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315B1 - 접착제의 구조화 및 전사 필름에 의한 전기적 기능층의 구조화 - Google Patents

접착제의 구조화 및 전사 필름에 의한 전기적 기능층의 구조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315B1
KR101193315B1 KR1020067010175A KR20067010175A KR101193315B1 KR 101193315 B1 KR101193315 B1 KR 101193315B1 KR 1020067010175 A KR1020067010175 A KR 1020067010175A KR 20067010175 A KR20067010175 A KR 20067010175A KR 101193315 B1 KR101193315 B1 KR 101193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adhesive
functional layer
electrically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5769A (ko
Inventor
하인리히 빌드
루드빅 브렘
악힘 한젠
Original Assignee
레오나르트 쿠르츠 스티프퉁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오나르트 쿠르츠 스티프퉁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레오나르트 쿠르츠 스티프퉁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60125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8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non-liquid printing techniques, e.g. thermal transfer printing from a donor shee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60Forming conductive regions or layers, e.g.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coating being discontinu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6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221/683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221/6830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221/68359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used as a support during manufacture of interconnect decals or build up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전기적 구성요소를 갖는 필름(66) 및 이러한 필름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경화(radiation-curing) 접착제의 접착제층이 기재 필름(61)에 도포된다. 상기 접착제는 구조화된 패턴의 형태로 상기 기재 필름에 도포되고/되거나 패턴에 따라 조사되어, 상기 접착제는 패턴에 따라, 구조화된 형태로 경화된다. 전사 필름(41)은 상기 접착제층에 도포되며, 지지 필름 및 전기적 기능층을 포함한다. 전기적 기능층을 포함하는 지지 필름(41)은 상기 기재 필름, 접착제층 및 필름 본체로부터 제거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전기적 기능층은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제1 영역 내에서는 기재 필름(61) 상에 남고 또한,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제2 영역에서는, 상기 전기적 기능층은 지지 필름 상에 남고 또한 기재 필름(61)으로부터 지지 필름과 함께 제거된다.

Description

접착제의 구조화 및 전사 필름에 의한 전기적 기능층의 구조화 {STRUCTURING OF ELECTRICAL FUNCTIONAL LAYERS BY MEANS OF A TRANSFER FILM AND STRUCTURING THE ADHESIV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구성요소를 가지는 필름 및 상기 필름을 생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유기 반도체 기술을 이용한 전기적 구성요소, 예를 들어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OFETs) 또는 유기 고분자의 다른 전기적 구성요소의 생산을 위하여, 적어도 전도성 전극층의 구조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구성요소의 다른 층들의 구조화는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유기 반도체 기술을 포함하는 그러한 구성요소들의 효율과 성능을 향상시킨다. 유기 반도체 기술을 이용하여 강력한 전기적 구성요소의 생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높은 레벨의 해상도(resolution) 및 레지스터 정확성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층의 구조화가 필요하다.
WO 02/25750는 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회로 기판 또는 전극을 생산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절차에서, 도핑된 폴리아닐린(PANI) 또는 폴리에틸렌 디옥시티오펜(PEDOT)을 포함하는 전도성 유기층이 기판, 예를 들어 필름의 표면 위에, 닥터 어플리케이션(doctor application), 분사, 스핀 코팅 또는 스크린 인쇄에 의하여 도포된다. 얇은 포토레지스트 층이 그 위에 도포되고 구조화된 형태로 노광된다. 현상시 노광된 폴리아닐린 층은 현상액의 작용에 의하여 탈양성자화되어 비전도성이 된다. 남아있는 포토레지스트는 용매에 녹는다. 상기 단계에 선행하거나 후행하여 유기층의 비전도성 매트릭스를 비염기성 용매로 녹여낸다.
WO 02/25750는 구조화 목적으로 탈양성자 작용을 갖는 화학적 화합물을 평평한 기능성 고분자 층에 인쇄함으로써 도포하는 것을 설명한다. 화합물은 염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전도성 영역은 후속하는 헹굼 공정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제거된다.
WO 02/47183는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구조화 층(structuring layers)용 모양층(shaped layer) 내 홈(recesses)에 기능성 고분자를 도입하는 것을 제안한다. 상기 모양층은 절연성의 상이한 유기 물질을 포함하며, 그 안으로 천공이 들어간다. 그 후 기능성 고분자가 닥터에 의하여 이들 홈으로 도입된다. 측면 치수가 2~5 ㎛ 범위인 극도로 미세한 구조들을 상기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게다가 닥터 방법은 재료-특이적이 아니고, 즉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모든 층을 구조화하는데 적당하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닥터(doctor) 절차용 점도 범위는 인쇄 공정보다 비교할 수 없게 크고, 그것은 기능성 고분자가 그들의 경도를 실질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1 ㎛에 이르는 비교적 두꺼운 층도 제조할 수 있다.
DE 100 33 112는, 탐폰 인쇄 방법에 의하여 이미 존재하는 층 또는 기판에 기능성 고분자가 도포되는, 유기 반도체 기술을 이용한 전기적 구성요소의 생산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기 반도체 기술을 관여시켜 개선된 구성요소의 구조를 특정하는 것, 및/또는 유기 반도체 기술을 관여시켜 강력한 구성요소의 생산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유기 반도체 기술을 관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구성요소를 가지는 필름의 생산방법에 의하여 이러한 목적이 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방사선 가교성 접착제(radiation-cross-linkable adhesive)를 포함하는 접착제층은 기재 필름(base film)에 도포되며, 이 경우 상기 접착제층은, 패턴의 형태로 구조화된 형태로 기재 필름에 도포되거나/도포되고, 상기 접착제층이 패턴 형태로 구조화되어 경화되는 식으로 패턴의 형태로 조사(예를 들어 UV 방사)되며; 캐리어 필름 및 전기적 기능층을 포함하는 전사 필름(transfer film)이, 전기적 기능층에서 접착제층 쪽으로의 방향으로 접착제층에 도포되고, 상기 캐리어 필름은 기재 필름, 접착제층 및 전기적 기능층을 포함하는 필름 본체(film body)로부터 제거되고, 이에 의해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제1 영역에서 상기 전기적 기능층은 상기 기재 본체 상에 남고,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제2 영역에서 상기 전기적 기능층은 기재 필름으로부터 캐리어 필름과 함께 제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의 필름 본체와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전기적 기능층 사이에 배열되고,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전기적 기능층을 필름 본체에 접합하는, 방사선 가교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층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구성요소, 특히 유기 반도체 기술의 전기적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필름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구성요소, 특히 유기 반도체 기술의 전기적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필름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달성되고, 여기서 방사선 가교성 세척 래커(wash lacquer) 층이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형태로 도포되고, 상기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세척 래커 층은 조사되어(예를 들어 UV 광으로) 상기 세척 래커 층이 경화되며, 전기적 기능층이 상기 세척 래커 층에 도포되고, 또한 세척 공정에서는,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상기 세척 래커층이 그 위의 전기적 기능층의 영역과 함께 제거되어,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영역에서, 세척 래커층이 도포되지 않은 기재 본체 상에 전기적 기능층이 남는다.
