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282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282B1
KR102339282B1 KR1020150153263A KR20150153263A KR102339282B1 KR 102339282 B1 KR102339282 B1 KR 102339282B1 KR 1020150153263 A KR1020150153263 A KR 1020150153263A KR 20150153263 A KR20150153263 A KR 20150153263A KR 102339282 B1 KR102339282 B1 KR 102339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pad area
display area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840A (ko
Inventor
김민수
강기녕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3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282B1/ko
Priority to US15/255,026 priority patent/US9992897B2/en
Priority to CN201610952494.2A priority patent/CN106653801B/zh
Publication of KR2017005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01L51/009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한 입체 형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하여, (i) 제1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의 제1좌단부 외측에 위치한 제1좌패드영역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1좌단부의 반대편의 제1우단부 외측에 위치한 제1우패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제1좌패드영역 사이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제1우패드영역 사이 각각이 절곡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이 굽혀져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1좌단부와 상기 제1우단부가 상호 인접하며 상기 제1좌패드영역과 상기 제1우패드영역이 내측에 위치하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ii) 상기 제1좌패드영역과 상기 제1우패드영역 모두에 대응하는, 제1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제조가 용이한 입체 형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영역과 그 주변의 주변영역을 갖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통상적으로 평평한 형태를 갖는다. 아울러 플렉서블한 기판을 이용함으로써 대략 평평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여러 공간에 위치한 관찰자들이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입체 형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현에는 적절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조가 용이한 입체 형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i) 제1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의 제1좌단부 외측에 위치한 제1좌패드영역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1좌단부의 반대편의 제1우단부 외측에 위치한 제1우패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제1좌패드영역 사이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제1우패드영역 사이 각각이 절곡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이 굽혀져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1좌단부와 상기 제1우단부가 상호 인접하며 상기 제1좌패드영역과 상기 제1우패드영역이 내측에 위치하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ii) 상기 제1좌패드영역과 상기 제1우패드영역 모두에 대응하는, 제1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좌패드영역의 배면(背面)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의 배면이 상호 마주보고, 상기 제1우패드영역의 배면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의 배면이 상호 마주보도록,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제1좌패드영역 사이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제1우패드영역 사이 각각이 절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좌패드영역과 상기 제1우패드영역 모두에 컨택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좌패드영역과 상기 제1우패드영역 각각에 접합되어,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의 굽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i) 제2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영역의 제2좌단부 외측에 위치한 제2좌패드영역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2좌단부의 반대편의 제2우단부 외측에 위치한 제2우패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제2좌패드영역 사이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제2우패드영역 사이 각각이 절곡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영역이 굽혀져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2좌단부와 상기 제2우단부가 상호 인접하며 상기 제2좌패드영역과 상기 제2우패드영역이 내측에 위치하는, 제2디스플레이부와, (ii) 상기 제2좌패드영역과 상기 제2우패드영역 모두에 대응하는, 제2인쇄회로기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좌패드영역의 배면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영역의 배면이 상호 마주보고, 상기 제2우패드영역의 배면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영역의 배면이 상호 마주보도록, 상기 제2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제2좌패드영역 사이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제2우패드영역 사이 각각이 절곡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2좌패드영역과 상기 제2우패드영역 모두에 컨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2좌패드영역과 상기 제2우패드영역 각각에 접합되어, 상기 제2디스플레이영역의 굽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은 일체(一體)일 수 있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는 사전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는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는 제1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는 제2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연결하는 제3기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기판 내지 상기 제3기판은 일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좌패드영역에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 내의 스캔라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좌패드들이 배치되고, 상기 제1우패드영역에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 내의 데이터라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우패드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가 용이한 입체 형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할 시의 중간생성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중간생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중간생성물에서의 스캔라인 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중간생성물에서의 데이터라인 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할 시의 중간생성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할 시의 중간생성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부(1DU)와 제1인쇄회로기판(PCB)을 구비한다.
