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173B1 - 측면 부재들을 갖는 미니-크래들의 중공의 본체 형태의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지지하는 구조물 및 이에 대응하는 자동차 - Google Patents

측면 부재들을 갖는 미니-크래들의 중공의 본체 형태의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지지하는 구조물 및 이에 대응하는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173B1
KR101185173B1 KR1020087003735A KR20087003735A KR101185173B1 KR 101185173 B1 KR101185173 B1 KR 101185173B1 KR 1020087003735 A KR1020087003735 A KR 1020087003735A KR 20087003735 A KR20087003735 A KR 20087003735A KR 101185173 B1 KR101185173 B1 KR 101185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ing
side member
motor vehicle
short subfram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7226A (ko
Inventor
앙또니 까리우
쥘리엥 베르쏭
조엘 뚜페
장 베노
Original Assignee
오토 샤시스 인터내셔날 에스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 샤시스 인터내셔날 에스엔씨 filed Critical 오토 샤시스 인터내셔날 에스엔씨
Publication of KR20080057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4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 B60G2200/142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with a single lateral arm, e.g. MacPherson type
    • B60G2200/1424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with a single lateral arm, e.g. MacPherson type the lateral arm having an L-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60G2204/1222Middle mounts of stabiliser on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5Mounting of sub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1Modular constructions
    • B60G2206/0114Independent suspensions on sub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90Maintenance
    • B60G2206/92Tools or equipment used for 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 단부(front end)의 각 바퀴(wheel)를 위해 서스펜션 암(suspension arm)이 설치되는 짧은 서브프레임(short subframe), 부메랑-형상(boomerang-shaped) 타입이고, 회전 부분(rotating part)의 지지 단부(support end)(E) 라고 불리는 일 단부(one end)는 바퀴와 결합하도록 의도되는 반면, 전방 조인트(front joint)(A)라고 불리는 타 단부(the other end)와, 후방 조인트(rear joint)(B)라고 불리는 상기 암의 상기 중앙 부분(median part)은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1)과 결합하도록 의도되는 상기 서스펜션 암(suspension arm)을 포함하고,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1)은 그 양쪽 측면이 상기 자동차 두 개의 레일들(15)의 상기 전방 쪽으로 연장되고, 각각은 상기 자동차의 측면 부재(side member)(5)와 나사 체결(screwing)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의도되는 자동차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구조물(structure supporting a motor vehicle front end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레일들(15) 각각은 상기 자동차의 상기 길이 방향의 축에 대하여 상기 서스펜션 암(3)의 상기 지점 A 앞에 위치한 영역 내에서 상기 측면 부재(5)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수단(means)을 가지고, 상기 결합 수단(6)은 상기 측면 레일(15)을 상기 측면 부재(5)에 결합하기 위하여 나사 체결 수단(7)의 통과(passage)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중공의 본체(hollow bod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측면 부재들을 갖는 미니-크래들의 중공의 본체 형태의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구조물 및 이에 대응하는 자동차{Structure supporting a motor vehicle front end assembly comprising coupling means in the form of a hollow body of a mini-cradle with side members, and corresponding vehicle}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자동차 산업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자동차(motor vehicles)의 엔진을 지지하는 서브프레임(subframe) 또는 후방 단부(rear ends)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서, 엔진 서브프레임은 프레스 된 금속 박판(pressed sheet metal)으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용접(welding)에 의해 서로 결합된 두 개의 덮개(shell)를 포함한다.
이 서브프레임의 기능들 중 하나는 자동차의 가속 또는 감속 동안 엔진의 토크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견디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종류의 서브프레임은 자동차 본체(body)의 상기 후방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상기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독립되어 있고 충격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것과 접촉하지 않는 충격 흡수부(shock absorber)(2) 또는, "추가재(add-on)"는,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기 연장 부분 내에 위치한다.
이러한 서브프레임은 또한 상기 바퀴(wheel)를 지지하거나 또는 바퀴 지지 수단(wheel support means)(31)을 이동시키는 하부 암들(lower arms)(31)(개략적으로 도시됨), 회전-방지 바(anti-roll bar)(32)와 결합된다. 이러한 엔진 서브프레임은 따라서 상기 본체(body)와 상기 전방 단부(front end)의 상기 조향 부재들(steering members) 사이의 중간(intermediate) 구조물이다.
