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396B1 - 엘리베이터 설치 방법 및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설치 방법 및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396B1
KR101203396B1 KR1020067008541A KR20067008541A KR101203396B1 KR 101203396 B1 KR101203396 B1 KR 101203396B1 KR 1020067008541 A KR1020067008541 A KR 1020067008541A KR 20067008541 A KR20067008541 A KR 20067008541A KR 101203396 B1 KR101203396 B1 KR 101203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rope
pulle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1474A (ko
Inventor
오스모 브조르니
에스코 얼란코
토이보 반타넨
조르마 무스탈라흐티
Original Assignee
코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코네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111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2Installing or exchanging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7Mining-hoist operation method for modernisation of elev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7/00Elevator, industrial lift truck, or stationary lift for vehicle
    • Y10S187/90Temporary construction elevator for bui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28Progressively advancing of work assembly station or assembled portion of work

Abstract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및 엘리베이터 카에 다수의 전환 풀리를 포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바람직하게는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용 전환 풀리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전부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에 구비되고 전환 풀리로부터 로프의 진행이 위쪽으로 향하게 되는 적어도 일부의 전환 풀리가 동시에 구비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비된 상부용 전환 풀리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로 상승되어 제 위치에 장착된다.
Figure 112006031044169-pct00001
엘리베이터, 호이스팅 로프, 전환 풀리, 트랙션 시브, 가이드 레일, 구동 장치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설치 방법 및 엘리베이터{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AND ELEVATOR}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서문에 정의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를 개량하기 위한 목적중 하나는 빌딩 공간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유용성을 달성하는 것이다. 최근 수년 동안에, 상기 개량 작업은 기계실이 없는 다양한 엘리베이터 해결책을 산출하였다. 기계실이 없는 바람직한 엘리베이터의 실시예는 EP 0 631 967(A1) 및 EP 0 631 968 의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다. 이들 명세서에 개시된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확장할 필요없이 빌딩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기계실에 요구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만들어지기 때문에 공간 사용의 측면에서는 상당히 효율적이다. 이들 명세서에 개시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기계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는 콤팩트하지만 다른 방향으로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기계보다 치수가 더 크게 된다.
이와 같이 기본적으로 바람직한 엘리베이터의 해결책에서, 호이스팅 기기에 의해 요구되는 공간은 엘리베이터 레이아웃 해결 방안에서 선택의 자유를 제한한다. 호이스팅 로프의 통과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적어도 엘리 베이터의 성능과 작동 능력을 손상시키지 않고 합리적인 비용으로, 엘리베이터 카의 트랙에서 엘리베이터 카 자체에 의해 요구되는 공간 및 평형추에 의해 요구되는 공간을 감소시키는 것은 어렵다. 기계실이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호이스팅 기기를 장착하는 것은 어려운데 왜냐하면 상기 호이스팅 기기가 상당한 무게의 큰 몸체이기 때문이다. 특히 하중이 보다 큰 경우에 있어서, 속도 및/또는 호이스팅 높이, 기기의 크기와 무게는 설치시 고려할 문제로서, 필요한 기계의 크기와 무게는 실제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대한 개념의 적용범위를 제한하거나 또는 큰 엘리베이터에 상기 개념의 도입을 지연시킨다. 엘리베이터 현대화에 있어서, 종종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이용가능한 공간은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념의 적용을 제한한다. 유압식 엘리베이터가 현대화되거나 교체될 때, 특히 현대화되거나 교체될 유압식 엘리베이터에 평형추가 없는 경우에, 샤프트에서의 불충분한 공간 때문에 기계실이 없는 로프식 엘리베이터에 대한 개념은 실제로 적용되지 않았다. 평형추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단점은 평형추의 비용과 샤프트에서 평형추를 위해 필요한 공간이다. 요즘 거의 사용되지 않는 드럼 구동식 엘리베이터는 높은 파워 및/또는 토크를 요구하는 무겁고 복잡한 호이스팅 기기의 단점이 있다. 평형추가 없는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실험적이며 적합한 해결책이 알려진 것은 없다. 지금까지, 기술적이거나 경제적으로 적절한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를 제작한 것은 없었다. 이러한 타입의 엘리베이터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이 WO 9806655의 명세서에 개시되었다. 최근의 국제특허출원 PCT/FI03/00818은 종래의 해결책과 상이한 평형추가 없는 실행가능한 해결책을 제 시하고 있다. 평형추가 없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해결책에서 호이스트 로프의 인장은 웨이트나 스프링을 사용하여 실행되는데 이것은 호이스팅 로프의 인장을 충족시키는 바람직한 방안은 아니다.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에 대한 다른 문제점은, 예를 들면 호이스팅 높이가 크기 때문에 긴 로프가 사용될 때 또는 큰 서스펜션 비율이 사용될 때, 로프의 신장에 대한 보상 및 트랙션 시브와 호이스팅 로프 사이의 마찰이 엘리베이터의 작동을 위해 불충분하다는 것이다. 유압식 엘리베이터, 특히 리프팅 파워가 아래로부터 가해지는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경우에 샤프트의 효율 즉,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전체 단면적에 대한 엘리베이터의 점유 단면적의 비율은 상당히 높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빌딩에 유압식 엘리베이터가 선택되는 중요한 이유가 되었다. 한편, 유압식 엘리베이터는 리프팅 원리 및 오일 사용과 관련한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유압식 엘리베이터는 에너지 소피가 크고, 장치로부터 오일 누출의 가능성은 환경에 유해하고, 주기적으로 요구되는 오일 교환은 높은 비용을 내포하며, 양호한 상태로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더라도 소량의 오일이 엘리베이터 샤프트 또는 기계실, 그리고 빌딩의 다른 부분 및 외부 환경에 누출될 때 후각적인 불편을 초래한다.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샤프트 효율 때문에,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단점을 회피할 수 있지만 더욱 작은 엘리베이터 카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다른 타입의 엘리베이터로 유압식 엘리베이터를 교체하는 현대화는 엘리베이터의 소유자에게 매력적인 해결책이 아니다. 또한 유압식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샤프트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되는 작은 기계들의 공간을 가지는데, 이것이 엘리베이터 타입을 변경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매우 다양한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엘리베이터는 설치시에 사용자의 요구 및 빌딩의 용도를 충족하도록 만들어졌다. 추후, 많은 경우에 사용자의 요구 및 빌딩의 실제적인 필요 요건이 변경되고, 오래된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의 크기의 관점 또는 다른 관점에서 불충분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은 크기의 오래된 엘리베이터가 유모차 또는 롤러 체어를 운송하기 위해 적합한 것은 아니다. 한편, 주거 용도에서 사무실 또는 다른 용도로 변경된 오래된 빌딩에서, 원래 설치된 작은 엘리베이터는 더이상 수용 능력이 충분하지 않다. 알려진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 및 평형추가 이미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단면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은 실제로 불가능하고 카는 크게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에 설명하는 목적의 적어도 하나를 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빌딩 및 엘리베이터에서 종전보다 더욱 효율적인 공간 이용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것은 필요하다면 엘리베이터가 상대적으로 좁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되는 것을 허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호이스팅 로프가 트랙션 시브에 대해 양호한 유지/그립을 갖는 엘리베이터를 성취하는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특성에 대한 절충없이 평형추를 구비하지 않은 엘리베이터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로프 신장의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에서 종전보다 엘리베이터 카 상하의 엘리베이터 샤프트 공간에 대한 더욱 효율적인 이용을 성취하는 것입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평형추가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를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기본적인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가능성에 대한 절충없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에 기술된 것에 의해서 특징지어 진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청구범위 제10의 특징부에 기술된 것에 의해서 특징지어 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청구범위 다른 청구항에 기재된 것에 의해서 특징지어 진다. 또한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내용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것과 다른 방식으로 한정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이 명시적인 또는 함축적인 부속 발명으로 또는 성취한 일련의 장점에서 고려되면 본 발명의 기술내용은 다수의 개별적인 발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구성 및 상이한 실시예의 특징은 여기에 설명된 것 이외에 다른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 포함된 몇몇 특성은 개별적인 발명 개념의 관점에서 필요 이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이하에 설명되는 장점의 하나 이상이 달성될 수 있다.
