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418B1 - 도어 모듈 - Google Patents

도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418B1
KR101203418B1 KR1020057024916A KR20057024916A KR101203418B1 KR 101203418 B1 KR101203418 B1 KR 101203418B1 KR 1020057024916 A KR1020057024916 A KR 1020057024916A KR 20057024916 A KR20057024916 A KR 20057024916A KR 101203418 B1 KR101203418 B1 KR 101203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module
bracket
base bod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4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3869A (ko
Inventor
하랄트 코엘너
엔리코 슈리바
에릭 짐머만
버하트 에크하트
세바스티안 반트케
Original Assignee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filed Critical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060033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8Water or sound barrier, e.g. watershields or seals between dry/wet compartment, sound or vibration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모듈(1)과 상기 도어 모듈을 내장하고 있는 차량의 도어(3)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어 모듈(1)은 차량의 도어(3)에서 개구(2)를 커버하는 베이스 보디(4)를 포함하고 있다. 차량의 도어(3)를 상기 개구의 에지 영역(2a)상에 지지하기 위하여 변위가능한 브라켓은 베이스 보디에 관하여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보디의 에지 영역에 설치된다. 브라켓은 내부 도어 패널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점을 각각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도어에서 내부 도어 패널과 내부 도어 커버링사이의 갭을 정밀하고도 경제적인 방식으로 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05076094993-pct00001
도어 모듈, 차량의 도어, 개구, 베이스 보디, 브라켓, 내부 도어 패널, 고정점, 갭.

Description

도어 모듈{DOOR MODUL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의 개구를 커버하기 위한 도어 모듈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에 있는 개구를 커버하고, 창 승강전기장치, 라우드 스피커 등과 같은 기능성 구성요소를 유지하기 위한 도어 모듈은 이미 기본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차량의 인테리어에서 아름다운 외관을 제공하기 위하여, 도어 모듈은 차량의 인테리어측에서 도어 트림으로 더욱 커버될 필요가 있다.
이 도어의 내부 트림은 도어 모듈의 임의 위치에 부착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도어의 내부트림과, 도어 모듈용 개구가 제공되는 도어의 내부 패널사이의 갭 치수가 일정한 크기를 초과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공차 요건은 실무상 실현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왜냐하면, 도어 모듈은 도어의 내부 패널의 개구내로 매우 정확하게 끼워 맞춰져야 하고, 더욱이, 도어의 내부 트림은 소정의 갭 치수를 실현하기 위하여 매우 정확한 방식으로 위치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도 1을 인용하고, 이 도면에서는 종래 기술(the state of the art)에 따른 기술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t0는 유지되어야 할 갭 치수를 표시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이 기술구성에 따르면, 갭 치수와 함께 용인되어야 하는 미려함이 손상되거나 제조 코스트가 공차에 관한 요구조건으로 인하여 높아 진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이와 같은 불리함을 배제하기 위하여, 내부 트림을 도어 모듈상에서 고정하지(fasten) 않고,그것을 도어의 내부 패널 자체에 고정하는 것이 제안되었다(이들 상태는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도 2a에 t1으로 도시된 갭 치수를 설정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이에 의해 발생하는 심각한 불리함은 통상의 방식으로 구멍을 도어의 내부 패널에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이때문에 인해 습기가 유입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매우 광범위하고 고가인 수단으로 밀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밀봉은 최고로 중요하다. 왜냐하면, 밀봉을 하지 않으면, 습기와 수분이 도어 모듈의 외부측으로부터 도어의 내부 트림으로 들어 와서 부식이 형성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부식의 형성등에 관한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도어 모듈 또는 이 도어 모듈을 내장하고 있는 차량의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어 모듈에 관한 이러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의 주제에 의해 달성된다.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에는 차량의 도어에서 개구를 커버하기 위한 도어 모듈로서, 상기 도어 모듈은 베이스 보디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베이스 보디는 상기 개구의 에지 영역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보디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재료의 두께가 얇거나 스프링 등과 같은 분리 요소로 인하여 쉽게 변형가능함)을 바람직하게는 도어 모듈의 에지 영역에서 포함하고 있고 상기 브라켓은 도어 트림을 고정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고정점(fixation point)을 포함하고 있는 도어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 모듈에 의하면, 앞서 언급한 종래 기술처럼 도어의 내부 트림을 베이스 보디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하지 않고 브라켓에 고정할 수 있다.
