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243B1 - 용기의 위치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용기의 위치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243B1
KR101690243B1 KR1020160149013A KR20160149013A KR101690243B1 KR 101690243 B1 KR101690243 B1 KR 101690243B1 KR 1020160149013 A KR1020160149013 A KR 1020160149013A KR 20160149013 A KR20160149013 A KR 20160149013A KR 101690243 B1 KR101690243 B1 KR 101690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lock
rotating
holder block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팩
Priority to KR1020160149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B65B7/2842Securing closures o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입구 상단의 특정부분에 덮개의 특정부분이 위치되어 접착되도록 용기의 특정부분이 일정한 방향으로 공급되어 질 수 있도록 한 용기의 위치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기의 위치 정렬장치{Aligning position apparatus for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의 위치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 상세하게는 용기 입구 상단의 특정부분에 덮개의 특정부분이 위치되어 접착되도록 용기의 특정부분이 일정한 방향으로 공급되어 질 수 있도록 한 용기의 위치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1인 가구가 늘면서 컵라면과 같은 즉석 조리식품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즉석 조리식품들은 1회용 용기에 담겨져 포장판매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1회용 용기(10)는 통상적으로 소정 두께의 판지가 통형으로 말아져 양단부의 일부분이 상호 겹쳐져 부착되는 통형의 옆지(11)와, 상기 통형의 옆지(11) 하단부에 부착되는 밑지(12)로 이루어지며, 옆지(11)의 상단에는 둥글게 말아져 형성되는 컬링부(11b)를 구비하고, 내용물이 수용된 후 컬링부(11b) 상면에는 덮개(20)가 부착되어 밀봉되어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덮개(20)의 손잡이(21)는 컬링부(11b)에 임의 위치로 접착되어 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덮개(20)를 컬링부(11b) 상면에 접착시킬때 가압판(60)으로 가압하여 접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옆지(11)의 겹쳐지는 부분(A)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서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게 접착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1회용 용기(10)를 소비자가 이용할때에는 손잡이(21)를 파지하여 덮개(20)를 뜯어내게 되는데, 손잡이(21)를 파지한 상태에서 오픈 초기에는 서서히 힘을 가하여 손잡이(21) 부분의 접착력을 제거하고 이후에는 신속하게 덮개(20)를 컬링부(11b)로부터 제거하게 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20)를 신속하게 제거하는 과정에서 상기 강하게 접착된 옆지(11)의 겹쳐지는 부분(A)에서 컬링부(11b) 상면이 강하게 뜯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종이재 용기(10)로부터 보푸라기(종이분진; 16)가 형성되어 용기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판매점의 진열대에 진열시 진열효과를 높이고 소비자로 하여금 상품의 선택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덮개 및 용기에 인쇄되는 광고문구나 도형이 일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사항에 따라 일본특허 제4879139호 및 한국특허등록 제1201950호에 덮개와 용기의 인쇄문구가 일치되도록 하는 용기 정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본특허 제4879139호에 개시된 기술은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용기무늬(3a)가 인쇄되고 즉석식품이 수용된 용기(3)에는 표시부(3b)가 형성되어 있고, 덮개(7)에는 덮개무늬(7a)가 인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즉석식품의 포장순서는 도 5a에서와 같이 컨베이어벨트(1)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용기(3)는 일정위치에서 정지되고, 도 5b에서와 같이 용기(3)들이 정지된 위치에서 흡착패드(4a)가 상승되어 용기(3)의 저면을 흡착하고 모터(4b)의 구동으로 용기(3)를 회전시킨다.
