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172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172B1
KR101212172B1 KR1020120083815A KR20120083815A KR101212172B1 KR 101212172 B1 KR101212172 B1 KR 101212172B1 KR 1020120083815 A KR1020120083815 A KR 1020120083815A KR 20120083815 A KR20120083815 A KR 20120083815A KR 101212172 B1 KR101212172 B1 KR 101212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area
display panel
area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환
윤정흠
이성훈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83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172B1/ko
Priority to PCT/KR2013/001458 priority patent/WO2014021531A1/en
Priority to US13/820,053 priority patent/US8827536B2/en
Priority to US14/449,802 priority patent/US2014034085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 정면의 베젤을 비롯한 비표시 영역이 최소화되거나, 전혀 없거나 또는 표시 영역이 표시 장치의 측면 영역까지 확장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구부릴 수 있는 상부 기판과, 발광 소자와, 구부릴 수 있는 하부 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외의 비표시 영역으로 정의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과 결합되는 서포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부 영역이 상기 표시 영역에 대해 벤딩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 또한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해서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 장점을 지닌 평판표시장치 (FPD)로서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표시장치(PDP), 전기발광표시장치(ELD), 전계방출표시장치(FED) 등이 소개되어 기존의 브라운관(CRT)을 빠르게 대체하며 각광받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어떠한 방식의 표시장치를 따르더라도 해당 표시장치는 한 쌍의 기판을 합착 밀봉하기 위한 실링 라인과 표시영역(발광층)으로부터 인출되는 배선들을 포함하는 불투명 영역이 발생할 수밖에 없어 표시장치의 정면에는 소위 베젤로 알려진 비표시 영역이 불가피하게 존재하게 된다.
도 19는 종래 표시 패널을 적용한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19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 표시 패널을 적용할 경우 해당 표시 장치는 다수 영역에 비표시 영역을 갖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 정면의 테두리 영역과, 표시 장치의 좌측,우측,상측 및 하측 측면에 모두에 비표시 영역(B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비표시 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표시영역 외곽의 실링 폭을 좁히게 되면 접합력이 저하되어 박리 현상이 발생되며, 이는 불량품 발생률 증가 및 제품 경쟁력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고, 특히 상기 경우 베젤 영역을 좁힐 수는 있으나 베젤 영역을 표시장치의 정면에서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는 한계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장치 정면의 비표시 영역이 최소화되거나, 전혀 없거나 또는 표시 영역을 표시 장치의 측면 영역까지 확장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구부릴 수 있는 상부 기판과, 발광 소자와, 구부릴 수 있는 하부 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외의 비표시 영역으로 정의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과 결합되는 서포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부 영역이 상기 표시 영역에 대해 벤딩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구부릴 수 있는 상부 기판과, 발광 소자와, 구부릴 수 있는 하부 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외의 비표시 영역으로 정의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측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서포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비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서포트 프레임 측으로 벤딩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벤딩된 구조로 형성된 표시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의 벤딩된 일부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의 벤딩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에도 표시 영역이 구비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정면은 물론 좌측 측면 및(또는) 우측 측면에도 영상을 표현할 수 있는 표시 영역이 마련되어 종래 표시 패널보다 확장된 표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종래 표시 패널 정면의 테두리 영역에 불가피 하게 형성되었던 불투명 영역(즉, 베젤 영역)을 제거할 수 있어 역시 종래 표시 패널보다 확장된 표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방향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B' 방향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는 도 7의 C-C' 방향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D-D' 방향 결합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E-E' 방향 결합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벤딩 전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표시 패널을 적용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벤딩 전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표시 패널을 적용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을 적용한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모식도.
도 19는 종래 표시 패널을 적용한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모식도.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표시 장치 정면의 베젤을 비롯한 비표시 영역이 최소화되거나, 전혀 없거나, 또는 표시 영역이 표시 장치의 측면 영역까지 확장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구부릴 수 있는 상부 기판, 발광 소자, 구부릴 수 있는 하부 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외의 비표시 영역으로 정의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특히 표시 패널은 그 비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표시 영역에 대해 벤딩(bending)된 구조로 서포트 프레임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표시 패널은 정사각형 또는 장방형으로 구성되어 그 좌변 영역, 우변 영역, 상변 영역 및 하변 영역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벤딩(bending)된 구조로 서포트 프레임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에 대해 먼저 정의하도록 한다.
표시 영역은 시각적인 이미지를 실질적으로 표시하는 영역으로서 하부 기판 상에 형성된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층에 대응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시 영역은 다수의 픽셀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영역 및 그 수직 상?하부에 대응하는 상?하부 기판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지칭한다.
비표시 영역은 상기와 같은 표시 패널에 있어서 실질적인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즉, 불투명 영역)을 지칭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표시패널(또는 표시장치)의 정면" 이란 메인(main)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면 측을 지칭하고, "표시패널(표시장치)의 측면" 이란 메인(main) 표시영역에 대해 대략 수직한 방향에 있는 옆면 측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시패널(또는 표시장치)이 직육면체 형상이라면 하나의 정면과, 상기 정면에 대향하는 배면과, 상기 정면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하게 형성된 4 개의 측면으로 구성되고, 4 개의 측면은 상호 평행한 상측 측면과 하측 측면, 그리고 상호 평행한 좌측 측면과 우측 측면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수의 실시예, 특징 및 장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방향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과, 표시 패널(1)을 지지하는 서포트 프레임(50), 및 표시 패널(1)의 벤딩 구조를 고정시키는 고정재(40)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은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용으로 적용될 수 있고, 또는 평판 TV, 3D TV 등과 같은 대형 디스플레이용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패널(1)은 상부 기판(20)과, 상부 기판(20)과 대향 배치되는 하부 기판(10), 그리고 상부 기판(20)과 하부 기판(10) 사이에 개재된 발광층을 포함한다.