제1디스플레이부(1DU)는 제1디스플레이영역(1DA), 제1좌패드영역(1LPA) 및 제1우패드영역(1RPA)을 포함한다. 제1디스플레이영역(1DA)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 이를 위해 제1디스플레이부(1DU)는 제1디스플레이영역(1DA)에 유기발광 소자, 액정 표시 소자, 전기 영동 소자 등 다양한 표시 소자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제1디스플레이영역(1DA) 전면(全面)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그 일부만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디스플레이영역(1DA)은 제1좌단부(1LEP) 근방과 제1좌단부(1LEP)의 반대편의 제1우단부(1REP) 근방에서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제1좌단부(1LEP)와 제1우단부(1REP)를 연결하는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의 근방에서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좌패드영역(1LPA)은 제1디스플레이영역(1DA)의 제1좌단부(1LEP) 외측에 위치하며, 제1우패드영역(1RPA)은 제1디스플레이영역(1DA)의 제1좌단부(1LEP)의 반대편의 제1우단부(1REP) 외측에 위치한다. 제1좌패드영역(1LPA)과 제1우패드영역(1RPA)에는 제1디스플레이영역(1DA)에 인가될 외부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패드들이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디스플레이부(1DU)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굽혀진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디스플레이영역(1DA)과 제1좌패드영역(1LPA) 사이와 제1디스플레이영역(1DA)과 제1우패드영역(1RPA) 사이 각각이 절곡된다. 그리고 제1디스플레이영역(1DA)이 굽혀져서, 제1디스플레이영역(1DA)의 제1좌단부(1LEP)와 제1우단부(1REP)가 상호 인접하며 제1좌패드영역(1LPA)과 제1우패드영역(1RPA)이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1디스플레이부(1DU)가 갖는 기판은 휘어질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소재인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고분자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디스플레이부(1DU)가 갖는 기판은 예컨대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FR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영역(1DA)과 제1좌패드영역(1LPA) 사이 및 제1디스플레이영역(1DA)과 제1우패드영역(1RPA) 사이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2회에 걸쳐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좌패드영역(1LPA)의 배면(背面, 1LPA')과 제1디스플레이영역(1DA)의 배면(1DA')이 상호 마주보고, 마찬가지로 제1우패드영역(1RPA)의 배면(1RPA')과 제1디스플레이영역(1DA)의 배면(1DA')이 상호 마주보도록 할 수 있다.
제1인쇄회로기판(PCB)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좌패드영역(1LPA)과 제1우패드영역(1RPA) 모두에 대응한다. 도 3에서는 제1인쇄회로기판(PCB)의 y축 방향으로의 폭이 제1좌패드영역(1LPA)의 폭과 제1우패드영역(1RPA)의 폭의 합과 같은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인쇄회로기판(PCB)의 y축 방향으로의 폭이 제1좌패드영역(1LPA)의 폭과 제1우패드영역(1RPA)의 폭의 합보다 클 수도 있다. 어떤 경우이든 제1인쇄회로기판(PCB)은 제1좌패드영역(1LPA)과 제1우패드영역(1RPA) 모두에 대응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3차원 공간 내에서 입체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여러 공간에 위치한 관찰자들이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입체 형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제1디스플레이부(1DU)에 있어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제1좌패드영역(1LPA)과 제1우패드영역(1RPA)이 제1디스플레이부(1DU)의 내부에 위치하기에 외부의 관찰자들은 이러한 제1좌패드영역(1LPA)과 제1우패드영역(1RPA)을 관찰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디스플레이영역(1DA)의 제1좌단부(1LEP)와 제1우단부(1REP)가 상호 인접하도록 제1디스플레이영역(1DA)이 굽어짐에 따라 외부의 관찰자들은 대부분 제1디스플레이영역(1DA)만을 관찰하게 되는바, 따라서 외부의 관찰자들은 대략 360도에 걸쳐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제1디스플레이영역(1DA)을 인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조가 용이한 입체 형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를 처음부터 입체형상으로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평한 형태의 플렉서블한 제1디스플레이부(1DU)를 제조한 후 그 일부를 절곡하고 굽힘으로써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입체 형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소자 등을 형성하는 과정이 종래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과 크게 차이가 없기에, 용이한 제조방법으로 입체 형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영역(1DA)에는 다양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스캔신호 또는 데이터신호 등이 제1디스플레이영역(1DA)에 인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스캔신호 또는 데이터신호 등은 드라이버 IC(미도시)에서 생성되어 제1디스플레이영역(1DA)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드라이버 IC가 제1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드라이버 IC에서의 신호가 제1인쇄회로기판(PCB)을 통해 입체 형상의 제1디스플레이부(1DU)의 내부에 위치한 제1좌패드영역(1LPA)과 제1우패드영역(1RPA)에 