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2927A - 표시장치, 합착기 및 합착기의 합착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합착기 및 합착기의 합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2927A
KR20220022927A KR1020200103872A KR20200103872A KR20220022927A KR 20220022927 A KR20220022927 A KR 20220022927A KR 1020200103872 A KR1020200103872 A KR 1020200103872A KR 20200103872 A KR20200103872 A KR 20200103872A KR 20220022927 A KR20220022927 A KR 20220022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curved
space
viscosity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호
김원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3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22927A/ko
Priority to US17/328,318 priority patent/US11999882B2/en
Priority to CN202110929637.9A priority patent/CN114078380A/zh
Publication of KR20220022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01L51/00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84Application of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27/32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40Thermal treatment, e.g. annealing in the presence of a solvent vap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2037/12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curable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70Scrap or recyc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2423/046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10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2423/106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장치는, 휘어진 형상을 갖는 커브 영역과 평면 형상을 갖는 직선 영역이 정의될 수 있고, 커브 영역에 중첩하는 제1 곡선부 및 직선 영역에 중첩하는 제1 직선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고 커브 영역에 중첩하는 제2 곡선부 및 직선 영역에 중첩하는 제2 직선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및 표시패널과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는 점착층을 포함하고, 점착층은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직선부와 제2 직선부를 결합시키는 제1 점착층 및 제1 곡선부와 제2 곡선부 사이의 제1 공간 및 제1 점착층과 제2 직선부 사이의 제2 공간에 배치되는 제2 점착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합착기 및 합착기의 합착방법{DISPLAY DEVICE AND LAMINATION DEVICE AND LAMINATION METHOD OF LAMINATION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 합착기 및 합착기의 합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곡면부에서의 투과율이 개선된 표시장치, 상기한 표시장치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합착기 및 상기한 합착기를 이용한 합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네이베이션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휘어지거나 접히는 등 형상이 다양하게 변형된 표시장치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휘어진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재들 중 일부는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표시패널을 보호하기 위해 제공되는 윈도우의 경우도 표시장치의 형상에 따라 휘어진 형상을 갖는다. 변형된 윈도우와 표시패널 간의 합착을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곡면부에서의 투과율 저하를 막기 위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휘어진 형상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합착기 및 이 합착기를 이용한 합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는 휘어진 형상을 갖는 커브 영역과 평면 형상을 갖는 직선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윈도우 및 점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커브 영역에 중첩하는 제1 곡선부 및 상기 직선 영역에 중첩하는 제1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커브 영역에 중첩하는 제2 곡선부 및 상기 직선 영역에 중첩하는 제2 직선부를 포함한다. 상기 점착층은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점착층, 제1 점착층과 제2 점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점착층은,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를 결합시키고, 상기 제2 점착층은 상기 제1 곡선부와 상기 제2 곡선부 사이의 제1 공간 및 상기 제1 점착층과 상기 제2 직선부 사이의 제2 공간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제1 곡선부의 한쪽 끝단에 대응하는 댐 형성 공간과, 상기 댐 형성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응하는 주입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제2 점착층과 상기 제1 곡선부가 직접 접촉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점착층은, 상기 댐 형성 공간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2 점착층은, 상기 댐 형성 공간 내에서 상기 제2 곡선부와 상기 제1 점착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주입 공간 내에서 상기 제2 곡선부와 상기 제1 곡선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2 점착층은, 상기 댐 형성 공간에 배치되는 고점도 점착층 및 상기 주입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고점도 점착층보다 작은 점도를 갖는 저점도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점착층은, 상기 커브 영역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2 점착층은, 상기 제1 공간 내에서 상기 제2 곡선부와 상기 제1 점착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2 점착층은, 상기 댐 형성 공간에 배치되는 고점도 점착층 및 상기 주입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고점도 점착층보다 작은 점도를 갖는 저점도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는, 휘어진 형상을 갖는 커브 영역과 평면 형상을 갖는 직선 영역이 정의된 표시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합착기는 제1 지지부, 제2 지지부, 주입부 및 경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부에는 상기 커브 영역에 중첩하는 제1 곡선부 및 상기 직선 영역에 중첩하는 제1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직선부 상에 제1 점착층이 배치된 표시패널이 로딩된다. 상기 제2 지지부에는 상기 커브 영역에 중첩하는 제2 곡선부 및 상기 직선 영역에 중첩하는 제2 직선부를 포함하는 윈도우가 로딩된다. 주입부는 상기 제1 곡선부와 상기 제2 곡선부 사이의 제1 공간 및 상기 제1 점착층과 상기 제2 직선부 사이의 제2 공간에 점착물질을 주입한다. 