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767B1 - 프린트기판 가공기 - Google Patents

프린트기판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767B1
KR101168767B1 KR1020040039871A KR20040039871A KR101168767B1 KR 101168767 B1 KR101168767 B1 KR 101168767B1 KR 1020040039871 A KR1020040039871 A KR 1020040039871A KR 20040039871 A KR20040039871 A KR 20040039871A KR 101168767 B1 KR101168767 B1 KR 101168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body
pressure
hole
workpiece
contac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3504A (ko
Inventor
가도히로후미
이토야스시
스즈키노부히코
Original Assignee
히다치 비아 메카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비아 메카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비아 메카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3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46Devices for removing chips by su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8Drill jigs for workpie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44Mechanical working of the substrate, e.g. drilling or punching
    • H05K3/0047Drilling of h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21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signal, indicator, illuminator or optical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44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means to apply transient, fluent medium to work or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5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with product handling or receiv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3976Milling with means to control temperature or lubricate
    • Y10T409/304032Cutter or 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4088Milling with means to remove chip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정밀도를 손상하지 않고, 또한 가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린트기판 가공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프레셔풋(132)에 한쪽이 상판(31)에 면하는 하면(123a)에 개구하고, 다른쪽이 압축기체원(55)에 접속되는 복수의 구멍(50)을 설치하며, 이 구멍(50)으로부터 가공시에 프레셔풋(132)이 상판(31) 및 프린트기판 (30)을 가압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압력의 기체를 분출시킨다. 또한 기체를 분출시키는 기간은 적어도 프레셔풋(132)과 상판(31)이 상대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기간으로 한다.
Figure R1020040039871
테이블, 하우징, 프린트기판 천공기, 드릴, 스핀들, 프레셔풋, 부시

Description

프린트기판 가공기{PRINTED BOARD MACHIN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트기판 가공기의 한 예인 프린트기판 천공기의 스핀들과 프레셔풋의 선단부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부시의 선단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트기판 가공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3의 (a)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온 드릴이 대기위치에서가동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스핀들과 함께 하강을 개시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프레셔풋이 상판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의 (c)는 프레셔풋이 상판으로부터 떨어지려고 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의 (d)는 드릴이 대기위치까지 상승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하려고 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종래의 프린트기판 가공기의 한 예인 프린트기판 천공기의 외관사시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프린트기판 천공기의 스핀들과 프레셔풋의 선단부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테이블 10: 하우징
14, 114: 프린트기판 천공기 20: 드릴
21: 스핀들 22, 22a: 프레셔풋 본체
22b: 어댑터 23, 123: 부시
24, 124: 홈 25: 공간부
26: 배관 27: 집진기
28: CNC장치 29, 129: 드릴관통구멍
30: 프린트기판 31: 상판
32, 132: 프레셔풋 50, 52: 구멍
50a: 개구부 53: 전자밸브
54: 압력조정기 55: 압축기체원
56: O링 57: 집진기
123a: 접촉면 123b: 외주부
본 발명은 프레셔풋(pressure foot)에 의해서 가공물의 가공부 주변을 테이블에 압박하여 공구에 의해서 그 가공물에 가공을 실시하는 프린트기판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프린트기판 가공기의 한 예인 프린트기판 천공기의 외관사시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프린트기판 천공기의 스핀들과 프레셔풋의 선단부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4,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기판 천공기(14)에 있어서의 테이블(1)은 베드(3)상에 고정한 궤도(4)상을 X축모터(2)에 의해서 화살표 X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칼럼(5)은 테이블(1)을 벌려서 베드(3)에 고정되어 있다. 크로스 슬라이드(6)는 칼럼(5)상에 고정한 궤도(9)상을 Y축모터(7) 및 볼나사(8)에 의해서 화살표 Y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10)은 크로스 슬라이드(6)상에 고정하고 있는 궤도(13)상을 Z축모터(11) 및 볼나사(12)에 의해서 화살표 Z방향으로 이동(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공구인 드릴(20)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는 스핀들(21)은 하우징(10)에 지지되어 있다. 스핀들(21)의 선단부에 걸어 맞추는 프레셔풋 본체(22)는 미도시의 실린더를 통하여 하우징(10)에 지지되어 Z축방향으로 이동(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프레셔풋 본체(22)의 선단에는 부시(23)를 설치하고 있다. 부시(23)의 축심의 위치에는 드릴(20)이 관통하는 드릴관통구멍(29)을 형성하고 있다. 이하 프레셔풋 본체(22)와 부시(23)를 합친 부분을 프레셔풋이라고 하고, 부호를 “32”로 한다.
