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833B1 -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833B1
KR101186833B1 KR1020087028950A KR20087028950A KR101186833B1 KR 101186833 B1 KR101186833 B1 KR 101186833B1 KR 1020087028950 A KR1020087028950 A KR 1020087028950A KR 20087028950 A KR20087028950 A KR 20087028950A KR 101186833 B1 KR101186833 B1 KR 101186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film
film
white polyester
liquid cryst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8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3054A (ko
Inventor
마사히로 오쿠다
히데키 후지이
카즈노리 타나카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3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refl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7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voids or po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과제) 반사 필름뿐만 아니라 주변 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 및 먼지 등 미세한 이물의 부착을 방지하는 것에 의해서 제조 손실을 경감한다.
(해결수단) 미세한 기포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광안정제를 함유하고, 그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의 평균 반사율이 97% 이상인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Figure R1020087028950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Description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WHITE POLYESTER FILM FOR LIQUID CRYSTAL DISPLAY REFLECTOR}
본 발명은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용 반사판으로서 최적인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화면을 사이드 라이트(에지 라이트라고도 함)에 의해 조명했을 경우나, 반사 필름의 바로 위에 형광관을 배치하는 것과 같은(직하형이라고 함) 구성에서, 보다 밝은 화면이 얻어지는 반사판용 기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PC, 텔레비젼, 휴대전화 등의 표시장치로서 액정을 이용한 디스플레이가 수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조명할 때에, 종래 디스플레이의 배면으로부터 라이트를 쬐는 백라이트 방식이나, 특허문헌 1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은 사이드 라이트 방식이, 초박형이며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는 메리트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사이드 라이트 방식이란, 소정 두께를 가진 아크릴판 등의 투명기재의 한 면에 망점 인쇄나 주름 가공 등 각종 처리를 실시하고, 상기 아크릴판 등의 에지로부터 냉음극관 등의 조명을 대는 방식으로 조명광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균일한 밝기를 가진 화면이 얻어진다. 또한, 화면의 배면이 아니라 에지 부에 조명을 설치하기 때문에 백라이트 방식보다 초박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조명광의 화면 배면으로의 피함을 방지하기 위해서 화면의 배면에 반사판을 설치할 필요가 있지만, 이 반사판에는 얇기와, 광의 고반사성이 요구되는 점에서 필름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함유시키고, 그 기포로 광을 산란시킴으로써 백색화된 백색 필름 등이 주로 사용된다.
한편, 액정 텔레비젼과 같은 대형 화면용에서는, 직하형 라이트 방식이 채용되어 오고 있다. 이 방식은, 액정화면의 하부에 냉음극선관을 병렬로 배열한다. 반사판은 평면상 혹은, 냉음극선관의 부분을 반원 오목형상으로 성형한 것 등이 사용된다. 종래, 백색 안료를 첨가한 필름이나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함유시킨 필름 단독, 또는 이들 필름과 금속판, 플라스틱판 등을 펼쳐 맞춘 것이 사용되어 왔다. 특히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함유시킨 필름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휘도의 향상 효과나 균일성이 우수하다(특허문헌 2).
이 미세한 기포의 형성은, 필름 모재,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중에 고융점의 비상용 폴리머 혹은 황산 바륨 등의 무기입자를 미세하게 분산시키고, 그것을 연신( 예를 들면 2축 연신)함으로써 달성된다. 연신시에, 비상용 폴리머 입자 주위에 보이드(기포)가 형성되고, 이것이 광에 산란 작용을 발휘하기 때문에 백색화되어, 고반사율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기술에서는, 파장 400∼700㎚의 광의 반사율을 확보함과 아울러, 파장 400㎚ 미만의 광의 반사율 향상도 목적으로 하고 있어, 공동(空洞)함유 필름에 형광증백제를 함유시키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표시 기기에도 사진 화상이나 동영상의 표시에 관해서, 종래에 없는 고도한 표시 능력이 요구되고 있고, 이것에 따라 백라이트의 고휘도화나 백 재현성의 향상 등, 고성능화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것들의 요구에 응하기 위해서, 반사판에 요구되는 자외선 흡수성이나 각종 내구성에의 요망도 더욱 높아지고 있다.
예를 들면, 장기간 사용해도 열화가 억제되어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성이 특히 요구되고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서는,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광안정제를 함유시킨 공동함유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정전기가 발생하기 쉽고, 제막, 가공 공정 및 사용시에 진애가 부착된다고 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최근, 화면의 대형화에 따라 상기 진애가 제조 손실에 크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사용되는 액정 모니터 제조공정 중에 있어서, 각 부재에 대한 오염 방지성에의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 이 요망으로부터, 특허문헌 4에서는 필름에 대전방지성을 갖게 함으로써 오염 방지 효과를 얻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4에서 제공되는 필름은, 광안정성이 요구되는 액정표시장치로의 적용은 불가능하고, 광안정성과 오염 방지성을 양립하는 광학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소63-62104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평4-239540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공개 2002-098808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 특허공개 평10-278204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형광관으로부터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해 부재의 열화가 촉진되고, 또한 장기간의 사용에서는 액정 유닛 내 등의 온도 습도 조건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각 부재의 열팽창율의 차이에 의해 부재의 변형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때, 부재끼리의 접촉 면적이 크면 변형이 발생했을 때에 부재끼리의 마찰의 삐걱거림이 생긴다. 이 삐걱거림이 반복되면 부재의 열화가 촉진되어 마찰에 의한 상처 때문에 특성이 악화된다. 또한 제조 조립 공정에서의 먼지의 부착에 의한 손실도 크다. 이들의 문제를, 단지 광안정성을 부여하는 광안정제, 요철 제작을 위한 입자 첨가, 및 대전방지제의 첨가에 의해 해결하려고 하면, 착색이나 산란에 의해 광학 특성의 악화가 일어날뿐만 아니라 각 재료간에서 반응이 일어나서, 각각의 재료가 가지는 성능을 부정해버릴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즉,
(1) 미세한 기포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광안정제를 함유하고, 상기 필름의 적어도 한 쪽 표면의 평균 반사율이 97% 이상인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미세한 기포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층(A)의 적어도 한 면에,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층(B)을 적층한 구조를 갖는 (1)에 기재된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층(C)이 도포되고, 층(C)의 표면 비저항값이 1×1013Ω/□이하인 (1) 또는 (2)에 기재된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 표면의 중심면 평균조도(Ra)가 0.1 이상 및 10점 평균조도(Rz)가 1.0 이상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함유되는 광안정제의 함유량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2중량% 이상 20중량% 이하인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함유되는 광안정제가 말론산 에스테르계 광안정제인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함유되는 광안정제가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공중합체인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이산화티타늄 입자가 함유되고, 그 함유량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총 중량에 대하여 1중량% 이상 40중량% 이하인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재의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평균 입자지름이 1.0㎛ 이상인 입자(이하, 대입경 입자)가 함유되고, 그 함유량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 이상 5중량% 이하인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상기 대입경 입자가 실리카 입자인 (9)에 기재된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11)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폴리에스테르와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함으로써 미세한 기포가 형성되는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2) 상기 폴리에스테르와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메틸펜텐이며,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서의 평균 입자지름이 대입경 입자의 평균 입자지름 이하이며,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총 중량에 대하여 5중량% 이상 25중량% 이하 함유하는 (11)에 기재된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3)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비중이 0.5 이상 1.2 이하인 (1)∼(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4)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무기입자를 함유함으로써 미세한 기포가 형성되는 (1)∼(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5) 상기 미세한 기포를 형성하기 위해서 함유되는 무기입자가 황산 바륨이며, 또한 상기 황산 바륨의 평균 입자지름이 0.1㎛ 이상 5.0㎛ 이하 또한 대입경 입자의 평균 입자지름 이하이며,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총 중량에 대하여 5∼70중량%를 함유하는 (14)에 기재된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6)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비중이 1.2 이상 1.4 이하인 (1)∼(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7) (2)∼(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그 심층부가 상기 폴리에스테르층(A), 한 쪽 또는 양측의 표층부가 상기 폴리에스테르층(B)인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광안정성, 오염 방지성 및 저마찰성을 아울러 갖는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액정 패널에 장착되는 다른 주변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물부착에 의한 제조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휘도 측정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형광관 12 : 반사 필름
13 : 도광판 14 : 확산 필름
15 : 휘도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층 구성]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미세한 기포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단층, 복층의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폴리에스테르층 (A) 및 (B)를 사용한 적층 구조이며, 폴리에스테르층(A)이 미세 기포를 함유한 층이며, 적어도 그 한 쪽에 폴리에스테르층(B)이 광안정제를 함유한 층인 것이 고반사율, 제막성, 광학 특성 및 광안정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특히, 미세한 기포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층(A)의 적어도 한 면에,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층(B)이 적층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이러한 적층 형태를, 이하 「형태 1」이라고 함).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대전방지층을 함유하는 층(C)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이 폴리에스테르층(A) 및 폴리에스테르층(B)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면 다수의 층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층(A)/폴리에스테르층(B)의 2층 구성이어도 좋고, 폴리에스테르층(B)/폴리에스테르층(A)/폴리에스테르층(B)의 3층 구성, 또는 폴리에스테르층(A)/폴리에스테르층(B)/폴리에스테르층(A)/폴리에스테르층(B)의 4층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5층 이상의 구성이어도 좋다. 다층 구성으로 함으로써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에 있어서 각각의 층의 특성이 발현되고, 다양한 특성을 컨트롤 할 수 있다.
