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648B1 -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62648B1 KR101062648B1 KR1020080072816A KR20080072816A KR101062648B1 KR 101062648 B1 KR101062648 B1 KR 101062648B1 KR 1020080072816 A KR1020080072816 A KR 1020080072816A KR 20080072816 A KR20080072816 A KR 20080072816A KR 101062648 B1 KR101062648 B1 KR 1010626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able
- connector
- regulated
- m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케이블이 부주의하게 당겨져도, 충분히 여기에 견딜 수 있는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케이블 (C) 이 결선되는 단자 (20) 가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서 하우징 (11) 내로 전방을 향해 장착되고, 상대 커넥터 (30) 로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끼워 맞춤 방향으로 끼워 맞춰져 단자 (20) 의 접촉부 (25) 가 상대 단자 (40) 와 탄성 접촉하고, 단자 (20) 는 상대 커넥터 (30) 와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 상대 단자 (40) 의 일부를 이루는 규제부 (41) 보다 전방의 위치에, 전후 방향 그리고 끼워 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연장부 (27) 와, 그 연장부 (27) 로부터 그 판 두께 방향으로 굴곡되어 변향(變向)되는 피규제부 (26) 를 가지며, 피규제부 (26) 의 후면에서 형성되는 피규제면 (26A) 과 상대 단자의 규제부 (41) 의 전면에서 형성되는 규제면 (41A) 이 적어도 서로의 일부에서 전후 방향에서 대면하여, 케이블이 후방으로 당겨졌을 때, 피규제면 (26A) 이 규제면 (41A) 과 맞닿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이 결선된 단자를 하우징 내에 장착한 커넥터로서,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에서 상대 커넥터에 끼워 맞춰지는 커넥터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 1 의 커넥터에 장착되는 단자는 금속판을 굴곡시켜 만들어져 있어, 하우징에 대한 장착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랜스라는 소편을 갖고 있다. 이 단자는 하우징의 대응 구멍에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상기 랜스의 단부가 하우징의 걸림 구멍의 내면에 걸려 단자의 위치 고정 그리고 뽑힘이 방지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3150호
그러나, 특허 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랜스에 의한 위치 고정에서는, 강도상의 면에서 개선해야 할 여지가 있다.
랜스는 단자의 일부이기 때문에 금속이지만, 소편으로 만들어져 있어 케이블에 예상하지 않은 인장력이 가해지면, 상기 랜스는 변형 또는 파손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특히, 랜스의 연장 방향은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약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인장력의 방향과는 일치하지 않아 좌곡(座曲)이 발생되기 쉽다.
만일, 랜스의 상기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이 랜스를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으로 하면, 하우징이 랜스로부터 큰 힘을 받게 된다. 하우징은 수지로 만들어져 있어 재료 자체의 강도는 금속의 강도보다 낮기 때문에 손상되기 쉽다. 특히, 랜스는 그 선단에서 하우징에 맞닿기 때문에, 하우징에 대해서는 응력 집중을 초래하여 손상이 현저해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단자가 하우징에 장착된 후, 커넥터의 사용시에 케이블이 부주의하게 당겨져도, 충분히 이것에 견뎌 커넥터의 손상을 수반하지 않고 단자의 위치 고정이 확실히 이루어지는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는 케이블이 결선되는 금속판제의 단자 가 그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서 하우징 내로 전방을 향해 장착되고, 상대 커넥터에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끼워 맞춤 방향으로 끼워 맞춰져 단자의 접촉부가 상대 단자와 탄성 접촉한다.