상기 경화부는 상기 주입된 점착물질을 경화시켜 제2 점착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지지부는, 에어를 주입받아 팽창하는 팽창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직선부는 상기 팽창 패드 상에 배치되고, 상기 팽창 패드의 팽창시 상기 제2 직선부와 합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지지부는, 위치가 고정된 고정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곡선부는 상기 고정 패드 상에 배치되며, 상기 팽창 패드의 팽창 시, 상기 제1 곡선부와 상기 제2 곡선부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제1 곡선부의 한쪽 끝단에 대응하는 댐 형성 공간과, 상기 댐 형성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응하는 주입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주입부는, 상기 댐 형성 공간에 고점도 점착물질을 주입하는 제1 주입부 및 상기 주입 공간에 상기 고점도 점착층보다 작은 점도를 갖는 저점도 점착물질을 주입하는 제2 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점착층은, 상기 커브 영역에 더 배치되고, 상기 제1 주입부는, 상기 댐 형성 공간 내에 상기 제2 곡선부와 상기 제1 점착층 사이에 상기 고점도 점착물질을 주입하고, 상기 제2 주입부는, 상기 주입 공간 내에 상기 제2 곡선부와 상기 제1 곡선부 사이에 상기 저점도 점착물질을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점착물질은, UV 경화성 물질이고, 상기 경화부는, 상기 점착물질을 향해 UV를 조사하여 상기 제2 점착층을 형성하는 제1 경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점착층은, UV 경화성 물질이고, 상기 경화부는, 상기 제1 점착층을 향해 UV를 조사하여 상기 제1 점착층을 경화시키는 제2 경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의 합착방법은, 제1 지지부에 커브 영역에 중첩하는 제1 곡선부 및 직선 영역에 중첩하는 제1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직선부 상에 제1 점착층이 배치된 표시패널을 로딩하는 단계, 제2 지지부에 상기 커브 영역에 중첩하는 제2 곡선부 및 상기 직선 영역에 중첩하는 제2 직선부를 포함하는 윈도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를 결합해, 상기 제1 점착층과 상기 윈도우를 합착시키는 단계, 주입부를 통해 상기 제1 곡선부와 상기 제2 곡선부 사이의 제1 공간 및 상기 제1 점착층과 상기 제2 직선부 사이의 제2 공간에 점착물질을 주입하는 단계, 경화부를 통해 상기 상기 점착물질을 경화시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윈도우를 합착시키는 단계 및 결합된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에어를 주입받아 팽창하는 팽창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 패드를 통해,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를 합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제1 곡선부의 한쪽 끝단에 대응하는 댐 형성 공간과, 상기 댐 형성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응하는 주입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물질을 주입하는 단계는, 상기 댐 형성 공간에 상기 고점도 점착물질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주입 공간에 상기 저점도 점착물질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점착물질은, UV 경화성 물질이고, 상기 점착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고점도 점착물질에 UV를 조사해 경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저점도 점착물질에 UV를 조사해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휘어진 윈도우와 표시패널 간 합착 시 생기는 공간을 점착층으로 채울 수 있다. 이에 따라 휘어진 형상을 갖는 표시장치의 곡면부에서의 투과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합착기를 통해 표시패널과 윈도우를 합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를 통해 점착물질을 주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된 점착물질 및 제1 점착층을 경화부를 통해 경화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들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의 합착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물질의 주입 및 경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될 수 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a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윈도우(WD) 및 표시패널(DP)를 포함한다. 도 1은 휘어진 표시장치(DD)의 일 예로서, 휘어진 형상을 가진 커브 영역(CA)과, 평면 형상을 갖는 직선 영역들(LA)이 정의된 표시장치(DD)를 도시한 것이다. 윈도우(WD) 및 표시패널(DP) 각각은 커브 영역(CA)에 대응하는 곡선부와 직선 영역들(LA)에 각각 대응하는 직선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형태의 휘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커브 영역(CA)과 두 개의 직선 영역(LA)을 포함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는 복수 개의 커브 영역(C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는 두 개 이상의 직선 영역(L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에서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면(IS)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하다. 표시면(IS)의 법선 방향, 즉 표시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축(DR3)이 지시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윈도우(WD)는 표시패널(DP)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표시패널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WD)는 커브 영역(CA)에 중첩하는 제2 곡선부(CP2) 및 두 개의 직선 영역(LA)에 각각 중첩하는 직선부들(LP2)을 포함한다. 윈도우(WD)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D)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D)는 다층구조 또는 단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D)는 점착제로 결합된 복수 개의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하거나, 점착제로 결합된 유리 기판과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이미지(IM)를 생성하며, 표시면(IS)으로 생성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생성된 이미지를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DP)은 액정 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MEMS 표시패널(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display panel) 또는 일렉트로웨팅 표시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등일 수 있다. 이하,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로 설명된다.도 2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표시패널(DP)는 커브 영역(CA)에 중첩하는 제1 곡선부(CP1) 및 두 개의 직선 영역(LA)에 각각 중첩하는 직선부들(LP1)을 포함한다. 그러나, 표시패널(DP)의 형태는 이제 한정되지 않고, 휘어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가요성(flexible) 표시패널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요성을 갖는 표시패널(DP)은 휘어진 윈도우(WD)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휘어질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표시 소자, 예컨대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발광 소자는 적어도 유기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한다. 박막 봉지층은 발광 소자를 밀봉한다. 박막 봉지층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이하, 봉지 무기막)을 포함한다. 박막 봉지층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이하, 봉지 유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봉지 무기막은 수분/산소로부터 발광 소자를 보호하고, 봉지 유기막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발광 소자를 보호한다. 