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739B1 -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 - Google Patents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739B1
KR101158739B1 KR1020100035801A KR20100035801A KR101158739B1 KR 101158739 B1 KR101158739 B1 KR 101158739B1 KR 1020100035801 A KR1020100035801 A KR 1020100035801A KR 20100035801 A KR20100035801 A KR 20100035801A KR 101158739 B1 KR101158739 B1 KR 101158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green juice
weight
blood circulation
herb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6409A (ko
Inventor
이재현
권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참선진 종합식품
권상철
이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참선진 종합식품, 권상철, 이재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참선진 종합식품
Priority to KR1020100035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739B1/ko
Publication of KR20110116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73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6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립초 녹즙, 돌미나리 녹즙에 민들레추출물과 은행 엑기스, 대추 엑기스, 솔잎 엑기스 및 보허 엑기스를 혼합하여 한방 녹즙을 제조함으로 혈액 순환에 효과가 있는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은 부작용 없이 총 콜레스테롤 농도 및 중성지방 농도를 감소시키며, 이로 인해 혈액 순환을 촉진하여 혈액순환장애로 인한 두통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방 녹즙은 자외선살균기를 이용하여 녹즙을 살균함으로 유통기한을 4일까지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Manufacturing method of herbal medicine vegetable juice for improvement of blood circulation, herbal medicine vegetable juice for improvement of blood circulation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립초 녹즙, 돌미나리 녹즙에 민들레추출물과 은행 엑기스, 대추 엑기스, 솔잎 엑기스 및 보허 엑기스를 혼합하여 한방 녹즙을 제조함으로 부작용이 없으면서 혈액 순환에 효과가 있는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섭취하는 식품을 통하여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 및 기능성 식품소재 가공기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가운데 녹황색 채소는 베타-카로틴, 비타민C, 비타민E 등의 비타민류와 망간, 셀레늄, 아연, 구리 등의 미량원소 및 각종 폴리페놀 화합물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 성분들은 노화방지, 발암억제,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free radical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들어 이와 같이 생리활성을 가진 녹황색 채소를 가열하지 않고 세척 후 잘게 절단하여 빻아서 즙으로 만든 녹즙을 애용하고 있다. 녹즙은 본래 녹황색 채소가 갖는 영양소가 체내에서 쉽게 소화 흡수될 수 있도록 제조한 것이며, 원료로는 신립초, 케일, 당근, 돌미나리, 알로에, 샐러리, 브로콜리, 선인장, 시금치, 양배추, 인진쑥, 동충하초, 민들레 등 각종 녹황색 채소가 이용된다.
최근 녹즙에 특별한 유효성분을 첨가한 기능성 녹즙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187517호 (1999.03.20.)에는 솔잎과 녹초를 착즙하여 만든 녹즙, 미역과 다시마를 착즙하여 만든 해초즙, 레몬과 사과를 착즙하여 만든 과일즙을 혼합하여 제조한 녹즙을 이용한 건강 보조식품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06-0095033호 (2006.08.30.)에는 돌미나리, 쑥, 솔잎, 인삼을 착즙하여 건강녹즙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녹즙은 영양분을 골고루 함유하고 있는 장점이 있지만, 아직 혈액순환 개선에 효과가 있는 녹즙에 관한 특허는 없었다.
본 발명자들은 신립초 녹즙 및 돌미나리 녹즙에 민들레 추출물과 은행 엑기스, 대추 엑기스, 솔잎 엑기스 및 보허 엑기스를 혼합하여 제조한 한방 녹즙이 혈액 순환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0187517 (등록번호) 1999.03.20. KR 10-2006-0095033 (공개번호) 2006.08.30.