도 5c에서와 같이 회전되는 용기(3)의 표시부(3b)가 센서(6)에 감지되면 모터(4b)가 정지되어서 용기(3)들을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정렬된 용기(3)들은 미리 정렬되어진 덮개(7)의 부착위치로 이동되고, 덮개의 무늬(7a)와 용기의 무늬(3a)가 일치되는 방향으로 덮개(7)가 용기(3)의 상단에 부착되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장치는 용기(3)의 외주면에 센서(6)가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표시부(3b)를 인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센서(6)가 비접촉에 의해서 표시부(3b)를 감지하게 되므로, 용기(3)의 회전중에 표시부(3b) 이외의 용기의 무늬(3a)가 센서(6)에 감지되어 오동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특허 제4879139호 한국특허등록 제120195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덮개의 손잡이 부분이 옆지의 겹쳐지는 부분에 위치되어 접착될 수 있도록 용기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공급되도록 한 용기의 위치 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서 감지를 위한 별도의 표시부를 용기에 형성하지 아니하고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용기의 위치 정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덮개와 일회용 용기가 상호 정해진 위치에 접착되도록 용기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공급되도록 한 용기의 위치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소정 두께의 판지가 통형으로 말아져 양단부의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부착되며 상기 판지의 두께만큼 단차가 형성된 옆지와, 상기 통형의 옆지 하단부에 부착되는 밑지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상기 용기 입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블럭이 일정간격으로 복수 형성된 회전블럭과,
상기 회전블럭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홀더블럭에 결합된 용기를 홀더블럭에 대해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홀더블럭에 대해 회전되는 용기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상기 단차에 연동되어 변위되는 프로브를 가지는 접촉센서와;
상기 접촉센서의 단차 위치 감지에 의해서 상기 회전수단을 정지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홀더블럭으로부터 용기를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용기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용기를 회전시키는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에 회전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센서가 상기 단차를 감지한 후 상기 구동모터가 일정 시간후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홀더블럭에 결합된 용기의 내부에 에어를 공급 또는 배기시키도록 상기 홀더블럭에 에어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블럭의 하부에서 승강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용기의 저면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에어 흡착공이 형성된 분리블럭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 장치는 접촉센서가 용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단차(11a)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특정지점을 감지함으로써 오동작없이 용기가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서 덮개 부착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덮개의 손잡이(21) 부분이 용기(10)의 겹쳐지는 부분 즉, 단차(11a) 부분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가 덮개(20)를 용기(10)로부터 뜯어낼때 보푸라기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세째, 덮개(20)에 인쇄된 문구 또는 무늬와 용기(10)의 외주면에 인쇄된 문구 또는 무늬가 동일한 방향으로 하여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품의 진열성을 높이고 소비자로 하여금 상품의 선택을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통상의 1회용 용기의 옆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통상의 용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용기에 덮개를 접착시키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4는 용기로부터 덮개를 제거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5는 종래 문제점을 설명하는 개략도,
도 6은 종래 용기 정렬장치의 작동순서도,
도 7은 종래 정렬장치에 채용되는 표시부가 인쇄된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의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9a 및 도 9b는 접촉센서에 의한 용기의 단차를 감지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작동도,
도 10은 본 발명 장치에 적용되는 용기 회전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용기의 옆지 제작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장치에 적용되는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 실시예의 용기의 위치 정렬장치는 덮개의 손잡이 부분이 옆지의 겹쳐지는 부분에 위치되어 접착될 수 있도록 용기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공급되도록 하며, 또한 접촉센서가 용기의 외주면을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특정 지점을 감지함으로써 오동작없이 용기가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서 덮개 부착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용기(10)는 문구 또는 무늬가 인쇄된 소정 두께의 판지가 통형으로 말아져 양단부의 일부분이 겹쳐져 부착되며 상기 판지의 두께만큼 단차(11a)가 형성된 옆지(11)와, 상기 통형의 옆지(11) 하단부에 부착되는 밑지(12)로 이루어지며, 용기(10) 내에는 내용물(15)이 수용된 후 덮개(20)가 접착되어 밀봉되어진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정렬장치를 채용한 용기 제조장치를 나타낸 도 8을 참조하면, 이는 용기 정렬장치(30), 내용물 투입부(70), 덮개 부착부(80) 및 용기 이송 컨베이어(100)를 구비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정렬장치(30)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외주면에 상기 용기(10) 입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블럭(31)이 일정간격으로 복수 형성된 회전블럭(35)과, 상기 회전블럭(35)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미도시)와, 상기 홀더블럭(31)에 결합된 용기(10)를 홀더블럭(31)에 대해 회전시키는 회전수단(40)과, 상기 홀더블럭(31)에 대해 회전되는 용기(10)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상기 단차(11a)에 연동되어 변위되는 프로브(51)를 가지는 접촉센서(52)와, 상기 접촉센서(52)의 단차(11a) 위치 감지에 의해서 상기 회전수단(40)을 정지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홀더블럭(31)으로부터 용기(10)를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수단(40)은 상기 용기(10)의 외주면에 마찰 접촉되어 용기(10)를 회전시키는 회전롤러(41)와, 상기 회전롤러(41)에 회전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42)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롤러(41)는 고무재질의 롤러로서 용기(10)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용기(10)의 내주면은 상기 홀더블럭(31)에 지지되므로, 용기(10)가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센서(52)가 상기 단차(11a)를 감지한 후 상기 구동모터(42)가 일정 시간후 정지되도록 제어하여서, 용기(10)의 단차(11a)가 일정한 위치에 정렬되어지도록 한다.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홀더블럭(31)에 결합된 용기(10)의 내부에 에어를 공급 또는 배기시키도록 상기 홀더블럭(31)에 에어공(3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블럭(35)의 하부에서 승강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용기(10)의 저면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에어 흡착공(111)이 형성된 분리블럭(110)을 구비한다.
