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661B1 - 홍삼박을 주재로 한 홍삼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홍삼박을 주재로 한 홍삼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661B1
KR101156661B1 KR1020080138182A KR20080138182A KR101156661B1 KR 101156661 B1 KR101156661 B1 KR 101156661B1 KR 1020080138182 A KR1020080138182 A KR 1020080138182A KR 20080138182 A KR20080138182 A KR 20080138182A KR 101156661 B1 KR101156661 B1 KR 101156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ed ginseng
red
concen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9646A (ko
Inventor
이광승
이용진
최성룡
김종태
이상덕
박민수
이은실
조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농협한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농협한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농협한삼인
Priority to KR1020080138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661B1/ko
Publication of KR20100079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 A23V2200/254Particle size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추출물의 부산물인 홍삼박을 주재(主材)로 하여 복합황금추출물과 홍삼농축액이 일정비율로 첨가된 홍삼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숙 및 제국처리된 소맥분 2.6 ~ 5.6중량부와, 증숙된 쌀 2.6 ~ 6.6중량부와, 생홍고추를 일정크기로 분쇄한 홍고추페이스트 4 ~ 8중량부와, 정제수 1.8 ~ 4.8중량부와, 소금 0.8 ~ 3.8중량부와, 일정크기로 분쇄된 수분함량 70 ~ 95중량%의 홍삼박 0.5 ~ 3중량부를 혼합하고 일정기간 숙성처리하여 반제품혼합물을 제조하며, 숙성처리된 상기 반제품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일정크기로 분쇄된 수분함량 70 ~ 95중량%의 홍삼박 7 ~ 15중량부와, 홍삼농축액 0.1 ~ 3중량부와, 복합황금추출물 0.1 ~ 2중량부와, 고추가루 6 ~ 10중량부와, 물엿 35 ~ 50중량부와, 소금 4 ~ 6중량부와, 주정 2 ~ 4중량부를 혼합하고 살균처리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을 주재로 한 홍삼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홍삼박, 복합황금추출물, 홍삼농축액, 홍삼고추장

