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741B1 - 자동차의 일부분에 대한 지지 요소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일부분에 대한 지지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741B1
KR101156741B1 KR1020067026801A KR20067026801A KR101156741B1 KR 101156741 B1 KR101156741 B1 KR 101156741B1 KR 1020067026801 A KR1020067026801 A KR 1020067026801A KR 20067026801 A KR20067026801 A KR 20067026801A KR 101156741 B1 KR101156741 B1 KR 101156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er
web
support element
impact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2704A (ko
Inventor
로랑 흐네 펠릭스 마르뗑
이봉 떼뛰
도미니끄 자놀렝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이노쁠라스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이노쁠라스뜨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070052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2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3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deformable body panel, bodywork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 Apparatuse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일부분에 대해 지지부를 형성하는 요소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요소에는 상기 일부분의 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기가 제공되며, 하부영역(7)과, 서로 마주하는 식으로 휘어진 제1 및 제2스트러트(8, 9)와, 상기 제1 및 제2 스트러트(8, 9)에 의해 하부영역(7)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영역(10, 11)과, 하부 영역(7)을 상부 영역(10, 11)에 연결시키고 제1 및 제2 스트러트(8, 9)를 서로 연결시키는 플랩(12)을 포함하고, 충격이 미치는 경우 플랩(12)에 굽힘 또는 파괴를 일으키는 굽힘 영역(22)와 충격 하에서 파괴를 일으키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23)을 포함한다.
충격 댐퍼, 라이저, 파괴 영역, 굽힘 영역

Description

자동차의 일부분에 대한 지지 요소{ELEMENT FORMING A SUPPORT FOR A PART OF A MOT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일부분에 대해 지지부를 형성하는 요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전진하는 자동차가 보행자의 다리와 충돌할 때, 보행자의 머리는 자동차 전방 펜더 중 하나의 상부 또는 후드에 대해 내팽개쳐진다.
보행자와 자동차 사이에서 발생하는 사고로부터 초래되는 부상의 수와 심각한 정도를 줄이기 위해서, 자동차의 전방 펜더들 중 한 펜더 및/또는 후드에서의 하방 충격을 감쇠시키도록 여러 해결책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한 해결책은 문서 EP-A-1 138 579에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문서의 도 38 내지 도 41은 고정 베이스와 전방 펜더의 나머지 부분에 이 베이스를 연결시키는 상부 림을 포함하는 자동차 전방 펜더의 일부를 보여준다. 이러한 림은 세 개의 연속하는 휘어진 벽, 즉 후방벽, 중간벽, 전방벽으로 된 다수의 동일한 그룹과 함께, 기울어지고 불연속적인 벽을 포함한다. 기울어진 벽은 전방 펜더의 상부 림을 따라 분포되어 있는 그룹과 연결될 때 방해된다. 각 그룹에서, 전방벽과 후방벽은 수직 슬롯에 의해 관통되어 있는 중간벽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하방으로의 충격이 발생하면, 경사벽은 기울어지고, 반면에 전방 엣지 및 후방 엣지가 서로에 대해 이동하기 때문에 각 그룹의 세 벽은 굽힘부에서 접히고, 각 그룹의 중간벽에서 관통된 수직 슬롯은 닫힌다. 그룹의 중간 벽의 파손은 없지만, 탄성적으로 변형되게 된다. 사람이 전방 펜더에 앉아서 정적인 하중을 가할 때, 즉 충돌과 비교할 때 실질적으로 일정한 힘을 가할 때, 경사벽과 연속하는 그룹은 충돌시와 동일하게 변형되지만, 그 정도는 덜하다. 즉, 상기 언급한 해결책에서 댐퍼 수단의 작용은 선형이며, 전방 펜더 및/또는 후드가 하방으로의 충격에 영향을 받거나 정적인 하중에 영향을 받는 경우와 다르지 않다. 이러한 정적인 부하로부터 초래되는 변형이 미리정해진 임계값 이하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이 없을 때 자동차 차체의 전방부분의 상부에 가해지는 하방 충격을 감쇠시키기는 댐퍼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일부분에 대한 지지부를 형성하는 요소를 제공하며, 상기 요소는 단일품으로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충격 댐퍼를 포함하며,
● 바닥부와;
● 각각 바닥부로부터 올라오고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접힘 또는 파열을 일으키는 굽힘부를 포함하는 제1라이저 및 제2라이저와;
● 상기 라이저가 바닥부와 연결시키는 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 댐퍼는 충격의 효과 아래에서 파괴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괴 영역과 충격의 효과 아래에서 웨브의 접힘 또는 파괴가 일어나기 시작하는 굽힘 영역을 구비하고 바닥부를 상부에 연결시키며 또한 제1라이저와 제2라이저를 서로 연결시키는 웨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점이 이점이 된다:
● 각각의 라이저의 굽힘부는 다른 라이저 쪽으로 향하는 오목부를 구비한다;
● 상기 웨브는 라이저의 부분들이 서로 멀어짐으로써 끌어당기는 응력을 받는 경우 파괴되기에 알맞다.
