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1462B1 - 롱부시 정렬 및 고정 기능을 갖는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 - Google Patents

롱부시 정렬 및 고정 기능을 갖는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1462B1
KR102601462B1 KR1020230075240A KR20230075240A KR102601462B1 KR 102601462 B1 KR102601462 B1 KR 102601462B1 KR 1020230075240 A KR1020230075240 A KR 1020230075240A KR 20230075240 A KR20230075240 A KR 20230075240A KR 102601462 B1 KR102601462 B1 KR 102601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old block
long
long bush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5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준화
Original Assignee
(주)협화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협화산업 filed Critical (주)협화산업
Priority to KR1020230075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4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29C45/332Mountings or guides therefor; Drives therefor
    • B29C2045/336Cam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 B29C2045/338Mould parts with combined axial and transversal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retractable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개시된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은, 롱부시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안착되는 하부 금형 블록; 하강하여 상기 하부 금형 블록과 형합할 때. 상기 하부 금형 블록과 함께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가 성형되는 사출 성형 공간을 한정하는 상부 금형 블록; 및 상기 상부 금형 블록의 하강과 연동하여, 상기 롱부시의 양단을 흔들림 없이 고정하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각 고정유닛은 상기 하부 금형 블록의 양측면 각각에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의 슬라이딩면을 따라 전진 또는 후퇴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며,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롱부시의 양단부 각각에 삽입되는 코어핀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상부 금형 블록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코어를 전진 또는 후퇴 구동시키는 연동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롱부시 정렬 및 고정 기능을 갖는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Structure of an insert injection molding mold with long bushing alignment and fixation}
본 발명은 폭을 가로질러 길게 설치되어 양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금속 재질 롱부시(long bush)가 일체로 결합된 플라스틱 커버를 생산하기 위한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배터리셀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커버로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롱부시가 커버의 일측 폭을 가로지르도록 매립 설치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커버는 롱부시를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의 성형 공간 내에 인서트 한 후, 성형 공간 내로 수지를 주입하여 생산될 수 있다. 롱부시를 일체로 포함하는 커버를 인서트 사출 성성형으로 제작하는 것은 짧은 길이를 갖는 부시 도는 너트 등의 부품을 인서트 사출 셩형하는 것보다 어렵다.
롱부시를 일체로 갖는 커버 생산을 위한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은 로어 코어(lower core)로 칭해지는 하부 금형 블록에 롱부시를 안착하고, 금형 형폐시에 어퍼 코어(upper core)로 칭해지는 상부 금형이 슬라이드 사각홈에 캠구조로 습합하여 작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롱부시를 하부 금형 블록에 안착함에 있어서, 불완전한 안착이 있을 수 있으며, 종래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에 있어서는, 롱부시의 불완전한 안착이 있는 경우, 이를 수정하지 못하여, 롱부시의 위치 틀어짐 및 금형 구조 문제로 인한 긁힘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 기술에서 롱부시의 불완전한 안착이 생산성을 떨어뜨리고 제품 불량률을 높이는 것은 물론이고, 금형의 굵힘, 파손, 손상과 롱부시의 파손을 일으킨다.
