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747B1 -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747B1
KR101201747B1 KR1020100048118A KR20100048118A KR101201747B1 KR 101201747 B1 KR101201747 B1 KR 101201747B1 KR 1020100048118 A KR1020100048118 A KR 1020100048118A KR 20100048118 A KR20100048118 A KR 20100048118A KR 101201747 B1 KR101201747 B1 KR 101201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holder
unit cells
battery module
nar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8593A (ko
Inventor
김태용
Original Assignee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8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747B1/ko
Priority to US12/889,383 priority patent/US20110287299A1/en
Priority to JP2010214233A priority patent/JP5357853B2/ja
Priority to CN201010510361.2A priority patent/CN102263301B/zh
Priority to EP10190592A priority patent/EP2390945B1/en
Publication of KR20110128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지 모듈은 외측으로 돌출된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 전지와, 복수의 단위 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연결 부재는 복수의 버스바와 절연 가이드를 포함한다. 복수의 버스바는 이웃한 두 단위 전지의 두 전극 단자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형성한다. 절연 가이드는 복수의 버스바 각각에 결합되어 복수의 버스바를 지지하는 복수의 홀더부와, 복수의 홀더부 사이에 위치하여 복수의 홀더부를 한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협폭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지 모듈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단위 전지에 체결되어 전극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에 관한 것이다.
전지 모듈은 복수의 단위 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고출력과 대용량 특성을 구현한 전지이다. 이러한 전지 모듈은 대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단위 전지는 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일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이차 전지가 개발되고 있다.
각 단위 전지에는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가 돌출되어 있고, 복수의 단위 전지는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의 위치가 반대가 되도록 하나씩 엇갈리게 배열된다. 전지 모듈은 연결 부재를 구비하여 단위 전지들을 직렬로 연결시킨다. 연결 부재는 이웃한 두 단위 전지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에 끼워져 이들을 연결하는 버스바(busbar)와, 버스바 체결 후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에 각각 끼워져 버스바를 고정시키는 조임 부재를 포함한다.
그런데 전술한 구조에서는 버스바가 개별적으로 구비되므로 단위 전지들에 복수의 버스바와 복수의 조임 부재를 체결하는데 조립 공정수가 많아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단위 전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단위 전지의 외형 사이즈 및 전극 단자의 위치 등에 소정의 공차가 존재하며, 단위 전지는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부피 팽창과 같은 부피 변화가 일어난다. 그러나 버스바와 조임 부재로 구성된 연결 부재는 단위 전지의 불규칙적인 공차와 부피 변화를 수용할 수 없으므로 조립 품질이 저하되고, 단위 전지의 변형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버스바를 조립체 형태로 개선하여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연결 부재가 단위 전지들의 제조 공차 및 부피 변화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 품질을 높이고 단위 전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전지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은 외측으로 돌출된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 전지와, 복수의 단위 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연결 부재는 복수의 버스바와 절연 가이드를 포함한다. 복수의 버스바는 이웃한 두 단위 전지의 두 전극 단자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형성한다. 절연 가이드는 복수의 버스바 각각에 결합되어 복수의 버스바를 지지하는 복수의 홀더부와, 복수의 홀더부 사이에 위치하여 복수의 홀더부를 한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협폭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홀더부와 복수의 협폭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신축성 있는 절연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협폭부는 복수의 홀더부 중 이웃한 두 홀더부 사이에서 두 홀더부의 중앙에 위치하여 협폭부의 양측에 한 쌍의 벤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협폭부는 홀더부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버스바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판 모양의 중앙부와, 중앙부의 측면으로부터 바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부는 중앙에 버스바가 끼워지는 개구부를 형성하며, 개구부를 향한 내측면에 돌출부를 수용하는 슬라이딩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버스바는 일정한 두께의 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부는 중앙에 버스바가 끼워지는 개구부를 형성하며, 개구부를 향한 내측면에 버스바의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슬라이딩 홈을 형성할 수 있다.
