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692B1 - 현가식 댐퍼장치,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기류혼합 흡인식분립체 포집기 - Google Patents

현가식 댐퍼장치,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기류혼합 흡인식분립체 포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692B1
KR101202692B1 KR1020050015426A KR20050015426A KR101202692B1 KR 101202692 B1 KR101202692 B1 KR 101202692B1 KR 1020050015426 A KR1020050015426 A KR 1020050015426A KR 20050015426 A KR20050015426 A KR 20050015426A KR 101202692 B1 KR101202692 B1 KR 101202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or
cover plate
suction
material discharge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2157A (ko
Inventor
마사아키 노사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마쯔이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마쯔이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마쯔이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42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2Directly conveying the articles, e.g. slips, sheets, stockings, containers or workpieces, by flowing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0Devices for separating the materials from propellan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24Gas su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재료 배출구에 대하여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도록 하여, 매달기 부재에서 매달아서 지지된 덮개판을 갖는 현가식 댐퍼장치,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기류혼합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그 덮개판은 흡인력을 작용시켜서, 분립체 재료를 상기 포집기 본체에 흡인 보급할 때에는 그 흡인력을 받아서 상기 재료 배출구를 폐쇄하는 한편, 포집기 본체에 소정량의 분립체 재료가 저류된 때에는, 그 분립체 재료의 하중을 받아서 상기 재료 배출구를 개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현가식 댐퍼장치,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기류혼합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SUSPENSION TYPE DAMPER UNIT, SUCTION TYPE POWDER COLLECTOR, AND AIR MIXING SUCTION TYPE POWDER COLLECTOR}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현가식(懸架式) 댐퍼장치(A),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B)의 일실시예를 개략한 전체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파선으로 둘러싼 부분을 나타낸 현가식 댐퍼장치(A)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3(a),(b)는 도1에서 나타낸 현가식 댐퍼장치(A)의 주요부를 확대한 동작 설명도이다.
도4(c),(d)는, 도1에서 나타낸 현가식 댐퍼장치(A)의 주요부를 확대한 동작 설명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현가식 댐퍼장치(A), 기류혼합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C)의 일 실시예를 개략한 전체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A: 현가식 댐퍼장치
B: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C: 기류혼합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t: 간극
1: 포집기 본체
2: 재료 공급구
3: 재료 배출구
31' 접속관
4: 기체 흡인구
6: 덮개판
7: 매달기 부재
8: 스토퍼부
본 발명은, 기체에 의해 분립체 재료(예를 들면, 합성수지 원재료 등의 분립체)가 수송되는 현가식 댐퍼장치,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기류혼합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포집기 본체의 상부에 재료공급구, 하부에 댐퍼장치를 설치한 재료 배출구를 형성하고, 그 재료배출구를 닫고, 포집기 본체의 적소에 설치한 기체 흡인구에서 흡인공기를 작용시켜, 상기 재료공급구에서 분립체 재료를 흡인함으로써, 포집기 본체내에 분립체 재료를 저류시키는 구조의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는 있었다.
또, 상부에 기체 흡인구, 하부에 재료배출구를 설치한 재료 혼합조와, 재료저류조를, 재료공급구를 설치한 연결관으로 접속하고, 상기 기체흡인구에 작용시킨 흡인력에 의해, 상기 재료공급구에서 공급되는 분립체 재료를 상기 재료혼합조에서 기류혼합하면서, 소정량의 상기 분립체 재료를 저류시킨 후, 상기 댐퍼장치를 열고, 그 분립체 재료를, 상기 재료저류조에 이송시키는 구조의 기류혼합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도 있었다.
이들의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및 기류혼합 흡인 분립체(이하,「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등」으로 생략한다.)의 상기 댐퍼장치는, 상기 재료배출구를 가로막기 위한 덮개판이 구동암의 자유단에 설치되고, 이 구동암의 지점을 통한 기단측에 밸런스추를 설치한 것이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또, 이 댐퍼장치에 추가로, 혹은, 상기 밸런스추를 대신하여, 솔레노이드, 센서 등을 이용하고, 상기 덮개판의 개폐 동작을 행하는 것도 있었다.