이러한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단자는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상테에서, 상대 단자의 일부를 이루는 규제부보다 전방의 위치에, 상기 전후 방향 그리고 끼워 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연장부와, 그 연장부로부터 그 판 두께 방향으로 굴곡되어 변향시키는 피규제부를 가지며, 그 피규제부의 후면에서 형성되는 피규제면과 상기 상대 단자의 규제부의 전면에서 형성되는 규제면이 적어도 서로의 일부에서 전후 방향에서 대면하여, 케이블이 후방으로 당겨졌을 때, 상기 피규제면이 상기 규제면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의 커넥터 단자들로 피규제면과 규제면을 형성하고, 양자의 맞닿음이 금속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압이 커져,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케이블이 당겨져도, 단자는 전혀 변형 그리고 손상되지 않는다. 또, 피규제부가 변향 부분에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변향 형상에 의해 피규제부 자체의 강도가 커진다. 또, 이 변향 형상 부분에서 커넥터에 대한 조립 전의 케이블이 접촉부에 들어가 버리는 경우도 없어져 얽힘이 저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규제면은 상대 단자의 판상 규제부의 전단면에 형성된 규제면과 맞닿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피규제면이 상대 커넥터의 판상 규제부의 전단면인 규제면과 맞닿는데, 규제부의 전단면은 판 두께분에서의 맞닿음 면적을 가지고 있을 뿐이기 때문에, 피규제 면은 확실히 이것과 맞닿는다. 그 때, 규제부는 판면을 따른 응력을 받기 때문에 그 강도는 크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연장부와 피규제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피규제면은 그 통형상부의 후단면에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통형상부의 통형상 후단면에서 피규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통형상부 자체의 강도가 향상됨과 함께 규제부와의 맞닿음시의 응력은 측면을 따르게 되어 내력이 커진다. 또, 통형상부의 후단면은 규제부와의 맞닿음 가능역을 크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규제부와의 위치 어긋남에 용이하게 대응함과 함께, 커넥터에 대한 조립 전의 케이블의 얽힘도 저지된다.
피규제면은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판상 규제부의 전단면인 규제면과 교차하여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면, 케이블이 당겨졌을 때에 규제부와 피규제부는 확실히 맞닿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연장부와 피규제부로 커넥터의 끼워 맞춤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으로 개방되는 홈형부를 형성하고, 피규제면은 그 홈형부의 바닥벽 후면에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닥벽 후면에서 맞닿음 가능역을 넓게 확보하여, 홈형부의 양측 벽에서 강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자는 전후 방향에서 접촉부에 대하여 피규제부와 반대측에 그 접촉부에 인접하여 부(副)통형상부를 갖고 있으면, 이 부통형상부에서도 커넥터에 대한 조립 전의 케이블의 얽힘은 더욱 확실히 저지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단자의 변향 부분에 피규제부를 형성하여,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 단자에 압착 결선된 케이블이 부주의하게 당겨졌을 때, 상기 변향 부분에 형성된 피규제부가 상대 단자의 규제부와 맞닿기 때문에, 금속끼리 맞닿게 되어 그 힘에 충분히 견딜 수 있어, 하우징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나아가서는, 피규제부는 변향 부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형상에 기인하여, 그 피규제부 자체의 강도가 커짐과 함께, 규제부와의 맞닿음 가능 범위가 넓어져, 다소 위치 어긋남이 있어도 확실히 맞닿는다. 이것에 추가로, 상기 피규제부가 변향 부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블이 결선된 단자는 커넥터에 대한 장착 전의 상황에서 다수 보관되어 있는 경우, 변향 부분에서 다른 단자와 맞닿아, 홈상을 이루는 접촉부 사이에 다른 단자의 부분 또는 케이블이 들어가기 어려워, 단자끼리 또는 다른 단자의 케이블의 얽힘이 발생하여 이들을 분리시키는 데 시간이 걸리는 등의 문제가 방지된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 는 커넥터 끼워 맞춤 전, (B) 는 끼워 맞춤 후를 나타내고, 도 2 는 양 커넥터의 단자만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 는 커넥터 끼워 맞춤 전, (B) 는 커넥터 끼워 맞춤 후의 위치 관계에 있고, 도 3 은 도 2 의 (B) 에 있어서의 커넥터 단자의 피규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 는 상대 단자 전체와 본 실시형태의 단자의 피규제부의 관계를 나타내고, (B) 는 피규제부만을 나타내며, (C) 는 피규제부의 변 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의 (A) 에 있어서, 부호 10 은 본 실시형태의 케이블용 커넥터이며, 부호 30 은 그 상대방인 회로 기판용 커넥터이다.
