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559B1 - 차량용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559B1
KR101155559B1 KR1020107009730A KR20107009730A KR101155559B1 KR 101155559 B1 KR101155559 B1 KR 101155559B1 KR 1020107009730 A KR1020107009730 A KR 1020107009730A KR 20107009730 A KR20107009730 A KR 20107009730A KR 101155559 B1 KR101155559 B1 KR 101155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tor
bracket
insert
airbag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9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5995A (ko
Inventor
타카시 아리마
히데호 후쿠다
요시히로 오바
히로노리 아라가와
Original Assignee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00075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1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specially adapted for elongated cylindrical or bottle-like inflators with a symmetry axis perpendicular to the main direction of bag deployment, e.g. extruded reaction cani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과제 인플레이터에의 브래킷 장착 작업에 의해, 가스의 누출 방지도 가능한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 (5)가 삽입되는 인플레이터 삽입부 (4)가 일체로 형성되고, 인플레이터 삽입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어 전개 팽창되는 에어백과, 인플레이터 삽입부의 외측에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를 부분적으로 덮어서 장착되는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을 구비하고, 인플레이터를 차체 측에 달기 위한 브래킷과,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및 인플레이터 삽입부에 삽입된 인플레이터를 둘러싸서 일체화하는 대상(帶狀)체 (10)과, 인플레이터측 장착부에 대상체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표면 (8a)와 인플레이터 삽입부 표면 ((4b))의 단차 h에 의해 대상체와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 표면사이에 생기는 틈 S를 봉쇄하는 봉쇄부 (11)을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백 장치 {Vehicle Airbag Device}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에 브래킷을 장착하는 작업에 의해, 가스의 누출 방지도 가능한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에 인플레이터 삽입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인플레이터 삽입부에 인플레이터를 삽입하여, 인플레이터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를 인플레이터 삽입부로부터 에어백 내에 유입시킴으로써, 에어백을 전개 팽창시키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인플레이터에서 분출되는 가스가 통 모양의 접속구부로부터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램프로 단단히 조여서 접속부를 인플레이터에 밀착시키고 있다. 한편, 인플레이터를 바디측에 부착하기 위하여, 클램프와는 떨어진 위치에서 별도로 인플레이터에 설치 브래킷을 장착시키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특개 2003-160018호 공보(도 5 및 도 6)
특허문헌 1에서는, 클램프를 이용한 조임과 설치 브래킷을 인플레이터에 장착시키는 2개의 작업을 따로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에 비추어 창안된 것으로서, 인플레이터에 브래킷을 장착시키는 작업에 의해, 가스 누출 방지도 가능한 차량용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는,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가 삽입되는 인플레이터 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로부터 가스가 유입하여 전개 팽창되는 에어백과, 상기 인플레이터를 차체측에 달기 위하여,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의 외측에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를 부분적으로 덮어서 장착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 및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인플레이터를 포위하여 일체화하는 대상(帶狀)체와, 상기 브래킷에 상기 대상체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 표면과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 표면과의 단차에 의해 상기 대상체와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 표면의 사이에 생기는 틈을 봉쇄하는 봉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쇄부는 상기 대상체의 한 쌍의 측 가장 자리의 적어도 임의의 한쪽에 배설(配設)하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는,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가 삽입되는 인플레이터 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에서 가스가 유입하여 전개 팽창되는 에어백과, 상기 인플레이터를 차체측에 달기 위하여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의 외측에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를 부분적으로 덮어서 장착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 및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인플레이터를 포위하여 일체화하는 대상체와, 상기 브래킷에 상기 브래킷의 두께를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 표면을 향하여 점점 감소시켜 형성되고, 상기 대상 재료를 따라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 표면과 상기 브래킷을 일련에 연속되게 하는 두께 감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께 감소부는 상기 대상체에 포위되는 위치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는,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가 삽입되는 인플레이터 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에서 가스가 유입하여 전개 팽창되는 에어백과, 상기 인플레이터를 차체측에 달기 위하여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의 외측에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를 부분적으로 덮어서 장착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 및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인플레이터를 포위하여 일체화하는 대상체와, 상기 브래킷에, 상기 브래킷의 두께를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 표면을 향해 감소시켜 형성되고, 상기 대상재(帶狀材)를 따라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 표면과 상기 브래킷을 일련에 연속되게 하는 두께 감소부와, 상기 브래킷에 상기 대상체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대상체와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 표면과의 사이에 생기는 틈을 봉쇄하는 봉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두께 감소부는 상기 대상체에 포위되는 위치에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봉쇄부는 상기 대상체의 한 쌍의 측 가장 자리의 적어도 임의의 한 쪽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서는, 인플레이터에 브래킷을 장착시키는 작업에 의해, 가스의 누출 방지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제 1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에어백 장치로서, 인플레이터 삽입부를 포함하는 에어백을 생략하여 나타낸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차량용 에어백 장치로서, 도 2와 마찬가지로 에어백을 생략하여 나타낸 일부 파단 측면도.
