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950B1 - 용기면류 포장장치 및 그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용기면류 포장장치 및 그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950B1
KR101201950B1 KR1020120071961A KR20120071961A KR101201950B1 KR 101201950 B1 KR101201950 B1 KR 101201950B1 KR 1020120071961 A KR1020120071961 A KR 1020120071961A KR 20120071961 A KR20120071961 A KR 20120071961A KR 101201950 B1 KR101201950 B1 KR 101201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ackaging
cover
noodles
noo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수
Original Assignee
오뚜기라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뚜기라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뚜기라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1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950B1/ko
Priority to JP2012168316A priority patent/JP2014009037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950B1/ko
Priority to US13/847,441 priority patent/US20140001073A1/en
Priority to CN201310184708.2A priority patent/CN103523283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57/04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and operating to control, or to stop, the feed of such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표시된 제품명과 덮개에 표시된 제품명을 동일한 방향으로 일치시켜 포장할 수 있는 용기면류 포장장치 및 그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기면류 포장장치는 공급 장치를 통해 용기면류가 투입된 용기면류 포장용기들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용기면류가 수용된 용기면류 포장용기들이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될 때 각 용기면류 포장용기 외측 면에 표시된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시키며 용기면류 포장용기들을 정렬하는 정렬수단; 또 다른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가 표시된 덮개를 덮개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아 덮개에 형성된 이지미를 상기 용기면류 포장용기에 형성된 이미지와 동일한 방향으로 일치시키면서 용기면류 포장용기의 개방부를 밀폐하는 덮개밀폐장치를 포함하는 용기면류 포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기면류 포장장치 및 그 포장방법{PACKING APPARATUS FOR INSTANT NOODLE AND PACK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용기면류 포장장치 및 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에 표시된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와, 덮개에 표시된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동일한 방향으로 일치시켜 포장할 수 있는 용기면류 포장장치 및 그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쁜 생활로 인하여 간단한 식사나 간식용으로 많은 종류의 용기면류들이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용기면류는 반 조리된 상태로 용기에 포장되어 간단한 조리과정을 거치거나 개봉 후 곧바로 취식할 수 있도록 제조되고 있으며, 식품가공기술이 발전하면서 그 종류도 다양화 되고 있다.
이들 중 대표적인 용기면류로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는 컵라면을 예로 들면, 용기에 함께 포장된 스프 등을 면이 담긴 용기 내부에 넣고 뜨거운 물만 부으면 먹을 수 있으므로 끼니를 제대로 챙겨먹을 수 없을 정도로 바쁜 현대인의 식생활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식품 중 하나이다.
이러한 컵라면을 포함하는 용기면류들은 상부가 개방부로 이루어져 이를 통하여 면, 스프 등과 같은 내용물을 용기에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개방부에는 덮개가 접착 등의 방법으로 분리 가능하게 접착된다.
통상적으로 용기면이 담기는 용기의 외측 면에는 제품명과 함께 조리방법 등과 같은 이미지가 인쇄면으로 표시되고, 여기에 덮이는 덮개에도 제품명과 함께 조리방법 등과 같은 이미지가 인쇄면으로 표시되어 소비자들이 어떤 식품이 내장되어 있는지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제조된 용기면은 일정수량만큼 박스 등에 포장되어 유통되며, 판매처에서는 박스를 해체하고 그 내부에 포장된 용기면 각각을 진열대 등에 진열하여 판매하게 된다.
이때 소비자는 용기 또는 덮개에 표시된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확인하고 제품을 선택하게 되지만, 종래의 용기면류 용기의 외측 면에 표시된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와, 덮개에 표시된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고 모두 제각각으로 위치하고 있다.