본 발명에 의하여, 유기 반도체 기술의 구성요소의 전기적 기능층이 정확한 레지스터 관계 및 높은 수준의 해상도로 구조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드레인 전극 사이의 간격을 25 ㎛미만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 이점은 이 공정이 매우 저렴하며 대량의 산업적 규모에 사용되기에 적절하다는 것이다. 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하여 높은 레벨의 해상도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나 반면에, 리소그래피 공정은 고품질의 고가의 첨가 물질의 이용과 다수의 공정 단계의 이행을 요구한다: 기판은 코팅, 마스킹, 노광, 현상, 에칭, 및 스트리핑 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정을 이용하면, 산출된 유기 반도체 기술의 전기적 구성요소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공정은 반도체층 오염을 실질적으로 피할 수 있는 건식 공정이다. 유기 반도체 기술을 수반하는 전기적 구성요소의 반도체층은, 예를 들어, 낮은 농도의 불순물이 존재할 때도 반도체층의 전기적 특성을 변경시킬 수 있는 양성자화 효과(protonising effect) 때문에, 불순물에 대하여 극도로 민감하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리소그래피 공정의 경우에, 상기 필수적인 현상, 에칭 및 스트리핑 공정에 의하여 유기 반도체층이 오염되는 것을 피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더욱이, 전도성 고분자의 직접 인쇄(direct printing)에서, 전기적 기능층에 요구되는 고해상도 구조화는 특히 적절한 재현성의 관점에서 매우 고가 및 매우 높은 수준의 복잡화로써만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것은 적절한 재현성 및 적절한 두께의 인쇄, 특히 큰 공업적 규모에서 유용한 인쇄 절차를 갖는 인쇄를 방해하는, 이용 가능한 인쇄 물질의 점도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생산 공정 동안 반도체층의 열응력을 피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큰 공업적 규모에 적용될 수 있고 고 품질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유기 반도체 기술을 수반하는 전기적 구성요소를 가진 필름을 저렴하게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구성은 종속항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예시로서 바람직한 실시예 있어서, 접착제층은, 인쇄 공정의 방법으로 패턴 형태로 구조화되어, 기재 필름에 인쇄에 의해 도포되고, 전사 필름이 상기 접착제층에 도포되며, 상기 접착제층은 방사선의 조사에 의하여 경화되며, 이어서 캐리어 필름은 상기 기재 필름, 접착제층 및 전기적 기능층으로 형성된 필름 본체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적 기능층은 방사선 가교성 접착제가 인쇄된 영역에 남아 있게 된다. 얻고자 하는 층 두께를 다르게 하는 것 및 인쇄 물질의 특성을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해, 전도성 고분자를 직접 인쇄하는 경우보다 더 높은 수준의 해상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음각 인쇄(intaglio printing), 오프셋 인쇄(offset printing) 및 플렉소인쇄(flexoprinting)와 같이, 큰 산업적 규모에 이용될 수 있는 저렴한 인쇄 절차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UV 가교성 접착제는 전체 표면에 걸쳐 기재 필름에 도포되고, 상기 접착제층을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영역에서 경화하기 위하여 패턴 형태로 UV 광으로 노광된다. 그 후 상기 전사 필름이 상기 접착제층 위에 도포된다. 그 후 캐리어 필름이 상기 기재 필름, 접착제층 및 전기적 기능층으로 형성된 필름 본체로부터 제거된다. 이 경우 전기적 기능층은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영역 내의 기재 필름 상에 남고, 여기서 상기 접착제층은 경화되지 않고 여전히 일정 수준의 접착성을 가진다. 다른 영역, 즉 접착제층이 경화된 영역에서는, 전기적 기능층이 캐리어 필름 상에 남아있으며 캐리어 필름과 함께 제거된다. 이러한 과정 덕분에, 구조화된 전기적 기능층은 매우 높은 해상도 수준으로 기재 필름 상에 생산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높은 등급의 음각 그라비어 인쇄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상의 이점이 있다.
상기 공정에서 접착제층의 적절한 노광을 보장하기 위하여, 반투명한 재료, 예를 들어 매우 얇은 금속 층으로부터 전기적 기능층을 형성하고, 방사선 투과성 캐리어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접착제층이 전사 필름을 통해 전사 필름 측으로부터 방사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재 필름이 방사선 투과성이게 하는 것 및 접착제층이 기재 필름 측으로부터 기재 필름을 통하여 노광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접착제층이 전사 필름의 도포 후에 패턴 형태로 노광되어, 접착제층이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영역에서 경화한다. 캐리어 필름이 그 후에 기재 필름과 전기적 기능층으로 형성된 필름 본체로부터 제거된다. 접착제층이 패턴 형태로 구조화되어 경화된 영역에서 전기적 기능층은 접착제층에 의하여 고정되고 기본 몸체 상에 남아있다. 접착제층이 경화되지 않은 그 외의 영역에서, 상기 전기적 기능층은 전사 필름 상에 남아있고, 캐리어 필름과 함께 제거된다. 이러한 경우에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적 기능층에 대한 접착력이 전기적 기능층과 캐리어 필름간의 접착력보다 낮은 방사선 가교성 접착제의 사용이 필요하다.
상기 절차는 전기적 기능층이 기재 필름 상에서 매우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제조될 수 있으며, 전기적 기능층 및 기재 본체의 방사선 투과성에 관한 조건이 제한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큰 산업적 규모의 롤-투-롤(roll-to-roll) 공정의 환경에서 상기 방법의 이용은 UV 광을 이용하여 접착제층에 패턴 구조로 조사하기 위한 순환 마스크 벨트를 가진 마스크 노광 기기 또는 드럼 노광 기기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가능하다. 전기적 기능층이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빠르고 정확하게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적절한 전사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공정의 특히 중요한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캐리어 필름과 전기적 기능층 사이에 방출층을 제공하는 것이 특히 요구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전기적 기능층은 전기적으로 전도성 층일 수 있다. 특히 한편으로는 기재 필름 상에 남아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캐리어 필름 상에 남아있는 전이 영역에서 전기적 기능층의 정확한 서버링(severing)은 전도성 입자, 바람직하게는 나노입자, 예를 들어 금속, 카본 블랙 또는 그래파이트 입자를 포함하는 전기적 기능층의 이용에 의하여 성취된다. 이러한 경우, 특히 전도성 나노입자 및 결합제를 포함하는 기능층이, 특히 소량의 결합제를 포함하는 경우에, 정확한 서버링을 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전기적 기능층이 기재 필름에 도포할 때 압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는데, 이는 나노 입자의 압축에 의하여 전기 전도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서버링이라는 관점에서 높은 수준의 정확성은 전기적 기능층으로서, 얇은 금속 층 또는 금속 합금의 얇은 층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성취할 수 있다. 전도성 고분자 또는 예를 들어 ITO와 같은 무기적 전도성 층을 포함하는 전기적 기능층을 이용하는 것이 좀더 적절하다.
