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954B1 -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954B1
KR102149954B1 KR1020200063985A KR20200063985A KR102149954B1 KR 102149954 B1 KR102149954 B1 KR 102149954B1 KR 1020200063985 A KR1020200063985 A KR 1020200063985A KR 20200063985 A KR20200063985 A KR 20200063985A KR 102149954 B1 KR102149954 B1 KR 102149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extract
p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중
정호갑
Original Assignee
김홍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중 filed Critical 김홍중
Priority to KR1020200063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02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inanimat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04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토르말린과 다양한 천연물 성분들을 이용하여 각각의 성분이 갖는 유용한 기능성과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각 성분들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고 적절한 배합비에 의해 배합하여 최적화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통증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토르마린과 약초의 결합으로 염증발생 부위 및 통증 부위 등을 완화시켜 스트레스를 해소하여 보다 나은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에센스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lleviating pains comprising tormaline and mixed natural herb extracts}
본 발명은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토르말린과 다양한 천연물 성분들을 이용하여 각각의 성분이 갖는 유용한 기능성과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각 성분들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고 적절한 배합비에 의해 배합하여 최적화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통증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만성 병변 또는 퇴행 과정과 관련하여 통증이 유발되며, 이러한 통증과 관련된 전형적인 병변으로 루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섬유근통(Fibromyalgia), 신경장애(neuropathies)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만성 통증은 신체를 점점 쇠약하게 하고, 활동능력을 상실시키는 등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이러한 통증치료를 위해 항염제나 진통제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약제들을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작용이나 약제의 내성으로 인해 복용량을 늘려야 하는 문제점 등이 발생된다.
따라서, 안전하면서도 통증완화 개선 효능이 우수한 천연식물 유래의 물질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으며, 부작용을 유발하는 합성 물질보다는 전통적으로 입증된 천연 물질들을 대상으로 통증 완화에 도움되는 제제를 개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한국 등록번호 제10-1584279호(2016년01월05일) 한국 공개번호 제10-2020-0043270호(2020년04월27일)
본 발명자는 천연물에 대한 오랜 경험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천연물을 대상으로 기능성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천연물 약재 성분들을 이용하여 각각의 성분이 갖는 유용한 기능성과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각 성분들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고 적절한 배합비에 의해 배합하여 최적화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제제가 부작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통증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르말린과 다양한 천연물 약재 성분들을 이용하여 각각의 성분이 갖는 유용한 기능성과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각 성분들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고 적절한 배합비에 의해 배합하여 최적화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 조성물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토르말린 분말 9~11 중량부, 식이유황 분말 7~9 중량부, 감초 추출물 0.4~0.6 중량부, 쇠비름 추출물 0.7~0.9 중량부, 울금 추출물 0.9~1.1 중량부, 박하뇌 분말 2.5~3.5 중량부, 붉나무 추출물 0.9~1.1 중량부, 위령선 추출물 1.3~1.7 중량부, 탱자 추출물 1.0~1.4 중량부, 어성초 추출물 1.2~1.4 중량부, 자소엽 추출물 1.2~1.4 중량부, 녹차 추출물 0.4~0.6 중량부, 레시틴 2.3~2.7 중량부, 올리브 오일 4.5~5.5 중량부, 식물성 에탄올 8~12 중량부 및 잔량의 정제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토르마린과 약초의 결합으로 염증발생 부위 및 통증 부위 등을 완화시켜 스트레스를 해소하여 보다 나은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에센스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통증 완화용 조성물의 제조 공정도.