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7087A -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이륜차의 바테리 팩 케이스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 금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이륜차의 바테리 팩 케이스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7087A
KR20130107087A KR1020120028905A KR20120028905A KR20130107087A KR 20130107087 A KR20130107087 A KR 20130107087A KR 1020120028905 A KR1020120028905 A KR 1020120028905A KR 20120028905 A KR20120028905 A KR 20120028905A KR 20130107087 A KR20130107087 A KR 20130107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nut
injection molding
core
inser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성프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성프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성프라텍
Priority to KR1020120028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7087A/ko
Publication of KR20130107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코어와, 상기 코어에 설치되며 인서트 너트가 거치되는 거치핀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핀에는 마찰재가 끼워져서 상기 인서트 너트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인서트 너트가 거치핀에 안정적으로 거치된 상태가 유지되어 인서트 너트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사출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이륜차의 바테리 팩 케이스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 금형{INJECTION MOLDING MOLD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CASE OF ELECTRIC VEHICLE OR ELECTRIC MOTORCYCLE}
본 발명은 사출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코어와, 상기 코어에 설치되며 인서트 너트가 거치되는 거치핀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핀에는 마찰재가 끼워져서 상기 인서트 너트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출성형용 금형은 사이드게이트금형에서 고정측형판(1)에는 가이드핀(2)을 설치하여 인서트너트(20)를 임시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가동측형판(3)에는 다수개의 너트고정편(4)을 설치하여 금형이 닫힐때 너트고정핀(4)의 단부가 인서트 너트(20)를 압압하여 인서트 너트(20)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하여서 된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은 받침판, 10은 몰드물, 12는 스프로우, 13은 게이트, 15는 이젝트핀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수지를 사용하여 인서트너트를 구비하는 몰드물(10)을 성형하고자 할때 고정측형판(1)에 설치된 가이드핀(2)에 인서트 너트 (20)를 끼워 가고정한 후 가동측형판(3)을 닫으면 가동측형판(3)의 전면보다 약간 돌축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후면은 받침판(11)에 지지된 다수개의 너트 고정핀(4)이 인서트 너트(20)는 가이드핀(2)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와같은 상태에서 수지를 흘려주게되면 수지는 스프로우(12)를 지나 게이트(13)을 통해 내부로 흘러들어 형합물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수지의 흐름방향이 인서트 너트(20)를 고정측형판(1) 방향으로 밀어주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서 충전하게되어 인서트 너트(20)를 고정측형판(1)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서 충전하게되어 인서트너트(20)는 제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형합물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같이 형합물을 충진한 상탱서 온도를 낮추어 고형시킨후 가동측형판(3)을 후진시키면 형합물(10)은 인서트 고정핀(2)에 끼인상태에서 고정측형판(1)에서 벗어나게되며 이후 가동측형판이 후진을 계속함에 따라 이젝트핀(15)이 형합물을 외주면을 밀어주게 되므로 형합물은 인서트 너트 고정핀(2)에서 빠지게 된다.
이와같은 과정에 의해 제조하고자 하는 형합물의 정위치에 인서트 너트를 형합시킬수 있게 된다.
인서트 고정핀(2)에 인서트 너트(20)가 끼워지고 나서 외부 요인등에 의해 인서트 너트(20)가 인서트 고정핀(2)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특히, 전술한 종래기술에서와 다르게 인서트 고정핀(2)이 가동측형판(3)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인서트 고정핀(2)이 가동측형판(3)과 동시에 이동하게 되어 더욱 인서트 너트(20)가 빠질 확률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인서트 너트가 거치핀에 안정적으로 거치된 상태가 유지되어 인서트 너트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사출성형용 금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출성형용 금형은, 코어와, 상기 코어에 설치되며 인서트 너트가 거치되는 거치핀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핀에는 마찰재가 끼워져서 상기 인서트 너트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마찰재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출성형용 금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코어와, 상기 코어에 설치되며 인서트 너트가 거치되는 거치핀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핀에는 마찰재가 끼워져서 상기 인서트 너트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인서트 너트가 거치핀에 안정적으로 거치된 상태가 유지되어 인서트 너트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거치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마찰재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져서, 단순한 구조로 마찰재를 거치핀에 견고하게 끼워넣을 수 있고, 마찰재가 거치핀의 양쪽에 배치되어 인서트 너트가 거치핀에 끼워졌을 때 기울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사출성형용 금형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품.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용 금형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치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코어는 상부코어 또는 하부코어 또는 측부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코어 등 다양한 코어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코어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코어를 "슬라이드코어"라고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사출성형용 금형은, 슬라이드코어(410, 420, 430, 440)와, 상기 슬라이드코어(410, 420, 430, 440)에 설치되며 인서트 너트(600)가 거치되는 거치핀(500)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핀(500)에는 마찰재(520)가 끼워져서 상기 인서트 너트(600)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나 전기 오토바이의 베터리팩 케이스(이하 '성형품' 이라 함, 100)를 사출성형을 통해 성형할 수 있다.
성형품(100)은 바닥판(110)과 바닥판(110)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양측 및 후방에 배치된느 제1측판(121), 제2측판(122), 제3측판(123)을 포함한다.
이러한 성형품(100)에는 타 부품과 연결 또는 고정이 용이하도록 인서트 너트(600)가 인서트 성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서트 너트(600)는 바닥판(110)의 전방 양측과 제1,3측판(121, 123)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와 같은 성형품(100)을 사출성형하는 금형은 상부에 고정되며 성형품(100)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코어(200)와, 상부코어(200)의 둘레에 배치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코어(410, 420, 430, 440)와, 상부코어(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부코어(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금형은 제품 성형이 끝나면 하부코어(300)가 하부로 이동한 뒤에 슬라이드코어(410, 420, 430, 440)가 슬라이딩되어 성형품(100)을 빼낼 수 있도록 한다.
슬라이드코어(410, 420, 430, 44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봉(450)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되, 하부가 상부보다 외측에 배치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슬라이드코어(410, 420, 430, 440)가 슬라이딩되면 슬라이드코어(410, 420, 430, 440)는 하부로 이동하는 동시에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드코어(410, 420, 430, 440)는 슬라이드코어(410, 420, 430, 440)의 외측에 볼팅 등을 통해 설치되는 슬라이드바를 포함한다.
거치핀(500)은 슬라이드코어(410, 420, 430, 4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서트 너트(600)가 거치된다.
거치핀(500)에는 인서트 너트(600)가 끼워지는 부분인 일단에 직경이 축소되는 축경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핀(500)의 상기 축경부에는 마찰재(520)가 끼워져서, 마찰재(520)가 인서트 너트(600)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이와 같이 마찰재(520)가 거치핀(500)에 구비되어, 인서트 너트(600)와 마찰재(520)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인서트 너트(600)가 거치핀(500)에 안정적으로 거치된 상태가 유지되어 인서트 너트(600)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거치핀(500)에 관통구멍(501)이 형성되고, 상기 마찰재(52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관통구멍(501)에 끼워진다.
마찰재(520)가 상기와 같이 설치되어 단순한 구조로 마찰재(520)를 거치핀(500)에 견고하게 끼워넣을 수 있고, 마찰재(520)가 거치핀(500)의 양쪽에 배치되어 인서트 너트(600)가 거치핀(500)에 끼워졌을 때 기울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찰재(520)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인서트 너트(600)와 접촉했을 때 인서트 너트(600)의 내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마찰재(520)는 고무재질의 링형상으로 구비되고, 거치핀(500)의 외주면에는 마찰재(520)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마찰재(520)가 거치핀(500)에 끼워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성형품 110 : 바닥판
121 : 제1측판 122 : 제2측판
123 : 제3측판 200 : 상부코어
410,420,430,440 : 슬라이드코어
500 : 거치핀 501 : 관통구멍
520 : 마찰재 600 : 너트