Description

홍삼박을 주재로 한 홍삼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Korean hot pepper paste for red ginseng marc and the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홍삼추출물의 부산물인 홍삼박을 주재(主材)로 하여 복합황금추출물과 홍삼농축액이 일정비율로 첨가된 홍삼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숙 및 제국처리된 소맥분 2.6 ~ 5.6중량부와, 증숙된 쌀 2.6 ~ 6.6중량부와, 생홍고추를 일정크기로 분쇄한 홍고추페이스트 4 ~ 8중량부와, 정제수 1.8 ~ 4.8중량부와, 소금 0.8 ~ 3.8중량부와, 일정크기로 분쇄된 수분함량 70 ~ 95중량%의 홍삼박 0.5 ~ 3중량부를 혼합하고 일정기간 숙성처리하여 반제품혼합물을 제조하며, 숙성처리된 상기 반제품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일정크기로 분쇄된 수분함량 70 ~ 95중량%의 홍삼박 7 ~ 15중량부와, 홍삼농축액 0.1 ~ 3중량부와, 복합황금추출물 0.1 ~ 2중량부와, 고추가루 6 ~ 10중량부와, 물엿 35 ~ 50중량부와, 소금 4 ~ 6중량부와, 주정 2 ~ 4중량부를 혼합하고 살균처리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을 주재로 한 홍삼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홍삼은 인삼의 재배적지에서 생산된 6년근 수삼 중에서 좋은 품질의 수삼을 정선하고 증숙, 건조 등의 특수처리과정을 거쳐 인체에 흡수가 잘 되도록 제조한 담황갈색의 인삼으로, 그 제조과정 중에 노화 억제 효능이 뛰어난 말톨(maltol)과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진세노사이드 Rh2, 파낙시트리올 등 홍삼만이 가지는 특수성분이 생성되며 가장 많은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고 장기간 보존시에도 유효성분의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와 같은 홍삼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동맥경화를 예방하며, 혈액순환개선, 신체기능 항상성유지 등과 같이 세포활성화 및 피로회복, 강장, 심박수 감소, 면역력 증진의 탁월한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홍삼을 이용하여 홍삼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홍삼박은 홍삼을 물 또는 알코올 등의 용매로 추출하여 홍삼정(紅蔘精), 즉 홍삼엑기스(red ginseng extract)성분이 추출되고 남은 잔사로서 홍삼을 수회 반복 추출하더라도 내부의 유효성분을 모두 추출할 수 없고, 또한 추출용매에 따라 물 또는 알코올에 용해되는 성분만 추출되고 용해되지 않은 유효 잔류성분이 다량 남게되며, 더욱이 추출 비용상(가열비용, 용매비용, 공정반복비용 등) 홍삼의 유효성분이 남아 있더라도 더이상 추출할 수 없으므로 홍삼박에는 사포닌, 폴리아세틸렌, 단백질 등의 유효성분이 대략 20 ~ 40% 정도 잔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효성분이 다량 잔류되어 있는 홍삼박은 재활용하기 어렵고 그 활용범위가 제한적이어서 현재에는 대부분 경마장에서 경마의 사료나 가축의 사료 또는 퇴비조성물의 첨가제로만 단순히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고추장은 약 200년의 역사를 지닌 전통발효식품으로 주재료인 고추와 찹쌀, 메주 등의 재료와 이들이 발효되면서 생성되는 아미노산류, 당류, 카로틴, 비타민류, 매운맛 성분이 한데 어우러져 독특한 맛을 띠며, 칠리, 타바스코, 토마토 케찹 등과 같은 서양의 다용도 소스 못지않게 각종 요리에 활용되고 있다. 또한, 고추장에 함유된 이러한 성분들은 조미식품으로 분류되나 최근 식욕을 증진시키고 소화를 촉진하는 작용과 함께 비만을 억제하고, 혈청지질을 감소시켜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는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소비량의 증가와 함께 세계적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각종 기능성 첨가물이 첨가된 고추장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나, 홍삼추출물의 부산물인 홍삼박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추장은 현재까지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홍삼추출물의 부산물로서 사포닌성분과 각종 생리활성성분이 잔류되어 있는 홍삼박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일정한 함수량을 유지하고 일정크기로 분쇄한 홍삼박과, 생약재 특유의 맛과 향이 고추장과 어우러지도록 하면서 항산화작용, 피로회복, 강장 및 이뇨작용 등이 뛰어난 각종 생약재 농축액을 일정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한 복합황금추출물 및 홍삼농축액과, 각종 첨가물을 일정비율로 조합하여 홍삼고추장을 제조함으로써 홍삼박 특유의 질감과 맛과 향이 고추장과 조화되면서 인체 영양공급과 사포닌 성분에 의한 원기회복, 면역력증강, 자양강장효과와 폴리아세틸렌 성분에 의한 항암작용 등의 효능이 나타나도록 하며, 특히 현대인들에게 발병되는 암 중에서도 대장암의 발병율이 크게 높아지고 있고 그 원인은 식생활이 점차 인스턴트화되고 섬유물질의 취식량이 크게 감소하는데 기인하는 것이어서 홍삼박의 주성분인 식이섬유가 현대인의 식생활에서 결여되는 필수영양성분에 해당되어 홍삼고추장의 취식을 통해 정장작용, 콜레스테롤 감소, 다이어트효과 등이 나타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증숙 및 제국처리된 소맥분 2.6 ~ 5.6중량부와, 증숙된 쌀 2.6 ~ 6.6중량부와, 생홍고추를 일정크기로 분쇄한 홍고추페이스트 4 ~ 8중량부와, 정제수 1.8 ~ 4.8중량부와, 소금 0.8 ~ 3.8중량부와, 일정크기로 분쇄된 수분함량 70 ~ 95중량%의 홍삼박 0.5 ~ 3중량부를 혼합하고 일정기간 숙성처리하여 반제품혼합물을 제조하며, 숙성처리된 상기 