본 발명의 목적은 신립초 녹즙 및 돌미나리 녹즙에 민들레추출물과 은행 엑기스, 대추 엑기스, 솔잎 엑기스 및 보허 엑기스를 혼합하여 한방 녹즙을 제조함으로 부작용이 없으면서 혈액 순환에 효과가 있는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녹즙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민들레를 추출하여 민들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은행잎, 대추 열매 및 솔잎을 추출하고 농축하여 은행 엑기스, 대추 엑기스 및 솔잎 엑기스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당귀, 복분자, 산수유, 오가피, 두충피, 토사자, 대추, 백출, 산약, 백작약, 황기, 구기자 및 감초를 추출하고 농축하여 보허 엑기스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녹즙에 민들레 추출물, 은행 엑기스, 대추 엑기스, 솔잎 엑기스 및 보허 엑기스를 혼합하여 한방 녹즙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5); 를 포함하는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녹즙은 신립초 녹즙 및 돌미나리 녹즙을 8 : 2 중량비로 혼합한 녹즙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1 이후에, 상기 녹즙을 자외선살균기를 이용하여 살균하는 단계가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4에서, 상기 보허 엑기스는 당귀 25~30 중량%, 복분자 15~20 중량%, 산수유 10~15 중량%, 오가피 8~10 중량%, 두충피 5~7 중량%, 토사자 3~5 중량%, 대추 2~4 중량%, 백출 5~7 중량%, 산약 5~7 중량%, 백작약 5~7 중량%, 황기 5~7 중량%, 구기자 4~6 중량% 및 감초 2~4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든 후, 상기 혼합물의 8~10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12~24시간 동안 90~100℃로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30~50℃의 에탄올 20~50% 로 8~12시간 동안 추출한 후, 65~67 brix 로 감압 농축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5에서, 상기 한방 녹즙은 상기 녹즙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민들레 추출물 75~80 중량부, 은행 엑기스 10~15 중량부, 대추 엑기스 5~10 중량부, 솔잎 엑기스 1~5 중량부 및 보허 엑기스 0.5~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은 부작용 없이 총 콜레스테롤 농도 및 중성지방 농도를 감소시키며, 이로 인해 혈액 순환을 촉진하여 혈액순환장애로 인한 두통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방 녹즙은 자외선살균기를 이용하여 녹즙을 살균함으로 유통기한을 4일까지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대인의 질병의 대부분은 혈액에 쌓인 독소와 노폐물로 인한 산독화와 지방질이 혈행을 방해함으로 발생된다.
근래에 개발된 화학 합성 약물은 혈행 개선에 어느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는 반면,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낳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 녹즙은 부작용이 없이 혈액순환을 개선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녹즙은 비가열 과채주스군에 속해 있어 제조공정 중 별도의 가열 살균 공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유통기한이 매우 짧다. 본 발명에서는 녹즙을 자외선살균기를 이용하여 살균하여 유통기한을 연장한 특징이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의 제조방법은,
녹즙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민들레를 추출하여 민들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은행잎, 대추 열매 및 솔잎을 추출하고 농축하여 은행 엑기스, 대추 엑기스 및 솔잎 엑기스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당귀, 복분자, 산수유, 오가피, 두충피, 토사자, 대추, 백출, 산약, 백작약, 황기, 구기자 및 감초를 추출하고 농축하여 보허 엑기스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녹즙에 민들레 추출물, 은행 엑기스, 대추 엑기스, 솔잎 엑기스 및 보허 엑기스를 혼합하여 한방 녹즙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5); 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녹즙은 신립초 녹즙 및 돌미나리 녹즙을 8 : 2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신립초는 신선초라고도 하며 명일엽이라고도 하는데, 유기게르마늄, 비타민 B12, 엽록소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신립초의 유효한 성분은 혈액을 정화할 뿐만 아니라 혈액을 만들어서 몸의 구석구석까지 산소와 영양분을 보낸다. 따라서, 혈액이 깨끗해지고 활력을 되찾으며 병든 세포도 되살아나 몸 전체가 활력을 찾게 된다. 신립초는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베타카로틴과 콜린, 판토텐산 등 비타민과 칼슘, 철, 아연 등 각종 미네랄이 풍부하며 간세포 재생 효능이 뛰어나 면역기능 상승에 효과적이다.
상기 돌미나리는 혈액순환을 돕는 효능, 정신을 맑게 하며 혈액을 정화하는 효능, 해독작용이 뛰어나 체내의 각종 독소들을 해독하는 효능, 혈압을 낮추어주는 효능 및 비타민A, 비타민C, 칼슘, 철분 등 무기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알칼리성 식품으로 신진대사를 도와 몸에 활력을 주는 효능이 있다.
