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245B1 - 렌즈 배럴, 카메라, 휴대형 데이터 단말 장치, 화상 입력 장치 및 렌즈 배럴용 실린더 - Google Patents

렌즈 배럴, 카메라, 휴대형 데이터 단말 장치, 화상 입력 장치 및 렌즈 배럴용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245B1
KR101170245B1 KR1020107014343A KR20107014343A KR101170245B1 KR 101170245 B1 KR101170245 B1 KR 101170245B1 KR 1020107014343 A KR1020107014343 A KR 1020107014343A KR 20107014343 A KR20107014343 A KR 20107014343A KR 101170245 B1 KR101170245 B1 KR 101170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traight
rotating cylinder
projection
lens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7046A (ko
Inventor
데루노리 고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100087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렌즈 배럴은 고정 실린더, 제1 회전 실린더, 제1 회전 실린더와 함께 축선 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하는 직진 실린더, 및 제2 회전 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직진 실린더는 외주면에 3개 이상의 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회전 실린더는 내주면에 상기 직진 실린더의 각 돌기에 대응하는 3개 이상의 절결부를 구비하고, 각 절결부의 형상은 각 돌기의 형상에 대응한다. 각 절결부는 제1 회전 실린더의 축선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이들 절결부에는 직진 실린더의 각 돌기가 삽입된다. 각 절결부의 단부는 둘레방향의 홈에 이어지고, 이 둘레방향의 홈에 각 돌기가 도입되어, 제1 회전 실린더와 직진 실린더가 접속된다. 상기 직진 실린더는 상기 제2 회전 실린더에 마련된 핀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3개 이상의 돌기 중 2개 이상의 돌기는 상기 직진 실린더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이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마련된다.

Description

렌즈 배럴, 카메라, 휴대형 데이터 단말 장치, 화상 입력 장치 및 렌즈 배럴용 실린더{LENS BARREL, CAMERA, PORTABLE DATA TERMINAL EQUIPMENT, IMAGE INPUT EQUIPMENT, AND CYLINDER FOR LENS BARREL}
본 발명은 렌즈 배럴, 카메라, 휴대형 데이터 단말 장치, 화상 입력 장치 및 렌즈 배럴용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등의 촬영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배럴은, 카메라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또는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용 렌즈 배럴과 같이 카메라 본체에 장착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실수로 떨어뜨려지거나 혹은 물체와 충돌하게 될 때에 흔히 큰 충격을 받는다.
렌즈 배럴의 렌즈 구동 기구용 시스템은 다양하다. 렌즈 구동 기구에 채택되는 다양한 시스템 중 하나로는, 돌기를 절결부 및 둘레방향의 홈에 끼워 맞춤으로써 실린더 형상의 부재들이 접속되며 이들 부재들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소위 베이어닛 접속이 있다. 베이어닛 접속을 채택한 렌즈 배럴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린더 형상의 부재에 있어서 기계적으로 강도가 낮은 부분에 상기 돌기가 배치된다면,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 배럴이 큰 충격을 받을 때, 상기 실린더 형상의 부재가 변형되어 베이어닛 접속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렌즈 배럴이 원활하게 동작하지 않거나, 혹은 전혀 동작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전술한 문제점의 발생 이유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린더 형상의 부재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실린더 형상의 부재들 중 어느 한 부재에 형성된 직진 홈에, 다른 부재의 돌기가 끼워 맞춰지며, 이들 실린더 형상의 부재는 중심 축선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직진 홈에 이어지는 둘레방향의 홈에 도입되고, 상기 실린더 형상의 부재들은 서로에 대해 접속되며 중심 축선의 둘레로 서로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상기 돌기와 상기 홈이 끼워 맞춰지는 접속을 일반적으로 "베이어닛 접속"이라 한다. 전술한 돌기를 구비한 부재는 대개, 주밍 시 등에 렌즈 프레임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핀에 대한 여유 홈을 구비하거나, 캠 홈 등을 둘레방향으로 넓은 범위에 구비하며, 전술한 여유 홈 또는 캠 홈이 형성된 경우에, 상기 실린더 형상의 부재의 강도가 저하된다. 특히,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여유 홈 또는 캠 홈 등이 같이 마련되어 있는 범위에서는, 강도가 불충분한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범위에 상기 돌기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 충격을 받을 때, 상기 돌기를 구비한 부재는 돌기 주변이 변형하기 쉽고, 돌기가 홈으로부터 빠지기 쉽다. 즉, 베이어닛 접속이 해제되기 쉽다.
상기 돌기의 폭을 확대시킴으로써, 즉 상기 실린더 형상의 부재의 축선을 중심으로 한 둘레방향의 길이를 확대시킴으로써, 베이어닛 접속의 해제를 더 어렵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돌기의 폭을 약간 확대시키는 것만으로는 효과가 적다. 상기 돌기의 폭을 크게 확대시킨다면, 기계적 강도의 관점에서는 보다 효과적이다. 그러나, 상기 실린더 형상의 부재의 둘레방향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전측과 후측의 평행도를 고정밀도로 가공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조하기가 어렵다.
베이어닛 접속의 해제를 어렵게 하기 위해, 돌기를 홈에 끼워 맞추는 깊이를 더 깊게 한 베이어닛 접속이 있다. 혹은, 충격을 받아도 상기 실린더 형상의 부재가 변형되지 않도록, 알루미늄 합금 바를 절삭 가공하는 것을 통해 상기 실린더 형상의 부재를 제작하여,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실린더 형상의 부재가 충격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베이어닛 접속의 해제를 막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실린더 형상의 부재의 변형을 줄일 수도 있다.
