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245A -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 Google Patents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245A
KR20200025245A KR1020180102309A KR20180102309A KR20200025245A KR 20200025245 A KR20200025245 A KR 20200025245A KR 1020180102309 A KR1020180102309 A KR 1020180102309A KR 20180102309 A KR20180102309 A KR 20180102309A KR 20200025245 A KR20200025245 A KR 20200025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herbal
blood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706B1 (ko
Inventor
윤화순
윤재용
Original Assignee
윤화순
윤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화순, 윤재용 filed Critical 윤화순
Priority to KR1020180102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706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2Leeches; Worms, e.g. cestodes, tapeworms, nematodes, roundworms, earth worms, ascarids, filarias, hookworms, trichinella or ta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02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inanimat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6Arachnids, e.g. spiders, scorpions, ticks or m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8Myriapods, e.g. centipedes or millipe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7Sapindaceae (Soapberry family), e.g. lychee or soap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다양한 한방 생약재 성분들을 이용하여 각각의 성분이 갖는 유용한 기능성과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각 성분들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고 적절한 배합비에 의해 배합하고 제품의 맛 등을 고려하여 최적화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하여 환제, 정제, 캡슐제, 주사제, 파우치제, 드링크제 또는 음료수 형태의 혈행 개선용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혈행 개선용 제제는 고지혈증, 동맥경화, 뇌혈전증, 협심증을 포함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고, 아울러 혈류개선 작용, 혈관 경화 개선 작용, 혈관 내피 기능 개선 작용, 중풍 및 치매, 심계항진, 경련 및 통증 완화와 맑은 피 만들어 말초 혈관까지 순환시켜주는 기능 및 작용을 지니므로 이를 요하는 환자에게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Preparation for improving blood circulation comprising mixed oriental medicinal extracts}
본 발명은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다양한 한방 생약재 성분들을 이용하여 각각의 성분이 갖는 유용한 기능성과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각 성분들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고 적절한 배합비에 의해 배합하고 제품의 맛 등을 고려하여 최적화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하여 환제, 정제, 캡슐제, 주사제, 파우치제, 드링크제 또는 음료수 형태의 혈행 개선용 제제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 사망원인의 약 39%를 차지하고 있는 혈전관련 질환은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식생활의 서구화, 과도한 스트레스, 인구 고령화 등으로 인하여 더욱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세계의 항혈전 및 항응고제 시장 규모가 2015년 244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2년까지 서서히 매출이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중국이나 인도와 같은 개발도상국에서의 발병률, 유병률, 진단 건수 증가가 매출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안전성과 유효성 측면에서 더 우수한 새로운 경구 항응고제의 출시와 간편한 처방 및 규정 준수를 실현하는 약물전달 방법이 도입된 의약품 및 치료제가 기존의 치료제를 대신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사용 중인 혈전분해효소제로는 스트렙토키나아제(streptokinase), 유로키나아제(urokinase), 조직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t-PA) 등이 알려져 있으며, 주로 생체 내 플라스미노겐(plasminogen)을 플라스민(plasmin)으로 활성화하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혈전을 용해시킨다. 위와 같은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의 경우 알러지, 발열, 국소출혈, 짧은 반감기 및 고가의 의약품으로 분류되어 혈전치료제에 국한되어 이용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스트렙토키나아제 및 유로키나아제는 플라스미노겐을 플라스민으로 전환시키는 외래성 효소 물질로써 발열, 알러지, 국소출혈, 저혈압유발 등의 부작용을 내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이 매우 비싼 의약치료제로 분류되어 있어 치료제에 국한되어 있으며, 체내 혈전형성 예방에는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안전하면서도 혈행 개선 효능이 우수한 천연식물 유래의 물질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으며, 부작용을 유발하는 합성 물질보다는 전통적으로 입증된 천연 물질들을 대상으로 혈행 개선에 도움되는 제제를 개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158739(2012.06.15.) 한국 등록특허 제10-1259499(2013.04.24.) 한국 등록특허 제10-1558524호(2015.10.01.)
본 발명자는 한방 생약에 대한 오랜 경험을 기초로 하여 천연물을 대상으로 기능성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한방 생약재 성분들을 이용하여 각각의 성분이 갖는 유용한 기능성과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각 성분들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고 적절한 배합비에 의해 배합하고 제품의 맛 등을 고려하여 최적화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제제가 부작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혈행 개선을 포함하는 다양한 심혈관계 질환의 치료에 적합하게 됨으로써 이를 요하는 환자에게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한방 생약재 성분들을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배합하고 이들을 초(炒) 또는 증(烝)하여 제품의 맛 등을 최적화함으로서 기능성과 기호성을 배가하여 제조되고, 환제, 정제, 캡슐제, 주사제, 파우치제, 드링크제, 음료수제 등으로 제형화된 혈행 개선용 제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질, 자충, 맹충, 오공, 전갈, 구인, 선퇴을 포함하는 7 종의 동물 생약, 백반을 포함하는 1 종의 광물 생약 및 건칠피, 봉선자, 백작약, 삼칠근, 대황, 도인, 새싹보리, 노니, 하수오, 당귀, 침향 또는 목향, 인삼, 황기, 산수유, 산사, 구감초, 법미 및 용뇌를 포함하는 18종의 식물 생약으로부터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각 생약들의 개별적 전처리 후 전체를 일정 배합비율로 혼합시켜 추출하여 제조되고, 상기 각 성분의 원료 함량은 수질 20~25 중량부, 자충 20~25 중량부, 맹충 20~25 중량부, 오공 15~20 중량부, 전갈 15~20 중량부, 구인 15~20 중량부, 선퇴 12~17 중량부, 백반 20~25 중량부, 건칠피 20~25 중량부, 봉선자 20~23 중량부, 백작약 13~18 중량부, 삼칠근 13~18 중량부, 대황 13~18 중량부, 도인 13~18 중량부, 새싹보리 15~25 중량부, 노니 12~17 중량부, 하수오 12~17 중량부, 당귀 12~17 중량부, 침향 또는 목향 12~17 중량부, 인삼 10~16 중량부, 황기 10~16 중량부, 산수유 10~16 중량부, 산사 8~15 중량부, 구감초 8~15 중량부, 법미 20~25 중량부, 및 용뇌 8~10 중량부의 함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혈행 개선용 제제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 뇌혈전증, 협심증을 포함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고, 아울러 혈류개선 작용, 혈관 경화 개선 작용, 혈관 내피 기능 개선 작용, 중풍 및 치매, 심계항진, 경련 및 통증 완화 작용을 지니므로 이를 요하는 환자에게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방 제제의 제조 공정도.
도 2는 혈행개선용 제제의 마우스 혈액 클롯 분해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3은 한방 제제의 TBA 플레이트 에세이의 결과도.
도 4는 고지혈증 유발 쥐에서 한방 제제의 항고지혈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도 5는 한방 제제의 항혈전능 에세이 결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수질, 자충, 맹충, 오공, 전갈, 구인, 선퇴, 백반, 건칠피, 봉선자, 백작약, 삼칠근, 대황, 도인, 새싹보리, 노니, 하수오, 당귀, 침향 또는 목향, 인삼, 황기, 산수유, 산사, 구감초, 법미 및 용뇌를 포함하는 다양한 한방 생약재 성분들을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배합하고 이들을 초(炒) 또는 증(烝)하여 제품의 맛 등을 최적화함으로서 기능성과 기호성을 배가하여 제조되고, 환제, 정제, 캡슐제, 주사제, 파우치제, 드링크제, 음료수제 등으로 제형화된 혈행 개선용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생약들의 개별적 전처리 후 전체를 일정 배합비율로 혼합 및 추출하여 제조하고, 상기 각 성분의 원료 함량은 원료 전체 합계 4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수질 20~25 중량부, 자충 20~25 중량부, 맹충 20~25 중량부, 오공 15~20 중량부, 전갈 15~20 중량부, 구인 15~20 중량부, 선퇴 12~17 중량부, 백반 20~25 중량부, 건칠피 20~25 중량부, 봉선자 20~23 중량부, 백작약 13~18 중량부, 삼칠근 13~18 중량부, 대황 13~18 중량부, 도인 13~18 중량부, 새싹보리 15~25 중량부, 노니 12~17 중량부, 하수오 12~17 중량부, 당귀 12~17 중량부, 침향 또는 목향 12~17 중량부, 인삼 10~16 중량부, 황기 10~16 중량부, 산수유 10~16 중량부, 산사 8~15 중량부, 구감초 8~15 중량부, 법미 20~25 중량부, 및 용뇌 8~10 중량부의 함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된 혈행 개선용 제제를 제공한다.