반제품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일정크기로 분쇄된 수분함량 70 ~ 95중량%의 홍삼박 7 ~ 15중량부와, 홍삼농축액 0.1 ~ 3중량부와, 복합황금추출물 0.1 ~ 2중량부와, 고추가루 6 ~ 10중량부와, 물엿 35 ~ 50중량부와, 소금 4 ~ 6중량부와, 주정 2 ~ 4중량부를 혼합하고 살균처리하여 홍삼고추장을 제조하는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홍삼추출물의 부산물로서 사포닌성분과 각종 생리활성성분이 잔류되어 있는 홍삼박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일정한 함수량을 유지하고 일정크기로 분쇄한 홍삼박과 생약재 특유의 맛과 향이 고추장과 어우러지도록 하면서 항산화작용, 피로회복, 강장 및 이뇨작용 등이 뛰어난 각종 생약재 농축액을 일정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한 복합황금추출물 및 홍삼농축액과, 각종 첨가물을 일정비율로 조합하여 홍삼고추장을 제조함으로써 홍삼박 특유의 질감과 맛과 향이 고추장과 조화되면서 인체 영양공급과 사포닌 성분에 의한 원기회복, 면역력증강, 자양강장효과와 폴리아세틸렌 성분에 의한 항암작용 등의 효능을 볼 수 있으며, 특히 홍삼박의 주성분인 식이섬유가 현대인의 식생활에서 결여되는 필수영양성분에 해당되어 홍삼고추장의 취식을 통해 대장암의 예방 및 정장작용, 콜레스테롤 감소, 다이어트 효과 등을 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홍삼추출물의 부산물인 홍삼박을 주재(主材)로 하여 복합황금추출물과 홍삼농축액이 일정비율로 첨가된 홍삼고추장으로서, 증숙 및 제국처리된 소맥분 2.6 ~ 5.6중량부와, 증숙된 쌀 2.6 ~ 6.6중량부와, 생홍고추를 일정크기로 분쇄한 홍고추페이스트 4 ~ 8중량부와, 정제수 1.8 ~ 4.8중량부와, 소금 0.8 ~ 3.8중량부와, 일정크기로 분쇄된 수분함량 70 ~ 95중량%의 홍삼박 0.5 ~ 3중량부를 혼합하고 일정기간 숙성처리하여 반제품혼합물을 제조하며, 숙성처리된 상기 반제품혼합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의 최소값/최대값의 합인 반제품혼합물의 전체 중량 12.3 ~ 31.8중량부에 대하여 일정크기로 분쇄된 수분함량 70 ~ 95중량%의 홍삼박 7 ~ 15중량부와, 홍삼농축액 0.1 ~ 3중량부와, 복합황금추출물 0.1 ~ 2중량부와, 고추가루 6 ~ 10중량부와, 물엿 35 ~ 50중량부와, 소금 4 ~ 6중량부와, 주정 2 ~ 4중량부를 혼합하고 살균처리하여 제조된다.
먼저, 상기 증숙 및 제국처리된 소맥분은 소맥분을 통상의 증숙기로 증숙(蒸熟)하고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등과 같은 전분 및 단백질 원료를 분해할 수 있는 배양균을 소맥분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2중량%를 첨가혼합한 다음 온도 35 ~ 37℃, 습도 90 ~ 95%에서 48 ~ 72시간 동안 제국처리한 것이며, 본 발명에서 증숙 및 제국처리된 소맥분은 홍삼고추장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2.6 ~ 5.6중량부 첨가혼합된다.
상기 증숙(蒸熟)된 쌀은 일반미(一般米)를 세척선별한 후 정제수에서 대략 12 ~ 24시간 정도 침지한 것을 통상의 증숙기에서 100 ~ 150℃의 스팀으로 1 ~ 3시간동안 증숙하여 수분함량 20 ~ 30중량%가 되도록 증숙(蒸熟)한 것이며, 본 발명에서 증숙된 쌀은 홍삼고추장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2.6 ~ 6.6중량부 첨가혼합된다.
상기 홍고추페이스트는 건조처리되지 않은 생홍고추를 10 ~ 100mesh정도로 분쇄하여 페이스트상태로 만든 것이며, 본 발명에서 홍고추페이스트는 홍삼고추장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4 ~ 8중량부 첨가혼합된다.
상기 홍삼박은 홍삼추출물의 부산물로 주성분이 식이섬유로 된 탄수화물과, 단백질, 지방 등으로 되어 있고, 홍삼의 유효성분인 사포닌, 폴리아세틸렌, 각종 생리활성성분이 대략 20 ~ 40% 정도 잔류되어 있어 혈액순환개선, 신체기능 항상성유지 등과 같이 세포활성화 및 피로회복 효과가 있으며, 통상의 홍삼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홍삼박은 수분함량이 70 ~ 95중량% 정도를 지닌 것으로, 수분함량 70 ~ 95중량%의 홍삼박을 10 ~ 100mesh로 분쇄하여 홍삼고추장 제조시 곧바로 사용하거나, 또는 수분함량이 5 ~ 15중량%로 되도록 건조처리하고 10 ~ 100mesh의 크기로 분쇄하여 저장 보관한 다음 사용시 물에 함침하여 수분함량이 70 ~ 95중량%로 되도록 하여 홍삼고추장 제조시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10 ~ 100mesh로 분쇄된 수분함량 70 ~ 95중량%의 홍삼박은 숙성과정에서 반제품혼합물에 1차적으로 0.5 ~ 3중량부 첨가혼합되어 숙성과정을 거치면서 반제품혼합물의 배양균에 의해 홍삼박의 주성분인 식이섬유로 된 탄수화물과 단백질 성분이 분해 숙성되어 당화물과 각종 유기산류로 분해되며, 또한 숙성처리된 상기 반제품혼합물에 2차적으로 7 ~ 15중량부 첨가혼합되는 홍삼박은 상기와 같은 홍삼박의 맛과 효능이 홍삼고추장에 전체적으로 어우러지도록 하면서 홍삼고추장의 취식시 홍삼박의 질감과 함께 홍삼박 특유의 맛과 향을 발현하여 취식감을 높이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숙성처리된 반제품혼합물에 2차적으로 첨가혼합된 홍삼박은 보관 및 유통과정을 거치면서 배양균에 의한 분해 및 숙성과정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 홍삼박에 포함된 각종 영양성분이 홍삼고추장에 어우러져 취식시 영양성분의 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홍삼박은 통상의 홍삼추출물의 제조과정에서 주로 물추출한 것이 사용되나 필요에 따라서는 알코올추출한 홍삼박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홍삼박 뿐만 아니라 수삼, 백삼 등을 추출하고 남은 인삼박을 홍삼박 대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증숙 및 제국처리된 소맥분과 증숙된 쌀과 홍고추페이스트와 정제수와 소금과 홍삼박이 