제막 상의 용이함과 효과를 고려하면 2층 구성 또는 폴리에스테르층(B)/폴리에스테르층(A)/폴리에스테르층(B)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성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특히 폴리에스테르층(B)으로 폴리에스테르층(A)을 보호하는 형태, 즉, 폴리에스테르층(B)/폴리에스테르층(A)/폴리에스테르층(B)의 3층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한 심층부가 폴리에스테르층(A)이며, 한 쪽 또는 양측의 표층부가 폴리에스테르층(B)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란, 디올과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중축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머이며,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신산 등으로 대표되는 것이며, 또 디올이란,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으로 대표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p-옥시벤조에이트, 폴리-1,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시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 PET로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 폴리에스테르 중에는, 공지의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등이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내수성, 내구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것이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기본 구성으로서 사용할 경우, 제막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당 1몰% 이상 15몰% 이하, 보다 바 람직하게는 3몰% 이상 14몰%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5몰% 이상 13몰% 이하의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면 좋다. 1몰% 미만이면 불활성 입자를 함유하는 층, 예를 들면 31중량% 이상의 황산 바륨이나 이산화티타늄 입자를 함유할 경우에 있어서 제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15몰%를 넘어도 제막할 수 없을 경우가 있다.
이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신산, 프탈산,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디올로서,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폴리에스테르층(A)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의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양호한 제막성을 얻기 위해서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 기포의 형성]
본 발명에 있어서는, 400∼700㎚ 광의 파장 영역에 있어서의 평균 반사율이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서 97% 이상일 필요가 있다. 97% 미만이면 역프리즘 방식의 백라이트로서의 휘도가 떨어질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평균 반사율이란, 히타치 하이테크놀러지즈 제 분광광도계(U-3310)에 적분구를 부착하고, 표준 백색판(산화알루미늄)을 100%로 했을 때의 반사율을 400∼700㎚에 걸쳐 측정하고, 얻어진 차트로부터 파장을 5㎚ 간격으로 반사율을 판독하여 평균한 값이다.
반사율을 97%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필름 내부에 미세한 기포 및 불활성 무기입자를 함유시켜 백색화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고, 이에 따라 광의 산란 작용을 발휘하기 때문에 반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사율은 98%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이다. 반사율에 대해서는 특별히 상한은 없지만,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포형성 핵제가 되는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 또는 무기입자의 첨가량을 높일 필요가 있고, 그 경우 제막성이 불안정해질 경우가 있기 때문에 1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한 기포의 형성은 필름 모재,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중에 고융점의 폴리에스테르와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 또는 무기입자를 미세하게 분산시키고, 그것을 연신(예를 들면 2축 연신)함으로써 달성된다. 연신시에, 이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 또는 무기입자 주위에 보이드(기포)가 형성되고, 이것이 광에 산란 작용을 발휘하기 때문에 백색화되어 고반사율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 및 무기입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대입경 입자]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름 표면의 중심면 평균조도(Ra)가 0.1 이상이며, 또한 10점 평균조도(Rz)가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a가 0.1 이상 1.0 미만 및 Rz가 1.0 이상 10.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Ra가 0.1 이상 0.4 미만 및 Rz가 1.0 이상 6.0 미만이다. Ra 및 Rz의 수치는 부재끼리의 마찰에 의한 필름 표면의 열화에 관련이 있다. 부재 표면에 미소한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마찰이 줄어들고,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Ra가 0.1 미만이며, 또한 Rz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장기간의 사용을 전제로 해서 온도 습도 조건의 변화가 큰 환경 에 두었을 경우, 각 부재의 열팽창율의 차이에 의해 부재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기지만, 이 반복에 의해 부재의 열화를 촉진시켜 버린다. Ra가 0.4 이상, 또는 Rz가 6.0 이상으로 되면 표면의 조도에 의한 산란 효과가 강해져 광학 특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Ra, Rz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는 대입경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폴리에스테르층(A) 및 폴리에스테르층(B)을 갖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층(A) 및/또는 폴리에스테르층(B)에 대입경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입경 입자란, 필름에 함유되는 입자 중에서 가장 평균 입자지름(평균 입자지름이란 수평균 입자지름을 말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동일함)이 큰 입자를 가리킨다.
대입경 입자로서 사용되는 입자는, 그 종류를 묻지 않지만, 안정된 제막성, 높은 광학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무기입자로서는 실리카 입자, 이산화티타늄 입자, 황산 바륨 입자, 산화알루미늄 입자 등이 바람직하고, 유기입자로서는 아크릴 입자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것들은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의 혼합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입자의 분산 지름 안정성이나 제막의 안정성의 점으로부터 실리카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대입경 입자의 평균 입자지름은 1.0㎛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상 5㎛ 이하이다.
또한 대입경 입자의 함유량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총 중량을 100중량%로 했 을 때에 0.01중량% 이상 5.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1.0중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0.5중량%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형태 1를 채택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층(A) 및/또는 폴리에스테르층(B)에 대입경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층(B)에 대입경 입자를 함유시키는 것이다.
폴리에스테르층(B)에 대입경 입자를 함유시킬 경우, 대입경 입자의 평균 입자지름은 1㎛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상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상 5㎛ 이하이다. 또한, 함유량은 폴리에스테르층(B)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1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0.5중량%이다.
대입경 입자의 평균 입자지름이 1㎛ 미만일 경우, Ra를 0.1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함유량을 매우 많게 할 필요가 있고, 입자에 의한 광의 산란이 발생하여 광학 특성의 저하를 일으킬 경우가 있다. 또한, 평균 입자지름이 5㎛ 이상일 경우, 표면 요철은 얻어지지만 대입경 입자에 의한 광의 산란이 커져서 광학 특성의 저하를 일으킬 경우가 있다. 또한 제막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대입경 입자의 함유량이 0.01중량% 이하인 경우, 표면 요철이 적고, Ra 및 Rz값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부재간 마찰은 발생하고, 부재의 열화를 촉진해 버릴 경우가 있다. 실리카 입자가 5중량% 이상인 경우, 과잉한 실리카 입자에 의한 산란 때문에 광학 특성의 저하를 일으킬 경우가 있다.
[폴리에스테르와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갖는 것이 필요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와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시킴으로써 미세한 기포를 형성시킬 수 있다.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로서 바람직한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3-메틸부텐-1, 폴리-4-메틸펜텐-1, 폴리비닐-t-부탄, 1,4-트랜스-폴리-2,3-디메틸부타디엔, 폴리비닐시클로헥산, 폴리스티렌, 폴리메틸스티렌, 폴리디메틸스티렌, 폴리플루오로스티렌, 폴리-2-메틸-4-플루오로스티렌, 폴리비닐-t-부틸에테르,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프로피오네이트, 폴리비닐플루오리드,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등으로부터 선택된 융점 200℃ 이상의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모재에 대하여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메틸펜텐이 바람직하다.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 첨가량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전체의 총 중량을 100중량%로 했을 때에 5중량% 이상 2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형태 1를 채택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층(A) 및/또는 폴리에스테르층(B)에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층(A)에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시키는 것이다. 폴리에스테르층(A)에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시킬 경우, 함유량은 폴리에스테르층(A)의 총 중량에 대하여 5중량% 이상 2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25중량% 이하이다.
함유량이 이것보다 지나치게 적으면 백색화의 효과가 옅어져 고반사율을 얻기 어려워지고, 지나치게 높으면 필름 자체의 강도 등 기계 특성이 지나치게 낮아질 우려가 있다.
이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는 균일하게 분산되어져 있을수록 바람직하다. 균일 분산에 의해 필름 내부에 균일하게 기포가 형성되어, 백색화의 정도, 나아가서는 반사율이 균일해진다.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를 균일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저비중화제를 분산 조제로서 첨가하는 것이 유효하다. 저비중화제란 비중을 작게 하는 효과를 가지는 화합물이며, 특정의 화합물에 그 효과가 확인된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에 대해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 에틸렌옥사이드/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또한 도데실벤젠술폰산 나트륨, 알킬술포네이트나트륨염,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테트라부틸포스포늄파라아미노벤젠술포네이트 등으로 대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경우, 특히 폴리알킬렌글리콜,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의 공중합체 등도,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첨가량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총 중량에 대하여 3중량% 이상 2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25중량%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형태 1을 채택하고, 폴리에스테르층(A)에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시킬 경우, 저비중화제의 첨가량은 폴리에스테르층(A)의 총 중량에 대하여 3중량% 이상 25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 게는 10중량% 이상 20중량% 이하이다. 저비중화제의 첨가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첨가의 효과가 옅어지고, 지나치게 많으면 필름 모재 본래의 특성을 손상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저비중화제는 미리 필름 모재 폴리머 중에 첨가해서 마스터 폴리머(마스터 칩)로서 조정 가능하다.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미세한 기포를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외관 비중은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보다 낮아진다. 또한 저비중화제를 첨가하면 비중은 더욱 낮아진다. 즉, 희고 가벼운 필름이 얻어진다. 이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기재로서의 기계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경량으로 하기 위해서는, 비중이 0.5 이상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비중을 0.5 이상 1.2 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저비중화제, 예를 들면 비중 0.83의 폴리메틸펜텐을 사용했을 경우, 폴리에스테르 필름 전체에 대하여 5∼25중량% 이하 함유시키고, 연신 배율을 2.5∼4.5로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형태 1을 채택할 경우에, 외관 비중이 본 발명의 범위에 있으면 필름 강도를 유지한 채 미세한 기포를 다수 존재시킬 수 있고, 고반사율을 얻을 수 있다. 즉,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으로서 사용했을 경우, 화면의 밝기에 있어서 현저하게 우수한 휘도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비중은,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했을 경우 0.5 이상 1.2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 이상 0.8 이하인 것이, 보다 고반사율 을 얻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함유시키는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의 평균 입자지름은 대입경 입자의 평균 입자지름 이하(대입경 입자가 없는 경우에는 1.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입경 입자의 평균 입자지름 이하이고 또한 0.2㎛ 이상 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입경 입자의 평균 입자지름 이하이고 또한 0.3㎛ 이상 3㎛ 이하이다. 또,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가 대입경 입자에 해당할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대입경 입자의 평균 입자지름과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의 평균 입자지름은 동일하게 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대입경 입자가 첨가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의 평균 입자지름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1㎛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이상 1㎛ 미만이다.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의 입자지름이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를 핵으로 하는 미세한 기포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상기 범위보다 크면 기포 사이즈가 커지고, 그 때문에 필름 강도 및 제막 안정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미세 기포를 형성하는 무기입자]
본 발명에서는 미세 기포를 형성하기 위해서 위에 서술한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미세 기포를 형성하기 위해서 무기입자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무기입자를 사용할 경우, 높은 광학 특성, 안정된 제막성을 얻기 위해서는 입자의 종류로서 이산화티타늄, 황산 바륨, 황산 칼슘, 황산 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탄산 칼슘, 탄산 바륨, 실리카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것들은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의 혼합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높은 광학 특성과 제막 안정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황산 바륨 입자, 이산화티타늄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앞에서 서술한 대입경 입자도, 광학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미세 기포를 형성시키는 무기입자로서 사용할 수 있다.