부시(23)의 하단부에는 외주부와 드릴관통구멍(29)을 접속하는 홈(24)을 형성하고 있다. 스핀들(21)과 프레셔풋(32)으로 형성되는 공간부(25)는 배관(26)에 의해서 집진기(흡인기구)(27)에 접속하고 있다. CNC장치(제어부)(28)는 각 축의 모터 등의 제어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가공물인 프린트기판(30)은 복수장이 겹쳐져서 최상부에 배치된 상판(31)과 함께 테이블(1)에 고정되어 있다. 상판(31)은 두께 0. 5㎜ 정도의 알루미늄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린트기판 천공기(14)는 상판(31)과 프린트기판(30)에 천공가공을 할 때, 미도시의 에어실린더에 의해서 프레셔풋(32)을 하강시키는 동시에, 집진기(27)를 동작시켜서 공간부(25)를 부압(vacuum)으로 하고, 드릴(20)을 천공위치에 위치결정한 후, 소정의 높이까지 스핀들(21)을 하강시킨다. 그리고 프린트기판 천공기(14)는 프레셔풋(32)에 의해서 상판(31)과 프린트기판(30)을 테이블(1)에 압박하여 드릴 (20)에 의해서 상판(31)과 프린트기판(30)에 구멍을 뚫는다.
천공가공이 종료하면, 프린트기판 천공기(14)는 프레셔풋(32)의 하단(부시 (23)의 하단)이 상판(31)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프레셔풋(32)과 스핀들(21)을 상승시키고 나서 드릴(20)과 함께 프레셔풋(32)과 스핀들(21)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드릴(20)의 다음 가공장소에 위치결정을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프린트기판 천공기(14)는 프레셔풋(32)에 의해서 상판(31)과 프린트기판(30)을 테이블(1)에 압박한 상태에서 드릴(20)을 상판(31)으로 깊이 베도록 되어 있으므로 가공위치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종래의 프린트기판 천공기(14)는 가공에 의해 발생한 가공찌꺼기를 도 5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24)으로부터 유입하는 공기에 의해서 바로 집진기(27)에 회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정확한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프린트기판 천공기(14)의 천공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다음의 가공장소에 드릴(20)을 이동시킬 때, 드릴(20) 선단의 위치(이하, 「대기위치」라 한다)를 될 수 있는한 상판(31)에 가까이 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프 레셔풋(32)의 하단에 대한 드릴(20) 선단의 위치는 사전에 정해져 있으므로 대기위치에 있어서의 드릴(20) 선단의 위치를 산판(31)에 가까이 하면 프레셔풋(32)의 하단도 상판(31)에 가까이 하는 것으로 되어 상판(31)과 프레셔풋(32)의 거리(L1)가 짧아진다.
그러나 거리(L1)를 너무 짧게 하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판(31)이 집진기(27)의 집진력에 의해서 프레셔풋(32)측으로 흡인되어 들뜨고, 프레셔풋 (32)의 하단에 상판(31)이 충돌하여 상판(31)에 흠이 나는 일이 있다. 이 경우 흠이 난 장소가 다음의 천공위치이면, 드릴(20)의 선단이 상판(31)에 맞닿았을 때 옆으로 미끄러져서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게 구멍을 뚫을 수 없게 되거나, 드릴을 부러뜨리거나 하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처한 프린트기판 천공기로서 일본의 특허공개공보 1991-3713호는 프린트기판에 구멍을 뚫을 때, 프레셔풋의 하면에 형성한 구멍으로부터 압축공기를 분출하여 프레셔풋의 하면과 상판의 사이에 공기막을 형성하고, 프레셔풋을 상판으로부터 뜨게 한 상태에서 상판 및 프린트기판을 압축공기에 의해 가압하도록 한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거리(L1)를 짧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프레셔풋과 상판의 간섭을 방지하여 상판에 흠을 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프린트기판 천공기는 프레셔풋을 지지하는데에 막대한 양의 압축공기를 필요로 하고 있었다. 또 프레셔풋을 직접 상판에 맞닿게 하는 경우에 비해서 가압력의 변동이 크고, 상판과 프린트기판의 누름이 불안정했었다.