전달되어, 제1디스플레이영역(1DA)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인쇄회로기판(PCB)이 제1좌패드영역(1LPA)과 제1우패드영역(1RPA) 모두에 컨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인쇄회로기판(PCB) 역시 제1디스플레이부(1DU)의 내부에 위치하기에, 외부의 관찰자들이 대략 360도에 걸쳐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제1디스플레이영역(1DA)만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평평한 형태의 플렉서블한 제1디스플레이부(1DU)를 제조한 후 그 일부를 절곡하고 굽힘으로써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입체 형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할 시, 제1디스플레이부(1DU)가 계속해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역할을 제1인쇄회로기판(PCB)이 담당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인쇄회로기판(PCB)이 제1좌패드영역(1LPA)과 제1우패드영역(1RPA) 각각에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이방성도전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인쇄회로기판(PCB)이 제1좌패드영역(1LPA)과 제1우패드영역(1RPA) 각각에 접합되도록 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1디스플레이영역(1DA)의 굽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스캔라인(SL) 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데이터라인(DL) 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디스플레이영역(1DA)에는 제1좌단부(1LEP)에서 제1우단부(1REP)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스캔라인(SL)들이 상호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스캔라인(SL)들은 제1좌패드영역(1LPA)에 위치한 제1좌패드(LP)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디스플레이영역(1DA)에는 스캔라인(SL)들이 연장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데이터라인(DL)들도 상호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데이터라인(DL)들은 제1디스플레이영역(1DA)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가장자리, 또는 제1디스플레이영역(1DA) 외측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통과하여, 제1우패드영역(1RPA)에 위치한 제1우패드(RP)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스캔라인(SL)들과 데이터라인(DL)들은 서로 상이한 층들에 위치하여 서로 컨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좌패드(1LP)들은 스캔라인(SL)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족하기에, 스캔라인(SL)들과 동일층에 위치할 수도 있고 상이한 층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1우패드(RP)들 역시 데이터라인(DL)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족하기에, 데이터라인(DL)들과 동일층에 위치할 수도 있고 상이한 층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스캔신호 또는 데이터신호 등은 제1인쇄회로기판(PCB)에 실장되는 드라이버 IC(미도시)에서 생성되어 제1디스플레이영역(1DA)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드라이버 IC가 실장된 제1인쇄회로기판(PCB)이 제1좌패드(1LP)들 및 제1우패드(1RP)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디스플레이부(2DU) 및 제2인쇄회로기판(미도시)을 더 구비한다. 제2디스플레이부(2DU)는 제1디스플레이부(1DU)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디스플레이부(2DU)는 제2디스플레이영역(2DA), 제2좌패드영역(2LPA) 및 제2우패드영역(2RPA)을 포함한다. 제2디스플레이영역(2DA)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 이를 위해 제2디스플레이부(2DU)는 제2디스플레이영역(2DA)에 표시 소자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제2디스플레이영역(2DA) 전면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그 일부만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제2좌패드영역(2LPA)은 제2디스플레이영역(2DA)의 제2좌단부 외측에 위치하며, 제2우패드영역(2RPA)은 제2디스플레이영역(2DA)의 제2좌단부의 반대편의 제2우단부 외측에 위치한다. 제2좌패드영역(2LPA)과 제2우패드영역(2RPA)에는 제2디스플레이영역(2DA)에 인가될 외부로부터의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패드들이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디스플레이부(2DU)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굽혀진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2디스플레이영역(2DA)과 제2좌패드영역(2LPA) 사이와 제2디스플레이영역(2DA)과 제2우패드영역(2RPA) 사이 각각이 절곡된다. 그리고 제2디스플레이영역(2DA)이 굽혀져서, 제2디스플레이영역(2DA)의 제2좌단부와 제2우단부가 상호 인접하며 제2좌패드영역(2LPA)과 제2우패드영역(2RPA)이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2디스플레이부(2DU)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디스플레이부(1DU)의 (+z 방향) 상부에 위치하여, 제1디스플레이부(1DU)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제2디스플레이영역(2DA)과 제2좌패드영역(2LPA) 사이 및 제2디스플레이영역(2DA)과 제2우패드영역(2RPA) 사이 각각은 도 3에 도시된 제1디스플레이부(1DU)와 유사하게 적어도 2회에 걸쳐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좌패드영역(2LPA)의 배면(背面)과 제2디스플레이영역(2DA)의 배면이 상호 마주보고, 마찬가지로 제2우패드영역(2RPA)의 배면과 제2디스플레이영역(2DA)의 배면이 상호 마주보도록 할 수 있다. 