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065A - 지지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합착 장치, 및 합착 장치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지지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합착 장치, 및 합착 장치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065A
KR20210152065A KR1020200068125A KR20200068125A KR20210152065A KR 20210152065 A KR20210152065 A KR 20210152065A KR 1020200068125 A KR1020200068125 A KR 1020200068125A KR 20200068125 A KR20200068125 A KR 20200068125A KR 20210152065 A KR20210152065 A KR 20210152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upport
diaphragm
disposed
pane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규
김영수
박종덕
유재석
최정섭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8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2065A/ko
Priority to US17/188,744 priority patent/US20210384479A1/en
Priority to CN202110614879.9A priority patent/CN113763812A/zh
Publication of KR20210152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0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73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of non-flat surfaces, e.g. curved, profi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50Forming devices by joining two substrates together, e.g. lamin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29C63/16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applied by "rubber" bag or diaphrag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5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55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being a fluid inflatable bag or bladder, a diaphragm or a vacuum bag for applying isostatic press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H01L51/0024
    • H01L51/523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3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 B29C66/532Joining single elements to the wall of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 B29C66/5326Joining single elements to the wall of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said single elements being substantially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46Joining plastics material to non-plastics material to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C66/742 - B29C66/744
    • B29C66/7465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6Moving relative to and tangentially to the parts to be joined, e.g. transversely to the displac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e.g. using a X-Y 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75Displays, monitors, TV-sets, computer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합착 장치는 제1 패널 지지부, 상기 제1 패널 지지부 아래에 배치된 제2 패널 지지부, 상기 제1 패널 지지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패널 지지부를 따라 연장하여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와 상기 제2 패널 지지부 사이에 연결된 다이어프램, 및 상기 다이어프램 상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어프램과 마주보는 홈이 정의된 윈도우 고정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패널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1 패널 지지부까지 관통홀이 정의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에 정의된 상기 관통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지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합착 장치, 및 합착 장치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SUPPORT, BONDING DEVICE INCLUDING SUPPOR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지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합착 장치, 및 합착 장치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내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 등의 전자 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최근 표시 장치의 기술 발달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의 전면 뿐만 아니라, 표시 장치의 후면 및 표시 장치의 측면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을 보호하기 위해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윈도우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의 전면, 후면, 및 측면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표시 패널 및 윈도우는 표시 장치의 전면, 후면, 및 측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패널과 윈도우의 합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합착 장치, 및 합착 장치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는 제1 패널 지지부, 상기 제1 패널 지지부 아래에 배치된 제2 패널 지지부, 상기 제1 패널 지지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패널 지지부를 따라 연장하여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와 상기 제2 패널 지지부 사이에 연결된 다이어프램, 및 상기 다이어프램 상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어프램과 마주보는 홈이 정의된 윈도우 고정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패널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1 패널 지지부까지 관통홀이 정의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에 정의된 상기 관통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패널 지지부의 상부를 덮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패널 지지부의 측면들 상에 표시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다이어프램 상의 윈도우 고정척의 홈에 윈도우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홈에 상기 패널 지지부 및 상기 다이어프램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다이어프램을 팽창시켜, 상기 다이어프램 상에 배치된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벤딩부를 상기 제1 벤딩부에 인접한 상기 윈도우의 제2 벤딩부에 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팽창된 다이어프램을 상기 제1 벤딩부와 멀어지도록 상기 홈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패널 지지부의 상기 측면들 상에 배치된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평탄부들을, 상기 제1 평탄부들에 인접한 상기 윈도우의 제2 평탄부들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는 제1 패널 지지부, 상기 제1 패널 지지부 아래에 배치된 제2 패널 지지부, 및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의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패널 지지부를 따라 연장하여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와 상기 제2 패널 지지부 사이에 연결된 다이어프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제2 패널 지지부의 측면들 상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2 패널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1 패널 지지부까지 정의된 관통홀을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의 제1 벤딩부가 제1 벤딩부에 인접한 윈도우의 제2 벤딩부에 부착된 후, 표시 패널의 제1 평탄부가 제1 평탄부에 인접한 윈도우의 제2 평탄부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벤딩부와 제2 벤딩부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착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합착 장치를 통해 서로 합착되는 표시 패널 및 윈도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로 소자층 및 표시 소자층에 배치된 어느 한 화소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Ⅱ-Ⅱ'선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Ⅲ-Ⅲ'선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합착 장치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8은 표시 패널 및 윈도우에 결합되기 위한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서로 결합된 표시 패널, 윈도우, 및 지지부에 의해 제조된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Ⅳ-Ⅳ'선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V-V'선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Ⅵ-Ⅵ'선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Ⅶ-Ⅶ'선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착 장치(BOD)는 스테이지(STG), 지지부(SUP), 복수 개의 기둥들(COL), 복수 개의 텐션부들(TNP), 복수 개의 제1 이동부들(MOV1), 제2 이동부(MOV2), 복수 개의 제3 이동부들(MOV3), 복수 개의 롤러들(ROL), 복수 개의 롤러 지지부들(RSP), 및 윈도우 고정척(FCK)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지(STG)는 제1 방향(DR1) 및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기둥들(COL)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반대하는 스테이지(STG)의 양측들 상에 배치되어 제3 방향(DR3)으로 연장할 수 있다. 기둥들(COL)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제3 방향(DR3)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교차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상, 위, 아래, 상부 방향, 및 하부 방향 등은 제3 방향(DR3)을 기준으로 구성들의 상대적인 위치 및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지지부(SUP)는 스테이지(STG)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SUP)는 기둥들(CO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SUP)의 하부는 스테이지(STG)에 정의된 함몰부(RES)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SUP)는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에 의해 정의된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SUP)는 패널 지지부(PSP) 및 다이어프램(DPM)(Diaphragm)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지지부(PSP)는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에 의해 정의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패널 지지부(PSP)의 하부는 함몰부(RES)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지지부(PSP)는 리지드 타입으로 형성되며,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DPM)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DPM)은 패널 지지부(PSP)의 상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DPM)은 패널 지지부(PSP)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다이어프램(DPM)은 탄성을 갖고 외력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DPM)은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텐션부들(TNP)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스테이지(STG)의 양측들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텐션부들(TNP)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스테이지(STG)의 양측들과 텐션부들(TNP) 사이에 제1 이동부들(MOV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동부들(MOV1)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스테이지(STG)의 양측들에 정의된 함몰부들(RES1)에 삽입되어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이동부들(MOV1)은 텐션부들(TNP)에 연결되어 텐션부들(TNP)을 제2 방향(DR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이동부들(MOV1)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들이 스테이지(STG) 내에 배치될 수 있으나, 구동 유닛들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이동부(MOV2)는 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동부(MOV2)는 사각형의 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제2 이동부(MOV2)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이동부(MOV2)는 기둥들(COL)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이동부(MOV2)는 서로 마주보는 기둥들(COL)의 안쪽 측면들에 반대하는 기둥들(COL)의 바깥쪽 측면들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이동부(MOV2)는 제3 방향(DR3)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이동부(MOV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들이 기둥들(COL) 내에 배치될 수 있으나, 구동 유닛들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이동부들(MOV3)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고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이동부들(MOV3)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2 이동부(MOV2)의 내측면들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이동부들(MOV3)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2 이동부(MOV2)의 내측면들에 각각 인접할 수 있다. 제3 이동부들(MOV3)은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3 이동부들(MOV3)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들이 제2 이동부(MOV2) 내에 배치될 수 있으나, 구동 유닛들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롤러 지지부들(RSP)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할 수 있다. 롤러 지지부들(RSP)은 제3 이동부들(MOV3)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이동부들(MOV3) 각각에 연결된 롤러 지지부들(RSP)은 제1 방향(DR1)으로 배치될 수 있다.