홀더부는 버스바의 가장자리 모두를 둘러싸 버스바를 지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홀더부는 버스바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버스바의 두 측면을 둘러싸 버스바를 지지할 수 있다. 버스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홀더부와 버스바 사이에 내부 공간이 위치하며, 절연 가이드는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탄성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가이드는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홀더부에 고정되고 홀더부로부터 버스바를 향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버스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버스바의 양쪽에 내부 공간이 위치하며, 탄성 가이드는 내부 공간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탄성 가이드는 홀더부에 고정되는 일단이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며, 같은 사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절연 가이드는 버스바가 끼워진 전극 단자에 체결되는 복수의 조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극 단자는 나사 가공된 표면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조임 부재는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절연 가이드를 이용하여 복수의 버스바를 조립체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신축성 있는 물질로 제조된 절연 가이드는 협폭부와 탄성 가이드를 구비함에 따라, 단위 전지들의 제조 공차와 충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단위 전지들의 부피 변화를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 모듈의 조립 품질을 높이고, 단위 전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지 모듈 중 연결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지 모듈 중 버스바와 절연 가이드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단위 전지들과 연결 부재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 중 연결 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연결 부재 중 버스바와 절연 가이드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지 모듈 중 연결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지 모듈 중 버스바와 절연 가이드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제1 실시예의 전지 모듈(100)은 복수의 단위 전지(10)와, 단위 전지들(10)에 조립되어 단위 전지들(1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부재(20)를 포함한다.
단위 전지(10)는 일차 전지 또는 이차 전지로 이루어진다. 이차 전지는 일차 전지와 달리 충전이 가능한 특성을 지닌다. 단위 전지(10)는 양극과 음극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군(도시하지 않음)과, 전해액과 함께 전극군을 수용하는 케이스(11)와, 케이스(11)의 바깥으로 돌출된 전극 단자(12, 13)를 포함한다. 전극 단자(12, 13)는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 단자(12) 및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음극 단자(13)를 포함한다.
복수의 단위 전지(10)는 서로 밀착되며 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이때 각각의 단위 전지(10)는 이웃한 단위 전지(10)와 양극 단자(12)와 음극 단자(13)의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어느 한 양극 단자(12)는 단위 전지들(10)의 배열 방향(도 1의 A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웃한 두 단위 전지(10)의 음극 단자(13)와 마주하고, 어느 한 음극 단자(13)는 이웃한 두 단위 전지(10)의 양극 단자(12)와 마주한다.
단위 전지(10)가 이차 전지인 경우 충방전 과정에서 부피 변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부피 변화에 의한 단위 전지들(10)의 어긋남을 억제하기 위하여 단위 전지들(10)의 외측에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4),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5), 상부 플레이트(16), 및 하부 플레이트(17)가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4)는 최외곽 단위 전지(10)의 바깥에 위치한다.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5)는 단위 전지들(1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4)에 체결된다. 상부 플레이트(16)와 하부 플레이트(17)는 각각 단위 전지들(10)의 상면과 하면에 밀착된 상태로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4)에 체결된다. 따라서 측면 플레이트(15)와 상부 플레이트(16) 및 하부 플레이트(17)가 단위 전지들(10)에 압력을 가하여 단위 전지들(10)의 부피 변화에 의한 변형을 억제한다.
연결 부재(20)는 이웃한 두 단위 전지(10)의 양극 단자(12)와 음극 단자(1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단위 전지들(10)을 모두 직렬로 연결시킨다. 이를 위해 연결 부재(20)는 복수의 버스바(busbar)(30)와 복수의 조임 부재(40)를 포함한다. 또한, 연결 부재(20)는 복수의 버스바(30)에 결합되어 복수의 버스바(30)를 하나의 조립체로 연결하는 절연 가이드(50)를 포함한다.