제2인쇄회로기판은 도 3에 도시된 제1인쇄회로기판(PCB)과 유사하게, 제2좌패드영역(2LPA)과 제2우패드영역(2RPA) 모두에 대응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3차원 공간 내에서 입체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여러 공간에 위치한 관찰자들이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입체 형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제1디스플레이부(1DU)와 상이한 형상의 제2디스플레이부(2DU)를 통해, 전체적으로 다양한 입체 형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제2디스플레이영역(2DA)에는 다양한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스캔신호 또는 데이터신호 등이 제2디스플레이영역(2DA)에 인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스캔신호 또는 데이터신호 등은 드라이버 IC(미도시)에서 생성되어 제2디스플레이영역(2DA)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드라이버 IC가 제2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드라이버 IC에서의 신호가 제2인쇄회로기판을 통해 입체 형상의 제2디스플레이부(2DU)의 내부에 위치한 제2좌패드영역(2LPA)과 제2우패드영역(2RPA)에 전달되어, 제2디스플레이영역(2DA)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인쇄회로기판이 제2좌패드영역(2LPA)과 제2우패드영역(2RPA) 모두에 컨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인쇄회로기판 역시 제2디스플레이부(2DU)의 내부에 위치하기에, 외부의 관찰자들이 대략 360도에 걸쳐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제2디스플레이영역(2DA)만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평평한 형태의 플렉서블한 제2디스플레이부(2DU)를 제조한 후 그 일부를 절곡하고 굽힘으로써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입체 형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할 시, 제2디스플레이부(2DU)가 계속해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역할을 제2인쇄회로기판이 담당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인쇄회로기판이 제2좌패드영역(2LPA)과 제2우패드영역(2RPA) 각각에 접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이방성도전필름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인쇄회로기판이 제2좌패드영역(2LPA)과 제2우패드영역(2RPA) 각각에 접합되도록 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2디스플레이영역(2DA)의 굽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인쇄회로기판(PCB)이 제1디스플레이부(1DU) 내부에 위치하는 것처럼 제2인쇄회로기판 역시 제2디스플레이부(2DU) 내부에 위치하는바, 따라서 제1인쇄회로기판(PCB)과 제2인쇄회로기판이 일체(一體)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좌패드영역(2LPA)과 제2우패드영역(2RPA)이 제1좌패드영역(1LPA)과 제1우패드영역(1RPA) 상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제1인쇄회로기판(PCB)과 제2인쇄회로기판이 일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제2디스플레이부(2DU)의 경우에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1디스플레이부(1DU)에서와 마찬가지로 스캔라인들이나 데이터라인들, 스캔패드들 및 데이터패드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2디스플레이부(2DU)가 제1디스플레이부(1DU)의 (+z 방향) 상부에 위치하는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디스플레이부(2DU)를 제1디스플레이부(1DU)에 연결하는 연결부(CU)를 구비할 수 있다. 이 연결부(CU)에 의해 제1디스플레이부(1DU)와 제2디스플레이부(2DU) 사이는 사전설정된 간격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 사전설정된 간격은 예컨대 100nm 내지 수백 나노미터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물론 연결부(CU)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등, 복수개의 지점들에서 제1디스플레이부(1DU)와 제2디스플레이부(2DU)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1디스플레이부(1DU)는 제1기판을 포함하고, 제2디스플레이부(2DU)는 제2기판을 포함하며, 연결부(CU)는 제1기판과 제2기판을 연결하는 제3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기판 내지 제3기판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체일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체인 기판(100)이 제1디스플레이영역(1DA), 제2디스플레이영역(2DA), 그리고 그 사이의 사이영역을 갖고, 기판(100)의 제1디스플레이영역(1DA) 부분은 제1디스플레이부(1DU)의 일부이고, 기판(100)의 제2디스플레이영역(2DA) 부분은 제2디스플레이부(2DU)의 일부이며, 기판(100)의 사이영역은 연결부(CU)의 일부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디스플레이부(1DU)와 제2디스플레이부(2DU) 모두 디스플레이소자로서 유기발광소자를 갖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디스플레이부(1DU)와 제2디스플레이부(2DU) 각각은 디스플레이소자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기판(100) 상에 박막트랜지스터(TFT)나 커패시터(Cap)가 배치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이때 불순물이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반도체층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버퍼층(110),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반도체층과 게이트전극을 절연시키기 위한 게이트절연막(130),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소스전극/드레인전극과 게이트전극을 절연시키기 위한 층간절연막(150) 및 박막트랜지스터(TFT)를 덮으며 상면이 대략 평평한 평탄화막(170) 등이나 다른 구성요소들이 기판(100) 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층상 구조 상에는 화소전극(210), 대향전극(250), 그리고 이들 사이에 개재되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230)을 갖는 유기발광소자가 위치할 수 있다. 