하는 제1구멍형성장치 유닛과, 상기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있어서 관통구멍이 뚫려야 할 부분의 외벽면에 접촉하는 다이와, 프레스 펀칭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홀더와, 상기 홀더에 외팔보로 지지되고 선단측이 상기 워크의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서 프레스 펀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막대 모양으로 형성된 심금과, 상기 심금의 선단측에 돌출하도록 형성되 관통구멍이 뚫려야 할 부분의 내벽면과 대면하는 상태에서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에 상기 심금의 선단측과 함께 삽입되는 펀치와, 상기 작업용 관통구멍 또는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심금에 있어서 펀치가 돌출하도록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 접촉하도록 워크 내에 삽입되는 가압핀과, 상기 펀치를 상기 다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가압 이동시켜서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원주벽에 박아 넣어 관통구멍을 형성하도록, 상기 심금을 지지하는 상기 홀더와, 상기 가압핀을, 동시에 가압 이동시키는 압력반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워크에 의하면, 적어도 일부에 통 모양부를 구비하는 워크로서,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장치에 의하여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관통구멍이 개구된 것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방법 및 형성장치의 최선의 형태의 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구멍형성장치의 개요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는 발명의 구멍형성장치에 의하여 가공되는 워크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a) 및 저면도(b)이다.
본 실시형태의 구멍형성장치는, 워크의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프레스 펀칭가공에 의하여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10은 워크로서, 적어도 일부에 통 모양부12를 구비하는 한 예이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방(하면 측)이 널리 개구하고 있고, 타방 측이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단부가 폐쇄되어 있다. 또한 도2에 나타내는 워크10은 에어백 장치의 한 부품로서, 절삭가공에 의하여 형성된 금속부품이다. 예를 들면 관통구멍을 뚫어야 할 부분의 통 모양부의 내경이 9mm 정도, 그 원주벽의 두께가 1.5mm정도의 작은 부품이다. 본 실시형태의 구멍형성장치에서는 이 워크10에 장경(長徑) 6mm × 단경(端徑) 5mm 정도의 타원형의 관통구멍70(도18, 19 등을 참조)을, 원주를 4등분 한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2개씩 합계 8개를 형성한다.
20은 다이로서 워크10을 가공하는 일방의 형틀이다. 이 다이20은, 통 모양부12의 원주벽15에 있어서 관통구멍70을 개구하여야 할 부분의 외벽면에 접촉하도여 워크10을 적절하게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원호 모양20a로 형성되어 있고, 모서리가 둔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상되기 어려운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24는 펀칭 찌꺼기 배출구멍으로서, 하방을 향하여 테이퍼 모양으로 직경이 커지는 형상(도4~7)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펀칭 찌꺼기80(도6)이 도중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배출된다.
30은 펀치로서, 외팔보로 지지된 막대 모양의 심금32에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심금32의 축심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펀치30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주벽15의 두께와 같은 길이로서 아래로 똑바로 짧게 돌기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펀치30이 짧은 만큼 심금32를 굵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금형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즉, 펀치30의 후퇴 스트로크가 짧게 되고, 그 만큼 워크10의 내측에 삽입되는 심금32를 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강도를 높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펀치30 자체가 짧아져 손상되기가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공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펀치30과 심금3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심금32의 선단 측에 별도로 형성된 펀치30을 밖아 고정하여 펀치30이 심금32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돌기한 상태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이 펀치30은, 프레스 펀칭가공 시에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관통구멍70을 개구하여야 할 부분의 내벽면과 대면하는 상태에서 통 모양부12의 내측에 삽입된다. 또 워크10을 피더(feeder)로 반송하여 펀치30이 돌출하도록 형성된 심금32의 선단에 삽입하는 경우라도 펀치30이 상대적으로 통 모양부12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심금32는, 펀치30이 돌출하도록 형성된 선단측32a(도3)과는 반대측의 후단측32b(도3)이, 그 심금32를 지지하는 홀더(승강 블록40)의 지지 구멍42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 심금32의 측면에는 회전방지를 위한 평탄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용이하고 편리하게 교환할 수 있다.
이 심금32의 고정상태는 수평방향으로 선단측32a가 돌출한 외팔보로서, 심금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프레스 펀칭가공이 이루어질 때에 심금32의 선단측32a 측을 가압하는 수단(예를 들면 후술하는 가압핀35)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돌출한 부분이 길수록 심금32에는 프레스 할 때의 압력에 의하여 큰 모멘트가 걸려서 파손되기 쉬어진다.