이 브라켓은 기준 치수가 유지되도록 개구의 에지 영역 즉, 도어의 내부 패널에 직접 놓여 진다. 이 때문에 도어 모듈이 고정될 때 브라켓은 내부 트림의 일정한 지점상에서 항상 지지되도록(바람직하게는 압력에 의해), 브라켓은 도어의 내부 패널에 대해서 구성되어 있다. 브라켓이 내부 트림용 고정점을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도어의 내부 트림은 기준점 상에서 조립될 수 있다. 브라켓을 개구의 에지 영역(즉, 도어의 내부 패널)상에서 지지함으로써, 이 에지 영역상에 직접 지지된 브라켓을 통하여 도어 트림이 도어의 내부 패널에 대해서 간단하고도 정확한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긴 공차 체인이 단축될 수 있다. 정확한 갭 치수가 이와 같이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차량의 도어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 13 항의 주제에 의해 달성된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모듈을 내장하고 있다.
이것은 (금속 쉬트)패널 구성을 가지고 있는 차량에 가장 관련이 있고, 도어 모듈로 커버될 개구는 도어의 내부 패널의 컷 아웃부이다. 이것은 대부분의 차량에 있는 도어의 외부 패널과 도어의 내부 패널의 고전적인 배열과 함께 설치된다. 그러나, 물론 차량의 도어에 대한 제 2 실시예에서 프레임 구조를 갖는 것은 가능한데, 이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도어 모듈로 커버될 개구는 프레임(예컨대, 네개의 중공 부분으로 구성된)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태양(formation)은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요약된 종래 기술에 비하여 의미있는 잇점을 제공하는 것은 명백하다. 특히, 도어의 내부 트림을 도어의 내부 패널에 직접 고정하는것과 대조적으로, 방수 고정기술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이것은 중량과 코스트의 상당한 저감으로 귀착된다. 조립 공정중에 논-팡셔닝 방식으로 설치되고 있는 도어의 내부 패널의 밀봉부에 관한 리스크가 없어, 모듈 평면을 통하여 수분/ 습기가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잇점에 더하여 품질 관리상의 잇점이 추가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태양은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은 금속 쉬트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도어 모듈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은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경량성과 방수성과는 별도로 충돌 거동에 관하여 바람직하기 때문에, 특히 그 자체로서 유용하다.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PP 30LGF와 같은 긴 섬유가 삽입된 폴리프로필렌이 플라스틱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태양은 개구에 관하여 습기를 제한하기 위한 주변 밀봉부를 포함하고 있는 도어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예컨대 주변 리시버인데, 이 주변 리시버내로 예컨대 엘라스토머 중공 프로필이 후방 맞물림 방식(rearwardly engaging manner)으로 수납된다. 물론 그것은 바닥에 깔린 엘라스토머 웹일 수 있다. 밀봉부를 도어 모듈과의 접촉을 위하여 예컨대 도어의 내부 패널상에 가할 수도 있다. 제조상의 이유로, 차량의 인테리어를 마주 보는 도어의 내부 패널측상에 이 밀봉부를 통합하는 것이 권장된다. 본 발명에 대해서 매우 많은 실시예가 가능하지만, 드라이로부터 습기를 분리하는 도어 모듈의 역할은 중요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는 도어 모듈의 베이스 보디에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도어 모듈 재질의 고유한 (본래의) 변형은, 브라켓에 고정된 도어의 내부 트림용 기준 치수를 유지하기 위하여 브라켓이 진동/부하를 받더라도 에지 영역(즉, 도어의 내부 패널)위로 항상 프레스되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 보디로부터 브라켓으로의 트랜지션 영역에 배치된 베이스 보디에 속하는 필름 힌지를 안출했다. 이 영역에서 변형되는 재질로 인하여 이 필름 힌지는 높은 탄성을 제공하여서 원하는 변형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체로 배열된 브라켓은 이와같은 방식으로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다. 즉, 이 브라켓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법으로 간단히 공사출될 수 있다. 더욱이, 베이스 보디가 필름 힌지에 대해 수직인 이 영역에서 브라켓에 대한 연결부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브리징 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는 내부 트림의 부분에서 클리핑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고정점으로서의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이 안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아주 간단한 방식으로 맞물리려서 클리핑되는 고정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스크루잉, 본딩 또는 리벳팅에 의해 도어 트림을 브라켓상에 고정할 수도 있다.