이러한 타입의 서브프레임은, 상기 펜더(fender) 뒤에 상기 전방 단부 교차-부재(cross member)로 연장되는 풀 서브프레임(full subframe)과는 대조적으로, 대략 상기 바퀴 축의 위치인 그 전방 단부에서 끝나고, 결과적으로 "짧은 서브프레임(short subframe)"으로 알려진다.
그것들은 상기 조향 장치(steering), 상기 회전-방지 바(anti-roll bar), 상기 토크 링크, 및 상기 본체에 대한 최종 결합 이전에 조립되는 상기 위슈 본(wishbone)과 오프라인으로 함께 준비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서브프레임들은 상기 차체 조립 공장에서 조립을 위한 준비를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만들어진 전방 단부 어셈블리는 매우 컴팩트하다.
조작에 있어서, 그것은 상기 서스펜션 암들(suspension arms)(지점 A, B 및 E), 상기 타이 로드들(tie rods), 및 상기 회전-방지 바의 측면 변속기(transmission)와 같은, 주변의 움직일 수 있는 부재(surrounding movable members)들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하여야 한다.
짧은 서브프레임들의 상기 충격 에너지 흡수 기능은 이 부재들 상에 두 개의 중요한 설계상 제약 사항(constraints)을 부과한다.
먼저,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은 전방의 충격에서 상기 변형가능한 전방 구조물로부터 발생하는 힘들을 견뎌야 한다. 이 힘들은 초기에 상기 자동차의 X 방향에서 발생한다. 상기 힘 경로는 따라서 그것의 예정된 충돌을 "흡수(absorb)"하기 위해 설계된 모양과 단면을 필요로 한다.
동시에, 명확하게 정의된 안전 영역에 의해서 지시되는 하중 레벨 이상의 가용성(fusible)이 되도록, 상기 서스펜션 암은 파괴 저항(failure resistance)을 갖도록 요구되어 진다. 결과적으로, 그것은 과도하게 얇은 단면을 가져서는 안 되지만, 그것은 또한 그것의 표면에서, 특히 상기 전방 측면 부재를 갖는 라인에서, 상기 본체 조립 공장에서 상기 본체에 상기 서브프레임을 나사 체결(screw)되기 위한 접근을 위해, 홀(hole)을 통해 형성되는 것도 불가능하다.
상기 프레임은 또한 상기 바닥 아래의 울타리(enclosure) 내에 수용된 탄력 있는(resilient) 블록들에 의해 그것의 후방 부분 내에서 상기 본체에 연결된다.
그 전방 부분에서, 전술한 내용과 제약 사항들의 관점에서, 상기 고정은 상기 서브프레임 상에서 상기 암의 상기 조인트 A의 전방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암은 도 2 및 3에 도시되어 있다.)
나아가, 제조자들의 구체적 사양(specification)은 이러한 고정이 상기 측면 부재 아래에 바로 위치한 여과(filtration) 블록에 의해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상기 전방 고정은 따라서 상기 평행한 평면으로부터 상기 Z 방향으로 상당히 오프셋된다.(지점 A의 상기 영역으로부터 대략 250mm)
이 공간에서, 특히 상기 왼쪽 측면 상에서, 상기 기어박스(4)의 상기 "코형상부(nose)"(41)의 상기 돌출부(protrusion)는, 강도(rigidity)에 대하여 구체적 사양에 따르도록 상기 변속기의 상기 전방 고정을 설계하는 것을 특히 어렵게 한다. 현재의 구체적 사양은 32로 표시되는 상기 지점에서 100 daN/mm의 강도(rigidity) Ky를 필요로 하는 것이 주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강도 값은, 매우 폐쇄된(confined) 공간에서, 매우 "유동적인(floating)", 그러나 상기 구체적 사양들에 맞추기에는 충분히 강한, 상기 블록(33)의 수직 고정부를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도록 한다.
상기 전방 측면 부재들에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다른 위상 기하학(topology)은 종래 기술에 제시되어 있다.
첫 번째 알려진 방법에 따라, 상기 연결은 상기 측면 부재로 상기 서브프레임을 연결하는, 각 단부에 탄력 있는(resilient) 조인트들을 구비하는, 관절로 연결된(articulated) 링크에 의해서 제공된다. 이러한 해법은 르노 메간(Renault Megane)(등록된 상표)에서 사용된다.
수많은 어셈블리 지점들(상부 및 하부)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해법은 상기 어셈블리의 설치를 복잡하게 한다.