[황산 바륨 입자]
미세 기포를 형성시키는 무기입자로서 황산 바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총 중량에 대하여 황산 바륨 입자를 5중량% 이상 70중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55중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50중량%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폴리에스테르층(A)을 갖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층(A)의 총 중량에 대하여 황산 바륨 입자를 21중량% 이상 70중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3중량% 이상 55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상 50중량% 이하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폴리에스테르층(B)을 갖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층(B)의 총 중량에 대하여 황산 바륨 입자를 0.1중량% 이상 15중량%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상 14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 13중량% 이하이다.
함유량이 이 범위의 하한보다 소량이면 황산 바륨 입자에 의한 산란광이 부족되어서 충분한 반사 성능을 얻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이 범위의 상한보다 대량이면 제막 안정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함유시키는 황산 바륨의 평균 입자지름은, 대입경 입자의 평균 입자지름 이하(대입경 입자가 없는 경우에는 1.0㎛ 미만)이고 또한 0.1㎛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입경 입자의 평균 입자지름 이하이고 또한 0.3㎛ 이상 8㎛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입경 입자의 평균 입자지름 이하이고 또한 0.5㎛ 이상 5㎛ 이하이다. 이 범위의 평균 입자지름의 황산 바륨을 사용함으로써 양호한 분산성과 제막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황산 바륨은 판상이어도 구상이어도 좋다.
또한, 황산 바륨 입자가 대입경 입자에 해당할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대입경 입자의 평균 입자지름과 황산 바륨의 열가소성 수지의 평균 입자지름은 동일하게 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 대입경 입자가 첨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황산 바륨의 평균 입자지름은 0.1㎛ 이상 1㎛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1㎛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1㎛ 미만이다.
이러한 무기입자를 이용하여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미세한 기포를 함유 시킴으로써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외관 비중은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필름보다 낮아진다. 황산 바륨 등 무기입자를 사용해서 기포를 함유시킬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기재로서의 기계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광학 특성도 만족시키기 위해 서는, 외관 비중이 1.2 이상 1.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1.35 이하인 것이 보다 고반사율을 얻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외관 비중이 본 발명의 범위에 있으면 필름 강도를 유지한 채 미세한 기포를 다수 존재시킬 수 있고, 고반사율을 얻을 수 있다. 즉,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으로서 사용했을 경우, 화면의 밝기에 있어서 현저하게 우수한 휘도를 발휘한다.
[입자의 배합 방법]
황산 바륨 입자나 루틸형 이산화티타늄 등의 무기입자를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 배합하는 방법으로서는 각종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하기와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가) 폴리에스테르 합성시의 에스테르 교환반응 또는 에스테르화 반응 종료 전에 입자를 첨가하는 방법, 또는 중축합 반응 개시 전에 입자를 첨가하는 방법. (나) 폴리에스테르에 입자를 첨가해 용융 혼련하는 방법. (다) 상기 (가) 또는 (나)의 방법에 있어서 입자를 다량 첨가한 마스터 펠릿을 제조하고 이것들과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를 혼련해서 소정량의 첨가물을 함유시키는 방법. (라) 상기 (다)의 마스터 펠릿을 그대로 사용하는 방법.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나 황산 바륨 입자의 배합 방법으로서는, 입자의 분산성의 관점으로부터 특히 상기 (다) 또는 (라)의 방법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나 황산 바륨 입자는 제막시의 필터로서 선지름 20㎛ 이하의 스테인레스강 세선으로 이루어지는 평균 개구 10∼100㎛, 바람직하게는 평균 개구 15∼50㎛의 부직포형 필터를 사용하고, 다이(die)로부터 압출하기 직전의 용융 폴리머를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조대 응집 입자의 개수 를 줄일 수 있다.
[광안정제]
본 발명의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보관시는 외부로부터의 광 유래의 자외선에 노출되고, 사용시는 백라이트 유닛에 부속되는 형광관으로부터의 자외선에 노출되기 때문에 광안정제의 사용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층(B)에 광안정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폴리에스테르층(A)에 광안정제를 함유시켜도 좋다. 광안정제의 함유량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전체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2중량% 이상 2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15중량% 이하, 또한 0.5중량% 이상 15중량%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형태 1를 채택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층(B)에 소정량의 광안정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층(B)으로의 광안정제의 함유량은 폴리에스테르층(B)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5중량%, 또한 1∼5중량%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광안정제의 함유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내광성이 불충분하게 되고, 장시간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필름이 열화되어, 그 반사 특성이 저하하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20중량%를 넘을 경우에는 광안정제에 의한 착색에 의해 반사 특성이 저하될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제막 후, 도포, 건조, 증착 등 후가공 공정에 있어서의 열공정이 들어갈 경우가 있다. 또한, 설치 후에 백라이트 유닛에 부속되는 형광관으로부터의 발열을 직접 받는 필름인 것, 롤 상태에서의 장기 보관에 견딜 수 있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광안정제는 내열성이 뛰어나고, 상술의 폴리에스테르와의 상용성이 좋고 균일 분산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착색이 적고 수지 및 필름의 반사 특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의 선택이 바람직하다. 앞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광안정제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살리실산계,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트리아진계, 말론산 에스테르계 등의 자외선 흡수제, 힌다드아민계 등의 자외선 안정제,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등의 광안정성을 가지는 디카르복실산 성분이라는 각종의 것이 적용가능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시광 영역에 근접한 350㎚ 부근의 장파장부에 흡수 피크를 갖지 않기 위해서 색조가 뛰어난 말론산 에스테르계나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인 적용예는 이하와 같다.
(자외선 흡수제)
말론산 에스테르계 : 테트라에틸-2,2'-(1,4-페닐렌-디메틸리덴)-비스말로네이트, 말론산[(4-메톡시페닐)-메틸렌]-디메틸에스테르
살리실산계 : p-t-부틸페닐살리실레이트, p-옥틸페닐살리실레이트
벤조페논계 :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5-술포벤조페논,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비스(2-메톡시-4-히드록시-5-벤조일페닐)메탄
벤조트리아졸계 :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 -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t-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히드록시-5'-메타아크릴옥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3",4",5",6"-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메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 에틸-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트리아진계 :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부톡시페닐]-6-(2,4-디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
상기 이외 : 2-에톡시-2'-에틸옥살산 비스아닐리드,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히드록시페닐, 2-에틸,2'-에톡시옥살아닐리드.
(자외선 안정제)
힌다드아민계 :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숙신산 디메틸-1-(2-히드록시에틸)-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중축합물
상기 이외 : 니켈비스(옥틸페닐)설파이드, [2-티오비스(4-t-옥틸페놀레이트)]-n-부틸아민니켈, 니켈 착체-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인산 모노에틸레이트, 니켈-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2,4-디-t-부틸페닐-3',5'-디-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4-디-t-부틸페닐-3',5'-디-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2,4,4-테트라메틸-7-옥시-3,20-디아조-디스피로-[5,1,11,2]-헤네이코산-21-온, 2,2,4,4-테트라메틸-21-옥소-7-옥시-3,20-디아조디스피로[5.1.11.2]-헤네이코산-20-프로피온산 도데실에스테르/테트라데실에스테르, 2,2,4,4-테트라메틸-7-옥시-3,20-디아조-20(2,3-에폭시-프로필)디스피로-[5.1.11.2]-헤네이코산-21-온의 폴리머, 프로판디온산[(4-메톡시페닐)-메틸렌]-,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에스테르,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이들 광안정제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와의 상용성이 우수한 테트라에틸-2,2'-(1,4-페닐렌-디메틸리덴)-비스말로네이트, 말론산[(4-메톡시페닐)-메틸렌]-디메틸에스테르, 2,2'-4,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비스(2-메톡시-4-히드록시-5-벤조일페닐)메탄,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이하 「NDC」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의 적용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안정제는 단독이어도 2종 이상의 병용이어도 좋고, 폴리머라도 좋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등에 대한 공중합체 성분이어도 좋다.
특히,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과 같이 광안정성이 있는 디카르복실산이면 상기 디카르복실산을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공중합체를 포함함)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이하, 「PEN」이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나, PET에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을 공중합시킨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 그 경우, 필름 중의 광안정제의 함유량은 폴리에스테르 등(공중합체를 포함함) 속에 존재하는 광안정제 성분의 양으로 한다.
또한 성능의 저하가 없는 범위에서, 무기계 광안정제를 첨가해도 좋다. 무기계 광안정제에는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등이 있지만, 광안정성의 향상에는 이산화티타늄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무기계 광안정제를 사용할 경우, 상기 무기계 광안정제는 상술한 대입경 입자나, 미세 기포를 형성하는 무기입자를 겸할 수 있다.
