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927B1 - 접속 단자 - Google Patents

접속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927B1
KR101175927B1 KR1020057024118A KR20057024118A KR101175927B1 KR 101175927 B1 KR101175927 B1 KR 101175927B1 KR 1020057024118 A KR1020057024118 A KR 1020057024118A KR 20057024118 A KR20057024118 A KR 20057024118A KR 101175927 B1 KR101175927 B1 KR 101175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movable contact
contact member
plate
fre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4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3155A (ko
Inventor
쯔기오 안보
유끼후미 마찌다
끌로드 까쎄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오토모티브 홀딩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오토모티브 홀딩,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오토모티브 홀딩
Publication of KR20060023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35Contact members for non-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different types of contact member, e.g. socket co-operating with either round or flat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판(13), 제1 측판(14), 도시하지 않은 천정판, 제2 측판에 의해 각이진 통 형상의 접속부(11)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촉 부재(20)는 그 기초부(20a)에 의해 바닥판(13)의 후방에 부설되어 그 중간부가 산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정상부가 삽입되는 상대측 삽입 단자에 대한 접점부(20d)로 되고, 접속부(11)의 형성에 앞서 가동 접촉 부재(20)는 바닥판(13) 상으로 되접어져 있다. 바닥판(13)에는 절립부가 마련되어 후방부를 바닥판(13)에 접속한 장방형의 도시하지 않은 보강 부재가 바닥판(13)으로부터 상방에 들어올려지고, 그 전단부는 가동 접촉 부재(20)의 접점부(20d)의 하면에 접하고 있다. 접속부(11)의 입구에는 바닥판(13)의 선단부에 마련된 안내 부재(22)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가동 접촉 부재(20)의 자유 단부(20c)를 덮어 상방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삽입 단자 안내를 하는 역할을 다하고 있다.
바닥판, 천정판, 가동 접촉 부재, 접점부, 자유 단부

Description

접속 단자 {CONNECTION TERMINAL}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조립하여 상대측 삽입 단자와 접속하기 위한 받침용 접속 단자에 관한 것이다.
접속 단자의 접속 단부 내에 탄성을 갖는 가동 접촉 부재를 배치하여 상대측 삽입 단자를 탄성적으로 협착하는 것은 종래부터 실시되어 있다. 최근에는 커넥터의 소형화 및 다극화가 요구됨에 따라 내부에 조립하는 접속 단자도 소형화하고, 받침용 접속 단자에 있어서는 상대측 삽입 단자와의 가동 접촉 부재의 접점부를 가능한 한 전방에 설치하는 동시에 삽입 단자의 삽입력을 작게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이 요망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종래예가 알려져 있다.
(1)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부(1) 내에서 바닥판(2)의 전후로부터 가동 접촉 부재(3)와 보강 부재(4)를 각각 절곡 기립하여 가동 접촉 부재(3)의 접점부(5)에 있어서 포갠다.
(2)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판(6)측에 기초부를 접속한 가동 접촉 부재(3)를 접속부(1) 내에서 자유 단부(7)를 전방을 향해 되접는다.
(3)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판(6)의 전단부에 가동 접촉 부재(3)를 부 착하고, 접속부(1) 내에서 U자 형상으로 되접어 자유 단부(7)를 전방을 향해 바닥판(2)측에 포개고, 가동 접촉 부재(3)의 전단부를 바닥판(2)의 전방에 마련한 안내 부재(8)에 의해 계지한다.
그러나 (1)의 종래예에서는 가동 접촉 부재(3)는 전방이 고정, 후방이 자유 단부가 되기 때문에 큰 단자 삽입력을 필요로 한다.