이하, 각 개별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질(水蛭)은 거머리과에 속하는 거머리(Hirudo nipponica Whitman)와 말거머리과에 속하는 말거머리(Whitmania pigra Whitman)를 말린 것으로,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잡아 물에 담가 흙을 토하게 한 다음 석회나 알콜에 넣어 죽여서 말린다. 수질은 간경, 방광경에 작용하며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어혈을 없애며 월경을 순조롭게하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유산시키는 작용이 있고, 거머리에 들어 있는 히루딘 성분은 항응고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충은 별렴과의 땅속에서 사는 자충, 곧 지별(Eupolyphaga sinensis Walker)의 충체를 말린 것으로, 여름에 잡아서 끓는 물에 담그거나 소금물에 삶아내어 햇볕에 말린다. 자충은 심경, 간경, 비경에 작용하며, 어혈과 적을 없애고 경맥을 잘통하게 하며 부러진 뼈를 이어주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맹충(Tabanus trigonus)은 파리목 등에과의 곤충으로서 소 또는 짐승의 피를 빨아먹고 살고 있으므로 "쇠등에" 라고도 한다. 7-8월에 채취하여 말려 다리와 날개를 제거하고 초(炒)하여 약용한다. 약성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쓰고 조금 짜며 성질은 약간 차다. 효능으로는 간경, 심경에 작용하여 파적(破積), 구어혈(驅瘀血), 통경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오공(蜈蚣,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은 왕지네과에 속한 동물인 왕지네의 충체를 건조한 것으로, 이의 약리로서 항경련작용, 심혈관계에 대한 작용, 항균작용, 항혈액응고 작용, 항암작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혈관계에 대한 약리 작용으로서는, 오공의 단백질을 제거한 수용성 정제물은 기니피그의 적출 심방근 수축력에 유의한 증강효과를 나타내며, 노쇠한 심장에 대해서도 효과가 나타낸다. 오공추출물을 개에게 정맥주사하면 뚜렷한 혈압강하 작용이 용량의존적으로 나타나며, 두꺼비의 하지혈관 관류액에 대한 실험에서도 뚜렷한 하지혈관 관류액의 증가가 나타나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오공 추출물은 트롬빈의 피브리노겐에 대한 작용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혈액응고시간을 연장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전갈(全蝎, Buthus martensi)은 전갈과에 속한 곤충으로서 약리작용으로서는 항경련작용, 진통작용, 심혈관계에 대한 작용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중 심혈관계질환에 대한 약리작용에 있어서, 전갈독신(Buthatoxin)과 그 조성성분인 항경련 펩타이드들이 심혈관계에 대한 작용을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전갈 독소는 마취된 집토끼 심장의 LVP, 좌심실의 dp/dt를 상승시키고 심박동수가 감소한다. 적출한 기니피그의 심장수축력을 증가시키고 심박동수를 감소시키거나 그 과정 중에 심박동 실조가 나타난다. 항경련 펩타이드들은 이와 달리 심근수축력이 감소되고 심박동수가 증가하며 또한 동시에 심박동실조를 수반한다.
구인(생약명: Lumbricus, 학명: Pheretima aspergillum (E. Perrier))은 지렁이를 건조하여 한약재로 사용하는데, 예로부터 전통적인 한방의학에서 동맥경화, 고혈압, 당뇨병 등의 성인병에 대한 치료약제로서 처방되어 왔던 약제이며, 특히 해열제, 경풍치료제, 혈액촉진제, 반신불수 치료제, 관절치료제, 배뇨제, 기관지천식 치료제, 고혈압치료제 등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렁이를 생용(生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퇴(蟬退, Cryptotympana pustulata)는 매미과에 속한 곤충인 말매미 및 근연곤충의 유충이 땅속에서 나와 성충이 될 때 탈피한 껍데기를 건조한 것으로, 이의 약리로서는 항경련작용, 진정작용, 해열작용, 진통작용, 면역억제와 항알러지작용 등이 있다. 이중 항경련작용으로서, 선퇴추출물은 strychnine으로 유발된 강직성 경련의 사망수를 감소시키며, 파상풍독소로 유발한 생쥐 및 집토끼의 경련 후 사망까지의 시간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선태추출물은 혈관경화를 개선시키는 약리효과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백반은 광물성의 명반석(明礬石, Alumen)을 가공처리한 결정체로 만든 약재로서 만성위장 질환과 위 및 십이지장 궤양에 환을 만들어 복용하면 치유되고 급성간염으로 몸이 붓고 노랗게 되며 소변을 잘 못 볼 때 효력을 나타낸다. 부인의 자궁탈수에 수축작용을 얻고 백대하에도 살균작용과 수렴작용으로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살균작용은 피부의 건선과 옴, 임파선염 등에 효력을 나타낸다. 제해독, 굳은 것을 풀어주는 약제이다.
건칠피는 마른 옻나무 껍질로서 식물성 약재 중 가장 강력한 어혈을 제거한다. 어혈을 삭키고 월경이 중단된 것, 산가증을 낳게 한다. 소장을 잘 통하게 하고 회충을 없애는데 사용하기도 한다.
봉선자는 봉선화의 씨로서 작용은 씨 달인 액은 자궁수축작용, 피임작용(배란억제, 산소수축작용)이 있다. 응용은 동의치료에서는 씨를 독풀이, 월경불순에 쓴다. 또한 줄기를 투골초라하여 아픔멎이약, 염증약, 통경약으로 류마티즘, 타박상, 폐경에 쓴다. 민간에서는 봉선화가 활혈, 진통, 소종의 효능이 있다고 하여 습관성 관절통, 월경통, 임파선염, 독사에 물린데 등에 치료한다고 알려져 있다.
작약(芍藥)은 바구지과에 속하는 여러 해살이풀인 집함박꽃, 산함박꽃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가을에 뿌리를 캐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작약은 간경, 비경, 폐경에 작용하며 혈을 보하고 통증과 땀을 멋게 하고 지혈하며 간화를 내리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약리 실험에서 페오니플로린 성분은 진정작용, 진통작용, 진경작용, 해열작용, 소염작용, 항궤양작용 혈압강하작용, 관상 혈관확장작용을 나타내고, 페오놀 성분은 진정작용, 해열작용, 진통작용, 진경작용, 소염작용, 지혈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칠근(Panax notoginseng <Burk.> F. H. Chen ebx.)은 오가피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삼칠(三七)의 뿌리이다. 삼칠근의 주요 효능은, 신체 내외의 모든 출혈에 적용하는 지혈의 아주 중요한 약재이다. 특히 혈의 흐름을 원활히 하면서 어혈을 없애주어 각종 출혈 증상, 어혈로 인한 복통, 종기, 진통, 산후에 피를 많이 흘리는 증상에 활용한다. 또한 부은 것을 내리고 아픔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어 타박상과 골절상으로 붓고 아픈 증상, 부스럼이나 종기 등을 치료한다.
대황(Rheum palmatum Linne)은 여뀌과(Polygonaceae)의 뿌리 및 뿌리줄기로서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효능은 체내에 과다하게 축적되어 있는 열을 내리므로 피부반진·변비·혈압 상승을 치료하고 안구 충혈과 동통을 치료한다. 이질 초기증상에도 쓰이며, 열로 인한 토혈·코피·급성황달에도 유효하고, 피부의 종기가 발열·동통·발적이 심한 증상, 그리고 탕화상 등에 널리 활용된다. 뿐만 아니라, 겨울에 많이 발생하는 동상에 가루를 내어 환처에 바르면 소염작용이 탁월하여 상처가 쉽게 치유된다.