유기 반도체 기술을 이용한 구성요소의 각각의 구조에 따라서, 접착제층에 전기적 비전도성 또는 전기적 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전기적 구성요소를 조립할 때 공정 단계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점에서, 전기적 기능층은 바람직하게는 전기적 구성요소 안에서, 전기적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전극을 구성하는 미세구조화된 전극층의 기능, 또는 전기적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반도체 구성요소 부품을 제공하는 미세구조화된 반도체층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수반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다수의 실시예에 의하여 예시의 방법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이행을 기능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이행을 기능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이행을 기능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a 내지 4d는 도 1의 방법의 이행에서 필름 본체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5a 내지 5e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필름 본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은 롤-투-롤 제조 방법의 일부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데, 이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유기 반도체 기술의 전기적 구성요소를 갖는 필름이 제조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유기 반도체 기술의 전기적 구성요소라는 용어는 유기 반도체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전기적 구성요소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유기 반도체 재료, 유기 전도성 재료 및 유기 절연성 재료들은 이 경우, 각각 전기적 특성을 갖는 유기, 금속 유기(metal-organic) 및/또는 무기 물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면에서, 유기 반도체 기술의 구성요소를 구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이들 유기, 금속 유기 및/또는 무기 재료들을 기능성 고분자라고 부르겠다. 따라서 기능성 고분자라는 용어는 또한 비-고분자 구성 요소 부분들을 포함한다. 기능성 구성요소의 일부로 유기 반도체층 또는 반도체층 영역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 FETs, 트라이액, 다이오드 등이다. 여기서 예를 들어 폴리티오펜이 유기 반도체 재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인쇄 스테이션(1), 노광 스테이션(20), 편향 롤러(31), 및 세 개의 롤러(32, 33 및 34)를 나타낸다. 기재필름(51)은 인쇄 스테이션(1)에 공급된다. 인쇄 스테이션(10)에 의하여 처리된 기재필름(51)은, 전사 필름 롤(40)로부터 펼쳐지는 전사 필름(41)을 필름(52)에 도포하는 한 쌍의 롤러(32, 33)에 편향 롤러(31)에 의하여 필름(52)의 형태로 공급된다. 이것은 필름(53)을 제공한다. 노광 스테이션(20)에 의해 처리된 필름(53)은, 필름(54)의 형태로 롤러(34)로 공급되고 여기서 캐리어 필름(42)이 필름(54)에서 벗겨지며, 필름(55)이 잔여 필름으로 남아있게 된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기재필름(51)은 캐리어 필름일 수 있다. 이러한 캐리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6~200㎛ 두께의 플라스틱 필름, 예를 들어 19~38 ㎛ 두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포함한다. 그러나 보통 기재 필름(51)은, 캐리어 필름을 제외하고, 선행하는 처리 작업에서 도포된 추가의 층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층들은 예를 들어 래커 층, 절연층 및 전기적 기능층이다. 그러므로 기재 필름(51)이 하나 이상의 기능성 고분자 층, 예를 들어 폴리아닐린 및 폴리피롤과 같은 유기 전도성 고분자, 폴리티오펜과 같은 반도체층, 및 폴리비닐페놀과 같은 절연층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점에서 이러한 층이 이미 기재 필름(51) 내에 구조화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쇄 스테이션(1)은 UV 가교성 접착제(11)를 갖는 잉크 탱크를 갖는다. 접착제(11)는 복수의 전사 롤러(12 및 13)에 의하여 인쇄 실린더(14)에 도포된다. 인쇄 실린더(14)는 이제 백킹 임프레션 롤러(backing impression roller)(15) 및 인쇄 실린더(14) 사이를 통과하는 기재필름(51)에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UV 가교성 접착제(11)의 접착제층을 도포한다.
인쇄 스테이션(1)은 바람직하게는 오프셋 인쇄 또는 플렉소인쇄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그러나 인쇄 스테이션(1)이 음각 인쇄 스테이션인 것도 또한 가능하다.
접착제층(57)은 바람직하게는 0.5~10㎛의 두께를 갖는다.
UV 가교성 접착제(11)로서 다음 접착제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KZO NOBEL INKS사의 Filmbond UVH O002 및 Zeller + Gmelin GmbH사의 UVAFLEX UV 접착제 VL000ZA.
바람직하게는 접착제는 기재 필름(51)에 1 g/m2 ~ 5 g/m2의 도포 중량으로 도포된다.
이와 같이 인쇄 작업은 도 4b에 나타낸,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접착제층(57)이 기재 본체(51)에 도포된 필름(52)를 제공한다.
이용된 접착제(11)의 각각의 성질에 따라, 접착제층(57)이 예를 들어 100~120℃ 의 온도에서 건조되도록 필름(52)을 건조관(drying passage)에 통과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4a는 전사 필름(41)의 구조를 나타낸다. 전사 필름(41)은 캐리어 필름(45), 방출층(46) 및 전기적 기능층(47)을 갖는다.
캐리어 필름(45)은 두께 4~75㎛의 접착제 필름이다.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필름(45)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아크릴레이트 또는 발포 복합 재료의 필름이다. 캐리어 필름의 두께는 12㎛가 바람직하다.
방출층(46)은 바람직하게는 왁스류를 포함한다. 만약 캐리어 필름(45) 및 전기적 기능층(47)의 재료가 전기적 기능층(47) 및 캐리어 필름(45) 간의 접착력이 전기적 기능층(47)의 확실하고 급속한 방출을 방해하지 않도록 선택된다면 방출층(46)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방출층(46)은 예를 들어 다음 조성에 따라 생산될 수 있다:
방출층(46)(분리층)
톨루엔 99.5 부
에스테르 왁스(적점 90℃) 0.5 부
바람직하게는 방출층(46)은 두께 0.01~0.2 ㎛로 캐리어 필름(45)에 도포된다.
전기적 기능층이 생산되는 전기적 구성요소 안에서 이행해야 하는 각각의 기능에 따라, 전기적 기능층(47)은 전기적으로 전도성(conductive) 또는 반도성(semiconducting) 재료로 구성된다. 전기적 기능층(47)이 전기적 전도성 기능층을 형성해야 하는 경우에, 전기적 기능층(47)의 구성은 다음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한편으로, 전기적 기능층(47)이 예를 들면 증기 증착에 의하여 코팅된 캐리어 필름(45)과 방출층(46)을 포함하는 필름 본체를 갖는 얇은 금속 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전기적 기능층의 고 해상도 구조를 충분히 보증하기 위한 이러한 종류의 얇은 금속 층의 바람직한 두께는 5~50 nm 이다. 여기에서 금속 층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은, 구리, 금, 크롬, 니켈 또는 이들 금속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나노입자의 층이 전기적 기능층(47)으로서 도포되었을 때 특히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전기적 기능층(47)은 예를 들어 50 nm ~ 1 ㎛의 두께이며, 전도성 나노입자 및 결합제로 구성되고, 여기서 결합제의 비율은 층(47)의 정확한 분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낮게 유지된다. 이러한 경우 전기적 기능층(47)의 두께는 또한 전기적 구성요소라는 관점에서 전기적 기능층(47)에 요구되는 전기적 특성, 예를 들어 저항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결정된다. 이러한 점에서 단지 필름(52)에 전사 필름(41)을 도포함으로써 층(47)의 전도성을 바라는 수치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기적 기능층(47)은 도포 과정에서 전기적 기능층(47)에 인가된 압력에 의하여 압축되며, 이에 의하여 전기적 전도성 나노입자 간의 간격이 줄어들고, 층 (47)의 전기적 전도성은 상당히 증가한다.