상부 기판(20) 및(또는) 하부 기판(10)은 구부러질 수 있는 성질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투명하면서 유연성(flexibility)이 있는 폴리머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나, 유연성을 갖는 소재라면 상기 폴리머 외에 다른 소재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부 기판(20) 및(또는) 하부 기판(10)을 폴리머로 구성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설폰(PES),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EN),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이미드(PI),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EVA), 아몰포스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PET),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PP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세롤(PETG),폴리사이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G), 변성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사이클로올레핀폴리머(COP), 사이클로올레핀코폴리머(COC), 디시클로펜타디엔폴리머(DCPD), 시클로펜타디엔폴리머(CPD),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다이메틸실론세인(PDMS), 실리콘수지, 불소수지, 변성에폭시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부 기판(10)에는 상부 기판(20)보다 연장된 부위로 패드 영역(PA)이 형성되는데 상기 패드 영역에는 표시 영역으로부터 외곽으로 인출된 다수의 배선과, 집적회로칩(15)이 위치해 있다.
집적회로칩(15)은 데이터 구동 신호 및 게이트 구동 신호를 직절한 시기에 인가하기 위한 복수의 타이밍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 신호들을 각각 표시 패널의 데이터 라인(미도시)과 게이트 라인(미도시)에 인가한다. 집적회로칩(15) 주위에는 집적회로칩(15)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 기판(10)의 패드 영역(PA)에는 집적회로칩(15)과 인접된 영역에 배치되어 집적회로칩(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패드(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패드는 구동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소자들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이때 패드와 인쇄회로기판의 연결 수단으로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발광층은 실질적인 영상 표시가 표현되는 표시 영역으로서 기본적으로 발광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발광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유기화합물을 포함한 유기발광소자(OLED) 또는 전자 잉크(e-Ink)일 수 있다.
표시 장치가 능동형 매트릭스릭스(Active Matrix; AM)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하부 기판(10)에는 유기 발광 소자와 이를 구동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는 배선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화소(Pixel)는 게이트 라인, 데이터 라인 및 공통 전원 라인을 경계로 정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할 때, 본 발명의 표시 영역(DA1,DA2)은 다수의 픽셀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발광층 영역, 및 그 수직 상?하부에 대응하는 상부/하부 기판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해당하게 된다.
그리고, 이처럼 실질적인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1,DA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즉, 불투명 영역)은 비표시 영역에 해당하게 되는데, 비표시 영역은 크게 베젤 영역(BA)과 패드 영역(PA)으로 구분된다.
베젤 영역(BA)은 상부 기판(20)과 하부 기판(10)을 합착시키고 발광 소자를 밀봉하기 위해 표시 영역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그 외곽을 따라 둘러싸는 실런트를 포함하는 실링 라인(30)과, 표시 영역(DA1,DA2)에 해당하지 않는 상부/하부 기판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베젤 영역에는 표시 영역으로부터 인출되어 표시 영역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배선도 포함될 수 있다.
패드 영역(PA)은 표시 영역(DA1,DA2)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인가하는 집적회로칩(15)이 실장된 영역을 지칭하며, 도 2의 실시예의 경우 하부 기판(10)의 일단부(즉, 상부 기판보다 연장된 부위)가 패드 영역(PA)에 해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1 실시예의 표시 패널은 정사각형 또는 장방형으로 구성되고, 그 좌변 영역 및(또는) 상기 좌변 영역에 평행한 우변 영역이 서포트 프레임(50) 측으로 벤딩되어 고정재(40)에 의해 벤딩된 상태로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서포트 프레임(50) 측으로 벤딩된 표시 패널의 좌변 영역 및(또는) 우변 영역(이하, 좌변 영역으로 통칭)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시 패널의 좌변 영역은 실링 라인(30)을 포함한 비표시 영역(베젤 영역;BA)과 표시 영역의 일부(즉, 표시 영역의 좌변부;DA2)를 포함하고 있는데, 서포트 프레임(50) 측으로 벤딩된 표시 패널의 좌변 영역이란 이처럼 좌변 영역의 베젤 영역(BA)과 표시 영역 일부(DA2)를 함께 대략 수직 방향으로 벤딩시킨 후, 좌변 영역의 베젤 영역(BA)만을 한번 더 내측으로 벤딩시킨 구조를 지칭한다.
따라서, 제1 실시예의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의 벤딩된 일부 영역(이하, '벤딩 표시영역';DA2)과, 상기 벤딩 표시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벤딩된 베젤 영역(BA)이 상기 표시 영역의 벤딩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이하, '비벤딩 표시영역';DA1)에 대해 전체적으로 '┗' 단면 형상으로 절곡된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할 경우, 내측으로 벤딩된 베젤 영역(BA)은 비벤딩 표시영역(DA1)의 하부 기판(10)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되는데, 상기 비벤딩 표시영역(DA1)의 하부 기판(10)과 벤딩된 베젤 영역(BA) 사이의 이격 공간은 고정재(40)가 삽입되어 상기 '┗' 단면 형상의 절곡 구조를 고정시켜 주게 된다.
제1 실시예의 고정재(40)는 상기 이격 공간에 끼워져 그 간격을 고르게 유지시켜 주는 스페이서(41)와 상기 스페이서(41)에 부착 또는 도포되는 접착층(42)을 포함한다.
스페이서(41)는 바람직하게는 가벼우면서도 외력을 완충시키거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대표적인 예로, 스티로폼, 우레탄 폼과 같이 수지를 발포시켜 형성한 폴리머 폼을 채용할 수 있다.
접착층(42)은 액상 등으로 도포되는 접착제 내지 접착(또는 점착) 성분을 함유한 테이프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착층(42)은 스페이서(4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도포 또는 부착된다.
