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687B1 - 적층 필름 - Google Patents

적층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687B1
KR101159687B1 KR1020067020158A KR20067020158A KR101159687B1 KR 101159687 B1 KR101159687 B1 KR 101159687B1 KR 1020067020158 A KR1020067020158 A KR 1020067020158A KR 20067020158 A KR20067020158 A KR 20067020158A KR 101159687 B1 KR101159687 B1 KR 101159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thickness
laminated
reflec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7117A (ko
Inventor
순이치 오사다
히토미 호리우치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7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for changes in temperature o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rmal stabil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5Interference filters comprising deposited thin solid films
    • G02B5/287Interference filters comprising deposited thin solid films comprising at least one layer of organic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2Photovoltaic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86Of polyester [e.g., alkyd, et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열에 의한 광학적 특성의 변화가 거의 없어 층간에서의 박리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 또, 건재, 포장, 자동차의 내외장 등에 이용되는 의장성 재료, 홀로그램 등의 위조방지용 재료,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드 이미션 디스플레이, 유기 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나, 광학 인쇄기기, 카메라 등 여러가지 광학기기의 반사재료 또는 광학필터, 차재용, 건재용의 열선 차단 윈도우필름, 태양전지용 반사체 등으로서 바람직한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열가소성 수지A로 이루어지는 층(A층)과 열가소성 수지A와 동일한 기본골격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층(B층)을 교대로 각각 5층이상 적층한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반사피크를 적어도 1개 갖고, 또한 가열전의 반사피크의 반사율과 150℃의 분위기하에서 30분간 가열후의 반사피크의 반사율의 차가 1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이다.

Description

적층 필름{LAMINATED FILM}
본 발명은, 적어도 2종류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적층한 적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를 다층으로 적층한 필름은 여러가지 제안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내인열성이 우수한 다층으로 적층한 필름을 유리 표면에 붙임으로써, 유리의 파손 및 비산을 대폭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용되고 있다(일본 특허공개 평6-190995호 공보(제2페이지), 일본 특허공개 평6-190997호 공보(제2페이지), 일본 특허공개 평10-76620호 공보(제2페이지)).
또한 굴절율이 다른 수지층을 교대로 다층으로 적층함으로써, 선택적으로 특정의 파장을 반사하는 필름(일본 특허공개 평3-41401호 공보(제2페이지), 일본 특허공개 평4-295804호 공보(제2페이지), 일본 특허공표 평9-506837호 공보(제2페이지)) 등이 존재한다. 이들 중에서 선택적으로 특정의 파장을 반사하는 필름은, 특정의 광을 투과 또는 반사하는 필터로서 작용하고,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백라이트용의 필름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선택적으로 특정의 파장을 반사하는 필름에서는, 열이력에 의해 필름이 크게 수축되거나,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배향이나 결정화 도가 변화되므로, 반사성능이 크게 변화되기 쉬웠다. 이 때문에, 적층 필름의 표면에 점착층, 색보정층, 전자파 실드층, 하드코트층, 증착층, 반사 방지층 등의 기능층을 형성하기 위한 가공을 고온하에서 행하면, 광학성능이 저하되거나, 광학특성의 편차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적층 필름을 필터나 반사판 등으로서 이용하면, 실사용 환경하에서도 주변기기의 발열에 의해 필터성능이 저하되거나, 색조가 변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예를 들면 가열이나 경시에 의한 광학특성의 변화를 적게 할 수 있어도, 층간의 박리가 매우 생기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가열이나 경시에 의한 광학특성의 변화가 없고, 또 층간에서의 박리가 거의 생기지 않는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열가소성 수지A로 이루어지는 층(A층)과 열가소성 수지A와 동일한 기본골격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층(B층)을 교대로 각각 5층이상 적층한 구조를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반사피크를 적어도 1개 갖고, 또한, 가열전의 반사피크의 반사율과 150℃의 분위기하에서 30분간 가열후의 반사피크의 반사율의 차가 1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A층과 B층의 총 적층수가 250층이상이며, 필름의 한쪽의 표층으로부터의 B층의 서열번호와 각 층의 두께를 선형 근사했을 때의 상관계수의 2승값이 0.4이상 1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적층 필름.
(3)A층과 B층의 총 적층수가 250층이상이며, 필름의 한쪽의 표층으로부터의 B층의 서열번호와 층두께를 2차의 다항식 근사했을 때의 상관계수의 2승값이 0.4이상 1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적층 필름.
(4)A층과 B층의 총 적층수가 640층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5)하기 식으로 구해지는 B층의 적층편차(M)가 2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M=s/a×100
M:B층의 적층편차(%)
s:B층의 표준편차(nm)
a:B층의 평균 층두께(nm)
(6)인접하는 A층과 B층의 두께의 비(A층두께/B층두께)를 Z, 반사율이 30%이상인 가장 고파장측의 반사피크에 있어서의 저파장단을 λ1, 고파장단을 λ2로 한 경우, 필름을 구성하는 A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의 두께(nm)가 하기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XA1로부터 XA2의 범위내이며, 또한 그 범위에 포함되는 A층의 층수가 50×(XA2/XA1)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5)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XA1=λ1/(3.2×(1+Z)) XA2=λ2/(3.2×(1+Z))
(7)반사율이 80%이상인 반사피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8)B층의 두께(nm)가 하기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XB1로부터 XB2의 범위의 두께를 적어도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또한 그 범위에 포함되는 B층의 층수가 50×(XB2/XB1)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XB1=Z×XA1
XB2=Z×XA2
(9)A층의 두께 및/또는 B층의 두께가 필름의 표면측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XA1로부터 XA2로 서서히 변화되는 부분 및/또는 XB1로부터 XB2로 서서히 변화되는 부분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10)A층의 두께 및/또는 B층의 두께가 필름 표면측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실질적으로 표면측에서 층두께가 얇고, 필름 단면 중심부에서 층두께가 두껍게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11)A층의 두께 및/또는 B층의 두께가 필름 표면측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실질적으로 표면측에서는 층두께가 두껍고, 필름 단면 중심부에서는 층두께가 얇게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12)인접하는 A층과 B층의 두께의 비(Z)가 0.8이상 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13)반사율이 30%이하인 고차의 반사대역을 적어도 1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14)반사율이 30%이하인 고차의 반사대역의 차수가 2차이상 4차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15)필름 폭방향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의 반사피크의 반사율의 차가 ±10%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16)필름 폭방향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의 2차의 반사대역의 반사율의 차가 ±5%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17)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에스테르이며, 열가소성 수지A 또는 열가소성 수지B 중 어느 하나가 적어도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를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18)열가소성 수지A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열가소성 수지B가 적어도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19)DSC측정(1st Heating)에 있어서, 0J/g이상 5J/g이하의 발열피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20)적어도 한쪽 면에 3㎛이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21) 적어도 한쪽 면에 두께가 30nm이상 300nm이하의 이(易)접착층과 두께가 3㎛이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22)최표층 이외의 층에, 평균 입자지름이 20nm이상 20㎛이하의 입자가 실질적으로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23)폭 20㎛이상의 상처의 수가 20개/㎡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24)적층 필름의 두께가 필름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주기적으로 변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25)적층 필름의 발색이 면내에서 주기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26)필름두께의 변동을 푸리에 해석했을 때에 0.5~100000(1/m)의 파수에 있어서의 강도 0.04~25의 스펙트럼 피크가 1개이상 관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
(27)(1)~(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을 이용한 의장성 필름.
(28)(1)~(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을 이용한 위조방지용 필름.
(29)(1)~(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을 이용한 광학필터.
(30)(1)~(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을 이용한 홀로그램.
(31)(1)~(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을 이용한 PDP용 필터.
(32)(1)~(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반사체.
(33)300~2500nm의 범위에 있어서 반사율이 80%이상인 반사대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2)에 기재된 태양전지용 반사체.
(34)수증기 투과율이 2g/(㎡?day)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2) 또는 (33)에 기재된 태양전지용 반사체.
(35)85℃ 습도 85%에 있어서의 내가수분해성이 1000시간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2)~(3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전지용 반사체.
(36)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인열강도가 6N/mm이상인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2)~(3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전지용 반사체.
(37)400nm이하의 파장에 있어서 흡수대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2)~(3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태양전지용 반사체.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상기의 구성에 의해 가열이나 경시에 의한 광학특성의 변화가 없어 층간에서의 박리가 거의 생기지 않는 것이다.
또한 A층과 B층의 총 적층수가 250층이상이며, B층의 서열번호와 층두께를 선형 근사했을 때의 상관계수의 2승값을 0.4이상 1이하로 함으로써, 반사피크의 대역폭이 넓은 경우라도, 고반사율 또한 반사피크내의 반사율의 분포가 거의 없고, 또한 샤프한 파장 차단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A층과 B층의 총 적층수가 250층이상이며, B층의 서열번호와 층두께를 2차의 다항식 근사했을 때의 상관계수의 2승값이 0.4이상 1이하이므로, 반사피크내의 반사율의 분포가 또한 없는 것이다.
또한 하기 식으로 구해지는 B층의 적층편차(M)를 20%이하로 함으로써, 반사피크의 대역폭이 좁은 것으로 된다.
M=s/a×100
M:B층의 적층편차(%)
s:B층의 표준편차(nm)
a:B층의 평균 층두께(nm)
또한 반사율이 30%이하인 고차의 반사대역의 차수가 2차이상 4차이하이므로, 근적외선을 반사하는 무색의 필름을 설계하려고 했을 때, 고차의 반사 때문에 실제로는 착색된 것처럼 보이거나 하는 문제나, 가시광선을 반사하는 필름의 경우에는 반사 필름의 색순도가 저하되거나, 고차의 반사로서 자외선이 반사되므로 필터 등으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주변부재의 열화를 촉진한다는 문제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또한 필름 폭방향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의 반사피크의 반사율의 차가 ±10%이내이므로, 대면적으로 이용가능하다.
또한 폭 20㎛이상의 상처의 수가 20개/㎡이하이므로, 수율이 높아 생산성이 우수한 것이다.
또한 적층 필름의 두께가 필름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주기적으로 변화된 적층 필름으로 함으로써, 주기적으로 색이 변화된 종래에는 없는 의장성을 갖는 것이다.
도1은 적층장치 및 그 구성부품
도2는 슬릿부
도3은 슬릿부와 수지 공급부를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
도4는 합류장치
도5는 피드블록
(부호의 설명)
1:측판
2:수지A 공급부
3:슬릿부
3a, 3b:슬릿
4:수지B 공급부
5:슬릿부
6:수지A 공급부
7:슬릿부
8:수지B 공급부
9:측판
10:적층장치
11:도입구
12:액체 저장부
18:합류장치
22:측판
23:수지A 공급부
24:슬릿부
25:수지B 공급부
26:측판
27:피드블록 및 그 구성부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A로 이루어지는 층(A층)과 열가소성 수지A와 동일한 기본골격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층(B층)을 교대로 각각 5층이상 적층한 구조를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반사율이 30%이상이 되는 반사피크를 적어도 1개이상 갖고, 가열전의 반사피크의 반사율과, 150℃의 분위기하에서 30분간 가열한 후의 반사피크의 반사율의 차가 15%이하가 아니면 안된다. 이러한 필름은, 실제의 필름 가공에 있어서나, 실제의 사용 조건하 및 장기사용 조건하에서, 적층 필름의 광학적 특성의 변화가 매우 적어, 층간에서의 박리가 매우 생기기 어려운 것이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반사피크란, 광의 파장에 대해서 반사율을 측정했을 때의 반사율이 30%이상인 대역을 말한다. 또, 몇개의 반사피크가 관찰되는 경우에는, 가장 고파장측의 대역이라고 정의된다.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 경우 이외는, 본 발명의 반사율은 필름 표면에 대해서, 수직인 축과의 차각이 10°인 방향으로부터 입사한 광에 대해서, 분광 광도계로 적분구를 이용하여 측정되는 반사율을 말한다. 여기에서 반사피크의 반사율로서는 6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사율이 80%이상이면 매우 높은 파장선택을 할 수 있으므로, 광학필터나 의장성 필름으로서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열전의 반사피크의 반사율(R1)과, 150℃의 분위기하에서 30분간 가열한 후의 반사피크의 반사율(R2)의 차(R1-R2)가 15%이하가 아니면 안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3%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이하이다. 여기에서 가열전의 반사율과 가열후의 반사율은 동 샘플의 동 측정위치에서 비교하지 않으면 안되고, 같은 파장대역에서의 반사율의 차를 비교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반사피크가 몇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가장 고파장측의 반사피크의 반사율로 비교한다. 종래는, 예를 들면 필름의 수축이 크기 때문에, 가열에 의해 필름두께가 변화되어, 가열전과는 다른 파장대역에 반사가 생기거나 했었다. 또한 다른 케이스에서는, 가열에 의해,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배향이나 결정화도가 변화되므로, 수지의 굴절율의 변화가 생겨, 가열전에 비해 광학성능이 변화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이들을 극복한 것이다. 또, 반사피크가 광대역인 경우에는, 그 75%이상이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으면 좋다. 또한, 반사피크의 대역폭이 100nm이상의 광대역인 경우에는, 반사피크내의 반사율 평균값이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폴리스티렌?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지환족 폴리올레핀 수지, 나일론6?나일론66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아라미드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부틸숙시네이트?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수지, 4불화 에틸렌 수지?3불화 에틸렌 수지?3불화 염화에틸렌 수지?4불화 에틸렌-6불화 프로필렌 공중합체?불화 비닐리덴 수지 등의 불소수지, 아크릴수지, 메타크릴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폴리글리콜산 수지, 폴리유산 수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 강도?내열성?투명성의 관점에서 특히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이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호모 수지이어도 좋고, 공중합 또는 2종류이상의 혼합이어도 좋다. 또한 각 열가소성 수지 중에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결정핵제, 무기입자, 유기입자, 감점제, 열안정제, 활제, 적외선흡수제, 자외선흡수제, 굴절율 조정을 위한 도프제 등이 첨가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폴리에스테르로서는, 디카르복실산성분 골격과 디올성분 골격의 중축합체인 호모폴리에스테르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말한다. 여기에서, 호모폴리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폴리-1,4-시클로헥산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디페닐레이트 등이 대표적인 것이다.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저렴하기 때문에 매우 다방면에 걸친 용도에 사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란, 다음에 예시하는 디카르복실산 골격을 갖는 성분과 디올 골격을 갖는 성분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3개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중축합체라고 정의된다. 디카르복실산 골격을 갖는 성분으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1,4-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5-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디카르복실산, 4,4'-디페닐술폰디카르복실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다이머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과 이들의 에스테르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글리콜 골격을 갖는 성분으로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타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2,2-비스(4'-β-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이소솔베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A로 이루어지는 층과 열가소성 수지A와 동일한 기본골격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고 있지 않으면 안된다. 여기에서 기본골격이란, 수지를 구성하는 반복단위이며, 예를 들면 한쪽의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인 경우에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기본골격이다. 또 다른 예로서는, 한쪽의 수지가 폴리에틸렌인 경우, 에틸렌이 기본골격이다. 열가소성 수지A와 열가소성 수지A와 열가소성 수지B가 동일한 기본골격을 함유하는 수지이면, 층간에서의 박리가 생기기 어려워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A층과 B층에 대해서는, A층의 면내 평균 굴절율은 B층의 면내 평균 굴절율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열가소성 수지A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며, 열가소성 수지B가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공중합량이 15㏖%이상 60㏖%이하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축합체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높은 반사성능을 가지면서, 특히 가열이나 경시에 의한 광학적 특성의 변화가 작아 층간에서의 박리도 생기기 어려워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A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며, 열가소성 수지B가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공중합량이 20㏖%이상 30㏖%이하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축합체이다. 열가소성 수지B가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공중합량이 20㏖%이상 30㏖%이하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축합체이면 적층 필름의 반사피크의 반사율이 고반사율로 되고, 열이력에 의한 광학특성의 변화도 더욱 적고, 층간접착성도 매우 우수하고, 또한 제막시의 파열도 생기기 어려워져 생산성도 우수한 것이 된다.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공중합량이 20㏖%이상 30㏖%이하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축합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매우 강하게 접착한다. 