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450B1 - 고무 라벨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무 라벨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9450B1
KR100199450B1 KR1019970012043A KR19970012043A KR100199450B1 KR 100199450 B1 KR100199450 B1 KR 100199450B1 KR 1019970012043 A KR1019970012043 A KR 1019970012043A KR 19970012043 A KR19970012043 A KR 19970012043A KR 100199450 B1 KR100199450 B1 KR 100199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ortion
label
rubber
main body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5756A (ko
Inventor
장승현
Original Assignee
장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승현 filed Critical 장승현
Priority to KR1019970012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9450B1/ko
Publication of KR19980075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4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to be fastened or secured by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e.g. by thermo-adhes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55Forms or constructions lamin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 라벨(Label)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라벨제조 방법으로서는 라벨 본체의 표면에 엠보싱을 형성시키는 일이 불가능하였던 바, 본 발명은 라벨 본체에 미리 엠보싱을 형성시키고 엠보싱이 형성된 본체의 표면에 표시부를 형성시키되, 오톨도톨한 본체의 표면에 액체 상태의 표시부를 접합시키면 표시부를 형성하는 고무액이 오톨도톨한 요철부를 따라 번지게 되어 깨끗한 표시부의 성형이 불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이에서 나아가, 표시부 성형용 금형에 표시부 성형용 각인부를 형성시키고 이에 고무액을 충전시켜 웅고시킨 후, 다시 본체와 표시부를 가열하여 용융시켜 본체와 표시부가 용착되게 한 것임.

Description

고무 라벨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고무 라벨(Label)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면에 엠보싱을 형성시키는 고무 라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고무판위에 소기의 형상을 가지는 표시부를 형성시켜서 되는 고무 라벨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첨부된 도면 제1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각인을 형성시킨 표시부 성평용 금형에 표시부 성형을 위한 고무액을 도포하고, 제1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 성형용 금형의 표면을 따라 고무를 깎아 내어, 표시부 성형용 금형의 각인부에만 표시부 성형용 고무액이 충전되게 하고, 제1도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 성형용 금형의 상면에 테두리를 설치하고 테두리 내에 라벨 본체 성형을 위한 고무액을 부어 각인부에 몰입되어 형성된 표시부가 본체와 함께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성형되게 하여 표시부를 가진 고무라벨을 제조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라벨제조 방법으로서는 라벨 본체의 표면에 오톨도톨한 요철모양(Embossing ; 이하 '엠보싱'이라 한다.)을 형성시키는 일이 불가능하였다. 표시부 성형용 금형에 표시부와 함께 엠보싱을 위한 요철면을 형성시키게 되면 요철부에 표시부 성형용 고무가 몰입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라벨 본체에 미리 엠보싱을 형성시키고 엠보싱이 형성된 본체의 표면에 표시부를 형성시키는 것을 요지로 한다. 그러나 오톨도톨한 본체의 표면에 액체 상태의 표시부를 접합시키면 표시부를 형성하는 고무액이 오톨도톨한 요철부를 따라 번지게 되어 깨끗한 표시부의 성형이 불가능함을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이에서 나아가, 표시부 성형용 금형에 표시부 성형용 각인부를 형성시키고 이에 고무액을 충전시켜 응고시킨 후, 다시 본체와 표시부를 가열하여 용융시켜 본체와 표시부가 용착되게 하였는 바,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의 고무 라벨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로서,
(a)는 금형에 표시부 성형을 위한 고무을 몰입시킨 상태도.
(b)는 표시부 성형을 위하여 고무를 몰입시킨 금형으로부터 덧 씌워진 부분을 제거하고 테두리부재를 설치한 후, 라벨 본체 성형용 고무를 충전시키는 상태도.
(c)는 테두리부재를 제거한 후, 라벨의 본체에 표시부가 부착된 라벨을 탈거시키는 상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로서,
(a)는 표면에 요철부를 형성시킨 금형에 테두리를 설치하고 고무를 부어 라벨 본체를 성형시키는 상태도.
(b)는 표시부 성형용 금형에 고무액을 부어 표시부를 성형시키는 상태도.
(c)는 라벨 본체 위에 표기부가 몰입 성형된 금형을 올려 놓고 가열하여 본체에 표시부를 접합시키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표시부
3 : 금형 31 : 요철부
4 : 테두리 5 : 표시부 성형 금형
51 : 각인부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라벨 본체(1)에 미리 엠보싱을 형성시키는 제1 공정과, 표시부(2)를 형성시키기 위한 각인부(51)가 형성된 표시부 성형용 금형(5)에 고무액을 부어 표시부를 성형시키는 제2 공정과, 엠보싱이 형성된 본체(1)의 표면에 표시부(2)를 부착시키는 제3 공정으로 구성된다.
[제1공정]
즉, 첨부된 도면 제2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오톨도톨한 요철부(31)를 형성시킨 금형(3)의 표면에 테두리(4)를 설치하고, 테두리(4) 내에 고무액을 부어 경화시켜 라벨 본체(1)를 제조한다. 테두리(4)내에 붓는 고무액은 천연고무, 합성수지 또는 천연고무와 합성 수지의 혼합액일 수 있다.
[제2공정]
그러나 오톨도톨한 본체(1)의 표면에 굳지 아니한 고무액으로 된 표시부(2)를 접합시키면 고무액이 본체(1)의 오톨도톨한 요철부를 따라 번지게 되어 깨끗한 표시부(2)의 성형이 불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표시부 성형용 금형(5)에 표시부 성형용 각인부(51)를 형성시키고, 이에 고무액을 부은 후, 금형(5)의 표면을 밀어내어 금형(5)에 표시부(2)만이 남게하고, 이를 경화시키어 표시부(2)를 형성시킨다. 표시부(2)를 형성시키는 고무 또한 천연고무, 합성수지 또는 천연고무와 합성수지의 혼합액일 수 있다
[제3공정]
라벨 본체(1)와 표시부(2)는 경화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접합시키기 위하여는, 적어도 이들의 접합면만은 이를 용융시킬 것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본체(1)와 표시부(2)를 용융시키고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체(1)와 표시부(2)를 용융시킴에 있어서는 그 접합면만이 용융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1)위에 표시부 성형용 금형(5)을 뒤집어 놓고 진동시키므로서, 고주파에 의한 열로서 본체(1)와 표시부(2)의 접합면을 용융하여 접합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라벨 본체(1)의 표면을 미세한 요철부 즉, 엠보싱으로 형성시킬 수가 있어 라벨의 시각적 표현을 다양화 시킬 수 있으며, 그리하여 고무 라벨의 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표면에 오톨도톨한 요철부(31)를 형성시킨 금형(3)의 표면에 테두리(4)를 설치하고, 테두리(4) 내에 고무액을 부어 경화시켜 라벨 본체(1)를 제조하는 제1공정과, 표시부 성형용 금형(5)에 표시부 성형용 각인부(51)를 형성시키고, 이에 고무액을 부은 후, 금형(5)의 표면을 밀어내어 금형(5)에 표시부(2)만이 남게하고, 이를 경화시키어 표시부(2)를 형성시키는 제2공정과, 본체(1)와 표시부(2)를 용융시키고 접합하는 제3공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라벨의 제조방법.
KR1019970012043A 1997-04-01 1997-04-01 고무 라벨의 제조 방법 KR100199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043A KR100199450B1 (ko) 1997-04-01 1997-04-01 고무 라벨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043A KR100199450B1 (ko) 1997-04-01 1997-04-01 고무 라벨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756A KR19980075756A (ko) 1998-11-16
KR100199450B1 true KR100199450B1 (ko) 1999-06-15

