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512B1 -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 및 그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 및 그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512B1
KR101156512B1 KR1020110099893A KR20110099893A KR101156512B1 KR 101156512 B1 KR101156512 B1 KR 101156512B1 KR 1020110099893 A KR1020110099893 A KR 1020110099893A KR 20110099893 A KR20110099893 A KR 20110099893A KR 101156512 B1 KR101156512 B1 KR 101156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angular pin
sliding block
slide core
lea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태문
Original Assignee
황태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태문 filed Critical 황태문
Priority to KR1020110099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3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for obtaining an insulating effect, e.g. for electrical components
    • B29C45/14655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for obtaining an insulating effect, e.g. for electrical components connected to or mounted on a carrier, e.g. lead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러쉬 홀더, 커넥터, 모터 엔드벨 등과 같이 리드 프레임(lead frame)을 인서트 사출성형하여 제품을 형성하기 위한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 및 그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10)는 앵귤러 핀(50)이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블록(20)에 형성되는 가이딩 홀(26)이 슬라이드 코어(22)의 반대측으로 개구되도록 하고, 이 가이딩 홀(26)의 개구측으로 앵귤러 핀(50)이 삽입되어 걸림 유니트(40)에 의해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형이 하형으로부터 분리될 때 앵귤러 핀(50)에 의해 슬라이딩 블록(20)이 바깥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슬라이드 코어를 밀어 넣어 리드 프레임을 고정시킨 후, 상형이 닫히면서 앵귤러 핀이 슬라이드 코어를 지지하게 되므로, 종래 슬라이드 코어의 작동시 발생되는 리드 프레임의 위치 변동 및 리드 프레임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 및 그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SLIDE CORE APPARATUS FOR INJECTION MOL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NSERT MOLDING WITH LEAD FRAME USING IT}
본 발명은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 및 그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브러쉬 홀더, 커넥터, 모터 엔드벨 등과 같이 리드 프레임(lead frame)을 인서트 사출성형하여 제품을 형성할 때 슬라이드 코어의 닫힘시 리드 프레임의 위치가 변동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 및 그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발전기, 에어펌프, 시트, 윈도우, 선-루프 및 와이퍼 등을 구동시키기 위해 직류모터가 적용되고 있다. 또한, 엔진과 벨트로 연결되어 발전을 행함으로서 소모된 배터리 전원을 충전시켜주고 다른 전장품으로 작동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자동차용 교류발전기(Alternator)가 적용되고 있다.
이때, 직류모터와 교류발전기 등에는 모터 엔드벨(motor endbell)로 지칭되는 부품이 있는데, 이 엔드벨은 회전자의 축(rotor shaft)을 받쳐주는 베어링이 결합되어 다른 구성부재들이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엔드벨의 양측에 회전하는 정류자에 전류를 흘려주는 접촉물로써 브러쉬가 고정되는 브러쉬 홀더(brush holder)가 결합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76297호 "모터 엔드벨의 브러쉬 홀더 고정구조"는 모터 회전자의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비롯한 회전자 축상에서 회전하는 정류자에 접촉되는 브러쉬가 장착되는 통상의 엔드벨 브러쉬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엔드벨의 중앙 양측부에 사각 통공으로 구성되어 내주면 상,하부로 단턱부가 구비된 홀더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 고정구에 사각함체형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브러쉬가 삽입 고정된 브러쉬 고정부와 그 하부로 한 쌍이 평행하게 연장형성되어 각 단부측에 걸림구가 구비된 협지편으로 이루어진 브러쉬 홀더가 삽입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모터 엔드벨의 브러쉬 홀더 고정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4-0055062호 "자동차 교류발전기용 브러쉬어셈블리"는 로터샤프트의 슬립링과 탄성접속하여 외부 전장계와 전기적 결선을 수행하도록 브러쉬홀더 내에서 스프링으로 탄발하면서 상기 슬립링의 축중심에 대하여 가압하며, 결선을 위한 와이어가 일측단에 고정되는 와이어드브러쉬를 가지고 슬립링가이드를 선택적으로 일체로 가지는 자동차 교류발전기용 브러쉬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어셈블리의 와이어드브러쉬가 수납되는 브러쉬홀더의 브러쉬홀더바디는 공간적으로 분리된 한쌍의 채널이 길이방향으로 연통하여 일체로하되 브러쉬채널은 하측 와이어채널은 상층의 복층으로 형성되는 브러쉬채널과 와이어채널이 분리되어 한 쌍 형성되고, 상기 브러쉬채널에 수용되는 브러쉬는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면서 그 수용단부에서 상기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결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한편,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브러쉬 홀더(3") 및 커넥팅 소켓(3')과 같은 다른 구성품이 함께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모터 엔드벨(1)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모터 엔드벨(1)은 사출공정을 통해 전원을 전송 및 제어하기 위한 리드 프레임(2; lead frame)상에 합성수지 소재의 몸체(3)가 코팅되도록 하여 형성된다. 