또한 다른 전기적 기능층(47)은, 예를 들어 ITO 재료(ITO= 인듐 틴 산화물)과 같은 다른 전도성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이 도핑된 아연 산화물과 같은 다른 투과 전도성 산화물, 또는 예를 들어 폴리아닐린 및 폴리피롤과 같은 전기적 전도성 고분자의 층일 수 있다.
또한 전기적 기능층(47)을 반도체 재료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유기 반도체 재료는 액체 용해된 형태 또는 서스펜젼의 형태로 방출 층(46)에 도포되고, 응고된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적 기능층(47)의 두께는 생산되는 전기적 구성요소 안에서 상기 층의 전기적 기능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결정된다.
전도성 나노입자는 너무 묽지는 않은 분산 형태로 방출층(46)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c는 필름(53), 즉,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접착제층(57)이 인쇄된 기재 필름(51)에 전사 필름(41)의 도포 후에 생산되는 필름 본체를 보여준다. 도 4c는 기재 필름(51), 접착제층(57), 전기적 기능층(47), 방출층(46) 및 캐리어 필름(45)을 보여준다. 전사 필름(41)을 임프레션 롤러(32 및 33)와 인쇄의 방법으로 필름(52)에 도포하는 압력은 접착제층(47)의 패턴구조화가 이에 의해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선택된다.
도 1에 나타낸 노광 스테이션(20)은 UV 램프 (21), 및 필름 (53) 상에 UV 램프 (21) 에 의하여 방사되는 UV 방사선을 집중시키는 반사경(22)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UV 램프의 전력은 그것이 노광 스테이션(22)을 통과함에 따라, 접착제층(57)의 확실한 경화를 보장할만한 충분한 양의 에너지를 접착제층(57)에 조사하도록 선택된다. 도 1에서 보여준 것처럼, 필름(53)은 이러한 경우에 캐리어 필름(45) 쪽으로부터 조사된다. 투과 또는 반투과 층, 예를 들어 앞에서부터 논의했던 것과 같은 성질의 얇은 금속 층이 전기적 기능층(57)로서 이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러한 목적으로 캐리어 필름(45) 및 방출 층(46)이 UV 투과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기적 기능층(47)의 특정 조성 때문에, 상기 층을 UV 투과 또는 반투과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면, 기재 필름(53)을 기재 필름(53) 쪽으로부터 UV 광을 조사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 기재 필름(53)은 UV 투과성을 가져야만 한다.
기능층(47)은, 패턴 형태로 구조화되는 접착제층(57)의 경화로 인해, 접착제층(57)이 제공되는 장소에서 기재 필름(51)에 접착되게 된다. 만약 그 후 캐리어 필름(45)을 필름(53)의 남아있는 필름 본체에서 벗겨낸다면, 접착제층(57)이 인쇄에 의하여 도포되는 영역에서 전기적 기능층(47)이 기재 필름(51)에 접착되고, 이로서, 이 위치에서 전사 필름(41)으로부터 분리된다. 다른 위치에서 전기적 기능층(47)과 방출층(46) 사이의 접착이 주가 되어, 전기적 기능층(47)이 전사 필름(41)에 남아있도록 한다.
도 4d는 필름(55), 즉, 캐리어 필름(45)의 제거 후에 결과로 얻은 필름 본체를 나타낸다. 도 4d는 기재 필름(51), 접착제층(57) 및 전기적 기능층(47)을 보여준다. 도 4d에 나타낸 것처럼, 필름(55)은 이제 패턴 형태로 구조화되고,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접착제층(57)에 따라서 기재 필름(55) 상에 배열된 전기적 기능층(47)을 갖는다.
이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인쇄 스테이션(10), 노광 스테이션(81), 노광 스테이션(23), 편향 롤러(31), 인쇄 및 임프레션 롤러(32 및 33), 방출 롤러(34) 및 전사 필름 롤(40)을 보여준다.
인쇄 스테이션(10)은, 공급된 기재 필름(61)의 전체 표면 위에 인쇄에 의하여 접착제(11)를 도포하는 인쇄 실린더(16)에 의해 인쇄 실린더(14)가 교체될 수 있다는 차이 외에, 도 1에서 나타난 인쇄 스테이션(1)와 같이 조립된다. 이러한 점에서, 접착제층은 인쇄 공정이 아니라 다른 코팅 공정, 예를 들어 스프레딩(spreading), 붓기(pouring) 또는 분사에 의해 기재층에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접착제층이 패턴 형태로 기재 필름(61)에 도포되는 것도 가능하며, 그러므로 여기에 설명되는 공정이 도 1에 나타낸 공정과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기재 필름(61) 및 인쇄에 의하여 기재 필름에 도포된 UV 가교성 접착제의 접착제층은, 상기 접착제층(57)이 바람직하게는 기재 필름(61)의 전체 표면 위에 도포된다는 차이 이외에는, 도 4b에 나타낸 기재 필름(51) 및 접착제층(57)과 같다. 기재 필름(61)에 접착제층을 도포한 후 제공되는 필름 본체(62)는 노광 스테이션(81)에 편향 롤러(31)에 의하여 공급된다.
이러한 경우에 프레폴리머(pre-polymer) UV 가교성 접착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광 스테이션(81)은 필름(52)의 이동 속도와 일치되는(synchronised) 마스크 벨트에 의한 롤-투-롤로부터의 노광을 허여하는 마스크 노광 장치이다. 마스크 노광 장치(81)는 그러므로 복수의 편향 롤러(84), 마스크 벨트(83) 및 UV 램프(82)를 갖는다. 마스크 벨트(83)는 UV 투과 영역 및 UV 불투과 또는 반사 영역을 갖는다. 마스크 벨트는 그러므로 UV 램프(82)에 대하여 필름(62)을 덮고, UV 광으로 패턴 형태로 필름(62)의 연속적인 조사를 허용하는 끝이 없는 UV 마스크를 형성한다. 상기 언급된 것처럼, 마스크 벨트(83)의 속도는 필름(62)의 속도와 일치하고, 필름(62) 상의 부가의 광학적 표식은 정확한 정합 관계로 노광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 UV 램프(82)의 전력은 마스크 노광 기기(81)을 통하여 통과시 필름(62)에 접착제층이 경화되기에 충분한 양의 UV 에너지가 공급되도록 선택된다.
