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096B1 - 폴리머 및 화장료 - Google Patents

폴리머 및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096B1
KR101201096B1 KR1020077028825A KR20077028825A KR101201096B1 KR 101201096 B1 KR101201096 B1 KR 101201096B1 KR 1020077028825 A KR1020077028825 A KR 1020077028825A KR 20077028825 A KR20077028825 A KR 20077028825A KR 101201096 B1 KR101201096 B1 KR 101201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rbon atoms
polymer
alky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8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7249A (ko
Inventor
도모히코 기무라
아키라 노다
히로아키 요코야마
다쿠지 노자와
아키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도호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호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도호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7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08F220/36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e.g. 2-N-morpholinoethyl (meth)acrylate or 2-isocyanatoethyl (meth)acrylate
    • C08F220/365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e.g. 2-N-morpholinoethyl (meth)acrylate or 2-isocyanatoethyl (meth)acrylate containing further carboxylic moie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60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containing nitrogen in addition to the carbonamido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60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containing nitrogen in addition to the carbonamido nitrogen
    • C08F220/603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containing nitrogen in addition to the carbonamido nitrogen and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namido oxygen and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 C08F226/04Diallyl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8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amphoteric or zwitterio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머 및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성 모노머와 특정의 양이온성 모노머를 필수 구성 모노머로 하는 폴리머.
(화학식 1)
Figure 112007088622210-pct00013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 R2 및 R3은 각각 독립해서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또는 -(CH2CH2O)nR7기(n은 1 내지 50의 정수, R7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냄), R4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렌기, A는 산소 원자 또는 NR8(R8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페닐기, 또는 -(CH2CH2O)nR9기(n은 1 내지 50의 정수, R9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냄))으로 표시되는 기, B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렌기를 나타낸 다.)

Description

폴리머 및 화장료{POLYMER AND COSMETIC PREPARATION}
본 발명은 폴리머 및 화장료, 특히 모발 및 피부 세정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사용 시 및 사용 후의 감촉이 중시된다. 예를 들면 모발 및 피부 세정료에서는 본래의 기능인 세정력 뿐만 아니라 세정 시에 생기는 거품질이나 세정 후의 모발 및 피부의 감촉이 중요시된다. 거품질에 대해서는 특히 기포가 미세한 크림같은(creamy) 거품질이 요구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모발 및 피부의 감촉에 대해서는 세정력이 높은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세정료는 모발이나 피부를 필요 이상으로 탈지(脫脂)하는 경우가 있고, 촉촉한 바람직한 감촉을 부여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세정료 기제 중에 각종 고분자를 배합함으로써 그 거품질이나 사용 감촉을 개량하는 것이 널리 실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양이온성 폴리머를 배합한 세정료가 개시되어 있고, 특허문헌 2 및 3에는 양이온성 폴리머와 음이온성 모노머와 양이온성 모노머와 비이온성 모노머를 구성 모노머로 하는 양성 폴리머를 배합한 세정료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2-4799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64678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73257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 세정료에서는 모두 사용 후의 피부나 모발에 부여하는 촉촉함이 충분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후의 모발 및 피부에 촉촉함을 부여할 수 있는 새로운 폴리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자들이 예의 검토를 실시한 결과, 특정의 양성 모노머와 양이온성 모노머를 중합시켜 이루어진 폴리머를 이용함으로써, 촉촉함이 현저히 개선된 화장료가 수득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모발 및 피부 세정료에 이용한 경우, 거품이 생기는 것이 양호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는 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제 1 주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성 모노머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모노머를 필수 구성 모노머로 하는 폴리머이다.
Figure 112007088622210-pc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해서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또는 -(CH2CH2O)nR7기(n은 1 내지 50의 정수, R7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냄)이며, R4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렌기이고, A는 산소 원자 또는 NR8{R8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페닐기, 또는 -(CH2CH2O)nR9기(n은 1 내지 50의 정수, R9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냄)}으로 표시되는 기이고, B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88622210-pc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5 및 R6은 각각 독립해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이며, Y-는 1 가의 무기 또는 유기 음이온이다.)
상기 폴리머에서 양이온성 모노머와 양성 모노머의 몰비가 1:9~9: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에서 평균 분자량이 1 만 이상 100 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주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성 모노머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모노머를 필수 구성 모노머로 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화장료이다.
상기 화장료는 또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는 모발 및 피부 세정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폴리머는 특정의 양성 모노머와 양이온성 모노머를 필수 구성 모노머로 함으로써 사용 후의 모발 및 피부에 촉촉함을 부여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술한다.