또한 그 시클로헥산디메탄올기는 기하이성체로서 시스체 또는 트랜스체가 있고, 또 배좌이성체로서 의자형 또는 보트형도 있으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공연신해도 배향결정화되기 어렵고, 고반사율이며, 열이력에 의한 광학특성의 변화도 더욱 적고, 제막시의 파열도 생기기 어려운 것으로 되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A층과 B층의 총 적층수가 250층이상이며, 필름의 한쪽의 표층으로부터의 B층의 서열번호와 각 층의 두께를 선형 근사했을 때의 상관계 수의 2승값이 0.4이상 1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층의 두께가, 한쪽의 표면으로부터 반대측의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1차 함수적으로 어느 정도의 구배를 갖고, 층두께가 증가 또는 감소하고, 또한 매우 높은 적층 정밀도를 갖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상관계수의 2승값을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관계수를 구하는 데에는, 우선, 투과형 전자현미경에 의해, 필름 단면을 관찰하고, 층구성에 관한 정보를 얻은 후, 이 정보를 기초로 화상해석에 의해 각 층의 두께를 계측한다. 필름 단면의 관찰 및 화상해석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평가방법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다음에 얻어진 B층의 두께에 대해서, 가장 두꺼운 층으로부터 5번째로 두꺼운 층까지와, 가장 얇은 층으로부터 5번째로 얇은 층까지를 추려낸다. 이것은, 층두께 계측에 의해 생긴 이상값을 제거하기 위해서와, 표면보호층 등을 계산으로부터 제외하기 위해서이다. 추려낸 B층에 대해서, 한쪽의 표면측에 있어서의 최표층을 서열번호 1이라고 하고, 반대측의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서열번호를 2, 3, 4라고 매기고, 반대측의 최표층까지 서열번호를 매긴다. 이 서열번호와 그 B층의 두께를 선형 근사하여 상관계수의 2승값을 얻는다. 선형 근사와 상관계수를 구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에서는 Microsoft사 EXCELL2000의 그래프 기능을 사용했다. 이 경우, 상관계수의 2승은 R2로서 출력되는 것이다. 상관계수의 2승이 0.4이상 1이하이면, 고반사율이며 또한 넓은 대역의 반사피크를 갖는 적층 필름이 용이하게 얻어진다. 또한 반사피크의 반사율분포가 작 고, 샤프한 파장 차단성을 갖는 적층 필름이 된다. 여기에서, 반사피크의 반사율의 분포란, 대역폭이 넓은 반사피크에 대해서, 그 대역내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범위를 가리킨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관계수의 값으로 함으로써, 층간접착성이 우수한 적층 필름도 용이하게 얻어지게 된다. 이것은, 굴절율차는 작지만, 층간접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A와 열가소성 수지B의 조합을 선택해도, 높은 적층 정밀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반사피크를 갖는 필름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관계수의 2승값으로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이상 1이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6이상 0.9이하이다. 상관계수의 2승값의 범위가 좁아질수록, 고반사율로 되고, 또한 반사피크의 반사율 분포도 더욱 작아진다. 단, 상관계수의 2승값이 0.9이상으로 되면, 층두께의 변화가 지나치게 크므로, 반사율의 분포가 커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당연히, A층과 B층의 면내 평균 굴절율의 차를 크게 하면, 반사율의 분포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층간박리가 일어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A층 및 B층을 합한 적층수가 250층이상이며, B층의 서열번호와 각 층의 두께를 2차의 다항식 근사했을 때의 상관계수의 2승값이 0.4이상 1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적층 정밀도가 매우 높고, 또한 선형과 같은 단조로운 층두께 변화가 아니기 때문에, 반사피크의 반사율분포를 저감하는 것이 더욱 가능해진다. 종래의 적층기술에서는, 특히 넓은 대역의 반사피크를 갖는 경우, 적층수를 많게 하기 위해서 믹서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단조로운 층두께 변화밖에 달성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특수한 적층장치를 사용하므로, 층수 640층이상이라도, 높은 적층 정밀도이며, 또한 임의의 두께제어가 가능한 것이다. 또, 상관계수의 2승값을 구하는 방법은, 상술의 선형 근사의 것과 동일하지만, 본 발명의 대표적인 예에서는, Microsoft사 EXCELL2000의 그래프 기능을 사용하여 차수 2의 다항식 근사로부터 산출했다. 또한 상관계수의 2승값으로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이상 1이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6이상 1.0이하이다. 상관계수의 2승값의 범위가 좁아질수록, 고반사율로 되고, 또한 반사피크의 반사율분포도 더욱 작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는, 하기 식으로 구한 B층의 적층편차(M)가 2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B층의 표준편차와, 평균 층두께는, 다음과 같이 해서 구했다. 우선, 투과형 전자현미경에 의해, 필름 단면을 관찰하여 층구성에 관한 정보를 얻은 후, 이 정보를 기초로 화상해석에 의해 각 층의 두께를 계측한다. 필름 단면의 관찰 및 화상해석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평가방법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다음에 얻어진 B층의 두께에 대해서, 가장 두꺼운 층으로부터 5번째로 두꺼운 층까지와, 가장 얇은 층으로부터 5번째로 얇은 층까지를 추려낸다. 이것은, 층두께 계측에 의해 생긴 이상값을 제거하기 위해서와, 표면보호층 등을 계산으로부터 제외하기 위해서이다. 이렇게 하여 얻은 B층의 두께의 값에 대해서, 표준편차와 평균 층두께를 구했다. B층의 적층편차(M)가 20%이하이면, 매우 대역폭이 좁은 반사피크를 갖는 적층 필름이 된다. 이렇게 매우 대역폭이 좁은 반사피크는, 반사형 프론트 스크린의 반사재로서 바람직하다. B층의 적층편차(M)는 15%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M이 10%이하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M=s/a×100
M:B층의 적층편차(%)
s:B층의 표준편차(nm)
a:B층의 평균 층두께(nm)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인접하는 A층과 B층의 두께의 비(A층두께/B층두께)를 Z, 반사율이 30%이상인 가장 고파장측의 반사피크에 있어서의 저파장단을 λ1, 고파장단을 λ2라고 한 경우, 필름을 구성하는 A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의 두께(nm)가 하기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XA1로부터 XA2의 범위내이며, 또한 그 범위에 포함되는 A층의 층수가 50×(XA2/XA1)2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 범위에 포함되는 A층의 층수가 100×(XA2/XA1)2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XA2/XA1)2이상이다.
XA1=λ1/(3.2×(1+Z))
XA2=λ2/(3.2×(1+Z))
즉,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A층의 층수가 50×(XA2/XA1)2이상이면, 반사피크의 반사율의 분포가 작아지는 것이다. 상기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높은 적층 정밀도를 달성할 수 없으면 안된다. 또한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A층의 층수가 100×(XA2/XA1)2이상이면, 보다 반사피크의 반사율분포가 작아지므로 바람직한 것이 된다. 또한 200×(XA2/XA1)2이상이면, 반사피크의 반사율분포가 작아짐과 아울러, 반사피크단이 매우 샤프하게 되어, 반사피크단의 분해능이 50nm이하가 되므로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여기에서, 인접하는 A층과 B층의 두께의 비(A층두께/B층두께)(Z)는, 적층 필름의 반사성능에 기여하는 A층과 B층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중에 있어서, 반수개이상의 인접하는 A층과 B층의 비의 평균치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적층 필름의 반사성능에 기여하는 A층과 B층이란, 층두께가 30nm이상 800nm이상의 범위내에 있는 A층 및 B층을 말한다. 또한 저파장단(λ1)과 고파장단(λ2)은 각각, 반사피크단의 반사율이 30%보다 낮게 되는 저파장측의 파장과 고파장측의 파장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는, 필름을 구성하는 B층의 두께(nm)가 하기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XB1로부터 XB2의 범위의 두께의 층을 적어도 1층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또한 그 범위에 포함되는 B층의 층수가 50×(XA2/XA1)2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그 범위에 포함되는 A층의 층수가 100×(XA2/XA1)2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XA2/XA1)2이상이다.
XB1=Z×XA1
XB2=Z×XA2.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반사피크의 반사율분포를 더욱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특히, B층의 층수가 100×(XA2/XA1)2이상이면, 보다 반사피크의 반사율분포가 작아지므로 바람직한 것이 된다. 또한 200×(XA2/XA1)2이상이면, 반사피크의 반사율분포가 작게 됨과 아울러, 반사피크단이 매우 샤프하게 되어, 반사피크단의 분해능이 50nm이하로 되므로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A층의 두께 및/또는 B층의 두께가 필름의 표면측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XA1로부터 XA2로 서서히 변화되는 부분 및/또는 XB1로부터 XB2로 서서히 변화되는 부분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예를 들면 A층에 대해서는 XA1로부터 XA2의 범위의 층두께를 갖는 층을 몇층 필요량 존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두께가 다른 층의 배열에 관한 서열이 랜덤이면, 반사피크의 반사율분포가 커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A층의 두께 및/또는 B층의 두께가 필름 표면측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실질적으로 표면측에서 층두께가 얇고, 필름 단면 중심부에서 층두께가 두껍게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층구성을 이후 볼록형이라고 한다. 볼록형의 층구성을 갖는 적층 필름은, 반사피크에 있어서의 고파장단이 매우 샤프하게 되므로, 고파장측에 높은 파장분해능을 갖는 것이 요구되는 엣지 필터에 최적으로 된다.
또한 A층의 두께 및/또는 B층의 두께가 필름 표면측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실질적으로 표면측에서는 층두께가 두껍고, 필름 단면 중심부에서는 층두께가 얇게 변화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층구성을 이후 오목형이라고 한다. 오목형의 층구성을 갖는 적층 필름은, 반사피크에 있어서의 저파장단이 매우 샤프하게 되므로, 저파장측에 높은 파장분해능을 갖는 것이 요구되는 엣지 필터에 최적으로 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는, 인접하는 A층과 B층의 두께의 비(Z)가 0.8이상 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9이상 1.1이하이다. 두께의 비(Z)가 0.8보다 작거나, 5보다 커지면 반사율이 작아지는 동시에, 반사대역내에서의 반사율의 분포가 커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Z가 0.9이상 1.1이하이면, 반사대역내에서의 반사율의 분포가 작아지는 동시에, 고차의 반사가 발생되기 어려워지므로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또한 인접하는 A층과 B층의 두께의 비의 편차가 ±2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편차란, 반사성능에 기여하는 A층과 B층의 두께비의 분포에 대해서, 최대의 두께비와 최소의 두께비의 차를 중심값이 되는 두께비로 나눈 것이다. 편차가 ±20%보다 큰 경우에는, 충분한 반사율이 얻어지기 어렵게 되는 외에, 설계한 반사피크 이외에도 반사가 출현하여, 필터로서의 노이즈로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는, A층의 면내 평균 굴절율과 B층의 면내 평균 굴절율의 차가 0.03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이상이다. 굴절율차가 0.03보다 작은 경우에는, 충분한 반사율이 얻어지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다. 또한 A층의 면내 평균 굴절율과 두께방향굴절율의 차가 0.03이상이며, B층의 면내 평균 굴절율과 두께방향 굴절율차가 0.03이하이면, 입사각이 커져도, 반사피크의 반사율 저하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A로 이루어지는 층(A층)과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층(B층)을 교대로 적층한 구조를 포함한다란, A층과 B층을 두께방향으로 규칙 적으로 적층한 구조를 갖고 있는 부분이 존재하는 것이라고 정의된다. 즉, 본 발명의 필름중의 A층과 B층의 두께방향에 있어서의 배치의 서열이 랜덤인 상태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고, A층과 B층 이외의 제3층이상에 대해서는 그 배치의 서열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A층, B층, 열가소성 수지C로 이루어지는 C층을 갖는 경우에는, A(BCA)n, A(BCBA)n, A(BABCBA)n 등의 규칙적 순열로 적층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n은 반복의 단위수이며, 예를 들면 A(BCA)n에 있어서 n=3의 경우, 두께방향으로 ABCABCABCA의 순열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열가소성 수지A로 이루어지는 층(A층)과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층(B층)을 교대로 각각 5층이상 포함하지 않으면 안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층이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A층과 B층의 총 적층수가 640층이상이다. A층과 B층을 각각 5층이상 적층한 구조를 포함하지 않으면, 충분한 반사율이 얻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한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장치의 대형화나 층수가 너무 많게 되는 것에 의한 적층 정밀도의 저하에 따른 파장선택성의 저하를 고려하면, 1500층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는, 반사피크가 몇개 관찰되는 경우가 있다. 반사피크의 파장은 원리적으로 이하의 식1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지만, 이 반사피크는 1차반사라고 불리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기준으로 해서, 2차, 3차, 4차 등의 고차반사도 출현하지만, 그 고차반사의 파장으로서는 λ/N(N:차수 2이상의 정수)으로 구해진다.
2×(na?da+nb?db)=λ…식1
na:A층의 면내 평균 굴절율
nb:B층의 면내 평균 굴절율
da:A층의 층두께(nm)
db:B층의 층두께(nm)
λ:주반사파장(1차 반사파장)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고차의 반사대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반사율3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고차의 반사대역이란, 관찰되는 가장 고파장측의 반사피크를 1차의 반사피크라고 간주하고, 이 1차의 반사피크의 파장(λ)을 차수(N)(N은 2이상의 정수)로 나누어서 구해지는 각 대역 λ/N±25nm을 말한다. 또, 이 ±25nm은 측정오차나 피크 판독오차나 굴절율의 파장의존성에 의한 시프트를 가미한 것이다. 또한 1차의 반사피크가, 예를 들면 소정 파장역 λ1~λ2인 경우에는, λ1/N±25nm~λ2/N±25nm의 구간이 고차의 반사대역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차의 반사대역 중 적어도 어느 1개가 반사율 20%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반사율이 15%이하이다. 이렇게 고차의 반사대역의 반사율이 30%이하인 고차의 반사대역을 적어도 1개 가짐으로써, 고차의 반사대역에 의한 착색이나, 색순도의 저하, 자외선에 의한 열화 등이 거의 일어나기 어렵게 되므로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그 반사율이 15%이하이면, 거의 적층 필름의 표면반사와 동레벨이 되므로, 착색이나 색순도의 저하, 자외선에 의한 열화의 촉진으로서 거의 작용하지 않아 최적인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차의 반사대역의 차수가 2차이상 4차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차이상 3차이하이다. 반사율이 30%이하인 2차이상 4차이하의 반사피크 대역이 적어도 1개 존재하면, 고차의 반사대역에 의한 착색이나, 색순도의 저하, 자외선에 의한 열화 등의 특히 현저한 문제를 일으키는 파장영역에 강한 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것을 의미하므로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는, 필름 폭방향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의 반사피크의 반사율의 차가 ±10%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필름폭은 600mm이상으로 한다. 또한 폭방향의 다른 위치는, 그 양단 -10mm위치와 중심위치로 정하고, 이들 위치에서의 반사피크의 반사율을 비교해서 판정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8%이내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이내이다. 필름 폭방향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의 반사피크의 반사율의 차가 ±10%이하이면 대면적으로 사용했을 때라도 면내에서의 색순도 편차가 허용범위로 되므로 바람직한 것이 된다. 또한 가열에 의한 광학적 특성의 약간의 변화가 일어나도, 대면적으로 사용하는 데에 견딜 수 있는 것으로 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는, 필름 폭방향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의 2차의 반사대역의 반사율의 차가 ±5%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이내이다. 필름 폭방향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의 2차의 반사대역의 반사율의 차는, 필름에 있어서의 폭방향의 적층편차에 의해 생기기 쉽다. 이것은, 종래의 적층방법에서는, 폭방향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A와 열가소성 수지B의 적층비율이 다르기 때문이지만, 1차의 반사에 비해서, 고차의 반사는 일반적으로 반사율의 절대치가 낮기 때문에, 보다 현저하게 반사율의 차로서 검지되기 쉽다. 예를 들면 PDP용 근적외선 필터나 열선 차단 필터의 용도에서는, 일반적으로 무색 투명인 것이 요구된다. 이 경우, 1차의 반사피크가 근적외선대역이 되도록 설계하면, 2차의 반사대역이 가시광선대역으로 되므로, 그 2차의 반사대역의 반사율은 낮은 쪽이 바람직하다. 그 때, 종래 기술과 같이 폭방향으로 적층편차에 기인한 적층비율차가 생기면, 필름 폭방향의 다른 위치에서 2차의 반사대역의 반사율차가 생겨, 착색되어 보이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필름의 폭방향의 2차의 반사대역의 반사율의 차를 ±5%이내로 하므로, 후술하는 특수한 적층장치로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는, DSC측정(1st Heating)에 있어서, 0J/g이상 5J/g이하의 발열피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DSC측정에 있어서 0J/g이상 5J/g이하의 발열피크를 갖는 경우에는, 가열전의 반사대역의 반사율과 가열후의 반사대역의 반사율의 차를 10%이하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층내의 접착성도 더욱 우수한 것으로 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는, 최표층 이외의 층에, 평균 입자지름이 20nm이상 20㎛이하의 입자가 실질적으로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 내부에 평균 입자지름이 20nm이상 20㎛이하의 입자가 함유되어 있으면,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확산반사가 일어나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적층 정밀도의 흐트러짐의 원인이 되어 반사성능 저하를 발생시키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는, 적어도 한쪽 면에 3㎛이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 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5㎛이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을 갖는다. 또한 양면에 3㎛이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층을 가지면 더욱 바람직하다. 3㎛이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층이 없는 경우에는, 표면에 상처가 생긴 경우 등에, 반사율분포에 이상이 생기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적층 필름의 표면에 이접착층, 하드코트층, 내마모성층, 반사 방지층, 색보정층, 전자파 실드층, 자외선흡수층, 인쇄층, 금속층, 투명도전층, 가스 배리어층, 점착층 등의 기능성 층을 형성한 경우에, 기능성 층의 굴절율과 적층 필름의 층구성에 따라서는, 설계 외의 간섭을 일으키므로, 설계한 반사피크 이외의 대역에 반사가 일어나거나, 간섭얼룩으로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한쪽 면에, 30nm이상 300nm이하의 이접착층과 3㎛이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여러가지 기능성 층과 복합되어서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이들 기능성 층과 용이하게 접착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여러가지 재료에 대해서 이접착성을 발현하는 층을 형성하는 것이 요구되지만, 본 발명의 가장 단순한 적층 필름의 구성의 표면에 이접착층을 형성하면, 간섭얼룩이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이접착층과의 간섭얼룩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서, 적층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이 3㎛이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하고, 다시 그 표면에 30nm이상 300nm이하의 이접착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접착층의 두께가 30nm미만이거나, 300nm보다 큰 경우에는, 간섭무늬라 고 불리는 색얼룩이 발생하거나, 이접착층의 접착성이 불충분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는, 최표층 이외의 층에, 평균 입자지름이 20nm이상 20㎛이하의 입자가 실질적으로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 내부에 평균 입자지름이 20nm이상 20㎛이하의 입자가 함유되어 있으면,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확산반사가 일어나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적층 정밀도의 흐트러짐의 원인으로 되어, 반사성능 저하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폭 20㎛이상의 상처의 수가 20개/㎡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5개/㎡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개/㎡이하이다. 여기에서 상처의 폭이란, 상처의 길이방향의 크기라고 정의된다. 이러한 상처가 존재하면, 특히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는 필름의 반사율이 특이적으로 상처가 있는 개소에서 변화되므로, 휘점이 되어 결점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는, 필름 폭방향, 길이방향으로 대해서 ±45°의 방향 각각의 영률의 차가 0.5GPa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4GPa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GPa이하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는, 필름 평면에 대해서 광이 입사?수광각도에 의해 반사대역의 시프트가 필연적으로 생기지만, 선행 기술에서는 또한 입사?수광각도는 동일해도 입사?수광하는 방향이 다른 것만으로, 반사대역의 시프트가 일어났다. 본 발명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름면내에서의 배향차를 억제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을 찾아낸 것이며, 필름 폭방향, 길이방향으로 대해서 ±45°의 방향 각각의 영률의 차가 0.5GPa 이하가 되면, 반사율의 입사?수광방향에 의한 반사율 시프트가 문제가 안되는 범위가 되므로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는, 그 표면에 이접착층, 이활층, 하드코트층, 대전방지층, 내마모성층, 반사 방지층, 색보정층, 전자파 실드층, 자외선흡수층, 인쇄층, 금속층, 투명도전층, 가스 배리어층, 홀로그램층, 박리층, 점착층, 엠보스층, 접착층 등의 기능성 층을 형성해도 좋다.