그러나, 베이어닛 접속의 끼워 맞춤부를 더 깊게 하는 방법에서는, 끼워 맞춤부를 갖는 부재의 반경방향 두께를 매우 두껍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렌즈 배럴의 직경이 커질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알루미늄 합금 바를 절삭 가공하는 것을 통해 렌즈 배럴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작 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합성 수지로 제조된 실린더 형상의 부재와 비교해 보면, 알루미늄 합금 바로 제조된 실린더 형상의 부재는 조출(繰出)된 상태에서 그 무거운 중량으로 인해 전단부(前端部)가 아래로 기울어지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렌즈 배럴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공지의 예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22786호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22786호에는, 보강 부재를 사용하여 렌즈 배럴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22786호의 발명에서는, 보강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해지고, 중량이 무거워지며, 비용이 증대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어닛 접속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렌즈 배럴을 제공하는 것이고,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렌즈 배럴을 구비한 카메라, 휴대형 데이터 단말 장치 및 화상 입력 장치와 렌즈 배럴용 실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정 실린더;
상기 고정 실린더에 대하여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회전 실린더;
제1 회전 실린더의 내주측에 배치되고 제1 회전 실린더와 함께 축선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하며 축선 둘레로 상대 회전하는 실린더 형상의 직진 실린더; 및
직진 실린더의 내주측에 배치되는 제2 회전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직진 실린더는 외주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3개 이상의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회전 실린더는 내주면에 상기 직진 실린더의 각 돌기에 대응하며 각 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인 3개 이상의 절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의 3개 이상의 절결부는 각각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의 축선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직진 실린더의 각 돌기가 삽입되며,
각 돌기가 삽입되는 각 절결부의 단부는 둘레방향의 홈에 이어지고, 이 둘레방향의 홈에 각 돌기가 도입되어,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가 접속되며,
상기 직진 실린더는 상기 제2 회전 실린더에 마련된 핀에 대하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3개 이상의 돌기 중 2개 이상의 돌기는 상기 직진 실린더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이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인 렌즈 배럴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직진 실린더가 구비하는 상기 3개 이상의 돌기의 높이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렌즈 배럴은 침동식 렌즈 배럴이고, 상기 제1 회전 실린더, 상기 직진 실린더 및 상기 제2 회전 실린더는 상기 고정 실린더의 내주에 수납되며, 각 돌기가 상기 둘레방향의 홈에 도입되어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가 소정 각도로 상대 회전한 위치를 조립 위치로서 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가 상기 조립 위치로부터 소정 각도로 상대 회전한 위치가, 상기 고정 실린더의 내주에 상기 제1 회전 실린더, 상기 직진 실린더 및 상기 제2 회전 실린더가 수납되는 수납 위치이고,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를 더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회전 실린더, 상기 직진 실린더 및 상기 제2 회전 실린더가 상기 고정 실린더로부터 전방으로 조출한 위치가 촬영 위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촬영 위치는,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의 상대 회전을 통해,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촬영 위치 내지 가장 먼 촬영 위치로의 범위에서 연속적으로 바뀔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의 조립 위치로부터 상기 수납 위치까지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가 상대 회전한 각도를 α라 하고,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상기 가장 가까운 촬영 위치까지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가 상대 회전한 각도를 β라 하며, 상기 가장 가까운 촬영 위치로부터 상기 가장 먼 촬영 위치까지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가 상대 회전한 각도를 γ라 할 때,
3개 이상의 돌기 중 제1 돌기와 제2 돌기는 둘레방향으로 약 180°간격으로 배치되고, 3개 이상의 돌기 중에서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보다 둘레방향의 폭이 좁은 제3 돌기가,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로부터 α+β°미만의 각도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돌기보다 둘레방향의 폭이 좁은 제4 돌기가,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로부터 α+β+γ°이상의 각도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회전 실린더에 마련된 핀은, 상기 직진 실린더에 마련된 관통 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의 내주에 형성된 직진 홈에 맞물려서,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의 토크를 상기 제2 회전 실린더에 전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 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로서, 촬영 렌즈의 렌즈 배럴이 전술한 어느 한 양태에 따른 렌즈 배럴인 카메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형 데이터 단말 장치로서, 카메라의 촬영 렌즈의 렌즈 배럴이 전술한 어느 한 양태에 따른 렌즈 배럴인 휴대형 데이터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촬영 렌즈를 구비하며 촬영 렌즈에 의해 결상된 화상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화상 입력 장치로서, 상기 촬영 렌즈의 렌즈 배럴이 전술한 어느 한 양태에 따른 렌즈 배럴인 화상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1 회전 실린더에 끼워 맞춰져서 렌즈 배럴을 구성하는 직진 실린더로서, 외주면에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한 3개 이상의 돌기와, 제2 회전 실린더에 마련된 핀에 대한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3개 이상의 돌기 중 2개 이상의 돌기는 상기 직진 실린더의 외주면에 있어서 관통 구멍이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인 직진 실린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더 돕기 위해 포함되어 있는 첨부 도면은,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한다. 이들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배럴은 베이어닛 접속의 강도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침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제1 촬영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제2 촬영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제1 촬영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제1 회전 실린더의 내주를 보여주는 전개도.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직진 실린더의 정면도.
도 8은 상기 실시예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 제1 회전 실린더와 직진 실린더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상기 실시예의 조립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이행하는 상황에 있어서 제1 회전 실린더와 직진 실린더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0은 상기 실시예의 수납 상태로부터 촬영 상태로 이행하는 상황에 있어서 제1 회전 실린더와 직진 실린더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1은 제1 회전 실린더와 직진 실린더가 상기 실시예의 가장 가까운 촬영 위치로 이행한 상태에 있어서 제1 회전 실린더와 직진 실린더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2는 제1 회전 실린더와 직진 실린더가 상기 실시예의 가장 먼 촬영 위치로 이행한 상태에 있어서 제1 회전 실린더와 직진 실린더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13은 상기 실시예의 직진 실린더의 전개도.
도 1 내지 도 5에서, 도면 부호 5는 렌즈 배럴의 베이스 부재를 나타낸다. 베이스 부재(5)는 고정 실린더(1)를 포함한다. 고정 실린더(1)의 내주측에는 제1 회전 실린더(2)가 끼워지고, 제1 회전 실린더(2)의 내주측에는 실린더 형상의 직진 실린더(3)가 제1 회전 실린더(2)의 후단부(도 4의 우단부)로부터 끼워진다. 고정 실린더(1)와 직진 실린더(3)는 후술하는 소위 "베이어닛 접속"에 의해 접속된다. 고정 실린더(1)의 내주면에는, 피치가 비교적 큰 암형 헬리코이드(11)가 형성되고, 복수의 직진 홈(12)이 각각 중심 축선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암형 헬리코이드(11)에는, 제1 회전 실린더(2)의 후단부의 외주에 돌출 형성된 수형 헬리코이드(28)가 끼워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우 짧게 돌출한 형상인 복수 개의 수형 헬리코이드(28)가 각각 제1 회전 실린더(2)의 둘레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회전 실린더(2)의 후단부의 외주에는, 수형 헬리코이드(28)를 둘레방향으로 둘러싸도록 랙(29)이 형성된다. 이 랙(29)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도시 생략)과 맞물린다. 따라서, 피니언이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될 때, 수형 헬리코이드(28)는 암형 헬리코이드(11)에 의해 안내되어, 제1 회전 실린더(2)는 고정 실린더(1) 내에서 중심 축선 둘레로 회전하고 중심 축선 방향(이하에서는, "광축 방향"이라 함)의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전술한 피니언은, 제1 회전 실린더(2)가 전후로 이동할 때, 랙(29)과의 맞물림이 해제되지 않도록, 광축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다.