브라켓의 갯수는 도어 트림의 안정성에 종속한다. 도어 트림의 외부윤곽근처에서 균일한 갭 치수를 실현하기 위하여 그 갯수는 2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특히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이고, 이들 브라켓은 도어 모듈의 트림의 주변부근처에 분포되어 있다.
일체형 브라켓과의 복합체로서 또는 그 대안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가동 스프링 요소에 의해 도어 모듈의 베이스 보디상에 고정될 브라켓이 제안된다. 시간상으로 차후의 시점에 설치되는 가동 커플링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축방향 스프링 가이드가 사용될 수 있고, 그 결과 그것이 변형예로써 아마도 가장 경제적인 경우라하더라도 브라켓이 도어 모듈에 대해 브라켓이 이동할 수 있도록 도어 모듈재질의 본래의 변형성이 필요하지 않는다는 것은 아주 명백해진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에 따르면, 개구의 에지 영역상에 도어 모듈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요소를 포함하는 도어 모듈(또는 도어 모듈의 베이스 보디)이 제공된다. 이 고정 요소로서는 로킹 핀이 바람직한데, 예컨대 이것은 도어의 내부 패널내로 스냅핑/로킹된다. 이에 의해, 이것들이 웨트/드라이 세퍼레이션용 상술한 밀봉부내에 배치된다면 매우 유용하다. 왜냐하면, 이들 고정 요소 즉, 로킹 핀이 인테리어에 대해 떨어져 있는 측에 배치되어 도어 모듈을 통한 유체의 통로가 생기지 않는 경우 습기/ 수분이 침투할 위험성이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보디에 대한 브라켓의 탄성은, 지지 에지의 개구의 에지 영역에 대한 압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기준 점(바람직하게는 지지 에지)에 대해서 1 내지 10mm,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mm만큼 베이스 보디가 도어 평면 또는 모듈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다. 이에 의해, 지지 에지는 개구(예컨대,도어의 내부 패널)의 에지 영역으로 프레스되는 상태가 항상 유지된 채로 남아 있어 브라켓에 조립된 도어 트림의 연결부용 기준점은 도어가 비평탄면을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 또는 도어 모듈이 도어의 내부 패널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는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항상 존재하는 것이 보장된다.
이미 앞에서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모듈과 특히 창 승강기구, 라우드 스피커 등을 위한 리시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제 도어 모듈은 도어의 내부 트림을 값싸게 제공하고 도어의 내부 패널을 향한 균일한 갭 치수를 제공하는 잇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태양은 나머지 종속 청구항에 특정되어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 1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 2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된 도어 모듈의 구성에 관한 상세한 단면도이 다;
도 3a/3b는 본 발명에 다른 도어 모듈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열체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차량도어의 내부패널이 에지 영역(2a')으로 둘러 싸인 개구(2')와 함께 도시되어 있다. 종래기술(밀봉부없이 도 1에 도시된)에 따른 플라스틱 모듈(1')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이렉트 방식으로 도어의 내부 패널에 연결되어 있다. 도어의 내부 트림(6')은 로킹 러그 에 의해 도어 모듈(1')의 에지 영역에 고정되어 있다. 모든 고정구가 정확히 매칭됨으로써, 도어의 내부패널에 대한 도어의 내부 트림의 에지의 갭 치수(to)이 유지된다.
도 2a는 종래기술에 따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개구(2'')를 포함하고 있는 내부 트림이 도시되어 있고, 개구의 둘레에 있는 에지 영역은 2a''에 표시되어 있다. 도어 모듈(1'')은 개구(2'')를 커버하는 상태인 채로 조립되어 있다. 소정 치수의 갭(t1)을 유지하기 위하여 도어의 내부 트림(6)을 고정하는 것이 도어의 내부 패널의 에지 영역(2a'')에서 바로 뒤따르므로, 그 결과 도어 모듈 또는 도어의 내부 패널의 평면을 통해서 웨트/드라이 세퍼레이션을 달성하기 위하여 밀봉처리가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도 2b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열체가 도시되어 있다. 도어 개구(2)의 습기를 제한하기 위해 주변 밀봉부(9)를 그것의 가장자리에 포함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모듈(1)이 도시되어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밀봉부의 개략적인 것은 도 3a에서 다시 한 번 더 명백하게 볼 수 있다. 엘라스토머 밀봉부는 후방으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도어 모듈을 마주보는 U형상 홈으로 들어 간다. 도어 모듈은 길이방향으로 섬유가 부가된 폴리 프로필렌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재료는 PP 30 LGF로 호칭된다. 도어 모듈(1)의 도어의 내부 패널(13)로의 고정은 로킹 러그(9)의 형태로 고정 요소를 통해서 실행된다. 이것은 차량의 인테리어와 떨어진 도어 모듈상에서 일체로 통합되어 주변 밀봉부(7)내에서 도어의 내부패널속으로 클리핑된다.