특히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의장성 필름에 사용할 때에는, 흑색이나 반사피크의 보색이 되는 색을 흡수하는 색흡수층이나, 알루미늄, 은, 금, 인듐 등의 금속층, 인쇄층, 점착층, 엠보스층을 필름 표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조방지용 필름에 사용할 경우에는, 홀로그램층, 인쇄층, 점착층, 알루미늄, 은, 금, 인듐 등의 금속층, Al2O3, Sb2O3, Sb2S3, As2S3, BeO, Bi2O3, CdO, CdSe, CdS, CdTe, Ce2O3, Cr2O3, SiO, AgCl, Na3AlF6, SnO2, TiO2, TiO, WO2, ZnSe, ZnS, ZnO2 등의 투명 금속 화합물층을 필름 표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층을 적층 필름 표면에 형성한 필름은, 특히 엠보스 홀로그램용의 재료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필터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활?이접착층, 하드코트층, 대전방지층, 반사 방지층, 색보정층, 전자파 실드층, 자외선흡수층, 적외선흡수층을 필름 표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능성 층을 갖는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광학필터로서도 바람직하다. 광학필터로서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근적외선 차단 필터,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백라이트의 3원색을 효율좋게 반사하는 반사판, 프로젝터로부터의 광(RGB)만을 효율좋게 반사하는 반사형 프론트 스크린, 각종 디스플레이나 CCD 카메라 등에 있어서 3원색을 선택적으로 투과/반사해서 색순도를 높이는 색조정 필터, 건재나 차재용의 윈도우 유리에 이용되는 근적외선/적외선을 차단하는 열선 차단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PDP용 필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반사피크를 근적외선영역(820~1200nm)으로 함으로써, PDP패널로부터 발생하는 근적외선을 효율좋게 차단할 수 있고, 또한 가시광선역(400~800nm)에 있어서는, 무색?고투명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적층 필름의 표면에, 반사 방지층, 하드코트층, 색보정층, 전자파 차단층을 형성하고, PDP 표시패널 또는 표시패널앞에 설치된 강화유리나 유리에 접합시킴으로써, 더욱 바람직한 PDP용 필터가 된다. 이러한 PDP필터는, 가열이나 경시에 의한 광학특성의 변화가 없고, 층간에서의 박리가 없기 때문에, 가공 공정이나 실사용 환경하에서도 품질의 열화가 거의 없는 동시에, 투과율이 종래의 것보다 매우 높고, 근적외선의 차단율도 높으므로, PDP의 전력 절약화나 휘도향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반사형 프론트 스크린에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 실내조명등의 파장에 최대한 겹치지 않도록, 또한 프로젝터로부터의 출사파장만을 효율좋게 반사하는 반사대역으로 설계함으로써, 명광하에서도 높은 콘트라스트의 프론트 스크린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반사형의 프론트 스크린으로 하는 경우에는, 표면보호층, 하드코트층, 확산 층, 이방 확산층, 흑색층, 점착층, 색보정층, 천 등과 접합시킴으로써, 더욱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반사형 프론트 스크린에 사용하면, 명광하에서도 높은 콘트라스트가 얻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가열이나 경시에 의한 광학특성의 저하가 없고, 실제의 사용하에서도 층간의 박리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으로서는 의장용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의장용 필름이란 색채나 특정의 색채 패턴을 부여하기 위한 필름이며, 예를 들면 자동차 내장이나 외장에 이용되는 디자인을 위한 장식 필름, 각종 포장에 이용되는 디자인을 위한 장식 필름, 지폐나 금권이나 상품권이나 유가증권 등에 사용되는 진위 판정을 목적으로 한 위조방지용 필름, 홀로그램의 기재용 또는 반사재용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서는, 그 두께가 필름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주기적으로 변화되고 있으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필름두께가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주기적으로 변화되면, 반사파장 피크의 파장이 그 두께 변동에 대응하므로, 예를 들면 가시광역에 반사피크를 갖는 경우에는 필름내에서 주기적으로 색이 변화된 종래에는 없는 의장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의장성 필름이나 위조방지용 필름으로 바람직하게 된다.
이 주기적인 두께의 변화율(R)(R=최대두께/최소두께×100(%))의 바람직한 범위는 5~500%이다. 두께의 변화율이 5%이상이면 반사 간섭색의 변화가 커지므로, 의장성이 우수한 것으로 되고, 500%이하이면 생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 변화율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7~300%,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10~200% 이다.
필름두께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에는, (1)필름압출공정에서, 주기적으로 토출량을 변화시킨다. (2)필름캐스트공정에서, 캐스트 속도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킨다. (3)필름캐스트공정의 정전인가장치로, 전압 또는 전류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킨다. (4)세로연신공정에서, 연신장력이 상승되지 않는 고온에서 연신한다. (5)구금 다이볼트를 기계적?열적으로 작동시켜, 구금 립 간격을 변화시킨다. 등의 방법이 바람직하게 이용되지만, 본 발명의 필름의 제조방법은, 물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방법 중에서, 여러가지 사인파, 삼각파, 직사각형파, 톱파, 임펄스파 등의 여러가지 두께 주기변화에서 임의로 효율좋게 조정할 수 있는 필름캐스트공정의 정전인가장치로, 전압 또는 전류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이 임의의 두께의 변화율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의 두께의 변동 주기를 해석하는 방법은, 필름두께를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그래서 얻어진 데이터의 푸리에 변환(이하, 「FFT처리」라고 칭함)을 행해서 평가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FFT처리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기술자의 수학1」초판(교리츠슛판 가부시키가이샤 공립 전서 516페이지) 등에 푸리에 변환의 이론에 대해서, 「광공학」초판(교리츠슛판 가부시키가이샤) 등에 FFT처리의 방법에 대해서 기재가 있는 바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푸리에 변환 해석했을 때에, 0.5~100000(1/m)의 파수에 있어서의 Pw값이 0.04~25의 스펙트럼 피크가 1개이상 관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피크가 관찰되는 파수대의 보 다 바람직한 범위는 1~10000(1/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000(1/m)이다. 또한 관찰되는 Pw값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0.1~2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10, 가장 바람직하게는 0.3~5이다. 파수대가 상기 범위내이면, 본 발명의 필름을 위조 방지 용도 등에 사용했을 때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Pw값이 상기 범위내이면, 주기성이 관찰하기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Pw란 두께 변화 데이터를, 두께의 절대치로 변환하여, 그 평균치를 두께변화의 중심치가 되도록 변환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석에 제공하고, FFT처리에 의해 얻어진 실수부를 an, 허수부를 bn이라고 한 경우의 다음식으로 결정되는 소정 파수에 있어서의 스펙트럼 강도(Pwn)이다.
Pwn=2(an2+bn2)1/2/N
n:파수(m-1)
N:측정수
또한 이 피크의 반값폭을 kw, 피크 파수를 kt라고 하면, kw/kt의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0.001~0.5,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2, 가장 바람직하게는 0.1~0.2이다. kw/kt가 상기 범위인 경우, 얻어진 필름은 매우 의장성이 우수한 것으로 되거나, 위조방지용 필름으로 한 경우에는 홀로그램층과 동시에, 적층 필름 자체에 암호기능이나 진위 판정기능이 구비되므로, 2중의 보안효과가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태양전지용 반사체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300~2500nm의 범위에 있어서 반사율이 80%이상인 반사피크를 가지면, 태양전지용 반 사체로서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2500nm의 범위에 있어서 반사율이 90%이상인 반사피크를 갖는 태양전지용 반사체이다. 또한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50nm~1100nm의 범위의 반사율이 80%이상인 태양전지용 반사체이다. 태양전지로서는, 실리콘형(단결정, 다결정, 아모르포스), 화합물형, 색소증감형 등이 있지만, 발전 코스트의 점에서 실리콘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들 태양전지에 있어서는, 백시트라고 불리는 태양전지용 반사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 반사체는, 셀을 투과 또는 셀을 투과하지 않은 태양광을 반사함으로써, 발전효율을 높이는 것이지만, 종래는 안료를 분산시킨 백색 시트가 많이 이용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반사율이 얻어지므로 발전효율이 향상됨과 아울러, 실사용시의 가열에 의해 반사율이 저하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장기에 걸쳐 높은 효율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보다 높은 발전효율이 얻어지도록 됨과 아울러, 300~2500nm의 범위에 있어서 반사율이 80%이상인 반사피크를 가지면, 태양전지 셀로 광전변환 가능한 파장만을 효율좋게 반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태양전지 셀의 온도상승을 방지하는 효과에 의해, 더욱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따라서, 반사율이 90%, 또한 반사율이 95%이상으로 될수록, 보다 높은 발전효율로 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적어도 450nm~1100nm의 범위의 반사율이 80%이상이면, 특히 실리콘형의 태양전지 셀에 있어서, 더욱 높은 발전효율로 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300~2500nm의 범위에 있어서 반사율이 80%이상인 반사대역을 가지면, 집광형 태양전지용의 미러나 필터로서도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집광형 태양전지란, 태양전지 셀에 미러나 렌즈를 사용해서 태양광을 집광하 여 발전하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집광하는 장치에 이용하면, 태양전지 셀에 있어서 광전변환 가능한 태양광의 파장만을 꺼낼 수 있으므로, 셀의 승온을 막을 수 있음과 아울러, 본 발명의 특징인 가열이나 경시에 의한 광학특성의 저하나 층간박리가 생기기 어렵게 되므로, 옥외의 엄격한 환경하에서 조차 성능의 변화가 거의 없으므로, 경시에 의한 발전효율의 저하를 매우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셀이 실리콘형의 집광형 태양전지이며, 집광장치가 미러형인 경우,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적어도 450~1050nm의 범위의 반사율이 90%이상이며, 1200~2000nm의 반사율이 3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적층 필름을 미러로서 사용하면, 높은 발전효율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셀이 실리콘형의 집광형 태양전지이며, 집광장치가 렌즈형인 경우,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적어도 450~1050nm의 범위의 반사율이 20%이하이며, 1100~2000nm의 반사율이 9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적층 필름을 렌즈의 앞뒤에 필터로서 설치하면, 높은 발전효율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반사체는, 수증기 투과율이 2g/(㎡?day)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g/(㎡?day)이하이다. 수증기 투과율이 2g/(㎡?day)이하이면, 가열?가습하에서의 경시에서의 태양전지 셀의 열화나 백시트 반사율의 저하에 의한 발전효율의 저하나, 신도의 저하에 의한 기계특성의 저하가 억제되면서, 종래보다 높은 발전효율로 되므로 바람직하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반사체가 증착에 의해 형성가능한 실리카층, 알루미나층, 알루미늄층 중 어느 하나나, 알루미늄박을 갖고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g/(㎡?day)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두께가 10㎛이상의 알루미늄박을 갖고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반사체는 85℃ 습도 85%에 있어서의 내가수분해성이 1000시간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말하는 내가수분해성이란, JIS C8917 내습성시험 B-2(1998)로 정의된다. 내가수분해성이 1000시간이상이면, 경시에서의 태양전지 셀의 열화나 백시트 반사율의 저하에 의한 발전효율의 저하나 신도의 저하에 의한 기계특성의 저하가 억제되면서, 종래보다 높은 발전효율로 되므로 바람직하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반사체를 구성하는 적층 필름이, 고유점도 0.68이상의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축합체 또는 그 공중합체, 에틸렌나프탈레이트 중축합체 또는 그 공중합체, 시클로헥산디메탄올 중축합체 또는 그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고유점도 0.68이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층과,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공중합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축합체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적층 필름의 경우, 저비용으로 제조 가능한 것 이외에, 굴절율차가 커지므로 높은 반사율이 얻어지기 쉬움과 아울러, 높은 내가수분해성도 얻어지므로 바람직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반사체는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인열강도가 6N/mm이상인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2N/mm이상이다. 특히 상한은 한정되지 않지만, 150N/mm이하이다. 인열강도가 6N/mm이상이면, 태양전지로서,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와 백시트를 접합시키지만, 접합에 실패해서 박리되어도, 반사 시트가 갈라지거나 하는 일이 없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또 한 인열강도가 6N/mm이상이면, 집광형 태양전지의 반사판으로 했을 때도, 옥외환경하에서 간단하게 파열되는 일도 일어나기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인열강도가 높을수록 갈라지지 않고 박리되기 쉬워지므로 더욱 바람직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층과,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공중합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축합체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적층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열강도를 12N/mm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A)와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공중합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축합체(B)의 중량비율(A/B)이 0.8이상 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태양전지용 반사체는, 400nm이하의 파장에 있어서 흡수대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400nm이하의 파장에 있어서 흡수대역을 가지면, 자외선에 의한 백시트의 열화가 억제되어, 발전효율의 저하나 기계특성의 저하가 억제되도록 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2종류의 열가소성 수지A 및 B를 펠릿 등의 형태로 준비한다. 펠릿은, 필요에 따라, 열풍중 또는 진공하에서 건조된 후, 따로 따로 압출기에 공급된다. 압출기내에 있어서, 융점이상으로 가열 용융된 수지는, 기어펌프 등으로 수지의 압출량이 균일화되고, 필터 등을 통해 이물이나 변성된 수지 등이 제거된다.
