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091B1 -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 음악 콘텐츠의 재생방법 및 음악콘텐츠 및 그 속성정보의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 음악 콘텐츠의 재생방법 및 음악콘텐츠 및 그 속성정보의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091B1
KR101203091B1 KR1020050108956A KR20050108956A KR101203091B1 KR 101203091 B1 KR101203091 B1 KR 101203091B1 KR 1020050108956 A KR1020050108956 A KR 1020050108956A KR 20050108956 A KR20050108956 A KR 20050108956A KR 101203091 B1 KR101203091 B1 KR 101203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information
music content
data
acqu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8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5357A (ko
Inventor
코세이 야마시타
야스시 미야지마
모토유키 타카이
요이치로 사코
토시로 테라우치
토루 사사키
유이치 사카이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55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5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8Table of contents on a tape [T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51Environmental parameters, e.g. temperature, ambient light, atmospheric pressure, humidity, used as input for musical purpo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71Vital parameter control, i.e. musical instrument control based on body signals, e.g. brainwaves, pulsation, temperature or perspiration; Biometric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사용자의 기분이나 청취 환경 등에 따른 음악 콘텐츠를 재생 악곡 후보로서 제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청취하고 있는 사용자의 기호나 주변환경 등을 실시간으로 악곡에 반영시켜서, 악곡자신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취득수단은 여러 개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음악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재생 대상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제2 취득수단은 속성정보 기억부로부터 음악 콘텐츠의 악곡소재 단위의 속성정보를 취득한다. 음향재생 출력을 청취하는 리스너의 생체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리스너의 생체정보와, 제2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속성정보에 의거하여 다음의 재생 악곡후보를 결정한다. 취득한 리스너의 생체정보와, 제2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속성정보에 의거하여 음향재생 출력하는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재구성한다.
음악 콘텐츠, 취득수단, 생체정보, 속성정보

Description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 음악 콘텐츠의 재생방법 및 음악 콘텐츠 및 그 속성정보의 기록장치{MUSICAL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APPARATUS OF MUSICAL CONTENTS AND ATTRIBUTE INFORMATION}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와, 음악 콘텐츠 및 그 속성정보의 기록장치의 실시예가 적용된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속성정보의 일부의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은 도1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의 플로차트이다.
도4는 도1의 기록재생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플로차트이다.
도5는 도1의 음악 콘텐츠 기억부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도1의 음악 콘텐츠 기억부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은 도1의 기록재생장치 중 기록처리 동작부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8은 도1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의 기록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의 일부이다.
도9는 도1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의 기록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의 일부이다.
도10은 도1의 기록재생장치 중 재생처리 동작부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11은 도1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재생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의 일부이다.
도12는 도1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재생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의 일부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CPU, 20…음악 콘텐츠 기억부, 30…생체정보취득부,
40…주변환경정보취득부, 50…영상?음향출력부
본 발명은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 재생방법 및 음악 콘텐츠 및 그 속성정보의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디스크나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의 기록용량이 커짐으로써, 그 기록매체들에 대량의 음악 콘텐츠가 저장 가능하게 되고 있다. 그리고, 이 대용량의 기록매체를 사용한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도 제공되고 있다.
종래의 이 종류의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음악을 시청하는 사용자 자신이 대량의 음악 콘텐츠 속에서 자기가 듣고 싶은 음악 콘텐츠를 선택하고 재생조작을 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음악 콘텐츠를 장르, 아티스트, 1970년대 등과 같은 키워드에 의해 계층구조로 해서 분류를 나누어 놓고, 사용자는 그들의 키워드를 검색하면서, 최종적으로 곡명을 선택해서 음악 콘텐츠를 선택하도록 한다.
또한, 예를 들면 사용자의 과거의 음악 콘텐츠에 관한 재생이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재생 악곡후보를 추천하는 시스템도 제공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2003-173350공보)참조).
또한 종래의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에 있어서는, 재생되는 악곡은 악곡제작자가 의도한 대로 그대로 재생될 뿐이며, 특히 사용자마다 곡조의 변화를 주는 등의 개인의 기호성이 반영되는 것은 존재하지 않고 있다.
상기의 특허문헌은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1]일본 특허공개 2003-173350공보
그러나,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의 사용자는 기록매체에 몇 천곡?몇 만곡이라는 방대한 수의 악곡이 기록되어 있을 경우, 원하는 악곡을 검색하고, 선택하는 조작은 매우 번잡해서, 희망하는 음악 콘텐츠를 단시간 내에 찾아내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또한 사용자가 음악 콘텐츠를 검색, 선택하는 방법의 경우, 그 검색, 선택의 단서가 장르나 아티스트 이름, 혹은 곡명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그 텍스트 정보들을 이용하여 검색해도, 그 악곡을 들어볼 때까지는, 사용자의 그 때의 기분에 맞은 악곡인지 아닌지 모른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과거의 재생이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재생 악곡후보를 제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다수의 음악 콘텐츠 속에서, 자동적으로 연속재생을 행하도록 하면, 사용자가 검색, 선택하는 시간을 생략할 수 있어서 편리하지만, 그 때에 듣고 싶은 악곡이 제시된다고는 할 수 없다는 문제가 남는다.
또한 아티스트 등의 제작측에서 만들어진 악곡은 종래의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상의 제약 등의 이유도 있어, 사용자측에서는 제작자가 의도한 대로, 단지 고정적으로 들을 뿐이며, 그 곡조나 템포, 다른 악곡과의 리믹스 등을 그 자리의 기분에 맞도록 변경하는 것은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기분이나 청취 환경 등에 따른, 사용자가 청취하고 싶은 음악 콘텐츠를 재생 악곡후보로서 제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청취하고 있는 사용자의 기호나 주변환경 등을 실시간으로 악곡에 반영시켜서, 악곡자신을 재구성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음악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1 취득수단과, 상기 음악 콘텐츠와 대응하여, 적어도 상기 음악 콘텐츠의 악곡소재 단위의 악곡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속성정보를 취득하는 제2 취득수단과, 상기 제1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재생 대상의 음악 콘텐츠 데이터를 음향재생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음향재생 출력을 청취하는 리스너의 생체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취득한 리스너의 생체정보와, 상기 제2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속성정보에 의거하여 다음의 재생 악곡후보를 결정하는 결정수단을 구비하는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음악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1 취득수단과, 상기 음악 콘텐츠와 대응하여, 적어도 상기 음악 콘텐츠의 악곡소재 단위의 악곡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속성정보를 취득하는 제2 취득수단과, 상기 제1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 데이터를 음향재생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음향재생 출력을 청취하는 리스너의 생체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취득한 리스너의 생체정보 에 의거하여 상기 음향재생 출력중의 음악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리스너가 선호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수단과, 상기 리스너가 선호하고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 상기 제2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속성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의 속성정보의 상기 악곡구성 정보와 유사한 악곡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정보의 다른 음악 콘텐츠를 검색하여 다음 재생 악곡후보로 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의 발명들에 의하면, 리스너의 생체정보를 취득해서 해석함으로써 리스너는 재생중인 악곡에 선호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재생중인 음악 콘텐츠의 악곡소재 단위의 속성정보로부터, 당해 음악 콘텐츠가 어떤 곡조의 음악 콘텐츠인지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재생장치는 예를 들면 리스너의 생체정보로부터 리스너가 재생중인 음악 콘텐츠에 대하여 선호하고 있을 때에는 당해 재생중인 음악 콘텐츠의 곡조와 유사한 다른 음악 콘텐츠를 재생 악곡후보로서 제시함으로써, 리스너가 당해 시점에서 좋아하는 곡조의 음악 콘텐츠를 재생 악곡후보로 할 수 있다.
또한 재생장치는 예를 들면 리스너의 생체정보로부터 리스너가 재생중인 음악 콘텐츠에 대하여 선호하고 있지 않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재생중인 음악 콘텐츠의 곡조와는 다른 곡조의 다른 음악 콘텐츠를, 음악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검색하는 함으로써 찾아 다음 재생 악곡후보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과거의 재생이력이나 취득한 주변환경정보를 참조하여, 다음 재생 악곡후보를 결정하도록 하면 더욱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음악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1 취득수단과, 상기 음악 콘텐츠와 대응하여, 적어도 상기 음악 콘텐츠의 악곡소재 단위의 악곡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속성정보를 취득하는 제2 취득수단과, 상기 제1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 데이터를 음향재생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음향재생 출력을 청취하는 리스너의 생체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취득한 리스너의 생체정보와, 상기 제2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속성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음향재생 출력하는 상기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재구성수단을 구비하는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를 제 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악곡의 소절(bar or measure) 등의 악곡소재 단위의 속성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리스너의 생체정보로부터, 예를 들면 재생중인 악곡에 리스너가 선호하고 있을 때에는, 곡조를 바꾸지 않고 보다 기호를 높이도록 악곡소재 단위로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재구성하거나, 또한 리스너가 선호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곡조를 바꾸도록 악곡소재 단위로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재구성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음악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1 취득수단과, 상기음악 콘텐츠와 대응하여, 적어도 상기 음악 콘텐츠의 악곡소재 단위의 악곡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속성정보를 취득하는 제2 취득수단과, 상기 제1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 데이터를 음향재생 출력하는 수단과, 음악 콘텐츠에 관한 과거의 재생이력을 유지하는 재생이력 보유부를 구비하고, 상기 재생이력 보유부로부터 취득한 상기 재생이력과, 상기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에 관한 상기 속성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음향재생 출력하는 상기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과거의 재생이력에 의해 예를 들면 시청빈도가 높게 선호하는 악곡을 검출하고, 예를 들면 그 악곡의 속성정보와, 재생중인 음악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위화감이 없도록, 고빈도 재생이력의 악곡 데이터를 악곡소 재 단위로, 재생중인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에 가하거나 해서, 리스너가 좋아하는 곡조로 재생중인 악곡을 재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음악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1 취득수단과, 상기 음악 콘텐츠와 대응하여, 적어도 상기 음악 콘텐츠의 악곡소재 단위의 악곡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속성정보를 취득하는 제2 취득수단과, 상기 제1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 데이터를 음향재생 출력하는 수단과, 주변환경정보를 취득하는 주변환경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주변환경정보 취득수단으로부터 취득한 상기 주변환경정보와, 상기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에 관한 상기 속성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음향재생 출력하는 상기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다, 산, 아침, 낮, 밤 등의 주변환경정보를 취득하고, 그 주변환경정보에 적합하도록 재생중인 음악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이용하여, 위화감이 없도록,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재구성 할 수 있으므로, 주변환경에 따른 곡조로 재생중인 악곡을 재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의 실시예와, 음악 콘텐츠 및 그 속 성정보의 기록장치의 실시예가 적용된 기록재생장치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재생장치는 음악 콘텐츠 기억부를 구비하지만, 이 음악 콘텐츠 기억부에는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로서 악곡의 음향 데이터 이외에, 영상데이터가 포함될 경우도 있는 것을 상정하여, 영상음향 데이터가 기억된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에 부수되고, 나아가 각 악곡에 관한 속성정보가 각 음악 콘텐츠의 식별정보에 의해 대응하여 기억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음악 콘텐츠가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리무벌(착탈가능)한 기록매체에 기억되어 있을 경우에 있어서, 이 속성정보가 당해 기록매체에 음악 콘텐츠에 대응하여 기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속성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DVD 등의 기록매체로부터, 기록재생장치의 기억부에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기록할 때는 속성정보도 대응하여 기록하도록 한다.
기록매체에 속성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당해 기록매체로부터 기록재생장치의 기억부에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필요한 속성정보를 생성하고, 당해 생성한 속성정보를 기록하는 음악 콘텐츠에 관한 영상음향 데이터에 대응하여 기록하도록 한다.
이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에서는, 음악 콘텐츠의 정보는 예를 들면 인터넷 상에 있는 음악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도 다운로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예의 경우의 음악 콘텐츠 제공서버의 음악 콘텐츠의 정보에는 속성정보가 부수되어져 있는 것을 상정하고 있고, 이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로부터의 음악 콘텐츠의 취득요구를 받으면, 음악 콘텐츠 제공서버는 요구된 음악 콘텐츠의 영상음향 데이터와 함께, 속성정보를 기록재생장치에 다운로드하도록 한다.
그래서, 기록재생장치는 다운로드된 영상음향 데이터와, 속성정보를 음악 콘텐츠의 식별정보에 의해 대응하여 기억부에 기억하도록 한다.
이 예의 기록재생장치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탑재해서 구성되는 것으로,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CPU(Central Processing Unit)(10)에 대하여 시스템버스(1)을 통해 프로그램 ROM(Read Only Memory)(11) 및 work area용 RAM(Random Access Memory)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시스템버스(1)에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3)와, 인코드/디코드부(14)와, 곡조분석부(15)와, 통신 인터페이스(16)와, 재생이력보유부(17)와, 광디스크 드라이브(18)가 접속되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는 사용자의 조작입력을 접수하는 버튼 조작부(도시를 생략)나,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되는 디스플레이가 포함된다.
