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533B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533B1
KR102150533B1 KR1020130142545A KR20130142545A KR102150533B1 KR 102150533 B1 KR102150533 B1 KR 102150533B1 KR 1020130142545 A KR1020130142545 A KR 1020130142545A KR 20130142545 A KR20130142545 A KR 20130142545A KR 102150533 B1 KR102150533 B1 KR 102150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bending
alignment key
flexible substrat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9048A (ko
Inventor
양희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2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533B1/ko
Priority to US14/547,488 priority patent/US9490215B2/en
Publication of KR20150059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e.g. registration marks, alignment structures, wafer ma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4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using layers with different mechanical or chemical conditions or properties, e.g. layers with different thermal shrinkage, layers under tension during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25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constructional features of devices for tensioning, stretching or registration
    • B32B38/1833Positioning, e.g. registration or center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2Luminescent, fluorescent, phosphores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2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comprising non digital, non alphanumeric information, e.g. symb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26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for align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3/00Details relating to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covered by the group H01L23/00
    • H01L22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 H01L2223/54473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for use after dicing
    • H01L2223/54486Located on package parts, e.g. encapsulation, leads, package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51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by f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플렉서블 기판은 제1 영역, 제1 영역의 일 측으로부터 굽어진 형태로 연장되는 제1 벤딩 영역, 제1 벤딩 영역의 일 측으로부터 굽어진 형태로 연장되어 제1 벤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마주하는 제2 벤딩 영역, 및 제2 벤딩 영역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마주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한다. 배선은 플렉서블 기판의 제1 영역에 형성된 표시부와 플렉서블 기판의 제2 영역에 형성된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플렉서블 기판의 제1 영역, 제1 벤딩 영역, 제2 벤딩 영역 및 제2 영역에 형성된다. 제1 영역 및 제1 벤딩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제1 얼라인 키가 형성되고, 제1 얼라인 키에 대응하도록 제2 영역 및 제2 벤딩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제2 얼라인 키가 형성된다.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됨에 따라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된 배선도 벤딩된다. 벤딩되는 배선에서는 크랙이 발생할 수 있어 이러한 크랙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될 방향을 고려하여 배선의 형상이 설계된다. 그러나,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될 방향을 고려하여 배선의 형상이 설계되더라도, 플렉서블 기판이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정확하게 벤딩되지 않으면, 배선에서의 크랙 발생은 최소화될 수 없다. 따라서,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가 서로 대응되도록 플렉서블 기판을 벤딩함으로써, 플렉서블 기판을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정확하게 벤딩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배선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이 최소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MIT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렉서블 기판을 정확히 벤딩(bending)하여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된 배선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crack)을 최소화하기 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플렉서블(flexible) 소재인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기판에 표시부, 배선 등을 형성하여, 기판의 일부가 종이처럼 휘어져도 화상 표시가 가능하게 제조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컴퓨터의 모니터 및 TV 뿐만 아니라 개인 휴대 기기까지 그 적용 범위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넓은 표시 면적을 가지면서도 감소된 부피 및 무게를 갖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와 달리 별도의 광원부가 필요하지 않는 자발광 표시 장치이다. 따라서, 유기 발광표시 장치에 플렉서블 기판을 사용하여, 휘어지기 쉽고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구현이 가능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조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특허출원번호 제 10-2009-0125017 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되는 경우, 플렉서블 기판의 벤딩되는 영역인 벤딩 영역에 스트레스가 가해진다. 특히, 플렉서블 기판이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벤딩되지 않고 벤딩 방향이 틀어지는 경우, 벤딩 영역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보다 증가하여, 벤딩 영역에 형성된 배선의 크랙이 보다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의 크랙에 기인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불량률을 최소화하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플렉서블 기판을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정확히 벤딩하기 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발명하였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되는 경우, 벤딩 영역에 형성된 배선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최소화하기 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된 상태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플렉서블 기판은 제1 영역, 제1 영역의 일 측으로부터 굽어진 형태로 연장되는 제1 벤딩 영역, 제1 벤딩 영역의 일 측으로부터 굽어진 형태로 연장되어 제1 벤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마주하는 제2 벤딩 영역, 및 제2 벤딩 영역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마주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한다. 배선은 플렉서블 기판의 제1 영역에 형성된 표시부와 플렉서블 기판의 제2 영역에 형성된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플렉서블 기판의 제1 영역, 제1 벤딩 영역, 제2 벤딩 영역 및 제2 영역에 형성된다. 제1 영역 및 제1 벤딩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제1 얼라인 키가 형성되고, 제1 얼라인 키에 대응하도록 제2 영역 및 제2 벤딩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제2 얼라인 키가 형성된다.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됨에 따라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된 배선도 벤딩된다. 벤딩되는 배선에서는 크랙이 발생할 수 있어 이러한 크랙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될 방향을 고려하여 배선의 형상이 설계된다. 그러나,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될 방향을 고려하여 배선의 형상이 설계되더라도, 플렉서블 기판이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정확하게 벤딩되지 않으면, 배선에서의 크랙 발생은 최소화될 수 없다. 따라서,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가 서로 대응되도록 플렉서블 기판을 벤딩함으로써, 플렉서블 기판을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정확하게 벤딩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배선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플렉서블 기판을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벤딩하기 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은 플렉서블 기판을 스테이지에 고정시키는 단계, 플렉서블 기판의 제1 벤딩 영역과 제2 벤딩 영역을 벤딩하는 단계, 클램프(clamp)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기판의 제2 영역을 클램핑(clamping)하는 단계, 스테이지 또는 클램프를 이동시켜, 카메라를 통해 플렉서블 기판에 형성된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를 매칭시키는 단계, 및 플렉서블 기판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가 서로 매칭됨으로써, 플렉서블 기판이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정확히 벤딩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된 상태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되기 전 상태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c는 바 형상의 얼라인 키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된 상태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d는 바 형상의 얼라인 키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되기 전 상태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e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는 얼라인 키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된 상태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f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는 얼라인 키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되기 전 상태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부와 제1 얼라인 키 및 제2 얼라인 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1a의 IIa-IIa’-IIa’’-II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b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부와 제1 얼라인 키 및 제2 얼라인 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1b의 IIb-IIb’-IIb’’-II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1b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과 제1 얼라인 키 및 제2 얼라인 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1b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뒤집어 그 배면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별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된 상태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되기 전 상태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A)는 플렉서블 기판(110A), 표시부(111A), 패드부(112A), 배선부(113A), 제1 얼라인 키(114A, 114A’), 및 제2 얼라인 키(115A, 115A’)를 포함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렉서블 기판(110A)이 벤딩됨으로써,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정확하게 벤딩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A)가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벤딩이라 함은, 도1a 및 도1b를 참조하면, 제1 영역(A1), 제1 벤딩 영역(BA1), 제2 벤딩 영역(BA2) 및 제2 영역(A2)을 포함하고 XY평면상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기판(100A)에서 X축 양의 방향에 위치하던 일 측이 X축 양의 방향에서 Z축 음의 방향을 거쳐 점점 X축 음의 방향을 향해 굽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플렉서블 기판(100A)이 벤딩되면,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의 경계를 기준으로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가 서로 대칭된다. 또한, 특정 방향으로 플렉서블 기판(100A)을 벤딩할 때, 이러한 특정 방향이 벤딩 방향으로 지칭된다.