롤러들(ROL) 각각은 제3 이동부들(MOV3) 각각에 연결된 롤러 지지부들(RSP) 사이에 배치되어 롤러 지지부들(RSP)에 연결될 수 있다. 롤러들(ROL)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롤러들(ROL)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롤러들(ROL)은 제3 이동부들(MOV3)에 의해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하고, 제2 이동부(MOV2)에 의해 제3 방향(DR3)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롤러들(ROL)은 롤러 지지부들(RSP)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들(ROL)은 제1 방향(DR1)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롤러들(ROL)은 롤러 지지부들(RSP)을 따라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윈도우 고정척(FCK)은 지지부(SUP)보다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고정척(FCK)에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홈(GOV)이 정의될 수 있다. 홈(GOV) 내부의 끝단은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합착 장치를 통해 서로 합착되는 표시 패널 및 윈도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2에 도시된 표시 패널(DP) 및 윈도우(WIN)는 제1 방향(DR1)에서 바라본 측면으로 도시되었다.
도 2를 참조하면, 합착 장치(BOD)에서 윈도우(WIN)에 합착되기 위한 표시 패널(DP)은 지지부(SUP) 상에 배치되고, 윈도우(WIN)는 윈도우 고정척(FCK)의 홈(GOV)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SUP) 상에 배치된 표시 패널(DP)의 형상 및 윈도우 고정척(FCK)의 홈(GOV)에 배치된 윈도우(WIN)의 형상은 이하 도 9에 도시될 것이다.
표시 패널(DP)은 지지부(SUP) 상에 바로 배치되지 않고, 가이드 필름(GFM)을 통해 지지부(SU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필름(GFM)이 준비되고, 가이드 필름(GFM) 상에 표시 패널(DP)이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필름(GFM)은 지지부(SU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필름(GFM)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필름(GFM)은 폴리 이미드(Polyimide: PI)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와 같은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가요성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또는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설명된다.
윈도우(WIN)는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울트라 씬 글래스 (UTG: Ultra Thin Glass)로 정의될 수 있다. 울트라 씬 글래스는 강화 유리로서, 벤딩되어도 잘 깨지지 않는 강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WIN)는 유리 외에도 합성 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WIN)는 다층 구조 또는 단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IN)는 접착제로 결합된 복수 개의 합성수지 필름들을 포함하거나, 접착제로 결합된 유리 기판과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IN) 사이에 접착제(ADH)가 배치될 수 있다. 접착제(ADH)는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OCA)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접착제(ADH)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착제(ADH)는 표시 패널(DP)의 상면 상에 먼저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상면에 접착제(ADH)가 먼저 부착된 후, 윈도우(WIN)가 접착제(ADH)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제(ADH)에 의해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IN)가 서로 합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IN)를 서로 합착시키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합착 장치(BOD)가 사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IN)가 서로 합착된 후, 가이드 필름(GFM)은 표시 패널(DP)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가이드 필름(GFM)을 표시 패널(DP)에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제가 가이드 필름(GFM)과 표시 패널(D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에 합착된 윈도우(WIN)는 외부의 스크래치 및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DP)을 보호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IN) 사이에 외부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입력 감지부 및 외부광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반사 방지층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로 소자층 및 표시 소자층에 배치된 어느 한 화소의 단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기판(SUB), 기판(SUB) 상에 배치된 회로 소자층(DP-CL), 회로 소자층(DP-CL) 상에 배치된 표시 소자층(DP-OLED), 및 표시 소자층(DP-OLED)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폴리 이미드(PI:polyimide)와 같은 가요성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소자층(DP-OLED)은 표시 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소자층(DP-CL) 및 표시 소자층(DP-OLED)에 복수 개의 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들 각각은 회로 소자층(DP-CL)에 배치된 트랜지스터 및 표시 소자층(DP-OLED)에 배치되어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표시 소자층(DP-OLED)을 덮도록 회로 소자층(DP-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무기층들 및 무기층들 사이의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들은 수분/산소로부터 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유기층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화소(PX)는 트랜지스터(TR) 및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OLED)는 제1 전극(AE), 제2 전극(CE), 정공 제어층(HCL), 전자 제어층(ECL), 및 발광층(EM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애노드 전극일 수 있으며, 제2 전극(CE)은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트랜지스터(TR) 및 발광 소자(OLED)는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하나의 트랜지스터(TR)가 도시되었으나, 실질적으로, 화소(PX)는 발광 소자(OLED)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 개의 트랜지스터들 및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발광 소자(OLED)가 배치된 발광 영역(PA) 및 발광 영역(PA) 주변의 비발광 영역(NPA)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 상에 버퍼층(BFL)이 배치되며, 버퍼층(BFL)은 무기층일 수 있다. 버퍼층(BFL) 상에 반도체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은 폴리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반도체 패턴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핑 여부에 따라 반도체 패턴의 전기적 성질이 달라질 수 있다. 반도체 패턴은 도핑 영역과 비-도핑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핑 영역은 N형 도판트 또는 P형 도판트로 도핑될 수 있다. 도핑 영역의 전도성은 비-도핑 영역보다 크고, 실질적으로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역할을 할 수 있다. 비-도핑 영역은 실질적으로 트랜지스터의 액티브(또는 채널)에 해당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의 소스(S), 액티브(A), 및 드레인(D)은 반도체 패턴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 패턴 상에 제1 절연층(INS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INS1) 상에 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G)가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G) 상에 제2 절연층(INS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 상에 제3 절연층(INS3)이 배치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와 발광 소자(OLED) 사이에 트랜지스터(TR)와 발광 소자(OLED)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전극(CNE)이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전극(CNE)은 제1 연결 전극(CNE1) 및 제1 연결 전극(CNE1) 상에 배치된 제2 연결 전극(CN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전극(CNE1)은 제3 절연층(INS3) 상에 배치되고, 제1 내지 제3 절연층들(INS1~INS3)에 정의된 제1 컨택홀(CH1)을 통해 드레인(D)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절연층(INS4)은 제1 연결 전극(CNE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절연층(INS4)상에 제5 절연층(INS5)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전극(CNE2)은 제5 절연층(INS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 전극(CNE2)은 제5 절연층(INS5)에 정의된 제2 컨택홀(CH2)을 통해 제1 연결 전극(CNE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전극(CNE2) 상에 제6 절연층(INS6)이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BFL)부터 제6 절연층(INS6)까지의 층은 회로 소자층(DP-CL)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INS1) 내지 제6 절연층(INS6)은 무기층 또는 유기층일 수 있다.