그리고, 흡인력을 기체 흡인구에 작용시키면, 재료배출구의 하부에 위치된 댐퍼장치 덮개판이 상기 흡인력에 의해 포집기 본체측에 빨아올려져서, 재료배출구를 닫음과 아울러, 포집기 본체내가 부압이되고, 분립체 재료가 재료공급구로부터 흡인력에 의해 공급되어, 포집기 본체에 저류된다.
한편, 상기 포집기 본체에 소정량의 분립체 재료가 수용되어, 덮개판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생기는 회전 모우멘트가, 밸런스추에 의해 생기는 회전 모우멘트를 초과하면, 덮개판이 아래쪽으로 강하하고, 재료배출구를 개구시키므로, 포집기 본체에 저류된 소정량의 분립체 재료가 낙하 배출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평9-263333호(도1)
그러나, 종래의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등의 댐퍼장치에서는, 그 덮개판을 개폐시키기 위해서, 상기 밸런스추나 구동암 등이 필요하게 되고, 또한, 솔레노이드, 센서 등을 설치한 것에서는,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선이 필요하게 되고, 구조가 복잡화된다는 문제가 더해지고, 장치전체도 대형화 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 구조의 복잡화는, 고장 요소가 많은 것에도 연결되고, 덮개판의 개폐 동작에 따른 기구상의 고장도 많아진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댐퍼장치 의 덮개판을를 매달기 부재로 매달아서 지지한다는 신규의 구조의 창작에 의해, 기구적으로도 간이의 구조라고 하고, 장치전체의 소형화, 경량화도 가능하게 한 현가식 댐퍼장치,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기류혼합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3에 관한 현가식 댐퍼장치,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기류혼합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에서는, 흡인력에 의해 개폐 동작되는 덮개판을, 재료배출구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도록 해서 매달기 부재로 매달아서 지지한다는 신규의 구조로 한 점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매달기 부재란, 덮개판이 분립체 재료의 하중을 받았을 때에, 덮개 판을 개방위치까지 원활하게 대피이동시키고 또한, 분립체 재료의 배출이 종료된 후에는, 최초의 대기 위치에 복귀하는데 충분한 변형을 이루는 것이면 좋고, 1종류의 소재, 복수종류의 조합의 소재나, 기계적인 기구를 문제 삼지 않는다. 후자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다관절 기구에서 매달아 지지하는 것이어도 좋다.
가장 간이한 예로서는, 덮개판을 가요성 소재, 예를 들면, 가느다란 2개의 와이어나 끈 등으로 매달아 지지한 구조로 하고, 대기위치에서는, 배출구와의 사이에 소정 간극을 형성하는 위치에 덮개판을 밸런스시키는 한편, 분립체 재료의 배출시에는, 그 분립체 재료의 하중에 의해 개방 위치까지 덮개판을 퇴피시키면서 배출하고, 그 배출후는, 최초의 대기 위치에 상기 덮개판이 복귀되는, 이른바 진자의 원리를 응용시킨 구조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분립체 재료가 포집기 본체에 흡인되어서 소정 질량에 달하던지, 혹은, 흡인력을 정지하는 등으로 하여, 그 저류된 질량이 흡인력을 넘으면, 재료배출구를 폐쇄하고 있던 덮개판은 열리고, 분립체 재료가 낙하 배출된다.
이때, 덮개판은, 분립체 재료의 낙하 배출에 따라, 분립체 재료의 낙하하는 하중을 받아서 최초의 대기위치보다 퇴피된 위치(「개방 위치」라고 부른다.)에 이동되지만, 포집기 본체의 재료의 배출이 완료되면, 그 자중에 의해 최초의 대기 위치로 자연히 되돌아 가는 것이다.
그 때문에, 기구적으로도 간이한 구조로 할 수 있고, 장치전체의 소형화, 경량화도 달성할 수 있다.