또한 (2)의 종래예에서는 상대측 삽입 단자의 반력에 의해 가동 접촉 부재(3)가 편평 형상으로 변형되지만, 천정판(6)에 내측으로 팽출하는 세로 길이의 보강용 터브를 설치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3)의 종래예에서는 접점부(5)를 전방에 설치하는 동시에 단자 삽입력을 낮게 할 수 있지만, 가동 접촉 부재(3)가 상방으로부터 굴곡되어 접속부(1) 내를 상하로 횡단하고 있으므로,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접속부(1)의 전후 방향에 광속을 투영하여 광학적으로 형상 이상을 검사하는 화상 검사를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소하여 접점부를 전방에 설치하는 동시에 상대측 삽입 단자의 삽입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접속 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접속 단자는 1장의 도전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 연결되는 제1 측판, 상기 제1 측판에 연결되는 천정판, 상기 천정판에 연결되는 제2 측판에 의해 둘러싸인 각이진 통 형상의 접속부를 형성하고, 상기 바닥판의 측부에 평행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바닥판의 후방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 결합하여 선단부를 자유 단부로 한 가동 접촉 부재를, 상기 접속부 내의 바닥판 상으로 되접어 산 형상의 정상부에 의한 접점부를 설치하고, 후단부를 상기 바닥판에 결합하여 선단부를 자유 단부로 하는 보강 부재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절곡 기립하여 상기 가동 접촉 부재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상기 바닥판의 선단부로 연장한 안내 부재를 상기 가동 접촉 부재의 선단부를 덮도록 되접어 상대측 삽입 단자에 대한 안내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속 단자에 따르면, 가동 접촉 부재를 후방의 기초부로부터 되접어 바닥판 상에 포개고 자유 단부를 전방을 향해 바닥판 상에 배치하는 동시에 가동 접촉 부재를 바닥판으로부터 절곡 기립한 보강 부재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있으므로 상대측 삽입 단자와의 접점부를 전방에 위치할 수 있는 동시에, 상대측 접속 단자의 삽입력을 작게 할 수 있어 안정된 힘에 의해 상대측 삽입 단자를 협착할 수 있다.
도1은 접속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2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3은 접속부의 일부를 절결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4는 조립 전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5는 변형예의 접속부의 일부를 절결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6은 종래예의 단면도이다.
도7은 종래예의 단면도이다.
도8은 종래예의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1 : 접속부
12 : 전선 압착부
13 : 바닥판
14, 16 : 측판
15 : 천정판
20 : 가동 접촉 부재
20a : 기초부
20b : 후단부
20c : 자유 단부
20d : 접점부
20f : 리브
21 : 보강 부재
22 : 안내 부재
도1은 받침용 접속 단자의 사시도, 도2는 단면 사시도, 도3은 접속부의 일부를 절결한 확대 사시도, 도4는 조립 전의 전개 평면도이다. 이 접속 단자는 1장의 도전 금속판으로부터 빠지고, 또한 절곡되어 형성되고, 개략적으로는 전방의 각이진 통 형상의 접속부(11)와 후방의 전선 압착부(12)로 이루어지고, 전선 압착부 (12)에는 통상과 같이 코어선 압착부(12a)와 피복 압착부(12b)가 각각 단면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4의 전개 평면도에 있어서, 접속부(11)는 바닥판(13), 그 한 쪽에 제1 측판(14), 천정판(15), 제2 측판(16), 스태빌라이저부(17)가 차례로 연속 접속되어 있다. 바닥판(13), 제1 측판(14), 천정판(15), 제2 측판(16)에 의해 각이진 통이 형성되고, 천정판(15)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을 향하는 오목부(18)가 형성되고, 또한 천정판(15)의 후방부에는 하우징에 설치한 계지 랜스를 계지하기 위한 계지부(19)가 내측에 절곡되어 있다. 제2 측판(16)의 측부에 부설된 스태빌라이저부(17)는 절곡시에 단면 반원호 형상으로 카르되고, 바닥판(13)의 제2 측판(16)측에 있어서 바닥판(13)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바닥판(13)의 다른 쪽의 측방에는 바닥판(13)과 평행하게 가동 접촉 부재(20)가 배치되고, 이 가동 접촉 부재(20)는 그 기초부(20a)에 의해 접속부(11)에 있어서의 바닥판(13)의 후방에 부설되어 있다. 가동 접촉 부재(20)는 접속부(11)의 형성에 앞서 바닥판(13) 상에 기초부(20a)에 있어서 되접어져 있고, 기초부(20a)에 부설한 후단부(20b)와 선단부의 자유 단부(20c) 사이가 상방에 산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비교적 전방에 설치된 정상부가 삽입되는 상대측 삽입 단자에 대한 접점부(20d)로 되어 있다.