- 본 발명은 설치 시간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엘리베이터를 간단하게 설치하는 방식을 가능하게 하므로 설치시간이 짧아지고 설치 비용이 감소된다.
- 설치 시간의 상당 부분 또는 전체 설치 작업을 위한 소위 "1인 설치"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여러 사람이 함께 작업할 때 발생하는 대기 시간에 의해서 설치 작업의 진행이 지연되지 않고 최대 1/3의 설치 시간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 로프의 조립 및 카 프레임의 구성 후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될 때 로프 및 카 프레임의 조립과 관련된 대부분의 작업이 샤프트의 바닥에서 실행되므로, 추락의 위험이 없고 또한 설치의 후반 단계 동안의 카의 사용은 더욱 신속한 설치를 가능하게 하고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 카 위의 샤프트 공간을 감소시키는 어떠한 별개의 강 구조물도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단부에 구비할 필요가 없다.
- 엘리베이터 하단부에 로프 휠 또는 현수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장치를 위한 공간이 엘리베이터 카 아래에 요구되지 않고 따라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단부의 얇은 갱도로 충분하다.
-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서는 호이스팅 로프의 진행이 엘리베이터 카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카의 바로 위와 아래 부분에는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진행하는 로프 부분 및 전환 풀리가 필요 없고,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위와 아래에 필요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서는 호이스팅 로프의 수평 로프 부분이 엘리베이터 카와 함께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카에 포함된 가로 빔내에 배열되며, 따라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호이스팅 로프의 횡방향 통과가 회피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바로 위 또는 아래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서는 호이스팅 로프의 수평 로프 부분이 엘리베이터 카와 함께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카에 포함된 가로 빔내에 배열되며, 따라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호이스팅 로프의 횡방향 통과가 회피되고, 횡방향 로프 인장력은 카와 관련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전환 풀리 및 호이스팅 장치를 위한 별도의 지지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샤프트의 단면적의 효율적인 이용이 성취된다.
- 비록 본 발명은 주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의도된 것이지만 기계실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또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호이스팅 로프는 기계실의 호이스팅 장치를 경유하여 별개로 진행되거나 또는 호이스팅 장치의 트랙션 시브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장착되도록 배열해야 한다.
- 엘리베이터 카의 위와 아래의 바람직한 서스펜션 비율은 2:1, 6:1, 10:1 이다. 또한 다른 서스펜션 비율, 예를 들면 8:1 또는 다른 짝수 비율이 사용될 수 있다. 로프 서스펜션에서, 만약 호이스팅 로프의 단부가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되면 서스펜션 비율은 홀수 비율, 예를 들면 7:1 또는 9:1 이 될 수 있다.
- 엘리베이터 카와 관련한 엘리베이터 카의 대칭적인 서스펜션은 적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용이하게 달성된다.
- 엘리베이터의 전환 풀리의 설치 및 유지관리는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제 위치에 고정함으로써 용이하게 달성된다.
- 호이스팅 장치의 설치는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용이하게 달성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적용 분야는 사람 및/또는 화물의 운송용으로 설계된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적용 분야는 엘리베이터 속도 범위가 대략 1.0m/s 또는 그보다 작은 것이지만 더 빠른 엘리베이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라 0.6m/s의 속도로 운행하는 엘리베이터에서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틸 와이어 로프와 같은 통상적인 엘리베이터 호이스팅 로프가 적용가능하다.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최근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도록 제안된 소위 "아라미드 로프"와 같은 인조 재료로 만들어진 로프와 하중 지지부를 구비한 로프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용가능한 해결 방안은 스틸 강화 플랫 로프인데, 특히 이 해결 방안은 작은 편향 반경을 허용한다. 특히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 사용하기 위해 적용가능한 것은 예를 들면 둥글고 강한 와이어로 꼬여진 엘리베이터 호이스팅 로프이다. 이 방식에서는 더욱 얇은 로프를 성취할 수 있고 또한 로프의 두께가 더욱 작기 때문에 작은 전환 풀리 및 구동 시브를 성취할 수 있다. 둥근 와이어를 사용하므로 로프는 상이한 또는 동일한 두께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여러 방식으로 꼬여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보다 잘 적용가능한 로프에 있어서, 와이어 두께는 평균 0.4mm 이하이다. 강한 와이어로부터 만들어진 매우 적합한 로프는 평균 와이어 두께가 0.3mm 이하 또는 0.2mm 이하의 것이다. 예를 들면, 얇은 와이어된 강한 4mm의 로프는 와이어로부터 비교적 유리하게 꼬여져 완성되는데 그 와이어 두께는 0.15 ... 0.25 mm의 범위내에 있고 가장 얇은 와이어는 대략 0.1mm 만큼 작은 두께를 갖는다. 얇은 로프 와이어는 매우 강하게 용이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대략 2000N/㎟ 를 초과하는 강도의 로프 와이어를 사용한다. 적합한 로프 와이어 강도 범위는 2300-2700N/㎟ 이다. 원칙적으로, 대략 3000N/㎟ 또는 그 이상에 이르는 강도를 갖춘 로프 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전환 풀리로서 기능하는 로프 풀리를 사용하여 접촉 각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트랙션 시브와 호이스팅 로프 사이의 그립이 향상될 수 있다. 트랙션 시브와 호이스팅 로프 사이에 180°이상의 접촉 각도는 하나 이상의 전환 풀리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방식에서는 무게가 감소된 더욱 가벼운 카가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공간 절감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평형추가 없으며 엘리베이터의 일련의 호이스팅 로프가 엘리베이터 카의 위와 아래로 진행하는 로프 부분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전환 풀리에 의해서 일련의 호이스팅 로프에 매달리고 가이드 레일에 의해서 안내되는 엘리베이터 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이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의 전환 풀리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트랙션 시브를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위치된 구동 장치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로프 인장 및/또는 로프 신장을 보상 및/또는 균등하게 하기 위하여 호이스팅 로프에 작용하는 보상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카는 두 측벽 가까이 카에 장착된 전환 풀리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서, 엘리베이터 샤프트 하부의 전환 풀리로부터 그리고 엘리베이터 샤프트 상부의 전환 풀리로부터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된 전환 풀리로 진행하는 로프 부분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뻗어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뻗은 로프 부분을 연결하는 로프 부분은 엘리베이터 카의 다른 측벽 가까이 창작된 전환 풀리 사이의 로프 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설치 또는 설치 작업은 아래에 설명되는 것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1. 호이스트용 로프는 예를 들면 로프가 통과되는 풀리 블럭을 천장에 고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장착되고, 설치 작업을 위해 적합한 호이스팅 장치는 로프를 구동하기 위하여 도입된다.