이산화티타늄을 첨가할 경우, 그 평균 입자지름은 광학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입경 입자의 평균 입자지름 이하(대입경 입자가 없는 경우에는 1.0㎛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입경 입자의 평균 입자지름 이하이며 또한 0.1㎛ 이상 5㎛ 이하이다.
또한, 이산화티타늄의 함유량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총 중량에 대하여 1중량% 이상 40중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 20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상 15중량% 이하이다. 이산화티타늄의 함유량이 40중량%보다 많을 경우 제막이 불안정해지고, 또한 이산화티타늄 입자가 가지는 광은폐성에 의해 광학 특성의 저하가 발생할 경우가 있다. 한편으로, 이산화티타늄의 첨가량이 1중량% 미만일 경우 광학 성능의 저하는 없지만, 광안정성의 향상 효과가 발현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형태 1을 채택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층(B)에 소정량의 이산화티타늄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성 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폴리에스테르층(A)에 이산화티타늄을 함유시켜도 좋다. 폴리에스테르층(B)으로의 광안정제의 함유량은 폴리에스테르층(B)의 총 중량에 대하여 5∼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중량%이다. 이산화티타늄의 함유량이 20중량%보다 많을 경우 이산화티타늄 입자가 가지는 광은폐성에 의해 광학 특성의 저하가 보여질 경우가 있다. 한편으로, 이산화티타늄의 첨가량이 5중량% 미만일 경우 광학성능의 저하는 없지만, 광안정성의 향상 효과가 발현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광안정제는, 자외선역의 광, 특히 340㎚∼350㎚의 파장영역에 흡수 파장의 피크를 갖지만, 그 대부분에 있어서 광의 흡수 영역이 가시광 영역(파장 380㎚ 이상)에 달하고 있다. 이 것은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광안정제를 첨가했을 때, 황색미로 되어서 나타난다. 이 황색미에 의해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이용될 때에, 휘도의 저하를 초래함과 아울러 형광관 등 다른 광학부재의 설계에도 영향을 준다. 이 때문에, 광안정제에는 황색미를 낮게 억제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흡수 파장이 가시광 영역에 없는 광안정제, 예를 들면 테트라에틸-2,2'-(1,4-페닐렌-디메틸리덴)-비스말로네이트, 말론산[(4-메톡시페닐)-메틸렌]-디메틸 에스테르, 2-에틸,2'-에톡시옥살아닐리드,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을 사용함으로써 황색미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와의 상용성, 가시광 영역에 흡수 파장이 없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말론산[(4-메톡시페닐)-메틸렌]-디메틸에스테르 및 2,6-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이 가장 바람직하다.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층(C)]
본 발명의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그 용도로부터 특히 가공, 조립 공정에 있어서 진애가 부착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 때문에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는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층(C)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층(C)은 필름 제조시에 있어서의 환경오염 방지나 방폭성의 점 때문에 수성 도포액을 도포 건조 후 적어도 일방향으로 연신되어서 형성되는 도막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층(A)과 폴리에스테르층(B)으로 이루어지는 기재 필름을 2축 배향하는 제조공정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신의 타이밍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도포액 도포 후에 적어도 1축 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수성 도포액을 도포한 후에 2축 연신하는 방법, 또는 종(필름의 길이 방향)연신 후에 수성 도포액을 도포하고, 또한 횡연신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수성 도포액의 도포방법으로서는, 각종의 도포방법, 예를 들면 리버스 코트법, 그라비어 코트법, 로드 코트법, 메탈링 바를 사용한 바 코트법, 다이 코트법, 및 스프레이 코트법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성 도포액에는 도포액의 안정성을 돕는 목적에서 약간량의 유기용제를 포함시켜도 좋다. 이 유기용제로서는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아세트산 에틸,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시클로헥사논, n-헥산, 톨루엔, 크실렌,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을 예시할 수 있다. 유기용제는 복수종 함유되어 있어도 된 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성 도포액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계면활성제, 자외선 흡수제, 안료, 윤활제, 블록킹 방지제, 수용성 고분자 수지, 옥사졸린, 멜라민, 에폭시, 아지리딘 등의 가교제나 다른 대전방지제의 첨가제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성 도포액 중의 고형분 농도는, 도막의 외관의 관점으로부터 5∼30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20%이다.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층(C)의 두께는 0.01∼2㎛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1㎛이다.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내용제성이나 대전방지성이 부족될 경우가 있고,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이활성이 떨어질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층(C)의 표면 비저항은 23℃, 상대습도 50%에 있어서 표면 비저항값이 1×1013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7Ω/□ 이상 1013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비저항값이 107Ω/□ 미만이면 계면 밀착성 및 제막성이 떨어질 경우가 있고, 표면 비저항값이 1013Ω/□보다 크면 대전방지성이 부족되어, 결과적으로 오염 방지성이 부족될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 비저항값은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되는 것이다. 카와구치 덴키 세이사쿠쇼 제 표면 비저항 측정기(MMAII-17A)를 사용할 경우, 23℃×50%RH의 분위기 하에서 시료를 1일 방치한 후, 500V의 전압을 인가해서 1분간 방치한 후, 도포면의 표면 비저항을 측정한다. 여기에서 전극의 형은, 같은 회사 제(형번 P-618)이 며, 주전극의 외경 90㎜, 상대전극의 내경 45㎜의 동심원 전극으로 한다.
[대전방지제(P)]
상술의 대전방지성(표면 비저항값)을 발현시키기 위해서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층(C)에 첨가하는 대전방지제(P)로서는, 금속분, 산화주석-안티몬계 도전제, 대전방지성을 갖는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사용하는 대전방지제에는 위에 서술한 광안정제의 선택시에 필요로 되는 요구 사항과 같은 요청으로부터, 내열성이 있고, 착색이 적으며 수지 및 필름의 반사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지 않는 것의 선택이 바람직하다. 앞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대전방지제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술폰산염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이나 카르복실산염기 등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폴리 양이온 폴리머(P-1), 및 도전성 고분자 폴리머(P-2)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방지제의 첨가량은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층(C)의 총 중량에 대하여 폴리 양이온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대전방지제(P-1)의 경우, 10∼6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15∼50질량부이다. 이 비율이 10질량부 미만에서는 대전방지성이 낮아지고, 60질량부 이상이면 대전방지제를 갖는 층(C)이 불안정화되어 응집, 균열 등이 발생하고, 필름이 백탁·대전방지성이 저하하고, 내열성도 저하하기 쉬워진다.
도전성 고분자 폴리머(P-2)의 경우, 그 첨가량은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층(C)의 총 중량에 대한 비율로 5∼4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질량부이다. 5질량부 이하이면 대전방지성이 낮아지고, 한편, 40질량부 이상이면 대전방지제를 갖는 층(C)이 불안정화되어 응집, 균열 등이 발생하고, 필름이 백탁 ·대전방지성이 저하하고, 내열성도 저하하기 쉬워진다. 한편으로, 이하에 폴리 양이온 폴리머(P-1), 및 도전성 고분자 폴리머(P-2)의 상세를 기재한다.
[폴리 양이온 폴리머(P-1)]
본 발명에 있어서의 대전방지제로서 선택할 수 있는 폴리 양이온 폴리머(P-1)는, 내열성이 있고, 착색이 적으며 수지 및 필름의 반사 특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요청으로부터 폴리에틸렌술폰산염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이나 카르복실산염기 등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술폰산염기의 양이온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술포테레프탈산, 5-술포이소프탈산, 4-술포이소프탈산, 4-술포나프탈렌-2,7-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르복실산염기의 양이온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멜리트산, 무수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무수 피로멜리트산, 4-메틸 시클로헥센-1,2,3-트리카르복실산, 트리메신산,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5-(2,5-디옥소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3-시클로헥센-1,2-디카르복실산, 시클로펜탄테트라카르복실산, 2,3,6,7-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산, 1,2,5,6-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산, 에틸렌글리콜비스트리멜리테이트, 2,2',3,3'-디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티오펜-2,3,4,5-테트라카르복실산, 에틸렌테트라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것들의 술폰산 및 카르복실산 중에서도, 내열성 및 후술하는 폴리에스테르층(A) 또는 폴리에스테르층(B)과의 밀착성이 우수한, 술포 테레프탈산, 5-술포이소프탈산, 4-술포이소프탈산의 적용이 가장 바람직하다.