커넥터 (10) 는 압착 등에 의해 결선된 케이블 (C) 부착 단자 (20) 가 하우징 (11) 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케이블 부착 단자 (20)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 서로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1 개의 케이블 부착 단자밖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하우징 (11) 은 회로 기판 (도시는 생략) 에 장착된 상대 커넥터 (30) 에 끼워 맞추기 위해서 늘어진 끼워맞춤부 (12) 를 갖고, 상벽부 (11A) 측에 가로 방향으로 관통하는 단자 삽입 구멍 (13)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 삽입 구멍 (13) 은 케이블 부착 단자 (20) 가 케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우측을 향해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삽입 방향 앞쪽인 전방 부분에 단자 (20) 의 접촉부를 주로 수용하기 위한 전방 수용부 (14) 와, 그 후방에서 케이블 (C) 과 압착 결선되어 있는 부분을 위한 후방 수용부 (15)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 수용부 (14) 는 하우징 (11) 의 앞쪽 벽 (11B) 에 개구되어 있는데, 하방에도, 하우징 (11) 의 아래쪽 벽 (17) 에 형성된 개구 (13C) 를 거쳐 상기 끼워 맞춤부 (12) 내의 공간 (12A) 에 개구되어 있다. 이 아래쪽 벽 (17) 에 형성된 다른 개구 (13A) 의 후측 내벽면 (13B) 이 단자 (20) 의 후단면과 맞닿는 걸림면을 형성 하고 있다.
상기 후방 수용부 (15) 에는, 단자 (20) 의 정규 위치까지의 삽입을 확실히 실시하기 위한 이동 부재 (16) 의 진입부 (16A) 가 진입되어 있다. 이 이동 부재 (16) 는 상기 진입부 (16A) 와 상부를 이루는 슬라이드부 (16B) 를 일체로 갖고, 그 슬라이드부 (16B) 가 하우징 (11) 의 상벽 (11A) 의 상면에서 전방으로 안내되어 슬라이드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상기 진입부 (16A) 가 상기 후방 수용부 (15) 에서의 하우징 (11) 의 아래쪽 벽 (17) 의 상면을 따라 소정 위치까지 전진하도록 되어 있다. 소정 전진 위치에서는, 이 진입부 (16A) 의 전단은 상측으로 개구 (13A) 후측의 내벽면 (13B) 의 위치에 이른다. 즉, 후술하는 단자 (20) 의 걸림 레그부 후단면의 위치까지 이른다. 상기 진입부 (16A) 는 전단을 향해 끝이 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하우징 (11) 의 상기 아래쪽 벽 (17) 의 상면에 형성된 테이퍼부 (17A) 로 안내된다. 이 아래쪽 벽 (17) 은 테이퍼부 (17A) 의 바로 좌부가 박육부 (17B) 로 되어 있어, 여기에서 휨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자 (20) 자체는, 케이블이 결선되기 전에는, 도 2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을 굴곡시켜 만들어져 있고, 후방으로부터, 케이블을 피복으로 파지시키는 파지부 (21), 케이블 심선에 압착 결선되는 압착부 (22), 하우징에 대하여 케이블 길이 방향에서 걸리는 걸림 레그부 (23), 하우징 내에서 정규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받는 피지지부 (24), 상대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 (25) 그리고 상대 단자에 의해 상기 길이 방향에서 규제되는 피규제부 (26) 를 순서대로 갖고 있다.
상기 파지부 (21) 는 역 U 자 레그 형상으로 연장되고, 그들 선단부 (하단부) 를 둥글게 코킹함으로써, 도 1 과 같이 케이블 (C) 의 피복부 (C2) 를 파지시킨다. 압착부 (22) 는 상기 파지부 (21) 보다 작지만 마찬가지로 역 U 자 레그 형상으로 연장되고, 그들 선단부를 둥글게 코킹함으로써, 도 1 과 같이 케이블 (C) 의 심선 (C1) 을 압착 결선한다. 걸림 레그부 (23) 는 역 U 자 레그 형상으로 연장되고, 하우징 (11) 의 상기 내벽면 (13B) 에 걸리는 위치까지 이른다. 피지지부 (24) 는 상기 걸림 레그부 (23) 보다 짧은 역 U 자 레그 형상이며 그 선단부가 내측으로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고, 그 선단부의 하면에서 하우징 (11) 의 대응면에서 지지를 받도록 되어 있다. 접촉부 (25) 는 하방을 향해 오므라든 후에 확대되는 대략 역 U 자 레그 형상을 이루고, 그 축소부 (25A) 들 사이에서 상대 단자의 판상 접촉부를 수용하여 협압(挾壓)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접촉부 (25) 의 전방에서 그 접촉부 (25) 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피규제부 (26) 는, 도 3 의 (A) 그리고 도 3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역 U 자 레그 형상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2 개의 연장부 (27) 의 선단측 (하단측) 끼리 내측으로의 굴곡에 의해 변향되어 부딪히는 부분에서 형성되어 있다. 이 부딪힘 부분은 평탄한 단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으로 서로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27) 와 이 피규제부 (26) 는, 전후로 연장되는 사각형의 통형상부 (28) 를 형성하고 있다. 즉, 그 피규제부 (26) 는 이 사각형 통형상부 (28) 의 바닥벽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이 피규제부 (26) 의 후단면이 피규제면 (26A) 을 형성하여, 전후 방향에서 상대 단자의 전단면과 맞닿는 위치 관계에 있다.