봉지 무기막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실리콘 옥시 나이트라이드층 및 실리콘 옥사이드층, 티타늄옥사이드층,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 유기막은 아크릴 계열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표시장치(DD)는 입력 센서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센서층은 표시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센서층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외부 입력은 사용자의 입력일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펜,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센서층은 연속된 공정을 통해 표시패널(DP)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센서층은 표시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된다고 표현될 수 있다.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입력 센서층과 표시패널(DP) 사이에 제3 의 구성요소가 배치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입력 센서층과 표시패널(DP) 사이에는 별도의 점착부재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 센서층과 표시패널(DP) 사이에 점착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두 개의 직선 영역들(LA)과 중첩하는 표시패널(DP)의 직선부들을 "제1 직선부(LP1)"으로 지칭하고, 두 개의 직선 영역들(LA)과 중첩하는 윈도우(WD)의 직선부들을 "제2 직선부(LP2)"으로 지칭한다. 도 1에는 두 개의 직선 영역(LA)이 커브 영역(CA)을 기준으로 대칭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표시장치(DD)는 서로 길이가 다른 두 개의 직선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표시패널(DP)과 윈도우(WD) 사이에 배치된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점착층은 표시패널(DP)과 윈도우(WD)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패널(DP)과 윈도우(WD)를 결합시킨다. 점착층은 제1 점착층(AD1)과 제2 점착층(A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점착층(AD1)은 제1 직선부(LP1)과 제2 직선부(LP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직선부(LP1)와 제2 직선부(LP2)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점착층(AD2)는 제1 곡선부(CP1)과 제2 곡선부(CP2) 사이의 제1 공간(SP1)에 배치되어 제1 곡선부(CP1)과 제2 곡선부(CP2)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점착층(AD2)은 제1 점착층(AD1)와 제2 직선부(LP2) 사이의 제2 공간(SP2)에 배치되어 제2 직선부(LP2)와 제1 점착층(AD1)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공간(SP1)은 제2 점착층(AD2)과 제1 곡선부(CP1)가 직접 접촉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점착층(AD1)은 광학 투명 점착층(OCA, Optically Clear Adhesive)일 수 있다. 제2 점착층(AD2)은 광학 투명 점착 수지층(OCRL, optically clear adhesive resin layer)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점착층(AD1, AD2) 각각은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밑 우레탄계 점착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점착층(AD1, AD2) 각각은 무기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점착층(AD1, AD2) 각각은 SiO2, TiO2 등의 무기 입자를 더 포함하여 개선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점착층(AD1)이 광학 투명 점착층(OCA)인 경우, 고체 필름(solid film) 상태의 광학 투명 점착층(OCA)의 특성상, 표시패널(DP)과 윈도우(WD)의 결합 과정에서 커브 영역(CA)에 인접하여 제1 점착층(AD1)과 제2 직선부(LP2) 사이에 제2 공간(SP2)이 생길 수 있다. 제2 점착층(AD2)이 광학 투명 점착 수지층(OCRL)인 경우, 제2 점착층(AD2)은 액체(Liquid) 상태의 광학 투명 점착 수지(OCR)을 제1 및 제2 공간(SP1, SP2)에 주입한 후 경화하여 형성된 층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점착층(AD2)이 제1 공간(SP1) 및 제2 공간(SP2)에 배치된다. 따라서, 표시패널(DP)에서 제공되는 광이 표시패널(DP)와 제1 공간(SP1)의 경계면 및 제1 공간(SP1)과 윈도우(WD)의 경계면에서 난반사 되어, 표시장치(DD)의 투과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시패널(DP)에서 제공되는 광이 제1 점착층(AD1)과 제2 공간(SP2)의 경계면 및 제2 공간(SP2)과 윈도우(WD)의 경계면에서 난반사 되어, 표시장치(DD)의 투과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을 참조하면, 제1 공간(SP1)은 제1 곡선부(CP1)의 한쪽 끝단에 대응하는 댐 형성 공간(DSP)과, 댐 형성 공간(DSP)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응하는 주입 공간(ISP)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점착층(AD2)은 고점도 점착층(AD2a)와 고점도 점도층(AD2a)보다 작은 점도를 갖는 저점도 점착층(AD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점착층(AD2)은 표시패널(DP)의 제1 곡선부(CP1)와 윈도우(WD)의 제2 곡선부(CP2)를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점착층(AD2)는 제1 공간(SP1)에서 제1 곡선부(CP1)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점도 점착층(AD2a)는 제2 곡선부(CP2)와 제1 곡선부(CP1) 사이에 정의된 댐 형성 공간(DSP)에 배치될 수 있고, 저점도 점착층(AD2b)는 제2 곡선부(CP2)와 제1 곡선부(CP1) 사이에 정의된 주입 공간(ISP)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고점도 점착층(AD2a)는 약 60,000cps(centipoise)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저점도 점착층(AD2b)는 약 500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도 2a 및 도 2c를 참조하면, 제1 점착층(AD1)은 댐 형성 공간(DSP)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점착층(AD2)는 주입 공간(ISP)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점착층(AD2)는 저점도 점착층(AD2b)일 수 있다. 이 경우, 댐 형성 공간(DSP)에 배치된 제1 점착층(AD1)과 주입 공간(ISP)에 배치된 저점도 점착층(AD2b)은 표시패널(DP)의 제1 곡선부(CP1)와 윈도우(WD)의 제2 곡선부(CP2)를 결합시킬 수 있다. 다만, 저점도 점착층(AD2b)의 배치는 도 2c 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저점도 점착층(AD2b)은 댐 형성 공간(DSP)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점도 점착층(AD2b)는 댐 형성 공간(DSP) 내에서 제1 점착층(AD1)과 제1 곡선부(CP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도 3을 참조하면, 제1 점착층(AD1)은 커브 영역(CA)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제1 공간(SP1)은, 제1 점착층(AD1)과 제2 곡선부(CP2)에 의해 정의된 공간일 수 있다. 제1 점착층(AD1)이 커브 영역(CA)에 더 배치되더라도, 표시장치(DD)의 커브 영역(CA)의 곡률이 크면 표시패널(DP)과 윈도우(WD)의 결합 단계에서 제1 점착층(AD1)과 제2 직선부(LP2) 사이에 제2 공간(SP2)이 생기거나 제1 점착층(AD1)과 제2 곡선부(CP2) 사이에 제1 공간(SP1)이 생길 수 있다. 제2 점착층(AD2)는 커브 영역(CA)에서 제2 곡선부(CP2)와 제1 점착층(AD1) 사이에 형성된 제1 공간(SP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점착층(AD2)은 직선 영역(LA)에서 제1 점착층(AD1)과 제2 직선부(LP2) 사이에 형성된 제2 공간(SP2)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DP)에서 제공되는 광이 제1 점착층(AD1)과 제1 공간(SP1)의 경계면 및 제1 공간(SP1)과 윈도우(WD)의 경계면에서 난반사 되어, 표시장치(DD)의 투과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는 합착기를 통해 표시패널과 윈도우를 합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들이다.