폴리머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성 모노머와, 하기 화 학식 2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모노머를 구성 모노머로서 포함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88622210-pc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해서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또는 -(CH2CH2O)nR7기(n은 1 내지 50의 정수, R7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냄)이며, R4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렌기이고, A는 산소 원자 또는 NR8{R8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페닐기, 또는 -(CH2CH2O)nR9기(n은 1 내지 50의 정수, R9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냄)}로 표시되는 기이고, B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07088622210-pct00004
(상기 화학식 2에서, R5 및 R6은 각각 독립해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이며, Y-는 1 가의 무기 또는 유기 음이온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성 모노머는 N-치환 아미노알킬아크릴아미드베타인 또는 N-치환 아미노알킬메타크릴아미드베타인, N-치환 아미노알킬아크릴레이트베타인 또는 N-치환 아미노알킬메타크릴레이트베타인이다.
또한, 화학식 1에서, 질소의 치환기인 R2 및 R3은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또는 -(CH2CH2O)nR7기(n은 1 내지 50의 정수, R7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냄)이다.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중 어느 것이라도 좋고, 또한 수산기 또는 불소 원자가 일부 치환되어도 좋다.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2-히드록시에틸기, 2-히드록시프로필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콕시기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R2 및 R3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좋다.
또한, 화학식 1에서, R4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렌기이다. 탄소수가 4 이상의 알킬렌기이면 소수적 성질이 높아지므로 촉촉함이 저하한다.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렌기로서는 직쇄형, 분지쇄형 중 어느 것이라도 좋고, 또한 수산기 또는 불소 원자가 일부 치환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이소프로필렌기, 2-히드록시에틸렌기, 2-히드록시프로필렌기, 디플루오로메틸렌기, 디플루오로에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화학식 1에서, A는 산소 원자 또는 NR8로 표시되는 기이다. 질소의 치환기인 R8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페닐기, 또는 -(CH2CH2O)nR9기(n은 1 내지 50의 정수, R9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냄)이다. 여기서 말하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중 어느 것이라도 좋고, 또한 수산기 또는 불소 원자가 일부 치환되어도 좋다.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 로필기, 부틸기, 2-히드록시에틸기, 2-히드록시프로필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콕시기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R2 및 R3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좋다.
또한, 화학식 1에서 B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부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양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아세트산 베타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세트산 베타인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아세트산 베타인이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모노머는 디알킬디알릴암모늄염이다. 화학식 2에서, 4 급 암모늄 질소의 치환기인 R5 및 R6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이다.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중 어느 것이라도 좋고, 또한 수산기 또는 불소 원자가 일부 치환되어도 좋다.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2-히드록시에틸기, 2-히드록시프로필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콕시기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화학식 2에서, Y-는 1 가의 무기 또는 유기 음이온이고, 4 급 암모늄의 염을 형성할 수 있으면 어느 것이라도 관계없지만, 예를 들면 1 가의 무기 음이온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물 이온, 불화물 이온, 요오드화물 이온 등을 들 수 있고, 1 가의 유기 음이온으로서는 황산 이온, 아세트산 이온, 벤젠 설폰산 이온, 인산 이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R5 및 R6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양이온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 염화디에틸디알릴암모늄, 염화디프로필디알릴암모늄, 황산디메틸디알릴암모늄, 황산디에틸디알릴암모늄, 황산디프로필디알릴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특히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의 폴리머는 상기 양성 모노머와 양이온성 모노머를 이용하여 공지된 중합 방법으로 중합을 실시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균일 용액 중합법, 불균일 용액 중합법, 유화중합법, 역상 유화 중합법, 괴상(塊狀) 중합법, 현탁 중합법, 침전 중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균일 용액 중합법의 경우, 상기 각 모노머를 적절한 몰비로 용매에 용해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가열 교 반함으로써 본 발명의 폴리머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머에서는 원료가 되는 상기 각 모노머의 몰비를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원하는 모노머 몰비의 폴리머를 수득할 수 있다.
중합 시에 이용되는 용매로서는 각 모노머를 용해 또는 현탁할 수 있는 용매이면 어떤 용매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콜, 이소프로필알콜, 부틸알콜 등의 알콜계 용매, 헥산, 헵탄, 옥탄, 이소옥탄, 데칸, 유동 파라핀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디메틸에테르,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매,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염화물계 용매 등 외에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에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디옥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2 종 이상 혼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한, 통상 이용하는 중합개시제의 개시 온도 보다도 비점이 높은 용매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라디칼 중합을 개시하는 능력을 가지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과산화벤조일 등의 과산화물,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 2'-아조비스(이소락산)디메틸 등의 아조계 화합물 외에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등의 과황산계 중합개시제를 들 수 있다. 중합 온도는 각 중합 개시제의 중합 개시 온도 이상으로 한다. 예를 들면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에서는 통상 70 ℃ 정도로 하면 좋다. 또한, 이들 중합 개시제에 의하지 않고 광화학 반응이나 방사선 조사 등에 의해서도 중합을 실시할 수 있다.