직진 실린더(3)의 후단부의 외주에는,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복수 개의 돌기(38)가 마련된다. 이들 복수 개의 돌기(38)는 고정 실린더(1)의 직진 홈(12)에 끼워진다. 따라서, 직진 실린더(3)는 직진 홈(12)에 의해 안내되어 중심 축선 방향으로 직진 이동한다. 직진 실린더(3)는 중심 축선 둘레로 회전할 수 없다.
제1 회전 실린더(2)의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절결부가 각각 광축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6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결부(21), 제2 절결부(22), 제3 절결부(23) 및 제4 절결부(24)로 이루어진 4개의 절결부가 형성된다. 이들 절결부(21, 22, 23, 24)는 제1 회전 실린더(2)의 전단부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홈(25)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회전 실린더(2)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제2 회전 실린더(4)의 핀(42)이 끼워지는 2개의 직진 홈(26)이, 전술한 4개의 절결부(21, 22, 23, 24)의 위치를 피하여 광축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직진 실린더(3)의 전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4개의 절결부(21, 22, 23, 24)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돌기(31), 제2 돌기(32), 제3 돌기(33) 및 제4 돌기(34)가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4개의 돌기(31, 32, 33, 34)의 각 높이, 즉 직진 실린더(3)의 본체로부터 반경방향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각 길이가 거의 동일하다. 상기 4개의 돌기(31, 32, 33, 34)가 이들 돌기(31, 32, 33, 34)에 각각 대응하게 마련되는 상기 4개의 절결부(21, 22, 23, 24)에 각각 삽입된 이후에, 제1 회전 실린더(2)와 직진 실린더(3)를 중심 축선 둘레로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각 돌기를 상기 각 절결부의 전단부에 이어지는 둘레방향의 홈(25)에 도입시킨다. 따라서, 상기 각 돌기는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홈(25)에 끼워지고, 이에 의해 직진 실린더(3)는 제1 회전 실린더(2)와 일체로 중심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며, 중심 축선 둘레로 제1 회전 실린더(2)에 대하여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회전 실린더(2)와 직진 실린더(3)의 접속 구조는 베이어닛 접속 구조의 한 타입이다. 직진 실린더(3)의 전단부의 내주면에는, 암형 헬리코이드(37)가 형성된다.
제1 회전 실린더(2)의 내주면에는, 제2 회전 실린더(4)가 끼워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전 실린더(4)의 후단부의 외주면에는, 수형 헬리코이드(43)가 형성된다. 이 수형 헬리코이드(43)가 형성되는 부위의 일부에는, 실린더 형상의 핀(42)이 임의의 수로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수형 헬리코이드(43)는 직진 실린더(3)의 암형 헬리코이드(37)에 맞물리고, 전술한 핀(42)은 직진 실린더(3)의 둘레벽에 형성된 관통 구멍(36)을 관통하여 제1 회전 실린더(2)의 직진 홈(도 6 참조)에 끼워진다. 직진 홈(26)은 제1 회전 실린더(2)의 토크를 전술한 핀(42)을 통하여 제2 회전 실린더(4)에 전달하고, 제2 회전 실린더(4)를 제1 회전 실린더(2)에 대하여 광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즉, 제1 회전 실린더(2)가 광축 둘레로 회전할 때, 이 토크는 전술한 직진 홈(26)으로부터 핀(42)에 전달되고, 제2 회전 실린더(4)는 제1 회전 실린더(2)와 함께 광축 둘레로 회전한다. 제2 회전 실린더(4)가 직진 실린더(3)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제2 회전 실린더(4)는 수형 헬리코이드(43)와 직진 실린더(3)의 암형 헬리코이드(37)의 맞물림을 통해 광축 방향으로 전후로 이동한다. 전술한 핀(42)은 제2 회전 실린더(4)의 회전을 통해 헬리코이드(37, 43)의 피치에 대응하게 회전 및 이동하므로, 핀(42)이 직진 실린더(3)와 간섭하지 않도록, 전술한 관통 구멍(36)은 헬리코이드(37, 43)의 피치와 동일한 피치로 그리고 핀(42)의 직경보다 약간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제2 회전 실린더(4)의 내주면에는, 임의의 수의 캠 홈(44)이 형성된다. 제2 회전 실린더(4)의 내주측에는, 렌즈 유지 프레임이 끼워진다. 렌즈 유지 프레임의 내주측에는, 직진 실린더(3)와 유사한 실린더 형상의 제2 직진 실린더가 끼워진다. 렌즈 유지 프레임은, 예컨대 제1 렌즈 그룹을 유지하고, 제2 회전 실린더(4)의 회전을 통해 제1 렌즈 그룹과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제2 직진 실린더의 내주측에는, 예컨대 제2 렌즈 그룹을 유지하는 렌즈 프레임이 끼워지고, 제2 렌즈 그룹은, 제2 직진 실린더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임의의 캠 홈에 의해 안내되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는 렌즈 프레임의 이동 기구가 아니므로,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전술한 렌즈 배럴은 침동식 줌 렌즈에 적용될 수 있다. 각 구성 부재가 제1 고정 실린더(1)의 내주 속으로 들어간 수납 상태로부터, 각 구성 부재가 고정 실린더(1)로부터 조출한 촬영 가능 상태로의 이동, 그리고 상기 수납 상태로부터 가장 가까운 촬영 위치(예컨대, 광각단) 내지 가장 먼 촬영 위치(예컨대, 망원단)로의 이동을 설명한다.