또, 간이한 구조에 의해, 고장요소를 경감할 수 있고, 덮개판의 개폐 동작에 따른 기구상의 고장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기류혼합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의 현가식 댐퍼장치에서는, 재료배출구와 덮개판이, 동 방향으로 경사된 상태로 소정의 간극을 형성해서 매달려 지지되어 있으므로, 덮개판이 대피되는 방향을 특별히 지정할 수 있고, 분립체 재료의 배출방향이나 배출위치도 특별히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기류혼합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의 현가식 댐퍼장치에서는, 분립체 재료의 배출이 끝나면, 매달기 부재가 대기위치로 되돌려지지만, 이 때, 매달기 부재는, 스토퍼부에 의해 요동이 규제되므로, 덮개판을 재빠르게 대기위치에 정지시켜, 복귀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현가식 댐퍼장치(A),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B)를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실시예 1]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현가식 댐퍼장치(A),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B)의 일 실시예를 개략한 전체 단면도, 도2는 도1의 파선으로 둘러싼 부분을 나타내는 현가식 댐퍼장치(A)의 개략 사시도이다.
이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B)는, 포집기 본체(1)의 상부에 재료공급구(2), 하부에 재료배출구(3)가 설치되고, 이들 재료배출구(3)의 아래쪽에, 본 발명의 현가식 댐퍼장치(A)를 설치한 것이며, 이 현가식 댐퍼장치(A)에서 재료배출구(3)를 닫고, 기체 흡인구(4)에서 블로워 등의 흡인력을 작용시켜, 재료공급구(2)에서 분립체 재료(도시생략)를 흡인함으로써, 포집기 본체(1)내에, 분립체 재료를 저료시키 는 구조의 것이다.
이하, 각 부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포집기 본체(1)는 상방이 개방된 원통상의 몸통부(11)와, 이 상부에 연결도구(12)에 의해 연결ㆍ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덮개부(13)로 이루어진다.
몸통부(11)는, 하단을 향해서 서서히 좁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분립체 재료를 하단의 재료배출구(3)에 원활하게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몸통부(11)의 측벽 상부에는, 재료공급구(2)가 개설되고, 이 재료공급구(2)에는, 또한 재료공급관(21)이 돌출설치되고, 이 재료공급관(21)을 통하여 분립체 재료가 공급된다.
덮개부(13)의 꼭대기벽에는, 기체흡인구(4)가 개설되고, 이 기체흡인구(4)에는, 배기관(41)을 통하여 블로워 등의 기체흡인장치(도시 생략)를 접속하고 있다.
여기서, 분립체 재료는, 분립ㆍ분체ㆍ미소박편ㆍ단섬유편 등을 포함하는 재료를 의미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수지용 분립체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포집기 본체(1)의 하단부에는 재료 배출구(3)를 개폐하는 본 발명의 현가식 댐퍼장치(A)를 설치할 수 있다.
현가식 댐퍼장치(A)는 재료배출구(3)의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극(t)을 형성해서 대기되는 덮개판(6)와, 덮개판(6)을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B)에 매달아서 지지하는 매달기 부재(7)를 구비해서 이루어진다.
이 덮개판(6)은 금속제 판, 합성 수지제 판 등으로, 재료배출구(3)를 은폐하는 형상, 크기이면 좋지만, 상기 블로워 등의 흡인력에 의해 들어 올려져, 재료배출구(3)를 밀폐하는 무게로 형성되어 있다.
또, 덮개판(6) 표면에 정전방지제 등을 불어부착하던지, 혹은, 덮개판(6) 자체를 정전방지 소재로 형성해 두면, 상기 분립체 재료와 덮개판(6)의 마찰 정전기에 의해, 분립체 재료가 덮개판(6)에 부착되는 것을 막고, 덮개판을 폐쇄시에 있어서 분립체 재료의 맞물려 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다.
간극(t)은, 분립체 재료의 재질이나 크기 등에 의해 수mm~수십mm 정도로 조절되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간극(t)은, 1Omm정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2에서는 도를 만드는 형편상, 간극(t)이 넓게 형성되도록 그려져 있지만, 요컨대, 기체흡인구(4)에서 블로워 등의 흡인력을 작용시켰을 때에, 이 흡인력에서 덮개판(6)가 들어올려져서, 재료배출구(3)를 닫힘 덮개로 할 수 있는 정도의 간극(t)이면 좋다.