도인(생약명: Persicae semen, 학명: Prunus persica (L.) Batsch)은 복숭아의 성숙한 종자를 건조하여 한약재로 사용하는데, 활혈거어(活血祛瘀), 윤장통변(潤腸通便)의 효능이 있어 대부분의 어혈조체(瘀血阻滯)로 인한 증상에 응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도인을 도쇄(搗碎)하여 생용(生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새싹보리는 보리에 싹을 틔워 약 10~15cm 정도 자란 어린 식물체를 의미한다. 새싹보리는 칼슘, 마그네슘 및 칼륨 등의 무기성분 함량이 높을 뿐 아니라 비타민 B1 및 비타민 C의 함량이 높아 영양적으로도 우수한 식품원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항산화, 항염증, 항암기능을 가지는 사포나린(saponarin), 루토나린(lutonarin) 및 이소비텍신(isovitexin) 등의 기능성 이차 대사물질을 함유하여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의 소재로 그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 성분은 특히 건칠피 등의 생약재에 기인하는 독성을 완화하거나 중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새싹보리는 노지에서 성장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보리를 하루 정도 물에 침지한 후,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의 손실을 방지한 조건에서 파종하여 발아시킨 다음, 10 내지 14일 동안 성장시켜서 얻을 수도 있다.
노니(Noni)는 한자로 격수(檄樹) 또는 해파극(海巴戟)이라 부르는데, 학명은 모린다 시트로폴리아(Morinda Citrifolia)로서 용담목 꼭두서니과 노니속 식물이다. 동남아 베트남, 동말레이시아와 남태평양, 하와이 타이티가 주산지인 과일이다. 말린 뒤 가루로 만들어 팔기도 하는데 이때는 냄새가 안 난다. 우리의 신체에 만성염증을 잡아내는 역할을 하고 있다. 즉 우리 신체 몸속에서 염증이 생기거나 조직이 손상될 경우에는 혈중 CRP 농도가 약간 상승되지만 CRP 수치가 0.5mg/dl 이하일 경우에는 정상적이며, 만성염증, 혈관위축, 혈관벽의 기능 저하가 없으며, 염증을 저하시키는 식물성으로 노니가 있고, 염증은 암발생의 전조증이다.
하수오는 나력, 옹종과 5가지 치질을 낫게 하고 여러 해 된 허로로 여윈 것, 담벽, 풍허로 몸이 몹시 상한 것을 낫게 하며 부인이 몸푼 뒤에 생긴 여러 가지 병과 적백대하를 멎게 한다. 혈기를 보하고 힘줄과 뼈를 튼튼히 하며 정수를 보충한다. 머리털을 검게 하고 얼굴빛을 좋게 하며 늙지 않게 하면서 오래 살게 한다.
당귀는 모든 풍병, 모든 혈병, 모든 허로를 낫게 하고 궂은 피를 헤치며 새 피를 생기게 한다. 징벽과 부인의 붕루, 임신 못하는 것에 주로 쓰고 여러 가지 나쁜 창양과 쇠붙이에 다쳐서 어혈이 속에 뭉친 것을 낫게 한다. 이질로 배가 아픈 것을 멎게 하고 온학을 낫게 하며 5장을 보하고 살이 살아나게 한다.
침향은 침향나무(Aquilaria agallocha Roxburgh)의 생장과정에서 각종 병균의 침투나 외부로부터의 충격 손상, 또는 벌레들의 침입 등으로 인해 상처가 생겼을 때 병균이 침투한 곳과 상처가 난 곳의 확산을 방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보호작용으로 발생되는 수지가 침착된 수간목을 말한다. 풍수나 독종을 낫게 하고 나쁜 기운을 없애며 명치 끝이 아픈 것을 멎게 한다. 신정을 돕고 성기능을 높이며 냉풍으로 마비된 것,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거나 쥐가 나는 것을 낫게 한다.
목향은 국화과 다년생본초인 당목향, 천목향, 월서목향 및 토목향의 뿌리로서, 매우 독특한 향기가 나는데, 가슴과 배가 온갖 기로 아픈 것, 9가지 심통, 여러 해 된 냉기로 배가 부풀며 아픈 것, 현벽, 징괴를 치료한다. 또한 설사, 곽란, 이질을 멈추게 하고 독을 풀어주며 헛것에 들린 것을 낫게 한다. 온역을 방지하고 약의 정기가 목적한 곳으로 잘 가게 한다.
인삼(人蔘, Panax ginseng)은 오가피과 인삼속 식물이로서 그 뿌리를 건조한 것이다. 인삼은 원기를 보하며, 몸이 마르지 않게 하고, 혈이 생기게 하는 작용을 한다.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맛이 달며, 약간 쓰고, 독이 없다. 중추신경계, 면역증강, 심혈관계질환, 내분비계, 항 노화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생약제이다. 특히 심혈관계질환에 있어서, 인삼은 강심작용, 함심근허혈 작용, 혈관 및 혈압에 미치는 작용, 혈액 및 조혈계통에 미치는 작용 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황기(생약명: Astragali radix, 학명: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는 뿌리를 건조하여 한약재로 사용하며, 달고 약간 따뜻하며, 비장과 폐장에 주로 작용한다. 기운을 보하고 양기를 올리는 보기승양(補氣升陽) 작용, 표피를 단단히 하여 땀이 나지 않게 하는 고표지한(固表止汗) 작용, 피부에 종기 등을 치료하는 탁독배농(托毒排膿) 작용, 수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부종을 치료하는 이수퇴종(利水退腫) 작용과 소아의 여러 질환에도 사용된다. 비장의 기운 허약으로 인하여 얼굴빛이 희거나 황색을 띠는 증상, 사지권태 무력감, 대변이 묽은 증상에 쓴다. 또한, 기운이 허약하여 조혈기관이 약화됨으로써 나타나는 권태감, 무력감 및 얼굴빛이 창백하여 광택이 없고, 토혈, 변혈, 피하출혈, 자궁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날 때 활용된다. 기운을 상승시키는 효능이 있어 위하수증, 탈항, 장기탈수, 기운하강 등의 증상에 유효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황기를 생용(生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수유는 층층나무과(山茶萸科:Cornaceae)에 속한 낙엽소교목인 산수유나무 Cornus officinalis Sieb. et. Zucc.의 성숙한 열매를 건조한 것으로, 산수유는 코르닌(cornin), 모로니사이드(Morroniside), 로가닌(Loganin), 탄닌(tannin), 사포닌(Saponin) 등의 배당체와 포도주산, 사과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과 팔미틴산, 올레인산, 리놀산 등의 지방산 및 비타민 A를 다량 함유하여 항균, 항산화 효과를 지니며, 동의보감과 향약집성방에 의하면 강음(强陰), 신정(腎精)과 신기(腎氣)보강, 수렴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고 한방에서 두통, 이명, 해수병, 해열의 증상에 처방된다.
산사는 산사나무의 열매로서 다양한 유기산,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C를 함유하여 혈관 및 심장기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한방에서 산후복통, 숙취, 건위, 소화불량, 만성설사에 처방된다.
구감초는 불에 구워 약성(藥性)을 완화하고 약간 변화시킨 감초를 이르는 말로서, 감초를 구워서 쓰면 성질이 따뜻해진다. 비위를 보하고 기를 도우며, 심기부족으로 맥박이 고르지 않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을 보이는데 사용하며, 심음부족과 간울로 신지실상, 히스테리 증상을 보이는데 이럴 때 정신을 안정시키는데 쓴다(장조증은 장조증은 울증, 히스테리에 해당함). 또한, 폐에 작용하여 담을 제거하고 기침을 멈추게 하고, 위장의 경련과 사지근육의 경련을 풀어주고 통증을 완화시킨다.
법미는 쌀을 씻은 물(쌀뜬물)을 말하며, 첨가되는 다른 성분들을 중화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법미는 쌀에 동량의 물을 붓고 30분 정도 불린 후 씻고 이를 3회 반복하여 씻은 것을 모아서 사용할 수 있다.