플렉서블 기판(110A)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A)의 여러 엘리먼트들을 지지하기 위한 기판이며, 벤딩이 가능하도록 유연성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기판(110A)은 제1 영역(A1), 제1 영역(A1)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벤딩 영역(BA1), 제1 벤딩 영역(BA1)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벤딩 영역(BA2), 및 제2 벤딩 영역(BA2)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영역(A2)을 포함한다. 제1 영역(A1)의 일 측, 제1 벤딩 영역(BA1)의 일 측, 및 제2 벤딩 영역(BA2)의 일 측은 서로 평행한다.
플렉서블 기판(110A) 일 면의 제1 영역(A1)에 표시부(111A)가 형성되고, 제2 영역(A2)에는 패드부(112A)가 형성된다. 표시부(111A)와 패드부(112A)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부(113A)가 제1 영역(A1), 제1 벤딩 영역(BA1), 제2 벤딩 영역(BA2) 및 제2 영역(A2)에 형성되며, 배선부(113A)는 복수의 배선들로 구성된다.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에 형성된 배선부(113A)는 제1 영역(A1)의 일 측과 수직하는 벤딩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렉서블 기판(110A)이 벤딩됨으로써,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이 굽어지고, 제2 영역(A2)이 제1 영역(A1)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하게 된다. 도 1b에서 표시부(111A)와 동일한 면에 형성된 패드부(112A)는, 플렉서블 기판(110A)이 벤딩됨에 따라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Z축의 음의 방향을 향하게 된다.
플렉서블 기판(110A)의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의 폭이 작을 수록, 즉, 도 1b에 도시된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의 X축 방향의 길이가 작을수록, 플렉서블 기판(110A)이 벤딩될 때, 제1 벤딩 영역(BA1)과 제2 벤딩 영역(BA2)에 의한 곡률 반경이 작아진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기판(110A)의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의 폭이 수 mm 이하인 경우에는, 플렉서블 기판(110A)이 벤딩되어 플렉서블 기판(110A)이 실질적으로 접힌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제1 얼라인 키(114A, 114A’)는 제1 영역(A1) 및 제1 벤딩 영역(BA1) 중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된 얼라인 키이고, 제2 얼라인 키(115A, 115A’)는, 제1 얼라인 키(114A, 114A’)에 대응하도록, 제2 영역(A2) 및 제2 벤딩 영역(BA2) 중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된 얼라인 키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제1 얼라인 키(114A, 114A’)는 제1 영역(A1)에 형성되고, 제2 얼라인 키(115A, 115A’)는 제2 영역(A2)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 얼라인 키(114A, 114A’)는 제1 벤딩 영역(BA1)에 형성되고, 제2 얼라인 키(115A, 115A’)는 제2 벤딩 영역(BA2)에 형성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기판(110A)가 벤딩되기 전 상태에서 제1 얼라인 키(114A, 114A’) 및 제2 얼라인 키(115A, 115A’)가 서로 대응한다는 것은, 도 1b를 참조하면, 제1 얼라인 키(114A, 114A’) 및 제2 얼라인 키(115A, 115A’)의 위치가 제1 벤딩 영역(BA1)과 제2 벤딩 영역(BA2) 사이의 경계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1 벤딩 영역(BA1)과 제2 벤딩 영역(BA2) 사이의 경계를 기준으로 대칭된다는 것은, 제1 얼라인 키(114A, 114A’) 및 제2 얼라인 키(115A, 115A’)의 중심이 제1 벤딩 영역(BA1)과 제2 벤딩 영역(BA2) 사이의 경계로부터 동일 거리만큼 이격된 것을 의미한다.
플렉서블 기판(110A)이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정확하게 벤딩된 상태에서 제1 얼라인 키(114A, 114A’) 및 제2 얼라인 키(115A, 115A’)가 서로 대응한다는 것은, 도 1a를 참조하면, 제1 얼라인 키(114A, 114A’) 및 제2 얼라인 키(115A, 115A’)가 서로 대향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1 얼라인 키(114A, 114A’) 및 제2 얼라인 키(115A, 115A’)가 서로 대향한다는 것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얼라인 키(114A, 114A’)의 위(U, U’)에서 카메라 등과 같은 촬상 장치(C, C’) 를 통해 제1 얼라인 키(114A, 114A’)를 촬영하였을 때, 제2 얼라인 키(115A, 115A’)가 제1 얼라인 키(114A, 114A’)와 중첩되는 것으로 촬영되는 것을 의미하거나, 제2 얼라인 키(115A, 115A’)의 아래(D, D’)에서 제2 얼라인 키(115A, 115A’)를 촬영하였을 때, 제1 얼라인 키(114A, 114A’)가 제2 얼라인 키(115A, 115A’)와 중첩되는 것으로 촬영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제1 얼라인 키(114A, 114A’)의 중심과 제2 얼라인 키(115A, 115A’)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UD, U’D’)은 플렉서블 기판(110A)의 제1 영역(A1) 또는 제2 영역(A2)에 수직한다.