그리고, 스페이서(41)의 상측은 비벤딩 표시영역의 하부 기판(10) 측에 부착 고정되고, 벤딩된 베젤영역은 스페이서의 하측에 부착 고정됨으로써 벤딩된 표시영역(DA2)과 베젤영역(BA)은 '┗' 단면 형상으로 절곡된 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실시예의 표시 패널은 정면은 물론 좌측 측면과 우측 측면에도 영상을 표현할 수 있는 표시 영역(DA1,DA2)이 마련되어 종래 표시 패널보다 확장된 표시 영역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1 실시예의 서포트 프레임(50)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표시 패널과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서포트 프레임(50)은 기본적으로 판형으로 구성되어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저면부(51)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면부(51)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스컷트부(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50)은 일정 강도를 가지는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SUS), 냉간압연강판(Steel Plate Cold Commercial;SPCC), 알루미늄 및 니켈-은 합금, 마그네슘 등의 금속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나, 적어도 일부 스컷트부(52)는 윈도우(window)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윈도우가 형성된 스컷트부는 서포트 프레임(50)의 스컷트부 중 표시 패널의 좌측 측면과 우측 측면에 형성된 벤딩 표시영역(DA2)에 대향하는 스컷트부(52)를 지칭하며, 상기 윈도우는 개구 형태, 투명한 (강화)유리, 및 투명한 (강화)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의 좌?우측 측면에 마련된 표시 영역(DA2)은 스컷트부(52)의 윈도우를 통해 외부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표시 패널의 벤딩되지 않은 하부 기판(10)과 서포트 프레임(50)의 저면부(51) 사이에 마련된 빈 공간에는 전술한 인쇄회로기판 등을 수납시킴으로써 표시 패널에 발생하는 빈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되 다음과 같은 차이점만 있다.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의 경우, 표시 패널의 좌변 영역(또는 우변 영역)의 베젤 영역과 표시 영역 일부가 함께 벤딩되어, 벤딩된 표시 영역은 표시 패널의 좌측 측면(또는 우측 측면)에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나, 제2 실시예의 경우 표시 패널의 좌변 영역(또는 우변 영역)의 베젤 영역(BA)만을 단독으로 벤딩시킨 구조가 차이점이다.
즉, 제2 실시예의 표시 패널의 경우 좌변 영역(또는 우변 영역)의 베젤 영역(BA)이 서포트 프레임(50) 측으로 접혀서 포개진 구조로 구성되며, 표시 영역(DA1)의 하측에 포개진 베젤 영역(BA)은 벤딩되지 않은 하부 기판(10) 측에 고정재를 통해 부착 고정된다. 여기서, 고정재는 제1 실시예의 접착층(42)일 수 있고, 접착층(42)은 액상 등으로 도포되는 접착제 내지 접착(또는 점착) 성분을 함유한 테이프를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표시 패널은 제1 실시예와 같은 스페이서(41)가 불필요하며 단지 접착층(42)이 개재되어 좌변 영역(또는 우변 영역)의 베젤 영역(BA)이 벤딩된 상태로 서포트 프레임(50)에 결합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제2 실시예의 경우 윈도우가 형성된 스컷트부가 불필요한 바, 서포트 프레임(50) 전체를 금속 소재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표시 패널의 벤딩되지 않은 하부 기판(10)과 서포트 프레임(50)의 저면부(51) 사이에 마련된 빈 공간에는 스폰지, 스티로폼, 우레탄폼과 같은 완충부재(45)로 충진함으로써 표시 패널에 가해지는 외력이나 충격을 완충 내지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2 실시예의 표시 패널은 종래 표시 패널 정면의 좌측 테두리와 우측 테두리에 불가피 하게 형성되었던 불투명 영역(즉, 베젤 영역)이 제거되어 종래 표시 패널보다 확장된 표시 영역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 방향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과, 표시 패널(1)을 지지하는 서포트 프레임(50), 및 표시 패널(1)의 벤딩 구조를 고정시키는 고정재(40)를 포함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상부 및 하부 기판 재질, 발광층 구성, 표시 영역과 비표시 영역의 정의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3 실시예의 표시 패널(1)은 정사각형 또는 장방형으로 구성되고, 그 상변 영역 및(또는) 상기 상변 영역에 평행한 하변 영역이 서포트 프레임(50) 측으로 벤딩되어 고정재(40)에 의해 벤딩된 상태로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서포트 프레임(50) 측으로 벤딩된 표시 패널의 하변 영역 및(또는) 상변 영역(이하, 좌변 영역으로 통칭)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표시 패널의 상변 영역은 실링 라인(30)을 포함한 비표시 영역(베젤 영역)과 표시 영역의 일부(즉, 표시 영역의 상변부)를 포함하고 있는데, 서포트 프레임(50) 측으로 벤딩된 표시 패널의 상변 영역이란 이처럼 상변 영역의 베젤 영역(BA)과 표시 영역 일부(DA1)를 함께 대략 수직 방향으로 벤딩시킨 후, 상변 영역의 베젤 영역(BA)만을 한번 더 내측으로 벤딩시킨 구조를 지칭한다.
그리고, 표시 패널의 하변 영역은 실링 라인(30)을 포함한 비표시 영역(베젤 영역;BA)과, 표시 영역의 일부(표시 영역의 하변부;DA3)와, 상부 기판(20)보다 연장된 하부 기판 부위(패드 영역;PA)를 포함하고 있는데, 서포트 프레임(50) 측으로 벤딩된 표시 패널의 하변 영역이란 이처럼 하변 영역의 베젤 영역(BA), 표시 영역 일부(DA3) 및 패드 영역(PA)을 함께 대략 수직 방향으로 벤딩시킨 후, 하변 영역의 베젤 영역(BA)과 패드 영역(PA)을 한번 더 내측으로 벤딩시킨 구조를 지칭한다.
따라서, 제3 실시예의 표시 패널은 표시 영역의 벤딩된 일부 영역(이하, '벤딩 표시영역';DA3)과, 벤딩 표시영역(DA3)으로부터 연장되어 벤딩된 베젤 영역(BA) 및 패드 영역(PA)이 표시 영역의 벤딩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이하, '비벤딩 표시영역';DA1)에 대해 전체적으로 '┗' 단면 형상으로 절곡된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변 부위의 경우 내측으로 벤딩된 베젤 영역(하변 부위의 경우 내측으로 벤딩된 베젤 영역과 패드 영역, 이하 '벤딩된 비표시 영역으로 통칭)은 비벤딩 표시영역(DA1)의 하부 기판(10)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되는데, 상기 비벤딩 표시영역(DA1)의 하부 기판(10)과 벤딩된 비표시 영역 사이의 이격 공간은 고정재(40)가 삽입되어 상기 '┗' 단면 형상의 절곡 구조를 고정시켜 주게 된다.
