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455Y1 -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76455Y1 KR200376455Y1 KR20-2004-0034759U KR20040034759U KR200376455Y1 KR 200376455 Y1 KR200376455 Y1 KR 200376455Y1 KR 20040034759 U KR20040034759 U KR 20040034759U KR 200376455 Y1 KR200376455 Y1 KR 20037645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ert
- pin
- fastening portion
- insert fastening
- plastic injec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3—Moulds with mould wall parts provided with fine grooves or impressions, e.g. for record dis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5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fillers only, e.g. particles, powder, beads, flakes, sphe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29C2045/14147—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using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rough the inse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2—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29K2995/0015—Ins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핀 몸체 상단의 인서트 체결부에 요철 가공 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조각 금형과 같은 인서트(insert)를 메인 금형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인서트 이탈에 따른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금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은 상대적 직경이 큰 핀 기저부(100)와, 메인 금형의 핀 결합 구멍에 삽입 및 지지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핀 기저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핀 몸체(120)와, 상기 핀 몸체의 상단 끝단면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과 소정 높이를 갖게 일체형으로 돌출되어 있는 인서트 체결부(140)를 갖되, 상기 인서트 체결부는 외표면에 배치된 요철 가공 구조의 공간 영역(141 ∼ 146)과; 상기 공간 영역에 충진되어 상기 인서트 체결부와 인서트 체결 구멍 사이에 존재하는 소정 크기의 간극에 끼워맞춤(fitting) 되도록, 표출면(151, 152)이 팽창계수에 대응하게 팽창되어 있는 충진재(1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리 금형에 끼워 넣고 성형하는 금속 부품과 같은 인서트(insert)를 금형에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사출성형은 수지를 가열하여 용융상태로 만든 후 원하는 형상의 캐버티(cavity), 즉 성형용 금형에서 성형되는 공간 부분을 갖는 금형 내로 고속, 고압으로 주입하여 냉각시킨 후 형(型)을 열어 성형품을 얻는 방법이다. 이러한 사출성형에서는 최적의 상태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성형재료(수지) 와 금형, 사출성형기 및 주변기기 등이 상호 보완적으로 적절히 준비되어야 한다.
또한, 플라스틱 사출(plastic injection moulding)은 플라스틱을 성형 재료로 하여 가열 용융시켜 금형의 캐버티에 사출 충전 후 응고 또는 경화시켜 성형품을 완성으로 하는 성형법을 의미한다.
캐버티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금형은 복잡하고 형이상학적인 3차원 입체 형상을 구현하기 위해 인서트를 갖는다.
인서트는 성형품 속에 포함된(묻혀진 또는 삽입된) 금속 또는 그 밖의 재료, 즉, 금형의 일부로서 수명이 짧은 부분만을 교환식으로 바꾸어 끼울 수 있도록 만들어진 부분을 의미한다.
이런 인서트는 금형에 분해 조립 가능하게 결합 내지 고정되며, 이때 슬리브 핀(sleeve pin) 등이 사용된다.
슬리브 핀은 삽입 결합방식을 취하는 가느다란 부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사출 성형기의 내부에서 인서트 또는 탭 인서트(tap insert) 등을 금형에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사출 성형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 제작된 사출성형 전용기계를 말한다. 사출 성형기에는 사출금형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사출성형을 하기 위한 '조건(성형조건)'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패널(panel)이 구성되어 있다.
사출 성형기는 탕구의 안쪽에 탕구 고정핀(1 : sprue lock pin)이 배치되며, 탕구 고정핀(1)의 주위에 이젝터 장치(2)를 구비한다. 이젝터 장치(2)는 조각 금형과 같은 인서트(3, 3')를 메인 금형(4)에 결합하고 있다.
도면에서 보이는 쪽 단면의 인서트(3')는 메인 금형(4)의 핀 결합 구멍에 지지되어 있는 인서트 핀(5 : insert pin)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특히, 인서트 핀(5)의 인서트 체결부(6)는 인서트 체결 구멍(3a)에 삽입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인서트 핀의 인서트 체결부는 매우 소형 사이즈(약 : 직경 1.10 ∼ 1.80, 길이 2.70 ㎜)로 형성되어 있어서 인서트 체결 구멍에서의 공차관리가 매우 어렵다.