일정비율로 첨가혼합된 반제품혼합물은 1 ~ 3개월간 5 ~ 30℃에서 보관되어 숙성처리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홍삼박을 반제품혼합물에 1차적으로 일부 혼합하여 숙성처리하지 않고 숙성처리가 완료된 반제품혼합물에만 홍삼박을 첨가 혼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증숙 및 제국처리된 소맥분 2.6 ~ 5.6중량부와, 증숙된 쌀 4 ~ 8중량부와, 생홍고추를 일정크기로 분쇄한 홍고추페이스트 4 ~ 8중량부와, 정제수 1.8 ~ 4.8중량부와, 소금 0.8 ~ 3.8중량부를 혼합하고 일정기간 숙성처리하여 반제품혼합물을 제조하며, 숙성처리된 상기 반제품혼합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들의 최소값/최대값의 합인 반제품혼합물의 전체 중량 13.2 ~ 30.2중량부에 대하여 일정크기로 분쇄된 수분함량 70 ~ 95중량%의 홍삼박 8 ~ 18중량부와, 홍삼농축액 0.1 ~ 3중량부와, 복합황금추출물 0.1 ~ 2중량부와, 고추가루 6 ~ 10중량부와, 물엿 35 ~ 50중량부와, 소금 4 ~ 6중량부와, 주정 2 ~ 4중량부를 혼합하고 살균처리하여 홍삼고추장이 제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숙성처리된 반제품혼합물에만 첨가혼합되는 홍삼박은 보관 및 유통과정을 거치면서 배양균에 의한 분해 및 숙성과정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 홍삼박에 포함된 각종 영양성분이 홍삼고추장에 어우러져 취식시 영양성분의 흡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홍삼농축액은 인삼의 재배적지에서 생산된 6년근 수삼 중에서 좋은 품질의 수삼을 정선하고 증숙, 건조 등의 특수처리과정을 거쳐 인체에 흡수가 잘 되도록 제조한 홍삼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따라 유효성분만을 추출한 것으로, 콜레 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동맥경화를 예방하며, 조혈작용(造血作用)과 혈당치(血糖値)를 저하시켜 주고, 혈액순환개선, 신체기능 항상성유지 등과 같이 세포활성화 및 피로회복, 강장, 심박수 감소, 면역력 증진의 탁월한 효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숙성처리된 상기 반제품혼합물에 고형분농도 60 ~ 70중량%로 농축한 홍삼농축액이 홍삼고추장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 3중량부 혼합되는데, 상기 홍삼농축액이 0.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너무 미량 첨가되어 홍삼 특유의 세포활성화 및 피로회복 등의 효능이 거의 발휘되지 못하며, 반대로 홍삼농축액이 3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에는 홍삼의 사포닌 성분 특유의 쓴맛이 강해져 홍삼고추장의 맛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복합황금추출물은 생약재인 황금과 감초와 대추와 황기를 각각 농축한 농축액에 덱스트린과 젖산이 일정비율로 혼합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홍삼고추장에 일정비율로 혼합되어 생약재 특유의 맛과 향이 고추장과 어우러지도록 하면서 취식시 각 생약재로부터의 항산화작용, 피로회복, 강장 및 이뇨작용 등이 나타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숙성처리된 상기 반제품혼합물에 복합황금추출물이 홍삼고추장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 2중량부 혼합되는데, 상기 복합황금추출물이 0.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에는 너무 미량첨가되어 생약재추출물 특유의 맛과 향, 효능이 거의 발휘되지 못하며, 반대로 상기 복합황금추출물이 2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에는 생약재추출물 특유의 한약냄새가 너무 강하여 홍삼고추장과 조화되지 못하여 거부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황금(Scutellaria radix)은 여러 종류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를 함유하고 있는 생약재로 중추신경과 교감신경 흥분을 억제하고 고점도 혈증을 완화하며 담즙배설 촉진, 염증성출혈 개선, 죽상 동맥경화 방지, 진정, 혈압강하, 위액분비 억제, 항균, 항진균 및 항알러지 작용을 나타내어 한방에서 황련해독탕, 삼황사심탕 등의 처방에 활용하여 모세혈관의 울혈과 혈관의 염증성 출혈을 개선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황금의 활성성분은 바이칼린(Baicaline), 바이칼라인(Baicaleine) 및 보고닌(Wogonine) 등으로서 약리작용에 대한 연구로는 흰쥐의 간에서 지질산화작용을 억제함으로써 혈청 중 중성지방과 유리지방산의 함유량을 감소시키고 에탄올섭취에 의해 유발된 고지혈증에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고, 특히 황금성분의 항산화 작용으로 산화에 의한 세포손상을 보호하고 활성산소 및 프리 레디컬(Free radical)에 의한 피부세포의 산화 및 손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황금을 고형분농도 50 ~ 70중량%로 농축한 황금농축액이 상기 복합황금추출물에 30 ~ 42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초(甘草)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 또는 곧은 감초(Glycyrrhiza glaba L.)