브라켓(5)(총 10개의 브라켓)은 도어 모듈의 에지영역에 부착되어 있다. 이들 브라켓은 도어 모듈의 일체적 구성부품이다. 따라서, 도어 모듈은 브라켓에 연결된 베이스 보디를 포함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브라켓은 이동가능하다(브라켓과 베이스 보디사이의 트랜지션 영역의 고유한 탄성으로 인함). 브라켓(5)은 지지 에지를 가지고 있는데, 이 지지 에지는 도어 모듈의 조립 상태에서 도어의 내부 패널상으로 견고하게 프레스 된다. 브라켓(5)은 그 자체의 재료의 두께와 윤곽으로 인하여 매우 강성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더욱이, 브라켓(5)은 고정점, 여기에서는 개구(5a)를 가지고 있고, 도어의 내부 트림이 이 개구(5a)내로 클리핑된다. 이와 같은 배열체에 의해, 도어의 내부 트림과 도어의 내부 패널간의 갭 치수의 엄격한 공차(t)가 유지될 수 있다.
차량의 도어(3)에서 개구(2)를 커버하기 위한 도어 모듈(1)이 도시되어 있는데(여기에서 도어의 외부 패널(12)이 에지 영역에서 도어의 내부 패널(13)의 둘레에서 절첩되는 패널(금속 쉬트)을 가지고 있는 도어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이 도 어 모듈은, 개구의 에지 영역(2a)상에 지지/휴지하기 위해 베이스 보디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5)을 바람직하게는 도어 모듈의 에지 영역에서 포함하고 있는 베이스 보디(4)를 포함하고 있고, 브라켓은 도어 트림(6)을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고정점(5a)을 가지고 있다. 이 고정점은 개구로서 루팅되고, 도어의 내부 트림의 록킹 러그가 이 개구내로 후방 맞물림 방식으로 스냅핑된다. 브라켓에 대하여 이미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그것은 도어 모듈의 매우 안정스러운 단면의 케이스이다. 왜냐하면, 이것은 한편으로는 도어의 내부 트림을 고정하는데 역할을 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도어의 내부 트림의 공차 치수가 항상 유지되도록 부하가 가해지는 조건하에서도 지지 에지(10)에 대한 기준 치수가 주어진 대로 유지될 정도로 안정스러울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도어 모듈(1)의 베이스 보디(4)와 브라켓사이의 트랜지션 영역을 힌지 필름으로 디자인하는 것이 유리하다. 왜냐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특히 제조하기가 간단하기 때문이다. 이 필름 힌지는 사출 성형법으로 정확한 방식으로 이미 제조가능하다. 이것은 특히 그 자체로도 플라스틱 모듈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이들 플라스틱 모듈은 창 승강기구, 라우드 스피커, 미들 콘솔용 고정부를 위한 리시버를 간단한 방식으로 설치가능하다는 잇점을 제공한다.