매달기 부재(7)는, 2개의 와이어나 끈등의 가요성 소재를 이용하고, 이것들 매달기 부재(7)의 하단을, 덮개판(6)의 대략 대향위치에 각각 고정하고 있다.
이 매달기 부재(7)는, 재료배출구(3)를 구성하고 있는 재료배출관(31)의 외측에 위치 부착함으로써,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을 재료배출관(31)의 상부로 형성된 턱부(32)에 설치된 투과구멍(32')을 통하여, 고정도구(33)에 의해 고정하고 있다.
이처럼, 매달기 부재(7)를 재료 배출관(31)의 외측에 위치 부착함으로써, 분립체 재료에 매달기 부재(7)가 직접 접촉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분립체 재료의 배출이 방해될 일이 없고, 또한 이물 혼입의 방지나 동작 불량을 야기할 일도 없다.
이렇게 하여, 덮개판(6)을 재료배출구(3)의 아래쪽에 간격(t)을 형성한 상태로, 매달기 부재(7)에 의해 매달아 지지함으로써, 분립체 재료가 덮개판(6)의 윗쪽으로부터 배출될 때에는, 이 분립체 재료의 낙하 하중에 따라, 덮개판(6)이 한 쪽으로 퇴피되어, 상기 분립체 재료의 배출후에는, 다시 최초의 위치에 복귀되는, 이른바, 진자구조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현가식 댐퍼장치(A),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B)에 의하면, 덮개판(6)과 재료배출구(3) 사이에 소정의 간극(t)을 형성하도록 하고, 덮개판(6)을 매달기 부재(7)로 매달아 지지한다고 하는 간이적인 구조이기 때문에, 장치전체의 소형화,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또, 이러한 간이적인 구조에 의해, 고장요소를 경감할 수 있고, 덮개판(6)의 개폐동작에 따르는 기구상의 고장도 경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재료배출구(3)의 하단가장자리(34)를 경사지어 형성하고, 이 하단 가장자리(34)의 경사를 따라, 소정의 간극(t)을 형성하도록 하여, 덮개판(6)이 경사된 상태로 매달려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분립체 재료는, 경사되어 있는 하위측(도중 좌측)에 하중이 강하게 부하되므로, 덮개판(6)은 하위측(도중 좌측)으로부터 상위측(도중 우측)을 향해서 이동해서 대피된다.
그 때문에, 덮개판(6)의 대피되는 방향을 특별히 정할 수 있고, 분립체 재료의 배출방향이나 배출 위치도 특별히 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에 의해, 덮개판(6)의 대피방향을 특별히 정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예를 들면, 매달기 부재(7) 하단과 덮개판(6)의 고정위치를 편위시켜서, 덮개판(6)의 대피방향을 특별히 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현가식 댐퍼장치(A),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B)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3(a), (b) 및 도4(c), (d)는, 도1 및 도2에서 나타낸 현가식 댐퍼장치(A)의 주요부를 확대한 동작 설명도이다.
이하, 도1~도4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도1 및 도2와 공통되는 부위에는, 동일한 번호를 첨부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기체 흡인장치(도시 생략)의 작동전에는, 덮개판(6)은, 상술한 대로, 매달기 부재(7)에 의해, 재료배출구(3)의 아래쪽으로, 소정의 간극(t)을 형성해서 대기하고 있고, 포집기 본체(1)내에는 분립체 재료가 저류되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도1, 도2, 도3(a)참조).
이 상태로부터, 상기 기체 흡인장치(도시생략)에 의한 흡인공기를 기체흡인구(4)에 작용시키면, 포집기 본체(1) 내가 부압이 되고, 분립체 공급관(21)을 통해서 재료공급구(2)로부터 분립체 재료가 포집기 본체(1) 내에 공급됨과 아울러, 그 흡인공기는, 필터(14)를 통하여 배기관(41)으로 순환된다(도1,도2,도3(a)참조).