나아가, 수직으로 위치하고 각각의 단부에 피봇된(pivoted) 링크는 어떠한 횡방향(transverse) 강도를 나타낼 수 없고, 따라서 상기 전술한 구체적 사양(100 daN/mm)에 맞추지 못한다.
도 2 및 3에 도시되어 있는 다른 해법은 상기 측면 부재(5)와 상기 두 부분들 내의 상기 서브프레임(1)이 덮어지도록 상기 경로를 나누는 것이다. 상기 측면 부재(5)와 용접된, 제1 구조물(331)은 중간 높이로 아래로 연장되는 반면, 다른 구조물(332)은 그것과 만나도록 상기 서브프레임(1)으로부터 올라온다. 이 해법은 미츠비시(Mitsubishi)와 볼보(Volvo)(등록된 상표들)에 의해 사용된다.
상기 두 부재들 사이의 고정은 단단한 연결(나사 체결) 또는 탄력 있는 블록들에 의해 제공된다.
이 경우에도 또한, 어떠한 "아래로 연장되는(downward extending)" 구조물도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연결은 정확한 높이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모든 상기 수직 오프셋은 상기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제공되어야 한다.
프레스에 의하여 만들어지거나 구부러진 관(tubing)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기 하부 부분과 상기 측면 부재에 연결하기 위한 상기 상부 부분 사이에서 Z 방향, 그리고 특히 Y 방향 오프셋되는, "혼(horn)"이라고 불리는, 상기 서브프레임에 용접된 구조물을 사용하는 알려진 방안들이 또한 존재한다. 이 방안은 BMW 미니(BMW Mini)와 포드 피에스타(Ford Fiesta)(등록된 상표들)에 의해 사용된다.
Y 방향으로의 이러한 오프셋은 몇몇 장치들, 특히 단면 X에서 상기 기어박스와 간섭을 일으킬 때,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상기 종래 기술의 결점(drawback)을 극복하는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목적은 측면 부재에 짧은 서브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은 폐쇄된(confined) 공간 내에서 상기 고정에 있어서 높은 정도의 강도를 제공하는 반면, 상기 고정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의도하는 상기 나사 체결 수단(screwing means)의 통과를 허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그것은 이 암들(arms)의 구멍(piercing)을 피하기 때문에, 상기 서스펜션 암들의 상기 강도를 보존하는 종류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고정이 상기 서브프레임을 지지하는 상기 서스펜션 암들의 상기 지점 A의 앞에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종류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고정에 충분한(satisfactory) 횡방향(transverse) 강도를 분배하는 종류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수적으로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과 상기 측면 부재들 사이의 상기 수직 오프셋을 하도록 하는 종류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에 바로 근접하게 위치한 기어박스를 가능하도록 하는 종류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과 상기 측면 부재들 사이에 사용되는 탄력 있는 조인트들을 가능하도록 하는 종류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계가 단순하고 제조가 용이한 종류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 및 결과적으로 명확하게 만들어질 수 있는 다른 목적들은, 전방 단부(front end)의 각 바퀴(wheel)를 위해 서스펜션 암(suspension arm)이 설치되는 짧은 서브프레임(short subframe), 부메랑-형상(boomerang-shaped) 타입이고, 회전 부분(rotating part)의 지지 단부(support end)(E) 라고 불리는 일 단부(one end)는 바퀴와 결합하도록 의도되는 반면, 전방 조인트(front joint)(A)라고 불리는 타 단부(the other end)와, 후방 조인트(rear joint)(B)라고 불리는 상기 암의 상기 중앙 부분(median part)은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1)과 결합하도록 의도되는 상기 서스펜션 암(suspension arm)을 포함하고,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1)은 그 양쪽 측면이 상기 자동차 두 개의 레일들(15)의 상기 전방 쪽으로 연장되고, 각각은 상기 자동차의 측면 부재(side member)(5)와 나사 체결(screwing)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의도되고, 상기 레일들(15) 각각은 상기 자동차의 상기 길이 방향의 축에 대하여 상기 서스펜션 암(3)의 상기 지점 A 앞에 위치한 영역 내에서 상기 측면 부재(5)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수단(means)을 가지고, 상기 결합 수단(6)은 상기 측면 레일(15)을 상기 측면 부재(5)에 결합하기 위하여 나사 체결 수단(7)의 통과(passage)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중공의 본체(hollow bod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구조물(structure supporting a motor vehicle front end assembly)을 제공하는 본 발명에 의해서 수행된다.
