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342B1 - 구조 개선된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사출 금형 - Google Patents

구조 개선된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사출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342B1
KR102239342B1 KR1020200101281A KR20200101281A KR102239342B1 KR 102239342 B1 KR102239342 B1 KR 102239342B1 KR 1020200101281 A KR1020200101281 A KR 1020200101281A KR 20200101281 A KR20200101281 A KR 20200101281A KR 102239342 B1 KR102239342 B1 KR 102239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block
hole
predetermined
ball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천
권영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앤티시스템
이재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앤티시스템, 이재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앤티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101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2Moulds having several axially spaced mould cavities, i.e. for making several separated articles
    • B29C2045/328Moulds having several axially spaced mould cavities, i.e. for making several separated articles having a movable mould plate between two fixed mould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29C2045/338Mould parts with combined axial and transversal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retractable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슬라이딩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 개선된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사출 금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 개선된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사출 금형은, 하부 금형에 소정 깊이 삽입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베이스블록; 상기 하부 금형에 설치되면서 상기 베이스블록의 양측을 따라 제1, 2 블록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가이드블록; 상기 제1, 2 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슬라이드블록; 상기 상부 금형에 고정 설치되면서 소정 각도로 경사진 설치공이 형성되는 고정블록; 하단이 소정 길이 하향 돌출되도록 상기 설치공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을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앵글러핀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블록에는, 상하로 소정 지름의 구멍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는, 저면에 볼이 장착된 볼플런저가 삽입되고, 상기 하부 금형 및 상기 베이스블록에는, 상기 볼플런저의 볼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슬라이딩 위치를 고정시키는 소정 깊이의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조 개선된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사출 금형{Injection Mold with Improved Structure Slide Core}
본 발명은 구조 개선된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사출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 금형에 있어서 상, 하부 금형의 밀착시 상부 금형의 앵글러 핀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드 코어의 구조가 개선된 사출 금형에 관한 것이다.
사출 금형에는 언더컷이 발생할 수 있는 부위의 성형을 위한 슬라이드 코어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슬라이드 코어는 일반적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앵글러핀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슬라이드 코어가 앵글러 핀에 의해 수평으로 슬라이딩 동작된 다음, 탄성 스프링 등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당초 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421817호의 금형 장치(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금형 장치는, 하부 고정부에 배치되는 하부 코어와, 상기 하부 코어에 대하여 상대 운동 가능하고, 상기 하부 코어와의 사이에 사출을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고 상부 플레이트에 배치되는 상부코어와, 상기 하부 코어에 수평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캐비티의 언더컷을 형성하는 슬라이드 코어, 및 상기 슬라이드 코어와 맞물림 체결 가능하고 상기 상부 코어에 배치되는 경사핀과 맞물림 상대 운동에 의하여 슬라이딩 가동 가능한 슬라이드 바디를 구비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맞물림 체결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체결부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슬라이딩 가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동 체결되고, 상기 슬라이드 체결부는, 상기 슬라이드 코어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단부 측을 수용 가능한 슬라이드 코어 체결부와,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향한 단부에 형성되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슬라이드 코어 체결부에 수용 가능한 슬라이드 바디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코어 체결부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 체결부의 일단을 수용할 수 있는 코어 체결 수용부와, 상기 코어 체결 수용부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드 바디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코어 체결 연장부와, 상기 코어 체결 연장부의 단부로 다른 코어 체결 연장부를 향하여 마주하여 돌출 형성되는 코어 체결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 바디 체결부는,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일단에서 상기 코어 체결 수용부에 수용 가능하게 돌출 연장 형성되는 체결 바디에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드 바디의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바디 체결 수용부와, 상기 슬라이드 바디 체결 수용부에 수용되는 슬라이드 바디 체결 탄성부와, 상기 슬라이드 바디 체결 탄성부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고 상기 코어 체결 걸림부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림 체결되는 슬라이드 바디 체결 로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금형 장치는 슬라이딩 동작을 위해 탄성 스프링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탄성 스프링은 반복 사용으로 인한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또한, 탄성 스프링의 변형으로 인해 슬라이드 바디가 원활하게 슬라이딩 동작되지 못하게 됨으로써 성형 후 제품이 상부 금형에 물린 상태가 되면서 성형제품의 배출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탄성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슬라이딩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사출 금형용 슬라이드 코어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1196521 B1 (2012. 10. 