2. 과속 조절기-안전 기어 시스템이 샤프트에 설치됨으로써 설치 작업 동안에 설치할 엘리베이터 카 또는 설치 작업에 사용될 엘리베이터 카의 일부의 제어되지 않은 이동에 대하여 보호될 수 있다.
3. 카 가이드 레일의 설치 및 정렬에서 샤프트의 수직도를 체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바람직하게는 두개의 연추 라인, 레이저 소스 또는 유사한 장치가 샤프트에 장착된다.
4. 가장 낮은 카 가이드 레일 섹션이 설치되고 정렬된다. 샤프트의 하부 예를 들면 가이드 레일의 하단부에 장착할 전환 풀리 및 엘리베이터 카의 아래에 장착할 전환 풀리는 바람직하게 첫번째 가이드 레일 섹션과 함께 설치된다
5. 첫번째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섹션이 버퍼의 카에 배치될 때, 카를 지지하고 또한 안전 기어 프레임으로 기능하는 프레임 또는 자체 지지형 카의 경우에 카에 전환 풀리가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이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카 프레임 또는 다른 카 지지 구조는 완성된 엘리베이터의 것보다 낮다. 예를 들면, 카 프레임은 텔레스코픽 구조일 수 있다. 설치하는 동안 카와 가이드 레일의 상호 위치는 카 또는 카 프레임에 장착된 롤러 가이드 또는 통상적인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서 제어된다.
6. 카에 필요한 전환 풀리는 카 프레임 또는 가이드 레일에 설치된 다른 카 부분에 장착되고 임시 지지 블럭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사용되며,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단부에 설치할 전환 풀리 및 바람직하게 엘리베이터 호이스팅 장치는 또한 상기 카 프레임 또는 다른 부분에 고정된다. 이제 엘리베이터의 모든 전환 풀리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에 근접되어 샤프트 바닥 또는 다른 작업대에서 로프 조립할 수 있고 설치하는 사람이 다른 높이의 작업대 사이에 복수의 스텝을 올라가거나 내려갈 필요가 없다.
7. 로프의 설치 조립은 한쪽 풀리에서 다른 풀리까지 로프를 잡아당김으로써 실행된다. 로프 릴은 바람직하게 릴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엘리베이터 샤프트 바닥에 위치되며, 다음에 로프는 그곳으로부터 로프 운행도에 따라 전환 풀리로 통과된다.
8. 설치할 구성요소 또는 바람직하게 설치할 모든 구성요소는 엘리베이터 샤프트내로 옮겨지고 이 구성요소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작업대를 상승하거나 또는 더 높은 위치로 상승하였을 때 작업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카 또는 카 프레임에서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9. 호이스트를 사용할 때 호이스팅 조작은 카 프레임의 상부 도는 카의 상부에서의 빔 구조에 의해서 호이스팅함으로써 실행되므로 바람직하게 텔레스코픽으로 구성된 카 프레임이 확장되어 카의 최상부 빔은 충분한 높이에 도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높이는 카를 설치하는 관점에서 카를 구성할 수 있는 카 또는 카 프레임의 하부의 구조물로부터 최종적인 카 높이에 상응하다. 엘리베이터의 설치 관점에서 최종적인 또는 임시적인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카 또는 카 프레임의 상부의 빔은 카 또는 카 프레임의 하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카 프레임의 경우에 텔레스코픽 카 프레임을 이 단계에서 최종적인 높이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에, 자체 지지식 카의 경우에 카의 최상부 빔 및 카의 하부의 작업 표면 예를 들면 카 바닥은 카 벽 또는 다른 수단 예를 들면 임시 빔 또는 인장 바를 사용하여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카 프레임을 구비한 카 및 자체 지지식 카 구조의 두가지 경우 모두에서 바람직하게 카 바닥은 이 단계에서 설치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구조물에 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운반되는 박스 또는 홀더가 고정된다. 카 프레임의 설치에서 통상적인 고무 절연체 또는 적절한 진동 차단 요소가 카 바닥과 카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다.
10. 바람직하게 후방 벽에서 시작하여 카 벽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카 벽 및 바닥은 비틀림에 대항하는 상대적으로 강성의 구조로 구성되지만, 필요하다면 별도의 보강 요소에 의하여 강화될 수 있다.
11. 바람직하게 최종적인 배열에 의해 카의 천장이 제 위치에 장착되어 카 자체를 상당히 견고하게 만들고, 따라서 설치하는 동안 및 이후의 작동 동안에 받게되는 모든 응력을 견딜 수 있게 된다.
12. 과속 조절기-안전 기어 시스템이 카의 운행을 제어하는 기능으로 기동한다.
13. 안전 기어 또는 가이드 레일에 엘리베이터 카를 제동하는 다른 수단에 대하여 작동하는 설치-시간 안전 장치가 엘리베이터에 추가된다. 상기 설치-시간 안전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를 끌어올리는 호이스트의 로프가 느슨해지거나 또는 엘리베이터를 지지하는 힘이 소정의 한계 이하로 떨어질 때마다 안전 장치가 카를 가이드 레일에 움직이지 못하게 제동시키는 자동 장치가 될 수 있다. 안전 장치는 설치 작업자가 호이스트에 의하여 엘리베이터를 구동시킬 때 엘리베이터의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로 안전 기어 또는 다른 안전 장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페달 또는 다른 연결 수단이 될 수 있으며, 다른 때에 상기 안전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이동을 자동적으로 방지한다.
14. 바람직한 경우, 모든 가이드 레일은 카에 적재되고 카 가이드 레일의 설치는 이미 설치된 가이드 레일 위에 새로운 가이드 레일을 설치함으로써 시작되는데, 설치 작업이 진행될 때 엘리베이터 카는 호이스트에 의해서 위로 올려지고 엘리베이터 카는 작업대로서 사용된다.
15. 가이드 레일은 레이저 빔 및/또는 가이드 레일의 정렬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정렬된다.
16. 샤프트의 상단부에 도달되었을 때, 샤프트의 상부용으로 카에 가져온 전환 풀리는 샤프트의 상부 바람직하게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의 상부에 고정되는 전환 풀리 지지물에 장착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엘리베이터의 구동기는 가이드 레일에 장착된다. 구동기 및 적어도 하나의 전환 풀리는 가이드 레일에 이들을 지지하는 공통 지지물을 가지고 있다. 만약 필요하다면, 적절한 호이스트 또는 다른 호이스팅 기구가 이용된다. 아래에 기계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경우에, 호이스팅 장치는 상응하는 방식으로 장착된다. 전환 풀리 및 호이스팅 장치를 설치하고 엘리베이터 카를 호이스팅하는 모든 시간 동안, 호이스팅 로프는 설치 작업의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로프 휠 사이의 거리에 필요한 만큼 릴에서 인도된다. 설치 작업의 초기에 로프의 한쪽 단부는 이미 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17. 로프 힘을 균등하게 하고 로프 신장을 보상하는 장치가 설치되고, 로프의 단부는 로프 운행도에 의해 결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이제 엘리베이터 카는 실제로 가이드 레일상에 놓여 있다.