이러한 전방 고정 구조물 설계는 상기 자동차의 X 및 Y 방향의 전체적인 치수를 제한하는 반면,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과 상기 측면 부재들 사이의 상기 나사 체결된 연결부에, 상기 나사 체결 수단이 접근하는 것을 허용한다.
나아가, 이러한 고정 방법은 상기 서스펜션 암들의 지점 A의 앞에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고정 수단의 상기 통로(passage)를 위해) 이 암들의 구멍을 피할 수 있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중공의(hollow) 본체 또는 본체들은 상기 측면 부재와 상기 레일 사이의 하나의 조각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 모양(tubular) 부분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의 상기 전체적인 치수들은 상기 관 모양 부분의 상기 바깥쪽 직경 보다 조금 감소된다.
나아가, 이러한 부분은, 자동차 제조업자들에게 공개된 상기 사양들에 따라, 최적의 굽힘 강도가 얻어지도록 보증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레일 또는 레일들은 상기 결합 수단이 삽입되는 하우징(housing)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은 이중 덮개 타입이고, 적어도 상기 상부 덮개는 상기 관 모양 부분 또는 부분들의 통과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갖는다.
이로 인하여 상기 관 모양 부분 또는 부분들과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 사이에 효율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타입의 짧은 서브프레임은 또한, 만약 상기 자동차가 전방의 충격을 받는다면 상기 힘들의 대부분을 흡수하도록 정확하게 설계된다.
유리하게, 상기 서브프레임의 상기 덮개들 각각은 상기 관 모양 부분 또는 부분들의 상기 통과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을 갖는다.
이 경우, 상기 관 모양 부분 또는 부분들은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들 각각에 용접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관 모양 부분 또는 부분들과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 사이의 상기 연결의 품질이 향상된다. 동시에, 이 정렬은 상기 관 모양 부분 또는 부분들의 상기 굽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탄력 있는 조인트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탄력 있는 조인트 또는 조인트들은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수단의 상기 본체 내로 억지 끼워 맞춤 된다(force-fitted).
이것은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과 상기 측면 부재들 사이의 상기 고정의 상기 전체적인 치수들의 증가 없이 상기 탄력 있는 조인트들의 충분한 잠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 모양 부분 또는 부분들은 두 개의 부분들을 가진다. 각각은 다른 하나의 연장 내에 있고, 상기 부분들 중 하나는 다른 부분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억지 끼워 맞춤에 의한 상기 조인트를 받도록 의도된다.
다른 유리한 형상에 따라, 상기 레일들 각각은 주 본체(main body)로부터 상기 측면 부재의 근처에 연장되고, 그것이 상기 측면 부재와 수직 정렬될 때까지 상기 측면 부재 쪽으로 휘어지는 단부(terminal part)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의 상기 구조물 자신은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과 상기 측면 부재들 사이의 오프셋을 보완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고정과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의 상기 구조에 기인하여 충분히 수직으로 연장되는 상기 측면 부재들과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의 결합을 위한 수단의 상기 횡방향 강도가 향상된다.
이 경우, 상기 서스펜션 암의 상기 지점 A는 상기 휘어진 단부에서 상기 소형-부분(mini-bureau)와 유리하게 결합된다.