이렇게 용기와 덮개에 표시된 이미지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위치되어 있으면 이를 진열대에 진열할 경우 일관성이 없어 제품의 진열성이 떨어지고, 또한 소비자들의 시각적인 관심을 얻을 수 없다. 이는 제품의 판매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에 표시된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와, 덮개에 표시된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동일한 방향으로 일치시켜 제품의 진열성을 좋게 하면서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시각적으로 더욱 잘 부각시킬 수 있는 용기면류 포장장치 및 그 포장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용기면류 포장장치는, 공급 장치를 통해 용기면류가 투입된 용기면류 포장용기들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용기면류가 수용된 용기면류 포장용기들이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될 때 각 용기면류 포장용기 외측 면에 표시된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시키며 용기면류 포장용기들을 정렬하는 정렬수단; 또 다른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가 표시된 덮개를 덮개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아 덮개에 형성된 이지미를 용기면류 포장용기에 형성된 이미지와 동일한 방향으로 일치시키면서 용기면류 포장용기의 개방부를 밀폐하는 덮개밀폐장치를 포함하는 용기면류 포장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이송장치는 모터와, 용기면류 포장용기가 일정간격으로 끼워져 안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면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무한궤도 형태로 순환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이동지지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정렬수단은 이송장치를 통하여 용기면류 포장용기가 일정위치에 이송되면 각각의 용기면류 포장용기들을 고정지지하는 고정지지부와, 상기 고정 지지된 용기면류 포장용기들을 이송장치에서 일시적으로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변환하는 위치변환부와, 상기 위치변환부의 구동으로 용기면류 포장용기가 위치 변환될 때 이들 용기면류 포장용기 외측 면에 각각 표시된 이미지의 기준점인 표시부를 검출하는 검출센서와, 상기 검출센서에서 표시부의 위치를 각각 검출하면 상기 위치변환부 및 고정지지부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면서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지지부는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으로 흡착력을 발생시켜 용기면류 포장용기의 하부면에 흡착되는 흡착패드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변환부는 고정지지부로 고정 지지된 용기면류 포장용기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하여 용기면류 포장용기가 상승할 때, 이 용기면류 포장용기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지지부와 위치변환부는 같이 연동하여 구동 및 정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이 개방부로 이루어진 용기면류 포장용기 내부에 용기면류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용기면류가 수용된 용기면류 포장용기들을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하면서 일정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용기면류 포장용기 외측면에 표시된 표시부를 센서로 검출하여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시키며 용기면류 포장용기들을 위치시키는 정렬단계; 또 다른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가 표시된 덮개를 용기면류 포장용기에 형성된 이미지와 동일한 방향으로 일치시키면서 용기면류 포장용기의 개방부를 밀폐하는 덮개밀폐단계를 포함하는 용기면류 포장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정렬단계에서는 각각의 용기면류 포장용기들을 고정지지한 상태로 용기면류 포장용기들을 상승 및 회전시키면서 포장용기 외측 면에 표시된 표시부를 각각의 센서로 각각 검출하고, 용기면류 포장용기의 표시부가 검출되면 검출된 용기면류 포장용기의 회전을 중지시키면서 하강시켜 이송장치에 안착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용기면류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방부로 이루어진 용기면류 포장용기 본체와, 이 용기면류 포장용기 본체의 개방부를 밀폐하는 덮개로 이루어진 용기면류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면류 포장용기 본체 및 덮개에는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가 표시되고, 상기 용기면류 포장용기 본체의 이미지와 덮개의 이미지는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로 덮개가 밀폐된 용기면류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용기면류 포장용기 본체에는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와 거리를 유지하며 상기 이미지의 기준점이 되는 표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면류 포장장치 및 그 포장방법은 용기에 표시된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와, 덮개에 표시된 또 다른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가 동일한 방향으로 일치된 상태로 포장되므로 소비자들에게 제품의 이목을 집중시켜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러한 이유로 다른 제품에 비하여 상품의 진열성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시각적으로 더 부각시킬 수 있어 제품의 판매를 촉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면류 포장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면류 포장장치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면류 