제6 절연층(INS6) 상에 제1 전극(AE)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AE)은 제6 절연층(INS6)에 정의된 제3 컨택홀(CH3)을 통해 제2 연결 전극(CNE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AE) 및 제6 절연층(INS6) 상에 제1 전극(AE)의 소정의 부분을 노출시키는 화소 정의막(PDL)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에는 제1 전극(AE)의 소정의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PX_OP)가 정의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은 제1 전극(AE) 및 화소 정의막(PD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은 발광 영역(PA)과 비발광 영역(NPA)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은 정공 수송층 및 정공 주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정공 제어층(H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개구부(PX_OP)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유기 물질 및/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제어층(ECL)은 발광층(EML) 및 정공 제어층(H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제어층(ECL)은 발광 영역(PA)과 비발광 영역(NPA)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제어층(ECL)은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전자 제어층(EC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CE)은 화소들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발광 소자(OLE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OLED)가 배치된 층은 표시 소자층(DP-OLED)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전압이 트랜지스터(TR)를 통해 제1 전극(AE)에 인가되고, 제2 전압이 제2 전극(CE)에 인가될 수 있다. 발광층(EML)에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가 형성되고, 여기자가 바닥 상태로 전이하면서, 발광 소자(OLED)가 발광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SUP)는 패널 지지부(PSP), 패널 지지부(PSP) 상에 배치된 다이어프램(DPM), 및 패널 지지부(PSP)와 다이어프램(DPM)을 체결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체결 유닛들(FU)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지지부(PSP)는 제1 패널 지지부(PSP1) 및 제1 패널 지지부(PSP1) 아래에 배치된 제2 패널 지지부(PSP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DPM)은 제1 패널 지지부(PSP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널 지지부(PSP1)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방향(DR1)에서 바라봤을 때, 제1 패널 지지부(PSP1)는 상부 방향을 향해 볼록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상부 방향은 제3 방향(DR3)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패널 지지부(PSP2)는 제3 방향(DR3)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패널 지지부(PSP2)는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에 의해 정의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패널 지지부(PSP2)는 제1 방향(DR1)으로 더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패널 지지부(PSP)에는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관통홀들(AH)이 정의될 수 있다. 관통홀들(AH)은 제1 패널 지지부(PSP1)에 정의된 복수 개의 제1 관통홀들(AH1) 및 제2 패널 지지부(PSP2)에 정의된 복수 개의 제2 관통홀들(A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홀들(AH1)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되고, 제2 관통홀들(AH2)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3 방향(DR3)에서 바라봤을 때, 제1 및 제2 관통홀들(AH1,AH2)은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제1 및 제2 관통홀들(AH1,AH2)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패널 지지부(PSP2)에는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체결홀들(FH)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방향(DR1)을 행 방향으로 정의할 때, 체결홀들(FH)은 2개의 행들로 배열될 수 있다. 사시도의 관측 위치상 체결홀들(FH)이 제2 패널 지지부(PSP2)에 정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체결홀들(FH)은 제1 패널 지지부(PSP1) 및 다이어프램(DPM)에도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이하 7의 단면도에 도시될 것이다.
체결홀들(FH)은 관통홀들(AH)에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체결홀들(FH)은 관통홀들(AH)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홀들(FH)은 관통홀들(AH)보다 제2 패널 지지부(PSP2)의 양측면들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패널 지지부(PSP2)의 양측면들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2 패널 지지부(PSP2)의 측면들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3 방향(DR3)에서 바라봤을 때, 체결홀들(FH)은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체결 유닛들(FU)은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체결 유닛들(FU)은 체결홀들(FH)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홀들(FH)에 배치된 체결 유닛들(FU)은 이하 도 7의 단면도에 도시될 것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I-I'선의 단면도이다.
예시적으로, 도 6의 단면도에는 다이어프램(DPM) 및 제1 패널 지지부(PSP1)의 단면도 함께 도시되었다.
도 6을 참조하면, 관통홀들(AH)은 제2 패널 지지부(PSP2)부터 제1 패널 지지부(PSP1)까지 관통하여 정의될 수 있다. 관통홀들(AH)은 제3 방향(DR3)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3 방향(DR3)에서 바라봤을 때, 제1 관통홀들(AH1)은 제2 관통홀들(AH2)에 중첩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DPM)은 제1 관통홀들(AH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DPM)은 제1 패널 지지부(PSP1)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DPM)은 제1 패널 지지부(PSP1)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DPM)은 제1 패널 지지부(PSP1)의 상면 및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1 패널 지지부(PSP1)의 양측면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DPM)은 두께가 얇은 합성 고무, 합성 수지, 또는 금속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 막 구조물일 수 있다. 다이어프램(DPM)은 소정의 탄성을 갖고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원래의 형태로 돌아오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즉, 다이어프램(DPM)은 탄성을 갖는 얇은 막의 간막이 판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DPM)은 제1 패널 지지부(PSP1) 및 제2 패널 지지부(PSP2)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DPM)의 하부는 제1 패널 지지부(PSP1) 및 제2 패널 지지부(PSP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패널 지지부(PSP1) 및 제2 패널 지지부(PSP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DPM)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2 패널 지지부(PSP2)의 양측면들 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이어프램(DPM)은 제1 패널 지지부(PSP1) 상에 배치된 제1 부분(PT1) 및 제1 패널 지지부(PSP1) 및 제2 패널 지지부(PSP2) 사이에 배치된 제2 부분(PT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PT1)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1 패널 지지부(PSP1)의 양측면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Ⅱ-Ⅱ'선의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의 필요에 따라, 도 5가 도 7과 함께 설명될 것이다. 또한, 예시적으로, 도 7의 단면도에는 다이어프램(DPM) 및 제1 패널 지지부(PSP1)의 단면도 함께 도시되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방향(DR1)에서 바라봤을 때, 제2 패널 지지부(PSP2)와 마주보는 제1 패널 지지부(PSP1)의 하면은 제2 방향(DR2)에 평행할 수 있다. 제1 방향(DR1)에서 바라봤을 때, 제2 패널 지지부(PSP2)는 제3 방향(DR3)으로 더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DR1)에서 바라봤을 때, 제1 패널 지지부(PSP1)의 하면을 제외한 제1 패널 지지부(PSP1)의 외면은 상부로 볼록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곡면을 갖는 제1 패널 지지부(PSP1)에서,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제1 패널 지지부(PSP1)의 최대 폭은 제2 패널 지지부(PSP2)의 최대 폭보다 클 수 있다.