설치 작업은 상술한 순서를 다양한 모든 설치 단계에서 필수적으로 따를 필요는 없으며 모든 설치 단계가 전부 필요한 것도 아니며 적어도 상당 부분 상술한 형태로 이루어지면 된다. 예를 들어, 설치 작업은 먼저 카 지지 프레임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그 다음에 작업대를 프레임에 고정하고 가이드 레일을 바닥에서부터 최상부까지 장착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고, 그 후에 엘리베이터의 로프 휠에 로프가 설치 조립되고 카가 형성되며 마지막으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용 전환 풀리 및 장치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로 이동되어 제 위치에 장착된다. 이러한 예에 따라 순서도 최종 단계에서 카를 형성하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새로운 엘리베이터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위치에 설치되지만 종래의 가이드 레일이 사용될 때, 가이드 레일의 설치 작업은 상술한 단계에서 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
평형추를 구비하지 않은 엘리베이터의 설치시에 엘리베이터의 주요 구성요소는 두개의 제1 가이드 레일 사이의 샤프트의 바닥에 먼저 설치되고, 두개의 제1 가이드 레일 섹션은 일반적으로 수 미터 길이의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층간 높이 또는 거리와 동일하다. 종종 가이드 레일은 대략 5 미터 길이의 섹션으로 인도되고, 그 다음에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에서 사부까지 뻗어 있는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기 위하여 설치 작업 동안에 함께 연결된다. 공간적으로 보다 작은 상황에서는 약 2.5 미터 길이의 더욱 짧은 가이드 레일 섹션이 취급하기 더욱 용이하다. 제1 가이드 레일 사이에는 카 지지 프레임, 안전 기어 프레임, 엘리베이터 카 또는 "설치 공구" 및/또는 카의 전환 풀리 뿐만 아니라 호이스팅 장치와 관련된 장치가 임시적인 방식으로 고정되는 설치 캐리지로서 사용되도록 조립된다. 샤프트의 하부용 전환 풀리는 샤프트의 하부에 장착된다. 장치의 전환 풀리, 트랙션 시브 및 이중 랩 휠에 로프가 설치되는 한편 임시로 고정된 샤프트의 상부용 카 지지 프레임 및 풀리는 여전히 샤프트의 하부에 존재한다. 일단 로프가 로프 휠에 위치되면, 카 지지 프레임/카를 이용한 가이드 레일 설치 작업의 진행에 따라 카 지지 프레임/카를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샤프트의 상부용 전환 풀리 및 장치를 최종 위치로 올림으로써 로프는 최종적인 길이로 펼쳐진다.
로프 설치 작업 동안, 카에 지지된 전환 풀리 및 장치는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설치 작업자가 샤프트의 바닥 및 샤프트의 바닥에 구비된 발판에서 또는 샤프트의 바닥 가까이 위치된 다른 작업대에서 로프 설치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샤프트 바닥 가까이에 있다. 샤프트의 상부에 전환 풀리를 운반하기 위한 운반 팰릿 또는 서포트를 고정하거나 또는 장착하는 지점과 같은 카 또는 카 지지 프레임에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카 지지 프레임을 텔레스코픽 구조로 실시함으로써 예를 들면 두 부분으로 만들어진 카 지지 프레임의 측면 수직 빔의 하나가 다른 하나의 안쪽으로 들어간다. 이러한 구조는 거의 두배의 높이까지 확장될 수 있고, 따라서 지지 프레임이 접혀진 형태에 있을 때 샤프트의 바닥으로부터 설치 작업자가 2 미터 이상의 최종 높이를 가진 카 지지 프레임의 상부 및 상부에 고정된 전환 풀리에 도달할 수 있다. 전환 풀리가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로프가 전환 풀리에 장착된 후, 지지 프레임은 최종 높이로 펼쳐질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다른 각도에서 보았을 때의 도면,
도 3 은 도 1 및 2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제3의 다른 각도에서 보았을 때의 도면,
도 4 는 카가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는 높이로 확장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카 지지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5 는 접혀진 형태에서의 본 발명의 카 지지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6 은 샤프트의 바닥에 놓인 본 발명의 카 지지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및
도 7 은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된 로프 설치 조립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에서는 실시예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2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엘리베이터는 바람직하게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위치된 구동기(4)를 구비하고 있으며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이다. 도면에 도시된 엘리베이터는 평형추가 없고 위에 구동기가 있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이며, 엘리베이터 카(1)는 가이드 레일(2)를 따리 이동한다. 도 1, 2 및 3에서, 호이스팅 로프(3)는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로프의 한쪽 단부는 보상 장치(8)로 기능하는 보상 기어에 포함된 작은 직경의 휠에 고정되고, 상기 휠은 보상 기어(8)에 포함된 큰 직경의 제2 횔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보상 장치로 기능하는 보상 기어(8)는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2)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 지지 요소(7)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작은 직경의 보상 기어(8) 휠로부터 호이스팅 로프(3)는 엘리베이터 카,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설치된 빔(20)에 장착된 전환 풀리(12)로 아래쪽으로 진행하고, 전환 풀리에 구비된 로프 그루브를 따라 전환 풀리(12) 주위를 지나간다. 전환 풀리로 사용된 로프 휠에서 로프 그루브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와 같이 마찰을 증가시키는 재로로 코팅되거나 또는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전환 풀리(12)로부터 로프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지지 요소(7)에 장착된 전환 풀리(19)로 위쪽으로 진행하다.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어 있는 전환 풀리(29) 주위를 지나서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설치된 빔(20)에 설치되어 있는 전환 풀리(14)로 아래쪽으로 진행 한다. 전환 풀리(14) 주위를 지나서 로프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및 엘리베이터 카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카의 다른 측면의 빔(20)에 장착된 전환 풀리(15)로 진행하고, 이 전환 풀리 주위를 지난 후에 호이스팅 로프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에 장착된 전환 풀리(10)로 위쪽으로 진행한다. 전환 풀리(10)는 지지 요소(5)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요소(5)를 통해서 전환 풀리는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2)에 의해 지지된다. 전환 풀리(10)를 지나서 호이스팅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1) 및 빔(20)에 설치된 전환 풀리(17)로 아래쪽으로 진행한다. 전환 풀리(17)를 지나서 호이스팅 로프는 바람직하게 호이스팅 장치(4) 부근에 장착된 전환 풀리(9)로 아래쪽으로 진행한다. 