본 발명은 가공정밀도를 손상하지 않고, 가공능률을 향상시킨 프린트기판 가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프린트기판 가공기는, 테이블에 재치된 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공구를 가지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스핀들에 고정되며, 상기 가공물에 접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에서 개구하여 상기 공구의 선단이 출입하는 공구 관통구멍과, 가공물의 들뜸 방지를 위하여 압축기체를 분출하도록 상기 접촉면을 관통하여 개구된 압축기체 분출구멍, 및 상기 접촉면이 상기 가공물에 맞닿아 있을 때 프레셔풋의 외주부와 상기 공구 관통구멍을 연통시키기 위하여 상기 접촉면에 형성되는 홈을 갖는 상기 프레셔풋과, 상기 스핀들과 상기 프레셔풋 사이의 공간부를 부압으로 하기 위한 흡인기구; 및, 상기 프레셔풋의 상기 압축기체 분출구멍으로 압축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기체 공급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스핀들의 상기 공구는, 상기 흡인기구가 상기 공간을 부압으로 하고 상기 프레셔풋의 상기 접촉면이 상기 테이블을 향하여 가공물을 아래로 가압하는 동안 상기 가공물을 가공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기체분출구멍으로부터의 상기 압축기체의 분출 압력은 상기 프레셔풋의 접촉면이 상기 가공물에 맞닿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압력으로 설정되어 상기 접촉면은 상기 가공물의 가공시에 상기 가공물에 접촉하는 것이 허용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린트기판 가공기는 상기 압축기체 공급기구가 상기 프레셔풋의 접촉면이 상기 가공물에 맞닿아 있는 동안 상기 압축기체의 공급을 정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기체 공급기구는 상기 공구와 상기 가공물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스핀들의 축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 상기 압축기체 분출구멍으로부터 상기 압축기체를 분출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프린트기판 가공기는 상기 압축기체 분출구멍이 상기 공구쪽을 향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린트기판 가공기는 공간부 내의 부압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기체 공급기구가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 압력의 증감에 동반하여 상기 압축기체의 압력을 증감 가능하다.
압축기체 분출구멍으로부터의 상기 압축기체의 분출 압력이 프레셔풋의 접촉면이 가공물에 맞닿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압력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소량의 기체로 상판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고, 가공속도 및 가공정밀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 특유의 성질 및 기타 목적, 용도,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트기판 가공기의 한 예인 프린트기판 천공기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트기판 가공기의 한 예인 프린트기판 천공기의 스핀들과 프레셔풋의 선단부의 정면 단면도이다.
또한 종래예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부분의 구조의 설명과 동작의 설명을 일부 생략한다.
프레셔풋(132)은 프레셔풋 본체(22a)와, 프레셔풋 본체(22a)와 기밀적으로 일체의 어댑터(22b) 및 부시(123)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셔풋 본체(22a)는 미도시의 실린더를 통하여 하우징(10)에 지지되고, 또한 스핀들(21)에 축심을 일치하여 끼워 맞추며, Z축방향으로 이동(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프레셔풋 (132)은 스핀들(21)의 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자유롭게 스핀들(21)에 끼워 맞추고 있는 것으로 된다. 프레셔풋 본체(22a)의 선단에는 어댑터(22b)를 설치하고 있다. 어댑터(22b)에는 부시(123)를 설치하고 있다. 부시(123)에는 드릴(20)이 관통하는 공구관통구멍인 드릴관통구멍(129)을 형성하고 있다.