술폰산염기, 카르복실산염기의 음이온 성분으로서는 암모늄 이온, 칼륨 이온, 나트륨 이온, 리튬 이온 등을 들 수 있지만, 대전방지성이나 조막성의 점에서 암모늄 이온, 리튬 이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 양이온 폴리머로서는, 하기 식(Ⅰ)로 나타내어지는 구조를 주된 반복 단위로 하는 폴리머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8081622999-pct00001
(단, 식 중의 R1, R2는 각각 H 또는 CH3, R3은 탄소수가 2∼10의 알킬렌기, R4, R5는 각각 탄소수가 1∼5의 포화탄화수소기, R6은 탄소수가 2∼10의 알킬렌기, p는 1∼20의 수, q는 1∼40의 수, Y-는 할로겐 이온, 모노 혹은 폴리할로겐화알킬 이온, 니트레이트 이온, 설페이트 이온, 알킬설페이트 이온, 술포네이트 이온 또는 알킬술포네이트 이온이다.) 상기 식(Ⅰ)의 대전방지제 중, 식(Ⅰ) 중의 Y-가 R7SO3 -로 나타내어지는 알킬술포네이트 이온(단, R7은 탄소수가 1∼5의 포화탄화수소기)이며, -(OR3)m-의 R3이 에틸렌기이며, p가 1∼20의 수, -(R6O)n-의 R6이 에틸렌기이며, q가 1∼40의 수인 것은, 도막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접착성, 도막의 내열성이 양호하고, 특히 제전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이 폴리 양이온 폴리머(P-1)는, 예를 들면 하기의 방법으로 바람직하게 제조할 수 있다. 즉, 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를, 유화중합에 의해 중량 평균 분자량2000∼100000의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로 하고, 이어서 N,N-디알킬아미노알킬아민(예를 들면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N,N-디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 등)과 반응시켜서 아미드화하고, 마지막에 4급 히드록시알킬화 반응을 행하게 해서 4급 양이온 쌍을 도입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폴리 양이온 폴리머(P-1)는, 상기 식(Ⅰ) 중의 Y-가, CH3SO3 -, C2H5SO3 -, 또는 C3H7SO3 -이며, -(OR3)p-가 -(OC2H4)p-이며, 또한 p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6O)q-가 -(C2H4O)q-이며, 또한 q가 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 양이온 폴리머(P-1)로서는, 하기 식(Ⅱ), (Ⅲ)으로 나타내어지는 폴리머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Figure 112008081622999-pct00002
상기 R11, R12는 각각 탄소수 1∼10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이다. 이들 중에서 탄소수 1∼6의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81622999-pct00003
상기의 R13∼R16은 각각 탄소수 1∼10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등이고, R17, R18은 각각 탄소수 2∼10의 알킬렌기, 시클로알킬렌기, 아릴렌기, 아랄킬렌기, 헤테로 원자(O, N 등) 함유의 2가의 지방족기이다. 이 지방족기로서 는, -CH(OH)CH2-, -CH2CH(OH)CH2-, -CH2CH2CH2NHCOCH2CH2CH2-가 예시된다.
이들은 호모폴리머로도, 다른 불포화 모노머와 공중합으로 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불포화 모노머와 공중합해서 사용할 경우, 상기 반복 단위는 50몰%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50몰% 미만에서는 대전방지성이 부족된다. 다른 불포화 모노머로서는,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부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부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크로톤산 메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티롤아크릴아미드, 에틸렌, 스티렌, 아세트산 비닐, 아크릴니트릴, 메타크릴니트릴,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디비닐벤젠,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말산을 들 수 있다.
[도전성 고분자 폴리머(P-2)]
본 발명에 있어서 선택할 수 있는 도전성 고분자 폴리머(P-2)로서는, 티오펜 및/또는 티오펜 유도체를 중합해서 얻어지는 대전방지성 중합체, 피롤 및/또는 피롤 유도체를 중합해서 얻어지는 대전방지성 중합체를 들 수 있다.
티오펜 및/또는 티오펜 유도체를 중합해서 얻어지는 대전방지성 중합체는, 하기 식(Ⅰ), 및/또는 식(Ⅱ)로 나타내어지는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독 중합체또는 공중합체이며, 이밖의 중합 단위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소량 함유하는 공중합체이어도 된다.
Figure 112008081622999-pct00004
Figure 112008081622999-pct00005
상기 식(Ⅰ)에서 R1, R2는 각각 수소원소(-H), 탄소수 1∼2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지환족 탄화수소기 혹은 방향족 탄화수소기, 수산기(-OH),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기(-R3OH: R3은 탄소수 1∼20의 2가의 탄화수소기(예를 들면, 알킬렌기, 아릴렌기, 시클로알킬렌기, 알킬렌·아릴렌기 등)), 알콕시기(-OR4: R4는 탄소수 1∼20의 탄화수소기), 말단에 알콕시기를 갖는 기(-R3OR5: R5는 탄소수 1∼4의 알킬기), 카르복실기(-COOH), 카르복실염기(-COOM: M은 알칼리 금속원소, 제4급 아민 또는 테트라포스포늄), 말단에 카르복실기를 갖는 기(-R3COOH), 말단에 카르복실염기 를 갖는 기(-R3COOM), 에스테르기(-COOR5), 말단의 에스테르기를 갖는 기(-R3COOR5), 술폰산기(-SO3H), 술폰산염기(-SO3M), 말단의 술폰산염기를 갖는 기(-R3SO3M), 술포닐기(-SO2R4), 말단에 술포닐기를 갖는 기(-R3SO2R4), 술페닐기(-S(=O)R4), 말단에 술페닐기를 갖는 기(-R3S(=O)R4), 아실기(-C(=O)R6: R6은 탄소수 1∼10의 탄화수소기), 말단에 아실기를 갖는 기(-R3C(=O)R6), 아미노기(-NH2), 말단의 아미노기를 갖는 기(-R3NH2), 아미노기의 수소원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치환된 기(-NR7R8: R7은 수소원소, 탄소수 1∼3의 알킬기, -CH2OH 또는 -CH2OR6, R8은 탄소수 1∼3의 알킬기, -CH2OH 또는 -CH2OR6), 아미노기의 수소원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치환된 기를 말단에 갖는 기(-R3NR7R8), 카르바모일기(-CONH2), 말단에 카르바모일기를 갖는 기(-R3CONH2 또는 R3NHCONH2), 카르바모일기의 수소원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치환된 기(-CONR7R8), 카르바모일기의 수소원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치환된 기를 말단에 갖는 기(-R3CONR7R8), 할로겐기(-F, -Cl, -Br, -I), R4의 수소원소의 일부가 할로겐 원소로 치환된 기, -[NR1R2R9+][X-]로 나타내어지는 기(R9는 수소원소 또는 탄소수 1∼20 의 탄화수소기, X-는 F-, Cl-, Br-, I-, R1OSO3 -, R1SO3 -, NO3 - 또는 R1COO-로 나타내어지는 이온), 인산염기(-P(-O)(OM)2), 말단에 인산염기를 갖는 기(-R3P(=O)(OM)2), 옥시란기, 또는 말단에 옥시란기를 갖는 기이다.
또한, 티오펜 및/또는 티오펜 유도체를 중합해서 얻어지는 대전방지성 중합체에는 대전방지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도핑제를, 예를 들면 대전방지성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500중량부 배합할 수 있다. 이 도핑제로서는, LiCl, R10COOLi(R10: 탄소수 1∼30의 포화탄화수소기), R10SO3Li, R10COONa, R10SO3Na, R10COOK, R10SO3K, 테트라에틸암모늄, I2, BF3Na, BF4Na, HClO4, CF3SO3H, FeCl3, 테트라시아노퀴놀린(TCNQ), Na2B10Cl10, 프탈로시아닌, 포르피린, 글루타민 Ⅲ, 알킬술폰산염, 폴리스티렌술폰산, 폴리스티렌설폰산 Na(K, Li)염, 스티렌·스티렌술폰산 Na(K, Li)염 공중합체, 스티렌술폰산 음이온, 스티렌술폰산·스티렌술폰산 음이온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식(Ⅱ)로 나타내어지는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며, 도핑제로서 폴리스티렌술폰산을 조합시킨 것(하기 식(Ⅳ))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8081622999-pct00006
피롤 및/또는 피롤 유도체를 중합해서 얻어지는 대전방지성 중합체는, 예를 들면 하기 구조식으로 나타내어지는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며, 이 밖에 중합 단위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소량 함유하는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Figure 112008081622999-pct00007
여기에서, R1은 수소 또는 알킬기이며, R2∼R3은 각각 수소, 알킬기, 카르복실산(염)기 혹은 술폰산(염)기 함유기, 할로겐 함유기, 에스테르기 또는 에테르기이다.
대전방지성 중합체는 이들의 피롤, 피롤 유도체를 공지의 방법(예를 들면 산화 중합법, 전해 중합법 등)으로 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 피롤, 피롤 유도체로서는, R1∼R3이 수소인 피롤, R1, R3이 수소이고, R2가 알킬기인 피롤 유도체, R1이 수소이고, R2 및 R3이 알킬기인 피롤 유도체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이 피롤 유도체로서는 피롤, N-알킬피롤과 같이 N-치환 피롤, 3위치 또는 3, 4위치에 C1∼C6의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기를 갖는 3-알킬피롤, 3,4-디알킬피롤, 3-알콕시피롤, 3,4-디알콕시피롤, 3-클로로피롤, 3,4-디클로로피롤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비히클재(Q)]
또한 대전방지제를 갖는 층(C)의 비히클재로서는, 폴리에스테르층(A) 또는 폴리에스테르층(B)과의 계면 밀착성을 가지는 성분을 선택함으로써 조막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성분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요소 수지 및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지만,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공중합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산 성분으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 헥산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신산, 페닐인단디카르복실산, 다이머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성분은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성분과 함께 말레산, 푸말산, 이타콘산 등의 불포화 다염기산이나 p-히드록시벤조산, p-(β-히드록시에톡시)벤조산 등의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을 소비율 사용할 수 있다. 불포화 다염기산 성분이나 히드록시카르복실산 성분의 비율은 기껏 10몰%, 바람직하게는 5몰% 이하이다. 또한, 폴리올 성분으로서는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6-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크실릴렌글리콜, 디메티롤프로피온산, 글리세린, 트리메티롤프로판, 폴리(에틸렌 옥시)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옥시)글리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이소프탈산 및 디에틸렌글리콜을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선택함으로써 계면의 밀착성이 최적화되고, 또한 내용제성을 갖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제막시의 필름의 회수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 성분으로서의 이소프탈산 양은 65∼95몰%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95몰%이다. 또한 상기 중합 성분으로서의 디에틸렌글리콜 양은 50∼95몰%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90몰%이다. 그 밖의 공중합 성분으로서 공지의 디카르복실산 및 디올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바람직한 유리전이점의 범위는 0∼6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45℃이다.