또한 심금32의 강도를 향상시켜서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승강 블록40에 심금32의 후단부32b이 삽입되기 위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40a(도3)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심금32의 형상을 단순한 막대 모양으로 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 심금32의 형상은, 선단측32a가 워크10의 내측에 삽입할 수 있는 것이라면 좋고, 특히 후단부32b의 형상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후단부32b의 형상은 적절하게 세트할 수 있는 것이면 적당하게 선택적으로 설계하면 좋다.
35는 가압핀으로서, 워크에 있어서 관통구멍70을 뚫어야 할 원주벽 부분과는 반대측의 부분에 형성된 작업용 관통구멍72를 통하여, 심금에 있어서 펀치30이 돌출하도록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33에 접촉하도록 워크10 내측에 삽입된다.
이 가압핀35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심금32 및 펀치30과 함께 가압 이동된다. 이에 의하면, 가압핀35가 심금32를 위에서 지지하는 상태가 되고, 결과적으로 펀치30을 가압하여 관통구멍7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심금32를 승강 블록40과 가압핀35의 양방에서 위에서 지지하면서 가압하여 펀치30을 원주벽15에 내측으로부터 박아 넣을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심금32에 외팔보의 모멘트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심금32 및 펀치30이 손상되는 것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금형의 수명을 대폭적으로 길게 할 수 있고, 생산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생산 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P(50)은 가압수단으로서, 심금32를 통하여 펀치30을, 다이20과의 사이 에서 펀칭가공이 이루어지는 방향(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가압 이동(본 실시형태에서는하방으로이동)시킴과 동시에, 가압핀35를 심금32 및 펀치30과 함께 가압 이동시킴으로써 펀치30을 통 모양부12의 내측으로부터 워크의 원주벽15에 박아 넣어 전단(剪斷)과 파단(破斷)을 생기게 하여 관통구멍을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선, 가압핀35를 하강시켜(도4, 5참조) 중도에서 승강 블록40으로 지지된 심금32를 통하여 펀치30을 동시에 하강시키는(도5, 6참조)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펀치30은 원주벽15와 직교하는 하방으로 박혀 넣어진다.
여기에서 가압수단50의 가압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실린더 장치를 이용하면 좋다.
또한 전단에 계속하여 파단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기 위하여는, 다이20과 펀치30의 클리어런스가 적절할 것을 필요로 한다. 이 적정 클리어런스에 대하여는 경험적으로 적절한 값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철의 재료에 원형의 관통구멍을 뚫는 때에는 다이의 내경과 펀치의 외경이 이하의 식의 관계가 되도록 설정하면 좋다.
다이의 내경 = 펀치의 외경 + {피가공 재료의 두께 × (5~10%)} × 2
S(55)는 복귀용 탄성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복귀용 스프링56(도3~7) 및 가압핀35의 복귀수단57(도3)을 이용하면 좋다. 이들의 복귀용 스프링56 및 복귀수단57로서는 코일 스프링을 채용할 수 있다. 복귀용 스프링56은 승 강 블록40과 베이스 반(base盤)43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도3~7). 이 복귀용 탄성수단56에 의하여, 가압하는 공정이 끝난 후에 승강 블록40 및 심금32를 통하여 펀치30을 가압 전의 위치로 상승 ·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복귀수단57에 의하여 가압핀35를 가압 전의 위치로 상승 ·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도8,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펀치30의 칼날이 되는 단면(斷面)은, 워크10의 통 모양부12의 내주면의 형상을 따르도록 베벨링이 되어 있다. (도8은 관통구멍을 뚫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9는 관통구멍70을 완전히 뚫은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 모양부12의 내측의 원주면에 대응하여 펀치30의 좌우의 부분이 베벨링 되어 2개의 베벨링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베벨링부30a가 형성됨으로써 펀치30의 단면이 통 모양부12의 내주면에 분산되어서 접촉할 수 있어 펀치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위의 절단과 같이, 펀치30의 베벨링부30a의 존재에 의하여 전단각(剪斷角; shear angle)이 발생하고, 이것이 프레스 시의 압력을 분산시켜 적절하게 관통구멍70을 뚫을 수 있다.
이에 의해서도 금형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가공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단면에 베벨링부30a를 구비하는 펀치30에 의하면, 펀칭 찌꺼기80이 펀치30의 단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도 생산성 을 향상시킬 수 있다.
V(60)은 흡인수단(도1)으로서, 관통구멍70(도6)이 형성될 때에 그 관통구멍70을 개구하기 위하여 펀칭 찌꺼기80(도6)을 다이20의 펀칭 찌꺼기 배출구멍24로부터 흡인, 제거한다.
이에 의하면, 펀칭 찌꺼기80이 발생할 때에 흡인상태가 되어 펀칭 찌꺼기80이 발생한 순간에 흡인, 제거하기 때문에 관통구멍70에 펀칭 찌꺼기80이 남는 일이 없이 적절하게 개구할 수 있다.