전환 풀리(9)와 트랙션 시브(10) 사이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랩(DW : Double Wrap) 로프이다. 전환 풀리(9)에서 호이스팅 로프는 먼저 "접선방향 접촉"으로 전환 풀리(9)를 경유하여 지나간 후에 트랙션 시브(10)로 진행한다. 이것은 트랙션 시브(10)로부터 엘리베이터 카(1)까지 진행하는 로프(3)가 전환 풀리(9)의 로프 그루브를 경유하여 지나가고 전환 풀리(9)에 의해 야기되는 로프(3)의 편향이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트랙션 시브(10)로부터 진행하는 로프(3)는 전환 풀리(9)에 대해서 "접선방향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접선방향 접촉"은 로프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해결책으로서 기능하고 또한 다른 로프 설치 해결책에 적용될 수 있다. 로프는 트랙션 시브(10)의 로프 그루브를 따라 호이스팅 장치(4)의 트랙션 시브(10) 위로 지나간다. 트랙션 시브(10)로부터 로프(3)는 전환 풀리(9)와 "접선방향 접촉" 상태로 가이드 레일(2)을 따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1)를 지나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에 위치된 전환 풀리(18)로 아래쪽으로 진행한다. 호이스팅 장치와 전환 풀리(9)는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2)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 요소(5)에 장착된다. 보상 기어(8)에 포함된 작은 직경의 휠 및 전환 풀리(12, 19, 14, 15, 10, 17, 9)는 호이스팅 장치(4)의 트랙션 시브(10)와 함께 엘리베이터 카 아래에서와 동일한 서스펜션 비율로 엘리베이터 카 위에서의 서스펜션 비율을 형성하는데, 도 1, 2 및 3에서 서스펜션 비율은 6:1 이다. 호이스팅 로프는 바람직하게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에서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2)에 고정된 지지 요소(6)에 설치된 전환 풀리에 구비된 로프 그루브를 따라 전환 풀리(18) 주위를 지나간다. 전환 풀리(18)를 지나서 로프(3)는 엘리베이터 카 및 빔(20)에 장착된 전환 풀리(17)로 위쪽으로 진행하고, 상기 전환 풀리(17) 주위를 지나서 로프는 지지 요소(6)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의 전환 풀리(16)로 진행한다. 전환 풀리(16)를 지나서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 전환 풀리(15)로 복귀하는데, 상기 풀리는 빔(20)에 장착되어 있다. 전환 풀리(15)로부터 호이스팅 로프(3)는 엘리베이터 카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엘리베이터 카의 다른 측면의 빔(20)에 장착된 전환 풀리(14)로 진행한다. 이 전환 풀리 주위를 지나서 로프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에 설치된 전환 풀리(13)로 아래쪽으로 진행하는데, 상기 풀리는 지지 요소(2)에 장착되고 지지 요소(22)는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2)에 고정되어 있다. 전환 풀리(13)를 지나서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 전환 풀리(12)로 위쪽으로 진행하며, 상기 풀리는 빔에 장착되어 있다. 전환 풀리(12) 주위를 지나서 로프(3)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하부의 지지 요소(22)에 장착된 전환 풀리(11)로 아래쪽으로 진행한다. 전환 풀리(11) 주위를 지나서 호이 스팅 로프(3)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에 장착된 보상 기어(8)로 위쪽으로 진행하며, 호이스팅 로프의 제2 단부는 큰 직경의 보상 기어(8) 휠에 고정된다. 보상 장치(8)로서 기능하는 보상 기어는 지지 요소(7)에 장착된다. 보상 장치로서 기능하는 보상 기어(8)의 큰 직경의 휠 및 전환 풀리(18, 17, 16, 15, 14, 13, 19, 11)는 호이스팅 장치(4)의 트랙션 시브(10)와 함께 엘리베이터 카 위에서와 동일한 서스펜션 비율로 엘리베이터 카 아래에서의 서스펜션 비율을 형성하는데, 도 1, 2 및 3에서 서스펜션 비율은 6:1 이다.
도 1, 2 및 3에서, 보상 기어(8)는 서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상이한 직경의 두개의 휠 형태의 보디, 바람직하게는 휠로 구성되며 보상 기어(8)는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2)에 장착되어 있는 지지 요소(7)에 고정된다. 보상 기어(8)에 포함되는 휠 형태의 보디중에서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호이스팅 로프에 연결된 휠은 엘리베이터 카 위의 호이스팅 로프에 연결된 휠보다 직경이 크다. 보상 기어의 휠 사이의 직경 비율이 호이스팅 로프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크기와 호이스팅 로프의 연신에 대한 보상력을 결정하는 동시에 보상할 로프 연신의 크기를 결정한다. 보상 기어(8)의 이용은 이러한 구조에서 매우 큰 로프 연신을 보상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보상 기어(8)의 직경의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보상할 로프 연신의 크기 및 표준화될 수 있는 트랙션 시브에 대하여 작용하는 힘(T1 및 T2)의 비율에 대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 큰 서스펜션 비율 또는 커다란 호이스팅 높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로프의 길이는 길다. 그러므로, 엘리베이터의 작동 및 안정을 위해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호이스팅 로프 부분이 충분한 인장 상태하에서 유 지되고 보상할 로프 연신의 정도가 큰 것이 필수적이다. 종종 이것은 스프링 또는 간단한 레버를 사용하여 실현될 수 없다. 엘리베이터 카의 위와 아래의 서스펜션 비율이 홀수인 경우, 도 1, 2 및 3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에서 보상 장치로서 기능하는 보상 기어는 이송 기어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되고, 서스펜션 비율이 짝수인 경우,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서 보상 장치로서 기능하는 보상 기어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보상 기어(8)에서는 두개의 휠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사용되는 휠의 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경에 대하여 상이한 위치에 호이스팅 로프의 고정 지점을 갖는 하나의 휠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요하다면, 예를 들어 보상 기어에서의 휠의 직경을 변경함으로써 휠 직경의 비율을 변화시키는 것을 원할 경우 세개 이상의 휠을 사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도 1, 2 및 3에 도시된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는 로프 힘을 보상하기 위한 통상적인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지 않지만, 대신에 보상 장치로서 보상 기어(8)를 사용한다. 결과적으로, 일련의 호이스팅 로프(3)에 포함된 로프는 보상 기어(8)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보상 기어 이외에, 본 발명의 보상 장치는 다수의 보상 휠을 갖고 있는 적절한 보상 장치 또는 적절한 레버로 구성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와 관련하여 고정되어 있는 도면에 도시된 빔(2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위의 어느 위치에나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빔은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의 아래 또는 위와 아래 사이의 어느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전환 풀리는 복수의 그루브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환 풀리(12, 14, 15, 17)와 관련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서스펜션에 포함된 호이스팅 로프의 통행 및 엘리베이터 카 위의 서스펜션에 포함된 호이스팅 로프의 통행 모두를 안내하기 위하여 동일한 전환 풀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위에 기계를 구비하고 있으며 평형추를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이며, 이 엘리베이터는 코팅된 트랙션 시브 및 실질적으로 둥근 단면의 얇은 호이스팅 로프를 구비한 구동 장치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의 트랙션 시브에 대한 호이스팅 로프의 접촉 각도는 180°보다 크다. 