이와 같은 단자 (20) 에 케이블 (C) 이 압착 결선되고, 이 단자 (20) 가 하우징의 단자 삽입 구멍 (13) 에 삽입된다. 삽입시, 단자 (20) 의 걸림 레그부 (23) 의 하단측이 하우징 (11) 의 아래쪽 벽 (17) 을 하방으로 눌러 그 아래쪽 벽 (17) 의 박육부 (17B) 에서 휨 변형시켜 그 아래쪽 벽 (17) 을 넘어 전방 수용부 (14) 내로 들어가, 원형으로 복귀된 상기 아래쪽 벽 (17) 의 전단면, 즉, 개구 (13A) 의 내벽면 (13B) 에 상기 걸림 레그부 (23) 의 후단면이 맞닿아 단자 (20) 의 빠짐이 방지된다.
케이블 부착 단자 (20) 가 조립된 상기 커넥터 (10) 가 끼워 맞춤 접속되는 상대 커넥터 (30) 는, 도 1 의 (A) 와 같이, 상방을 향해 개구된 수용 오목부 (32) 가 형성된 하우징 (31) 의 바닥벽 (31A) 에 단자 (40) 가 유지되어 있다. 상기 수용 오목부 (32) 는 커넥터 (10) 를 수용하는 데 적합한 형상의 바닥벽 (31A) 과 둘레벽 (31B)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 둘레벽 (31B) 은 후부측에서, 상기 커넥터 (10) 의 그 이동 부재 (16) 그리고 하우징 밖으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케이블 (C) 의 공간을 위해서 절결되어 있는데, 그 지면에 직각인 방향에서의 양측 부분에 테이퍼 형상의 가압벽 (33) 이 형성되어 있다. 그 가압벽 (33) 은 상기 커넥터 (10) 의 이동 부재 (16) 가 소정의 전진 위치까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채로, 그 커넥터 (10) 가 커넥터 (30) 에 끼워 맞추어졌을 때에, 그 이동 부재 (16) 의 후단면 (16C) 과 간섭하여 그 후단면 (16C) 에 전방에 대한 가압력을 부여하여, 자동적으로 이동 부재 (16) 를 소정의 전진 위치까지 밀어내도록 되어 있다. 이 이동 부재 (16) 의 소정의 전진 위치까지의 이동은, 커넥터 (10) 의 단자 (20) 의 걸림 레그부 (23) 가 전방 수용부 (14) 내로 확실하게 들어가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단자 (40) 는 도 3 의 (A) 에서도 볼 수 있듯이, 금속판을 굴곡시켜 만들어져 있고, 상방으로 연장되는 평판상의 접촉부 (41) 와 그 전방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전방 돌부 (42) 를 가지며, 양자 사이에 오목부 (43) 를 형성하고 있다. 그 오목부 (43) 의 하방에는 전방 기부 (44) 가 형성되고, 그 하단으로부터 직각으로 굴곡된 접속부 (45) 가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전방 기부 (44) 의 후방측에는, 중앙 기부 (46) 그리고 후방 기부 (47) 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 기부 (47) 의 하단으로부터는 직각으로 굴곡된 고정부 (48)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고정부 (48) 와 상기 접속부 (45) 는 상하 방향으로 거의 동일 레벨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전방 기부 (44), 중앙 기부 (46), 그리고 후방 기부 (47) 는 상기 접촉부 (41) 그리고 전방 돌부 (42) 와 동일면을 이루는 평탄한 판상으로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방 기부 (44) 와 중앙 기부 (46) 사이에는, 하방으로 개방된 장착 홈부 (49) 가, 그리고 중앙 기부 (46) 와 후방 기부 (47) 사이에는 하방으로 개방된 장착 홈부 (50)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장착 홈부 (49, 50) 의 내부 가장자리에는 각각 걸림 돌기 (49A, 50A)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단자 (40) 의 전방 돌부 (42), 접촉부 (41) 는 전후 방향에서, 상기 커넥터 (10) 단자 (20) 의 피규제부 (26), 접촉부 (25) 에 각각 대응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단자 (40) 의 접촉부 (41) 의 전단면은 상기 피규제부 (26) 의 후단면인 피규제면 (26A) 과 전후 방향에서 서로 규제하는 규제면 (41A) 을 형성한다. 따라서, 접촉부 (41) 는 전단면에 규제면 (41A) 을 형성하는 규제부이기도 하다.