다이어프램(DPM)이 곡면을 갖는 제1 패널 지지부(PSP1)의 외면 상에 배치되므로, 다이어프램(DPM)의 역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다이어프램(DPM)의 두께는 제1 패널 지지부(PSP1)의 상단부터 제1 패널 지지부(PSP1) 및 제2 패널 지지부(PSP2) 사이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이어프램(DPM)의 두께는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프램(DPM)은 다양한 형상을 갖고,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이어프램(DPM)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2 패널 지지부(PSP2)의 측면들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부분(PT1)은 제1 패널 지지부(PSP1)의 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분(PT2)은 제1 패널 지지부(PSP1)와 제2 패널 지지부(PSP2) 사이에 연결되어 제1 패널 지지부(PSP1)와 제2 패널 지지부(PSP2)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체결홀(FH)은 제1 패널 지지부(PSP1)에 정의된 체결홈(FG), 제2 패널 지지부(PSP2)에 정의된 제1 체결홀(FH1), 및 다이어프램(DPM)의 제2 부분(PT2)에 정의된 제2 체결홀(FH2)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홈(FG)은 제1 패널 지지부(PSP1)의 하면에서 제1 패널 지지부(PSP1)의 상부를 향해 소정의 부분만큼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홀(FH1)은 제2 패널 지지부(PSP2)를 제3 방향(DR3)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홀(FH2)은 제2 부분(PT2)을 제3 방향(DR3)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FG), 제1 체결홀(FH1), 및 제2 체결홀(FH2)은 제3 방향(DR3)으로 일체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연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방향(DR3)에서 바라봤을 때, 체결홈(FG), 제1 체결홀(FH1), 및 제2 체결홀(FH2)은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지지부(SUP)는 복수 개의 체결 유닛들(FU)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 유닛들(FU)은 제2 패널 지지부(PSP2) 및 제2 부분(PT2)을 관통하여 제1 패널 지지부(PSP1)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유닛들(FU)은 제2 체결홀(FH2), 제1 체결홀(FH1), 및 체결홈(FG)에 삽입될 수 있다.
체결 유닛들(FU)에 의해 제2 패널 지지부(PSP2)가 제1 패널 지지부(PSP1)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체결 유닛들(FU)에 의해 제2 부분(PT2)이 제1 패널 지지부(PSP1)와 제2 패널 지지부(PSP2) 사이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체결홀들(FH)이 관통홀들(AH)에 중첩하지 않으므로, 체결 유닛들(FU)은 관통홀들(AH)에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체결 유닛들(FU)이 체결홀들(FH)에 배치되므로, 제2 방향(DR2)에서 바라봤을 때, 체결 유닛들(FU)은 관통홀들(AH)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Ⅲ-Ⅲ'선의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의 필요에 따라, 도 6이 도 8과 함께 설명될 것이다. 또한, 예시적으로, 도 7의 단면도에는 다이어프램(DPM) 및 제1 패널 지지부(PSP1)의 단면도 함께 도시되었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관통홀들(AH)은 제1 패널 지지부(PSP1)의 상단을 통해 개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관통홀들(AH1)이 제1 패널 지지부(PSP1)의 상단을 통해 개구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관통홀들(AH1)은 제1 패널 지지부(PSP1)의 다양한 위치들을 통해 개구될 수 있다.
제1 부분(PT1)은 제1 관통홀들(AH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들(AH)을 통해 공기가 제1 부분(PT1)으로 주입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부분(PT2)은 관통홀들(AH)에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공기가 제2 관통홀들(AH2)을 통해 제1 관통홀들(AH1)에 주입될 수 있다. 제2 부분(PT2)이 관통홀들(AH)에 중첩하도록 배치된다면, 제2 부분(PT2)에 의해 제2 관통홀들(AH2)로부터 제1 관통홀들(AH1)로 주입되는 공기가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2 부분(PT2)은 관통홀들(AH)에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합착 장치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7에는 예시적으로 표시 패널(DP) 및 가이드 필름(GFM)이 도시되었으며, 접착제(ADH)는 생략되었다.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 필름(GFM)의 길이는 제2 방향(DR2)으로 표시 패널(DP)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가이드 필름(GFM) 상에 표시 패널(DP)이 배치되고, 표시 패널(DP)이 가이드 필름(GFM)에 합착될 수 있다. 가이드 필름(GFM) 및 표시 패널(DP)의 합착 공정은 제1 공정 챔버(미 도시됨)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접착제(ADH)가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DP)을 가이드 필름(GFM)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제가 더 사용될 수 있다.
서로 합착된 가이드 필름(GFM) 및 표시 패널(DP)은 제2 공정 챔버(미 도시됨)로 이송될 수 있다. 제2 공정 챔버에서, 표시 패널(DP)에 윈도우(WIN)을 합착하기 위한 합착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설명될 공정들은 실질적으로 제2 공정 챔버에서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지그들(JIG)이 제공되고, 지그들(JIG)은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가이드 필름(GFM)의 양단들에 인접한 가이드 필름(GFM)의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지그들(JIG)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반대하는 가이드 필름(GFM)의 양측들을 잡을 수 있다. 가이드 필름(GFM)은 지그들(JIG)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가이드 필름(GFM)은 지그들(JIG)에 의해 이동되어 지지부(SU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지그들(JIG)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이드 필름(GFM)을 지지부(SUP)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지그들(JIG)에 의해 가이드 필름(GFM)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표시 패널(DP)의 중심부에 중첩하는 가이드 필름(GFM)의 부분이 다이어프램(DPM)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중심부에 중첩하는 가이드 필름(GFM)의 부분은 다이어프램(DPM)에 접촉할 수 있다.
