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482B1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482B1
KR100987482B1 KR1020080037749A KR20080037749A KR100987482B1 KR 100987482 B1 KR100987482 B1 KR 100987482B1 KR 1020080037749 A KR1020080037749 A KR 1020080037749A KR 20080037749 A KR20080037749 A KR 20080037749A KR 100987482 B1 KR100987482 B1 KR 100987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ounting state
holding member
connector
wire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5208A (ko
Inventor
히데토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16327A external-priority patent/JP489345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09454A external-priority patent/JP4985206B2/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5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1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the cable clamping being achieved by mounting the separate part on the housing of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 유지 부재가 하우징 내에 정확하게 장착되어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와이어 유지 부재(50)가 하우징(10) 내에 정확하게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와이어 유지 부재(50)가 와이어(33)의 절연 피복(33b)을 물고, 이로써 와이어(33)는 이동할 수 없게 유지된다. 와이어(33)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단자 피팅(30)의 삽입 방향 및 와이어(33)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착되는 와이어 유지 부재(50)가 와이어(33)의 절연 피복(33b)을 문다. 따라서 와이어(33)를 구부릴 필요가 없으며, 와이어(33)를 위한 레이아웃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A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1-351711호는, 단자 피팅이 하우징 내로 삽입되며, 단자 피팅에 고정되어 있고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의 이동을 제한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그러한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커넥터에는, 와이어의 이동을 제한하는 수단으로서 와이어 유지 부재를 뒤로부터 하우징에 장착함으로써 스트레인 제거부(strain relief portion)가 형성되고, 와이어는 그러한 스트레인 제거부에서 하우징과 와이어 유지 부재 사이에 압착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에서는 스트레인 제거부에서의 와이어 레이아웃 경로가 구부러져 있기 때문에, 큰 레이아웃 공간이 필요하며, 그 결과 전체 커넥터가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초래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상황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의 소형화를 촉진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클레임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클레임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단부에 고정된 후방 연장 와이어를 갖는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과,
단자 피팅이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는 하우징과,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우징 내로 장착되거나 및/또는 변위되거나,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유지 부재를 포함하며,
와이어 유지 부재는 하우징 내에 있어서의 장착 상태에서 와이어의 절연 피복을 물어서, 와이어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방식으로 와이어를 유지하는 것인 커넥터가 제공된다.
와이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 및 와이어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착된 와이어 유지 부재가 와이어의 절연 피복을 물기 때문에, 와이어를 구부릴 필요가 없으며, 와이어의 레이아웃 공간을 더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후 방향으로 협소하고 길며, 후단부에 고정된 후방 연장 와이어를 갖는 단자 피팅과,
단자 피팅이 뒤로부터 삽입되는 하우징과,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우징 내로 장착되는 와이어 유지 부재를 포함하며,
와이어 유지 부재는 하우징 내에 있어서의 장착 상태에서 와이어의 절연 피복을 물어서, 와이어의 이동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와이어를 유지하는 것인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유지 부재는 하우징 내에서, 와이어 유지 부재가 와이어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해제 위치와, 와이어 유지 부재가 하우징 내에서 정확하게 장착되어 와이어의 이동을 방지하는 유지 위치에 선택적으로 로크된다.
와이어 유지 부재는 단자 피팅을 삽입할 때에 하우징 내에 미리 부분적으로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우수하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는, 와이어 유지 부재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거나 및/또는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적절하게 접속되어 있는 가를 검출하기 위한 장착 상태 검출 부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장착 상태 검출 부재는 와이어 유지 부재와 별개의 부분이고,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와이어 유지 부재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장착 상태 검출 부재에 형성된 간섭부가 와이어 유지 부재와 간섭하여 장착 상태 검출 부재가 검출 위치를 향하여 또는 검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및/또는
와이어 유지 부재가 유지 위치에 있을 때, 장착 상태 검출 부재가 검출 위치를 향하여 또는 검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유지 부재와 별개의 부분이고,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장착 상태 검출 부재가 추가로 제공되고,
와이어 유지 부재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장착 상태 검출 부재에 형성된 간섭부가 와이어 유지 부재와 간섭하여 장착 상태 검출 부재가 검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어 유지 부재가 유지 위치에 있을 때, 장착 상태 검출 부재가 검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장착 상태 검출 부재가 검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기초로 하여 와이어 유지 부재의 장착 상태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장착 상태 검출 부재는,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적절하게 접속되어 있을 때에는 장착 상태 검출 부재가 검출 위치를 향하여 또는 검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반면,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부분 접속 상태로 있거 나 및/또는 부적절하게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는 장착 상태 검출 부재가 검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접속 검출부를 포함한다.