인코드/디코드부(14)에는 음악 콘텐츠 기억부(20)가 접속된다. 이 예에서는, 이 음악 콘텐츠 기억부(20)는 예를 들면 대용량의 하드디스크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대용량의 재기록 가능한 광디스크를 사용하는 기록/판독 장치부에 의해, 음악 콘텐츠 기억부(20)를 구성하는 것도 할 수 있다.
인코드/디코드부(14)는 이 음악 콘텐츠 기억부(20)를 구성하는 하드디스크 장치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 기록대상의 데이터를 하드디스크 장치에 기록할 수 있는 포맷의 데이터로 인코드 처리하고, 또한 이 하드디스크 장치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인코드에 대응하는 디코드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인코드 처리에는 데이터압축처리를 포함할 수 있고, 거기에 대응해서 디코드 처리에는, 데이터 신장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에는 악곡 데이터뿐만 아니라, 음악 콘텐츠에 관련되는 영상데이터와, 나아가서는 음악 콘텐츠에 관한 속성정보(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음악 콘텐츠 기억부(20)는 각각의 음악 콘텐츠에 관해서 악곡 데이터와 영상데이터가 기억되는 영상음향 데이터 기억부(21)와, 각각의 음악 콘텐츠의 속성정보가 기억되는 속성정보 기억부(22)로 이루어진다. 영상음향 데이터 기억부(21)의 악곡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와, 속성정보 기억부(22)의 속성정보는 음악 콘텐츠마다 음악 콘텐츠의 각각을 식별하는 음악 콘텐츠 식별 정보(콘텐츠ID)에 의해 서로 관련되게 만들어져 있다.
악곡해석부(15)는 음악 콘텐츠의 악곡 데이터를 음악 콘텐츠 기억부(20)의 영상음향 데이터 기억부(21)에 기억할 때에, 악곡 데이터를 해석하고, 악곡의 악곡소재 단위의 단락을 검출하는 동시에, 당해 악곡소재 단위의 악곡구성 정보를 추출한다. 이 악곡구성 정보는 상기 속성정보의 일부로서, 속성정보 기억부(22)에 기록되도록 된다. 악곡해석부(15)는 기록해야 할 음악 콘텐츠의 정보에 속성정보가 부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동작하고, 추출된 악곡구성 정보가 속성정보의 일부로서 기록된다.
여기에서, 악곡소재 단위라는 것은 악곡의 박자(beat), 소절 등, 코드를 붙일 수 있는 단위이다. 그리고, 악곡구성 정보는 악곡의 악곡소재 단위의 템포, 키, 코드, 음량, 박자, 악보, 코드진행 등의, 소위 곡조가 결정되는 기준이 되는 정보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이다.
통신 인터페이스(16)는 외부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인터넷(2)을 통해서 음악 콘텐츠 제공 서버장치(3) 등에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다. 이 예에서는, 음악 콘텐츠 제공 서버장치(3)는 악곡 데이터나 영상데이터뿐만 아니라, 음악 콘텐츠의 속성정보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재생이력기억부(17)는 당해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과거에 어느 악곡을 어느 정도의 빈도나 시간으로 들었는지의 이력정보를 유지한다. 재생된 음악 콘텐츠의 식별정보(콘텐츠ID)에 대응해서 재생회수(빈도), 그 재생시간, 그 재생시의 주변환경정보(주변환경정보에 관해서도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등이 이 재생이력기억부(17)에 기억되어 있다.
광디스크 드라이브(18)는 CD(Compact Disc)이나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광디스크(4)로부터, 악곡 데이터나 영상데이터의 판독을 행한다. 광디스크(4)에 음악 콘텐츠에 관한 속성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당해속성정보의 판독도 행한다.
이 예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는, 시스템버스(1)에는 또한, 생체정보취득부(30)와, 주변환경정보취득부(40)와, 영상음향출력부(50)가 접속되어 있다.
생체정보취득부(30)는 생체정보센서(31)와 생체정보해석부(32)로 이루어진 다. 생체정보센서(31)는 음악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리스너가 당해 음악 콘텐츠에 대하여 선호하고 있는지, 혹은 선호하고 있지 않은지 등을 판별하기 위한 정보를 감지한다. 이 생체정보센서(31)는 리스너의 예를 들면 몸동작, 호흡, 맥, 혈압, 체온, 피부발한(땀), 피부저항 등의 생체정보를 검출하고, 그것들의 생체정보를 생체정보해석부(32)에 공급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리스너가 청취하고 있는 악곡에 선호를 나타내고 있어, 소위 "리듬을 타고 있는" 상태일 때에는, 리스너의 몸동작이나 호흡은 연주되는 음악의 리듬이나 템포 등과 동기(同期)되어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느린 멜로디를 연주하도록 하고 싶을 때에는, 몸동작이나 호흡은 거기에 맞춰 느린 것이 되고, 또한 급격하게 큰 소리로 이행할 때에는, 거기에 맞춰서 몸동작이 커지는 동시에, 호흡도 그것에 맞춰서 흡기에서 일단 숨을 멈추고, 단숨에 호기로 옮겨지는 등의 변화가 있을 것이다.
더욱이, 리스너는 기분이 고양될 것 같은 음악 파트에서는, 맥이나 심박이 많아지는 동시에, 피부에 땀이 많아지고, 또한 느린 음악 파트에서는 맥이나 심박은 천천히 안정된 것이 되는 등의 변화를 나타낼 것이다.
생체정보해석부(32)에서는, 이상과 같은 리스너의 감정적인 정보를 생체정보센서로부터 받아, 리스너가 청취중인 악곡에 선호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별 결과를 시스템버스(1)에 송출한다. 이 경우에, 생체정보해석부(32)에서는, 재생중인 악곡구성 정보도 참조하여 리스너의 몸동작 등이 악곡에 동기하고 있을 것인가 아닌가도 판단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생체정보해석부(32)는 예를 들면 몸동작 등의 생체정보에 근거하는 기호의 정도에 대해서, 복수 단계의 문턱치를 가지고, 예를 들면 "선호하고 있지 않다(리듬을 타고 있지 않다)", "선호하고 있지만 기호의 정도가 낮다", "매우 선호하고 있다(리듬을 타고 있다)"와 같은 복수 단계에 관한 판단출력을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변환경정보취득부(40)는 GPS수신기(41)와, 위치 정보입력 인터페이스(42)와, 환경정보센서(43)와, 환경정보생성부(44)로 이루어진다.
GPS수신기(41)는 여러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전파로부터 당해 GPS수신기(41)의 위치를 산출하는 측위연산을 하고, 그 연산결과를 위치 정보입력 인터페이스(42)로 보낸다. 이 예에서는 위치 정보입력 인터페이스(42)는 GPS수신기(41)로부터의 측위연산 결과를, 예를 들면 지명 등의 위치정보로 변환하고, 시스템버스(1)로 송출한다. 이 위치정보는 당해 기록이 행하여진 장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주변환경정보의 일부로서 음악 콘텐츠가 기록되었을 때에, 그 속성정보의 일부로서 기록된다.
환경정보센서(43)는 온도센서나 습도센서 이외에 계절이나 일시를 감지하는 시계부를 포함하고 있다. 환경정보생성부(44)는 환경정보센서(43)로부터의 정보를 받고, 온도, 습도, 계절, 일시 등의 정보를 시스템버스(1)로 송출한다. 이 정보들도 주변환경정보의 일부로서, 음악 콘텐츠가 기록될 때에, 그 속성정보의 일부로서 기록된다.
영상?음향출력부(50)는 음향 데이터 디코드부(51)와, 음향 어레인지부(52) 와, 음향출력부(53)와, 영상데이터 디코드부(54)와, 영상 어레인지부(55)와, 화상출력부(56)와, I/O포트(57)로 이루어진다.
음향 데이터 디코드부(51)는 음성 데이터가 비압축 음성신호인 PCM음성신호일 경우에는 그대로 음향 어레인지부(52)를 통해서 음향출력부(53)로 출력한다. 음악 데이터에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나 AAC(Advanced Audio Coding) 등의 압축이 결려 있을 경우에는 음향 데이터 디코드부(51)는 당해압축을 해동(신장)하여, 디지탈 음성신호로 디코드한다. 음성 데이터가 MIDI(Music Instrument Digital Interface)일 경우에는 음향 데이터 디코드부(51)는 당해 MIDI의 데이터로부터 디지탈 음성신호를 생성 디코드한다.
음향 어레인지부(52)는 I/O포트(57)를 통해서 이것에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특수효과(sound effect)처리를 하거나, 다른 악곡 데이터를 혼합(remix) 하거나 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음향 어레인지부(52)에서 행하는 이펙트 처리로서는, 음향 데이터에 예를 들면 디스토션(distortion)을 걸거나, 리버브(Reverb)를 걸거나 하는 처리가 이루어진다.
리믹스는 일반적인 디스크쟈키(disc jockey)에서 행해지고 있는 기법이며, 어떤 소절이나 박자단위에서 음악성을 손상하지 않도록, 재생중인 악곡에 복수의 음악소재를 믹스해 가는 방법이다. 이것은, 미리 준비된 소절의 사이(악곡소재 단위의 단락)나 템포 정보, 코드 정보 등의 악곡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음악이론에 따라서, 재생중인 악곡에 복수의 음악소재를 위화감이 없이 믹스해 가는 것이다.
리믹스의 경우에는 CPU(10)의 지시에 따라서 재생중인 악곡 이외의 다른 악곡으로부터 추출되는 리믹스할 음향 데이터가 음향 데이터 디코드부(51)에 공급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음향 데이터 디코드부(51)는 재생중인 음향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와, 리믹스할 음향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를 병행하여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음향 어레인지부(52)의 출력은 음향출력부(53)에 공급된다. 음향출력부(53)에서는 이것에 입력되는 디지탈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당해 변환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출력 앰프(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거쳐서 스피커나 출력 단자를 거쳐 헤드폰(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공급하여 음향재생한다.
영상데이터 디코드부(54)는 이 예에서는 음악 콘텐츠에 부수되는 압축 영상데이터를 디코드(압축해동(신장))한다. 이 경우, 부수되는 압축 영상데이터로서는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등으로 압축된 정지화상 데이터,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MPEG4 등으로 압축된 동화상 데이터 등이 있으며, 영상데이터 디코드부(54)는 이것들의 압축을 신장 디코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 영상데이터 디코드부(54)로 디코드된 영상데이터는 영상 어레인지부(55)에 공급된다. 이 영상 어레인지부(55)에서는 영상데이터에 예를 들면 특수효과(special effect)가 시행된다. 이 특수효과로서는, 기존의 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이 영상 어레인지부(55)의 출력 영상데이터는 영상출력부(56)에 공급된다. 영상출력부(56)는 디지탈 영상데이터를 디지탈 영상신호, 또는 필요에 따라서 아날로그 영상신호로 변환하고, 영상출력 단자를 통해서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된다.
[속성정보의 설명]
이 실시예에서는 각 음악 콘텐츠의 속성정보는 다음에 설명하는 것 같은 각종의 정보가 각 악곡에 대응해서 기록된다.
(1) 악곡구성 정보
이 악곡구성 정보는 전술한 악곡소재 단위의 단락정보를 포함함과 동시에, 악곡의 템포/키/코드/음량/박자의 정보, 악보의 정보, 코드진행의 정보, 반복해서 리믹스하는 루프용의 음악파형의 상승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 악곡구성 정보는 악곡의 곡조를 나타내는 것이며, 음악 콘텐츠의 기록재생장치는 이 악곡구성 정보를 해석하여, 당해 악곡구성 정보가 유사한 악곡은 곡조가 유사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재생중인 악곡에 대하여 리스너가 선호하고 있을 때에는, 이 악곡구성 정보의 해석결과에 근거하여, 다음 재생 악곡후보로서 재생중인 악곡과 유사한 곡조의 악곡을 선택 할 수 있다.
또한 리스너가 재생중인 악곡에 대하여 선호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예를 들면 과거의 재생이력으로부터 리스너가 좋아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악곡을 검출하고, 그 악곡의 속성정보를 조사하여, 그 속성정보와 유사한 악곡을 다음 악곡재생 후보로 함으로써, 재생이력에 근거하여 리스너가 좋아한다고 생각되는 악곡과 곡조가 유사한 악곡을 다음 악곡재생 후보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악곡구성 정보에 포함되는 악곡소재 단위의 단락정보나, 악곡의 템포 등이나, 코드진행 등의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위화감이 없는 리믹스가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음악 콘텐츠의 영상음향 데이터와 속성정보와는 정확히 대응하고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속성정보로서 기술되어 있는 악곡소재 단위로서의 예를 들면 소절의 단락의 타임 코드정보와, 실제의 영상음향 데이터의 소절의 단락의 타임 코드가 정확하게 일치하고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2)이펙트 정보
이펙트 정보는 악곡에 걸리는 특수효과의 정보이며, 예를 들면 전술한 디스토션(distortion)이나 리버브용의 이펙트 파라미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이펙트 파라미터가 시간적으로 변화될 경우에는, 그 시간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파라미터 정보가 된다.