지그들(JIG)은 가이드 필름(GFM)의 양단들을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텐션부들(TNP)에 정의된 고정홈들(FGV)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후 지그들(JIG)은 가이드 필름(GFM)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가이드 필름(GFM)의 양단들은 고정홈들(FGV)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가이드 필름(GFM)의 양단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유닛들(예를 들어 가이드 필름들을 가압하기 위한 나사들)이 고정 홈들(FGV)에 배치될 수 있다. 텐션부들(TNP)은 제2 방향(DR2)으로 제1 이동부들(MOV1)에 의해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가이드 필름(GFM)을 평평하게 펼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롤러들(ROL)이 제3 방향(DR3) 및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대로, 롤러들(ROL)은 제2 이동부(MOV2)에 의해 제3 방향(DR3)으로 이동되고, 제3 이동부들(MOV3)에 의해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롤러들(ROL)은 가이드 필름(GFM)에 접촉하여 가이드 필름(GFM)을 이동시킬 수 있다. 롤러들(ROL)은 표시 패널(DP)에 인접한 가이드 필름(GFM)의 부분들에 접촉할 수 있다. 롤러들(ROL)은 제2 패널 지지부(PSP2)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롤러들(ROL)은 제2 패널 지지부(PSP2)의 측면들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롤러들(ROL)에 의해 가이드 필름(GFM)이 제2 패널 지지부(PSP2)의 측면들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DP)은 가이드 필름(GFM)에 의해 제2 패널 지지부(PSP2)의 측면들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필름(GFM)이 다이어프램(DPM) 및 패널 지지부(PSP)의 측면들 상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DP)은 가이드 필름(GFM)에 의해 다이어프램(DPM) 및 패널 지지부(PSP)의 측면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롤러들(ROL)로부터 상부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롤러들(ROL)은 표시 패널(DP)이 제2 패널 지지부(PSP2)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표시 패널(DP)을 가이드할 수 있다.
롤러들(ROL)에 의해 가이드 필름(GFM)이 이동함에 따라, 텐션부들(TNP)도 롤러들(ROL)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롤러들(ROL)이 지지부(SUP)를 향해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함에 따라, 텐션부들(TNP)은 제1 이동부들(MOV1)에 의해 제2 방향(DR2)으로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도 14부터, 텐션부들(TNP)은 생략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지지부(SUP) 상에 윈도우 고정척(FCK)이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고정척(FCK)은 지지부(SUP)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스테이지(STG)가 윈도우 고정척(FCK)이 배치된 위치로 이동하여 윈도우 고정척(FCK)이 지지부(SU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 고정척(FCK)에 정의된 홈(GOV)은 지지부(SUP)와 마주볼 수 있다. 지지부(SUP)와 마주보는 홈(GOV) 내부의 끝단은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 고정척(FCK)의 홈(GOV)에 윈도우(WIN)가 배치될 수 있다. 홈(GOV)에 배치된 윈도우(WIN)는 벤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홈(GOV)이 정의된 윈도우 고정척(FCK)의 내면에는 윈도우(WIN)를 흡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진공 흡착홀들이 정의될 수 있다.
윈도우 고정척(FCK)은 다이어프램(DPM)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홈(GOV)은 다이어프램(DPM)과 마주볼 수 있다. 제1 패널 지지부(PSP1)의 곡면과 마주보는 홈(GOV) 내부의 끝단에서 윈도우 고정척(FCK)은 오목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4에서 패널 지지부(PSP)의 측면들은 실질적으로 제2 방향(DR2)으로 서로 반대하는 제2 패널 지지부(PSP2)의 측면들을 가리킬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접착제(ADH)가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곡면을 갖는 제1 패널 지지부(PSP1) 및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된 판 형상을 갖는 제2 패널 지지부(PSP2)를 따라 배치되므로, 벤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제1 벤딩부(BP1) 및 제1 평탄부들(PP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벤딩부(BP1)는 곡면을 갖는 제1 패널 지지부(PSP1) 및 다이어프램(DPM)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평탄부들(PP1)은 제2 패널 지지부(PSP2)의 측면들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벤딩부(BP1)는 벤딩된 형상을 갖고, 제1 평탄부들(PP1)은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DP)이 펼쳐졌을 때, 제1 벤딩부(BP1)는 제1 평탄부들(PP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WIN)는 제1 벤딩부(BP1)에 대응하는 제2 벤딩부(BP2) 및 제1 평탄부들(PP1)에 대응하는 제2 평탄부들(PP2)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IN)가 펼쳐졌을 때, 제2 벤딩부(BP2)는 제2 평탄부들(PP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합착 장치(BOD)에 의해 제1 벤딩부(BP1)가 제2 벤딩부(BP2)에 부착되고, 제1 평탄부들(PP1)이 제2 평탄부들(PP2)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2 패널 지지부(PSP2)의 하단은 스테이지(STG)의 함몰부(RES)에 배치될 수 있다. 함몰부(RES)가 정의된 스테이지(STG)의 부분에는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된 공기 주입홀(AIH)이 정의될 수 있다. 제3 방향(DR3)에서 바라봤을 때, 공기 주입홀(AIH)은 관통홀(AH)에 중첩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패널 지지부(PSP) 및 다이어프램(DPM)이 홈(GOV)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DP)이 홈(GOV)에 배치될 수 있다. 패널 지지부(PSP) 및 다이어프램(DPM)이 홈(GOV)에 배치되기 위해, 윈도우 고정척(FCK)이 제3 방향(DR3)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패널 지지부(PSP) 및 다이어프램(DPM)이 홈(GOV)에 배치되기 위해, 패널 지지부(PSP)가 제3 방향(DR3)으로 이동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스테이지(STG)가 제3 방향(DR3)으로 이동하여 패널 지지부(PSP)를 홈(GOV)에 배치시킬 수 있다. 대안으로서, 윈도우 고정척(FCK)과 패널 지지부(PSP)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제3 방향(DR3)으로 함께 이동할 수도 있다.
윈도우 고정척(FCK)이 제3 방향(DR3)으로 이동하여 패널 지지부(PSP) 및 다이어프램(DPM)이 홈(GOV) 내부로 삽입될 때, 표시 패널(DP)이 접착제(ADH)에 의해 윈도우(WIN)에 부착되지 않도록,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IN)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홈(GOV)에서, 표시 패널(DP)은 윈도우(WIN)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IN) 사이의 간격은 0.3mm 내지 0.7mm일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공기 주입홀(AIH)에 공기(AIR)가 주입되고, 공기(AIR)는 공기 주입홀(AIH)을 통해 관통홀(AH)에 제공될 수 있다. 관통홀(AH)은 실질적으로 공기(AIR)가 이동되는 공기 경로(air path)를 정의할 수 있다. 공기(AIR)는 제2 관통홀(AH2)을 통해 제1 관통홀(AH1)로 주입될 수 있다. 공기(AIR)는 제1 관통홀(AH1)을 통해 다이어프램(DPM)에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공기(AIR)가 공기 주입홀(AIH)을 통해 관통홀(AH)에 제공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공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체들 또는 유체가 공기 주입홀(AIH)을 통해 관통홀(AH)에 제공될 수도 있다.
다이어프램(DPM)의 제1 부분(PT1)은 제1 관통홀(AH1)을 통해 제공된 공기(AIR)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제2 부분(PT2)은 제1 패널 지지부(PSP1)와 제2 패널 지지부(PSP2) 사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 부분(PT1)이 팽창되더라도, 제2 부분(PT2)은 패널 지지부(PSP)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부분(PT2)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 부분(PT2)에 인접한 제1 부분(PT1)의 하부는 상대적으로 작게 팽창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2 부분(PT2)에 인접한 제1 부분(PT1)의 하부는 제1 부분(PT1)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지므로, 보다 용이하게 팽창될 수 있다.