이 때, 현가식 댐퍼장치(A)에서는, 포집기 본체(1) 내의 기압차에 의해, 덮개판(6)을 매달아 지지하고 있는 매달기 부재(7)가 휘어짐과 아울러, 덮개판(6)이 윗쪽으로 들어올려져, 덮개판(6)은, 재료배출구(3)를 밀폐한다.(도3(a), (b) 참조).
또한, 부압직후에는, 간극(t)을 통해서 외기가 흡기되므로, 재료배출구(3)와 덮개판(6) 사이에, 분립체 재료가 부착되어져 있어도 흡인되어, 간극(t)에 분립체 재료가 맞물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해서 재료배출구(3)를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도3(a), (b)참조)
또한, 매달기 부재(7)가 휘어지기 어려운 소재를 사용하면, 부압 직후에 있어서의 덮개판(6)의 폐쇄시간을 다소 늦출 수 있고, 상기 흡기시간을 길게해서 재료 배출구(3)와 덮개판(6) 사이에 분립체 재료가 맞물려 들어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리하여, 덮개판(6)에 흡인력이 작용해서 재료배출구(3)를 닫으면, 분립체 재료는, 재료공급구(2)로부터 포집기 본체(1)에 흡인되어, 포집기 본체(1)에 소정량이 저류된다.
그리고, 포집기 본체(1)에 소정량의 분립체 재료가 수용되면, 포집기 본체(1)의 적소에 설치된 레벨센서(5) 등에 의해, 분립체 재료의 공급이 정지됨과 아울러, 상기 기체흡인 장치(도시 생략)의 작동도 정지 혹은 해제된다.
그러면, 포집기 본체(1) 내에 저류되어 있는 분립체 재료의 낙하 하중이 덮개판(6)에 가해지고, 폐지되어 있었던 재료배출구(3)를 개방함과 아울러, 매달기 부재(7)가 긴장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분립체 재료는, 그 자중(自重)에 의해, 재료배출구(3)로 부터 아래쪽으로 자연 낙하해서 배출되지만, 이 때, 덮개판(6)은, 분립체 재료의 낙하 하중에 의해, 한쪽(도중에서는 오른쪽)으로 흔들려, 대기위치에 대피된다.(도1,도2,도4(c)참조.)
즉, 저류되어 있던 분립체 재료가 배출됨에 따라서, 대기위치에 대피되어 있었던 덮개판(6)에는, 상기 낙하 하중도 차례로 감소되므로, 진자원리에 의해, 상기대기 위치부터 차례로 원래의 대기위치에 되돌아갈 수 있다.
또한, 도4(d)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료배출관(31)의 외측벽 아래쪽으로서, 매달기 부재(7)의 대기위치에, 이 매달기 부재(7)의 요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부(81)를 설치해 두면, 덮개판(6)이 되돌아올 때의 진동 시간을 감소할 수 있고, 덮개판(6)을 빠르게 대기위치에 정지시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도4(d) 참조.)
[실시예 2]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현가식 댐퍼장치(A), 기류혼합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C)의 일 실시예를 개략한 전체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현가식 댐퍼장치(A)가 부착된 기류혼합 흡인식 분체립 포집기(C)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1~도4과 대응하는 부위에는, 공통인 부호를 첨부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기류혼합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C)는, 상부에 기체흡인구(4), 하부에 재료배출구(3)를 설치한 재료혼합조(1')와, 재료저류조(8)를, 재료공급구(2)를 설치한 연결관(31')으로 접속하고, 기체 흡인구(4)에 작용시켜서 흡인력에 의해, 재료 공급구(2)에서 공급되는 상기 분립체 재료를 재료혼합조(1')에서 기류혼합하면서, 이 재료혼합조(1')에 소정량의 분립체 재료를 저류시킨 후, 현가식 댐퍼장치(A)를 상술과 같이 동작시킴으로써(도2, 도3참조), 저류되어 있는 상기 분립체 재료를재료혼합조(1')로부터 재료저류조(8)에 이송시키는 구조의 것이다.