상기 필름에 마스크 노광 기기(81)에 의하여 평행 UV 광(collimated UV-light)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크 벨트로 작동되는 마스크 노광 기기 대신에, 필름(62)이 그 위를 통과하는 드럼 형태의 마스크를 갖는 드럼 노광 기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패턴 형상(configuration)으로 UV 광을 조사하는 것은 접착제층이 패턴 형태의 구조로 경화되도록 야기하여, 접착제층의 경화된 영역과 경화되지 않은 영역을 갖는 필름(63)을 한쌍의 롤러(32 및 33)에 제공하게 된다. 전사 필름(41)은 이제 한 쌍의 롤러(32 및 33)에 의하여 필름(63)에 도포된다. 이 경우에 전사 필름(41)은 도 4a의 전사 필름(49)과 같다. 따라서 그 결과는 기재 필름(61), 부분적으로 경화된 접착제층, 전기적 기능층(47), 방출 층(46) 및 캐리어 필름(45)을 포함하는 필름(64)이다. 접착제가 경화되지 않은 영역에서, 상기 접착제층은 여전히 점착성이 있고, 그래서 접착제층과 그 위에 배치된 전기적 기능층(47) 간에 접착력이 유효하다. 접착제층이 경화된 다른 영역에서는 그러하지 않다. 그러므로, 캐리어 필름(45)이 잔류 필름 본체로부터 벗겨질 때, 전기적 기능층은 접착제층이 경화되지 않은 영역에서 기재 본체(51)에 접착되고, 따라서 캐리어 필름(48)으로부터 방출된다. 다른 영역에서는 방출층(46)과 전기적 기능층(47) 간의 접착력이, 전기적 기능층(47)이 떨어지지 않고 캐리어 필름(45) 상에 남아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것은 캐리어 필름(45)의 제거 후에, 관련된 전체 표면 위에 접착층으로 기재 필름(61)에 접합되는 일부 패턴화된 전기적 기능층(47)을 갖는 필름(65)을 제공한다. 도 1에 나타낸 노광 스테이션(20)과 같은, 추가의 노광 스테이션(23)에서, 접착제층은 기재 필름(61)과 전기적 기능층(47) 간에 탄탄한 접합을 보장하기 위하여 아직 경화되지 않았던 영역에서 이제 완전히 경화된다. 그러나 노광 스테이션(23)을 사용하지 않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인쇄 스테이션(10), 노광 스테이션(81), 편향 롤러(31), 인쇄 및 임프레션 롤러(32 및 33), 방출 롤러(34) 및 전사 필름 롤(40)을 나타낸다.
기재 필름(61)은 인쇄 스테이션(10)에 공급되고,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접착제층으로 코팅되어, 도 2에 나타낸 것 같은 필름(62)을 생산한다. 전사 필름(41)은 이제 한 쌍의 롤러(32 및 33)에 의하여 필름(62)에 도포된다. 이러한 경우에 전사 필름(41)은 도 4a에 나타낸 것과 같은 형상(configuration)이다. 그러므로 이것은 기재 필름(61), 전체 표면을 덮으며 경화되지 않은 접착제층, 전기적 기능층(47), 방출 층(46) 및 캐리어 필름(45)을 포함하는 필름(67)을 포함한다.
필름(46)은 이제 도 2에 나타낸 마스크 노광 기기 (81)와 같은 마스크 노광 기기(81)에 의하여 노광된다. 마스크 노광 기기(81)에 의한 노광후에, 기재 필름(61), 패턴 형태로 구조화되어 경화된 접착제층, 전기적 기능층(47), 방출층(46) 및 캐리어 필름(45)을 포함하는 필름(68)을 얻게 된다.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와는 반대로, 이러한 실시예는 UV 가교성 접착제를 사용하며, 전기적 기능층(47) 또는 기재 필름(61)에 대한 접착력이 전기적 기능층(47)과 캐리어 필름(45) 간의 접착력보다 작다. 자연적으로 도 1 또는 도 2에서와 동일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과, 캐리어 필름(45), 기재 본체(51) 또는 방출층(46)의 재료의 선택에 의하여 접착력의 적당한 분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만약 캐리어 필름(45)을 필름(68)의 잔류 필름 본체로부터 제거한다면, 전기적 기능층은, 접착제층이 경화되어 전기적 기능층(47)을 기재 필름(61)에 접착시키는 영역에서 기재 필름(61) 상에 남는다. 다른 영역에서는 캐리어 필름(45)으로부터 전기적 기능층(47)의 방출을 막는 접착력은 전기적 기능층(47)과 기재 필름(61) 간의 접착력보다 커서, 전기적 기능층(47)이 이러한 영역에서 캐리어 필름(45)으로부터 방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므로 이것은 패턴 형태로 적절하게 구조화된 경화된 접착제층에 의하여 기재 필름(61)에 연결되고,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전기적 기능층(47)을 갖는 필름(69)을 제공한다.
유기 반도체 기술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가 도 1,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방법 중 하나에 의하여 어떻게 생산될 수 있는지의 예시로서 설명하기 위해 도 5a 내지 5e를 참고할 수 있다.
도 5a는 캐리어 필름(91) 및 여기에 도포된 래커 층(92)을 포함하는 기재 필름(90)을 나타낸다.
캐리어 필름(91)은 플라스틱 필름, 바람직하게는 두께 19~38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래커 층(92)은 보호 래커 층으로서도 부가적으로 기능하는 전기적 절연 재료의 래커 층이다. 래커 층은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필름(91)과 래커 층(92) 사이에 위치한 방출 층 또는 캐리어 필름(91)에 0.5~5 ㎛의 층 두께로 도포된다.
이제, 도 5b에 나타낸 것처럼, 전기적 기능층(94)은 도 1,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공정 중 하나에 의하여 기재 필름(90)에 도포된다. 이것은 캐리어 필름(91), 래커 층(92), 접착제층(93) 및 전기적 기능층(94)을 포함하고, 도 5b에 나타낸 필름 본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에 전기적 기능층(94)은 전기적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며, 전기적 구성요소 안에서 드레인 및 소스 전극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용되는 공정의 성질에 따라서, 도 5b에 나타낸 것처럼, 접착제층(93)이 전기적 기능층(94)으로서 동일한 방법으로 패턴 형태로 구조화되거나, 또는 관련된 전체 표면 위에서 접착제층(92) 상에 경화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도체층이 그 후 도 5b에 나타낸 필름 본체에 도포되어, 도 5c에 나타낸, 캐리어 필름(91), 래커 층(92), 접착제층(93), 전기적 기능층(94) 및 반도체층(95)을 포함하는 필름 본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반도체층(95)에 사용되는 물질은 폴리티오펜으로, 액체, 용해된 형태 또는 현탁액의 형태로 도 5b에 나타낸 것 같은 필름 본체에 도포되고, 경화된다. 반도체층(95)을 패턴 형태로 구조화하여 도포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도 5c에 나타낸 필름 본체는 이제 도1, 도 2 또는 도 3에 나타낸 방법 중 하나에 의하여 전기적 기능층(97)이 도포된 기재 필름을 형성한다. 도 5c는 그 결과로 얻은 캐리어 필름(91), 래커 층(92), 접착제층(93), 전기적 기능층(94), 반도체층(95), 접착제층(96) 및 전기적 기능층(97)을 포함하는 필름 본체를 나타낸다.