중합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필요로 하는 폴리머의 분자량에 따라서 적절히 조정할 수 있지만, 통상 2 시간 내지 24 시간이다. 반응 시간이 너무 짧으면 미반응의 모노머가 잔존하고, 분자량도 비교적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머에 있어서, 구성 모노머의 몰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양이온성 모노머와 양성 모노머의 몰비가 1:9~9: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몰비 1:9~5:5가 바람직하고, 특별히 몰비 4:6 부근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외이면 공중합체로서의 성질이 작아지고, 각각의 호모폴리머적인 성질을 갖게 되므로 화장료에 배합할 때 촉촉함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만 이상 10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만 미만이면 폴리머로서의 성질이 발현하기 어렵고, 화장료에 배합할 때 촉촉함이 충분히 수득되지 않는다. 또한, 100만을 초과해도 촉촉함이 저하되는 경향이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머에서는 각 모노머가 부가되는 순서는 특별히 지정하지 않고, 블록 형상으로 부가해도 랜덤 형상으로 부가해도 좋지만, 통상은 각 모노머가 랜덤 형상으로 부가된 폴리머가 수득된다.
본 발명의 폴리머의 대표적인 일례인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아세트산 베타인 공중합체를 하기 화학식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07088622210-pct00005
상기 화학식 3에서, m, n은 각각 구성 모노머 전량 중의 양이온성 모노머(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 양성 모노머(N,N-디메틸프로필아크릴아미드 아세트산 베타인)의 몰 비율을 나타내고, m은 0.01~0.99, n은 0.99~0.01이다. 바람직하게는 m은 0.1~0.9, n은 0.9~0.1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m은 0.15~0.5, n은 0.50~0.85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머는 상기 필수 구성 모노머 뿐만 아니라 비이온성 모노머를 중합시킨 터폴리머라도 관계없다. 공중합시키는 비이온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아미드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화장료
본 발명의 화장료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성 모노머와, 양이온성 모노머를 필수 구성 모노머로 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88622210-pct00006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해서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또는 -(CH2CH2O)nR7기(n은 1 내지 50의 정수, R7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냄)이며, R4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렌기이고, A는 산소 원자 또는 NR8{R8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페닐기, 또는 -(CH2CH2O)nR9기(n은 1 내지 50의 정수, R9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냄)}로 표시되는 기이고, B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성 모노머는 N-치환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아미드베타인 또는 N-치환아미노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베타인이다.
화학식 1에서, 질소의 치환기인 R2 및 R3은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또는 -(CH2CH2O)nR7기(n은 1 내지 50의 정수, R7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냄)이다.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중 어느 것이라도 좋고, 또한 수산기 또는 불소 원자가 일부 치환되어도 좋다.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2-히드록시에틸기, 2-히드록시프로필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에틸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콕시기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R2 및 R3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좋다.
또한, 화학식 1에서, R4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렌기이다. 탄소수가 4 이상의 알킬렌기이면 소수적 성질이 높아지므로 촉촉함이 저하된다.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렌기로서는 직쇄형, 분지쇄형 중 어느 것이라도 좋고, 또한 수산기 또는 불소 원자가 일부 치환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이소프로필렌기, 2-히드록시에틸렌기, 2-히드록시프로필렌기, 디플루오로메틸렌기, 디플루오로에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화학식 1에서, A는 산소 원자 또는 NR8로 표시되는 기이다. 질소의 치환기인 R8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페닐기, 또는 -(CH2CH2O)nR9기(n은 1 내지 50의 정수, R9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냄)이다. 여기서 말하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 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중 어느 것이라도 좋고, 또한 수산기 또는 불소 원자가 일부 치환되어도 좋다.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2-히드록시에틸기, 2-히드록시프로필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콕시기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R2 및 R3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좋다.
또한, 화학식 1에서 B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부틸렌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양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아세트산 베타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세트산 베타인 등을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아세트산 베타인이다.
양이온성 모노머로서는 N,N-디알킬디알릴암모늄염, 디알킬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염, 메타크릴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메틸설페이트, 아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염,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크릴아 미드, 메타크릴아미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양이온성 모노머로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모노머인 디알킬디알릴암모늄염이 각종 pH에서의 냄새의 변화가 적은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화학식 2)
Figure 112007088622210-pct00007
(상기 화학식 2에서, R5 및 R6은 각각 독립해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이며, Y-는 1 가의 무기 또는 유기 음이온이다.)