이러한 현가식 댐퍼장치(A), 기류혼합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C)로서, 상술의 실시예 1로 나타낸 경우와 같이, 덮개판(6)과 재료배출구(3) 사이에 소정의 간극(t)을 형성하도록 하여, 덮개판(6)을 매달기 부재(7)에서 매달아 지지한다고 하는 간이적인 구조로 할 수 있고, 기류혼합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C)전체의 소형화,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간이적인 구조에 의해, 고장요소를 경감할 수 있고, 덮개판(6)의 개폐 동작에 따르는 기구상의 고장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청구항 1~3에 관한 현가식 댐퍼장치,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기류혼합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에 의하면, 덮개판을 재료 배출구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도록 하여 매달기 부재로 매달아서 지지한다는 신규의 구조에 의해, 기구적으로도 간이적인 구조로 할 수 있고, 장치전체의 소형화,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간이적인 구조에 의해, 고장요소를 경감할 수 있고, 덮개판의 개폐동작에 따른 기구상의 고장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현가식 댐퍼장치,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기류혼합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에 의하면, 덮개판이 대피되는 방향을 특별히 정할 수 있고, 분립체 재료의 배출방향이나 배출위치도 특별히 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현가식 댐퍼장치,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기류혼합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에 의하면, 매달기 부재를 재빠르게 대기위치에 정지시켜, 복귀효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9)

  1. 흡인식의 포집기 본체의 재료 배출구에 대하여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도록 해서, 매달기 부재로 매달아 지지된 덮개판을 보유하고,
    상기 덮개판은 흡인력을 작용시켜서, 분립체 재료를 상기 포집기 본체에 흡인 보급할 때에는, 그 흡인력을 받아서 상기 재료배출구를 폐쇄하는 한편, 포집기 본체에 소정량의 분립체 재료가 저류되었을 때에는, 그 분립체 재료의 하중을 받아서 상기 재료배출구를 개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현가식 댐퍼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료 배출구는 상기 포집기 본체의 하단에 설치된 재료배출관의 경사진 하단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매달기 부재는 가요성을 보유하는 2개의 와이어 또는 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 또는 끈의 각각은, 상기 재료배출관의 상부에 고정된 상단과, 상기 덮개판의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된 하단을 보유하고, 상기 재료배출관의 외측에 위치 부착되며,
    그들 상단, 하단은, 흡인력도 상기 분립체 재료의 하중도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덮개판이 상기 재료배출구를 따라서 경사진 대기상태에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식 댐퍼장치.
  2. 기체흡인구과 재료공급구를 설치한 포집기 본체와, 그 하부에 형성된 재료배출구에 설치된 댐퍼장치를 구비한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에 있어서,
    상기 댐퍼장치는, 상기 재료배출구에 대하여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도록 해서, 매달기 부재로 지지된 덮개판을 구비하고,
    상기 재료 배출구는 상기 포집기 본체의 하단에 설치된 재료배출관의 경사진 하단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매달기 부재는 가요성을 보유하는 2개의 와이어 또는 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 또는 끈의 각각은, 상기 재료배출관의 상부에 고정된 상단과, 상기 덮개판의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된 하단을 보유하고, 상기 재료배출관의 외측에 위치 부착되며,
    그들 상단, 하단은, 흡인력도 상기 분립체 재료의 하중도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덮개판이 상기 재료배출구를 따라서 경사진 대기상태에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3. 상부에 기체흡인구, 하부에 재료배출구를 설치한 재료 혼합조와, 재료 저류조와, 이것들을 접속하는 재료 공급구를 설치한 연결관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재료배출구에는, 댐퍼장치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기체 흡인구에 작용시킨 흡인력에 의해, 상기 재료공급구로부터 도입한 분립체 재료를 상기 재료 혼합조에서 기류혼합하면서, 재료 혼합조에 소정량의 분립체 재료를 저류시킨 후, 상기 댐퍼장치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그 분립체 재료를, 상기 재료저류조에 이송시키는 구조로 하고 있는 기류혼합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에 있어서,
    상기 댐퍼장치는, 상기 재료배출구에 대하여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도록 해서, 매달기 부재로 지지하여 덮개판을 구비하고,
    상기 재료 배출구는 상기 재료혼합조의 하단에 설치된 재료 배출관의 경사진 하단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매달기 부재는 가요성을 보유하는 2개의 와이어 또는 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 또는 끈의 각각은, 상기 재료배출관의 상부에 고정된 상단과, 상기 덮개판의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된 하단을 보유하고, 상기 재료배출관의 외측에 위치 부착되며,
    그들 상단, 하단은, 흡인력도 상기 분립체 재료의 하중도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덮개판이 상기 재료배출구를 따라서 경사진 대기상태에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혼합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달기 부재의 요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상기 재료배출관에 더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식 댐퍼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달기 부재의 요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상기 재료배출관에 더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배출관은, 상기 매달기 부재의 요동을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더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혼합 흡인식 포집기.