장착 상태 검출 부재는 접속 검출 수단으로서도 작용하거나 기능하기 때문에, 장착 상태 검출 부재에 추가하여 특별한 접속 검출 수단이 제공되는 경우에 비하여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장착 상태 검출 부재에는, 외측으로부터 와이어 유지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하나 이상의 커버부가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 유지 부재의 외면이 장착 상태 검출 부재의 커버부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와이어 유지 부재와 간섭하는 일이 없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장착 상태 검출 부재가 검출 위치로 이동하거나 및/또는 검출 위치에 위치하는 때에, 와이어 유지 부재의 하나 이상의 가압 가능부가 장착 상태 검출 부재와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후단부에 고정된 후방 연장 와이어를 갖는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을 제공하는 단계와,
단자 피팅을 삽입 방향으로 하우징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단계와,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와이어 유지 부재를 하우징 내로 장착하거나 및/또는 변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발명 및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조립하는 커넥터 조립 방법으로서,
와이어 유지 부재는 하우징 내에 있어서의 장착 상태에서 와이어의 절연 피복을 물어서, 와이어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방식으로 와이어를 유지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조립 방법은,
와이어 유지 부재를 하우징 내에서, 와이어 유지 부재가 와이어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해제 위치와, 와이어 유지 부재가 하우징 내에서 정확하게 장착되어 와이어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유지 위치에 선택적으로 로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 조립 방법은, 장착 상태 검출 부재에 의하여, 와이어 유지 부재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거나 및/또는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적절하게 접속되어 있는 가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장착 상태 검출 부재는 와이어 유지 부재와 별개의 부분이고,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와이어 유지 부재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장착 상태 검출 부재에 형성된 간섭부가 와이어 유지 부재와 간섭하여 장착 상태 검출 부재가 검출 위치를 향하여 또는 검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및/또는
와이어 유지 부재가 유지 위치에 있을 때, 장착 상태 검출 부재가 검출 위치를 향하여 또는 검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장착 상태 검출 부재는,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적절하게 접속되어 있을 때에는 장착 상태 검출 부재가 검출 위치를 향하여 또는 검출 위 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반면,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부분 접속 상태로 있거나 및/또는 부적절하게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는 장착 상태 검출 부재가 검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접속 검출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 조립 방법은, 외측으로부터 와이어 유지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장착 상태 검출 부재가 검출 위치로 이동하거나 및/또는 검출 위치에 위치하는 때에, 와이어 유지 부재의 하나 이상의 가압 가능부가 장착 상태 검출 부재와 접촉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를 개별적으로 설명하고 있더라도, 이들 실시예의 각 특징이 다른 실시예에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단자 피팅의 삽입 방향 및 와이어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착된 와이어 유지 부재가 와이어의 절연 피복을 물기 때문에, 와이어를 구부릴 필요가 없으며, 와이어의 레이아웃 공간을 더 작게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커넥터에 대응하는) 암형 커넥터(F)는,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된 하우징(10), (바람직한 단자 피팅으로서의) 하나 이상의 암형 단자 피팅(30),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된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 및,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유지 부재(50)를 구비한다. 하우징(10)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블록 형태의) 단자 수납부(11)와, 단자 수납부(11)의 측방향 표면(바람직하게는 상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로크 아암(19)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협소하고 긴] 하나 이상, 예컨대 3개의 공동(12)이 단자 수납부(11) 내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횡방향(TD)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고, 암형 단자 피팅(30)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로부터 및/또는 전후 방향(FBD)에 평행하게 삽입 방향(ID)으로 각 공동(12) 내로 삽입된다. 공동(12)의 측방향 (상부) 벽은 바람직하게는 단자 수납부(11)의 상부 벽으로서도 기능하며, 검출을 위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수용부(13)가 단자 수납부(11)의 상면의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상측 또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자 수납부(11)의 측방향 (상부) 벽의 후단 또는 그 근처에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장방형의) 연통 공간(14)이 측방향 (상부) 벽을 관통하고 하나 이상, 예컨대 3개의 공동(12)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통 공간(14)은 상기 수용부(13) 앞에 및/또는 그 수용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와이어 유지 부재(5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연통 공간(14) 내로 장착된다. 