도 4는 브래킷 및 인플레이터 삽입부에 삽입된 인플레이터를 일괄해서 포위하여 대상체를 감았을 경우에 상정되는 문제를 예시한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정면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차량용 에어백 장치에 사용되는 대상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대상체로 브래킷 및 인플레이터 삽입부를 포위하여 일체화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7은 도 3중, A一A선에서 보았을 때의 정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제 2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의 A一A선 선에서 보았을 때의 정면 단면도에 대응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제 3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3의 A一A선 선에서 보았을 때의 정면 단면도에 대응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에어백 장치로서 후술하는 인플레이터 삽입부를 포함하는 에어백을 생략하여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차량용 에어백 장치로서 도 2와 마찬가지로 에어백을 생략하여 도시한 일부 파단한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1)로서, 시트에 착석한 탑승객과 차체측 사이에 전개 팽창되는 커튼 에어백 장치가 예시되어 있다. 커튼 에어백 장치에 적용되는 에어백 (2)는, 이 종류의 에어백 장치에 적용되는 주지(周知)의 유연한 포재(布材)에 의해,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커튼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2)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 모양으로 감겨 격납된다. 에어백 (2)의 길이 방향의 적합 위치에는, 덕트부 (3)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 (2)와 일체로 슬리브 형태의 인플레이터 삽입부 (4)가 형성된다. 인플레이터 삽입부 (4)는 에어백 (2)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양단부 (4a)가 개방된다. 인플레이터 삽입부 (4)는 덕트부 (3)을 통하여 에어백 (2) 내부와 연통된다.
인플레이터 삽입부 (4)에는 원통체 모양의 인플레이터 (5)가 삽입된다. 인플레이터 (5)에는 길이 방향의 한 측에 가스를 분출하는 구멍 (5a)가 다수 형성된 가스 분출부 (5b)가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로 인플레이터 (5)의 가스 분출부 (5b)가 인플레이터 삽입부 (4)의 내부에 배설된다. 인플레이터 (5)의 가스 분출부 (5b)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는 인플레이터 삽입부 (4) 안에 분출된다. 인플레이터 삽입부 (4) 안에 분출된 가스는 덕트부 (3)을 통하여 에어백 (2) 안에 유입되고, 이렇게 함으로써 에어백 (2)가 전개 팽창된다.
인플레이터 삽입부 (4)의 외측에는, 인플레이터 (5)를 차체측의 적합한 곳에 설치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 (6)이 장착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브래킷 (6)은 금속 판재를 가공 성형시켜 형성된다. 브래킷 (6)은 적당한 곳에 볼트삽입구멍 (7a)가 형성된 플레이트 모양의 차체측 설치부 (7)과, 정면 단면 (인플레이터 (5)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이 아치 형상으로 만곡 형성되어 인플레이터 삽입부 (4)에 끼워 맞추어지는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과, 설치부 (7)과 장착부 (8)을 연결하기 위하여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부 (9)로 구성된다. 연결부 (9)는 후술하는 대상(帶狀)체 (10)의 장착에 장해가 되지 않게,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의 거의 중앙에 위치시켜 형성된다.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은, 인플레이터 (5)의 길이 방향에 따라 길게 형성된다. 또,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의 아치 형상 단면은, 인플레이터 삽입부 (4) 안의 원통체 형태의 인플레이터를 외측에서 덮기 위하여, 상기 인플레이터 (5)의 정면 단면 형상에 일치시켜 형성된다. 인플레이터 (5)는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에 상기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의 길이 방향에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끼워 맞추어진다.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은 단면 아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인플레이터 삽입부 (4)의 주위를 부분적으로 덮고, 인플레이터 (5)에 장착된다. 인플레이터 (5)가 정면 단면 다각형모양일 경우에는,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은 상기 다각형모양을 따른 정면 단면형상으로 아치 형상으로 형성된다.