포장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면류 포장장치에 제공된 용기정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면류 포장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용기가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용기면류 포장용기가 이송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면류 포장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용기면류 포장용기가 정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작동상태를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면류 포장장치를 이용하여 포장이 완료된 용기면류 포장용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면류 포장장치를 정면, 평면,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면류 포장장치에 제공된 용기정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면류 포장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면류 포장장치를 이용하여 포장이 완료된 용기면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면류 포장장치는 공급 장치(미도시)를 통해 면이 투입된 용기면류 포장용기 본체(100: 이하 "용기면류 포장용기"로 기재함)들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2)와, 상기 용기면이 수용된 용기면류 포장용기(100)들이 이송장치(2)에 의하여 이송될 때 용기면류 포장용기(100) 외측 면에 표시된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110)를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시키며 용기면류 포장용기(100)들을 정렬하는 정렬수단과,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또 다른 이미지(210)가 표시된 덮개(200)를 덮개 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받아 덮개(200)의 이미지(210)와 용기면류 포장용기(100)의 이미지(110)를 동일한 방향으로 일치시키면서 용기면류 포장용기(100)의 개방부를 밀폐하는 덮개밀폐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장치(2), 정렬수단, 덮개밀폐장치를 포함하는 용기면류 포장장치는 바닥면에 설치된 프레임(F)을 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용기면류 포장용기(100)는 상부가 개방부로 형성되고 나머지부분은 폐쇄되어 일정한 용적의 내부공간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용기면류가 수용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용기면류 포장용기(100)는 인체에 무해한 종이 또는 P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덮개(200)는 인체에 무해한 박막의 알루미늄이나 종이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용기면류 포장용기(100) 및 덮개(200)에 표시된 이미지(110)(210)는 포장용기(100)에 담겨지는 면의 제품명, 제품의 조리방법, 제품의 함량표시 등을 인쇄 등으로 표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용기면류 포장용기(100)에 이미지(110)를 형성할 때 정렬수단에서 이미지(110)를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시키며 용기면류 포장용기(100)들을 정렬할 수 있도록 기준점이 되는 표시부(120)를 같이 인쇄한다.
즉, 이미지(110)에서 일정거리를 띄우고 이미지 센서로 검출할 수 있는 표시부(120)를 형성하면,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센서로 표시부(120)를 검출하여 그 위치를 맞추면 용기면류 포장용기(100)에 표시된 이미지(110)도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용기면류 포장용기(100)에 담겨지는 내용물은 즉석에서 조리할 수 있는 라면, 우동, 스파게티 등과 같은 면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이외에도 이와 유사한 용기면류들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2)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하는 모터(미도시)와, 용기면류 포장용기(100)가 일정간격으로 끼워져 안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면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무한궤도 형태로 순환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복수의 이동지지판(4)으로 구성된다.
이송장치(2)를 구성하는 이동지지판(4)은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웃하는 다른 이동지지판과 일측이 서로 연결되고, 이렇게 연결된 다수의 이동지지판들은 무한궤도 형태로 조립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이동지지판(4)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홀(6)이 뚫려 용기면류 포장용기(100)가 끼워져 안착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이동지지판(4)을 이송시키는 모터는 펄스 신호를 줄 때마다 일정한 각도씩 회전하는 스테핑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동지지판(4)은 일정거리를 이동한 후 일정시간동안 정지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이송장치(2)의 선단부에는 용기면류 공급부가 제공되어 용기면류 포장용기(100) 내부에 소정의 면이 각각 투입될 수 있으며, 이렇게 용기면류 포장용기(100)에 내용물이 투입된 상태로 용기면류 포장용기(100)들은 일렬단위로 이동지지판(4)의 홀(6)에 끼워져 안착 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렇게 이동지지판(4)의 홀(6)에 각각 안착된 용기면류 포장용기(100)들은 그 둘레면에 표시된 이미지(110)은 통일되지 않고 모두 다르게 제각각의 방향으로 위치한다.
그리고 이렇게 이동지지판(4)의 각 홀(6)에 내용물이 담긴 용기면류 포장용기(100)가 안착되면, 이송장치(2)에 의하여 이들은 소정의 속도로 이동하게 되며, 용기면류 포장용기(100)가 정해진 위치에 진입하면 정렬수단에 의하여 용기면류 포장용기(100)들은 이미지(110)가 모두 일정한 방향으로 통일된 상태로 정렬된다.