부시(123)에는 압축기체 분출구멍인 구멍(50)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50)의 축은 드릴(20)의 축을 향하게 하여 형성되어 있다. 구멍(50)의 일단은 부시 (123)의 하면(접촉면, 123a)에 개구하고, 타단은 부시(123)와 어댑터(22b)로 형성된 공기저장실(51)에 개구하고 있다. 부시(123)의 하면(123a)에는 부시(123)의 외주부(123b, 도 2 참조)와 드릴관통구멍(129)을 접속하는 복수의 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면(=맞닿음면)(123a)은 상판(31)에 접촉하여 상판(31)과 프린트기판(30)을 테이블(1)에 압박하는 부분이다. 또한 부시(123)의 외주부(123b)는 프레셔풋(132)의 외주부이기도 하다.
어댑터(22b, 도 1 참조)에 형성된 구멍(52)의 일단은 공기저장실(51)에 개구하고, 타단은 전자(電磁)밸브(53) 및 압력조정기(54)를 통하여 압축기체원(55)에 접속되어 있다. 전자밸브(53)와 압력조정기(54)와 압축기체원(55)은 압축기체 공급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압축기체 공급기구에 압력조정기(54)는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는다.
O링은(56)은 공기저장실(51)과 공간부(25) 사이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동시에 부시(123)를 어댑터(22b)에 대해서 위치결정 유지하고 있다. 전자밸브 (53), 압력조정기(54) 및 압축기체원(55)은 CNC장치(28)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공간부(25)와 집진기(27)의 사이에는 압력센서(57)가 배치되어 있다. 압력센서(57)는 CNC장치(28)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프린트기판 천공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트기판 가공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고, 도 3의 (a)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온 드릴(20)이 대기위치에서 가공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스핀들과 함께 하강을 개시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프레셔풋(132)이 상판(31)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며, 도 3의 (c)는 프레셔풋(132)이 상판(31)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의 (d)는 드릴(20)이 대기위치까지 상승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하려고 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드릴(20)이 대기위치에 있을 때는 전자밸브(53)가 열려서 구멍(50)의 선단으로부터 압축기체원(55)에 의해서 압축공기가 분출된다. 그리고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셔풋(132)과 상판(31)의 거리가 소정의 거리 (L2)로 되면, 전자밸브(53)가 닫혀서 업축공기의 분출이 정지된다. 그리고 도 3의 (d)에 나타내는 상태까지 전자밸브(53)는 닫혀져 있다. 도 3의 (d)에 나타내는 상태를 지나면 재차 전자밸브(53)가 열린다. 즉 드릴(20)이 가공위치에 위치결정되어 있는 동안은 전자밸브(53)를 닫고, 드릴(20)과 프린트기판(30) 및 상판(31)이 상대적으로 XY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이동과 동시에 전자밸브(53)를 연다. 프린트기판(30) 및 상판(31)은 가공물의 한 예이다.
전자밸브(53)가 열리면 고압의 압축공기가 구멍(50)으로부터 분출하고, 공급된 압축공기가 상판(31)을 프린트기판(30)에 압박한다. 그리고 상판(31)을 프린트기판(30)에 압박한 공기는 집진기(27)의 흡인력에 의해 공간부(25)에 흡인되므로 부시(123) 선단부에 있어서의 흡인력이 감소한다. 이 결과 프레셔풋(132)을 상판 (31)에 가까이 해도 상판(31)은 거의 들뜨지 않는다.
즉 본 실시형태의 프린트기판 천공기(114)에 있어서의 프레셔풋(132)과 상판 (31)의 거리(L2)를 도 5에 나타내는 종래의 프린트기판 천공기(14)에 있어서의 프레셔풋(32)과 상판(31)의 거리(L1)보다도 짧게 할 수 있다. 또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1991-3713호에 기재한 프레셔풋과 상판의 거리와 같은 정도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셔풋(132)이 상판(31)에 맞닿아 있을 때에는 홈(124)을 통하여 외기(外氣)가 공간부(25)에 흡인되므로 가공찌꺼기는 효율 좋게 집진기(27)에 흡인된다.