제1 회전 실린더(2)가 전술한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 구동될 때, 제1 회전 실린더(2)의 수형 헬리코이드(28)는 고정 실린더(1)의 암형 헬리코이드(11)에 의해 리드되어, 제1 회전 실린더(2)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직진 실린더(3)는 제1 회전 실린더(2)의 내주측에 끼워지고, 직진 실린더(3)의 돌기(38)는 고정 실린더(1)의 직진 홈(12)에 끼워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4개의 돌기(31, 32, 33, 34)가 제1 회전 실린더(2)의 둘레방향의 홈(25)에 끼워지므로, 직진 실린더(3)는 광축 둘레로 회전하지 않고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와 함께 제1 회전 실린더(2)는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회전 실린더(2)의 내주면에 형성된 직진 홈(26)에는, 제2 회전 실린더(4)에 배치되어 직진 실린더(3)의 관통 구멍(36)을 관통하는 핀(42)이 끼워지므로, 제1 회전 실린더(2)가 회전하면, 이 토크가 제2 회전 실린더(4)에 전달되어, 제2 회전 실린더(4)도 또한 광축 둘레로 회전한다. 제2 회전 실린더(4)가 회전할 때에는, 제2 회전 실린더(4)의 수형 헬리코이드(43)와 직진 실린더(3)의 암형 헬리코이드(37)의 맞물림을 통해 제2 회전 실린더(4)가 전후로 이동한다.
도 1은 제1 회전 실린더(2), 직진 실린더(3) 및 제2 회전 실린더(4)가 고정 실린더(1)의 내주측에 들어가 수납되어 있는 수납 상태를 보여준다. 도 2와 도 4는, 제1회전 실린더(2)와 직진 실린더(3)가 고정 실린더(1)로부터 조출되고 제2 회전 실린더(4)가 직진 실린더(3)로부터 더 조출되어, 수납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촬영 위치(예컨대, 광각단)로 이동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은, 제1회전 실린더(2)와 직진 실린더(3)가 고정 실린더(1)로부터 더 조출되고 제2 회전 실린더(3)가 직진 실린더(3)로부터 더 조출되어, 수납 위치로부터 가장 먼 촬영 위치(예컨대, 망원단)로 이동한 상태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구조상의 특징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렌즈 배럴에 있어서, 직진 실린더가 광축 방향으로는 회전 실린더와 일체로 이동하고 광축 둘레로는 상대 회전하는, 회전 실린더와 직진 실린더의 접속 구조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접속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회전 실린더(2)와 직진 실린더(3)는, 4개의 절결부(21, 22, 23, 24)를 통한 4개의 돌기(31, 32, 33, 34)와 둘레방향의 홈(25)의 끼워 맞춤에 의해 접속된다. 이러한 접속은, 상기 4개의 돌기(31, 32, 33, 34)를 상기 4개의 절결부(21, 22, 23, 24)에 삽입하고, 이러한 삽입의 종단 위치에서, 제1 회전 실린더(2)를 직진 실린더(3)에 대해 도 8 내지 도 12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키며, 상기 4개의 돌기(31, 32, 33, 34)를 제1 회전 실린더(2)의 둘레방향의 홈(25)에 끼우는 것에 의해 수행된다.
도 8은 상기 4개의 돌기(31, 32, 33, 34)가 상기 4개의 절결부(21, 22, 23, 24)에 끼워질 때의 상황을 보여준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진 실린더(3)의 제1 돌기(31)와 제2 돌기(32)는 둘레방향으로 180°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즉 제1 돌기(31)와 제2 돌기(32)는 직진 실린더(3)의 중심 축선을 가로질러 서로의 반대편의 위치에 배치된다. 제3 돌기(33)는, 직진 실린더(3)의 중심 축선이 제1 돌기(31)의 배치 위치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90°보다 작은 각도로 회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직진 실린더(3)의 중심 축선에 대한 제1 돌기(31)와 제3 돌기(33) 사이의 각도를 각도 A라 한다. 제4 돌기(34)는, 직진 실린더(3)의 중심 축선이 제1 돌기(31)의 배치 위치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각도 A보다 작은 각도로 회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직진 실린더(3)의 중심 축선에 대한 제2 돌기(32)와 제4 돌기(34) 사이의 각도를 각도 B라 하는 경우, 각도 B가 각도 A보다 크며 약 140°이다.
제1 돌기(31)와 제2 돌기(32)의 둘레방향의 폭, 즉 실린더의 단면에 있어서 실린더의 중심 축선과 대상 부분(예컨대, 돌기, 홈 등)의 양단부 사이의 각도 또는 길이가, 제3 돌기(33)와 제4 돌기(34)의 둘레방향의 폭보다 크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돌기(31)와 제2 돌기(32)가 광축 방향으로 관통 구멍(36)과 겹치지 않도록 형성된다면, 예컨대 제1 돌기(31)와 제2 돌기(32)가 둘레방향으로 180°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면, 낙하시 등의 충격에 대한 강도가 향상된다. 여기서, 제1 돌기(31)와 제2 돌기(32)의 둘레방향의 폭은 예컨대 약 30°이다. 그러나, 돌기가 제1 돌기(31)와 제2 돌기(32), 2개뿐이라면, 제1 회전 실린더(2)와 직진 실린더(3)의 서로에 대한 평행도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상기 제1 돌기(31) 및 제2 돌기(32) 이외에, 예를 들어 제1 돌기(31)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90°만큼 떨어진 위치에 제3 돌기(33)를 배치하고 제2 돌기(32)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90°만큼 떨어진 위치에 제4 돌기(34)를 배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제1 회전 실린더(2)가 직진 실린더(3)에 대하여 90°회전하면, 폭이 좁은 제3 돌기(33) 및 제4 돌기(34)가, 폭이 넓은 제1 돌기(31) 및 제2 돌기(32)와 맞물리는 절결부에 면하게 되고, 제1 회전 실린더(2)와 직진 실린더(3)의 끼워 맞춤이 헐거워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우선 직진 실린더(3)에 배치된 제1 돌기(31)와 제2 돌기(31)가 둘레방향으로 180°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이들 돌기(31, 32)의 둘레방향의 폭이 각각 비교적 넓어서, 낙하시 등의 충격에 대한 강도가 충분하게 확보된다. 또한, 제1 돌기(31) 및 제2 돌기(32)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제3 돌기(33) 및 제4 돌기(34)가 배치되며, 제3 돌기(33)는 제1 돌기(31)로부터 90°보다 작은 각도인 각도 A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도 8에서, 제4 돌기(34)는 제2 돌기(32)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각도 B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각도 A와 각도 B는 A>180°-B의 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제3 돌기(33) 및 제4 돌기(34) 중 어느 하나가 제1 돌기(31) 및 제2 돌기(32)에 대응하게 큰 폭을 갖는 제1 절결부(21) 및 제2 절결부(22) 중 어느 하나에 면한다 하여도, 제3 돌기(33) 및 제4 돌기(34) 중 다른 하나는 어떤 절결부에도 면하지 않는다. 따라서, 돌기와 절결부의 끼워 맞춤은 해제되지 않고, 베이어닛 접속은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배럴의 조립 단계에 있어서 제1 회전 실린더(2)와 직진 실린더(3)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보여준다. 이러한 조립 단계에서, 직진 실린더(3)의 4개의 돌기(31, 32, 33, 34)는 제1 회전 실린더(2)의 4개의 절결부(21, 22, 23, 24)에 각각 삽입된다. 4개의 절결부(21, 22, 23, 24)의 단면 형상 및 크기는, 직진 실린더(3)를 중심 축선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4개의 돌기(31, 32, 33, 34)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게 각각 형성된다.