상기 정렬수단은 용기면류 포장용기(100)가 일정위치에 도착하면 각각의 용기면류 포장용기(100)들을 고정지지하는 고정지지부(8)와, 상기 고정 지지된 용기면류 포장용기(100)들을 이송장치(2)에서 일시적으로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변환하는 위치변환부(10)와, 상기 위치변환부(10)의 구동으로 용기면류 포장용기(100)가 위치 변환될 때 이들 용기면류 포장용기(100) 외측면에 각각 표시된 기준점(120)을 검출하는 검출센서(12)와, 상기 검출센서(12)에서 기준점(120)의 위치를 각각 검출하면 상기 위치변환부(10) 및 고정지지부(8)의 작동을 중지시키면서 초기위치로 복귀시켜 용기면류 포장용기(100)들을 정렬된 상태로 이송장치에 안착시키는 제어부(1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지지부(8)와 위치변환부(10)는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하여 같이 연동하며 구동하거나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또 검출센서(12)는 제어부(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검출센서(12)에서 각 용기면류 포장용기(100)의 표시부(120)의 위치를 검출하면 그 신호를 제어부(14)로 전달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고정지지부(8)는 진공 압을 발생시키는 모터(16)와, 상기 모터(16)의 구동으로 흡착력을 발생시켜 용기면류 포장용기(100)의 하부면을 흡착으로 고정하는 흡착패드(18)로 이루어진다. 이들 모터(6)와 흡착패드(18) 사이는 기밀을 유지하며 관로(20)로 연결되어 흡착패드(18)에 흡착력을 발생하거나 흡착력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관로(20)의 끝단부는 각각의 흡착패드(18)와 분기관으로 연결되면서 각각의 분기관에는 솔레노이드밸브(22)가 제공되어 각 흡착패드(18)의 흡착력을 유지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흡착패드(18)는 유연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지지부(8)는 이송장치(2)에 의하여 용기면류 포장용기(100)가 정해진 위치에 진입하면 근접센서(24)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4)로 신호를 전달하고, 이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한다.
상기 위치변환부(10)는 고정지지부(8)로 고정 지지된 용기면류 포장용기(10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26)와, 상기 승강구동부(26)에 의하여 용기면류 포장용기(100)가 상승할 때 용기면류 포장용기(100)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28)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구동부(26)는 모터(30)와, 상기 모터(30)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축(32)과, 상기 구동축(32)에 일츨단이 연결되는 암(34)과, 상기 암(34)의 타측단에 힌지 고정되는 로터리조인트(36)와, 상기 로터리조인트(36)에 연결되어 승강운동 하는 작동축(3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30)는 예를 들면 서보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축(38)의 끝단부에는 홀더(40)가 연결되고 이 홀더(40)의 타측은 흡착패드(18)의 저면에 고정되어 작동축(38)이 승강하면 흡착패드(18)도 같이 승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작동축(38)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구동부(28)의 구동으로 원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작동축(38)과 홀더(40)의 중앙부는 관통되어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공간을 통하여 흡착패드(18)가 흡착력을 발생하도록 모터(6)와 연결되는 관로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30)는 소정의 회전각도로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하도록 이루어져 작동축(38)은 소정의 높이로 승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이와 함께 구동하는 회전구동부(28)는 상기 작동축(38)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42)로 이루어지며, 이 모터(42)는 예를 들면 스테핑모터가 사용될 있다.
상기 모터(42)는 작동축(38)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이 모터(42)의 구동으로 작동축(38)은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이 승강구동부(26)와 회전구동부(28)로 이루어진 위치변환부(10)의 작동은 용기면류 포장용기(100)가 이송장치(2)에 안착된 상태로 이동하다가 정해진 위치에 진입하면 근접센서(24)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4)로 신호를 전달하고, 이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하여 모터(16)(30)(42)를 각각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흡착패드(18)는 흡착력을 발생시키고 작동축(38)은 상승하여 용기면류 포장용기(100)는 흡착패드(18)에 고정된 상태로 상승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작동축(38)은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여 용기면류 포장용기(100)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작동시 각각의 검출센서(12)에서 용기본체(100)에 각각 인쇄된 기준점(120)의 위치를 각각 검출하면, 검출된 위치로부터 모터(40)는 일정각도만큼 더 회전한 다음 제어부(14)의 제어로 구동이 정지되며 이에 따라 용기본체(100)에 각각 표시된 제품명(110)의 방향은 모두 동일한 위치로 정렬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하여 모터(30)의 구동이 역방향으로 변환되면서 구동축(32)이 역회전하면서 그 작용으로 작동축(38)은 상기의 반대방향인 초기위치로 하강하면서 정렬된 용기를 이동지지판(4)의 홀(6)에 안착시키고, 이와 동시에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하여 진공모터(16)의 구동이 정지되면서 흡착패드(18)의 흡착력이 해제되어 용기면류 포장용기(100)의 고정력이 해제된다.