또한, 가동 접촉 부재(20)의 접점부(20d)의 양측에는 블레이드부(20e)가 돌출되고, 양측의 제1 측판(14), 제2 측판(16)에 마련된 구멍부(14a, 16a) 내에 접속부(11)의 형성시에 각각 요동적으로 끼워 맞추어져 있다.
바닥판(13)에는 절립부가 마련되고, 후방부를 바닥판(13)에 접속한 장방형 형상의 보강 부재(21)가 바닥판(13)으로부터 비스듬히 전방을 향해 들어 올려지고, 그 전단부(21a)는 가동 접촉 부재(20)의 접점부(20d)의 하면에 접하고 있다.
또 접속부(11)의 입구에는 바닥판(13)의 선단부로부터 연장된 안내 부재(22)가 내측에 절곡되어 가동 접촉 부재(20)의 자유 단부(20c)를 덮고, 그 상측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대측 삽입 단자를 안내하는 역할을 다하고 있다. 또한, 접속부(11)는 스태빌라이저부(17) 혹은 다른 부재에 의해 각이진 통이 보유 지지되도록 계지되어 있다.
또한, 코어선 압착부(12a)의 전방의 양측에는 판체부(23)가 입상되어 있어 코어선 압착부(12a)의 정상부와 판체부(23)의 정상부는 거의 직선적으로 연결되고, 이에 의해 코어선 압착부(12a)의 전방부를 기계적으로 보강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가동 접촉 부재(20)의 접점부(20d)를 접속부(11) 내의 비교적 전방에 위치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가동 접촉 부재(20)는 전방을 자유 단부(20c)로 함으로써 탄성력은 비교적 작고, 상대측 삽입 단자의 삽입력도 작게 하여 완료한다.
가동 접촉 부재(20)의 자유 단부(20c)는 블레이드부(20e)를 통하여 구멍부(14a, 16a)에 의해 그 상하 위치가 규제되고, 또한 안내 부재(22)에 의해 자유 단부(20c)가 하방으로 눌려져 있기 때문에, 자유 단부(20c)가 극단적으로 상하로 이동하여 상대측 삽입 단자의 삽입의 지장이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대측 삽입 단자가 접속부(11) 내에 삽입되면, 가동 접촉 부재(20)는 편평하게 근접하도록 탄성 변형을 일으키지만 하방으로부터 보강 부재(21)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과대한 변형이 규제되고, 상대측 삽입 단자에 대해 접점부(20d)에 의해 소정의 압박력을 가할 수 있다.
도5는 변형예를 나타내고, 바닥판(13) 상에 포갠 가동 접촉 부재(20)의 후단부(20b)에 바닥판(13)과 함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리브(20f)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리브(20f)를 형성함으로써 가동 접촉 부재(20)의 후단부(20b)는 바닥판(13)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리브(20f)의 형성을 대신하여 후단부(20b)를 바닥판(13)에 용착해도 좋다.