상기 단계 1 이전에, 상기 신립초와 돌미나리를 세척탱크에 넣고 세척수로 1차, 2차 세척하는 단계와 1차, 2차 세척된 신립초와 돌미나리를 염소수를 이용하여 비가열 살균한 후 세척수로 3차, 4차 세척하는 단계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계 1은 상기 세척된 신립초를 분쇄한 후 착즙하여 신립초 녹즙을 제조하고, 상기 세척된 돌미나리를 분쇄한 후 착즙하여 돌미나리 녹즙을 제조하여 혼합하는 단계로서, 공지의 착즙기는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단계 1 이후에 상기 녹즙을 자외선살균기를 이용하여 살균하는 단계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살균기는 상기 녹즙의 흐름을 와류 또는 난류화시킬 수 있는 자외선살균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녹즙의 흐름을 와류 또는 난류화시키게 되면 녹즙의 자외선 접촉 효율이 우수하게 되어 살균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녹즙은 비가열 살균 제품으로, 유통기한이 매우 짧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녹즙을 와류 또는 난류화시킬 수 있는 자외선살균기를 사용하여 살균함으로써 유통기한을 4일까지 연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민들레는 열을 내리고, 염증을 없애며, 피를 맑게 하는 효능이 있다. 민들레 전체를 캐서 말린 것을 포공영이라고 한다. 포공영(Taraxacum playtcarpum)은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인 민들레 및 동속 근연 식물의 전초로서, 전국 각지의 전야지, 길가 등지에서 흔히 분포하며, 전초에는 타락사스테롤(taraxasterol), 콜린, 이눌린(inulin) 및 펙틴 등이 함유되어 있고, 동속 근연식물인 약용 포공영(Taraxacum officinale)의 뿌리에는 타락솔(taraxol), 타락세롤(taraxerol),φ-타락사스테롤, 타락사스테롤, β-아미린(β-amyrin), 스티그마스테롤(stigmasterol), β-시토스테롤(sitosterol), 콜린, 유기산, 과당, 비타민 C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민들레 추출물은 상기 민들레를 건조 및 마쇄하고, 마쇄된 민들레에 중량비로 40~100배의 물을 가한 후, 90~100℃에서 10~20시간 동안 추출하여 0.2~0.5 brix 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은행잎은 플라본글리코시드를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작용과 세포보호작용을 나타냄이 보고되어 있으며, 혈소판응집 억제작용, 혈관 확장작용 및 아드레날린에 의한 혈관수축을 억제하는 혈관이완작용 등 심혈관계에 다양한 작용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뇌혈류량을 증가시켜 뇌의 영양상태를 개선하며, 일정수준으로 혈압을 내리는 작용 및 항균작용을 나태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은행 엑기스는 은행잎에 8~10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12~24시간 동안 90~100℃로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30~50℃의 에탄올(주정) 20~50%로 8~12시간 동안 추출한 후, 40~45 brix 로 감압 농축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추는 오장육보를 보해 내장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온몸을 튼튼하게 하며 12 경맥의 혈액 순환을 도와 심장을 튼튼하게 하는 등 약리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천식, 아토피에 효과가 있고, 노화방지 및 항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불면증에 좋고, 간기능을 강화시키고, 감기예방, 피부 건강, 빈혈에 효과가 있다.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대추 엑기스는 대추 열매에 8~10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12~24시간 동안 90~100℃로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30~50℃의 에탄올(주정) 20~50% 로 8~12시간 동안 추출한 후, 65~70 brix 로 감압 농축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솔잎은 건위, 보혈작용이 있고 중풍, 동맥경화, 고혈압, 당뇨병 등을 예방하는 효능이 있다. 솔잎은 필수 아미노산 8종을 포함해 단백질 구성 아미노산 16종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신체의 성장, 활력 증강에 효과가 크며 혈액의 흐름을 좋게 하고 호르몬 분비를 왕성하게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노화방지와 고지혈증 및 콜레스테롤 저하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솔잎의 유효성분 중에서 비타민 C 는 혈액정화,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고, 비타민 A 는 점막을 튼튼히 하는 기능을 하여 야맹증치료에 사용되고, 수지 및 탄닌은 소화기의 기능을 돕는다. 또한 알콜 및 에스테르는 체내의 노폐물을 배출시켜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석회질을 용해하는 성분을 가지고 있어 동맥경화증에 유효하며, 엽록소는 축적된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클리코기닌은 혈당강화작용이 있어 당뇨에 효과적이다. 또한, 아피에틴산은 위장질환에 좋고, 테르펜은 동맥경화의 원인이 되는 콜레스테롤을 용해시켜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며, 비타민 P 는 모세혈관을 강화시켜 노화방지에 도움을 준다.