25.) KR 10-0849953 B1 (2008. 07. 28.) KR 10-0940804 B1 (2010. 01. 29.) KR 10-1156512 B1 (2012. 06. 08.) KR 10-1421817 B1 (2014. 07. 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출 금형의 슬라이드 코어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탄성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슬라이딩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 개선된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사출 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 개선된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사출 금형의 슬라이드 코어는, 하부 금형에 소정 깊이 삽입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베이스블록; 상기 하부 금형에 설치되면서 상기 베이스블록의 양측을 따라 제1, 2 블록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가이드블록; 상기 제1, 2 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슬라이드블록; 상기 상부 금형에 고정 설치되면서 소정 각도로 경사진 설치공이 형성되는 고정블록; 하단이 소정 길이 하향 돌출되도록 상기 설치공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을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앵글러핀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블록에는, 상하로 소정 지름의 구멍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구멍에는, 저면에 볼이 장착된 볼플런저가 삽입되고, 상기 하부 금형 및 상기 베이스블록에는, 상기 볼플런저의 볼이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의 슬라이딩 위치를 고정시키는 소정 깊이의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고정홈이 상기 하부 금형과 상기 베이스블록에 각각 형성되는 대신, 상기 베이스블록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1, 2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2 고정홈 사이에 소정 깊이를 가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홈이 가운데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1, 2 고정홈과 연결되는 단부가 낮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소정 지름을 가지는 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구멍의 상부 지름이 상대적으로 하부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드블록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지름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볼플런저가 삽입되며, 상기 볼플런저의 자중에 의해 슬라이드블록이 앵글러핀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슬라이딩 동작된 다음 무부하 상태로 위치 고정될 수 있고, 그 결과 탄성 스프링의 변형 등에 의한 슬라이드블록의 오동작을 구조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블록이 정확하게 슬라이딩 동작되게 되면서 성형 제품이 상부 금형에 물려 발생하는 배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 개선된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사출 금형의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코어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블록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블록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블록의 예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블록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블록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블록과 앵글러핀의 예를 보인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금형이 하부 금형에 밀착되어 슬라이드블록이 슬라이딩 동작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금형이 상승되어 슬라이드블록이 당초 위치로 복귀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블록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블록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탄성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슬라이딩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 개선된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사출 금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블록(10), 가이드블록(20), 슬라이드블록(30), 고정블록(40) 및 앵글러핀(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블록(10)은 하부 금형(1)에 소정 깊이 삽입 설치되어 후술되는 앵글러핀(50)의 하단이 삽입되는 소정 크기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베이스블록(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크기를 가지는 직사각형 모양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본체(11)와, 상기 블록본체(11)의 일측에 위치되어 후술되는 앵글러핀(50)이 삽입되는 소정 크기의 삽입홈(12) 및 상기 블록본체(11)의 타측 상면에 형성되어 후술되는 슬라이드블록(30)의 볼플런저(B)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소정 크기의 제1 고정홈(1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삽입홈(12)은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블록본체(11)의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이를 통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앵글러핀(50)이 상기 삽입홈(12)에 경사지게 삽입되더라도 삽입홈(12)의 내측에 부딪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 고정홈(13)은 소정 지름을 가지는 반구형 홈으로 형성되고, 이를 통해 볼플런저(B)의 저면에 구비되는 볼이 상기 제1 고정홈(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블록(30)에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볼플런저(B)의 볼이 제1 고정홈(13)에서 쉽게 빠져나와 슬라이드블록(30)이 슬라이딩 되게 된다.
이때 하부 금형(1)에는 제1 고정홈(13)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또 다른 고정홈(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슬라이드블록(30)이 슬라이딩 동작되는 것에 의해 블플런저(B)가 하부 금형(1)의 고정홈 또는 베이스블록(10)의 제1 고정홈(13)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블록(30)이 슬라이딩된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가이드블록(20)은 후술되는 슬라이드블록(30)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방향을 안내하면서 구성이 따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가이드블록(2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여 소정 간격 이격되는 제1, 2 블록(21, 22)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제1, 2 블록(21, 22)의 마주보는 일측면 하부에는 역"ㄱ"자 및 "ㄱ"자 모양의 가이드홈(21A, 22A)이 형성되며, 이러한 가이드홈(21A, 22A)에 후술되는 슬라이드블록(30)의 가이드돌기(33)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방향이 안내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블록(20)은 하부 금형(1)의 상면에 상기 하부 금형(1)에 소정 깊이 삽입 설치되는 베이스블록(10)을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하도록 볼트(도시하지 않음)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강건하게 고정 설치된다.