화학식 2에서, 4 급 암모늄 질소의 치환기인 R5 및 R6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이다.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는 직쇄형, 분지쇄형 중 어느 것이라도 좋고, 또한, 수산기 또는 불소 원자가 일부 치환되어도 좋다.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2-히드록시에틸기, 2-히드록시프로필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콕시기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화학식 2에서 Y-은 1 가의 무기 또는 유기 음이온이며, 4 급 암모늄의 염을 형성할 수 있으면 어느 것이라도 관계없지만, 예를 들면 1 가의 무기 음이온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물 이온, 불화물 이온, 요오드화물 이온 등을 들 수 있고, 1 가의 유기 음이온으로서는 황산 이온, 아세트산 이온, 벤젠설폰산 이온, 인산 이온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R5 및 R6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좋다.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 염화디에틸디알릴암모늄, 염화디프로필디알릴암모늄, 황산디메틸디알릴암모늄, 황산디에틸디알릴암모늄, 황산디프로필디알릴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특히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에서, 상기 폴리머의 배합량은 적절히 조정할 수 있지만, 화장료 전량에 대해 0.01 질량% 내지 10 질량%, 또는 0.1 질량% 내지 3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의 배합량이 0.01 질량% 보다 적은 경우에는 피부의 촉촉함의 개선 효과가 충분하지 않는 경우가 있고, 한편 10 질량% 보다 많은 경우에는 끈적임을 생기게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에서는 상기 폴리머와 조합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배합하면 사용 후에 모발 및 피부에 부여하는 촉촉함면에서 더 양호하다. 또한, 모발 및 피부 세정료의 경우, 기포성(起泡性)의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이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폴리머의 양이온 부분과의 상호 작용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중에서도 지방산 비누, 장쇄 아실에테르카르본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염, 장쇄 아실 아미노산염, 장쇄 아실 저급알킬형타우린염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지방산 비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 비누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린산나트륨, 미리스틴산나트륨, 팔미틴산나트륨, 스테아린산나트륨, 라우린산칼륨, 미리스틴산칼륨, 팔미틴산칼륨, 스테아린산칼륨 등을 들 수 있고, 장쇄 아실에테르카르본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POE-라우릴에테르카르본산염 등을 들 수 있고,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황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황산염 등을 들 수 있고, 장쇄 아실아미노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N-라우로일글루타민산모노나트륨, N-스테아로일글루타민산 디나트륨, N-미리스토일-L-글루타민산 모노나트륨 등을 들 수 있고, 장쇄 아실저급 알킬형 타우린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N-라우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N-스테아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화장료 전량에 대해 1.0 질량% 내지 60 질량%, 또는 5.0 질량% 내지 4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이 1.0 질량% 보다 적은 경우에는 첨가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한편 60 질량% 보다 많이 배합해도 배합량에 알맞은 효과가 수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에서는 상기 성분 외에 통상 화장료나 의약품에 이용되는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 있다. 배합 가 능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보습제, 분말 성분, 액체 유지, 고체 유지, 왁스류, 탄화수소유,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콜, 합성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천연 수용성 고분자, 반합성 수용성 고분자, 합성 수용성 고분자,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금속 이온 봉쇄제, 저급 알콜, 다가 알콜, 단당, 올리고당, 다당, 아미노산, 유기 아민, 고분자 에멀젼, pH 조정제, 산화 방지제, 산화 방지 조제, 방부제, 소염제, 미백제, 각종 추출물, 부활제, 혈행촉진제, 항지루제, 항염증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의 제형은 임의이고, 크림계, 유액계, 용액계, 가용화계, 분말 분산계, 물-기름 이층계, 물-기름-분말 3 층계 등 어떤 제형이라도 관계없다.
본 발명에 대해 이하에 실시예를 예로 들어 더 상술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배합량은 특별히 부기하지 않는 한, 그 성분이 배합되는 계에 대한 질량%로 나타낸다.
각 폴리머의 모노머 조성은 구성 모노머 전량 중의 각 모노머의 몰비로 나타낸다. 또한, 각 폴리머의 배합량은 모두 순분(純分) 환산으로 표기한다.
실시예 1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의 합성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합성예 1)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 64.6g(400 mmol),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아세트산 베타인 128.5 g(600 mmol)을 이용하여 목적으로 하는 염화 디메틸디 알릴암모늄/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아세트산 베타인 공중합체를 수득했다.
(합성예 2)
염화 디에틸디알릴암모늄 75.9g(400 mmol),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아세트산 베타인 128.5 g(600 mmol)을 이용하여 목적으로 하는 염화 디에틸디알릴암모늄/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아세트산 베타인 공중합체를 수득했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평가 기준을 나타낸다.
(1) 거품질
각 세안료의 거품질에 대해 전문 패널 10 명에 의해,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실사용 시험을 실시하여 평균점을 산출했다.
5 점 : 크림같다.
4 점 : 약간 크림같다.