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토르말린 분말 9~11 중량부, 식이유황 분말 7~9 중량부, 감초 추출물 0.4~0.6 중량부, 쇠비름 추출물 0.7~0.9 중량부, 울금 추출물 0.9~1.1 중량부, 박하뇌 분말 2.5~3.5 중량부, 붉나무 추출물 0.9~1.1 중량부, 위령선 추출물 1.3~1.7 중량부, 탱자 추출물 1.0~1.4 중량부, 어성초 추출물 1.2~1.4 중량부, 자소엽 추출물 1.2~1.4 중량부, 녹차 추출물 0.4~0.6 중량부, 레시틴 2.3~2.7 중량부, 올리브 오일 4.5~5.5 중량부, 식물성 에탄올 8~12 중량부 및 잔량의 정제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통증은 근육통, 요통, 또는 관절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프레이 제품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복합 천연물은
a1) 식물성 재료를 추출기에 넣고 중량을 기준으로 10~ 25 배수의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첨가한 후 0.5~0.6 기압 및 70℃~95℃의 중온에서 6시간~72시간 동안 우려내어 추출하는 단계 및
a2)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복합 천연물을 이용하여 부작용이 적고 통증 완화의 기능성을 갖는 제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양한 복합 천연물 성분들과 이들의 조합비, 각 성분들의 효율적인 추출 조건 등을 최적화한 것에 주된 특징이 있으며,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조성비는 각각의 성분이 갖는 유효 용량과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오랜 연구 결과에 의해 설정한 것이며, 그 비율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타성분과의 바람직한 상승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여 효과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이하, 각 개별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토르말린(tourmaline, 전기석)은 붕소를 함유하는 규산염광물로서, 수분과 접촉하면 순간적으로 전기분해되어 1cc당 약 2000개 정도의 다량의 음이온을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토르말린은 이러한 다량의 음이온 뿐 아니라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특징이 있으며, 생체구성 물질인 나트륨, 마그네슘 등의 양이온 및 규소, 붕소, 마그네슘, 철 등의 미네랄을 풍부하게 함유한다. 따라서, 토르말린을 생체에 적용하는 경우 세포를 따뜻하게 하고 혈행을 개선하여 세포를 활성화시키므로, 세포 재생, 혈액 정화, 면역력 증진, 자율신경 조정 등의 여러 생체 유효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토르마린은 500 ~ 2,000 메쉬의 분말 형태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식이유황(MSM, Methyl Sulfonyl Methane)은 34%의 황을 함유하는 dimethyl-sulfoxide(DMSO)의 산화대사 산물로서, 자연적 유기 형태의 생체이용이 가능한 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유황을 피부염 처방제로 사용하여왔으며, 중국 고의서에는 유황과 명반(明礬), 마늘, 노감석, 산화 아연, 식초 등을 적당한 배율로 섞어 환부에 바르면 버짐이 낫는다는 처방전이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유황을 피부에 바르면 유기물과 작용하여 펜타티온산(HO-SO2-S3-SO2-OH)이 형성되며, 이 물질이 피부 각질을 용해시켜 살충, 살균 작용을 한다. 따라서 유황은 무독의 유황 원소의 공급제로서 염증을 삭히고, 살균력이 강하여 피부염에 좋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 식이유황은 500 ~ 2,000 메쉬의 분말 형태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감초는 콩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목질로 덩굴져 있는 땅속 줄기와 땅속 깊이 길게 뻗어 있는 뿌리를 갖고 있다. 이용 부위는 3년된 뿌리와 땅속의 줄기이며 약성은 보통이고 맛은 단 것이 특징이다. 또한, 감초는 의약품과 담배 및 식료품으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거담, 변통, 경련 진정, 항알레르기, 항균, 항바이러스, 담즙 촉진, 해열, 진해, 근육 완화, 간 보호 및 항암작용 등의 활성이 있고 일반 감기, 기침, 기관지염,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 관절염, 발진, 간염, 간 및 신장경변증, 생리통, 에디슨씨병(부신 피질 분비 부전증), 습진 및 단순포진, 콜레스테롤, 트리코모나스 감염, 약이나 음식 중독, 피로, 해열, 심계 항진 등의 여러 가지 질병에 효과가 있음은 물론 다른 약품 조제시 맛을 내기 위해 많이 쓰이기 때문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약초 중의 하나이다.
쇠비름은 한해살이풀로서 오행초, 마치채, 산산채, 장명채, 돼지풀, 도둑풀, 말비름이라고도 불리며, 전국의 낮은 산과 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용 가능한 다육질의 식물이다.