슬라이드블록(30)은 제1, 2 블록(21 22)을 통해 슬라이딩 위치가 안내되도록 하부 금형(1)의 상면에 설치되어 후술되는 앵글러핀(50)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슬라이드블록(3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슬라이드부(31)와, 상기 슬라이드부(3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32)와, 상기 슬라이드부(31)의 하부 양측을 따라 소정 폭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33)와, 상기 슬라이드부(31)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소정 지름의 관통공(34) 및 상기 가압부(32)와 관통공(34) 사이의 상기 슬라이드부(31)에 형성되면서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소정 지름의 구멍(35)을 포함한다.
이때 관통공(34)은 후술되는 앵글러핀(50)이 설치되는 기울기에 맞추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관통 형성되고, 상기 구멍(35)에는 저면에 소정 지름의 볼(도면부호 없음)이 설치되는 볼플런저(B)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볼플런저(B)의 볼이 베이스블록(10)의 상면과 하부 금형(1)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드블록(30)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하부 금형(1)에 형성되는 고정홈 또는 베이스블록(10)에 형성되는 제1 고정홈(13)에 볼이 위치되면 볼플런저(B)의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강되어 볼이 고정홈 또는 제1 고정홈(13)에 삽입되게 되고, 그 결과 슬라이드블록(30)이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슬라이딩 동작된 다음 앵글러핀(50)에 의한 추가적인 외력이 슬라이드블록(30)에 작용하지 않으면 슬라이딩된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이때 앵글러핀(50)에 의해 슬라이드블록(30)에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고정홈 또는 제1 고정홈(13)과 볼의 위치가 어긋나게 되면서 볼플런저(B)가 자연스럽게 구멍(35)을 따라 소정 거리 상승하게 되고, 이에 의해 슬라이드블록(30)의 위치 고정이 해제되어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구멍(35)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쪽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하부 쪽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소정 각도(A)의 테이퍼가 형성된 구멍(35)으로 변경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볼플런저(B)가 구멍(35)의 아래쪽에 위치될 때에는 볼플런저(B)의 외측면이 구멍(35)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위치가 유동되지 않고 고정되고, 볼플런저(B)가 구멍(35)의 위쪽으로 상승될수록 볼플런저(B)의 외측면과 구멍(35)의 내측면이 서로 이격되게 되면서 볼플런저(B)의 마찰 저항이 감소되게 된다. 이때 볼플런저(B)는 테이퍼의 각도(A)에 맞추어 테이퍼가 형성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멍(35)에 테이퍼가 형성되면 볼플런저(B)의 볼이 고정홈 또는 제1 고정홈(13)에 소정 깊이 삽입된 상태에서 앵글러핀(50)에 의해 작은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볼플런저(B)가 구멍(35)의 위쪽으로 더욱 쉽게 상승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슬라이드블록(30)이 정지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될 때 순간적으로 앵글러핀(50)과 볼플런저(B)의 볼에 각각 작용하는 부하가 감소되어 반복 사용에 따른 파손이 방지되고, 그 결과 슬라이드 코어(3)의 사용 수명이 향상되게 된다.
고정블록(40)은 상부 금형(2)의 저면에 설치되어 후술되는 앵글러핀(50)을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 설치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고정블록(4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를 가지는 사각 또는 직사각형 모양의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블록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진 소정 지름의 설치공(41)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41)의 상부 쪽에는 상대적으로 지름이 크게 형성된 걸림홈(4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블록(40)은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상부 금형(2)의 저면에 슬라이드블록(30)의 관통공(34) 위치에 맞추어 고정 설치된다.
앵글러핀(50)은 고정블록(40)을 통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고정 설치되어 슬라이드블록(30)의 관통공(34)에 관통 삽입되고, 이를 통해 슬라이드블록(30)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앵글러핀(50)은 도 10에 도시된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통 모양의 핀으로 이루어지면서 상단 부분에는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걸림돌기(51)가 형성되고, 이러한 앵글러핀(50)은 고정블록(40)의 설치공(41)에 삽입되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 고정되게 된다.
이때 앵글러핀(50)의 하단은 슬라이드블록(30)의 구멍(35)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블록(30)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것으로, 이 과정에서 구멍(35)과의 마찰 등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 지름의 라운드(도면부호 없음)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조 개선된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사출 금형이 사용되는 예에 따라 설명한다.