여기서 전기적 기능층(97)은 또한 전기적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며, 전기적 구성요소 안에서 게이트 전극으로 작용한다. 접착제층(96)은 그 위에 위치한 전기적 기능층(97)과 같은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모양이다. 그러나 도 2 또는 도 3의 공정을 이용할 때, 접착제층(96)이 반도체층(95)의 관계된 전체 표면 위에 도포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의 공정 단계에서 전기적 절연 재료의 추가 래커 층이 도 5d에 나타낸 필름 본체에 도포되며, 추가의 래커 층은 또한 연속적으로 반도체층(95)의 보호층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5e에 나타낸 것처럼, 이것은 캐리어 필름(91), 래커 층(92 및 98), 반도체층 (95), 접착제층 (93 및 96) 및 전기적 기능층 (94 및 97)을 포함하는 필름 (99)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Claims (35)

  1. 방사선 가교성 접착제(radiation cross-linkable adhesive)를 포함하는 접착제층(57,93,96)이 기재필름(51,61,90)에 도포(apply)되고, 상기 방사선 가교성 접착제의 접착제층(57,93,96)이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형태로 상기 기재 필름(51)에 도포되고, 캐리어(carrier) 필름(45)과 전기적 기능층(electrical functional layer)(47,94,97)을 포함하는 전사(transfer) 필름(41)은, 상기 전기적 기능층(47,94,97)에서 상기 접착제층(57,93,96)의 방향(orientation)으로, 상기 접착제층(57,93,96)에 도포되고, 상기 전기적 기능층은 상기 전사 필름이 상기 접착제층에 도포될 때 상기 전사 필름의 전체 표면을 덮고, 또한 상기 캐리어 필름(45)은, 상기 기재 필름(51), 상기 접착제층(57,93,96) 및 상기 전기적 기능층(47,94,97)을 포함하는 필름 본체(film body)(54,64,68)로부터 제거되고, 여기서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제1 영역에서 상기 전기적 기능층(47,94,97)은 상기 접착제층(57,93,96) 및 상기 기재 필름(51,61,90) 상에 전기적 구성요소의 일부(part)로서 잔류하고 또한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제2 영역에서 상기 전기적 기능층(47,94,97)은 상기 캐리어 필름(45) 상에 잔류하며 기재 필름(51,61,90)으로부터 캐리어 필름과 함께 제거되고, 여기서 상기 방사선 가교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층은 상기 전사 필름(41)의 도포 후에 조사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접착제층은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영역 내에서 경화되고, 또한 상기 캐리어 필름은 상기 기재 필름(51), 접착제층 및 전기적 기능층을 포함하는 필름 본체(68)로부터 제거되어, 상기 전기적 기능층이, 패턴 형태로 구조화되고 상기 접착제층이 경화된 제1 영역 내에서는 기재 필름(51) 상에 잔류하고, 상기 접착제층이 경화되지 않은 제2 영역 내에서는 캐리어 필름(45)과 함께 제거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적 구성요소를 갖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2. 방사선 가교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층(57,93,96)이 기재필름(51,61,90)에 도포되고, 상기 접착제층(57,93,96)이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형태로 상기 기재 필름(51)에 도포되고/되거나 상기 접착제층을 패턴 형태로 구조화하여 경화하는 방식으로 패턴 형태로 조사되며, 캐리어 필름(45)과 전기적 기능층(47,94,97)을 포함하는 전사 필름(41)은, 상기 전기적 기능층(47,94,97)에서 상기 접착제층(57,93,96)의 방향으로, 상기 접착제층(57,93,96)에 도포되고, 상기 전기적 기능층은 상기 전사 필름이 상기 접착제층에 도포될 때 상기 전사 필름의 전체 표면을 덮고, 또한 상기 캐리어 필름(45)은, 상기 기재 필름(51), 상기 접착제층(57,93,96) 및 상기 전기적 기능층(47,94,97)을 포함하는 상기 필름 본체(54,64,68)로부터 제거되고, 여기서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제1 영역에서 상기 전기적 기능층(47,94,97)은 상기 접착제층(57,93,96) 및 상기 기재 필름(51,61,90) 상에 전기적 구성요소의 일부로서 잔류하고 또한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제2 영역에서 상기 전기적 기능층(47,94,97)은 상기 캐리어 필름(45) 상에 잔류하며 상기 기재 필름(51,61,90)으로부터 캐리어 필름과 함께 제거되고, 여기서 상기 방사선 가교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층은, 상기 접착제층이 패턴 형태로 구조화되는 영역 내에서 경화되는 방식으로, 상기 전사 필름(41)의 도포에 앞서 패턴 형태로 조사되고, 상기 전사 필름(41)은 패턴 형태로 구조화되어 경화되는 접착제층에 도포되고 또한 상기 캐리어 필름(45)이 기재 필름(61), 접착제층 및 전기적 기능층(47)을 포함하는 필름 본체(64)로부터 제거되어, 전기적 기능층(47)이, 패턴 형태로 구조화되고 상기 접착제층이 경화되지 않는 제1 영역 내에서는 기재 필름(61) 상에 잔류하고, 패턴 형태로 구조화되고 상기 접착제층이 경화되는 제2 영역 내에서는 캐리어 필름(45)과 함께 제거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적 구성요소를 갖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가교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층(47)이 패턴 형태로 구조화되어 인쇄 공정에 의해 기재 필름(51)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이 음각 인쇄(intaglio printing)에 의해 상기 기재 필름(51) 상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57)이 오프셋 인쇄(offset printing) 또는 플렉소인쇄(flexo printing)에 의해 상기 기재 필름(51) 상에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사 필름(41)이 방사선-투과성이고 또한 상기 접착제층(57)이 상기 전사 필름(41) 측으로부터 상기 전사 필름(41)을 통해 노광(expos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이 방사선-투과성이고 또한 상기 접착제층이 상기 기재 필름 측으로부터 상기 기재 필름을 통해 노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방사선 가교성 접착제가 사용되고, 이는 경화되지 않은 상태(non-hardened condition)에서 전기적 기능층에 대한 접착력이 전기적 기능층과 캐리어 필름 사이의 접착력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2에 있어서, 아직 경화되지 않은 상기 접착제층의 영역을 경화시키기 위해 제2 노광 단계에서 상기 접착제층이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스크 노광 장치가 노광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11.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사 필름(41)이 사용되고, 이는 캐리어 필름(45)과 전기적 기능층(47) 사이에 방출층(release layer)(4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12.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기능층(47,94,97)이 전기적 전도성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기능성 층이 전도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기능층은 전도성 나노입자 및 결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기능층은 상기 기재 필름에 도포될 때 압축되고, 이에 의해 상기 기능층의 전기적 전도성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기능층이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1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기능층이 무기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18.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기능층이 금속 층 또는 금속 합금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19.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기능층이 전기적 반도체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20.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이 전기적 비전도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적 구성요소를 갖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21.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이 전기적 전도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22. 필름(55,66,69,99)은 방사선 가교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접착제층(57,93,96)을 가지고, 상기 접착제층(57,93,96)은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전기적 기능층(47,94,97)과 상기 필름의 기재 필름(51,9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전기적 기능층(47,94,97)을 상기 기재 필름(51,90)에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고,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구성요소를 갖는 필름(55,66,69,99).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가교성 접착제의 접착제층(57)이 상기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전기적 기능층(47)과 동일한 방식으로 패턴 형태로 구조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2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기능층(94,97)이 하나 이상의 전기적 구성요소의 전극을 제공하는 미세구조화된 전극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25.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기능층(94,97)이 하나 이상의 전기적 구성요소의 반도체 구성요소 부품(part)을 제공하는 미세구조화된 반도체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26.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구성요소는 유기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27. 삭제
  28. 삭제
  2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구성요소는 유기 반도체 기술의 전기적 구성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30.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노광 장치는 드럼 노광 장치 또는 마스크 벨트(8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31.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는 금속, 카본 블랙 및 그래파이트 입자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32.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무기 물질은 ITO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33.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반도체층은 반도체 고분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55,66,69,99)의 제조 방법.