엘리베이터는 지지 요소를 통해서 전부 설치되는 구동 장치, 트랙션 시브 및 전환 풀리를 포함하는 유닛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환 풀리는 트랙션 시브에 대하여 정확한 각도로 장착된다. 이 유닛은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에 고정된다. 엘리베이터는 6:1의 서스펜션 비율로 평형추를 구비하지 않고 실시된다. 로프 힘 및 연신에 대한 보상은 본 발명에 따른 보상 장치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전환 풀리는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상의 지지 요소를 사용하여 설치되고 엘리베이터카의 전환 풀리는 엘리베이터 카의 빔에 장착되는데, 상기 빔은 또한 엘리베이터 카를 보강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엘리베이터 카(1)는 빔(20)과 빔에 장착된 전환 풀리를 통하여 호이스팅 로프에 매달린다. 빔(20)은 엘리베이터 카의 하중 지지 구조의 일부이며, 카를 자체 지지하는 형태 또는 빔 구조물의 형태 또는 엘리베이터 카에 결합되거나 통합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엘리베이터는 로프를 조립 설치하고 엘리베이터를 완성한 후에 설치된다. 엘리베이터 카(1)의 바닥(24)은 작업대로서 초기에 설치되 거나 또는 로프 조립 설치 작업을 위해 별개의 작업대가 사용될 수 있다. 로프 휠에 엘리베이터 로프를 설치하는 시간 동안, 엘리베이터 카의 전환 풀리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용 풀리 및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용 풀리가 서로 가까이 위치되므로 설치 작업자는 작업대에서 또는 샤프트의 바닥에서 풀리에 접근할 수 있다. 로프 휠에 로프를 설치하는 동안 작업대는 샤프트 바닥에 가까이 존재한다. 일단 호이스팅 로프가 전환 풀리에 설치되면,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 및 하부의 전환 풀리와 엘리베이터 카의 전환 풀리는 로프를 길게 연장하도록 로프를 제공하는 동안 서로로부터 더욱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샤프트 상부의 전환 풀리는 엘리베이터 카를 이용하여 또는 다른 방식으로 장착된다. 엘리베이터 카의 전환 풀리는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24)으로부터 일정 거리까지 빔(20)과 함께 올려지고 엘리베이터 카(1)는 벽(25)을 엘리베이터 바닥에 결합하고 빔(20)을 장착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천장(23)을 결합함으로써 조립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된 엘리베이터의 로프가 상이한 전환 풀리와 호이스팅 장치의 전환 풀리를 어떻게 통과하는지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 5 및 6은 카 지지 프레임(30)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 카는 프레임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서는 전환 풀리가 장착된 상태의 완전한 조립체로서 프레임이 운반될 때까지 프레임 운반을 쉽게 하도록 포개진 형태 또는 낮은 형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 지지 프레임이 엘리베이터 샤프트(31)의 바닥에 있을 때 로프가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허용한다. 엘리베이터 카가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33)를 따라 수직으로 이동할 때 엘리베이터 카 가 위치되고 안내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카 지지 프레임은 가이드(32)와 함께 제공된다. 카 지지 프레임의 상부(34) 및 하부(35)는 안쪽으로 들어가는 카 프레임의 측면 빔의 빔 섹션(36, 37)에 의해 텔레스코픽 구조로 서로 결합된다. 상부 및 하부의 텔레스코픽 구조 또는 길이를 변경할 수 있는 결합은 또한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카 지지 프레임은 로프에 엘리베이터 카를 매달기 위해 의도된 전환 풀리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전환 풀리는 일련의 호이스팅 로프가 위쪽으로 진행하는 기점이 되는 제1 세트의 전환 풀리(38)와 일련의 호이스팅 로프가 아래쪽으로 진행하는 기점이 되는 제2 세트의 전환 풀리(39)를 포함하고 있다. 도 6은 카 지지 프레임에 임시로 장착되어 있지만 샤프트의 상부에 설치할 전환 풀리(42)와 트랙션 시브(도시 생략) 및 보조 전환 풀리(41)를 구비한 구동 장치(40)를 도시하며, 상기 전환 풀리는 장치에 로프를 설치하는 방식을 소위 이중 랩 로프 방식으로 실시하거나 트랙션 시브와 로트 사이의 접촉 각도를 다른 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도 7에서 일련의 호이스팅 로프(44)는 샤프트의 하부의 로프 단부 고정 지점(45)에서 시작하여 로프 힘 식별 장치(46)에서 최종적으로 끝나도록 로프의 진행을 화살표로 표시한 단일 로프로 도시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카 위와 아래의 로프 부분 사이의 상대적인 로프 인장력 차이를 유지하도록 설계된 도르래 시스템을 포함한다. 로프 힘 식별 장치는 또한 로프 단부의 고정과 관련하여 다른 해결 방안을 포함하는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고정 지점(45)에서 시작하여 로프는 로프 힘 식별 장치(46)에 포함된 로프 휠로 진행하고, 다음에 샤프트의 하부의 전환 풀리(43)로 진행하며 여기에서 로프는 카의 아래쪽 전환 풀리(39)로 진 행하며, 샤프트의 하부의 마지막 전환 풀리까지 샤프트의 하부의 전환 풀리 및 카의 아래쪽 전환 풀리 위로 차례로 진행하며, 그 다음에 로프는 장치(40)까지 위로 진행한다. 장치(40)로부터 로프는 카의 위쪽 전환 풀리(38)로 진행하고, 샤프트 상부의 마지막 전환 풀리까지 샤프트의 상부의 전환 풀리 및 각각의 위쪽 전환 풀리(28) 위를 지나가고, 다음에 로프는 로프 힘 식별 장치(46)에서 끝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술한 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의 범주내에서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의 전환 풀리와 엘리베이터 카의 전환 풀리 사이에 통과되는 호이스팅 로프의 횟수 및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의 전환 풀리와 엘리베이터 카의 전환 풀리 사이에 통과되는 호이스팅 로프의 횟수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장점에 대한 결정적인 요인은 아니지만, 로프 부분에 복수 및 짝수 횟수를 사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장점을 성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와 아래에 대한 홀수 서스펜션 비율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보상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 또는 그 구조물에 대하여 장착된다. 상술한 예에 따라 당업자는 트랙션 시브와 로프 풀리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변경할 수 있고, 코팅된 금속 풀리 대신에 코팅하지 않은 금속 풀리 또는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다른 금속으로 만들어진 코팅하지 않을 풀리로 변경할 수 있다.