쇠비름은 탄닌(Tannin), 사포닌(Saponin), 베타카로틴(β-Carotene), 칼륨, 칼슘, 인, 철분, 알칼로이드(Alkaloid), 쿠마린(Coumarin),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및 오메가-3 지방산(Omega-3 Fatty Acid)을 함유하여, 각종 질병의 원인인 독소 제거, 살균, 살충 및 억균작용을 하며, 이뇨작용이 뛰어나 신진 대사를 원활하게 하고 항암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 오메가-3 지방산 성분은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을 몸 밖으로 배출하여 혈압을 낮추는 역할을 하며, 부정맥, 관상동맥경화증, 고혈압, 당뇨병, 암, 관절염, 혈소판 감소증이나 다발성 경화증 같은 면역 질병, 대장염, 마른 버짐이나 종기와 같은 피부병에 대한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오메가-3 지방산 성분은 신경세포막과 망막에 분포하고 세포막에서 전기적인 자극을 빠른 속도로 다음 세포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스트레스, 우울증, 정신분열증,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시력저하, 심장질병 및 치매 예방 효과를 가진다.
울금은 생강목 생강과의 한해살이 풀인 강황(姜黃/薑黃, Curcuma longa Linne)의 덩이뿌리를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하고 쪄서 말린 것을 말하며 생김새는 잎은 파초나 칸나처럼 긴 타원형이며 두 줄기로 뻗어 다자란 높이가 1~15 m 가량이고 뿌리는 생강과 같으며 늦여름에 꽃이 핀다.
울금은 본초강목과 동의보감 등의 고서에서 '울금은 간장의 해독을 촉하고 담즙분비 및 이혈 작용이 뛰어나다'고 기록되어 있다. 특히, 그 주요성분 중 디케톤 화합물인 커큐민(curcumin)은 항암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종양, 항산화, 항아밀로이드 및 항염증 등의 작용이 있다. 또한, 커큐민은 산화에 의한 DNA 손상과 산화를 억제하고, 항산화 작용과 자유 라디칼의 청소부 역할을 한다. 그리고 커큐민이 알츠하이머 발병의 원인으로 꼽히는 뇌내 플라크의 생성을 억제하고, 이미 생성된 플라크는 파괴하는 효능을 지니고 있음이 확인된 바 있다.
박하뇌(멘톨)는 박하의 주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박하는 전통적인 동양의학에 의하면 청량작용, 해경(spasolysio) 효과가 있고, 산열, 해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혈관 중추에 작용, 혈관 이완 효과를 나타내어 혈행순환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효능은 박하의 주성분인 멘톨 때문인 것으로알려져 있으며, 멘톨 특유의 강한 향 및 자극을 통해 혈행 순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붉나무(Rhus chinensis)는 무환자나무목 옻나무과의 납역관목으로, 뿔나무 또는 염부목이라고도 한다. 옻나무에 속하지만, 다른 옻나무와 달리 독성이 없다. 굵은 가지는 드문드문 나오며 작은 가지에는 노란빛을 띤 갈색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7 내지 13개의 작은 잎으로 된 깃꼴겹잎이며, 작은 잎은 달걀모양으로 굵은 톱니가 있고 뒷면에는 갈색 털이 있다. 꽃은 2가화로 줄기 끝 잎겨드랑이에서 원추꽃차례가 나와 달리고 노란빛을 띈 흰색이며 꽃이삭에 털이 있다. 열매는 편구형 핵과로서 노란빛을 띤 붉은색이며, 노란빛을 띤 갈색의 털로 덮이고 10월에 익는데 열매의 겉에는 흰색의 물질이 소금처럼 생긴다.