이 이펙트 정보는 이 예의 음악 콘텐츠의 기록재생장치가, 미리 고정적으로 복수 종을 구비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각 악곡마다 효과적인 추천의 이펙트 정보가 있을 경우에는 속성정보의 일부로서 포함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추천의 이펙트 정보는 예를 들면 음악 콘텐츠의 제작자에 의해 주어진다. 이펙트 정보는 1종류가 아니라, 복수 종류를 속성정보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3)악기정보
악기정보는 당해 악곡에 있어서 사용되어 있는 드럼, 기타(guitar) 등의 악 기의 정보이다 .예를 들면 1소절분의 드럼이나 퍼커션(percussion)의 연주 패턴을 속성정보로서 기록해 두고, 그것을 루프 모양으로 반복해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리믹스용으로 그것들의 악기의 연주 패턴 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이것들의 1소절분의 드럼이나 퍼커션(percussion)의 연주 패턴의 정보는 속성정보로서 기록하는 것이 아니고, 미리 기록재생장치가 리믹스용 등을 위해서 복수 패턴을 구비해 두도록 해도 좋다.
(4) 연주자정보
연주자정보는 당해 악곡의 연주자(가수를 포함한다)의 이름(그룹명을 포함한다), 성별, 연령, 그룹 편성 등, 연주자에 관한 정보이다.
(5)감성정보
감성정보는 당해 악곡을 청취한 리스너의 감각적 인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면 밝은 곡/어두운 곡, 조용한 곡/격렬한 곡, 즐거운 곡/슬픈 곡 등을 정량화한 데이터이다. 이 감성정보는 예를 들면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밝다/어둡다", "부드럽다/격렬하다", "즐겁다/슬프다"등의 각각을 미리 감성축으로서 정의해 두고, 각 감성축에 대해서 주관적인 감각적 인식의 정도를 수치화한 것을 리스너에 의해 설정하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취득한다. 예를 들면 "밝다/어둡다"의 감성축의 경우,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관적인 감각적 인식의 정도를 예를 들면 16단계의 수치로 나타낸다. 도2의 예에서는 "밝다"라고 할 경우일수록 수치가 크고, 가장 어둡다고 할 경우의 수치로서 "0-8"이 할당되어 있다. "부드럽다/격렬하다", "즐겁다/슬프다"등의 다른 감성축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감성 축은 이것들 이외에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2와 같이, 이러한 감성축 상의 값들이 설정되면, 그 값들을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곡조에 따른 형태의 도형(도2에서는 삼각형의 형태가 곡조에 따라 변화)을 얻을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이것들의 감성축을 사용함으로써, 유사한 곡조의 악곡을 용이하게 검색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기록매체에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에 대응해서 기록하는 속성정보나 음악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제공하는 속성정보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몇 십명의 리스너에게 당해 악곡을 듣게 해서, 각 감성축에 관한 주관적인 감각적 인식의 정도의 수치를 보고하게 하여, 예를 들면 그 평균값을 각 감성축에 관한 감성정보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록재생장치의 사용자가 리스너로서 악곡을 청취하고, 이 감성정보를 설정 입력할 경우도 있다. 또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던 속성정보에 포함되는 감성정보의 수치나, 음악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 취득한 속성정보에 포함되는 감성정보의 통지가 실제로 리스너가 악곡을 청취한 결과 다르다고 리스너가 느꼈을 경우에는, 기록재생장치의 음악 콘텐츠 기억부에 기억하는 속성정보의 감성정보로서는 리스너 자신에 의해 그 감성정보의 값을 고쳐 쓰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6)주변환경정보
이 주변환경정보는 DVD 제작자나 음악 콘텐츠 제공서버로부터의 음악 콘텐츠의 제공자 등에 의해 설정 입력되는, 당해 악곡을 듣는 데에 추천할 만한 장소, 예 를 들면 산, 바다 등의 지역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록재생장치에서의 악곡의 기록시에, 전술한 주변환경정보 취득부 (40)에서 취득되어 기록(녹음)된 장소, 일시, 계절, 온도, 습도 등의 정보라고 할 수도 있다. 또한 그 기록시에 리스너에 의해 설정 입력되는 당해 악곡을 듣는 데에 추천 장소 등의 지역정보를 포함한다.
(7)재생이력정보
재생이력정보는 리스너가 어느 악곡을, 어느정도의 빈도나 시간으로 청취하고 있는지의 정보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재생장치의 재생이력정보 보유부(17)에 기억되어서 유지된다. 이 재생이력정보는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음악 콘텐츠 기억부(20)에 기억하는 기록처리의 때에 속성정보에 포함되어져서, 음악 콘텐츠 기억부(20)의 속성정보 기억부(22)에 속성정보의 일부로서 저장된다.
또한, 재생이력정보는 제작자에 의해 제작되는 DVD나, 서버로부터 취득하는 음악 콘텐츠의 속성정보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의 기록처리]
다음으로 이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의 기록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록처리의 형태에는 몇 가지가 있다.
그 하나는, DVD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음악 콘텐츠 기억부(20)에 써넣어서 기록하는 형태이다. 다른 하나는, 인터넷(2)을 통해서, 음악 콘텐츠 제공 서버장치(3)로부터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다운로드한 것을 기록하는 형태이다. 또한, 다른 하나는,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외부입력 단자를 통해서, 다른 재생기기 등으로부터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것을 음악 콘텐츠 기억부(20)에 기록하는 형태이다.
이들 형태에 있어서,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에 속성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는 음악 콘텐츠에 관한 영상음향 데이터에 더해서, 그 속성정보도 판독하고, 음악 콘텐츠 기억부(20)에 기록하도록 한다. 이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에서 이 기록의 때에, 사용자가 속성정보를 추가, 변경하고 싶을 경우에는 그 추가, 변경을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에는 영상음향 데이터밖에 없고, 속성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이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에서는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속성정보를 생성(설정)하고, 음악 콘텐츠 기억부(20)의 속성정보 기억부(22)에 기억하도록 한다.
즉, 곡조분석부(15)로 DVD나 다운로드한 음향 데이터, 또한 외부입력 단자를 통해서 입력된 음향 데이터를 해석하고, 악곡구성 정보를 취득하고, 그것을 속성정보의 일부로서 기록한다. 또한 사용자는 자기가 당해 악곡을 실제로 청취한 주관적인 감각적 정도 값의 감성정보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16단계의 어느 하나의 수치를 입력한다. 그리고, 이 감성정보를 속성정보의 일부로서 기록한다. 또한, 주변환경 취득부(40)로 취득한 주변환경정보도 속성정보의 일부로서 기록한다. 더욱이, 재생이력정보도 필요에 따라서 속성정보로서 기록하도록 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인터넷(2) 상에, 음악 콘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해서 속성정보를 저장하는 속성정보제공 서버장치를 설치하고, 이 서버장치에, 음악 콘텐츠의 식별정보를 수반하는 다운로드 요구를 보내고, 당해 음악 콘텐츠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속성정보의 제공을 받도록 하는 것도 상정하고 있다.
도3 및 도4는 음악 콘텐츠 제공 서버장치(3)로부터 음악 콘텐츠 및 속성정보를 취득할 경우에 있어서의 기록재생장치와 음악 콘텐츠 제공 서버장치(3)의 동작의 플로차트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기록재생장치가 음악 콘텐츠 제공 서버장치(3)로부터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와, 이것에 부수되는 속성정보와의 제공을 받을 경우를 예로 해서 설명하지만, 기본적으로는 다른 복수대의 기록재생장치 간에서 속성정보의 주고받음을 행할 경우에 있어서도, 거의 같은 처리가 된다.
도3은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와 이것에 부수되는 속성정보의 제공을 요구하는 기록재생장치의 처리를, 또한 도4는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와 이것에 부수되는 속성정보를 제공하는 음악 콘텐츠 제공 서버장치(3)의 처리를, 각각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기록재생장치에 대하여, 음악 콘텐츠 데이터와 이것에 대한 속성정보와의 제공의 요구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동하는 소정의 조작이 행해지면, 기록재생장치의 CPU(10)는 도3에 나타내는 처리를 실행하고, 우선, 다운로드할 음악 콘텐츠의 선택입력을 접수한다(스텝 S11).
그리고, 접수한 선택입력에 의거하여 다운로드를 요구하는 음악 콘텐츠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음악 콘텐츠의 제공 요구를 생성하고, 이것을 통신 인터페이스 (16), 인터넷(2)을 통해서, 음악 콘텐츠 제공 서버장치(3)에 송신한다(스텝 S12).
한편, 음악 콘텐츠 제공 서버장치(3)의 제어부(CPU)는 항상 도4에 나타내는 처리를 실행하고 있고, 인터넷(2) 및 자장치(自裝置, self-equipment)가 구비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기록재생장치로부터의 음악 콘텐츠의 제공 요구의 수신을 기다리게 하도록 하고(스텝 S21), 제공 요구를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스텝 S22). 스텝 S22에 있어서, 음악 콘텐츠의 제공 요구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스텝 S21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하고, 음악 콘텐츠의 제공 요구의 수신을 기다리게 된다.
스텝 S22의 판단처리에 있어서, 음악 콘텐츠 제공 서버장치(3)의 제어부가, 기록재생장치로부터의 음악 콘텐츠의 제공 요구를 수신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서버장치(3)의 제어부는 수신한 제공 요구에 포함되는 음악 콘텐츠의 식별자에 의거하여 자장치(自裝置, self-equipment)(3)에 기억되어 있는 음악 콘텐츠 속에서, 목적으로 하는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와 이것에 대한 속성정보를 검색한다(스텝 S23).
그리고, 음악 콘텐츠 제공 서버장치(3)의 제어부는 목적으로 하는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안 하는지를 판단하여(스텝 S24), 존재한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요구원의 기록재생장치에 통신 인터페이스 및 인터넷(2)을 통해서 송신한다(스텝 S25). 그리고, 스텝 S21에 돌아가서, 이 스텝 S21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24의 판단처리에 있어서, 목적으로 하는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음악 콘텐츠 제공 서버장치(3)의 제어부는 그 취지를 나타내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요구원의 기록재생장치에 대하여, 통신 인터페이스 및 인터넷(2)을 통해서 회신한다(스텝 S26). 그리고, 스텝 S21에 돌아가서, 이 스텝 S21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요구원의 기록재생장치는 음악 콘텐츠 제공 서버장치(3)로부터의 응답(회신)을 통신 인터페이스(16)을 통해서 수신하고(스텝 S13), 수신한 응답에 의거하여 요구한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가 송신되어 온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스텝 S14). 이 스텝 S14의 판단처리에 있어서, 요구한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수신한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와, 당해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에 부수되어서 제공된 속성정보를 음악 콘텐츠 기억부에 기록(저장)하고(스텝 S15), 이 도3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S14의 판단처리에 있어서, 요구한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수신 하지 않는(대응하는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다는 메시지를 수신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기록재생장치의 제어부는 도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자장치(自裝置, self-equipment)가 구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소자나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발광소자, 혹은 부저(Buzzer)나 알람(Alarm) 등을 이용하여, 목적으로 하는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기록재생장치의 사용자에게 통지하고(스텝 S16), 이 도3에 나타내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이 실시예에서 기록재생장치는 목적으로 하는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의 제공을 받을 때에, 이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에 부수되어서 제공되는 속성정보의 제공도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공을 받은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 및 당해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에 대한 속성정보를 음악 콘텐츠 기억부(20)에 기억해서 재생시에 이용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음악 콘텐츠에 속성정보가 부수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곡조분석부(15)에서 해석해서 얻을 수 있는 악곡구성 정보나 주변환경정보 취득부에서 취득된 주변환경정보 등으로 속성정보가 구성되어서, 그것이 음악 콘텐츠 기억부(20)에 음악 콘텐츠의 영상음향 데이터와 대응하여 기억된다.
도5는 이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음악 콘텐츠 기억부(20)의 일례로서의 하드디스크 장치의 개념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음악 콘텐츠 기억부(20)로서의 하드디스크 장치(20HD)는 음악 콘텐츠의 영상데이터나 음향 데이터 등의 영상음향 데이터(Dt)의 영역(23)과, 그 속성정보(At)의 영역(24)를 구비하고, 영역(23)은 영상음향 데이터 기억부(21)를 구성하고, 영역(24)은 속성정보 기억부(22)를 구성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음악 콘텐츠 기억부(20)는 하드디스크 장치에 의해 구성되지만, 리무벌(착탈가능)의 기록 미디어로서의 DVD 등의 디스크 매체를 음악 콘텐츠 기억부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6은 그 경우에 있어서의 음악 콘텐츠 기억부(20)의 다른 예로서의 디스크 매체(예를 들면 광자기디스크 등의 기록재생 가능한 것)(20RD)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음성 콘텐츠 데이터나 영상 콘텐츠 데이터 등의 콘텐츠 데이터(영상음향 데이터)(Dt)가 광디스크(20RD)의 데이터 저장(보존)영역에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도6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광디스크(20RD)에는 광 디스크에 보통 설정되는 리드 인 에어리어, TOC(Table Of Contents) 에어리어, 리드 아웃 에어리어 이외에, 콘텐츠 속성정보(At)의 저장 에어리어가 설정되고, 여기에 속성정보가 저장되도록 되어 있다. 콘텐츠 데이터(Dt)가 복수의 악곡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악곡에 관한 속성정보가 기록된다. 이 경우, 콘텐츠 데이터(Dt)와 속성정보(At)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음악 콘텐츠 식별정보(음악 콘텐츠ID)에 의해 대응되어 있다.