버스바(30)는 금속으로 제조되며,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판 모양의 중앙부(31)와, 중앙부(31)의 측면으로부터 바깥으로 돌출된 돌출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31)의 길이(L1, 도 2 참조)는 이웃한 두 단위 전지(10)의 두 전극 단자(12, 13)간 거리보다 크다. 중앙부(31)에는 두 전극 단자(12, 13)에 대응하는 위치에 두 전극 단자(12, 13)를 각각 통과시키기 위한 2개의 관통홀(33)이 형성된다. 돌출부(32)의 두께는 중앙부(31)의 두께보다 작다.
조임 부재(40)는 각 전극 단자(12, 13)에 대응하여 구비된다. 각 전극 단자(12, 13)는 나사 가공된 표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조임 부재(40)는 너트로 이루어진다.
절연 가이드(50)는 각 버스바(30)에 결합되어 각 버스바(30)를 지지하는 복수의 홀더부(51)와, 복수의 홀더부(51) 사이에 위치하여 복수의 홀더부(51)를 한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협폭부(52)를 포함한다. 복수의 홀더부(51)와 복수의 협폭부(52)는 일체로 형성되며, 신축성 있는(flexible) 절연 물질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절연 가이드(50)는 신축성 있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홀더부(51)는 대략적인 직사각 모양으로 형성되고, 버스바(3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 버스바(30)를 지지한다. 홀더부(51)는 중앙에 버스바(30)가 끼워지는 개구부(53)를 형성하며, 개구부(53)를 향한 내측면에 버스바(30)의 돌출부(32)를 수용하는 슬라이딩 홈(54)을 형성한다.
홀더부(51)는 버스바(30)보다 큰 두께로 형성되어 버스바(30)의 상면 위로 홀더부(51)의 일부가 돌출되고, 버스바(30)의 하면 아래로 홀더부(51)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홀더부(51)는 버스바(30)가 전극 단자(12, 13)를 제외한 단위 전지(10)의 나머지 부분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홀더부(51)는 버스바(30)의 폭 방향(도 3의 B 화살표 방향)을 따라 제1 폭(w1, 도 3 참조)을 가지며, 협폭부(52)는 버스바(30)의 폭 방향을 따라 제1 폭(w1)보다 작은 제2 폭(w2, 도 3 참조)을 가진다. 협폭부(52)는 이웃한 두 홀더부(51) 사이에서 버스바(30)의 폭 방향을 따라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고 중앙에 위치한다. 이로써 협폭부(52)의 양측에 한 쌍의 벤딩(bending) 홈(55)이 대칭으로 형성된다. 벤딩 홈(55)은 협폭부(52)가 외력에 의해 구부러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협폭부(52)는 홀더부(51)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홀더부(51)가 제1 두께(t1, 도 2 참조)를 가질 때 협폭부(52)는 제1 두께(t1)보다 작은 제2 두께(t2, 도 2 참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협폭부(52)에서의 구부러짐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복수의 협폭부(52)는 버스바(30)를 지지하는 복수의 홀더부(51)를 한 방향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복수의 버스바(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가이드(50)와 함께 한 방향을 따라 이어진 하나의 조립체를 구성한다. 이 조립체는 한 쌍의 벤딩 홈(55)에 의해 이웃한 두 버스바(30)의 사이 부위, 즉 협폭부(52)에서 외력에 의해 쉽게 구부러지는 특성을 가진다.
한편, 상기에서는 버스바(30)에 돌출부(32)가 형성되고 돌출부(32)가 홀더부(51)의 슬라이딩 홈(54)에 끼워지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버스바(30)는 돌출부(32)를 형성하지 않고 버스바(30)의 가장자리 일부가 홀더부(51)의 슬라이딩 홈(54)에 끼워지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단위 전지들과 연결 부재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복수의 단위 전지(10)를 준비하고, 양극 단자(12) 및 음극 단자(13)의 위치가 반대가 되도록 단위 전지(10)를 하나씩 엇갈리게 배열한다. 이어서 단위 전지들(10) 위로 단위 전지들(10)의 배열 방향(도 4의 A 화살표 방향)을 따라 복수의 버스바(30)와 절연 가이드(50)로 이루어진 조립체를 배치하고, 버스바(30)를 하나씩 단위 전지들(10)에 조립한다.