더욱이 적어도 그루브의 영역에서 비금속 재료로 코팅된 본 발명의 전환 풀리로서 사용되는 금속 트랙션 시브 및 로프 휠은 예를 들면 고무, 폴리우레탄 또는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다른 재료로 구성된 코팅 재료를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카와 장치 유닛은 실시예에서 설명된 레이아웃과 다른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단면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당업자는 엘리베이터 카를 자체적으로 카를 지지하는 구조물, 엘리베이터 카와 카 지지 프레임으로 구성된 조립체 또는 카 지지 프레임 내부에 장착된 카 구조물로 지칭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적용한 엘리베이터가 상술한 실시예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호이스팅 로프로서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스트랜드의 가요성 로프, 평탄한 벨트, 톱니식 벨트, 사다리꼴 벨트 또는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다른 타입의 벨트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가요성 호이스팅 수단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평형추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평형추는 바람직하게 카의 무게보다 작은 무게이며 별개의 로프 세트에 의해서 매달리게 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샤프트가 기술적인 부품에 대한 충분한 안전성과 보호를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및 엘리베이터 카에 다수의 전환 풀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부용 전환 풀리의 적어도 일부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에서 구비되고 전환 풀리로부터 로프의 진행이 위쪽으로 향하게 되는 전환 풀리의 적어도 일부가 동시에 구비되며, 이렇게 구비된 상부용 전환 풀리는 구비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로 올려지고 제 위치에 장착되고,
    가로 빔은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카는 가로 빔과 가로 빔에 장착된 전환 풀리를 통하여 로프에 매달리고, 로프의 수평 로프 부분이 가로 빔 내에 배열되고,
    설치 작업은 초기에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낮은 구조물이며 나중에 최종 높이로 올려질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 또는 엘리베이터 카 지지 프레임을 사용하여 실행되고, 카의 전환 풀리는 초기의 낮은 카 또는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또한 샤프트의 상부용 전환 풀리가 카에 임시로 고정되고 또한 구동 장치가 카에 임시로 고정되며, 이러한 구성요소들이 구비됨에 따라 카의 경우에 카가 카의 최종적인 높이로 올려지거나 또는 카 프레임의 경우에 카 프레임이 카 프레임의 최종적인 높이로 올려지며 카는 카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에 장착할 전환 풀리는 설치 작업대를 갖춘 엘리베이터 카의 일부 또는 엘리베이터 카에 의하여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구동 장치의 트랙션 시브가 구비되고 구동 장치는 전환 풀리와 함께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로 올려져서 제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의 다수의 전환 풀리,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의 다수의 전환 풀리 및 엘리베이터 카의 다수의 전환 풀리가 먼저 구비되고 그 다음에 상부용 전환 풀리는 구비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로 올려지고 제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방법.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부용 전환 풀리가 올려지는 동안 가이드 레일의 끌어올림 및 설치작업에 엘리베이터 카, 카의 최상부와 같은 카에 포함된 구조물 또는 카에 포함된 구조물에 의해서 지지되는 작업대를 사용하여 가이드 레일이 동시에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부의 전환 풀리와 또한 하부의 전환 풀리가 가이드 레일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풀리의 장착부가 지지 요소를 통해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라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는 텔레스코픽 카 지지 프레임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0.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및 엘리베이터 카에 다수의 전환 풀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의 전환 풀리의 적어도 일부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에서 구비되고 전환 풀리로부터 로프의 진행이 위쪽으로 향하게 되는 전환 풀리의 적어도 일부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에서 구비되며, 이렇게 구비된 상부용 전환 풀리는 구비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로 올려지고 제 위치에 장착되고,
    가로 빔은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카는 가로 빔과 가로 빔에 장착된 전환 풀리를 통하여 로프에 매달리고, 로프의 수평 로프 부분이 가로 빔 내에 배열되고,
    설치 작업은 초기에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낮은 구조물이며 나중에 최종 높이로 올려질 수 있는 엘리베이터 카 또는 엘리베이터 카 지지 프레임을 사용하여 실행되고, 카의 전환 풀리는 초기의 낮은 카 또는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또한 샤프트의 상부용 전환 풀리가 카에 임시로 고정되고 또한 구동 장치가 카에 임시로 고정되며, 이러한 구성요소들이 구비됨에 따라 카의 경우에 카가 카의 최종적인 높이로 올려지거나 또는 카 프레임의 경우에 카 프레임이 카 프레임의 최종적인 높이로 올려지며 카는 카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KR1020067008541A 2003-11-17 2004-11-09 엘리베이터 설치 방법 및 엘리베이터 KR101203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31664A FI119769B (fi) 2003-11-17 2003-11-17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ja hissi
FI20031664 2003-11-17
PCT/FI2004/000659 WO2005047163A2 (en) 2003-11-17 2004-11-09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474A KR20060111474A (ko) 2006-10-27
KR101203396B1 true KR101203396B1 (ko) 2012-11-21

Family

ID=2955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541A KR101203396B1 (ko) 2003-11-17 2004-11-09 엘리베이터 설치 방법 및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141684B2 (ko)
EP (1) EP1692068A2 (ko)
JP (1) JP5069468B2 (ko)
KR (1) KR101203396B1 (ko)
CN (4) CN1882496B (ko)
EA (1) EA008314B1 (ko)
FI (1) FI119769B (ko)
HK (1) HK1100655A1 (ko)
WO (1) WO200504716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6562B (fi) * 2003-11-17 2005-12-30 Kone Corp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FI119769B (fi) 2003-11-17 2009-03-13 Kone Corp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ja hissi
FI118335B (fi) 2004-07-30 2007-10-15 Kone Corp Hissi
EP1967479A1 (de) * 2007-03-08 2008-09-10 Inventio Ag Fangrahmen für eine Mehrdeckkabine
US8640829B2 (en) 2008-07-16 2014-02-04 William P. Block, JR. Hydraulic elevator system
US8291568B2 (en) * 2008-11-28 2012-10-23 Kone Corporation Method of installing an elevator
US8205720B2 (en) * 2008-12-30 2012-06-26 Kone Corporation Method for installing the hoisting roping of an elevator
US8448323B2 (en) * 2010-10-15 2013-05-28 Kone Corporation Method for modernizing an elevator
US8430210B2 (en) 2011-01-19 2013-04-30 Smart Lifts, Llc System having multiple cabs in an elevator shaft
US8925689B2 (en) 2011-01-19 2015-01-06 Smart Lifts, Llc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elevator cabs and counterweights that move independently in different sections of a hoistway
US9365392B2 (en) 2011-01-19 2016-06-14 Smart Lifts, Llc System having multiple cabs in an elevator shaft and control method thereof
NL2009481C2 (nl) * 2012-09-18 2014-03-19 Peinemann Equipment Bv Inrichting voor het heffen van objecten.
CN103979385B (zh) * 2014-05-30 2016-06-29 湖南海诺电梯有限公司 一种浅底坑电梯新型轿厢结构
KR20170048481A (ko) * 2014-09-17 2017-05-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텐션 풀리 장치
CN109906197B (zh) * 2016-10-31 2021-01-19 因温特奥股份公司 具有挑出的、作为用于补偿承载机构的自重的平衡元件的皮带的电梯设备
EP3336040B1 (en) * 2016-12-19 2021-03-17 KONE Corporat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aligning guide rails of an elevator
CN110498321B (zh) * 2018-05-17 2022-09-27 奥的斯电梯公司 补偿线束存储装置、跃层电梯及其使用方法
CN110844743B (zh) 2018-08-21 2022-07-12 奥的斯电梯公司 跃层电梯和跃层方法
EP3947237B1 (de) * 2019-03-27 2024-01-10 Inventio Ag Montage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urchführung eines installationsvorgangs in einem aufzugschacht eines aufzugsystems
EP3816089A1 (en) * 2019-10-31 2021-05-05 KONE Corporation Method for roping an elevator
CN112723105A (zh) * 2021-02-02 2021-04-30 杭州百科新材料有限公司 施工升降机
WO2024079376A1 (en) * 2022-10-10 2024-04-18 Kone Corporatio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eleva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749A (ja) * 1974-04-05 1976-01-16 Jonzu Ando Ueigutsudo Ltd Keninkudosochi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568A (en) * 1879-06-17 Improvement in dumb-waiters
US12640A (en) * 1855-04-03 Andrew murtatjgh
US988016A (en) * 1907-04-01 1911-03-28 Otis Elevator Co Elevator.