용뇌는 용뇌수(Dryobalanops aromatica Gaertner)의 진 또는 줄기나 가지를 잘라서 수증기를 증류하여 얻은 액을 식힐 때 생긴 덩어리를 모아 그늘에서 말린 것으로, 심경, 폐경, 비경에 작용을 한다. 용뇌는 정신을 맑게 하고 열을 내리며 부기를 가라앉히고 통증을 멎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제제의 제조에 관련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방 제제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질, 자충, 맹충, 오공, 전갈, 구인 및 선퇴를 포함하는 7 종의 동물 생약, 백반을 포함하는 1 종의 광물 생약 및 건칠피, 봉선자, 백작약, 삼칠근, 대황, 도인, 새싹보리, 노니, 하수오, 당귀, 침향 또는 목향, 인삼,황기, 산수유, 산사, 구감초, 법미 및 용뇌를 포함하는 18종의 식물성 생약재는 개별적 전처리 후 추출하여 혼합하여 제조하거나, 원료 전체 합계 400 중량부를 한꺼번에 추출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질, 자충, 맹충, 오공, 전갈, 구인, 선퇴를 포함하는 7 종의 동물 생약, 백반을 포함하는 1 종의 광물 생약, 및 건칠피, 봉선자, 백작약, 삼칠근, 대황, 도인, 새싹보리, 노니, 하수오, 당귀, 침향 또는 목향, 인삼,황기, 산수유, 산사, 구감초, 법미 및 용뇌를 포함하는 18종의 식물성 생약재를
a) 개별적으로 채취되어 전처리된 생약재를 혼합한 후 자연 건조시키는 공정;
b) 건조 처리된 각각의 생약재를 80~200 메쉬의 입도로 개별적으로 분쇄하는 공정;
c) 분쇄된 생약재를 교반하에 70~80℃에서 2~10분 동안 초(炒)하거나 또는 100~105℃의 온도에서 2~10분 동안 증(烝)하여 처리하는 공정; 및
d) 초(炒) 또는 증(烝)하여 처리한 생약재를 냉각하는 공정;
e) 냉각된 생약재에 중량을 기준으로 10~25배수의 정제수를 가하여 0.5~0.6 기압 및 70~80℃의 온도에서 60 내지 72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공정;
f) 상기 단계의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이물질을 걸러내는 공정;
g) 이물질을 걸러내고 남은 고형분에 중량을 기준으로 10~25배수의 정제수를 가하여 0.8~0.9 기압 및 80~90℃의 온도에서 60 내지 72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공정;
h) 상기 단계의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이물질을 걸러내는 공정;
i) 이물질을 거르고 얻어진 여액들을 50~65℃의 온도에서 -0.08 ~ -0.09 MPA의 감압하에서 4~8시간 동안 고형분의 brix가 40 이상이 되게 농축하는 공정:
j)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농축물을 진공하에서 55~65℃의 온도에서 24 내지 48 시간 동안 저온에서 건조하는 공정; 및
k)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건조물을 120~200메쉬로 분쇄하는 공정;에 의해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들 추출물과 정제된 것 또는 추출이 필요 없는 원료 성분과 혼합하여 제제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공정에서 추출 용매로서 정제수나 물을 사용할 수 있고,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메탄올, 에탄올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다가 알코올로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혼합물로는 물 및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물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저급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또는 물 및 저급알코올 및 다가알코올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한방 약재의 추출 공정에 관련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전처리한 한방 약재는 먼저 전처리의 효율성을 위해 55~65℃의 온도에서 열풍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건조 처리된 각각의 생약재는 정해진 비율로 혼합한 후 80~200 메쉬의 입도로 분쇄한다. 핀밀 등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는 150 메쉬 정도로 분쇄한다.
그 다음, 분쇄된 생약재를 교반하에 70~80℃에서 2~10분 동안 초(炒)하거나 또는 100~105℃의 온도에서 2~10분 동안 증(烝)하여 처리한 다음 냉각시킨다.
상기 공정에 있어서, 초(炒) 또는 증(烝)하여 처리하는 공정은 향미와 섭취감을 개선시키고 영양분 및 약효성분을 최대한 보존하고 발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70~80℃의 온도에서 2~10분 동안 초(炒)하거나 또는 100~105℃의 온도에서 2~10분 동안 증(烝)하여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초(炒)는 볶는 것을 말하고 증(烝)은 가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어서 건조된 생약재에 중량을 기준으로 10~25배수의 정제수를 가하여 0.5~0.6 기압 및 70~80℃의 온도에서 60 내지 72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한방 약재의 추출에 사용할 온도조건 표준화를 위한 온도조건 설정 실험결과 한방 생약재는 고온 추출 보다는 60℃~70℃의 저온 또는 중온 추출이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방 약재의 각종 지표 성분 함량을 보면 60℃~70℃에서 추출한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80℃ 이상으로 추출했을 경우 유효 성분의 함량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한방 생약재의 추출을 위한 추출 시간은 실험결과 72시간 추출했을 때 유효 성분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이를 벗어난 경우 추출 고형분 및 유효 성분 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추출 용매의 양은 용매 사용량 표준화를 위한 실험결과 10~25배수로 추출했을 때 좋은 결과를 보여 에너지효율 및 경제성을 고려하였을 때 용매는 10배수로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수 있다. 추출 압력은 0.5~0.6 기압의 조건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의 추출물을 여과막이나 종이 여과지로 여과하여 이물질을 걸러내어 찌꺼기가 없는 조건으로 여과한다.
이어서, 이물질을 걸러내고 남은 고형분에 중량을 기준으로 10~25배수의 정제수를 가하여 0.8~0.9 기압 및 70~80℃의 온도에서 60 내지 72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가의 추출물을 얻고, 마찬가지로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이물질을 걸러내어 유효 성분들을 최대한 추출한다.
그 다음, 이물질을 거르고 얻어진 여액들을 합하여 50~65℃의 온도에서 -0.08 ~ -0.09 MPA의 감압하에서 4~8시간 동안 고형분의 brix가 40 이상이 되게 농축한다. 다양한 조건 시험 결과 감압 농축기를 사용하여 -0.08 ~ -0.09 MPa의 감압하에서 농축한 경우의 수율이 가장 양호하였다.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농축물을 진공하에서 55~65℃의 온도에서 24 내지 48 시간 동안 저온에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건조물을 120~200메쉬로 분쇄하는 공정으로서, 핀밀 등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는 150 메쉬 정도로 분쇄한다.
상기 건조 공정이나 분쇄 공정에 이어 추가로 제품 조건에 맞게 멸균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별법으로서는 동물성 약재와 식물성 약재를 구분하여 처리하는 것도 가능한데, 먼저, 전처리된 수질, 자충, 맹충, 오공, 전갈, 구인, 선퇴을 포함하는 7 종의 동물성 생약과 광물성 생약인 백반은 정해진 비율로 혼합한 후,
a1) 혼합된 생약재를 자연 건조시키는 공정;
b1) 건조 처리된 동물성 생약재를 80~200메쉬의 입도로 개별적으로 분쇄하는 공정;
c1) 분쇄된 동물성 생약재를 교반하에 70~80℃에서 2~10분 동안 초(炒)하거나 또는 100~105℃의 온도에서 2~10분 동안 증(烝)하여 처리하는 공정; 및
d1) 초(炒) 또는 증(烝)하여 처리한 동물성 생약재를 냉각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별법으로 상기 건칠피, 봉선자, 백작약, 삼칠근, 대황, 도인, 새싹보리, 노니, 하수오, 당귀, 침향 또는 목향, 인삼, 황기, 산수유, 산사, 구감초, 법미 및 용뇌를 포함하는 식물성 생약재는 개별적으로 또는 합하여 한꺼번에 추출할 수 있으며,
a2) 건조된 생약재에 중량을 기준으로 10~25배수의 정제수를 가하여 0.5~0.6 기압 및 70~80℃ 의 온도에서 60 내지 72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공정;
b2) 상기 단계의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이물질을 걸러내는 공정;
c2) 이물질을 걸러내고 남은 고형분에 중량을 기준으로 10~25배수의 정제수를 가하여 0.8~0.9 기압 및 80~90℃의 온도에서 60 내지 72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공정;
d2) 상기 단계의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이물질을 걸러내는 공정;
e2) 이물질을 거르고 얻어진 여액들을 50~65℃의 온도에서 -0.08 ~ -0.09 MPA의 감압하에서 4~8시간 동안 고형분의 brix가 40 이상이 되게 농축하는 공정:
f2)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농축물을 진공하에서 55~65℃의 온도에서 24 내지 48 시간 동안 저온에서 건조하는 공정; 및
g2)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건조물을 120~200메쉬로 분쇄하는 공정;에 의해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한방 생약제를 이용하여 부작용이 적고 혈행 개선의 기능성을 갖는 제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양한 한방 생약재 성분들과 이들의 조합비, 각 성분들의 효율적인 추출 조건 및 제품의 맛 등을 최적화한 것에 주된 특징이 있으며,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제제의 조성비는 각각의 성분이 갖는 유효 용량과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오랜 연구 결과에 의해 설정한 것이며, 그 비율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타성분과의 바람직한 상승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여 효과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위와 같은 한방 생약재는 한의학적 기반에서는 군신좌사(君臣佐使)식 배치에 따른 것으로, 임금에 비유되는'군(君)'은 가장 주된 약효를 제공하는 성분으로써 수질, 건칠피, 백반, 자충, 맹충, 봉선자, 오공, 전갈이 이에 해당하고, '군(君)'의 약효는 신하에 비유되는'신좌사'에 의해 극대화될 수 있다. '나머지 성분들은 신좌사(臣佐使)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군약의 효력을 보조 및 강화하거나 독성 완화 및 수반 증상의 해소를 목적으로 하거나 목적하는 기능성을 위한 작용 부위를 질병 부위로 인도하고, 여러 한약을 중화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들이다.