바람직한 방안으로서,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은 기어박스 코형상부가 통과하도록 하는 오목부(recess)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기어박스와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과 상기 측면 부재들 사이의 상기 고정들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바로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목부는 바람직하게 상기 레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휘어진 단부에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구조물을 구비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은, 전방 단부(front end)의 각 바퀴(wheel)를 위해 서스펜션 암(suspension arm)이 설치되는 짧은 서브프레임(short subframe), 부메랑-형상(boomerang-shaped) 타입이고, 회전 부분(rotating part)의 지지 단부(support end)(E) 라고 불리는 일 단부(one end)는 바퀴와 결합하도록 의도되는 반면, 전방 조인트(front joint)(A)라고 불리는 타 단부(the other end)와, 후방 조인트(rear joint)(B)라고 불리는 상기 암의 상기 중앙 부분(median part)은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1)과 결합하도록 의도되는 상기 서스펜션 암(suspension arm)을 포함하고,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1)은 그 양쪽 측면이 상기 자동차 두 개의 레일들(15)의 상기 전방 쪽으로 연장되고, 각각은 상기 자동차의 측면 부재(side member)(5)와 나사 체결(screwing)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의도되고, 상기 레일들(15) 각각은 상기 자동차의 상기 길이 방향의 축에 대하여 상기 서스펜션 암(3)의 상기 지점 A 앞에 위치한 영역 내에서 상기 측면 부재(5)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수단(means)을 가지고, 상기 결합 수단(6)은 상기 측면 레일(15)을 상기 측면 부재(5)에 결합하기 위하여 나사 체결 수단(7)의 통과(passage)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중공의 본체(hollow bod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구조물을 구비하는 자동차(motor vehicle equipped with a structure supporting a front end assembly)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상들 및 장점들은, 설명에 도움이 되고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되는 기술, 및 첨부되는 도면들에 의하여 더 명확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은 그 직접적인 환경에서 자동차 서브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각각 측면으로부터 그리고 아래로부터의, 짧은 서브프레임의 전방 고정 구조의 개념도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각각 측면으로부터 그리고 아래로부터의, 짧은 서브프레임의 전방 고정 구조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부재들과 짧은 서브프레임의 결합을 위한 수단의 개념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짧은 서브프레임을 통합하는 전방 구조물은 오프-라인에서 준비되도록 의도되고, 상기 어셈블리, 상기 자동차 본체와 결합되기 전, 타이 로드들(tie rods)(11)(도 4에 도시된 상기 링크들의 다른 위치), 회전-방지 바(anti-roll bar)(미도시), 토크 링크들(torque links)(미도시), 및 서스펜션 암들(suspension arms)(또는 위슈 본(wishbone))(3)을 포함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서스펜션 암들은 전통적으로 부메랑 타입이고, 각각의 암은 회전 부분(지점 E)을 지지하는 그 단부들 중 하나를 가지고 바퀴와 결합하도록 의도되고,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1)과 결합하도록 의도되는 전방 조인트(지점 A) 및 후방 조인트(지점 B)를 가지는 것에 또한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다른 부재들의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서스펜션 암들(3)(지점 A, B 및 E), 상기 타이 로드들(11), 상기 측면 변속기들(lateral transmission)(12)(도 4에 도시된 변속기들의 다른 위치) 및 상기 회전-방지 바와 같은, 주위의 이동 가능한 요소들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된다.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1)은 그리고 나서 상기 바닥(14) 아래의 울타리(enclosure)들 내에 수용된 탄력 있는 블록들(13)을 가진 상기 후방 부분 내에 상기 본체와 연결된다.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은 또한 상기 자동차의 상기 측면 부재들(5)과 결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의 상기 주 본체(16)로부터 연장되고 그 내에 하나의 부재로 만들어진 상기 레일들(15) 각각은, 나사 체결 수단(7)의 통과를 허용하는 중공의 본체의 형상으로,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과 상기 측면 부재들과의 결합을 위한 수단(6)을 가진다.
이 나사 체결 수단은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의 상기 고정 수단이 상기 측면 부재에 나사 체결되도록 하고, 이 고정 수단은 아래에서 더 완전하게 기술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 수단은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의 레일과 상기 대응되는 측면 부재(5) 사이에 하나의 부재로 연장된 관 모양(tubular) 부분(6)으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은 기계적으로 용접되는 타입이고, 본 경우에서 폐쇄된 교차 단면을 가지는 중공의 구조물을 함께 형성하는 상부 덮개(17)와 하부 덮개(18)의 어셈블리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의 상기 덮개들(17)(18) 각각은 관 모양 부분(6)의 통과를 위해 각 레일의 각 단부에 홀을 가지고, 따라서 상기 관 모양 부분(6)이 삽입되는 하우징을 형성한다.
상기 관 모양 부분(6)은 상기 덮개들(17)(18) 각각에 용접됨으로써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에 고정된다.
상기 관 모양 부분(6)은 또한, 각각이 다른 하나의 연장 내에 있는 두 개의 부분들(61)(62)을 가진다. 상기 부분(61)은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의 상기 레일 내에 삽입되는 상기 부분(62)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상기 측면 부재의 상기 측면의 내에 위치하도록 의도된다.
상기 더 작은 직경 부분(61)은, 억지 끼워 맞춤 됨으로써(force-fitted), 수직 축을 가지는 탄력 있는 조인트(8)를 수용하도록 의도된다.