한편, 공중합 아크릴 수지의 구성 성분으로서는 아크릴산,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소다, 아크릴산 암모늄,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부틸, 메타크릴산 소다, 메타크릴산 암모늄,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메타크릴레이트, 비닐술폰산 나트륨, 메타크릴술폰산 나트륨, 스티렌술폰산 나트륨,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티롤메타크릴아미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의 모노머는, 예를 들면 스티렌, 아세트산 비닐,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디비닐벤젠 등의 다른 불포화 단량체와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로서 변성 아크릴 공중합체, 예를 들면 상기 아크릴 공중합체를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실리콘, 에폭시, 페놀 수지 등으로 변성한 블록 중합체, 또는 그래프트 중합체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비히클재의 함유량은 대전방지제를 갖는 층(C)을 형성하는 수지의 총량에 대하여 60∼95질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내용제성이나 폴리에스테르층(A)이나 폴리에스테르층(B)과의 계면 밀착성이 떨어질 경우가 있고, 지나치게 많으면 대전방지성이 떨어질 경우가 있다.
[계면활성제(R)]
본 발명에 있어서의 대전방지성 도막에는, 도막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접착성을 강고한 것으로 하고, 대전방지성 적층 필름의 내블록킹성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계면활성제(R)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계면활성제(R)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렌옥사이드 단독 중합체, 알킬렌옥사이드 공중합체, 지방족 알코올·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장쇄 지방족 치환 페놀·알킬렌옥사이드 부가중합 물, 다가알코올 지방족 에스테르, 장쇄 지방족 아미드알코올 등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4급 암모늄염을 갖는 화합물, 알킬피리디늄염을 갖는 화합물, 술폰산염을 갖는 화합물 등의 양이온계 또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고, 특히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도막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접착성이나 대전방지성 폴리에스테르필름의 내블록킹성에 대한 효과가 좋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대전방지제를 갖는 층(C)을 형성하는 수지의 총량에 대하여 1∼15질량부, 바람직하게는 3∼10질량부이다. 이 비율이 1질량부 미만에서는 수성 도포액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의 젖음성이 부족될 경우가 있고, 15질량부를 초과하면 도막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의 밀착력이 부족되거나, 내블록킹성이 부족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제막 방법]
다음에 본 발명의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상용의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메틸펜텐을, 저비중화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공중합물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혼합하고, 그것을 충분하게 혼합·건조시켜서 270∼300℃의 온도로 가열된 압출기 A에 공급한다. 광안정제 및, 필요한 경우에는 SiO2 등의 무기물 첨가제를 함유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상법에 의해 압출기 B에 공급하고, T다이 3층 구금 내에서 폴리에스테르층(B)의 폴리머가 양 표층에 오도록 폴리에스테르층(B)/폴리에스테르층(A)/폴리에스테르층(B)의 3층 구성으로 라미네이트해도 좋다.
이 용융된 시트를, 드럼 표면 온도 10∼60℃로 냉각된 드럼 상에서 정전기력으로 밀착 냉각 고화하고, 상기 미연신 필름을 80∼120℃로 가열한 롤군에 안내하여 길이 방향으로 2.0∼5.0배 종연신하고, 20∼50℃의 롤군으로 냉각한다. 계속해서,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층(C)을 형성하는 도포액을 메탈링 바를 사용한 바 코트 방식으로 도포하고, 그 후에, 종연신한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텐터에 안내하여 90∼140℃로 가열된 분위기 중에서 길이에 수직인 방향으로 횡연신한다. 연신 배율은 종, 횡 각각 2.5∼4.5배로 연신하지만, 그 면적 배율(종연신 배율×횡연신 배율)은 9∼16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면적배율이 9배 미만이면 얻어지는 필름의 백색도가 불량으로 되고, 반대로 16배를 넘으면 연신시에 깨짐을 보이기 쉬워져 제막성이 불량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해서 2축 연신된 필름의 평면성,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텐터 내에서 150∼230℃의 열고정을 행하고, 균일하게 서냉한 후, 실온까지 냉각해서 권취하여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다.
이리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적어도 한 면의 표층이 고광택이며 확산반사가 적고, 또한 필름 내부에 미세한 기포가 형성되어 고반사율이 달성되어 있고, 역프리즘 타입의 액정 디스플레이의 반사판으로서 사용되었을 경우에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자외광에 대한 내구성에도 뛰어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구성 은,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층(A) 및 폴리에스테르층(B)을 사용한 적층 구조이며, 상기 층(A)이 상기 미세 기포를 함유한 층인 것이 고반사율과 제막성을 양립시키는데에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 표면이 폴리에스테르층(B)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에 무기입자 및/또는 유기입자를, 폴리에스테르층(B)(무기입자 및/또는 유기입자를 함유시키는 층)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7중량% 이하 함유시킨 층인 것이 경면반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형편이 좋다. 또한 역프리즘 방식에서는 그 구성으로부터 도 1의 반사판(12)이 도광판(13)에 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무기입자가 탈락해서 도광판에 상처를 낸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것을 알고 있다. 입자 첨가량이 0.5중량%를 넘으면 이 입자 탈락에 의한 상처 발생을 일으키기 쉬워지기 때문에 입자 첨가량은 0.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이다.
[물성의 측정 및 효과의 평가 방법]
본 발명의 물성값의 평가 방법 및 효과의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필름 두께(각 층 합계 두께)
필름 샘플을 교정된 디지털 마이크로미터(M-30, 소니 프레시젼 테크놀로지 제)로 10점 두께를 측정하고, 평균치를 필름의 두께로 했다.
(2) 각 층의 두께
필름을 5㎜×1㎝로 샘플링하고, 마이크로톰을 이용하여 빙중에서 단면 방향으로 컷팅했다. 투과형 전자현미경 HU-12형((주)히타치 세이사쿠쇼 제)을 사용하여 컷팅된 샘플의 폴리에스테르층(A), 및 폴리에스테르층(B)의 단면을 관찰하여 250배로 확대한 단면 사진으로부터 적층 두께를 환산해 구했다.
(3) 평균 입자지름
(무기입자)
히타치 세이사쿠쇼 제 S-2100A형 주사형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배율 10000배로, 무기입자에 대해서는 수지(필름)에 첨가하기 전의 입자에 대해서 무작위로 100개의 입자를 선정했다. 100개의 입자에 대해서 입자지름을 측정하고, 입자지름이 최대인 것으로부터 5개 및 최소인 것으로부터 5개를 제외하고, 남는 90개로부터 평균 입자지름을 구하였다(입자가 구상이 아닐 경우에는 가장 형상이 가까운 타원에 근사하고, 그 타원의 (장지름+단지름)/2로 구했다).
(비상용의 수지)
필름 샘플을 사각형으로 잘라내어 포매 캡슐에 고정한 후, 에폭시 수지로 포매한다. 그리고, 포매된 샘플을 마이크로톰(ULTRACUT-S)으로 제막 방향으로 평행한 단면을 50㎚두께의 박막 절편으로 한 후, 히타치 세이사쿠쇼 제 S-2100A형 주사형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배율 10000배로 관찰, 촬영하고, 무작위로 100개의 입자를 선정했다. 100개의 입자에 대해서 입자지름을 측정하고, 입자지름이 최대인 것으로부터 5개 및 최소인 것으로부터 5개를 제외하고, 남는 90개로부터 평균 입자지름을 구하였다(입자가 구상이 아닐 경우에는 가장 형상이 가까운 타원에 근사하고, 그 타원의 (장지름+단지름)/2로 구하였다).
(4) 제막 안정성
안정되게 제막할 수 있는지 하기 기준으로 평가했다.
○ : 1시간 이상 안정되게 제막할 수 있다.
× : 1시간 이내에 파단이 발생하고, 안정된 제막을 할 수 없다.
(5) 도막 밀착성
제막 후의 필름을 0.5m×0.5m의 사이즈로 잘라내고, 도포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도포 누락 특유의 타원형 결점의 개수를 카운트했다.
○ : 결점 개수가 30개 이하
× : 결점 개수가 30개 이상
(6) 반사율
히타치 하이테크놀러지즈 제 분광광도계(U-3310)에 적분구를 부착하고, 표준백색판(산화알루미늄)을 100%로 했을 때의 반사율을 400∼700㎚에 걸쳐 측정한다. 얻어진 차트로부터 5㎚ 간격으로 반사율을 판독하고, 평균치를 계산하여 평균 반사율로 한다.
(7) 표면 비저항(대전방지성)
카와구치 덴키 세이사쿠쇼 제 표면 비저항 측정기(MMAII-17A)를 사용하여, 23℃×50%RH의 분위기 하에서 시료를 1일 방치. 500V의 전압을 인가하여 1분간 방치한 후, 도포면의 표면 비저항을 측정했다. 여기에서 사용한 전극의 형은, 동 회사 제(형번 P-618)이며, 주전극의 외경 90㎜, 상대전극의 내경 45㎜의 동심원 전극이다.
(8) 표면 조도
면평균 조도(Ra) 및 10점 평균 표면 조도(Rz)는 코사카 켄큐쇼 제, 촉침식 표면 조도계(형번:SE-3FA)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조건은 하기와 같으며, 5회의 측정의 평균치를 가지고 값으로 했다.
·촉침 선단 반경 : 0.5㎛
·촉침 하중 : 5㎎
·측정 길이 : 0.8㎜
·컷오프값 : 0.08㎜
(9) 먼지 부착성(애쉬 테스트;ash test)
A4 사이즈로 컷팅된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23℃, 50%RH의 측정 분위기 하에서 24시간 조습했다. 조습한 필름 표면을 마찰포(울 100%)로 10왕복 문질렀다. 이 필름을 즉시 70℃에서 1시간 예비 건조시킨 담뱃재 1.5g을 10㎝×10㎝의 범위에 펼쳐져 있는 책상 위에 서서히 근접시켜 접촉시켰다. 담뱃재의 부착을 육안 판정했다. △ 이상이 합격이다.