하부 금형(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블록(10), 가이드블록(20) 및 슬라이드블록(30)이 설치되고, 상부 금형(2)에는 고정블록(40) 및 앵글러핀(50)이 설치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금형(2)이 하부 금형(1)에 밀착되도록 소정 높이로 하강되고, 이에 의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러핀(50)의 하단이 슬라이드블록(30)의 관통공(34)에 삽입되면서 앵글러핀(50)과 관통공(34)의 경사 각도에 맞추어 슬라이드블록(30)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블록(30)의 가압부(32)가 하부 금형(1)의 가운데 쪽으로 이동되면서 하부 금형(1)의 고정홈에 볼플런저(B)의 볼이 삽입되고, 이를 통해 슬라이드블록(3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품이 성형되게 된다.
이후, 제품 성형이 완료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금형(2)이 소정 높이로 상승되고, 이에 의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러핀(50)이 관통공(34)을 따라 상승되면서 하강 동작시와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블록(30)을 슬라이딩 동작시키게 되고, 이를 통해 베이스블록(10)의 제1 고정홈(13)에 볼플런저(B)의 볼이 삽입되어 슬라이드블록(30)의 위치가 고정되며, 그 결과 가압부(32)가 하부 금형(1)에 위치된 성형 제품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되어 하부 금형(1) 상의 제품이 따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위에서는 상부 금형(2)의 하강시 볼플런저(B)가 하부 금형(1)의 고정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드블록(30)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블록(10)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다음, 소정 간격을 두고 제1, 2 고정홈(13, 14)이 각각 형성되고, 이를 통해 볼플런저(B)의 볼이 베이스블록(10)에 형성된 제1, 2 고정홈(13, 14)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2 고정홈(13, 14) 사이의 상기 베이스블록(10)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고정홈(13, 14)을 연결하도록 소정 깊이를 가지는 가이드홈(R)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홈(R)은 가운데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1, 2 고정홈(13, 14)과 연결되는 단부가 낮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소정 지름을 가지는 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앵글러핀(50)에 의해 작용하는 작은 외력에도 볼플런저(B)가 제1, 2 고정홈(13, 14) 사이를 더욱 쉽게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드블록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 지름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볼플런저가 삽입되며, 상기 볼플런저의 자중에 의해 슬라이드블록이 앵글러핀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소정 거리 슬라이딩 동작된 다음 무부하 상태로 위치 고정될 수 있고, 그 결과 탄성 스프링의 변형 등에 의한 슬라이드블록의 오동작이 구조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슬라이드블록이 정확하게 슬라이딩 동작되게 되면서 성형 제품이 상부 금형에 물려 발생하는 배출 불량이 방지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 하부 금형 2: 상부 금형
3: 슬라이드 코어 10: 베이스블록
11: 블록본체 12: 삽입홈
13: 제1 고정홈 14: 제2 고정홈
20: 가이드블록 21: 제1 블록
21A: 가이드홈 22: 제2 블록
22A: 가이드홈 30: 슬라이드블록
31: 슬라이드부 32: 가압부
33: 가이드돌기 34: 관통공
35: 구멍 40: 고정블록
41: 설치공 42: 걸림홈
50: 앵글러핀 51: 걸림돌기
A: 각도 B: 볼플런저
R: 가이드홈 S: 스토퍼

Claims (5)

  1. 하부 금형(1)과 상부 금형(2)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슬라이드 코어(3)가 설치된 사출 금형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3)는,
    상기 하부 금형(1)에 소정 깊이 삽입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베이스블록(10);
    상기 하부 금형(1)에 설치되면서 상기 베이스블록(10)의 양측을 따라 제1, 2 블록(21, 22)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가이드블록(20);
    상기 제1, 2 블록(21, 22)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되는 슬라이드블록(30);
    상기 상부 금형(2)에 고정 설치되면서 소정 각도로 경사진 설치공(41)이 형성되는 고정블록(40);
    하단이 소정 길이 하향 돌출되도록 상기 설치공(41)에 관통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30)을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앵글러핀(50);
    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블록(30)은,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슬라이드부(31);
    상기 슬라이드부(3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32);
    상기 슬라이드부(31)의 하부 양측을 따라 소정 폭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33);