● 상기 파괴 영역은 웨브 중 두께가 얇은 영역이고, 파괴 영역의 일부 부분은 파괴 영역의 나머지 부분 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가진다.
● 상기 웨브의 굽힘 영역은 제1라이저의 굽힘부를 제2라이저의 굽힘부에 연결시킨다.
● 상기 웨브의 파괴 영역은 가장자리 영역이고, 그로 인해 웨브는 충격 댐퍼의 바닥부 및 상부에 연결되고 제1라이저 및 제2라이저에 연결된다.
● 상기 웨브의 접힘 또는 파괴를 일으키기 시작하는 굽힘 영역은 연약한 영역이다.
● 적어도 상기 연약한 영역은 웨브 중 두께가 얇은 영역이다.
● 상기 웨브는 구멍을 포함하지 않고, 충격 댐퍼의 제1라이저와 제2라이저 및 바닥부와 상부 사이의 통로를 완전히 차단한다.
● 상기 제1라이저 및 제2라이저 각각은 연약한 영역에 의해 충격 댐퍼의 바닥부 및 상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다.
● 상기 충격 댐퍼의 바닥부는 자동차 차체가 조립되는 캐리어 구조체에 자동차 요소를 고정시키는 베이스이다.
● 상기 자동차 요소는 자동차 차체가 조립되는 캐리어 구조체의 부분이다.
● 상기 자동차 요소는 자동차의 전방 펜더의 중간 지지 요소이고, 상기 충격 댐퍼의 바닥부는 자동차 차체가 조립되는 캐리어 구조체에 고정되고, 상기 충격 댐퍼의 상기 상부는 전방 펜더를 상기 상부에 고정시킨다.
● 상기 충격 댐퍼의 상부는 제1라이저와 제2라이저를 서로 연결시키는 교차부재와, 교차부재로부터 하방으로 뻗어나가고 전방 펜더에 고정시키는 판을 포함한다.
● 상기 웨브는 상기 제1라이저와 제2라이저가 서로 떨어져 있는 방향에 평행하게 뻗어나간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주어지는 다음의 설명과 수반되는 도면을 참고하면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각각의 전방 펜더가 다수의 중간 지지요소에 의해 지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단순화된 자동차의 좌측부분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자동차의 좌측 전방 펜더를 지탱하는 중간 요소 중 하나에 대 한 사시도.
도 3은 도2의 중간 지지요소를 다른 각도로 본 사시도.
도 4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중간 지지요소의 측면도.
도 5는 도 4에서 평면 V에서의 단면도.
도 6은 도 2 내지 도 5의 중간 지지 요소의 충격 흡수체의 작동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
도 7은 충격시의 도 2 내지 도 6의 중간 지지요소의 웨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 5와 유사한 단면도.
도 8은 상부 교차부재에 의해 갖춰진 고정 메커니즘에 의해 후드가 닫힌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제2실시예의 단순화된 자동차의 전방부의 길이방향 단면도.
본 명세서에서, "전방", "후방", "우측", "좌측"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들은 자동차의 일반적인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도 1은 자동차 차체의 전방좌측부분과 이 차체가 장착된 캐리어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캐리어 구조체와 차체는 전방좌측부분(도시 안함)과 대칭인 전방우측부분을 갖는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 및 도면부호 2는 각각 자동차의 전방좌측의 휠과 자동차 섀시의 좌측 레일을 나타낸다. 섀시는 섀시 위에 조립된 캐리어를 가지고, 이 캐리어에 자동차 차체가 장착된다. 상기 캐리어 구조체의 상부 좌측 비임(3)에, 자 동차 차체의 전방좌측 펜더(5)를 지탱하는 중간 요소(4)가 고정되어 있다. 도면부호 6은 자동차 후드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중간 지지요소(4)는 충격 댐퍼를 형성한다. 그 바닥부는 비임(3)에서 고정되도록 베이스(7)를 형성한다. 베이스(7)로부터 출발하여, 두 개의 라이저는, 즉 후방 라이저(8)와 전방 라이저(9)는 위로 뻗어나간다. 이러한 라이저(8, 9)는 전방 펜더(5)를 지지 요소(4)에 고정시키는 판(11)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상부 교차부재(10)를 고정 베이스(7)에 연결시킨다. 내부 웨브(12)는 베이스(7)와 라이저(8, 9)와 중간 요소(4)의 상부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완전히 닫고, 상기 상부는 교차부재(10)와 판(11)으로 구성된다.