물론 화소전극(210)의 가장자리를 덮는 화소정의막(180) 역시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CU)는 유기발광소자와 같은 디스플레이소자를 갖지 않으며,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트랜지스터(TFT)나 커패시터(Cap) 역시 갖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부(CU)는 기판(100) 외에 버퍼층(110)이나 게이트절연막(130)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연결부(CU)는 필요에 따라 층간절연막(150)이나 다른 절연층 등도 구비할 수 있으며, 제1디스플레이부(1DU)와 제2디스플레이부(2DU)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그러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배선 역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디스플레이부(1DU), 제2디스플레이부(2DU) 및 연결부(CU)를 갖는 입체 형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할 시에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중간생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처음부터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입체 형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평한 형태의 플렉서블한 제1디스플레이부(1DU), 제2디스플레이부(2DU)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CU)를 제조한 후 그 일부를 절곡하고 굽힘으로써, 제1디스플레이영역(1DA)의 제1좌단부(1LEP)와 제1우단부(1REP)가 상호 인접하도록 하고 제2디스플레이영역(2DA)의 제2좌단부(2LEP)와 제2우단부(2REP)가 상호 인접하도록 하여,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입체 형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소자 등을 형성하는 과정이 종래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과 크게 차이가 없기에, 용이한 제조방법으로 입체 형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중간생성물을 형성함에 있어서도, 처음부터 제1디스플레이부(1DU)와 제2디스플레이부(2DU)를 이격시킨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디스플레이부(1DU)와 제2디스플레이부(2DU) 사이에 이격공간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로 형성한 후, 제1디스플레이부(1DU)와 제2디스플레이부(2DU) 사이에서 연결부(CU)가 될 부분을 제외한 잔여부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기판(100)을 포함한 구성요소들을 모두 제거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중간생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이저 제거법(LAT; laser ablation technology)을 이용함에 따라 제1디스플레이부(1DU)와 제2디스플레이부(2DU) 사이의 간격은 예컨대 100nm 내지 수백 나노미터로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1디스플레이부(1DU)와 제2디스플레이부(2DU), 즉 총 2개의 디스플레이부들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4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디스플레이부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들의 위치는 지그재그 형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최하단의 디스플레이부를 제1디스플레이부라고 하고 최상단의 디스플레이부를 제4디스플레이부라고 하며, 제1디스플레이부와 제4디스플레이부 사이에 제2디스플레이부와 제3디스플레이부가 위치하되 제2디스플레이부가 제3디스플레이부보다 제1디스플레이부에 인접하여 위치한다고 할 시, 제1디스플레이부와 제2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와 제3디스플레이부와 제4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잇는 제2디스플레이부와 제3디스플레이부 상의 가상의 최단거리 라인(geodesic line)을 고려하면, 제2디스플레이부와 제3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는 제3연결부는 그 가상의 최단거리 라인 상에 위치하지 않고 다른 곳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입체 형상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DU: 제1디스플레이부 1DA: 제1디스플레이영역
1REP: 제1우단부 1RPA: 제1우패드영역
1RP: 제1우패드 1LEP: 제1좌단부
1LPA: 제1좌패드영역 1LP: 제1좌패드
2DU: 제2디스플레이부 2DA: 제2디스플레이영역
2REP: 제2우단부 2RPA: 제2우패드영역
2RP: 제2우패드 2LEP: 제2좌단부
2LPA: 제2좌패드영역 2LP: 제2좌패드
100: 기판 110: 버퍼층
130: 게이트절연막 150: 층간절연막
170: 평탄화막 180: 화소정의막
210: 화소전극 230: 중간층
250: 대향전극

Claims (14)

  1. 제1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의 제1좌단부 외측에 위치한 제1좌패드영역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1좌단부의 반대편의 제1우단부 외측에 위치한 제1우패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제1좌패드영역 사이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제1우패드영역 사이 각각이 절곡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이 굽혀져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1좌단부와 상기 제1우단부가 상호 인접하며 상기 제1좌패드영역과 상기 제1우패드영역이 내측에 위치하는, 제1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좌패드영역과 상기 제1우패드영역 모두에 대응하는, 제1인쇄회로기판;