Family

ID=1950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043A KR100199450B1 (ko) 1997-04-01 1997-04-01 고무 라벨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94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292B1 (ko) * 2000-06-16 2002-12-05 주식회사 대원하이테크 실리콘 검을 이용한 무봉재 실리콘라벨의 제조방법
KR100429732B1 (ko) 2002-01-21 2004-05-03 강방석 상표라벨의 제조방법
KR101040897B1 (ko) * 2009-07-14 2011-06-16 국성식 고무 라벨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756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64479A3 (en) Production of optical elements
US5957191A (en) Cas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resin core
JP3225042B2 (ja) 反応によって硬化するプラスチックをモールドキャビティに圧入する方法,該方法で使用するピル状の加圧補助材,及びこのような材料からなるホルダ
JPS63135214A (ja) 装飾成形品の製造方法
JPH038249B2 (ko)
KR100199450B1 (ko) 고무 라벨의 제조 방법
JPH10159981A (ja) 複合体のシール構造
KR102150165B1 (ko) 도로 표지병 제조 방법
JPS6356047B2 (ko)
JP2683661B2 (ja) 芯部材を有する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100828420B1 (ko) 사출성형을 이용한 폐쇄형 채널구조 제품의 제조방법
JP4755774B2 (ja) 成形品の製造方法
JPH06344449A (ja) 樹脂段ボール板の端面シール方法
JPS605251B2 (ja) 表面に文字、図形等の装飾を施したチヨコレ−ト菓子の製造方法
JPS5820428A (ja) 枠体の製造方法
JP3052758U (ja) パラフインワックス再製器
JP2973289B2 (ja) 成型品製造時のピンゲート用突起除去方法
KR200217556Y1 (ko) 저압사출복합성형용금형구조
JPH03162938A (ja) 自動車用リヤスポイラの製造方法
US20080118670A1 (en) Automatic Connecting Structure for a Shell Structure
KR970010054A (ko) 열가소성 수지제품의 게이트레스 성형방법과 그 성형장치
JPH1158437A (ja) 微細中空管路付き成形品の製造方法
JPS6455212A (en) Manufacture of class molding
JPH0330912A (ja) 成形型の補修方法
JPS63283411A (ja) 配線用ダク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