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5171B1 -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이것의 용도 및이것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이것의 용도 및이것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5171B1
KR101205171B1 KR1020077010135A KR20077010135A KR101205171B1 KR 101205171 B1 KR101205171 B1 KR 101205171B1 KR 1020077010135 A KR1020077010135 A KR 1020077010135A KR 20077010135 A KR20077010135 A KR 20077010135A KR 101205171 B1 KR101205171 B1 KR 101205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composition
composition
thickness
sample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3874A (ko
Inventor
토마스 에벨링
모니카 마르티네즈 마루간
스리니바스 시리푸라푸
Original Assignee
사빅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스 아이피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빅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스 아이피 비.브이. filed Critical 사빅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스 아이피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70073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10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08L23/0884Epoxide containing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8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L51/085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on to 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조성물은, 충전제를 제외한 열가소성 조성물의 전체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약 20 내지 약 90중량%; 충격 개질제 약 35중량% 이하;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약 0.5 내지 약 30중량%; 및 인-함유 난연제 약 0.5 내지 약 20중량%를 함유한다. 3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벽을 갖는 제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상술된 조성물을 제품으로 성형, 압출, 또는 형상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제품은, 전술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 1 부품을 제 2 부품에 초음파 용접하여 제조될 수 있다.

Description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이것의 용도 및 이것의 제조 방법{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E THEREOF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본 발명은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특히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자동차 부품으로부터 전자 제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용도를 위한 제품 및 구성요소의 제조에 유용하다. 그의 광범위한 용도, 특히 전자 제품의 용도로 인해, 난연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와 함께 사용되는 공지된 많은 난연제는 브롬 및/또는 염소를 함유한다. 브롬화되고/되거나 염소화된 난연제는 이로부터 발생하는 불순물 및/또는 부산물이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및 용도 관련 장비를 부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덜 바람직하다. 또한, 브롬화되고/되거나 염소화된 난연제는 법률적으로 점점 더 제한되고 있다.
다양한 충전제, 인-함유 화합물 및 특정 염을 포함하는, 할로겐화되지 않은 난연제가 폴리카보네이트를 위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특히 얇은 샘플에서는 또한 브롬화되고/되거나 염소화된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난연제를 사용하여 난연성의 가장 엄격한 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한, 브롬화되지 않고/않거나 염소화되지 않은 난연제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의 바라는 물리적 특성, 특히 충격 강도에 불리한 효과를 줄 수 있다.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비브롬화 및 비염소화 난연제로서 사용할 것이 또한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셀라(Cella) 등의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03/015226호에서는 폴리실록세인 단위 및 폴리카보네이트 단위를 포함하고 폴리실록세인 단편이 1 내지 20개의 폴리실록세인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세인-개질된 폴리카보네이트를 개시하고 있다. 다른 폴리실록세인-개질된 폴리카보네이트의 용도가 예를 들어 고센(Gosen)의 미국 특허 제5,380,795호, 크레스(Kress) 등의 미국 특허 제4,746,701호, 우메다(Umeda) 등의 미국 특허 제5,488,086호 및 노데라(Nodera) 등의 유럽 특허 제0 692 522 B1호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난연제가 그들의 의도된 목적에 적합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롬화되고/되거나 염소화된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개선된 난연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을 비롯하여 난연성이 계속 개선되어야 한다는 산업계의 요구가 끊임없이 계속되어 왔다. 또한, 충격 강도와 같은 특성의 실질적인 저하없이 개선된 난연성을 달성할 수 있다면 이로울 것이다.
발명의 개요
열가소성 조성물은, 충전제를 제외한 열가소성 조성물의 전체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약 20 내지 약 90중량%; 충격 개질제 약 35중량% 이하;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약 0.5 내지 약 30중량%; 및 인-함유 난연제 약 0.5 내지 약 20중량%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품은 전술된 조성물을 포함하며 3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벽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품의 제조 방법은 전술된 조성물을 3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벽을 갖는 제품으로 성형(molding), 압출(extruding) 또는 형상화(shaping)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은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 1 부품을 제 2 부품에 초음파 용접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품은 제 2 부품에 초음파적으로 용접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 1 부품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된 특징 및 다른 특징이 하기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의해 예시된다.
이제, 예시적인 실시양태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며, 도면에서 동일 요소에는 동일한 번호가 사용되었다.
도 1은 UL 검사/후속조치 서비스 과정(Follow-up Services process)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전형적인 UL-94 화염 시험으로부터 얻어진 연소 시간 데이터에 대한 분포 곡선을 데이터의 로그 변환을 위한 분포 곡선과 비교하여 도시한다.
도 3은 적하 시간(time to drip) 성능과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중의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함량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화염 소멸 시간(flame out time) 성능과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 중의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함량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초음파적으로 함께 용접된 부품을 포함하는 시험 제품의 개략적인 확대 투시도이다.
화염 소멸 시간(FOT) 및 적하 시간(TTD)과 같은 난연성 성능 특성을 비롯한 개선된 난연성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이 본원에 기술된다. 이론에 의해 얽매이는 것은 아니지만, 본원에서 얻어진 유리한 결과는 하기에 명시된 폴리카보네이트 및 하기에 명시된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상대량을 유기 인-함유 난연제와 같은 기타 성분 및 선택적으로 하기에 명시된 충격 개질제와 조합하여 주의 깊게 균형을 이루게 함으로써 달성된다고 믿어진다. 또 다른 유리한 특징에 있어서, 개선된 난연성 및 우수한 물리적 특성을 얇은 제품에 제공하도록 조성물의 용융 점도가 조정될 수 있다.
본원에서,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란 용어는 하기 화학식 1의 반복 구조 카보네이트 단위를 갖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Figure 112007033282874-pct00001
상기 식에서,
R1 기의 총수의 약 60% 이상은 방향족 유기 라디칼이고 나머지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라디칼이다. 바람직하게는, R1은 각각 방향족 유기 라디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2의 라디칼이다:
-A1-Y1-A2-
상기 식에서,
A1 및 A2는 각각 단환식 2가 아릴 라디칼이고, Y1은 A1을 A2로부터 분리하는 1 또는 2개의 원자를 갖는 가교라디칼이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1개의 원자가 A1을 A2로부터 분리한다. 이러한 유형의 라디칼의 예시적인 비제한적 예는 -O-, -S-, -S(O)-, -S(O2)-, -C(O)-, 메틸렌, 사이클로헥실-메틸렌, 2-[2.2.1]-바이사이클로헵틸리덴, 에틸리덴, 아이소프로필리덴, 네오펜틸리덴, 사이클로헥실리덴, 사이클로펜타데실리덴, 사이클로도데실리덴 및 아다만틸리덴이다. 가교 라디칼 Y1은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 기 또는 포화 탄화수소 기, 예컨대 메틸렌, 사이클로헥실리덴 또는 아이소프로필리덴이다.
폴리카보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3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학식 HO-R1-OH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계면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HO-A1-Y1-A2-OH
상기 식에서, Y1, A1 및 A2는 상기와 같다.
또한 하기 화학식 4의 비스페놀 화합물이 포함된다:
Figure 112007033282874-pct00002
상기 식에서,
Ra 및 Rb는 각각 할로겐 원자 또는 1가 탄화수소 기를 나타내고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고; Xa는 화학식 5의 기 중 하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33282874-pct00003
상기 식에서,
Rc 및 Rd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1가 선형 또는 환식 탄화수소 기를 나타내고 Re는 2가 탄화수소 기이다.
적합한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몇몇 예시적인 비제한적 예는 미국 특허 제4,217,438호에서 화합물명 또는 화학식(일반식 또는 특정 화학식)으로 개시된 다이하이드록시-치환된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적합한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의 비제한적인 목록은 하기를 포함한다: 레소시놀, 4-브로모레소시놀, 하이드로퀴논, 4,4'-다이하이드록시바이페닐, 1,6-다이하이드록시나프탈렌, 2,6-다이하이드록시나프탈렌,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테인,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다이페닐메테인, 비스(4-하이드록시페닐)-1-나프틸메테인, 1,2-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1-페닐에테인, 2-(4-하이드록시페닐)-2-(3-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비스(4-하이드록시페닐)페닐메테인, 2,2-비스(4-하이드록시-3-브로모페닐)프로페인, 1,1-비스(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펜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세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아이소뷰텐,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도데케인, 트랜스-2,3-비스(4-하이드록시페닐)-2-뷰텐,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아다만틴, (α,α'-비스(4-하이드록시페닐)톨루엔,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아세토나이트릴, 2,2-비스(3-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에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n-프로필-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아이소프로필-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2급-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사이클로헥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알릴-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3-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페인,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헥사플루오로프로페인, 1,1-다이클로로-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틸렌, 1,1-다이브로모-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틸렌, 1,1-다이클로로-2,2-비스(5-페녹시-4-하이드록시페닐)에틸렌, 4,4'-다이하이드록시벤조페논, 3,3-비스(4-하이드록시페닐)-2-뷰타논, 1,6-비스(4-하이드록시페닐)-1,6-헥세인다이온, 에틸렌 글라이콜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터,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터,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폰, 9,9-비스(4-하이드록시페닐)불소, 2,7-다이하이드록시피렌, 6,6'-다이하이드록시-3,3,3',3'-테트라메틸스파이로(비스)인데인("스파이로바이인데인 비스페놀"), 3,3-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탈라이드, 2,6-다이하이드록시다이벤조-p-다이옥신, 2,6-다이하이드록시티안트렌, 2,7-다이하이드록시페녹사틴, 2,7-다이하이드록시-9,10-다이메틸페나진, 3,6-다이하이드록시다이벤조퓨란, 3,6-다이하이드록시다이벤조티오펜, 및 2,7-다이하이드록시카바졸 등 및 상기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는 비스페놀 화합물의 유형의 구체적인 예의 비제 한적인 목록은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 메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 에테인,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페인 (이후 "비스페놀 A" 또는 "BPA"),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 뷰테인,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 옥테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페인,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 n-뷰테인, 2,2-비스(4-하이드록시-1-메틸페닐) 프로페인, 및 1,1-비스(4-하이드록시-t-뷰틸페닐) 프로페인을 포함한다. 상기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합물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단독중합체보다는 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경우, 둘 이상의 상이한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을 사용하거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과, 글라이콜과의 공중합체, 하이드록시- 또는 산-종결 폴리에스터와의 공중합체, 또는 이염기산 또는 하이드록시산과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폴리아릴레이트 및 폴리에스터-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그들의 블렌드를 사용할 수 있다.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가 또한 유용하며, 또한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및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의 블렌드도 유용하다.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는 중합 동안 분지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분지화제는 잘 공지되어 있고, 하이드록실, 카복실, 카복실산 무수물, 할로폼일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3개 이상의 작용기를 함유하는 다작용성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구체적인 예는 트라이멜리트산, 트라이멜리트산 무수물, 트라이멜리트산 3염화물, 트리스-p-하이드록시 페닐 에테인, 이사틴-비스-페놀, 트리스-페놀 TC (1,3,5-트리스((p-하이드록시페닐)아이소프로필)벤젠), 트리스-페놀 PA (4(4(1,1-비스(p-하이드록시페닐)-에틸) α,α-다이메틸 벤질)페놀), 4-클로로폼일 프탈산 무수물, 트라이메스산, 및 벤조페논 테트라카복실산을 포함한다. 분지화제는 약 0.05 내지 2.0 중량%의 수준으로 첨가될 수 있다.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분지화제 및 절차가 미국 특허 제3,635,895호 및 제4,001,184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들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모든 유형의 폴리카보네이트 말단기가 열가소성 조성물에 유용한 것으로 고려된다.
바람직한 폴리카보네이트는, A1 및 A2가 p-페닐렌이고 Y1이 아이소프로필리덴인 비스페놀 A를 기본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의 평균 분자량은 약 5,000 내지 약 100,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00 내지 약 65,000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000 내지 약 35,000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폴리카보네이트는 얇은 제품의 제조에 적합한 유동 특성을 갖는다. 용융 부피 유속(종종 MVR로 약칭됨)은 소정의 온도 및 하중에서 오리피스(orifice)를 통한 열가소성 물질의 압출 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난연성 제품의 형성에 적합한 폴리카보네이트는 260℃/2.16Kg에서 측정시에 약 4 내지 약 30 g/㎤의 MVR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건 하에 약 12 내지 약 30, 특히 약 15 내지 약 30g/㎤의 MVR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가 얇은 벽을 갖는 제품의 제조에 유용할 수 있다. 상이한 유동 특성의 폴리카보네이트의 혼합물이 전체적인 바라는 유동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계면 중합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 제조 공정의 반응 조건은 변할 수 있지만, 바람직한 몇몇 공정은 수성 가성소다 또는 가성칼륨 중에 2가 페놀 반응물을 용해 또는 분산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적당한 물-비혼화성 용매 매질에 첨가하고, 트라이에틸아민 또는 상 이동 촉매와 같은 적당한 촉매의 존재하에 제어된 pH 조건(예컨대 약 8 내지 약 10의 pH) 하에서 반응물을 카보네이트 전구체(예컨대, 포스겐)과 접촉시키는 것을 전형적으로 포함한다. 가장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비혼화성 용매는 메틸렌 클로라이드, 1,2-다이클로로에테인, 클로로벤젠, 톨루엔 등을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상 이동 촉매 중에는 화학식 (R3)4Q+X(여기서, R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1 -10 알킬 기이고; Q는 질소 또는 인 원자이고; X는 할로겐 원자 또는 C1 -8 알콕시 기 또는 C6 -188 아릴옥시 기임)의 촉매가 있다. 적합한 상 이동 촉매는 예를 들어 [CH3(CH2)3]4NX, [CH3(CH2)3]4PX, [CH3(CH2)5]4NX, [CH3(CH2)6]4NX, [CH3(CH2)4]4NX, CH3[CH3(CH2)3]3NX, CH3[CH3(CH2)2]3NX(여기서, X는 Cl-, Br- 또는 -C1 -8 알콕시 기 또는 C6 -188 아릴옥시 기임)를 포함한다. 상 이동 촉매의 유효량은 포스겐화 혼합물중의 비스페놀 중량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0중량%, 약 0.5 내지 약 2중량%일 수 있다.
다르게는, 용융 공정을 사용할 수 있다.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다이하이드록시 반응물(들)의 중합 속도를 가속하기 위해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촉 매는 트라이에틸아민과 같은 3급 아민, 4급 포스포늄 화합물, 4급 암모늄 화합물, 염기성 알칼리 금속염, 염기성 알칼리 토금속염 등을 포함하나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르게는, 폴리카보네이트는 용융 상태에서 다이하이드록시 반응물(들) 및 다이아릴 카보네이트 에스터, 예컨대 다이페닐 카보네이트를 밴버리 믹서, 2축 압출기 등에서 에스터교환 촉매의 존재하에 공-반응시켜 균일한 분산액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휘발성 1가 페놀은 증류에 의해 용융된 반응물로부터 제거되며 중합체는 용융 잔사로서 단리된다.