단자 수납부(11)의 후단 또는 그 근처에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안내 구멍(15)이, 단자 수납부(11)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측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벽을 따라 연통 공간(14)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측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단부로부터 하향으로[즉, 삽입 방향(ID)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나 이상, 예컨대 3개의 공동(1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쌍을 이룬 안내 구멍(15)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 수납부(11)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부분 로킹 제1 돌기(16)와, 부분 로킹 제1 돌기(16)의 아래에 위치한 완전 로킹 제2 돌기(17)가 각 안내 구멍(15)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안내 구멍(15)의 바닥 단부로부터 측벽의 외면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윈도우 구멍(18)이 단자 수납부(11)의 후단 또는 그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로크 아암(19)은 바람직하게는 단자 수납부(11)의 측방향 (상부) 벽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레그부(20)와, 레그부(20)의 상단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아암부(21)와, (바람직하게는 양쪽) 아암부(21)의 하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하부 플레이트(22)와, 양 아암부(21)의 상단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상부 플레이트(23)와, 아암부(21)의 전단을 연결하는 로크부(24)를 구비한다. 전후 방향(FBD)으로 하부 플레이트(22)의 형성 영역은 로크부(24) 뒤의 위치로부터 아암부(21)의 후단까지 연장하는 범위이고, 상부 플레이트(23)는 아암부(21)의 후단에 배치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수형 커넥터(M)와의 접속 방향 및/또는 자유 상태의 로크 아암(19)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 리브(25)가 아암부(21)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유지 돌기(26)가 아암부(21)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로크 아암(19)은 레그부(20)를 지지점으로 하여 시소와 유사하게 상하로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각각의 암형 단자 피팅(30)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길고 협소하며, 그 전방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방 절반부)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박스 형상 또는 튜브형) 연결부(31)로서 기능하고, 그 후방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 절반부)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 배럴 형태의 와이어 크림핑부(32)를 포함하는] 와이어 접속부로서 기능한다. 절연 피복(33b)으로 도체(33a)를 둘러싸고 있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공지의 구조를 갖는 와이어(33)는, 그 전단부가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크림핑부(32)를 포함하는] 와이어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암형 단자 피팅(30)과 와이어(33)가 접속된 상태에서, 암형 단자 피팅(30)과 와이어(33)의 전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선이고, 와이어(33)는 암형 단자 피팅(30)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삽입 방향(ID)(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로부터) 삽입 방향(ID)으로 공동(1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암형 단자 피팅(30)은 로킹부에 의해 고정 유지된다. 암형 단자 피팅(30)이 실질적으로 적절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와이어(33)는 공동(12)의 후단측 또는 그 내부의 연통 공간(14)을 통과하도록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다.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블록 형상의) (바람직 한 커버부로서의) 조작부(41)와, 조작부(41)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외팔보 형상의) 안내 아암(42)과, (바람직하게는 양쪽) 안내 아암(42)의 외부 (상측) 단부 가장자리에 마련되거나 이에 접속되는 판형의 접속부(43)와, 하나 이상의 안내 아암(42)에 인접한 공간 내[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양 안내 아암(42) 사이]에서 조작부(41)로부터 실질적으로 전방으로 연장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외팔보 형상의) 탄성 잠금편(44)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연장하는 유지 돌기(45) 및 안내 홈(46)이 안내 아암(42)(바람직하게는 각 안내 아암의 내측면) 상에 또는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탄성 잠금편(44)은 접속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상하 방향 및/또는 커넥터 하우징(10)에 대한 원근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내측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커넥터 하우징(10)을 향하여, 또는 하측으로 돌출하는 (바람직한 접속 검출부로서의) 접촉 돌기(47)가 탄성 잠금편(44)의 전단에 또는 그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41)의 하단은 탄성 잠금편(44)의 하면보다 약간 더 하측으로 돌출하고, 그 전단 가장자리는 접속 검출부(48)로서도 기능한다(바람직한 간섭부로서도 기능한다). 탄성 잠금편(44)의 후단의 하면 또는 내면은 바람직하게는 조작부(41)와 유사하게 또는 조작부에 추가로 커버부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형성한다.