브라켓이 도어의 부하와 무관하게 또는 도어의 내부 패널에 대한 베이스 보디(4)의 변형 또는 해방과 무관하게 항상 명백한 기준점으로서 지지 에지(10)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중요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 베이스 보디에 대한 브라켓의 탄성(구체적으로는 브라켓과 베이스 보디간의 중간 공간의 적절한 구성에 의한) 은 지지 에지의 개구의 에지 영역에 대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베이스 보디가 2 내지 6mm만큼 도어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즉, 도 2b의 방향(11)로) 브라켓의 지지 에지(1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다. 이에 의해, 지지 에지가 도어의 내부 패널위로 항상 프레스되는 것이 확보되고, 따라서 도어의 내부 트림용 기준점은, 도어의 내부 패널이 비평탄 영역을 가졌는지의 여부 또는 도어 모듈이 도어의 내부 패널로부터 약간 분리되었는지(예컨대, 차량을 장기간 사용한 후)의 여부와 무관하게 항상 유지된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관한 두가지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에는 도어의 내부 패널상으로 배향된 도어 모듈의 에지 영역에 관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베이스 보디(4)에는 주변 밀봉부(7)가 구비되어 있고, 이 주변 밀봉부는 에지 영역(2a)(도어의 내부 패널에 의해 형성된)으로 프레스 되고, 에지 영역(2a)은 도어의 내부 패널의 개구(2)를 둘러 싼다. 베이스 보디(4)와 떨어져서, 브라켓(5)이 두 단계로 이동을 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실선은 브라켓과 베이스 보디간의 트랜지션 영역의 비변형 상태를 도시한다. 그러나, 도어의 내부 패널이 존재하기 때문에 필름 힌지의 변형이 일어나서, 점선으로 도시된 브라켓(5)의 이동 상태가 초래된다. 여기에서 도어의 내부 패널은 카운터 베어링으로서 작용하고 브라켓(5)은 그것의 지지 에지(10)로써 도어의 내부 패널상에서 지지된다. 이것은 도어 모듈이 조립되면 브라켓(5)은 압력에 의해 도어의 내부 패널상으로 항상 고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도어의 내부 패널에 대한 명확한 기준점이 브라켓의 개구(5a)내로 클리핑되는 도어의 내부 트림을 위하 여 항상 생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의 브레이싱은 도어의 내부 트림과 도어의 내부 패널간의 원하는 기준 치수가 항상 설정되는 것을 보장한다. 브라켓의 고유한 약간의 변형(필름 힌지(8)에 대하여)은 공차 치수에 바람직하지 않게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브라켓의 고유한 변형이 일어 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이들 상태는 일단 도 3b의 사시도에 의해 다시 한 번 명확하게 된다. 이 도면에는 또한 창 승강기구의 구성 요소가 클리핑될 수 있는 베이스 보디(4)를 포함하는 도어 모듈(1)이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 보디(4)는 베이스 보디(4)에 속한 필름 힌지(8)를 통해서 브라켓(5)에 연결되어 있다. 필름 힌지(8)는 일체적 방식으로 플라스틱 모듈에 통합되어 있다. 필름 힌지와 직교하는 브리지는 필름 힌지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된다.
브라켓(5)이 그것의 지지 에지(10)에 의해 도어의 내부 패널(11)상에 지지되는 방식을 도 3b를 통해 상세하게 볼 수 있다. 여기에서 개구(5a)는 도어의 내부 트림에서의 스냅핑을 위한 고정점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관하여 중요한 것은 필름 힌지 또는 탄성 요소에 의해 모듈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브라켓을 보호하는 것이다.
모듈과 일체적으로 형성된 탄성 브라켓은 내부 패널상에 지지되어 도어 트림을 수용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주지된 것처럼, 내부 패널은 평탄도(planity)에 있어서 일정한 공차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도어 모듈의 탄성 브라켓은 내부 패널의 실제 상태에 자동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적합하게 잘 들어 맞는다. 도어 트림은 이들 브라켓에 각각 조립된다.
그 결과 도어 패널과 도어 트림간의 갭 치수는 브라켓의 높이와 높이의 공차에 종속될 뿐이다. 이 높이는 매우 낮기 때문에, 이 공차도 매우 작다(정상 치수와 공차간의 상호 종속성).