    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좌패드영역의 배면(背面)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의 배면이 상호 마주보고, 상기 제1우패드영역의 배면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의 배면이 상호 마주보도록,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제1좌패드영역 사이와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제1우패드영역 사이 각각이 절곡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좌패드영역과 상기 제1우패드영역 모두에 컨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1좌패드영역과 상기 제1우패드영역 각각에 접합되어,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의 굽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2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영역의 제2좌단부 외측에 위치한 제2좌패드영역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2좌단부의 반대편의 제2우단부 외측에 위치한 제2우패드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제2좌패드영역 사이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제2우패드영역 사이 각각이 절곡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영역이 굽혀져서 상기 제2디스플레이영역의 상기 제2좌단부와 상기 제2우단부가 상호 인접하며 상기 제2좌패드영역과 상기 제2우패드영역이 내측에 위치하는, 제2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2좌패드영역과 상기 제2우패드영역 모두에 대응하는, 제2인쇄회로기판;
    을 더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좌패드영역의 배면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영역의 배면이 상호 마주보고, 상기 제2우패드영역의 배면과 상기 제2디스플레이영역의 배면이 상호 마주보도록, 상기 제2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제2좌패드영역 사이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영역과 상기 제2우패드영역 사이 각각이 절곡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2좌패드영역과 상기 제2우패드영역 모두에 컨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2좌패드영역과 상기 제2우패드영역 각각에 접합되어, 상기 제2디스플레이영역의 굽혀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은 일체(一體)인,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는 제1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이한 위치에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플레이부는 제1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부는 제2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연결하는 제3기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 내지 상기 제3기판은 일체인,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좌패드영역에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 내의 스캔라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좌패드들이 배치되고, 상기 제1우패드영역에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영역 내의 데이터라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우패드들이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53263A 2015-11-02 2015-11-02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39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263A KR102339282B1 (ko) 2015-11-02 2015-11-02 디스플레이 장치
US15/255,026 US9992897B2 (en) 2015-11-02 2016-09-01 Display device
CN201610952494.2A CN106653801B (zh) 2015-11-02 2016-11-02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263A KR102339282B1 (ko) 2015-11-02 2015-11-02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840A KR20170051840A (ko) 2017-05-12
KR102339282B1 true KR102339282B1 (ko) 2021-12-15

Family

ID=58635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263A KR102339282B1 (ko) 2015-11-02 2015-11-02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92897B2 (ko)
KR (1) KR102339282B1 (ko)
CN (1) CN1066538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962B1 (ko) 2016-09-02 2020-06-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8480A (ja) 2008-06-24 2010-01-14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8123B1 (en) * 1996-03-15 2004-05-18 Canon Kabushiki Kaisha Drive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including a substrate, circuit board, and semiconductor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connection structure