이러한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로부터 조립 방향(AD)으로 로크 아암(19)과 조립된다. 조립 공정에 있어서는, 안내 리브(25)와 안내 홈(46)이 결합되고,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는 로크 아암(19)에 대하여 실질 적으로 전방으로 미끄러지거나, 이동하거나 변위하고, 및/또는 안내 아암(42)은 유지 돌기(26, 45)의 간섭에 의해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가 로크 아암(19)에 대하여 (바람직한 제1 위치로서의) 준비 위치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의 유지 돌기(45)는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방으로부터) 로크 아암(19)의 유지 돌기(26)와 결합되고, 접촉 돌기(47)는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를 한계(바람직하게는 전방 한계)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로부터) 로크부(24)와 결합한다.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는 이들 결합 작용에 의하여 준비 위치에 유지되거나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부(41)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단자 수납부(11)]의 후단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거나 및/또는 접속 검출부(48)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용부(13)의 바로 위에 위치한다. 탄성 잠금편(44)은 상부 플레이트(23)와 하부 플레이트(22)의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거나 및/또는, 측방향 (좌측 및 우측) 아암부(21)에 인접하게 또는 이들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여,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는 바람직하게는 로크 아암(19)과 함께 시소와 유사하게 변위된다. 조작부(41)가 동작되면(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하향 가압되면), 로크 아암(19)과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는 언로킹 자세(unlocking posture)로 탄성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와이어 유지 부재(50)는 횡방향으로 긴 본체(51)와, 이 본체(51)의 외면 또는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측방향 (좌 측 및/또는 우측) 조작부 또는 가압 가능부(52)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판형의) 로크 아암(53)은 본체(51)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본체(51)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하향으로) 연장한다. 하나 이상의 얕은 오목부가 로킹 아암(53)(바람직하게는 그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로킹 돌기(54)가 이들 오목부에 의해 로킹 아암(53)(바람직하게는 그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스토퍼(55)가 본체(51)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하나 이상의 공동(12)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도록 횡방향(TD)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나란히 돌출하도록 하나 이상, 예컨대 3개의 가압부(56)가 본체(51)(바람직하게는 그 하면 또는 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각 가압부(56)는 전후 방향(FBD)으로 길고, 측면도로 보아 뾰족하거나 삼각형 형상이고 전후 방향(FBD)으로 바람직하게는 차례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물림 돌기(biting projection)가 그 하면 또는 내면[와이어(33)에 마주하는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와이어 유지 부재(50)는,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가 로크 아암(19)과 조립되기 전에 단자 수납부(11)의 수납 공간(14)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장착 시에, 와이어 유지 부재(50)는 위로부터 장착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삽입 방향(ID)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수납 공간(14)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에 있어서, 로크 아암(19) 은 로킹 돌기(54)와 부분 로킹 돌기(16)의 간섭에 기인하여 안내 구멍(15) 내에서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부분 로킹 돌기(16)의 통과 시에, 로킹 돌기(54)는 부분 로킹 돌기(16)와 완전 로킹 돌기(17) 사이에 유지되어, 와이어 유지 부재(50)는 해제 위치(RP)에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가압부(56)는 삽입 방향(ID)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예컨대 암형 단자 피팅(30) 및 와이어(33)를 위한 공동(12) 내의 도입 경로로부터 상향으로 실질적으로 후퇴된 위치에 있다. 또한, 가압 가능부(52)의 상단면은 바람직하게는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의 탄성 잠금편의 후단의 하면에 접촉하거나 이에 근접하여 마주하며, 이로써 수용부(13)의 상단보다 외측 또는 상부에 위치한다(또는 그 상단보다 돌출한다). 스토퍼(55)가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와 로크 아암(19)의 측방향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스토퍼(55)의 상면은 덮이지 않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단자 수납부(11)에 조립된 와이어 유지 부재(50)는, 스토퍼(55)를 위로부터 변위 방향(DD)[바람직하게는 삽입 방향(ID)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예컨대 실질적으로 아래로 가압하거나 압박함으로써 해제 위치(RP)보다 내측에 또는 그 아래에 위치하는 유지 위치(HP)로 변위될 수 있다. 변위 공정에 있어서, 로킹 아암(53)은 로킹 돌기(54)와 완전 로킹 돌기(17)의 간섭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와이어 유지 부재(50)가 유지 위치(HP)에 도달하면, 스토퍼(55)는 예컨대 위로부터 단자 수납부(11)의 측벽에 접촉하거나 결합하고, 로킹 돌기(54)는 아래로부터 완전 로킹 돌기(17)와 결합하여, 와이어 유지 부재(50)는 그 수직 이동이 방지되는 상태로 유지 위치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각각의 가압부(56)는 대응 공동(1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로킹 돌기(54)는 윈도우 구멍(18)을 통하여 단자 수납부(11)의 외측면에서 노출된다. 또한, 가압 가능부(52)의 상단면은 수용부(13)의 상단보다 하측 또는 내측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나 이상의 암형 단자 피팅(30)을 삽입 방향(ID)으로 공동(12) 내에 장착할 때에, 와이어 유지 부재(50)는 해제 위치(RP)에 유지된다. 이때에, 와이어 유지 부재(50)가 유지 위치(HP)로 또는 유지 위치를 향하여 변위 방향(DD)으로 강하하거나 이동하면, 로킹 아암(53)은 윈도우 구멍(18)을 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지그(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로킹 돌기(54)를 가압하거나 조작함으로써 내측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와이어 유지 부재(50)는 스토퍼(55)를 파지함으로써 해제 위치로 상승할 수 있다.
암형 단자 피팅(30)의 삽입 후에, 와이어 유지 부재(50)는 바람직하게는 스토퍼(55)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유지 위치로 또는 유지 위치를 향하여 이동한다. 그 후, 가압부(56)가 와이어(33)를 공동(12)의 하면에 대하여 가압하고, 하나 이상의 물림 돌기(57; biting projection)가 와이어(33)의 절연 피복(33b)을 물거나 이 절연 피복에 맞물리고,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의 와이어(33)의 이동은 그러한 물림 작용 또는 맞물림에 의해 방지된다. 이 때에 물림 돌기(57)가 물고 있는 깊이(depth of bite)는 절연 피복(33b)을 파괴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아래를 향하는 물림 돌기(57)의 가장자리부는 뾰족하지 않고 만곡된 표면인 것이 바람직하 다.