상기 홀더블럭(31)에 에어공(32)을 통하여 에어 흡입력이 발생하면 결합된 용기(10)의 이탈이 방지되고 또한 에어 흡입력이 제거되면 홀더블럭(31)으로부터 용기(10)가 이탈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에어공(32)을 통하여서는 상기 회전롤러(41)에 의한 용기(10)의 회전이 가능할 정도의 에어 흡입력이 작용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용기 정렬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회전블럭(35)의 홀더블럭(31)에 미도시된 적재대로부터 낱개의 용기(10)들이 공급되어 결합된다. 이때 에어공(32)으로 에어가 흡입되어서 홀더블럭(31)에 용기(10)가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되며, 적재대에는 각 용기(10)의 단차(11a)들이 임의방향으로 적재되어 있게 된다.
상기 회전블럭(35)의 회전으로 홀더블럭(31)에 결합된 용기(10)가 용기 회전수단(40)에 위치되게 되면, 회전블럭(35)이 일시적으로 정지되게 되며, 상기 회전롤러(41)가 용기(10)의 외주면에 접촉 회전되면서 용기(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의 단차(11a)부분이 상기 프로브(51)를 간섭하여 변위시키게 되면 접촉센서(51)가 감지하여 제어부에 상기 구동모터(42)를 정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센서(52)가 상기 단차(11a)를 감지한 후 상기 구동모터(42)가 일정시간후 정지되도록 제어하여서, 각 용기(10)의 단차(11a) 위치가 항상 일정한 위치에 정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단차(11a)가 일정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된 용기(10)는 회전블럭(35)의 회전에 의해서 하방향을 향하며 위치된다.
이후 상기 분리블럭(110)이 상승되어서 용기(10)의 저면부에 끼움결합되고, 홀더블럭(31)의 에어공(32)을 통하여서는 에어가 공급되고 분리블럭(110)의 흡착공(111)을 통하여서는 에어를 흡입하면서 분리블럭(110)이 하강되어 용기(10)를 컨베이어(100)에 안착시킨다.
상기 컨베이어(100)로 이송되는 용기(10)들은 단차(11a)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정렬되어 이송되며, 내용물 투입부(70)에서 내용물(15)이 수용되고, 덮개 부착부(80)에서 용기(10)의 상단에 덮개(20)가 부착되어진다.
이때 덮개 부착부(80)에서는 덮개(20)의 손잡이(21) 부분이 상기 용기(10)의 단차(11a)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도록 적층되어서, 손잡이(21)부분이 상기 단차(11a)부분의 용기(10) 상단에 접착되어진다.
즉, 도 8,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옆지(11)의 양단부가 겹쳐지는 부분의 상단부(B)에 덮개(20)의 손잡이(21)가 위치되어 접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덮개의 손잡이(21) 부분이 용기(10)의 겹쳐지는 부분 즉, 단차(11a) 부분의 상단부에 위치되어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덮개(20)를 컬링부 상면에 접착시킬때 가압판(60)으로 가압하여 접착시킬때, 옆지(11)의 겹쳐지는 부분(단차(11a)부분)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서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게 접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1회용 용기(10)를 소비자가 이용할때에는 손잡이(21)를 파지하여 덮개(20)를 뜯어내게 되는데, 손잡이(21)를 파지한 상태에서 오픈 초기에는 서서히 힘을 가하여 손잡이(21) 부분에서부터 접착력을 제거하고 이후에는 신속하게 덮개(20)를 용기(10)로부터 제거하게 된다.
즉, 소비자가 덮개(20)를 용기(10)로부터 뜯어내는 초기에는 손잡이(21)를 파지하고 서서히 뜯어내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강하게 접착된 손잡이(21) 부분을 서서히 뜯어내게 되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보푸라기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렬장치는 용기(10)에 인쇄된 무늬와 덮개(20)에 인쇄된 무늬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되게끔 용기(10)에 덮개(20)를 부착시킬 수 있게 한다.
즉, 단차(11a)의 감지로 용기(10)의 무늬가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공급되도록 하고, 용기(10)의 무늬와 동일방향으로 덮개(20)의 무늬가 위치되도록 적층된 덮개 부착부(80)로부터 덮개(20)를 용기(10) 상단에 공급하여 덮개(20)에 인쇄된 무늬와 용기(10)의 외주면에 인쇄된 무늬가 동일한 방향으로 하여 부착시킬 수있게 한다.