또 CNC장치(28)는 압력센서(57)의 출력을 상기 감시하여 무엇인가의 원인으로 흡인력이 커져서 공간부(25)의 압력이 저하한 경우에는 압력조정기(54)를 동작시켜서 구멍(50)에 공급하는 압축공기의 압력을 올려서 프레셔풋(132)과 상판(31)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필요할 때에만 압축공기를 구멍(50)에 공급하여 상판(31)의 들뜸을 방지하므로 압축공기의 소비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레셔풋(132)과 상판(31)의 거리(L2)를 종래의 프레셔풋(32)과 상판(31)의 거리(L1)보다도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상판(31)과 프린트기판(30)의 천공정밀도를 손상하는 일 없이 가공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드릴(20)이 대기위치에 있는 동안 전자밸브(53)를 열도록 했는데, 프레셔풋(132)과 상판(31)의 사이에 틈이 있는 동안 전자밸브 (53)를 열도록 해도 좋다.
또 구멍(50)으로부터 분출시키는 공기에 의해 상판(31)을 가압하기 위해 필요하게 되는 힘은 프레셔풋(132)이 상판(31) 및 프린트기판(30)을 가압하는 힘보다도 충분히 작고 좋기 때문에 전자밸브(53)를 상시 열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프레셔풋(132)이 상하로 이동하고 있는 동안도 상판(31)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프레셔풋(132)과 상판(31)의 접촉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또 압력조정기(54)를 동작시키는 것에 대신하여 경보장치를 동작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압축공기에 대신하여 다른 기체(예를 들면 질소)를 이용해도 좋다.
또 홈(124)은 구멍(50)과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프레셔풋 본체(22a)와 어댑터(22b)는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또 구멍(50)의 부시(123) 하면(123a)에 있어서의 개구부(50a)를 부시(123)의 중심에 설치된 드릴관통구멍(129)에 가까이 하여 배치하면, 소량의 압축공기로 상 판(31)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구멍(50)은 드릴(20)쪽을 향하고 있으므로 상판(31)의 천공부분을 소량의 압축공기로 눌러 놓아 상판(31)의 들뜸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멍 (50)의 개구부(50a)를, 드릴(20)을 둘러 싸서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판(31)의 천공부분을 소량의 압축공기로 눌러 놓아 상판(31)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린트기판 가공기는 압축공기분출구멍으로부터 프레셔풋이 가공물를 가압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압력의 기체를 분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프레셔풋이 가공물와 간섭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프레셔풋을 가공물의 상면을 따라서 이동시킬 때의 프레셔풋과 가공물의 거리를 줄일 수도 있어서 가공물의 가공정밀도를 손상하는 일없이 가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는데, 당업자에게는 그 변형 형태가 발생할 것이다. 그러나 그 변형형태도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명확하게 하는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Claims (13)

  1. 테이블에 재치된 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회전가능한 공구를 가지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스핀들에 고정되며, 상기 가공물에 접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에서 개구하여 상기 공구의 선단이 출입하는 공구 관통구멍과, 가공물의 들뜸 방지를 위하여 압축기체를 분출하도록 상기 접촉면을 관통하여 개구된 압축기체 분출구멍, 및 상기 접촉면이 상기 가공물에 맞닿아 있을 때 프레셔풋의 외주부와 상기 공구 관통구멍을 연통시키기 위하여 상기 접촉면에 형성되는 홈을 갖는 상기 프레셔풋과;
    상기 스핀들과 상기 프레셔풋 사이의 공간부를 부압으로 하기 위한 흡인기구; 및, 상기 프레셔풋의 상기 압축기체 분출구멍으로 압축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기체 공급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스핀들의 상기 공구는, 상기 흡인기구가 상기 공간부를 부압으로 하고 상기 프레셔풋의 상기 접촉면이 상기 테이블을 향하여 가공물을 아래로 가압하는 동안 상기 가공물을 가공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기판 가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체 공급기구는, 상기 가공물을 가공하면서 상기 접촉면이 상기 가공물과 접촉하도록, 상기 가공물에 접하는 상기 프레셔풋의 상기 접촉면을 방해하지 않는 압력으로 상기 압축기체 분출구멍으로부터 분출된 압축기체의 압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기판 가공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체 공급기구는, 상기 프레셔풋의 접촉면이 상기 가공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 및 접하는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체 분출구멍으로부터 압축기체를 분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기판 