위령선(威靈仙, Radix Clematidis)은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에 속하는 다년생 낙엽성 식물인 으아리(Clematis mandshurica MAXIM, Clematis mandshurica RUPR), 외대으아리(고칫대꽃)(Clematis brachyura MAXIM), 참으아리(Clematis paniculate THUNB), 철선련(Clematis florida THUNB), 큰꽃으아리(Clematispatens MORREN) 및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 및 뿌리 줄기를 건조한 것으로, 중국에서는 위령선(Clematischinensis OSBECK)와 좁은입사위질빵(Clematis hexapetala PALL)을 함께 기원으로 한다. 이러한 위령선은 진통작용, 항말라리아작용, 항균작용, 유산작용, 담즙분비촉진작용, 평활근 이완작용, 항이뇨작용, 강심 및 혈압 강하작용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Chinese Materia Medica, Chemistry, Pharmacology and Applications, You-Ping Zhu, 1998]
탱자는 탱자나무 열매로 겉은 녹색, 속은 백색을 띠며 독특한 향기를 가진다. 탱자가 덜 익었을 때 두세 조각으로 잘라서 말린 것을 지실(枳實)이라 하고, 껍질만 말린 것을 지각(枳殼)이라 하며 한방에서 약재로 이용한다. 지실은 습진 치료제로 쓰고, 지각은 설사 치료제와 관장에 사용한다. 이밖에 건위제나 소화불량·자궁하수·내장이완 등에도 사용한다. 꽃에는 리모넨(limonen)·리나룰(linalool) 등의 정유가 함유되어 있고, 열매에는 나린긴(naringin)·폰시린(poncirin) 등의 정유가 들어 있다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삼백초과 (Sauru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써, 잎과 줄기에서 '생선비린내'가 난다하여 어성초 (漁腥草)라 불리게 되었다. 중국에서는 어성초가 민간약재로서 보다는 한방약재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폐형초 (肺形草), 호두초 (好頭草) 및 구자이 (拘子耳)라고도 한다. 본초강목에 따르면 어성초는 사열, 해독, 이뇨, 화농, 해독, 소염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임상에서 백일해, 기관지염, 폐렴, 편도선염 등에 응용되고 있고, 한방에서는 만성 피부질환, 이뇨, 소염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주요 성분으로는 쿼세틴 (quercitrin)이 함유되어 있고, 근래 연구에 의해 어성초 추출물의 혈압강하작용과 혈당강하작용, 항균작용, 항바이러스작용, 항염증작용 및 항 알레르기성 작용, 항산화 작용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
자소엽(Perilla frutescens var acuta)은 꿀풀과에 속하는 초본식물로 높이는 30 ~60㎝이며 적소, 차조기 및 주름 차조기 등으로 불린다. 한국, 중국 등에서 생산되며 식용이나 약용으로 사용된다. 자소엽은 자색을 띠고 특이한 향미가 있으며 줄기는 모가 난 모양으로 곧고, 잎은 밑이 둥글거나 쐐기 모양이며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꽃은 담자색으로 8 ~ 9월경에 총상화서로 피고, 입과 줄기등의 형태는 들깨와 비슷하다. 주요성분으로는 페릴라 알데히드(perilla aldehyde), 리모넨(d-limonene), α-피넨(α-pinene), 시아닌(cyanin), 스테린(sterin), 멘톨(menthol), 로즈마리 산(rosmarinic acid), 루테올린(luteolin) 등이 알려져 있고, 육류나 생선에 참가하여 섭취할 경우 식중독을 예방하고 강한 항균력을 가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녹차(Green-tea, Camellia teaceac)는 커피, 코코아 및 홍차와 함께 카페인(caffeine)을 함유한 비알콜성 기호음료로서 예로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음용하여 온 기호음료 중의 하나이다. 녹차는 비타민과 무기질의 영양소를 공급하는 기능, 맛과 향 등의 기호를 충족시키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체 건조녹차 잎 100 mg 중에 카로틴(carotene)이 13 mg, 비타민 E가 654 mg, 그리고 식이섬유가 106 mg 등이 함유되어 있고, Ca, Fe 및 K 등 무기질도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들 녹차 중 떫은맛의 주성분은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인 카테킨(catechin)인데, 카테킨은 그 유도체에 따라 에피카테킨(Epicatechin),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카테킨(Catethin)은 함량이 건조 녹차의 8~20% 정도에 달하며, 수용성으로 물과 함께 끓이면 수중으로 용출된다. 녹차의 쓴맛은 주로 각성작용, 이뇨작용, 피로회복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카페인에 의한 것이며, 특유의 독특한 맛을 내는 성분은 티아닌(theanine) 성분으로서 이중 글루탐산(glutamic acid)의 에틸아마이드(ethylamide)가 약 절반을 차지하고 이외에 20여 종류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
한편, 녹차에는 여러가지 생리활성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특히 카테킨류는 혈중의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킴으로서 혈전의 생성억제 및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과산화지질의 생성을 억제하고 지방산화를 방지하는 기능성이 있음이 밝혀져 천연 항산화제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또한, 녹차는 노화방지와 더불어 암의 증식을 억제하고 발암억제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독소를 무력화하는 항독소 작용이 있어 식중독을 방지하는 효과도 알려져 있다. 특히, 녹차에 함유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가 주효능 물질임이 밝혀졌고, 비타민 E보다 25배, 비타민 C보다 100배 이상의 항산화 활성이 강하여 수산식품의 지질산화 방지나 보존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중금속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음이 입증된 바 있다.