이러한 작동으로 하나의 이동지지판(4)에 안착된 용기면류 포장용기(100)의 이미지(110)를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으며, 이라한 정렬과정은 대략 1초 내외의 시간에 이루어지며, 이때 이송장치(2)의 이송은 일지 정지된다.
이렇게 용기면류 포장용기(100)의 정렬이 완료되면 1사이클의 작동이 완료되는데, 이송장치(2)의 구동으로 그 다음의 이동지지판에 안착된 정렬되지 않은 용기면류 포장용기(100)가 이송되면 상기와 동일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용기면류 포장용기(100)의 정렬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용기면류 포장장치를 이용하여 용기면류를 포장하려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급 장치를 통해 용기면류 포장용기(100) 내부에 용기면류가 각각 투입된 후 용기면류 포장용기(100)들은 이동지지판(4)의 홀(6)에 각각 안착되며, 이들은 이송장치(2)에 의하여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면류가 투입된 용기면류 포장용기(100)가 이송장치(2)에 의하여 이송되면서 새로운 용기면류 포장용기에는 계속하여 용기면류가 투입되면서 이동지지판(4)의 홀(6)에 안착된다.
이렇게 용기면류 포장용기(100)에 내용물이 투입된 상태로 이동지지판(4)의 홀(6)에 안착된 용기면류 포장용기(100)들은 그 둘레면의 이미지(110)는 통일되지 않고 모두 상이한 방향으로 위치한다.
그리고 이송장치(2)에 의하여 용기면류 포장용기(100)들은 일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용기면류 포장용기(100)가 정해진 위치에 진입하면 근접센서(24)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4)로 신호를 전달하고, 이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하여 고정지지부(8)를 구성하는 모터(18)가 작동하면서 흡착패드(18)에 흡착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하여 승강구동부(26)의 모터(30)가 구동하여 구동축(32)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암(34)의 일측이 상승하면서 로터리조인트(36)도 같이 상승하면서 작동축(38)을 상승시킨다.
이러한 용기면류 포장용기(100)의 상승 및 회전 운동 시 각각의 검출센서(12)에서는 용기면류 포장용기(100)에 각각 인쇄된 기준점인 표시부(120)의 위치를 검출하게 되는데, 용기면류 포장용기(100)의 표시부(120)를 검출하면 모터(40)의 구동이 정지되면서 구동축(32)의 회전이 정지되어 용기면류 포장용기(100)는 회전이 중지된다.
이에 따라 용기면류 포장용기(100)의 외측면의 이미지(110)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된다.
이렇게 용기면류 포장용기(100)에 표시된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110)가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되면,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하여 모터(30)의 구동이 역방향으로 변환되면서 구동축(32)이 역회전하면서 그 작용으로 작동축(38)은 하강하면서 정렬된 용기를 이동지지판(4)의 홀(6)에 안착시키고, 이와 동시에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하여 진공모터(16)의 구동이 정지되면서 흡착패드(18)의 흡착력이 해제된다.
정렬된 용기면류 포장용기(100)들은 이송장치(2)의 구동으로 계속 이동하면서 스프 등이 더 투입될 수 있으며, 계속해서 제품명(210)이 표시된 덮개(200)를 도시되지 않은 덮개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아 덮개밀폐장치를 통하여 덮개(200)를 용기면류 포장용기(100)의 개방부에 접착할 수 있다. 덮개(200)의 접착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접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덮개(200)에 표시된 이미지(210)는 용기면류 포장용기(100)에 표시된 이미지(110)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며 접착되도록 미리 그 위치를 정하여 세팅한다.