Claims (2)

  1. 코어;
    상기 코어에 설치되며 인서트 너트가 거치되는 거치핀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핀에는 마찰재가 끼워져서 상기 인서트 너트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금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마찰재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금형.
KR1020120028905A 2012-03-21 2012-03-21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이륜차의 바테리 팩 케이스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 금형 KR20130107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905A KR20130107087A (ko) 2012-03-21 2012-03-21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이륜차의 바테리 팩 케이스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905A KR20130107087A (ko) 2012-03-21 2012-03-21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이륜차의 바테리 팩 케이스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087A true KR20130107087A (ko) 2013-10-01

Family

ID=49630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905A KR20130107087A (ko) 2012-03-21 2012-03-21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이륜차의 바테리 팩 케이스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70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050B1 (ko) 2023-06-08 2023-09-06 (주)협화산업 용이한 부시 누락 불량 검사를 위한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
KR102601461B1 (ko) 2023-06-08 2023-11-13 (주)협화산업 슬라이드 코어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
KR102601462B1 (ko) 2023-06-13 2023-11-13 (주)협화산업 롱부시 정렬 및 고정 기능을 갖는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050B1 (ko) 2023-06-08 2023-09-06 (주)협화산업 용이한 부시 누락 불량 검사를 위한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
KR102601461B1 (ko) 2023-06-08 2023-11-13 (주)협화산업 슬라이드 코어핀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
KR102601462B1 (ko) 2023-06-13 2023-11-13 (주)협화산업 롱부시 정렬 및 고정 기능을 갖는 인서트 사출 성형 금형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7087A (ko)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이륜차의 바테리 팩 케이스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 금형
CN105291382A (zh) 一种内外多方向抽芯注射模具
CN105290331A (zh) 一种先抽芯后顶出的浇注模具结构
US20120070525A1 (en) Mould with replaceable mould core
US8894399B2 (en) Injection molding tool with integrated gate removal for high-volume manufacturing
CN103522463A (zh) 一种倒扣的强制脱模结构
CN103909630A (zh) 司筒顶出机构
KR101556717B1 (ko) 엘보 연결홀이 있는 사출금형의 회전 취출장치
KR101582589B1 (ko) 암형 나사면을 갖는 제품의 사출 성형 금형
KR101301709B1 (ko)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이륜차의 바테리 팩 케이스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 금형
JP6541466B2 (ja) 射出成形装置
KR102131208B1 (ko) 내측 언더컷을 처리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CN203973962U (zh) 一种注塑模具
KR101655987B1 (ko) 수축, 확장되는 다수의 언더컷성형코어를 갖는 사출금형
CN104129031A (zh) 一种阀罩注塑模
KR101381756B1 (ko) 전기자동차 또는 전기이륜차의 바테리 팩 케이스 제조를 위한 사출 성형 금형
CN208359245U (zh) 一种碟刹盘总成加工设备
CN107599309B (zh) 一种收缩式脱模装置
CN104290285A (zh) 一种自顶出模具
JP2015131441A (ja) 射出成形用の型装置
CN204019904U (zh) 台阶三通顶型脱模机构
JP2014213505A (ja) 二色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180042868A (ko) 사출성형기용 형체장치
CN202656396U (zh) 一种插脚护套模具
JP2014124931A (ja) 射出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