의 뿌리를 말린 것으로, 동의보감에서는 오장육부의 한열(寒熱)과 사기(邪氣)를 다스리며 눈, 코, 입 및 귀와 대소변의 생리 현상을 정상이 되게 하고, 모든 혈맥을 소통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영양 상태를 좋게 하면서 모든 약의 독성을 해독하고 조합된 생약재 간의 약효를 잘 나타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감초를 고형분농도 50 ~ 70중량%로 농축한 감초농축액이 상기 복합황금추출물에 20 ~ 32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추는 한방에서 비, 위를 편하게 하며 진액부족, 기운부족을 치료하는데 내장의 적을 흩어지게 해 오장을 보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강장제, 이뇨제(利尿劑), 영양제(營養劑), 중화제(中和劑), 진해제(鎭咳劑), 소염제(消炎劑) 등의 효능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 대추는 홍삼고추장의 효능에 부가되거나 상승 작용을 부여하면서 단맛이 나타나도록 하여 남녀노소가 누구나 거부감없이 취식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대추를 고형분농도 50 ~ 70중량%로 농축한 대추농축액이 상기 복합황금추출물에 6 ~ 12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기는 보기(補氣), 이뇨(利尿), 원기부족, 강장(强壯) 및 고혈압증 등 다양한 증세에 효험이 있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중 성분이 알려진 것에는 7,3'-디하이드록시-4'-메톡시이소플라본(7,3'-dihydroxy-4'-methoxyisoflavone) 등의 이소풀라보노이드(isoflavonoid)와 애스트라갈로사이드(astragaloside) 등의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 배당체가 알려져 있으며 혈압강하작용과 이뇨작용의 활성성분으로 알려진 아미노산의 일종인 감마아미노부틸산(gamma-aminobutyric acid(GABA))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황기를 고형분농도 50 ~ 70중 량%로 농축한 황기농축액이 상기 복합황금추출물에 5 ~ 10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덱스트린과 젖산은 감미증진 및 산미제(酸味劑)로서 첨가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덱스트린과 젖산은 복합황금추출물에 각각 8 ~ 12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숙성처리된 상기 반제품혼합물에 홍삼고추장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고추가루 6 ~ 10중량부와 물엿 35 ~ 50중량부와 소금 4 ~ 6중량부와 주정 2 ~ 4중량부가 첨가혼합되는데, 상기 고추가루와 물엿과 소금은 통상의 것이 사용되고 상기 주정(酒精)은 홍삼고추장의 방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순도 95 ~ 99중량%의 식용 에탄올로 된 주정이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홍삼고추장을 비빔밥용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홍삼고추장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 100mesh로 분쇄된 페이스트상태의 마늘페이스트 2.5 ~ 4.5중량부와, 대두유 2.5 ~ 4.5중량부와, 참깨 0.2 ~ 0.8중량부와, 허브향 0.2 ~ 0.8중량부가 추가적으로 첨가되어 매콤하면서도 고소한 맛과 향을 지닌 비빔밥용 홍삼고추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모든 재료들이 첨가혼합된 홍삼고추장은 60 ~ 70℃로 가온하고 20 ~ 60분간 유지하여 살균처리하게 되고 살균처리된 제품은 포장용기에 충진되어 제품화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 실시예 1 >
증숙 및 제국처리된 소맥분 4중량부와 증숙된 쌀 4.5중량부와 생홍고추를 50mesh로 분쇄한 홍고추페이스트 5중량부와 정제수 3중량부와 소금 2중량부와 50mesh로 분쇄된 수분함량 80중량%의 홍삼박 1.5중량부를 혼합하고 2개월간 20℃에서 숙성처리하여 반제품혼합물을 제조하며, 숙성처리된 상기 반제품혼합물 20중량부에 대하여 50mesh로 분쇄된 수분함량 80중량%의 홍삼박 9중량부와 홍삼농축액 1중량부와 복합황금추출물 0.5중량부와 고추가루 8중량부와 물엿 45중량부와 소금 5중량부와 주정 3중량부를 혼합하고 65℃로 30분간 살균처리하여 홍삼고추장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
증숙 및 제국처리된 소맥분 4중량부와 증숙된 쌀 6중량부와 생홍고추를 50mesh로 분쇄한 홍고추페이스트 5중량부와 정제수 3중량부와 소금 2중량부를 혼합하고 2개월간 20℃에서 숙성처리하여 반제품혼합물을 제조하며, 숙성처리된 상기 반제품혼합물 20중량부에 대하여 50mesh로 분쇄된 수분함량 80중량%의 홍삼박 10중량부와 홍삼농축액 1중량부와 복합황금추출물 0.5중량부와 고추가루 8중량부와 물엿 45중량부와 소금 5중량부와 주정 3중량부를 혼합하고 65℃로 30분간 살균처리하여 홍삼고추장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
실시예 1의 숙성처리된 상기 반제품혼합물 20중량부에 대하여 50mesh로 분쇄된 페이스트상태의 마늘페이스트 3.5중량부와, 대두유 3.5중량부와, 참깨 0.5중량부와, 허브향 0.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첨가하여 비빔밥용 홍삼고추장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
종래 전통방법에 따라 찹쌀을 이용하여 고추장을 제조하고 상기 고추장에 홍삼분말을 첨가혼합한 시판 홍삼고추장(제품명 : 장수 홍삼고추장, 제조원 : 이순옥, 대한민국 전남 장수군)을 구입하여 비교예로 채택하였다.
< 관능평가 >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홍삼고추장과 비교예의 홍삼고추장을 이용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10 ~ 60대 남녀 각 5명씩 총 60명의 평가대상자를 선정하고, 맛, 향기, 취식감에 관하여 평점을 1점(매우 나쁘다) ~ 10점(매우 좋다) 사이에서 평가하도록 하는 10점 평점법을 사용하여 5회씩 관능평가하고 각 평균값을 < 표 1 > 에 나타내었다.
< 표 1 >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관능평가 결과