베이스(7)는, 도시되지 않은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상부 비임(3)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해 림(13)에 제공되는 판의 형태이다. 베이스는 고정 부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세 개의 구멍(14)에 의해 관통되며, 이 고정 부재는 나사 또는 리벳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멍(14)의 개수는 3 개가 아닐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적용형태에 따라 하나 또는 두 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충격 댐퍼는 캐리어 구조체의 일부분에 설치될 필요가 없고, 캐리어 구조체 위에 차량의 차체가 조립된다. 그러나, 베이스(7)를 대체할 수 있는 캐리어 구조체의 일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구멍(14)은 필요 없게 될 것이다.
노치(E)가 판(11)와 결합된 베이스(7)에서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7)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되는 영역에서, 림(13)은 두 개의 돌출부를 구비하며, 지지 요소(4)가 틀에서 꺼내어질 때 배출기로부터의 추력을 수용하기 위해 각각의 돌출부 는 도 3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인 면을 형성한다.
후방 라이저(8)는 접힘 또는 파열이 일어나기 시작하도록 굽힘부(15)를 구비하고, 굽힘부의 오목면은 전방 라이저(9) 쪽으로 향하여, 충격 댐퍼는 일반적으로 6각형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라이저(8)는 벽의 형태로 되어 있고,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평면(P')과 같은 수직의 앞뒤 평면에서 벽의 단면은 1/4 회전으로 회전된 일반적으로 "V"자의 모양으로 되어 있다. 라이저(8)는 약한 얇은 영역(17)을 거쳐서 베이스(7)에 연결되어 있고, 이 영역은 횡단 라인을 따라 뻗어나간다.
전방 펜더(9)는 지지 요소(4)의 대칭면(P)에 대하여 후방 라이저(8)와 대칭인데, 여기에는 더 구체적으로 기재하지 않는다. 이하, 그 부분들에는 라이저(8)의 유사한 부분과 동일한 도면부호가 주어진다.
교차부재(10)는 라이저(8, 9)에 의해 뻗어나가는 벽의 형태이다. 교차부재는 지지 요소(4)가 몰드로부터 꺼내어지는 동안 배출기로부터의 추력을 수용하기 위해 횡단 비드(18)를 가지고 있다. 판(11)은 교차부재(10)의 우측 엣지로부터 베이스(7)를 향해 뻗어나간다. 판은 전방 펜더(5)를 지지 요소(4)에 고정시키는 나사 또는 리벳과 같은 고정 부재(도시 안함)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19)에 의해 관통된다.
웨브(12)는 라이저(8, 9)를 상호연결시키고, 또한 베이스(7)를 부분(10, 11)에 연결시킨다. 웨브는 약 145°의 각도(α) 만큼 서로 경사진 바닥부(20)와 상부(21)를 구비하고 있고, 실제로 이 각도의 값은 90° 내지 160°이다. 즉, 단 면(V)과 같은 수직면에서의 웨브(12)의 단면은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일반적으로 1/4 회전으로 회전된 문자 "V"의 형태이다. 도시된 예에서, 판(11)은 웨브(12)의 상부(21)를 둘로 나눈다.
접힘 또는 파열이 시작되는 굽힘 영역(22)은 웨브(12)의 부분(20, 21)을 서로 연결시킨다. 이 굽힘 영역(22)에서, 웨브(12)는 휘어져 있다. 접힘 또는 파열이 시작되는 영역(22)은 라이저(8, 9)의 굽힘부(15)를 서로 연결시킨다. 이 영역에서 웨브의 두께가 감소하기 때문에 웨브(12)의 연약부가 된다.