    상기 슬라이드부(31)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소정 지름의 관통공(34); 및
    상기 가압부(32)와 관통공(34) 사이의 상기 슬라이드부(31)에 형성되면서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소정 지름의 구멍(35);
    을 포함하며,
    상기 구멍(35)에는,
    저면에 볼이 장착된 볼플런저(B)가 삽입되고,
    상기 베이스블록(10)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제1, 2 고정홈(13, 14)이 형성되며, 상기 볼플런저(B)의 볼이 상기 제1, 2 고정홈(13, 14)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30)의 슬라이딩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블록(10)은,
    소정크기를 가지는 직사각형 모양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블록본체(11); 및
    상기 블록본체(11)의 일측에 위치되어 후술되는 앵글러핀(50)이 삽입되는 소정 크기의 삽입홈(12);
    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12)은,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블록본체(11)의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상기 앵글러핀(50)이 상기 삽입홈(12)에 경사지게 삽입되더라도 상기 삽입홈(12)에 부딪치지 않도록 하며,
    상기 구멍(35)은,
    상부 지름이 상대적으로 하부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 테이퍼 구멍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플런저(B)는,
    상기 구멍(35)의 테이퍼 각도에 맞추어 테이퍼가 형성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플런저(B)가 상기 구멍(35)의 아래쪽에 위치될 때에는 상기 볼플런저(B)의 외측면이 상기 구멍(35)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유동되지 않게 되고, 상기 볼플런저(B)가 상기 구멍(35)의 위쪽으로 상승될수록 상기 볼플런저(B)의 외측면과 상기 구멍(35)의 내측면이 서로 이격되게 되면서 상기 볼플런저(B)의 마찰 저항이 감소되어 쉽게 상승되고,
    상기 제1 고정홈(13) 또는 제2 고정홈(14)의 위치에 상기 볼플런저(B)의 볼이 위치되면 자중에 의해 상기 볼플런저(B)가 하강되어 상기 볼플런저(B)의 볼이 상기 제1 고정홈(13) 또는 제2 고정홈(14)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된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사출 금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2 고정홈(13, 14) 사이의 상기 베이스블록(10)에는,
    상기 제1, 2 고정홈(13, 14)을 연결하도록 소정 깊이를 가지는 가이드홈(R)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된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사출 금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R)은,
    가운데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제1, 2 고정홈(13, 14)과 연결되는 단부가 낮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소정 지름을 가지는 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 개선된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사출 금형.
  5. 삭제
KR1020200101281A 2020-08-12 2020-08-12 구조 개선된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사출 금형 KR102239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281A KR102239342B1 (ko) 2020-08-12 2020-08-12 구조 개선된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사출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281A KR102239342B1 (ko) 2020-08-12 2020-08-12 구조 개선된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사출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342B1 true KR102239342B1 (ko) 2021-04-13

Family

ID=75482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281A KR102239342B1 (ko) 2020-08-12 2020-08-12 구조 개선된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사출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34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56438A (zh) * 2022-06-18 2022-09-16 浙江万超电器有限公司 模具的多滑块配合式抽芯结构
KR20220152034A (ko) 2021-05-07 2022-11-15 조윤장 사출 금형용 금형 블록 구조체
US20220412440A1 (en) * 2019-10-21 2022-12-29 Magna Exteriors Inc. Linear slide mechanism
KR102601462B1 (ko) * 2023-06-13 2023-11-13 (주)협화산업 롱부시 정렬 및 고정 기능을 갖는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
KR102614095B1 (ko) * 2022-10-24 2023-12-14 주식회사 엔닥 척추용 케이지 제조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271A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자동차의 자동변속기용 사분판