US3298462A (en) * 1966-01-17 1967-01-17 Beaver Advance Corp Traction lift for scaffolding towers
US3851736A (en) * 1973-03-20 1974-12-03 Westinghouse Electric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elevator hoistway equipment
US3957137A (en) * 1974-03-12 1976-05-18 Vermette Howard H Portable material lift
US4231148A (en) * 1978-03-09 1980-11-04 Abc Elevators, Inc. Elevator erection method
US4345671A (en) * 1980-03-12 1982-08-24 Westinghouse Electric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elevator guide rails
JPS5848546B2 (ja) 1980-07-16 1983-10-28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不飽和アルコ−ルのシス−トランス異性化方法
SE425900B (sv) * 1981-04-22 1982-11-22 Linden Alimak Ab Anordning vid lindrivna hissar for erhallande av linspenning
JPS5841275A (ja) 1981-09-03 1983-03-10 Yamaha Motor Co Ltd 2サイクルエンジンの潤滑油ポンプ
JP2513183Y2 (ja) 1987-04-27 1996-10-02 株式会社東芝 かご下吊り下げ式エレベ−タ
FR2623787B1 (fr) * 1987-11-27 1990-05-11 Otis Elevator Co Procede de montage d'un ascenseur ou monte-charge au sein d'un batiment, gabarits de montage utilises, ascenseur ou monte-charge obtenu
FI119237B (fi) * 2003-01-31 2008-09-15 Kone Corp Hissi, menetelmä hissin muodostamiseksi ja tasauslaitteiston käyttö
JPH01261189A (ja) 1988-04-08 1989-10-18 Mitsubishi Electric Corp 小形エレベーター装置
FR2639929B1 (fr) * 1988-12-01 1991-03-29 Otis Elevator Co Poutre-support des poulies des cables de traction pour ascenseur
FR2640949B1 (ko) * 1988-12-22 1991-03-15 Otis Elevator Co
US5065843A (en) * 1990-05-16 1991-11-19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for installing elevator system components
FI94123C (fi) 1993-06-28 1995-07-25 Kone Oy Vetopyörähissi
FI93632C (fi) 1993-06-28 1995-05-10 Kone Oy Alakoneistoinen vetopyörähissi
US5553686A (en) * 1994-12-13 1996-09-10 Otis Elevator Company Installation of elevator rails in a hoistway
CA2166841C (en) * 1995-01-31 2006-08-22 Heinrich Foelix Temporary working space protection
DE19632850C2 (de) 1996-08-14 1998-09-10 Regina Koester Treibscheibenaufzug ohne Gegengewicht
CN1102908C (zh) * 1997-03-07 2003-03-12 通力股份公司 用于装设电梯的竖井设备的方法和设备
US5944144A (en) * 1997-10-10 1999-08-31 Wilfried Hein Traction drive elevator
MY121775A (en) * 1998-04-28 2006-02-28 Toshiba Kk Traction type elevator apparatus
JP2000086114A (ja) * 1998-09-14 2000-03-28 Toshiba Corp エレベータ装置
FI109468B (fi) * 1998-11-05 2002-08-15 Kone Corp Vetopyörähissi
JP2000247560A (ja) 1999-02-26 2000-09-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IT1308029B1 (it) * 1999-12-06 2001-11-29 Otis S P A Metodo per l'installazione di elevatori.
EP1122203A1 (de) * 2000-02-01 2001-08-08 Zünd AG Seil-Aufzug
US6425463B1 (en) * 2000-03-15 2002-07-30 Frederick Kenneth Broyan Non-personnel lifting device
JP4491110B2 (ja) 2000-04-19 2010-06-30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エレベータのロープ掛け工法
US6533077B1 (en) * 2000-07-14 2003-03-18 Otis Elevator Company CSB (installation) dispensing tool and multi-belt hoisting clamp
US6446763B1 (en) * 2000-07-19 2002-09-10 Otis Elevator Company Integrated elevator installation hoist tool
US6672013B1 (en) * 2000-11-02 2004-01-06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of installing elevator rails
FR2823734B1 (fr) * 2001-04-19 2007-04-20 Serge Arnoult Installation d'ascenseur pourvue de moyens d'entrainement et de moyens de suspension independants
JP2003128359A (ja) * 2001-10-24 2003-05-0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ロープ掛け方法
DE10231775A1 (de) 2002-07-13 2004-01-22 Blanch Productions Limited Verfahren zum Einbau eines Personenaufzugs
EP1567441A1 (en) 2002-11-04 2005-08-31 Kone Corporation Elevator cable tensioning device
FI116562B (fi) * 2003-11-17 2005-12-30 Kone Corp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FI116788B (fi) * 2003-11-17 2006-02-28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FI119769B (fi) 2003-11-17 2009-03-13 Kone Corp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ja hissi
FI20031718A0 (fi) * 2003-11-24 2003-11-24 Kone Corp Hissin ripustusjärjestely
FI119020B (fi) * 2003-11-24 2008-06-30 Kone Corp Hissi ja menetelmä nostoköysistön hallitsemattoman löystymisen ja/tai tasauslaitteen hallitsemattoman liikkeen estämiseksi
FI116461B (fi) * 2004-03-18 2005-11-30 Kone Corp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ja hissin toimituskokonaisuus
FI119056B (fi) 2004-03-22 2008-07-15 Kone Corp Hissi, menetelmä hissin muodostamiseksi ja hissin tasauslaitteessa aikaansaadun lisävoiman käyttö
FI118079B (fi) * 2004-03-26 2007-06-29 Kone Corp Hissi, menetelmä hissin liikkeen estämiseksi ja/tai pysäyttämiseksi ja hissikorin liikkeen estävän ja/tai pysäyttävän laitteen käyttö hississä
FI118383B (fi) * 2004-11-16 2007-10-31 Kone Corp Hissin köysijärjestely
JP4874672B2 (ja) * 2006-02-27 2012-02-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FI118964B (fi) * 2006-04-10 2008-05-30 Kone Corp Järjestely hissin köysivoiman tasaamiseksi ja hissi
FR2921913A1 (fr) 2007-10-08 2009-04-10 Emile Kadoche Ascenseur sans contrepoids motorisation embarquee dans l'etrier de la cabine du type a adheren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749A (ja) * 1974-04-05 1976-01-16 Jonzu Ando Ueigutsudo Ltd Keninkudosoch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82495A (zh) 2006-12-20
CN1882497A (zh) 2006-12-20
CN1882497B (zh) 2010-05-26
WO2005047163A2 (en) 2005-05-26
CN1882492A (zh) 2006-12-20
JP2007511447A (ja) 2007-05-10
FI119769B (fi) 2009-03-13
FI20031664A (fi) 2005-05-18
HK1100655A1 (en) 2007-09-28
CN1882496B (zh) 2010-07-07
KR20060111474A (ko) 2006-10-27
CN1882492B (zh) 2010-04-28
US20060243531A1 (en) 2006-11-02
JP5069468B2 (ja) 2012-11-07
EP1692068A2 (en) 2006-08-23
CN1882496A (zh) 2006-12-20
FI20031664A0 (fi) 2003-11-17
CN1882495B (zh) 2011-06-29
WO2005047163A3 (en) 2005-10-06
EA200600764A1 (ru) 2006-10-27
US8141684B2 (en) 2012-03-27
EA008314B1 (ru) 200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396B1 (ko) 엘리베이터 설치 방법 및 엘리베이터
EP1725492B1 (en)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and elevator delivery assembly
US8118138B2 (en)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JP5095401B2 (ja) エレベータの設置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
JP5122953B2 (ja) エレベータ
KR101047348B1 (ko) 평형추가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
US8127893B2 (en) Elevator and arrangement
US20070227825A1 (en) Elevator system without a moving counterweight
EP1631516B1 (en) Elevator system without a moving counterweight
JP6813123B2 (ja) エレベーターの揚程延長技術の適用方法
US20070131490A1 (en) Elevator system without a moving counterwe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