4개의 돌기(31, 32, 33, 34)가 4개의 절결부(21, 22, 23, 24)의 단부까지 삽입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실린더(2)를 비교적 작은 각도(약 10°)만큼만 반시계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켜, 각 돌기(31, 32, 33, 34)를 제1 회전 실린더(2)의 둘레방향의 홈(25)에 도입시키고, 베이어닛 접속을 행한다. 도 9에 도시된 위치가 조립의 최종 위치이며, 각 구성 부재가 고정 실린더(1) 속으로 들어간 침동 위치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침동 위치로부터 촬영 위치로 하기 위해, 제1 회전 실린더(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각 구성 부재를 고정 실린더(1)로부터 조출하고 있는 단계를 보여준다. 제1 회전 실린더(2)의 회전 각도는 도 8에 도시된 조립 단계의 위치에 대하여 각도 A이며, 제3 돌기(33)가 제1 절결부(21)에 면하고 있다. 제3 돌기(33)의 둘레방향의 폭이 제1 절결부(21)의 둘레방향의 폭보다 작지만, 각 돌기(31, 32, 33, 34)는 전술한 바와 같은 상대적 각도 위치의 관계를 가지므로, 제3 돌기(33)를 제외한 나머지 3개의 돌기는 어떤 절결부에도 면하지 않고, 베이어닛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도 10에 도시된 상황은, 침동 위치로부터 촬영 위치를 향해 이동하고 있는 상황이며, 이러한 상황이 유지될 가능성은 거의 없으므로, 제3 돌기(33)는 제1 절결부(21)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제1 회전 실린더(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상황은 침동 위치, 즉 각 구성 부재의 수납 위치로부터 도 11에 도시된 가장 가까운 촬영 위치에 이르도록 움직인다. 제1 회전 실린더(2)와 직진 실린더(3)가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상기 가장 가까운 촬영 위치까지 상대 회전하는 각도를 β라 하면, 제1 회전 실린더(2)가 도 8에 도시된 조립 상태로부터 회전한 각도는 α+β이다. 이러한 촬영 위치는 예를 들어 광각단이다. α+β와 상기 각도 A의 관계는 (α+β)>A이다.
제1 회전 실린더(2)를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각 렌즈 그룹은 제1 회전 실린더(2)의 회전 각도에 상응하게 소정의 비율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초점 거리가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도 12는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상기 가장 먼 촬영 위치, 예컨대 망원단까지 이동할 때의 회전 실린더(2)와 직진 실린더(3)의 위치 관계를 보여준다. 제1 회전 실린더(2)와 직진 실린더(3)가 상기 가장 가까운 촬영 위치로부터 상기 가장 먼 촬영 위치까지 상대 회전하는 각도를 γ라 하면, 제1 회전 실린더(2)가 도 8에 도시된 조립 상태로부터 회전한 각도는 α+β+γ이다. α+β+γ와 상기 각도 B의 관계는 (α+β+γ)>B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황으로부터 도 12에 도시된 가장 먼 촬영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4개의 돌기(31, 32, 33, 34) 중 어느 하나가 4개의 절결부(21, 22, 23, 24) 중 어느 하나와 면할 수 있지만, 나머지 돌기는 나머지 절결부와 면하지 않으며, 베이어닛 접속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직진 실린더(3)에 마련된 제1 돌기(31)와 제2 돌기(32)는, 말하자면 주 돌기이고, 제1 돌기(31) 및 제2 돌기(32)와 직진 실린더(3)에 형성된 관통 구멍(36) 사이의 위치 관계가 본 발명의 특징이다. 도 13은 실린더 형상인 직진 실린더(3)의 전개도이다. 그리고, 도 13에서, 관통 구멍(36)이 둘레방향으로 마련되는 영역은, 직진 실린더(3)를 둘레방향에서 보았을 때, 둘레벽에 있어서 각도 D(후술함)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진 실린더(3)에는 둘레방향으로 180°의 간격을 두고서 2개의 관통 구멍(36)이 마련된다. 각 관통 구멍(36)의 둘레방향에서의 각도, 즉 광축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 있어서 중심 축선과 각 관통 구멍(36)의 양단부 사이의 각도를 각도 D라 하면, 각도 D는 180°보다 작고, 여기서는 예를 들어 약 150°이며, 직진 실린더(3)를 광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2개의 관통 구멍(36) 중 어느 것과도 상기 돌기가 겹쳐있지 않은 영역은 둘레방향으로 2곳이 있다. 이러한 두 영역에, 제1 돌기(31)와 제2 돌기(32)가 각각 배치되며, 제3 돌기(33)와 제4 돌기(34)는 광축 방향에 있어서 관통 구멍(36)과 겹치는 직진 실린더(3)의 영역에 배치된다. 제1 돌기(31)와 제2 돌기(32)는, 직진 실린더(3)의 둘레벽에 있어서 관통 구멍(36)이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마련된다.