US20040217702A1 (en) 2003-05-02 2004-11-04 Garner Sean M. Light extraction design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KR20080035905A (ko) * 2006-10-20 2008-04-2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07415B1 (ko) * 2008-01-18 2009-07-1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8077235B2 (en) 2008-01-22 2011-12-13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Addressing of a three-dimensional, curved sensor or display back plane
KR101213494B1 (ko) 2010-05-12 2012-1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형 표시장치,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상기 표시장치들의 제조방법
KR101212172B1 (ko) * 2012-07-31 2012-12-13 한국기계연구원 표시 장치
KR101971201B1 (ko) * 2012-08-20 2019-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면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1969953B1 (ko) 2012-09-11 2019-04-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57583B1 (ko) * 2012-10-08 2019-12-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005484B1 (ko) 2012-12-05 2019-07-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95013B1 (ko) * 2013-04-11 2020-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장치
KR102109140B1 (ko) * 2013-04-12 2020-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조작 방법
KR102018741B1 (ko) * 2013-06-03 2019-09-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2132464B1 (ko) 2013-06-07 2020-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80008B1 (ko) 2013-07-12 2020-0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293730B2 (en) 2013-10-15 2016-03-22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50533B1 (ko) * 2013-11-21 2020-09-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270241B1 (ko) * 2013-12-27 2021-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241557B1 (ko) * 2014-09-22 2021-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33188B1 (ko) * 2014-10-29 2021-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83737B1 (ko) * 2015-04-01 2022-04-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12783B1 (ko) * 2015-04-06 2021-10-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8480A (ja) 2008-06-24 2010-01-14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53801A (zh) 2017-05-10
US9992897B2 (en) 2018-06-05
CN106653801B (zh) 2022-03-04
KR20170051840A (ko) 2017-05-12
US20170127546A1 (en)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363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85410B1 (ko) 가요성 기판을 위한 신호 트레이스 패턴
KR101998718B1 (ko) 벤딩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와이어들을 구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6736379B2 (ja) 表示装置
KR101195688B1 (ko) 플렉시블 기판 및 전기 회로 구조체
JP6732562B2 (ja) 表示装置
US9485857B2 (en)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7004774A (zh) 具有耐腐蚀印刷电路膜的柔性显示装置
CN107004698A (zh) 具有包括圆化边缘的支承层的柔性显示装置
KR20180047586A (ko) 인-셀 터치 폴더블 표시 장치
KR20170041815A (ko) 벤딩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와이어들을 구비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9954049B2 (en) Circular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1452207B2 (en) Flexible circuit film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14129272A1 (ja) 表示装置
KR101348756B1 (ko) 필름-칩 복합체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20140240650A1 (en) Display device
KR10233928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79901A (ko)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KR10254217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05478A (ko) 표시 장치
US20160195967A1 (en) Display device
KR20160006996A (ko) 원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20354B1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US11246219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4850589B2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