이들 2대이상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다른 유로로부터 송출된 열가소성 수지A 및 B는 다음에 다층 적층장치로 보내진다. 다층 적층장치로서는, 멀티 매니폴드 다 이나 피드블록이나 스태틱믹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을 임의로 조합해도 좋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효과를 효율좋게 얻기 위해서는, 각 층마다의 층두께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멀티 매니폴드 다이 또는 피드블록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층의 두께를 정밀도 좋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가공 정밀도 0.1mm이하의 와이어 방전가공에서, 각 층의 유량을 조정하는 미세 슬릿을 형성한 피드블록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때, 수지온도의 불균일성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열매순환방식에 의한 가열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드블록내의 벽면저항을 억제하기 위해서, 벽면의 거칠기를 0.4S이하로 하거나, 실온하에서의 물과의 접촉각이 30°이상이면 좋다. 이러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적층 정밀도가 달성되므로 용이하게 반사피크를 갖는 적층 필름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여기에서 본 발명의 제1특징인 반사피크를 적어도 1개이상 갖기 위해서는, A층과 B층을 교대로 각각 5층이상 적층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각 층의 층두께는, 하기 식1에 기초하여 소망하는 반사피크가 얻어지도록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인 반사피크의 반사율이 60%이상이기 위해서는, A층과 B층을 합한 총 적층수가 50층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형태인 반사피크의 반사율이 80%이상이기 위해서는, 총 적층수가 100층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2×(na?da+nb?db)=λ…식1
na:A층의 면내 평균 굴절율
nb:B층의 면내 평균 굴절율
da:A층의 층두께(nm)
db:B층의 층두께(nm)
λ:주반사파장(1차 반사파장)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다층 적층장치로서는, 다수의 미세 슬릿을 갖는 부재를 적어도 별개로 2개이상 포함하는 피드블록(도1~도4)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피드블록을 사용하면, 장치가 극단적으로 대형화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열열화에 의한 이물이 적고, 적층수가 극단적으로 많은 경우라도, 고정밀도의 적층이 가능해진다. 또한 폭방향의 적층 정밀도도 종래 기술에 비해서 현격히 향상된다. 또한 임의의 층두께 구성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인 이하의 구성을 달성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a)반사피크의 반사율이 80%이상이다.
b)A층과 B층의 총 적층수가 250층이상이며, 필름의 한쪽의 표층으로부터의 B층의 서열번호와 각 층의 두께를 선형 근사했을 때의 상관계수의 2승값이 0.4이상 1이하이다.
c)A층 및 B층을 합한 적층수가 250층이상이며, B층의 서열번호와 층두께를 2차의 다항식 근사했을 때의 상관계수의 2승값이 0.4이상 1이하이다.
d)인접하는 A층과 B층의 두께의 비(A층두께/B층두께)를 Z, 반사율이 30%이상인 가장 고파장측의 반사대역에 있어서의 저파장단을 λ1, 고파장단을 λ2라고 한 경우, 필름을 구성하는 A층의 두께(nm)가 하기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XA1로부터 XA2의 범위의 두께를 적어도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또한 그 범위에 포함되는 A층의 층 수가 200×(XA2/XA1)2이상이다.
XA=λ1/(3.2×(1+Z))
XA2=λ2/(3.2×(1+Z))
e)필름을 구성하는 B층의 두께(nm)가 하기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XB1로부터 XB2의 범위의 두께를 적어도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또한 그 범위에 포함되는 B층의 층수가 200×(XA2/XA1)2이상이다.
XB1=Z×XA1
XB2=Z×XA2.
f)A층의 두께 및/또는 B층의 두께가 필름의 표면측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XA1로부터 XA2로 서서히 변화되는 부분 및/또는 XB1로부터 XB2로 서서히 변화되는 부분을 포함해서 이루어진다.
g)A층의 두께 및/또는 B층의 두께가 필름 표면측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실질적으로 표면측에서 층두께가 얇고, 필름 단면 중심부에서 층두께가 두껍게 변화된다.
h)A층의 두께 및/또는 B층의 두께가 필름 표면측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실질적으로 표면측에서 층두께가 두껍고, 필름 단면 중심부에서 층두께가 얇게 변화된다.
i)또한 인접하는 A층과 B층의 두께의 비의 편차가 ±20%이하이다.
j)열가소성 수지A로 이루어지는 층(A층)과 열가소성 수지B로 이루어지는 층(B층)을 교대로 각각 640층이상 포함한다.
k)필름 폭방향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의 반사대역의 반사율의 차가 ±5%이내이다.
l)필름 폭방향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의 2차의 반사대역의 반사율의 차가 ±3%이내이다.
도1은, 상기 피드블록에 있어서 별개로 공급되는 수지A, B로부터 적층을 형성하는 부분(「적층장치」라고 부른다.)을 나타낸 것이다. 도1에 있어서, 부재 1~9가 이 순서로 겹쳐져서, 적층장치(10)를 형성한다.
도1의 적층장치(10)는, 수지도입부재(2,4,6,8)에 유래해서 4개의 수지도입구를 갖지만, 예를 들면 수지A를 수지도입부재(2,6)의 도입구(11)로부터 공급하고, 수지(B)를 수지도입부재(4,8)의 도입구(11)로부터 공급한다.
그러면,
슬릿부재(3)는, 수지도입부재(2)로부터 수지A, 수지도입부재(4)로부터 수지B의 공급을 받고,
슬릿부재(5)는, 수지도입부재(6)로부터 수지A, 수지도입부재(4)로부터 수지B의 공급을 받고,
슬릿부재(7)는, 수지도입부재(6)로부터 수지A, 수지도입부재(8)로부터 수지B의 공급을 받게 된다.
여기에서, 각 슬릿에 도입되는 수지의 종류는, 수지도입부재(2,4,6,8)에 있어서의 액체 저장부(12)의 저면과 슬릿부재에 있어서의 각 슬릿의 끝부의 위치관계 에 의해 결정된다. 즉, 도3에 나타내듯이, 슬릿부재에 있어서의 각 슬릿의 꼭대기부의 능선(13)은 슬릿부재의 두께방향에 대해서 경사를 갖는다(도2(b),(c)). 그리고, 수지도입부재(2,4,6,8)에 있어서의 액체 저장부(12)의 저면의 높이는 상기 능선(13)의 상단부(14)와 하단부(15) 사이의 높이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능선(13)이 상승된 측으로부터는 수지도입부재(2,4,6,8)의 액체 저장부(12)로부터 수지가 도입되지만(도3중 16), 상기 능선(13)이 하강한 측으로부터는 슬릿이 봉쇄된 상태로 되어 수지는 도입되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각 슬릿마다 수지A 또는 B가 선택적으로 도입되므로, 적층구조를 갖는 수지의 흐름이 슬릿부재(3,5,7)내에 형성되어, 상기 부재(3,5,7)의 하방의 유출구(17)로부터 유출된다.
슬릿의 형상으로서는, 수지가 도입되는 측의 슬릿면적과 수지가 도입되지 않는 측의 슬릿면적이 동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하면, 수지가 도입되는 측과 수지가 도입되지 않는 측에서의 유량분포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폭방향의 적층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수지가 도입되지 않는 측의 슬릿면적)/(수지가 도입되는 측의 슬릿면적)이 0.2이상 0.9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이하이다. 또한 피드블록내의 압력손실이 1MPa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릿길이(도1중 Z방향 슬릿길이 중 긴 쪽)을 20mm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슬릿의 간극이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각 층의 두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슬릿에 대응한 매니폴드를 갖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매니폴드에 의해, 슬릿 내부에서의 폭방향(도1중 Y방향)의 유속분포가 균일화되므로, 적층된 필름의 폭방향의 적층비율을 균일화할 수 있어, 대면적의 필름이어도 정밀도 좋게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반사피크의 반사율을 정밀도 좋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액체 저장부로부터 두개이상의 슬릿부재에 수지를 공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가령 약간 슬릿 내부에서 폭방향으로 유량분포가 생겼다 해도, 다음에 설명하는 합류장치에 의해 다시 적층되므로, 적층비율로서는 종합적으로는 균일화되므로, 고차의 반사대역의 편차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릿부재(3,5,7)의 하방의 유출구(17)는 3개의 수지흐름의 적층구조가 병렬로 되는 위치관계로 배치되고, 또한 수지도입부재(4,6)에 의해 서로 이간되어 있다(도4중 19L,20L,21L). 그래서, 도4에 나타내는 합류장치(18)에 의해, 가운데 L-L'로부터 M-M'에 걸친 유로의 규제에 의한 배치의 전환이 행해져서(도4중 19M, 20M, 21M), 3자의 수지흐름의 적층구조도 직렬로 된다. 상기 수지흐름은 도4중 M-M'으로부터 N-N'에 걸쳐서 폭이 넓어지고, 도4중 N-N'보다 하류에서 합류된다.
이렇게 해서, 매우 얇은 수지층의 임의이며 또한 고정밀도의 적층이 가능해진다. 종래의 장치에서는, 200~300층이상의 적층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스퀘어믹서를 병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이러한 방법에서는 적층류가 상사형으로 변형?적층되므로, 상기의 바람직한 형태인 c)f)g)g)와 같은 임의의 층의 두께를 조정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특징인 가열전의 반사피크의 반사율과, 150℃의 분위기 하에서 30분간 가열한 후의 반사피크의 반사율의 차를 15%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열가소성 수지B가 통상의 조건하에서는 비결정성 수지이며, 그 밀도가 1.3g/㎤이하이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층 필름중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B의 밀도도 1.3g/㎤이하이며, 이 경우 반사율의 차를 13%이하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B가 통상의 조건하에서는 비결정성인 수지와 결정성인 수지를, 50:50~99:1의 비율로 혼합한 수지조성물이며, 이 경우, 가열전과 가열후의 반사율의 차를 10%이하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통상의 조건하에서 비결정성의 수지란, DSC측정에서 300℃까지 승온한 후, 10t/min의 속도로 강온했을 때에, 결정화 발열피크의 열량이 3J/g이하의 수지를 말한다. 또한 결정화 발열피크의 열량이 3J/g보다 큰 경우를 결정성 수지라고 한다. 이렇게 결정성의 수지와 비결정성의 수지를 혼합하면, 열가소성 수지A와 열가소성 수지B의 면내 평균 굴절율차를 연신?열처리에 의해 0.05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반사율80%이상의 반사율을 용이하게 얻기 쉬워지는 동시에, 통상의 가공조건온도나 경시에서의 가열에 의한 분자배향이나 결정성이 양자의 수지의 나노합금구조에 의해 변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가열에 의한 반사율의 저하가 거의 없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열가소성 수지A와 열가소성 수지A와 동일한 기본골격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B가 아니면 안되지만, 열가소성 수지B가 비결정성 수지이어도 이것에 모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수지의 조합의 일례로서, 열가소성 수지A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열가소성 수지B가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20~30㏖% 공중합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축합체가 있다. 이 경우, 동일한 기본골격은 에틸렌테레프탈레 이트이며, 또한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20~30㏖% 공중합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축합체는 비결정성 수지에 해당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수지의 조합의 다른 예로서는, 열가소성 수지A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열가소성 수지B가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혼합한 수지이다. 이 경우,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가 비결정성 수지이면, 가령,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에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중축합되어 있지 않아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기본골격을 갖는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인 반사율이 30%이하인 고차의 반사대역을 적어도 1개 갖기 위해서는, 인접하는 A층 및 B층의 대부분을 하기 식2를 만족시키는 층구성으로 하면 좋다. 본 발명의 효과를 효율좋게 얻기 위해서는 하기 식2를 만족하고 있으면 좋지만, 각각의 면내 평균 굴절율 및 층두께에 대해서는 10%이하의 어긋남이 생겨도 허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인 반사율이 15%이하인 고차의 반사대역을 적어도 1개이상 갖기 위해서는, 층두께의 어긋남이 5%이하이며, 그 층두께의 어긋남이 인접하는 층간에서 규칙적인 것은 아니고, 랜덤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의 폭방향에 있어서, 반사피크의 반사율이 80%이상이며, 식2를 만족시키기 위해는 매우 높은 적층 정밀도가 필요하지만, 그러한 적층 정밀도는 종래의 방법에서는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달성하는 것은 불가능했던 것이며, 그러한 높은 적층 정밀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특히 가공 정밀도 0.01mm이하의 방전 와이어가공에서, 표면 거칠기 0.1S이상 0.6S이하를 갖는 100개이상 300 개이하의 미세 슬릿을 갖는 피드블록으로 적층하고, 그 후에 다이로부터 토출부까지의 유로에 있어서 두께방향으로 폭이 넓어지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슬릿의 형상으로서는, (수지가 도입되지 않는 측의 슬릿면적)/(수지가 도입되는 측의 슬릿면적)이 50%이하이며, 슬릿길이(도1중 Z방향 슬릿길이 중, 긴 쪽)를 20mm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1~도4에 기재된 피드블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a ?da=nb?db×(N-1)…식2
na:A층의 면내 평균 굴절율
nb:B층의 면내 평균 굴절율
da:A층의 층두께(nm)
db:B층의 층두께(nm)
N:차수(2이상의 정수)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인 반사율이 30%이하인 고차의 반사대역의 차수가 2차이상 4차이하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식2에 있어서 N이 2이상 4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사피크의 파장대역을 넓히기 위해서, A층의 두께 또는/및 B층의 두께가 필름의 표면측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두꺼워지는 부분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거의 필름 단면 전체에 걸쳐, A층의 두께 또는/및 B층의 두께가 필름 표면측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두꺼워지는 것이다.
한편, A층의 두께 또는/및 B층의 두께가, 필름 표면측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변화되고, 실질적으로 필름 단면 중심부에서 층두께가 두꺼워지는 볼록형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반사파장 대역에 있어서의 고파장단이 매우 샤프하게 되므로, 고파장측에 높은 파장분해능을 갖는 것이 요구되는 엣지 필터에 최적으로 된다.
또한 A층의 두께 또는/및 B층의 두께가, 필름 표면측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변화되고, 실질적으로 필름 단면 중심부에서 층두께가 얇아지는 오목형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반사파장 대역에 있어서의 저파장단이 매우 샤프하게 되므로, 저파장측에 높은 파장분해능을 갖는 것이 요구되는 엣지 필터에 최적으로 된다.
이들과 같이 설계하는 반사 필름의 특성에 따라, 최적의 적층구성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총 적층수가 매우 많은 경우라도, 도1~도4에 예시한 다층 적층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각 층의 두께를 슬릿의 형상(길이, 폭)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임의의 층두께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적층구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인, A층과 B층의 총 적층수가 250층이상이며, 필름의 한쪽의 표층으로부터의 B층의 서열번호와 각 층의 두께를 선형 근사했을 때의 상관계수의 2승값을 0.4이상 1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도1~도4에 예시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장치를 사용한 경우, 상관계수의 2승값의 조정방법으로서는, 실질적인 층두께의 변화량(실질적인 최대두께를 기준으로 해서, 실질적인 최소두께의 변화의 비율)이 15%이상이면, 상관계수의 2승값을 0.4이상으로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관계수의 2승값을 0.5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층두께의 변화율을 20%이상으로 하고, 슬릿의 길이를 40mm이상으로 하면 좋다. 또한, 상관계수의 2승값을 0.7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슬릿의 길이를 50mm이상으로 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인, A층 및 B층을 합한 적층수가 250층이상이며, B층의 서열번호와 층두께를 2차의 다항식 근사했을 때의 상관계수의 2승값을 0.4이상 1이하로 하는 경우도, 도1~도4에 예시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장치를 사용한 경우, 상관계수의 2승값의 조정방법으로서는, 설계한 2차 함수분포가 되는 층두께가 되도록, 슬릿의 형상 및/또는 슬릿간극을 조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관계수의 2승값을 0.7이상으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용융 적층체는, 다음에 다이에서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후, 토출된다. 여기에서, 시트상으로 성형하는 다이로서는, 다이내에서의 적층체의 확폭율이 1배이상 100배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배이상 50배이하이다. 다이내에서의 적층체의 확폭율이 100배보다 크면, 적층체 표층부의 적층두께의 편차가 커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다이내에서의 적층체의 확폭율이 1배이상 100배이하인 것에 의해, 적층 필름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차를 ±10%이내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폭방향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차를 ±5%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용융 적층이 층류상태로 유동하는 유로과정에 있어서, 필름 두께방향으로 유로가 확대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단, 높은 정밀도로 적층된 용융 적층체를 유로중에서 두께방향으로 폭을 넓히면, 표층부의 유속과 중앙부의 유속에 큰 차가 생겨, 우선 필름 두께방향으로 적층두께가 서서히 변화되는 경사 구조가 생기고, 또한 이것을 시트상으로 성형하기 위해서 확폭(필름 폭방향으로 유로를 넓힌다)되면, 유속이 빠른 폭방향 중앙부의 적층체의 경사구조가 보다 확대되므로,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시트는 폭방향에 있어서의 반사율의 차를 ±5%이하로 하는 것은 곤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이로부터 토출된 다층으로 적층된 시트는, 캐스팅드럼 등의 냉각체상에 압출되고, 냉각고화되어, 캐스팅 필름이 얻어진다. 이 때, 와이어상, 테이프상, 바늘상 또는 나이프상 등의 전극을 이용하여, 정전기력에 의해 캐스팅드럼 등의 냉각체에 밀착시켜 급냉고화시키는 방법이나, 슬릿상, 스폿상, 면상의 장치로부터 에어를 분출해서 캐스팅드럼 등의 냉각체에 밀착시켜 급냉고화시키는 방법, 닙롤로 냉각체에 밀착시켜 급냉고화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필름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인 필름두께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서는, (1)필름압출공정에서, 주기적으로 토출량을 변화시킨다. (2)필름캐스트공정에서, 캐스트 속도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킨다. (3)필름캐스트공정의 정전인가장치로 전압 또는 전류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킨다. (4)세로연신공정에서, 연신장력이 상승되지 않는 고온에서 연신한다. (5)구금 다이볼트를 기계적?열적으로 작동시켜, 구금 립 간격을 변화시킨다. 등의 방법이 바람직하게 이용되지만, 본 발명의 필름의 제조방법은, 물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방법 중에서, 여러가지 사인파, 삼각파, 직사각형파, 톱파, 임펄스파 등의 여러가지 두께 주기변화에서 임의로 효율좋게 조정할 수 있는 필름캐스트공정의 정전인가장치로, 전압 또는 전류를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캐스팅 필름은 필요에 따라 2축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축연신이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을 말한다. 연신은, 순차로 2방향으로 연신해도 좋고, 동시에 2방향으로 연신해도 좋다. 또한 길이 및/또는 폭방향으로 재연신을 행해도 좋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면내의 배향차를 억제할 수 있는 점이나, 표면상처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동시 2축연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순차 2축연신의 경우에 대해서 우선 설명한다. 여기에서, 길이방향으로의 연신이란, 필름에 길이방향의 분자배향을 주기 위한 연신을 말하고, 통상은, 롤의 둘레속도차에 의해 실시되고, 이 연신은 1단계로 행해도 좋고, 또한 복수개의 롤쌍을 사용해서 다단계로 행해도 좋다. 연신의 배율로서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2~15배가 바람직하고,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중 어느 하나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2~7배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연신온도로서는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유리전이온도+100℃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1축연신된 필름에, 필요에 따라서 코로나처리나 프레임처리, 플라즈마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실시한 후, 이활성, 이접착성, 대전방지성 등의 기능을 인라인코팅에 의해 부여해도 좋다.
