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555B1 -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555B1
KR102230555B1 KR1020190138855A KR20190138855A KR102230555B1 KR 102230555 B1 KR102230555 B1 KR 102230555B1 KR 1020190138855 A KR1020190138855 A KR 1020190138855A KR 20190138855 A KR20190138855 A KR 20190138855A KR 102230555 B1 KR102230555 B1 KR 102230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slide core
frame
fixing devic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8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홍규
박진석
박재만
이진명
이준승
이정우
Original Assignee
박홍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규 filed Critical 박홍규
Priority to KR1020190138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티에서 슬라이드 코어가 삽입되는 부분을 따라,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위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복수의 지점에서 관통하여 상기 캐비티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FIXING APPARATUS FOR SLIDE-CORE}
본 발명은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로 물품을 형성하기 위해서 금형조립체를 사용한다. 금형조립체 중 실제 물품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은 가장 기본적으로 상형 캐비티와 하형 캐비티로 구성되나, 물품의 형상에 언더컷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드 코어를 사용하여야 한다.
슬라이드 코어는 일반적으로 제품을 금형조립체에서 취출하고자 할 때, 상형 캐비티와 하형 캐비티가 이동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품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코어는 제품의 형상에 따라서 다수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슬라이드 코어에는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코어편을 설치하여 상형 및 하형과 협력하여 제품의 형상을 만들어낸다.
따라서, 실제 사출 작업 시에 상기 슬라이드 코어편에도 사출압력이 작용하여 슬라이드 코어가 제품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려는 경향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슬라이드 코어가 사출 압력에 의해 밀려서 제품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해당되는 부분에서 제품의 형상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코어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여 사출 압력에 의해 밀리지 않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04842호(2018.12.03.)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캐비티와 슬라이드 코어를 결합 및 고정시켜, 사상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캐비티와 슬라이드 코어의 결합력을 미세 조정 가능한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티에서 슬라이드 코어가 삽입되는 부분을 따라,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위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복수의 지점에서 관통하여 상기 캐비티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캐비티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서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고정부가 관통되어, 상기 캐비티와 상기 프레임의 이격 거리를 고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고정되며, 체결부재가 삽입 가능한 홈이 형성된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 내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며,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체결홈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블록; 을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승하강 이동에 따라, 상기 캐비티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이격 거리가 결정되는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좌우 방향을 따라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캐비티에 밀착되도록 하는 측면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가압부는, 상기 캐비티 상측에 위치되어, 실린더부에 의해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상하 가이드부; 및 상기 상하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되, 하부에는 상기 캐비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착부가 형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밀착부가 상기 슬라이드 코어와 마주보도록 상기 이동부가 상기 상하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 이동하고, 상기 상하 가이드부가 상기 실린더부에 의해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밀착부가 상기 캐비티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있는 슬라이드 코어를 상기 캐비티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캐비티와 슬라이드 코어를 결합 및 고정시켜, 사상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캐비티와 슬라이드 코어의 결합력을 미세 조정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가 캐비티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에 센서부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에 측면 가압부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 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10)가 캐비티(20)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10)는 캐비티(20)와 슬라이드 코어(30)를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10)는 캐비티(20)에 고정 체결되며, 캐비티(20)의 코어 안착부(21)에 안착된 슬라이드 코어(30)가 가압될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10)는 상하 이동을 통해 캐비티(20)와 체결될 수 있다. 슬라이드 코어(30)는 슬라이드 코어(30) 고정장치의 이동방향과 수직하게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캐비티(20)의 코어 안착부(21)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코어(30)는 코어 안착부(21)에 안착되어, 언더컷을 제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B-B'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10)는 프레임(11), 고정부(12), 가압부(13), 지지부(14) 및 플레이트(15)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은 캐비티(20)에서 슬라이드 코어(30)가 삽입되는 부분 또는 영역을 따라, 캐비티(2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면이 사각형인 캐비티(20)는 각 변을 따라 코어 안착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캐비티(20)의 둘레를 따라 코어 안착부(21)가 형성되어, 슬라이드 코어(30)가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이때, 프레임(11)은 캐비티(20)와 슬라이드 코어(3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고정부(12)는 프레임(11)의 복수의 지점에서 관통하여 캐비티(2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2)는 캐비티(20)에서 슬라이드 코어(30)가 안착되지 않은 부분 중 복수의 지점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12)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캐비티(20)에 볼트 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가압부(13)는 프레임(11)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프레임(11)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코어(30)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13)는 슬라이드 코어(3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프레임(1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가압부(13)는 나사산을 포함하여, 프레임(11)에 볼트 체결 방식으로 체결되며 하측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가압부(13)가 하측으로 돌출 될수록 슬라이드 코어(30)와 더욱 밀착되어, 슬라이드 코어(30)를 캐비티(2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지지부(14)는 캐비티(20)와 프레임(11) 사이에서 배치되며, 내부에 고정부(12)가 관통될 수 있다. 지지부(14)는 캐비티(20)와 프레임(11)의 이격 거리를 고정할 수 있다.