가공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체 공급기구는, 상기 접촉면이 상기 가공물과 접하는 동안 압축기체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기판 가공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체 공급기구는, 상기 공구와 상기 가공물의 적어도 한쪽이 상기 스핀들의 축 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 상기 압축기체 분출구멍으로부터 압축기체를 분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기판 가공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의 상기 압축기체 분출구멍의 개구가 상기 공구의 길이방향 축을 향하도록 경사시키기 위하여 상기 압축기체 분출구멍이 상기 프레셔풋을 관통하도록 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기판 가공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 내의 부압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기체 공급기구는, 상기 압력센서의 측정 압력의 증감에 따라 상기 압축기체의 압력을 증감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기판 가공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압력센서와 상기 압축기체 공급기구에 연결되며,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 부압에 따라 상기 압축기체 공급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기판 가공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 내의 부압에 따라 상기 압축기체 공급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기판 가공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체 공급기구는, 압축기체원, 압력 조정기, 및 전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기판 가공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셔풋의 상기 홈은, 상기 공구 관통구멍으로부터 상기 프레셔풋의 외주부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공구 관통구멍 둘레로 균등하게 이격되며, 상기 프레셔풋의 상기 외주부가 상기 공구 관통구멍과 연통하도록 상기 접촉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홈들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기판 가공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체 분출구멍은, 상기 공구 관통구멍 둘레로 상기 홈들 사이로 균등하게 이격되며 압축기체를 분출하기 위해 상기 접촉면을 관통하여 개구된 복수의 압축기체 분출구멍들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기판 가공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체 분출구멍은, 상기 공구 관통구멍 둘레로 균등하게 이격되며 압축기체를 분출하기 위해 상기 접촉면을 관통하여 개구된 복수의 압축기체 분출구멍들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트기판 가공기.
KR1020040039871A 2003-06-02 2004-06-02 프린트기판 가공기 KR1011687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57161 2003-06-02
JP2003157161A JP3968054B2 (ja) 2003-06-02 2003-06-02 プリント基板加工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504A KR20040103504A (ko) 2004-12-08
KR101168767B1 true KR101168767B1 (ko) 2012-07-25

Family

ID=33296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871A KR101168767B1 (ko) 2003-06-02 2004-06-02 프린트기판 가공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34817B2 (ko)
EP (1) EP1486288B1 (ko)
JP (1) JP3968054B2 (ko)
KR (1) KR101168767B1 (ko)
CN (1) CN1575097B (ko)
DE (1) DE602004020704D1 (ko)
HK (1) HK1070234A1 (ko)
TW (1) TW2005056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1416A (ja) * 2005-04-04 2006-10-19 Nippon Mektron Ltd プリント基板の穴加工装置
ITBO20050752A1 (it) * 2005-12-07 2007-06-08 Jobs Spa Portautensili per fresatrici, macchina fresatrice e procedimento di fresatura
US7272882B1 (en) * 2006-03-02 2007-09-25 C. R. Onsrud, Inc. Multiple table routing machine with roller hold-down
DE102006000214A1 (de) * 2006-05-08 2007-11-15 Hilti Ag Absaugvorrichtung für ein Abbauwerkzeuggerät
DE102006000212A1 (de) 2006-05-08 2007-11-15 Hilti Ag Absaugvorrichtung für ein Abbauwerkzeuggerät
DE102007009870B4 (de) 2007-02-28 2018-05-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automatischen Abschaltvorgangs und/oder Anschaltvorgangs einer Brennkraftmaschine in einem Kraftfahrzeug