Claims (18)

  1. 차량의 도어(3)에서 개구(2)를 커버하기 위한 도어 모듈(1)로서, 상기 도어 모듈은 베이스 보디(4)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베이스 보디는 상기 개구의 에지 영역(2a)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보디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5)을 에지 영역에서 포함하고 있고, 상기 브라켓은 도어 트림을 고정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고정점(5a)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도어 모듈은 상기 개구의 에지 영역상에 상기 도어 모듈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고정 요소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은 상기 도어 모듈에 의하여 정의되는 평면에 대하여 서로 수평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보디와 상기 브라켓 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 시트 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림은 도어의 내부트림(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도어 개구(2)의 습기를 제한하기 위해 주변 밀봉부(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브라켓(5)은 베이스 보디(4)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베이스 보디에 속하는 필름 힌지(8)는 베이스 보디(4)로부터 브라켓(5)로의 트랜지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고정 요소로서의 브라켓(5)은 내부 트림의 일부에 클리핑하기 위한 개구(5a)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몇 개의 브라켓(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의 갯수는 3 내지 20이고, 상기 브라켓은 도어 모듈(1)의 주변에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브라켓(5)은 적어도 하나의 가동 스프링 요소에 의해 베이스 보디상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10. 삭제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베이스 보디(4)에 대한 브라켓(5)의 탄성은, 지지 에지의 개구의 에지 영역에 대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베이스 보디(4)가 도어 면에 대해 수직(방향11)으로 브라켓의 지지 에지(10)에 대해 1 내지 10mm만큼 이동할 수 있는 특성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창 승강기구, 라우드 스피커를 위한 리시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도어 모듈을 내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3).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3)는 패널 구조를 가지고 있고, 도어 모듈(1)로 커버될 개구는 도어의 내부 패널(13)의 컷 아웃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3).
  15. 제 13항에 있어서, 차량의 도어(3)는 프레임 구조를 가지고 있고, 도어 모듈(1)로 커버될 개구(2)는 상기 프레임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3).
  16. 제 8 항에 있어서, 몇 개의 브라켓(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의 갯수는 5 내지 15이고, 상기 브라켓은 도어 모듈(1)의 주변에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17. 제 8 항에 있어서, 몇 개의 브라켓(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의 갯수는 8 내지 12이고, 상기 브라켓은 도어 모듈(1)의 주변에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18. 제 11 항에 있어서, 베이스 보디(4)에 대한 브라켓(5)의 탄성은, 지지 에지의 개구의 에지 영역에 대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베이스 보디(4)가 도어 면에 대해 수직(방향11)으로 브라켓의 지지 에지(10)에 대해 2 내지 6mm만큼 이동할 수 있는 특성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모듈.
KR1020057024916A 2003-06-25 2004-06-24 도어 모듈 KR101203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29238A DE10329238A1 (de) 2003-06-25 2003-06-25 Türmodul
DE10329238.1 2003-06-25
PCT/EP2004/006847 WO2004113105A1 (de) 2003-06-25 2004-06-24 Türmodu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869A KR20060033869A (ko) 2006-04-20
KR101203418B1 true KR101203418B1 (ko) 2012-11-21

Family

ID=3352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4916A KR101203418B1 (ko) 2003-06-25 2004-06-24 도어 모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065836B2 (ko)
EP (1) EP1636057B1 (ko)
JP (1) JP4838119B2 (ko)
KR (1) KR101203418B1 (ko)
CN (1) CN100445119C (ko)
AT (1) ATE404395T1 (ko)
DE (2) DE10329238A1 (ko)
WO (1) WO20041131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98934A1 (es) * 2003-05-07 2004-11-18 Grupo Antolin-Ingenieria, S.A. Modulo de puerta
DE102005043183A1 (de) * 2005-09-09 2007-03-22 Johnson Controls Interiors Gmbh & Co. Kg Kraftfahrzeugtür
DE102006037157B4 (de) * 2005-09-12 2018-04-1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Kunststoff-Türmodul für eine Kraftfahrzeugtür
JP2009137397A (ja) * 2007-12-05 2009-06-25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ドア
US9216630B2 (en) 2013-03-14 2015-12-2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Water shield
DE102015118910A1 (de) * 2015-11-04 2017-05-04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raftfahrzeugtür
DE102016118452A1 (de) * 2016-09-29 2018-03-2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hrzeugtür mit Türverkleidung