레시틴(Lecithin)은 난황(Lekithos)에서 분리한 인지질의 핵심 성분으로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이라고도 한다.
상기 레시틴은 인체내 생체막의 구성 성분으로 투과성, 유화성 등 생체막의 성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생명 현상과 관련이 있다. 또한, 상기 레시틴은 계면 활성을 저하시키고 생체내에서 혈중 콜레스테롤의 양을 줄여 심근경색 예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레시틴은 비타민A, 비타민E와 같은 지용성 물질의 흡수 촉진과 노화를 예방한다.
올리브 오일은 올레인산이 풍부하여 아토피예방 피부 노화방지, 관절건강, 혈액순환 개선에 도움을 주며 염증부위, 통증 완화, 노화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계면활성제로도 사용된다.
에탄올은 염증의 해소에 도움이 되는 성분으로써 식물성 에탄올 또는 곡물 발효 알코올을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통증 완화용 조성물의 제조 공정도이다. 상기 언급한 식물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추출할 수 있다.
먼저, a1) 단계에서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등 전처리된 식물성 재료를 추출기에 넣고 중량을 기준으로 10~25 배수의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첨가한 후 0.5~0.6 기압 및 70℃~95℃의 중온에서 6시간~72시간 동안 우려내어 추출한다.
상기 유기용매는 주정,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용매의 양은 용매 사용량 표준화를 위한 실험 결과 10~25배수로 추출했을 때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에너지효율 및 경제성을 비교하였을 때 용매는 10배수로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좀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추출 압력은 0.5~0.6 기압의 조건에서 수행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중온 추출 조건을 벗어나게 되면 유효 성분의 함량이 낮아질 우려가 있다.
그 다음, a2) 여과 단계에서는 예를 들면, 여과막, 종이 여과지, 부직포 또는 면 등을 이용하여 고형의 이물질과 입자를 걸러 내거나 한외여과법, 냉동여과법, 원심분리법 등을 사용하여 여과할 수 있다. 또한, 거즈를 이용하여 1차로 여과한 다음, 와트만 페이퍼를 이용하여 2차 여과하는 방식으로 여과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복합 천연물과 미리 분쇄 등의 절차를 통해 가공한 토르말린 분말 및 오일 등을 상기한 바와 같이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복합 천연물 원액을 제조한 후 필요에 따라 착색제, 향료, 보존제 등의 첨가물을 첨가하고 이를 적절하게 희석하여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복합 천연물 원액은 필요에 따라서 자외선 조사 등의 방법에 의해 멸균처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증 완화용 조성물은 토르마린추출물과 복합 천연물의 추출물과의 배합에 의해 근육통, 타박상, 어깨 통증, 허리 통증, 요통, 관절통, 수술후 통증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의약외품으로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스프레이 형태로 뿌릴 수 있는 신개념의 기능성 에센스 조성물로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외에도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세포재생을 도와주며 통증완화 항염, 항균, 피부진정, 피부보습 등의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의약 외품, 특히 스프레이 제품 등으로 사용 목적에 딸 제제화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복합 천연물 조성물의 제조
시중에서 구입한 각각의 복합 천연물을 토르말린 분말 1 Kg, 식이유황 분말 800g, 감초 추출물 50g, 쇠비름 추출물 80g, 울금 추출물 100g, 박하뇌 분말 300g, 붉나무 추출물 100g, 위령선 추출물 150g, 탱자 추출물 120g, 어성초 추출물 130g, 자소엽 추출물 130g, 녹차 추출물 50g, 레시틴 250g, 올리브 오일 500g, 식물성 에탄올 100g 및 잔량의 정제수(합계 10 Kg)를 혼합하여 복합 천연물 조성물을 원액으로 얻었다.