이 흡인수단60으로서는,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압축공기원62로부터의 압축공기를 단면적이 보다 큰 유로64에 해방시킴으로써 벤트리 효과에 의하여 부압(負壓)을 발생시키는 부압흡인장치를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보통 상태에 있어서 부압상태를 유지하여 펀칭 찌꺼기80이 발생했을 때에 적절하게 흡인할 수 있다.
이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방법에 의하면, 통상의 공장 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컴프레서(compressor) 장치를 이용하면 좋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흡인수단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감압(진공)장치를 사용하더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장치로, 적어도 일부에 통 모양부12를 구비하는 워크10에 대하여 그 통 모양부12의 원주벽15에 내측으로부터 관통구멍70을 형성한 것은 전단이나 파단의 상황 등을 검사함으로써 검증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구멍형성장치를 사용하여 워크10에 있어서 통 모양부12의 원주벽15에 관통구멍70을 형성하는 공정에 대하여 도3~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3은, 워크10을 금형에 세트 하기 전의 금형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워크10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형이 사각형인 치구16에 삽입되어서 나사17로 고정되어 있다. 22는 평판부로서, 치구16을 소정의 위치에서 수용하여 워크10의 위치를 결정한다. 44는 승강 가이드로서, 승강 블록4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45는 압력반(壓力盤)으로서, 가압수단50(도1)에 의하여 가압된다. 이 압력반45에 가압핀35가 2개 부착되어 있다. 또한 압력반45에 있어서 승강 블록40을 가압하는 압력부45a에는, 승강 블록용 압력핀4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승강 블록용 압력핀46은, 항상 스프링47에 의하여 돌출하도록 가압되고 있고, 펀치30을 워크10으로부터 뽑을 때에 승강 블록40을 하방으로 누르도록 작용한다.
또한 52는 스트리퍼부(stripper部)로서, 펀치30을 워크10으로부터 뽑을 때에 워크10을 가압하는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이 스트리퍼부52에는, 가압핀3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 구멍53이 2개 형성되고 있다.
도4는, 워크10을 금형에 세트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통 모양부의 원주벽15에 있어서 관통구멍70을 개구하여야 할 부분의 외벽면에 접촉하는 다이20에 워크10을 위치시킴과 아울러 외팔보로 지지된 막대 모양의 심금32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2개의 펀치30을, 관통구멍70을 형성하여야 할 부분의 내벽면과 대면하도록 통 모양부12의 내측에 삽입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시점에서는 압력반45는 상사점(上死點)에 있고, 가압핀35는 스트리퍼부52의 상방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또한 압력부45a도 승강 블록40의 상방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다음에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압력반45를 하강시켜 압력부45a를 승강 블록40의 상면에 접촉시킨다. 이 때에 동시에 가압핀35도 작업용 관통구멍72(도4)를 통하여 워크10 내에 삽입되어서, 심금에 있어서 펀치30이 돌출하도록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33에 접촉된다.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펀치30의 단면에는 베벨링부30a가 형성되고 있어, 그 베벨링부30a에 의하여 형성되는 4개의 각부가 원주벽15의 내벽면에 최초로 접촉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전단각이 발생하여 관통구멍70을 적절하게 뚫을 수 있다.
또한 승강 블록용 압력핀46은, 스프링47의 가압력(탄성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이동하여 지지 구멍48 내에 들어 간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압력반45를 더 하강시켜서 승강 블록40을 가압하여 심금32를 통하여 펀치30을 다이20과의 사이에서 펀칭 가공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가압 이동시킴과 동시에 워크에 있어서 관통구멍70을 뚫어야 할 원주벽 부분과는 반대측의 부분에 형성된 작업용 관통구멍72를 통하여, 심금에 있어서 펀치30이 돌출하도록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33에 접촉하도록 삽입된 가압핀35를 심금32 및 펀치30과 함께 가압 이동시킴으로써 펀치30을 통 모양부12의 내측으로부터 원주벽15에 박아 넣어 관통구멍70을 형성한다.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펀치30이 박아지는데, 이 때에 베벨링부30a가 형성된 펀치30의 단면의 칼날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적합한 전단각이 발생하여 관통구멍70을 적절하게 뚫을 수 있다.