US11511610B2 (en) 2018-11-12 2022-11-29 Shape Corp. Vehicle door carrier with integrated edge seal and method of manufa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8234A (en) * 1990-12-24 1991-09-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Energy absorbing modular door
US6412852B1 (en) * 2000-07-25 2002-07-02 Foamade Industries, Inc. Water, dust and sound attenuating barrier and trim panel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within a vehicle doo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7153A (en) 1982-11-19 1986-07-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for mounting plastic body panel
JPS60119642U (ja) * 1983-10-07 1985-08-13 しげる工業株式会社 ドアトリム組み付け構造
US4845894A (en) * 1987-08-25 1989-07-11 The Budd Company Method of mounting an outer skin to an inner panel of a vehicle door
JP2796579B2 (ja) * 1989-05-11 1998-09-10 矢崎総業株式会社 自動車のドア用部品の取付構造
FR2740737B1 (fr) * 1995-11-07 1998-01-16 Matra Automobile Piece de structure et de garnissag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lle piece
US5927021A (en) 1996-10-15 1999-07-27 Trim Trends, Inc. Door cassette for a vehicle
DE19833185A1 (de) * 1998-07-23 2000-02-03 Ticona Gmbh Türmodul für Kraftfahrzeuge mit Funktionselementen aus Kunststoff
JP3776253B2 (ja) * 1999-03-24 2006-05-17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ドア構造
JP3772040B2 (ja) * 1999-03-24 2006-05-10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車体構造
US6862846B1 (en) * 1999-04-20 2005-03-08 Atoma International Corp. Door module for a motor vehicle with pivotally attached sections
DE19964507B4 (de) 1999-06-04 2008-04-30 Valeo Gmbh & Co Schliesssysteme Kg U-förmig ausgebildete Konsole für eine mit einem Türaußengriff u. einem Türschloß, versehene Fahrzeugtür
DE19946307A1 (de) * 1999-09-28 2001-04-12 Meritor Automotive Gmbh Fahrzeugtür und Montageverfahren
US6381906B1 (en) * 1999-11-03 2002-05-07 The Budd Company Modular door with attachment mechanism
DE10040954A1 (de) * 2000-08-22 2002-03-21 Meritor Automotive Gmbh Türmodul für Kraftfahrzeugtüren
DE10050322A1 (de) * 2000-10-10 2002-04-11 Brose Fahrzeugteile Türmodulträger
JP2003072370A (ja) * 2001-08-31 2003-03-12 Nanjo Sobi Kogyo Kk 自動車用ドア
US6676195B1 (en) * 2002-11-15 2004-01-13 Creative Foam Corp. Self-sealing door water shield barri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8234A (en) * 1990-12-24 1991-09-17 General Motors Corporation Energy absorbing modular door
US6412852B1 (en) * 2000-07-25 2002-07-02 Foamade Industries, Inc. Water, dust and sound attenuating barrier and trim panel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within a vehicle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36057B1 (de) 2008-08-13
EP1636057A1 (de) 2006-03-22
JP2009513400A (ja) 2009-04-02
US20070107315A1 (en) 2007-05-17
CN1812897A (zh) 2006-08-02
JP4838119B2 (ja) 2011-12-14
DE502004007848D1 (de) 2008-09-25
US8065836B2 (en) 2011-11-29
ATE404395T1 (de) 2008-08-15
CN100445119C (zh) 2008-12-24
KR20060033869A (ko) 2006-04-20
WO2004113105A1 (de) 2004-12-29
DE10329238A1 (de) 200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58199B1 (en) Vehicle body panel with integral clip
US6725605B2 (en) Safety device for a door window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892694B1 (ko) 차량용 도어 프레임
US9168879B2 (en) Sealing arrangement for vehicle window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US7743559B2 (en) Modular support for automobile doors, door assembly for an automobile and method for mounting the modular support on a door frame
KR101877146B1 (ko) 차량 창문용 밀폐 배열체
JP2012510927A (ja) 自動車窓ガラスを水タンクと接続するためのu字プロファイル要素
US20090008959A1 (en) Vehicle door
US20120167473A1 (en) Pane unit and method for producing it
US20050230994A1 (en) Vehicle trim panel securement
CN110869244B (zh) 紧固装置、具有该紧固装置的系统及具有该系统的车辆
KR101203418B1 (ko) 도어 모듈
CA2759632A1 (en) Pane unit and method for producing it
JP2009542509A (ja) シール構造材
EP311517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part and composite part
JP2020063658A (ja) スナップ連結ガイド部材を備える面一装着ガラスデザイン用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08195198A (ja) 車両用外装部品
KR100795699B1 (ko) 자동차의 도어 몰딩
EP0378419B1 (en) Front loading flush glass run system
JPH0538241Y2 (ko)
EP0847890B1 (en) Control unit integrated in an instrument panel of a vehicle
JPS628167Y2 (ko)
KR20030089834A (ko) 버스의 스텐션 파이프 장착구조
JPH0412803Y2 (ko)
KR100439791B1 (ko) 자동차 리어 도어용 인사이드 벨트 웨더스트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