이때, 기판(2)은 브러쉬 홀더(3")에 결합되는 브러쉬(도시 않음)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브러쉬 단자(2") 및 외부의 전기단자와 접속되는 커넥팅 단자(2')를 갖는데, 이와 같은 브러쉬 단자(2") 및 커넥팅 단자(2')는 전기적인 접촉을 위해 합성수지에 의해 덮이지 않고 기판 형태로 반드시 노출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모터 엔드벨(1)의 제조는 상형과 하형으로 이루어지고, 상형과 하형이 형합되었을 때 성형공간(cavity)을 형성하는 금형을 사용하는 사출성형방법이 적용된다. 여기서, 상형과 하형이 형합되기 전에 성형공간에 리드 프레임(2)을 넣고, 융용된 합성수지를 충진(injection)시킨 후, 냉각시켜 금형으로부터 취출하므로써 최종적인 모터 엔드벨(1)을 얻게 된다.
이때, 모터 엔드벨(1)은 그 구조적인 특징과, 상형과 하형이 수직방향으로 열고 닫히는 사출금형의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해 사출금형의 형합 방향과 다른 방향을 갖는 커넥팅 소켓(3')과 브러쉬 홀더(3")의 성형은 슬라이드 코어(slide core)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 코어와 관련된 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82818호 "이중 각도의 언더컷 빼기용 슬라이드코어 구조", 제10-0838787호 "인서트사출용 슬라이드코어조립체와 이를 구비한금형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인서트사출방법", 및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012383호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인서트사출물의제조방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드 코어는 개별적으로 제조되는 브러쉬 홀더와 커넥터 및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이 복합적으로 설치되는 모터 엔드벨(1)과 같이 리드 프레임이 적용되는 경우, 성형시 슬라이드 코어의 움직임에 의해 리드 프레임(2)의 전체적인 위치가 변동되거나 브러쉬 단자(2")와 커넥팅 단자(2')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발생시켜 높은 제품 불량율을 갖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상술한 모터 엔드벨(1)의 사출공정은 상형과 하형이 형합되기 전에 리드 프레임(2)을 성형공간(cavity)에 놓고, 상형과 하형이 형합되는 과정에서 슬라이드 코어의 작동에 의해 브러쉬 홀더(3")와 커넥팅 소켓(3')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면서 브러쉬 단자(2")와 커넥팅 단자(2')가 합성수지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사출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슬라이드 코어는 하형과 형합되기 위해 닫히는 상형에 의해 작동되는데, 이 과정에서 진동과 흔들림에 의해 리드 프레임(2)이 전체적으로 움직이거나, 리드 프레임(2)의 제품 공차, 슬라이드 코어의 조립 및 작동 공차, 상형과 하형의 조립 및 작동 공차 등으로 인해 슬라이드 코어에 의해 브러쉬 단자(2")와 커넥팅 단자(2')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리드 프레임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인서트를 적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작업자의 준비시간이 길어져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브러쉬 홀더, 커넥터, 모터 엔드벨 등과 같이 리드 프레임(lead frame)을 인서트 사출성형하여 제품을 형성할 때 슬라이드 코어의 닫힘시 리드 프레임의 위치가 변동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제품 성형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 및 그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시 발생되는 언더컷(under-cut)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슬라이드 코어를 개선하여 리드 프레임과 같이 변형 또는 손상되기 쉬운 인서트(insert)의 불량요인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 및 그를 사용한 리드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형과 하형의 형합에 의해 형성되는 성형공간(cavity)내에 합성수지를 충진시켜 제품이 성형되도록 하는 사출금형용 슬라이더 코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형에 설치되는 앵귤러 핀(50; angular pin) 및; 상기 하형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형과 하형이 형합된 후 상기 상형이 상기 하형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앵귤러 핀(50)에 의해 상기 성형공간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 블록(20)을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블록(20)은 상기 성형공간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드 코어(22)의 반대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앵귤러 핀(50)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딩 