상기 단계 3에서, 상기 솔잎 엑기스는 솔잎에 8~10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12~24시간 동안 90~100℃로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30~50℃의 에탄올(주정) 20~50% 로 8~12시간 동안 추출한 후, 60~65 brix 로 감압 농축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4에서, 상기 보허 엑기스는 당귀 25~30 중량%, 복분자 15~20 중량%, 산수유 10~15 중량%, 오가피 8~10 중량%, 두충피 5~7 중량%, 토사자 3~5 중량%, 대추 2~4 중량%, 백출 5~7 중량%, 산약 5~7 중량%, 백작약 5~7 중량%, 황기 5~7 중량%, 구기자 4~6 중량% 및 감초 2~4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든 후, 상기 혼합물의 8~10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12~24시간 동안 90~100℃로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30~50℃의 에탄올 20~50% 로 8~12시간 동안 추출한 후, 65~67 brix 로 감압 농축하여 제조하며, 상기 보허 엑기스의 산도는 3.8~4.8, pH 3.5~4.5 가 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당귀는 혈액을 만드는 효능이 탁월하며, 혈액순환에 좋을 뿐만 아니라 어혈을 제거해주는 효능이 탁월하다.
상기 복분자는 성질이 따뜻하고, 혈액순환에 효과가 있으며, 만성피로를 해결해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산수유는 혈중 지질의 저하에 효과가 있으며, 콩팥의 생리기능을 강화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오가피는 혈관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주는 성분이 들어있기 때문에 혈액순환이 잘되게 하며 모세혈관의 기능을 정상화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두충피는 두충나무의 껍질을 의미하며, 두충피는 4월 상순에서 6월 중순 사이에 채취하고 겁껍질은 제거하고 속껍질만 사용한다. 두충피에는 피노레지놀, 다이글루코사이드라는 성분이 있어 혈관을 급속히 확장, 진정시킨다. 두충피는 고혈압 및 동맥경화를 완화하며, 허리와 무릎의 통증을 가라앉히며, 노화방지에 효과가 있다.
상기 토사자는 메꽃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인 새삼의 씨앗으로 새삼씨라고도 한다. 토사자에는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등 광물질과 당분, 알칼로이드, 기름, 비타민 B1, B2 등이 들어 있다. 토사자는 신장을 보하고 간장을 양호하면서 눈을 밝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대추는 성질이 따뜻하며, 혈액순환이 잘 되도록 하여 피부가 윤택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백출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초인 삽주의 뿌리를 의미하며, 감기 및 두통을 낫게 하며, 혈액순환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산약은 마라고 불리우며, 산약에 함유된 사포닌이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춰 혈압을 내리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백작약은 혈소판의 혈전 형성 억제 효과가 있고, 간 기능 보호 효과와 혈관 확장 작용이 있어 혈압 강하 효과가 있다.
상기 황기는 심장의 수축력을 세게 하고, 강장 보혈작용,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구기자는 피를 맑게 하고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혈관계 질환에 효과가 있다. 구기자는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고 눈을 맑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감초는 간장의 기능을 강화시켜 주고 탈 콜레스테롤 작용으로 동맥경화를 예방해주며, 혈액을 맑게 해주어 혈색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단계 5에서, 상기 한방 녹즙은 상기 녹즙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민들레 추출물 75~80 중량부, 은행 엑기스 10~15 중량부, 대추 엑기스 5~10 중량부, 솔잎 엑기스 1~5 중량부 및 보허 엑기스 0.5~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허 엑기스는 녹즙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2 중량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5 중량부 미만 혼합되면 혈행 개선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으며, 2 중량부 초과 혼합되면 어지러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 녹즙은 솔향이 나고 이미, 이취가 없으며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방 녹즙은 자외선살균기를 이용하여 녹즙을 살균함으로 유통기한을 4일까지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한방 녹즙은 냉장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신립초 및 돌미나리를 구입하여 정선하였다. 정선된 신립초 및 돌미나리를 세척탱크에 넣고 세척수로 1차, 2차 세척하고 1차, 2차 세척된 신립초와 돌미나리를 염소수를 이용하여 비가열 살균한 후 세척수로 3차, 4차 세척하였다.