팽창된 제1 부분(PT1)은 표시 패널(DP)의 제1 벤딩부(BP1)를 제1 패널 지지부(PSP1)의 외부로 밀어낼 수 있다. 제1 벤딩부(BP1)는, 팽창된 제1 부분(PT1)에 의해, 제1 벤딩부(BP1)에 인접한 윈도우(WIN)의 제2 벤딩부(BP2)를 향해 이동하여, 제2 벤딩부(BP2)에 부착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접착제(ADH)에 의해 제1 벤딩부(BP1)가 제2 벤딩부(BP2)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공기(AIR)는 공기 주입홀(AIH) 및 관통홀(AH)을 통해 제1 부분(PT1)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분(PT1)은 팽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팽창된 제1 부분(PT1)은 홈(GOV)을 따라 제1 및 제2 벤딩부들(BP1,BP2)과 멀어지도록 제3 방향(DR3)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고정척(FCK)이 제1 부분(PT1)과 멀어지도록 제3 방향(DR3)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패널 지지부(PSP)가 윈도우 고정척(FCK)과 멀어지도록 제3 방향(DR3)으로 이동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윈도우 고정척(FCK)과 패널 지지부(PSP)가 서로 멀어지도록 제3 방향(DR3)으로 함께 이동할 수도 있다.
제1 벤딩부(BP1)가 제2 벤딩부(BP2)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제1 벤딩부(BP1) 및 제1 벤딩부(BP1)에 부착되어 있는 가이드 필름(GFM)의 부분은 제1 부분(PT1)과 함께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벤딩부(BP1)에 부착되어 있는 가이드 필름(GFM)의 부분이 제1 부분(PT1)과 멀어지므로, 롤러들(ROL)이 회전하면서, 가이드 필름(GFM)이 제3 방향(DR3)으로 더 공급될 수 있다.
팽창된 제1 부분(PT1)은 표시 패널(DP)의 제1 평탄부들(PP1)을 제2 패널 지지부(PSP2)의 외부로 밀어낼 수 있다. 제1 평탄부들(PP1)은, 팽창된 제1 부분(PT1)에 의해, 제1 평탄부들(PP1)에 인접한 윈도우(WIN)의 제2 평탄부들(PP2)을 향해 이동하여, 제2 평탄부들(PP2)에 부착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접착제(ADH)에 의해 제1 평탄부들(PP1)이 제2 평탄부들(PP2)에 부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팽창된 제1 부분(PT1)이 홈(GOV)의 중간 부분까지 이동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팽창된 제1 부분(PT1)이 홈(GOV) 외부로 이동하면서, 제1 평탄부들(PP1)이 전체적으로 제2 평탄부들(PP2)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합착 장치(BOD)의 동작에 의해 제1 벤딩부(BP1)가 제2 벤딩부(BP2)에 부착된 후, 제1 평탄부들(PP1)이 제2 평탄부들(PP2)에 부착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표시 패널(DP)이 윈도우(WIN)에 부착된 후, 가이드 필름(GFM)은 표시 패널(DP)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 벤딩부(BP1)를 제2 벤딩부(BP2)에 부착시킬 때, 제1 부분(PT1)에 제공되는 공기(AIR)의 압력(이하, 제1 공기압이라 칭함)은, 제1 평탄부들(PP1)을 제2 평탄부들(PP2)에 부착시킬 때, 제1 부분(PT1)에 제공되는 공기(AIR)의 압력(이하, 제2 공기압이라 칭함)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공기압은 제2 공기압과 같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합착 장치(BOD)를 사용하지 않고, 벤딩된 표시 패널(DP)을 벤딩된 윈도우(WIN)에 삽입하여 부착시킬 때, 제1 평탄부들(PP1)이 먼저 제2 평탄부들(PP2)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벤딩부(BP1)가 제2 벤딩부(BP2)에 부착되지 않는 합착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합착 장치(BOD)에 의해 표시 패널(DP)이 제1 벤딩부(BP1)부터 제1 평탄부들(PP1)까지 순차로 윈도우(WIN)에 부착되므로, 표시 패널(DP)이 보다 용이하게 윈도우(WIN)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DP)과 윈도우(WIN) 사이의 합착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8은 표시 패널 및 윈도우에 결합되기 위한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서로 결합된 표시 패널, 윈도우, 및 지지부에 의해 제조된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벤딩된 구조를 갖고 서로 합착된 표시 패널(DP) 및 윈도우(WIN)는 지지부(SP)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SP)는 표시 패널(DP)의 제1 평탄부들(PP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SP)는 표시 패널(DP)을 지지하는 브라켓, 표시 패널(DP)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표시 패널(DP)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 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19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의 제1 벤딩부(BP1)는 표시 장치(DD)의 측면 표시부(SSD)를 정의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제1 평탄부들(PP1)은 표시 장치(DD)의 전면 표시부(USD) 및 표시 장치(DD)의 후면 표시부(LSD)를 정의할 수 있다.
전면 표시부(USD), 후면 표시부(LSD), 및 측면 표시부(SSD)는 소정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표시부(USD)는 소정의 아이콘들을 표시하고, 측면 표시부(SSD)는 날짜 및 날씨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전면 표시부(USD) 및 측면 표시부(SSD)는 다양한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사시도의 관측 위치상 도시하지 않았으나, 후면 표시부(LSD)도 다양한 영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지지부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또한, 앞서 설명된 지지부(SUP)와 다른 구성을 위주로 다양한 실시 예들의 지지부들이 설명될 것이며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도시하였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Ⅳ-Ⅳ'선의 단면도이다.
예시적으로, 도 20에는 지지부(SUP_1)의 제2 패널 지지부(PSP2_1)의 상면이 도시되었으며, 도 21에는 다이어프램(DPM) 및 제1 패널 지지부(PSP1_1)의 단면도 함께 도시되었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지지부(SUP_1)는 패널 지지부(PSP_1) 및 다이어프램(DPM)을 포함하고, 패널 지지부(PSP_1)는 제1 패널 지지부(PSP1_1) 및 제2 패널 지지부(PSP2_1)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홀들(FH_1)은 제1 방향(DR1)으로 배열되고, 관통홀들(AH)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홀들(FH_1)의 위치를 제외하면, 지지부(SUP_1)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지지부(SUP)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체결홀들(FH_1) 각각은 제1 패널 지지부(PSP1_1)에 정의된 체결홈(FG1) 및 제2 패널 지지부(PSP2_1)에 정의된 제1 체결홀(FH1_1)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유닛들(FU)은 제2 패널 지지부(PSP2_1)를 관통하여 제1 패널 지지부(PSP1_1)에 삽입될 수 있다. 체결 유닛들(FU)이 제1 체결홀(FH1_1) 및 체결홈(FG1)에 삽입되어, 제2 패널 지지부(PSP2_1)가 제1 패널 지지부(PSP1_1)에 체결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체결 유닛들(FU)과 달리 도 21에 도시된 체결 유닛들(FU)은 제2 부분(PT2)을 관통하지 않을 수 있다.