도 4를 기준으로 가장 왼쪽에 위치하는 버스바(30)를 2개의 전극 단자(12, 13)에 끼우고, 조임 부재(40)를 전극 단자(12, 13)에 체결한다. 이어서 그 다음에 위치하는 버스바(30)를 2개의 전극 단자(12, 13)에 끼우고, 조임 부재(40)를 전극 단자(12, 13)에 체결한다. 이 과정을 순서대로 반복하여 복수의 버스바(30)를 단위 전지들(10)에 조립한다. 이 과정에서 절연 가이드(50)는 협폭부(52)에서 쉽게 구부러지므로, 단위 전지들(10)에 대한 버스바(30)의 조립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연 가이드(50)를 이용하여 복수의 버스바(30)를 조립체 형태로 구성함에 따라,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절연 가이드(50)는 신축성 있는 절연 물질로 제조되므로, 단위 전지들(10)의 제조 공차와 충방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단위 전지들(10)의 부피 변화를 수용할 수 있다. 즉, 절연 가이드(50)의 협폭부(52)는 단위 전지들(10)의 배열 방향 및 이와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쉽게 구부러지므로, 제조 공차에 대응하여 구부러진 상태로 배열되거나 단위 전지들(10)의 부피 변화에 대응하여 신축되거나 휘어짐으로써 단위 전지들(10)의 제조 공차와 부피 변화를 흡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 중 연결 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연결 부재 중 버스바와 절연 가이드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제2 실시예의 전지 모듈은 연결 부재(201)의 버스바(301)가 일정한 두께의 사각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절연 가이드(501)에 탄성 가이드(56)를 부가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전지 모듈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1 실시예와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절연 가이드(501)는 홀더부(51)와 협폭부(52) 및 탄성 가이드(56)를 포함한다. 홀더부(51)는 버스바(30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버스바(301)의 두 측면을 감싸며, 버스바(3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버스바(301)와 소정의 내부 공간(57)을 두고 떨어져 위치한다. 버스바(301)의 길이 방향은 단위 전지들의 정렬 방향(도 5의 A 화살표 방향)과 일치한다.
홀더부(51)는 버스바(301)를 향한 내측면에 버스바(301)의 두 측면을 수용하는 슬라이딩 홈(541)을 형성한다. 홀더부(51)는 버스바(301)보다 큰 두께로 형성되어 버스바(301)의 상면 위로 홀더부(51)의 일부가 돌출되고, 버스바(301)의 하면 아래로 홀더부(51)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한다.
탄성 가이드(56)는 홀더부(51)의 내부 공간(57)에 설치된다. 탄성 가이드(56)는 막대 형상으로서 일단이 홀더부(51)에 고정되고, 홀더부(51)로부터 버스바(301)를 향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버스바(3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버스바(301)의 양쪽에 내부 공간(57)이 마련되며, 한 쌍의 탄성 가이드(56)가 하나의 홀더부(51)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탄성 가이드(56)는 홀더부(51)에 고정되는 일단이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나, 같은 사선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홀더부(51)와 탄성 가이드(56) 및 협폭부(52)는 일체로 연결된다. 협폭부(52)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에서는 버스바(301)가 일정한 두께의 판 모양으로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버스바(30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두 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홀더부(51)의 내측에 돌출부를 수용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제2 실시예의 전지 모듈에서 탄성 가이드(56)는 버스바(301) 조립 전 버스바(301)를 정위치에 고정시키고, 조립 과정 또는 조립 후 외력에 의해 변형되어 단위 전지의 제조 공차와 부피 변화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즉, 탄성 가이드(56)는 외력에 의해 변형하여 버스바(301)와 홀더부(51) 사이 내부 공간(57)의 폭(w3, 도 6 참조)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단위 전지의 제조 공차를 흡수하고, 단위 전지들의 부피 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전지 모듈 20, 201: 연결 부재
30, 301: 버스바(busbar) 31: 중앙부
32: 돌출부 33: 관통홀
40: 조임 부재 50, 501: 절연 가이드
51: 홀더부 52: 협폭부
53: 개구부 54, 541: 슬라이딩 홈
55: 벤딩 홈 56: 탄성 가이드

Claims (16)

  1. 외측으로 돌출된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 전지; 및
    상기 복수의 단위 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이웃한 두 단위 전지의 두 전극 단자에 대응하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복수의 버스바(busbar); 및