폴리카보네이트는 광범위하게 다양한 배치식, 반배치식 또는 연속식 반응기에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반응기는 예를들어 교반되는 탱크, 진탕(agitated) 컬럼, 관 및 재순환 루프 반응기이다. 폴리카보네이트의 회수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예컨대 반(anti)용매, 스팀 침전 또는 반용매와 스팀 침전의 조합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폴리카보네이트 블록 및 폴리다이오가노실록세인 블록을 포함한다.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은 전술된(바람직하게는 R1이 상기 화학식 2임) 화학식 1의 반복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상기 단위는 상기 화학식 3의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의 반응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다이하이드록시 화합물은, A1 및 A2 각각이 p-페닐렌이고 Y1이 아이소프로필리덴인 비스페놀 A이다.
폴리다이오가노실록세인 블록은 하기 화학식 6의 반복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Figure 112007033282874-pct00004
상기 식에서, R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1 -13 1가 유기 라디칼이다.
예를 들어, R은 C1-C13 알킬 기, C1-C13 알콕시 기, C2-C13 알켄일 기, C2-C13 알켄일옥시 기, C3-C6 사이클로알킬 기, C3-C6 사이클로알콕시 기, C6-C10 아릴 기, C6-C10 아릴옥시 기, C7-C13 아르알킬 기, C7-C13 아르알콕시 기, C7-C13 알크아릴 기, 또는 C7-C13 알크아릴옥시 기일 수 있다. 상기 R 기의 조합이 또한 동일한 공중합체에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6에서 D는 열가소성 조성물에 효과적인 수준의 난연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D 값은 따라서 폴리카보네이트, 충격 개질제,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다른 난연제의 유형 및 양을 비롯한, 열가소성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유형 및 상대량에 따라 변할 것이다. D의 적합한 값은 본원에 교시된 지침을 사용하여 과도한 실험 없이 당해 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D는 2 내지 약 1000, 특히 약 10 내지 약 100, 더욱 특히 약 25 내지 약 75의 평균값을 갖는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D는 약 40 내지 약 60의 평균값을 가지고,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D는 약 50의 평균값을 갖는다. D가 더 작은 값, 예컨대 약 40 미만의 값을 가질 경우, 비교적 더 큰 양의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반대로, D가 더 큰 값, 예컨대 약 40보다 큰 값을 가질 경우, 비교적 더 적은 양의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폴리다이오가노실록세인 블록은 하기 화학식 7의 반복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Figure 112007033282874-pct00005
상기 식에서, R 및 D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화학식 7에서 R2는 2가 C2-C8 지방족 기이다. 화학식 7에서 M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할로겐, 사이아노, 나이트로, C1-C8 알킬티오, C1-C8 알킬, C1-C8 알콕시, C2-C8 알켄일, C2-C8 알켄일옥시 기, C3-C8 사이클로알킬, C3-C8 사이클로알콕시, C6-C10 아릴, C6-C10 아릴옥시, C7-C12 아르알킬, C7-C12 아르알콕시, C7-C12 알크아릴, 또는 C7-C12 알크아릴옥시일 수 있고, 이때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1, 2, 3 또는 4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M은 브로모 또는 클로로, 알킬 기, 예컨대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알콕시 기,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또는 프로폭시, 또는 아릴 기, 예컨대 페닐, 클로로페닐 또는 톨릴이고; R2는 다이메틸렌, 트라이메틸렌 또는 테트라메틸렌기이고; R은 C1-8 알킬, 할로알킬, 예컨대 트라이플루오로프로필, 사이아노알킬, 또는 아릴, 예컨대 페닐, 클로로페닐 또는 톨릴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R은 메틸, 또는 메틸과 트라이플루오로프로필의 혼합물, 또는 메틸과 페닐의 혼합물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M은 메톡시이고, n은 1이고, R2는 2가 C1-C3 지방족 기이고, R은 메틸이다.
상기 단위는 하기 화학식 8의 상응하는 다이하이드록시 폴리다이오가노실록세인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33282874-pct00006
상기 식에서, R, D, M, R2 및 n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이러한 다이하이드록시 폴리실록세인은 하기 화학식 9의 실록세인 하이드라이드와 지방족 불포화 1가 페놀 사이의 백금 촉매 첨가반응을 실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33282874-pct00007
상기 식에서, R 및 D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지방족 불포화 1가 페놀이다.
적합한 지방족 불포화 1가 페놀은 예를 들어 유젠올, 2-알킬페놀, 4-알릴-2-메틸페놀, 4-알릴-2-페닐페놀, 4-알릴-2-브로모페놀, 4-알릴-2-t-뷰톡시페놀, 4-페닐-2-페닐페놀, 2-메틸-4-프로필페놀, 2-알릴-4,6-다이메틸페놀, 2-알릴-4-브로모-6-메틸페놀, 2-알릴-6-메톡시-4-메틸페놀 및 2-알릴-4,6-다이메틸페놀을 포함한다. 상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화학식 8의 다이하이드록시 폴리실록세인을 임의적으로 전술된 바와 같은 상 이동 촉매의 존재하에 카보네이트 공급원 및 화학식 3의 다이하이드록시 방향족 화합물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조건은 폴리카보네이트를 형성하는데 유용한 것과 유사하다. 바람직하게는, 공중합체는 0℃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50℃의 온도에서 포스겐화에 의해 제조된다. 반응이 발열반응이기 때문에, 포스겐의 첨가 속도를 사용하여 반응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포스겐의 필요량은 일반적으로 2가 반응물의 양에 좌우될 것이다. 다르게는,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용융 상태에서 다이하이드록시 단량체 및 다이아릴 카보네이트 에스터, 예컨대 다이페닐 카보네이트를 전술된 바와 같은 에스터교환 촉매의 존재하에 공-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시, 다이하이드록시 폴리다이오가노실록세인의 양은 열가소성 조성물에 유효한 수준의 난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다이하이드록시 폴리다이오가노실록세인의 양은 요구되는 난연성 수준, D 값, 및 폴리카보네이트의 유형 및 양, 충격 개질제의 유형 및 양,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유형 및 양 및 다른 난연제의 유형 및 양을 비롯한 열가소성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유형 및 상대량에 따라 변할 것이다. 폴다이하이드록시 폴리다이오가노실록세인의 적절한 양은 본원에 교시된 지침을 이용하여 과도한 실험 없이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이하이드록시 폴리다이오가노실록세인의 양은, 약 0.1 내지 약 40중량%, 예를들면 약 8 내지 약 40중량%의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 또는 등몰량의 다른 폴리다이오가노실록세인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다이하이드록시 폴리다이오가노실록세인의 양은, 약 15 내지 약 30중량%의 폴리다이메틸실록세인 또는 등몰량의 또 다른 폴리다이오가노실록세인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중의 다이메틸실록세인 단위의 양은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화학식 8의 화합물 중의 다이메틸실록세인 단위의 중량%는 CDCl3(테트라메틸실레인 없음) 중에 용해된 균질한 샘플의 1H NMR 스펙트럼에서 실록세인 쇄 상의 양자에 대한 방향족 양자의 합해진 세기의 비교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Mw, 예컨대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 초원심분리 또는 광산란에 의해 측정됨) 약 10,000 내지 약 200,000, 바람직하게는 약 20,000 내지 약 100,000을 가진다.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은 내충격성을 증가시키는 충격 개질제의 특정 조합물을 포함하는 충격 개질제 조성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충격 개질제는 (i) 0℃ 미만,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40 내지 -80℃의 Tg를 갖는 엘라스토머성(즉, 고무) 중합체 기재, 및 (ii) 엘라스토머성 중합체 기재에 그래프트된 경질 중합체 슈퍼스트레이트(superstrate)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개질된 그래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엘라스토머-개질된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우선 엘라스토머성 중합체 주쇄를 제공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어,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의 그래프트 단량체를 중합체 주쇄의 존재 하에 중합시켜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다.
엘라스토머-개질된 중합체의 존재량에 따라, 그래프트되지 않은 경질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의 개별 매트릭스 또는 연속상이 엘라스토머-개질된 그래프트 공중합체와 함께 동시에 수득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충격 개질제는, 충격 개질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40 내지 약 95중량%의 엘라스토머-개질된 그래프트 공중합체 및 약 5 내지 약 65중량%의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충격 개질제는, 충격 개질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85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75 내지 약 85중량%의 고무-개질된 그래프트 공중합체와 함께, 약 15 내지 약 50중량%,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15 내지 약 25중량%의 그래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그래프트되지 않은 경질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또한 예컨대 라디칼 중합, 특히 유화, 현탁, 용액 또는 벌크(bulk) 중합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조되고, 충격 개질제 조성물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그래프트되지 않은 경질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200,000의 수평균분자량을 가진다.
엘라스토머성 중합체 주쇄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질은, 예컨대 공액 다이엔 고무; 약 50중량% 미만의 공중합성 단량체로 공액화된 다이엔의 공중합체; C1 -8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엘라스토머; 올레핀 고무, 예컨대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EPR)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 단량체(EPDM); 실리콘 고무; 엘라스토머성 C1 -8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C1 -8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와 뷰타다이엔 및/또는 스타이렌의 탄성 공중합체; 또는 상기 엘라스토머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합물을 포함한다.
엘라스토머 주쇄를 제조하기 위한 적합한 공액 다이엔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10으로 이루어진다:
Figure 112007033282874-pct00008
상기 식에서, Xb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5 알킬 등이다.
사용될 수 있는 공액 다이엔 단량체의 예로는, 뷰타다이엔, 아이소프렌, 1,3-헵타다이엔, 메틸-1,3-펜타다이엔, 2,3-다이메틸-1,3-뷰타다이엔, 2-에틸-1,3-펜타다이엔; 1,3- 및 2,4-헥사다이엔 등 뿐만 아니라 상기 공액 다이엔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있다. 구체적인 공액 다이엔 단독중합체로는 폴리뷰타다이엔 및 폴리아이소프렌을 들 수 있다.
공액 다이엔 고무의 공중합체는, 예컨대 공액 다이엔 및 이와 공중합가능한 하나 이상의 단량체의 수성 라디칼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공액 다이엔과의 공중합에 적합한 단량체로는 축합 방향족 고리 구조를 함유하는 모노바이닐방향족 단량체, 예컨대 바이닐 나프탈렌, 바이닐 안트라센 등, 및 하기 화학식 11의 단량체를 포함한다:
Figure 112007033282874-pct00009
상기 식에서, Xc는 독립적으로 수소, C1-C12 알킬, C3-C12 사이클로알킬, C6-C12 아릴, C7-C12 아르알킬, C7-C12 알크아릴, C1-C12 알콕시, C3-C12 사이클로알콕시, C6-C12 아릴옥시, 클로로, 브로모 또는 하이드록시이고, R은 수소, C1-C5 알킬, 브로모 또는 클로로이다.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모노바이닐방향족 단량체의 예로는, 스타이렌, 3-메틸스타이렌, 3,5-다이에틸스타이렌, 4-n-프로필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α -메틸 바이닐톨루엔, α-클로로스타이렌, α-브로모스타이렌, 다이클로로스타이렌, 다이브로모스타이렌, 테트라-클로로스타이렌, 상기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의 조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스타이렌 및/또는 α-메틸스타이렌은 공액 다이엔 단량체와 공중합가능한 단량체로서 통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노바이닐 단량체와 모노바이닐방향족 단량체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공액 다이엔과 공중합될 수 있는 기타 단량체는 모노바이닐 단량체, 예컨대 이타콘산, 아크릴아마이드, N-치환된 아크릴아마이드 또는 메타크릴아마이드, 말레산 무수물, 말레이미드, N-알킬, 아릴 또는 할로아릴 치환된 말레이미드, 글라이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하기 화학식 12의 단량체이다:
Figure 112007033282874-pct00010
상기 식에서, R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Xc는 사이아노, C1-C12 알콕시카보닐, C1-C12 아릴옥시카보닐 등이다.
화학식 12의 단량체의 예로는 아크릴로나이트릴, 에타크릴로나이트릴, 메타크릴로나이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나이트릴, β-클로로아크릴로나이트릴, α-브로모아크릴로나이트릴,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뷰틸 아크릴레이트, n-뷰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아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이들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합 물 등을 포함한다. n-뷰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단량체가 공액 다이엔 단량체와 공중합가능한 단량체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엘라스토머성 중합체 주쇄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메트)아크릴레이트 고무는, 선택적으로 15중량% 이하의 공단량체, 예컨대 스타이렌,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뷰타다이엔, 아이소프렌, 바이닐 메틸 에터 또는 아크릴로나이트릴, 및 이들 공단량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물과 혼합된, C1 -8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특히 C4 -6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가교된 미립자상 유화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5중량% 이하의 다작용성 가교 공단량체, 예컨대 다이바이닐벤젠, 알킬렌다이올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예: 글라이콜 비스아크릴레이트), 알킬렌트라이올 트라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터 다이(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아크릴아마이드, 트라이알릴 사이아누레이트, 트라이알릴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알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알릴 말레에이트, 다이알릴 퓨마레이트, 다이알릴 아디페이트, 시트르산의 트라이알릴 에스터, 인산의 트라이알릴 에스터 등, 및 이들 가교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합물이 존재할 수 있다.
엘라스토머성 중합체 기재는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기재의 입자 크기는 크게 중요하지 않고, 예컨대 유화계 중합된 고무 격자의 경우 평균 입자 크기가 0.05 내지 8㎛,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2㎛,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0.2 내지 0.8㎛이고, 그래프트된 단량체 교합체(occlusion)도 또 한 포함한 괴상 중합된 고무 기재의 경우 평균 입자 크기가 0.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5㎛이다. 입자 크기는 단순한 광 투과법 또는 모세관 유체역학 크로마토그래피(capillary hydrodynamic chromatography, CHDF)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고무 기재는 미립자상의 적절히 가교된 공액 다이엔 또는 C4 -6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초과의 겔 함량을 갖는다. 또한, 공액 다이엔과 C4 -6 알킬 아크릴레이트 고무의 혼합물도 적합하다.
엘라스토머성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제조시, 엘라스토머성 중합체 주쇄는 전체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약 40 내지 약 95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엘라스토머-개질된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약 50 내지 약 85중량%,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약 75 내지 약 85중량%를 구성하고, 나머지는 경질 그래프트 상일 수 있다.