브래킷(6)의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 및 상기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에 장착된 인플레이터 삽입부 (4) 안의 인플레이터 (5)의 주위에는, 이들을 일괄하여 둘러싸서 일체화시키는 금속제 대상체 (10)이 감겨져 있다. 대상체 (10)이 감긴 상태가 도 4에 예시되어 있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바와 같이, 대상체 (10)만으로 인플레이터 (5)와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을 일괄해서 일체화할 경우,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은 상당한 두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의 표면 (8a)와 인플레이터 (5)가 삽입된 인플레이터 삽입부 (4)의 표면 (4b) 사이에는,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의 두께분의 단차 h가 형성된다.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과 인플레이터 삽입부 (4)를 대상체 (10)으로 둘러싸면, 단차 h 에 의해 대상체 (10)이 인플레이터 삽입부 (4)의 표면 (4b)로부터 부상(浮上 )하듯이 이탈되고, 대상체 (10)의 감김 힘을 작용시킬 수 없는 틈 S가 생긴다. 이런 틈 S가 있으면, 인플레이터 삽입부 (4) 안에 분출된 가스가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 (4)의 양단부 (4a)로부터 새어나갈 수 있다. 이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래킷 (6)의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에 상기 틈 S를 봉쇄하는 봉쇄부(11)이 형성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브래킷 (6), 대상체 (10), 및 봉쇄부 11의 구성에 관하여, 도 1~도 3 및 도 5~도 7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브래킷 (6)에는, 상기 구성에다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의 길이 방향 양단부 가장 자리 (8a) 각각으로부터 상기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의 길이 방향에 적당한 거리를 두고, 구부(溝部) (12)가 형성된다. 구부 (12)는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의 아치 형상 둘레 방향의 양측 가장 자리 각각에 형성된다. 구부 (12)에 의해,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은, 구부 (12)의 위치에서 거의 정면 단면 반원형상으로, 또 구부 (12) 위치 이외에서, 아치 형상 둘레 방향으로 단면 반원 모양보다도 둘레 길이가 긴 거의 정면 단면 C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정면 단면 C자 모양의 부분이 대상체 (10)을 따라, 대상체 (10) 및 인플레이터 삽입부 (4)사이의 틈 S의 범위보다도 길게 형성되고, 이렇게 함으로써 봉쇄부 (11)이 형성된다. 대상체 (10)은 그 폭 방향 양측 가장 자리 (10a)가 봉쇄부 11에 끼워져 있는 구부 (12)에 걸림 고정되고,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에 안착된다.
대상체 (1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의 길이 방향 양단부 가장 자리 (8a)의 구부 (12) 각각에 감긴다. 대상체 (10)은, 한 장의 띠 모양 부품 (13)의 양단부(13a),(13b)를 내외로 겹치게 하여, 이들 양단부 (13a),(13b)가 서로 슬라이드가 자유로운 링(ring) 모양으로 형성된다. 띠모양 부품 (13)의 안쪽에 위치되는 일단부 (13a)에는, 적당한 간격을 두고 2개의 돌기부 (13c)와 훅(hook) (13d)가 형성된다. 한편, 띠모양 부품 (13)의 외측에 위치하는 타단부 (13b)에는, 돌기부 (13c) 및 훅(hook) (13d)의 위치에 맞추어, 돌기부 (13c)를 삽입하기 위한 2개의 창 구멍 (13e)와 훅 (13d)가 끼워 맞춤되는 끼워 맞춤 구멍 (13f)가 형성된다. 또, 띠모양 부품 13에는, 양단부 (13a), (13b)사이에 위치시켜, 링(ring) 모양의 대상체 (10)의 직경을 축소 시키기 위한 조작력이 입력되는 입력부 (13g)가 형성된다. 입력부 (13g)는, 띠모양 부품 (13)을 직경 방향 으로 바깥으로 융기시킴으로써 형성된 한 쌍의 각부(脚部) (13h)를 가진다. 훅 (13d)는, 입력부 (13g)의 형성 위치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끼워 맞춤 구멍 (13f)와 끼워 맞춤되게 형성된다.