웨브(12)는 두께가 즉, 가장자리 영역(23)이 줄어든 또 다른 연약한 영역을 구비하고 있고, 따라서 웨브는 라이저(8, 9)에 연결되고 또한 베이스(7)와 판(11)과 교차부재(10)에 연결된다. 이하 도 4를 구체적으로 참고한다. 도면부호 23a로 표시된 가장자리 영역(23)의 부분들은 도면부호 23b로 표시된 영역(23)의 나머지 부분 보다 두께가 더 얇고, 부분(23a)은 충격 댐퍼의 압축을 수월하게 하는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부분(23a) 중 하나는 판(11) 주변에서 뻗어나간다. 각각의 다른 두 부분(23a)은 베이스(7)로부터 굽힘부(15)까지 라이저(8, 9) 중 하나를 따라 뻗어나간다. 약한 가장자리 영역(23)의 부분(23a)에 대해 약 0.5mm의 두께이고, 영역(23)의 부분(23b)과 약한 영역(22)에 대해서는 약 1.2mm의 두께이고, 두께가 줄어들지 않은 웨브(12)의 다른 영역에 대해서는 약 2.5mm의 두께가 되는 좋은 결과를 얻었다.
전방 펜더(5)에 앉아 있는 사람의 하중은 베이스(7)에 가해지는 정적인 힘이 되고, 이 정적인 힘은 횡단 성분을 포함한다. 웨브(12)는 도 5에서 화살표 F로표시 되는 정적인 하중에 지배를 받는 동안 지지 요소(4)의 변형을 감소시킨다.
지지 요소(4)는 바람직하게 잘게 썬 강화 섬유로 채워진 또한 비섬유 입자 또는 충전재로 채워진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 중합체와 같은 중합체로 만들어진 단일품이다. 웨브(12)의 존재로 인해 지지 요소(4)를 더 쉽게 만들 수 있게 된다. 구멍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그리고 두 라이저(8, 9)와 베이스(7)와 판(11) 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닫기 때문에, 웨브(12)는 요소(4)에서 표면을 결합하는 규모를 줄이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바람직한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결합" 표면은 몰딩중에 반대 방향으로 나아가는 재료의 두 전방부가 만나는 표면을 말한다.
지지 요소(4)가 설치되면, 그 베이스(7)는 상부 비임(3)에 대항하여 힘을 가하고, 이로써 하방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전방으로 나아가는 자동차에 의해 다리를 부딪힌 보행자는 보통 자동차의 전방으로 팽개쳐진다. 이로써, 충격이 자동차의 후드(2) 및/또는 전방 펜더들 중 하나의 상부에 가해진다. 이러한 충격은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일 수 있으며 보통 아래를 향한다. 도 7에서, 지지부(4)의 원래 모양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전방 펜더(5)의 상부에 가해지는 이러한 충격은 화살표 C로 표시되며, 가압되는 지지 요소(4)에 의해 형성된 댐퍼에 이르게 된다. 구체적으로, 굽힘부(15)는 라이저(8, 9)가 접히는 힌지처럼 작동하며, 따라서 교차부재(10)는 베이스(7)를 향하여 움직인다. 라이저(8, 9)가 교차부재(10)에 연결되는 도면부호 24로 표시되는 연결영역은 힌지와 같이 작동한다. 연약한 영역(17)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동시에,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연약한 영역(22, 23)이 파손된다. 베이스(7)에 의해 갑자기 멈추어지 지 않도록 판(11)은 노치(E)에 수용된다.
충격(C)의 에너지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굽힘부(15)와 연약한 영역(17)과 연결영역(24)의 소성 변형은 상기 충격(C)을 감쇠하는 역할을 하고, 따라서 보행자에게 상해를 일으킬 위험을 줄여주고, 만일 보행자가 부상당한다 해도 그 부상의 정도를 완화시켜주게 된다. 영역(22, 23)의 파괴는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후드 자체가 자동차의 전방 펜더를 받치고 있기 때문에, 자동차의 지지 요소(4)는 또한 후드(6)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쇠시킨다.
도면부호 X-X'는 라이저(8, 9)가 서로 떨어져 있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평면 "P"와 같이, 상기 X-X' 방향에 평행하는 면 중 하나에서 웨브(12)의 섹션은 직선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휘어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섹션은 실질적으로 직선이거나 방향 X-X'와 평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웨브(12)가 상기 방향 X-X'에 평행하게 뻗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도시된 지지 요소(4)의 웨브(12)에도 적용된다. 결과적으로, 웨브(12)는 충격 댐퍼가 압축되게 되는 충격(C)이 있을 때 연약한 영역(22, 23)에서 쉽게 파괴된다.