(바람직한 상대 커넥터로서의) 수형 커넥터(M)와의 접속 공정에 있어서, 로크부(24)는 수형 커넥터(M)의 로크 돌기(60) 상으로 이동하여, 로크 아암(19)과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는 언로킹 자세로 또는 그 자세를 향하여 변위되고(바람직하게는 전방을 향하여 상측 또는 외측으로 경사지고),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의 접속 검출부(48)는, 후퇴측으로부터 또는 뒤로부터 하우징(10)의 수용부(13)와 실질적으로 마주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하향 또는 내측의) 변위 방향(DD)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두 커넥터(M, F)의 접속 동작이 반 정도 끝난 경우에는,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가 보다 전방에 위치한 검출 위치(DP)로 이동하려고 할 경우에도,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의 그러한 이동은 접속 검출부(48)와 수용부(13)의 접촉에 의해 방지된다. 또한,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의 전방 이동은 접촉 돌기(47)와 로크부(24)의 접촉에 의해 방지된다.
두 커넥터(M, F)가 적절하게 접속된 때에, 로크부(24)는 로크 돌기(60)를 지나가므로, 로크 아암(19)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유 상태로 또는 자유 상태를 향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어 로크부(24)와 로크 돌기(60)를 결합시키고, 두 커넥터(M, F)는 그러한 결합 작용에 의해 분리될 수 없게 로크된다. 또한, 로크 아암(19)이 자유 상태로 또는 자유 상태를 향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됨에 따라 접촉 돌기(47)의 하면이 로크 돌기(60)의 상면 또는 말단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탄성 잠금편(44)은 로크 아암(19)에 대하여 상측 또는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그 결과 접촉 돌기(47)는 로크부(24)로부터 분리되고, 접촉 돌 기(47)와 로크 돌기(24)의 결합 작용에 의한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의 전방 이동 제한 상태는 해제된다.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의 조작부(41)가 로크 아암(19)과 함께 상측 위치로 또는 상측 위치를 향하여 복귀하기 때문에, 접촉 검출부(48)는 수용부(13)보다 높게 위치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접속 검출부(48)와 수용부(13)의 접촉에 의한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의 전방 이동 제한 상태도 또한 해제된다. 그 후,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는, 두 커넥터(M, F)가 적절하게 접속된 후에 전방의 검출 위치(DP)로 미끄러지거나, 변위되거나 이동할 수 있다.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가 검출 위치(DP)로 이동하는 중에, 접촉 돌기(47)는 로크부(24)를 지나간다. 이에 따라, 탄성 잠금편(44)은 전방으로부터 접촉 돌기(47)와 로크 돌기(24)를 결합시키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며, 이로써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는 그 후방 이동이 방지되는 상태로 검출 위치(DP)에 유지된다.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가 실질적으로 검출 위치(DP)에 위치한 상태에서, 아암부(21)의 전단은 하우징(10)의 전단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된 제한부(29)와 결합한다. 이에 따라, 언로킹 방향[즉, 로크부(24)를 로크 돌기(60)로부터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로크 아암(19)의 탄성 변위가 방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크부(24)와 로크 돌기(60)가 확실하게 유지 결합된 이중 로킹 상태가 설정되고, 두 커넥터(M, F)는 서로 확실하게 로킹된다.
와이어 유지 부재(50)가 두 커넥터(M, F)가 적절히 접속된 상태의 유지 위치(HP)에 있으면, 접속 검출부(48)는,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를 검출 위치를 향하여 또는 검출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변위시키는 공정에서 와이어 유지 부재(50)의 가압 가능부(52)와 간섭하여,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의 임의의 추가의 (전방) 이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가 와이어 유지 부재(50)와의 간섭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는 가를 기초로 하여 와이어 유지 부재(50)의 장착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어(33)의 전후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스트레인 제거 수단(strain relief means)으로서, 암형 단자 피팅(30)의 삽입 방향(ID) 및 와이어(33)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착되거나 및/또는 변위되고, 예컨대 위로부터 수직으로 장착된 와이어 유지 부재(50)가 와이어(33)의 절연 피복(33b)을 물거나 그 절연 피복에 맞물린다. 따라서 와이어를 구부림으로써 와이어의 이동을 방지하는 스트레인 제거 구조에 비하여, 와이어(33)의 레이아웃 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암형 커넥터(F)의 소형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유지 부재(50)는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유지 부재(50)가 하우징(10) 내에서 와이어(33)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해제 위치(RP)와, 와이어 유지 부재(50)가 하우징(10) 내에서 정확하게 장착되어 와이어의 이동을 방지하는 유지 위치(HP)에서 선택적으로 로크되므로, 와이어 유지 부재(50)는 암형 단자 피팅(30)을 하우징(10) 내로 삽입할 때에 하우징(10) 내에 미리 부분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성이 우수하다.