조립 동안, 상기 본체 조립 공장 내에서 상기 나사 체결 수단(7)은, 상기 관 모양 부분(6)의 내부를 통해, 상기 측면 부재(5)의 상기 낮은 표면에 상기 탄력 있는 조인트(8)의 상기 내부 링을 고정하는 상기 스크루(81)에 접근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레일들(15)은 상기 대응되는 측면 부재들을 실질적으로 따르면서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의 상기 주 본체(10)로부터 연장되고, 각각의 레일은 상기 측면 부재(5) 쪽으로 휘어지고 상기 측면 부재(5)와의 수직 정렬부에서 실질적으로 종결되는 단부(terminal part)(51)를 가지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서스펜션 암의 상기 지점 A가 상기 레일의 이 단부(terminal part)(151) 내에 결합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더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의 상기 상부 덮개(17)의 상기 프레스 되는 형성은 상기 기어박스(4)의 상기 코형상부(41)가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오목부(recess)(171)를 가진다.
이 오목부는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의 상기 레일들(15) 중 하나의 상기 단부(151) 내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기술 분야에 이용된다.

Claims (14)

  1. 자동차의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상기 구조물은,
    전방 단부(front end)의 각 바퀴(wheel)를 위해 서스펜션 암(suspension arm)이 설치되는 짧은 서브프레임(short subframe), 부메랑-형상(boomerang-shaped) 타입이고, 회전 부분(rotating part)의 지지 단부(support end)(E) 라고 불리는 일 단부(one end)는 바퀴와 결합하도록 의도되는 반면, 전방 조인트(front joint)(A)라고 불리는 타 단부(the other end)와, 후방 조인트(rear joint)(B)라고 불리는 상기 암의 중앙 부분(median part)은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1)과 결합하도록 의도되는 상기 서스펜션 암(suspension arm)을 포함하고,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1)은 그 양쪽 측면이 상기 자동차 두 개의 레일들(15)의 상기 전방 쪽으로 연장되고, 각각은 상기 자동차의 측면 부재(side member)(5)와 나사 체결(screwing)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의도되고,
    상기 레일들(15) 각각은 상기 자동차의 길이 방향의 축에 대하여 상기 서스펜션 암(3)의 상기 전방 조인트 A 앞에 위치한 영역 내에서 상기 측면 부재(5)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수단(means)을 가지고, 상기 결합 수단(6)은 상기 측면 레일(15)을 상기 측면 부재(5)에 결합하기 위하여 나사 체결 수단(7)의 통과(passage)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중공의 본체(hollow bod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구조물(structure supporting a motor vehicle front end assembly).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의 본체 또는 본체들은 상기 측면 부재(5)와 상기 레일(15) 사이에 하나의 부재(one piece)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 모양 부분(tubular part)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또는 레일들(15)은 상기 결합 수단(6)이 삽입되는 하우징(housing)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구조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1)은 이중 덮개 타입(double shell type)이고, 적어도 상부 덮개(upper shell)(17)는 상기 관 모양 부분 또는 부분들의 통과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갖는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1)의 덮개들(17)(18) 각각은 상기 관 모양 부분 또는 부분들의 통과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구조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 모양 부분 또는 부분들은 상기 덮개들(17)(18) 각각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구조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6)은 적어도 하나의 탄력 있는 조인트(resilient joint)(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구조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 있는 조인트 또는 조인트들은 상기 결합 수단(6)의 상기 본체 내에 억지 끼워 맞춤 되는(force-fitt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구조물.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 모양 부분 또는 부분들은 두 개의 부분들(portions)(61)(62)을 가지고, 각각이 다른 하나의 연장 내에 있고, 상기 부분들 중 하나는 나머지 부분(62) 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지고, 억지 끼워 맞춤(force-fitted) 됨으로써 조인트를 수용하도록 의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구조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들(15) 각각은 주 본체(5)로부터 상기 측면 부재의 주변(vicinity) 내에서 연장되고, 상기 측면 부재(5)와 수직 정렬될 때까지 상기 측면 부재(5) 쪽으로 휘어진(curved) 단부(terminal part)(15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구조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암(3)의 상기 전방 조인트 A는 상기 휘어진 단부(151) 내에서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1)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구조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1)은 기어박스(gearbox)(4)의 코형상부(nose)(41)를 통과하도록 하는 오목부(recess)(17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구조물.