도 2a 및 도 4ae를 참조하면, 커브 영역(CA)과 직선 영역(LA)이 정의된 표시장치(DD)를 제조하는 합착기(LE)는 제1 지지부(LDP1) 및 제2 지지부(LDP2)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지지부(LDP1) 상에 제1 점착층(AD1) 및 가이드 필름(GF)이 배치된 표시패널(DP)이 로딩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커브 영역(CA)에 중첩하는 제1 곡선부(CP1) 및 직선 영역(LA)에 중첩하는 제1 직선부(LP1)을 포함한다. 표시패널(DP)은 가요성을 가지도록 제작된 표시패널(DP)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점착층(AD1)은 표시패널(DP)의 제1 직선부(LP1) 상에 배치된다. 제1 점착층(AD1)은 광학 투명 점착층(OCA, Optically Clear Adhesive)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지지부(LDP1) 상에 표시패널(DP)이 로딩된 후, 표시패널(DP)의 제1 직선부(LP1) 상에 제1 점착층(AD1)이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가이드 필름(GF)은 표시패널(DP)과 제1 지지부(LDP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필름(GF)은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필름(GF)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필름(GF)의 물질이 상기 예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 필름(GF)과 표시패널(DP) 사이에 점착부재(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점착부재는 아크릴(Acryl)계 점착부재일 수 있다.
제1 지지부(LDP1)는 외부로부터 공기(air)가 주입되는 에어노즐(AZ), 주입된 공기가 나오는 에어 홀(미도시) 및 에어 홀(AH)로부터 나오는 공기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 패드(E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에어 홀은 에어노즐(AZ)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표시패널(DP)을 제1 지지부(LDP1) 상에 고정할 수도 있다.
표시패널(DP)은 제1 직선부(LP1)가 팽창 패드(EP)에 대응될 수 있도록 제1 지지부(LDP1) 상에 배치된다. 제1 지지부(LDP1)는 위치가 고정된 고정 패드(F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제1 곡선부(CP1)가 고정 패드(FP) 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제1 지지부(LDP1) 상에 배치된다.
커브 영역(CA)에 중첩하는 제2 곡선부(CP2) 및 직선 영역(LA)에 중첩하는 제2 직선부(LP2)을 포함하는 윈도우(WD)가 제2 지지부(LDP2)로 로딩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표시패널(DP)이 로딩된 제1 지지부(LDP1)과 윈도우(WD)가 로딩된 제2 지지부(LDP2)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표시패널(DP)와 윈도우(WD)의 사이에는 이격 공간(SP)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이격 공간(SP)은 제1 점착층(AD1)과 윈도우(WD)의 제2 직선부(LP2) 사이의 공간 및 표시패널(DP)의 제1 곡선부(CP1)와 윈도우(WD)의 제2 곡선부(CP2) 사이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4c를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에어노즐(AZ)을 통해 공기가 주입되어, 제1 지지부(LDP1)에 포함된 팽창 패드(EP)가 팽창할 수 있다. 이때, 표시패널(DP)과 윈도우(WD) 사이의 기포 발생을 막기 위하여, 팽창 패드(EP)는 도 4c를 기준으로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순차적으로 팽창될 수 있다. 팽창 패드(EP)가 공기에 의하여 팽창될 경우, 가요성을 가지는 표시패널(DP)의 제1 직선부(LP1)가 제2 지지부(LDP2) 상에 로딩된 윈도우(WD)의 제2 직선부(LP2) 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표시패널(DP)의 제1 직선부(LP1) 상에 배치된 제1 점착층(AD1)과 윈도우(WD)의 제2 직선부(LP2)가 맞닿게 된다. 즉, 제1 직선부(LP1)상에 배치된 제1 점착층(AD1)에 의해 제1 직선부(LP1)과 제2 직선부(LP2)가 합착된다. 이때, 팽창 패드(EP)와 달리 고정 패드(FP)는 에어노즐(AZ)을 통해 공기가 주입되어도 팽창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지지부(LDP1) 상에 고정 패드(FP)와 대응되도록 배치된 표시패널(DP)의 제1 곡선부(CP1)의 위치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에 따라 표시패널(DP)의 제1 곡선부(CP1)과 윈도우(WM)의 제2 곡선부(CP2) 사이의 간격은 팽창 패드(EP)의 팽창 이전과 이후가 동일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4d를 참조하면, 팽창 패드(EP)의 상부측부터 하부측까지 모두 팽창되면 표시패널(DP)의 제1 직선부(LP1)와 윈도우(WD)의 제2 직선부(LP2)는 제1 점착층(AD1)에 의해 합착된다. 그러면, 표시패널(DP)의 제1 곡선부(CP1)와 윈도우(WD)의 제2 곡선부(CP2) 사이에는 제1 공간(SP1)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점착층(AD1)과 윈도우(WD)의 제2 직선부(LP2) 사이에는 제2 공간(SP2)이 형성될 수 있다.