다이어프램(DPM)의 제2 부분(PT2)은 체결홀들(FH_1)에 중첩하지 않고, 제1 패널 지지부(PSP1_1) 및 제2 패널 지지부(PSP2_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 유닛들(FU)은 나사 구조를 갖고, 제2 패널 지지부(PSP2_1)를 제1 패널 지지부(PSP1_1)에 체결할 수 있다.
체결 유닛들(FU)이 제1 체결홀(FH1_1) 및 체결홈(FG1)에 삽입되어 조여질 때, 제2 패널 지지부(PSP2_1)가 제1 패널 지지부(PSP1_1)를 향해 이동하여 제2 부분(PT2)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부분(PT2)은 체결 유닛들(FU)에 의해 제1 패널 지지부(PSP1_1)와 제2 패널 지지부(PSP2_1)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V-V'선의 단면도이다.
예시적으로, 도 22에는 지지부(SUP_2)의 제2 패널 지지부(PSP2_2)의 상면이 도시되었으며, 도 23에는 다이어프램(DPM) 및 제1 패널 지지부(PSP1_2)의 단면도 함께 도시되었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지지부(SUP_2)는 패널 지지부(PSP_2) 및 다이어프램(DPM_1)을 포함하고, 패널 지지부(PSP_2)는 제1 패널 지지부(PSP1_2) 및 제2 패널 지지부(PSP2_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널 지지부(PSP1_2) 및 제2 패널 지지부(PSP2_2)에는 체결홀들(FH)이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패널 지지부(PSP1_2) 및 제2 패널 지지부(PSP2_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들(AH_1)은 제3 방향(DR3)으로 연장하여 제2 패널 지지부(PSP2_2)부터 제1 패널 지지부(PSP1_2)까지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DPM_1)은 제1 패널 지지부(PSP1_2)와 제2 패널 지지부(PSP2_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패널 지지부(PSP1_2)와 제2 패널 지지부(PSP2_2) 사이의 부분에 접착제(ADH_1)가 배치되고, 다이어프램(DPM_1)의 하부는 접착제(ADH_1)에 의해 제1 패널 지지부(PSP1_2)와 제2 패널 지지부(PSP2_2) 사이의 부분에 접착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Ⅵ-Ⅵ'선의 단면도이다.
예시적으로, 도 24에는 지지부(SUP_3)의 제1 패널 지지부(PSP1_3)의 평면도가 도시되었으며, 도 25에는 다이어프램(DPM) 및 제2 패널 지지부(PSP2)의 단면도 함께 도시되었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지지부(SUP_3)는 패널 지지부(PSP_3) 및 다이어프램(DPM)을 포함하고, 패널 지지부(PSP_3)는 제1 패널 지지부(PSP1_3) 및 제2 패널 지지부(PSP2)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들(AH_2)은 제1 패널 지지부(PSP1_3)의 상단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홀들(AH_2)은 제1 패널 지지부(PSP1_3)에 정의된 복수 개의 제1 관통홀들(AH1), 제2 패널 지지부(PSP2)에 정의된 복수 개의 제2 관통홀들(AH2), 및 제1 패널 지지부(PSP1_3)에 정의된 제3 관통홀(AH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관통홀(AH3)은 제1 패널 지지부(PSP1_3)의 상단에 정의되고 제1 방향(DR1)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관통홀들(AH1)은 제3 관통홀(AH3) 아래에 배치되며, 제3 관통홀(AH3)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관통홀들(AH1)은 제3 관통홀(AH3)을 공유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Ⅶ-Ⅶ'선의 단면도이다.
예시적으로, 도 26에는 지지부(SUP_4)의 제1 패널 지지부(PSP1_4)의 평면도가 도시되었으며, 도 27에는 다이어프램(DPM) 및 제2 패널 지지부(PSP2)의 단면도 함께 도시되었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지지부(SUP_4)는 패널 지지부(PSP_4) 및 다이어프램(DPM)을 포함하고, 패널 지지부(PSP_4)는 제1 패널 지지부(PSP1_4) 및 제2 패널 지지부(PSP2)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들(AH_3) 각각은 제1 패널 지지부(PSP1_4)에 정의된 복수 개의 제1 관통홀들(AH1_1) 및 제2 패널 지지부(PSP2)에 정의된 제2 관통홀(AH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홀들(AH1_1)은 제1 패널 지지부(PSP1_4)의 곡면을 통해 개구될 수 있다. 제1 관통홀들(AH1_1)의 하부들은 일체의 공간으로 정의되어, 제2 관통홀(AH2)에 중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2개의 제1 관통홀들(AH1_1)이 도시되었으나, 제1 관통홀들(AH1_1)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28은 도 8에 대응하는 단면으로 도시하였다.
도 28을 참조하면, 지지부(SUP_5)는 패널 지지부(PSP) 및 다이어프램(DPM_2)을 포함하고, 다이어프램(DPM_2)은 제1 부분(PT1_1) 및 제2 부분(PT2_1)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DPM_2)의 두께는 제1 패널 지지부(PSP1)의 상단부터 제1 및 제2 패널 지지부들(PSP1,PSP2) 사이까지 갈수록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 부분(PT1_1)의 두께는 제2 부분(PT2_1)의 두께와 같을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29는 도 8에 대응하는 단면으로 도시하였다.