즉, 인서트 핀의 인서트 체결부는 평활한 원주면으로 돌출된 곧은 타입(straight type)이므로, 인서트 업체에서의 공차 적용이 광범위해 인서트 체결부와 인서트 체결 구멍 사이에 서로 다른 사이즈의 갭(gap)이 존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출 성형기에서는 인서트를 포함한 메인 금형이 수평(또는 수직) 이동을 하기 때문에, 인서트가 슬리브 핀에서 이탈, 또는 슬리브 핀이 인서트에서 이탈되는 사고가 자주 발생된다. 이는 불량률의 증가와 함께 금형 사고로 이어져 금형의 수리를 요구하게 되는 치명적인 단점을 갖고 있다.
사출 성형 업계는 외관이 우수한 전기 전자제품, 자동차, 가정용 기구 등 우수한 품질의 플라스틱 제품의 요구에 부응하면서도, 세계 각국의 품질, 가격, 기술과 경쟁하고 있고, 치열한 틈바구니 속에서 살아 남기 위하여 혼신의 힘을 다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출 성형 산업 자체는 긴 세월동안 조금씩의 진전은 있었지만 근본적인 문제점을 인식하지 못하고 첨단의 시대인 오늘날까지도 전례의 생산방식과 습관이 개선되지 않고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핀 몸체 상단의 인서트 체결부에 요철 가공 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조각 금형과 같은 인서트를 메인 금형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인서트 이탈에 따른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금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을 제공하는데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상대적 직경이 큰 핀 기저부와, 메인 금형의 핀 결합 구멍에 삽입 및 지지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핀 기저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핀 몸체와, 상기 핀 몸체의 상단 끝단면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과 소정 높이를 갖게 일체형으로 돌출되어 있는 인서트 체결부를 갖는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체결부는 외표면에 배치된 요철 가공 구조의 공간 영역과; 상기 공간 영역에 충진되어 상기 인서트 체결부와 인서트 체결 구멍 사이에 존재하는 소정 크기의 간극에 끼워맞춤(fitting) 되도록, 표출면이 팽창계수에 대응하게 팽창되어 있는 충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충진재는 내열 고무, 내열 실리콘, 내열 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탄성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공간 영역은 직경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통공 형상과, 외표면에 파여 있는 홈과 같은 원형 링 홈 형상과, 사각 단면 홈 형상과, 'U'자 홈 형상과, 'V'자 홈 형상과, 'I'자 홈 형상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공간 영역은 상기 인서트 체결부가 두께 1.10 ∼ 1.80에서 선택된 소정의 두께를 가질 때, 상기 두께보다 작은 단면적 또는 0.12㎟ ∼0.60㎟ 내에서 선택된 소정의 단면적 중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은 상대적 직경이 큰 핀 기저부와; 메인 금형의 핀 결합 구멍에 삽입 및 지지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핀 기저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핀 몸체와; 상기 핀 몸체의 상단 끝단면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과 소정 높이를 갖게 일체형으로 돌출되어 있는 인서트 체결부를 갖되, 상기 인서트 체결부의 표면에 형성되어서 인서트의 우발적 이탈을 방지하게 요철 점착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가 인서트 체결부와 인서트 체결 구멍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에 끼워맞춤 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원 A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3a는 도 3에 도시된 제1요철 가공 구조를 갖는 인서트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제1요철 가공 구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원 B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4에 도시된 제2요철 가공 구조를 갖는 인서트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제2요철 가공 구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원 C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5a는 도 5에 도시된 제3요철 가공 구조를 갖는 인서트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제3요철 가공 구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원 D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6a는 도 6에 도시된 제4요철 가공 구조를 갖는 인서트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제4요철 가공 구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요철 점착 구조의 인서트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은 전체 길이(h)가 5.5㎝ ∼ 6㎝ 정도, 핀 기저부(100)의 직경이 약 4, 핀 몸체(120)의 직경이 약 2 정도인 소형 부품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은 상대적 직경이 큰 핀 기저부(100)와, 메인 금형의 핀 결합 구멍에 삽입 및 지지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핀 기저부(100)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핀 몸체(120)와, 그러한 핀 몸체(120)의 상단 끝단면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과 소정 길이, 즉 직경 1.10 ∼ 1.80, 길이 2.70 ㎜ 정도를 갖게 일체형으로 돌출되어 있는 인서트 체결부(140)를 포함한다.