상기 각 추출물은 식물성 재료를 추출기에 넣고 중량을 기준으로 20 배수의 물을 첨가한 후 0.6 기압 및 75℃의 중온에서 8시간 동안 우려내어 추출한 후 얻어진 추출물로 부터 이물질을 여과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스프레이 제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복합 천연물 조성물을 증류수를 사용하여 10배 희석한 후 소량의 분산제를 첨가한 후 스프레이 용기에 200ml 씩 분주하여 스프레이 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급성 독성 시험
실시예 1에 따른 복합 천연물 조성물에 대한 독성 실험을 수행하고 그 독성유무를 관찰하였다. 실험용동물은 4, 5주령의 체중 105±4g의 수컷과 95±3g의 암컷의 SD계 래트 60마리를 사용하였고 본 발명의 제제와 음성대조군으로서 증류수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먼저, 상기 래트들을 온도 22±2℃, 상대습도 53±2% 및 형광등 조명(09:00 점등-18:00 소등)의 명암사이클, 150-300 Lux의 조도 조건을 갖춘 실험실 사육 상자에서 약 1주일 정도의 기간에 걸쳐 순화시킨 다음, 건강한 동물들만을 선택하여 평균 체중이 일치하도록 각 군으로 나누고 일일 1회 20ml/kg의 양으로 14일 동안 강제 경구투여한 다음, 일반상태의 변화, 중독증상, 운동성, 외관, 자율신경, 체중변화 및 사망동물의 유무에 관하여 점검하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실험기간 동안 체중에 있어서 5% 이내의 변화를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고, 시료의 양을 시험동물에 투여가능한 최대량인 kg당 20ml의 최고 농도를 선정하였음에도 사망동물이 관찰되지 않아 개략의 치사량 산출은 불가하였으므로 LD50은 20ml/kg B.W.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고, 특이한 일반증상이나 부검시 특이한 병변이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이를 종합적으로 판단해보면 상기 제제는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4: 통증 완화 시험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스프레이 제품에 대하여, 손가락, 손목, 종아리, 허리, 어깨 및 무릅 관절에 대한 만성 통증을 가진 관능검사요원 50명을 선정하여 관능 시험을 수행하였다. 통증 개선 정도에 대한 결과의 평가 척도는 7점 척도법(7점: 아주 좋다, 6점: 좋다. 5점: 조금 좋다, 4점: 보통이다, 3점: 조금 나쁘다, 2점: 나쁘다, 1점: 아주 나쁘다)으로 하였다.
관능검사 항목으로는 감칠 맛, 향, 색상 및 전체적인 기호도와 같은 총 4가지 관능항목으로 평가하였으며, 결과는 ANOVA를 이용하여 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각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평균값±표준 편차)에 나타내었다. 비교 제품으로는 시중에서 구입한 것을 사용하였다.
항목 실시예 2 비교예
통증 완화 정도 6.12±0.21 4.26±0.25
적용후의 상쾌함 5.43±0.31 4.28±0.34
전체적인 개선도 5.72±0.35 4.27±0.32
그 결과 실시예 2의 제품은 통증의 개선에 있어서 상당히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표 1의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품은 연령대에 상관 없이 비교품에 비하여 종합적으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통증 완화용 조성물은 다양한 종류의 통증 완화 효과가 확인됨으로써 통증을 개선시키기 위한 의약품 또는 의약외품으로 제공하여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제품으로 활용하고, 스트레스의 억제 등 2차 질환의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부작용 없이 지속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 예방 중심의 헬쓰케어 산업에도 활용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1. 전체 조성물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토르말린 분말 9~11 중량부, 식이유황 분말 7~9 중량부, 감초 추출물 0.4~0.6 중량부, 쇠비름 추출물 0.7~0.9 중량부, 울금 추출물 0.9~1.1 중량부, 박하뇌 분말 2.5~3.5 중량부, 붉나무 추출물 0.9~1.1 중량부, 위령선 추출물 1.3~1.7 중량부, 탱자 추출물 1.0~1.4 중량부, 어성초 추출물 1.2~1.4 중량부, 자소엽 추출물 1.2~1.4 중량부, 녹차 추출물 0.4~0.6 중량부, 레시틴 2.3~2.7 중량부, 올리브 오일 4.5~5.5 중량부, 식물성 에탄올 8~12 중량부 및 잔량의 정제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증은 근육통, 요통, 또는 관절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프레이 제품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 천연물은
    a1) 식물성 재료를 추출기에 넣고 중량을 기준으로 10~ 25 배수의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첨가한 후 0.5~0.6 기압 및 70℃~95℃의 중온에서 6시간~72시간 동안 우려내어 추출하는 단계 및
    a2)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에 의해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
KR1020200063985A 2020-05-28 2020-05-28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 KR102149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985A KR102149954B1 (ko) 2020-05-28 2020-05-28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985A KR102149954B1 (ko) 2020-05-28 2020-05-28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954B1 true KR102149954B1 (ko) 2020-09-01