엘라스토머-개질된 그래프트 중합체는 연속, 반배치 또는 배치 공정을 사용하여 괴상(mass), 유화, 현탁, 용액, 또는 벌크-현탁, 유화-벌크, 벌크-용액 또는 다른 기법과 같은 조합된 방법에 의해 중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엘라스토머-개질된 그래프트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엘라스토머성 중합체 기재의 존재하에서 모노바이닐 방향족 단량체 및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그래프트 중합하여 수득될 수 있다. 상기 모노바이닐 방향족 단량체는 경질 그래프트 상에 사용될 수 있고, 예로는 스타이렌, α-메틸 스타이렌, 할로스타이렌(예: 다이브로모스타이렌), 바이닐톨루엔, 바이닐자일렌, 뷰틸스타이렌, 파라-하이드록시스타이렌, 메톡시스타이렌, 또는 이 들 모노바이닐 방향족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모노바이닐 방향족 단량체는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 예컨대 상기 모노바이닐 단량체 및/또는 화학식 12의 단량체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모노바이닐 방향족 단량체는 스타이렌 또는 α-메틸 스타이렌이고, 공단량체는 아크릴로나이트릴,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이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경질 그래프트 상은 스타이렌 및 아크릴로나이트릴의 공중합체, α-메틸스타이렌 및 아크릴로나이트릴의 공중합체, 또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개질된 그래프트 공중합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스타이렌(ABS), 아크릴로나이트릴-스타이렌-뷰틸 아크릴레이트(ASA),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스타이렌(MABS),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뷰타다이엔-스타이렌(MBS), 및 아크릴로나이트릴-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스타이렌(AES)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스타이렌 그래프트 공중합체는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예컨대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로부터 블렌덱스(등록상표, BLENDEX) 등급 131, 336, 338, 360 및 415로서 입수가능한 고-고무 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스타이렌 수지를 비롯하여 다수를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충격 조절제는, 코어가 엘라스토머성 중합체 기재이고 쉘이 폴리카보네이트에 의해 쉽게 습윤화되는 경질 열가소성 중합체인 코어-쉘 구조를 갖는다. 쉘은 코어를 단순히 물리적으로 캡슐화할 수도 있거나, 코어에 부 분적으로 또는 본질적으로 완전히 그래프트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쉘은 모노바이닐 방향족 화합물 및/또는 모노바이닐 단량체 또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중합 생성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적당한 충격 개질제의 예는 유화 중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C6 -30 지방산 알칼리 금속 염, 예를 들어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리튬 스테아레이트, 나트륨 올레에이트, 칼륨 올레에이트 등, 알칼리 금속 카보네이트, 아민, 예를 들어 도데실다이메틸 아민, 도데실아민 등, 및 아민의 암모늄 염과 같은 염기성 물질이 없다. 이러한 물질은 일반적으로 유화 중합에서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되어, 폴리카보네이트의 에스터교환 반응 및/또는 분해 반응을 촉매작용할 수 있다. 대신, 이온성 설페이트, 설포네이트 또는 포스페이트를 계면활성제가 충격 개질제, 특히 충격 개질제의 엘라스토머성 기재 부분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적당한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C1 -22 알킬 또는 C7 -25 알킬아릴 설포네이트, C1 -22 알킬 또는 C7 -25 알킬아릴 설페이트, C1 -22 알킬 또는 C7 -25 알킬아릴 포스페이트, 치환 실리케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특정 계면활성제는 C6 -16, 특히 C8 -12 알킬 설포네이트이다. 이러한 유화 중합 공정은 다수의 특허 및 롬 앤드 하스 제너랄 일렉트릭 캄파니(Rohm & Haas and General Electric Company)와 같은 기업의 문헌에 기술 및 개시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임의의 전술한 충격 개질제는 지방산 알칼리 금속 염, 알칼리 금속 카보네이트, 및 기타 염기성 물질이 존재하는 않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구체적인 충격 개질제는 MBS 충격 개질제(여 기서, 뷰타다이엔 기재는 계면활성제로서 전술한 설포네이트, 설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를 사용하여 제조됨)이다. 또한, 충격 개질제의 pH는 약 3 내지 8, 구체적으로는 약 4 내지 약 7인 것이 바람직하다.
엘라스토머 개질된 충격 개질제의 또 다른 구체적인 유형은 하나 이상의 실리콘 고무 단량체, 화학식 H2C=C(Rd)C(O)OCH2CH2Re(여기서, Rd는 수소 또는 C1-C8 선형 또는 분지형 하이드로카빌 기이고, Re는 분지형 C3-C16 하이드로카빌 기이다)의 분지형 아크릴레이트 고무 단량체; 제 1 그래프트 연결 단량체; 중합성 알켄일-함유 유기 물질; 및 제 2 그래프트 연결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실리콘 고무 단량체는 예를 들어 환식 실록세인, 테트라알콕시실레인, 트라이알콕시실레인, (아크릴옥시)알콕시실레인, (머캅토알킬)알콕시실레인, 바이닐알콕시실레인, 또는 알릴알콕시실레인의 단독 또는 이들의 조합물, 예를 들어,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트라이메틸트라이페닐사이클로트라이실록세인, 테트라메틸테트라페닐사이클로테트라실록세인, 테트라메틸테트라바이닐사이클로테트라실록세인, 옥타페닐사이클로테트라실록세인,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세인 및/또는 테트라에톡시실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분지형 아크릴레이트 고무 단량체의 예로는 아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6-메틸옥틸 아크릴레이트, 7-메틸옥틸 아크릴레이트, 6-메틸헵틸 아크릴레이트 등을 단독 또는 조합물의 형태로 들 수 있다. 중합성 알켄일-함유 유기 물질은 예를 들어 화학식 11 또는 화학식 12의 단량체, 예를 들어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아크릴로나이트릴, 메타크릴로나이트릴, 또는 비분지형 (메타)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등의 단독 또는 조합물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 1 그래프트 연결 단량체는 (아크릴옥시)알콕시실레인, (머캅토알킬)알콕시실레인, 바이닐알콕시실레인, 또는 알릴알콕시실레인의 단독 또는 그의 조합물, 예를 들어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다이메톡시)메틸실레인 및/또는 (3-머캅토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을 들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 2 그래프트 연결 단량체는 하나 이상의 알릴 기를 갖는 폴리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 예를 들어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트라이알릴 시아누레이트, 또는 트라이알릴 아이소시아누레이트의 단독 또는 그의 조합물이다.
실리콘-아크릴레이트 충격 개질제 조성물은, 예를들면 하나 이상의 실리콘 고무 단량체가 하나 이상의 제 1 그래프트 연결 단량체와 약 30℃ 내지 약 110℃의 온도에서 도데실벤젠설폰산과 같은 계면활성제의 존재하에서 반응하여 실리콘 고무 라텍스를 형성하는, 유화 중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이클릭 실록세인, 예를 들어 사이클로옥타메틸테트라실록세인 및 테트라에톡시오르토실리케이트는 제 1 그래프트 연결 단량체, 예를 들어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다이메톡시실레인과 반응하여 약 100㎚ 내지 약 2㎛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실리콘 고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하나 이상의 분지형 아크릴레이트 고무 단량체는, 선택적으로 가교결합 단량체, 예를 들어 알릴메타크릴레이트의 존재하에서, 자유 라 디칼 발생 중합 촉매, 예를 들어 벤조일 과산화물의 존재하에서 실리콘 고무 입자와 중합된다. 이어서, 상기 라텍스는 중합성 알켄일-함유 유기 물질 및 제 2 그래프트 연결 단량체와 반응한다. 그래프트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고무 하이브리드의 라텍스 입자는 (응고제로 처리함에 의해) 응고를 통해 수상으로부터 분리되고 미세 분말로 건조되어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고무 충격 개질제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약 100나노미터 내지 약 2㎛의 입자 크기를 갖는 실리콘-아크릴레이트 충격 개질제를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열가소성 조성물은 추가로 기타 열가소성 중합체,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개질 없는 전술한 바와 같은 경질 중합체 및/또는 경질 중합성 그래프트 없는 전술한 바와 같은 엘라스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적당한 경질 열가소성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약 0℃ 초과, 바람직하게는 20℃ 초과의 Tg를 가지며, 예를 들면 축합된 방향족 고리 구조를 갖는 모노바이닐방향족 단량체, 예를 들어 바이닐 나프탈렌, 바이닐 안트라센 등, 또는 화학식 11의 단량체, 예를 들어 스타이렌 및 α-메틸 스타이렌; 모노바이닐계 단량체, 예를 들어 이타콘산, 아크릴아마이드, N-치환된 아크릴아마이드 또는 메타크릴아마이드, 말레산 무수물, 말레이미드, N-알킬, 아릴 또는 할로아릴 치환된 말레이미드, 글라이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및 화학식 12의 단량체,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및 전술한 공중합체, 예를 들어 스타이렌-아크릴로니트릴(SAN),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 스타이렌,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스타이렌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적인 열가소성 중합체는 약 50중량% 이하, 특히 약 1 내지 약 35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약 10 내지 약 25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전술된 성분들에 추가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은 추가로 인 함유 난연제, 예를 들면 유기 포스페이트 및/또는 인-질소 결합을 함유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유기 포스페이트의 한가지 유형은 일반식 (GO)3P=O(여기서, G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 사이클로알킬, 아릴, 알크아릴 또는 아르알킬 기이되, 단 하나 이상의 G는 방향족 기이다)의 방향족 포스페이트이다. G 기중 둘은 함께 연결되어 사이클릭 기, 예를 들면 다이페닐 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페이트를 제공할 수 있고, 이는 악셀로드(Axelrod)의 미국 특허 제4,154,775호에 개시되어 있다. 다른 적합한 방향족 포스페이트는 예를 들면 페닐 비스(도데실)포스페이트, 페닐 비스(네오펜틸) 포스페이트, 페닐 비스(3,5,5'-트라이메틸헥실)포스페이트, 에틸 다이페닐 포스페이트, 2-에틸헥실 다이(p-톨릴)포스페이트, 비스(2-에틸헥실) p-톨릴 포스페이트, 트라이톨릴 포스페이트, 비스(2-에틸헥실)페닐 포스페이트, 트라이(노닐페닐) 포스페이트, 비스(도데실) p-톨릴 포스페이트, 다이부틸 페닐 포스페이트, 2-클로로에틸 다이페닐 포스페이트, p-톨릴 비스(2,5,5'-트라이메틸헥실) 포스페이트, 2-에틸헥실 다이페닐 포스페이트 등일 수 있다. 특정한 방향족 포스페이트는 각각의 G가 방향족인 것, 예를 들면 트라이페닐 포스페이트, 트라이크레실 포스페이트, 아이소프로필화된 트라이페닐 포스페이트 등이다.
이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방향족 인-함유 화합물이 또는 유용하고,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이다:
Figure 112007033282874-pct00011
상기 식에서, G1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약 30의 탄화수소이고, G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약 30의 탄화수소 또는 하이드로카보녹시이고, X는 각각 독립적으로 브롬 또는 염소이고, m은 0 내지 4이고, n은 1 내지 약 30이다.
적합한 이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방향족 인-함유 화합물의 예는 레소시놀 테트라페닐 다이포스페이트(RDP), 하이드로퀴논의 비스(다이페닐) 포스페이트 및 비스페놀-A의 비스(다이페닐) 포스페이트(BPADP), 이들의 다량체 및 중합체 등을 포함한다. 전술된 이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방향족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영국 특허 제2,043,08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인-질소 결합을 함유하는 적합한 난연성 화합물의 예는 포스포나이트릴릭 클로라이드, 인 에스터 아마이드, 인산 아마이드, 포스폰산 아마이드, 포스핀산 아마이드, 트리스(아지리디닐)포스핀 산화물을 포함한다. 유기 인-함유 난연제는 일반적으로 충전제를 제외한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20중량부, 예를들면 약 2 내지 약 18중량부, 또는 약 4 내지 약 16중량부, 임의적으로 약 2 내지 약 15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한다.
열가소성 조성물에는 본질적으로 염소 및 브롬, 특히 염소 및 브롬 난연제가 없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본질적으로 염소 및 브롬이 없는"은 염소, 브롬 및/또는 염소 또는 브롬 함유 물질을 고의로 첨가하지 않고 제조된 물질을 의미한다. 그러나, 여러 제품을 가공하는 설비에서는 특정량의 교차 오염이 발생하여 브롬 및/또는 염소가 전형적으로 중량 기준으로 ppm 수준으로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이해 하에, 본질적으로 브롬 및 염소가 없다는 것은 약 100중량ppm 이하, 약 75중량ppm 이하, 또는 약 50중량ppm 이하의 브롬 및/또는 염소 함량을 갖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정의가 난연제에 적용되는 경우, 이것은 난연제의 총 중량에 근거한다. 이 정의가 열가소성 조성물에 적용되는 경우, 이것은 폴리카보네이트, 충격 개질제 및 난연제의 총 중량에 근거한다.
선택적으로, 무기 난연제, 예를 들면 설포네이트 염(예: 칼륨 퍼플루오로뷰테인 설포네이트(리마르(Rimar) 염) 및 칼륨 다이페닐설폰 설포네이트);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바람직하게는 리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및 바륨 염)과 무기 산 착체 염, 예를 들면 옥소-음이온을 반응시켜 형성된 염, 예를 들면 탄산의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염, 예를 들면 Na2CO3, K2CO3, MgCO3, CaCO3, BaCO3 및 BaCO3, 또는 플루오로-음이온 착체, 예를 들면 Li3AlF6, BaSiF6, KBF4, K3AlF6, KAlF4, K2SiF6 및/또는 Na3AlF6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무기 난연제 염이 일반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충격 개질제,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인-함유 난연제의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약 1.0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 약 0.05 내지 약 0.5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한다.
적하방지제가 또한 조성물 중에 포함되며, 예를 들면 플루오로폴리머, 예컨대 피브릴 형성 또는 비-피브릴 형성 플루오로폴리머, 예컨대 피브릴 형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비-피브릴 형성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 캡슐화된 플루오로폴리머, 즉 적하방지제로서 중합체 중에 캡슐화된 플루오로폴리머, 예컨대 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 캡슐화된 PTFE(TSAN) 등,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적하방지제를 포함하는 조합물을 포함한다. 캡슐화된 플루오로폴리머는 플루오로폴리머의 존재 하에 중합체를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TSAN은 PTFE의 수성 분산액의 존재 하에 스타이렌과 아크릴로나이트릴을 공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TSAN은, TSAN이 조성물 중에 더욱 용이하게 분산될 수 있다 점에서 PTFE보다 큰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TSAN은 예를 들면 캡슐화된 플루오로폴리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중량% PTFE 및 약 50중량% 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공중합체의 총 중량에 기초하여 약 75중량% 스타이렌 및 약 25중량% 아크릴로나이트릴일 수 있다. 다르게는, 플루오로폴리머는 일부 방식으로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521,230호 및 제4,579,906호에서와 같이 제 2 중합체, 예컨대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스타이렌-아크릴로나이트릴 수지와 미리 블렌딩되어 응집된 물질을 형성함으로써 적하방지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캡슐화된 플루오로폴리머를 제조하기 위해 양자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적하방지제는 일반적으로 충전제를 제외한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4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더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은 이 유형의 수지 조성물 중에 통상 혼입되는 다양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조성물의 형성을 위해 성분들의 혼합 도중 적합한 시간에 혼합될 수 있다.