제3 실시예의 고정재(40)는 상기 이격 공간에 끼워져 그 간격을 고르게 유지시켜 주는 스페이서(41)와 상기 스페이서(41)에 부착 또는 도포되는 접착층(42)을 포함한다.
스페이서(41)는 바람직하게는 가벼우면서도 외력을 완충시키거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대표적인 예로, 스티로폼, 우레탄 폼과 같이 수지를 발포시켜 형성한 폴리머 폼을 채용할 수 있다.
접착층(42)은 액상 등으로 도포되는 접착제 내지 접착(또는 점착) 성분을 함유한 테이프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착층(42)은 스페이서(4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도포 또는 부착된다.
그리고, 스페이서(41)의 상측은 비벤딩 표시영역(DA1)의 하부 기판(10) 측에 부착 고정되고, 벤딩된 비표시 영역(BA,PA)은 스페이서(41)의 하측에 부착 고정됨으로써 벤딩된 표시영역과 비표시 영역은 '┗' 단면 형상으로 절곡된 구조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3 실시예의 표시 패널은 정면은 물론 상측 측면과 하측 측면에도 영상을 표현할 수 있는 표시 영역(DA1,DA3)이 마련되어 종래 표시 패널보다 확장된 표시 영역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예의 서포트 프레임(50)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표시 패널과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부재에 해당한다. 서포트 프레임(50)은 기본적으로 판형으로 구성되어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저면부(51)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면부(51)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 스컷트부(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50)은 일정 강도를 가지는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SUS), 냉간압연강판(Steel Plate Cold Commercial;SPCC), 알루미늄 및 니켈-은 합금, 마그네슘 등의 금속 소재로 제조될 수 있으나, 적어도 일부 스컷트부는 윈도우(window)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윈도우가 형성된 스컷트부는 서포트 프레임(50)의 스컷트부 중 표시 패널의 상측 측면과 하측 측면에 형성된 벤딩 표시영역(DA3)에 대향하는 스컷트부를 지칭하며, 상기 윈도우는 개구 형태, 투명한 (강화)유리, 및 투명한 (강화)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의 상측 및 하측 측면에 마련된 표시 영역(DA3)은 스컷트부(52)의 윈도우를 통해 외부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표시 패널의 벤딩되지 않은 하부 기판(10)과 서포트 프레임(50)의 저면부(51) 사이에 마련된 빈 공간에는 전술한 인쇄회로기판 등을 수납시킴으로써 상변 및 하변 부위가 벤딩된 표시 패널에 발생하는 빈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3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되 다음과 같은 차이점만 있다.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3 실시예의 경우, 표시 패널의 하변 영역(또는 상변 영역)의 비표시 영역(BA,PA)과 표시 영역 일부(DA3)가 함께 벤딩되어, 벤딩된 표시 영역(DA3)은 표시 패널의 상측 측면(또는 하측 측면)에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나, 제4 실시예의 경우 표시 패널의 하변 영역(또는 상변 영역)의 비표시 영역(BA,PA)만을 단독으로 벤딩시킨 구조가 차이점이다.
즉, 제4 실시예의 표시 패널의 경우 하변 영역(또는 상변 영역)의 비표시 영역(BA,PA)이 서포트 프레임(50) 측으로 접혀서 포개진 구조로 구성되며, 표시 영역(DA1)의 하측에 포개진 비표시 영역은 벤딩되지 않은 하부 기판(10) 측에 접착층(42)을 통해 부착 고정된다. 여기서, 접착층(42)은 액상 등으로 도포되는 접착제 내지 접착(또는 점착) 성분을 함유한 테이프를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실시예의 표시 패널은 제3 실시예와 같은 스페이서(41)가 불필요하며 단지 접착층(42)이 개재되어 하변 영역(또는 상변 영역)의 비표시 영역이 벤딩된 상태로 서포트 프레임(50)에 결합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제4 실시예의 경우 윈도우가 형성된 스컷트부가 불필요한 바, 서포트 프레임(50) 전체를 금속 소재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표시 패널의 벤딩되지 않은 하부 기판(10)과 서포트 프레임(50)의 저면부(51) 사이에 마련된 빈 공간에는 스폰지, 스티로폼, 우레탄폼과 같은 완충부재(45)로 충진함으로써 표시 패널에 가해지는 외력이나 충격을 완충 내지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4 실시예의 표시 패널은 종래 표시 패널 정면의 좌측 테두리와 우측 테두리에 불가피 하게 형성되었던 불투명 영역(즉, 베젤 영역)이 제거되어 종래 표시 패널보다 확장된 표시 영역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는 도 7의 C-C' 방향 결합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3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되 다음과 같은 차이점만 있다.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5 실시예의 표시 패널(1)은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변 영역(또는 상변 영역)의 비표시 영역(BA,PA)과 표시 영역 일부(DA3)를 함께 대략 수직 방향으로 벤딩시킨 후, 하변 영역(또는 상변 영역)의 비표시 영역(BA,PA)만을 한번 더 내측으로 벤딩시킨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5 실시예의 표시 패널(1)은 내측으로 벤딩된 하변 부위(또는 상변 부위)의 비표시 영역(BA,PA)과, 벤딩되지 않은 하부 기판(10) 사이에 소정의 이격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제3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이격 공간에 고정재(40)를 삽입하여 '┗' 단면 형상의 절곡 구조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제5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이격 공간에 서포트 프레임(60)의 일부가 삽입되어 벤딩된 표시 영역(DA3)과 비표시 영역(BA,PA)의 절곡 구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표시 패널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 실시예의 서포트 프레임(60)은 판형부재(61)와, 상기 판형부재(61)의 일측변과 상기 일측변에 평행한 타측변을 'ㄷ'단면 형상으로 내향 절곡시킨 절곡부(62)로 구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서포트 프레임(60)은 그 외면이 표시 패널에 의해 감싸진 구조로 결합된다. 즉, 표시 영역의 벤딩된 일부 영역(DA3)과 벤딩된 비표시 영역(BA,PA)이 절곡부(62)를 따라 벤딩되어 절곡부(62)의 외면 상에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서포트 프레임(60)의 외면과 이를 감싸는 표시 패널의 하부 기판(10) 사이에 제2 실시예와 같은 접착층(42)을 개재시킨다면, 서포트 프레임(60)에 표시 패널을 견고하게 부착 고정시킬 수 있다.