3 점 : 보통
2 점 : 약간 크림같지 않다.
1 점 : 크림같지 않다.
(2) 촉촉함
각 세안료를 이용하여 세정 후의 피부의 촉촉함에 대해 전문 패널 10 명에 의해, 이하의 평가 기준에 기초하여 실사용 시험을 실시하여 평균점을 산출했다.
5 점 : 촉촉함이 있다.
4 점 : 약간 촉촉함이 있다.
3 점 : 보통
2 점 : 약간 촉촉함이 없다.
1 점 : 촉촉함이 없다.
각종 폴리머를 배합한 세안료에 대해 상기 항목에 대해 실사용 시험을 실시했다.
세안료의 배합 조성과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낸다.
Figure 112007088622210-pct00008
※1 : ME 폴리머 H40WTM(도호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제)
※2: ME 폴리머 09WTM(도호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제)
※3: ME 폴리머 T-343TM(도호 가가꾸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제)
폴리머를 배합하지 않은 시험예 1-6의 세안료에서는 세정 시의 거품질이 떨어지고, 세정 후의 피부의 촉촉함도 수득되지 않는다.
한편, 양이온성 모노머(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만을 구성 모노머로 하는 양이온성 폴리머를 배합한 시험예 1-2 및 양이온성 모노머(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와 비이온성 모노머(아크릴아미드)를 구성 모노머로 하는 양이온성 폴리머를 배합한 시험예 1-3에서는 거품질, 촉촉함 모두 약간 개선되지만, 충분한 효과가 수득된다고는 하기 어렵다. 또한, 시험예 1-2에서는 침전물이 생기기 쉬웠다.
또한, 음이온성 모노머(아크릴산)와 양이온성 모노머(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와 비이온성 모노머(아크릴아미드)를 구성 모노머로 하는 양성 폴리머를 배합한 시험예 1-4나,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와 양성 폴리머를 병용한 시험예 1-5의 세안료에서는 거품질은 어느 정도 개선되지만, 사용 후의 촉촉함이 충분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양성 모노머(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아세트산 베타인)와 양이온성 모노머(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를 구성 모노머로 하는 본 발명의 폴리머를 배합한 시험예 1-1의 세안료에서는 세정 시의 거품질이 매우 우수하고, 또한 세정 후의 피부의 촉촉함이 현저히 개선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기 때문에 양성 모노머와 양이온성 모노머를 구성 모노머로서 포함하는 폴리머를 이용하면, 거품질 및 촉촉함이 특이적으로 개선되는 것이 명확해졌다.
상기 효과는 양이온성 모노머에 첨가하여 1 분자 중에 음이온성 기와 양이온성 기를 포함하는 양성 모노머를 구성 모노머로 함으로써 비로소 발휘되는 효과이고, 양성 모노머 대신에 음이온성 모노머와 양이온성 모노머를 이용한 경우에 수득되지 않는 효과이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폴리머에서 양성 모노머와 양이온성 모노머의 바람직한 몰비에 대해 검토하기 위해, 모노머의 비율이 다른 각 폴리머를 배합한 세안료에 대한 평가를 실시했다. 또한, 각 폴리머는 염화 디메틸디알릴암모늄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아세트산 베타인과의 공중합체(중량 평균 분자량 40 만)이며, 합성예 1에 준한 방법으로 조제했다.
본 발명의 폴리머에서는 원료가 되는 상기 각 모노머의 몰비를 조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원하는 모노머 몰비의 폴리머를 수득할 수 있다.
세안료의 배합 조성과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함께 나타낸다.
Figure 112007088622210-pct00009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중합 폴리머가 아닌 폴리머를 배합한 시험예 2-6 및 시험예 2-7에서는 거품질, 촉촉함의 충분한 효과가 수득되지 않고 있다. 또한,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아세트산 베타인의 몰비가 1:9에서 9:1까지의 폴리머를 배합한 경우, 거품질, 촉촉함이 우수하지만, 특히 몰비 1:9~5:5(시험예 2-1~2-5), 또 몰비 4:6 부근이 양호했다(시험예 2-2).
이상과 같기 때문에 본 발명의 폴리머에서는 양성 모노머와 양이온성 모노머의 몰비는 1:9~9:1이 바람직하고, 또 1:9~5:5, 특히 4:6 부근이 바람직한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계속해서 폴리머의 바람직한 중량 평균 분자량에 대해 검토하기 위해 중량 평균 분자량이 다른 각종 폴리머를 배합한 세안료를 조제하여 그 평가를 실시했다. 또한, 각 폴리머는 염화디메틸디알릴암모늄과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아세트산 베타인의 공중합체(몰비=4:6)이고, 합성예 1에 준한 방법으로 조제했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이하, GPC라고 함)에 의해 측정했다. 이하에 GPC의 측정 조건을 나타낸다.