본 발명의 혈행 개선용 제제는 고지혈증, 동맥경화, 뇌혈전증, 협심증 등을 포함하는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의약 또는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혈행개선용 제제는 독성 및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혈류개선 작용, 혈관경화 개선 작용, 혈관 내피 기능개선 작용, 경련 및 통증완화 작용, 고지혈증 개선, 동맥경화 개선, 뇌혈전증 개선, 혈류 촉진, 혈액응고 완화, 동맥경화 등의 혈관 경화를 개선시키는 작용을 하여 협심증 등의 관상동맥 질환자, 심계항진이 있고, 식은 땀을 흘리고, 숨이 차며 자주 피로를 느끼는 환자에게 효과가 있으며, 또한 뇌경색 회복기에 중풍 및 치매로 원기가 허약하면서 혈액순환이 잘 안되는 반신불수, 구안와사 증상 등의 질환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는 그러한 질병, 상태 및 이상으로부터 고통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는 개인들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및 식품 제제의 제형은, 당해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예를 들면 환제, 파우치제 또는 드링크제 등의 경구제나 주사제 등의 형태로 제형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환제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각 재료를 더블콘 혼합기 등의 혼합기에서 20분 이상 혼합한 후, 연합기를 사용하여 연합하고, 통상의 제환기를 이용하여 제환한 후 약 30℃ 전후에서 건조하고, 이를 코팅하고 포장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코팅시에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95% 주정에 용해한 후 스프레이 방식으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건조기 상에서 30±2℃에서 1 시간 이상 수분 함량 5% 이하로 건조하여 포장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의약 및 식품 제제의 복용량은, 그 제제 형태, 투여 방법, 사용 목적 및 이것에 적용되는 개인의 연령, 체중, 증상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고, 일정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제제 중에 함유되는 유효성분의 양은 성인 1일당, 예컨대 25 mg∼5,000 ㎎/㎏이다. 물론 복용량은, 각종 조건에 의해서 변동하기 때문에, 상기 섭취량보다 적은 양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고, 또는 범위를 초과하여 필요한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제제는 공지의 의약용 담체와 조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유효 성분을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액상 또는 고체상의 담체와 배합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용제, 분산제, 유화제, 완충제, 안정제,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등를 가하고, 정제, 과립제, 산제, 분말제, 캡슐제 등의 고형제, 통상액제, 현탁제, 유제 등의 액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을 사용 전에 적당한 담체의 첨가에 의해 액상으로 만들 수 있는 건조품으로 할 수도 있다.
의약용 담체는, 상기 투여형태 및 제형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고, 경구제의 경우는, 예를 들어 전분, 유당, 백당, 만니톨,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콘 스타치, 무기염 등이 이용된다. 또한 경구제의 조제에 있어서는 추가로 결합제, 붕괴제, 계면활성제, 윤택제, 유동성 촉진제, 교미제, 착색제, 향료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제제는 원하는 제제의 형태에 따라 통상의 보조제 또는 첨가제, 또는 감미료, 예를 들면 벌꿀, 맥아, 글리세린, 홍삼, 버섯 분말, 동충하초, 자몽 추출물, 감초, 맥류약엽분말, 서양산사자추출물, 세인트존스워트, 셀레늄효모, 비타민 C, 구연산, 니코틴산, 안식향산나트륨, 아스파탐, 사카린, 펙틴, 말리톨, 솔비톨, 자일리톨, 구아검, 탈지분유 및 올리고당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하여 기호도나 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들은 본 발명의 제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80% 로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의 제조
시중에서 구입한 각각의 생약재, 수질 220g, 자충 220g, 맹충 230g, 오공 170g, 전갈 170g, 구인 170g, 선퇴 150g, 백반 220g, 건칠피 220g, 봉선자 210g, 백작약 150g, 삼칠근 150g, 대황 150g, 도인 150g, 새싹보리 200g, 노니 150g, 하수오 150g, 당귀 150g, 침향 150g, 인삼 130g, 황기 130g, 산수유 130g, 산사 100g, 구감초 100g, 법미 220g 및 용뇌 90g의 한방 생약재를 골고루 혼합하여 자연 건조시킨 다음, 150 메쉬의 입도로 분쇄하고, 분쇄된 생약재를 교반하에 80℃의 온도에서 5분 동안 초(炒)한 다음, 다음 실온에 방치하여 건조시켰다. 법미는 쌀 500g에 물 500g을 붓고 30분 정도 불린 후 씻고 이를 3회 반복하여 씻은 것을 모아서 220g을 사용하였다.
건조된 생약재 혼합물에 정제수 50리터를 가하여 0.5 기압, 80℃의 온도에서 72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종이 여과지로 걸러서 여액을 수집하고, 남은 고형분에 50리터의 정제수를 가하여 0.9기압, 80℃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2차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종이 여과지로 거르고 여액들을 합한 후 80℃의 온도에서 -0.08 MPA의 감압하에서 4시간 동안 농축하였다. 고형분의 brix는 50이었다. 이어서, 농축물을 진공하에서 5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저온에서 건조하여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환제 제조
실시예 1의 혈행개선용 제제 7%(이하, 중량기준), 맥아분말 23%, 표고버섯 분말 3%, 구연산 7%, 솔비톨 10%, 자일리톨 35% 및 올리고당 15%를 더블콘 혼합기에서 25분 동안 혼합한 후, 연합기를 사용하여 연합하고, 제환기를 이용하여 제환한 후 약 30℃ 전후에서 건조하고,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를 95% 주정에 용해한 후 스프레이 방식으로 코팅하고, 건조기 상에서 30ㅁ2℃에서 1시간 동안 수분 함량 5% 이하로 건조하여 포장(PS)하여 내용량이 3.5g인 환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정제 제제
혈행개선용 제제(실시예 1) 25 mg
락토오스 60 mg
전분 15 mg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15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15 mg
정제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통상의 장용성 피복(예를 들면,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당코팅 또는 피막 코팅을 갖는 정제 또는 연질캅셀 형태이다.
실시예 4: 음료수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혈행개선용 제제 100g에 구연산 20g, 아스파탐 17g 및 비타민 C 30g을 첨가한 후 나머지를 정제수로 첨가하여 음료수 10ℓ를 제조하여 저온 살균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음료수는 종래의 음료수 제품과 입안 감촉, 맛 그리고 종합평가 면에서 양호한 반응을 얻었다.
실시예 5: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1의 혈행개선 제제 2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800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3㎖)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실시예 6: 파우치제의 제조
파우치 당 실시예 1에서 얻은 혈행개선용 제제 40g에 비타민 C 10g, 아스파탐 10g 및 정제수 50g이 포함되도록 자동 충진기에 의해 파우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급성 독성 시험
실시예 1에 따른 혈행개선 제제의 실험동물에 대한 독성 실험을 수행하고 그 독성유무를 관찰하였다. 실험용동물은 4, 5주령의 체중 105±4g의 수컷과 95±3g의 암컷의 SD계 래트 60마리를 사용하였고 본 발명의 제제와 음성대조군으로서 증류수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먼저, 상기 래트들을 온도 22±2℃, 상대습도 53±2% 및 형광등 조명(09:00 점등-18:00 소등)의 명암사이클, 150-300 Lux의 조도 조건을 갖춘 실험실 사육 상자에서 약 1주일 정도의 기간에 걸쳐 순화시킨 다음, 건강한 동물들만을 선택하여 평균 체중이 일치하도록 각 군으로 나누고 일일 1회 20ml/kg의 양으로 14일 동안 강제 경구투여한 다음, 일반상태의 변화, 중독증상, 운동성, 외관, 자율신경, 체중변화 및 사망동물의 유무에 관하여 점검하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실험기간 동안 체중에 있어서 5% 이내의 변화를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고, 시료의 양을 시험동물에 투여가능한 최대량인 kg당 20ml의 최고 농도를 선정하였음에도 사망동물이 관찰되지 않아 개략의 치사량 산출은 불가하였으므로 LD50은 20ml/kg B.W.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고, 특이한 일반증상이나 부검시 특이한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이를 종합적으로 판단해보면 상기 제제는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8: 혈액 클롯 분해 분석
혈액을 공급받아 미리 질량을 측정해놓은 여러 개의 튜브에 각각 0.5 ml씩 담고 37℃에서 45분 동안 반응시켜 클롯을 형성하고, 클롯을 형성시킨 후 혈청 층을 완전히 제거하고 클롯 질량 측정하였다. 여기에 실시예 1의 한방 제제를 반응시켜 혈액 클롯 분해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혈행개선용 제제의 마우스 혈액 클롯 분해 분석의 결과도이다. 대조군은 인산염 완충액만을 포함한 것이고, 혈행개선 제제는 100μg을 포함하였다.