또한 폭방향의 연신이란, 필름에 폭방향의 배향을 주기 위한 연신을 말하고, 통상은, 텐터를 이용하여,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반송해서, 폭방향으로 연신한다. 연신의 배율로서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2~15배가 바람직하고,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중 어느 하나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2~7배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연신온도로서는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유리전이온도+120℃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2축연신된 필름은, 평면성, 치수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텐터내에서 연신온도이상 융점이하의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열처리된 후, 균일하게 서냉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권취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열처리부터 서냉시에 이완처리 등을 병용해도 좋다.
동시 2축연신의 경우에 대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동시 2축연신의 경우, 폭방향에 있어서의 반사피크의 반사율의 차가 ±10%이하로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동시 2축연신의 경우에는, 얻어진 캐스트 필름에, 필요에 따라서 코로나처리나 프레임처리, 플라즈마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실시한 후, 이활성, 이접착성, 대전방지성 등의 기능을 인라인 코팅에 의해 부여해도 좋다.
다음에 캐스트 필름을, 동시 2축 텐터에 안내하고,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반송하고,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동시 및/또는 단계적으로 연신한다. 동시 2축연신기로서는, 팬터그래프방식, 스크류방식, 구동모터방식, 리니어모터방식이 있지만, 임의로 연신배율을 변경 가능하며, 임의의 장소에서 이완처리를 행할 수 있는 구동모터방식 또는 리니어모터방식이 바람직하다. 연신의 배율로서는 수지 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면적배율로서 6~50배가 바람직하고,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중 어느 하나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면적배율로서 8~30배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특히 동시 2축연신의 경우에는, 면내의 배향차를 억제하기 위해서, 길이방향과 폭방향의 연신 배율을 동일하게 하는 동시에, 연신 속도도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온도로서는 적층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유리전이온도~유리전이온도+120℃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2축연신된 필름은, 평면성, 치수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계속해서 텐터내에서 연신온도이상 융점이하의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열처리시에, 폭방향에서의 주배향축의 분포를 억제하기 위해서, 열처리존에 들어가기 직전 및/또는 직후에 순간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이완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열처리된 후, 균일하게 서냉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권취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열처리부터 서냉시에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이완처리를 행해도 좋다. 열처리존에 들어가기 직전 및/또는 직후에 순간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이완처리하면, 필름 폭방향의 반사율의 차를 ±8%이하로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실시예
본 발명에 사용한 물성치의 평가법을 기재한다.
(물성치의 평가법)
(1)필름 단면 관찰
필름의 층구성은, 마이크로톰을 이용하여 단면을 잘라낸 샘플에 대해서, 전 자현미경 관찰에 의해 구했다. 즉, 투과형 전자현미경 HU-12형((주)히타치세이사쿠쇼제)을 이용하여, 필름의 단면을 40000배로 확대 관찰하여, 단면사진을 촬영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충분한 콘트라스트가 얻어졌기 때문에 실시하지 않았지만, 사용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조합에 따라서는 공지의 RuO4나 OsO4 등을 사용한 염색 기술을 이용하여 콘트라스트를 높여도 좋다.
(2)반사율
히타치세이사쿠쇼제 분광 광도계(U-3410 Spectrophotometer)에 φ60 적분구 130-0632((주)히타치세이사쿠쇼) 및 10°경사 스페이서를 부착해서 반사율을 측정했다. 또, 밴드 파라메터는 2/servo로 하고, 게인은 3으로 설정하고, 187nm~2600nm의 범위를 120nm/min의 검출속도로 측정했다. 또한 반사율을 기준화하기 위해서, 표준 반사판으로서 부속의 BaSO4판을 사용했다. 또한 반사피크의 파장은, 피크톱이 되는 파장으로 했다. 또한 반사율이 30%이상의 파장대역이 100nm이상의 범위를 갖는 경우에는, 반사피크의 파장을 반사율이 30%이상인 영역으로 나타냈다. 또한 그 반사율은, 반사율이 30%이상이 되는 고파장단-30nm~반사율이 30%이상이 되는 저파장단+30nm의 대역내의 반사율을 평균화해서 구했다. 또한 반사율이 30%이상이 되는 고파장단-30nm이하 반사율이 30%이상이 되는 저파장단+30nm이상의 대역내의 최대반사율과 최소반사율의 차를 반사피크내의 반사율의 범위로 규정했다. 또, 본 평가법에서는 상대 반사율로 되므로, 반사율은 100%이상이 되는 경우도 있다.
(3)고유점도
오르소클로로페놀중, 25℃에서 측정한 용액점도로부터 산출했다. 또한 용액점도는 오스왈드 점토계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단위는 [dl/g]으로 나타냈다. 또, n수는 3으로 하고, 그 평균치를 채용했다.
(4)필름의 두께 변동
안리쓰 가부시키가이샤제 필름 시크니스테스터 「KG601A」 및 전자 마이크로미터 「K306C」를 이용하여, 필름의 길이방향으로 30mm폭, 10m길이로 샘플링한 필름을 연속적으로 두께를 측정했다. 필름두께의 변화율은, 필름길이 1m내에서의 최대두께와 최소두께의 차를 평균 두께로 나누고 100을 곱한 값(%)으로 했다. 또, 이 필름두께의 변화율에 대해서는 n수 5회로 측정했다.
(5)필름의 두께 변동의 푸리에 해석
상술의 길이방향 두께변동 측정시에, 전자 마이크로미터로부터의 출력을 KEYENCE 「NR-1000」을 이용하여 수치화처리하고, 컴퓨터에 입력했다. 데이터의 입력은, 약 1m길이의 두께 변동 측정중에, 0.1초의 간격으로 1024점 샘플링했다(0.6m/분으로 반송 측정하고 있기 때문에 (저속 권취모터 사용), 0.1초×1024×0.6m/분÷60초/분으로, 약 1m의 두께 변동 데이터를 입력). 이렇게 입력한 수치 데이터를 Microsoft사의 Exce12000을 이용하여 정량적인 두께로 변환하여, 그 두께 변동에 대해서 푸리에 변환(FFT) 처리를 실시했다. 이 때, 두께 변화 데이터를, 두께의 절대치로 변환하고, 그 평균치를 두께 변화의 중심치가 되도록 변환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석에 제공했다. 이 때, 흐름방향의 변수로, 필름의 길이(m)를 취하면, FFT처리에 의해, 파수(1/m)에 대한 강도분포가 얻어진다. 여기에서, 얻어진 실수부를 an, 허수부를 bn이라고 하면, 스펙트럼 강도(Pwn)는 다음 식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Pwn=2(an 2+bn 2)1/2/N
n:파수(m-1)
N:1024(측정수).
(6)가열 시험후의 반사율
(2)에 기재된 방법으로 반사율을 측정한 샘플을, 150℃의 분위기로 유지된 열풍 오븐내에 넣고, 무가중의 상태에서 필름을 30분간 방치한 후, 실온에 꺼냈다. 이 샘플에 대해서, 반사율 측정위치가 동일하게 되도록 하면서, (2)에 기재된 방법으로 반사율을 측정했다. 가열전의 반사율(R1)로부터 가열후의 반사율(R2)을 빼서 반사율의 차로 했다.
(7)열수축율
필름을 폭 10mm, 길이 150mm로 샘플링하고, 샘플에 약 100mm간격의 표선을 마크한 후, 만능투영기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이 표선의 간격을 측정했다. 다음에 필름샘플을 길이방향으로 매달고, 3g의 하중을 길이방향으로 가해서, 150℃의 분위기로 유지된 열풍 오븐내에서 30분간 가열했다. 이 가열후의 표선의 간격을 측정하여, 필름의 수축량을 원치수에 대한 비율로 해서 백분률로 나타냈다.
(8)밀도
JIS-K-7112(1980년 개정)의 밀도 구배관법에 의해, 브롬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필름의 밀도를 측정했다.
(9)폭방향의 반사율
폭방향의 반사율은, 필름 폭방향에 있어서 두께가 거의 균일한 범위로부터, 양단과 중앙부의 3점의 측정을 행하고, 그 중의 반사율 피크의 반사율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로서 나타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품폭을 620mm로 했기 때문에, 제품 중앙부와 ±300mm의 위치에서 샘플링을 행했다.
(10)내가수분해성
JIS C 8917 내습성시험 B-2(1998)에 따라, 온도 85℃ 습도 85%에서 테스트로 했다.
(11)수증기 투과율
JIS K 7129B(1992)에 따라, 모던컨트롤사제의 수증기 투과율계 "PERMATRAN" W3/31을 이용하여 상대습도 90%, 온도 40℃의 조건하에서 측정했다. 측정값을 g/(㎡?day)의 단위로 나타냈다.
(12)인열강도
최대하중 32N의 인열시험기(도요세이키제)를 이용하여, JIS K 7128-2(1998)(엘리멘돌프 인열법)에 기초하여 인열강도(N)를 측정했다. 이 계측값을 측정한 필름의 두께로 나누어서 인열강도(N/mm)로 했다.
또, 이 인열강도는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각각 20샘플의 시험결과를 평균화 한 것으로 했다.
(13)박리시험
JIS K5600(2002년)에 따라 시험을 행했다. 또, 필름을 단단한 베이스로 간주하여, 2mm간격으로 25개의 격자상 패턴을 절개했다. 또한 약 75mm의 길이로 자른 테이프를 격자의 부분에 접착하고, 테이프를 60°에 가까운 각도로 0.5~1.0초의 시간으로 박리했다. 여기에서, 테이프에는 세키스이제 셀로테이프(등록상표) No.252(폭 18mm)를 사용했다. 평가결과는, 격자 1개분이 완전히 박리된 격자의 수로 나타냈다. 또한 시험필름의 두께가 100㎛보다 얇은 경우에는, 두께 100㎛의 2축연신 PET필름(토레이제 "루미러" T60)에 시험필름을 접착제로 강고하게 접합한 샘플을 박리시험에 사용했다. 이 때는, 시험샘플을 관통하지 않도록 시험샘플의 면에 격자를 절개해서 테스트를 실시했다.
(14)발열피크의 열량
시차열량분석(DSC)을 이용하여, JIS-K-7122(1987년)에 따라 측정?산출했다. 또, 우선 처음에, 1st Run에서, 25℃로부터 290℃까지 20℃/min으로 승온한 후 290℃에서 홀드하지 않고, 25℃까지 급냉했다. 또 계속되는 2nd Heating에서는, 25℃부터 290℃까지 20℃/min으로 승온했다.
장치:세이코 덴시고교(주)제 "로봇 DSC-RDC220"
데이터해석 "디스크 세션 SSC/5200"
샘플 질량:5mg
(15)상처
필름 표면에 형광등 등으로 광을 쪼이면서, 필름 10㎡를 관찰하여, 육안으로 검출한 상처를 마킹한 후, 마킹한 상처를 10~30배정도의 저배율의 광학현미경에 의해 표면 관찰했다. 이 때, 폭이 20㎛이상인 상처의 개수를 카운트했다.
(16)적층수, 적층두께, 상관계수의 2승값 및 적층편차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얻은 필름 단면상(배율 4만배의 사진화상)을, 스캐너(Canon제 CanonScanD123U)를 이용하여, 화상 사이즈 720dpi로 입력한 화상을 비트맵파일(BMP)로 보존했다. 다음에 화상처리 소프트 Image-Pro Plus ver.4(MediaCybernetics사제)를 이용하여, 이 BMP파일을 열고, 화상해석을 행했다. 이하에 대표적인 화상처리조건을 서술한다. 우선, 로우패스 필터(사이즈 7×7 강도 10 회수 10) 처리한 후, 수직 시크프로파일 모드로, 위치와 휘도의 수치 데이터를 얻었다. 또, 위치는, 미리 공간교정으로 스케일링해 두었다. 이 위치와 휘도의 데이터를 Microsoft사제 EXCEL2000상에서, 샘플링 스텝6(추려냄6), 또한 3점 이동평균 처리를 행했다. 또한, 이 얻어진 휘도를 위치로 미분하고, 그 미분곡선의 극대치와 극소치를 산출했다. 그리고, 인접하는 극대치와 극소치가 되는 위치의 간격을 층두께로 하여, 모든 층두께를 산출했다. 상관계수의 2승값 및 적층편차를 산출함에 있어서는, 사전에, 얻어진 B층의 두께에 대해서, 가장 두꺼운 층으로부터 5번째로 두꺼운 층까지와, 가장 얇은 층으로부터 5번째로 얇은 층까지를 추려냈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B층의 서열번호와 층두께로부터, Microsoft사제 EXCEL2000의 그래프기능을 이용하여, 각 상관계수의 2승값을 구했다. 또한 표준편차와 평균 층두께도 Microsoft사제 EXCEL2000을 이용하여 구했다.
(17)결정성 수지, 비결정성 수지의 판정
시차열량분석(DSC)을 이용하여, JIS-K-7122(1987년)에 따라 측정?산출했다. 우선 처음에, 1st Run에서, 25℃로부터 290℃까지 10℃/min으로 승온한 후, 290℃에서 5분간 홀드했다. 계속해서, 290℃부터 25℃까지, 10℃/min으로 강온했다. 이 강온시의 결정화 발열피크의 열량이 3J/g이하인 경우를 비결정성 수지로 했다. 또한 3J/g보다 큰 경우를 결정성 수지로 했다.
장치:세이코 덴시고교(주)제 "로봇DSC-RDC220"
데이터해석 "디스크 세션 SSC/5200"
샘플 질량:5mg
(실시예1)
2종류의 열가소성 수지로서, 열가소성 수지A와 열가소성 수지B를 준비했다. 실시예1에 있어서는, 열가소성 수지A로서, 고유점도 0.6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토레이제 F20S]를 사용했다. 또, 이 열가소성 수지A는 결정성 수지였다. 또 열가소성 수지B로서 에틸렌글리콜에 대해서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30㏖%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CHDM 공중합 PET)[이스트만제 PETG6763]와 고유점도 0.6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85:15의 중량비로, 2축압출기로 혼련해서 합금화한 수지를 사용했다. 열가소성 수지A의 건조전의 밀도는 1.336g/㎤이며, 열가소성 수지B의 건조전의 밀도는 1.285g/㎤였다. 또, 에틸렌글리콜에 대해서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30㏖%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CHDM 공중합 PET)[이스트만제 PETG6763]는 비결정성 수지이며, 고유점도 0.6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는 결정성 수지였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A 및 B는, 각각 건조한 후, 압출기에 공급했다.