제1 얼라인 키(114A, 114A’) 및 제2 얼라인 키(115A, 115A’)의 중첩된 모습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C)의 화면(D)을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O’ 모양의 제1 얼라인 키(114A, 114A’)와 ‘+’ 모양의 제2 얼라인 키(115A, 115A’)가 서로 대향하면, 제1 얼라인 키(114A, 114A’)의 위(U, U’)에서 카메라 등과 같은 촬상 장치(C, C’)를 통해 제1 얼라인 키(114A, 114A’)를 촬영하였을 때, ‘O’ 모양의 제1 얼라인 키(114A, 114A’)와 ‘+’ 모양의 제2 얼라인 키(115A, 115A’)가 중첩되어, ‘O’ 모양의 제1 얼라인 키(114A, 114A’) 안에 ‘+’ 모양의 제2 얼라인 키(115A, 115A’)가 위치한 것처럼 시인된다.
제1 얼라인 키(114A, 114A’) 또는 제2 얼라인 키(115A, 115A’)를 촬영한다는 것은 가시광선 파장대뿐만 아니라, 다른 파장대를 통해 촬영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얼라인 키(114A, 114A’)와 제2 얼라인 키(115A, 115A’)의 사이 또는 그 상하부에 불투명한 부재가 위치하더라도 제1 얼라인 키(114A, 114A’)와 제2 얼라인 키(115A, 115A’)가 촬영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기판(110A)의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이 X축 양의 방향으로 벤딩되는 경우,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에서 X축 양의 방향으로 가장 큰 스트레스가 가해진다. 즉, 플렉서블 기판(110A)의 벤딩 방향으로 가장 큰 스트레스가 가해진다. 따라서, 만약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에 형성된 배선부(113A)의 배선들이 X축 양의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연장되는 경우에는, 플렉서블 기판(110A)의 X축 양의 방향으로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배선에도 그대로 가해져, 배선부(113A)에서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배선부(113A)에서의 크랙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배선의 형상은 플렉서블 기판(110A)의 벤딩 방향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선이 플렉서블 기판(110A)의 벤딩 방향에 대해 사선으로 연장되는 경우에는, 플렉서블 기판(110A)의 벤딩 방향으로 가해지는 스트레스의 일부만이 배선에 전달되어, 배선부(113A)에서의 크랙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배선은 플렉서블 기판(110A)의 벤딩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기판(110A)의 제1 벤딩 영역(BA1)과 제2 벤딩 영역(BA2) 형성된 배선부(113A)는 지그재그 형상의 배선을 포함하거나, 마름모 형상의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배선부(113A)의 배선의 형상이 플렉서블 기판(110A)의 벤딩 방향을 고려하여 설계되더라도, 플렉서블 기판(110A)이 의도된 벤딩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벤딩되면, 배선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최소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배선부(113A)에서의 크랙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플렉서블 기판(110A)이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정확하게 벤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A)에서는,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제1 얼라인 키(114A, 114A’) 및 제2 얼라인 키(115A, 115A’)를 통해, 플렉서블 기판(110A)이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정확하게 벤딩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110A)이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정확하게 벤딩됨으로써, 제1 벤딩 영역(BA1)과 제2 벤딩 영역(BA2)에 형성된 배선에서의 크랙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크랙 발생이 최소화됨에 따라, 크랙에 기인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A)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110A)이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정확하게 벤딩될 수 있도록, 제1 얼라인 키(114A, 114A’) 및 제2 얼라인 키(115A, 115A’)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O’ 및 ‘+’ 모양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c는 바 형상의 얼라인 키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된 상태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d는 바 형상의 얼라인 키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되기 전 상태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c 및 도 1d를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C)는 플렉서블 기판(110C), 표시부(111C), 패드부(112C), 배선부(113C), 및 바 형상의 얼라인 키(116C, 116C’)를 포함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렉서블 기판(110C)이 벤딩됨으로써,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정확하게 벤딩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C)가 형성된다.
도 1c 및 도 1d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C)는 도 1a 및 도 1b에서 설명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A)와 제1 얼라인 키 및 제2 얼라인 키의 형상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d를 참조하면, 바 형상의 얼라인 키(116C, 116C’)는 제1 얼라인 키(117C, 117C’) 및 제2 얼라인 키(118C, 118C’)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바 형상의 얼라인 키에서 제1 영역(A1) 및 제1 벤딩 영역(BA1)에 형성된 얼라인 키는 제1 얼라인 키(117C, 117C’)를 의미하고, 제2 영역(A2) 및 제2 벤딩 영역(BA2)에 형성된 얼라인 키는 제2 얼라인 키(118C, 118C’)를 의미한다.
플렉서블 기판(110C)이 벤딩되면, 벤딩되는 플렉서블 기판(110C)을 따라 바 형상의 얼라인 키(116C, 116C’)도 벤딩된다. 플렉서블 기판(110C)이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정확하게 벤딩된 경우에,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상의 얼라인 키(116C, 116C’)의 위(U, U’)에서 카메라 등과 같은 촬상 장치(C, C’) 를 통해 벤딩된 바 형상의 얼라인 키(116C, 116C’)를 촬영하면, 벤딩된 바 형상의 얼라인 키(116C, 116C’)가 어긋나지 않고 완전히 중첩되어 하나의 바를 형성한 모습이 시인되게 된다.
한편, 바 형상의 얼라인 키(116C, 116C’)는 도 1d에서 제1 영역(A1), 제1 벤딩 영역(BA1), 제2 벤딩 영역(BA2) 및 제2 영역(A2)에 걸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 벤딩 영역(BA1)과 제2 벤딩 영역(BA2)에서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e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는 얼라인 키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된 상태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f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는 얼라인 키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되기 전 상태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e 및 도 1f를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E)는 플렉서블 기판(110E), 표시부(111E), 패드부(112E), 배선부(113E), 제1 얼라인 키(119E, 119E’), 및 제2 얼라인 키(120E, 120E’)를 포함한다.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렉서블 기판(110E)이 벤딩됨으로써,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정확하게 벤딩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E)가 형성된다.