KR20040075499A (ko) * 2003-02-21 2004-08-30 김선기 몰드금형에서의 슬라이드코아 멈춤장치
KR100684354B1 (ko) * 2005-12-29 2007-02-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조립체의 슬라이드코어 록킹구조
KR100849953B1 (ko) 2007-06-29 2008-08-01 은성기연 주식회사 파팅 라인 개선을 위한 인로우가 설치된 슬라이드 코어를이용한 플라스틱 금형
KR100940804B1 (ko) 2007-09-11 2010-02-04 주식회사 신창전기 스위치 레버 제조용 2단 슬라이드 금형
KR101156512B1 (ko) 2011-09-30 2012-06-18 황태문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 및 그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
KR101196521B1 (ko) 2005-04-13 2012-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출금형에서의 슬라이드 구동 장치
KR101421817B1 (ko) 2012-11-09 2014-07-2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금형 장치
JP2017030331A (ja) * 2015-08-06 2017-02-09 株式会社ミスミ スライドコア装置
JP2019508277A (ja) * 2016-12-16 2019-03-28 ミレェ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Miretec Co., Ltd. 回転装置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271A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자동차의 자동변속기용 사분판
KR20040075499A (ko) * 2003-02-21 2004-08-30 김선기 몰드금형에서의 슬라이드코아 멈춤장치
KR101196521B1 (ko) 2005-04-13 2012-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출금형에서의 슬라이드 구동 장치
KR100684354B1 (ko) * 2005-12-29 2007-02-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조립체의 슬라이드코어 록킹구조
KR100849953B1 (ko) 2007-06-29 2008-08-01 은성기연 주식회사 파팅 라인 개선을 위한 인로우가 설치된 슬라이드 코어를이용한 플라스틱 금형
KR100940804B1 (ko) 2007-09-11 2010-02-04 주식회사 신창전기 스위치 레버 제조용 2단 슬라이드 금형
KR101156512B1 (ko) 2011-09-30 2012-06-18 황태문 사출금형용 슬라이드 코어 장치 및 그를 사용한 리드 프레임 인서트 몰딩의 제조방법
KR101421817B1 (ko) 2012-11-09 2014-07-2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금형 장치
JP2017030331A (ja) * 2015-08-06 2017-02-09 株式会社ミスミ スライドコア装置
JP2019508277A (ja) * 2016-12-16 2019-03-28 ミレェ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Miretec Co., Ltd. 回転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ME, DME Mold Components, DME, [online], 2011., [2020년 10월 14일 검색], 인터넷:<URL:https://www.turtle.com/ASSETS/DOCUMENTS/ITEMS/EN/DME_JSL0308SV_Brochure.pdf> 1부.* *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12440A1 (en) * 2019-10-21 2022-12-29 Magna Exteriors Inc. Linear slide mechanism
KR20220152034A (ko) 2021-05-07 2022-11-15 조윤장 사출 금형용 금형 블록 구조체
CN115056438A (zh) * 2022-06-18 2022-09-16 浙江万超电器有限公司 模具的多滑块配合式抽芯结构
CN115056438B (zh) * 2022-06-18 2023-11-28 浙江万超电器有限公司 模具的多滑块配合式抽芯结构
KR102614095B1 (ko) * 2022-10-24 2023-12-14 주식회사 엔닥 척추용 케이지 제조장치
KR102601462B1 (ko) * 2023-06-13 2023-11-13 (주)협화산업 롱부시 정렬 및 고정 기능을 갖는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342B1 (ko) 구조 개선된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사출 금형
KR100202751B1 (ko) 다단식 쐐기형 잭장치
KR101955311B1 (ko) 다단밀판장치를 갖는 사출금형
CA2492527A1 (en) Positioning device with bearing mechanism
KR100684354B1 (ko) 금형조립체의 슬라이드코어 록킹구조
CN112622206A (zh) 一种斜顶脱模机构
KR101815200B1 (ko) 코어 유니트
KR102275070B1 (ko) 인서트물 고정 구조가 구비된 사출 금형장치
JP2676986B2 (ja) 斜め打抜き型
KR102027476B1 (ko) 성형품의 변형 방지를 위한 상측 이젝팅 구조를 갖는 다이캐스팅 금형
KR102524313B1 (ko) 2단 작동구조를 가지는 사출 금형용 밀판 조립체
CN209995767U (zh) 一种床护栏的锁定结构
KR100988790B1 (ko) 슬라이드코어 어셈블리
KR100434163B1 (ko) 차량 정비용 리프트의 스윙 아암
JP4722025B2 (ja) 棚部材の位置調整支持装置
KR101955310B1 (ko) 언더컷 회피기능을 갖는 사출금형
KR102494506B1 (ko) 사출 금형용 금형 블록 구조체
KR102380527B1 (ko) 사출물 언더컷 처리 구조가 구비된 사출 금형장치
KR101918258B1 (ko) 내측 코어 유닛
JP3373550B2 (ja) アンダーカット処理型
KR102230555B1 (ko)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
CN218749096U (zh) 油缸止退机构及注塑模具
CN219466898U (zh) 一种注塑模具的二次顶出机构
CN217102597U (zh) 一种便于固定的导轨基座
KR0162999B1 (ko) 사출금형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