주입부(FE)는 제1 공간(SP1) 및 제2 공간(SP2)에 점착물질(ADM)을 주입한다. 점착물질(ADM)은 광학 투명 점착 수지(OCR, optically clear adhesive resin)일 수 있다. 주입부(FE)가 주입하는 점착물질(ADM)의 양은 제1 공간(SP1) 및 제2 공간(SP2)의 크기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때, 고정 패드(FP)에 의해 제1 곡선부(CP1)와 제2 곡선부(CP2)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되어, 주입부(FE)에서 제1 곡선부(CP1)과 제2 곡선부(CP2) 사이의 제1 공간(SP1)에 주입하는 점착물질(ADM)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1 곡선부(CP1)과 제2 곡선부(CP2) 사이의 간격이 0.5mm일 때 대략 1g 정도의 점착물질(ADM)을 주입해주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입하는 양은 표시장치(DD)의 크기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또한, 주입되는 점착물질(ADM)의 점도는 고점도 또는 저점도 일 수 있고, 이는 제1 공간(SP1) 내에서의 제1 점착층(AD1)의 배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주입부(FE)를 통해 주입된 점착물질(ADM)이 제1 및 제2 공간(SP1, SP2) 외에도 표시장치(DD)의 외부에도 배치되는 경우, 별도의 세정 단계를 통하여 이를 제거할 수 있다. 경화부(CE)는 주입된 점착물질(ADM)을 경화시켜 제2 점착층(AD2)를 형성할 수 있다. 형성된 제2 점착층(AD2)은 광학 투명 점착 수지층(OCRL, optically clear adhesive resin layer)일 수 있다. 점착물질(ADM)은 UV 경화성 물질이고, 경화부(CE)는 점착물질(OCR)을 향해 UV를 조사하여 제2 점착층(AD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고체 필름 상태인 제1 점착층(AD1)의 투과율과 액체 상태의 점착물질(ADM)이 경화되어 형성된 제2 점착층(AD2)의 투과율이 비슷하여, 제1 점착층(AD1)과 제2 점착층(AD2)이 외관상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e를 참조하면, 경화부(CE)를 통한 경화 공정 이후에, 제1 지지부(LDP1)와 제2 지지부(LDP2)가 분리된다. 분리된 후, 제1 지지부(LDP1)로부터 윈도우(WD)와 표시패널(DP)이 합착되어 제조된 예비 표시장치(P_DD)를 얻을 수 있다. 예비 표시장치(P_DD)로부터 가이드 필름(GF, 도 4a 참조)을 제거하여 도 2a에 도시된 표시장치(DD)를 완성할 수 있다. 가이드 필름(GF)이 점착부재를 통해 표시패널(DP)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 가이드 필름(GF)을 제거하기 이전에 점착부재의 점착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점착부재는 UV 반응성 필름일 수 있고, UV를 조사할 경우 점착부재의 점착력이 약해질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필름(GF)을 예비 표시장치(P_DD)로부터 분리하기 이전에 점착부재에 UV를 조사하여 점착부재의 점착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를 통해 점착물질을 주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들이다.
도 2a,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주입부(FE, 도 4d 참조)는 제1 주입부(FE1) 및 제2 주입부(FE2)를 포함한다. 커브 영역(CA)에 대응하여 제1 곡선부(CP1)과 제2 곡선부(CP2) 사이에는 제1 공간(SP1)이 형성된다. 제1 공간(SP1)은 제1 곡선부(CP1)의 한쪽 끝단에 대응하는 댐 형성 공간(DSP)과, 댐 형성 공간(DSP)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응하는 주입 공간(ISP)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주입부(FE1)는 댐 형성 공간(DSP)에 고점도 점착물질(ADMa)을 주입하고, 제2 주입부(FE2)는 주입 공간(ISP)에 고점도 점착물질(ADMa)보다 작은 점도를 갖는 저점도 점착물질(ADMb)를 주입한다.
고점도 점착물질(ADMa) 및 저점도 점착물질(ADMb)은 제1 공간(SP1)에서 제1 곡선부(CP1)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주입부(FE1)은 댐 형성 공간(DSP) 내에 제2 곡선부(CP2)와 제1 곡선부(CP1) 사이에 고점도 점착물질(ADMa)를 주입한다. 제2 주입부(FE2)는 주입 공간(ISP) 내에 제2 곡선부(CP2)와 제1 곡선부(CP1) 사이에 저점도 점착물질(ADMb)를 주입한다.
도 3,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1 점착층(AD1)은 커브 영역(CA)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주입부(FE1)은 댐 형성 공간(DSP) 내에서 제2 곡선부(CP2, 도 2a 참조)와 제1 점착층(AD1) 사이에 고점도 점착물질(ADMa)를 주입한다. 제2 주입부(FE2)는 주입 공간(ISP) 내에서 제2 곡선부(CP2)와 제1 점착층(AD1) 사이에 저점도 점착물질(ADMb)를 주입한다.
제1 점착층(AD1)은 댐 형성 공간(DSP)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예로, 제1 주입부(FE2)는 생략될 수 있고, 제2 주입부(FE2)는 주입 공간(ISP) 내에 제2 곡선부(CP2)와 제1 곡선부(CP1) 사이에 점착물질을 주입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주입부(FE2)는 댐 형성 공간(DSP) 내에서 제1 점착층(AD1)과 제1 곡선부(CP1) 사이에 점착물질을 더 주입할 수 있다. 이 경우 점착물질은 저점도 점착물질(ADMb)일 수 있다.
제1 곡선부(CP1)의 한쪽 끝단쪽에서 제1 주입부(FE1)를 통해 댐 형성 공간(DSP)에 고점도 점착물질(ADMa)을 주입한 후, 제1 곡선부(CP1)의 반대쪽 끝단쪽에서 제2 주입부(FE2)를 통해 주입 공간(ISP)에 저점도 점착물질(ADMb)를 주입할 수 있다. 고점도 점착물질(ADMa)을 주입하여, 댐 형성 공간(DSP)에 고점도 점착물질(ADMa)이 잘 퍼지지 않고 뭉쳐있도록 한 후, 저점도 점착물질(ADMb)를 주입한다. 주입 공간(ISP)에 고점도 점착물질(ADMa)을 주입할 경우, 고점도 점착물질(ADMa)이 잘 퍼지지 않아 주입시간이 오래 걸려, 공정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저점도 점착물질(ADMb)을 주입할 수 있다. 고점도 점착물질(ADMa)의 점도는 약 60,000cps일 수 있고, 저점도 점착물질(ADMb)의 점도는 약 500cps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된 점착물질 및 제1 점착층을 경화부를 통해 경화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들이다.