○ : 필름을 재에 접촉시켜도 부착되지 않는다.
△ : 필름을 재에 접촉시키면 부착된다.
× : 필름을 재에 가까이 한 것만으로 부착된다.
(10) 색조
스가 시겐키 제 컬러미터 SM-6을 사용하고, C광·2°시야에 있어서의 반사 모드로 Lab 색조를 측정했다.
(11) 자외선 조사시험
이와사키 덴키 제 아이수퍼 UV 테스터(형번:SUV-W131)를 이용하여 샘플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조사 전후의 색조 b값을 측정함으로써 내광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그 조사 UV량은 파장 365㎚에서 100mW/㎠이며, UV 조사 시간은 4시간으로 했다.
(12) 비중
필름을 10㎝×10㎝로 정확하게 샘플링하고, 전자 천칭(Mettler제 AC100)으로 0.1㎎ 단위까지 정확하게 칭량한다. 칭량한 샘플을 꺼낸 후, 정압 두께 측정기를 사용하여 필름의 각 층 합계 두께를 측정하고, 이하의 식에 대입하여 비중을 산출한다.
비중=(칭량값(g))/(각 층 합계 두께(㎛))×100.
(13) 화면의 밝기(휘도)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삼손(주) 제 액정 모니터(750B)의 4등형 백라이트의 반사 필름(12)을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제작한 반사 필름으로 변경하여 측정했다. 휘도 측정은 가정용 전원 100V를 사용하고, ON/OFF 스윗치를 바꿈으로써 전압을 인가. 냉음극관의 밝기가 균일·일정해지는 것을 기다렸다. 그 후에, 휘도계 15(topcon제 BM-7fast)로 측정 거리 500㎜에서 휘도를 측정했다. 측정 회수는 3회로 해서 그 평균값을 취한다. 휘도의 값의 평가에는 도레이 제 반사 필름E6SL(필름 각 층 합계 두께 250㎛)을 100으로 한 상대 평가를 사용했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19]
폴리에스테르층(A)의 원료 폴리머를 이하에 나타내는 원료를, 표 1에 나타내는 배합비로 혼합했다. 압출 온도를 320℃로 설정하고, 270∼300℃로 가열된 압출기 A에 공급함으로써 제작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도레이(주) 제 F20S)
·분자량 4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의 공중합물[도레이 듀퐁(주) 제 "하이트렐(Hytrel)"]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이소프탈산을 10mol%와 폴리에틸렌글리콜을 5mol% 공중합한 공중합물(도레이(주) 제 T794M)
·폴리메틸펜텐(미츠이 카가쿠(주) 제 TPX820)
·표 1기재의 평균 입자지름을 갖는 실리카 입자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Aldrich사 제, d=1.328, m.p.250-290℃)
한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칩에, 이하에 열기하는 광안정제 a∼d의 어느 1종, 평균 입자지름 3.2㎛의 실리카 입자, 평균 입자지름 0.2㎛의 이산화티타늄을 표 2에 나타내는 비율로 혼합한 것을 180℃에서 3시간 진공 건조한 후, 280℃로 가열된 압출기 B에 공급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층(B)의 원료 폴리머를 제작했다.
a: 말론산 에스테르계 광안정제(클라리언트 재팬(주)사 제 "B-CAP")
b: 말론산 에스테르계 광안정제(클라리언트 재팬(주)사 제 "PR-25")
c: 트리아진계 광안정제(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사 제 "CGX006")
d: 벤조페논계 광안정제(아사히 덴카(주) 제 "아데카스타브 LA-51").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층(C)을 형성하는 도포액의 조성은 이하와 같다. 니혼 카바이드(주) 제 도포제 니카졸 RX-7013ED(아크릴산계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멀젼: 표 3에서는 X로 기재) 및 니혼 NSC 제 도포제 버서 YE-910(폴리에스테르술폰산 리튬염계 대전방지제: 표 3에서는 Y로 기재)을 고형분 질량비에 있어서, RX-7013ED와 YE-910을 표 3에 나타내는 비율로 혼합한 것을 물로 희석하고, 고오우 카가쿠 제 계면활성제 RY-2를 총액비 0.1% 첨가함으로써 제작했다. 또한, 도포층(C)은 필름의 한 쪽 표면에 형성하고, 상기 면을 A면이라고 했다.
층 구성 및 층 두께가 표 1과 같이 되도록, 폴리에스테르층(A) 및 폴리에스테르층(B)의 원료 폴리머를 적층 장치를 통해서 적층하고, T다이에 의해 시트상으로 성형했다. 또한 이 필름을 표면온도 25℃의 냉각 드럼에서 냉각 고화한 미연신 필름을 85∼98℃로 가열온도 조정을 한 7개의 롤군에 안내하고, 길이 방향으로 3.4배 종연신하고, 25℃의 롤군에서 냉각했다. 계속해서,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층(C)을 형성하는 도포액을 메탈링 바 사용의 바 코트 방식으로 도포하여 C층을 형성했다. 얻어진 도포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텐터에 안내하여 130℃로 가열된 분위기 중에서 길이에 수직인 방향으로 3.6배 횡연신했다. 그 후 텐터 내에서 190℃의 열고정을 행하고, 균일하게 서냉한 후, 실온까지 냉각해서 귄취 두께 250㎛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반사판 기재로서의 물성은 표 9와 같았다. 어느 것이나 대전방지성은 적어도 한 쪽의 필름 표면에 대해서 양호했다.
또한 광안정제의 종류, 함유량은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한 필름에 함유시킨 실리카, 황산 바륨, 이산화티타늄, 폴리메틸펜텐은 모두 필름 내에 있어 서 미세한 기포를 형성시켰다.
[실시예 20∼52]
표 4, 5에 나타낸 폴리에스테르층(A) 및 폴리에스테르층(B)의 원료를, 각각 280℃로 가열된 2대의 압출기에 공급하고, 층 구성 및 층 두께가 표 4와 같이 되도록 다층 피드 블록 장치를 사용해서 합류시키고, 그 적층 상태를 유지한 채 다이스로부터 시트상으로 성형했다. 또한 이 시트를 표면온도 25℃의 냉각 드럼에서 냉각 고화한 미연신 필름을 90℃로 가열해 길이 방향(세로방향)으로 2.9배 연신하고, 25℃의 롤군에서 냉각했다. 이 1축 연신 필름의 한쪽 면 혹은 양면에, 이하에 나타내는 수성 도포액을 4g/㎡(wet)의 도포량으로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트법으로 도포했다.
여기에서, 표 4, 5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란, 디카르복실산 성분 또는 디올 성분을 표 기재의 공중합 성분을 표 기재의 공중합 양(몰%)으로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를 나타낸다. 또한 표에 있어서 IPA는 이소프탈산(디카르복실산 성분)을, CHDM은 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올 성분)을 나타낸다.
또, 수성 도포액은 산 성분이 테레프탈산[67몰%], 이소프탈산[27몰%] 및 5-Na술포이소프탈산[6몰%],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30몰%], 디에틸렌글리콜[40몰%] 및 네오펜틸글리콜[30몰%]로 이루어지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Tg=51℃)(표 6에서는 q로 기재)를 비히클재(Q)로 하고, 폴리스티렌설폰산 Na(케미스타트 SA-9, 산요카세이 제)(표 6에서는 p-1로 기재), 또는 폴리티오펜 물분산체(바이트론 P, 바이엘사 제)(표 6에서는 p-2로 기재)를 대전방지제(P)로 하며, 폴리옥시에틸렌라 우릴에테르(표 6에서는 r로 기재)를 계면활성제(R)로 해서, 각각의 성분을 표 6에 나타내는 비율로 함유하는 고형분 조성의 10중량% 수성액을 사용했다. 또한, 도포층(C)을 필름의 한쪽 표면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표면을 A면이라고 했다. 그 때, 필름 구성이 A/B의 2층 구성인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층(A)의 표면에 도포층(C)을 형성하고, 상기 표면을 A면이라고 했다. 도포층(C)을 필름의 양 표면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각각 A면, B면이라고 했다.
계속해서, 도포액을 건조한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유지하면서 텐터에 안내하여 120℃로 가열된 분위기 중에서 길이에 수직인 방향(가로방향)으로 3.7의 배율로 연신했다. 그 후 텐터 내에서 210℃에서 열고정을 행하고, 실온까지 냉각시켜 2축 연신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반사판 기재로서의 물성은 표 10과 같았다. 어느 것이나 대전방지성은 적어도 한쪽 필름 표면에 대해서 양호했다.
또한, 광안정제의 종류, 함유량은 표 8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한 필름에 함유시킨 실리카, 황산 바륨, 이산화티타늄, 폴리메틸펜텐은 모두 필름 내에 있어서 미세한 기포를 형성시켰다.
[비교예 1, 2, 3]
표 1∼3 기재의 원료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조건으로 제막했다. 광안정제를 넣고 있지 않기 때문에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되었다.
[비교예 4, 5]
표 1∼3 기재의 원료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조건으로 제막했다. 광안정제를 넣고 있지 않기 때문에 내구성이 떨어지고, 또한, 비상용의 열 가소성 수지의 양이 적기 때문에 반사율이 낮은 것으로 되었다.
[비교예 6]
표 4∼6에 기재된 원료를 이용하여, 실시예 20과 마찬가지의 방법·조건으로 제막했다. 무기입자인 이산화티타늄의 입자지름이 작기 때문에 미세한 기포가 생성되지 않고, 반사율이 낮은 것으로 되었다.
[비교예 7, 8]
표 4∼6에 기재된 원료를 이용하여 실시예 20과 마찬가지의 방법·조건으로 제막했다. 무기입자인 이산화티타늄의 입자지름이 크기 때문에 기포가 큰 것으로 되고, 그 결과, 반사율이 낮은 것으로 되었다.