상기 신립초를 녹즙기(Happy zone Co., KP-E1304,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착즙하여 신립초 녹즙을 제조하고, 상기 돌미나리를 상기 녹즙기를 이용하여 착즙하여 돌미나리 녹즙을 제조하였다.
상기 신립초 녹즙과 돌미나리 녹즙을 8 : 2 중량비로 혼합하여 녹즙을 제조하였다.
상기 녹즙을 녹즙의 흐름을 난류화시킬 수 있는 자외선살균기를 이용하여 살균하였다. 상기 자외선살균기는 (주)유브이플러스의 자외선 저투과성 유체 살균기(UVP-LTL)을 사용하였다. 상기 자외선살균기는 자외선 살균램프의 외면을 따라 감겨지는 나선형 튜브를 구비한 자외선살균기로서, 상기 튜브의 내부로 녹즙이 이동하게 되며, 녹즙이 나선형의 튜브를 지나면서 와류 및 난류 현상이 발생하여 튜브를 통과하는 체류시간이 늘어나 녹즙이 자외선의 조사면적을 넓게 받아 살균처리 효율이 상승하게 된다.
민들레를 건조 및 마쇄하고, 마쇄된 민들레에 중량비로 50배의 물을 가한 후, 100℃ 에서 15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여, 0.2 brix 의 민들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은행잎에 8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18시간 동안 100℃로 가열하여 추출하고 여과한 후, 감압회전식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여 43 brix 의 은행 엑기스를 제조하였다.
대추 열매에 8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18시간 동안 100℃로 가열하여 추출하고 여과한 후, 감압회전식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여 43 brix 의 대추 엑기스를 제조하였다.
솔잎에 8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18시간 동안 100℃로 가열하여 추출하고 여과한 후, 감압회전식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여 43 brix 의 솔잎 엑기스를 제조하였다.
당귀 300g, 복분자 150g, 산수유 100g, 오가피 80g, 두충피 50g, 토사자 30g, 대추 20g, 백출 50g, 산약 50g, 백작약 50g, 황기 50g, 구기자 40g 및 감초 30g 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든 후, 혼합물에 8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18시간 동안 100℃로 가열하여 추출하고 여과한 후, 감압회전식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여 65 brix 의 보허 엑기스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녹즙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민들레 추출물 80 중량부를 혼합하여 민들레 추출물 함유 녹즙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녹즙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민들레 추출물 80 중량부 및 은행 엑기스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민들레 추출물 및 은행 엑기스 함유 녹즙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녹즙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민들레 추출물 80 중량부 및 대추 엑기스 8 중량부를 혼합하여 민들레 추출물 및 대추 엑기스 함유 녹즙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녹즙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민들레 추출물 80 중량부 및 솔잎 엑기스 2 중량부를 혼합하여 민들레 추출물 및 솔잎 엑기스 함유 녹즙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녹즙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민들레 추출물 80 중량부, 은행 엑기스 10 중량%, 대추 엑기스 8 중량% 및 솔잎 엑기스 2 중량% 를 혼합하여 민들레 추출물 및 은행, 대추, 솔잎 엑기스 함유 녹즙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녹즙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민들레 추출물 80 중량부, 은행 엑기스 10 중량%, 대추 엑기스 8 중량%, 솔잎 엑기스 2 중량% 및 보허 엑기스 1 중량% 를 혼합하여 한방 녹즙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비교예 1~5의 녹즙 및 실시예 1의 한방 녹즙을 30세 이상의 고지혈증 환자 남, 녀 60 명(각 군별 10명)을 대상으로 1회 30㎖의 분량으로 1일 3회씩 1주일간 섭취하게 하여 섭취 전과 후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 및 중성지방의 농도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총 콜레스테롤 (TC) (㎎/㎗) 중성지방 (TG) (㎎/㎗)
섭취 전 섭취 후 저하율 섭취 전 섭취 후 저하율
비교예 1
녹즙+
민들레 추출물
263.4 240.8 9% 205.9 182.3 11%
비교예 2
녹즙+
민들레 추출물+
은행엑기스
251.9 218.6 13% 209.2 172.8 17%
비교예 3
녹즙+
민들레 추출물+
대추엑기스
263.8 235.9 11% 215.9 186.9 13%
비교예 4
녹즙+
민들레 추출물+
솔잎엑기스
256.4 225.8 12% 218.7 185.2 15%
비교예 5
녹즙+
민들레 추출물+
은행/대추/솔잎
엑기스