상기 단자 (40) 는 그 장착 홈부 (49, 50) 에서, 하우징 (31) 의 바닥벽 (31A) 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벽 (31C, 31D) 에 걸어 맞추고, 걸림 돌기 (49A, 50A) 가 걸림벽 (31C, 31D) 에 들어가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 (31) 에 장착된 상기 단자 (40) 의 접속부 (45) 그리고 고정부 (48) 는, 하우징 (31) 의 바닥벽 (31A) 에 형성된 대응 개구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그 바닥벽 (31A) 하면의 레벨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10) 가 상대 커넥터 (30) 에 끼워 맞춤 접속되면, 도 1 의 (B) 와 같이 커넥터 (10) 의 끼워 맞춤부 (12) 가 커넥터 (30) 의 수용 오목부 (32) 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는, 커넥터 (10) 의 단자 (20) 와 커넥터 (30) 의 단자 (40) 는, 접촉부 (25, 41) 끼리가 탄성 접촉하고, 피규제부 (26) 가 오목부 (43) 내에 있어 그 피규제부 (26) 의 후단면인 피규제면 (26A) 과 접촉부 (41) 의 전단면인 규제면 (41A) 이 가까운 위치에서 전후 방향에서 대면한다 (도 2(B) 도 참조). 도 1 의 (B) 에서, 피규제면 (26A) 은 지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고, 규제면 (41A) 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는,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피규제면 (26A) 과 규제면 (41A) 은 교차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따라서, 양 커넥터 (10, 30) 가 끼워 맞춤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커넥터 (10) 의 케이블 (C) 이 부주의하게 후방으로 당겨지면, 커넥터 (10) 는 전후 방향에서의 커넥터 (30) 에 대한 덜컥거림만큼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에 의해, 커넥터 (10) 의 단자 (20) 의 상기 피규제면 (26A) 은 커넥터 (30) 의 단자 (40) 의 상기 규제면 (41A) 과 서로 교차하는 위치 관계에서 맞닿는다. 단자 (40) 는 하우징 (31) 내에서 강고히 유지되어 있고, 이 단자 (40) 의 규제면 (41A) 이 상기 피규제면 (26A) 을 금속 접촉에 의해 규제하기 때문에, 상기 케이블 (C) 은 상당히 큰 힘에 의해 당겨져도, 상기 단자 (20, 40) 끼리는 이탈이나 손상이라는 사태는 되지 않는다. 게다가, 단자 (20, 40) 끼리의 전기적 접촉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10) 의 단자 (20) 의 피규제부 (26) 는 통형상부 (28) 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강도가 높다. 또, 커넥터 (30) 의 단자 (40) 의 규제면 (41A) 을 갖는 접촉부 (41) 에서는, 피규제부 (26) 로부터의 반력을 그 접촉부 (41) 의 판면 방향에서 받기 때문에 강도가 높다. 또, 일반적으로 상기 커넥터 (10) 의 단자 (20) 의 재료도 판 두께가 크다는 것을 고려하여 넣으면, 그 강도는 충분히 확보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규제부 (26) 를 갖는 통형상부 (28) 를 도 3 의 (B) 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그 바닥벽부의 후단면을 피규제면 (26A) 으로 했는데, 도 3 의 (C) 와 같이 피규제부 (26') 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2 개의 연장부 (27') 의 선단측 (하단측) 끼리가 내측으로의 굴곡에 의해 변향되어 상하로 중첩되어 있는 부분에서 형성되고, 상측의 연장부 선단에 돌출부, 하측의 연장부에 개구를 형성하여 양자를 끼워 맞추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피규제부 (26') 를 갖는 통형상부 (28') 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바닥벽부의 후단면 (26'A) 을 피규제면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경 우, 연장부 양자를 끼워 맞춰, 규제면의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강도는 충분히 확보된다. 또, 도 3 의 (D) 와 같이, 피규제부 (26'') 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2 개의 연장부 (27'') 의 후방측끼리가 내측으로의 굴곡에 의해 변향되어, 상하 방향, 즉 커넥터의 끼워 맞춤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으로 개방되는 홈형부 (29) 를 형성하여, 그 바닥벽 후면을 피규제면 (26''A) 으로 해도 된다. 도 3 의 (B), (C) 및 (D) 의 어느 경우에도, 굴곡에 의한 변향 부분에 연결되는 부분에 피규제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는 충분히 확보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통형상부나 홈형부를 형성하여, 그 일부를 피규제부로 하였기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대 단자와의 맞닿음을 확실히 또한 그 강도를 향상시키는데, 이와 함께 케이블 부착 단자가 커넥터에 조립되기 전에, 복수 개가 모아져 재고가 쌓여 있을 때에도, 접촉부를 형성하는 2 개의 조각 사이에 케이블이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그 접촉부에 인접하는 통형상부나 홈형부가 저지한다. 따라서, 재고 중의 케이블 부착 단자를 1 개 꺼낼 때에, 다른 케이블 부착 단자의 케이블이 얽히거나 단자끼리 걸리는 경우도 없어진다.