따라서. 당해 기술분야에는 롱부시의 불완전한 안착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0-0007336(2000년 4월 25일 공개) 특허공개공보 10-2013-0107087(2013년 10월 1일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금속 재질의 롱부시의 양단에 슬아이딩식으로 끼워져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구비하며, 롱부시가 폭을 가로질러 길게 설치되어 양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금속 재질 롱부시(long bush)가 일체로 결합된 플라스틱 커버를 불량 없이 신뢰성 있게 생산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은, 롱부시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안착되는 하부 금형 블록; 하강하여 상기 하부 금형 블록과 형합할 때. 상기 하부 금형 블록과 함께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가 성형되는 사출 성형 공간을 한정하는 상부 금형 블록; 및 상기 상부 금형 블록의 하강과 연동하여, 상기 롱부시의 양단을 흔들림 없이 고정하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각 고정유닛은 상기 하부 금형 블록의 양측면 각각에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의 슬라이딩면을 따라 전진 또는 후퇴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며,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롱부시의 양단부 각각에 삽입되는 코어핀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상부 금형 블록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코어를 전진 또는 후퇴 구동시키는 연동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코어는 코어 본체와 상기 코어 본체에 결합된 채 전방으로 연장된 상기 코어핀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핀의 첨단부는 상기 롱부시의 중공홀 단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부분에서 상기 롱부시의 중공홀 단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단부까지 점진적으로 수렴하는 테이퍼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 코어는 코어 본체와 상기 코어 본체에 결합된 채 전방으로 연장된 상기 코어핀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 본체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면을 포함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후방에 형성된 채 후방으로 연장되며, 일정 각도 경사지게 윗면에서 아랫면으로 연장된 캠홀이 형성된 테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 구동부는 상기 상부 금형과 함께 하강하는 승강 블록 및 상기 승강 블록에 설치되며 상기 캠홀의 경사각에 상응하는 경사각으로 아래로 연장된 캠핀을 포함하며, 상기 캠핀이 상기 캠홀을 따라 하강 또는 상승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전진 또는 후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은 금속 재질의 롱부시의 양단에 슬아이딩식으로 끼워져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구비하며, 롱부시가 폭을 가로질러 길게 설치되어 양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금속 재질 롱부시(long bush)가 일체로 결합된 플라스틱 커버를 불량 없이 신뢰성 있게 생산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롱부시 정렬 및 고정 기능을 갖는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을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을 주요 부분을 절단하여 확대 도시한 부분 절개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고정유닛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의 고정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롱부시 정렬 및 고정 기능을 갖는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을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을 주요 부분을 절단하여 확대 도시한 부분 절개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고정유닛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의 고정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은 금속 재질, 더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 재질의 롱부시(2)가 일체로 결합된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미도시됨)를 인서트 사출 성형에 의해 생산하기 위한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이다. 롱부시(2)는 커버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연장되도록 커버의 폭을 가로지르도록 커버에 일체로 결합된다. 생산된 커버는 롱부시(2)의 일단부가 커버의 일측면에서 외부로 노출되고 롱부시(2)의 타단부가 커버의 타측면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은 몰드 베이스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코어들, 즉, 금형 블록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롱부시(2)가 미리 정해진 위치 각각에 평행하게 안착되는 하부 금형 블록(100)과, 아래로 하강하여 상기 하부 금형 블록(100)과 형합할 때. 상기 하부 금형 블록(100)과 함께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가 성형되는 사출 성형 공간을 한정하는 상부 금형 블록(200)과, 상기 상부 금형 블록(100)의 하강과 연동하여 상기 복수개의 롱부시(2) 각각을 흔들림 없이 고정하는 복수 쌍의 고정유닛(300)을 포함한다.
롱부시(2)는 사출 성형 전에 하부 금형 블록(100) 상의 정해진 위치에 안착된다. 롱부시(2)의 양단 부근이 하부 금형 블록(100)의 양측의 하부 홈부(120)에 안착된다. 상부 금형 블록(200)이 하강하여 하부 금형 블록(100)과 형합할 때, 상부 홈부(220)가 하부 홈부(120)와 만나 롱부시(2)를 헐겁게 유지하는 홀을 형성하지만, 이 홀이 롱부시(2)의 외경보다 커서, 이 상태에서는, 상기 홀이 롱부시(2)의 외경보다 크므로 롱부시(2)의 흔들림이나 이탈 가능성이 존재하는 불완전한 안착 상태이다. 이와 같은 불완전 안착은 금형 구조 문제로 인한 긁힘 및 위치 틀어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고정유닛(300)은 상부 금형 블록(200)의 하강과 연동하여 상부 금형 블록(200)과 하부 금형 블록(100)이 형합한 상태에서 롱부시(2)의 양단을 단단하고 신뢰성 있게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상부 금형 블록(100)과 하부 금형 블록(200) 사이의 성형 공간에는 롱부시(2)가 고정되는 한편 커버를 성형하는 플라스틱 수지가 주입된다.