또한, 광디스크(20RD)는 음악 콘텐츠의 제작자 등에 의해 음악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어서 시판되는 것 이외에, 예를 들면 일반 사용자가 PC 등을 이용하여, 인터넷으로부터 다운로드한 음악 콘텐츠를 기록하여 작성할 경우도 있다.
또한, 도5,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속성정보(At)는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임의로 내용을 재기록하거나, 추가하거나, 삭제하거나 혹은 기존의 속성정보를 새로운 속성정보에 바꿔 놓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속성정보 중에 악곡소재 단위의 단락정보를 추가할 경우에는,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목적으로 하는 음악 콘텐츠 데이터를 자동해석함으로써, 새로운 악곡소재 단위의 단락정보를 자동생성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13)를 통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단락정보를 추가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3)를 통해서 사용자로부터의 변경지시 입력을 접수하고, 음악 콘텐츠 기억부(20)에 기록되어 있는 속성정보를 변경하거나, 마찬가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3)을 통해서 사용자로부터의 변경지시 입력을 접수하고, 음악 콘텐츠 기억부(20)에 기록되어 있는 속성정보를 삭제하거나, 또한 이미 기록 되어 있는 속성정보를 전술한 바와 같이 새롭게 생성하거나, 입력한 속성정보로 바꿔 놓거나 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새로운 속성정보를 인터넷(2)과 통신 인터페이스(15)를 통해서 제공을 받거나 혹은 USB(Universal Serial Bue) 인터페이스 등의 디지탈 인터페이스에 접속되는 다른 기록재생장치 등의 외부기기로부터 제공을 받거나,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와 송수신안테나를 통해서 무선LAN 경유로 제공을 받거나 해서, 이것을 추가나 치환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전술한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음악 콘텐츠의 식별자에 의해, 음악 콘텐츠 데이터와 속성정보는 반드시 대응하도록 되어, 어느 속성정보가 어느 음악 콘텐츠 데이터에 부수되는 것일지는 명확하게 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음악 콘텐츠에는 속성정보를 부수되도록 함으로써,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의 유통에 수반하여, 그 속성정보도 유통시켜 음악 콘텐츠 데이터의 이용에 맞추어 그 속성정보를 유효하게 활용하고, 새로운 이용 형태로 음악 콘텐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광디스크 드라이브(18)로 판독을 행하는 광디스크(4)가 음악 콘텐츠 데이터로서 속성정보를 부수하고 있을 경우에는, 도6에 나타낸 광디스크(20RD)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1의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의 기록처리 동작의 일례를, 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7은 이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 중에서 기록처리 부분을 기능적으로 추출해서 나타낸 블록도이다. 또한 도8 및 도9는 그 기록처리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록재생장치는 기록의 기능적으로 2개의 요소로 구성된다. 하나는 여러 개의 음악 콘텐츠가 기억유지되어 있는 음악 콘텐츠 기억부(20)이며, 또 하나는 음악 콘텐츠의 기록을 하는 기록부(100)이다. 음악 콘텐츠 기억부(20)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기록부(100)는 음악 콘텐츠 데이터 및 속성정보의 기록처리를 행하는 부분이다. 이하, 이 기록부(1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기록부(100)는 이 예에서는, 입력된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영상음향 데이터)과 속성정보를 대응하게 하여서 음악 콘텐츠 기억부(20)에 기억한다. 이 경우에, 음악 콘텐츠에 대응하는 속성정보가 입력될 경우에는, 그것을 그대로,혹은, 일부변경하거나, 추가하거나 해서, 음악 콘텐츠 기억부(20)의 속성정보 기억부(22)에 기억하도록 한다.
그러나, 속성정보가 음악 콘텐츠에 부수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기록부(100)에서는 속성정보를 생성하고,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에 부여하고, 음악 콘텐츠 기억부(20)의 속성정보 기억부(22)에 저장하도록록 하는 기능을 갖춘다.
이 실시예에서는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에 대한 속성정보의 부여 방법으로서는, 최종적으로는 부여하는 사용자가 주관적인 판단에서 부여를 행하도록 한다.
다만, 속성정보의 일부의 정보는 기록재생장치가 자동적으로 가공하지 않은 영상음향 데이터로부터 계산해서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속성정보의 일부인 악곡구성 정보의 템포정보나, 기록재생장치가 존재하는 장소나 주변환경정보 등은 자동적으로 산출하여 자동적으로 부가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예에서 기록재생장치는 어디까지나 악곡구성 정보나 주변환경정보를 취득할뿐으로, 최종적으로 음악 콘텐츠에 부여하는 속성정보에 대해서, 그것이 최적인가 아닌가는 사용자가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기록부(100)는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3)와, 곡조분석부(15)와, 재생이력보유부(17)와, 주변환경정보 취득부(40)를 포함하는 것 이외에, 기능적인 처리부로서 음악 콘텐츠 기록지시 제어부(101)와, 음악 콘텐츠 데이터 보유부(102)와, 영상음향 데이터 기록 설정부(103)와, 속성정보기록 설정부(104)와, 인코드부(105)와, 악곡구성 정보취득부(106)를 구비한다.
음악 콘텐츠 기록지시 제어부(1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를 통한 사용자 의 지시에 따라서, 음악 콘텐츠의 기록지시 제어를 행하는 부분이며, CPU(10)가 ROM(11)에 기억되어 있는 기록을 위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RAM(12)을 워크 에어리어(work area)로서 사용해서 실행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음악 콘텐츠 데이터 보유부(102)는 이제부터 기록해야 할 음악 콘텐츠의 영상음향 데이터나, 부수되는 속성정보도 있으며 당해 속성정보를 유지하는 부분이다.
이것은, 기록하려고 하는 음악 콘텐츠의 소스가 광디스크 드라이브(18)에서 판독되는 광디스크(4)일 경우에는, 당해 광디스크(4) 및 광디스크 드라이브(18)의 부분에 해당한다.
또한 기록하려고 하는 음악 콘텐츠의 소스가 인터넷(2)을 통한 음악 콘텐츠 제공 서버장치(3)일 경우에는, 통신 인터페이스(16)를 통해서 받아들인 음악 콘텐츠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버퍼메모리 등이 음악 콘텐츠 데이터 보유부(102)에 해당한다.
인코드부(105)는 인코드/디코드부(14)의 인코드 부분만의 기능을 추출한 것에 해당한다.
영상음향 데이터 기록 설정부(103)는 인코드부(105)에 보내주는 영상음향 데이터를 유지하는 것이며, RAM(12)의 일부의 에어리어가 이용된다.
속성정보기록 설정부(104)는 인코더 회로에 보내주는 속성정보의 데이터를 유지하는 것이며, 이것도 RAM(12)의 일부의 에어리어가 이용된다.
악곡구성 정보취득부(106)는 음악 콘텐츠 데이터에 속성정보가 부수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 기록하려고 하는 음악 콘텐츠에 대응하는 속성정보를 취득하는 기능부이다. 이것은,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서 속성정보제공 서버장치에 음악 콘텐츠ID를 검색자로서 액세스하고, 당해 음악 콘텐츠ID에 대응하는 속성정보를 취득하는 기능부나, 다른 기록재생장치 등으로부터, 당해 음악 콘텐츠에 대응하는 속성정보를 취득하는 기능부 등에 의해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8 및 도9의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기록처리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이 도8 및 도9의 각 처리 스텝은 CPU(10)가 ROM(11)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RAM(12)을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해서 실행하는 것이다.
기록에 앞서, 사용자는 음악 콘텐츠로서 기록하고 싶은 악곡의 데이터를 준비하고, 음악 콘텐츠 데이터 보유부(102)에 보존해 둔다. 속성정보가 부수되어져 있을 경우에는, 음악 콘텐츠 데이터 보유부(102)에는 당해 음악 콘텐츠로서의 악곡의 속성정보도 보존된다. 음악 콘텐츠 데이터 보유부(102)는 속성정보가 당해 기록하고 싶은 악곡에 부수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음악 콘텐츠 기록지시 제어부(101)에 보고한다. 이에 따라 음악 콘텐츠 기록지시 제어부(101)는 기록해야 할 음악 콘텐츠에 속성정보가 부수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미리 인식하고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3)의 조작부를 통해서 기록지시를 하면, 음악 콘텐츠 기록지시 제어부(101)는 지정된 악곡의 기록지시를 인식한다(도8의 스텝 S31). 음악 콘텐츠 기록지시 제어부(101)는 이 기록지시를 인식하면, 지정된 악곡에는 속성정보가 부수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하여(스텝 S32), 속성정보가 부수되고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속성정보기록 설정부(104)에 음악 콘텐츠에 부수되는 속성정보를 기록하도록 하는 기록지시를 보낸다(스텝 S33).
음악 콘텐츠 기록지시 제어부(101)는 또한 음악 콘텐츠 데이터 보유부(102)에 유지하고 있는 기록대상의 음악 콘텐츠의 영상음향 데이터를 영상음향 데이터 기록 설정부(103)에 송출하도록 하는 동시에, 대응하는 속성정보를 속성정보기록 설정부(104)에 송출하도록 지시한다(스텝 S34). 이 지시를 받은 음악 콘텐츠 데이터 보유부(102)는 기록대상의 음악 콘텐츠의 영상음향 데이터를 그 음악 콘텐츠ID와 함께 영상음향 데이터 기록 설정부(103)에 보내는 동시에, 대응하는 속성정보를 그 음악 콘텐츠ID와 함께 속성정보기록 설정부(104)로 보낸다.
속성정보기록 설정부(104)는 음악 콘텐츠 데이터 보유부(102)로부터의 속성정보(음악 콘텐츠ID를 포함한다)를 받으면, 기록해야 할 속성정보의 임시 리스트를 작성하고(스텝 S35), 당해 작성한 속성정보의 임시 리스트를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제시한다(스텝 S36).
이 기록해야 할 속성정보의 임시 리스트의 제시를 받은 사용자는 속성정보에 대해서 수정이나 추가가 필요하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의 조작부를 통해서 소정의 조작을 행하고, 그대로의 속성정보로 좋다고 했을 때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의 결정키 등을 조작하여, 그 취지를 력한다.
음악 콘텐츠 기록지시 제어부(101)는 사용자로부터 속성정보에 관한 수정 지시나 추가지시가 있었는지 없었는지 판별하고(스텝 S37), 수정지시나 추가지시가 있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그 취지를 속성정보기록 설정부(104)에 전한다. 이 수정지시나 추가지시를 받은 속성정보기록 설정부(10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를 통한 수정지시 내용이나 추가지시 내용에 따라, 속성정보의 수정이나 추가를 행한다(스텝 S38).
속성정보의 수정이나 추가 후, 혹은 속성정보의 수정이나 추가가 없음에, 사용자가 당해 속성정보에 대해서 OK라고 하는 의미에서 결정키를 조작하면, 음악 콘텐츠 기록지시 제어부(101)는 그 사용자의 속성정보에 관한 결정 입력을 감지하고(스텝 S39), 인코드부(105)에 영상음향 데이터 기록 설정부(103)로부터의 영상음향 데이터와, 속성정보기록 설정부(104)로부터의 속성정보를 받도록 지시하는 동시에, 받은 정보를 인코드하도록 지시한다. 인코드부(105)는 이 지시를 받으면, 영상음향 데이터와 속성정보를 받고, 음악 콘텐츠 기억부(20)에 기억하기 위한 인코드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40).
그리고, 인코드부(105)는 인코드한 영상음향 데이터를 영상음향 데이터 기억부(21)에 기록하는 동시에, 인코드한 속성정보를, 속성정보 기억부(22)에 기록한다(스텝 S41). 이상으로, 기록처리는 종료가 된다.
한편, 스텝 S32에서 속성정보가 음악 콘텐츠에 부수되어 있지는 않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음악 콘텐츠 기록지시 제어부(101)는 속성정보기록 설정부(104)에 음악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자장치(self-equipment)로 생성해서 기록하도록 하는 지시를 보낸다(도9의 스텝 S51).
또한, 음악 콘텐츠 기록지시 제어부(101)는 음악 콘텐츠 데이터 보유부(102)에 유지하고 있는 기록대상의 음악 콘텐츠의 영상음향 데이터를 영상음향 데이터 기록 설정부(103)와, 곡조분석부(15)에 송출하도록 지시한다(스텝 S52). 이 지시를 받은 음악 콘텐츠 데이터 보유부(102)는 기록대상의 음악 콘텐츠의 영상음향 데이터를 그 음악 콘텐츠ID와 함께 영상음향 데이터 기록 설정부(103)로 보내는 동시에, 당해 음악 콘텐츠의 음향 데이터를 곡조분석부(15)에 송출한다.
음악 콘텐츠 데이터 보유부(102)로부터의 음향 데이터를 받은 곡조분석부(15)는 그 음향 데이터를 분석하고, 악곡소재 단위의 템포, 키, 코드 등의 악곡구성 정보를 추출한다(스텝 S53).