상기와 같이 포장된 용기면류는 용기면류 포장용기(100) 및 덮개(200)에 각각 형성된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110)(210)는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로 덮개가 밀폐된다.
이렇게 덮개(200)개 접착되면 용기면류 포장용기(100)의 외측에 투명비닐포장 등을 더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조된 용기면류들은 다수 개를 포장박스 등에 포장하여 유통하게 되며, 통상적으로 포장박스를 해체하고 용기면류들을 진열대 등에 진열하여 판매하게 되는데, 이때 용기면류 포장용기(100)에 표시된 이미지(110)와 덮개(200)에 표시된 이미지(210)는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시각적으로 더욱 잘 부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의 광고효과를 높이면서 제품판매를 촉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를 목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2: 이송장치 4: 이동지지판
6: 홀 8: 고정지지부
10: 위치변환부 12: 검출센서
14: 제어부 16, 30, 42: 모터
18: 흡착패드 20: 관로
22: 솔레노이드밸브 24: 근접센서
26: 승강구동부 28: 회전구동부
32: 구동축 34: 암
36: 로터리조인트 38: 작동축
40: 홀더 100: 용기면류 포장용기
110, 210: 이미지 120: 표시부
200: 덮개

Claims (10)

  1. 공급 장치를 통해 용기면이 투입된 용기면류 포장용기들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용기면이 수용된 용기면류 포장용기들이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될 때 각 용기면류 포장용기 외측 면에 표시된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시키며 용기면류 포장용기들을 정렬하는 정렬수단;
    또 다른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가 표시된 덮개를 덮개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아 덮개에 형성된 이미지를 상기 용기면류 포장용기에 형성된 이미지와 동일한 방향으로 일치시키면서 용기면류 포장용기의 개방부를 밀폐하는 덮개밀폐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수단은 이송장치를 통하여 용기면류 포장용기가 일정위치에 이송되면 각각의 용기면류 포장용기들을 고정지지하는 고정지지부와, 상기 고정 지지된 용기면류 포장용기들을 이송장치에서 일시적으로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변환하는 위치변환부와, 상기 위치변환부의 구동으로 용기면류 포장용기가 위치 변환될 때 이들 용기면류 포장용기 외측 면에 각각 표시된 이미지의 기준점인 표시부를 검출하는 검출센서와, 상기 검출센서에서 표시부의 위치를 각각 검출하면 상기 위치변환부 및 고정지지부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면서 작동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된 용기면류 포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모터와, 용기면류 포장용기가 일정간격으로 끼워져 안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면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무한궤도 형태로 순환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이동지지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면류 포장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는 진공 압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으로 흡착력을 발생시켜 용기면류 포장용기의 하부면에 흡착되는 흡착패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면류 포장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변환부는 고정지지부로 고정 지지된 용기면류 포장용기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하여 용기면류 포장용기가 상승할 때 이 용기면류 포장용기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면류 포장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와 위치변환부는 같이 연동하여 구동 및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면류 포장장치.
  7. 일측이 개방부로 이루어진 용기면류 포장용기 내부에 용기면류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용기면류가 수용된 용기면류 포장용기들을 이송장치에 의하여 이송하면서 일정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용기면류 포장용기 외측면에 표시된 표시부를 센서로 검출하여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용기면류 포장용기 외측면에 형성된 이미지를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시키며 용기면류 포장용기들을 위치시키는 정렬단계;
    또 다른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가 표시된 덮개를 용기면류 포장용기에 형성된 이미지와 동일한 방향으로 일치시키면서 용기면류 포장용기의 개방부를 밀폐하는 덮개밀폐단계를 포함하는 용기면류 포장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정렬단계에서는 각각의 용기면류 포장용기들을 고정지지한 상태로 용기면류 포장용기들을 상승 및 회전시키면서 포장용기 외측면에 표시된 표시부를 각각의 센서로 각각 검출하고, 용기면류 포장용기의 표시부가 검출되면 검출된 용기면류 포장용기의 회전을 중지시키면서 하강시켜 이송장치에 안착시키는 용기면류 포장방법.