Claims (5)

1장의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접속 단자이며,
전방부에, 바닥판(13), 상기 바닥판(13)의 측방에 연결되는 제1 측판(14), 상기 제1 측판의 측방에 연결되는 천장판(15) 및 상기 천장판(15)의 측방에 연결되는 제2 측판(16)을 포함하는 각이진 통 형상의 접속부(11)를 포함하고, 후방부에, 전선 압착부(12)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13)의 측방과 평행하게 연장하여 후방부에서 상기 바닥판(13)과 결합되고 전방부에 자유 단부를 가지는 스트립(strip)형 부재를 접음으로써 가동 접촉 부재(20)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3)에 연결되는 후방 단부와 자유 단부를 가지는 보강 부재(21)는 상기 바닥판의 일부분을 절결하여 절립부를 마련하고 상기 절립부를 안쪽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가동 접촉 부재(20)는 상기 바닥판(13)과의 선을 따라 상기 바닥판(13)에 대해 되접혀, 상기 가동 접촉 부재(20)의 종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20f)가 상기 가동 접촉 부재(20)의 후방부와 상기 바닥판(13)의 대응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가동 접촉 부재(20)의 후방부가 상기 접속부(11) 내부의 상기 바닥판(13)에 걸쳐 상기 바닥판(13)에 고정되고, 상기 스트립형 부재가 산 형상으로 추가 절곡되어 산의 정상부(20d)가 접점부(11)를 형성하고, 상기 가동 접촉 부재(20)의 전방 단부가 상기 바닥판(13)의 전방부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13)의 전방부를 안쪽으로 접음으로써 형성되는 안내 부재(22)에 의해 상기 접속부(11) 내부로 압박되고, 상기 보강 부재(21)의 자유 단부가 상기 가동 접촉 부재(20)를 지지하는, 접속 단자.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21)의 상기 자유 단부는 상기 가동 접촉 부재(20)의 상기 접점부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접속 단자.
삭제
삭제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 부재(20)의 양측에 날개부(20e)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20e)는 상기 제1 및 제2 측판(14, 16) 상에 형성된 구멍부(14a, 16a)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접속 단자.
KR1020057024118A 2003-06-18 2005-12-16 접속 단자 KR1011759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73928 2003-06-18
JP2003173928 2003-06-18
PCT/JP2004/008536 WO2004114468A1 (ja) 2003-06-18 2004-06-17 接続端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155A KR20060023155A (ko) 2006-03-13
KR101175927B1 true KR101175927B1 (ko) 2012-08-22

Family

ID=33534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4118A KR101175927B1 (ko) 2003-06-18 2005-12-16 접속 단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553203B2 (ko)
EP (2) EP2479848A1 (ko)
JP (2) JPWO2004114468A1 (ko)
KR (1) KR101175927B1 (ko)
CN (1) CN1806370B (ko)
BR (1) BRPI0411373A (ko)
WO (1) WO20041144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5223B2 (ja) * 2003-06-18 2010-09-29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接続端子
JP2008066156A (ja) * 2006-09-08 2008-03-21 Union Machinery Co Ltd 圧着端子
JP4908155B2 (ja) * 2006-11-09 2012-04-04 矢崎総業株式会社 雌端子
JP4098821B1 (ja) * 2007-06-07 2008-06-11 株式会社アキタファインブランキング Vgsタイプターボチャージャにおける可変機構並びにこれを組み込んだ排気ガイドアッセンブリ
US7985104B2 (en) * 2007-07-05 2011-07-26 Hirschmann Automotive Gmbh Shield sleeve for a plug connector
JP5213561B2 (ja) * 2008-07-17 2013-06-19 矢崎総業株式会社 雌端子金具における接触部過大変位防止構造
US8323061B2 (en) * 2009-01-20 2012-12-04 Molex Incorporated Miniature receptacle terminals
EP2434549A4 (en) * 2009-05-20 2014-07-09 Yukita Electric Wire Co Ltd TERMINAL CONNECTION,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AND TERMINAL BOX
US8911253B2 (en) 2011-06-13 2014-12-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eceptacle contact
JP5723694B2 (ja) * 2011-06-21 2015-05-27 矢崎総業株式会社 雌端子
JP5872803B2 (ja) * 2011-06-24 2016-03-01 矢崎総業株式会社 雌型端子金具の製造方法
CN105322323B (zh) * 2014-06-30 2017-11-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Sim卡座端子及其应用的卡座
CN106450874B (zh) * 2016-09-13 2018-07-10 东莞市商通五金电子有限公司 大电流防摆动的插簧端子
JP6784650B2 (ja) * 2017-07-24 2020-11-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接触片を有する端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US10150151B1 (en) 2017-08-22 2018-12-11 Michael Boyd Metal tab bending tool and method for securing an upright stud in place and relative to an elongated track
JP6979314B2 (ja) * 2017-09-20 2021-12-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9524822A (zh) * 2017-09-20 2019-03-26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导电端子和连接器