속성정보기록 설정부(104)는 음악 콘텐츠 기록지시 제어부(101)로부터의 자장치로 속성정보를 생성하는 취지의 지시를 받으면, 지정된 악곡에 관한 재생이력이 재생이력정보보유부(17)에 유지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고, 유지되어 있으면, 그 재생이력을 속성정보의 일부로 하기 위해서 취득한다(스텝 S54). 또한, 재생이력정보가 없으면, 속성정보로서의 재생이력정보는 "없음"을 의미하는 "null"로 된다.
또한 속성정보기록 설정부(104)는 기록대상의 악곡을 청취한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13)를 통해서 입력되는 당해 악곡에 관한 "밝다/어둡다", "격렬하다/부드럽다", "즐겁다/슬프다"등의 감성정보의 수치입력(예를 들면 전술한 16단계의 수치)을 접수하고, 속성정보의 일부로 한다(스텝 S55).
더욱이, 속성정보기록 설정부(104)는 곡조분석부(15)에서 분석되어서 추출된 악곡구성 정보를 곡조분석부(15)로부터 취득하고, 속성정보의 일부로 한다(스텝 S56). 또한, 속성정보기록 설정부(104)는 주변환경정보 취득부(40)로부터 주변환경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주변환경정보를 속성정보의 일부로 한다(스텝 S57).
다음으로 속성정보기록 설정부(104)는 스텝 S54~스텝 S57에서 취득한 정보에 의거하여 기록해야 할 속성정보의 임시 리스트를 작성하고(스텝 S58), 당해 작성한 속성정보의 임시 리스트를,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3)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제시한다(스텝 S36).
이 기록해야 할 속성정보의 임시 리스트의 제시를 받은 사용자는 속성정보에 대해서 수정이나 추가가 필요하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의 조작부를 통해서 소정의 조작을 행하고, 그대로의 속성정보로 좋다고 했을 때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의 결정키 등을 조작하고, 그 취지를 입력한다.
음악 콘텐츠 기록지시 제어부(101)는 사용자로부터 속성정보에 관한 수정지시나 추가지시가 있었는지 없었는지 판별하고(스텝 S37), 수정지시나 추가지시가 있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그 취지를 속성정보기록 설정부(104)에 전달한다. 이 수정지시나 추가지시를 받은 속성정보기록 설정부(10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를 통한 수정지시 내용이나 추가지시 내용 에따라, 속성정보의 수정이나 추가를 행한다(스텝 S38).
속성정보의 수정이나 추가 후, 혹은 속성정보의 수정이나 추가가 없음에, 사용자가 당해 속성정보에 대해서 OK라고 하는 의미에서 결정키를 조작하면, 음악 콘텐츠 기록지시 제어부(101)는 그 사용자의 속성정보에 관한 결정 입력을 감지하고(스텝 S39), 인코드부(105)에 영상음향 데이터 기록 설정부(103)로부터의 영상음향 데이터와, 속성정보기록 설정부(104)로부터의 속성정보를 받도록 지시하는 동시에, 받은 정보를 인코드하도록 지시한다. 인코드부(105)는 이 지시를 받으면, 영상음향 데이터와 속성정보를 받고, 음악 콘텐츠 기억부(20)에 기억하기 위한 인코드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40).
그리고, 인코드부(105)는 인코드한 영상음향 데이터를 영상음향 데이터 기억부(21)에 기록하는동시에, 인코드한 속성정보를 속성정보 기억부(22)에 기록한다(스텝 S41). 이상으로, 기록처리는 종료가 된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속성정보의 악곡구성 정보가 음악 콘텐츠에 부수되지 않고 있을 때에는, 곡조분석부(15)에서 악곡구성 정보를 추출하도록 하였지만, 미리 악곡의 곡조를 보면(譜面)정보나 제작자의 정보에 의해 알고 있을 경우에는, 곡조분석할 필요는 없고, 사용자가 이 보면정보에 근거하는 템포, 키, 코드 등의 악곡구성 정보를 속성정보로서 입력하는 것도 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2)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악곡구성 정보가 취득 가능할 경우에는, 속성정보기록 설정부(104)는 악곡구성 정보취득부(106)를 통해서 악곡구성 정보를 취득하고, 속성정보의 일부로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의 기록재생 장치에서는 악곡의 재생을 반복하면, 재생이력정보보유부(17)에 과거의 사용자의 재생이력정보가 축적되어 온다. 잘 듣는 곡은 리스너의 기호도가 높고, 반대로 재생된 시간이 짧은 곡은 리스너의 기호도가 낮은 것이 많다. 그래서, 이 악곡마다의 재생빈도?재생시간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각 악곡의 음악 콘텐츠의 속성 에어리어에 추가 기록해간다.
또한 속성정보로 되어 음악 콘텐츠 기억부(20)의 속성정보 기억부(22)에 기억된 재생이력정보는 음악 콘텐츠의 기록시 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악곡이 재생되어서 재생이력정보 보유부(17)의 재생이력이 갱신될 때에, 동시에 속성정보 기억부(22)가 대응하는 악곡의 속성정보의 재생이력정보도 갱신되도록 되어 있다.
잘 듣는 곡은 리스너의 기호도가 높고, 반대로 재생된 시간이 짧은 곡은 리스너의 기호도가 낮은 것이 많으므로, 이 재생이력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리스너가 선호하는 악곡을 감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기호도가 높은 악곡의 곡조는 리스너의 기호도가 높은 곡조라고 판정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악곡마다의 재생빈도나 재생시간 정보가 갱신될 때마다 각 악곡의 속성정보 기억부의 재생이력정보를 추기해두고, 이 속성정보의 재생이력정보 및 악곡구성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리스너에게 사랑받는 악곡 및 그 곡조를 판정하고, 재생시의 악곡의 재구성에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재생처리]
다음으로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재생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재생처리의 포인트로서 2점이 있다.
하나는, 재생 스타터 조작을 하는 것만으로, 사용자가 선호할 것으로 생각되는 악곡을 순서대로 장치가 선택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기능을 장치가 구비하는 점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최초의 곡을 선택하고, 연속재생 스타터 조작을 사용자 인터페이스(13)의 조작부를 통해서 입력한다. 그러면, 이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는 그 최초에 선택된 악곡에 사용자가 선호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 사용자(리스너)로부터 취득한 생체정보에 의거하여 판별하고, 선호하고 있으면, 최초에 선택된 악곡을 곡조와 유사한 악곡을 다음 악곡재생 후보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악곡청취자인 사용자(리스너)의 생체정보를 취득하고, 예를 들면 리듬을 타고 있을 때의 머리 부분이나 발 등의 몸의 움직임이나 맥박 등으로부터, 그때마다의 리스너의 기호도를 판정하도록 한다.
리스너가 청취중인 악곡에 선호하고 있지 않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예를 들면 재생이력정보에 의거하여 리스너가 좋아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악곡을 선택하고, 당해 선택된 악곡과 곡조가 유사한 악곡을 다음 악곡재생 후보로 한다. 혹은, 리스너의 주변환경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취득한 주변환경정보에 합치하는 악곡을 속성정보를 참조함으로써 검색하고, 검색결과의 악곡 및 당해 악곡과 유사한 곡조의 악곡을 다음 악곡재생 후보로 하도록 한다.
그리고, 2번째 이후의 악곡을 청취하고 있을 때에도, 리스너로부터 취득한 생체정보에 의거하여 당해 청취중인 악곡에 선호하고 있는지를 항상 판정하여 전술 한 것과 같은 처리를 행하고, 다음 악곡재생 후보를 갱신해 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이 실시예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다음 악곡재생 후보를 갱신하면서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종래의 악곡재생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몇 백곡 이상의 악곡 데이터를 내장 기억부에 기억하고 있을 때에, 자동재생 모드에서는 앨범 단위나, 기록된 순번, 난수에 의한 랜덤한 순서로 재생이 행해지고 있지만, 특히 사용자(리스너)의 기호를 고려하여, 재생순서가 결정되는 것은 없다.
또한 소위 플레이 리스트(재생 악곡후보의 리스트)를 사용자측에서 작성하고, 그 순서로 재생한다고 하는 예도 있지만, 이 방법의 경우에는 사용자측에서, 일일이 플레이 리스트를 작성할 필요가 있고, 손이 많이 가는 것이다. 또한, 내장 기억부에 보존되는 악곡이 증가할 때마다, 당해 플레이 리스트를 고쳐써야 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도 있었다. 그리고, 이 방법도 사용자의 기호를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이에 대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재생장치 측이 과거의 사용자의 재생이력정보나 사용자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생체정보 등, 나아가서는 재생장치가 존재하는 지리적인 정보 등으로부터, 현재 재생되고 있는 악곡의 속성정보와 대조해서 기호도의 예측을 행하고, 그 자리의 사용자의 상태에 있어서 가장 듣고 싶다고 생각되는 악곡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음악 콘텐츠의 재생방법에 관해서, 악곡의 속성정보와 리스너의 생체정보, 재생이력정보, 주변환경정보들을 이용하여, 그때마다의 리스너의 기호에 최적 이라고 생각되는 악곡의 후보를 동적으로 선택하고, 그것을 재생 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과거에 잘 들은 악곡의 코드진행이나 템포에 가까운 악곡을 속성정보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다수의 악곡의 속성정보로부터 탐색하고, 그것을 재생하거나, 현재 듣고 있는 악곡으로 리스너가 리랙스(relax)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생체정보를 취득할 수 있었을 경우에는, 그 구성에 가까운 악곡을 상기 속성정보로부터 탐색하고, 그것을 재생하거나 하는 것이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악곡의 속성정보를 이용해서 리스너의 기호에 맞는 악곡을 동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속성정보로서, 리스너가 어떻게 느끼는지의 악곡의 감성정보(예를 들면 어두운/밝은 곡), 사용자가 몇 번 이 악곡을 재생했는지 등의 재생이력정보나 연주자나 악기에 관한 정보, 어디에서 녹음된 것인가?어디에서 들으면 좋은지의 지리정보 등의 주변환경정보 등도 기록되어 있다. 이것들의 정보를, 필요에 따라서 재생측에서 이용함으로써, 다수의 음악 콘텐츠 속에서 보다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것을 추출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의 2번째 재생처리의 포인트는 청취중인 악곡에 대하여, 그 속성정보중의 특히 악곡구성 정보에 의거하여 악곡소재 단위로 리믹스하거나, 이펙트(sound effect)를 걸거나 해서, 악곡을 재구성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추는 점이다.
즉, 리스너의 그때의 기분에 따라, 디스크쟈키(disc jockey)와 같이 리믹스해서 복수 곡을 동시에 재생하거나, 혹은 악곡 그 자체의 템포나 키 등의 곡조를 변경하거나 해서, 청취중인 악곡을 동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 동적인 재구성을 위해서, 이 실시예에서는 악곡 데이터에 상기한 바와 같은 속성정보, 특히 악곡구성 정보를 부수시켜서, 리스너가 놓여진 분위기에 맞도록 악곡을 동적으로 재구성하면서 재생?합성하는 것이다. 재구성은 어디까지나 리스너가 보다 즐거워지도록, 재생되는 악곡에 변화를 주는 것이며, 새로운 악곡의 즐기는 방법을 리스너에게 제안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속성정보는 음악성을 손상하지 않고 악곡을 재구성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악(악곡)은 소절, 박자 등으로 구분되고 있고, 또한 그것들의 단락마다에 코드가 정해져 있으므로, 음악이론을 따르면, 예를 들면 소절마다 다른 음악소재를 조합해가도 음악성을 손상하지 않고 곡조를 변경할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디스크쟈키(disc jockey) 등에서 행해지고 있는 리믹스라고 불리는 기법이다.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히 악곡을 재구성하는 것에 필요한 악곡의 구성정보를 영상음향 데이터에 미리 부대시켜서 속성정보로서 기록해 두는 것이다. 즉, 전술한 템포, 키, 코드, 음량, 박자 등의 악곡소재 단위의 악곡구성 정보이다.
단, 마구 재구성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리스너로부터의 생체정보를 재생장치에 피드백하고, 리스너의 시청상태를 동적으로 파악하고, 또한 기록재생장치가 놓어져 있는(존재하는) 장소의 주변환경정보를 동적으로 파악하고, 그 자리에 적합한 악곡을 그 속성정보로부터 재합성하고, 리스너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리스너가 선호하고 있을 때에만 악곡을 재구성하도록 하고, 보다 리스너가 좋아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리스너가 선호하고 있지 않을 때에도, 악곡을 재구성하고, 리스너에 재구성후의 악곡을 제시함으로써 리스너에게 기호를 환기시켜도 물론 좋다.