[비교예 9]
표 4∼6 기재의 원료를 이용하여 실시예 20과 마찬가지의 방법·조건으로 제막했다. 무기입자의 함유량이 적고, 또한 전체 두께가 얇기 때문에 기포가 적고, 그 결과, 반사율이 낮은 것으로 되었다.
[비교예 10]
표 4∼6 기재의 원료를 이용하여 실시예 20과 마찬가지의 방법·조건으로 제막했다. 무기입자의 함유량은 충분하지만, 전체 두께가 얇기 때문에 기포가 적고, 그 결과, 반사율이 낮은 것으로 되었다.
[비교예 11, 12]
표 4∼6 기재의 원료를 이용하여 실시예 20과 마찬가지의 방법·조건으로 제막하였지만, 공중합의 비율이 낮기 때문에 제막 중의 필름 끊김이 다발하여 샘플을 작성할 수 없었다.
[비교예 13]
표 4∼6기재의 원료를 이용하여 실시예 20과 마찬가지의 방법·조건으로 제막했다. 광안정제를 첨가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되었다.
Figure 112008081622999-pct00008
Figure 112008081622999-pct00009
Figure 112008081622999-pct00010
Figure 112008081622999-pct00011
Figure 112008081622999-pct00012
Figure 112008081622999-pct00013
Figure 112008081622999-pct00014
Figure 112008081622999-pct00015
Figure 112008081622999-pct00016
Figure 112008081622999-pct00017
Figure 112008081622999-pct00018
Figure 112008081622999-pct00019
Figure 112008081622999-pct00020
Figure 112008081622999-pct00021
본 발명은 내광성, 및 제진 성능이 요구되는 반사 필름용 기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Claims (17)

  1. 폴리에스테르층(A)의 적어도 한 면에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층(B)이 적층된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층(A)이 미세한 기포를 갖고, 상기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총 중량에 대해 0.02중량%이상 20중량%이하의 광안정제를 함유하고, 상기 광안정제가 산화티타늄이며, 상기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의 평균 반사율이 97%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2.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가 디올과 디카르복실산을 중축합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머이며, 상기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기본구성으로 하고, 또한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당 1몰%이상 15몰%이하의 이소프탈산인 공중합 성분을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고,
    폴리에스테르 필름 표면의 중심면 평균조도(Ra)가 0.1㎛ 이상 및 10점 평균조도(Rz)가 1.0㎛ 이상이고,
    폴리에스테르층(A)의 적어도 한 면에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층(B)이 적층된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폴리에스테르층(A)이 미세한 기포를 갖고, 상기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총 중량에 대해 0.02중량%이상 20중량%이하의 광안정제를 함유하고, 상기 광안정제가 산화티타늄이며, 상기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쪽 표면의 평균 반사율이 97%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층(C)이 도포되고, 상기 층(C)의 표면 비저항값이 1×1013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표면의 중심면 평균조도(Ra)가 0.1㎛ 이상 및 10점 평균조도(Rz)가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이산화티타늄 입자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평균 입자지름이 1.0㎛ 이상인 입자(이하, 대입경 입자)가 함유되고, 그 함유량은 상기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중량% 이상 5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대입경 입자는 실리카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와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함으로써 미세한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와 비상용인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메틸펜텐이며, 상기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서의 평균 입자지름은 대입경 입자의 평균 입자지름 이하이며, 또한 상기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총 중량에 대하여 5중량% 이상 25중량% 이하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비중은 0.5 이상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무기입자를 함유함으로써 미세한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한 기포를 형성하기 위해서 함유되는 무기입자는 황산 바륨이고, 또한 상기 황산 바륨의 평균 입자지름이 0.1㎛ 이상 5.0㎛ 이하이고 대입경 입자의 평균 입자지름 이하이며, 또한 상기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총 중량에 대하여 5∼7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비중은 1.2 이상 1.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그 심층부가 상기 폴리에스테르층(A), 한 쪽 또는 양측의 표층부가 상기 폴리에스테르층(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087028950A 2006-10-27 2007-10-23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186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92295 2006-10-27
JP2006292295 2006-10-27
JPJP-P-2007-048827 2007-02-28
JP2007048827 2007-02-28
PCT/JP2007/070583 WO2008053740A1 (fr) 2006-10-27 2007-10-23 Film de polyester blanc pour réflecteur d'écran à cristaux liqui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054A KR20090073054A (ko) 2009-07-02
KR101186833B1 true KR101186833B1 (ko) 2012-09-28

Family

ID=39344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8950A KR101186833B1 (ko) 2006-10-27 2007-10-23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526477B2 (ko)
KR (1) KR101186833B1 (ko)
CN (1) CN101512394B (ko)
TW (1) TWI460477B (ko)
WO (1) WO20080537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329B1 (ko) 2016-12-26 2017-10-17 모아기술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용 반사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5170B2 (ja) * 2009-03-18 2013-04-17 三菱樹脂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117125B1 (ko) * 2009-08-20 2012-02-2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백색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463724A (zh) * 2010-11-12 2012-05-23 林兴利 双层发泡单轴向拉伸聚合膜结构
CN102167841B (zh) * 2010-12-06 2012-10-03 宁波东旭成化学有限公司 光学反射膜的制备方法
JP5633361B2 (ja) * 2010-12-22 2014-12-03 東レ株式会社 白色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
JP2014514765A (ja) 2011-04-18 2014-06-19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ヴァシティ オブ ミシガン 太陽電池および光検出器の応用のための光トラップ構造
CN102212253B (zh) * 2011-04-28 2012-10-24 广东金榜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抗紫外线pet透明片材及其制备方法
CN102241100A (zh) * 2011-05-11 2011-11-16 武汉金牛经济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反射膜产生微孔和气泡的热压机及方法
JP5416317B2 (ja) * 2011-12-26 2014-02-1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反射板、およびバックライトパネル
JP2015061741A (ja) * 2012-01-17 2015-04-02 三菱樹脂株式会社 反射材
CN103042740B (zh) * 2012-11-29 2015-08-26 合肥乐凯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高挺度高反射率反射膜
CN103029391B (zh) * 2012-12-29 2015-02-25 四川东方绝缘材料股份有限公司 复合双向拉伸光反射聚酯薄膜及其制造方法
CN103048710B (zh) * 2012-12-29 2015-05-20 四川东方绝缘材料股份有限公司 复合流涎法光反射片材及其制造方法
CN103048711B (zh) * 2012-12-29 2015-06-10 四川东材绝缘技术有限公司 复合双向拉伸光反射聚丙烯薄膜及其制造方法
CN103818070B (zh) * 2013-12-13 2017-02-15 合肥乐凯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白色聚酯薄膜及其制备方法
JP6259278B2 (ja) * 2013-12-20 2018-01-10 帝人フィルム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直下型面光源用白色反射フィルム
CN103707588B (zh) * 2013-12-26 2016-01-20 深圳市新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静电薄膜及其制备方法
JP6290721B2 (ja) * 2014-06-16 2018-03-07 帝人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CN106908877B (zh) * 2015-12-30 2019-03-12 宁波长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耐折聚酯反射膜及其制备方法
JP6755967B2 (ja) * 2016-12-27 2020-09-16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シート
KR20230091472A (ko) * 2021-12-16 2023-06-2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30170863A (ko) 2022-06-11 2023-12-19 최지영 코이어 화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8808A (ja) 2000-09-25 2002-04-05 Toray Ind Inc 面光源反射部材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6095944A (ja) 2004-09-30 2006-04-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熱可塑性樹脂発泡体
JP2006284688A (ja) 2005-03-31 2006-10-19 Toray Ind Inc 面光源反射板用白色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219371T3 (de) * 1991-01-22 2003-04-17 Toray Industries Reflektor für flächenartige Lichtquelle
JP2001228313A (ja) * 2000-02-18 2001-08-24 Toray Ind Inc 面光源反射部材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05105903A2 (en) * 2004-05-05 2005-11-10 Garware Polyester Ltd. Low density white polyester film
WO2006043626A1 (ja) * 2004-10-21 2006-04-27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鏡面反射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8808A (ja) 2000-09-25 2002-04-05 Toray Ind Inc 面光源反射部材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6095944A (ja) 2004-09-30 2006-04-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熱可塑性樹脂発泡体
JP2006284688A (ja) 2005-03-31 2006-10-19 Toray Ind Inc 面光源反射板用白色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329B1 (ko) 2016-12-26 2017-10-17 모아기술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용 반사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60477B (zh) 2014-11-11
JP5526477B2 (ja) 2014-06-18
KR20090073054A (ko) 2009-07-02
WO2008053740A1 (fr) 2008-05-08
JPWO2008053740A1 (ja) 2010-02-25
CN101512394B (zh) 2012-10-17
CN101512394A (zh) 2009-08-19
TW200829963A (en) 200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833B1 (ko) 액정 디스플레이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US8197931B2 (en) White polyester film and reflection sheet
KR101485434B1 (ko) 대전 방지성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115083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5082606B2 (ja) 反射シート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20090042016A1 (en) White polyester film
WO2009081492A1 (ja) 反射シート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023471B2 (ja) 光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用バックライト装置
JPH04239540A (ja) 液晶ディスプレイ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KR20060053016A (ko) 면광원 반사부재용 백색필름
KR101816614B1 (ko) 백색 적층 필름의 제조방법 및 백색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9173015A (ja) 空洞含有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298963A (ja) 液晶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
KR20090022940A (ko) 반사판용 백색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2098808A (ja) 面光源反射部材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937847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9237435A (ja) 光反射性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用バックライト装置
JP5353178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および太陽電池用
JP2001228313A (ja) 面光源反射部材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20130222932A1 (en) White laminated polyester film for reflecting sheet
JPH11291432A (ja) 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