US20080240877A1 (en) * 2007-03-30 2008-10-02 Ronald Jude Kirby Cutting device with chip collector
TWI336934B (en) * 2007-04-27 2011-02-01 Advanced Semiconductor Eng Method for forming slot hole on board and the slot hole
EP2067554B1 (en) * 2007-12-07 2011-10-26 Hitachi Koki CO., LTD. Drilling tool with dust collector
CN101252091B (zh) * 2008-03-20 2010-10-13 日月光半导体制造股份有限公司 基板上长条孔的成型方法与基板结构
DE102008064166A1 (de) 2008-12-22 2010-06-24 Schmoll Maschinen Gmbh Automatisierte Werkzeugmaschine und Verfahren zum Einbringen von Referenzbohrungen in Leiterplatten
JP2012011540A (ja) * 2010-07-01 2012-01-1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基板加工装置
DE102010038035B4 (de) * 2010-10-07 2014-08-21 Rolf Wissner Vorrichtung zur materialabtragenden Werkstückbearbeitung mit einer nach dem Bernoulli-Prinzip kontaktlos arbeitenden Werkstückhalteeinrichtung
CN102059581B (zh) * 2010-11-23 2012-11-28 深南电路有限公司 一种数控钻头冷却装置及方法
CN102126040B (zh) * 2010-12-23 2013-06-26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铣切方法以及铣切设备
DE102011013111A1 (de) * 2011-03-04 2012-09-06 Kraussmaffei Technologies Gmbh Vorrichtung zur prozessparallelen Absaugung von bei der Bearbeitung eines Werkstücks anfallenden Bearbeitungsprodukten
CN104416406B (zh) * 2013-09-11 2017-03-01 富鼎电子科技(嘉善)有限公司 进给装置及采用该进给装置的双轴加工机
CN103786189B (zh) * 2014-01-21 2016-08-24 广州兴森快捷电路科技有限公司 实现pcb板高孔位精度的钻孔方法
EP3106252B1 (en) * 2014-02-10 2020-04-29 Kuritakoki Co., Ltd. Drill and drilling method
JP6443046B2 (ja) * 2014-05-29 2018-12-26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溝加工ヘッドの集塵機構及び溝加工装置
US9504163B2 (en) * 2014-08-28 2016-11-22 Wojciech B. Kosmowski Y axis beam positioning system for a PCB drilling machine
CN104552441B (zh) * 2014-12-31 2017-05-03 广东工业大学 柔性印刷电路板的微孔钻削装置及其加工方法
CN106346050B (zh) * 2015-07-17 2018-11-02 成都飞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重新定位孔位的方法
CN105345090B (zh) * 2015-12-15 2017-11-03 重庆市为根弧齿轮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缓启动电路的双工位钻孔工装
US10040155B2 (en) * 2016-01-19 2018-08-07 The Boeing Company Air cooled spindle exhaust air redirection system for enhanced machining byproduct recovery
CN106270631A (zh) * 2016-08-16 2017-01-04 成都俱进科技有限公司 Pcb板打孔结构
CN106180790A (zh) * 2016-08-16 2016-12-07 成都俱进科技有限公司 大尺寸印刷电路板的打孔装置
GB2559386B (en) * 2017-02-03 2019-09-04 Nikken Kosakusho Europe Ltd Device for the extraction of machining dust
CN108381696B (zh) * 2017-06-14 2020-10-27 广州弘亚数控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气浮式压板装置
CN107135607B (zh) * 2017-06-20 2019-10-08 广州兴森快捷电路科技有限公司 Pcb板的钻孔方法、系统、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08161066B (zh) * 2017-12-29 2019-04-02 重庆宏雷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端轴钻孔装置
CN109877640B (zh) * 2019-03-22 2024-02-06 合肥旺和电子科技有限公司 电动汽车充电桩机柜钻孔装置
CN112405688A (zh) * 2019-08-20 2021-02-26 宁波经纬数控设备有限公司 一种送纸切割机
CN113710001B (zh) * 2021-09-06 2023-03-17 昆山中立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快压机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2728A (en) * 1979-10-25 1983-05-10 The Boeing Company Workpiece retaining pressure-foot assembly for orthogonally movable machine tool
US4340326A (en) * 1980-02-25 1982-07-20 Cooper Industries, Inc. Broken bit detector
US4813825A (en) * 1988-02-22 1989-03-21 Dynamotion Corporation Drilling spindle with pressure foot shutter