와이어 유지 부재(50)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는 바람직하게는 두 커넥터(M, F)의 접속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도 작용하거나 기능하기 때문에,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에 추가하여 특별한 접속 검출 수단이 제공되는 경우에 비하여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의 탄성 잠금편(44)의 후단과 그 조작부(41)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쪽) 측방향 가장자리부[하나 이상의 스토퍼(55)]를 제외하고 외측(상측)으로부터 와이어 유지 부재(50)의 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와이어 유지 부재(50)와 간섭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와이어 유지 부재가 하우징 내에 정확하게 장착되어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와이어 유지 부재(50)가 하우징(10) 내에 정확하게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와이어 유지 부재(50)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33)의 하나 이상의 절연 피복(33b)을 물거나 이 절연 피복에 맞물리며, 이로써 와이어(33)는 이동하지 않고 유지된다. 와이어(33)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단자 피팅(30)의 삽입 방향 및/또는 와이어(33)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착되거나 변위되는 와이어 유지 부재(50)가 하나 이상의 와이어(33)의 하나 이상의 절연 피복(33b)을 물거나, 이 절연 피복에 맞물린다. 따라서 와이어(33)를 구부릴 필요가 없으며, 와이어(33)의 레이아웃 공간을 더 작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1) 와이어 유지 부재는 해제 위치에서 로킹되지 않을 수도 있다.
(2) 장착 상태 검출 부재는 접속 검출 수단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3) 와이어와 단자 피팅은 크림핑에 의해 연결되는 대신에, 압접(insulation displacement), 납땜 및/또는 용접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4) 와이어 유지 부재의 외면은 장착 상태 검출 부재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있어서 와이어 유지 부재가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유지 위치로 이동된 와이어 유지 부재가 와이어의 이동을 방지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장착 상태 검출 부재를 검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4는 측방향 단면도이고,
도 5는 수평 단면도이고,
도 6은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7은 하우징의 후면도이고,
도 8은 장착 상태 검출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9는 장착 상태 검출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와이어 유지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와이어 유지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2는 와이어 유지 부재의 저면도이고,
도 13은 상대 커넥터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30 : 단자 피팅
33 : 와이어
33B : 절연 피복
40 : 장착 상태 검출 부재
41 : 조작부(커버부)
44 : 탄성 잠금편(커버부)
47 : 접촉 돌기(접촉 검출부)
48 : 접촉 검출부(간섭부)
50 : 와이어 유지 부재

Claims (14)

  1. 후단부에 고정된 후방 연장 와이어(33)를 갖는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30)과,
    상기 단자 피팅(30)이 삽입 방향(ID)으로 삽입되는 하우징(10)과,
    상기 단자 피팅(30)의 삽입 방향(ID)과 교차하는 방향(DD)으로 하우징(10) 내로 장착되거나 변위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유지 부재(50)와,
    상기 와이어 유지 부재(50)의 장착 상태 또는 커넥터(F)의 상대 커넥터(M)와의 접속 상태 또는 상기 와이어 유지 부재(50)의 장착 상태 및 커넥터(F)의 상대 커넥터(M)와의 접속 상태 양자 모두를 검출하기 위한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
    를 포함하는 커넥터(F)로서,
    상기 와이어 유지 부재(50)는,
    하우징(10) 내에 있어서의 장착 상태(HP)에서 와이어(33)의 절연 피복(33b)을 물어서, 와이어(33)의 이동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와이어(33)를 유지하고,
    하우징(10) 내에서, 와이어 유지 부재(50)가 와이어(33)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해제 위치(RP)와, 와이어 유지 부재(50)가 하우징(10) 내에서 정확하게 장착되어 와이어(33)의 이동을 방지하는 유지 위치(HP)에 선택적으로 로크되는 것인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는 와이어 유지 부재(50)와 별개의 부분이고, 하우징(1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 유지 부재(50)가 해제 위치(RP)에 있을 때,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에 형성된 간섭부(48)가 와이어 유지 부재(50)와 간섭하여,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가 검출 위치(DP)를 향하여 또는 검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상기 와이어 유지 부재(50)가 유지 위치(HP)에 있을 때,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가 검출 위치(DP)를 향하여 또는 검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것인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는, 커넥터(F)가 상대 커넥터(M)와 완전 접속 상태로 있는 경우에는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가 검출 위치(DP)를 향하여 또는 검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반면, 커넥터(F)가 상대 커넥터(M)와 부분 접속 상태로 있는 경우에는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가 검출 위치(DP)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접속 검출부(48)를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에는, 외측으로부터 와이어 유지 부재(50)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덮는 하나 이상의 커버부(41; 4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가 검출 위치(DP)로 이동하거나 검출 위치(DP)에 위치하는 때에, 상기 와이어 유지 부재(50)의 하나 이상의 가압 가능부(52; pressable portion)가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와 접촉하는 것인 커넥터.