이 청취중인 악곡의 재구성의 때에도, 리스너의 생체정보를 재생장치에 피드백하거나, 재생이력정보를 참조하거나, 주변환경정보를 참조하거나 해서, 재구성 때문에 리믹스하는 악곡을 선택하거나, 이펙트(sound effect)를 선택하거나 하여도 물론 좋다. 나아가, 속성정보중에 추천의 이펙트 정보가 있으면, 그것을 사용하는 것도 물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의 재생처리의 상세처리 동작 예를, 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10은 이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 중 재생처리 부분을 기능적으로 추출해서 나타낸 블록도이다. 또한 도11 및 도12는 그 재생처리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의 재생처리부도 전술한 기록처리부와 마찬가지로, 2개의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하나는, 여러 개의 음악 콘텐츠가 기록 유지되어 있는 음악 콘텐츠 기억부(20)이며, 또 하나는, 음악 콘텐츠의 재생을 행하는 재생부(200)이다. 음악 콘텐츠 기억부(20)는, 전술한 대로이므로, 여기에서는 재생부(200)에 관하여 설명한다.
재생부(200)는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3)와, 재생이력정보 보유부(17)와, 생체정보취득부(30)와, 주변환경정보 취득부(40)와, 음향출력부(53)와, 영상출력부(56)를 포함하는 동시에, 기능적인 처리부로서,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와, 디코드부(202)와, 속성정보취득부 (203)와, 영 상음향 데이터 취득부(204)와, 영상음향 데이터 디코드부(205)와, 믹서 및 이펙트 처리부(206)를 구비한다.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을 통한 사용자 지시에 따르고,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를 선택하고, 그 재생제어를 행하는 부분이며, CPU(10)가 ROM(11)에 기억되어 있는 기록을 위한 프로그램 에 의거하여 RAM(12)을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해서 실행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디코드부(202)는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로부터의 음악 콘텐츠의 선택지시에 따라서, 음악 콘텐츠 기억부(20)로부터 영상음향 데이터 및 속성정보를 취득하고, 압축되어 있는 데이터를 신장 디코드처리하는 것으로, 인코드/디코드부(14)의 디코드부에 해당한다.
그리고, 디코드부(202)는 음악 콘텐츠 기억부(20)로부터 판독해서 신장 디코드한 속성정보는 속성정보취득부(203)에 건네줌과 동시에, 음악 콘텐츠 기억부(20)로부터 판독해서 신장 디코드한 영상음향 데이터는 영상음향 데이터 취득부(204)에 공급한다.
속성정보취득부(203)는 디코드부(202)로부터의 음악 콘텐츠 기억부(20)로부터 판독되어서 디코드된 속성정보를 받고,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에 건네준다. 이 속성정보취득부(203)는 RAM(12)의 일부영역을 사용하는 버퍼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영상음향 데이터 취득부(204)는 디코드부(202)로부터의 음악 콘텐츠 기억부(20)로부터 판독되어서 디코드된 영상음향 데이터를 받고, 영상음향 데이터 디코드 부(205)에 건네준다. 이 영상음향 데이터 취득부(204)는 RAM(12)의 일부영역을 사용하는 버퍼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영상음향 데이터 디코드부(205)는 음향 데이터 디코드부(51)와, 영상데이터 디코드부(54)로 구성되는 부분이며, 음향 데이터를 디코드하고, 믹서 및 이펙트 처리부(206)에 건네줌과 동시에, 영상데이터를 디코드하고, 믹서 및 이펙트 처리부(206)에 건네준다.
믹서 및 이펙트 처리부(206)는 음향 어레인지부(52)와, 영상 어레인지부(55)로 구성되는 부분이며,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받고, 디코드된 음향 데이터에 다른 악곡의 음향 데이터를 리믹스하거나, 음향 데이터에 이펙트 처리를 실시하거나, 템포나 키 혹은 코드진행을 바꾸거나 한다. 또한 디코드된 영상데이터에 이펙트 처리를 실시하거나 한다.
그리고, 믹서 및 이펙트 처리부(206)는 리믹스하거나 이펙트 처리한 음향 데이터를 음향출력부(53)에 공급함 동시에, 이펙트 처리한 영상데이터를 영상출력부(56)에 공급한다.
생체정보취득부(30)에서 취득되는 리스너의 생체정보는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에 공급되어, 음악 콘텐츠의 선택 및 악곡의 재구성을 위해서 사용된다. 또한 주변환경정보 취득부(40)에서 취득된 기록재생장치가 존재하는 장소의 정보 등의 주변환경정보는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에 공급되어, 음악 콘텐츠의 선택 및 악곡의 재구성을 위해서 사용된다.
또한 재생이력정보 보유부(17)는 이것에 공급되는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로부터의 판독 요구에 따라서, 유지하고 있는 재생이력정보를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에 공급한다.이 재생이력정보는,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 판단 제어부(201)에 있어서, 음악 콘텐츠의 선택 및 악곡의 재구성을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11, 도12의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재생처리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이 도11, 도12의 각 처리 스텝은 CPU(10)가 ROM(11)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RAM(12)을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해서 실행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우선, 사용자 인터페이스(13)의 디스플레이의 음악 콘텐츠의 선택 화면으로부터, 희망하는 음악 콘텐츠(악곡)를 선택하고,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에 대하여, 1곡째의 재생을 지시한다. 2곡째 이후는, 실시예의 기록재생장치에서 자동적으로 선택되어서 재생이 속행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을 통해서 1곡째의 재생지시를 받은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는 당해 재생지시를 받은 음악 콘텐츠를 인식함 동시에, 음악 콘텐츠 기억부(20)의 속성정보 기억부(22)로부터, 당해 재생지시를 받은 음악 콘텐츠의 속성정보 및 기타 전부의, 혹은 소정량의 속성정보를 판독하도록 디코드부(202)에 지시를 내린다. 그리고, 그 지시에 따라 디코드부(202)로부터 속성정보취득부(203)를 통해서 보내져 오는 속성정보를 판독하고 해석한다(스텝S61).
여기에서,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는 후술하는 다음 재생 악곡후보의 선정이나, 청취중인 악곡의 재구성을 위해서, 재생지시된 음악 콘텐츠의 속성정보와, 다른 음악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미리 취득하여 해석하고, 후술하는 다 음 재생 악곡후보의 선정이나, 청취중인 악곡의 재구성을 위한 사전준비를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는 디코드부(202)에 재생 지시된 음악 콘텐츠의 영상음향 데이터의 판독을 지시한다. 그러면, 디코드부(202)는 음악 콘텐츠 기억부(20)로부터 재생지시된 음악 콘텐츠의 영상음향 데이터를 판독하고, 영상음향 데이터 취득부(204)에 건네준다. 영상음향 데이터 취득부(204)에서 취득된 영상음향 데이터는 영상음향 데이터 디코드부(205)에 건네져서 디코드되고, 믹서 및 이펙트 처리부(206)를 통해서 음향출력부(53)에 공급되고, 음향출력됨과 동시에 영상출력부(56)에 공급되고, 영상출력되어 재생이 개시된다(스텝S62).
이렇게 해서, 음악 콘텐츠의 재생이 개시되면,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는 리스너의 생체정보를 생체정보취득부(30)로부터 취득함 동시에, 주변환경정보 취득부(40)로부터 주변환경정보를 취득한다(스텝S63).
그리고,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는 생체정보취득부(30)로부터 취득한 리스너의 생체정보로부터 리스너는 청취중인 악곡에 대하여 선호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스텝S64).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는 예를 들면 몸의 움직임 등의 생체정보를, 기록재생장치의 생체정보센서(31) 및 생체정보해석부(32)를 통해서 받음으로써, 리스너가 적극적으로 음악을 듣고 싶은 상태인가, 그렇지 않은 상태인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리듬을 타고 있는 상태"에서는 자연과 음악에 맞춰서 몸이 움직인다.
즉, 재생중인 악곡의 악곡구성 정보(악곡소재 단위의 단락이나 템포 등)와, 몸의 움직임의 센서(가속도 센서 등)의 출력신호의 상호 상관함수를 계산하면, 그 상관계수에 의해 리스너가 적극적으로 음악을 시청하고 싶은 상태인가 아닌가를 어느 정도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속성정보중의 감성정보도 고려하면 더욱 좋다. 즉, 격렬한 악곡이면, 리스너의 몸의 움직임도 그것에 따라 격렬하게 움직이고, 부드러운 악곡의 경우에는 리스너의 몸의 움직임은 느린 것이 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상관계수가 높을수록, 리스너가 음악을 적극적으로 시청하고 싶은, 소위 "들뜬"의 상태로 포착할 수 있다. 리스너가 적극적으로 음악을 듣고 있는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보다 "들뜬" 수치가 높은 악곡의 반복재생을 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춘 악곡의 재생을 제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반대로, 악곡청취중인 리스너의 몸의 움직임이 적고, 뇌파도 안정된 상태이면, 반대로 "들뜬" 수치가 낮은 조용한 곡을 음량이 작은 상태로 재생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온화하게 음악을 즐길 수 있다고 생각된다. 또, "들뜬"상태뿐만 아니라, 재생중인 음악 콘텐츠의 속성정보에 포함되는 감성정보, 예를 들면 "밝다/어둡다", "부드럽다/격렬하다", "슬프다/즐겁다"등의 감성적인 수치를 참조하면서, 리스너 생체정보를 해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도록 한다. 즉, 예를 들면 부드러운 악곡이나 슬픈 악곡 등은 "들뜬" 수치는 낮지만, 뇌파나 맥 등이 안정된 상태이면, 선호하고 있다고 할 경우도 있다.
스텝S64에서, 리스너는 재생중인 악곡에 대하여 선호를 나타내지 않는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는 재생이력정보 보유부(17) 혹은 미리 받아들인 속성정보의 각 음악 콘텐츠에 포함되는 재생이력정보를 참조하여 재생빈도가 높은 악곡을 검출한다(스텝S65).
다음으로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는 재생빈도가 높은 악곡의 속성정보의 악곡구성 정보를 추출하고, 리스너가 좋아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곡조를 판정한다. 이 경우, 재생빈도가 높은 악곡이 여러 개 있고, 그것들의 곡조가 일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그 곡조의 악곡구성 정보를 리스너가 좋아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재생빈도가 높은 악곡이 복수 개 있고, 또한 곡조도 복수 개 있을 때에는, 예를 들면 곡조가 같은 고빈도 재생 악곡을 리스너가 좋아하는 악곡구성 정보로 판정한다.
그리고,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는 상기한 리스너가 좋아하고 있다고 판정한 곡조의 악곡구성 정보와 유사한 악곡구성 정보를 구비하는 다른 악곡, 요컨대 곡조가 유사한 다른 악곡을 선출하고, 그것들을 다음 악곡재생 후보로 한다(스텝S66). 이것은, 리스너가 현재 재생중인 악곡에 선호하고 있지 않으므로, 과거의 리스너의 재생이력으로부터 리스너가 선호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악곡을 리스너에게 제시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는 재생중인 악곡이 최후까지 재생되었는지를 감시하고(스텝S67), 악곡의 최후까지 재생되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당해 재생한 악곡(음악 콘텐츠)에 관한 재생이력을 재생이력정보 보유부(17)에 있어서 갱신함 동시에, 당해 음악 콘텐츠의 속성정보의 재생이력정보도 갱신한다(스텝S68).
그리고,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는 스텝S66에서 결정한 재생 악곡후보 속에서, 다음에 재생할 악곡의 음악 콘텐츠를 선택하고, 당해 음악 콘텐츠의 영상음향 데이터의 판독을 지시하고, 그 악곡의 재생을 시작하도록 한다(스텝S69). 그리고, 스텝S63으로 돌아가서, 당해 스텝S63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S67에서, 악곡의 최후까지 이르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 단 제어부(201)는 리스너에 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13)의 조작부에 설치되는 다음 버튼이 눌러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스텝 S70). 이 다음 버튼은 리스너가 현재 듣고 있는 악곡이 아니라, 다음 악곡을 듣고 싶을 때에 누르는 버튼이다.
스텝 S70에서, 다음 버튼이 눌러졌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는 스텝S69로 진행되고, 스텝S66에서 결정한 재생악곡후보 속에서, 다음에 재생할 악곡의 음악 콘텐츠를 선택하고, 당해음악 콘텐츠의 영상음향 데이터의 판독을 지시하고, 그 악곡의 재생을 시작하도록 한다. 그리고, 스텝S63으로 돌아가서, 당해 스텝S63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또한 스텝 S70에서 다음 버튼이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의 조작부의 정지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러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하고(스텝 S71), 정지 버튼이 눌러지지 않았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스텝S67으로 되돌아오고, 재생악곡의 종료를 감시하여 정지 버튼이 눌러졌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이 재생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64에서, 리스너가 재생중인 악곡에 선호하고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는 리스너의 기호도는 높은 것인가 아닌가, 예를 들면 전술한 "들뜬" 수치 등을 이용하여 판정한다(도12의 스텝S81).
그리고, 리스너의 기호도가 그다지 높지 않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 판단제어부(201)는 이 실시예에서는 주변환경정보 취득부(40)로부터 취득한 주변환경정보를 가미하여 현재 재생중인 악곡과 곡조가 유사한 악곡을 다음 재생 악곡후보로 한다(스텝S82). 즉, 예를 들면 먼저 현재 재생중인 악곡에 부수되는 속성정보의 악곡구성 정보와 유사한 악곡구성 정보를 속성정보로 하는 다른 악곡을 선정한다. 그리고, 주변환경정보 취득부(40)로부터 취득한 현재 위치의 정보, 예를 들면 산이나 바다 등의 정보를 취득하고, 그 장소들에 있어서 청취하도록 추천되어 있는 주변환경정보를 속성정보에 포함하는 악곡을, 그 선정된 악곡 속에서 선택하고, 다음 재생 악곡후보로 한다.