향기

취식감

종합평가

실시예 1

9.2

9.3

9.4

9.3

실시예 2

8.4

8.9

8.5

8.6

실시예 3

9.4

9.6

9.4

9.5

비교예

6.3

7.6

6.2

6.7
상기 < 표 1 >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 내지 3의 홍삼고추장은 비교예의 홍삼분말을 고추장에 단순 혼합한 홍삼고추장보다 맛과 향 및 취식감이 전체적으로 월등하였으며, 또한 실시예 1의 홍삼고추장은 반제품혼합물에 홍삼박을 1차적으로 혼합한 후 숙성처리한 것이어서 실시예 2의 홍삼고추장보다 홍삼박 특유의 맛과 향이 고추장과 은은하게 어우러져 그 맛과 향이 보다 우수하고 높은 취식감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실시예 3의 비빔밥용 홍삼고추장의 경우 매콤하면서 고소한 감칠맛과 함께 홍삼박 특유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어 밥에 비벼먹을 경우 밥맛을 한층 더 증가시켜 주면서 감칠맛을 나타내는 작용을 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비교예의 홍삼고추장은 단순 첨가된 홍삼분말로부터의 홍삼향만 느껴질 뿐 홍삼과 고추장이 어우러져 숙성된 맛과 향은 거의 느낄 수 없고 일반적인 취 식감을 나타내었으며 밥에 비벼먹을 경우에도 밥과 잘 어우러지지 못하고 일반적인 고추장과 비슷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Claims (10)