홀(26)을 갖는 몸체(24) 및, 상기 몸체(24)에 결합되되, 상기 상형과 하형이 형합될 때 상기 앵귤러 핀(50)이 개구측을 통해 상기 가이딩 홀(26)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상형이 상기 하형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앵귤러 핀(50)이 걸림되어 상기 슬라이딩 블록(20)이 바깥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걸림 유니트(4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에서 상기 앵귤러 핀(50)은 바깥방향의 양측에 아래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딩 홈(56)을 갖고, 상기 걸림 유니트(40)는 상기 상형과 하형이 형합되었을 때 상기 앵귤러 핀(50)의 가이딩 홈(56)에 위치되어 상기 앵귤러 핀(50)에 걸림되도록 상기 가이딩 홀(26)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탄성적으로 상기 가이딩 홀(26)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런저(42; plunger)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형과 하형으로 이루어지는 성형공간에 리드 프레임(2)을 넣고, 슬라이딩 블록(20)과 앵귤러 핀(50; angular pin)을 구비하는 슬라이드 코어 장치를 작동시키면서 합성수지를 충진시켜 이루어지는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를 사용한 모터 엔드벨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20)이 닫힌 후, 상기 상형과 하형이 형합되었을 때 상기 앵귤러 핀(50)이 상기 슬라이딩 블록(20)에 결합되고, 상기 하형으로부터 상기 상형이 분리될 때 상기 앵귤러 핀(50)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블록(20)이 바깥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를 사용한 리드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20)은 작업자에 의해서 닫혀지고, 작업자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20)을 닫기 전에 상기 성형공간(cavity)에 리드 프레임(2)을 넣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 및 그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작업자가 슬라이드 코어를 밀어 넣어 리드 프레임을 고정시킨 후, 상형이 닫히면서 앵귤러 핀이 슬라이드 코어를 지지하게 되므로, 종래 슬라이드 코어의 작동시 발생되는 리드 프레임의 위치 변동 및 리드 프레임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리드 프레임의 위치 변동 및 변형 등으로 인한 사출불량을 줄이고, 생산효율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리드 프레임을 보호를 위해 별도의 인서트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작업자의 부담을 경감시킴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높은 생산효율을 가져갈 수 있다.
도 1은 리드 프레임을 인서트 사출성형하여 형성되는 모터 엔드벨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가 적용된 금형이 형합된 상태를 간략하게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더 코어 장치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의 일례로 도 1에서 보인 모터 엔드벨을 생산하기 위한 금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금형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에서 슬라이드 블록과 걸림 유니트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더 코어 장치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더 코어 장치(10)는 사출금형의 상형에 설치되는 앵귤러 핀(50; angular pin)과 하형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블록(20)을 구비하여, 일반적인 기술과 같이 상형과 하형의 형합에 의해 형성되는 성형공간(cavity)내에 합성수지를 충진시켜 제품이 성형되도록 한다. 이때, 슬라딩 블록(20)은 하형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형과 하형이 형합된 후 상형이 하형으로부터 분리될 때 앵귤러 핀(50)에 의해 성형공간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더 코어 장치(10)에서 슬라이딩 블록(20)은 몸체(24)와 걸림 유니트(40)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슬라이드 코어를 밀어 넣어 리드 프레임을 고정시킨 후, 상형이 닫히면서 앵귤러 핀(50)이 슬라이드 코어를 지지하게 되므로, 종래 슬라이드 코어의 작동시 발생되는 리드 프레임의 위치 변동 및 리드 프레임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슬라이딩 블록(20)의 몸체(24)는 성형공간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드 코어(22)의 반대측으로 개구되어 앵귤러 핀(50)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딩 홀(26)을 갖는다. 이때, 슬라이드 코어(22)는 다양한 구조로 몸체(24)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 슬라이드 코어(22)의 앞 부분에는 제품상에 빈 공간{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브러쉬 홀더와 커넥터가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하거나 리드 프레임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인서트가 결합된다. 물론, 간단한 구조의 경우 몸체(24)와 슬라이드 코어(22)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지만, 이와 같은 경우도 기능적으로 보았을 때, 본 발명에서 지칭되는 몸체(24)와 슬라이드 코어(22)의 분할된 기능을 갖게 되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 아래 있다 할 것이다.