적합한 충전제 또는 보강제는 예를 들면 TiO2; 섬유, 예컨대 석면, 탄소 섬유 등; 실리케이트 및 실리카 분말, 예컨대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물라이트), 합성 칼슘 실리케이트, 지르코늄 실리케이트, 융합된 실리카, 결정 실리카 흑연, 천연 실리카 샌드(sand) 등; 붕소 분말, 예컨대 붕소-나이트라이드 분말, 붕소-실리케이트 분말 등; 알루미나; 산화 마그네슘(마그네시아); 황산칼슘(그의 무수물, 이수화물 또는 삼수화물로서); 탄산칼슘, 예컨대 쵸크(chalk), 석회, 대리석, 합성 침전된 탄산칼슘 등; 활석, 예컨대 섬유상, 모듈(modular), 침상, 층상(lamellar) 활석 등; 규회석(wollastonite); 표면-처리된 규회석; 유리 스피어(sphere), 예컨대 중공(hollow) 및 솔리드(solid) 유리 스피어, 실리케이트 스피어, 세노스피 어(cenosphere), 알루미노실리케이트(아르모스피어(armosphere)) 등; 카올린, 예컨대 경질 카올린, 연질 카올린, 하소된 카올린, 또는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코팅을 포함하여 중합체 매트릭스 수지와의 혼화성을 촉진시키는 카올린 등; 단결정 섬유 또는 "위스커(whisker)", 예컨대 탄화규소, 알루미나, 탄화붕소, 철, 니켈, 구리 등; 유리 섬유(예컨대, 연속 및 개조(chopped) 섬유), 예컨대 E, A, C, ECR, R, S, D, 및 NE 유리 및 석영 등; 설파이드, 예컨대 몰리브덴 설파이드, 징크 설파이드 등; 바륨 화합물 예컨대 바륨 타이타네이트, 바륨 페라이트, 바륨 설페이트, 중질 스파(spar) 등; 금속 및 금속 산화물 예컨대 미립자 또는 섬유상 알루미늄, 청동, 아연, 구리 및 니켈 등; 플레이크화된 충전제, 예컨대 유리 플레이크, 플레이크화된 탄화규소, 알루미늄 다이보라이드, 알루미늄 플레이크, 스틸(steel) 플레이크 등; 섬유상 충전제, 예를 들면 짧은 무기 섬유, 예컨대 하나 이상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산화 알루미늄, 산화 마그네슘 및 황산 칼슘 헤미하이드레이트(hemihydrate) 등을 포함하는 블렌드로부터 유도된 것; 천연 충전제 및 보강재, 예컨대 목재를 분쇄하여 수득된 목재 가루, 섬유상 생성물, 예컨대 셀룰로스, 면, 사이잘삼(sisal), 황마, 전분, 코르크 가루, 리그닌, 분쇄된 견과류 껍질, 옥수수, 쌀가루 껍질 등; 섬유를 형성시킬 수 있는 유기 중합체로부터 형성된 보강용 유기 섬유상 충전제, 예컨대 폴리(에터 케톤), 폴리이미드, 폴리벤족사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방향족 폴리이미드, 폴리에터이미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아크릴릭 수지, 폴리(바이닐 알코올) 등; 및 추가 충전제 및 보강제, 예컨대 운모, 클레이, 장석, 플루 더스 트(flue dust), 필라이트(fillite), 석영, 규암, 진주암, 트리폴리(tripoli), 규조토, 카본 블랙 등,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충전제 또는 보강제를 포함하는 조합물을 포함한다.
충전제 및 보강제는 도전성을 촉진시키기 위해 금속성 물질 층으로 코팅되거나, 또는 중합체 매트릭스 수지와의 접착 및 분산을 개선시키기 위해 실레인으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보강용 충전제는 모노필라멘트 또는 멀티필라멘트 섬유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컨대 코-위빙(co-weaving) 또는 코어/쉬스(core/sheath), 사이드-바이-사이드(side-byside), 오렌지형(orange-type) 또는 매트릭스 및 피브릴 구성을 통해, 또는 섬유 제조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다른 방법들에 의해 다른 유형의 섬유와 조합하여 또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코-위빙된 구조로는 예를 들면 유리 섬유-탄소 섬유, 탄소 섬유-방향족 폴리이미드(아라미드(aramid)) 섬유, 및 방향족 폴리이미드 섬유유리 섬유 등이 포함된다. 섬유상 충전제는 예를 들면 로빙(roving), 직조된 섬유상 보강재, 예컨대 0 내지 90°패브릭 등; 부직 섬유상 보강재, 예컨대 연속 스트랜드 매트, 개조된 스트랜드 매트, 티슈, 페이퍼 및 펠트 등; 또는 3차원 보강재, 예컨대 브레이드(braid)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충전제는 일반적으로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5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적합한 열 안정화제는 예를 들면 오가노 포스파이트, 예컨대 트라이페닐 포스파이트, 트리스-(2,6-다이메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혼합된 모노- 및 다이-노닐페닐)포스파이트 등; 포스포네이트, 예컨대 다이메틸벤젠 포스포네이트 등, 포스페이트, 예컨대 트라이메틸 포스페이트 등,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열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조합물을 포함한다. 열 안정화제는 일반적으로 충전제를 제외한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0.5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적합한 산화방지제는 예를 들면 오가노포스파이트, 예컨대 트리스(노닐 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다이-t-뷰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다이-t-뷰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다이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다이포스파이트 등; 알킬화된 모노페놀 또는 폴리페놀; 폴리페놀과 다이엔의 알킬화된 반응 생성물, 예컨대 테트라키스[메틸렌(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메테인 등; 파라-크레솔 또는 다이사이클로펜타디엔의 뷰틸화된 반응 생성물; 알킬화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록실화된 티오다이페닐 에터; 알킬리덴-비스페놀; 벤질 화합물; 일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의 β-(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터; 일가 또는 다가 알코올과의 β-(5-t-뷰틸-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터; 티오알킬 또는 티오아릴 화합물의 에스터, 예컨대 다이스테아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다이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다이트라이데실티오다이프로피오네이트, 옥타데실-3-(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 β-(3,5-다이-t-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등의 아마이드,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산화방지제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산화방지제는 일반적으로 충전제를 제외한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0.5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적합한 광 안정화제는 예를 들면 벤조트라이아졸, 예컨대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라이아졸, 2-(2-하이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라이아졸 및 2-하이드록시-4-n-옥톡시 벤조페논 등,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광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조합물을 포함한다. 광 안정화제는 일반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충격 개질제,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인 함유 난연제의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적합한 가소화제는 예를 들면 프탈산 에스터, 예컨대 다이옥틸-4,5-에폭시-헥사하이드로프탈레이트, 트리스-(옥톡시카보닐에틸)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트리스테아린, 에폭시화된 대두유 등,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가소화제를 포함하는 조합물을 포함한다. 가소화제는 일반적으로 충전제를 제외한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5 내지 약 3.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적합한 대전방지제는 예를 들면 글라이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듐 스테아릴 설포네이트, 소듐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 등, 또는 상기 대전방지제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탄소 섬유, 탄소 나노섬유, 탄소 나노튜브, 카본 블랙, 또는 상기 것들의 임의의 조합물이 중합체 수지 함유 화학 대전방지제 중에 사용되어 조성물이 정전기적으로 방산하도록 할 수 있다. 대전방지제는 일반적으로 충전제를 제외한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3.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적합한 이형제는 예를 들면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밀랍, 몬탄(montan) 왁스, 파라핀 왁스 등,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이형제를 포함하는 조합물을 포함한다. 이형제는 일반적으로 충전제를 제외한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1.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적합한 UV 흡수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벤조페논; 하이드록시벤조트라이아졸; 하이드록시벤조트라이아진; 사이아노아크릴레이트; 옥사닐라이드; 벤족사진온; 2-(2H-벤조트라이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뷰틸)-페놀(CYASORB 5411); 2-하이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CYASORB 531); 2-[4,6-비스(2,4-다이메틸페닐)-1,3,5-트라이아진-2-일]-5-(옥틸옥시)-페놀(CYASORB 1164); 2,2'-(1,4-페닐렌)비스(4H-3,1-벤족사진-4-온)(CYASORB UV-3638); 1,3-비스[(2-사이아노-3,3-다이페닐아크릴로일)옥시]-2,2-비스[[(2-사이아노-3,3-다이페닐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페인(UVINUL 3030); 2,2'-(1,4-페닐렌)비스(4H-3,1-벤족사진-4-온); 1,3-비스[(2-사이아노-3,3-다이페닐아크릴로일)옥시]-2,2-비스[[(2-사이아노-3,3-다이페닐아크릴로일)옥시]메틸]프로페인; 나노 크기의 무기 물질, 예컨대 산화티타늄, 산화세륨 및 산화아연(이들 모두의 입자 크기는 약 100㎚ 미만이다) 등,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UV 흡수제를 포함하는 조합물을 포함한다. UV 흡수제는 일반적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충격 개질제,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인 함유 난연제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3.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적합한 윤활제는 예를 들면 지방산 에스터, 예컨대 알킬 스테아릴 에스터, 예컨대 메틸 스테아레이트 등; 적합한 용매 중의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중합체, 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중합체 및 이들의 공중합체(예: 메틸 스테아레이트 및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글라이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친수성 및 소수성 계면활성제와 메틸 스테아레이트의 혼합물;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윤활제를 포함하는 조합물을 포함한다. 윤활제는 일반적으로 충전제를 제외한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5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적합한 안료는 예를 들면 무기 안료, 예컨대 금속 산화물 및 혼합된 금속 산화물, 예컨대 산화 아연, 이산화 티탄, 산화철 등; 설파이드, 예컨대 황화 아연 등; 알루미네이트; 소디움 설포-실리케이트; 설페이트 및 크로메이트; 카본 블랙; 징크 페라이트; 울트라머린 블루(ultramarine blue); 피크먼트 브라운 24; 피그먼트 레드 101; 피그먼트 옐로우 119; 유기 안료, 예컨대 아조, 다이-아조, 퀴나크리돈, 페릴렌, 나프탈렌, 테트라카복실산, 플라반트론, 아이소인돌리논, 테트라클로로아이소인돌리논, 안트라퀴논, 안탄트론, 다이옥사진, 프탈로사이아닌 및 아조 레이크(azo lakes); 피그먼트 블루 60, 피그먼트 레드 122, 피그먼트 레드 149, 피그먼트 레드 177, 피그먼트 레드 179, 피그먼트 레드 202, 피그먼트 바이올릿 29, 피그먼트 블루 15, 피그먼트 그린 7, 피그먼트 옐로우 147 및 피그먼트 옐로우 150,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안료를 포함하는 조합물을 포함한다. 안료는 일반적으로 충전제를 제외한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1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적합한 염료는 예를 들면 유기 염료, 예컨대 쿠마린 460(청색), 쿠마린 6(녹색), 나일 레드(nile red) 등; 란탄계 착체; 탄화수소 및 치환된 탄화수소 염료; 폴리사이클릭 방향족 탄화수소; 신틸레이션(scintillation) 염료(바람직하게는 옥사졸 및 옥사다이아졸);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치환된 폴리(2-8 올레핀); 카보사 이아닌 염료; 프탈로사이아닌 염료 및 안료; 옥사진 염료; 카보스티릴 염료; 포르피린 염료; 아크리딘 염료; 안트라퀴논 염료; 아릴메테인 염료; 아조 염료; 다이아조늄 염료; 나이트로 염료; 퀴논 이민 염료; 테트라졸륨 염료; 티아졸 염료; 페릴렌 염료, 페리논 염료; 비스-벤족사졸일티오펜(BBOT); 및 잔텐 염료; 플루오로포어(fluorophore), 예컨대 안티-스토크스 쉬프트(anti-stokes shift) 염료(이는 근적외선 파장에서 흡광하고 자외선 파장에서 방출한다) 등; 발광 염료, 예컨대 5-아미노-9-다이에틸이미노벤조(자)페녹사조늄 퍼클로레이트; 7-아미노-4-메틸카보스티릴; 7-아미노-4-메틸쿠마린; 3-(2'-벤즈이미다졸릴)-7-N,N-다이에틸아미노쿠마린; 3-(2'-벤조티아졸릴)-7-다이에틸아미노쿠마린; 2-(4-바이페닐일)-5-(4-t-뷰틸페닐)-1,3,4-옥사다이아졸; 2-(4-바이페닐)-6-페닐벤족사졸-1,3; 2,5-비스-(4-바이페닐일)-1,3,4-옥사다이아졸; 2,5-비스-(4-바이페닐일)-옥사졸; 4,4'-비스-(2-뷰틸옥틸옥시)-p-쿼터페닐; p-비스(o-메틸스티릴)-벤젠; 5,9-다이아미노벤조(자)페녹사조늄 퍼클로레이트; 4-다이사이아노메틸렌-2-메틸-6-(p-다이메틸아미노스티릴)-4H-피란; 1,1'-다이에틸-2,2'-카보사이아닌 요오다이드; 3,3'-다이에틸-4,4',5,5'-다이벤조티아트라이카보사이아닌 요오다이드; 7-다이에틸아미노-4-메틸쿠마린; 7-다이에틸아미노-4-트라이플루오로메틸쿠마린; 2,2'-다이메틸-p-쿼터페닐; 2,2-다이메틸-p-테르페닐; 7-에틸아미노-6-메틸-4-트라이플루오로메틸쿠마린; 7-에틸아미노-4-트라이플루오로메틸쿠마린; 나일 레드; 로다민 700; 옥사진 750; 로다민 800; IR 125; IR 144; IR 140; IR 132; IR 26; IR 5; 다이페닐헥사트라이엔; 다이페닐뷰타다이엔; 테트라페닐뷰타다이엔; 나프탈렌; 안트라센; 9,10-다이페닐안트라센; 피 렌; 크리센; 루브렌; 코로넨; 페난트렌 등,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염료를 포함하는 조합물을 포함한다. 염료는 일반적으로 충전제를 제외한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5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적합한 착색제는 예를 들면 이산화 티탄, 안트라퀴논, 페릴렌, 페리논, 인단트론, 퀴나크리돈, 잔텐, 옥사진, 옥사졸린, 티오잔텐, 인디고이드, 티오인디고이드, 나프탈리미드, 사이아닌, 잔텐, 메틴, 락톤, 쿠마린, 비스-벤족사졸일티오펜(BBOT), 나프탈렌테트라카복실릭 유도체, 모노아조 및 디스아조 안료, 트라이아릴메테인, 아미노케톤, 비스(스티릴)바이페닐 유도체 등,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착색제를 포함하는 조합물을 포함한다. 착색제는 일반적으로 충전제를 제외한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5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적합한 팽창제(blowing agent)는 예를 들면 저비점 할로탄화수소, 및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것; 실온에서 고체이며, 그의 분해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되는 경우, 기체, 예컨대 질소,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기체를 발생하는 팽창제, 예컨대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 아조다이카본아마이드의 금속 염, 4,4'옥시비스(벤젠설포닐하이드라자이드), 중탄산 나트륨, 탄산 암모늄 등,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팽창제를 포함하는 조합물을 포함한다. 팽창제는 일반적으로 충전제를 제외한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2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열가소성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 잘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하나의 절차로 우선 헨첼 고속 혼합기(Henschel high speed mixer) 내에서 분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충격 개질제, 폴리다이오가노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 중합체 및/또는 다른 선택적 성분을 선택적으로는 개조된 유리 스트랜드 또는 다른 충전제와 블렌딩하여 제조된다. 수동 혼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다른 저전단(low shear) 공정들도 또한 상기 블렌딩을 달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블렌드는 호퍼(hopper)를 통해 2축 압출기의 쓰로트(throat) 내에 공급된다. 다르게는, 하나 이상의 성분이 쓰로트에서 압출기 내로 직접적으로 및/또는 사이드스터퍼(sidestuffer)를 통해 하류로 공급함으로써 조성물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또한 바라는 중합체 수지와 함께 마스터배치 내에 배합되고 압출기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압출기는 일반적으로 조성물을 유동시키는데 필요한 것보다 높은 온도에서 작동된다. 압출물은 즉시 수조 내에서 켄칭되고 펠릿화된다. 이렇게 제조된 펠릿은 압출물을 절단하는 경우 목적하는 바에 따라 1/4 인치 길이 이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펠릿은 후속 성형, 형상화 또는 형성에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조성물의 바라는 물리적 특성, 특히 충격 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탁월한 난연성을 달성하는 것이 특히 하나의 과제가 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브롬화 또는 염소화 난연제의 부재 하에 우수한 물성 및 탁월한 난연성을 갖는 난연제 조성물이, 전술된 폴리카보네이트, 충격 개질제,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유기 인-함유 난연제의 상대량을 주의 깊게 균형을 이루게 함으로써 수득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열가소성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약 20 내지 약 90중량%; 충격 개질제(존재하는 경우) 약 1 내지 약 35중량%;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약 0.5 내지 약 30중량%; 및 유기 인 함유 난연제 약 0.1 내지 약 20중량%(상기 각 중량%는 충전제 또는 기타 첨가제를 제외한 열가소성 조성물의 합한 총 중량 기준임)를 포함한다. 이들 범위 이외의 양에서, 감소된 난연성; 즉, 증가된 화염 소멸 시간(FOT) 또는 감소된 합격 확률 및/또는 감소된 적하 시간을 갖는 조성물이 제공된다.