  1. 증숙 및 제국처리된 소맥분 2.6 ~ 5.6중량부와, 증숙된 쌀 2.6 ~ 6.6중량부와, 생홍고추를 분쇄한 홍고추페이스트 4 ~ 8중량부와, 정제수 1.8 ~ 4.8중량부와, 소금 0.8 ~ 3.8중량부와, 수분함량 70 ~ 95중량%의 분쇄된 홍삼박 0.5 ~ 3중량부를 혼합하고 숙성처리하여 반제품혼합물을 제조하며, 숙성처리된 상기 반제품혼합물 12.3 ~ 31.8중량부에 대하여 수분함량 70 ~ 95중량%의 분쇄된 홍삼박 7 ~ 15중량부와, 홍삼농축액 0.1 ~ 3중량부와, 황금농축액과 감초농축액과 대추농축액과 황기농축액과 덱스트린과 젖산이 혼합된 복합황금추출물 0.1 ~ 2중량부와, 고추가루 6 ~ 10중량부와, 물엿 35 ~ 50중량부와, 소금 4 ~ 6중량부와, 주정 2 ~ 4중량부를 혼합하고 살균처리하여 홍삼고추장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을 주재로 한 홍삼고추장.
  2. 증숙 및 제국처리된 소맥분 2.6 ~ 5.6중량부와, 증숙된 쌀 4 ~ 8중량부와, 생홍고추를 분쇄한 홍고추페이스트 4 ~ 8중량부와, 정제수 1.8 ~ 4.8중량부와, 소금 0.8 ~ 3.8중량부를 혼합하고 숙성처리하여 반제품혼합물을 제조하며, 숙성처리된 상기 반제품혼합물 13.2 ~ 30.2중량부에 대하여 수분함량 70 ~ 95중량%의 분쇄된 홍삼박 8 ~ 18중량부와, 홍삼농축액 0.1 ~ 3중량부와, 황금농축액과 감초농축액과 대추농축액과 황기농축액과 덱스트린과 젖산이 혼합된 복합황금추출물 0.1 ~ 2중량부와, 고추가루 6 ~ 10중량부와, 물엿 35 ~ 50중량부와, 소금 4 ~ 6중량부와, 주정 2 ~ 4중량부를 혼합하고 살균처리하여 홍삼고추장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을 주재로 한 홍삼고추장.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홍고추페이스트와 홍삼박은 각각 10 ~ 100mesh로 분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을 주재로 한 홍삼고추장.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황금추출물은 고형분농도 50 ~ 70중량%의 황금농축액 30 ~ 42중량%와, 고형분농도 50 ~ 70중량%의 감초농축액 20 ~ 32중량%와, 고형분농도 50 ~ 70중량%의 대추농축액 6 ~ 12중량%와, 고형분농도 50 ~ 70중량%의 황기농축액 5 ~ 10중량%와, 덱스트린 8 ~ 12중량%와 젖산 8 ~ 12중량%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을 주재로 한 홍삼고추장.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농축액은 고형분농도 60 ~ 70중량%로 농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을 주재로 한 홍삼고추장.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고추장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 100mesh로 분쇄된 페이스트상태의 마늘페이스트 2.5 ~ 4.5중량부와, 대두유 2.5 ~ 4.5중량부와, 참깨 0.2 ~ 0.8중량부와, 허브향 0.2 ~ 0.8중량부가 첨가되어 비빔밥용 홍삼고추장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을 주재로 한 홍삼고추장.
  7. 증숙 및 제국처리된 소맥분 2.6 ~ 5.6중량부와, 증숙된 쌀 2.6 ~ 6.6중량부와, 생홍고추를 10 ~ 100mesh로 분쇄한 홍고추페이스트 4 ~ 8중량부와, 정제수 1.8 ~ 4.8중량부와, 소금 0.8 ~ 3.8중량부와, 10 ~ 100mesh로 분쇄된 수분함량 70 ~ 95중량%의 홍삼박 0.5 ~ 3중량부를 혼합하고 1 ~ 3개월간 5 ~ 30℃에서 숙성처리하여 반제품혼합물을 제조하며, 숙성처리된 상기 반제품혼합물 12.3 ~ 31.8중량부에 대하여 10 ~ 100mesh로 분쇄된 수분함량 70 ~ 95중량%의 홍삼박 7 ~ 15중량부와, 고형분농도 60 ~ 70중량%의 홍삼농축액 0.1 ~ 3중량부와, 황금농축액과 감초농축액과 대추농축액과 황기농축액과 덱스트린과 젖산이 혼합된 복합황금추출물 0.1 ~ 2중량부와, 고추가루 6 ~ 10중량부와, 물엿 35 ~ 50중량부와, 소금 4 ~ 6중량부와, 주정 2 ~ 4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60 ~ 70℃로 가온하고 20 ~ 60분간 살균처리하여 홍삼고추장으로 제조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을 주재로 한 홍삼고추장의 제조방법.
  8. 증숙 및 제국처리된 소맥분 2.6 ~ 5.6중량부와, 증숙된 쌀 4 ~ 8중량부와, 생홍고추를 10 ~ 100mesh로 분쇄한 홍고추페이스트 4 ~ 8중량부와, 정제수 1.8 ~ 4.8중량부와, 소금 0.8 ~ 3.8중량부를 혼합하고 1 ~ 3개월간 5 ~ 30℃에서 숙성처리하여 반제품혼합물을 제조하며, 숙성처리된 상기 반제품혼합물 13.2 ~ 30.2중량부에 대하여 10 ~ 100mesh로 분쇄된 수분함량 70 ~ 95중량%의 홍삼박 8 ~ 18중량부와, 고형분농도 60 ~ 70중량%의 홍삼농축액 0.1 ~ 3중량부와, 황금농축액과 감초농축액과 대추농축액과 황기농축액과 덱스트린과 젖산이 혼합된 복합황금추출물 0.1 ~ 2중량부와, 고추가루 6 ~ 10중량부와, 물엿 35 ~ 50중량부와, 소금 4 ~ 6중량부와, 주정 2 ~ 4중량부를 혼합한 다음 60 ~ 70℃로 가온하고 20 ~ 60분간 살균처리하여 홍삼고추장으로 제조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을 주재로 한 홍삼고추장의 제조방법.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황금추출물은 고형분농도 50 ~ 70중량%의 황금농축액 30 ~ 42중량%와, 고형분농도 50 ~ 70중량%의 감초농축액 20 ~ 32중량%와, 고형분농도 50 ~ 70중량%의 대추농축액 6 ~ 12중량%와, 고형분농도 50 ~ 70중량%의 황기농축액 5 ~ 10중량%와, 덱스트린 8 ~ 12중량%와 젖산 8 ~ 12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을 주재로 한 홍삼고추장의 제조방법.
  10.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고추장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 100mesh로 분쇄된 페이스트상태의 마늘페이스트 2.5 ~ 4.5중량부와, 대두유 2.5 ~ 4.5중량부와, 참깨 0.2 ~ 0.8중량부와, 허브향 0.2 ~ 0.8중량부를 첨가하여 비빔밥용 홍삼고추장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박을 주재로 한 홍삼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20080138182A 2008-12-31 2008-12-31 홍삼박을 주재로 한 홍삼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156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182A KR101156661B1 (ko) 2008-12-31 2008-12-31 홍삼박을 주재로 한 홍삼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182A KR101156661B1 (ko) 2008-12-31 2008-12-31 홍삼박을 주재로 한 홍삼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646A KR20100079646A (ko) 2010-07-08
KR101156661B1 true KR101156661B1 (ko) 2012-06-14