도 1e 및 도 1f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E)는 도 1c 및 도 1d에서 설명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C)와 제1 얼라인 키 및 제2 얼라인 키의 형상이 상이할 뿐, 다른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f를 참조하면, 제1 얼라인 키(119E, 119E’)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고, 제2 얼라인 키(120E, 120E’)는 제1 얼라인 키(119E, 119E’)의 복수의 패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얼라인 키(120E, 120E’)가 제1 얼라인 키(119E, 119E’)의 복수의 패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함은, 플렉서블 기판(110E)이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정확하게 벤딩된 상태에서 제1 얼라인 키(119E, 119E’)의 위(U, U’)에서 카메라 등과 같은 촬상 장치(C, C’) 를 통해 제1 얼라인 키(119E, 119E’)를 촬영하였을 때, 제2 얼라인 키(120E, 120E’)가 제1 얼라인 키(119E, 119E’)와 중첩되는 것으로 촬영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e 및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얼라인 키(119E, 119E’)는 복수의 사각형들로 이루어지고, 제2 얼라인 키(120E, 120E’)는 제1 얼라인 키(119E, 119E’)의 복수의 사각형들과 대응하도록, 라인으로 이루어진 경우, 플렉서블 기판(110E)이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정확하게 벤딩되면,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얼라인 키(119E, 119E’) 및 제2 얼라인 키(120E, 120E’)가 중첩되어 제1 얼라인 키(119E, 119E’)의 복수의 사각형들 사이에 라인인 제2 얼라인 키(120E, 120E’)가 위치한 것으로 시인되게 된다.
도 1e 및 도 1f에서는 제2 얼라인 키(120E, 120E’)가 제1 얼라인 키(119E, 119E’)의 복수의 사각형들과 대응하는 라인으로 도시되었으나, 제2 얼라인 키(120E, 120E’)는 제1 얼라인 키(119E, 119E’)의 복수의 사각형들과 대응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얼라인 키(120E, 120E’)가 ‘+’가 일렬로 나열된 형상을 갖는 경우, 플렉서블 기판(110E)이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정확하게 벤딩되면, 제1 얼라인 키(119E, 119E’)의 복수의 사각형들 사이마다 ‘+’가 중첩되어 시인될 수 있다.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부와 제1 얼라인 키 및 제2 얼라인 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1a의 IIa-IIa’-IIa’’-II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b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부와 제1 얼라인 키 및 제2 얼라인 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1b의 IIb-IIb’-IIb’’-II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A)는 플렉서블 기판(210A), 표시부(211A), 제1 얼라인 키(214A), 및 제2 얼라인 키(215A)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A)의 표시부(211A)는 버퍼층(230A), 박막 트랜지스터(231A), 게이트 절연층(240A), 층간 절연층(250A), 오버 코팅층(260A), 유기 발광 표시 소자(261A) 및 봉지층(270A)을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렉서블 기판(210A)이 벤딩됨으로써,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정확하게 벤딩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A)가 형성된다.
플렉서블 기판(210A) 상에 버퍼층(230A)이 형성된다. 버퍼층(230A)은 플렉서블 기판(210A)을 통한 수분 또는 불순물의 침투를 방지한다. 다만, 버퍼층(230A)은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니다. 버퍼층(230A)의 채택 여부는, 플렉서블 기판(210A)의 종류나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A)에서 사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231A)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버퍼층(230A)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11A)로부터 제1 얼라인 키(214A)가 형성된 제1 영역(A1), 제1 벤딩 영역(BA1), 제2 벤딩 영역(BA2), 및 제2 얼라인 키(215A)가 형성된 제2 영역(A2)으로 연장된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버퍼층(230A)이 제1 벤딩 영역(BA1)과 제2 벤딩 영역(BA2)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플렉서블 기판(210A)의 벤딩이 용이하도록, 제1 벤딩 영역(BA1)과 제2 벤딩 영역(BA2)에는 버퍼층(230A)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231A)는 액티브층(232A), 게이트 전극(233A), 소스 전극(234A) 및 드레인 전극(235A)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A)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박막 트랜지스터 중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31A)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231A)가 코플래너(coplanar) 구조인 것으로 설명하나, 인버티드 스태거드(inverted staggered)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도 사용될 수 있다.
버퍼층(230A) 상에 액티브층(232A)이 형성된다. 버퍼층(230A)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액티브층(232A)은 플렉서블 기판 상에 바로 형성될 수 있다. 액티브층(232A)은 박막 트랜지스터(231A)의 채널이 형성되는 채널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액티브층(232A) 상에 게이트 절연층(240A)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층(240A)은 액티브층(232A)과 게이트 전극(233A)을 절연시킨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게이트 절연층(240A)이 액티브층(232A)과 버퍼층(230A) 상에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게이트 절연층(240A)은 액티브층(232A)과 게이트 전극(233A)을 절연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액티브층(232A) 상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게이트 절연층(240A)은 액티브층(232A)의 일부 영역을 개구시키는 컨택홀을 갖도록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층(240A) 상에는 게이트 전극(233A)이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233A)은 액티브층(232A)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고, 특히, 액티브층(232A)의 채널 영역과 중첩된다.
게이트 전극(233A) 상에 층간 절연층(250A)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층(250A)은 플렉서블 기판(210A) 전면 상에 형성되고, 액티브층(232A)의 일부 영역을 개구시키는 컨택홀을 갖도록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층(240A) 상에 소스 전극(234A) 및 드레인 전극(235A)이 형성되고, 소스 전극(234A)과 드레인 전극(235A) 각각은 게이트 절연층(240A) 및 층간 절연층(250A)의 컨택홀을 통해 액티브층(23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박막 트랜지스터(231A) 상에 오버 코팅층(260A)이 형성된다. 오버 코팅층(260A)은 플렉서블 기판(210A)의 상부를 평탄화하는 층으로서, 평탄화막으로 기능한다. 오버 코팅층(260A)은 소스 전극(234A) 또는 드레인 전극(235A)을 노출시키는 컨택홀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231A)가 p-type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므로, 오버 코팅층(260A)은 드레인 전극(235A)을 노출시키는 컨택홀을 갖는다.