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최종 결합 상태를 살펴보면, 도 8과 같이 서포트 프레임(60)의 절곡부(62)는 표시 패널에 형성된 이격 공간에 삽입되어 표시 패널의 벤딩된 상변 및 하변 영역을 지지하고, 서포트 프레임의 판형부재(61)는 벤딩되지 않은 하부 기판(10) 밑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의 비벤딩 부위를 지지하게 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탑 커버(70)를 더 포함하는데, 탑 커버(70)는 표시 패널의 상부에 위치하며,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의 정면을 감싸며 보호하는 커버부(72)와, 표시 패널의 상측 측면 및 하측 측면을 감싸며 보호하는 스컷트부(71)를 포함한다. 스컷트부(71)는 상기 커버부(72)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고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70)의 커버부(72)와 스컷트부(71)는 적어도 표시 영역(DA1,DA3)에 대향하는 부위에 윈도우(W1,W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윈도우(W1,W2)는 투명한 (강화)유리, 및 투명한 (강화)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의 스컷트부(71)는 커버부(72)의 상측과 하측만에 형성되게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후술할 도 9와 같이 커버부(72)의 테두리를 따라 네 변 모두에 형성하여 직육면체 형상의 탑 커버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탑 커버의 커버부(72)와 스컷트부(72)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개의 부재로 형성하거나 또는 일체의 성형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D-D' 방향 결합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5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되 다음과 같은 차이점만 있다.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6 실시예의 표시 패널(1)은 좌변 영역(또는 우변 영역)의 베젤 영역(BA)과 표시 영역 일부(DA2)를 함께 대략 수직 방향으로 벤딩시킨 후, 좌변 영역(또는 하변 영역)의 비표시 영역만을 한번 더 내측으로 벤딩시킨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6 실시예의 표시 패널(1)은 내측으로 벤딩된 좌변 부위(또는 우변 부위)의 비표시 영역(BA)과, 벤딩되지 않은 하부 기판(10) 사이에 소정의 이격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격 공간은 제5 실시예와 같이 일측변 및 타측변을 '┗' 단면 형상으로 내향 절곡시킨 서포트 프레임(80)이 삽입되어 서포트 프레임(80)의 외면이 표시 패널에 의해 감싸진 구조로 결합된다.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최종 결합 상태를 살펴보면, 도 10과 같이 서포트 프레임의 절곡부(82)는 표시 패널에 형성된 이격 공간에 삽입되어 표시 패널의 벤딩된 좌변 및 우변 영역을 지지하고, 서포트 프레임의 절곡되지 않은 평판 부(81)는 벤딩되지 않은 하부 기판(10) 밑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의 비벤딩 부위를 지지하게 된다.
제6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탑 커버 및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제5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E-E' 방향 결합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되 제1 실시예와 대비하여 서포트 프레임 구조가 상이하고, 탑 커버를 더 포함한다.
먼저, 제7 실시예의 서포트 프레임(90)은 상호 평행한 양측 변 부위를 '┗' 단면 형상으로 외향 절곡시킨 판형 부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서포트 프레임의 전체적인 형상을 살펴보면, 비절곡부(91)가 절곡부(92)에 대해 단차를 두고 돌출 형성된 대략 계단 형상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서포트 프레임(90)의 비절곡부(92)는 표시 패널(1)의 벤딩된 좌변 영역과 우변 영역 사이의 이격 공간에 삽입되어 벤딩되지 않은 하부 기판(10)을 직접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절곡부(92)는 표시 패널의 벤딩된 좌변 영역과 우변 영역의 일부를 감싸며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서포트 프레임(90)의 비절곡부(91)와 절곡부(92) 간의 단차 높이(h1)는 벤딩된 표시 영역의 높이(h2)에 비례하여 결정된다.
다음으로, 제7 실시예의 탑 커버(70)는 표시 패널(1)의 상부에 위치하며,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의 정면을 감싸며 보호하는 커버부(72)와, 표시 패널의 측면을 감싸며 보호하는 스컷트부(71)를 포함한다. 스컷트부(71)는 상기 커버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고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탑 커버(70)의 커버부(72)와 스컷트부(71)는 적어도 표시 영역(DA1,DA2)에 대향하는 부위에 윈도우(W1,W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7 실시예의 경우 표시 패널의 좌측 및 우측 측면에 표시 영역(DA2)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탑 커버의 스컷트부 중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 스컷트부에 윈도우(W1,W2)가 형성된다. 윈도우(W1,W2)는 투명한 (강화)유리, 및 투명한 (강화)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탑 커버(70)의 커버부(72)와 스컷트부(71)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개의 부재로 형성하거나 또는 일체의 성형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벤딩 전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표시 패널을 적용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에서 설명 및 도시한 제1 실시예 내지 제7 실시예의 경우 표시 패널의 좌변 영역, 우변 영역, 상변 영역 및 하변 영역 중에서 선택된 최대 2개의 변 영역을 벤딩시킨 구조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제8 실시예의 경우 표시 패널(1)의 좌변 영역, 우변 영역, 상변 영역 및 하변 영역 모두를 벤딩시켜 표시 영역의 확장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표시 패널 구조를 개시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8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1)은 정사각형 또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지되, 그 코너 영역(23)은 적어도 2 개(바람직하게는 4 개)의 모따기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8 실시예의 표시 패널(1)은 상부 기판(20)과 하부 기판(10)의 코너 영역(23)이 모따기된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표시 패널의 측면에 표시 영역이 마련될 수 있도록 구성할 경우 표시 패널의 발광층(25)과 실링 라인(30) 역시 모따기된 상?하부 기판 코너 영역(23)을 따라 모따기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모따기된 형상은 대략 'ㄴ'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장방형 표시 패널의 네 개의 코너(23) 모두를 대략 'ㄴ' 구조로 모따기한다면, 해당 표시 패널은 대략 굵은 십자 형상을 이루게 된다.