여러 실시양태에서, 0.1mm 내지 2.0mm ± 10%, 예컨대, 1.5mm ± 10% 또는 1.2mm ± 10%의 두께를 갖는,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의 샘플은 브롬화되고/되거나 염소화된 난연제의 부재하에서 UL94 5VB 등급을 달성한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개방 화염에 노출되었을 때, 2.0mm ± 10% 내지 0.1mm± 10%의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의 샘플은 브롬화되고/되거나 염소화된 난연제의 부재 하에서, 선택적으로 적하없이 30초 미만의 화염 소멸 시간을 갖는다. 보험업자 연구소(Underwriters Laboratories)는 UL 발연 등급을 갖는 모든 중합체 조성물 또는 등급물의 주기적 검사를 실시한다. UL 검사/후속조치 서비스 공정의 다이아그램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검사 동안, 처음에는 중합체 조성물의 5개의 시편이 시험된다.
하나의 시편 만이 합격 등급을 위한 하나의 요건에 부합되지 않는 "니어 미스(near miss)"에 해당하는 특정 조건하에서 부가적인 5개의 시편의 재시험이 허용된다. 특히, 이러한 조건은, 하나의 연소 시간이 최대 연소 시간(V-O, 10초; V-1, V-2, 30초)을 초과하거나; 또는 각각의 연소 시간의 합이 허용된 최대 총 연소 시간(V-O, 50초; V-1, V-2 250초)보다 크고, 최대 재시험 총 연소시간 값(V-0, 55초, V-1, V-2, 255초) 이하이거나; 또는 하나의 시편이 시험 과정 동안 적하를 보여 주는 것이다.
중합체 조성물의 하나의 시편이 상기 조건 중 어느 하나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 2차 세트의 시편에 대한 재시험이 허용된다. 재시험시, 중합체 조성물이 화염 시험에 합격할 수 있는 경우, 표 1에 열거된 요건을 재시험 데이터에 적용한다. 만일 하나의 시편 또는 그 시편 세트가 하나 이상의 조건에 부합되지 않은 경우, 재시험은 허용되지 않으며, 1차 제출 불합격이 발생한다.
Figure 112010057449183-pct00029
검사 실패의 결과가 매우 심각하기 때문에, UL 후속조치 서비스가 2차 세트의 샘플의 제출을 의해 제공된다. 2차 제출시, 2차 세트의 시편은 1차 세트와 정확하게 동일하게 시험된다. 처음에는 5개의 시편이 시험되고, 재시험이 허용되는 조건(상기에 기술됨)이 만족되면 5개의 추가의 시편이 재시험된다. 중합체 조성물은 처음 5개의 시편에서 또는 재시험에서 2차 제출에 대한 화염 시험에 합격할 수 있다. 표 1에 나타난 요건이 2차 제출 데이터에 적용된다.
따라서, UL-94 화염 시험으로부터 얻은 데이터는 하나의 시편에 대한 화염의 1차 및 가능하게는 2차 적용, 처음에 시험되고 재시험된 1차 제출 시편, 및 처음에 시험되고 재시험된 2차 제출 시편을 위한 연소 시간 형태일 수 있다. 여러 시편의 적하에 관련된 데이터가 또한 고려될 수 있다. UL 시험 규정의 하나 이상의 가능한 결과의 확률을 구하기 위해 다수의 샘플(예, 20개 이상)에 대한 화염 시험으로부터 얻은 데이터의 통계적 분석을 사용할 수 있다. 가능한 결과는 1차 시기 합격 및 재시험을 포함하는 1차 제출 합격, 1차 시기 합격 및 재시험을 포함하는 2차 제출 합격, 및 불합격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결과, 바람직하게는 1차 제출에 대한 1차 시기 합격의 확률은 화염 시험, 특히 UL-94 시험에서 고유한 가변성을 최소화하면서 중합체 조성물의 난연성의 척도를 제공한다.
원래의 데이터는 동등한 로그 값으로의 전환에 의해 통계적인 계산에 사용되기 전에 변환될 수 있다. ("로그" 또는 "로그의"는 밑이 10인 로그를 지칭한다.) 음의 로그 값을 피하기 위해, 1초 미만의 시간은 1초로 반올림될 수 있다. 그 후, 연소 시간의 로그를 계산하여 다음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 시간과 관련된 값의 보다 정규적인 분포가 제공되기 때문에 변환된 데이터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0 미만의 값이 없기 때문에, 원래의 데이터는 정규(종형) 분포 곡선을 나타내지 않으며, 데이터 점은 전형적으로 최대 개별 연소 시간 미만의 공간에 밀집되어 있다. 그러나, 변환된 데이터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규 분포 곡선에 더욱 가깝다.
1차 제출에 대한 1차 시기 합격의 확률(pFTP)은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0057449183-pct00030
상기 식에서,
Pt1>mbt, n=0은 1차 연소 시간이 최대 연소 시간 값을 초과하지 않을 확률이고,
Pt2>mbt, n=0은 2차 연소 시간이 최대 연소 시간 값을 초과하지 않을 확률이고,
P총≤mtbt는 연소 시간의 합이 최대 총 연소 시간값 이하일 확률이고,
P적하, n=0는 시편 중 어느 것도 화염 시험 동안 적하하지 않을 확률이다.
1차 및 2차 연소 시간은 각각 화염의 1차 및 2차 적용 후의 연소 시간을 지칭한다.
1차 연소 시간이 최대 연소 시간 값을 초과하지 않을 확률(Pt1>mbt, n=0)은 하기 수학식 2로부터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7033282874-pct00014
상기 식에서,
Pt1>mbt는 t1> mbt에 대한 로그 정규 분포 곡선 아래의 면적이고,
지수 "5" 는 시험되는 막대의 수와 관련된다.
2차 연소 시간이 최대 연소 시간값을 초과하지 않을 확률은 하기 수학식 3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7033282874-pct00015
상기 식에서,
Pt2>mbt는 t2>mbt에 대한 로그 정규 분포 곡선 아래의 면적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연소 시간 데이터 세트의 평균 및 표준 편차는 정규 분포 곡선을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UL-94 V-0 등급의 경우, 최대 연소 시간은 10초이다. V-1 또는 V-2 등급의 경우, 최대 연소 시간은 30초이다.
시편 중 어느 것도 화염 시험 동안 적하하지 않을 확률인 P적하, n=0는 하기 수학식 4로 평가되는 종속 함수이다:
Figure 112010057449183-pct00031
상기 식에서, P적하는 적하되는 막대의 수/시험되는 막대의 수이다.
연소 시간의 합이 최대 총 연소 시간 값 이하일 확률인 P총≤mtbt는, 모의시험된 5개의 막대 총 연소 시간의 정규 분포 곡선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상기 분포는, 상기에서 얻은 연소 시간 데이터에 대한 분포를 사용하여 5개의 막대의 1000 세트의 몬테 카를로(Monte Carlo) 모의시험로부터 얻을 수 있다. 몬테 카를로 모의시험에 대한 기법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5개의 막대의 총 연소 시간에 대한 정규 분포 곡선은 모의된 1000 세트의 평균 및 표준 편차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따라서, P총≤mtbt는, 총 연소시간이 최대 총 연소 시간 이하인 경우의 1000 몬테 카를로 모의시험된 5개 막대의 총 연소 시간 세트의 로그 정규 분포 곡선 아래의 면적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UL-94 V-0 등급의 경우, 최대 총 연소 시간은 50초이다. V-1 또는 V-2 등급의 경우, 최대 총 연소 시간은 250초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브롬화되고/되거나 염소화된 난연제의 부재에서 선택적으로 85 이상의 1차 시기 합격 확률(pFTP)과 함께 10초 미만의 화염 소멸 시간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1/8인치(3.18mm)(±3%) 막대는 실온에서 ASTM D256에 따라 측정시 약 3.6ft-lb/인치 이상, 선택적으로 약 5.6ft-lb/인치 초과, 예컨대 약 6 ft-lb/인치 이상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 강도를 갖는다.
2.5mm(±10%)의 두께를 갖는 전술된 샘플 조성물은 브롬화 및/또는 연소화 난연제의 부재에서 UL94 5VA 등급을 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1/8인치(3.18mm)(±3%) 막대는 실온에서 ASTM D256에 따라 측정시 약 3.6ft-lb/인치 이상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 강도를 갖는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약 40 내지 약 80중량%; 충격 개질제 약 2 내지 약 15중량%;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5중량% 초과(예컨대 약 10 내지 약 25중량%)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충전제를 제외한 조성물의 합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유기 인 함유 난연제를 약 2 내지 약 15중량%(예컨대 8 내지 15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함량에서는, 최적의 난연성 뿐만 아니라, 주위 온도에서 우수한 노치 아이조드 충격 강도; 저온에서 우수한 노치 아이조드 충격 강도; 및/또는 우수한 열 변형 온도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양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UL94 5VB, V0/V1 시험 규정에 부합되고, 최소 적하 시간과 같은 다른 기준에 부합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각각의 성분의 상대량 및 각 조성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잘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양성자 핵자기 공명 분광법(1H NMR), 13C NMR, X선 형광법, 고해상 질량 분광법, 푸리에(Fourier) 변환 적외선 분광법,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법 등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UL94 수직 연소 시험, 특히 UL94 5VB 표준에 합격한 난연제 제품의 제조에서 특히 유용하다. UL94 수직 연소 시험에서, 면-모직 패드 위에 위치하는 수직으로 고정된 시편에 화염을 적용한다. 5VB의 등급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화염을 시험 막대에 5회 적용한 후 60초 이내에 불이 꺼져야 하며, 패드를 발화시키는 적하가 없을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의 여러 실시양태는 UL94 5VB 표준을 만족한다.
얇은 제품의 제조에 적합한 조성물은 더욱 높은 유동성을 갖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얇은 제품은 UL 94 시험에서 특별한 과제가 되고 있다. 다양한 제품의 제조에 적합한 열가소성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ASTM D1238에 따라 260℃/2.16kg에서 측정할 때 약 4 내지 약 30g/10분의 용융 부피 유속(MVR)을 가질 것이다. 상기 범위 내에서, 얇은 벽 제품을 위해, MVR은 ASTM D1238에 따라 260℃/2.16kg에서 측정할 때 약 8g/10분 초과, 바람직하게는 약 10g/10분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3g/10분 초과로 조정될 수 있다.
용융 점도는 또 다른 유동 지표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얇은 제품의 제조에 적합한 열가소성 조성물은, ISO 11443에 따라 측정할 때 260℃/1500초-1에서 약 50 내지 약 500파스칼-초의 용융 점도를 가질 수 있다. 몇 몇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UL V2 기준을 만족한다.
본 발명의 샘플의 난연성은 우수하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1.2 및 2.0mm(±10%)의 두께를 갖는 샘플은 UL94 5VB 표준을 통과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1.2mm 또는 1.5mm의 두께를 갖는 샘플에 대해 적하 시간 시험이 또한 실시된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ISO 75/Ae에 따라 4mm(±3%) 두께의 시험 막대를 사용하여 1.8 MPa에서 측정시, 약 65 내지 약 110℃, 특히 약 70 내지 약 105℃의 열 변형 온도(HDT)를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ASTM D256에 따라 1/8-인치(3.18 mm)(±3%) 막대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측정시, 약 3 내지 약 18ft-lb/인치 또는 약 3 내지 약 14ft-lb/인치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NII)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ASTM D256에 따라 1/8-인치(3.18 mm)(±3%) 막대를 사용하여 10℃에서 측정시, 약 6 내지 약 18ft-lb/인치 또는 약 6 내지 약 14ft-lb/인치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NII)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형상화, 형성 또는 성형된 제품이 또한 제공된다.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다양한 수단, 예컨대 사출 성형, 압출, 회전 성형, 취입 성형 및 열 형성에 의해 유용한 형상의 제품으로 성형되어 컴퓨터, 사무기기 하우징(예컨대, 모니터용 하우징),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하우징(예컨대, 휴대폰용 하우징), 전기 커넥터와 같은 제품, 및 조명 설비, 장신구, 가정용 가전 제품, 지붕, 온실, 일광욕실(sun room), 수영장 담 등의 구성요소를 형성할 수 있다. 전술된 조성물은 0.1mm, 0.5mm, 1.0mm 또는 2.0mm(각각 ±10%) 만큼 작은 최소 벽 두께를 포함하는 제품의 제조에 특히 유용하다. 전술된 조성물은 또한 약 3mm 이하, 예를들면 약 0.1mm 내지 2mm, 예를들면 약 1.2mm 내지 약 2mm, 또는 약 0.2mm 내지 약 1.8mm 또는 더욱 구체적으로 약 0.6mm 내지 약 1.5mm 또는 약 0.8mm 내지 약 1.2mm의 최소 벽 두께를 포함하는 제품의 제조에서 특별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은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설명된다. 하기 성분들이 사용되었다:
Figure 112007033282874-pct00017
특정 실시양태에서, 표 2에 나타낸 성분(중량부) 및 추가로 이형제 0.5 중량%, 산화방지제 및 광 안정제의 조합물 0.25 중량%를 워너 앤드 플레이더러 공-회전 2축 압출 성형기(Werner & Pfleiderer co-rotating twin screw extruder)(25mm 스크루) 상에서 약 260 내지 280℃의 용융 온도 범위를 사용하여 혼합하여 샘플 조성물을 수득하고, 이어서 반 돈(Van Dorn) 85HT 사출 성형기 상에서 각각 ASTM 표준 256 및 648에 따라 충격 및 열 변형 시험을 위해 244℃에서 성형하였다. 화염 시험용 막대는 허스키(Husky) 사출 성형기 상에서 244℃의 온도에서 사출 성형되었다.