  34.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구성요소는 유기 반도체 기술의 전기적 구성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35. 삭제
KR1020067010175A 2003-10-24 2004-10-19 접착제의 구조화 및 전사 필름에 의한 전기적 기능층의 구조화 KR101193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49963.6 2003-10-24
DE10349963A DE10349963A1 (de) 2003-10-24 2003-10-24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olie
PCT/DE2004/002319 WO2005039868A2 (de) 2003-10-24 2004-10-19 Strukturierung von elektrischen funktionsschichten mittels einer transferfolie und strukturierung des kleb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769A KR20060125769A (ko) 2006-12-06
KR101193315B1 true KR101193315B1 (ko) 2012-10-19

Family

ID=34485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175A KR101193315B1 (ko) 2003-10-24 2004-10-19 접착제의 구조화 및 전사 필름에 의한 전기적 기능층의 구조화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700402B2 (ko)
EP (1) EP1676330B1 (ko)
JP (1) JP4943852B2 (ko)
KR (1) KR101193315B1 (ko)
CN (1) CN1871721B (ko)
AT (1) ATE469442T1 (ko)
AU (1) AU2004283127B2 (ko)
BR (1) BRPI0415539B1 (ko)
CA (1) CA2542360C (ko)
DE (2) DE10349963A1 (ko)
ES (1) ES2346655T3 (ko)
RU (1) RU2346359C2 (ko)
TW (1) TWI383459B (ko)
WO (1) WO2005039868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985B1 (ko) 2017-03-31 2017-12-1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고분자 나노무기입자 복합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10679764B2 (en) 2017-06-12 2020-06-09 Samsung Display Co., Ltd. Metal nanowire electrod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04713A1 (de) * 2004-01-30 2005-09-01 Leonhard Kurz Gmbh & Co. Kg Sicherheitselement mit partieller Magnetschicht
US7799699B2 (en) 2004-06-04 2010-09-2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Printable semiconductor structures and related methods of making and assembling
CN101120433B (zh) 2004-06-04 2010-12-08 伊利诺伊大学评议会 用于制造并组装可印刷半导体元件的方法
US20070015079A1 (en) * 2005-07-18 2007-01-18 Wolk Martin B Laser induced thermal imaging business models and methods
DE102006012708A1 (de) * 2006-03-17 2007-09-20 Polyic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ktiven oder passiven elektrischen Bauteils sowie elektrisches Bauteil
US7744717B2 (en) 2006-07-17 2010-06-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enhancing the resolution of a thermally transferred pattern
DE102006033887B4 (de) * 2006-07-21 2015-04-09 Leonhard Kurz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hrschichtkörpers mit leitfähiger Polymerschicht
US8388790B2 (en) 2006-07-21 2013-03-05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Multilayered body comprising an electroconductive polymer laye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DE102006037433B4 (de) * 2006-08-09 2010-08-19 Ovd Kinegram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hrschichtkörpers sowie Mehrschichtkörper
CN101517700B (zh) * 2006-09-20 2014-04-16 伊利诺伊大学评议会 用于制造可转移半导体结构、器件和器件构件的松脱策略
US20080131590A1 (en) * 2006-12-04 2008-06-05 Illinois Tool Works Inc. Method for printing electrically conductive circuits
MY149292A (en) 2007-01-17 2013-08-30 Univ Illinois Optical systems fabricated by printing-based assembly
AT10029U1 (de) * 2007-02-16 2008-07-15 Austria Tech & System Tec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tarr-flexiblen leiterplatte sowie starr-flexible leiterplatte
DE102007032250B3 (de) * 2007-07-11 2008-12-18 ROWO Coating Gesellschaft für Beschichtung mbH Vorrichtung zum Detektieren von Flüssigkeitslecks
GB2453766A (en) * 2007-10-18 2009-04-22 Novalia Ltd Method of fabricating an electronic device
DE102007051930A1 (de) 2007-10-29 2009-04-30 Leonhard Kurz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eiterbahnstruktur
DE102008034616A1 (de) 2008-07-25 2010-02-04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Prägefolie und deren Verwend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trukturelementen aus Kupfer
DE102008047095A1 (de) 2008-09-12 2010-03-18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Transferfolie zur Verwendung in einem Kaltfolientransferverfahren
DE102008047096A1 (de) 2008-09-12 2010-03-25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Drucktuch für ein Kaltfolientransferverfahren
WO2010042653A1 (en) 2008-10-07 2010-04-15 Mc10, Inc. Catheter balloon having stretchable integrated circuitry and sensor array
US8372726B2 (en) 2008-10-07 2013-02-12 Mc10, Inc. Methods and applications of non-planar imaging arrays
US8389862B2 (en) 2008-10-07 2013-03-05 Mc10, Inc. Extremely stretchable electronics
US8886334B2 (en) 2008-10-07 2014-11-11 Mc10,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ing stretchable or flexible electronics for medical applications
US8097926B2 (en) 2008-10-07 2012-01-17 Mc10,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having stretchable integrated circuitry for sensing and delivering therapy
CN101428978B (zh) * 2008-12-09 2011-01-26 深圳市大族激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陶瓷或玻璃的烤花方法
US20100209843A1 (en) * 2009-02-16 2010-08-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thick film circuit patterning
TWI671811B (zh) * 2009-05-12 2019-09-11 美國伊利諾大學理事會 用於可變形及半透明顯示器之超薄微刻度無機發光二極體之印刷總成
KR101052219B1 (ko) * 2009-05-29 2011-07-27 주식회사 선경홀로그램 자외선 경화 접착제에 의한 콜드 스템핑 시트 및 그 제조방법
US9723122B2 (en) 2009-10-01 2017-08-01 Mc10, Inc. Protective cases with integrated electronics
WO2011084450A1 (en) 2009-12-16 2011-07-1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Electrophysiology in-vivo using conformal electronics
US9936574B2 (en) 2009-12-16 2018-04-03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Waterproof stretchable optoelectronics
US10441185B2 (en) 2009-12-16 2019-10-15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Flexible and stretchable electronic systems for epidermal electronics
KR101837481B1 (ko) 2010-03-17 2018-03-13 더 보드 오브 트러스티즈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일리노이 생체흡수성 기판 상 이식가능한 바이오의료 장치
KR20120065136A (ko) 2010-12-10 2012-06-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제조 설비
WO2012097163A1 (en) 2011-01-14 2012-07-19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Optical component array having adjustable curvature
US9765934B2 (en) 2011-05-16 2017-09-19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Thermally managed LED arrays assembled by printing
US9159635B2 (en) 2011-05-27 2015-10-13 Mc10, Inc. Flexible electronic structure
WO2012167096A2 (en) 2011-06-03 2012-12-0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Conformable actively multiplexed high-density surface electrode array for brain interfacing
CN102963143A (zh) * 2011-08-28 2013-03-13 瑞世达科技(厦门)有限公司 步进网版印刷方法及其印刷装置
KR101979354B1 (ko) 2011-12-01 2019-08-29 더 보오드 오브 트러스티스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일리노이즈 프로그램 변형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과도 장치
CN102623472B (zh) * 2012-03-27 2015-07-22 格科微电子(上海)有限公司 去除csp封装型图像传感器芯片表面透光板的方法
US9554484B2 (en) 2012-03-30 2017-01-2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Appendage mountable electronic devices conformable to surfaces
US9171794B2 (en) 2012-10-09 2015-10-27 Mc10, Inc. Embedding thin chips in polymer