열가소성 수지A 및 B는, 각각, 압출기로 280℃의 용융상태로 해서 기어펌프 및 필터를 개재한 후, 201층의 피드블록으로 합류시켰다. 또, 201층의 피드블록으로서는, 도5에 나타내는 장치를 사용했다. 또, 201개의 슬릿을 갖는 슬릿부재가 1개로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합류된 열가소성 수지A 및 B는, 피드블록내에서 각 층의 두께가 표면측으로부터 반대 표면측까지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하고, 열가소성 수지A가 101층, 열가소성 수지B가 100층으로 이루어지는 두께방향으로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 했다. 각 층의 두께의 조정은, 피드블록내의 각 층의 유로에 형성한 미세 슬릿(가공 정밀도 0.01mm로 형성)의 형상에 의해 조정했다. 슬릿형상으로서는, 길이가 40mm(도면중의 긴 측), (수지가 도입되지 않는 측의 슬릿면적)/(수지가 도입되는 측의 슬릿면적)이 0.5가 되도록 했다. 또, 양 표층부분은 열가소성 수지A가 되도록 했다. 여기에서 인접하는 A층과 B층의 두께비(A층두께/B층두께)가 0.95가 되도록, 피드블록의 형상 및 토출량으로 조정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합계 201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다이에 공급하여 시트상으로 성형한 후, 정전인가(직류전압 8kV)로 표면온도 25℃로 유지된 캐스팅드럼상에서 급냉고화했다.
얻어진 캐스트 필름은, 양면에 공기중에서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하여, 기재필름의 습윤장력을 55mN/m로 하고, 그 처리면에 (유리전이온도가 18℃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유리전이온도가 82℃인 폴리에스테르 수지)/평균 입경 100nm의 실리카 입자로 이루어지는 적층형 성막 도포액을 도포하여 투명?이활?이접착층을 형 성했다.
이 캐스트 필름은, 리니어모터식의 동시 2축연신기에 안내하여, 95℃의 열풍으로 예열후,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3.5배 연신했다. 연신한 필름은, 그대로, 텐터내에서 230℃의 열풍으로 열처리를 행함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5%의 이완처리를 행하고, 계속해서 폭방향으로 5%의 이완처리를 실시하여, 실온까지 서냉후, 권취했다.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21.1㎛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가열에 의한 광학적 성능의 변화가 거의 없고, 2차의 반사피크도 거의 없기 때문에, 자외선영역에 있어서의 불필요한 반사가 거의 확인되지 않는 것이었다.
(실시예2)
실시예1에 있어서, 피드블록에서의 적층수를 51층으로 한 이외는 캐스팅드럼 속도를 조정해서 필름두께를 5.3㎛로 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은 조건으로 했다. 얻어진 필름은, 가열에 의한 광학적 성능의 변화가 거의 없고, 2차의 반사피크도 거의 없기 때문에, 자외선영역에 있어서의 불필요한 반사가 거의 확인되지 않는 것이었다.
(실시예3)
2종류의 열가소성 수지로서, 열가소성 수지A와 열가소성 수지B를 준비했다. 열가소성 수지A로서, 고유점도 0.6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토레이제 F20S]를 사용했다. 또, 이 열가소성 수지A는 결정성 수지였다. 또 열가소성 수지B로서 에틸렌글리콜에 대해서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30㏖%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CHDM 공중합 PET)[이스트만제 PETG6763]와 고유점도 0.65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85:15의 중량비로, 2축압출기로 혼련해서 합금화한 수지를 사용했다. 또, 에틸렌글리콜에 대해서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30㏖%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CHDM 공중합 PET)[이스트만제 PETG6763]는 비결정성 수지이며, 고유점도 0.6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는 결정성 수지였다. 열가소성 수지A의 건조전의 밀도는 1.336g/㎤이며, 열가소성 수지B의 건조전의 밀도는 1.285g/㎤였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A 및 B는 각각 건조한 후 압출기에 공급했다.
열가소성 수지A 및 B는, 각각, 압출기로 280℃의 용융상태로 하고, 기어펌프 및 필터를 개재한 후, 801층의 피드블록으로 합류시켰다. 801층의 피드블록으로서는, 도1 및 도4에 나타내는 장치를 사용했다. 또, 상기의 피드블록은 267개의 슬릿을 갖는 슬릿부재가 3개로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합류된 열가소성 수지A 및 B는, 피드블록내에서 각 층의 두께가 표면측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두꺼워지도록 변화시키고(슬로프형), 열가소성 수지A가 401층, 열가소성 수지B가 400층으로 이루어지는 두께방향으로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 했다. 슬릿형상으로서는, 길이가 40mm(도면중의 긴 측), (수지가 도입되지 않는 측의 슬릿면적)/(수지가 도입되는 측의 슬릿면적)이 0.5가 되도록 했다. 각 층의 두께의 조정은, 피드블록내의 각 층의 유로에 형성한 미세 슬릿(가공 정밀도 0.01mm로 형성)의 형상에 의해 조정했다. 또, 양 표층부분은 열가소성 수지A가 되도록 했다. 여기에서 인접하는 A층과 B층의 두께비가 0.95가 되도록, 피드블록의 형상 및 토출량으로 조정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합계 801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멀티 매니폴드 다이에 공급하고, 다시 그 표층이 다른 압출기로부터 공급한 열가소성 수지A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하여, 시트상으로 성형한 후, 정전인가로 표면온도 25℃로 유지된 캐스팅드럼상에서 급냉고화했다.
얻어진 캐스트 필름은, 양면에 공기중에서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하여, 기재 필름의 습윤장력을 55mN/m로 하고, 그 처리면에 (유리전이온도가 18℃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유리전이온도가 82℃인 폴리에스테르 수지)/평균 입경 100nm의 실리카 입자로 이루어지는 적층형 성막 도포액을 도포하여 투명?이활?이접착층을 형성했다.
이 캐스트 필름을, 리니어모터식의 동시 2축연신기에 안내하여, 95℃의 열풍으로 예열후,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3.5배 연신했다. 연신한 필름은, 그대로, 텐터내에서 230℃의 열풍으로 열처리를 행함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5%의 이완처리를 행하고, 계속해서 폭방향으로 5%의 이완처리를 실시하고, 실온까지 서냉후, 권취했다.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130㎛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가열에 의한 광학특성의 변화가 거의 없고, 또한 근적외선을 효율좋게 반사하면서, 가시광선영역에는 고차의 반사가 거의 확인되지 않는 무색 투명의 근적외선 필터로 되었다.
(실시예4)
실시예1에 있어서, 토출량을 조정해서 인접하는 A층과 B층의 두께비(A층두께/B층두께)를 1.89로 하고, 캐스팅드럼 속도를 조정해서 필름두께를 47.2㎛로 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은 조건으로 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가열에 의한 광학특성의 변화가 거의 없고, 3차의 반사피크가 거의 없기 때문 에, 가시선영역에 불필요한 반사피크가 거의 확인되지 않고, 무색의 근적외선 반사 필름으로 되었다.
(실시예5)
실시예4에 있어서, 인접하는 A층과 B층의 두께비(A층두께/B층두께)를 3.2로 하고, 캐스팅드럼 속도를 조정해서 필름두께를 47.0㎛로 한 이외는, 실시예4와 같은 조건으로 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가열에 의한 광학특성의 변화가 거의 없지만, 고차의 반사가 다수 관찰되었기 때문에, 녹색으로 착색된 근적외선 반사필름으로 되었다.
(실시예6)
실시예1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B로서,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테레프탈산과 아디핀산으로 이루어지고, 그 비율이 80㏖%:20㏖%이며, 또한 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과 시클로헥산디메탄올으로 이루어지고, 그 비율이 90㏖%:10㏖%인 고유점도 0.75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했다. 그 이외에 대해서는, 실시예1과 같은 조건으로 했다. 얻어진 필름은, 가열에 의한 광학적 성능의 변화가 거의 없고, 2차의 반사피크도 거의 없기 때문에, 자외선영역에 있어서의 불필요한 반사가 거의 확인되지 않는 것이었다.
(실시예7)
실시예4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B로서 에틸렌글리콜에 대해서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30㏖%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CHDM 공중합 PET)[이스트만제 PETG6763]를 사용하여, 피드블록내의 슬릿형상을 변경해서 길이가 40mm(도2중의 긴 측 3b), (수지가 도입되지 않는 측의 슬릿면적)/(수지가 도입되는 측의 슬릿면적)이 0.91이 되도록 한 이외는, 실시예4와 같은 조건으로 했다. 또, 에틸렌글리콜에 대해서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30㏖%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CHDM 공중합 PET)[이스트만제 PETG6763]는 비결정성 수지였다.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47.2㎛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가열에 의한 광학특성의 변화는 약간이며, 3차의 반사피크가 거의 없기 때문에, 가시선영역에 불필요한 반사피크가 거의 확인되지 않고, 무색의 근적외선 반사필름이었지만, 실시예4에 비해 폭방향의 반사율의 차가 커서 대면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어려웠다.
(실시예8)
실시예7에 있어서, 실시예1의 피드블록을 사용하여, 피드블록으로부터 다이 매니폴드부까지 압축 및 폭을 넓히지 않는 구조로 한 이외는, 실시예7과 동일한 조건으로 했다. 얻어진 필름은 47.2㎛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가열에 의한 광학특성의 변화는 약간이며, 3차의 반사피크가 거의 없기 때문에, 무색의 근적외선 반사필름으로 되었다. 또한 폭방향의 반사율의 차도 거의 없어 대면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했다.
(비교예1)
실시예1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B를 고유점도 0.67의 테레프탈산에 대해서 이소프탈산을 12㏖%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산 공중합 PET)로 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은 조건으로 했다. 또, 이 열가소성 수지B는 결정성 수지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3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가열에 의해 광학적 성능이 변화되어 실용 레벨에는 이르지 못했다.
(비교예2)
실시예1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B를 고유점도 0.67의 테레프탈산에 대해서 이소프탈산을 17.5㏖%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산 공중합 PET)로 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은 조건으로 했다. 또, 이 열가소성 수지B는 결정성 수지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3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가열에 의해 광학적 성능이 변화되어 실용 레벨에는 이르지 못했다.
(비교예3)
실시예1에 있어서, 적층장치를 가공 정밀도 0.2mm의 방전 와이어 가공으로 설계한 유로표면 거칠기가 2.0S인 9개의 미세 슬릿을 갖는 피로블록과, 유로 총단면적이 200㎟이며 길이가 30mm인 스퀘어믹서 3단과, 합류판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은 조건으로 했다.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14㎛이며, 적층수는 129층이었지만, 그 적층 정밀도가 불충분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3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가열에 의해 광학적 성능이 변화되지 않지만, 반사피크가 존재하지 않고, 가장 높은 반사율에서조차 25%였다.
(실시예9)
실시예1에 있어서, 캐스팅드럼에 밀착시키기 위한 정전인가를 중심전압 8kV, 전압진폭 4kV(peak-peak)의 사인파를 주기적으로 인가하는 조건으로 하고, 또 캐스팅드럼 속도를 조정해서 평균 필름두께를 15.5㎛로 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은 조건으로 했다. 얻어진 결과를 표3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필름면내에 녹색과 청색이 약 50mm피치로 가로단차상으로 주기적으로 존재했지만, 각 색을 발현시키는 부위에서는 고차의 반사가 관찰되지 않았기 때문에, 매우 선명한 색을 보였다. 또한 가열에 의한 광학특성의 변화도 거의 없었다.
(실시예10)
2종류의 열가소성 수지로서, 열가소성 수지A와 열가소성 수지B를 준비했다. 열가소성 수지A로서, 고유점도 0.6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토레이제 F20S]를 사용했다. 또 열가소성 수지B로서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에틸렌글리콜에 대해서 30㏖%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CHDM?T)[이스트만제 PETG6763]를 사용했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A 및 B는 각각 건조한 후, 압출기에 공급했다.
열가소성 수지A 및 B는, 각각, 압출기로 280℃의 용융상태로 하고, 기어펌프 및 필터를 개재한 후, 실시예3과 같은 801층의 피드블록으로 합류시켰다. 합류된 열가소성 수지A 및 B는, 피드블록내에서 각 층의 두께가 표면측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선형상으로 서서히 두꺼워지도록 변화시키고(슬로프형), 열가소성 수지A가 401층, 열가소성 수지B가 400층으로 이루어지는 두께방향으로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 했다. 각 층의 두께의 조정은, 피드블록내에 형성한 미세 슬릿(가공 정밀도 0.01mm로 형성)의 형상에 의해 조정했다. 또한 슬릿형상으로서는, 길이가 50mm(도면중의 긴 측), (수지가 도입되지 않는 측의 슬릿면적)/(수지가 도입되는 측의 슬릿면적)이 0.5가 되도록 했다. 또, 양 표층부분은 열가소성 수지A가 되도록 했다. 여기에서 A층과 B층의 두께비(Z)가 1이 되도록, 피드블록의 형상 및 토출량 으로 조정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합계 801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멀티 매니폴드 다이에 공급하고, 다시 그 표층에 다른 압출기로부터 공급한 열가소성 수지A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하고, 시트상으로 성형한 후, 정전인가로 표면온도 25℃로 유지된 캐스팅드럼상에서 급냉고화했다.
얻어진 캐스트 필름은, 양면에 공기중에서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하고, 기재 필름의 습윤장력을 55mN/m로 하고, 그 처리면에 (유리전이온도가 18℃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유리전이온도가 82℃인 폴리에스테르 수지)/평균 입경 100nm의 실리카 입자로 이루어지는 적층형 성막도포액을 도포하고, 투명?이활?이접착층을 형성했다.
이 캐스트 필름은, 리니어모터식의 동시 2축연신기에 안내하고, 95℃의 열풍으로 예열후,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3.5배 연신했다. 연신한 필름은, 그대로, 텐터내에서 230℃의 열풍으로 열처리를 행함과 동시에 세로방향으로 2%의 이완처리를 행하고, 계속해서 가로방향으로 5%의 이완처리를 실시하고, 실온까지 서냉후, 권취했다.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128㎛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4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근적외선을 편차없이 반사하고 있었다. 또한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과 반사 방지층을 형성해도 거의 간섭얼룩은 문제없는 범위였다.
(실시예11)
실시예10의 A층과 B층의 두께비(Z)를 0.95로 한 이외는, 실시예10과 같은 조건으로 했다.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130㎛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4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근적외선을 편차없이 반사하고 있었다. 또한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과 반사 방지층을 형성해도, 거의 간섭얼룩은 문제없는 범위였다.
(실시예12)
실시예10의 A층과 B층의 두께비(Z)를 3.5로 한 이외는, 실시예10과 같은 조건으로 했다.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130㎛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4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근적외선을 편차없이 반사하고 있었다. 또한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과 반사 방지층을 형성해도, 거의 간섭얼룩은 문제없는 범위였다.
(비교예4)
실시예10의 열가소성 수지B를 고유점도 0.71의 테레프탈산에 대해서 아디핀산을 30㏖%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공중합체(PET/A)로 한 이외는, 실시예10과 같은 조건으로 했다. 또, 이 열가소성 수지B는 결정성 수지였다.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128㎛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4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근적외선을 편차없이 반사하고 있었다. 또한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과 반사 방지층을 형성해도, 거의 간섭얼룩은 문제없는 범위였다. 그러나, 가열에 의해 반사대역의 반사율이 저하되었다. 또한 박리도 생기기 쉬웠다.
(실시예13)
실시예11에 있어서, 다이내에서 고유점도 0.6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토레이제 F20S]와 평균 입경 100nm의 구상 실리카 0.01wt%로 이루어지는 수지를 표층에 형성하고, 코팅을 실시하지 않은 이외는, 실시예11과 같은 조건으로 했다.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128㎛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5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근적외선을 편차없이 반사하고 있었다. 또한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과 반사 방지층 을 형성해도, 거의 간섭얼룩은 문제없는 범위였지만, 하드코트층과의 접착성은 실시예11에 비해서 떨어지는 것이었다.
(실시예14)
실시예11에 있어서, 연신방식을 순차 2축연신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11과 같은 조건으로 했다. 순차 2축연신으로서는, 우선 얻어진 캐스트 필름을, 75℃로 설정한 롤군으로 가열하고, 연신구간길이 100mm 사이에서, 필름 양면으로부터 레이디에이션 히터에 의해 급속가열하면서, 세로방향으로 3.4배 연신했다. 또한 세로연신 롤의 오염에 의한 상처를 가능한 한 저감시키기 위해서, 세로연신 롤은 표면 거칠기가 0.4S인 다이아몬드 라이크 카본(DLC) 처리 롤을 사용하고, 엑시머 UV램프에 의해 롤 클리닝도 아울러 실시했다. 그 후에 이 1축연신 필름의 양면에 공기중에서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하고, 기재 필름의 습윤장력을 55mN/m로 하고, 그 처리면에 (유리전이온도가 18℃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유리전이온도가 82℃인 폴리에스테르 수지)/평균 입경 100nm의 실리카 입자로 이루어지는 적층형 성막도포액을 도포하여, 투명?이활?이접착층을 형성했다.