도 1 및 도 2 의 (A) 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접촉부 (25) 의 전방에 인접하여 통형상부 (28) 를 형성하고, 그 바닥벽에 피규제부 (26) 를 형성하여, 접촉부 (25) 의 후방에 인접한 피지지부 (24) 를, 선단이 변향된 대략 역 U 자 레그 형상으로 하였는데, 이 피지지부 (24) 를 선단끼리 맞닿는 형태로 하고, 상기 통형상부 (28) 에 추가하여, 그 피지지부 (24) 에서 부통형상부가 형성되도록 하면, 그 부통형상부의 저면에서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피지지부로서 기능하는 데 추가하 여, 상기 통형상부 (28) 와 이 부통형상부의 양방에 의해 접촉부 (25) 의 전후에서 케이블 또는 단자들이 얽히는 것을 유효하게 저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피규제부는 접촉부에 대하여 전방에 위치하지 않고, 후방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도 4 의 실시형태에서는, 단자 (20) 의 접촉부 (25') 후방에 인접하여 통형상부 (28') 를 형성하고, 그 바닥벽에 피규제부 (26') 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반해, 상대 단자 (40) 에는 접촉부 (41') 의 후방에 후방 돌부 (42') 를 형성하고, 그 접촉부 (41') 와 후방 돌부 (42') 사이에 오목부 (43') 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단자 (20) 의 통형상부 (28') 는 이 오목부 (43') 에 수용되고, 피규제부 (26') 의 후단면인 피규제면 (26'A) 은 케이블 (C) 이 후방으로 당겨졌을 때, 상기 후방 돌부 (42') 의 전단면인 규제면 (42'A) 에 맞닿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A) 는 커넥터 끼워 맞춤 전, (B) 는 끼워 맞춤 후이다.
도 2 는 도 1 의 양 커넥터의 단자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A) 는 커넥터 끼워 맞춤 전, (B) 는 끼워 맞춤 후에 있어서의 상태이다.
도 3 은 도 2 의 (B) 에 있어서의 단자의 피규제부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로서, (A) 는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B) 는 피규제부만을 나타내고, (C) 는 이 피규제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D) 는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4 는 본 발명 이외의 실시형태의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를 끼워 맞춤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넥터 11 : 하우징
20 : 단자 21 : 연장부
26, 26', 26" : 피규제부
26A, 26'A, 26"A : 피규제면
28, 28' : 통형상부 29 : 홈형부
30 : 상대 커넥터 40 : 상대 단자
41 : 규제부 41A : 규제면
42'A : 규제면
Claims (6)
- 케이블이 결선되는 금속판제의 단자가 그 케이블의 길이 방향에서 하우징 내로 전방을 향해 장착되고, 상대 커넥터에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끼워 맞춤 방향으로 끼워 맞춰져 단자의 접촉부가 상대 단자와 탄성 접촉하는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단자는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 상대 단자의 일부를 이루는 규제부보다 전방의 위치에, 상기 전후 방향 그리고 끼워 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연장부와, 그 연장부로부터 그 판 두께 방향으로 굴곡되어 변향되는 피규제부를 가지며, 그 피규제부의 후면에서 형성되는 피규제면과, 상기 상대 단자의 규제부의 전면에서 형성되는 규제면이 적어도 서로의 일부에서 전후 방향에서 대면하여, 케이블이 후방으로 당겨졌을 때, 상기 피규제면이 상기 규제면과 맞닿고, 피규제면은, 상대 단자의 판상 규제부의 전단면에 형성된 규제면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연장부와 피규제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피규제면은 그 통형상부의 후단면에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케이블용 전 기 커넥터.