도 5a 및 도 6a를 참조하면, 경화부(CE, 도 4d 참조)는 제1 경화부(CE1) 및 제2 경화부(CE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화부(CE1)은 제1 공간(SP1)에 주입된 고점도 점착물질(ADMa)와 저점도 점착물질(ADMb)을 향해 UV를 조사하여 제2 점착층(AD2)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경화부(CE1)는, 댐 형성 공간(DSP)에 주입된 고점도 점착물질(ADMa)을 향해 UV를 조사하여 고점도 점착층(AD2a)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경화부(CE1)는 주입 공간(ISP)에 주입된 저점도 점착물질(ADMb)를 향해 UV를 조사하여 저점도 점착층(AD2b)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경화부(CE1)을 통해 댐 형성 공간(DSP)에 UV를 조사하여 고점도 점착층(AD2a)를 형성하고, 주입 공간(ISP)에 UV를 조사하여 저점도 점착층(AD2b)을 형성하는 것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1 경화부(CE1)은 제1 서브 경화부(CE1a)와 제2 서브 경화부(CE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서브 경화부(CE1a)는 댐 형성 공간(DSP)에 주입된 고점도 점착물질(ADMa)을 향해 UV를 조사하여 고점도 점착층(AD2a)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서브 경화부(CE1b)는 주입 공간(ISP)에 주입된 저점도 점착물질(ADMb)를 향해 UV를 조사하여 저점도 점착층(AD2b)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경화부(CE2)는 제1 점착층(AD1)을 향해 UV를 조사할 수 있다. 제2 경화부(CE2)는 제1 점착층(AD1)을 경화하여 표시패널(DP)와 윈도우(WM)을 합착시킬 수 있다. 제1 점착층(AD1)은 UV 경화성 물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경화부(CE2)는 제1 점착층(AD1) 및 제2 점착층(AD2)을 향해 UV를 조사할 수 있다. 제2 경화부(CE2)는 제1 점착층(AD1) 및 제2 점착층(AD2)을 경화할 수 있다.
제2 경화부(CE2)를 통한 제1 점착층(AD1)의 경화는, 제1 경화부(CE1)을 통한 고점도 점착물질(ADMa) 및 저점도 점착물질(ADMb)의 경화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경화부(CE2)를 통한 경화는 제1 점착층(AD1) 상의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공정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제2 경화부(CE2)를 통한 제2 점착층(AD2)의 경화는, 제1 경화부(CE1)을 통한 고점도 점착물질(ADMa) 및 저점도 점착물질(ADMb)의 경화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착기의 합착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물질의 주입 및 경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 및 도 7을 참조하면, 표시장치(DD)를 제조하는 합착기(LE)의 합착 방법은 표시패널(DP)을 제1 지지부(LDP1) 상에 로딩하는 단계(100S), 윈도우(WD)를 제2 지지부(LDP2) 상에 로딩하는 단계(200S), 제1 지지부(LDP1) 및 제2 지지부(LDP2)를 결합하는 단계(300S)를 포함한다.
표시패널(DP)을 제1 지지부(LDP1) 상에 로딩하는 단계(100S)에서, 표시패널(DP)은 제1 지지부(LDP1)에 제1 점착층(AD1) 및 가이드 필름(GF)이 배치된 표시패널(DP)이 로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패널(DP)을 로딩하는 단계(100S)는 제1 지지부(LDP1)에 표시패널(DP)을 로딩하는 단계 및 로딩된 표시패널(DP)의 제1 직선부(LP1) 상에 제1 점착층(AD1)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윈도우(WD)를 제2 지지부(LDP2) 상에 로딩하는 단계(200S)에서는, 제2 지지부(LDP2)에 커브 영역(CA)에 중첩하는 제2 곡선부(CP2) 및 직선 영역(LA)에 중첩하는 제2 직선부(LP2)을 포함하는 윈도우(WD)가 로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LDP1) 및 제2 지지부(LDP2)를 결합하는 단계(300S)에서는 표시패널(DP)이 로딩된 제1 지지부(LDP1) 및 윈도우(WD)가 로딩된 제2 지지부(LDP2)을 결합할 수 있다.
합착기의 합착 방법은, 팽창 패드(EP)를 통해 제1 직선부(LP1)와 제2 직선부(LP2)를 합착하는 단계(400S), 주입부(FE)를 통해 제1 공간(SP1) 및 제2 공간(SP2)에 점착물질(ADM)을 주입 및 경화부(CE)를 통해 점착물질(ADM)을 경화하는 단계(500S) 및 결합된 제1 지지부(LDP1) 및 제2 지지부(LDP2)를 분리하는 단계(600S)를 더 포함한다.
팽창 패드(EP)을 통해 제1 직선부(LP1)과 제2 직선부(LP2)를 합착시키는 단계(400S)에서는 에어 노즐(AZ)을 통해 팽창 패드(EP)로 공기가 주입된다. 주입된 에어에 의하여 팽창 패드(EP)가 팽창 시 표시패널(DP)의 제1 직선부(LP1)가 윈도우(WD)의 제2 직선부(LP2) 측으로 이동하여, 제2 직선부(LP2)에 합착된다.
점착물질(ADM)을 주입하고 및 점착물질(ADM)을 경화하는 단계(500S)에서는, 주입부(FE)을 통해 제1 곡선부(CP1)과 제2 곡선부(CP2) 사이의 제1 공간(SP1) 및 제1 점착층(AD1)과 제2 직선부(LP2) 사이의 제2 공간(SP2)에 점착물질(ADM)을 주입할 수 있다. 주입된 점착물질(ADM)을 경화부(CE)를 통해 경화시킬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6b 및 도8을 참조하면, 점착물질(ADM)을 주입하고, 점착물질(ADM)을 경화하는 단계(500S)는 주입부(FE)를 통해 댐 형성 공간(DSP)에 고점도 점착물질(ADMa)을 주입하는 단계(501S), 경화부(CE)를 통해 고점도 점착물질(ADMa)을 경화해 고점도 점착층(AD2a)을 형성하는 단계(502S)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예로, 고점도 점착물질(ADMa)은 제1 주입부(FE1)를 통해 주입될 수 있고(501S), 고점도 점착물질(ADMa)은 제1 경화부(CE1)를 통해 경화될 수 있다(502S).