또한 이렇게 관통구멍70이 형성될 때에, 펀칭 찌꺼기80을, 다이20의 펀칭 찌꺼기 배출구멍24로부터 흡인수단60에 의하여 흡인 제거하여 관통구멍70이 적절하게 개구된다. 이에 따라 확실하게 펀칭 찌꺼기80을 배출할 수 있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펀치30을 워크10으로부터 뽑는 때에는, 승강 블록용 압력핀46이 스프링47의 압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돌기하여 승강 블록40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펀치30이 2개 형성된 심금32의 선단측32a가 상승하도록 작용한다. 이 때문에 앞으로 기우는 경향이 있는 펀치30을 워크10의 관통구멍70으로부터 적절하게 뽑을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승강 블록용 압력핀46이, 복귀용 스프링56을 기준으로 하여 승강 블록40의 돌출부40a 측과 반대측의 부분(승강 블록의 뒷부분40b( 도3))을 위에서부터 가압하고 있다. 승강 블록40과 승강 가이드44의 사이에는, 승강 블록40의 승강을 허용하기 위하여 약간의 간극이이 있다. 그 간극에 의하여 펀치30을 워크10으로부터 빼낼 할 때에 심금32의 선단측32a가 하방으로 경사지기 쉽다. 심금32가 긴 만큼 선단측32a이 하방으로 변위하는 거리가 길어진다. 이렇게 발생하는 경사를, 승강 블록용 압력핀46이 승강 블록의 뒷부분40b를 누름으로써 원래의 수평한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승강 블록용 압력핀46의 압력이, 복귀용 스프링56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심금32의 선단측32a를 들어 올리도록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에 의하면, 펀치30이 워크10에 형성된 관통구멍70을 적절하게 스트립 할 수 있다.
이상의 공정에 의하면, 내측으로부터 펀치30을 박아 넣어 관통구멍70을 뚫기 때문에 통 모양부12의 내벽면에는 버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후공정에서 버의 제거작업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펀치30을 가압핀35으로도 누르기 때문에 프레스 압력을 적절하게 부여할 수 있어 비교적 큰 관통구멍도 적절하게 뚫을 수 있다. 그리고 심금32는 승강 블록40과 2개의 가압핀35로 위로부터 지지되기 때문에, 외팔보의 경우에 발생하는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펀치30 및 심금3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금형의 수명을 대폭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켜서 가공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다음에 도11~13에 의거하여 워크10의 원주벽15에 작업용 관통구멍72를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장치는, 워크10에 있어서 최초로 관통구멍70을 뚫어야 할 원주벽 부분과는 반대측의 부분에, 나중에 뚫어야 할 관통구멍70보다 작은 구멍인 작업용 관통구멍72를, 펀치37을 통 모양부의 외측으로부터 박아 넣음으로써 형성하는 제1구멍형성장치 유닛100이다.
이 제1구멍형성장치 유닛100은, 도3~7에서 설명한 제2구멍형성장치 유닛200(도3)과 유사한 것으로서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27은 다이로서, 외팔보로 지지된 막대 모양의 다이용 심금28의 선단부28a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다이27 부분은, 다이용 심금28의 측벽의 상부에 형성된 형태로 되어 있다. 이 다이27은, 프레스 펀칭가공 시에 도12,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작업용 관통구멍72를 개구하여야 할 부분의 내벽면과 대면하는 상태에서 통 모양부12의 내측에 삽입된다. 또 워크10을 피더로 반송하여 다이27이 설치된 다이용 심금28의 선단부28a에 삽입하는 경우라도 다이27이 상대적으로 통 모양부12의 내측에 삽입된다.
다이용 심금28은, 다이27이 설치된 선단측28a와는 반대측의 후단측28b이 그 다이용 심금28을 지지하는 홀더41의 지지 구멍41a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서 나사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 다이용 심금28의 측면에는 회전방지를 위한 평탄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용이하고 또한 편리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이 다이용 심금28의 축심에는, 펀칭 찌꺼기 배출구멍29가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다이27을 형성하는 구멍27a와 통하고 있다. 이 펀칭 찌꺼기 배출구멍29에는, 선단측28a로부터 압축공기가 유입되도록 압축공기원(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접속되는 통로29a가 통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펀칭 찌꺼기82(도13)를 다이용 심금28의 선단측28a로부터 후단측28b로 날려버려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워크10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형이 사각형의 치구16에 나사17로 고정되어 있다. 23은 평판부로서, 치구16을 소정의 위치에서 받아 워크10의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25는 가공부의 평판부로서, 워크10의 가공되는 통 모양부12를 받는 부분으로 되어 있다.
90은 압력반으로서, 가압수단91에 의하여 가압된다. 이 압력반90에 핀 모양의 펀치37(단면이 원형)이 2개 부착되어 있다.