CN108616017B (zh) * 2018-03-26 2020-07-24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转接连接器
JP7222694B2 (ja) * 2018-12-21 2023-02-1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ンタクトおよびコネクタ
US11621501B2 (en) * 2020-09-28 2023-04-04 Yazaki Corporation Terminal, wire harness, and electric wire with terminal
JP2022062780A (ja) * 2020-10-09 2022-04-21 I-Pex株式会社 端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6048A (ja) * 1996-10-17 2001-05-08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ハウジング及び電気コンタクト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並びに電気コンタクト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436A (ja) 1986-06-25 1988-01-13 三井建設株式会社 構造物の構築方法
EP0313253A3 (en) * 1987-10-19 1990-05-23 Interlock Corporation Tab receptacle with fixed beam contacts
JPH0735317Y2 (ja) * 1988-01-22 1995-08-09 菱星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用接続端子
JPH0393175A (ja) * 1989-09-05 1991-04-18 Riyousei Denso Kk 接続端子
JP2565067B2 (ja) 1992-12-10 1996-12-18 住友電装株式会社 雌形電気接続子の成形方法
US5281175A (en) * 1993-03-30 1994-01-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Female electrical terminal
DE69424527T2 (de) * 1993-10-01 2000-09-14 Ryosei Electro Circuit Sys Ltd Anschlussklemm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IT1261616B (it) * 1993-10-18 1996-05-23 Framatome Connectors Italia Terminale elettrico femmina
JP3468880B2 (ja) * 1994-10-06 2003-11-17 菱星電装株式会社 接続端子
JPH09232021A (ja) 1996-02-20 1997-09-05 Amp Japan Ltd 雌型電気端子
FR2749442B1 (fr) * 1996-06-03 1998-07-10 Framatome Connectors Int Borne de contact electrique femelle a structure reforcee
JP3473899B2 (ja) * 1999-05-11 2003-12-08 矢崎総業株式会社 雌端子
EP1146597B1 (en) * 2000-01-31 2003-05-21 Tyco Electronics AMP GmbH Contact spring
JP2001250623A (ja) * 2000-03-03 2001-09-1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端子構造
DE10161514B4 (de) 2000-12-18 2007-04-1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Anschlussbuch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6048A (ja) * 1996-10-17 2001-05-08 ザ ウィタカ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ハウジング及び電気コンタクト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並びに電気コンタク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53203B2 (en) 2009-06-30
WO2004114468A1 (ja) 2004-12-29
EP1662617A1 (en) 2006-05-31
KR20060023155A (ko) 2006-03-13
JPWO2004114468A1 (ja) 2006-08-10
JP5107375B2 (ja) 2012-12-26
EP1662617B1 (en) 2013-12-18
BRPI0411373A (pt) 2006-08-01
CN1806370B (zh) 2010-10-13
EP2479848A1 (en) 2012-07-25
EP1662617A4 (en) 2007-12-05
CN1806370A (zh) 2006-07-19
US20070270050A1 (en) 2007-11-22
JP2010118360A (ja)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927B1 (ko) 접속 단자
JP4372138B2 (ja) 電気接点
KR101008302B1 (ko) 편평한 단자용 커넥터
KR101450401B1 (ko) 전기 커넥터
JP4207952B2 (ja) コネクタ
KR101208447B1 (ko) 접속단자
US8475184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10510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50153605A1 (en) Connection terminal
US6711950B1 (en) Liquid level detector
KR101426628B1 (ko) 퓨즈 단자
EP3796480A1 (en) Floating connector
CN107799932B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
EP0795930B1 (en) High contact force pin-receiving electrical contact
EP1014509B1 (en) Conncetor that absorbs alignment error
CN112652902A (zh) 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
US833360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terminal with a connecting section and a held section on two opposite sides of a contact section
KR200467486Y1 (ko) 리셉터클 터미널
JPH09213432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電気コネクタ
KR101062648B1 (ko)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JP3246894B2 (ja) コネクタ
JP6746357B2 (ja) コネクタ端子およびコネクタ
JP2020161265A (ja) コネクタおよび端子
JPH0441587Y2 (ko)
JP2004119396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端子金具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端子金具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