    상기 복수의 버스바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버스바를 지지하는 복수의 홀더부와, 상기 복수의 홀더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홀더부를 한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협폭부를 구비하는 절연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부는 중앙에 상기 버스바가 끼워지는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를 향한 내측면에 상기 버스바를 수용하는 슬라이딩 홈을 형성하는 전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더부와 상기 복수의 협폭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신축성 있는 절연 물질로 제조되는 전지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협폭부는 상기 복수의 홀더부 중 이웃한 두 홀더부 사이에서 상기 두 홀더부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협폭부의 양측에 한 쌍의 벤딩 홈이 형성되는 전지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협폭부는 상기 협폭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두 홀더부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전지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상기 관통홀을 형성하는 판 모양의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측면으로부터 바깥으로 돌출되고 상기 슬라이딩 홈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일정한 두께의 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버스바의 가장자리가 상기 슬라이딩 홈에 끼워지는 전지 모듈.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버스바의 가장자리 모두를 둘러싸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는 전지 모듈.
  10.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버스바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상기 버스바의 두 측면을 둘러싸 상기 버스바를 지지하는 전지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홀더부와 상기 버스바 사이에 내부 공간이 위치하며, 상기 절연 가이드는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탄성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전지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이드는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홀더부에 고정되고 상기 홀더부로부터 상기 버스바를 향해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지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버스바의 양쪽에 상기 내부 공간이 위치하며, 상기 탄성 가이드는 상기 내부 공간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전지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탄성 가이드는 상기 홀더부에 고정되는 일단이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며, 같은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지 모듈.
  15.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가이드는 상기 버스바가 끼워진 상기 전극 단자에 체결되는 복수의 조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지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단자는 나사 가공된 표면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조임 부재는 너트로 이루어지는 전지 모듈.
KR1020100048118A 2010-05-24 2010-05-24 전지 모듈 KR101201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118A KR101201747B1 (ko) 2010-05-24 2010-05-24 전지 모듈
US12/889,383 US20110287299A1 (en) 2010-05-24 2010-09-23 Battery module
JP2010214233A JP5357853B2 (ja) 2010-05-24 2010-09-24 電池モジュール
CN201010510361.2A CN102263301B (zh) 2010-05-24 2010-09-30 电池模块
EP10190592A EP2390945B1 (en) 2010-05-24 2010-11-10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118A KR101201747B1 (ko) 2010-05-24 2010-05-24 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593A KR20110128593A (ko) 2011-11-30
KR101201747B1 true KR101201747B1 (ko) 2012-11-15

Family

ID=43428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118A KR101201747B1 (ko) 2010-05-24 2010-05-24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287299A1 (ko)
EP (1) EP2390945B1 (ko)
JP (1) JP5357853B2 (ko)
KR (1) KR101201747B1 (ko)
CN (1) CN10226330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2324A (ko) * 2015-11-04 2017-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US11557809B2 (en) 2019-12-31 2023-01-1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677B1 (ko) 2009-10-30 2012-05-2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버스바홀더
JP2012113944A (ja) * 2010-11-24 2012-06-14 Mitsubishi Heavy Ind Ltd 電池モジュール
KR101303416B1 (ko) 2011-02-15 2013-09-0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하우징의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KR101292276B1 (ko) * 2011-12-07 2013-08-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장치 모듈용 단자 연결 장치
US10074844B2 (en) 2011-12-09 2018-09-11 Honda Motor Co., Ltd. Battery module
KR101400085B1 (ko) * 2011-12-16 2014-05-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절연성 접속부재 및 절연성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전지모듈