제1 얼라인 키(214A)와 제2 얼라인 키(215A)는 서로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제1 얼라인 키(214A)와 제2 얼라인 키(215A) 각각이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얼라인 키(214A)와 제2 얼라인 키(215A)는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된다. 제1 얼라인 키(214A)와 제2 얼라인 키(215A)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절연층 상에 형성된다. 제1 얼라인 키(214A)와 제2 얼라인 키(215A)는 게이트 전극(233A), 또는 소스 전극(234A) 및 드레인 전극(235A)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제1 얼라인 키(214A)와 제2 얼라인 키(215A)가 게이트 전극(233A)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제1 얼라인 키(214A)와 제2 얼라인 키(215A)는 동일한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게이트 전극(233A)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가 장비나 공정 없이 제1 얼라인 키(214A) 및 제2 얼라인 키(215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제1 얼라인 키(214A) 및 제2 얼라인 키(215A)가 게이트 전극(233A)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얼라인 키(214A) 및 제2 얼라인 키(215A)는 소스 전극(234A) 및 드레인 전극(235A)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얼라인 키(214A)와 제2 얼라인 키(215A)는 다른 물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제1 얼라인 키(214A) 또는 제2 얼라인 키(215A)는 플렉서블 기판(210A), 버퍼층(230A), 및 봉지층(270A)과 같은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오버 코팅층(260A) 상에는 애노드(262A), 뱅크층(263A), 유기 발광층(264A) 및 캐소드(265A)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261A)가 형성된다.
오버 코팅층(260A) 상에 애노드(262A)가 형성된다. 애노드(262A)는 정공(hole)을 공급하여야 하므로 일함수(work function)가 높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한다. 애노드(262A)는 일함수가 높은 투명 도전층을 포함하고, 투명 도전층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A)가 탑 에미션(top emission)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 애노드(262A)는 투명 도전층 하부에 형성되는 반사층을 포함한다. 반사층은 유기 발광층(264A)에서 발광되는 빛 중 유기 발광층(264A) 하부로 발광하는 빛을 반사하여 유기 발광층(264A) 상부로 향하게 한다. 반사층은 반사율이 우수한 도전층으로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상부로 방출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의미한다.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된 빛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기판의 상면 방향으로 방출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애노드(262A)가 투명 도전층 및 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며, 이에, 도 2a 및 도 2b에서는 애노드(262A)가 투명 도전층 및 반사층을 포함하는 하나의 층으로 도시되었다.
애노드(262A)는 오버 코팅층(260A)의 컨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231A)의 드레인 전극(235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애노드(262A) 및 오버 코팅층(260A) 상에는 뱅크층(263A)이 형성된다. 뱅크층(263A)은 애노드(262A) 의 일부를 개구시킨다.
애노드(262A) 상에 유기 발광층(264A)이 형성된다. 유기 발광층(264A)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이거나, 백색광을 발광하는 백색 유기 발광층일 수 있다.
유기 발광층(264A) 상에는 캐소드(265A)가 형성된다. 캐소드(265A)는 전자(electron)를 공급하여야 하므로 일함수가 낮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다. 캐소드(265A)는 패터닝되지 않고, 유기 발광층(264A) 상에서 하나의 층으로 형성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A)가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 캐소드(265A)는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투명하게 될 수 있다.
캐소드(265A) 상에는 유기 발광 소자(261A)를 커버하는 밀봉 부재로서 봉지층(270A)이 형성된다. 봉지층(270A)은 박막 트랜지스터(231A)와 유기 발광 소자(261A) 등과 같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A)의 내부 엘리먼트들을 외부 수분 침투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봉지층(270A)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얼라인 키(214A)를 커버할 수 있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봉지층(270A)이 제1 얼라인 키(214A)까지 커버할 수 있는 위치까지 연장됨으로써, 봉지층(270A)이 플렉서블 기판(210A)의 외곽 부분까지 커버하여, 외수 수분 침투 등으로부터의 보호를 보다 강화할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2b에서는 봉지층(270A)이 제1 얼라인 키(214A)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봉지층(270A)은 박막 트랜지스터(231A) 및 유기 발광 소자(261A)까지만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A)의 내부 엘리먼트들을 외부 수분 침투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버퍼층(230A)은 제1 얼라인 키(214A) 및 제2 얼라인 키(215A)가 형성된 영역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버퍼층(230A) 은 제1 얼라인 키(214A) 및 제2 얼라인 키(215A)가 형성된 영역까지 연장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얼라인 키(214A) 및 제2 얼라인 키(215A)는 플렉서블 기판(210A)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게이트 절연층(240A), 층간 절연층(250A), 오버 코팅층(260A), 및 뱅크층(263A)이 제1 얼라인 키(214A)가 형성된 영역까지는 연장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게이트 절연층(240A), 층간 절연층(250A), 오버 코팅층(260A), 및 뱅크층(263A)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얼라인 키(214A)가 형성된 영역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얼라인 키(214A)는 게이트 절연층(240A) 상에 형성될 수도 있고, 층간 절연층(250A)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A)는 보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충부재는 벤딩된 상태의 플렉서블 기판(210A)의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 사이에 배치되어, 도 2a에서 도시된,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 사이의 공간 일부를 메운다. 보충부재는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 사이로 연장되는 볼록부를 더 포함하여,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 사이의 공간까지 최대한 메우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충부재의 두께에 따라 플렉서블 기판(210A)이 벤딩되었을 때의 곡률 반경이 상이해진다.
도 2c는 도 1b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지지 필름과 제1 얼라인 키 및 제2 얼라인 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1b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뒤집어 그 배면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기판(210A)의 제1 영역(A1) 및 제2 영역(A2)에서 표시부(211A)가 형성된 일 면의 반대면에 지지 필름(281A, 283A)이 형성된다.