핀 기저부(100)와 핀 몸체(120)는 실축 단면 형상(도 3a 참조) 또는 원통형의 슬리브 형상과 같은 중공축 단면 형상(도 3b 참조)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같은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인서트 체결부(140)도 실축 단면 형상 또는 중공축 단면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핀 기저부(100)와 핀 몸체(120) 및 인서트 체결부(140)의 재질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내열 플라스틱, 내열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인서트 체결부(140)에는 원 A(B, C, D)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 체결부(140)의 두께 1.10 ∼ 1.80 보다 작은 0.4㎟ ∼0.9㎟ 내에서 선택된 단면적을 갖는 제1 내지 제4요철 가공 구조의 제1 내지 제4공간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제1, 제2, 제3, 제4요철 가공 구조는 각각 하기에서 설명할 다양한 형태의 요철 가공에 상응하는 각각의 제1 내지 제4공간 영역에 탄성 부재(예 : 내열 고무, 내열 실리콘, 내열 우레탄 등)와 같은 충진재를 채워 넣어 합체시킴에 따라, 슬리브 핀을 인서트에 고정했을 때 충진재에 의한 마찰을 주고, 인서트 체결부(140)와 인서트 체결 구멍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에 대응함에 따라, 인서트의 우발적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의미한다.
이하, 제1, 제2, 제3, 제4요철 가공 구조에 관련된 인서트 체결부(140)의 형상적 특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 도 3a,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요철 가공 구조(A)는 인서트 체결부(140)에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인서트 체결부(140)는 상단 끝단면(121)에서 소정 높이로 돌기되어 핀 결합 및 분리를 돕는 테이퍼 돌기부(122)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도 3a 참조), 또는 테이퍼 돌기부(122) 안쪽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핀 몸체(120)의 상단 끝단면(121)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도 3b 참조).
제1요철 가공 구조의 인서트 체결부(140)는 통상적인 마이크로 성형가공법을 이용하여서, 직경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통공 형상으로서 복수개인 제1공간 영역(141, 142)을 갖는다.
각각의 제1공간 영역(141, 142)은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평면 방향을 기준으로 관통 방향의 각도가 직각 또는 소정 각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러한 제1공간 영역(141, 142)에는 앞서 언급한 충진재(150)가 채워져 있다.
또한, 인서트 체결부(140)는 테이퍼 돌기부(122) 상부의 절곡지점에 대응한 원형 직경을 갖고, 통상의 플라스틱 사출 성형기에 적합하게 사용 가능한 돌출 높이를 갖는다.
인서트 체결부(140)의 끝단면에도 모따기면(149, 149')이 형성되어 인서트 체결 구멍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모따기면(149)은 둥근 형상을 갖거나(도 3a 참조), 또는 도 3b에 도시된 모따기면(149')과 같이 평활하게 경사진 테이퍼면 형상을 갖는다(도 3b 참조).
또한, 충진재(150)의 표출면(151)은 도 3a에서처럼 재질의 특성에 의해 충진 후 고착되는 과정에서 약간 부풀어오르게 되고, 결과적으로 인서트 체결부(140)의 원주면과 일치되는 곳으로부터 약간 팽창되게 고착된다. 충진재(150)의 표출면(151)은 마찰력에 의한 끼임작용을 수행한다.
또한, 충진재(150)의 표출면(152)은 도 3b에서처럼 인서트 체결부(140)의 원주면보다 약간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충진재(150)의 돌출된 표출면(152)은 인서트 체결 구멍에 삽입될 때, 언더컷(undercut)과 같은 역할을 한다. 언더컷은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빼내기 어렵게 장애를 주는 돌기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인서트 체결부(140)의 제1공간 영역(141')은 적어도 하나가 3차원 각도 범위 내에서 택일된 경사 두께 방향을 따라 산발적으로 통공되게 변형 제작되어 있다.