도 29를 참조하면, 지지부(SUP_6)는 패널 지지부(PSP_5) 및 다이어프램(DPM)을 포함하고, 패널 지지부(PSP_5)는 제1 패널 지지부(PSP1_5) 및 제2 패널 지지부(PSP2_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기준으로 제1 패널 지지부(PSP1_5) 의 최대 폭은 제2 패널 지지부(PSP2_3)의 폭과 같을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BOD: 합착 장치 STG: 스테이지
SUP: 지지부 FCK: 윈도우 고정척
DP: 표시 패널 WIN: 윈도우
PSP: 패널 지지부 DPM: 다이어프램
PSP1,PSP2: 제1 및 제2 패널 지지부
AH: 관통홀 AH1,AH2: 제1 및 제2 관통홀
GOV: 홈 BP1,BP2: 제1 및 제2 벤딩부
PP1,PP2: 제1 및 제2 평탄부 PT1,PT2: 제1 및 제2 부분

Claims (24)

  1. 제1 패널 지지부;
    상기 제1 패널 지지부 아래에 배치된 제2 패널 지지부;
    상기 제1 패널 지지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패널 지지부를 따라 연장하여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와 상기 제2 패널 지지부 사이에 연결된 다이어프램; 및
    상기 다이어프램 상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어프램과 마주보는 홈이 정의된 윈도우 고정척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널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1 패널 지지부까지 관통홀이 정의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에 정의된 상기 관통홀 상에 배치되는 합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의 두께는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의 상단부터 상기 제1 패널 지지부 및 상기 제2 패널 지지부 사이로 갈수록 작아지는 합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 지지부는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의해 정의된 평면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및 제3 방향들에 의해 정의된 판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패널 지지부 및 상기 홈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합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로 서로 반대하는 상기 제2 패널 지지부의 측면들에 배치되지 않는 합착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고정척 또는 상기 패널 지지부는 상기 패널 지지부 및 상기 다이어프램이 상기 홈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하는 합착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제1 패널 지지부를 덮고, 상기 제1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1 패널 지지부는 상기 제3 방향에 대응하는 상부 방향을 향해 볼록한 곡면을 갖고,
    상기 곡면과 마주보는 상기 홈 내부의 끝단에서, 상기 윈도우 고정척은 오목한 곡면을 갖는 합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의 최대 폭은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의 폭보다 큰 합착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의 상기 곡면 상에 배치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와 상기 제2 패널 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합착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관통홀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관통홀에 중첩하지 않는 합착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에 중첩하지 않고, 상기 제2 패널 지지부를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에 체결하는 체결 유닛을 더 포함하는 합착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제2 패널 지지부 및 상기 제2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에 삽입되는 합착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유닛은 상기 제2 부분을 관통하지 않고, 상기 제2 패널 지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에 삽입되는 합착 장치.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의 상단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합착 장치.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의 최대 폭은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의 폭과 같은 합착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널 지지부들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와 상기 제2 패널 지지부 사이의 부분에 접착되는 합착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에 정의된 복수 개의 제1 관통홀들; 및
    상기 제2 패널 지지부에 정의된 제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통홀들의 하부들은 일체의 공간으로 정의되어, 상기 제2 관통홀에 중첩하는 합착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의 두께는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의 상단부터 상기 제1 및 제2 패널 지지부들 사이까지 갈수록 균일하게 유지되는 합착 장치.
  18. 패널 지지부의 상부를 덮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패널 지지부의 측면들 상에 표시 패널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다이어프램 상의 윈도우 고정척의 홈에 윈도우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홈에 상기 패널 지지부 및 상기 다이어프램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다이어프램을 팽창시켜, 상기 다이어프램 상에 배치된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벤딩부를 상기 제1 벤딩부에 인접한 상기 윈도우의 제2 벤딩부에 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팽창된 다이어프램을 상기 제1 벤딩부와 멀어지도록 상기 홈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패널 지지부의 상기 측면들 상에 배치된 상기 표시 패널의 제1 평탄부들을, 상기 제1 평탄부들에 인접한 상기 윈도우의 제2 평탄부들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패널 지지부에 정의된 관통홀을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딩부를 상기 제2 벤딩부에 접착시킬 때, 상기 다이어프램에 제공되는 제1 공기압은, 상기 제1 평탄부들 상기 제2 평탄부들에 접착시킬 때, 상기 다이어프램에 제공되는 제2 공기압보다 큰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지지부는,
    제1 패널 지지부; 및
    상기 제1 패널 지지부 아래에 배치된 제2 패널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의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패널 지지부를 따라 연장하여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와 상기 제2 패널 지지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2 패널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1 패널 지지부까지 정의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에 정의된 상기 관통홀 상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제2 패널 지지부의 측면들 상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두께는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의 상단부터 상기 제1 패널 지지부 및 상기 제2 패널 지지부 사이로 갈수록 작아지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3. 제1 패널 지지부;
    상기 제1 패널 지지부 아래에 배치된 제2 패널 지지부; 및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의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패널 지지부를 따라 연장하여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와 상기 제2 패널 지지부 사이에 연결된 다이어프램을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제2 패널 지지부의 측면들 상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제2 패널 지지부로부터 상기 제1 패널 지지부까지 정의된 관통홀을 통해 주입된 공기에 의해 팽창되는 지지부.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의 두께는 상기 제1 패널 지지부의 상단부터 상기 제1 패널 지지부 및 상기 제2 패널 지지부 사이로 갈수록 작아지는 지지부.
KR1020200068125A 2020-06-05 2020-06-05 지지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합착 장치, 및 합착 장치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1015206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125A KR20210152065A (ko) 2020-06-05 2020-06-05 지지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합착 장치, 및 합착 장치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7/188,744 US20210384479A1 (en) 2020-06-05 2021-03-01 Support, bonding device including suppor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202110614879.9A CN113763812A (zh) 2020-06-05 2021-06-02 接合装置及制造显示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125A KR20210152065A (ko) 2020-06-05 2020-06-05 지지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합착 장치, 및 합착 장치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065A true KR20210152065A (ko) 2021-12-15

Family

ID=78787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125A KR20210152065A (ko) 2020-06-05 2020-06-05 지지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합착 장치, 및 합착 장치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384479A1 (ko)
KR (1) KR20210152065A (ko)
CN (1) CN11376381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2654B2 (en) 2020-09-03 2023-11-07 Samsung Display Co., Ltd. La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US11930689B2 (en) 2020-09-08 2024-03-12 Samsung Display Co., Ltd. Bond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11999882B2 (en) 2020-08-19 2024-06-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lamination device, and lamination method of lamin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387297T3 (es) * 2005-06-03 2012-09-20 3S Swiss Solar Systems Ag Máquina para la producción de elementos con forma de placa a partir de material compuesto
KR102529080B1 (ko) * 2016-10-05 2023-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99882B2 (en) 2020-08-19 2024-06-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lamination device, and lamination method of lamination device
US11812654B2 (en) 2020-09-03 2023-11-07 Samsung Display Co., Ltd. La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US11930689B2 (en) 2020-09-08 2024-03-12 Samsung Display Co., Ltd. Bond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84479A1 (en) 2021-12-09
CN113763812A (zh)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44452A1 (zh) 柔性显示装置的制作方法及柔性显示装置
US20190326531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1545639B2 (en) Display device
US11940849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module suppor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dule support
KR102409701B1 (ko) 폴더블 표시장치
US11119537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protection film
US2022035777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986731B2 (en) Display device
TW201448314A (zh) 具有改良之彎曲特性的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KR20210152065A (ko) 지지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합착 장치, 및 합착 장치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50033460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3163078A (ja) 表示装置
KR20200068140A (ko) 표시 장치
KR20150001142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200087917A (ko) 보호 필름, 그것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461528B1 (ko) 폴더블 표시장치
KR20210150647A (ko) 지지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합착 장치, 및 합착 장치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20200091445A1 (en) Display device
KR20220033581A (ko) 합착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1003215B2 (en) Display device
US20240188405A1 (en) Bond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220094287A (ko) 라미네이션 장치, 라미네이션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666870B1 (ko) 표시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