또, 스텝S82에 있어서는, 현재재생중인 악곡과 곡조가 유사한 악곡은 탐색하지 않고, 주변환경정보만 에 의거하여 다음의 재생 악곡후보를 결정하여도 좋다. 또한 당해 주변환경정보에 합치되는 주변환경정보를 구비하는 악곡뿐만 아니라, 그 악곡의 악곡구성 정보와 유사한 악곡을 구하고, 그것들을 다음 재생 악곡후보로 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스텝S81에서, 기호도가 높다고 판별한 때에는,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는 현재 재생중인 악곡과 곡조가 유사한 악곡을 다음 재생 악곡 후보로 한다(스텝S83). 즉, 현재 재생중인 악곡에 부수되는 속성정보의 악곡구성 정보와 유사한 악곡구성 정보를 속성정보로 하는 다른 악곡을 선정하고, 그것들을 다음 재생 악곡후보로 한다.
더욱이,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는 재생중인 악곡의 속성정보로부터, 악곡소재 단위의 단락정보와 함께, 템포, 키, 코드진행 등의 악곡소재 단위의 악곡구성 정보를 취득한다(스텝S84). 그리고, 이 악곡소재 단위의 단락정보나 악곡소재 단위의 악곡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음악적으로 위화감이 없도록, 악곡의 음향 데이터를 재구성한다(스텝S85). 또한, 이 스텝S85에서는, 영상데이터에도 이펙트(special effect)를 걸거나 해도 좋다.
음향 데이터의 재구성은 예를 들면 전술한 리믹스나 이펙트(sound effect) 외에 템포를 빨리 하거나, 느리게 하거나, 또는 키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거나, 코드진행을 바꾸어 보는 등의 처리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리믹스의 경우에는, 다른 악곡의 악곡구성 정보 속에서, 당해 재생중인 악곡의 악곡구성 정보와 유사한 것을 선정하고, 상기 악곡소재 단위의 단락을 고려하여 위화감이 없도록 원래의 악곡에 혼합하도록 한다. 이 리믹스의 때에, 어떤 악곡소재 단위의 곡 데이터를 믹스할지를 속성정보중의 상기 감성정보를 참조하여도 좋다.
또한 기록재생장치에 미리 드럼에 의한 리듬의 피치나 퍼커션(percussion)의 파트를 기억해서 준비해 두고, 그것들을 재생중인 악곡에 악곡소재 단위의 단락에 주의하면서 리믹스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는 리믹스할 다른 악곡을 선정할 경우에, 주변환경정보를 참조하여 당해 주변환경에 적합한 악곡을 그 속성정보의 주변환경정보를 참조함으로써 탐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재생중인 악곡의 속성정보중에 추천하는 이펙트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이펙트(sound effect)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악곡소재 단위의 단락에 주의하고, 음악적으로 위화감이 없도록 이펙트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예에서는, 리스너가 재생중인 악곡에 선호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스텝S65에서 재생이력정보를 취득하고, 스텝S66에서 당해 재생이력정보에 의거하여 다음의 재생 악곡후보를 정하도록 하였지만, 스텝S65에서, 주변환경정보 취득부(40)를 통해서 취득한 주변환경정보를 해석하여 예를 들면 산이나 바다와 같은 장소를 산출하고, 스텝S66에서, 속성정보로서 당해 주변환경정보에 합치되는 주변환경정보를 구비하는 악곡을 다음 재생 악곡후보로서 규정하여도 좋다. 또한 당해 주변환경정보에 합치되는 주변환경정보를 구비하는 악곡뿐만 아니라, 그 악곡의 악곡구성 정보와 유사한 악곡을 구하고, 그것들을 다음 재생 악곡후보로 하여도 좋다.
나아가, 영상음향 데이터 선택판단 제어부(201)는 스텝S66에 있어서, 재생이력정보와 주변환경정보의 양쪽을 이용하여, 다음 재생 악곡후보를 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 및 변형 예]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음악 콘텐츠 기억부는 하드디스크 장치로 구성하고, 음악 콘텐츠의 영상음향 데이터와 속성정보가 음악 콘텐츠 식별정보(음악 콘텐츠ID)를 거쳐서 대응되어져 기록되도록 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음악 콘텐츠 기억부는 리무벌 기록 미디어(착탈가능 미디어)인 DVD 등의 광디스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는, 음악 콘텐츠 기억부에 있어서는 음악 콘텐츠에는 속성정보가 반드시 부수되는 것처럼 설명했지만, 속성정보는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인터넷으로부터 음악 콘텐츠ID를 검색자로서 취득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인터넷에 접속되는 서버장치가 속성정보 기억부를 구성하게 된다.
요컨대, 음악 콘텐츠의 영상음향 데이터와 속성정보는 1개의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음악 콘텐츠ID 등의 양자를 대응시키는 정보를 이용하여 대응하는 것이 가능한 형태이면, 각각 별도의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기록재생장치의 경우이지만 본 발명은 기록기능이 없는 재생장치이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도11 및 도12의 재생처리의 흐름은 일례이며, 어떻게 재생을 행할지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기호도가 높을 때에만 재생중인 악곡에 대해서, 템포나 키를 변경하거나, 리믹스하거나, 이펙트(sound effect)를 걸거나 해서 재구성처리를 행하도록 했지만, 기호도에 관계없이 재생중인 악곡에 대해서 재구성처리를 행하여도 좋 다.
또한 재생이력보유부(17)로부터 취득한 재생이력정보와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에 관한 속성정보의 악곡구성 정보에 의거하여 음향재생 출력하는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과거의 재생이력에 의해 예를 들면 시청빈도가 높게 좋아하는 악곡을 검출하고, 예를 들면 그 악곡의 속성정보의 악곡구성 정보와 재생중인 음악 콘텐츠의 속성정보의 악곡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위화감이 없도록 고빈도 재생이력의 악곡 데이터를 악곡소재 단위로 재생중인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에 가하거나 해서, 리스너가 좋아하는 곡조로 재생중인 악곡을 재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주변환경정보 취득수단으로부터 취득한 주변환경정보와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에 관한 속성정보에 의거하여 음향재생 출력하는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재구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바다, 산, 아침, 낮, 밤 등의 주변환경정보를 취득하고, 그 주변환경정보에 적합한 다른 악곡을 속성정보로서의 주변환경정보를 검색자로서 검색하고, 검색결과의 다른 악곡의 데이터를 재생중인 음악 콘텐츠의 속성정보의 악곡구성 정보의 단락정보에 맞추고, 위화감이 없도록 믹스하거나 함으로써,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재구성할 수 있으므로, 주변환경에 따른 곡조로 재생중인 악곡을 재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재구성 요구에 따라, 음악 콘텐츠에 부수되는 속성정보의 악곡구성 정보를 이용하여 상술 한 바와 같은 재구성처리를 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 사용자가 리믹스/이펙트(sound effect)/템포 변경/키 변경/코드 변경 중의 어느 것을 행할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음악 콘텐츠로서 영상데이터가 부수된 것을 다루도록 하였지만, 영상데이터는 필수적이지 않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악곡의 재생을 시작할 때, 최초의 악곡은 사용자가 선택지정하도록 하였지만, 예를 들면 리스너의 생체정보나 주변환경정보 혹은 재생이력정보로부터 최초의 악곡을 장치가 자동적으로 선택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리스너의 생체정보로부터 리스너가 흥분상태 혹은 안정상태인지를 판별하고, 거기에 합치되는 혹은 반대 곡조의 악곡을 최초의 곡으로서 선택하여도 좋다. 또한 현재 위치가 산인가, 바다인가를 주변환경정보로부터 판별하고, 속성정보에 포함되는 주변환경정보를 참조하여 당해 장소에 합치되는 악곡을 선택하고, 최초의 악곡으로 해도 좋다. 또한 재생이력으로부터 잘 듣고 있는 악곡을 최초의 악곡으로서 선택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기분이나 청취 환경 등에 따른, 사용자가 청취하고 싶은 음악 콘텐츠를 재생 악곡후보로서 제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청취하고 있는 사용자의 기호나 주변환경 등을 실시간으로 악곡에 반영시켜서, 악곡 자신을 재구성할 수 있다.

Claims (31)

  1. 복수 개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음악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1 취득수단과,
    상기 음악 콘텐츠와 대응하여서, 적어도 상기 음악 콘텐츠의 악곡소재 단위의 악곡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속성정보를 취득하는 제2 취득수단과,
    상기 제1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 데이터를 음향재생 출력하는 재생수단과,
    몸동작, 호흡, 맥, 혈압, 체온, 피부발한(땀), 피부저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 리스너의 생체정보를 센싱을 통해 취득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속성정보를 검색하여 다음의 재생 악곡후보를 재생이력 순으로 결정하는 결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속성정보는, 정량화된 수치로 정의하고 있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악곡감성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수단에서 출력되는 정보로부터 상기 악곡감성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악곡감성정보는, 각 감성축 상의 수치 선택에 따라 형성되는 도형의 형태로 규정되며,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도형의 형태의 비교를 통해 상기 다음의 재생 악곡후보를 결정하는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취득된 리스너의 생체정보와 상기 음향재생 출력중의 음악 콘텐츠의 속성정보와의 상관계수를 통해 상기 리스너가 선호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판별수단이 리스너가 선호하고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 상기 제2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속성정보에 따라 다른 음악 콘텐츠를 검색하여 다음 재생 악곡후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음악 콘텐츠에 관한 재생이력을 유지하는 재생이력보유부와,
    상기 리스너가 선호하고 있지 않다고 판별했을 때에, 상기 재생이력 보유부의 상기 재생이력을 참조하여 음악 콘텐츠를 검색하는 검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재생이력에 따라 다른 음악 콘텐츠를 다음 재생 악곡후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온도, 습도, 계절, 일시(日時)를 포함하는 주변환경정보를 위치정보를 통해 취득하는 주변환경정보 취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속성정보에 포함되는 주변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다음의 재생 악곡후보로 하는 조건에 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
  5. 복수 개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음악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1 취득수단과,
    상기 음악 콘텐츠와 대응하여서, 적어도 상기 음악 콘텐츠의 악곡소재 단위의 악곡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속성정보를 취득하는 제2 취득수단과,
    상기 제1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 데이터를 음향재생 출력하는 재생수단과,
    음악 콘텐츠에 관한 재생이력을 유지하는 재생이력 보유부와,
    상기 재생이력 보유부의 상기 재생이력을 참조하여 음악 콘텐츠를 검색하는 검색수단과,
    상기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음악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상기 속성정보 기억부에서 취득함과 동시에, 당해 취득한 속성정보에 따라 다른 음악 콘텐츠를 다음 재생 악곡후보로 하는 결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속성정보는, 정량화된 수치로 정의하고 있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악곡감성정보를 포함하며,
    몸동작, 호흡, 맥, 혈압, 체온, 피부발한(땀), 피부저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 리스너의 생체정보로부터 상기 악곡감성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악곡감성정보는, 각 감성축 상의 수치 선택에 따라 형성되는 도형의 형태로 규정되며,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도형의 형태의 비교를 통해 상기 다음의 재생 악곡후보를 결정하는 악곡재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온도, 습도, 계절, 일시(日時)를 포함하는 주변환경정보를 위치정보를 통해 취득하는 주변환경정보 취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속성정보에 포함되는 주변환경정보에 따라 상기 다음의 재생 악곡후보로 결정하는 조건에 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재생장치.
  7. 복수 개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음악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1 취득 스텝과,
    상기 음악 콘텐츠와 대응하여서, 적어도 상기 음악 콘텐츠의 악곡소재 단위의 악곡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속성정보를 취득하는 제2 취득 스텝과,
    상기 제1 취득 스텝에서 취득한 상기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 데이터를 음향재생 출력하는 재생 스텝과,
    몸동작, 호흡, 맥, 혈압, 체온, 피부발한(땀), 피부저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 리스너의 생체정보를 센싱을 통해 취득하는 검출 스텝과,
    상기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속성정보를 검색하여 다음의 재생 악곡후보를 재생이력 순으로 결정하는 결정 스텝을 구비하며,
    상기 속성정보는, 정량화된 수치로 정의하고 있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악곡감성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 스텝에서 출력되는 정보로부터 상기 악곡감성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악곡감성정보는, 각 감성축 상의 수치 선택에 따라 형성되는 도형의 형태로 규정되며,
    상기 결정 스텝에서 상기 도형의 형태의 비교를 통해 상기 다음의 재생 악곡후보를 결정하는 음악 콘텐츠의 재생방법.