US10060851B2 (en) 2013-03-05 2018-08-28 Plexense, Inc. Surface plasmon detection apparatuses and methods
KR101592241B1 (ko) 2013-04-15 2016-02-05 (주)플렉센스 나노 입자 어레이의 제조 방법, 표면 플라즈몬 공명 기반의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분석 방법
DE102015107122A1 (de) * 2015-05-07 2016-11-10 Osram Oled Gmbh Verfahren zum Strukturieren einer Schicht
BR112017025616A2 (pt) 2015-06-01 2018-08-07 Univ Illinois abordagem alternativa à captação de uv
BR112017025609A2 (pt) 2015-06-01 2018-08-07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sistemas eletrônicos miniaturizados com potência sem fio e capacidades de comunicação de campo próximo
US20170135220A1 (en) * 2015-11-07 2017-05-11 The Governing Council Of The University Of Toronto Printable Films for Printed Circuit Boards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US10925543B2 (en) 2015-11-11 2021-02-23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Bioresorbable silicon electronics for transient implants
DE102016122803A1 (de) * 2016-11-25 2018-05-30 Osram Oled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es und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EP3373712B1 (fr) * 2017-03-09 2023-03-29 MGI Digital Technology Procédé de dépôt de traces conductrices
CN108963101B (zh) * 2017-11-30 2022-08-26 广东聚华印刷显示技术有限公司 用于柔性显示器件的制作的离型层及复合基板
DE102018105735A1 (de) 2018-03-13 2019-09-19 Mitsubishi Polyester Film Gmbh Trennfolie für Tiefdruckanwend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7592A (ja) * 1986-11-18 1988-05-3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剥離性シ−ト付パタ−ン導電化薄膜の製造法
JPS63241986A (ja) * 1987-03-30 1988-10-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印刷回路の製造および装置
WO2003010825A1 (en) * 2001-07-24 2003-02-06 Seiko Epson Corporation Transfer method, method of manufacturing thin film element, method of manufacturing integrated circuit, circuit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ircuit substrate, electro-opt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optic device, and ic card and electronic equipme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9994A (en) * 1986-04-01 1990-04-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ry transfer graphics article and methods of preparation and use thereof
FI91573C (sv) 1990-01-04 1994-07-11 Neste Oy Sätt att framställa elektroniska och elektro-optiska komponenter och kretsar
DE19633675B4 (de) 1996-08-21 2007-07-1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Schichten oder Schichtsystemen auf einen sinterfähigen Schichtträger
JP2002515641A (ja) 1998-01-28 2002-05-28 シン フイルム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イエスエイ 三次元の導電性または半導電性構造体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この構造体を消去する方法
GB9806066D0 (en) * 1998-03-20 1998-05-20 Cambridge Display Tech Ltd Multilayer photovoltaic or photoconductive devices
CN1331736A (zh) * 1998-11-23 2002-01-16 让-马克·弗朗索斯 压敏粘合层合材料,改进此类层合材料起始剥离力的方法和装置
EP1041620A3 (en) * 1999-04-02 2005-01-05 Interuniversitair Microelektronica Centrum Vzw Method of transferring ultrathin substrates and application of the method to the manufacture of a multi-layer thin film device
DE10033112C2 (de) * 2000-07-07 2002-11-14 Siemen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Strukturierung organischer Feldeffekt-Transistoren (OFET), hiernach gefertigter OFET und seine Verwendung
EP1323195A1 (de) * 2000-09-22 2003-07-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ode und/oder leiterbahn für organische bauelemente und herstellungsverfahren dazu
DE10061297C2 (de) * 2000-12-08 2003-05-28 Siemens Ag Verfahren zur Sturkturierung eines OFETs
US6852355B2 (en) * 2001-03-01 2005-02-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hermal imaging processes and products of electroactive organic material
JP4211256B2 (ja) 2001-12-28 2009-01-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半導体集積回路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27592A (ja) * 1986-11-18 1988-05-3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剥離性シ−ト付パタ−ン導電化薄膜の製造法
JPS63241986A (ja) * 1987-03-30 1988-10-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印刷回路の製造および装置
WO2003010825A1 (en) * 2001-07-24 2003-02-06 Seiko Epson Corporation Transfer method, method of manufacturing thin film element, method of manufacturing integrated circuit, circuit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ircuit substrate, electro-opt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optic device, and ic card and electronic equipm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985B1 (ko) 2017-03-31 2017-12-1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고분자 나노무기입자 복합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18182353A1 (ko) * 2017-03-31 2018-10-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고분자 나노무기입자 복합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10679764B2 (en) 2017-06-12 2020-06-09 Samsung Display Co., Ltd. Metal nanowire electrod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42360A1 (en) 2005-05-06
US20070077679A1 (en) 2007-04-05
TWI383459B (zh) 2013-01-21
JP2007515782A (ja) 2007-06-14
CA2542360C (en) 2011-06-14
BRPI0415539A (pt) 2006-12-26
DE10349963A1 (de) 2005-06-02
TW200520112A (en) 2005-06-16
JP4943852B2 (ja) 2012-05-30
AU2004283127A1 (en) 2005-05-06
ATE469442T1 (de) 2010-06-15
AU2004283127B2 (en) 2009-07-30
CN1871721B (zh) 2010-04-28
ES2346655T3 (es) 2010-10-19
RU2346359C2 (ru) 2009-02-10
CN1871721A (zh) 2006-11-29
EP1676330A2 (de) 2006-07-05
EP1676330B1 (de) 2010-05-26
DE502004011216D1 (de) 2010-07-08
KR20060125769A (ko) 2006-12-06
RU2006117778A (ru) 2007-11-27
WO2005039868A2 (de) 2005-05-06
US7700402B2 (en) 2010-04-20
WO2005039868A3 (de) 2006-01-26
BRPI0415539B1 (pt) 2017-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315B1 (ko) 접착제의 구조화 및 전사 필름에 의한 전기적 기능층의 구조화
EP1597781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ichtemittierenden einrichtung
US9159925B2 (en) Process for imprint patterning materials in thin-film devices
US20040262599A1 (en) Organic field effect transistor, method for production and use thereof in the assembly of integrated circuits
JP5857051B2 (ja) 不透明導電性領域の自己整合被覆
CA2667278A1 (en) Patterned printing plates and processes for printing electrical elements
Lee et al. High-resolution conductive patterns fabricated by inkjet printing and spin coating on wettability-controlled surfaces
US20090120676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conductor track structure
JPH03280416A (ja) 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
JP4843978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の形成方法
DE102004041497B4 (de) "Organisches Elektronik-Bautei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US820277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semiconductor device
CN1323506A (zh) 挠性线路板的制造方法
WO2023123804A1 (zh) 一种导电图案及其成型方法
TW200810166A (en) Printed electronic device and transis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109258B1 (ko) 패턴 블랭킷,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패턴 블랭킷을 이용한 패턴형성방법
KR100999882B1 (ko) 액체 필름 배리어를 이용한 기판상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KR20040080812A (ko) 전자회로기판의 배선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