  8. 후단부에 고정된 후방 연장 와이어(33)를 갖는 하나 이상의 단자 피팅(30)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단자 피팅(30)을 삽입 방향(ID)으로 하우징(10) 내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단자 피팅(30)의 삽입 방향(ID)과 교차하는 방향(DD)으로 하나 이상의 와이어 유지 부재(50)를 하우징(10) 내로 장착하거나 변위시키는 단계와,
    상기 와이어 유지 부재(50)를 상기 하우징(10) 내에서, 상기 와이어 유지 부재(50)가 와이어(33)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해제 위치(RP)와, 와이어 유지 부재(50)가 하우징(10) 내에서 정확하게 장착되어 와이어(33)의 이동을 방지하는 유지 위치(HP)에 선택적으로 로크시키는 단계와,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 유지 부재(50)의 장착 상태 또는 커넥터(F)의 상대 커넥터(M)와의 접속 상태 또는 상기 와이어 유지 부재(50)의 장착 상태 및 커넥터(F)의 상대 커넥터(M)와의 접속 상태 양자 모두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커넥터(F)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와이어 유지 부재(50)는 하우징(10) 내에 있어서의 장착 상태(HP)에서 와이어(33)의 절연 피복(33b)을 물어서, 와이어(33)의 이동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와이어(33)를 유지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는 와이어 유지 부재(50)와 별개의 부분이고, 하우징(1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 유지 부재(50)가 해제 위치(RP)에 있을 때,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에 형성된 간섭부(48)가 와이어 유지 부재(50)와 간섭하여,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가 검출 위치(DP)를 향하여 또는 검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상기 와이어 유지 부재(50)가 유지 위치(HP)에 있을 때,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가 검출 위치(DP)를 향하여 또는 검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는, 커넥터(F)가 상대 커넥터(M)와 완전 접속 상태로 있는 경우에는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가 검출 위치(DP)를 향하여 또는 검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반면, 커넥터(F)가 상대 커넥터(M)와 부분 접속 상태로 있는 경우에는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가 검출 위치(DP)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접속 검출부(48)를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외측으로부터 와이어 유지 부재(50)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덮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가 검출 위치(DP)로 이동하거나 검출 위치(DP)에 위치하는 때에, 상기 와이어 유지 부재(50)의 하나 이상의 가압 가능부(52; pressable portion)가 장착 상태 검출 부재(40)와 접촉하는 것인 커넥터 조립 방법.
KR1020080037749A 2007-04-23 2008-04-23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KR100987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12489 2007-04-23
JP2007112489 2007-04-23
JPJP-P-2007-00116327 2007-04-26
JP2007116327A JP4893452B2 (ja) 2007-04-26 2007-04-26 コネクタ
JP2007209454A JP4985206B2 (ja) 2007-04-23 2007-08-10 コネクタ及びショート端子
JPJP-P-2007-00209454 2007-08-10
EP08007320A EP1986288B1 (en) 2007-04-23 2008-04-14 A shorting terminal, a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EP08007320.8 2008-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208A KR20080095208A (ko) 2008-10-28
KR100987482B1 true KR100987482B1 (ko) 2010-10-13

Family

ID=39495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749A KR100987482B1 (ko) 2007-04-23 2008-04-23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7618274B2 (ko)
EP (1) EP1986284B1 (ko)
KR (1) KR100987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2128B2 (ja) * 2004-09-07 2009-07-08 キヤノンアネルバ株式会社 磁気抵抗効果素子の製造方法
EP1986284B1 (en) * 2007-04-23 2014-08-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JP4636050B2 (ja) * 2007-04-27 2011-02-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86970B2 (ja) * 2008-10-20 2012-07-2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27547B2 (ja) * 2010-01-22 2013-10-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2403610B (zh) 2010-09-15 2014-07-16 住友电装株式会社 连接器
HUE050214T2 (hu) * 2012-02-16 2020-11-30 Md Elektronik Gmbh Kábel jelek átvitelére
US8920187B2 (en) 2012-03-09 2014-12-3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5831818B2 (ja) * 2012-03-09 2015-12-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63064B2 (ja) * 2014-03-26 2018-01-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202015001505U1 (de) * 2015-02-26 2015-03-1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pielfreie Steckverbindung mit CPA
JP6500723B2 (ja) * 2015-03-18 2019-04-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23255B1 (ja) 2015-04-17 2016-11-09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6207487A (ja) * 2015-04-23 2016-12-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6540499B2 (ja) 2015-12-22 2019-07-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27146B2 (ja) * 2016-07-29 2018-11-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23221B2 (ja) * 2016-07-29 2019-05-2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86309B2 (ja) * 2016-10-06 2019-03-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92797B2 (ja) * 2017-03-01 2020-12-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ユニット
WO2019045039A1 (ja) * 2017-08-31 2019-03-07 矢崎総業株式会社 部材の係止構造