또한, 인서트 체결부(140)의 제1공간 영역(142')은 복수개로서 적어도 인서트 체결부(1400)의 반지름과 동일한 깊이 또는 반지름 깊이보다 얕은 깊이 중 어느 하나의 깊이를 갖는 직선형 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다양한 배치 구조의 제1공간 영역(141, 141', 142, 142')에는 앞서 언급한 충진재(150)가 통상의 주입 방식에 따라 충진 및 고착된다.
슬리브 핀이 핀 결합 구멍 및 인서트 체결 구멍에 장착될 때, 슬리브 핀의 인서트 체결부(140)의 충진재(150)는 그의 표출면(151, 152)을 인서트 체결 구멍에 접촉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서, 슬리브 핀으로부터 인서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요철 가공 구조(B)는 제1요철 가공 구조와 동일 내지 유사한 기술적 사상을 갖도록, 핀 몸체부(120)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된 인서트 체결부(140)에 형성된다.
제2요철 가공 구조의 인서트 체결부(140)는 마이크로 홈 커팅 가공 또는 사출 가공 중 어느 하나의 통상적인 마이크로 성형가공법에 의해 외원주면에서 홈 형상을 갖게 소정 깊이로 파여져 있되, 원주방향, 나선방향, 축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2공간 영역(143)을 갖는다.
제2공간 영역(143)에는 앞서 언급한 충진재(150)가 채워져 있고, 그러한 충진재(150)의 표출면(151, 152)은 인서트 체결부(140)의 외원주면에서 충진재(150)의 재질의 팽창계수에 대응하게 팽창되거나(도 4a 참조), 외원주면보다 약간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도 4b 참조).
충진재(150)의 팽창계수에 대응하게 팽창된다는 의미는, 본 고안에서 인서트 체결부와 인서트 체결 구멍 사이에 존재하는 소정 크기의 간극에 충진재(150)의 표출면(151, 152)이 끼워맞춤 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는 의미와 동일하다.
여기서, 제2공간 영역(143)은 사각 단면 홈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도 5a,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요철 가공 구조(C)는 제1, 제2요철 가공 구조와 동일 내지 유사한 기술적 사상을 갖도록, 핀 몸체부(120)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된 인서트 체결부(140)에 형성된다.
제3요철 가공 구조의 인서트 체결부(140)는 외원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U'자, 'V'자, 'I'자 단면 중 어느 하나의 홈 형상을 갖게 소정 깊이로 파여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3공간 영역(144)을 갖는다.
제3공간 영역(144)에는 앞서 언급한 충진재(150)가 채워져 있고, 그러한 충진재(150)의 표출면(151, 152)은 인서트 체결부(140)의 외원주면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팽창되거나(도 5a 참조), 외원주면보다 약간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도 5b 참조).
도 6, 도 6a,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요철 가공 구조(D)는 제1 내지 제3요철 가공 구조와 동일 내지 유사한 기술적 사상을 갖도록, 핀 몸체부(120)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된 인서트 체결부(140)에 형성된다.
제4요철 가공 구조의 인서트 체결부(140)는 외원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U'자 단면 또는 원형 링 홈 형상을 갖게 소정 깊이로 파여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4공간 영역(145, 146)을 갖는다.
제4공간 영역(145, 146)에는 앞서 언급한 충진재(150)가 각각 채워져 있고, 그러한 각각의 충진재(150)의 표출면(151, 152)은 인서트 체결부(140)의 외원주면에 팽창되거나(도 6a 참조), 외원주면보다 약간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도 6b 참조).
제4공간 영역(145, 146)에 각각 충진된 충진재(150)는 이중 또는 다중 배열 형식이므로, 삽입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마찰 발생 효율이 뛰어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충진재(150)가 제1 내지 제4공간 영역(141 ∼ 146)에 충진되어 있는 제1 내지 제4요철 가공 구조를 개시하였다.