점착물질(ADM)을 주입하고, 점착물질(ADM)을 경화하는 단계(500S)는 주입부(FE)를 통해 주입 공간(ISP)에 저점도 점착물질(ADMb)을 주입하는 단계(503s), 경화부(CE)를 통해 저점도 점착물질(ADMb)을 경화해 저점도 점착층(AD2b)을 형성하는 단계(504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예로, 저점도 점착물질(ADMb)은 제2 주입부(FE2)를 통해 주입될 수 있고(503S), 저점도 점착물질(ADMa)은 제2 경화부(CE2)를 통해 경화될 수 있다(504S).다시 도 7을 참조하면,
결합된 제1 지지부(LDP1) 및 제2 지지부(LDP2)를 분리하는 단계(600S)에서는, 결합된 제1 지지부(LDP1)과 제2 지지부(LDP2)가 분리되고,, 제1 지지부(LDP1)로부터 윈도우(WD)와 표시패널(DP)가 합착되제조된 예비 표시장치(P_DD, 도 4e 참조)가 언로딩 된다.. 이때, 가이드 필름(GF, 도 4a 참조)이 예비 표시장치(P_DD)에 점착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언로딩 이후에 예비 표시장치(P_DD)에서 가이드 필름(GF)을 제거할 수 있다. 제1 지지부(LDP1) 및 제2 지지부(LDP2)를 분리하는 단계(600S) 이후에, 예비 표시장치(P_DD)에 결합되어 있는 점착부재에 UV를 조사하여, 점착부재의 점착력을 약화시킨 후, 예비 표시장치(P_DD)와 가이드 필름(GF)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비 표시장치(P_DD)로부터 가이드 필름(GF)을 제거하여 도 2a에 도시된 표시장치(DD)를 완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물질의 주입 및 경화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표시장치 CA: 커브영역
LA: 직선영역 CP1: 제1 곡선부
LP1: 제1 직선부 DP: 표시패널
CP2: 제2 곡선부 LP2: 제2 직선부
WD: 윈도우 AD1: 제1 점착층
SP1: 제1 공간 SP2: 제2 공간
AD2: 제2 점착층 DSP: 댐 형성 공간
ISP: 주입 공간 AD2a: 고점도 점착층
AD2b: 저점도 점착층 LE: 합착기
LDP1: 제1 지지부 LDP2: 제2 지지부
ADM: 점착물질 FE: 주입부
CE: 경화부 EP: 팽창패드
FP: 고정패드 ADMa: 고점도 점착물질
ADMb: 저점도 점착물질 FE1: 제1 주입부
FE2: 제2 주입부

Claims (20)

  1. 휘어진 형상을 갖는 커브 영역과 평면 형상을 갖는 직선 영역이 정의된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브 영역에 중첩하는 제1 곡선부 및 상기 직선 영역에 중첩하는 제1 직선부를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커브 영역에 중첩하는 제2 곡선부 및 상기 직선 영역에 중첩하는 제2 직선부를 포함하는 윈도우; 및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는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를 결합시키는 제1 점착층; 및
    상기 제1 곡선부와 상기 제2 곡선부 사이의 제1 공간 및 상기 제1 점착층과 상기 제2 직선부 사이의 제2 공간에 배치되는 제2 점착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제1 곡선부의 한쪽 끝단에 대응하는 댐 형성 공간과, 상기 댐 형성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응하는 주입 공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제2 점착층과 상기 제1 곡선부가 직접 접촉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층은, 상기 댐 형성 공간에 더 배치되는 표시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점착층은,
    상기 댐 형성 공간 내에서 상기 제2 곡선부와 상기 제1 점착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주입 공간 내에서 상기 제2 곡선부와 상기 제1 곡선부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점착층은,
    상기 댐 형성 공간에 배치되는 고점도 점착층; 및
    상기 주입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고점도 점착층보다 작은 점도를 갖는 저점도 점착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층은, 상기 커브영역에 더 배치되는 표시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점착층은,
    상기 제1 공간 내에서 상기 제2 곡선부와 상기 제1 점착층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점착층은,
    상기 댐 형성 공간에 배치되는 고점도 점착층; 및
    상기 주입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고점도 점착층보다 작은 점도를 갖는 저점도 점착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휘어진 형상을 갖는 커브 영역과 평면 형상을 갖는 직선 영역이 정의된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합착기에 있어서,
    상기 커브 영역에 중첩하는 제1 곡선부 및 상기 직선 영역에 중첩하는 제1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직선부 상에 제1 점착층이 배치된 표시패널이 로딩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커브 영역에 중첩하는 제2 곡선부 및 상기 직선 영역에 중첩하는 제2 직선부를 포함하는 윈도우가 로딩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곡선부와 상기 제2 곡선부 사이의 제1 공간 및 상기 제1 점착층과 상기 제2 직선부 사이의 제2 공간에 점착물질을 주입하는 주입부; 및
    상기 주입된 점착물질을 경화시켜 제2 점착층을 형성하는 경화부를 포함하는 합착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에어를 주입받아 팽창하는 팽창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직선부는 상기 팽창 패드 상에 배치되어, 상기 팽창 패드의 팽창시 상기 제2 직선부와 합착되는 합착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위치가 고정된 고정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곡선부는 상기 고정 패드 상에 배치되며,
    상기 팽창 패드의 팽창 시, 상기 제1 곡선부와 상기 제2 곡선부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합착기.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제1 곡선부의 한쪽 끝단에 대응하는 댐 형성 공간과, 상기 댐 형성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응하는 주입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주입부는,
    상기 댐 형성 공간에 고점도 점착물질을 주입하는 제1 주입부; 및
    상기 주입 공간에 상기 고점도 점착층보다 작은 점도를 갖는 저점도 점착물질을 주입하는 제2 주입부를 포함하는 합착기.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층은, 상기 커브 영역에 더 배치되고,
    상기 제1 주입부는,
    상기 댐 형성 공간 내에 상기 제2 곡선부와 상기 제1 점착층 사이에 상기 고점도 점착물질을 주입하고,
    상기 제2 주입부는,
    상기 주입 공간 내에 상기 제2 곡선부와 상기 제1 곡선부 사이에 상기 저점도 점착물질을 주입하는 합착기.