또한 26은 스트리퍼부로서, 펀치37을 워크10으로부터 뽑을 때에 워크10을 가압하는 부분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공부의 평판부25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스트리퍼부26에는, 펀치37이 삽입할 수 있도록 안내 구멍38이 2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1구멍형성장치 유닛100을 사용하여 워크10에 있어서 통 모양부12의 원주벽15에 작업용 관통구멍72를 형성하는 공정에 대하여 도11~1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1은, 워크10을 금형에 세트 하기 전의 금형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시점에서는, 압력반90은 상사점에 있고, 펀치37은 상방으로 떨어져서 위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이 압력반90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이나 복귀수단에 대하여는, 도1, 3~7과 함께 설명한 바와 같은 주지기술을 적당하게 이용하면 좋으므로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다.
도12는, 워크10을 금형에 세트하고 펀치37을 하강시켜서 작업용 관통구멍72를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작업용 관통구멍72의 지름은, 워크10의 내경에 비하여 비교적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관통구멍70과 비교하여도 비교적 작은 구멍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작업용 관통구멍72를 뚫기 위하여 통 모양부12의 내부에 삽입되는 다이27의 구멍27a의 단면(斷面)이 예각(銳角)의 각부(角部)가 되는 것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다이27의 형틀의 수명은 짧아지지 않아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3은, 펀치37을 더 하강시켜서 원주벽15를 관통하여 작업용 관통구멍72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펀칭 찌꺼기82는, 펀칭 찌꺼기 배출구멍29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에 의하여 날려서 배출된다. 이 펀칭 찌꺼기82는, 작업용 관통구멍72가 관통구멍70보다 작은 것이기 때문에 비교적 작은 것이므로 배출구멍29을 막는 일 없이 양호하게 배출되기 쉽다. 이에 의하면 효율적으로 작업용 관통구멍72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작업용 관통구멍72는, 그 부분을 내포하는 관통구멍7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완전하게 소실되기 때문에 버리는 구멍으로서 형성되게 된다.
또, 이 작업용 관통구멍72가 버리는 구멍으로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정밀도가 높은 가공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에는, 본 실시형태와 같은 형성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공지의 형성방법으로 작업용 관통구멍72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1구멍형성장치 유닛100(도11) 및 제2구멍형성장치 유닛200(도3)을 사용하여 워크10의 통 모양부12의 원주벽15에 원주를 4등분 하는 위치에서 축방향으로 2개씩 합계 8개의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제1~6공정에 대하여 도14~1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공정에서는, 제1구멍형성장치 유닛100에 의하여 외측으로부터 펀치37을 박아 넣어 워크10에 제1작업용 관통구멍72a를 2개 형성한다.
다음에 도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공정에서는, 제1구멍형성장치 유닛100에 의하여 제1작업용 관통구멍72a와 원주방향으로 90도 어긋난 위치에 제2작업용 관통구멍72b를 2개 형성한다. 이 때에는 홀더16을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고정하여 펀칭가공 작업을 하면 좋다.
계속하여 도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3공정에서는, 치구16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고정하고, 제2구멍형성장치 유닛200에 의하여 제1작업용 관통구멍72a와 대향하는 원주벽15에 내측으로부터 펀치30을 박아 넣어 워크10에 제1관통구멍70a를 2개 형성한다.
다음에 도1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4공정에서는, 치구16을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제2구멍형성장치 유닛200에 의하여 제2작업용 관통구멍72b와 대향하는 원주벽15에 내측으로부터 펀치30을 박아 넣어 워크10에 제2관통구멍70b를 2개 형성한다.
다음에 도1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5공정에서는, 치구16을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제2구멍형성장치 유닛200에 의하여 제1작업용 관통구멍72a가 형성된 원주벽15에 내측으로부터 펀치30을 박아 넣어 워크10에 제3 관통구멍70c을 2개 형성한다. 이에 따라 버리는 구멍으로서 형성된 제1작업용 관통구멍72a가 제거되면서 제3관통구멍70c가 형성된다.
다음에 도1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6공정에서는, 치구16을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제2구멍형성장치 유닛200에 의하여 제2작업용 관통구멍72b가 설치된 원주벽15에 내측으로부터 펀치30을 박아 넣어 워크10에 제4관통구멍70d를 2개 형성한다. 이에 따라 버리는 구멍으로서 형성된 제2작업용 관통구멍72b가 제거되면서 제4관통구멍70d가 형성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하면, 8개의 관통구멍70(a~d)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타원형의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이나 타원형 등의 다른 형상의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적합한 실시형태를 들어서 다양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변화와 개량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관한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방법 및 형성장치에 의하면, 적어도 통 모양부의 내주면에 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생산성이 높고, 가공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Claims (8)

  1. 적어도 일부에 통 모양부를 구비하는 워크(work)에 있어서 그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프레스 펀칭가공에 의하여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워크를, 상기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있어서 관통구멍이 뚫려야 할 부분의 외벽면에 접촉하는 다이(die)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외팔보로 지지된 막대 모양의 심금(芯金)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펀치를, 관통구멍이 뚫려야 할 부분의 내벽면과 대면하는 상태에서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에 삽입하고,
    상기 심금을 통하여 펀치를 다이와의 사이에서 펀칭가공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가압 이동시킴과 동시에, 워크에 있어서 관통구멍을 뚫어야 할 원주벽 부분과는 반대측의 부분에 형성된 작업용 관통구멍을 통하여, 심금에 있어서 펀치가 돌출하도록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 접촉하도록 워크 내에 삽입된 가압핀을 상기 심금 및 펀치와 함께 가압 이동시킴으로써 펀치를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원주벽에 박아 넣어 관통구멍을 형성하도록, 상기 심금을 외팔보로 지지하고 프레스 펀칭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홀더와, 상기 가압핀을, 압력반(壓力盤)에 의하여 동시에 가압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방법.