257.9 216.2 16% 209.3 168.1 20%
실시예 1
녹즙+
민들레 추출물+
은행/대추/솔잎/
보허 엑기스
266.2 199.2 25% 212.5 149.4 30%
표 1을 보면, 녹즙에 민들레 추출물, 은행 엑기스, 대추 엑기스, 솔잎 엑기스 뿐만 아니라 보허 엑기스가 혼합된 실시예 1의 한방 녹즙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의 녹즙에 비해 총 콜레스테롤 농도 및 중성지방 농도의 감소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1의 한방 녹즙을 40세 이상의 혈액순환장애로 인한 두통 환자 남, 녀 10 명을 대상으로 1회 30㎖ 의 분량으로 1일 3회씩 1주일간 섭취하게 하고, 두통에 대한 진통작용효과를 평가하도록 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효과 있음 그저 그렇다 효과 없음 합계 부작용
실시예 1
한방 녹즙
9 명 1 명 0 명 10 명 0 명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녹즙에 민들레 추출물, 은행 엑기스, 대추 엑기스, 솔잎 엑기스 뿐만 아니라 보허 엑기스를 혼합한 실시예 1의 한방 녹즙은 혈액순환장애로 인한 두통을 완화하는 효과가 뛰어난 것을 알 수 있으며, 구토나 어지러움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은 부작용 없이 총 콜레스테롤 농도 및 중성지방 농도를 감소시키며, 이로 인해 혈액 순환을 촉진하여 혈액순환장애로 인한 두통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녹즙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민들레를 추출하여 민들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은행잎, 대추 열매 및 솔잎을 추출하고 농축하여 은행 엑기스, 대추 엑기스 및 솔잎 엑기스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당귀, 복분자, 산수유, 오가피, 두충피, 토사자, 대추, 백출, 산약, 백작약, 황기, 구기자 및 감초를 추출하고 농축하여 보허 엑기스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녹즙에 민들레 추출물, 은행 엑기스, 대추 엑기스, 솔잎 엑기스 및 보허 엑기스를 혼합하여 한방 녹즙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상기 녹즙은 신립초 녹즙 및 돌미나리 녹즙을 8 : 2 중량비로 혼합한 녹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이후에,
    상기 녹즙을 자외선살균기를 이용하여 살균하는 단계가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에서
    상기 보허 엑기스는 당귀 25~30 중량%, 복분자 15~20 중량%, 산수유 10~15 중량%, 오가피 8~10 중량%, 두충피 5~7 중량%, 토사자 3~5 중량%, 대추 2~4 중량%, 백출 5~7 중량%, 산약 5~7 중량%, 백작약 5~7 중량%, 황기 5~7 중량%, 구기자 4~6 중량% 및 감초 2~4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만든 후, 상기 혼합물의 8~10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12~24시간 동안 90~100℃로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30~50℃의 에탄올 20~50% 로 8~12시간 동안 추출한 후, 65~67 brix 로 감압 농축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에서
    상기 한방 녹즙은 상기 녹즙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민들레 추출물 75~80 중량부, 은행 엑기스 10~15 중량부, 대추 엑기스 5~10 중량부, 솔잎 엑기스 1~5 중량부 및 보허 엑기스 0.5~2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의 제조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
KR1020100035801A 2010-04-19 2010-04-19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 Expired - Fee Related KR101158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801A KR101158739B1 (ko) 2010-04-19 2010-04-19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801A KR101158739B1 (ko) 2010-04-19 2010-04-19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409A KR20110116409A (ko) 2011-10-26
KR101158739B1 true KR101158739B1 (ko) 2012-06-22

Family

ID=4503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801A Expired - Fee Related KR101158739B1 (ko) 2010-04-19 2010-04-19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7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811B1 (ko) 2018-11-06 2019-03-18 윤화순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KR20200025245A (ko) 2018-08-29 2020-03-10 윤화순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KR20200025254A (ko) 2018-08-29 2020-03-10 윤화순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KR20210001439A (ko) 2019-06-28 2021-01-06 백일광 누룩발효공법을 이용한 건강식품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537B1 (ko) * 2011-11-14 2014-02-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세혈관신생 촉진용 조성물