마우스 혈액 클롯 분해 분석에서 한방 생약 추출물로 이루어진 제제(실시예 1) 100μg은 피브린 클롯을 약 87% 분해시켰다. 마우스 혈액 클롯을 이용한 in vitro 실험결과를 통해 한방 생약 제제의 마우스의 혈액에서 형성된 클롯을 직접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혈전분해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9: 지질분해 효과
(1) TBA 플레이트 에세이
실시예 1의 한방 추출 제제 10 μl을 트리부티린 0.1 ml 및 아가 0.1 g을 포함하는 TBA(tributyrin agar) 플레이트에 3mm 환을 만들어 침적시킨 후 37℃에서 12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분해된 clear zone을 확인하였다.
한방 추출 제제의 TBA(tributyrin agar) 플레이트 에세이를 수행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한방 추출 제제의 TBA 플레이트 에세이의 결과도이다. 완충액은 인산염 완충액만을 함유한 것이고, 한방 추출 제제는 10μg을 포함하였다. 위 결과로 부터 한방 추출 제제 10μg은 지질을 분해시켜 환 주위에 clean zone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실험을 통해 한방 추출 제제가 지질 성분을 직접적으로 분해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지질분해효소 합성기질을 이용한 지질 분해 활성 에세이
효소 활성측정은 4-nirtophenyl palmitate, 4-nitrophenyl butryrate를 사용한 colorimetric 방법(Stuer et al., 1986)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실시예 1의 한방 추출 제제 1 mg을 1 ml의 50 mM 인산염 완충액(pH 6.0)에 녹이고 10 μl의 기질 용액(2-propanol에 녹인 100 mM p-nitrophenyl butyrate(pNPB))을 첨가한 후 10분 동안 30 ℃에서 반응시켰다. 2000 x g로 4℃ 조건에서 5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활성을 측정하였다. 지질분해효소 활성은 생성된 p-nitrophenol의 양을 410 nm에서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효소 1 unit의 정의는 1분당 1 μM의 p-nitrophenol을 생산하는 효소의 양을 나타낸다. 그 결과를 다음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기질 지질분해 활성(mU/ml)
p-nitrophenyl butyrate 3640
p-nitrophynyl palmitate 1470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한방 추출 제제는 p-nitrophenyl butyrate 기질에서는 3640 mU/ml, p-nitrophynyl palmitate 기질에서는 1470 mU/ml의 지질 분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실험을 통해 한방 추출 제제가 지질 성분을 직접적으로 분해하는 효소인 리파아제와 같은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으며 각 기질에서 높은 활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0: 항고지혈효과 시험
실험동물 랫트의 꼬리 정맥을 통해 채혈하고, 채혈된 혈액은 실온에서 30분 정도 방치 후, 3000 rpm으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추출하고 이를 분석 시까지 -30℃에 보관하였다. Total cholesterol(총 콜레스테롤), TG(중성지방), HDL-C(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LDL-C(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VLDL-C(초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를 측정하여 항고지혈증 효과를 분석하고 Friedewald 식을 이용한 농도계산법으로 분석하였다.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랫트에 한방 추출 제제(실시예 1)을 첨가한 사료를 식이시켜 항고지혈증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고지혈증 유발 쥐에서 한방 추출 제제의 항고지혈 효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C는 대조군으로서 정상 랫트의 혈장이고, NC는 음성 대조군으로서 고지혈증 유발 쥐의 혈장이며, 샘플은 실험군으로서 한방 추출 제제(1mg)을 공급한 고지혈증 유발한 랫트의 혈장이다.
도 4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사료만 식이시킨 control group(N, 일반식이)의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수치는 107mg/dL, HDL-cholesterol(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는 68.3 mg/dL, LDL-cholesterol(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는 15.3mg/dL, VLDL-cholesterol(초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치는 22.4mg/dL, TG(중성지방) 수치는 110.3 mg/dL로 측정되었다.
High-cholesterol 사료만 식이시킨 negative control group (NC, 고지혈증 유발 그룹)의 총콜레스테롤 수치는 140.2 mg/dL, HDL수치는 52.3 mg/dL, LDL수치는 38 mg/dL, VLDL수치는 23.5 mg/dL, TG(중성지방) 수치는 132.3 mg/dL로 측정되었다. 이에 일반사료만 식이시킨 Normal group의 총콜레스테롤, HDL, LDL, VLDL, TG를 비교한 결과, 총콜레스테롤은 약 31% 증가하였고 HDL은 약 23.4% 감소하였다. 또한, LDL은 약 148.3% 증가하였고 VLDL와 TG는 각각 4.9%, 19.9% 증가하였다.
고지혈증이 유발된 랫트에 한방 추출 제제를 첨가한 사료를 식이시킨 sample group의 결과에서 총콜레스테롤 수치는 109.2 mg/dL, HDL 수치는 73.6 mg/dL, LDL 수치는 21.7 mg/dL, VLDL 수치는 16.8 mg/dL, TG 수치는 92.7 mg/dL로 측정되었다. 이에 일반사료를 식이시킨 control group 및 고콜레스테롤 사료를 식이시킨 negative control group과 총콜레스테롤, HDL, LDL, VLDL, TG를 비교한 결과, 총콜레스테롤, VLDL, TG 수치는 정상수치로 회복되었고, LDL은 38 mg/dL에서 21.7 mg/dL로 상당히 저하된 반면, HDL 수치는 상승되어 한방 제제의 식이에 의한 회복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AI(동맥경화 지수, Atherogenic index(총콜레스테롤 - HDL 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 HDL/LDL ratio, TC/HDL ratio을 산출하여 비교분석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항목 C NC 한방제제
AI 0.56 1.67 0.48
총 콜레스테롤/HDL 비 1.56 2.68 1.48
HDL/LDL 비 4,46 1.37 3.39
결과적으로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랫트에 한방 추출 제제를 첨가한 사료를 14일 동안 식이시킨 결과, 5가지 모든 항목의 결과에서 혈행개선 효과(고지혈증 예방효과)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동맥경화지수, Total cholesterol/HDL ratio와 HDL/LDL ratio의 수치에서도 항고지혈 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Rodent blood를 이용한 용혈활성 분석
용혈활성 분석은 anti-thrombotic activity assay법을 통해 실험동물의 혈액에서 유도한 혈전(rodent blood clot)을 이용한 항혈전 효능 평가법이며, 혈액 채취 후 자연응고 후 형성되는 혈전에 시료를 적정시간 처리 후 남은 혈전의 양과 반응액을 분석하여 시료의 혈전제거 효능을 평가하는 실험이다.
한방 추출 제제와 blood clot을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남은 blood clot의 무게 및 반응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한방 추출 제제의 혈전제거 효능을 분석하였다.
혈액 클롯은 시험관내 마우스 혈액의 혈액 클롯 300 μL의 자발적 응고에 의해 형성시켰다. 혈액 클롯의 분해는 한방 추출 제제 시료, 양성 대조군 t-PA(20 U), 및 식염수 처리한 클롯을 37℃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켜서 평가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항혈전 활성은 색 전개에 의해 평가하고, 상층액(blood clot + saline(con), 한방 추출 제제 또는 t-PA)의 흡광도는 410nm에서 흡광도로 판독하였다. 도 5는 한방 추출 제제의 항혈전능 에세이 결과를 나타내는 그라프도이다.