Family

ID=42640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182A KR101156661B1 (ko) 2008-12-31 2008-12-31 홍삼박을 주재로 한 홍삼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6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595B1 (ko) 2020-08-25 2021-06-16 김동열 무증자 찹쌀의 발효와 흰목이 버섯 자실체를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095B1 (ko) * 2011-07-20 2013-07-10 김태숙 흑홍삼이 함유된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홍삼이 함유된 고추장
KR101407892B1 (ko) * 2013-09-13 2014-06-16 윤석탁 생홍고추 와 고춧가루를 이용한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1657194B1 (ko) * 2014-07-22 2016-09-19 윤석탁 생홍고추와 토마토 농축액을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7502A (ko) * 1989-05-18 1990-12-19 원종성 인삼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0447609B1 (ko) * 2002-02-26 2004-09-07 주식회사 해찬들 홍삼고추장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044598A (ko) * 2005-10-25 2007-04-30 구성학 발효된 인삼을 이용한 고추장 및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7502A (ko) * 1989-05-18 1990-12-19 원종성 인삼 고추장의 제조방법
KR100447609B1 (ko) * 2002-02-26 2004-09-07 주식회사 해찬들 홍삼고추장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044598A (ko) * 2005-10-25 2007-04-30 구성학 발효된 인삼을 이용한 고추장 및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595B1 (ko) 2020-08-25 2021-06-16 김동열 무증자 찹쌀의 발효와 흰목이 버섯 자실체를 이용한 고추장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646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16625B (zh) 一种大麦型仔猪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082289A (zh) 一种紫薯黑米膨化食品的制备方法
KR102134615B1 (ko) 한방치킨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해 제조된 치킨
KR101156661B1 (ko) 홍삼박을 주재로 한 홍삼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KR102042798B1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CN107223846A (zh) 一种适合中老年人的杂粮保健粉
CN104187378A (zh) 一种降糖保健面条及其制备方法
KR102092787B1 (ko)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3979B1 (ko) 닭갈비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551241B1 (ko) 고추장 잼 및 그 제조방법
KR101135249B1 (ko) 풋고추 및 마를 이용한 고추장
CN104585628A (zh) 一种玉米肽全谷物速食面及其加工工艺
KR102082115B1 (ko) 굼벵이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20170114387A (ko) 산양삼 연잎밥의 제조방법
KR101003463B1 (ko)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효능을 갖는 청국장 환(丸)의 제조방법
CN104872260A (zh) 一种含肉桂油的低糖栗子夹心饼及其制作方法
CN105380114A (zh) 一种辣木黄豆丝及其制作工艺
KR20060129627A (ko) 생식식품의 제조방법
KR100377480B1 (ko) 녹차압맥의 제조방법
KR102539641B1 (ko) 천연 산야초를 이용한 칼국수와 그의 제조방법
KR20050111460A (ko) 견과류가 함유된 호떡반죽물 및 그호떡반죽물을 이용한호떡 제조방법
KR20200112527A (ko) 항균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06938B1 (ko) 천연 산야초를 이용한 수제비와 그의 제조방법
KR102464983B1 (ko) 다이어트용 면 및 그 제조방법
KR102643302B1 (ko) 동결건조 청국장과 강황 및 유기 게르마늄을 포함하는 즉석죽용 식품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