  8. 복수 개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음악 콘텐츠 데이터 기억부로부터,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의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1 취득 스텝과,
    상기 음악 콘텐츠와 대응하여서, 적어도 상기 음악 콘텐츠의 악곡소재 단위의 악곡구성 정보를 포함하는 속성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속성정보를 취득하는 제2 취득 스텝과,
    상기 제1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상기 재생대상의 음악 콘텐츠 데이터를 음향재생 출력하는 재생 스텝과,
    음악 콘텐츠에 관한 재생이력을 유지하는 재생이력 보유부의 상기 재생이력을 참조하여 음악 콘텐츠를 검색하는 검색 스텝과,
    상기 검색 스텝에서 검색된 음악 콘텐츠의 속성정보를 상기 속성정보 기억부에서 취득함과 동시에, 당해 취득한 속성정보에 따라 다른 음악 콘텐츠를 다음 재생 악곡후보로 하는 결정 스텝을 구비하며,
    상기 속성정보는, 정량화된 수치로 정의하고 있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악곡감성정보를 포함하며,
    몸동작, 호흡, 맥, 혈압, 체온, 피부발한(땀), 피부저항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 리스너의 생체정보로부터 상기 악곡감성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악곡감성정보는, 각 감성축 상의 수치 선택에 따라 형성되는 도형의 형태로 규정되며,
    상기 결정 스텝에서 상기 도형의 형태의 비교를 통해 상기 다음의 재생 악곡후보를 결정하는 음악 콘텐츠의 재생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050108956A 2004-11-16 2005-11-15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 음악 콘텐츠의 재생방법 및 음악콘텐츠 및 그 속성정보의 기록장치 KR101203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31583 2004-11-16
JP2004331583A JP4713129B2 (ja) 2004-11-16 2004-11-16 音楽コンテンツの再生装置、音楽コンテンツの再生方法および音楽コンテンツおよびその属性情報の記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357A KR20060055357A (ko) 2006-05-23
KR101203091B1 true KR101203091B1 (ko) 2012-11-20

Family

ID=35613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8956A KR101203091B1 (ko) 2004-11-16 2005-11-15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 음악 콘텐츠의 재생방법 및 음악콘텐츠 및 그 속성정보의 기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17852B2 (ko)
EP (2) EP1657721A3 (ko)
JP (1) JP4713129B2 (ko)
KR (1) KR101203091B1 (ko)
CN (1) CN18011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634A1 (ko) * 2014-10-31 2016-05-06 (주)와이브레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190009821A (ko) * 2019-01-21 2019-01-29 네이버 주식회사 음원 컨텐츠 및 메타 정보를 이용한 플레이리스트 자동 생성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2482B2 (en) * 2001-05-16 2011-06-14 Pandora Medi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utilizing contextual feedback to generate and modify playlists
JP4713129B2 (ja) * 2004-11-16 2011-06-29 ソニー株式会社 音楽コンテンツの再生装置、音楽コンテンツの再生方法および音楽コンテンツおよびその属性情報の記録装置
US8694910B2 (en) 2006-05-09 2014-04-08 Sonos, Inc. User interface to enable users to scroll through a large list of items
US9075509B2 (en) 2006-05-18 2015-07-07 Sonos, Inc. User interface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on a selected item in a list
JP2008015595A (ja) 2006-07-03 2008-01-24 Sony Corp コンテンツ選択推薦方法、サーバ、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記録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選択推薦用プログラム
JP2008052786A (ja) * 2006-08-23 2008-03-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再生装置
KR101402278B1 (ko) * 2006-11-28 2014-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8005768B2 (en) 2006-11-28 2011-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media file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JP5043418B2 (ja) * 2006-12-18 2012-10-10 テルモ株式会社 音楽再生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7804016B2 (en) * 2007-07-26 2010-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music to be recommended for user by using music reproduction device
JP4973409B2 (ja) * 2007-09-13 2012-07-11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オーディオ装置及び曲再生プログラム
EP2099198A1 (en) * 2008-03-05 2009-09-09 Sony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personalizing a multimedia application
JP4623124B2 (ja) * 2008-04-07 2011-02-02 ソニー株式会社 楽曲再生装置、楽曲再生方法および楽曲再生プログラム
JP4577412B2 (ja) * 2008-06-20 2010-11-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8745047B2 (en) * 2008-08-28 2014-06-03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Media recommendation and acquisition system
JP4780185B2 (ja) 2008-12-04 2011-09-28 ソニー株式会社 音楽再生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282548B2 (ja) * 2008-12-05 2013-09-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音素材の切り出し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077784B2 (en) 2009-02-06 2015-07-07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Media file synchronization
US8893232B2 (en) 2009-02-06 2014-11-18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Media monitoring system
JP2010282160A (ja) * 2009-06-08 2010-12-16 Yamaha Corp 音楽コンテンツ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126281B2 (ja) * 2010-04-27 2013-01-23 ソニー株式会社 楽曲再生装置
US20120066704A1 (en) * 2010-09-15 2012-03-15 Markus Agevik Audiovisual content tagging using biometric sensor
JP5877973B2 (ja) * 2011-08-08 2016-03-08 アイキューブド研究所株式会社 情報システム、情報再現装置、情報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080538A (ja) 2011-10-04 2013-05-02 Sony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14001607A1 (en) * 2012-06-29 2014-01-03 Nokia Corporation Video remixing system
US10055491B2 (en) 2012-12-04 2018-08-21 Sonos, Inc. Media content search based on metadata
US9953179B2 (en) 2013-05-29 2018-04-24 Sonos, Inc. Private queue indicator
JP6111932B2 (ja) * 2013-08-26 2017-04-12 ソニー株式会社 行動支援装置、行動支援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10095785B2 (en) 2013-09-30 2018-10-09 Sonos, Inc. Audio content search in a media playback system
US10028028B2 (en) 2013-09-30 2018-07-17 Sonos, Inc. Accessing last-browsed information in a media playback system
JP2015133008A (ja) * 2014-01-14 2015-07-2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装置、車載機器、表示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9372610B2 (en) 2014-02-21 2016-06-21 Sonos, Inc. Media system controller interface
USD775632S1 (en) * 2014-03-07 2017-01-03 Sono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6266S1 (en) 2014-03-07 2017-05-09 Sono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5649S1 (en) 2014-03-07 2017-05-02 Sono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92420S1 (en) 2014-03-07 2017-07-18 Sono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2918S1 (en) 2014-03-07 2016-11-29 Sono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892118B2 (en) 2014-03-18 2018-02-13 Sonos, Inc. Dynamic display of filter criteria
JP2017524149A (ja) * 2014-04-10 2017-08-24 フラウンホッファー−ゲゼルシャフト ツァ フェルダールング デァ アンゲヴァンテン フォアシュンク エー.ファオ 身体的な活動中に適応性のある音響再生のためのオーディオ・システムおよび方法
DE112014006613T5 (de) * 2014-04-22 2017-01-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Benutzerschnittstellensystem, Benutzerschnittstellensteuereinrichtung, Benutzerschnittstellensteuerverfahren und Benutzerschnittstellensteuerprogramm
JP6266427B2 (ja) * 2014-05-01 2018-01-24 Kddi株式会社 ユーザのストレス度に応じて音楽を選択する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9269339B1 (en) * 2014-06-02 2016-02-23 Illiac Software, Inc. Automatic tonal analysis of musical scores
US9524339B2 (en) 2014-07-30 2016-12-20 Sonos, Inc. Contextual indexing of media items
GB2581032B (en) * 2015-06-22 2020-11-04 Time Machine Capital Ltd System and method for onset detection in a digital signal
DE102015223935A1 (de) * 2015-12-01 2017-06-0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System zur Ausgabe von Audio-Signalen sowie zugehöriges Verfahren und Einstellvorrichtung
CN106302678A (zh) * 2016-08-08 2017-01-04 北京谱思科技有限公司 一种音乐推荐方法及装置
USD854043S1 (en) 2017-09-29 2019-07-16 Sono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481858B2 (en) 2017-12-06 2019-11-19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Generating personalized audio content based on mood
US11127386B2 (en) * 2018-07-24 2021-09-21 James S. Brow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music from electrodermal activity data
USD963685S1 (en) 2018-12-06 2022-09-13 Sono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edia playback control
JP2020106753A (ja) * 2018-12-28 2020-07-09 ローランド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システム
CN111314771B (zh) * 2020-03-13 2021-08-2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方法及相关设备
JP7140810B2 (ja) * 2020-10-23 2022-09-21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制御装置、プログラム、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0898A1 (en) * 2001-01-23 2002-09-19 Michiko Ogawa Audio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JP2003151243A (ja) * 2001-11-09 2003-05-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楽記録再生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6737A (en) * 1987-04-08 1990-05-22 Casio Computer Co., Ltd. Automatic composer using input motif information
JPH04351777A (ja) 1991-05-28 1992-12-07 Fujitsu Ten Ltd 光ディスク再生装置における自動選曲方法
JPH0730876A (ja) 1993-07-08 1995-01-31 Hitachi Ltd 音響信号制御装置
JP2000268047A (ja) 1999-03-17 2000-09-29 Sony Corp 情報提供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情報提供サーバ及び情報提供方法
US7022905B1 (en) * 1999-10-18 2006-04-04 Microsoft Corporation Classification of information and use of classifications in searching and retrieval of information
WO2001086627A2 (en) * 2000-05-05 2001-11-15 Sseyo Limited Automated generation of sound sequences
JP2002114107A (ja) * 2000-10-10 2002-04-16 Nissan Motor Co Ltd オーディオ装置及び音楽提供方法
JP2003134428A (ja) 2001-10-22 2003-05-09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2003173350A (ja) * 2001-12-05 2003-06-20 Rainbow Partner Inc 音楽・映像コンテンツを推薦するシステム
JP4089351B2 (ja) 2002-08-27 2008-05-28 ヤマハ株式会社 録音再生方法及び録音再生装置
JPWO2004051657A1 (ja) 2002-11-29 2006-04-06 富士通株式会社 多重記録媒体及び記憶装置
US7518054B2 (en) * 2003-02-12 2009-04-14 Koninlk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dio reproduction apparatus, method, computer program
JP2005156641A (ja) * 2003-11-20 2005-06-16 Sony Corp 再生態様制御装置及び再生態様制御方法
JP4052274B2 (ja) * 2004-04-05 2008-02-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示装置
JP4713129B2 (ja) * 2004-11-16 2011-06-29 ソニー株式会社 音楽コンテンツの再生装置、音楽コンテンツの再生方法および音楽コンテンツおよびその属性情報の記録装置
JP2006171133A (ja) * 2004-12-14 2006-06-29 Sony Corp 楽曲データ再構成装置、楽曲データ再構成方法、音楽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音楽コンテンツ再生方法
CN101103412B (zh) * 2005-01-17 2011-04-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音乐再现设备、方法和集成电路
JP4622829B2 (ja) * 2005-11-29 2011-02-02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楽曲検索再生装置、楽曲検索再生方法、印象語設定プログラム
JP3173350U (ja) 2011-11-18 2012-02-02 株式会社中央住宅 集合住宅の部屋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0898A1 (en) * 2001-01-23 2002-09-19 Michiko Ogawa Audio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JP2003151243A (ja) * 2001-11-09 2003-05-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楽記録再生方法および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634A1 (ko) * 2014-10-31 2016-05-06 (주)와이브레인 음악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190009821A (ko) * 2019-01-21 2019-01-29 네이버 주식회사 음원 컨텐츠 및 메타 정보를 이용한 플레이리스트 자동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102031282B1 (ko) * 2019-01-21 2019-10-11 네이버 주식회사 음원 컨텐츠 및 메타 정보를 이용한 플레이리스트 자동 생성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357A (ko) 2006-05-23
EP1657721A3 (en) 2006-07-05
US20060126452A1 (en) 2006-06-15
JP2006146980A (ja) 2006-06-08
CN1801135A (zh) 2006-07-12
JP4713129B2 (ja) 2011-06-29
EP1818935A1 (en) 2007-08-15
EP1657721A2 (en) 2006-05-17
US8017852B2 (en) 201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3091B1 (ko)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 음악 콘텐츠의 재생방법 및 음악콘텐츠 및 그 속성정보의 기록장치
KR101233800B1 (ko) 음악 콘텐츠의 재생장치 및 음악 콘텐츠 재생방법
KR20070098804A (ko) 악곡 데이터 재구성 장치, 악곡 데이터 재구성 방법, 음악콘텐츠 재생 장치 및 음악 콘텐츠 재생 방법
JP4306754B2 (ja) 楽曲データ自動生成装置及び音楽再生制御装置
KR100913978B1 (ko) 미디어 데이터 포맷을 위한 메타데이터 유형
JP2006084749A (ja) コンテンツ生成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生成方法
JP4243862B2 (ja) コンテンツ利用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利用方法
KR20060049375A (ko) 콘텐츠 이용장치, 콘텐츠 이용방법, 분배 서버 장치, 정보분배 방법 및 기록 매체
JP4330174B2 (ja) 情報選択方法及び情報選択装置等
US10819884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multimedia data
JP2008299631A (ja) コンテンツ検索装置、コンテンツ検索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検索プログラム
JP2023091483A (ja) 格納装置、再生装置、格納方法、再生方法、データ構造、及びプログラム
JP2018136363A (ja) 音楽画像出力装置、音楽画像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090682A (ja) データ管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