KR101320393B1 (ko) 2012-03-23 2013-10-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CN104205410B (zh) * 2012-04-05 2017-12-19 胡斯华纳有限公司 电池组
JP6124121B2 (ja) * 2012-05-21 2017-05-10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の製造方法、スペーサ、及び蓄電装置
US9105912B2 (en) * 2012-05-21 2015-08-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Boltless battery cell connection
KR101987773B1 (ko) * 2012-07-16 2019-06-1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팩
WO2014034079A1 (ja) * 2012-08-30 2014-03-0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並びに蓄電装置
JP6264720B2 (ja) * 2012-12-04 2018-01-24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DE102013202244A1 (de) * 2013-02-12 2014-08-14 Robert Bosch Gmbh Zellverbinder zum elektrisch leitfähigen Kontaktieren einer Mehrzahl von Batteriezellterminals,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Zellverbinders und Batteriemodul mit wenigstens einem solchen Zellverbinder
KR20140123693A (ko) * 2013-04-15 2014-10-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9774023B2 (en) * 2013-05-21 2017-09-26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PL3005443T3 (pl) * 2013-05-24 2019-02-28 Super B International Holding B.V. Zespół akumulatora i sposób jego wytwarzania
JP6098444B2 (ja) * 2013-09-02 2017-03-22 株式会社デンソー 組電池
US9960396B2 (en) 2013-09-24 2018-05-01 Artisan Vehicle Systems Inc. Module backbone system
US10063069B1 (en) 2014-05-23 2018-08-28 Artisan Vehicle Systems Inc. Module maintenance system
DE102013221872B4 (de) * 2013-10-28 2016-09-15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Verbinder zur Verbindung von zellenförmigen elektrischen Elementen
DE102013222090A1 (de) * 2013-10-30 2015-04-3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Zellkontaktierungssystem, Batteriemodul mit einem Zellkontaktierungssystem und Fahrzeug mit zumindest einem derartigen Batteriemodul
DE102014212271A1 (de) * 2014-06-26 2015-12-31 Robert Bosch Gmbh Verbindungselement mit Federelementen
JP6365186B2 (ja) 2014-09-29 2018-08-01 豊田合成株式会社 バスバーモジュール
JP6319135B2 (ja) * 2015-02-26 2018-05-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の製造方法
US10403875B2 (en) * 2015-04-14 2019-09-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usbar assembly for vehicle traction battery
JP2017076546A (ja) * 2015-10-15 2017-04-20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池配線モジュール
JP6298842B2 (ja) * 2016-03-10 2018-03-2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接続モジュール
JP6469062B2 (ja) * 2016-09-30 2019-02-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接続モジュール
KR102043969B1 (ko) 2017-04-18 2019-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WO2018194296A1 (ko) * 2017-04-18 2018-10-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CN107093687A (zh) * 2017-05-26 2017-08-25 江苏银基烯碳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结构
JP6807026B2 (ja) * 2017-06-02 2021-01-0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JP7162193B2 (ja) * 2017-09-20 2022-10-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KR102159347B1 (ko) 2017-11-14 2020-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가압형 엔드 플레이트와 확장형 센싱 하우징 구조가 적용된 배터리 모듈
KR102259416B1 (ko) * 2017-12-14 2021-06-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버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N111630742B (zh) * 2018-01-19 2022-04-12 株式会社润工社 支承构件、导管支承装置以及具备该导管支承装置的处理装置
JP6979372B2 (ja) * 2018-02-26 2021-12-15 ビークルエナジージャパン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6709816B2 (ja) * 2018-03-14 2020-06-17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スバー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KR102040046B1 (ko) * 2018-07-30 2019-11-27 (주)에너담 방향전환이 가능한 배터리 전극탭 보호장치