상기 고정유닛(300)은 하부 금형 블록(100)의 양측면 각각에 형성된 한 쌍의 슬라이딩 가이드부(320)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320)의 슬라이딩면을 따라 전진 또는 후퇴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며,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롱부시(2)의 양단부 각각에 삽입되는 코어핀(342)을 포함하는, 한 쌍의 슬라이드 코어(340)와, 상부 금형 블록(200)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에 연동하여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코어(340)를 전진 또는 후퇴 구동시키는 연동 구동부(36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슬라이드 코어(34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전진하여 각각에 구비된 코어핀(342)이 롱부시(2)의 중공홀 양단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추후 수행된 인서트 사출 성형 과정에서 롱부시(2)의 흔들림을 신뢰성 있게 억제할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340)의 구성 설명에 있어서, 슬라이드 코어(340)가 전진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정의하고 슬라이드 코어(340)가 후퇴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정의한다.
슬라이드 코어(340) 각각은 코어 본체(341)와 상기 코어 본체(341)에 결합된 채 전방으로 연장된 코어핀(342)을 포함한다. 상기 코어핀(342)의 첨단부는 전방을 향해 점진적으로 수렴하는 테이퍼 구조로 형성되어 롱부시(2)의 중공홀 단부에 원활하게 삽입된 후 코어핀(342)이 완전히 전진한 상태에서는 롱부시(2)의 중공홀 단부를 완전히 막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은 코어핀(342)이 전진하기 전에 롱부시(2)가 약간 틀어져 있는 경우에도 코어핀(342)의 테이퍼진 구조의 첨단이 롱부시(2)의 위치를 코어핀(342)의 중심에 정렬시키면서 전진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코어 본체(341) 각각은 상기 코어핀(342)이 조립되는 홀을 전방면에 구비하며 하부에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320)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면을 포함하는 바디부(341A)와, 상기 바디부(341A)의 후방에 형성된 채 후방으로 연장된 대략 직사각형 단면의 테일부(341B)를 일체로 포함한다.
상기 테일부(341B)에는 일정 각도 경사지게 윗면에서 아랫면으로 연장된 캠홀(5)이 형성되며, 상기 캠홀(5)은 연동 구동부(360)와 협력하여 슬라이드 코어(340)를 전후로 구동시키는 여러 요소들 중 하나로 작용한다.
상기 코어 본체(340)의 바디부(341A)는 상기 코어 본체(340)의 테일부(341B)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341A)와 상기 테일부(341B)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전술한 슬라이딩 가이드부(320) 전단에는 상단으로 돌출되어 슬라이드 코어(340)가 최대 전진한 상태에서 코어 본체(341)의 전방면과 만나는 전방 스토퍼 벽이 형성되어 슬라이드 코어(340)의 최대 전진 위치를 제한한다.
상기 연동 구동부(360)는 승강 블록(361) 및 상기 승강 블록(361)에 설치되며 상기 캠홀(5)의 경사각에 상응하는 경사각으로 아래로 연장된 캠핀(365)을 포함한다. 상기 연동 구동부(360)는 상기 슬라이드 코어(340)가 완전히 후퇴된 위치에서 자신에 구비된 캠핀(365)이 상기 캠홀(5)의 내에 있도록 배치되며, 이 후퇴된 위치에서, 상기 캠핀(365)의 하강이 진행되면, 상기 캠홀(5)과 상기 캠핀(365)의 경사각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코어(340)가 전진하도록 해준다. 경사진 캠핀(365)이 같은 각도로 경사진 캠홀(5)에 삽입된 상태로 최대로 하강하면, 상기 슬라이드 코어(340)가 최대로 전진하여, 상기 슬라이드 코어(340)에 구비된 코어핀(342)의 첨단이 롱부쉬(2)의 중공홀 단부 삽입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코어핀(342)이 전방을 향해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작아지는 수렴형 형상을 가지므로, 롱부시(2)의 중공홀 단부에 코어핀(342)의 첨단이 원활하게 삽입되면서, 최종적으로는, 롱부시(2)를 정위치에 정렬한 상태로 고정시킨다. 이때, 한 쌍의 연동 구동부(360)가 한 쌍의 슬라이드 코어(340)를 동시에 구동한다.