화염 시험을 문헌[Underwriter's Laboratory Bulletin 94 entitled "Tests for Flammability of Plastic Materials, UL94."]의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상기 절차에 따라, 5개 샘플에 대해 얻어진 시험 결과값을 근거로 HB, V0, UL94 V1, V2, 5VA, 및/또는 5VB로 재료를 분류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발연성 분류에 대한 기준을 아래에 설명한다:
V0: 화염에 대해 장축이 180도가 되도록 놓여진 샘플에서, 점화 화염을 제거한 후의 타오름(flaming) 및/또는 그을음(smoldering) 기간은 10초를 초과하지 않고, 수직으로 놓여진 샘플중 어떤 것도 흡수성 면(綿)을 발화시키는 연소 입자의 적하를 일으키지 않는다.
V1: 화염에 대해 장축이 180도가 되도록 놓여진 샘플에서, 점화 화염을 제거한 후 타오름 및/또는 그을음 기간이 30초를 초과하지 않고, 수직으로 놓여진 샘플중 어떤 것도 흡수성 면을 발화시키는 연소 입자의 적하를 일으키지 않는다.
V2: 화염에 대해 장축이 180도가 되도록 놓여진 샘플에서, 점화 화염을 제거한 후 타오름 및/또는 그을음 기간이 25초를 초과하지 않지만, 수직으로 놓여진 샘플은 면을 발화시키는 연소 입자의 적하를 일으킨다. 5개 막대의 화염 소멸 시간(FOT)은 5개의 막대에 대한 화염 소멸 시간의 총합이고, 각각은 250초의 최대 화염 소멸 시간 동안 2회 발화된다.
5VB: 시험 막대 아래 12 인치(305mm)에 위치한 수직으로 고정된 소정 두께의 5인치(127mm) X 0.5인치(12.7mm)의 건조한 흡수성 면 패드에 화염을 적용한다. 시험 막대의 두께는 0.1mm 정밀도를 갖는 캘리퍼스(calipers)로 측정된다. 화염은 1.58인치(40mm)의 내부 청색 원뿔을 갖는 5 인치(127mm) 화염이다. 청색 원뿔의 끝부분이 샘플의 하부 모서리에 닿도록 화염을 시험 막대기에 5초 동안 적용시킨다. 그 후, 화염을 5초 동안 제거한다. 시편이 동일한 화염에 5번 적용될 때까지 화염의 적용 및 제거를 반복한다. 5번째의 화염의 적용을 제거한 후, 타이머(T-0)를 켜고, 시편이 계속 타오르는 시간(후-발연 시간), 및 후-발연이 사라진 후 시편이 계속 작열(glow)하는 시간(후-작열 시간)을 후-작열이 있지 않을 경우 후-발연이 정지될 때 T-0을 정지시키고, 후-작열이 정지될 때는 T-O를 정지시킴으로써 측정한다. 조합된 후-발연 및 후-작열 시간은 시험 막대에 화염을 5번 적용한 후 60초 이하이고, 면 패드를 발화시키는 적하는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시험을 5개의 동일한 막대 시편에 대해 반복한다. 5개의 단일 시편이 상기 시간 및/또는 적하 없는 요건에 부합되지 않으면, 5개 시편의 2차 세트를 동일한 양식으로 시험한다. 5개 시편의 2차 세트 중의 모든 시편은 소정 두께의 재료가 5VB 표준을 달성하기 위한 요건에 부합되어야 한다.
적하 시간: 재료가 막대로부터 1차 적하가 일어날 때까지, 연속적으로 5초 간격으로 5VB에서 기술된 바에 따라 화염의 적용 및 제거를 교대로 하여 적하시간을 측정한다. 55초 이상의 적하 시간 특성은 5VB 등급과 같은 다른 바라는 특성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난연성은 평균 화염 소멸 시간 및 화염 소멸 시간의 표준 편차를 적하의 총수로서 계산하고, 상기 데이터를 1차 시기 합격 확률, 또는 "pFTP"의 예측으로 전환시키는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특정 샘플 배합물이 5개 막대의 통상적인 UL94 시험에서의 V0 "합격" 등급을 달성하는 가를 분석하였다. 바람직하게는, UL 시험에서 최대 난연 성능을 위해 pFTP는 가능한 한 1에 가깝고, 예를 들어 0.9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0.95 초과이다. 0.85 이상의 pFTP가 성공한 것으로 간주된다.
HDT는 ISO 75/Ae에 따라 1.8 MPa에서 4mm 두께(±10%) 막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MVR은 ASTM D1238에 따라 260℃에서 2.16kg 하중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NII는 ASTM D256에 따라 실온(23℃)에서 1/8인치(3.18mm) 막대상에서 측정하였다.
표 3은 각종 직경의 막대에서 수직 연소 5VB 절차, 적하 시간, 및 V-0/V-1 절차를 사용하는 UL94 발연 성능을 보여 준다. 5VB 데이터는 각 샘플 조성물에서 10개의 막대 각각에 대한 화염 소멸 시간의 평균을 제시한 것이다. 표 3에 기재된 폴리카보네이트는 표 2의 PC-1 및 PC-2의 50/50중량% 블렌드이다. V0 및 V1 시험에 대해 표 3에서 기재된 화염 소멸 시간(FOT)은 샘플 조성물 각각에서 20개 막대 각각에 대한 시험의 평균치 및 각각의 샘플의 1차 시험에 합격할 확률(pFTP; 1차 시기 합격 확률)이다.
Figure 112010057449183-pct00032
표 3의 데이터로부터,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이 성분의 상이한 분율 범위로부터 상이한 성능 표준을 달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들면, 적하 시간 시험과 관련된 데이터의 검토 결과, 샘플 1, 3 및 6에 의해 증거되는 바와 같이 적하방지 첨가제(TSAN)의 사용으로 최소 분율(예, 조성물의 0.5 내지 1중량%)의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갖는 2mm 두께의 샘플에서 적절한 성능이 달성되고, TSAN의 양이 증가하면 더욱 얇은 샘플에서는 적절한 성능이 유도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표 3의 데이터는, 2mm 보다 얇은 샘플의 적하 시간의 우수한 성능은 조성물 중의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분율을 더욱 크게 증가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1.5mm의 직경의 샘플의 UL 5VB 시험을 위해 10.5중량%의 ABS-2 충격 개질제, 10중량%의 BPADP 및 1중량%의 TSAN을 포함하는 샘플과 관련하여 표 3의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적하 시간 성능과 중합체 중의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분율 사이에는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 준다. 즉, 2mm 보다 얇은 샘플의 적하 시간 성능은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개선된다. 이러한 데이터는, 약 7.5중량% 이상의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바람직한 결과(55초 이상의 적하 시간)가 달성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분율이 증가됨에 따라 적하 시간의 개선은 점차 감소하여 공중합체의 분율이 조성물의 약 17.5중량 이상일 때 감지할 만한 개선이 거의 없다는 것을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다.
표 3의 데이터는, 또한 조성물 중의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분율 효과는 V0 시험의 목적(즉, 화염 소멸 시간)에 대한 개선된 성능과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 준다. 오히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사용된 재료와 동일한 분율의 ABS-2, BPADP 및 TSAN을 포함하는 1mm 직경의 샘플 시험에 대한 데이터는,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가 약 12.5%의 조성물을 포함할 때 화염 소멸 시간이 최대이고, 공중합체의 상기보다 많거나 적은 분율에서 더욱 우수한 결과(샘플 3, 4 및 5 참조)를 보여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바람직한 화염 소멸 시간, 즉 V0에 대한 10초 미만, 및 선택적으로 제 1 시험에 합격할 0.85 이상의 확률은, 조성물이 공중합체를 약 10.5 중량이하(예컨대 샘플 7 참조)(예컨대 약 7.5 내지 약 10.5중량%)이지만 약 17.5중량% 초과(예컨대 약 17.5 내지 약 25중량%)(예컨대 샘플 2, 5, 8, 10 및 11 참조)로 포함할 때 달성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샘플 2, 4, 5, 8 및 10에 의해 달성되는 바와 같이, 55초 이상의 적하 시간, 60초 이하, 선택적으로 30초 이하, 예컨대 10초 이하의 화염 소멸 시간, 및 3.6ft-lb/in 이상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NII) 성능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몇몇 실시양태에서는 바라는 화염 소멸 시간 성능은 화염 소멸 시간과 무관하게 달성되며;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적하 시간 성능이 화염 소멸 시간과 무관하게 달성된다. 특정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화염 소멸 시간 및 적하 시간 성능 둘 다가 달성될 수 있다. 약 7.5 내지 약 10.5중량%의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실시양태에서는 화염 소멸 시간 및 적하 시간 둘다에 대한 우수한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표 3의 데이터는 시사하고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원에 기술(샘플 12)된 바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세인 공중합체 및 충격 개질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두 개의 비교 조성물(C-1) 및 (C-2)과 함께 초음파 용접에 대해 시험되었다. 용융 점도, HDT 및 NII에 대해 조성물을 시험하였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 시험 제품을 형성하기 위해, 초음파 용접에 의해 결합하기 적합한 시험 부품으로 조성물을 성형하였다. 특히, 각각의 시험 제품(10)은 6mm x 13mm 크기의 서로 대향하는 종축으로 배열된 용접 표면(16, 18)에서 함께 고정되도록 설계된 두 개의 부품(12, 14)을 포함하여 240mm(l) x 12.7mm(w) x 6mm(t) 크기의 시험 제품을 형성하였다. 상기 부품들은 하기 조건 하에서 브랜손(Branson) 400 시리즈 초음파 용접기를 사용하여 함께 용접되었다: 프리컨시: 20 kHz(고정); 압력: 25 PSIG; 용접 시간: 0.5초; 유지 시간: 0.5 초; 증폭기 1:1(표준); 호른(horn) 직경 1.5mm, 평표면. 용접의 세기를 시마쭈 범용 시험기(Shimazu Universal Testing machine) 상에서 시험하되, 시험 제품의 말단들은 5mm/분으로 잡아당겼다. 용접 결함 시의 하중을 기록하였다. 발연성 시험을 또한 실시하였다. 시험된 성분의 양 및 시험 결과가 하기 표 4에 기재되어 있다.
Figure 112010057449183-pct00033
표 4의 데이터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세인 공중합체 및 충격 개질제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과 비교하여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이 유리한 발연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놀랍게도 우수한 초음파 용접 시임 강도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 준다. 그러므로, 본원에 기술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부품을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제품을 형성하는 공정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제품이 본 발명의 일부이다.
본원에서, 용어 "제 1(또는 1차)", "제 2(또는 2차)" 등은 임의 순서, 함량 또는 중요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원소를 다른 원소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본원에서 부정관사("a", 및 "an") 및 관사("the")는 양의 한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관련된 대상의 하나 이상의 존재를 의미하며, 문맥상 분명하게 지시되지 않는 한 복수의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합물은 표준 명명법을 사용하여 명시되었다. 예를들면, 임의 지시된 기에 의해 치환되지 않은 임의 위치는 지시된 결합 또는 수소 원자에 의해 채워진 원자가를 갖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두 문자 또는 기호 사이에 있지 않은 대쉬("-")는 치환체에 대한 부착 지점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CHO는 카보닐 기의 탄소를 통해 연결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동일한 특성 또는 양으로 지시되는 모든 범위의 종점은 독립적으로 조합가능하고 종점 값을 포함한다. 양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수식 어구 "약"은 언급된 값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특정량의 측정치와 관련된 오차의 정도를 갖는, 문맥에서 규정되는 의미를 갖는다. 측정치가 "(±10%)" 또는 "(±3%)"으로 표기될 때, 측정치는 양으로 또는 음으로 지시되는 퍼센트내에서 변할 수 있다. 이러한 편차는 샘플 중에서 전체(예를 들어, 언급된 값의 지시된 퍼센트내에 있는 균일한 폭을 갖는 샘플)로서, 또는 샘플(예를 들어, 가변 폭을 갖는 샘플, 모든 이러한 편차는 언급된 값의 지시된 퍼센트 내이다) 내의 편차에 의해 명시될 수 있다. 모든 참고문헌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설명을 위해 전형적인 실시양태가 기술되었지만, 전술된 설명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당해 기술의 숙련가들은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여러 변형, 변경 및 대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43)

  1. 충전제를 제외한 열가소성 조성물의 전체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40 내지 80 중량%; 충격 개질제 2 내지 15 중량%; 하기 화학식 6의 폴리다이오가노실록세인 블록을 포함하는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10 내지 25 중량%; 적하방지제(anti-drip agent); 및 인-함유 난연제 0.5 내지 20 중량%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조성물로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1/8인치(3.18mm)(±3%) 막대가, 실온에서 ASTM D256에 따라 측정시 3.6ft-lb/인치 이상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 강도를 갖고;
    2.0mm의 두께를 갖는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의 샘플이, 브롬화되고/되거나 염소화된 난연제의 부재하에서 UL94 5VB 등급을 달성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화학식 6]
    Figure 112012052843447-pct00035
    상기 식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C1-13 1가 유기 라디칼이고, D는 40 내지 60의 평균 값을 갖는다.
  2. 제 1 항에 있어서,
    개방 화염에 노출되었을 때, 2.0mm 내지 0.1mm의 두께를 갖는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의 샘플이, 브롬화되고/되거나 염소화된 난연제의 부재하에서 10초 미만의 화염 소멸(flame out) 시간을 갖고, 0.85 이상의 1차 시기 합격 확률로 적하가 없는 열가소성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1.5mm의 두께를 갖는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의 샘플이, 브롬화되고/되거나 염소화된 난연제의 부재하에서 UL94 5VB 등급을 달성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1.2mm의 두께를 갖는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의 샘플이, 브롬화되고/되거나 염소화된 난연제의 부재하에서 UL94 5VB 등급을 달성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개방 화염에 노출되었을 때, 2.0mm 내지 0.1mm의 두께를 갖는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의 샘플이, 브롬화되고/되거나 염소화된 난연제의 부재하에서 30초 미만의 화염 소멸 시간을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이 적하없이 30초 미만의 화염 소멸 시간을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이 10초 미만의 화염 소멸 시간을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개방 화염에 노출되었을 때, 2.0mm 내지 0.1mm의 두께를 갖는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의 샘플이, 브롬화되고/되거나 염소화된 난연제의 부재하에서 10초 미만의 화염 소멸 시간을 갖고, 0.85 이상의 1차 시기 합격 확률로 적하가 없는 열가소성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이 0.1mm 내지 1.5mm의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이 0.8mm 내지 1.5mm의 두께를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5중량% 초과의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17.5중량% 내지 25중량%의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ISO 11443에 따라 측정할 때 260℃/1500초-1에서 50 내지 500파스칼-초의 용융 점도를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0.1mm 내지 2.0mm의 두께를 갖는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의 샘플이, 브롬화되고/되거나 염소화된 난연제의 부재하에서 UL94 V2 등급을 달성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15. 제 13 항에 있어서,
    0.1mm 내지 2.0mm의 두께를 갖는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의 샘플이, 브롬화되고/되거나 염소화된 난연제의 부재하에서 UL94 V1 등급을 달성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16. 제 13 항에 있어서,
    0.1mm 내지 2.0mm의 두께를 갖는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의 샘플이, 브롬화되고/되거나 염소화된 난연제의 부재하에서 UL94 V0 등급을 달성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17. 제 1 항에 있어서,
    0.1mm 내지 2.0mm의 두께를 갖는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의 샘플이, 브롬화되고/되거나 염소화된 난연제의 부재하에서 UL94 V1 등급을 달성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18. 제 1 항에 있어서,
    0.1mm 내지 2.0mm의 두께를 갖는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의 샘플이, 브롬화되고/되거나 염소화된 난연제의 부재하에서 UL94 V0 등급을 달성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19. 제 1 항에 있어서,
    1.2mm 내지 2.0mm의 두께를 갖는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의 샘플이, 브롬화되고/되거나 염소화된 난연제의 부재하에서 UL94 5VB 등급을 달성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1/8인치(3.18mm)(±3%) 막대가 실온에서 ASTM D256에 따라 측정시 6ft-lb/인치 이상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 강도를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
  21.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실록세인-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가 하기 화학식 1의 방향족 카보네이트 단위 및 하기 화학식 7의 폴리다이오가노실록세인 단위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2052843447-pct00020
    (상기 식에서, R1 기의 총수 중 60% 이상은 방향족 유기 라디칼이고, 나머지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라디칼임.)