KR1020050015426A 2004-02-24 2005-02-24 현가식 댐퍼장치,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기류혼합 흡인식분립체 포집기 KR101202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47532A JP4560305B2 (ja) 2004-02-24 2004-02-24 吸引式粉粒体捕集器、気流混合吸引式粉粒体捕集器
JPJP-P-2004-00047532 2004-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157A KR20060042157A (ko) 2006-05-12
KR101202692B1 true KR101202692B1 (ko) 2012-11-21

Family

ID=3474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426A KR101202692B1 (ko) 2004-02-24 2005-02-24 현가식 댐퍼장치,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기류혼합 흡인식분립체 포집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22616B2 (ko)
EP (1) EP1568633B1 (ko)
JP (1) JP4560305B2 (ko)
KR (1) KR101202692B1 (ko)
CN (1) CN1660683B (ko)
AT (1) ATE364568T1 (ko)
DE (1) DE60200500133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91851A1 (en) * 2006-02-10 2007-08-16 Soon-Ju Chang Powder filling apparatus
KR100902107B1 (ko) * 2006-02-10 2009-06-15 장순주 파우더 이송장치
AT505872B1 (de) 2007-10-12 2010-05-15 Wittmann Kunststoffgeraete Materialabscheider für fördersysteme
CN101823633A (zh) * 2010-04-28 2010-09-08 南京湘宝钛白制品实业有限公司 一种节能型自动卸料器及应用
CN102275740A (zh) * 2011-05-13 2011-12-14 黄演洪 一种吸料机及工作方法
CN102688624A (zh) * 2012-06-14 2012-09-26 江苏中威重工机械有限公司 一种过滤箱
CN102910456B (zh) * 2012-11-08 2015-07-22 攀钢集团攀枝花钢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气固混合物料分离的调节阀
JP2015042572A (ja) * 2013-08-26 2015-03-05 株式会社松井製作所 粉粒体材料の捕集装置
US10053303B2 (en) 2016-01-05 2018-08-21 Stephen B. Maguire Low profile receiver
JP2016064901A (ja) * 2014-09-25 2016-04-28 株式会社松井製作所 粉粒体材料の貯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粉粒体材料の計量装置
JP2017024882A (ja) * 2015-07-27 2017-02-02 株式会社松井製作所 粉粒体材料の供給装置
TWI788753B (zh) * 2016-02-01 2023-01-01 史蒂芬 馬奎爾 粒狀樹脂材料的暫時儲存方法
CN105905459A (zh) * 2016-05-30 2016-08-31 东莞市恒荣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料斗结构系统
JP6501232B2 (ja) * 2016-06-30 2019-04-17 三菱電機プラント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材料捕集装置
CN108217226B (zh) * 2017-12-29 2020-02-25 日照轩宜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货仓进料用机械
JP7065627B2 (ja) * 2018-01-31 2022-05-12 極東開発工業株式会社 サイロ用投入口装置
WO2020004280A1 (ja) * 2018-06-29 2020-01-02 新東工業株式会社 サイクロン式分級装置の排出機構、サイクロン式分級装置及び研磨加工システム
CN109012473A (zh) * 2018-08-10 2018-12-18 山东康富森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片剂生产设备新型下料管
JP7197907B2 (ja) * 2019-02-26 2022-12-28 株式会社松井製作所 粉粒体材料の捕集装置
CN111173717A (zh) * 2019-12-31 2020-05-19 绵阳铂辉自动化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便于排液的真空缓冲罐
KR102507348B1 (ko) * 2021-07-20 2023-03-14 바테크 주식회사 분진 포집 및 자동 포장 시스템