US4984352A (en) * 1988-03-07 1991-01-15 Micromation Systems, Inc. Thin panel drilling method and apparatus
JPH01138606U (ko) * 1988-03-16 1989-09-21
US4915550A (en) * 1988-12-22 1990-04-10 Hitachi Seiko Ltd. Pressure foot of printed circuit board drilling apparatus
US5090847A (en) * 1989-05-04 1992-02-25 U.S. Tech Corporation Pressure foot for microwave drill detection system
JP2905842B2 (ja) * 1989-05-30 1999-06-14 日立精工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穴明機及びこの穴明機におけるプリント基板押さえ方法
JPH0470416U (ko) * 1990-10-30 1992-06-22
DE4037716C1 (ko) * 1990-11-27 1992-04-09 Hitachi Seiko, Ltd., Ebina, Kanagawa, Jp
US5332341A (en) * 1991-05-30 1994-07-26 Hitachi Seiko Ltd. Pressure foot of printed circuit board drilling apparatus
JPH0531608A (ja) * 1991-07-26 1993-02-09 Waitetsuku:Kk 穴あけ装置
EP0603395B1 (en) * 1991-09-10 1999-05-06 Smc Kabushiki Kaisha Fluid pressure apparatus
JPH0755437B2 (ja) * 1992-08-06 1995-06-14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工作機械の冷却集塵装置
JPH0617847U (ja) * 1992-08-11 1994-03-08 株式会社オーエム製作所 プリント基板穴明け機におけるドリル冷却装置
JP3288759B2 (ja) * 1992-08-12 2002-06-04 日立ビアメカニクス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加工機における集塵装置
JP3483602B2 (ja) * 1993-12-01 2004-01-06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工作機械の冷却集塵装置
JP2606349Y2 (ja) * 1993-12-09 2000-10-2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工作機械の冷却集塵装置
JPH09262710A (ja) * 1996-03-28 1997-10-07 Nippon Mektron Ltd ドリルシャンクへの切粉付着防止装置
DE19702533A1 (de) * 1997-01-24 1998-07-30 Bauer Spezialtiefbau Bohrvorrichtung und Drehmomentstütze für eine Bohrvorrichtung
JP2001038689A (ja) * 1999-07-26 2001-02-13 Howa Mach Ltd プリント基板の押え装置
JP2003094218A (ja) * 2001-09-27 2003-04-03 Brother Ind Ltd ワーク押え装置
DE10246082A1 (de) 2002-09-27 2004-04-22 Portatec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aketbearbeitung von Dünnblechen und dünnwandigen, einfach oder doppelt gekrümmten Platten oder Scha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19122A1 (en) 2005-01-27
TWI318148B (ko) 2009-12-11
EP1486288B1 (en) 2009-04-22
TW200505611A (en) 2005-02-16
US7134817B2 (en) 2006-11-14
CN1575097B (zh) 2011-05-04
DE602004020704D1 (de) 2009-06-04
EP1486288A1 (en) 2004-12-15
JP2004358577A (ja) 2004-12-24
CN1575097A (zh) 2005-02-02
JP3968054B2 (ja) 2007-08-29
KR20040103504A (ko) 2004-12-08
HK1070234A1 (en) 200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767B1 (ko) 프린트기판 가공기
JP2905842B2 (ja) プリント基板穴明機及びこの穴明機におけるプリント基板押さえ方法
US5024562A (en) Pressure foot for printed circuit board drilling machine
US5332341A (en) Pressure foot of printed circuit board drilling apparatus
JPH03178707A (ja) プリント基板穴明機における基板押え装置
KR20010021450A (ko) 집진 기능이 부여된 공작 기계
JP3215572B2 (ja) プリント基板加工装置における加工位置移動時のスピンドルの上昇端設定装置
JP4295018B2 (ja) 穴明け加工方法
KR101934307B1 (ko) 프린트 기판 천공기
JP2003001548A (ja) 止まり穴加工方法およびワークの検査方法
KR101540055B1 (ko) 드릴링 머신
JP2002153922A (ja) パンチ金型及びその金型を使用するパンチ加工方法
JP4367863B2 (ja) プリント基板加工機
JP2001232518A (ja) マルチタッピング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JP2955633B2 (ja) プリント基板穴明機による穴明け方法
JPH0617847U (ja) プリント基板穴明け機におけるドリル冷却装置
JP4058292B2 (ja) プリント基板加工機
JP2008080433A (ja) プリント基板穴明機
JPH10113732A (ja) プレス加工法および電動プレス機械
KR20090059952A (ko) 인쇄회로기판용 드릴 장치
JP3560209B2 (ja) プリント基板穴明機
JP4360793B2 (ja) パンチプレスによる打抜き加工方法及びパンチプレス
JP4017895B2 (ja) プリント基板加工機
JP3513767B1 (ja) プリント基板の加工方法
JP2015054367A (ja) プリント基板加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