제1 내지 제4공간 영역(141 ∼ 146)은 상기 인서트 체결부(140)가 두께 1.10 ∼ 1.80에서 선택된 소정의 두께를 가질 때, 상기 두께보다 작은 단면적 또는 0.12㎟ ∼0.60㎟ 내에서 선택된 소정의 단면적 중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내지 제4요철 가공 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요철 점착 구조로 변형 가능하다.
요철 점착 구조는 예컨대, 충진재(150)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소재, 즉 내열 고무, 내열 실리콘, 내열 우레탄, 점성을 갖는 합성수지소재 중 어느 하나를 복수개의 돌기(159)를 인서트 체결부(140)의 외표면에 형성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요철 점착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돌기(159)는 인서트 체결부(140)와 인서트 체결 구멍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에 끼워맞춤 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를 갖고, 외원주면을 포함한 인서트 체결부(140)의 외표면에 산발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돌기(159) 형태의 요철 점착 구조도 앞서 설명한 제1 내지 제4요철 가공 구조와 유사하게 슬리브 핀으로부터 인서트가 우발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는 요철 가공 구조에 의해 형성된 공간 영역에 충전재를 합체시킴에 따라서, 결국 인서트 체결부와 인서트 체결 구멍 사이에서 마찰력이 발생토록 함에 따라, 인서트의 우발적 이탈을 미연에 방지하여 금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불량률의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더욱 안정되게 메인 금형과 조감 금형(인서트)의 결합관계를 안정되게 하는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은 인서트 체결부에 복수개로 형성된 요철 점착 구조의 돌기 또는 앞서 설명한 인서트 체결부의 공간 영역에 충전된 충전재에 의해서, 언더컷과 같은 기능 및 마찰력에 의한 끼임작용을 수행함에 따라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 성형기에 사용된 슬리브 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원 A의 확대 사시도,
도 3a는 도 3에 도시된 제1요철 가공 구조를 갖는 인서트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제1요철 가공 구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원 B의 확대 사시도,
도 4a는 도 4에 도시된 제2요철 가공 구조를 갖는 인서트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제2요철 가공 구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원 C의 확대 사시도,
도 5a는 도 5에 도시된 제3요철 가공 구조를 갖는 인서트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제3요철 가공 구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원 D의 확대 사시도,
도 6a는 도 6에 도시된 제4요철 가공 구조를 갖는 인서트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제4요철 가공 구조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요철 점착 구조의 인서트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핀 기저부 120 : 핀 몸체
140 : 인서트 체결부 141 ∼ 146 : 공간 영역
150 : 충진재 151, 152 : 표출면
Claims (5)
- 상대적 직경이 큰 핀 기저부와, 메인 금형의 핀 결합 구멍에 삽입 및 지지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핀 기저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핀 몸체와, 상기 핀 몸체의 상단 끝단면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과 소정 높이를 갖게 일체형으로 돌출되어 있는 인서트 체결부를 갖는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에 있어서,상기 인서트 체결부는 외표면에 배치된 요철 가공 구조의 공간 영역과;상기 공간 영역에 충진되어 상기 인서트 체결부와 인서트 체결 구멍 사이에 존재하는 소정 크기의 간극에 끼워맞춤(fitting) 되도록, 표출면이 팽창계수에 대응하게 팽창되어 있는 충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충진재는 내열 고무, 내열 실리콘, 내열 우레탄 중 어느 하나의 탄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공간 영역은 직경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통공 형상과, 외표면에 파여 있는 홈과 같은 원형 링 홈 형상과, 사각 단면 홈 형상과, 'U'자 홈 형상과, 'V'자 홈 형상과, 'I'자 홈 형상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상기 공간 영역은 상기 인서트 체결부가 두께 1.10 ∼ 1.80에서 선택된 소정의 두께를 가질 때, 상기 두께보다 작은 단면적 또는 0.12㎟ ∼0.60㎟ 내에서 선택된 소정의 단면적 중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갖는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