  2. 적어도 일부에 통 모양부를 구비하는 워크에 있어서 그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부분의 양방에 프레스 펀칭가공에 의하여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워크에 있어서 최초로 관통구멍을 뚫어야 할 원주벽 부분과는 반대측의 부분에, 나중에 뚫어야 할 관통구멍보다 작은 구멍인 작업용 관통구멍을, 통 모양부의 외측으로부터 펀치를 박아 넣어 먼저 미리 형성하고,
    상기 워크를 상기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있어서 최초로 관통구멍이 뚫려야 할 부분의 외벽면에 접촉하는 다이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외팔보로 지지된 막대 모양의 심금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펀치를, 최초로 관통구멍이 뚫려야 할 부분의 내벽면과 대면하는 상태에서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에 삽입하고,
    상기 심금을 통하여 펀치를 다이와의 사이에서 펀칭가공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가압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작업용 관통구멍을 통하여, 심금에 있어서 펀치가 돌출하도록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 접촉하도록 워크 내에 삽입된 가압핀을 상기 심금 및 펀치와 함께 가압 이동시킴으로써 펀치를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원주벽에 박아 넣어 관통구멍을 형성하도록, 상기 심금을 외팔보로 지지하고 프레스 펀칭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홀더와, 상기 가압핀을, 압력반에 의하여 동시에 가압 이동시키고,
    상기 워크를 상기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있어서 나중에 관통구멍이 뚫려야 할 상기 작업용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부분의 외벽면에 접촉하는 다이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외팔보로 지지된 막대 모양의 심금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펀치를, 나중에 관통구멍이 뚫려야 할 상기 작업용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부분의 내벽면과 대면한 상태에서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에 삽입하고,
    상기 심금을 통하여 펀치를 다이와의 사이에서 펀칭가공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가압 이동시킴과 동시에, 이전 공정에서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심금에 있어서 펀치가 돌출하도록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 접촉하도록 워크 내에 삽입된 가압핀을 상기 심금 및 펀치와 함께 가압 이동시킴으로써 펀치를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원주벽에 박아 넣어 상기 작업용 관통구멍을 내포(內包)하는 관통구멍을 형성하도록, 상기 심금을 외팔보로 지지하고 프레스 펀칭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홀더와, 상기 가압핀을, 압력반에 의하여 동시에 가압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방법.
  3. 적어도 일부에 통 모양부를 구비하는 워크에 있어서 그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프레스 펀칭가공에 의하여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상기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있어서 관통구멍이 뚫려야 할 부분의 외벽면에 접촉하는 다이와,
    프레스 펀칭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홀더와,
    상기 홀더에 외팔보로 지지되고, 선단측이 상기 워크의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서 프레스 펀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막대 모양으로 형성된 심금과,
    상기 심금의 선단측에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관통구멍이 뚫려야 할 부분의 내벽면과 대면하는 상태에서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에 상기 심금의 선단측과 함께 삽입되는 펀치와,
    워크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을 뚫어야 할 원주벽 부분과는 반대측의 부분에 형성된 작업용 관통구멍을 통하여, 심금에 있어서 펀치가 돌출하도록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 접촉하도록 워크 내에 삽입되는 가압핀과,
    상기 펀치를 상기 다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가압 이동시켜서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원주벽에 박아 넣어 관통구멍을 형성하도록, 상기 심금을 지지하는 상기 홀더와, 상기 가압핀을, 동시에 가압 이동시키는 압력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심금은, 펀치가 돌출하도록 형성된 선단측과는 반대측의 후단측이 그 심금을 지지하는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의 단면(端面)은, 상기 통 모양부의 내주면의 형상을 따르도록 베벨링(bevelling)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이 형성될 때에 그 관통구멍을 개구하기 위하여 펀칭 찌꺼기를 다이의 펀칭 찌꺼기 배출구멍으로부터 흡인 제거하는 흡인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장치.