프레임(11)과 캐비티(20) 사이에 배치되되 지지부(14)가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프레임(11)이 고정부(12)에 의해 캐비티(20)에 삽입 고정 될 때, 프레임(11)과 캐비티(20)의 이격 거리를 고정할 수 있다.
플레이트(15)는 프레임(11)의 상면에 배치되되, 고정부(12)가 관통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2)의 헤드부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2)의 헤드부 부분이 플레이트(15)에 지지된 상태에서 고정부(12)의 하부가 캐비티(20)에 삽입됨으로써, 캐비티(20)와 프레임(11)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4)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지지부(14)는 고정블록(141), 슬라이딩블록(142) 및 체결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블록(141)은 캐비티(20)의 상면에 고정되며, 체결부재(143)가 삽입 가능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블록(142)은 고정블록(141) 내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며,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체결홈(1421)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홈(1421)은 복수개가 슬라이딩블록(142)의 높이를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143)는 고정블록(141)의 홈과 슬라이딩블록(142)의 체결홈(1421)에 삽입되어, 고정블록(141)에서 상승 또는 하강한 슬라이딩블록(142)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슬라이딩블록(142)이 상승한 상태에서, 슬라이딩블록(142)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홈(1421)과 고정블록(141)의 홈에 체결부재(143)가 삽입될 경우, 프레임(11)과 캐비티(20)의 이격 거리가 높아질 수 있다. 반대로, 슬라이딩블록(142)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홈(1421)과 고정블록(141)의 홈에 체결부재(143)가 삽입될 경우, 프레임(11)과 캐비티(20)의 이격 거리가 낮아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10)에 센서부(40)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센서부(40)는 가압부(13)에 설치되어, 가압부(13)가 슬라이딩 코어를 가압하는 힘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부(40)는 로드셀로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40)는 각각의 가압부(13)에 설치되어, 각 가압부(13)가 슬라이드 코어(30)를 가압하는 힘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센서부(40)에 측정된 가압하는 힘을 확인하여, 가압부(13)가 슬라이드 코어(30)를 동일한 힘으로 가압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어느 하나의 가압부(13)에 설치된 센서부(40)에서 측정된 힘의 값이 다를 경우, 가압부(13)의 가압력을 조절하여 동일하게 맞출 수 있다.
파지부(41)는 센서부(40)의 상단 또는 가압부(13)의 상단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가압부(13)를 회전시켜 슬라이드 코어(30)를 가압하는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10)에 측면 가압부(16)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10)는 측면 가압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면 가압부(16)는 슬라이드 코어(30)를 좌우 방향을 따라 가압하여, 슬라이드 코어(30)가 캐비티(2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측면 가압부(16)는 실린더부(161), 상하 가이드부(162) 및 이동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부(161)는 캐비티(2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할 수 있다. 실린더부(161)의 내측 단부에는 상하 가이드부(162)가 고정될 수 있다.
상하 가이드부(162)는 실린더부(161)의 단부에 고정되어 캐비티(2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하 가이드부(162)는 실린더부(161)에 의해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동부(163)는 상하 가이드부(162)에 설치되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163)의 하부에는 밀착부(163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밀착부(1631)는 캐비티(2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캐비티(20)의 내측면과 마주볼 수 있다.