한편, 걸림 유니트(40)는 몸체(24)에 결합되되, 상형과 하형이 형합될 때 앵귤러 핀(50)이 개구측을 통해 가이딩 홀(26)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형이 하형으로부터 분리될 때 앵귤러 핀(50)이 걸림되어 슬라이딩 블록(20)이 바깥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걸림 유니트(4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앵귤러 핀(50)과 연계되도록 구성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아래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10)는 앵귤러 핀(50)이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블록(20)에 형성되는 가이딩 홀(26)이 슬라이드 코어(22)의 반대측으로 개구되도록 하고, 이 가이딩 홀(26)의 개구측으로 앵귤러 핀(50)이 삽입되어 걸림 유니트(40)에 의해 걸리도록 함으로써 이형시(상형이 하형으로부터 분리될 때) 앵귤러 핀(50)에 의해 슬라이딩 블록(20)이 바깥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슬라이드 코어를 밀어 넣어 리드 프레임을 고정시킨 후, 상형이 닫히면서 앵귤러 핀이 슬라이드 코어를 지지하게 되므로, 종래 슬라이드 코어의 작동시 발생되는 리드 프레임의 위치 변동 및 리드 프레임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7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사출금형 및 사출기, 슬라이드 코어 장치, 리드 프레임, 인서트 사출 등 일반적인 사출금형과 관련된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적용하는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가 적용된 금형이 형합된 상태를 간략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더 코어 장치(10)는 성형제품에 언더컷(undercut)이 있어 슬라이드 코어를 사용하는 통상의 사출금형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와 같은 금형(100)은 파팅라인(P/L; parting line)을 기준으로 서로 나누어지는 상형(110)과 하형(12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형(110)과 하형(120)은 서로 맞대어졌을 때(형합되었을 때) 하나의 제품 성형을 위한 성형공간(cavity)이 형성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품이 성형된 후, 상형(110)과 하형(120)은 서로 분리(이형)되어 제품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금형(100)은 제품성형(사출성형)을 위하여 성형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 플레이트(114, 124)가 설치되고,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10)의 슬라이드 코어(22)의 인서트 부분이 성형공간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설치되게 된다. 이때, 앵귤러 핀(50)은 상형(110)에 설치되고, 슬라이딩 블록(20)은 하형(120)에 설치되어 형합시 앵귤러 핀(50)이 슬라이딩 블록(20)을 누르도록 하고, 이형시 앵귤러 핀(50)이 슬라이딩 블록(20)을 바깥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물론, 이와 같은 금형(100)에는 냉각수를 순환시키거나 가열을 위한 히팅 구조가 적용될 수 있고, 형합 및 이형을 위한 다양한 구성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10)에서 앵귤러 핀(50)은 상형(110)과 하형이 닫힐 때(형합될 때) 앵귤러 핀(50)이 슬라이딩 블록(20)의 몸체(20)의 가이딩 홀(26)에 삽입되면서 걸림 유니트의 플런저(42; plunger)에 걸리어 슬라이딩 블록(20)과 걸림상태가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더 코어 장치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의 일례로 도 1에서 보인 모터 엔드벨을 생산하기 위한 금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금형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10)는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브러쉬 홀더와 커넥팅 소켓이 동시에 설치되는 모터 엔드벨과 같은 제품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는 하나의 금형에 2개의 모터 엔드벨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한 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2개의 브러쉬 홀더와 2개의 커넥팅 소켓을 형성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코어 장치(10)가 4개 설치된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 코어 장치(10)는 성형공간에 리드 프레임(2; lead frame)이 놓인 후, 작업자에 의해 닫혀 커넥팅 단자(2')와 브러쉬 단자(2")를 지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에서 슬라이드 블록과 걸림 유니트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더 코어 장치(10)는 상형에 설치되는 앵귤러 핀(50)과 하형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블록(20)을 구비한다.