  13. 제 10 항에 있어서,
    오목부(171)는 상기 레일들(15)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휘어진 단부(151)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구조물.
  14.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구조물을 구비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은,
    전방 단부(front end)의 각 바퀴(wheel)를 위해 서스펜션 암(suspension arm)이 설치되는 짧은 서브프레임(short subframe), 부메랑-형상(boomerang-shaped) 타입이고, 회전 부분(rotating part)의 지지 단부(support end)(E) 라고 불리는 일 단부(one end)는 바퀴와 결합하도록 의도되는 반면, 전방 조인트(front joint)(A)라고 불리는 타 단부(the other end)와, 후방 조인트(rear joint)(B)라고 불리는 상기 암의 중앙 부분(median part)은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1)과 결합하도록 의도되는 상기 서스펜션 암(suspension arm)을 포함하고, 상기 짧은 서브프레임(1)은 그 양쪽 측면이 상기 자동차 두 개의 레일들(15)의 상기 전방 쪽으로 연장되고, 각각은 상기 자동차의 측면 부재(side member)(5)와 나사 체결(screwing)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의도되고,
    상기 레일들(15) 각각은 상기 자동차의 길이 방향의 축에 대하여 상기 서스펜션 암(3)의 상기 전방 조인트 A 앞에 위치한 영역 내에서 상기 측면 부재(5)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 수단(means)을 가지고, 상기 결합 수단(6)은 상기 측면 레일(15)을 상기 측면 부재(5)에 결합하기 위하여 나사 체결 수단(7)의 통과(passage)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중공의 본체(hollow bod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구조물을 구비하는 자동차(motor vehicle equipped with a structure supporting a front end assembly).
KR1020087003735A 2005-07-18 2006-07-10 측면 부재들을 갖는 미니-크래들의 중공의 본체 형태의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지지하는 구조물 및 이에 대응하는 자동차 KR101185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07623A FR2888557B1 (fr) 2005-07-18 2005-07-18 Structure support d'un train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des moyens d'accouplement sous forme d'un corps creux du mini-berceau aux longerons, et vehicule correspondant
FR0507623 2005-07-18
PCT/FR2006/050692 WO2007010157A2 (fr) 2005-07-18 2006-07-10 Structure support d'un train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des moyens d'accouplement sous forme d'un corps creux d'un mini-berceau aux longerons, et vehicule correspond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226A KR20080057226A (ko) 2008-06-24
KR101185173B1 true KR101185173B1 (ko) 2012-09-24

Family

ID=35985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735A KR101185173B1 (ko) 2005-07-18 2006-07-10 측면 부재들을 갖는 미니-크래들의 중공의 본체 형태의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지지하는 구조물 및 이에 대응하는 자동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832748B2 (ko)
EP (1) EP1907264B1 (ko)
KR (1) KR101185173B1 (ko)
CN (1) CN100586776C (ko)
AT (1) ATE433902T1 (ko)
DE (1) DE602006007358D1 (ko)
FR (1) FR2888557B1 (ko)
RU (1) RU2402449C2 (ko)
WO (1) WO200701015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8629B1 (fr) * 2007-07-09 2009-08-28 Renault Sas Agencement filtrant economique pour la fixation d'un mini berceau
WO2011003388A1 (de) * 2009-07-06 2011-01-13 Ksm Castings Gmbh Achsträger, insbesondere vorderachsträger für kraftfahrzeuge
JP5084883B2 (ja) * 2009-12-28 2012-11-28 株式会社ヨロズ サスペンションのサブフレーム
DE102011115387A1 (de) 2010-11-02 2012-05-03 Ksm Castings Gmbh Achsträger, insbesondere Vorderachsträger für Kraftfahrzeuge
JP5630615B2 (ja) * 2011-03-17 2014-11-26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車体構造
DE102012011797A1 (de) * 2011-07-05 2013-01-10 Ksm Castings Group Gmbh Achsträger
FR2980437A1 (fr) * 2011-09-23 2013-03-2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fixation d'un element tel qu'un berceau avant de vehicule sur la caisse du vehicule
DE102012201818B4 (de) * 2012-02-07 2020-08-2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chsträger eines zweispurigen Kraftfahrzeugs
DE102012204032A1 (de) * 2012-03-14 2013-09-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derradaufhängung an einem zweispurigen Fahrzeug
US8646792B2 (en) * 2012-04-12 2014-02-1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ubframe intrusion control by steering gear catcher
US8585066B2 (en) * 2012-04-12 2013-11-1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Electric vehicle construction methods for frontal impact