지지 필름(281A, 283A)은 플렉서블 기판(210A)을 지지하며, 외부로부터의 수분 및 공기의 침투에 의한 표시부(211A) 등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지지 필름(281A, 283A)은 폴리머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 필름(281A, 283A)의 두께는 플렉서블 기판(210A)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울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210A)이 벤딩되면 굽어진 형상을 갖게 되는 제1 벤딩 영역(BA1)과 제2 벤딩 영역(BA2)에는 지지 필름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플렉서블 기판(210A)이 벤딩된 상태에서 제1 얼라인 키(214A) 및 제2 얼라인 키(215A)가 서로 대응되는지 여부가 카메라 등과 같은 촬상 장치를 통해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도록,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필름(281A, 283A)은 제1 얼라인 키(214A)와 제2 얼라인 키(215A)가 형성된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도 2c에서는 지지 필름(281A, 283A)는 제1 얼라인 키(214A) 및 제2 얼라인 키(215A)가 형성된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지지 필름(281A, 283A)은 제1 얼라인 키(214A) 및 제2 얼라인 키(215A)가 형성된 영역에도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A)에 지지 필름이 형성된 경우에는, 보충부재는 지지 필름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별 단면도들이다.
먼저, 플렉서블 기판을 스테이지에 고정시킨다(S30).
플렉서블 기판은 제1 영역, 제1 영역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벤딩 영역, 제1 벤딩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벤딩 영역, 및 제2 벤딩 영역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얼라인 키가 제1 영역과 제1 벤딩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되고, 제1 얼라인 키와 대응하도록 제2 얼라인 키가 제2 영역과 제2 벤딩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된다. 또한, 플렉서블 기판의 제1 영역에는 표시부가 형성되고, 제2 영역에는 패드부가 형성되고, 표시부와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부가 제1 영역, 제1 벤딩 영역, 제2 벤딩 영역, 및 제2 영역에 형성된다.
플렉서블 기판을 스테이지에 고정시키는 것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4a를 참조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기판(410)은 리프팅부(491)에 의해 일부가 리프팅된 상태에서 스테이지(490)에 고정된다. 여기서, 플렉서블 기판(410)에서 리프팅부(491)에 의해 리프팅된 부분은 제2 영역이고, 스테이지(490)에 접한 부분은 제1 영역이다. 제1 영역이 스테이지(490)에 고정됨으로써, 플렉서블 기판(410)이 벤딩되는 과정에서 가해지는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제1 영역에 형성된 표시부가 보호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기판(410)이 스테이지(490)에 고정될 때, 플렉서블 기판(410)이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정확하게 벤딩될 수 있도록, 플렉서블 기판(410)이 스테이지(490)에 얼라인되어 고정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410)의 곡률 반경을 결정하기 위해, 스테이지(490)에 고정된 플렉서블 기판(410) 상에 보충부재가 배치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기판이 스테이지에 고정되면, 플렉서블 기판의 제1 벤딩 영역과 제2 벤딩 영역을 벤딩한다(S31).
플렉서블 기판의 제1 벤딩 영역과 제2 벤딩 영역을 벤딩하는 것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4b를 참조한다.
도4b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기판(410)의 제2 영역이 리프팅부(491)에 의해 리프팅되고, 플렉서블 기판(410)의 제1 영역이 스테이지(490)에 고정된 상태에서, 스테이지(490)를 이동시킴으로써 스테이지(490)에 고정된 플렉서블 기판(410)도 함께 이동한다. 스테이지(490)에 고정된 플렉서블 기판(410)의 제1 영역이 리프팅부(491)에 의해 리프팅된 상태의 제2 영역 아래로 이동함으로써, 제1 벤딩 영역 및 제2 벤딩 영역이 벤딩된다. 플렉서블 기판(410)의 제1 벤딩 영역 및 제2 벤딩 영역이 벤딩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기판(410)의 제2 영역은 스테이지(490)에 고정된 제1 영역과 마주하게 된다.
플렉서블 기판의 제1 벤딩 영역과 제2 벤딩 영역이 벤딩되면, 클램프(clamp)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기판의 제2 영역을 클램핑(clamping)한다(S32).
클램프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기판의 제2 영역을 클램핑하는 것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4c를 참조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기판(410)의 제2 영역이 스테이지(490)에 고정된 제1 영역과 마주하면, 클램프(492)가 제2 영역이 위치한 곳까지 이동하여 제2 영역을 클램핑한다. 플렉서블 기판(410)의 제2 영역이 클램프(492)에 의해 클램핑되면, 플렉서블 기판(410)의 제1 영역은 스테이지(490)에 의해 고정되고, 제2 영역은 클램프(492)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스테이지(490) 또는 클램프(492)를 이동시켜, 플렉서블 기판(410)의 벤딩 방향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플렉서블 기판의 제2 영역이 클램핑되면, 스테이지 또는 클램프를 이동시켜, 카메라를 통해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를 매칭시킨다(S33).
본 명세서에서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를 매칭시킨다는 것은, 플렉서블 기판(410)이 벤딩되어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가 서로 대향하도록, 카메라와 같은 촬상 장치(C, C’)를 통해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스테이지(490)나 클램프(492)를 이동시켜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의 위치가 조정됨으로써, 플렉서블 기판(410)의 벤딩 방향이 조절된다.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가 매칭되어,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가 서로 대향하는 경우, 플렉서블 기판(410)이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정확하게 벤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가 서로 대향하지 않은 경우에는, 플렉서블 기판(410)이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정확하게 벤딩되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스테이지(490)나 클램프(492)를 이동시켜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가 서로 대향할 때까지 플렉서블 기판(410)의 벤딩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가 바 형상의 얼라인 키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1 벤딩 영역과 제2 벤딩 영역이 벤딩되는 동안에 바 형상의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바 형상의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가 서로 대향하는지 여부가 연속적으로 확인될 수 있어, 플렉서블 기판(410)이 의도된 벤딩 방향으로 정확하게 벤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얼라인 키가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고, 제2 얼라인 키가 제1 얼라인 키의 복수의 패턴과 대응하도록 형성된 경우에도, 제1 벤딩 영역과 제2 벤딩 영역이 벤딩되는 동안이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가 매칭될 수 있다.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가 매칭되면, 플렉서블 기판을 가압한다(S34).