CN111653697B (zh) * 2019-03-04 2021-08-13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包装壳体及电池组
US10971714B2 (en) * 2019-03-15 2021-04-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ttery pack and a pre-assembled electrical connection unit for the battery pack
CN210744017U (zh) * 2019-10-21 2020-06-1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线束隔离板组件、电池模块、电池组及装置
US11532858B2 (en) * 2020-03-04 2022-12-20 Damon Motors Inc. Busbar holder for battery
CN111129412B (zh) * 2020-03-31 2020-12-29 江苏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连接组件、电池模块、装置以及连接组件的制造方法
EP4195364A1 (en) * 2021-01-11 2023-06-14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KR20220157137A (ko) * 2021-05-20 2022-11-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9909A (ja) 1998-09-09 2000-05-30 Yazaki Corp バッテリ接続プレ―ト
JP2001057196A (ja) * 1999-06-10 2001-0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電池
JP2002164034A (ja) 2000-11-27 2002-06-07 Yazaki Corp バッテリ接続プレ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3445B2 (ja) * 1999-05-18 2005-01-26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接続プレート
JP3860520B2 (ja) * 2002-09-04 2006-12-20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接続プレートの樹脂プレート用成形金型構造
JP4923511B2 (ja) * 2004-12-27 2012-04-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KR100891079B1 (ko) * 2005-02-07 2009-03-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모듈용 전지 카트리지 연결 시스템
JP2006324348A (ja) * 2005-05-17 2006-11-30 Honda Motor Co Ltd 接続部材と蓄電装置
JP5252836B2 (ja) * 2007-05-29 2013-07-31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JP4477048B2 (ja) * 2007-08-23 2010-06-09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装置
US20090075163A1 (en) * 2007-09-14 2009-03-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erminals of a battery
CN102057519B (zh) * 2008-04-14 2014-04-16 A123系统公司 电池模块、电池模块构造和制造电池模块的方法
JP2010097722A (ja) * 2008-10-14 2010-04-30 Toshiba Corp 電池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9909A (ja) 1998-09-09 2000-05-30 Yazaki Corp バッテリ接続プレ―ト
JP2001057196A (ja) * 1999-06-10 2001-0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電池
JP2002164034A (ja) 2000-11-27 2002-06-07 Yazaki Corp バッテリ接続プレー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2324A (ko) * 2015-11-04 2017-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KR102468334B1 (ko) * 2015-11-04 2022-1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US11557809B2 (en) 2019-12-31 2023-01-1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63301B (zh) 2014-02-19
CN102263301A (zh) 2011-11-30
JP5357853B2 (ja) 2013-12-04
EP2390945B1 (en) 2012-08-22
JP2011249303A (ja) 2011-12-08
US20110287299A1 (en) 2011-11-24
EP2390945A1 (en) 2011-11-30
KR20110128593A (ko) 201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747B1 (ko) 전지 모듈
US9768427B2 (en) Battery module assembly of improved reliability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CN108780861B (zh) 电源装置
US8420250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0684846B1 (ko) 이차 전지 모듈
US8734979B2 (en) Battery module
EP2645454B1 (en) Bus bar assembly having a novel structure
US20170194676A1 (en) Power source device
KR101509474B1 (ko) 단일 전극단자 결합부를 가진 전지 조합체
KR101371212B1 (ko) 전지 모듈용 셀 카트리지 및 전지 모듈
KR100717751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2394688B1 (ko) 배터리 모듈
US20140356664A1 (en) Battery module
CN216648473U (zh) 可再充电电池包
US10367180B2 (en) Battery pack
KR101957403B1 (ko) 셀 리드 연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101533991B1 (ko) 전지모듈 어셈블리
US20230344060A1 (en) A battery block
JP2022548857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20150112917A (ko) 연결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140060619A (ko) 연결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