CN114084678B (zh) * 2021-12-09 2024-05-14 上海矩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输送片剂的负压式吸入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33954A (en) 1973-01-30 1976-04-28 Waeschle Maschf Gmbh Separator for a suction conveyor apparatus
JPS628969U (ko) 1985-06-29 1987-01-20
JP2002308443A (ja) 2001-04-13 2002-10-23 Maruyasu:Kk 吸引ロー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1110A (en) * 1977-01-03 1978-03-28 Whitlock, Inc. Flexible membrane discharge for vacuum hopper
US4372713A (en) * 1980-10-03 1983-02-08 Process Control Corporation Bulk material receiver
GB2091671A (en) * 1981-01-23 1982-08-04 Conair Vacuum loader
DE3327461A1 (de) * 1983-07-29 1985-02-14 Waeschle Maschinenfabrik Gmbh, 7980 Ravensburg Abscheider fuer pneumatisch gefoerdertes schuettgut
US4947903A (en) * 1988-10-21 1990-08-14 Beckwith Robert H Material recovery apparatus
DE4038901A1 (de) * 1990-01-05 1991-07-11 Amboss & Langbein Elektro Elek Abgabevorrichtung
US6111211A (en) * 1999-11-16 2000-08-29 Aec, Inc. Fill level sensor for granular materi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33954A (en) 1973-01-30 1976-04-28 Waeschle Maschf Gmbh Separator for a suction conveyor apparatus
JPS628969U (ko) 1985-06-29 1987-01-20
JP2002308443A (ja) 2001-04-13 2002-10-23 Maruyasu:Kk 吸引ロー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39293A (ja) 2005-09-08
DE602005001333D1 (de) 2007-07-26
EP1568633A1 (en) 2005-08-31
ATE364568T1 (de) 2007-07-15
US20050205152A1 (en) 2005-09-22
CN1660683A (zh) 2005-08-31
JP4560305B2 (ja) 2010-10-13
DE602005001333T2 (de) 2007-10-04
EP1568633B1 (en) 2007-06-13
US7422616B2 (en) 2008-09-09
KR20060042157A (ko) 2006-05-12
CN1660683B (zh)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692B1 (ko) 현가식 댐퍼장치, 흡인식 분립체 포집기, 기류혼합 흡인식분립체 포집기
JP2701905B2 (ja) サイロ車輌等に粉粒物を積載する装置
KR101215962B1 (ko) Efem의 버퍼 스토리지 박스
JP2015042572A (ja) 粉粒体材料の捕集装置
CN104267575B (zh) 光掩模储放装置
JP7125736B2 (ja) 粉粒体材料の捕集装置
JP2005081144A (ja) 真空掃除機のモータ過負荷防止装置
CN209366605U (zh) 自动装袋机
JP2005178965A (ja) 吸引式粉粒体捕集器
JP2019089101A (ja) 塵埃除去装置
CN109564887A (zh) 装载埠以及晶圆搬送方法
JP2020132418A (ja) 粉粒体材料の捕集装置
JP2909306B2 (ja) 回転処理装置
JPS634032Y2 (ko)
CN212891366U (zh) 吨袋拆包机
CN1133396C (zh) 电动吸尘器
JP2022090783A (ja) 集塵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輸送システム
EP1584277A2 (en) Aspirator particularly for liquids
JP2886396B2 (ja) 回転処理装置
JPH10212033A (ja) 受入ホッパ装置
JPH11152103A (ja) 粉粒体収集装置
JPH0899198A (ja) 空缶の自動分別圧縮装置
JPS62282676A (ja) 石抜機における選別盤脱着装置
SU1608098A1 (ru) Ковшовый элеватор
JPH04222520A (ja) ハーベスタの除塵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