이 1축연신 필름을 텐터에 안내하고, 100℃의 열풍으로 예열후, 가로방향으로 3.7배 연신했다. 연신한 필름은, 그대로, 텐터내에서 230℃의 열풍으로 열처리를 행하고, 계속해서 동온도에서 폭방향으로 5%의 이완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에 실온까지 서냉후, 권취했다.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128㎛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5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근적외선을 편차없이 반사하고 있었다. 또한 표면에 하드코트층과 반사 방지층을 형성해도, 거의 간섭얼룩은 문제없는 범위였다. 그러 나, 실시예11에 비해, 표면의 상처가 약간 보여지고, 특히 품위에 대한 요구의 엄격한 필터로서는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실시예15)
실시예14에 있어서, 멀티 매니폴드 다이를 사용하지 않고 통상의 싱글 다이 를 이용하여 표층에 열가소성 수지A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고, 세로연신 롤은 표면 거칠기가 1.0S인 크롬도금 롤을 사용하고, 엑시머 UV램프에 의해 롤 클리닝을 실시하지 않은 이외는, 실시예14와 같은 조건으로 했다.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118㎛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5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근적외선을 편차없이 반사하고 있었다. 또한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과 반사 방지층을 형성한 경우, 간섭얼룩이 실시예11에 비해 현저하게 되었다. 또한 표면의 상처가, 실시예11에 비해, 많이 확인되고, 특히 품위에 대한 요구의 엄격한 광학필터로서는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실시예16)
실시예11에 있어서, 피드블록내에서 각 층의 두께가 표면측으로부터 중심부부근까지는 두꺼워지고, 중심부부근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으로는 얇아지는 볼록형의 적층구성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11과 같은 조건으로 했다. 또, 층두께는 슬릿의 길이로 조정했다.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138㎛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5에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반사대역에 있어서의 고파장측단이 매우 샤프하게 되었다. 얻어진 필름은, 근적외선을 편차없이 반사하고 있었다. 또한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과 반사 방지층을 형성해도, 거의 간섭얼룩은 문제없는 범위였다.
(실시예17)
실시예11에 있어서, 피드블록내에서 각 층의 두께가 표면측으로부터 중심부부근까지는 얇아지고, 중심부부근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으로는 두꺼워지는 오목형의 적층구성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11과 같은 조건으로 했다. 또, 층두께는 슬릿의 길이로 조정했다.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138㎛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6에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반사대역에 있어서의 저파장측단이 매우 샤프하게 되어, PDP 등의 근적외선 필터로서 최적인 엣지 필터로 되었다. 얻어진 필름은, 근적외선을 편차없이 반사하고 있었다. 또한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과 반사 방지층을 형성해도, 거의 간섭얼룩은 문제없는 범위였다.
(실시예18)
실시예11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A를 고유점도 0.6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토레이제 F20S]와 평균 입경 100nm의 구상 실리카(0.01wt%)로 이루어지는 수지로 하고, 멀티 매니폴드 다이를 사용하지 않고 매니폴드가 싱글인 다이를 사용해서 표층이 열가소성 수지A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하지 않고, 캐스트 필름 표면에의 코팅을 하지 않은 이외는, 실시예11과 같은 조건으로 했다.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128㎛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6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근적외선을 편차없이 반사하고 있었다. 또한 표면에 하드코트층과 반사 방지층을 형성해도, 거의 간섭얼룩은 문제없는 범위였지만, 하드코트층과의 접착성이 실시예11에 비해 떨어졌다. 또한 필름 내부의 입자 때문에 약간 흐리게 보였다.
(실시예19)
실시예11에 있어서, 피드블록내에서 열가소성 수지A가 201층, 열가소성 수지B를 200층의 교대 적층체로 한 이외는, 실시예1과 같은 조건으로 했다. 또, 피드블록내의 적층장치로서는, 201개의 슬릿을 갖는 슬릿부재와 200개의 슬릿을 갖는 슬릿부재의 2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했다.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71㎛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6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근적외선을, 반사율에 약간 편차가 있지만, 반사하고 있었다. 또한 표면에 하드코트층과 반사 방지층을 형성한 경우, 간섭얼룩은 약간 확인되지만, 허용할 수 있는 범위였다.
(실시예20)
실시예11에 있어서, 실시예1의 피드블록을 사용하여, 피드블록내에서 열가소성 수지A가 101층, 열가소성 수지B가 100층인 교대 적층체로 한 이외는, 실시예11과 같은 조건으로 했다.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41㎛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6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근적외선을, 반사율에 약간 편차가 있지만, 반사하고 있었다. 또한 표면에 하드코트층과 반사 방지층을 형성한 경우, 간섭얼룩은 약간 확인되지만, 허용할 수 있는 범위였다.
(실시예21)
실시예14에 있어서, 피드블록내에서 열가소성 수지A가 201층, 열가소성 수지B가 200층인 교대 적층체로 하고, 반사대역을 800nm로부터 1650nm로 되도록 설계한 이외는, 실시예14와 같은 조건으로 했다. 또, 피드블록의 구조는 실시예19와 같은 것으로 했지만, 슬릿길이는 조정했다.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85㎛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7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가시광선으로부터 근적외선을 반사하고 있었 지만, 실시예19에 비해서 반사율의 편차가 큰 것이었다. 또한 표면에 하드코트층과 반사 방지층을 형성한 경우, 반사율의 편차에 의해 간섭얼룩이 현저하게 보였다. 또한 표면의 상처도 약간 확인되었다.
(실시예22)
실시예21에 있어서, 피드블록내에서 열가소성 수지A가 401층, 열가소성 수지B가 400층인 교대 적층체로 하고, 반사대역을 600nm로부터 1650nm가 되도록 설계한 이외는, 실시예21과 같은 조건으로 했다. 또, 피드블록의 구조는 실시예10과 같은 것으로 했지만, 슬릿길이는 조정했다.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150㎛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7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가시광선으로부터 근적외선을 반사했지만, 실시예10에 비해서 반사율의 편차가 큰 것이었다. 또한 표면에 하드코트층과 반사 방지층을 형성한 경우, 반사율의 편차에 의해 간섭얼룩이 현저하게 보였다. 또한 표면의 상처도 약간 확인되었다.
(실시예23)
2종류의 열가소성 수지로서, 열가소성 수지A와 열가소성 수지B를 준비했다. 열가소성 수지A로서, 고유점도 0.83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미츠이카가쿠제 J135]를 사용했다. 또 열가소성 수지B로서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에틸렌글리콜에 대해서 30㏖% 공중합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CHDM?T)[이스트만제 PETG6763]를 사용했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A 및 B는, 각각 건조한 후, 압출기에 공급했다. 또, 이 열가소성 수지A는 결정성 수지이며, 이 열가소성 수지B는 비결정성 수지였다.
열가소성 수지A 및 B는, 각각, 압출기로 290℃의 용융상태로 하고, 기어펌프 및 필터를 개재한 후, 1601층의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피드블록으로 합류시켰다. 합류한 열가소성 수지A 및 B는, 피드블록내에서 각 층의 두께가 표면측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두꺼워지도록 변화시키고(슬로프형), 열가소성 수지A가 801층, 열가소성 수지B가 800층으로 이루어지는 두께방향으로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 했다. 각 층의 두께의 조정은, 피드블록내의 각 층의 유로에 형성한 미세 슬릿(가공 정밀도 0.01mm로 형성)의 형상에 의해 조정했다. 또, 양 표층부분은 열가소성 수지A가 되도록 했다. 여기에서 A층과 B층의 두께비(Z)가 2가 되도록 피드블록의 형상 및 토출량으로 조정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합계 1601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멀티 매니폴드 다이에 공급하고 다시 그 표층에 다른 압출기로부터 공급한 열가소성 수지A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하고, 시트상으로 성형한 후, 정전인가로 표면온도 25℃로 유지된 캐스팅드럼상에서 급냉고화했다.
얻어진 캐스트 필름은, 양면에 공기중에서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하고, 기재 필름의 습윤장력을 55mN/m로 하고, 그 처리면에 (유리전이온도가 18℃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유리전이온도가 82℃인 폴리에스테르 수지)/평균 입경 100nm의 실리카 입자로 이루어지는 적층형 성막도포액을 도포하여, 투명?이활?이접착층을 형성했다.
이 캐스트 필름은, 동시 2축연신기에 안내하고, 95℃의 열풍으로 예열후,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3.5배 연신했다. 연신한 필름은, 그대로, 텐터내에서 230℃의 열풍으로 열처리를 행함과 동시에 세로방향으로 5%의 이완처리를 행하고, 계 속해서 가로방향으로 5%의 이완처리를 실시하여, 실온까지 서냉후, 권취했다.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225㎛이며, 인열강도는 길이방향이 13N/mm이며, 폭방향이 12N/mm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과 25㎛의 알루미늄박을 접합해서 태양전지용 반사체로 했다. 이 태양전지용 반사체의 수증기 투과율은 0.1g/(㎡?day)였다. 또한 이 태양전지용 반사체를 이용하여 실리콘형의 태양전지를 제작했다. 얻어진 태양전지는, 내가수분해성이 2000시간이상이며, 또 셀 발전효율은 태양전지용 반사체에 종래의 백색체(50㎛의 "루미러" E20에 25㎛의 알루미늄박을 접합한 것)를 사용한 경우가 18%였던 것에 대해, 19.5%로 향상되었다. 또, 가공공정이나 경시의 열이력에 의한 반사특성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경시에서의 반사판 기인의 발전효율 저하는 작았다.
(실시예24)
실시예11에서 얻은 적층 필름의 한쪽 면에 이하의 색보정층 및 점착층을 형성하여 광학필터로 했다. 광학필터의 색보정층에 함유하는 염료로서 이하의 것을 준비했다.
염료A:폴리피라진계 화합물 염료 야마다카가쿠고교제 TAP-2
염료B:벤젠디티올계 금속착체 화합물 함유 시아닌계 화합물 염료 스미토모세이카제 SD5Cu-KNCO2
이들을, 아크릴 코팅제인 니혼쇼쿠바이제의 하루스하이브리드 IR-G205에 배합했다. 또한 이들 배합량은 아크릴 코팅제의 고형분에 대해서, 염료A가 0.56wt%, 염료B가 0.15wt%가 되도록 하고, 또한 메틸에틸케톤/톨루엔(1:1)으로 고형분이 20% 가 되도록 희석했다. 그 후에 얻어진 적층 필름에 건조막 두께가 15㎛가 되도록 바코터로 도포하고, 120℃에서 3분간 건조시켰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인 소켄카가쿠제 SK 다인 1435를 메틸에틸케톤으로 고형분이 50%가 되도록 희석한 후, 색보정층 위에 건조후의 점착제 막압이 25㎛가 되도록 애플리케이터로 도포하고, 120℃에서 3분간 건조시켰다.
얻어진 광학필터는 PDP용 근적외선 차단 필름으로서 바람직하며, 종래품(비교 예5)에 비해서 향상되며, PDP의 휘도가 91cd/㎡, 콘트라스트가 410:1이었다. 또한 광학필터의 빛깔로서는 착색은 없고, 또한, 시야각 50°(화면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과 이루는 각)에 있어서도 착색은 보여지지 않았다. 또한 PDP필터로서 요구되는 장기 내열시험(80℃, 500시간)을 이 필터에 실시했다. 그 결과, 근적외선(900nm)의 투과율은 시험전이 93%였던 것에 대해, 시험후가 92%이며, 필터로서의 광학특성이 변화되기 어려운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5)
이접착층이 형성된 단막 필름(토레이제 "루미러" U34)의 한쪽 면에 이하의 근적외선 흡수?색보정층과 점착층을 형성하여 광학필터를 제작했다. 광학필터의 근적외선 흡수?색보정층에 함유하는 염료로서 이하의 것을 준비했다.
염료A:폴리피라진계 화합물 염료 야마다카가쿠고교제 TAP-2
염료B:디이모늄계 화합물 염료 니혼카야쿠제 IRG-022
이들을 아크릴 코팅제인 니혼쇼쿠바이제의 하루스하이브리드 IR-G205에 배합했다. 또한 이들의 배합량은 아크릴 코팅제의 고형분에 대해서, 염료A가 0.56wt%, 염료B가 2.5wt%의 비율로 되도록 하고, 다시 메틸에틸케톤/톨루엔(1:1)으로 고형분이 20%가 되도록 희석했다. 그 후에 얻어진 적층 필름에 건조막 두께가 15㎛가 되도록 바코터로 도포하고, 120℃에서 3분간 건조시켰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인 소켄카가쿠제 SK 다인 1435를 메틸에틸케톤으로 고형분이 50%가 되도록 희석한 후, 색보정층 위에 건조후의 점착제 막압이 25㎛가 되도록 애플리케이터로 도포하고, 120℃에서 3분간 건조시켰다.
얻어진 광학필터를 PDP용 근적외선 차단 필름에 사용한 경우, 적외선의 누설에 의한 리모컨의 오동작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었지만, 휘도가 72cd/㎡, 콘트라스트가 327:1로, 종래기술과 같은 영상밖에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광학필터의 빛깔로서는 착색은 없고, 또한, 시야각 50°(화면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과 이루는 각)에 있어서도 착색은 보여지지 않았다. 또, 본 비교예에서는 반사대역은 확인되지 않았다.
(비교예6)
2종류의 열가소성 수지로서, 열가소성 수지A와 열가소성 수지B를 준비했다. 열가소성 수지A로서, 고유점도 0.6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토레이제 F20S]를 사용했다. 또 열가소성 수지B로서, 비교예2의 열가소성 수지B를 사용했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A 및 B는 각각 건조한 후, 압출기에 공급했다.
열가소성 수지A 및 B는, 각각, 압출기로 280℃의 용융상태로 하고, 기어펌프 및 필터를 개재한 후, 실시예3과 같은 801층의 피드블록으로 합류시켰다. 단, 슬릿형상은 변경하여, 길이가 25mm(도면중의 긴 측), (수지가 도입되지 않는 측의 슬릿 면적)/(수지가 도입되는 측의 슬릿면적)이 0.95가 되도록 했다. 합류한 열가소성 수지A 및 B는, 피드블록내에서 각 층의 두께가 표면측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선형상으로 서서히 두꺼워지도록 변화시키고(슬로프형), 열가소성 수지A가 401층, 열가소성 수지B가 400층으로 이루어지는 두께방향으로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 했다. 각 층의 두께의 조정은 피드블록내에 형성한 미세 슬릿(가공 정밀도 0.01mm로 형성)의 형상에 의해 조정했다. 또, 양 표층부분은 열가소성 수지A가 되도록 했다. 여기에서 A층과 B층의 두께비(Z)가 0.95가 되도록, 피드블록의 형상 및 토출량으로 조정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합계 801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멀티 매니폴드 다이에 공급하고, 다시 그 표층이 다른 압출기로부터 공급한 열가소성 수지A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하고, 시트상으로 성형한 후, 정전인가로 표면온도 25℃로 유지된 캐스팅드럼상에서 급냉고화했다.
얻어진 캐스트 필름은, 양면에 공기중에서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하고, 기재 필름의 습윤장력을 55mN/m로 하고, 그 처리면에 (유리전이온도가 18℃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유리전이온도가 82℃인 폴리에스테르 수지)/평균 입경 100nm의 실리카 입자로 이루어지는 적층형 성막도포액을 도포하여, 투명?이활?이접착층을 형성했다.
이 캐스트 필름은, 리니어모터식의 동시 2축연신기에 안내하고, 95℃의 열풍으로 예열후,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3.5배 연신했다. 연신한 필름은, 그대로, 텐터내에서 230℃의 열풍으로 열처리를 행함과 동시에 세로방향으로 2%의 이완처리를 행하고, 계속해서 가로방향으로 5%의 이완처리를 실시하여, 실온까지 서냉후, 권취했다.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128㎛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4에 나타낸다. 얻어진 필름은 근적외선을 편차없이 반사하고 있었다. 또한 한쪽 면에 하드코트층과 반사 방지층을 형성해도, 거의 간섭얼룩은 문제없는 범위였다.
이 필름을 이용하여 실시예24와 동일하게 해서 광학필터를 형성했다. PDP 필터로서 요구되는 장기 내열시험(80℃, 500시간)을 이 광학필터에 실시했다. 그 결과, 근적외선(900nm)의 투과율은 시험전이 75%였던 것에 대해, 시험후가 60%였다. 이 때문에, PDP용의 근적외선 차단 필름으로서는 성능의 경시변화가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사용 불가능했다. 또한 폭방향의 반사율의 차가 커서 대면적으로 하면 근적외선의 누설이 문제가 되었다.
(비교예7)
2종류의 열가소성 수지로서, 열가소성 수지A와 열가소성 수지B를 준비했다. 열가소성 수지A로서, 고유점도 0.7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를 사용했다. 또 열가소성 수지B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사용했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A 및 B는 각각 건조한 후, 압출기에 공급했다. 또, 이 열가소성 수지A는 결정성 수지이며, 이 열가소성 수지B는 비결정성 수지였지만, 동일한 기본골격을 갖고 있지 않았다.