    화학식 7
    Figure 112012052843447-pct00021
    (상기 식에서, R은 각각 독립적으로 C1-13 1가 유기 라디칼이고, D는 40 내지 60의 평균값을 가지며,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2가 C2-C8 지방족 기이며, M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사이아노, 나이트로, C1-C8 알킬티오, C1-C8 알킬, C1-C8 알콕시, C2-C8 알켄일, C2-C8 알켄일옥시 기, C3-C8 사이클로알킬, C3-C8 사이클로알콕시, C6-C10 아릴, C6-C10 아릴옥시, C7-C12 아르알킬, C7-C12 아르알콕시, C7-C12 알카릴, 또는 C7-C12 알카릴옥시이고, n은 각각 독립적으로 0, 1, 2, 3 또는 4임.)
  22. 제 21 항에 있어서,
    R1이 하기 화학식 2의 2가 라디칼이며, R은 각각 독립적으로 C1-C13 알킬, C1-C13 알콕시, C2-C13 알켄일, C2-C13 알켄일옥시, C3-C6 사이클로알킬, C3-C6 사이클로알콕시, C6-C10 아릴, C6-C10 아릴옥시, C7-C13 아르알킬, C7-C13 아르알콕시, C7-C13 알카릴, 또는 C7-C13 알카릴옥시이며,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C1-C3 알킬렌이며, M은 독립적이고, n이 각각 1인 열가소성 조성물:
    화학식 2
    -A1-Y1-A2-
    (상기 식에서,
    A1 및 A2는 각각 단환식 2가 아릴 라디칼이고, Y1은 A1을 A2로부터 분리하는 1 또는 2개의 원자를 갖는 가교라디칼임.)
  23. 제 22 항에 있어서,
    Y1이 각각 독립적으로 -O-, -S-, -S(O)-, -S(O2)-, -C(O)-, 메틸렌, 사이클로헥실-메틸렌, 2-[2.2.1]-바이사이클로헵틸리덴, 에틸리덴, 아이소프로필리덴, 네오펜틸리덴, 사이클로헥실리덴, 사이클로펜타데실리덴, 사이클로도데실리덴 또는 아다만틸리덴이며; R이 각각 독립적으로 C1-8 알킬, 트라이플루오로프로필, C1-8 사이아노알킬, 페닐, 클로로페닐, 또는 톨릴 기이며; M이 각각 메틸, 에틸, 프로필,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페닐, 클로로페닐 또는 톨릴 기이고; R2가 트라이메틸렌 기인 열가소성 조성물.
  24. 제 23 항에 있어서,
    A1 및 A2가 각각 2가 페닐 기이며; Y1이 메틸렌, 사이클로헥실리덴, 또는 아이소프로필리덴이고; M이 메톡시이며; R이 메틸 또는 메틸 및 트라이플루오로프로필의 혼합물 또는 메틸 및 페닐의 혼합물인 열가소성 조성물.
  25. 제 1 항에 있어서,
    20℃ 초과의 Tg를 가지며, 모노바이닐 방향족 화합물, 이타콘산, 아크릴아마이드, N-치환된 아크릴아마이드, 메타크릴아마이드, 말레산 무수물, 말레이미드, N-알킬, 아릴 또는 할로아릴 치환된 말레이미드, 글라이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하기 화학식 12의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화학식 12
    Figure 112012052843447-pct00022
    (상기 식에서, R은 수소, C1-C5 알킬, 브로모 또는 클로로이며, Xc는 사이아노, C1-C12 알콕시카보닐, 또는 C1-C12 아릴옥시카보닐 또는 전술된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합물임.)
  26. 제 1 항에 있어서,
    20℃ 초과의 Tg를 가지며, 스타이렌, 3-메틸스타이렌, 3,5-다이에틸스타이렌, 4-n-프로필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α-메틸 바이닐톨루엔, α-클로로스타이렌, α-브로모스타이렌, 다이클로로스타이렌, 다이브로모스타이렌, 테트라-클로로스타이렌, 아크릴로나이트릴, 에타크릴로나이트릴, 메타크릴로나이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나이트릴, β-클로로아크릴로나이트릴, α-브로모아크릴로나이트릴,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뷰틸 아크릴레이트, n-뷰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아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또는 전술된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합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27. 제 1 항에 있어서,
    충격 개질제가 아크릴 충격 개질제, ASA 충격 개질제, 다이엔 충격 개질제, 오가노실록세인 충격 개질제, 오가노실록세인-분지된 아크릴레이트 충격 개질제, EPDM 충격 개질제,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충격 개질제, 스타이렌-에틸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충격 개질제, ABS 충격 개질제, MBS 충격 개질제, 글라이시딜 에스터 충격 개질제, 또는 전술된 충격 개질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합물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28. 제 1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며, 3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벽을 갖는 제품.
  29. 제 1 항의 조성물을 성형, 압출, 또는 형상화하여 3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벽을 갖는 제품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품의 형성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을 중합체 부품에 초음파 용접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1. 제 1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 1 부품을 제 2 부품에 초음파 용접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품 제조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제 2 부품이 제 1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방법.
  33. 제 2 부품에 초음파적으로 용접된, 제 1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 1 부품을 포함하는 제품.
  34. 제 33 항에 있어서,
    제 2 부품이 제 1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품.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KR1020077010135A 2004-10-04 2005-10-03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이것의 용도 및이것의 제조 방법 KR101205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57,799 US7799855B2 (en) 2001-11-12 2004-10-04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e and method thereof
US10/957,799 2004-10-04
PCT/US2005/035432 WO2006041762A1 (en) 2004-10-04 2005-10-03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e thereof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874A KR20070073874A (ko) 2007-07-10
KR101205171B1 true KR101205171B1 (ko) 2012-11-27

Family

ID=35589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135A KR101205171B1 (ko) 2004-10-04 2005-10-03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이것의 용도 및이것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99855B2 (ko)
EP (1) EP1799767B1 (ko)
JP (1) JP2008516013A (ko)
KR (1) KR101205171B1 (ko)
CN (1) CN101056942B (ko)
BR (1) BRPI0516316A (ko)
TW (1) TW200626666A (ko)
WO (1) WO20060417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1441A1 (ko) * 2013-09-17 2015-03-26 (주) 엘지화학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23871A9 (en) * 2004-08-05 2009-01-22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method of manufactur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080015291A1 (en) * 2006-07-12 2008-01-17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and scratch resistant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8674007B2 (en) 2006-07-12 2014-03-18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ame retardant and scratch resistant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20080081895A1 (en) * 2006-09-29 2008-04-03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polysiloxane copolymers, method of making,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US7709581B2 (en) * 2006-09-29 2010-05-04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carbonate-polysiloxane copolymer compositions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US7524919B2 (en) * 2006-09-29 2009-04-28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olycarbonate-polysiloxane copolymers, method of making,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DE102006055479A1 (de) * 2006-11-24 2008-05-29 Bayer Materialscience Ag Schlagzähmodifizierte gefüllte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US8222350B2 (en) * 2007-02-12 2012-07-17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Low gloss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8222351B2 (en) * 2007-02-12 2012-07-17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Low gloss polycarbonate compositions
TWI382057B (zh) * 2007-04-30 2013-01-11 Pou Chen Corp 無鹵難燃聚碳酸酯/丙烯腈-丁二烯-苯乙烯樹脂組成物
US20080306205A1 (en) * 2007-06-06 2008-12-11 Brett David Ermi Black-colored thermoplastic compositions, articles, and methods
US20080306204A1 (en) * 2007-06-06 2008-12-11 Brett David Ermi Black-colored thermoplastic compositions, articles, and methods
FR2924121A1 (fr) * 2007-11-27 2009-05-29 Total France Sa Composition bitumineuse elastique reticulee de maniere thermoreversible
JP5336098B2 (ja) * 2008-03-17 2013-11-0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クリル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物
KR100944388B1 (ko) * 2008-03-21 2010-02-26 제일모직주식회사 상용성이 향상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20100331451A1 (en) * 2009-03-26 2010-12-30 Johnson Sr William L Structurally enhanced plastics with filler reinforcements
US20100093922A1 (en) 2008-03-26 2010-04-15 Johnson Sr William L Structurally enhanced plastics with filler reinforcements
DE102008035351B4 (de) * 2008-07-29 2018-10-11 Dräger Safety AG & Co. KGaA Mehrschichtige Materialbahn insbesondere für Schutzanzüge
US7858680B2 (en) * 2008-12-29 2010-12-28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8779087B2 (en) 2009-05-22 2014-07-15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Method for producing aliphatic polycarbonate
US8552096B2 (en) * 2009-07-31 2013-10-08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ame-retardant reinforced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9458315B2 (en) * 2009-08-25 2016-10-0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and films made therefrom
KR101012230B1 (ko) * 2010-01-29 2011-02-08 김철수 표면처리된 미립 천매암 분말을 이용한 수지 조성물
KR101297160B1 (ko) 2010-05-17 2013-08-21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TWI421299B (zh) * 2010-07-23 2014-01-01 Entire Technology Co Ltd 阻燃複合材料
KR101309808B1 (ko) * 2010-07-30 2013-09-23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340539B1 (ko) 2010-11-23 2014-01-02 제일모직주식회사 표면 특성이 우수한 고광택 고충격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N102030976B (zh) * 2010-12-07 2013-05-08 惠州市沃特新材料有限公司 一种pc-asa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335290B1 (ko) 2010-12-30 2013-12-02 제일모직주식회사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WO2013074476A1 (en) 2011-11-15 2013-05-23 Ticona Llc Low naphthenic liquid crystalline polymer composition
CN103930464B (zh) 2011-11-15 2016-02-10 提克纳有限责任公司 紧凑型相机模块
WO2013074477A1 (en) 2011-11-15 2013-05-23 Ticona Llc Naphthenic-rich liquid crystalline polymer composition with improved flammability performance
TWI487726B (zh) 2011-11-15 2015-06-11 Ticona Llc 用於具有小尺寸公差之模製部件之低環烷之液晶聚合物組合物
US9353263B2 (en) 2011-11-15 2016-05-31 Ticona Llc Fine pitch electrical connector and a thermoplastic composition for use therein
EP2782963B1 (en) * 2011-11-21 2017-01-0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WO2013081161A1 (ja) * 2011-12-02 2013-06-06 帝人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ポリジオルガノシロキサン共重合樹脂を含有する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KR101381044B1 (ko) * 2012-02-03 2014-04-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할로겐 난연 고강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US20130313493A1 (en) 2012-05-24 2013-11-28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s,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US9023922B2 (en) 2012-05-24 2015-05-05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9732217B2 (en) 2012-08-23 2017-08-15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9260602B2 (en) * 2012-10-11 2016-02-16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Antistatic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s and methods and uses thereof
US9023973B2 (en) 2012-12-20 2015-05-05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Cross-linked polycarbonate resin with improved chemical and flame resistance
EP2935398B1 (en) 2012-12-20 2017-05-17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Blends containing photoactive additives
US9834726B2 (en) 2012-12-27 2017-12-05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Flame retardants
US10017640B2 (en) * 2013-03-08 2018-07-10 Covestro Llc Halogen free flame retarded polycarbonate
WO2014152881A1 (en) 2013-03-14 2014-09-25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Photoactive additive with functionalized benzophenone
EP2970655B1 (en) 2013-03-15 2021-10-27 SHPP Global Technologies B.V. Blends containing photoactive additive
KR102141725B1 (ko) * 2013-03-21 2020-09-14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섬유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US20150099845A1 (en) * 2013-10-07 2015-04-09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compositions with improved properties
SG11201606601VA (en) 2014-02-13 2016-09-29 Idemitsu Kosan Co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CN110079069A (zh) 2014-02-13 2019-08-02 出光兴产株式会社 聚碳酸酯树脂组合物
KR101638817B1 (ko) * 2014-02-27 2016-07-22 김민관 비할로겐계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이를 이용한 고분자 조성물
US10975195B2 (en) 2015-03-30 2021-04-13 Idemitsu Kosan Co., Lt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of same
JP5914737B1 (ja) 2015-08-12 2016-05-11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US10550229B2 (en) 2015-08-27 2020-02-04 Idemitsu Kosan Co., Lt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EP3380560B1 (en) * 2015-11-26 2019-08-14 INEOS Styrolution Group GmbH Polycarbonate-asa blends with antistatic properties using sulfonated alkanes
KR101924199B1 (ko) * 2016-02-01 2018-1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코폴리카보네이트
CN106147193A (zh) * 2016-09-19 2016-11-23 南京德尔隆工程塑料有限公司 一种耐候型的无卤阻燃pc/asa合金及其制备方法
DE112018001108T5 (de) * 2017-03-01 2019-11-21 Idemitsu Kosan Co., Ltd. Polycarbonat-Harzzusammensetzung und Formprodukt daraus
KR102503315B1 (ko) 2017-03-01 2023-02-23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오가노실록세인 공중합체, 그것을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성형품
CN107271346A (zh) * 2017-06-23 2017-10-20 南京大学 含油致密砂岩孔径分布特征的测量方法
KR102197159B1 (ko) * 2018-07-26 2020-12-31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13801451B (zh) * 2020-06-12 2023-07-14 汉达精密电子(昆山)有限公司 一种无卤阻燃pc/abs复合材料及其制品
CN112538248B (zh) * 2020-11-30 2022-05-17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阻燃聚碳酸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085512A (zh) * 2021-11-11 2022-02-25 上海金山锦湖日丽塑料有限公司 一种耐湿热老化性能优异的光扩散阻燃pc及其制备方法
WO2024003826A1 (en) * 2022-06-30 2024-01-04 Shpp Global Technologies B.V. Chemically resistant ultrasonically weldable parts and ultrasonically welded articles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1898A (ja) 1998-12-25 2000-07-11 Idemitsu Petrochem Co Ltd 難燃性ポリカ―ボネ―ト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2001055500A (ja) * 1999-08-18 2001-02-27 Idemitsu Petrochem Co Ltd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US20030139504A1 (en) 2001-11-12 2003-07-24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resinous compositions and method
US20040011999A1 (en) * 2002-07-22 2004-01-22 Murray Michael C. Antistatic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and methods for manufactur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0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5895A (en) 1965-09-01 1972-01-18 Gen Electric Process for preparing thermoplastic polycarbonates
US3511895A (en) 1966-04-01 1970-05-12 Union Carbide Corp Polymerization process and product thereof
AT297333B (de) 1969-06-13 1972-03-27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carbonaten mit verminderter Brennbarkeit
US3686355A (en) 1970-05-08 1972-08-22 Gen Electric Shaped composition of polymer and surface modifying block copolymer additive and method
CA979569A (en) 1970-12-09 1975-12-09 Toray Industries, Inc. Method for producing impact resistant thermoplastic resin by continuous bulk polymerization
US3988389A (en) 1972-12-06 1976-10-26 Bayer Aktiengesellschaft Moulding compositions contain polycarbonate and graft copolymer of a resin forming monomer on a rubber
US4391935A (en) 1974-08-09 1983-07-05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
DE2503336C2 (de) 1975-01-28 1982-10-21 Bayer Ag, 5090 Leverkusen Polycarbonat-Formmassen
US4001184A (en) 1975-03-31 1977-01-04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a branched polycarbonate
US4284549A (en) 1977-07-27 1981-08-18 Hooker Chemicals & Plastics Corp. Polymer blends with improved hydrolytic stability
US4154775A (en) 1977-09-06 1979-05-15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composition of polyphenylene ether, styrene resin and cyclic phosphate
US4217438A (en) 1978-12-15 1980-08-12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 transesterification process
NL7901769A (nl) 1979-03-06 1980-09-09 Gen Electric Vlamvertragende, polyfenyleenether bevattende samen- stellingen.