KR20160132611A (ko) * 2015-05-11 2016-11-21 한국 한의학 연구원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pcsk9 유전자의 발현 억제를 통한 저밀도 지단백 수용체 증가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136712B1 (ko) * 2019-08-20 2020-07-22 주식회사 한국네스트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2136711B1 (ko) * 2019-08-20 2020-07-22 주식회사 한국네스트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237A (ko) * 1994-06-13 1996-01-25 한동근 고혈압 개선작용을 갖는 건강식품 조성물
KR20020063734A (ko) * 2001-01-30 2002-08-05 주식회사 한국의과학연구소 자양 강장을 위한 약물 추출방법
KR20030011464A (ko) * 2001-08-03 2003-02-11 성덕모 산야초를 이용한 유해산소를 제거할 수 있는 건강식품용조성물 및 산야초 추출방법
KR20060095033A (ko) * 2005-02-25 2006-08-30 김연암 건강녹즙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237A (ko) * 1994-06-13 1996-01-25 한동근 고혈압 개선작용을 갖는 건강식품 조성물
KR20020063734A (ko) * 2001-01-30 2002-08-05 주식회사 한국의과학연구소 자양 강장을 위한 약물 추출방법
KR20030011464A (ko) * 2001-08-03 2003-02-11 성덕모 산야초를 이용한 유해산소를 제거할 수 있는 건강식품용조성물 및 산야초 추출방법
KR20060095033A (ko) * 2005-02-25 2006-08-30 김연암 건강녹즙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245A (ko) 2018-08-29 2020-03-10 윤화순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KR20200025254A (ko) 2018-08-29 2020-03-10 윤화순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KR101934811B1 (ko) 2018-11-06 2019-03-18 윤화순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KR20210001439A (ko) 2019-06-28 2021-01-06 백일광 누룩발효공법을 이용한 건강식품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409A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739B1 (ko)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
CN103749816B (zh) 一种荷叶苦瓜降脂保健茶及其制作方法
KR101541516B1 (ko) 누에와 뽕나무잎과 상지(桑枝)를 주원료로한 이온미네랄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CN107996757A (zh) 一种降血压、降血糖、降血脂、降胆固醇的保健饮品及其制备方法
CN102204610B (zh) 一种银杏保健茶
CN113768004A (zh) 一种含陈皮的白茶调味茶及其制备方法
CN105381306B (zh) 一种缓解酒精性肝、脑和心损伤的袋泡茶组合物
CN102366133B (zh) 营养健康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80080532A (ko) 침향을 포함하는 공진액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CN108175785A (zh) 金花葵复合保健饮品及其制备方法
CN107333926A (zh) 一种沙棘保健茶及其制备工艺
CN104068177A (zh) 天然植物保健益寿茶
CN103566150A (zh) 一种具有降血脂作用的药食同源食品的组合物及其应用
CN105907458A (zh) 一种三高人群适用的保健芝麻油及其制备方法
CN109077167A (zh) 一种祛湿茶及其制备方法
CN107412345A (zh) 一种百香果籽油含片及其制备方法
KR20190123921A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CN110679935A (zh) 一种牛蒡人参精华膏及其制备方法
CN105981853A (zh) 一种营养功能丰富的温和的暖茶饮料配方
KR102149954B1 (ko)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
CN106937718A (zh) 一种双海藻花粉植物复合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192853B1 (ko) 민들레 추출액 및 홍삼 추출액을 포함하는 액상 음료의 제조방법
EP3509430B1 (en) Herbal beverage and method of its preparation
KR102616632B1 (ko) 다슬기를 주원료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767020B1 (ko) 활력 증진 및 소화흡수율이 향상된 말 진액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6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