도 5는 슬라이드 코어(340)가 작동하여 롱부시(2)를 고정하는 과정을 차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연동 구동부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먼저, 도 5의 (A) 및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슬라이드 코어(340)를 후퇴시킨 상태로 롱부시(2)를 하부 금형 블록(100) 상의 정해진 위치에 안착한다. 슬라이드 코어(340)의 후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금형 베이스(20; 도 1 내지 도 4 참조) 및 상부 금형 블록(200)과 함께 승강하는 승강 블록(361; 도 1 내지 도 4 참조)의 하부에 경사지게 설치된 캠핀(365)이 슬라이드 코어(340)의 테일부(341B)에 같은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캠홀(5) 간의 협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롱부시(2)가 하부 금형 블록(100) 상의 정해진 위치에 안착되면, 도 5의 (B) 및 5(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라이드 코어(340)가 도 5의 (B)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전진하여,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코어(340)에 구비된 코어핀(342)의 첨단부가 롱부시(2)의 중공홀 단부에 꼭 맞게 삽입됨으로써 롱부시(2)가 흔들리지 않게 고정된다. 코어핀(342)의 첨단은 롱부시(2)의 중공홀 단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부분에서 상기 롱부시(2)의 중공홀 단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단부까지 점진적으로 수렴하는 테이퍼진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롱부시(2)를 고정함과 동시에 롱부시(2)를 정렬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5의 (B) 및 (C)에 도시한 작동을 위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상부 금형(200)과 함께 상승하였던 승강 블록(361)이 승강 블록(361)의 하부에 결합된 경사진 캠핀(365)이 슬라이드 코어(340)에 구비된 경사진 캠홀(5)을 따라 하강하면서, 슬라이드 코어(340)를 전진시키고, 그 슬라이드 코어(340)의 전진에 의해 슬라이드 코어(340)에 구비된 코어핀(342)의 첨단이 롱부시(2)의 중공홀 단부에 꼭 맞게 삽입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100: 하부 금형 블록 200: 상부 금형 블록
300: 고정유닛 320: 슬라이딩 가이드부
340: 슬라이드 코어 341: 코어 본체
342: 코어핀 360: 연동 구동부
361: 승강블록 365: 캠핀
5: 캠홀 2: 롱부시

Claims (3)

  1. 롱부시가 완전하게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안착되는 하부 금형 블록;
    하강하여 상기 하부 금형 블록과 형합할 때. 상기 하부 금형 블록과 함께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가 성형되는 사출 성형 공간을 한정하는 상부 금형 블록; 및
    상기 상부 금형 블록의 하강과 연동하여, 상기 롱부시의 양단을 흔들림 없이 고정하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각 고정유닛은 상기 하부 금형 블록의 양측면 각각에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의 슬라이딩면을 따라 전진 또는 후퇴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며,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롱부시의 양단부 각각에 삽입되는 코어핀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코어와,
    상기 상부 금형 블록과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 코어를 전진 또는 후퇴 구동시키는 연동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코어는 코어 본체와 상기 코어 본체에 결합된 채 전방으로 연장된 상기 코어핀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핀은 첨단부가 상기 롱부시의 중공홀 단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부분에서 상기 롱부시의 중공홀 단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단부까지 점진적으로 외경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코어핀이 상기 중공홀 단부를 완전히 막을 때까지 전진하는 동안, 상기 첨단부가 상기 롱부시 중공홀 단부에 원활하게 삽입된 후, 상기 롱부시를 상기 코어핀의 중심에 정렬시키면서 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롱부시 정렬 및 고정 기능을 갖는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는 코어 본체와 상기 코어 본체에 결합된 채 전방으로 연장된 상기 코어핀을 포함하며, 상기 코어 본체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면을 포함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후방에 형성된 채 후방으로 연장되며, 일정 각도 경사지게 윗면에서 아랫면으로 연장된 캠홀이 형성된 테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 구동부는 상기 상부 금형과 함께 하강하는 승강 블록 및 상기 승강 블록에 설치되며 상기 캠홀의 경사각에 상응하는 경사각으로 아래로 연장된 캠핀을 포함하며, 상기 캠핀이 상기 캠홀을 따라 하강 또는 상승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전진 또는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롱부시 정렬 및 고정 기능을 갖는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