US8646790B2 (en) * 2012-04-12 2014-02-1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ub-frame intrusion control by ramping during frontal impact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protection
US8540259B1 (en) * 2012-04-12 2013-09-2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Construction method to control front engine compartment deformation
US8646791B2 (en) * 2012-04-12 2014-02-11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Electric vehicle construction methods for frontal impact utilizing deformation shape control
DE102013106001B4 (de) * 2013-06-10 2017-08-31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Kraftfahrzeugachse mit Hilfsrahmen
JP6136865B2 (ja) * 2013-11-08 2017-05-31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構造
JP5975045B2 (ja) * 2014-01-14 2016-08-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US9493189B2 (en) * 2014-05-03 2016-11-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ubframe for vehicle including lever for detaching subframe from underbody during front impact
RU168040U1 (ru) * 2015-05-05 2017-01-1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ый консультационно-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центр "Пролог" Подрамник передней подвески легкого вне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6043432B (zh) * 2016-07-29 2019-02-12 奇瑞新能源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副车架结构
JP7035860B2 (ja) * 2018-07-04 2022-03-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0774A1 (en) 2000-03-13 2001-09-13 Suzuki Motor Corporation Suspension frame construction
US20010022437A1 (en) 2000-03-17 2001-09-20 Suzuki Motor Corporation Suspension frame construc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0517A (en) * 1979-04-13 1980-12-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wertrain and independent suspension mounting arrangement for front-wheel-drive vehicle
JP3381444B2 (ja) * 1995-03-03 2003-02-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の強度部材構造
WO2005095181A1 (ja) * 2004-03-31 2005-10-13 Honda Motor Co., Ltd. 車体フレーム構造
WO2005095182A1 (ja) * 2004-03-31 2005-10-13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サブフレーム及びブッシュ取付構造
KR100573321B1 (ko) * 2004-06-09 2006-04-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서브 프레임의 마운팅부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0774A1 (en) 2000-03-13 2001-09-13 Suzuki Motor Corporation Suspension frame construction
US20010022437A1 (en) 2000-03-17 2001-09-20 Suzuki Motor Corporation Suspension frame constr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32748B2 (en) 2010-11-16
EP1907264A2 (fr) 2008-04-09
WO2007010157A2 (fr) 2007-01-25
US20080315571A1 (en) 2008-12-25
ATE433902T1 (de) 2009-07-15
RU2402449C2 (ru) 2010-10-27
WO2007010157A3 (fr) 2007-05-18
KR20080057226A (ko) 2008-06-24
CN100586776C (zh) 2010-02-03
DE602006007358D1 (de) 2009-07-30
CN101242986A (zh) 2008-08-13
FR2888557B1 (fr) 2008-01-25
EP1907264B1 (fr) 2009-06-17
FR2888557A1 (fr) 2007-01-19
RU2008105906A (ru) 200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173B1 (ko) 측면 부재들을 갖는 미니-크래들의 중공의 본체 형태의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 전방 단부 어셈블리를지지하는 구조물 및 이에 대응하는 자동차
JP5367151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タワー構造
JP5367152B2 (ja) 車両の前面衝突エネルギー吸収構造
US6511096B1 (en) Subframe for a motor vehicle
JP5057222B2 (ja) 車体前部構造
WO2011101907A1 (ja) バンプストッパ
KR20040053331A (ko) 상용차량을 위한 모듈식 샤시
JP7172875B2 (ja) フレーム車の車体構造
JP2012011874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取り付け構造
CN109229216B (zh) 车辆的后部车体构造
CN114620141A (zh) 车辆的车体
CN108657288B (zh) 车辆的后部车体构造
JP7056117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344336B1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 구조
JP4311219B2 (ja) パワープラントマウント保持構造
JP3698076B2 (ja) 車両のサブフレーム構造
JP4654859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6052136B2 (ja) サブフレーム取付け構造
JP6052122B2 (ja) 車体前部構造
JP5621484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のトレーリングアーム取付構造
WO2016207968A1 (ja) 車体前部構造
JP4405376B2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KR200274548Y1 (ko) 자동차 전륜 현가장치의 로워아암
KR101495429B1 (ko) 자동차의 엔진 크레이들 구조물
JP2002127812A (ja) 車両のヘッドランプ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