실험군의 한방 추출 제제에서는 10㎍, 20㎍, 50㎍, 100㎍, 200㎍의 농도에서 순서대로, 410nm에서 0.430, 0.715, 1.120, 1.220, 1.382의 흡광도가 확인되었다. 시료 대신 생리식염수를 처리한 음성대조군의 흡광도는 0.403이며, 양성대조군인 t-PA는 10U 농도에서 0.463, 20U에서 0.880, 30U에서 1.379로 나타났다.
10㎍의 한방 추출 제제의 반응액 흡광도는 20U t-PA의 반응액 흡광도보다 약간 낮았지만 50㎍ ~ 200㎍의 한방 추출 제제 반응액 흡광도에서는 10U t-PA의 반응액 흡광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Antithrombotic activity assay를 통해, 실험동물 혈액의 혈전 형성 후 한방 추출 제제가 우수한 혈전용해능을 가지며, 20㎍ 이상의 추출물에서 10U t-PA 보다 높은 혈전제거능을 보였다. 따라서, 한방 생약 추출물은 실험동물의 혈액에 작용하여 과도한 혈전형성 예방을 통해 응고 조절 및 혈행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시예 12: 혈소판 응집 억제능 시험
수컷 랫드(200∼300g)를 ether로 마취시켜 얻은 혈액에서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platelet rich plasma(PRP)와 platelet poor plasma(PPP)를 분리하였으며, Aggregometer를 이용하여 항혈전효과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추출 제제의 혈소판응집 억제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조군으로서 식염수 투여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제제 ug/ml을 첨가한 후 트롬빈(thrombin-100 unit/ml)을 처리하였고, 이에 따른 결과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었다.
농도(ug/ml) 혈소판응집 저해율(%)
대조군 0.01±0.45
실시예 1 86.4±0.27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트롬빈을 처리했을 때의 효능은 86.4%를 저해하여 우수한 항 혈전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3: 관상혈류에 미치는 영향 시험
생후 6주된 래트에 콜레스테롤 식이를 2주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식염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한방 생약 추출 제제를 일일 일회 강제 경구 투여하였다. 2주 후, 랫트를 펜토바비탈로 마취시킨 후 37℃의 Krebs-Henseleit 생리용액으로 심장을 관류시키면서 심장을 적출하였다. 30분 후 적출한 심장이 안정되면 전기혈류 측정기를 통하여 관상혈류량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의 표 4에 평균±S.E.M.으로 나타내었다. 대조군과 비교시 통계적 유의 수준(P<0.05).
농도(mg/kg) 관상혈류(ml/min)
대조군 18.8±1.91
실시예 1 29.6±1.21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관상혈류에 대해서 대조군은 18.8ml/min을 나타낸 반면, 본 발명의 한방 생약 제제는 29.6ml/min으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허혈성 뇌졸중에 대한 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 1의 한방 제제의 허혈성 뇌졸중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체중 280~300g의 수컷 Spargue-Dawley계 흰쥐를 사용하였다. 허혈성 뇌졸중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실험동물을 7:3의 부피비로 혼합된 N2O와 O2 혼합 가스와 3% 이소플루란(isoflurane)으로 마취시킨 후, 실험동물의 온목동맥(common carotid artery)과 바깥목동맥(external carotid artery)을 결찰하고, 손목동맥(internal carotid artery)의 분지점으로부터 19㎜의 probe(약 2.1cm의 4-0 수술용 나일론실의 한쪽 끝을 불에 그을려 둥글게 만듦)를 삽입하여 오른쪽 중간대뇌동맥을 결찰(right sheath endovascular middlecerebral artery occlusion)하여 국소적 뇌허혈을 유발시켰다. 이 후, 90분 동안 중간대뇌동맥의 혈류 흐름을 차단하여 허혈 상태를 유지시킨 후, 수술부위를 다시 노출시켜 probe를 제거하고 재관류시켰다. 재관류시킨 실험동물의 절개된 피부를 수술용 봉합사를 이용하여 완전히 봉합하고, 전 실험과정 중 사용된 hot pad를 이용하여 실험동물의 직장 체온이 36~37℃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계속해서 유지시켰다. 실시예 1의 시료는 허혈 유발 후 3시간과 8시간 째에 두번씩 경구투여하였다(각각 100㎎/㎏). 이 때 대조군에는 어떤 시료도 처리하지 않았다. 다음으로는 중간대뇌동맥의 재관류 후 24시간에 동물을 치사시켜 실험동물의 뇌를 적출한 후 뇌형상틀을 이용하여 2㎜ 두께로 뇌절편을 만든 다음 2,3,5-트리페닐테트라졸륨 클로라이드(2,3,5-triphenyltetrazonlium chloride, TTC) 용액에 37℃에서 20~30분 동안 침적하였다. 발색반응을 확인 후 뇌절편을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에 고정한 후, 뇌경색 부위를 영상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허혈에 의한 경색 면적은 전체 뇌부피에 대한 비율(%)로 나타내었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으로는 흥분성 신경독성 억제제인 NMDA 수용체 차단제인 MK-801{(+)-5-methyl-[0091] 10,11-dihydro-5H dibenzo[a,d]- cyclohepten-5,10-imine maleate}을 사용하였다.
시료 Infarct volume(%)
실시예 1 9.12
대조군 25.7
양성대조군 9.65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대뇌동맥 폐색/재관류 손상 모델 뇌의 뇌경색 부위에서 실시예 1의 시료는 양성대조군에 비해 허혈에 의한 경색 면적의 부피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뇌조직 보호작용이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15: 신경학적 결손 정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시험
국소 뇌허혈에 대한 효과에 있어서 중대뇌동맥 폐쇄에 따른 신경학적 결손정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컷 래트(280~300g)에 대하여 대조군으로서 식염수 투여군 및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한방 생약 제제 투여군에 일일 일회 강제 경구 투여하였다. 그후 펜토바비탈 마취하에 37℃로 유지하면서 경부를 절개하여 우측 총경동맥, 내경동맥, 외경동맥을 분리하였다. 총경동맥과 외경동맥은 결찰하고 내외경동맥의 분지점으로부터 내경동맥 내로 탐침을 삽입하여 삽입부의 바로 위쪽을 결찰함으로써 중대뇌동맥의 기저부를 폐쇄하였다.
수술 부위를 봉합하여 마취가 깰 때까지 단독 사육 상자에 두었다. 30분 후 꼬리의 움직임으로 신경학적 결손을 관찰하여 실험하였다. 120분 동안 중대뇌동맥을 폐쇄한 후 탐침 끝에 연결된 실을 1cm 정도 밖으로 뽑아 재순환시켰다.
다음의 표 6은 앞다리의 신경학적 결손정도를 조사한 결과로서 반불완전 마비증상을 관찰하여 마비의 정도를 0, 1, 2, 3, 4등급으로 나누어 점수화하였다.
중대뇌동맥 폐쇄수술 저산소증 재순환
대조군 2.81±0.21 2.77±0.23 2.73±0.52
실시예 1 1.78±0.35 2.02±0.27 1.72±0.35
대조군의 경우 수술직후, 저산소증, 재순환 후의 등급은 각각 2.81±0.21, 2.77±0.23, 2.73±0.52이었으며, 실시예 1은 1.78±0.35, 2.02±0.27, 1.72±0.35로 등급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다음의 표 7은 뒷다리의 신경학적 결손정도를 조사한 결과로서 0, 1의 2등급으로 나누어 점수화하였다. 대조군에 비하여 발명에 따른 제제 투여군이 상당히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대뇌동맥 폐쇄수술 저산소증 재순환
대조군 0.51±0.43 0.24±0.26 0.61±0.42
실시예 1 0.10±0.33 0.01±0.21 0.02±0.33
본 발명에 따른 혈행개선용 한방 생약 제제는 혈행개선, 고지혈증 개선,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치료능 시험, 심장질환개선에 대한 치료능 시험, 뇌질환에 대한 치료능 시험, 고지혈증에 대한 치료능 시험을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약리학적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로부터 혈행개선 효과, 항고지혈 효과가 확인됨으로써 의약 또는 건강지향성 식품에 응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개발된 한방 생약 추출물의 소재를 이용하여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고령화 시대로 접어든 60대 이후의 노년층을 위한 맞춤형 건강지향성 실버푸드 제품 개발하고, 퇴행성 신체기능의 예방, 억제 등의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제품으로 활용하고,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부작용 없이 지속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 예방 중심의 헬쓰케어 산업에도 활용 가능하다.