이때, 슬라딩 블록(20)은 하형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형과 하형이 형합된 후 상형이 하형으로부터 분리될 때 앵귤러 핀(50)에 의해 성형공간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슬라이딩 블록(20)은 성형공간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드 코어(22)의 반대측으로 개구되어 앵귤러 핀(50)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딩 홀(26)을 갖는 몸체(24)를 갖는다. 여기서 슬라이딩 블록(20)의 몸체(24)는 앵귤러 핀(50)과 결합관계를 가지면서 슬라이드 코어(22)의 작동을 위해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가이딩 홀(26)은 상면(32)으로부터 하면(34)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데, 슬라이드 코어(22)의 반대측인 바깥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면서 개구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앵귤러 핀(50)은 바형의 몸체(54)의 상단에 헤드(52)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데, 본 실시예는 바형의 몸체(54) 부분에 바깥방향의 양측에 아래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딩 홈(56)을 갖도록 한다.
한편, 슬라이딩 블록(20)의 몸체(22)에 설치되는 걸림 유니트(40)는 몸체(24)에 결합되되, 상형과 하형이 형합될 때 앵귤러 핀(50)이 개구측을 통해 가이딩 홀(26)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형이 하형으로부터 분리될 때 앵귤러 핀(50)이 걸림되어 슬라이딩 블록(20)이 바깥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걸림 유니트(40)는, 앵귤러 핀(50)과 연계되도록 구성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걸림 유니트(40)는 상형과 하형이 형합되었을 때 앵귤러 핀(50)의 가이딩 홈(56)에 위치되어 앵귤러 핀(50)에 걸림되도록 가이딩 홀(26)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탄성적으로 가이딩 홀(26)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런저(42; plunger)를 갖는다. 여기서, 플런저(42)는 다양한 방식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는 부품수를 줄이고, 조립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핀(46)에 의해 고정되는 코일 스프링(44)을 적용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10)에서 걸림 유니트(40)는 뒤측에 플랜지(43)를 갖는 플런저(42)와, 이 플런저(42)의 뒤측을 지지하도록 위치되는 코일 스프링(44), 플런저(42)와 코일 스프링(44)을 지지하는 스톱핀(46)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슬라이딩 블록(20)의 몸체(24)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즉, 슬라이딩 블록(20)의 몸체(24)에는 측면으로부터 가이딩 홀(26)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되, 플런저(42)가 플랜지(43)에 의해 걸림되는 조립홀(36)이 형성되고, 이 조립홀(36)을 가로질러 측면에 근접되는 위치에 핀홀(46)이 형성된다. 그리고, 조립홀(36)에는 플런저(42), 코일스프링(44) 순으로 삽입되고, 코일 스프링(44)의 뒷측은 핀홀(46)을 통해 결합되는 스톱핀(46)에 의해 받쳐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더 코어 장치(10)는 리드 프레임을 위한 별도의 인서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슬라이드 코어{슬라이딩 블록(20)}를 밀어 넣어 리드 프레임을 고정시킨 후, 상형이 닫히면서 앵귤러 핀(50)이 슬라이드 코어{슬라이딩 블록(20)}를 지지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형이 하형으로 결합될 때 앵귤러 핀(50)이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블록(20)의 몸체(22)에 형성되는 가이딩 홀(26)이 바깥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드 코어가 먼저 닫힌 후에도 앵귤러 핀(50)의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앵귤러 핀(50)이 가이드 홀(26)로 들어올 때는 앵귤러 핀(50)이 걸림 유니트(40)의 플런저(42)를 눌러 간격이 넓히게 되지만, 앵귤러 핀(50)이 가이드 홀(26)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플런저(42)가 앵귤러 핀(50)에 형성된 가이딩 홈(56)에 걸리게 되어 이형시 슬라이딩 블록(20)은 앵귤러 핀(50)에 의해 바깥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더 코어 장치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10)는 브러쉬 홀더, 커넥터, 모터 엔드벨 등과 같이 리드 프레임(lead frame)을 인서트 사출성형하여 제품을 형성할 때 슬라이드 코어의 닫힘시 리드 프레임의 위치가 변동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므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에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리드 프레임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인서트 사출성형은 회전 테이블(200)상에서 작업자에 의한 작업, 사출기의 작동에 의한 작업의 2영역으로 나누어지는데, 작업자는 테이블(200)의 일측에서 사출작업이 완료되어 이송된 하형(120)으로부터 제품을 취출하고 인서트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을 삽입시키게 되고, 테이블(200)이 회전되면 작업자가 리드 프레임을 