DE102017009623A1 (de) * 2017-10-17 2019-04-18 Kostal Kontakt Systeme Gmbh Steckverbinderteil
US10290970B1 (en) * 2018-02-08 2019-05-14 Delphi Technologies, Llc Connector with strain relief device
JP6991575B2 (ja) * 2018-02-19 2022-01-1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6969469B2 (ja) * 2018-03-23 2021-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短絡用端子およびコネクタ
JP7001963B2 (ja) * 2018-05-16 2022-01-2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647188B1 (ko) * 2018-11-14 2024-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장치
JP7181155B2 (ja) * 2019-05-24 2022-11-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7232407B2 (ja) * 2019-08-09 2023-03-0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11264759B1 (en) * 2020-08-17 2022-03-01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with integrated primary lock reinforcement an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493A (ko) * 2003-10-01 2005-04-07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KR100597374B1 (ko) * 1998-12-18 2006-07-06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기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6395A (en) * 1989-07-17 1990-08-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JP2586314Y2 (ja) * 1991-11-08 1998-12-02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3253805B2 (ja) * 1994-07-08 2002-02-0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短絡型電気コネクタ
JP3264311B2 (ja) * 1995-09-25 2002-03-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結合検知装置
JP3315313B2 (ja) * 1996-05-17 2002-08-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JP3149794B2 (ja) * 1996-07-25 2001-03-26 住友電装株式会社 短絡用端子金具
JP2000231961A (ja) * 1998-12-08 2000-08-2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DE10015842C1 (de) * 2000-03-30 2002-02-14 Fci Automotive Deutschland Gmb Steckverbinder mit Sekundärverriegelung und Zugentlastung
JP2001351711A (ja) 2000-06-07 2001-12-21 Sumitomo Wiring Syst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DE10051097C2 (de) * 2000-08-17 2002-11-28 Krone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FR2821493A1 (fr) * 2001-02-26 2002-08-30 Fci Automotive France Connecteur electrique avec dispositif serre fils
JP3810285B2 (ja) * 2001-06-12 2006-08-16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防止コネクタ
TW542455U (en) * 2001-12-26 2003-07-11 Hon Hai Prec Ind Co Ltd Power connector
JP3991911B2 (ja) * 2002-07-17 2007-10-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62045B4 (de) * 2002-10-31 2005-06-02 Fci Verbinder für Flex-Flachbandkabel
US6857892B2 (en) * 2003-06-05 2005-02-22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member
JP4533825B2 (ja) * 2005-09-05 2010-09-0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234962B1 (en) * 2006-05-30 2007-06-26 Kuei-Yang Lin Wire connecting terminal structure
EP1986284B1 (en) * 2007-04-23 2014-08-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f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374B1 (ko) * 1998-12-18 2006-07-06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기커넥터
KR20050032493A (ko) * 2003-10-01 2005-04-07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86284A2 (en) 2008-10-29
EP1986284A3 (en) 2010-07-07
US20080261425A1 (en) 2008-10-23
US7591665B2 (en) 2009-09-22
KR20080095208A (ko) 2008-10-28
US20080261438A1 (en) 2008-10-23
EP1986284B1 (en) 2014-08-20
US7901229B2 (en) 2011-03-08
US20100055972A1 (en) 2010-03-04
US7618274B2 (en) 2009-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482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EP2249440B1 (en) A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ion method
JP4926836B2 (ja) コネクタ
JP4752606B2 (ja) コネクタ
US8206170B2 (en) Male and female connectors and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US7223113B2 (en)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JP4636050B2 (ja) コネクタ
US6659797B2 (en) Connector with resiliently deflectable lock arm
JP2006253017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7267569B2 (en) Connector with a shorting terminal
JP4836214B2 (ja)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と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US20150249300A1 (en) Connector
JP4496475B2 (ja) コネクタ
KR20110135352A (ko) 결합검지수단을 가지는 커넥터
JP4826501B2 (ja) コネクタ
JP4893452B2 (ja) コネクタ
CN112350110B (zh) 连接器
JP3767140B2 (ja) コネクタ
JP4488372B2 (ja) 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5397124B2 (ja) コネクタ
JP7389407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7306885B2 (ja) コネクタ
JP2008198392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5920877B2 (ja) 端子半嵌合防止構造
JP2006073332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