직진 실린더(3)에는 관통 구멍(36)이 존재하기 때문에, 관통 구멍(36)이 둘레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는 영역의 강도가 저하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주 돌기인 제1 돌기(31) 및 제2 돌기(32)는 관통 구멍(36)이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형성되므로, 제1 돌기(31) 및 제2 돌기(32)가 배치된 곳의 부근의 강도는 쉽게 저하하지 않는다. 그리고, 주 돌기인 제1 돌기(31) 및 제2 돌기(32)는 관통 구멍(36)이 광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형성되므로, 제1 돌기(31) 및 제2 돌기(32)가 배치된 곳의 부근의 강도는 쉽게 저하하지 않는다. 따라서, 렌즈 배럴의 낙하시 등에 상기 제1 돌기(31) 및 제2 돌기(32)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직진 실린더(3)의 제1 돌기(31) 및 제2 돌기(32)의 부근은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그리고, 베이어닛 접속이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제1 돌기(31) 및 제2 돌기(32)의 돌출량을 증대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렌즈 배럴의 직경을 크게 할 필요가 없다.
제3 돌기(33)의 폭은 제2 돌기(32)의 폭보다 작고, 제4 돌기(34)의 폭은 제1 돌기(31)의 폭보다 작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먼 촬영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제3 절결부(23)가 제2 돌기(32)의 위치를 통과할 때, 제3 절결부(23)는 제2 돌기(32)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이동하는 동안에 제4 절결부(24)가 제1 돌기(31)의 위치를 통과할 때, 제4 절결부(24)도 제1 돌기(31)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또한, 제4 돌기(34)의 폭은 제2 돌기(32)의 폭보다 작고, 제4 돌기에 대응하는 제4 절결부(24)의 폭은 제2 돌기(32)에 대응하는 제2 절결부(22)의 폭보다 작지만, 전술한 관계 (α+β+γ)<B가 있으므로, 제2 절결부(22)는 제4 돌기(34)의 위치까지 이동하지 않는다(도 12 참조). 따라서, 제2 절결부(22)와 제4 돌기(34)의 맞물림은 해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주 돌기인 제1 돌기(31) 및 제2 돌기(32)가 직진 실린더(3)의 광축 방향에서의 고강도부에 배치되어, 제1 회전 실린더(2)와 직진 실린더(3)의 접속 강도가 주로 확보되고, 제3 돌기(33) 및 제4 돌기(34)에 의해 상기 접속 강도가 보조적으로 확보되며, 낙하 등에 기인한 충격에 대한 강도가 큰 구조가 실현된다. 주 돌기인 제1 돌기(31) 및 제2 돌기(32) 이외에도, 제3 돌기(33) 및 제4 돌기(34)를 마련함으로써, 제1 회전 실린더(2)와 직진 실린더(3)의 베이어닛 접속은 안정화되며, 렌즈 배럴의 전단부가 아래로 기울어지는 것도 줄어든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주 돌기인 제1 돌기(31) 및 제2 돌기(32) 이외에, 제3 돌기(33) 및 제4 돌기(34)가 보조적으로 배치되며, 즉 총 4개의 돌기와 이 4개의 돌기에 대응하는 4개의 절결부가 배치된다. 그러나, 2개의 주 돌기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보조 돌기가 있을 수 있으며, 즉 총 3개의 돌기가 있을 수도 있고, 혹은 총 4개 이상의 돌기가 있을 수 있다.
직진 실린더(3)의 상기 돌기(31, 32, 33, 34)의 높이가 서로 달라도 문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7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돌기의 높이가 서로 거의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제1 회전 실린더(2)의 절결부(21, 22, 23, 24)의 깊이가 균일해진다. 따라서, 제1 회전 실린더(2)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렌즈 배럴 전체의 반경방향의 크기가 작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배럴은 카메라, 휴대형 데이터 단말 장치, 화상 입력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카메라는 촬영 렌즈를 포함하며, 전술한 렌즈 배럴을 이 촬영 렌즈의 렌즈 배럴로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는, 큰 충격을 받더라도 쉽게 고장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PDA, 휴대 전화 등과 같이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형 데이터 단말 장치가 제공되어 있으며, 전술한 렌즈 배럴을 이 카메라의 촬영 렌즈의 렌즈 배럴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데이터 단말 장치는, 큰 충격을 받더라도 쉽게 고장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촬영 렌즈를 구비하고, 이 촬영 렌즈에 의해 결상된 화상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화상 입력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전술한 렌즈 배럴을 이 화상 입력 장치의 촬영 렌즈의 렌즈 배럴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입력 장치, 큰 충격을 받더라도 쉽게 고장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직진 실린더의 돌기가 3개 이상 마련되므로, 제1 회전 실린더와 직진 실린더는 베이어닛 접속의 상태에서 상대 회전 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한다. 직진 실린더는, 제2 회전 실린더에 마련되는 핀에 대한 관통 구멍을 둘레방향으로 소정 각도 범위에 걸쳐 구비한다. 그 이유는 직진 실린더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에 있다. 그러나, 직진 실린더에 마련된 적어도 2개의 돌기는, 관통 구멍과 광축 방향으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된다. 따라서, 렌즈 배럴 또는 이 렌즈 배럴을 구비하는 카메라 등이 낙하 등에 기인한 충격을 받더라도, 직진 실린더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돌기가 마련되는 위치의 기계적 강도는 유지된다. 따라서, 적어도 2개의 돌기가 마련되는 위치의 변형은 방지되고, 또는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근소한 범위로 억제되며, 베이어닛 접속은 해제되지 않고, 제1 회전 실린더와 직진 실린더의 정상적인 상대 이동이 확보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전술한 실시예에 대해 변형을 실시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본 출원은 2007년 12월 18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7-325957호와 2008년 9월 29일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8-251520호를 기초로 하고,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이들 특허 출원의 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
1 : 고정 실린더
2 : 제1 회전 실린더
3 : 직진 실린더
4 : 제2 회전 실린더
5 : 베이스 부재
11 : 헬리코이드
12 : 직진 홈
21 : 제1 절결부
22 : 제2 절결부
23 : 제3 절결부
24 : 제4 절결부
25 : 둘레방향의 홈
26 : 직진 홈
28 : 헬리코이드
29 : 랙
31 : 제1 돌기
32 : 제2 돌기
33 : 제3 돌기
34 : 제4 돌기
36 : 관통 구멍
37 : 헬리코이드
38 : 돌기
42 : 핀
43 : 헬리코이드
44 : 캠 홈

Claims (15)

  1. 렌즈 배럴에 있어서,
    고정 실린더;
    상기 고정 실린더에 대하여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회전 실린더;
    제1 회전 실린더의 내주측에 배치되고 제1 회전 실린더와 함께 축선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하며 축선 둘레로 상대 회전하는 실린더 형상의 직진 실린더; 및
    상기 직진 실린더의 내주측에 배치되는 제2 회전 실린더
    를 포함하고,