- 상대적 직경이 큰 핀 기저부와; 메인 금형의 핀 결합 구멍에 삽입 및 지지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핀 기저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핀 몸체와; 상기 핀 몸체의 상단 끝단면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과 소정 높이를 갖게 일체형으로 돌출되어 있는 인서트 체결부를 갖는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에 있어서,상기 인서트 체결부의 표면에 형성되어서 인서트의 우발적 이탈을 방지하게 요철 점착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돌기를 포함하고,상기 돌기가 인서트 체결부와 인서트 체결 구멍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에 끼워맞춤 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34759U KR200376455Y1 (ko) | 2004-12-07 | 2004-12-07 |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34759U KR200376455Y1 (ko) | 2004-12-07 | 2004-12-07 |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02605A Division KR100614417B1 (ko) | 2004-12-07 | 2004-12-07 |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76455Y1 true KR200376455Y1 (ko) | 2005-03-11 |
Family
ID=4367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34759U KR200376455Y1 (ko) | 2004-12-07 | 2004-12-07 |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76455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0056B1 (ko) | 2020-09-04 | 2021-07-21 | ㈜공명하이텍 | 사출금형의 홀 가공용 핀형 지그의 구조 |
KR102451482B1 (ko) | 2022-05-13 | 2022-10-07 | ㈜공명하이텍 | 사출금형의 홀 가공용 다분할형 지그 |
KR102601462B1 (ko) * | 2023-06-13 | 2023-11-13 | (주)협화산업 | 롱부시 정렬 및 고정 기능을 갖는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 |
-
2004
- 2004-12-07 KR KR20-2004-0034759U patent/KR20037645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0056B1 (ko) | 2020-09-04 | 2021-07-21 | ㈜공명하이텍 | 사출금형의 홀 가공용 핀형 지그의 구조 |
KR102451482B1 (ko) | 2022-05-13 | 2022-10-07 | ㈜공명하이텍 | 사출금형의 홀 가공용 다분할형 지그 |
KR102601462B1 (ko) * | 2023-06-13 | 2023-11-13 | (주)협화산업 | 롱부시 정렬 및 고정 기능을 갖는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357777B1 (en) | Method of inserting piece into preform mouth forming mold | |
JP3731647B2 (ja) | プラスチックシールの射出成形方法 | |
JP6646695B2 (ja) | 剛性を有するワークピースのまわりに弾性材料をモールドするための方法 | |
JP2008273501A (ja) | モール付き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 |
CN102529028A (zh) | 模具构件 | |
KR200376455Y1 (ko) |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 | |
JP6028743B2 (ja) | 樹脂スペーサ、インサート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0614417B1 (ko) | 플라스틱 사출 인서트 고정용 슬리브 핀 | |
US20210069950A1 (en) | Insert to reduce weld line appearance defect in injection molding | |
JP6511941B2 (ja) | 樹脂光学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 |
JP4046898B2 (ja) | 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 |
KR20140047361A (ko) | 도어트림내 부품들의 융착구조 | |
JP2005321101A (ja) | 軸受用プラスチックシール | |
JP2005262472A (ja) | 射出成形金型の製造方法、及び射出成形金型、並びにプラスチック光学レンズの製造方法 | |
EP2528720B1 (en) | A method of producing a device comprising at least one displaceable operating member as well as such a device | |
JPH1158546A (ja) | 微細中空管路付き成形品の製造方法 | |
JP7496114B2 (ja) | 複合成形品の製造方法 | |
CN111469340A (zh) | 金属注塑结合件及其制作方法 | |
JP4746369B2 (ja) | 現像ブレードの製造方法 | |
JP2019209481A (ja) | 二色成形品の製造方法 | |
GB2167705A (en) | A tool for the manufacture of plastics mouldings, and its use | |
WO2021065214A1 (ja) | クリップ及びクリップの製造方法 | |
CN220741964U (zh) | 防止过渡区厚度不均的注塑成型结构 | |
CN109153191A (zh) | 树脂制品 | |
KR100199450B1 (ko) | 고무 라벨의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213 Year of fee payment: 3 |
|
EXTG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