GPC 의 측정 조건
컬럼:
OHpak SB-804HQ
OHpak SB-803HQ
OHpak SB-802HQ(모두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제)
컬럼 온도: 40 ℃
검출기: RI
용매: 0.25M 아세트산+0.05M 식염(pH=3.5)
유속: 0.7 ml/분
시료 농도: 0.5 %
주입량: 50 ㎕
표준 : 플랜(Shodex STANDARD P-82,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제)
각 시험예의 세안료의 배합 조성과 평가 결과를 하기 표 3에 함께 나타낸다.
Figure 112007088622210-pct00010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 만~100 만인 경우에 거품질, 촉촉함의 점에서 특히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그 외의 실시예를 예로 들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4
세안료
(질량%)
(1) 합성예 1의 폴리머 0.5
(2) 글리세린 15.0
(3)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5.0
(4) 라우린산 5.0
(5) 미리스틴산 10.0
(6) 팔미틴산 10.0
(7) 스테아린산 15.0
(8) 라우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5.0
(9) 지방산모노글리세리드 1.0
(10) 모노라우린산폴리글리세릴 1.0
(11) 수산화칼륨 6.0
(12) 이온 교환수 잔부
(13) 향료 적량
(제법)
(12)에 (2)~(10)을 첨가하여 75 ℃로 가온하여 용해한다. 용해 후, (11)로 중화하고, 그 후 (1)을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 후, (13)을 첨가하고 냉각하여 본품(本品)을 수득했다.
상기 세안료는 세정 시의 거품질과, 세정 후의 피부의 촉촉함도 매우 우수했다.
실시예 5
바디 샴푸
(질량%)
(1) 합성예 1의 폴리머 0.5
(2) 글리세린 15.0
(3)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5.0
(4) 라우린산 2.0
(5) 미리스틴산 5.0
(6) 팔미틴산 5.0
(7) 스테아린산 7.0
(8) 라우로일메틸타우린나트륨 5.0
(9) 라우릴글리콜아세트산나트륨 1.0
(10) 수산화칼륨 3.0
(11) 양이온화 구아검 0.2
(12) 이온 교환수 잔부
(13) 향료 적량
(제법)
(12)에 (2)~(9)를 첨가하여 75 ℃로 가온하고, 용해한다. 용해 후, (10)으로 중화하고, 그 후 (1) 및 (11)을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 후, (13)을 첨가하고 냉각하여 본품을 수득했다.
상기 바디 샴푸는 세정 시의 거품질과 함께 세정 후의 피부의 촉촉함도 매우 우수했다.
실시예 6
샴푸
(질량%)
(1) 합성예 2의 폴리머 0.2
(2)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4.0
(3)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트리에탄올아민 1.0
(4) 야자유 지방산 아미드프로필베타인 5.0
(5) 폴리머 JR-400(유니온카바이드사제) 0.6
(6) 구연산 0.05
(7) 염화나트륨 0.5
(8) 안식향산나트륨 적량
(9) 이온 교환수 잔여
(10) 향료 적량
(제법)
(9)에 (2)~(8)를 첨가하여 75 ℃로 가온, 교반한다. 교반 후, (1)을 첨가하여 충분히 교반 후, (10)을 첨가하고 냉각하여 본품을 수득했다.
상기 샴푸는 세정 시의 거품질과 함께 세정 후의 모발의 촉촉함도 매우 우수했다.
실시예 7
두발용 컨디셔너
(질량%)
(1) 합성예 2의 폴리머 0.5
(2) 디메틸폴리실록산 0.2
(3) 스테아릴알콜 0.2
(4) 베헤닐알콜 1.0
(5) 글리세린 1.5
(6) 팔미틴산옥틸 1.0
(7)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0.2
(8) 구연산 0.05
(9)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적량
(10) 페녹시에탄올 적량
(11)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0.1
(12)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1.0
(13)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 1.5
(14) 이온 교환수 잔여
(15) 향료 적량
(제법)
(14)중에 (2), (5)~(13)을 첨가하여 70 ℃로 가온하여 충분히 교반한다. 그 용액 중에 미리 75 ℃로 용해하고, (1)을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마지막으로 (15)를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교반하고 냉각하여 본품을 수득했다.
상기 두발용 컨디셔너는 사용 후의 모발의 촉촉함이 매우 우수했다.
실시예 8
두발용 스타일링제
(질량%)
(1) 합성예 1의 폴리머 0.3
(2) 휘발성 이소파라핀 0.5
(3) 에탄올 10.0
(4)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0.5
(5)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데실에테르 0.5
(6) 비파나무잎 엑기스 0.1
(7) 유카포머 SMTM(다이아케무코사제) 10.0
(8) 이온 교환수 잔여
원액/분사제=90/10
(제법)
(8) 중에 (1)~(7)을 혼합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본품을 수득했다.