    상기 직진 실린더는 외주면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3개 이상의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회전 실린더는 내주면에 상기 직진 실린더의 각 돌기에 대응하며 각 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인 3개 이상의 절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의 3개 이상의 절결부는 각각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의 축선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직진 실린더의 각 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직진 실린더의 각 돌기가 삽입되는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의 각 절결부의 단부는 둘레방향의 홈에 이어지고, 이 둘레방향의 홈에 상기 직진 실린더의 각 돌기가 도입되어(guided), 제1 회전 실린더와 직진 실린더가 접속되며,
    상기 직진 실린더는 상기 제2 회전 실린더에 마련된 핀에 대한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3개 이상의 돌기 중 2개 이상의 돌기는 상기 직진 실린더의 외주면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이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 배럴은 침동식 렌즈 배럴이고, 상기 제1 회전 실린더, 상기 직진 실린더 및 상기 제2 회전 실린더는 상기 고정 실린더의 내주에 수납되며, 상기 직진 실린더의 각 돌기가 상기 둘레방향의 홈에 도입되고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가 미리 정해놓은 각도로 상대 회전한 위치를 조립 위치로서 취하며,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가 상기 조립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놓은 각도로 상대 회전한 위치가, 상기 고정 실린더의 내주에 상기 제1 회전 실린더, 상기 직진 실린더 및 상기 제2 회전 실린더가 수납되는 수납 위치이고,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를 더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회전 실린더, 상기 직진 실린더 및 상기 제2 회전 실린더가 상기 고정 실린더로부터 전방으로 조출(繰出)한 위치가 촬영 위치이며,
    상기 촬영 위치는,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의 상대 회전을 통해,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촬영 위치 내지 가장 먼 촬영 위치로의 범위에서 연속적으로 바뀔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의 조립 위치로부터 상기 수납 위치까지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가 상대 회전한 각도를 α라 하고,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상기 가장 가까운 촬영 위치까지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가 상대 회전한 각도를 β라 하며, 상기 가장 가까운 촬영 위치로부터 상기 가장 먼 촬영 위치까지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가 상대 회전한 각도를 γ라 할 때,
    상기 3개 이상의 돌기 중 제1 돌기와 제2 돌기가 둘레방향으로 180°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3개 이상의 돌기 중에서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보다 둘레방향의 폭이 좁은 제3 돌기가,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로부터 α+β°미만의 각도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렌즈 배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방향의 홈은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것인 렌즈 배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실린더의 내주면에 직진 홈이 축선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직진 실린더의 후단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며 상기 직진 홈에 끼워지는 후단부 돌기가 마련되는 것인 렌즈 배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 실린더가 구비하는 상기 3개 이상의 돌기의 높이가 동일한 것인 렌즈 배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보다 둘레방향의 폭이 좁은 제4 돌기가,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로부터 α+β+γ°이상의 각도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렌즈 배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실린더에 마련된 핀은, 상기 직진 실린더에 마련된 관통 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의 내주에 형성된 직진 홈에 맞물려서,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의 토크를 상기 제2 회전 실린더에 전달하는 것인 렌즈 배럴.
  11. 촬영 렌즈를 구비하는 카메라로서, 촬영 렌즈의 렌즈 배럴이 제1항에 따른 렌즈 배럴인 것인 카메라.
  12.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형 데이터 단말 장치로서, 카메라의 촬영 렌즈의 렌즈 배럴이 제1항에 따른 렌즈 배럴인 것인 휴대형 데이터 단말 장치.
  13. 촬영 렌즈를 구비하며 촬영 렌즈에 의해 결상된 화상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화상 입력 장치로서, 상기 촬영 렌즈의 렌즈 배럴이 제1항에 따른 렌즈 배럴인 것인 화상 입력 장치.
  14. 제1 회전 실린더에 끼워 맞춰져서 렌즈 배럴을 구성하는 직진 실린더로서,
    외주면에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한 3개 이상의 돌기와,
    제2 회전 실린더에 마련된 핀에 대한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3개 이상의 돌기 중 2개 이상의 돌기는 상기 직진 실린더의 외주면에 있어서 관통 구멍이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렌즈 배럴은 침동식 렌즈 배럴이고, 상기 제1 회전 실린더, 상기 직진 실린더 및 상기 제2 회전 실린더는 고정 실린더의 내주에 수납되며, 상기 직진 실린더의 각 돌기가 상기 둘레방향의 홈에 도입되고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가 미리 정해놓은 각도로 상대 회전한 위치를 조립 위치로서 취하며,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가 상기 조립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놓은 각도로 상대 회전한 위치가, 상기 고정 실린더의 내주에 상기 제1 회전 실린더, 상기 직진 실린더 및 상기 제2 회전 실린더가 수납되는 수납 위치이고,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를 더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회전 실린더, 상기 직진 실린더 및 상기 제2 회전 실린더가 상기 고정 실린더로부터 전방으로 조출(繰出)한 위치가 촬영 위치이며,
    상기 촬영 위치는,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의 상대 회전을 통해,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촬영 위치 내지 가장 먼 촬영 위치로의 범위에서 연속적으로 바뀔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의 조립 위치로부터 상기 수납 위치까지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가 상대 회전한 각도를 α라 하고, 상기 수납 위치로부터 상기 가장 가까운 촬영 위치까지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가 상대 회전한 각도를 β라 하며, 상기 가장 가까운 촬영 위치로부터 상기 가장 먼 촬영 위치까지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와 상기 직진 실린더가 상대 회전한 각도를 γ라 할 때,
    상기 3개 이상의 돌기 중 제1 돌기와 제2 돌기가 둘레방향으로 180°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3개 이상의 돌기 중에서 상기 제1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보다 둘레방향의 폭이 좁은 제3 돌기가, 상기 제1 회전 실린더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로부터 α+β°미만의 각도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렌즈 배럴용 직진 실린더.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직진 실린더의 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직진 실린더의 후단부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고정 실린더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후단부 돌기가 마련되는 것인 렌즈 배럴용 직진 실린더.