입력부 (13g)에, 한 쌍의 각부 (13h)를 접근시키도록 변형하게 하는 조작력을 입력하면, 우선 띠모양 부품 (13)의 타단부 (13b)가 입력부 (13g)를 향하여, 띠 모양 부품 (13)의 일단부 (13a)에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훅 (13d)의 끼워 맞춤 구멍 (13f)에 대한 끼워 맞춤이 강해짐과 동시에, 창 구멍 (13e)가 돌기부 (13c)를 압압(押壓)한다. 도 6에는 대상체 (10)이 감긴 상태가 나타나 있고, 돌기부 (13c)가 압압(押壓)받는 것에 의해, 띠모양 부품 (13)의 일단부 (13a) 측이, 타단부 (13b) 측의 아래쪽으로 보내져서 이들 양단부 (13a), (13b)의 겹쳐짐 (overlap)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이로 인해 대상체 (10)의 직경이 축소된다. 이 대상체 (10)의 직경이 축소되는 것에 의해, 브래킷 (6)의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과 인플레이터 삽입부 (4) 안의 인플레이터 (5)가 일체화 된다.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에 형성된 상기 봉쇄부 11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단차 h에 의해 대상체 (10)과 인플레이터 삽입부 (4)의 표면 (4b) 사이에 생기는 틈 S를 봉쇄하기 위하여, 적어도 단차 h로부터 대상체 (10)의 인플레이터 삽입부 표면 (4b)에로의 접지 위치 x에 걸쳐 형성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 1의 제 1실시형태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차량용 에어백 장치 1을 차체에 안장할 때에는, 우선, 인플레이터 (5)를 롤상으로 감겨진 에어백 2의 인플레이터 삽입부 (4)에 삽입한다. 그 다음에, 인플레이터 삽입부 (4)의 외측에,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 (4)를 부분적으로 덮어서 브래킷 (6)의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을 장착한다. 그 다음에, 브래킷 6 및 인플레이터 삽입부 (4)에 삽입된 인플레이터 (5)를 포위하여 대상체 (10)을 감아서, 상기 대상체 (10)으로 이들 브래킷 (6)과 인플레이터 (5)를 일체화시킨다. 이때, 대상체 (10)을 봉쇄부 (11)사이의 구부 (12) 위치에 맞추어 안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대상체 (10)의 양측에 위치하는 봉쇄부 (11)에 의해, 상기 대상체 (10)과 인플레이터 삽입부 표면 (4b) 사이의 틈 S를 봉쇄할 수 있다. 최후에, 브래킷 (6)의 차체측 설치부 7을 차체에 고정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용 에어백 장치 1을 차체에 안장할 수 있다.
그런데, 제 1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 1에서는, 인플레이터 삽입부 (4)에로의 인플레이터 (5)의 조임과, 브래킷 (6)의 인플레이터 (5)에로의 장착 이 2개 작업을, 대상체 (10)의 설치 작업에 의해 일괄하여 행할 수 있고, 배경 기술처럼 이 작업들을 서로 다른 위치에서 따로따로 할 필요가 없으며, 작업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인플레이터 (5)의 조임과 브래킷 (6)의 인플레이터 (5)에로의 장착을 같은 위치에서 진행할 경우에, 브래킷 (6)의 두께에 의한 단차 h에 의해,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표면 (8a)와 인플레이터 삽입부 표면 (4b) 사이에 대상체 (10)의 감김 힘이 작용하지 못하는 틈 S가 생기는데, 이 틈 S에 대하여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에 대상체 (10)을 따라 상기 틈 S를 봉쇄하는 봉쇄부 (11)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인플레이터 삽입부 (4) 안에 분출된 가스가 틈 S 때문에 인플레이터 삽입부 (4)로부터 외부에 새어나가는 것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인플레이터 삽입부 (4)의 인플레이터 (5)에로의 조임 및 브래킷 (6)의 인플레이터 (5)에로의 장착을 한곳에서 대상체 (10)만으로 진행시켜도, 인플레이터 삽입부 (4)의 양단부 (4a)로부터의 가스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에어백 2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보증할 수 있다.