10...용기 11a...단차
31...홀더블럭 35...회전블럭
41...회전롤러 42...구동모터
51...프로브 52...접촉센서

Claims (4)

  1. 덮개와 일회용 용기가 상호 정해진 위치에 접착되도록 용기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공급되도록 한 용기의 위치 정렬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10)는 소정 두께의 판지가 통형으로 말아져 양단부의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부착되며 상기 판지의 두께만큼 단차(11a)가 형성된 옆지(11)와, 상기 통형의 옆지(11) 하단부에 부착되는 밑지(12)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상기 용기(10) 입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블럭(31)이 일정간격으로 복수 형성된 회전블럭(35)과,
    상기 회전블럭(35)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와,
    상기 홀더블럭(31)에 결합된 용기(10)를 홀더블럭(31)에 대해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홀더블럭(31)에 대해 회전되는 용기(10)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상기 단차(11a)에 연동되어 변위되는 프로브(51)를 가지는 접촉센서(52)와,
    상기 접촉센서(52)의 단차(11a) 위치 감지에 의해서 상기 회전수단을 정지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홀더블럭(31)으로부터 용기(10)를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위치 정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용기(1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용기(10)를 회전시키는 회전롤러(41)와, 상기 회전롤러(41)에 회전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모터(42)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위치 정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센서(52)가 상기 단차(11a)를 감지한 후 상기 구동모터(42)가 일정 시간후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위치 정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홀더블럭(31)에 결합된 용기(10)의 내부에 에어를 공급 또는 배기시키도록 상기 홀더블럭(31)에 에어공(32)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블럭(35)의 하부에서 승강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용기(10)의 저면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에어 흡착공이 형성된 분리블럭(11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의 위치 정렬장치.
KR1020160149013A 2016-11-09 2016-11-09 용기의 위치 정렬장치 KR101690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013A KR101690243B1 (ko) 2016-11-09 2016-11-09 용기의 위치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9013A KR101690243B1 (ko) 2016-11-09 2016-11-09 용기의 위치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243B1 true KR101690243B1 (ko) 2016-12-28

Family

ID=57724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013A KR101690243B1 (ko) 2016-11-09 2016-11-09 용기의 위치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2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021B1 (ko) 2018-12-17 2019-05-17 이래용 포장용기의 무늬 위치 정렬시스템
KR102313144B1 (ko) * 2020-08-06 2021-10-14 김대진 휴대용 조리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195B1 (ko) * 1990-03-31 1997-10-22 하기주 폴리페닐렌 술파이드의 제조방법
JP4879139B2 (ja) 2007-11-09 2012-02-22 株式会社シンセイ 食材充填カップにおけるカップと蓋の柄合わせ装置
KR101201950B1 (ko) 2012-07-02 2012-11-16 오뚜기라면 주식회사 용기면류 포장장치 및 그 포장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195B1 (ko) * 1990-03-31 1997-10-22 하기주 폴리페닐렌 술파이드의 제조방법
JP4879139B2 (ja) 2007-11-09 2012-02-22 株式会社シンセイ 食材充填カップにおけるカップと蓋の柄合わせ装置
KR101201950B1 (ko) 2012-07-02 2012-11-16 오뚜기라면 주식회사 용기면류 포장장치 및 그 포장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021B1 (ko) 2018-12-17 2019-05-17 이래용 포장용기의 무늬 위치 정렬시스템
KR102313144B1 (ko) * 2020-08-06 2021-10-14 김대진 휴대용 조리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8000B2 (ja) 製函機の不良品除去装置及び製函機
KR101690243B1 (ko) 용기의 위치 정렬장치
US11663930B2 (en) Adhesive label and roll
JP4483325B2 (ja) 包装装置
US20200410903A1 (en) Adhesive patch with voids
KR101124421B1 (ko) 종이 용기의 제조장치
JP2017170697A (ja) 製袋機の把手貼付部
JP5576686B2 (ja) 包装機
JP7178317B2 (ja) 寸法可変の蓋製造方法および寸法可変の蓋製造装置
JP5958239B2 (ja) 包装ラベル貼付装置
WO2021070937A1 (ja) 折り畳み食品の成形装置、成形システムおよび成形方法
JP2024027194A (ja) 袋供給装置
JP2023158422A (ja) 収容袋分離装置及び収容袋分離方法
KR20170132389A (ko) 물티슈용 라벨 자동 생성기
JP5894449B2 (ja) ラベル発行装置
KR20100043646A (ko) 접이식 날개를 갖는 종이 용기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JPH0595806U (ja) 連続した個装袋の分離装置
JP2004026313A (ja) 包装値付装置
JPH06590B2 (ja) シ−ト状物品の送出し装置
JP2005089126A (ja) 折り装置
JP2003182703A (ja) 包装機
JPH04128113A (ja) ラベルの貼着方法
KR20160119510A (ko) 공압 구동식 낱장 분리기를 부착한 자동식 날인기
JP2003192157A (ja) シート過供給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