제8 실시예의 표시 패널은 이처럼 적어도 2 개의 코너 영역(23)이 모따기된 형태로 구성되고, 도 14와 같이 모따기된 적어도 2 개의 코너 영역(23)에 동시에 대응하는 변 영역이 벤딩된 구조로 서포트 프레임(95)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패널의 모따기된 코너 영역(23)을 포함하는 변 영역은 실링 라인(30)을 포함한 비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의 일부(DA2,DA3)를 포함하고 있다. 제8 실시예의 표시 패널은 변 영역의 베젤 영역(BA)과 표시 영역 일부(DA2,DA3)를 함께 대략 수직 방향으로 벤딩시킨 후, 해당 변 영역의 베젤 영역(BA)만을 한번 더 내측으로 벤딩시킨 것이다.
제8 실시예의 서포트 프레임(95)은 판형으로 형성하여 표시 패널의 하측에서 표시 패널을 지지하도록 형성하였으나, 표시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형상 내지 구조라면 판형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구성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제8 실시예의 구성에 의할 때, 장방형 표시 패널의 네 개 코너 지점 모두를 모따기하여 네 개의 변 영역을 모두 벤딩시킨 구조(도 14 참조)로 형성한다면, 표시 패널은 정면은 물론 좌측,우측,상측 및 하측 측면에도 영상을 표현할 수 있는 표시 영역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벤딩 전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표시 패널을 적용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8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되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제9 실시예의 표시 패널(1)은 적어도 2 개의 코너 영역(23)이 모따기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모따기된 2 개의 코너 영역(23)을 동시에 포함하는 변 영역이 벤딩된 구조로 서포트 프레임과 결합된다.
표시 패널(1)의 모따기된 코너 영역(23)에 대응하는 변 영역은 실링 라인(30)을 포함한 비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의 일부(DA2,DA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표시 패널(1)의 모따기된 코너 영역(23)에 대응하는 변 영역은 벤딩되지 않은 표시 영역(DA1)에 대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벤딩되어 표시 패널의 측면에도 표시 영역이 구비되게 구성된다.
제9 실시예의 서포트 프레임은 판형으로 형성하여 표시 패널(1)의 하측에서 표시 패널을 지지하도록 형성하였으나, 표시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형상 내지 구조라면 판형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구성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제8 실시예와 동일하며, 제9 실시예는 발광층의 구조가 제8 실시예와 상이한 것이 차이점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9 실시예의 표시 패널은 모따기된 코너 영역에 대응하는 변 영역에도 표시 영역(즉, 발광층, 이하 '사이드 표시영역' 이라 함; DA2,DA3)이 구비되되, 이러한 사이드 표시영역(DA2,DA3)은 표시 패널의 중심부에 형성된 메인 표시영역(DA1)과 분리된 구조로 형성된 것은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4 개의 코너 영역이 모따기된 표시 패널로 구성된다면, 모따기된 코너 영역에 대응하는 변 영역은 4 개로 구성되고, 사이드 표시영역은 변 영역에 하나씩 형성되어 총 4개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정면은 물론 좌측,우측,상측 및 하측 측면에도 영상을 표현할 수 있는 표시 영역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제8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정면의 표시 영역과 측면의 표시 영역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하나의 화면 형태로 구성되나, 제9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사이드 표시영역(DA2,DA3)에 해당하는 발광층이 정면 표시영역(DA1)에 해당하는 발광층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바, 정면의 표시 영역(DA1)과 측면의 표시 영역(DA2,DA3)이 불연속적인 독립 화면 형태(도 16 참조)로 구성되는 것이 제8 실시예와 차이점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을 적용한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모식도로서, 구체적으로 도 17의 표시 장치는 제1, 제6, 및 제7 실시예의 표시 패널을 적용한 표시 장치(예컨데, 스마트폰)로서, 도 17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표시 장치의 정면은 물론 좌측 측면과 우측 측면에도 영상을 표현할 수 있는 표시 영역(DA1,DA2)이 마련되어 종래 표시 패널보다 확장된 표시 영역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8의 표시 장치는 제2 실시예의 표시 패널을 적용한 표시 장치(예컨데, 스마트폰)로서, 도 18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종래 표시 패널 정면의 좌측 테두리와 우측 테두리에 불가피 하게 형성되었던 불투명 영역(즉, 베젤 영역)이 제거되어 종래 표시 패널보다 확장된 표시 영역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접촉하여 있거나 간격을 두고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1: 표시 패널
10: 하부 기판 15: 집적회로칩
20: 상부 기판 30: 실링 라인
40: 고정재 41: 스페이서
42: 접착층 45: 완충부재
50,60,80,90: 서포트 프레임 70: 탑 커버
BA: 베젤 영역 PA: 패드 영역
DA1: 정면 표시 영역 DA2,DA3: 벤딩 표시 영역

Claims (24)

  1. 구부릴 수 있는 상부 기판과, 발광 소자와, 구부릴 수 있는 하부 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외의 비표시 영역으로 정의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과 결합되는 서포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부 영역이 상기 표시 영역에 대해 벤딩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구부릴 수 있는 상부 기판과, 발광 소자와, 구부릴 수 있는 하부 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발광 소자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외의 비표시 영역으로 정의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측에서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서포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부 영역이 상기 서포트 프레임 측으로 벤딩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정사각형 또는 장방형으로 구성되어 그 좌변 영역, 우변 영역, 상변 영역 및 하변 영역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벤딩된 구조로 고정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일부 영역이 벤딩된 상태로 고정된 상기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의 벤딩된 일부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의 벤딩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에 대해 하측 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에도 표시 영역이 구비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적어도 2 개의 코너 영역이 모따기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모따기된 2 개의 코너 영역에 동시에 대응하는 변 영역이 벤딩된 구조로 상기 서포트 프레임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모따기된 코너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변 영역은 실링 라인을 포함한 비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변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의 벤딩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에 대해 하측 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에도 표시 영역이 구비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영역의 벤딩된 일부 영역(이하, '벤딩 표시영역')과, 상기 벤딩 표시영역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비표시 영역의 벤딩된 일부 영역이 상기 표시 영역의 벤딩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에 대해 전체적으로 '┗' 단면 형상으로 내향 절곡된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판의 벤딩되지 않은 영역(이하, '비벤딩 하부기판')과 상기 비표시 영역의 벤딩된 일부 영역 사이에 개재된 고정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의 벤딩된 일부 영역은 상기 고정재를 통해 상기 비벤딩 하부기판에 벤딩된 구조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재는,
    상기 비벤딩 하부기판과 상기 비표시 영역의 벤딩된 일부 영역 사이의 이격 공간에 끼워져 그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에 부착 또는 도포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상부 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을 상호 합착 밀봉시키기 위해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을 따라 개재된 실링 라인을 포함하는 베젤 영역; 및 상기 상부 기판보다 연장된 하부 기판 부위로서, 상기 표시 영역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집적회로칩이 실장된 영역 포함하는 패드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비표시 영역 중 상기 벤딩된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베젤 영역 중 적어도 일부 및(또는) 상기 패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상기 표시 영역의 벤딩된 일부 영역에 대향하는 사이드 윈도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정면을 감싸며 보호하고, 적어도 상기 표시 영역에 대향하는 부위에 윈도우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을 감싸며 보호하고, 적어도 상기 표시 영역에 대향하는 부위에 윈도우가 형성되어 있는 스컷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개구, 투명한 유리, 및 투명한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판형부; 및 상기 판형부의 적어도 일측변이 'ㄷ' 단면 형상으로 내향 절곡된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의 벤딩된 일부 영역과 상기 비표시 영역의 벤딩된 일부 영역은 상기 절곡부를 따라 벤딩되어 상기 절곡부의 외면 상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절곡부와, 상기 비표시 영역의 벤딩된 일부 영역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의 벤딩된 일부 영역은 상기 접착층을 통해 상기 절곡부의 외면에 부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7.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벤딩되지 않은 하부 기판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저면부 사이에 마련된 빈 공간에는 인쇄회로기판 또는 완충부재가 수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일측변과, 상기 일측변에 평행한 타측변을 '┗' 단면 형상으로 외향 절곡시킨 판형 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 또는 전자 잉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판 및(또는) 하부 기판은 투명하면서 유연성이 있는 폴리머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표시 장치.