- 제 3 항에 있어서,피규제면은,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 판상 규제부 전단면인 규제면과 교차하여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연장부와 피규제부에서 커넥터의 끼워 맞춤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방으로 개방되는 홈형부를 형성하고, 피규제면은 그 홈형부의 바닥벽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 제 3 항에 있어서,단자는, 전후 방향에서 접촉부에 대하여 피규제부와 반대측에 그 접촉부에 인접하여 부통형상부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하는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7202969A JP4488372B2 (ja) | 2007-08-03 | 2007-08-03 |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
JPJP-P-2007-00202969 | 2007-08-0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4099A KR20090014099A (ko) | 2009-02-06 |
KR101062648B1 true KR101062648B1 (ko) | 2011-09-06 |
Family
ID=40439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72816A KR101062648B1 (ko) | 2007-08-03 | 2008-07-25 |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4488372B2 (ko) |
KR (1) | KR101062648B1 (ko) |
TW (1) | TW200919856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5293B1 (ko) * | 2009-09-29 | 2010-03-12 | 이호기술단(주) | 인터넷 및 전화통신 매개용 지중 광케이블 커넥터 |
JP5903726B2 (ja) * | 2012-12-27 | 2016-04-13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このケーブルコネクタ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
DE102016221351A1 (de) * | 2016-10-28 | 2018-05-03 |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 Flachkontaktbuchse mit Ausleg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91012A (ja) * | 1998-09-09 | 2000-03-31 | Harness Syst Tech Res Ltd | コネクタ及びその端子ならびにコネクタの取付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86783B2 (ja) * | 2000-07-14 | 2003-03-17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
JP4749278B2 (ja) * | 2006-08-30 | 2011-08-17 | 株式会社不二工機 | コネクタ並びに導通接続構造及び導通接続方法 |
-
2007
- 2007-08-03 JP JP2007202969A patent/JP448837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
- 2008-07-14 TW TW097126656A patent/TW200919856A/zh unknown
- 2008-07-25 KR KR1020080072816A patent/KR10106264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91012A (ja) * | 1998-09-09 | 2000-03-31 | Harness Syst Tech Res Ltd | コネクタ及びその端子ならびにコネクタの取付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4099A (ko) | 2009-02-06 |
TW200919856A (en) | 2009-05-01 |
JP2009037955A (ja) | 2009-02-19 |
JP4488372B2 (ja) | 2010-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7482B1 (ko)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 |
US7591664B2 (en) | Loc-equipped connector | |
JP4824618B2 (ja) | プラグインコネクタ | |
US9142904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 |
JP4674874B2 (ja) | 電気コネクタ | |
US20060252300A1 (en) | Connector for flat cable | |
US7563135B2 (en) | Connector | |
KR20060103203A (ko) | 전기 커넥터 | |
CN112652902B (zh) | 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 | |
KR101655207B1 (ko) | 전선 대 기판 커넥터 | |
EP2629374A1 (en) | Connector | |
KR100851709B1 (ko) | 전기 커넥터 | |
WO2012095934A1 (en) | Terminal locking structure in connector housing | |
KR20100075724A (ko) | 전기 커넥터 | |
WO2004114468A1 (ja) | 接続端子 | |
KR100740849B1 (ko) | 커넥터 | |
KR20110135352A (ko) | 결합검지수단을 가지는 커넥터 | |
KR101062648B1 (ko) |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 |
CN110098532B (zh) | 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 |
EP1901400A2 (en) | A wire cover and a locking construction therefor | |
KR101175571B1 (ko) | 전기 커넥터 | |
WO2018207651A1 (ja) | コネクタ | |
CN111146613B (zh) | 端子,将电线连接到端子的方法,以及夹具 | |
JP2019220317A (ja) | コネクタ構造 | |
JP5129792B2 (ja) | 電気コネクタ組立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