KR1020230075240A 2023-06-13 2023-06-13 롱부시 정렬 및 고정 기능을 갖는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 KR102601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240A KR102601462B1 (ko) 2023-06-13 2023-06-13 롱부시 정렬 및 고정 기능을 갖는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240A KR102601462B1 (ko) 2023-06-13 2023-06-13 롱부시 정렬 및 고정 기능을 갖는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462B1 true KR102601462B1 (ko) 2023-11-13

Family

ID=88746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5240A KR102601462B1 (ko) 2023-06-13 2023-06-13 롱부시 정렬 및 고정 기능을 갖는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46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336U (ko) 1998-09-30 2000-04-25 윤종용 사출성형용 금형
JP2000301578A (ja) * 1999-04-20 2000-10-31 Micro Seiko:Kk インサート成形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0376455Y1 (ko) * 2004-12-07 2005-03-11 (주)도움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
KR20100012383A (ko) * 2008-07-28 2010-02-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인서트사출물의제조방법
KR20130107087A (ko) 2012-03-21 2013-10-01 주식회사 아성프라텍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이륜차의 바테리 팩 케이스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 금형
KR20140052767A (ko) * 2012-10-25 2014-05-07 이중재 속이 빈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KR102239342B1 (ko) * 2020-08-12 2021-04-13 주식회사 에이앤티시스템 구조 개선된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사출 금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336U (ko) 1998-09-30 2000-04-25 윤종용 사출성형용 금형
JP2000301578A (ja) * 1999-04-20 2000-10-31 Micro Seiko:Kk インサート成形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0376455Y1 (ko) * 2004-12-07 2005-03-11 (주)도움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
KR20100012383A (ko) * 2008-07-28 2010-02-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인서트사출용 금형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인서트사출물의제조방법
KR20130107087A (ko) 2012-03-21 2013-10-01 주식회사 아성프라텍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이륜차의 바테리 팩 케이스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 금형
KR20140052767A (ko) * 2012-10-25 2014-05-07 이중재 속이 빈 제품 형성용 사출 성형 금형
KR102239342B1 (ko) * 2020-08-12 2021-04-13 주식회사 에이앤티시스템 구조 개선된 슬라이드 코어가 구비된 사출 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1462B1 (ko) 롱부시 정렬 및 고정 기능을 갖는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
KR101241241B1 (ko) 인서트 사출금형
KR102601461B1 (ko) 슬라이드 코어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
KR101935505B1 (ko) 사출 금형의 이젝트 장치
CN214026962U (zh) 一种一出四的电子烟嘴总成注塑模具
CN110450363B (zh) 具有分步脱模结构的注塑模具
KR200457796Y1 (ko) 립스틱 성형장치
CN114179305A (zh) 一种滚刀柄的行位内抽斜针模具
KR100846850B1 (ko) 금형조립체의 취출장치
CN212072755U (zh) 一种深腔壳体的注塑模具
JP2000289035A (ja) 樹脂成形金型のスライドコア駆動機構
CN209515522U (zh) 一种剪刀脚组装下模
CN209599766U (zh) 一种水室产品的二次滑块锁销模具结构
CN111136880A (zh) 一种深腔壳体的注塑模具
CN111113781A (zh) 一种用于拉链头注胶的自动上料装置
JP6137230B2 (ja) 燃料タンクのフランジ部の成形装置及びその成形方法
CN209738212U (zh) 滑块二次脱模结构
CN217257965U (zh) 一种路由器上盖用模具
CN216968572U (zh) 斜顶件和模具
CN216100213U (zh) 一种顶针结构
CN110001001B (zh) 一种二次顶出的注塑模具及其注塑方法
CN114919137B (zh) 一种空气炸锅外壳注塑模具
CN216465969U (zh) 一种模具侧进胶机械式模内切结构
CN218399267U (zh) 平推式内滑块结构
CN216941692U (zh) 一种模具的二次顶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