KR1020107014343A 2007-12-18 2008-12-17 렌즈 배럴, 카메라, 휴대형 데이터 단말 장치, 화상 입력 장치 및 렌즈 배럴용 실린더 KR101170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25957 2007-12-18
JPJP-P-2007-325957 2007-12-18
JPJP-P-2008-251520 2008-09-29
JP2008251520A JP5298737B2 (ja) 2007-12-18 2008-09-29 レンズ鏡胴、カメラ、携帯型情報端末装置、画像入力装置およびレンズ鏡胴用筒
PCT/JP2008/073498 WO2009078491A1 (en) 2007-12-18 2008-12-17 Lens barrel, camera, portable data terminal equipment, image input equipment, and cylinder for lens barr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046A KR20100087046A (ko) 2010-08-02
KR101170245B1 true KR101170245B1 (ko) 2012-07-31

Family

ID=4079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343A KR101170245B1 (ko) 2007-12-18 2008-12-17 렌즈 배럴, 카메라, 휴대형 데이터 단말 장치, 화상 입력 장치 및 렌즈 배럴용 실린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75206B2 (ko)
EP (1) EP2220530B1 (ko)
JP (1) JP5298737B2 (ko)
KR (1) KR101170245B1 (ko)
CN (1) CN101903817B (ko)
WO (1) WO20090784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4728B2 (ja) * 2010-02-03 2014-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D865030S1 (en) 2010-04-09 2019-10-29 Sony Corporation Camera
USD810809S1 (en) * 2010-05-11 2018-02-20 Sony Corporation Video camera
JP2012018387A (ja) 2010-06-07 2012-01-26 Ricoh Co Ltd レンズ鏡胴
JP5765617B2 (ja) * 2011-03-10 2015-08-19 株式会社リコー レンズ鏡胴、撮像装置、情報装置および画像入力装置
JP2016126243A (ja) 2015-01-07 2016-07-11 株式会社リコー カメラ装置
CN107295298B (zh) * 2016-04-11 2020-12-15 罗伯特·博世有限公司 摄像机
CN106526780A (zh) * 2016-12-16 2017-03-22 福建福光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变焦镜头焦距调节限位结构
JP6828696B2 (ja) * 2018-01-17 2021-02-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回転体をレバー操作で回転させる操作装置及びその操作装置を備える投影装置
CN112637461B (zh) * 2020-12-21 2022-08-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摄像模组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3842A (ja) * 1996-01-26 1997-08-05 Nikon Corp レンズ鏡筒
JPH09211292A (ja) * 1996-01-31 1997-08-15 Canon Inc レンズ鏡筒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H11183771A (ja) 1997-12-24 1999-07-09 Canon Inc 連結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カメラ
US6813093B2 (en) 2002-02-27 2004-11-02 Olympus Corporation Lens barrel
JP3954408B2 (ja) * 2002-02-27 2007-08-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レンズ鏡筒
US6989944B2 (en) * 2001-09-18 2006-01-24 Olympus Corporation Camera
JP2003322786A (ja) 2002-04-30 2003-11-14 Canon Inc レンズ鏡筒
US7025512B2 (en) * 2002-08-27 2006-04-11 Pentax Corporation Retracting mechanism of a retractable lens
US6963694B2 (en) 2002-08-27 2005-11-08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JP4537722B2 (ja) * 2003-02-03 2010-09-08 Hoya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4575114B2 (ja) * 2003-12-24 2010-11-0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
JP4571811B2 (ja) * 2004-02-16 2010-10-27 Hoya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のカム機構
JP5073172B2 (ja) 2005-03-17 2012-11-14 株式会社リコー ディジタルカメラ及び携帯型情報端末装置
JP4688208B2 (ja) * 2005-10-18 2011-05-25 株式会社リコー レンズ鏡胴、カメラおよび携帯型情報端末装置
JP5006576B2 (ja) 2006-05-26 2012-08-22 株式会社リコー レンズ鏡胴、このレンズ鏡胴を用いたカメラ、デジタルカメラ、携帯型情報端末装置、及び、画像入力装置
CN100510831C (zh) * 2006-12-31 2009-07-08 深圳市大族激光科技股份有限公司 变倍扩束镜
JP2009069290A (ja) 2007-09-11 2009-04-02 Ricoh Co Ltd 撮像装置、レンズ鏡胴、カメラおよび携帯型情報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20530A4 (en) 2012-09-26
EP2220530A1 (en) 2010-08-25
US20100247092A1 (en) 2010-09-30
EP2220530B1 (en) 2014-05-21
CN101903817B (zh) 2012-08-22
KR20100087046A (ko) 2010-08-02
JP2009169388A (ja) 2009-07-30
CN101903817A (zh) 2010-12-01
WO2009078491A1 (en) 2009-06-25
US8075206B2 (en) 2011-12-13
JP5298737B2 (ja)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245B1 (ko) 렌즈 배럴, 카메라, 휴대형 데이터 단말 장치, 화상 입력 장치 및 렌즈 배럴용 실린더
KR101106422B1 (ko) 렌즈 배럴, 카메라 및 정보 장치
JP5765617B2 (ja) レンズ鏡胴、撮像装置、情報装置および画像入力装置
JP2007139964A (ja) ズームレンズ鏡筒の繰出カム機構
JP4594867B2 (ja) ダウンサイジングズームレンズ
US7229223B2 (en) Rotation transfer mechanism and a zoom camera incorporating the rotation transfer mechanism
JP2010054645A (ja)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
JP2006317809A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US6369956B1 (en) Zoom lens barrel
US20100046098A1 (en) Lens drive unit, lens barrel, and image forming device
KR101100995B1 (ko) 렌즈 배럴 및 휴대형 정보 단말 장치
JP2009069290A (ja) 撮像装置、レンズ鏡胴、カメラおよび携帯型情報端末装置
JP2003090947A (ja) ズームレンズ鏡筒
US8483555B2 (en) Lens barrel
JP4966615B2 (ja)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US20060269267A1 (en) Lens barrel
JP3416317B2 (ja) レンズ鏡筒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2009128472A (ja) レンズ鏡胴、カメラおよび携帯型情報端末装置
US8238041B2 (en) Lens barrel
US6335834B1 (en) Barrel having cam groove and helicoid
JP4808390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カメラ
JP2010008634A (ja) レンズ鏡筒
JP2008076580A (ja)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JP2008112016A (ja) レンズ駆動装置
US10254560B2 (en) Lens barrel and optical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