상기 두발용 스타일링제는 사용 후의 모발의 촉촉함이 매우 우수했다.
실시예 9
화장수
(질량%)
(1) 합성예 1의 폴리머 0.3
(2) 에틸알콜 5.0
(3) 글리세린 3.0
(4) 1,3-부틸렌글리콜 5.0
(5)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0.2
(6) 헥사메타인산나트륨 0.03
(7) 트리메틸글리신 1.0
(8) 폴리아스파라긴산나트륨 0.1
(9) α-토코페롤 2-L-아스코르빈산인산디에스테르칼륨 0.1
(10) 티오타우린 0.1
(11) 녹차 엑기스 0.1
(12) 서양 박하 엑기스 0.1
(13) 아이리스 뿌리 엑기스 0.1
(14) HEDTA3 나트륨 0.1
(15)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03
(16) 수산화칼륨 0.015
(17) 페녹시에탄올 적량
(18) 이온 교환수 잔여
(19) 향료 적량
(제법)
(18) 중에 (1)~(17), (19)를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본품을 수득했다.
상기 화장수는 사용 후의 피부의 촉촉함이 매우 우수했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성 모노머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모노머를 필수 구성 모노머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화학식 1)
    Figure 112011037779818-pct0001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고, R2 및 R3은 각각 독립해서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 페닐기, 또는 -(CH2CH2O)nR7기(n은 1 내지 50의 정수, R7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냄)이며, R4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3의 알킬렌기이고, A는 산소 원자 또는 NR8{R8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페닐기, 또는 -(CH2CH2O)nR9기(n은 1 내지 50의 정수, R9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3 내지 탄소수 6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냄)}로 표시되는 기이고, B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11037779818-pct00012
    (상기 화학식 2에서, R5 및 R6은 각각 독립해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탄소수 4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이며, Y-는 1 가의 무기 또는 유기 음이온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양이온성 모노머와 양성 모노머의 몰비가 1:9~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 만 이상 100 만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4. 제 1 항에 기재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성 모노머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모노머를 필수 구성 모노머로 하는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5. 제 4 항에 있어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모발 및 피부 세정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KR1020077028825A 2005-06-23 2006-06-23 폴리머 및 화장료 KR101201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82977 2005-06-23
JPJP-P-2005-00182977 2005-06-23
PCT/JP2006/312571 WO2006137511A1 (ja) 2005-06-23 2006-06-23 ポリマー及び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249A KR20080027249A (ko) 2008-03-26
KR101201096B1 true KR101201096B1 (ko) 2012-11-13

Family

ID=3757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825A KR101201096B1 (ko) 2005-06-23 2006-06-23 폴리머 및 화장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872083B2 (ko)
EP (1) EP1894948B1 (ko)
JP (1) JP5143553B2 (ko)
KR (1) KR101201096B1 (ko)
CN (1) CN101203535B (ko)
DE (1) DE602006017211D1 (ko)
ES (1) ES2351354T3 (ko)
TW (1) TWI400254B (ko)
WO (1) WO20061375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88631B (zh) * 2007-04-20 2013-01-02 花王株式会社 皮肤洗净剂组合物
JP5522647B2 (ja) * 2008-03-31 2014-06-18 株式会社 資生堂 起泡性皮膚洗浄料
JP2012530048A (ja) * 2009-06-04 2012-11-2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毛髪用製品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0099A (en) 1991-08-13 1998-05-12 Kao Corporation Two-pack type keratinous fiber treating composition
US5981456A (en) 1997-07-23 1999-11-09 Lever Brothers Company Automatic dishwashing compositions containing water soluble cationic or amphoteric polymers
US6949498B2 (en) 2003-02-03 2005-09-27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A Division Of Conopco, Inc. Laundry cleansing and conditioning compositions
US7012054B2 (en) 2003-12-03 2006-03-14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Softening laundry detergen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412B2 (ja) 1985-07-01 1994-04-27 株式会社資生堂 クリ−ム状洗浄剤