밀착부(1631)가 슬라이드 코어(30)와 마주보도록 이동부(163)가 상하 가이드부(162)를 따라 상하 이동한 뒤, 상하 가이드부(162)가 실린더부(161)에 의해 좌우 방향을 따라 캐비티(20)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밀착부(1631)가 캐비티(2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있는 슬라이드 코어(30)가 캐비티(20)에 밀착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 11: 프레임
12: 고정부 13: 가압부
14: 지지부 141: 고정블록
142: 슬라이딩블록 1421: 체결홈
143: 체결 부재 15: 플레이트
16: 측면 가압부 161: 실린더부
162: 상하 가이드부 163: 이동부
1631: 밀착부 20: 캐비티
21: 코어 안착부 30: 슬라이드 코어
31: 안착부 40: 센서부
41: 파지부

Claims (5)

  1. 캐비티에서 슬라이드 코어가 삽입되는 부분을 따라,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 위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복수의 지점에서 관통하여 상기 캐비티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서 배치되며, 내부에 상기 고정부가 관통되어, 상기 캐비티와 상기 프레임의 이격 거리를 고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캐비티의 상면에 고정되며, 체결부재가 삽입 가능한 홈이 형성된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 내측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며,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체결홈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블록; 을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승하강 이동에 따라, 상기 캐비티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이격 거리가 결정되는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코어를 좌우 방향을 따라 가압하여, 상기 슬라이드 코어가 상기 캐비티에 밀착되도록 하는 측면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가압부는,
    상기 캐비티 상측에 위치되어, 실린더부에 의해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상하 가이드부; 및
    상기 상하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되, 하부에는 상기 캐비티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밀착부가 형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밀착부가 상기 슬라이드 코어와 마주보도록 상기 이동부가 상기 상하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 이동하고,
    상기 상하 가이드부가 상기 실린더부에 의해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밀착부가 상기 캐비티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있는 슬라이드 코어를 상기 캐비티에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
KR1020190138855A 2019-11-01 2019-11-01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 KR102230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855A KR102230555B1 (ko) 2019-11-01 2019-11-01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8855A KR102230555B1 (ko) 2019-11-01 2019-11-01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555B1 true KR102230555B1 (ko) 2021-03-22

Family

ID=75222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855A KR102230555B1 (ko) 2019-11-01 2019-11-01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5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180A (ko) * 1989-08-22 1991-03-30 아오이 죠이치 문자사이즈에 의해 복수종의 아우트라인 폰트를 사용하는 문서작성 장치
KR950004527U (ko) * 1993-07-08 1995-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권종 지폐 출납기의 동력전달구조
KR19990008644U (ko) * 1997-08-08 1999-03-05 윤종용 튜브류 제품의 사출금형장치
KR20080104842A (ko) 2007-05-29 2008-12-03 주식회사 한국몰드 슬라이드코어를 구비한 사출금형 및 그 제어방법
KR101202394B1 (ko) * 2011-07-19 2012-11-16 박대규 코어 접합부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180A (ko) * 1989-08-22 1991-03-30 아오이 죠이치 문자사이즈에 의해 복수종의 아우트라인 폰트를 사용하는 문서작성 장치
KR950004527U (ko) * 1993-07-08 1995-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권종 지폐 출납기의 동력전달구조
KR19990008644U (ko) * 1997-08-08 1999-03-05 윤종용 튜브류 제품의 사출금형장치
KR20080104842A (ko) 2007-05-29 2008-12-03 주식회사 한국몰드 슬라이드코어를 구비한 사출금형 및 그 제어방법
KR101202394B1 (ko) * 2011-07-19 2012-11-16 박대규 코어 접합부 교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5618B1 (en) Undercut processing mechanism and molding die
US20120058214A1 (en) Multiple press molding machine
KR950015722A (ko) 반도체 패키지 몰딩장치
KR102230555B1 (ko) 슬라이드 코어 고정 장치
KR101498997B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 홈 성형 및 벤딩 장치
KR102245871B1 (ko) 분리효율이 향상된 고정측 유압 슬라이드 작동기를 가진 사출금형
CN108016061B (zh) 压力设备
KR102275070B1 (ko) 인서트물 고정 구조가 구비된 사출 금형장치
KR100988790B1 (ko) 슬라이드코어 어셈블리
KR101522937B1 (ko) 2단 취출장치가 구비된 사출 금형
CN114228062A (zh) 设有可控多方向滑动机构的模具
KR102329566B1 (ko) 수직식 프레스 성형기
JP4336449B2 (ja) 射出成形装置
JPH01104438A (ja) 閉塞鍛造装置
JP2006007778A (ja) 射出成形装置のための閉鎖ユニット
KR102372020B1 (ko) 사출물의 지그 고정용 클램프 기구
US11590679B2 (en) Injection molding mold
KR101624579B1 (ko) 프레스기용 안전장치
JP7037974B2 (ja) プレス成形装置
KR100864251B1 (ko) 금형조립체
KR102245873B1 (ko) 압착효율이 향상된 고정측 유압 슬라이드 작동기를 가진 사출금형
KR102229470B1 (ko) 가공하려는 금형의 고정 및 센터링 어셈블리와 그 어셈블리가 구성된 금형가공장치
KR101394599B1 (ko) 금형 위치 조정이 가능한 프레스 가공장치
KR20120001855U (ko) 슬라이드 코어 장치
KR101653909B1 (ko) 유압 밀림방지 실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