Claims (5)

  1. 수질, 자충, 맹충, 오공, 전갈, 구인, 선퇴, 백반, 건칠피, 봉선자, 백작약, 삼칠근, 대황, 도인, 새싹보리, 노니, 하수오, 당귀, 침향 또는 목향, 인삼, 황기, 산수유, 산사, 구감초, 법미 및 용뇌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각 성분의 원료 함량은 수질 20~25 중량부, 자충 20~25 중량부, 맹충 20~25 중량부, 오공 15~20 중량부, 전갈 15~20 중량부, 구인 15~20 중량부, 선퇴 12~17 중량부, 백반 20~25 중량부, 건칠피 20~25 중량부, 봉선자 20~23 중량부, 백작약 13~18 중량부, 삼칠근 13~18 중량부, 대황 13~18 중량부, 도인 13~18 중량부, 새싹보리 15~25 중량부, 노니 12~17 중량부, 하수오 12~17 중량부, 당귀 12~17 중량부, 침향 또는 목향 12~17 중량부, 인삼 10~16 중량부, 황기 10~16 중량부, 산수유 10~16 중량부, 산사 8~15 중량부, 구감초 8~15 중량부, 법미 20~25 중량부 및 용뇌 8~10 중량부의 함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혈행 개선용 제제는
    a) 개별적으로 채취되어 전처리한 생약재를 혼합하여 자연 건조시키는 공정;
    b) 건조 처리된 각각의 생약재를 80~200 메쉬의 입도로 개별적으로 분쇄하는 공정;
    c) 분쇄된 생약재를 교반하에 70~80℃의 온도에서 2~10분 동안 초(炒)하거나 또는 100~105 ℃의 온도에서 2~10분 동안 증(烝)하여 처리하는 공정; 및
    d) 초(炒) 또는 증(烝)하여 처리한 생약재를 냉각하는 공정;
    e) 냉각된 생약재에 중량을 기준으로 10~25배수의 정제수를 가하여 0.5~0.6 기압 및 70~80℃ 의 온도에서 60 내지 72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공정;
    f) 상기 단계의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이물질을 걸러내는 공정;
    g) 이물질을 걸러내고 남은 고형분에 중량을 기준으로 10~25배수의 정제수를 가하여 0.8~0.9 기압 및 80~90℃의 온도에서 60 내지 72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는 공정;
    h) 상기 단계의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하여 이물질을 걸러내는 공정;
    i) 이물질을 거르고 얻어진 여액들을 50~65℃의 온도에서 -0.08 ~ -0.09 MPA의 감압하에서 4~8시간 동안 고형분의 brix가 40 이상이 되게 농축하는 공정:
    j)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농축물을 진공하에서 55~65℃의 온도에서 24 내지 48 시간 동안 저온에서 건조하는 공정; 및
    k)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건조물을 120~200메쉬로 분쇄하는 공정;에 의해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경구제, 환제, 정제, 캡슐제, 주사제, 파우치제, 드링크제 또는 음료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행개선용 제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뇌혈전증, 협심증, 중풍, 치매, 심계 항진 경련 및 통증, 뇌경색, 관상동맥증을 포함하는 질환을 예방 또는 개선하거나 또는 혈관경화 개선, 혈류 개선, 혈관 내피기능 개선, 말초 혈관 순환의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행개선용 제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혈관의 노화를 방지하거나, 피부를 탄력 있게 개선시키거나 기억력을 회복시키거나 또는 혈관의 변종을 사전에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KR1020180102309A 2018-08-29 2018-08-29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KR102127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309A KR102127706B1 (ko) 2018-08-29 2018-08-29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309A KR102127706B1 (ko) 2018-08-29 2018-08-29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245A true KR20200025245A (ko) 2020-03-10
KR102127706B1 KR102127706B1 (ko) 2020-06-29

Family

ID=69800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309A KR102127706B1 (ko) 2018-08-29 2018-08-29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86512A1 (en) 2020-09-14 2023-05-31 Advanced Protein Technologies Corp. Food composition for alleviating or treating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comprising 2'-fucosyllactos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196A (ko) * 2002-09-11 2004-03-18 백일성 진피, 적복령, 당귀, 조구등, 석창포, 창출, 백지,산조인, 숙지황, 산수유 및 원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치매치료의 의약 조성물
KR20050097614A (ko) * 2004-04-02 2005-10-10 김형환 대황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KR20070070292A (ko) * 2005-04-21 2007-07-04 일양약품주식회사 혈액순환 개선에 효과가 있는 동물생약 및 식물생약 조성물
KR20120028740A (ko) * 2010-09-15 2012-03-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뇌졸증 치료용 조성물
KR101158739B1 (ko) 2010-04-19 2012-06-22 주식회사 참선진 종합식품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
KR101259499B1 (ko) 2012-06-01 2013-05-06 (주)다인내추럴 인삼 지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 조성물
KR20150107902A (ko) * 2010-08-06 2015-09-23 타슬리 파마슈티컬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관상 동맥성 심장병의 2차 예방을 위한 약의 조제에 있어서 단삼 조성물의 용도
KR101558524B1 (ko) 2014-03-10 2015-10-1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버섯 및 단삼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색전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196A (ko) * 2002-09-11 2004-03-18 백일성 진피, 적복령, 당귀, 조구등, 석창포, 창출, 백지,산조인, 숙지황, 산수유 및 원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치매치료의 의약 조성물
KR20050097614A (ko) * 2004-04-02 2005-10-10 김형환 대황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제
KR20070070292A (ko) * 2005-04-21 2007-07-04 일양약품주식회사 혈액순환 개선에 효과가 있는 동물생약 및 식물생약 조성물
KR101158739B1 (ko) 2010-04-19 2012-06-22 주식회사 참선진 종합식품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혈행개선용 한방 녹즙
KR20150107902A (ko) * 2010-08-06 2015-09-23 타슬리 파마슈티컬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관상 동맥성 심장병의 2차 예방을 위한 약의 조제에 있어서 단삼 조성물의 용도
KR20120028740A (ko) * 2010-09-15 2012-03-23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뇌졸증 치료용 조성물
KR101259499B1 (ko) 2012-06-01 2013-05-06 (주)다인내추럴 인삼 지용성 성분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 조성물
KR101558524B1 (ko) 2014-03-10 2015-10-12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황버섯 및 단삼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색전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706B1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326B1 (ko) 함초, 민들레, 생강나무 등 125가지의 원재료를 생물의 물성에 따라 CO2(또는 N2) Carrier Gas를 이용하여 추출농축, 설탕 절임 후 추출 및 Microwave와 Filter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들을 혼합숙성하여 제조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090284B1 (ko)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 및 그의 제조방법
CN104855738A (zh) 一种猪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855821B1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및 혈액순환 증진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CN104397431A (zh) 一种用于治疗牛尿路结石的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652360B (zh) 用于治疗猪副伤寒的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30104692A (ko) 산사육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N101715851A (zh) 一种减肥茶及其生产制作工艺
KR20130105003A (ko)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749821B (zh) 一种提高免疫力的绞股蓝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102243873B1 (ko) 조기치매 완화 및 예방용 발효안심침향단 및 그 제조방법
KR102049208B1 (ko) 여드름 완화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4326A (ko)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27706B1 (ko)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KR100948281B1 (ko) 식물생약제를 이용한 추출물로된 다이어트용 식품의 제조방법
KR101999675B1 (ko) 관상동맥성 심장질환의 예방과 치료용 생약조성물
CN105663926A (zh) 一种降尿酸植物酵素及其制备方法
KR20160147424A (ko) 와송 추출물이 포함된 효소조성물
KR101934810B1 (ko)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KR101023487B1 (ko) 오미자, 황금 및 해동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7812115A (zh) 一种治疗糖尿病的中药组合物
KR102127726B1 (ko)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KR100522176B1 (ko) 남성 성기능 개선 조성물
CN105617268A (zh) 一种治疗鳞屑角化型脚气的药物
CN104623304A (zh) 一种治疗湿热毒蕴型慢性皮肤溃疡的洗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