  7. 적어도 일부에 통 모양부를 구비하는 워크에 있어서 그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부분의 양방(兩方)에 프레스 펀칭가공에 의하여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상기 워크에 있어서 최초로 관통구멍을 뚫어야 할 원주벽 부분과는 반대측의 부분에, 통 모양부의 외측으로부터 박아 넣어 나중에 뚫어야 할 관통구멍보다 작은 구멍인 작업용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펀치를 구비하는 제1구멍형성장치 유닛과,
    상기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있어서 관통구멍이 뚫려야 할 부분의 외벽면에 접촉하는 다이와,
    프레스 펀칭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홀더와, 상기 홀더에 외팔보로 지지되고 선단측이 상기 워크의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서 프레스 펀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막대 모양으로 형성된 심금과, 상기 심금의 선단측에 돌출하도록 형성되 관통구멍이 뚫려야 할 부분의 내벽면과 대면하는 상태에서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에 상기 심금의 선단측과 함께 삽입되는 펀치와, 상기 작업용 관통구멍 또는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심금에 있어서 펀치가 돌출하도록 형성된 면과 반대측의 면에 접촉하도록 워크 내에 삽입되는 가압핀과,
    상기 펀치를 상기 다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가압 이동시켜서 상기 통 모양부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원주벽에 박아 넣어 관통구멍을 형성하도록, 상기 심금을 지지하는 상기 홀더와, 상기 가압핀을, 동시에 가압 이동시키는 압력반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장치.
  8. 적어도 일부에 통 모양부를 구비하는 워크로서,
    제3항, 제4항, 또는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장치에 의하여 통 모양부의 원주벽에 관통구멍이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KR1020050125501A 2004-12-27 2005-12-19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방법 및형성장치 KR101220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75191 2004-12-27
JPJP-P-2004-00375191 2004-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835A KR20060074835A (ko) 2006-07-03
KR101220863B1 true KR101220863B1 (ko) 2013-01-10

Family

ID=3614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501A KR101220863B1 (ko) 2004-12-27 2005-12-19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방법 및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62609B2 (ko)
EP (1) EP1674169B1 (ko)
KR (1) KR1012208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08520B (zh) * 2009-10-22 2011-10-26 王晓军 管材冲孔装置
DE102011013209A1 (de) * 2011-03-05 2012-09-06 Modine Manufacturing Co. Herstellungsverfahren für Schlitze und Schlitzwerkzeug
US9254526B2 (en) * 2011-12-09 2016-02-09 Textron Innovations Inc. Punch profile for a punch, and the assembly in which the punch is used
US9308664B2 (en) 2012-07-12 2016-04-12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pertures in tubes
CN102873187B (zh) * 2012-08-21 2015-09-23 无锡美业机械制造有限公司 悬臂单冲模具
CN103042108B (zh) * 2012-12-06 2016-01-27 山中合金(宁波)有限公司 一模两件冲孔模具
CN103752684B (zh) * 2014-01-02 2015-08-05 河南科技大学 一种带有防烫伤报警器的钻杆用塑形机床
CN205945295U (zh) * 2014-02-20 2017-02-08 三菱电机株式会社 转子、具备该转子的永磁体式电动机、具备永磁体式电动机的流体机械
CN104624783B (zh) * 2014-12-31 2017-10-13 广西阳仕机电科技有限公司 管材冲孔模具
CN105436296B (zh) * 2015-12-30 2017-11-03 中车眉山车辆有限公司 一种铁路货车扁孔圆销在曲柄压力机上冲孔的工装
CN105619479B (zh) * 2016-03-23 2018-01-09 中山市美捷时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用于引液管加工的切管装置
CN106734539B (zh) * 2016-12-25 2018-04-20 重庆鼎汉机械有限公司 用于管材冲孔的装置
CN107900200B (zh) * 2017-12-18 2019-01-29 重庆黎帆装饰工程有限公司 护栏打孔设备
CN107931415A (zh) * 2017-12-29 2018-04-20 南阳淅减汽车减振器有限公司 一种电磁阀减振器油缸电磁阀孔的加工模具
CN109127870A (zh) * 2018-11-02 2019-01-04 奇瑞新能源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型材冲孔模具及其操作方法
CN113038707B (zh) * 2019-12-24 2022-10-28 无锡深南电路有限公司 钻针转移组件