플렉서블 기판을 가압함으로써, 벤딩된 플렉서블 기판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더욱 밀착시켜,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가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된 상태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다양한 특징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는 서로 대향(對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얼라인 키의 중심과 제2 얼라인 키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 중 적어도 하나는 홀(hole)을 갖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는 연결되어 바(bar)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얼라인 키 및 제2 얼라인 키 중 하나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고, 제1 얼라인 키 및 제2 얼라인 키 중 다른 하나는 복수의 패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벤딩 영역 및 제2 벤딩 영역에 형성된 배선부는 제1 영역의 일 측과 수직한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벤딩 영역 및 제2 벤딩 영역에 형성된 배선부는 마름모 또는 지그재그 형상의 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부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표시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는 게이트 전극, 또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된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절연층 상에 제1 얼라인 키 및 제2 얼라인 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절연층은 버퍼층, 게이트 절연층 및 층간 절연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부를 커버하도록 제1 영역에 형성된 봉지층을 더 포함하고, 제1 얼라인 키는 봉지층에 의해 커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일 면의 반대면에 형성된 지지 필름을 더 포함하고, 제1 얼라인 키 및 제2 얼라인 키 중 적어도 하나는 플렉서블 기판에서 지지 필름이 형성된 영역과 상이한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플렉서블 기판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된 보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되기 전 상태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다양한 특징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얼라인 키와 제2 얼라인 키는 동일 평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영역의 일 측, 제1 벤딩 영역의 일 측, 및 제2 벤딩 영역의 일 측은 서로 평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의 다양한 특징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플렉서블 기판을 고정시키는 단계는 카메라를 통해 플렉서블 기판을 스테이지에 얼라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벤딩 영역과 제2 벤딩 영역을 벤딩하는 단계는 스테이지를 이동시킴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매칭시키는 단계는 벤딩하는 단계와 동시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A, 100C, 100E, 200A: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0A, 110C, 110E, 210A, 410: 플렉서블 기판
111A, 111C, 111E, 211A: 표시부
112A, 112C, 112E: 패드부
113A, 113C, 113E: 배선부
114A, 114A’, 117C, 117C’, 119E, 119E’, 214A: 제1 얼라인 키
115A, 115A’, 118C, 118C’, 120E, 120E’, 215A: 제2 얼라인 키
116C, 116C’: 바 형상의 얼라인 키
230A: 버퍼층
231A: 박막 트랜지스터
232A: 액티브층
233A: 게이트 전극
234A: 소스 전극
235A: 드레인 전극
240A: 게이트 절연층
250A: 층간 절연층
260A: 오버 코팅층
261A: 유기 발광 소자
262A: 애노드
263A: 뱅크층
264A: 유기 발광층
265A: 캐소드
270A: 봉지층
281A, 283A: 지지 필름
490: 스테이지
491: 리프팅부
492: 클램프
C, C’: 촬상 장치

Claims (22)

  1.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일 측으로부터 굽어진 형태로 연장되는 제1 벤딩 영역, 상기 제1 벤딩 영역의 일 측으로부터 굽어진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벤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마주하는 제2 벤딩 영역, 및 상기 제2 벤딩 영역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마주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일 면에 형성된 표시부;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된 패드부;
    상기 표시부와 상기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1 벤딩 영역, 상기 제2 벤딩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된 배선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1 벤딩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된 제1 얼라인 키; 및
    상기 제1 얼라인 키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2 벤딩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된 제2 얼라인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얼라인 키와 상기 제2 얼라인 키는 서로 대향(對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얼라인 키의 중심과 상기 제2 얼라인 키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얼라인 키와 상기 제2 얼라인 키 중 적어도 하나는 홀(hole)을 갖는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얼라인 키와 상기 제2 얼라인 키는 연결되어 바(bar)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얼라인 키 및 상기 제2 얼라인 키 중 하나는 복수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얼라인 키 및 상기 제2 얼라인 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복수의 패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딩 영역 및 상기 제2 벤딩 영역에 형성된 배선부는 상기 제1 영역의 일 측과 수직한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딩 영역 및 상기 제2 벤딩 영역에 형성된 배선부는 마름모 또는 지그재그 형상의 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표시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얼라인 키와 상기 제2 얼라인 키는 상기 게이트 전극, 또는 상기 소스 전극 및 상기 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형성된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층 상에 상기 제1 얼라인 키 및 상기 제2 얼라인 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삭제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된 봉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얼라인 키는 상기 봉지층에 의해 커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일 면의 반대면에 형성된 지지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얼라인 키 및 상기 제2 얼라인 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에서 상기 지지 필름이 형성된 영역과 상이한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삭제
  16.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벤딩 영역, 상기 제1 벤딩 영역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벤딩 영역, 및 상기 제2 벤딩 영역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제1 영역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 유기 발광 표시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된 패드부;
    상기 표시부와 상기 패드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1 벤딩 영역, 상기 제2 벤딩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형성된 배선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1 벤딩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된 제1 얼라인 키; 및
    상기 제1 얼라인 키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2 벤딩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된 제2 얼라인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얼라인 키와 상기 제2 얼라인 키는 동일 평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일 측, 상기 제1 벤딩 영역의 일 측, 및 상기 제2 벤딩 영역의 일 측은 서로 평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9.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벤딩 영역, 상기 제1 벤딩 영역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벤딩 영역, 및 상기 제2 벤딩 영역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1 벤딩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된 제1 얼라인 키; 및
    상기 제1 얼라인 키와 대응하도록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2 벤딩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된 제2 얼라인 키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을 스테이지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벤딩 영역과 상기 제2 벤딩 영역을 벤딩하는 단계;
    클램프(clamp)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영역을 클램핑(clamping)하는 단계;
    상기 스테이지 또는 상기 클램프를 이동시켜,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1 얼라인 키와 상기 제2 얼라인 키를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플렉서블 기판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을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플렉서블 기판을 상기 스테이지에 얼라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1.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딩 영역과 상기 제2 벤딩 영역을 벤딩하는 단계는 상기 스테이지를 이동시킴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22.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시키는 단계는 상기 벤딩하는 단계와 동시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130142545A 2013-11-21 2013-11-2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150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545A KR102150533B1 (ko) 2013-11-21 2013-11-2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14/547,488 US9490215B2 (en) 2013-11-21 2014-11-19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545A KR102150533B1 (ko) 2013-11-21 2013-11-2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048A KR20150059048A (ko) 2015-05-29