Family

ID=72450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985A KR102149954B1 (ko) 2020-05-28 2020-05-28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95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22161A (zh) * 2006-10-13 2009-09-02 昭和电工株式会社 包含泛醌衍生物或其盐的皮肤外用剂和化妆剂及它们的使用方法
KR20090115609A (ko) * 2008-05-02 2009-11-05 (주)아모레퍼시픽 포제를 활용한 약용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30139695A (ko) * 2012-06-13 2013-12-23 김유리 벌레 물린데, 피부 가려움 및 근육통 개선용 천연한방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84279B1 (ko) 2014-06-18 2016-01-12 한국식품연구원 감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70333346A1 (en) * 2015-06-19 2017-11-23 Global Health Solutions Llc Petrolatum-based delivery systems and for active ingredients
KR20200004098A (ko) * 2018-07-03 2020-01-13 김상헌 비타민나무가 첨가된 칼국수 면발의 제조 방법
KR20200043270A (ko) 2018-10-17 2020-04-27 최규동 통증완화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통증완화조성물을 이용한 통증완화팩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22161A (zh) * 2006-10-13 2009-09-02 昭和电工株式会社 包含泛醌衍生物或其盐的皮肤外用剂和化妆剂及它们的使用方法
KR20090115609A (ko) * 2008-05-02 2009-11-05 (주)아모레퍼시픽 포제를 활용한 약용식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30139695A (ko) * 2012-06-13 2013-12-23 김유리 벌레 물린데, 피부 가려움 및 근육통 개선용 천연한방 복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84279B1 (ko) 2014-06-18 2016-01-12 한국식품연구원 감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70333346A1 (en) * 2015-06-19 2017-11-23 Global Health Solutions Llc Petrolatum-based delivery systems and for active ingredients
KR20200004098A (ko) * 2018-07-03 2020-01-13 김상헌 비타민나무가 첨가된 칼국수 면발의 제조 방법
KR20200043270A (ko) 2018-10-17 2020-04-27 최규동 통증완화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통증완화조성물을 이용한 통증완화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532B1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afique et al. Biological attributes of lemon: a review
KR101640591B1 (ko) 천연식물추출액이 함유된 발효커피 및 그 제조방법
KR101541516B1 (ko) 누에와 뽕나무잎과 상지(桑枝)를 주원료로한 이온미네랄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160087114A (ko) 꽃을 이용한 식품첨가제
KR101751211B1 (ko)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ozak et al. Health properties of selected herbal plants
KR101140322B1 (ko) 홍삼, 당귀, 천궁, 황기, 대추, 백출, 작약, 감초, 계피 및 숙지황으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26737B1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틱 및 우울증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61356B1 (ko)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13815B1 (ko) 엄나무와 헛개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
KR20090047638A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기능성 쌈두부 또는 전두부
CN103749826A (zh) 一种黄金火麻养生茶
KR102149954B1 (ko)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통증완화용 조성물
KR102256711B1 (ko) 토르말린과 복합 천연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KR101476092B1 (ko) 숙취 해소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53576B1 (ko) 항암 기능성 음료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738206B1 (ko) 지실 및 육계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6212783A (zh) 有机茶叶葛藤叶薯叶配方红茶
KR20160123552A (ko)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192853B1 (ko) 민들레 추출액 및 홍삼 추출액을 포함하는 액상 음료의 제조방법
KR101490793B1 (ko) 차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차 조성물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871452B1 (ko) 연 성분이 함유된 천년초 음료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