  9. 내부에 용기면류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면이 개방부로 이루어진 용기면류 포장용기 본체와, 이 용기면류 포장용기 본체의 개방부를 밀폐하는 덮개로 이루어진 용기면류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면류 포장용기 본체에는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와 거리를 유지하며 상기 이미지의 기준점이 되는 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면류 포장용기 본체 및 덮개에는 제품명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가 표시되고, 상기 용기면류 포장용기 본체의 이미지와 덮개의 이미지는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로 덮개가 밀폐된 용기면류 포장용기.
  10. 삭제
KR1020120071961A 2012-07-02 2012-07-02 용기면류 포장장치 및 그 포장방법 KR101201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961A KR101201950B1 (ko) 2012-07-02 2012-07-02 용기면류 포장장치 및 그 포장방법
JP2012168316A JP2014009037A (ja) 2012-07-02 2012-07-30 カップ麺類包装装置およびその包装方法
US13/847,441 US20140001073A1 (en) 2012-07-02 2013-03-19 Packing apparatus for instant noodle and packing method thereof
CN201310184708.2A CN103523283A (zh) 2012-07-02 2013-05-17 容器面类包装装置及其包装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961A KR101201950B1 (ko) 2012-07-02 2012-07-02 용기면류 포장장치 및 그 포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1950B1 true KR101201950B1 (ko) 2012-11-16

Family

ID=47564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961A KR101201950B1 (ko) 2012-07-02 2012-07-02 용기면류 포장장치 및 그 포장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001073A1 (ko)
JP (1) JP2014009037A (ko)
KR (1) KR101201950B1 (ko)
CN (1) CN1035232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243B1 (ko) 2016-11-09 2016-12-28 주식회사 에이스팩 용기의 위치 정렬장치
KR101979021B1 (ko) 2018-12-17 2019-05-17 이래용 포장용기의 무늬 위치 정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69925B (zh) * 2014-11-04 2016-06-29 佛山市嘉荣智能机械有限公司 一种龟苓膏装配设备
ES2664849T3 (es) * 2015-03-20 2018-04-23 Multivac Sepp Haggenmüller Se & Co. Kg Máquina de sellado de bandejas
JP6864207B2 (ja) * 2016-08-05 2021-04-28 ニッカ電測株式会社 回転位置決め装置
CN108861469B (zh) * 2018-05-18 2020-06-23 厦门保沣实业有限公司 易拉罐盖的定位装置及使用方法以及制造易拉罐盖的系统
US10650585B2 (en) 2018-06-08 2020-05-12 Data Integrity Advisors, Llc System and method for geometrically-resolved radiographic X-ray imaging
JP7393615B2 (ja) 2019-04-04 2023-12-07 シブヤパッケージングシステム株式会社 充填封入装置および充填封入方法
US11392391B2 (en) * 2020-02-03 2022-07-19 Dell Products L.P. Selectively updating a bios image
US20220408764A1 (en) * 2021-06-28 2022-12-29 Quang Huy Le Process for producing instant noodles and an instant noodle product from dragon fruit pulp using ultra-sonication technology
EP4253259A1 (en) * 2022-03-28 2023-10-04 Ulma Packaging, S.Coop. Control method for a thermo-sealing machine, and thermo-sealing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1653A (ja) * 2004-02-18 2005-09-02 Koyo Autom Mach Co Ltd アンプル等の容器の箱詰め装置
KR100906105B1 (ko) 2007-12-17 2009-07-07 이익재 포장용 카톤의 자동포장장치
KR100910886B1 (ko) 2007-02-05 2009-08-05 율촌화학 주식회사 용기 적층 장치 및 용기의 적층 방법