  15.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물질은, UV 경화성 물질이고,
    상기 경화부는, 상기 점착물질을 향해 UV를 조사하여 상기 제2 점착층을 형성하는 제1 경화부를 포함하는 합착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층은, UV 경화성 물질이고,
    상기 경화부는, 상기 제1 점착층을 향해 UV를 조사하여 상기 제1 점착층을 경화시키는 제2 경화부를 더 포함하는 합착기.
  17. 휘어진 형상을 갖는 커브 영역과 평면 형상을 갖는 직선 영역이 정의된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합착기에 있어서,
    제1 지지부에 상기 커브 영역에 중첩하는 제1 곡선부 및 상기 직선 영역에 중첩하는 제1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직선부 상에 제1 점착층이 배치된 표시패널을 로딩하는 단계;
    제2 지지부에 상기 커브 영역에 중첩하는 제2 곡선부 및 상기 직선 영역에 중첩하는 제2 직선부를 포함하는 윈도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를 결합해, 상기 제1 점착층과 상기 윈도우를 합착시키는 단계;
    주입부를 통해 상기 제1 곡선부와 상기 제2 곡선부 사이의 제1 공간 및 상기 제1 점착층과 상기 제2 직선부 사이의 제2 공간에 점착물질을 주입하는 단계;
    경화부를 통해 상기 점착물질을 경화시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윈도우를 합착시키는 단계; 및
    결합된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착기의 합착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에어를 주입받아 팽창하는 팽창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 패드를 통해,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직선부를 합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착기의 합착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제1 곡선부의 한쪽 끝단에 대응하는 댐 형성 공간과, 상기 댐 형성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응하는 주입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점착물질을 주입하는 단계는,
    상기 댐 형성 공간에 상기 고점도 점착물질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주입 공간에 상기 저점도 점착물질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착기의 합착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물질은, UV 경화성 물질이고,
    상기 점착물질을 경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고점도 점착물질을 향해 UV를 조사하여 고점도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저점도 점착물질을 향해 UV를 조사해 저점도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착기의 합착방법.
KR1020200103872A 2020-08-19 2020-08-19 표시장치, 합착기 및 합착기의 합착방법 KR20220022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872A KR20220022927A (ko) 2020-08-19 2020-08-19 표시장치, 합착기 및 합착기의 합착방법
US17/328,318 US11999882B2 (en) 2020-08-19 2021-05-24 Display device, lamination device, and lamination method of lamination device
CN202110929637.9A CN114078380A (zh) 2020-08-19 2021-08-13 显示设备和用于制造显示设备的层压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872A KR20220022927A (ko) 2020-08-19 2020-08-19 표시장치, 합착기 및 합착기의 합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927A true KR20220022927A (ko) 2022-03-02

Family

ID=80270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872A KR20220022927A (ko) 2020-08-19 2020-08-19 표시장치, 합착기 및 합착기의 합착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99882B2 (ko)
KR (1) KR20220022927A (ko)
CN (1) CN114078380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310B1 (ko) * 2006-02-02 2013-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착 부재 및 이를 사용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150533B1 (ko) * 2013-11-21 2020-09-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303244B1 (ko) * 2015-04-15 2021-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94763B1 (ko) 2018-05-11 2023-0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KR102712085B1 (ko) * 2018-12-21 2024-09-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장치, 및 구조물
KR102562076B1 (ko) 2019-07-26 2023-08-02 (주)동아에프이 라미네이션 장치 및 방법
KR102698113B1 (ko) * 2020-06-03 2024-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지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합착 장치, 및 합착 장치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10152065A (ko) 2020-06-05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지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합착 장치, 및 합착 장치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99882B2 (en) 2024-06-04
US20220056311A1 (en) 2022-02-24
CN114078380A (zh)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7235B2 (en) La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441930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206210301U (zh) 一种柔性显示装置
TWI356087B (en)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KR102232424B1 (ko)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및 표시모듈 조립 방법
CN110599901B (zh) 窗以及包括其的显示装置
KR20240099122A (ko)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825240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nic device
TW201835610A (zh) 用於智慧型設備的顯示部保護件以及顯示部保護件附著於智慧型設備的方法
WO2014123165A1 (ja) 透明面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20210048615A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I782451B (zh) 顯示面板
JP2015114852A (ja) タッチセンサ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KR20220022927A (ko) 표시장치, 합착기 및 합착기의 합착방법
JP2010098117A (ja) 電子装置および電子装置の製造方法
KR102420526B1 (ko)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531473B (zh) 環境敏感電子元件封裝體及其製作方法
JP7377485B2 (ja) ウィンドウおよ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WO2020203960A1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934241B1 (ko) 기능성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050214B (zh)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KR20200135751A (ko) 라미네이트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088641B1 (ko) 경질패널의 접착방법 및 그에 의해 접착된 경질패널장치
CN114241906A (zh) 一种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CN114187830A (zh) 柔性显示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