바닥 단부와 상부 단부에서의 경우를 제외하고, 압축되는 동안 라이저(8, 9)는 서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즉시 웨브(12)는 끌어당기는 응력을 받게 되며, 이는 웨브가 방향 X-X'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뻗어나가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웨브(12)에 가해지는 끌어당기는 응력은 웨브가 영역(23)에서 파괴되도록 한다.
변형 실시예에서, 지지 요소(4)는 충격(C)이 소성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굽힘부(15)와 연약한 부분(17) 및/또는 연결영역(24)을 파괴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반대로, 웨브(12)의 연약한 영역(22, 23)의 적어도 일부는 파괴 대신에 소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지지 요소(4)는 압축에 의해 충격을 감쇠시킬 수 있는 거리와 거의 다르지 않은 높이를 제공하는 이점을 준다. 결과적으로, 콤팩트하고 경량이 될 수 있다.
유사하게, 라이저(8, 9)가 직접 베이스(7)에 연결되는 방법은 지지 요소(4)가 가볍게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자동차의 각각의 전방 펜더는 다수의 지지 요소라기 보다 단일 지지 요소(4)에 의해 지탱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베이스(7)의 길이는 늘어날 수 있고, 예를 들어 휠(1)과 펜더(5) 사이의 체적과 엔진의 격실을 분리시키는 상황에서, 베이스(7)와 상부 비임(3) 사이에 쉽게 제공될 수 있는 밀봉재를 흘려보냄으로써 밀봉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지지 요소(4)는 베이스(7)를 따라 분포된 하나가 아닌 다수의 충격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요소(4)로 형성된 충격 댐퍼는 전방 펜더(5)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 펜더는 본 발명에 의한 것이다.
또한, 충격 댐퍼는 도 8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자동차의 전방 펜더들 중 한 펜더의 하부가 아닌 후드(2) 하부에 있을 수 있다.
분명히 하기 위해, 자동차의 전방부의 요소 중 일부만이 도 8에 도시되어 있 고, 여기에서 도면부호 50은 종래의 냉각기를 나타낸다. 자동차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자동차의 차체가 캐리어 구조체 위에서 조립되는 캐리어 구조체는 종래의 전방 냉각기 그릴과 쉴드 조립체(52)를 고정시키는 전방 패널의 상부 교차부재(51)를 포함한다. 교차부재(51)는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서, 바닥부가 앞서 도면부호 7로 표시된 형태의 고정 베이스가 아니라 길이방향 벽(53)으로 구성되었다는 점만 제외하고는 충격 댐퍼(4)와 동일한 충격 댐퍼(51a)를 포함한다. 자동차의 후드(55)를 닫힌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54)는 판(7)과 유사한 충격 댐퍼(51a)의 판에 고정되는데, 도시되지는 않았다. 고정 장치(54)는 종래의 것이고 그 상태에 따라 후드(55)에 고정되는 부재(56)를 계속 고정하거나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후드(55)에 가해지는 충격이 가압되는 충격 댐퍼(51a)에 이르게 되는 때와 같을 때, 충격은 압축에 의해 감쇠된다.