KR101110130B1 (ko) 2011-10-06 2012-01-31 (주)로픽 도시락용 김이 포장된 낱개 포장용기를 단위세트로 포장하기 위한 설비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8781A (en) * 1975-01-24 1977-09-20 Portion Packaging Limite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product filled container
US4065908A (en) * 1976-04-26 1978-01-03 Owens-Illinoi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tamper-indicating tabs to a container sidewall
US4312172A (en) * 1980-03-14 1982-01-26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Automatic lid placing apparatus for large plastic lids and method for placing lids
JPH0977018A (ja) * 1995-09-13 1997-03-25 Kao Corp 円板の位置合せ装置
JPH09132203A (ja) * 1995-11-10 1997-05-20 Shikoku Kakoki Co Ltd 容器の方向制御装置
US5890349A (en) * 1998-02-18 1999-04-06 Heisler; Rick Method and apparatus for seating lids on continuously conveyed pre-formed containers
IT1320925B1 (it) * 2000-03-17 2003-12-10 Ima Spa Unita' per l'alimentazione di contenitori lungo una linea di trasportoe per il trasferimento dei contenitori medesimi da e verso una
JP3942396B2 (ja) * 2001-10-04 2007-07-11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容器の位置合わせ装置
EP1468913B1 (en) * 2003-04-17 2006-04-19 CFS Palazzolo S.p.A. Machine for sealing containers by applying a covering film
JP4486328B2 (ja) * 2003-07-09 2010-06-23 四国化工機株式会社 チェーンレス容器搬送装置
SE526218C2 (sv) * 2003-12-16 2005-08-02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Anordning för vändning av behållare
JP4879139B2 (ja) * 2007-11-09 2012-02-22 株式会社シンセイ 食材充填カップにおけるカップと蓋の柄合わせ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1653A (ja) * 2004-02-18 2005-09-02 Koyo Autom Mach Co Ltd アンプル等の容器の箱詰め装置
KR100910886B1 (ko) 2007-02-05 2009-08-05 율촌화학 주식회사 용기 적층 장치 및 용기의 적층 방법
KR100906105B1 (ko) 2007-12-17 2009-07-07 이익재 포장용 카톤의 자동포장장치
KR101110130B1 (ko) 2011-10-06 2012-01-31 (주)로픽 도시락용 김이 포장된 낱개 포장용기를 단위세트로 포장하기 위한 설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243B1 (ko) 2016-11-09 2016-12-28 주식회사 에이스팩 용기의 위치 정렬장치
KR101979021B1 (ko) 2018-12-17 2019-05-17 이래용 포장용기의 무늬 위치 정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09037A (ja) 2014-01-20
US20140001073A1 (en) 2014-01-02
CN103523283A (zh)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950B1 (ko) 용기면류 포장장치 및 그 포장방법
US10422686B2 (en) Container weighing unit and method with movable weighing devices
CN104743178B (zh) 具有改善的控制体系的用于处理容器的机器
CN206871452U (zh) 一种盒饭自动灌装生产线
CN104150034A (zh) 半成品面饼塑封装置
CN108046186A (zh) 包装罐封盖定位装置
CN109843731A (zh) 贴标签机、印刷机、检查机和用于调试这种机器中的总线系统的方法
CN206766410U (zh) 一种变频三边封自动包装机
CN207242166U (zh) 小型罐装食品自动包装机
CN106379585A (zh) 一种水果包装机
CN204998849U (zh) 全自动小袋装食品包装机
CN205770341U (zh) 一种全自动控制的食品包装机
CN204776297U (zh) 一种数显封口机
CN204979345U (zh) 真空包装设备真空热封机构
TWM472696U (zh) 密封件之轉輪式輸送裝置
CN103708194B (zh) 一种自立袋输送装置
CN208647196U (zh) 高效率的双袋包装机
CN207360724U (zh) 一种袋装液体包装加工检测设备
CN110027740A (zh) M袋包装机多工位回转输送装置
JPH1179123A (ja) 箱詰め装置
CN207089806U (zh) 包装机纵封加热装置
CN213503084U (zh) 一种用于食品包装袋的封口装置
CN110522312A (zh) 一种自动餐饮设备
CN214357104U (zh) 一种便携式lx型内酯豆腐包装封口机
KR102253700B1 (ko) 정전기 발생기를 이용한 스프 파우치 커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