CN111958256B (zh) * 2020-08-22 2022-03-22 山东省华东重工有限公司 一种钢结构桥梁管件智能切割设备
CN113996699B (zh) * 2021-11-08 2023-04-18 唐春芳 一种医疗用金属管安装孔制孔设备
CN117066335B (zh) * 2023-10-17 2023-12-15 广州广冷华旭制冷空调实业有限公司 金属管压扁成型模具及其压扁成型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6363A (ja) * 1993-03-02 1994-09-06 Fuji Univance:Kk 中空シャフトの凹部成形方法
JP2003039119A (ja) * 2001-07-24 2003-02-12 Sango Co Ltd バーリング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3220426A (ja) * 2002-01-29 2003-08-05 Aisin Keikinzoku Co Ltd 中空材の穴明方法及び中空材の穴明装置
KR100922178B1 (ko) * 2009-05-29 2009-10-19 주식회사 디오이앤피 원통형 파이프용 천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330A (ja) 1991-08-12 1993-02-23 Amada Co Ltd 打抜き加工方法
GB9223686D0 (en) 1992-11-12 1992-12-23 Wheatley Douglas J Forming openings in pipes
DE4320043A1 (de) 1993-06-17 1994-12-22 Amazonen Werke Dreyer H Rohrstanzwerkzeug
DE4322063C2 (de) * 1993-07-02 1999-07-15 Schaefer Hydroforming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schneiden eines Ausschnittes aus einer Wandung eines nach dem Innenhochdruck-Umformverfahren hergestellten Hohlkörpers
DE19513519A1 (de) 1995-04-10 1996-05-02 Daimler Benz Ag Verfahren zum Anbringen von Öffnungen an geschlossenen Profilen und ein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selben
US5666840A (en) * 1996-06-13 1997-09-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for piercing two aligned holes in a hydroformed tube
FR2757788B1 (fr) * 1996-12-31 1999-03-12 Vallourec Vitry Procede pour l'emmanchement en croix d'une piece cylindrique dans une piece tubulaire, outillage propre a sa mise en oeuvre, et ensemble de deux pieces correspondant
US6032559A (en) * 1997-10-09 2000-03-07 Dean, Jr.; William R. Fill riser cold punc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6363A (ja) * 1993-03-02 1994-09-06 Fuji Univance:Kk 中空シャフトの凹部成形方法
JP2003039119A (ja) * 2001-07-24 2003-02-12 Sango Co Ltd バーリング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3220426A (ja) * 2002-01-29 2003-08-05 Aisin Keikinzoku Co Ltd 中空材の穴明方法及び中空材の穴明装置
KR100922178B1 (ko) * 2009-05-29 2009-10-19 주식회사 디오이앤피 원통형 파이프용 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74169A1 (en) 2006-06-28
EP1674169B1 (en) 2011-08-17
US20060137499A1 (en) 2006-06-29
KR20060074835A (ko) 2006-07-03
US7562609B2 (en) 2009-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863B1 (ko)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방법 및형성장치
JP4990756B2 (ja) ワーク周壁における貫通孔の穿設装置
KR101213038B1 (ko) 워크 원주벽에 있어서의 관통구멍의 형성방법 및형성장치
CN1264654C (zh) 自动定心修边冲头
TWI755550B (zh) 管材的穿孔加工裝置
JP2006239776A (ja) ワーク周壁における貫通孔の穿設方法及び穿設装置
JP2018130760A (ja) 角パイプの穴開加工装置。
JP5137138B2 (ja) ワーク周壁における貫通孔の穿設方法及び穿設装置
JP4871254B2 (ja) ワーク周壁における貫通孔の穿設方法及び穿設装置
KR20000034882A (ko) 프레스장치
JP2004167513A (ja) パイプ穴明装置及び穴明パイプの製造方法
JP4908839B2 (ja) ワーク周壁における貫通孔の穿設方法及び穿設装置
TW201821174A (zh) 管件加工用模具裝置及管件加工用穿孔加工裝置
KR101841162B1 (ko) 연성 회로기판용 부자재의 성형 금형 장치
JP4866082B2 (ja) ワーク周壁における貫通孔の穿設方法及び穿設装置
JP2002153920A (ja) 薄板金属のプレス穴あけ方法及びプレス金型
JP2008100282A (ja) ワーク周壁における貫通孔の穿設方法及び穿設装置
WO2007145155A1 (ja) 貫通孔の穿設方法及び穿設装置
CN216575112U (zh) 一种用于建筑模板冲孔的装置
JPH09234698A (ja) シート材の順送り加工方法
CN210231192U (zh) 一种侧面边壁孔的冲孔模具结构
JP2009166061A (ja) パンチ金型及びその金型を使用するパンチ加工方法
CN216369734U (zh) 一种封闭型腔由内到外的冲切结构
CN213052331U (zh) 冲孔连体模具
CN110052527B (zh) 一种侧面边壁孔的冲孔模具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