Claims (15)

  1. - 바닥부(7, 53)와;
    - 각각 상기 바닥부(7, 53)로부터 올라오고 충격(C)이 발생하는 경우 접힘 또는 파열을 일으키기 시작하는 굽힘부(15)를 포함하는 제1라이저(8) 및 제2라이저(9)와;
    - 상기 제1라이저(8) 및 제2라이저(9)에 의해 바닥부(7, 53)와 연결되는 상부(10, 11)를; 포함하고, 단일품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충격 댐퍼를 구비한 자동차의 일부분(5, 6)에 대한 지지 요소에 있어서,
    상기 충격 댐퍼는 충격(C)의 효과로 파괴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괴 영역(23)과 충격(C)의 효과로 웨브의 접힘 또는 파괴가 일어나기 시작하는 굽힘 영역(22)을 구비하고 바닥부(7, 53)를 상부(10, 11)에 연결시키며 또한 제1라이저(8)와 제2라이저(9)를 서로 연결시키는 웨브(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라이저(8, 9)의 굽힘부(15)는 다른 라이저(8, 9) 쪽으로 향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12)는 라이저(8, 9)의 부분들이 서로 멀어짐으로써 끌어당기는 응력을 받는 경우 파괴 영역(23)에서 파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 영역은 웨브 중 두께가 얇은 영역이고, 파괴 영역(23)의 일부 부분(23a)은 파괴 영역의 나머지 부분(23b) 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12)의 굽힘 영역(22)은 제1라이저(8)의 굽힘부(15)를 제2라이저(9)의 굽힘부(15)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의 파괴 영역(23)은 가장자리 영역이고, 그로 인해 웨브(12)는 충격 댐퍼의 바닥부(7) 및 상부(10, 11)에 연결되고 제1라이저(8) 및 제2라이저(9)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12)의 접힘 또는 파괴를 일으키기 시작하는 굽힘 영역(22)은 웨브(12) 중 두께가 얇은 연약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괴 영역(23)은 웨브(12) 중 두께가 얇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12)는 구멍을 포함하지 않고, 충격 댐퍼의 제1라이저(8)와 제2라이저(9) 및 바닥부(7)와 상부(10, 11) 사이의 통로를 완전히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라이저(8) 및 제2라이저(9)는 각각 연약한 영역(17)에 의해 충격 댐퍼의 바닥부(7, 53) 및 상부(10, 11)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댐퍼의 바닥부는 자동차 차체가 조립되는 캐리어 구조체에 자동차 요소를 고정시키는 베이스(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요소는 자동차 차체가 조립되는 캐리어 구조체의 부분(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요소는 자동차의 전방 펜더(5)의 중간 지지 요소이고, 상기 충격 댐퍼의 바닥부(7)는 자동차 차체가 조립되는 캐리어 구조체에 고정되고, 상기 충격 댐퍼의 상부(10, 11)는 전방 펜더(5)를 상기 상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댐퍼의 상부는 제1라이저(8)와 제2라이저(9)를 서로 연결시키는 교차부재(10)와, 교차부재(10)로부터 하방으로 뻗어나가고 전방 펜더(5)에 고정시키는 판(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12)는 상기 제1라이저(8)와 제2라이저(9)가 서로 떨어져 있는 방향(X-X')에 평행하게 뻗어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요소.
KR1020067026801A 2004-05-19 2005-05-18 자동차의 일부분에 대한 지지 요소 KR101156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405489 2004-05-19
FR0405489A FR2870497B1 (fr) 2004-05-19 2004-05-19 Element formant support pour une partie de vehicule automobile
PCT/FR2005/001245 WO2005120908A1 (fr) 2004-05-19 2005-05-18 Element formant support pour une partie de ve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2704A KR20070052704A (ko) 2007-05-22
KR101156741B1 true KR101156741B1 (ko) 2012-06-14

Family

ID=34945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801A KR101156741B1 (ko) 2004-05-19 2005-05-18 자동차의 일부분에 대한 지지 요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747125B1 (ko)
JP (1) JP4884379B2 (ko)
KR (1) KR101156741B1 (ko)
CN (1) CN101001770B (ko)
AT (1) ATE458650T1 (ko)
BR (1) BRPI0511254A (ko)
DE (1) DE602005019560D1 (ko)
ES (1) ES2341662T3 (ko)
FR (1) FR2870497B1 (ko)
WO (1) WO20051209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7715B2 (ja) * 2005-10-17 2011-02-23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支持構造体の製造方法
JP4904819B2 (ja) * 2006-01-11 2012-03-28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自動車用フードの前部構造
FR2897336B1 (fr) * 2006-02-10 2010-07-30 Ranger France Support d'aile pour vehicule automobile
US8118352B2 (en) 2006-11-23 2012-02-21 Compagnie Plastic Omnium Lining for the hood of an automotive vehicle and combinations thereof with certain parts of the vehicle
US7690722B2 (en) * 2007-05-21 2010-04-06 Honda Motor Co., Ltd. Energy absorbing vehicle hood stopper assembly
US8016347B2 (en) 2007-07-10 2011-09-13 Toyota Shatai Kabushiki Kaisha Front structure of automobile hood