  21.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개의 코너 영역은 'ㄴ' 형상으로 모따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2.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외의 비표시 영역으로 구성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서포트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일부 영역이 상기 서포트 프레임 측으로 벤딩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서포트 프레임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일부 영역이 벤딩된 상태로 고정된 상기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의 벤딩된 일부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의 벤딩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에 대해 하측 방향으로 벤딩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에도 표시 영역이 구비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4.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비표시 영역이 모두 상기 서포트 프레임 측으로 벤딩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표시 패널의 정면의 모든 영역이 표시 영역으로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20083815A 2012-07-31 2012-07-31 표시 장치 KR101212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815A KR101212172B1 (ko) 2012-07-31 2012-07-31 표시 장치
PCT/KR2013/001458 WO2014021531A1 (en) 2012-07-31 2013-02-22 Display device
US13/820,053 US8827536B2 (en) 2012-07-31 2013-02-22 Display device
US14/449,802 US20140340855A1 (en) 2012-07-31 2014-08-01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815A KR101212172B1 (ko) 2012-07-31 2012-07-31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2172B1 true KR101212172B1 (ko) 2012-12-13

Family

ID=4790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815A KR101212172B1 (ko) 2012-07-31 2012-07-3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8827536B2 (ko)
KR (1) KR101212172B1 (ko)
WO (1) WO2014021531A1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2633A (ko) * 2013-06-04 2014-1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71788A (ko) * 2013-12-18 2015-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50079285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39812A (ko) * 2015-10-01 2017-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70114026A (ko) * 2016-03-31 2017-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06152A (ko) * 2017-07-07 2019-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WO2019074332A1 (ko) * 2017-10-12 2019-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19109524A (ja) * 2013-04-24 2019-07-0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KR20200030291A (ko) * 2018-09-12 2020-03-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39632A (ko) * 2020-03-30 2020-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USD892106S1 (en) 2018-10-24 2020-08-04 Samsung Display Co., Ltd. Bending support for display panel
USD892105S1 (en) 2018-10-24 2020-08-04 Samsung Display Co., Ltd. Bending support for display panel
US10838243B2 (en) 2016-09-13 2020-11-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980137B2 (en) 2018-05-02 2021-04-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USD951240S1 (en) 2018-10-24 2022-05-10 Samsung Display Co., Ltd. Bending support for display panel
JP2023065544A (ja) * 2019-12-26 2023-05-1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装置
US11681331B2 (en) 2020-11-13 2023-06-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683892B2 (en) 2019-06-18 2023-06-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940837B2 (en) 2018-07-16 2024-03-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higher screen-to-body ratio
US11968867B2 (en) 2016-03-31 2024-04-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data connection line in the display are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890B1 (ko) 2012-12-28 2020-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126712B1 (ko) * 2013-09-30 2020-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53531B1 (ko) * 2014-07-25 2021-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5531753B (zh) * 2014-09-02 2019-05-03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显示模组及具有该显示模组的电子装置
TWI529677B (zh) * 2014-10-02 2016-04-1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US9356087B1 (en) * 2014-12-10 2016-05-31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bridged wire traces
US9933870B2 (en) * 2015-03-17 2018-04-03 Lg Display Co., Ltd. Back plate member for flexible display,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404158B2 (ja) * 2015-03-30 2018-10-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160124310A (ko) * 2015-04-16 2016-10-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KR102339282B1 (ko) * 2015-11-02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429892B1 (en) * 2016-01-12 2019-10-01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thin display housings
JP6378706B2 (ja) * 2016-02-26 2018-08-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KR102572720B1 (ko) 2016-05-03 2023-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596956B1 (ko) 2016-05-23 2023-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722048B (zh) 2016-06-10 2021-03-2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電子裝置
CN107809873B (zh) * 2016-09-09 2021-09-14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及使用显示装置制造电子装置的方法
US10664014B2 (en) * 2017-01-05 2020-05-2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KR102469803B1 (ko) * 2017-10-26 2022-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20438B1 (ko) * 2018-01-08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JP6688376B2 (ja) * 2018-12-21 2020-04-28 シェンジェン ロイオル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及びこの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を備える電子装置
JP6688377B2 (ja) * 2018-12-21 2020-04-28 シェンジェン ロイオル テクノロジ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及びこの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を備える電子装置