US4238597A (en) 1979-04-26 1980-12-09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copolyester-carbonates
JPS5614549A (en) 1979-07-12 1981-02-12 Sumitomo Naugatuck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heat cycle property
US4272584A (en) 1979-10-16 1981-06-09 Borg-Warner Corporation Platable high heat ABS resins and plated articles made therefrom
US4555384A (en) 1982-09-24 1985-11-26 Cosden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producing styrenic/alkenylnitrile copolymers
US4473685A (en) 1983-07-28 1984-09-25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non-dripping polycarbonate compositions exhibiting improved thick section impact
DE3347071A1 (de) 1983-08-31 1985-03-14 Bayer Ag, 5090 Leverkusen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f basis von polysiloxan-polycarbont-blockcopolymeren
US4487896A (en) 1983-09-02 1984-12-11 General Electric Company Copolyester-carbonate compositions exhibiting improved processability
DE3403975A1 (de) 1984-02-04 1985-08-14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bs-formmassen mit verbessertem brandverhalten
DE3414116A1 (de) 1984-04-14 1985-10-24 Bayer Ag, 5090 Leverkusen Uv-stabilisierte polycarbonatformkoerper
EP0174493B1 (de) 1984-08-17 1988-05-25 Bayer Ag Thermoplastische Formmassen mit flammwidrigen Eigenschaften
NL8403295A (nl) 1984-10-31 1986-05-16 Gen Electric Polymeermengsel met polycarbonaat en polyester.
DE3519690A1 (de) 1985-02-26 1986-08-28 Bayer Ag, 5090 Leverkusen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uf basis von polysiloxan-polycarbonat-blockcopolymeren
US4746901A (en) * 1985-08-15 1988-05-24 Itt Corporation High precisio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DE3617511A1 (de) 1986-05-24 1987-11-26 Bayer Ag Flammwidrig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DE3619059A1 (de) 1986-06-06 1987-12-10 Bayer Ag Leicht entformbare formmassen
US4756701A (en) 1986-06-19 1988-07-12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making a tungsten-halogen lamps having an enhanced temperature gradient
NL8601899A (nl) 1986-07-22 1988-02-16 Gen Electric Mengsels op basis van polycarbonaten met verbeterde fysische en chemische eigenschappen.
US4873277A (en) 1986-10-31 1989-10-10 General Electric Company Aromatic carbonate resin exhibiting improved impact properties
EP0272425B1 (en) 1986-12-23 1993-01-27 General Electric Company Resin blends exhibiting improved impact properties
US4767818A (en) 1987-03-23 1988-08-30 General Electric Company Low gloss,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4788252A (en) 1987-07-22 1988-11-29 General Electric Company Mixtures based on polycarbonates having improved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DE3803405A1 (de) 1988-02-05 1989-08-17 Roehm Gmbh Schlagzaeh-modifizierungsmittel fuer polycarbonat
NO170326C (no) 1988-08-12 1992-10-07 Bayer Ag Dihydroksydifenylcykloalkaner
JPH0699626B2 (ja) 1988-10-18 1994-12-07 日本ジーイー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系樹脂組成物
US4939206A (en) 1988-11-14 1990-07-03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polyorganosiloxane-based graft polymers
US4927880A (en) 1988-11-14 1990-05-22 General Electric Company Low gloss molded articles using polyorganosiloxane/polyvinyl-based graft polymers
EP0374635A3 (de) 1988-12-21 1991-07-24 Bayer Ag Polydiorganosiloxan-Polycarbonat-Blockcokondensate auf Basis spezieller Dihydroxydiphenylcycloalkane
JPH068386B2 (ja) 1988-12-26 1994-02-02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
US4931503A (en) 1988-12-28 1990-06-05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sition
DE3908038A1 (de) 1989-03-11 1990-09-13 Bayer Ag Mischungen aus polydiorganosiloxan-polycarbonat-blockcokondensaten mit siloxanen und mit pfropfpolymeren und/oder mit kautschukelastischen polymerisaten
BR9006848A (pt) 1989-07-07 1991-08-27 Idemitsu Petrochemical Co Copolimero de policarbonato-polidimetilsiloxano e processo para a sua producao
US5023297A (en) 1989-12-22 1991-06-11 General Electric Company Impact and solvent resistant polycarbonate composition
DE4016417A1 (de) 1990-05-22 1991-11-28 Bayer Ag Flammwidrige polycarbonate
US5036126A (en) 1990-05-30 1991-07-30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blends of polycarbonate, ABS and a terpolymer
DE4024667C2 (de) 1990-08-03 1997-04-30 Bayer Ag Flammschutzmittel für Polycarbonate und Verfahren zur Einarbeitung in Polycarbonate
WO1992012208A1 (fr) 1990-12-27 1992-07-23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Composition de resine polycarbonate
EP0520186B1 (en) 1991-05-28 1997-12-17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EP0522753A3 (en) 1991-07-01 1993-08-11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aromatic polycarbonates and aromatic polycarbonate blends
EP0522752B1 (en) 1991-07-01 1998-04-01 General Electric Company Terpolymer having aliphatic polyester, polysiloxane and polycarbonate segments
EP0522751B1 (en) 1991-07-01 1998-04-01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polysiloxane block copolymers
ES2173080T3 (es) * 1991-07-01 2002-10-16 Gen Electric Mezclas de polimeros de copolimeros de bloque policarbonato-polisoloxano con policarbonato y poliestercarbonato.
CA2098566A1 (en) 1991-11-15 1993-05-16 Masaya Okamoto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5391603A (en) 1992-03-09 1995-02-21 The Dow Chemical Company Impact modified syndiotactic vinyl aromatic polymers
US5391600A (en) 1992-10-26 1995-02-21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US5451632A (en) 1992-10-26 1995-09-19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Polycarbonate-polyorganosiloxane copolymer and a resin composition
US5521230A (en) 1992-11-17 1996-05-2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dispersing solid additives in polymers and products made therewith
NL9202090A (nl) 1992-12-02 1994-07-01 Gen Electric Polymeermengsel met aromatisch polycarbonaat, styreen bevattend copolymeer en/of entpolymeer en een polysiloxaan-polycarbonaat blok copolymeer, daaruit gevormde voorwerpen.
BE1006984A3 (nl) 1993-04-08 1995-02-07 Dsm Nv Vlamdovende polycarbonaat bevattende polymeersamenstellingen.
US5360861A (en) 1993-05-28 1994-11-01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ester-carbonate resin compositions of improved impact-resistance
US5723541A (en) 1993-06-16 1998-03-03 Rasor Associates, Inc. Ocular lens composition and method of formation
EP0633292B1 (en) 1993-07-09 1998-12-30 General Electric Company Compositions of siloxane polyestercarbonate block terpolymers and high heat polycarbonates
EP0635547A3 (en) 1993-07-23 1995-05-10 Gen Electric Flame retardant, impact resistant thermoplastic compositions with reduced gloss.
EP0645422A1 (en) 1993-08-19 1995-03-29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blends
US5414045A (en) 1993-12-10 1995-05-09 General Electric Company Grafting, phase-inversion and cross-linking controlled multi-stage bulk process for making ABS graft copolymers
JPH07207085A (ja) 1994-01-12 1995-08-08 Nippon G Ii Plast Kk 耐衝撃性樹脂組成物
US5451624A (en) 1994-02-15 1995-09-19 Rohm And Haas Company Stabilized modifier and impact modified thermoplastics
US5616674A (en) 1994-05-10 1997-04-0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preparing polycarbonate-polysiloxane block copolymers
DE69528121T2 (de) 1994-07-15 2003-10-02 Idemitsu Petrochemical Co Polycarbonatharzzusammensetzung
US6001929A (en) 1994-07-15 1999-12-14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US5530083A (en) 1994-07-21 1996-06-25 General Electric Company Silicone-polycarbonate block copolymers and polycarbonate blends having reduced haze, and method for making
DE4436776A1 (de) 1994-10-14 1996-04-18 Bayer Ag Flammgeschützte, thermoplastische Polycarbonat-Formmassen
DE19547884A1 (de) 1995-12-21 1997-06-26 Basf Ag Formmassen auf der Basis von Polycarbonaten
US6613820B2 (en) 1997-08-29 2003-09-02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US6545089B1 (en) 1997-09-04 2003-04-08 General Electric Company Impact modified carbonnate polym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resistance to degradation and improved thermal stability
TW455605B (en) 1998-02-13 2001-09-21 Gen Electric Flame retardant carbonate polymer composition with improved hydrolytic stability
ATE258199T1 (de) 1998-10-29 2004-02-15 Gen Electric Witterungsbeständige blockcopolyestercarbonate und diese enthaltende polymerlegierungen
DE19853105A1 (de) 1998-11-18 2000-05-25 Bayer Ag Flammwidrige Polycarbonat-ABS-Formmassen
WO2000039217A1 (fr) 1998-12-25 2000-07-06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Composition ignifuge de resine de polycarbonate et article fabrique a partir de cette resine
US6308142B1 (en) 1999-02-12 2001-10-2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determining flame retardance of polymer compositions
US6306507B1 (en) 1999-05-18 2001-10-23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ally stable polymers, method of preparation,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5237511B2 (ja) * 1999-10-19 2013-07-17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US6252013B1 (en) 2000-01-18 2001-06-26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making siloxane copolycarbonates
DE60105789T2 (de) 2000-03-31 2005-09-29 General Electric Co. Flammhemmendes kunststoff-formteil
DE10054275A1 (de) * 2000-11-02 2002-05-08 Bayer Ag Schlagzähmodifizierte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AU2002239769A1 (en) 2000-12-20 2002-07-01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polycarbonate resin/abs graft copolymer blends
DE10145773A1 (de) 2001-09-17 2003-04-03 Bayer Ag ABS-Zusammensetzungen mit verbesserten Eigenschaftskombinationen
DE10145775A1 (de) 2001-09-17 2003-04-03 Bayer Ag ABS-Zusammensetzungen mit verbesserten Eigenschaftskombinationen
US6630525B2 (en) 2001-10-09 2003-10-07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siloxane copolymers
JP3666450B2 (ja) 2001-12-10 2005-06-29 住友ダウ株式会社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US7091267B2 (en) * 2002-03-19 2006-08-15 General Electric Company Resinous compositions,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fabricated from the composition
US6833422B2 (en) 2002-08-16 2004-12-2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preparing transparent silicone-containing copolycarbonates
US6921785B2 (en) * 2002-08-16 2005-07-26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resinous compositions and method
US6822025B2 (en) 2002-11-27 2004-11-23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s
US7166687B2 (en) * 2003-02-21 2007-01-23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lucent thermoplastic composition, method for making the composition and articles molded there from
JP4620657B2 (ja) 2003-02-21 2011-01-26 サビック・イノベーティブ・プラスチックス・アイピー・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透明耐熱性ポリカーボネート−ポリシロキサン共重合体、そのポリカーボネートとの透明ブレンド及び製造方法
US20050085580A1 (en) * 2003-10-16 2005-04-21 General Electric Company Light-Colored Polycarbonate Compositions and Methods
US7232854B2 (en) 2004-02-03 2007-06-19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 compositions with thin-wall flame retardance
WO2005075549A1 (en) * 2004-02-03 2005-08-18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carbonate composition with enhanced flex-fold properties
JP4298554B2 (ja) 2004-03-19 2009-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060030647A1 (en) * 2004-08-05 2006-02-09 Thomas Ebeling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1898A (ja) 1998-12-25 2000-07-11 Idemitsu Petrochem Co Ltd 難燃性ポリカ―ボネ―ト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JP2001055500A (ja) * 1999-08-18 2001-02-27 Idemitsu Petrochem Co Ltd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US20030139504A1 (en) 2001-11-12 2003-07-24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resinous compositions and method
US20040011999A1 (en) * 2002-07-22 2004-01-22 Murray Michael C. Antistatic flame retardant resin composition and methods for manufacture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1441A1 (ko) * 2013-09-17 2015-03-26 (주) 엘지화학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US9255179B2 (en) 2013-09-17 2016-02-09 Lg Chem, Ltd. Copolycarbonate resin and articl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26666A (en) 2006-08-01
WO2006041762A1 (en) 2006-04-20
US20080227896A9 (en) 2008-09-18
US20060074156A1 (en) 2006-04-06
EP1799767A1 (en) 2007-06-27
JP2008516013A (ja) 2008-05-15
KR20070073874A (ko) 2007-07-10
US7799855B2 (en) 2010-09-21
BRPI0516316A (pt) 2008-09-02
CN101056942A (zh) 2007-10-17
EP1799767B1 (en) 2015-08-26
CN101056942B (zh)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171B1 (ko)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이것의 용도 및이것의 제조 방법
EP1624025B1 (e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us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1364809B1 (ko) 난연성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US8399546B2 (e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compositions having EMI shielding
KR101396034B1 (ko) 난연성 및 내화학성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KR101417155B1 (ko) 난연성 및 스크래치 저항성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KR101258306B1 (ko)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그로부터 제조된 제품 및그 제조 방법
KR101417156B1 (ko) 난연성 및 스크래치 저항성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US20070149722A1 (e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method of manufactur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080033083A1 (e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compositions having emi shielding
KR20080048983A (ko)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사용방법
KR20080048982A (ko)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사용방법
US7649051B2 (en)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KR20100040946A (ko) 개선된 몰딩 능력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KR20120089436A (ko) 난연성 강화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KR20080083278A (ko)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 사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