열가소성 수지A 및 B는, 각각, 압출기로 280℃의 용융상태로 하고, 기어펌프 및 필터를 개재한 후, 실시예3과 같은 801층의 피드블록으로 합류시켰다. 합류한 열가소성 수지A 및 B는, 피드블록내에서 각 층의 두께가 표면측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선형상으로 서서히 두꺼워지도록 변화시키고(슬로프형), 열가소 성 수지A가 401층, 열가소성 수지B가 400층으로 이루어지는 두께방향으로 교대로 적층된 구조로 했다. 각 층의 두께의 조정은, 피드블록내에 형성한 미세 슬릿(가공 정밀도 0.01mm로 형성)의 형상에 의해 조정했다. 또한 슬릿형상으로서는, 길이가 50mm(도면중의 긴 측), (수지가 도입되지 않는 측의 슬릿면적)/(수지가 도입되는 측의 슬릿면적)이 0.5가 되도록 했다. 또, 양 표층부분은 열가소성 수지A가 되도록 했다. 여기에서 A층과 B층의 두께비(Z)가 1이 되도록, 피드블록의 형상 및 토출량으로 조정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합계 801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멀티 매니폴드 다이에 공급하고 다시 그 표층에 다른 압출기로부터 공급한 열가소성 수지A로 이루어지는 층을 형성하고, 시트상으로 성형한 후, 정전인가로 표면온도 25℃로 유지된 캐스팅드럼상에서 급냉고화했다.
얻어진 캐스트 필름은, 양면에 공기중에서 코로나 방전처리를 실시하고, 기재 필름의 습윤장력을 55mN/m로 하고, 그 처리면에 (유리전이온도가 18℃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유리전이온도가 82℃인 폴리에스테르 수지)/평균 입경 100nm의 실리카 입자로 이루어지는 적층형 성막도포액을 도포하여, 투명?이활?이접착층을 형성했다.
이 캐스트 필름을, 리니어모터식의 동시 2축연신기에 안내하고, 135℃의 열풍으로 예열후,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5.5배 연신했다. 연신한 필름은, 그대로, 텐터내에서 230℃의 열풍으로 열처리를 행함과 동시에 세로방향으로 2%의 이완처리를 행하고, 계속해서 가로방향으로 5%의 이완처리를 실시하고, 실온까지 서냉후, 권취했다. 얻어진 필름의 두께는 128㎛였다. 얻어진 필름은, 근적외선을 편차 없이 반사하고 있었지만, 박리시험의 결과, 박리된 격자의 수는 25장으로 되어, 층간접착성이 현저하게 불량했다.
(표1)
Figure 112006070835081-pct00001
(표2)
Figure 112006070835081-pct00002
(표3)
Figure 112006070835081-pct00003
(표4)
Figure 112006070835081-pct00004
(표5)
Figure 112006070835081-pct00005
(표6)
Figure 112006070835081-pct00006
(표7)
Figure 112006070835081-pct00007
본 발명은, 적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건재, 포장, 자동차의 내외장 등에 이용되는 의장성 재료, 홀로그램 등의 위조방지용 재료,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필드이미션 디스플레이, 유기 전자 디스플레이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나, 광학 인쇄기기, 카메라 등 여러가지 광학기기의 반사재료 또는 광학필터, 차재용, 건재용의 열선 차단 윈도우필름, 태양전지용 반사체 등으로서 바람직한 적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Claims (37)

  1. 디카르복실산성분 골격과 디올성분 골격의 중축합체인 폴리에스테르 수지A로 이루어지는 층(A층)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A에 함유된 반복단위와 동일한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디카르복실산성분 골격과 디올성분 골격의 중축합체인 공중합폴리에스테르 수지B로 이루어지는 층(B층)을 교대로 각각 5층이상 적층한 구조를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광의 파장에 대해서 반사율을 측정했을 때의 반사율이 30%이상인 파장대역인 반사피크를 1개이상 갖고, 또한, 가열전의 반사피크의 반사율과 150℃의 분위기하에서 30분간 가열후의 반사피크의 반사율의 차가 1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A층과 B층의 총 적층수가 250층이상이며, 필름의 한쪽의 표층으로부터의 B층의 서열번호와 각 층의 두께를 선형 근사했을 때의 상관계수의 2승값이 0.4이상 1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A층과 B층의 총 적층수가 250층이상이며, 필름의 한쪽의 표층으로부터의 B층의 서열번호와 층두께를 2차의 다항식 근사했을 때의 상관계수의 2승값이 0.4이상 1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층과 B층의 총 적층수가 640층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식으로 구해지는 B층의 적층편차(M)가 2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M=s/a×100
    M:B층의 적층편차(%)
    s:B층의 표준편차(nm)
    a:B층의 평균 층두께(nm)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A층과 B층의 두께의 비(A층두께/B층두께)를 Z, 반사율이 30%이상인 가장 고파장측의 반사피크에 있어서의 저파장단을 λ1, 고파장단을 λ2로 한 경우, 필름을 구성하는 A층 중 1개이상의 층 두께(nm)가 하기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XA1로부터 XA2의 범위내이며, 또한 그 범위에 포함되는 A층의 층수가 50×(XA2/XA1)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XA1=λ1/(3.2×(1+Z)) XA2=λ2/(3.2×(1+Z))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사율이 80%이상인 반사피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8. 제6항에 있어서, B층의 두께(nm)가 하기 식으로 나타내어지는 XB1로부터 XB2의 범위의 두께를 포함해서 이루어지고, 또한 그 범위에 포함되는 B층의 층수가 50×(XB2/XB1)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XB1=Z×XA1
    XB2=Z×XA2
  9. 제8항에 있어서, A층의 두께가 필름의 표면측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XA1로부터 XA2로 서서히 변화되는 부분을 포함해서 이루어지거나, 또는 B층의 두께가 필름의 표면측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XB1로부터 XB2로 서서히 변화되는 부분을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층의 두께 및/또는 B층의 두께가 필름 표면측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표면측에서 층두께가 얇고, 필름 단면 중심부에서 층두께가 두껍게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층의 두께 및/또는 B층의 두께가 필름 표면측으로부터 반대 표면측을 향함에 따라, 표면측에서는 층두께가 두껍고, 필름 단면 중심부에서는 층두께가 얇게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A층과 B층의 두께의 비(Z)가 0.8이상 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사율이 30%이하이고, 관찰되는 가장 고파장측의 반사피크를 1차의 반사피크라고 간주하고, 이 1차의 반사피크의 파장(λ)을 차수(N)(N은 2이상의 정수)로 나누어서 구해지는 각 대역 λ/N±25nm인 고차의 반사대역을 1개이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4. 제13항에 있어서, 반사율이 30%이하인 고차의 반사대역의 차수(N)가 2차이상 4차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 폭방향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의 반사피크의 반사율의 차가 ±10%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 폭방향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의 2차의 반사대역의 반사율의 차가 ±5%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에스테르이며, 열가소성 수지A 또는 열가소성 수지B 중 하나이상이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를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A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열가소성 수지B가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SC측정(1st Heating)에 있어서, 0J/g이상 5J/g이하의 발열피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쪽 면이상에 3㎛이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쪽 면이상에 두께가 30nm이상 300nm이하의 이(易)접착층과 두께가 3㎛이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으로 이루어지는 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표층 이외의 층에, 평균 입자지름이 20nm이상 20㎛이하의 입자가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폭 20㎛이상의 상처의 수가 20개/㎡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두께가 필름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주기적으로 변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발색이 면내에서 주기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름두께의 변동을 푸리에 해석했을 때에 0.5~100000(1/m)의 파수에 있어서의 강도 0.04~25의 스펙트럼 피크가 1개이상 관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장성 필름.
  2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용 필름.
  2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필터.
  3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
  3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을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P용 필터.
  3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반사체.
  33. 제32항에 있어서, 300~2500nm의 범위에 있어서 반사율이 80%이상인 반사대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반사체.
  34. 제32항에 있어서, 수증기 투과율이 2g/(㎡?day)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반사체.
  35. 제32항에 있어서, 85℃ 습도 85%에 있어서의 내가수분해성이 1000시간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반사체.
  36. 제32항에 있어서,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인열강도가 6N/mm이상인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반사체.
  37. 제32항에 있어서, 400nm이하의 파장에 있어서 흡수대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용 반사체.
KR1020067020158A 2004-03-31 2005-03-28 적층 필름 KR1011596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04696 2004-03-31
JPJP-P-2004-00104696 2004-03-31
JP2004200156 2004-07-07
JPJP-P-2004-00200156 2004-07-07
PCT/JP2005/005678 WO2005095097A1 (ja) 2004-03-31 2005-03-28 積層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117A KR20070007117A (ko) 2007-01-12
KR101159687B1 true KR101159687B1 (ko) 2012-06-22

Family

ID=35063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158A KR101159687B1 (ko) 2004-03-31 2005-03-28 적층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29909B2 (ko)
EP (1) EP1741550B1 (ko)
JP (1) JP4730301B2 (ko)
KR (1) KR101159687B1 (ko)
TW (1) TWI341791B (ko)
WO (1) WO20050950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81224B1 (en) 2005-08-18 2014-12-17 Toray Industries, Inc. Laminate film and molded article
JP4816419B2 (ja) * 2005-11-29 2011-11-16 東レ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JP4957305B2 (ja) * 2006-03-31 2012-06-20 東レ株式会社 樹脂シート
JP4967486B2 (ja) * 2006-07-10 2012-07-04 東レ株式会社 延伸フィルムならびにその成型品
KR101279303B1 (ko) * 2006-11-10 2013-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
US8574666B2 (en) 2006-12-21 2013-11-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imparting corrosion resistance to a multi-layer window film having a metal layer
WO2008112529A1 (en) * 2007-03-09 2008-09-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layer film
JP5434002B2 (ja) * 2007-08-07 2014-03-05 東レ株式会社 積層シート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100824289B1 (ko) * 2007-10-25 2008-04-24 권정희 위조나 변조가 불가능한 검사합격증지 및 그 제조방법
WO2009066568A1 (ja) * 2007-11-20 2009-05-28 Konica Minolta Opto, Inc. 光学素子
JP5686397B2 (ja) * 2007-12-04 2015-03-18 東レ株式会社 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用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
US20090283144A1 (en) * 2008-05-14 2009-11-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olar concentrating mirror
US20090283133A1 (en) * 2008-05-14 2009-11-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olar concentrating mirror
KR100887345B1 (ko) * 2008-06-16 2009-03-05 (주)램피스 태양광의 집광 장치
AU2009251105A1 (en) * 2008-07-07 2010-01-28 Konica Minolta Opto, Inc. Mirror structure
US9523516B2 (en) 2008-12-30 2016-12-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roadband reflectors, concentrated solar power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101506762B1 (ko) * 2009-05-22 2015-03-27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폴리락트산 수지 조성물 및 필름
WO2010143882A2 (en) * 2009-06-09 2010-12-16 Skc Co., Lt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20110017265A1 (en) * 2009-07-23 2011-01-27 Farrell James F Photovoltaic module with conductive cooling and enhanced reflection
JP5590965B2 (ja) * 2010-05-24 2014-09-17 三菱電機株式会社 光起電力素子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49207B1 (ko) * 2010-12-13 2012-05-2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방열특성이 우수한 태양전지용 백시트 및 그 제조방법
US9074092B2 (en) 2010-12-20 2015-07-07 Eastman Chemical Company Miscible polyester blends utilizing recycled polyesters
CN102693678A (zh) * 2011-03-21 2012-09-26 深圳大学反光材料厂 双重防伪膜、具有双重防伪膜的产品及该二者的制造方法
EP2724856B1 (en) * 2011-06-27 2020-11-25 Toray Industries, Inc. Laminate film and automotive window glass using same
WO2013039215A1 (ja) * 2011-09-15 2013-03-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熱線遮蔽材
US9527266B2 (en) 2012-03-16 2016-12-27 Toray Industries, Inc. Multi-layer laminated film
WO2013183487A1 (ja) * 2012-06-06 2013-12-12 東レ株式会社 積層体、導電性積層体およびタッチパネル、ならびに、塗料組成物および当該塗料組成物を用いる積層体の製造方法
US9211481B2 (en) * 2012-07-27 2015-12-15 Nb Tech Inc. Visual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high-gain reflective beam-splitter
CN104050872A (zh) * 2014-07-02 2014-09-17 戴永祥 原之半断面吻合防伪方法
KR102203910B1 (ko) * 2014-10-22 2021-0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6575664B (zh) 2014-08-09 2019-09-10 乐金显示有限公司 可卷曲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CN104893604B (zh) * 2015-04-21 2017-04-12 浙江省能源与核技术应用研究院 透明隔热窗膜
CN105023504B (zh) * 2015-05-11 2018-06-01 广东万昌印刷包装股份有限公司 一种非收缩可洗塑料标签及其制备方法
JP6776612B2 (ja) * 2015-05-19 2020-10-28 東レ株式会社 積層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7006270B2 (ja) 2016-07-15 2022-02-10 東レ株式会社 フィルムおよび積層体
JP6880621B2 (ja) * 2016-09-28 2021-06-02 東レ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0339A (ja) * 2000-11-27 2002-06-04 Teijin Ltd 多層積層延伸フィルム
JP2003075920A (ja) * 2001-06-19 2003-03-12 Teijin Ltd 画像表示スクリーンおよび表示装置
JP2003315813A (ja) * 2002-04-22 2003-11-06 Seiko Epson Corp 導電膜配線の形成方法、膜構造体、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97B2 (ja) * 1983-11-28 1994-01-12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共縮合ポリエステル層を有する積層体
CA2106262C (en) * 1992-10-01 2003-11-18 Ralph H. Bland Tear resistant multilayer films and articles incorporating such films
US5360659A (en) * 1993-05-24 1994-11-01 The Dow Chemical Company Two component infrared reflecting film
US5389324A (en) * 1993-06-07 1995-02-14 The Dow Chemical Company Layer thickness gradient control in multilayer polymeric bodies
US6025897A (en) * 1993-12-21 2000-02-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Display with reflective polarizer and randomizing cavity
US6808658B2 (en) * 1998-01-13 2004-10-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making texture multilayer optical films
US6475608B2 (en) * 1998-11-16 2002-11-05 Engelhard Corporation Multi-layer iridescent films
JP2004525403A (ja) * 2001-01-15 2004-08-1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可視波長領域における透過が高く、かつ平滑な多層赤外反射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製造される積層物品
JP3960194B2 (ja) * 2001-11-09 2007-08-15 東レ株式会社 ガラス保護フィルム
JP2004058594A (ja) * 2002-07-31 2004-02-26 Toray Ind Inc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JP4916645B2 (ja) 2003-04-21 2012-04-18 東レ株式会社 光学干渉反射積層フィルム
JP2005142105A (ja) * 2003-11-10 2005-06-02 Toray Ind Inc 電気絶縁用フィルムおよびモーターヒュー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0339A (ja) * 2000-11-27 2002-06-04 Teijin Ltd 多層積層延伸フィルム
JP2003075920A (ja) * 2001-06-19 2003-03-12 Teijin Ltd 画像表示スクリーンおよび表示装置
JP2003315813A (ja) * 2002-04-22 2003-11-06 Seiko Epson Corp 導電膜配線の形成方法、膜構造体、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41791B (en) 2011-05-11
KR20070007117A (ko) 2007-01-12
EP1741550A4 (en) 2010-11-17
WO2005095097A1 (ja) 2005-10-13
TW200536714A (en) 2005-11-16
US8029909B2 (en) 2011-10-04
JPWO2005095097A1 (ja) 2008-02-21
EP1741550B1 (en) 2019-04-24
US20070224434A1 (en) 2007-09-27
EP1741550A1 (en) 2007-01-10
JP4730301B2 (ja)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9687B1 (ko) 적층 필름
JP5643441B2 (ja) 二軸延伸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それからなる合わせガラス用赤外線遮蔽構成体およびそれらからなる合わせガラス
EP1686400B1 (en) Near infrared shielding film
JP5867393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用窓ガラス
JP2008200924A (ja) 積層フィルム
JP4534637B2 (ja) 積層フィルム
WO2016021345A1 (ja) 多層積層フィルム
KR20210055684A (ko) 적층 필름
CN100548664C (zh) 层压薄膜
JP4765504B2 (ja) 光学フィルタ
JP5408279B2 (ja) 積層フィルム
JP4665421B2 (ja) 積層フィルム
CN112771417B (zh) 光源单元、显示装置和膜
JP2017132255A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880621B2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JP2016064643A (ja) 二軸延伸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4055292A (ja) 積層フィルム
WO2024062961A1 (ja) 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積層構成体、合わせガラス、自動車
JP2024072399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