JP2020118834A (ja) * 2019-01-23 2020-08-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200113104A (ko) * 2019-03-22 2020-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15751A (ko) * 2019-03-25 2020-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7196023B2 (ja) * 2019-06-26 2022-12-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10517632A (zh) * 2019-08-22 2019-11-2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及显示面板
CN112711148A (zh) * 2019-10-25 2021-04-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
CN210489620U (zh) * 2019-12-02 2020-05-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和显示装置
KR20220020090A (ko) * 2020-08-11 2022-02-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3293A (ja) 2010-09-27 2012-04-12 Nec Personal Computers Ltd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1517A (ja) 1996-10-08 1998-04-28 Omron Corp 液晶表示装置
US7667962B2 (en) * 2004-08-20 2010-02-23 Mullen Jeffrey D Wireless devices with flexible monitors and keyboards
KR100965257B1 (ko) 2008-10-27 2010-06-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21219B1 (ko) * 2008-11-10 2015-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493467B2 (ja) 2009-05-22 2014-05-14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装置
KR20110068169A (ko) 2009-12-15 2011-06-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744784B1 (ko) 2010-11-18 2017-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JP5720222B2 (ja) 2010-12-13 2015-05-2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795022B1 (ko) 2010-12-15 2017-1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Led 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830300B1 (ko) 2010-12-30 2018-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15623B1 (ko) * 2012-05-14 201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3293A (ja) 2010-09-27 2012-04-12 Nec Personal Computers Ltd 表示装置

Cited B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09524A (ja) * 2013-04-24 2019-07-0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JP2021099517A (ja) * 2013-04-24 2021-07-0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US11048297B2 (en) 2013-06-04 2021-06-29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124047B1 (ko) 2013-06-04 2020-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KR20140142633A (ko) * 2013-06-04 2014-1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7783B1 (ko) * 2013-12-18 2020-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50071788A (ko) * 2013-12-18 2015-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50079285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00912B1 (ko) * 2013-12-31 2021-0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09209B1 (ko) * 2015-10-01 2022-06-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70039812A (ko) * 2015-10-01 2017-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70114026A (ko) * 2016-03-31 2017-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968867B2 (en) 2016-03-31 2024-04-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data connection line in the display area
KR102483956B1 (ko) * 2016-03-31 2023-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367769B2 (en) 2016-03-31 2022-06-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data line arrangement around a through portion
US10838243B2 (en) 2016-09-13 2020-11-1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333206B1 (ko) * 2017-07-07 2021-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20190006152A (ko) * 2017-07-07 2019-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WO2019074332A1 (ko) * 2017-10-12 2019-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113996B2 (en) 2017-10-12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including bending area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US10980137B2 (en) 2018-05-02 2021-04-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US11940837B2 (en) 2018-07-16 2024-03-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higher screen-to-body ratio
KR20200030291A (ko) * 2018-09-12 2020-03-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575599B1 (ko) 2018-09-12 2023-09-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D951240S1 (en) 2018-10-24 2022-05-10 Samsung Display Co., Ltd. Bending support for display panel
USD907024S1 (en) 2018-10-24 2021-01-05 Samsung Display Co., Ltd. Bending support for display panel
USD892105S1 (en) 2018-10-24 2020-08-04 Samsung Display Co., Ltd. Bending support for display panel
USD892106S1 (en) 2018-10-24 2020-08-04 Samsung Display Co., Ltd. Bending support for display panel
US11683892B2 (en) 2019-06-18 2023-06-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23065544A (ja) * 2019-12-26 2023-05-1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装置
JP7441987B2 (ja) 2019-12-26 2024-03-0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装置
KR102131966B1 (ko) 2020-03-30 2020-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KR20200039632A (ko) * 2020-03-30 2020-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US11681331B2 (en) 2020-11-13 2023-06-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1531A1 (en) 2014-02-06
US20140340855A1 (en) 2014-11-20
US20140126228A1 (en) 2014-05-08
US8827536B2 (en) 2014-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172B1 (ko) 표시 장치
US11304294B2 (en) Display device
US904670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24001183A (ja) 可撓性表示パネルを備える表示装置
KR102400871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6220499B2 (ja) 可撓性表示パネル及び該可撓性表示パネルを備える表示装置
CN202887620U (zh) 柔性显示面板及包括柔性显示面板的显示设备
CN105531753B (zh) 显示模组及具有该显示模组的电子装置
US9442316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ght-transmitting cover having a lens portion
US936252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80077409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11276049A (zh) 显示装置和便携式终端
US9626053B2 (en) Touch control display device and joint touch control display
KR2014012259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875759B2 (ja) タッチパネルを有する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US20130162504A1 (en) Display device
KR20170081638A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2081828B1 (ko) 표시 장치용 보호창 및 이를 사용하는 표시 장치
US935446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improved light leakage characteristics
WO2017017817A1 (ja) 表示装置
JP2014130194A (ja) 表示装置
KR102610880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83144B1 (ko) 표시장치
KR20180078413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5759502A (zh) 背光模块及液晶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