KR102150533B1 true KR102150533B1 (ko) 2020-09-01

Family

ID=53172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545A KR102150533B1 (ko) 2013-11-21 2013-11-21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90215B2 (ko)
KR (1) KR1021505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1370B2 (en) 2011-10-05 2019-04-16 Apple Inc. Displays with minimized border regions having an apertured TFT layer for signal conductors
US9515099B2 (en) * 2014-07-31 2016-12-06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wire having reinforced por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9544994B2 (en) * 2014-08-30 2017-01-10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side crack protection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9780157B2 (en) * 2014-12-23 2017-10-03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gate-in-panel circuit
KR102291865B1 (ko) * 2015-01-16 2021-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73053B1 (ko) * 2015-02-16 2021-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39282B1 (ko) * 2015-11-02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14140B1 (ko) 2015-11-17 2022-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42179B1 (ko) 2015-11-23 2023-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51726B1 (ko) * 2016-03-28 2022-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60703B1 (ko) 2016-04-29 2023-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15113B1 (ko) 2016-05-10 2023-1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8010216A (ja) 2016-07-15 2018-01-1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0919211B2 (en) 2016-07-22 2021-02-16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102557892B1 (ko) 2016-08-19 2023-07-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36736B1 (ko) * 2016-09-08 2024-0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18049193A (ja) * 2016-09-23 2018-03-2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708773B1 (ko) 2016-12-26 2024-09-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06972030B (zh) 2017-03-30 2019-09-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显示装置及柔性显示面板的制作方法
CN106920829A (zh) 2017-03-30 2017-07-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显示装置及柔性显示面板的制作方法
CN107146527B (zh) * 2017-04-27 2020-01-03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屏和柔性显示装置
KR102296074B1 (ko) 2017-05-19 2021-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9066750A (ja) * 2017-10-04 2019-04-2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432006B1 (ko) * 2017-11-21 2022-08-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08668B1 (ko) * 2017-11-24 2023-03-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6258B1 (ko) * 2017-12-29 2023-03-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7096B1 (ko) * 2018-01-05 2023-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8054193B (zh) * 2018-02-09 2020-11-0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柔性显示装置
KR102511543B1 (ko) * 2018-03-09 2023-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8919539A (zh) * 2018-06-19 2018-11-30 信利半导体有限公司 一种无边框的薄膜晶体管液晶显示器
KR102626885B1 (ko) * 2018-11-28 2024-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CN109659345B (zh) * 2018-12-19 2021-02-2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oled面板
CN109671725B (zh) * 2018-12-29 2020-10-27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N109887416B (zh) 2019-03-15 2021-12-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10350006B (zh) * 2019-06-27 2021-06-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设备
US11785812B2 (en) * 2019-07-31 2023-10-10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via to release internal stress
WO2021022405A1 (zh) 2019-08-02 2021-02-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和显示装置的制造方法
CN110764302A (zh) * 2019-10-31 2020-02-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对位系统
CN113947994B (zh) * 2020-07-15 2023-01-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20022927A (ko) * 2020-08-19 2022-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합착기 및 합착기의 합착방법
KR20220031778A (ko) 2020-09-03 2022-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션 장치,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11844250B2 (en) 2020-09-17 2023-12-12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including grooved inorganic layer in bending area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display pane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88671A1 (en) 2011-10-05 2013-04-11 Paul S. Drzaic Displays with Minimized Border Regions
US20130148312A1 (en) 2011-12-12 2013-06-13 Sang-uk Han Tape wiring substrate and chip-on-film packag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406B1 (ko) * 2007-02-16 2014-03-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101534A (ko) * 2007-05-18 2008-1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
JP5436935B2 (ja) * 2009-05-28 2014-03-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KR102005484B1 (ko) * 2012-12-05 2019-07-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17890B1 (ko) * 2012-12-28 2020-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88671A1 (en) 2011-10-05 2013-04-11 Paul S. Drzaic Displays with Minimized Border Regions
US20130148312A1 (en) 2011-12-12 2013-06-13 Sang-uk Han Tape wiring substrate and chip-on-film packag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048A (ko) 2015-05-29
US20150137102A1 (en) 2015-05-21
US9490215B2 (en)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053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11251401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1109476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7871762B (zh) 显示装置
CN108878687B (zh) 一种显示面板和电子设备
US9608045B2 (en) Display device
CN110875367A (zh) 显示装置和用于制造该显示装置的方法
US11552274B2 (en) Display device having pixel electrode and color filter,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70109116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18074161A (ja) 有機発光表示装置
US11018200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white emitting area
US11223024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n adhesive layer between a lower substrate and an upper substrate
TW201409684A (zh) 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US10808314B2 (en) Vapor deposition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apor deposition mask
US10768731B2 (en)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or minimizing deterioration of touch sensitivity when at least one of a device substrate and a cover substrate is deforme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8070027A1 (ja)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11834404A (zh) 显示装置
WO2020248246A1 (zh) 显示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US11342538B2 (en) Organic EL display device having reflection transmission por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200002801A1 (en) Vapor deposition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vapor deposition mask
US20170358631A1 (en) Display device
KR20190063749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18025636A (ja) 表示装置
US20240237443A9 (en) Display device and substrate
KR20240144603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