FR2941418B1 (fr) * 2009-01-23 2015-05-15 Renault Sas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pare choc avant qui presente une partie centrale s'etendant jusqu'au capot dudit vehicule
JP2013044339A (ja) * 2011-08-22 2013-03-04 Toyota Auto Body Co Ltd 衝撃吸収具ハウジングと、これを用いた車両用衝撃吸収具
FR2986774A1 (fr) * 2012-02-13 2013-08-16 Renault Sa Support multifonctions pour le montage d'elements fonctionnels d'un vehicule automobile
GB2503496B (en) * 2012-06-27 2017-09-13 Aston Martin Lagonda Ltd Vehicle assembly
JP6343530B2 (ja) * 2014-09-16 2018-06-13 株式会社Subaru 車体の前上部構造
JP6804148B2 (ja) * 2016-11-30 2020-12-2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フロントフェンダーブラケット
CN108425977A (zh) * 2018-04-23 2018-08-21 深圳市乾行达科技有限公司 吸能元件及吸能装置
CN108482284A (zh) * 2018-04-23 2018-09-04 深圳市乾行达科技有限公司 抗偏载元件及吸能装置
CN114684275A (zh) * 2022-05-06 2022-07-01 江铃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可溃式翼子板支架及其设计方法
CN115303918B (zh) * 2022-09-19 2024-05-31 浙江恒达富士电梯工程有限公司 一种电梯上梁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38579A2 (en) * 2000-03-31 2001-10-0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fender structure
EP1277630A1 (en) * 2001-07-05 2003-01-22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Front hood device
EP1398249A1 (fr) * 2002-09-13 2004-03-17 Renault s.a.s. Support multifonctions pour le positionnement et la fixation d'éléments de carrosserie de véhicule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6079B2 (ja) * 1997-06-26 2003-08-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フロントフェンダ接続部構造
JP4122680B2 (ja) * 2000-04-07 2008-07-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フェンダ部構造
JP4200632B2 (ja) * 2000-03-31 2008-1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フェンダ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38579A2 (en) * 2000-03-31 2001-10-0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fender structure
EP1277630A1 (en) * 2001-07-05 2003-01-22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Front hood device
EP1398249A1 (fr) * 2002-09-13 2004-03-17 Renault s.a.s. Support multifonctions pour le positionnement et la fixation d'éléments de carrosserie de véhicule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41662T3 (es) 2010-06-24
CN101001770A (zh) 2007-07-18
KR20070052704A (ko) 2007-05-22
EP1747125A1 (fr) 2007-01-31
FR2870497B1 (fr) 2007-10-05
WO2005120908A1 (fr) 2005-12-22
CN101001770B (zh) 2013-05-01
ATE458650T1 (de) 2010-03-15
FR2870497A1 (fr) 2005-11-25
DE602005019560D1 (de) 2010-04-08
BRPI0511254A (pt) 2007-11-27
JP4884379B2 (ja) 2012-02-29
JP2007537921A (ja) 2007-12-27
EP1747125B1 (fr)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6741B1 (ko) 자동차의 일부분에 대한 지지 요소
US7690722B2 (en) Energy absorbing vehicle hood stopper assembly
JP4004924B2 (ja) 車両用バンパ装置
KR20010060370A (ko) 자동차의 센터 필라 조립체
JP2001138963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CN109733308B (zh) 一种用于车辆的行人保护装置及汽车
US6641209B2 (en) Front-hood arrangement for a passenger veh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2356013A (zh) 包括前保险杠的机动车辆,该前保险杠具有延伸至所述车辆的发动机罩的中央部分
JP2009515773A (ja) エネルギー吸収車両フェンダー
JP4328054B2 (ja) 車体パネル
US20230030279A1 (en) Vehicle frame with integral impact mitigation features
KR101467032B1 (ko) 에너지 흡수율을 향상시킨 복합 재료 범퍼 백빔 및 이를 포함하는 범퍼
GB2476151A (en) Impact protection structure for a vehicle bonnet
US6769730B2 (en) Vehicle windshield mounting structure
JP2002283937A (ja) 車両用バンパ構造
AU2002321003B2 (en) Front structure that is optimised for a head impact
JP2002096710A (ja) 車体前部構造
US20040124667A1 (en) Bumper device
JP6157438B2 (ja) 自動車用バンパー
JP6172680B2 (ja) 自動車用バンパー
KR100482965B1 (ko) 차량용 범퍼
JP6157437B2 (ja) 自動車用バンパー
KR100401672B1 (ko) 차량의 카울패널
KR200149454Y1 (ko) 자동차 측면충돌 대비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00507646B1 (ko) 자동차용 펜더패널 마운팅부의 충격흡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