삽입시킨 하형(120)은 상형(110)과 형합되는 위치로 이동되어 사출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종래에는 이와 같은 작업에서 슬라이딩 코어의 작동이 사출작업의 진행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가 리드 프레임을 삽입시키고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더 코어 장치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은 작업자가 슬라이드 코어를 밀어 넣어 리드 프레임을 고정시킨 후, 상형이 닫히면서 앵귤러 핀이 슬라이드 코어를 지지하게 되므로, 종래 슬라이드 코어의 작동시 발생되는 리드 프레임의 위치 변동 및 리드 프레임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 및 그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모터 엔드벨 2 : 리드 프레임
10 :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
20 : 슬라이딩 블록 22 : 슬라이딩 코어
24 : 몸체 26 : 가이딩 홀
40 : 걸림 유니트 42 : 플런저
50 : 앵귤러 핀 56 : 가이딩 홈

Claims (4)

  1. 삭제
  2. 상형과 하형의 형합에 의해 형성되는 성형공간(cavity)내에 합성수지를 충진시켜 제품이 성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형에 설치되는 앵귤러 핀(50; angular pin)과, 상기 하형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형과 하형이 형합된 후 상기 상형이 상기 하형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앵귤러 핀(50)에 의해 상기 성형공간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 블록(20)을 구비하는 사출금형용 슬라이더 코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20)은 상면(32)으로부터 하면(34)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기 성형공간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드 코어(22)의 반대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앵귤러 핀(50)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딩 홀(26)을 갖는 몸체(24) 및;
    상기 몸체(24)에 결합되되, 상기 상형과 하형이 형합될 때 상기 앵귤러 핀(50)이 개구측을 통해 상기 가이딩 홀(26)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상형이 상기 하형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앵귤러 핀(50)이 걸림되어 상기 슬라이딩 블록(20)이 바깥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걸림 유니트(40)를 포함하되;
    상기 앵귤러 핀(50)은 바깥방향의 양측에 아래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딩 홈(56)을 갖고,
    상기 걸림 유니트(40)는 상기 상형과 하형이 형합되었을 때 상기 앵귤러 핀(50)의 가이딩 홈(56)에 위치되어 상기 앵귤러 핀(50)에 걸림되도록 상기 가이딩 홀(26)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탄성적으로 상기 가이딩 홀(26)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런저(42; plung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
  3. 삭제
  4. 상형과 하형으로 이루어지는 성형공간에 리드 프레임(2)을 넣고, 슬라이딩 블록(20)과 앵귤러 핀(50; angular pin)을 구비하는 슬라이드 코어 장치를 작동시키면서 합성수지를 충진시켜 이루어지는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20)은 상면(32)으로부터 하면(34)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되 상기 성형공간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드 코어(22)의 반대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앵귤러 핀(50)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딩 홀(26)을 갖는 몸체(24) 및,
    상기 몸체(24)에 결합되되, 상기 상형과 하형이 형합될 때 상기 앵귤러 핀(50)이 개구측을 통해 상기 가이딩 홀(26)로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상형이 상기 하형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앵귤러 핀(50)이 걸림되어 상기 슬라이딩 블록(20)이 바깥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걸림 유니트(40)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블록(20)이 닫힌 후, 상기 상형과 하형이 형합되었을 때 상기 앵귤러 핀(50)이 상기 슬라이딩 블록(20)에 결합되고, 상기 하형으로부터 상기 상형이 분리될 때 상기 앵귤러 핀(50)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블록(20)이 바깥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슬라이딩 블록(20)은 작업자에 의해서 닫혀지고, 작업자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20)을 닫기 전에 상기 성형공간(cavity)에 리드 프레임(2)을 넣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