JPH07285831A (ja) * 1994-04-18 1995-10-31 Mitsubishi Chem Corp 毛髪化粧料組成物
DE19714714A1 (de) * 1997-04-09 1998-10-15 Basf Ag Blockcopolymere und deren Verwendung als polymere Tenside
JP2001064678A (ja) 1999-08-30 2001-03-13 Shiseido Co Ltd 洗浄剤組成物
JP3839253B2 (ja) * 2000-12-28 2006-11-01 花王株式会社 親水性ポリマーの製造法
JP3545372B2 (ja) 2001-09-04 2004-07-21 カネボウ株式会社 皮膚洗浄剤組成物
CN1607934A (zh) * 2001-09-13 2005-04-20 三菱化学株式会社 化妆品用树脂组合物及其化妆品
JP3828007B2 (ja) * 2001-12-18 2006-09-27 ライオン株式会社 速乾性付与剤、速乾性洗浄剤、及び速乾性仕上げ剤
EP1509192A1 (en) * 2002-06-04 2005-03-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ditioning shampoo composition containing select cationic conditioning polymers
JP3961444B2 (ja) * 2003-04-09 2007-08-22 花王株式会社 感触向上剤組成物
JP4233918B2 (ja) * 2003-05-12 2009-03-04 花王株式会社 ポリマー粒子
KR100515004B1 (ko) 2003-12-16 2005-09-15 삼성전기주식회사 광 픽업 액추에이터
FR2872423B1 (fr) * 2004-07-02 2006-09-22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contenant au moins un agent conditionneur et au moins un copolymere ethylenique a greffons polyethyleneglycol
US20060030513A1 (en) * 2004-08-03 2006-02-09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Softening laundry detergent
WO2006087939A1 (ja) * 2005-02-07 2006-08-24 Shiseido Co., Ltd. 皮膚洗浄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0099A (en) 1991-08-13 1998-05-12 Kao Corporation Two-pack type keratinous fiber treating composition
US5981456A (en) 1997-07-23 1999-11-09 Lever Brothers Company Automatic dishwashing compositions containing water soluble cationic or amphoteric polymers
US6949498B2 (en) 2003-02-03 2005-09-27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A Division Of Conopco, Inc. Laundry cleansing and conditioning compositions
US7012054B2 (en) 2003-12-03 2006-03-14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Softening laundry deterg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30545A (en) 2007-08-16
US7872083B2 (en) 2011-01-18
KR20080027249A (ko) 2008-03-26
CN101203535B (zh) 2011-07-27
EP1894948A1 (en) 2008-03-05
TWI400254B (zh) 2013-07-01
JPWO2006137511A1 (ja) 2009-01-22
EP1894948B1 (en) 2010-09-29
WO2006137511A1 (ja) 2006-12-28
DE602006017211D1 (de) 2010-11-11
ES2351354T3 (es) 2011-02-03
JP5143553B2 (ja) 2013-02-13
US20090123408A1 (en) 2009-05-14
CN101203535A (zh) 2008-06-18
EP1894948A4 (en)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811B1 (ko) 기포성 피부 세정료
JP5456880B2 (ja) アクリル−、メタクリル−もしくはエタクリルアミドアルキルスルホン酸、またはその塩、およびカルボキシアルキルアクリラート、−メタクリラートまたは−エタクリラート、あるいはこれらカルボキシ化合物のオリゴマーに基づくポリマー
JP5976688B2 (ja) 架橋されたポリマー
RU2605295C2 (ru) МАЛОРАЗДРАЖАЮЩИЕ ПРОЗРАЧНЫЕ ОЧИЩАЮЩИЕ КОМПОЗИЦИИ С ОТНОСИТЕЛЬНО НИЗКИМ pH
AU2008266168B2 (en) Mono-di-and polyol phosphate esters in personal care formulations
US7455848B2 (en) Skin care composition containing an anionic polymer
US20190040172A1 (en) Aqueous emulsion polymers as rheology modifiers, compositions thereof, and method of use
JP2012522852A (ja) カチオン性櫛型コポリマー、その製造、ならびに化粧用、医薬用、および皮膚用調合物への使用
KR20070106504A (ko) 피부 세정료 조성물
FR2936950A1 (fr)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copolymere amphiphile zwitterionique
KR101201096B1 (ko) 폴리머 및 화장료
KR101785278B1 (ko) 공중합체 및 화장료용 조성물
KR20100133111A (ko) 안정한 역상 에멀젼
JP4847721B2 (ja) 皮膚及び毛髪用洗浄料組成物
CN101444464B (zh) 一种乳化弹力素组合物
JP4312122B2 (ja) 化粧料
US20220089869A1 (en) Alkylene oxide derivative, defoaming agent, lubricant, cosmetic base material and cosmetics containing same, hair cleaning agent composition, and body cleaning agent composition
JP3996303B2 (ja) マクロモノマー
KR100940441B1 (ko) 자기 유화형 실리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인체 세정용조성물
JP2006347963A (ja) 皮膚及び毛髪用洗浄料組成物
JP4045235B2 (ja) 透明化粧料
JP2009269894A (ja) 皮膚洗浄料組成物
JP2004277384A (ja) 外用剤組成物
KR20090095342A (ko) 자기 유화형 실리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인체 세정용조성물
JP2015040188A (ja) メーキャップ化粧料用樹脂及びメーキャップ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