KR1020110099893A 2011-09-30 2011-09-30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 및 그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 KR101156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893A KR101156512B1 (ko) 2011-09-30 2011-09-30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 및 그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893A KR101156512B1 (ko) 2011-09-30 2011-09-30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 및 그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6512B1 true KR101156512B1 (ko) 2012-06-18

Family

ID=46688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893A KR101156512B1 (ko) 2011-09-30 2011-09-30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 및 그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51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633A (ko) 2014-12-09 2016-06-17 (주) 보쉬전장 파워 윈도우 모터용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의 금형 장치
CN106984791A (zh) * 2017-04-27 2017-07-28 深圳市品成金属制品有限公司 侧向抽芯压铸模具
KR101915791B1 (ko) 2017-09-04 2018-11-06 에스비에이테크(주) 이중사출 금형용 슬라이드 코어의 작동구조
KR20180121707A (ko) * 2017-04-28 2018-11-08 나산프라스틱 주식회사 상자 성형물의 손잡이 금형장치
KR102239342B1 (ko) 2020-08-12 2021-04-13 주식회사 에이앤티시스템 구조 개선된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사출 금형
KR102566365B1 (ko) * 2022-12-13 2023-08-11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트레이 적층시 높이차가 발생되도록 한 트레이 성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197U (ko) * 1997-08-28 1999-03-15 김영환 앵귤러 캠
JP2007144755A (ja) * 2005-11-28 2007-06-14 Citizen Electronics Co Ltd 射出成形金型のスライドコア開閉構造
JP2008221590A (ja) * 2007-03-13 200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射出成形金型および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197U (ko) * 1997-08-28 1999-03-15 김영환 앵귤러 캠
JP2007144755A (ja) * 2005-11-28 2007-06-14 Citizen Electronics Co Ltd 射出成形金型のスライドコア開閉構造
JP2008221590A (ja) * 2007-03-13 2008-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射出成形金型および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633A (ko) 2014-12-09 2016-06-17 (주) 보쉬전장 파워 윈도우 모터용 브러시 홀더 어셈블리의 금형 장치
CN106984791A (zh) * 2017-04-27 2017-07-28 深圳市品成金属制品有限公司 侧向抽芯压铸模具
KR20180121707A (ko) * 2017-04-28 2018-11-08 나산프라스틱 주식회사 상자 성형물의 손잡이 금형장치
KR101958400B1 (ko) 2017-04-28 2019-03-20 나산프라스틱 주식회사 상자 성형물의 손잡이 금형장치
KR101915791B1 (ko) 2017-09-04 2018-11-06 에스비에이테크(주) 이중사출 금형용 슬라이드 코어의 작동구조
KR102239342B1 (ko) 2020-08-12 2021-04-13 주식회사 에이앤티시스템 구조 개선된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사출 금형
KR102566365B1 (ko) * 2022-12-13 2023-08-11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트레이 적층시 높이차가 발생되도록 한 트레이 성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6512B1 (ko)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 및 그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
KR102178404B1 (ko)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성형 장치의 몰드의 고정 플레이트
US20100187918A1 (en) Split stator, motor, and split statior manufacturing method
JP7213725B2 (ja) 射出成形品成形用の金型装置、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
CN108582664A (zh) 一种自动的新型电磁式模具
WO2016075943A1 (ja) 成形金型、及び金型交換方法
CN109702968B (zh) 内滑块机构、连接器脱膜装置及其脱膜方法
JP5719425B2 (ja) 射出金型のアンダーカット取出し装置
JP4410192B2 (ja) 射出成形機
CN210940169U (zh) 一种摩托车新能源充电接头公母端子模具
CN209971413U (zh) 拼接式垫板注塑模具
KR100729809B1 (ko) 브러시 홀더
KR20100012383A (ko)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인서트사출물의제조방법
CN217346377U (zh) 一种插头注塑成型装置
KR100747791B1 (ko) 사출금형
KR920005552B1 (ko) 플라스틱사출성형용 금형모듀울조립체
KR102623079B1 (ko) 모터코어의 제조장치
CN216708187U (zh) 一种挂壁式充电盒底座模具
CN220883127U (zh) 供料设备
CN218965980U (zh) 一种注塑机用转盘机构、注塑机锁模机构、注塑机
CN217704518U (zh) 具有内抽芯的旋转抽芯结构
CN219835312U (zh) 一种应用于口红机的膏体脱模机构
CN210415288U (zh) 绝缘纸包塑骨架注塑模具
KR20110130698A (ko) 비접촉 회전이 가능한 인덱스 회전부재를 가지는 사출성형기
CN214448206U (zh) 一种模具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