그리고, 구부 (12) 혹은 봉쇄부 (11)에 의해 대상체 (10)을 브래킷 (6)에 걸림 고정시킬 수 있기에, 이렇게 함으로써 대상체 (10)을 위치 결정할 수 있고, 대상체 (10)의 브래킷 (6)에로의 적절한 장착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구부 (12)의 형성에 의해 봉쇄부 (11)을 설정하도록 하였지만, 구부 (12)를 설치할 필요없이,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의 아치 형상 둘레 방향의 양측 가장 자리에서부터, 대상체 (10)을 따라 밖을 향해 적합하게 돌출시켜서, 손톱(爪) 형태의 봉쇄부 (11)을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 제 1실시형태에서는, 대상체 (10)의 한 쌍의 측 가장 자리 (10a) 각각에 대하여 봉쇄부 (11)을 배설하였는데, 임의의 한쪽 측 가장 자리 (10a)만을 따라서 봉쇄부 (11)을 형성하게 해도 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 (1)의 제 2실시형태가 나타나 있다. 제 2실시형태는, 대상체 (10)을 인플레이터 삽입부 (4)로부터 브래킷 (6)에 걸쳐 밀접시키는 것에 의해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기 때문에, 봉쇄부 (11)을 대신하여 틈 S의 발생 원인인 단차 h를 없애게 브래킷 (6)의 표면측에 두께를 점점 감소시키는 두께 감소부 (14)를 구비한 것이다. 두께 감소부 (14)는, 대상체 (10)을 따라 인플레이터 삽입부 표면 (4b)와 브래킷 (6)을 일련에 연속시키기 위하여, 브래킷 (6)의 두께를 인플레이터 삽입부 표면 (4b)를 향하여 테이퍼 형태로 점점 감소시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두께 감소부 (14)는,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과 인플레이터 삽입부 (4)의 경계 위치부터, 인플레이터 삽입부 (4)의 외형 윤곽의 접선 방향에 따라 브래킷 (6)의 두께를 깎는 형태로 형성된다. 두께 감소부 (14)는, 브래킷 (6)을 프레스 성형하는 등을 통하여 형성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도 차량용 에어백 장치 (1)의 차체에로의 설치 작업은 동일하며, 대상체 (10)으로 일괄하여 같은 위치에서 인플레이터 (5)의 조임과 브래킷 (6)의 인플레이터 (5)에로의 장착을 진행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실시형태에서는, 처음부터 브래킷 (6)의 두께에 의한 단차 h가 생기는 일은 없으므로, 대상체 (10)을 인플레이터 삽입부 (4) 및 브래킷 (6)에 밀착시켜 감을 수 있고, 이들에 감김 힘을 적절하고 확실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때문에, 인플레이터 삽입부 (4)의 인플레이터 (5)에로의 조임 및 브래킷 (6)의 인플레이터 (5)에로의 장착을 한 곳에서 대상체 (10)만으로 진행하게 하여도, 인플레이터 삽입부 (4)의 양단부 (4a)로부터의 가스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에어백 2의 양호한 작동 특성을 보증할 수 있다.
두께 감소부 (14)는 인플레이터 장착부 (8)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시켜도 되고, 대상체 (10)에 포위되는 위치에서만 형성시켜도 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두께 감소부 (14)가 마크로 되여 대상체 (10)의 적절한 장착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두께 감소부 (14)는 테이퍼 형태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요면, 철면 등으로 만곡시켜 형성하여도 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장치의 제 3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 3실시형태는 제 1실시형태의 봉쇄부 (11)에 인접시켜서, 제 2실시형태의 두께 감소부 (14)를 병설한 것이다. 이들 두께 감소부 (14)와 봉쇄부 (11)의 관계는두께 감소부 (14)의 형성 영역에 대응시켜서 봉쇄부 (11)이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두께 감소부 (14)에 의하여서도 대상체 (10)과 인플레이터 삽입부 표면 (4b) 사이에 틈 S가 존재하더라도, 이 틈 S 를 봉쇄부 (11)에 의해 봉쇄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로 얻어지는 작용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두께 감소부 (14)는, 대상체 (10)에 포위되는 위치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봉쇄부 (11)은 두께 감소부 (14)에 위치되는 대상체 (10)의 한 쌍의 측 가장 자리 (10a) 중, 적어도 임의의 한 쪽을 따라 배설시키면 된다. 또한 봉쇄부 (11)은 두께 감소부 (14)의 형성 영역 이상에 걸쳐 형성시켜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위에 서술한 차량용 에어백 장치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이며, 이밖의 실시형태 예에서도, 각종의 방법으로 실시 또는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원 명세서 중에 한정되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 발명은 첨부 도면에 나타낸 상세한 부품의 형상, 크기 및 구성 배치 등에 제약되는 것이 아니다. 또, 본원 명세서 중에 이용되는 표현 및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특히 한정되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 차량용 에어백 장치
2 : 에어백
4 : 인플레이터 삽입부
4a : 인플레이터 삽입부 표면
5 : 인플레이터
6 : 브래킷
8 :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8a : 인플레이터측 장착부 표면
10 : 대상체
10a : 대상체의 측 가장 자리
11 : 봉쇄부
14 : 두께 감소부
h : 단차
S : 틈

Claims (6)

  1.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가 삽입되는 인플레이터 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어 전개 팽창되는 에어백;
    상기 인플레이터를 차체측에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의 외측에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를 부분적으로 덮어서 장착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 및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인플레이터를 둘러싸서 일체화하는 대상(帶狀)체;
    상기 브래킷에 상기 대상체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 표면과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 표면의 단차에 의해 상기 대상체와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 표면 사이에 생기는 틈을 봉쇄하는 봉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쇄부는 상기 대상체의 한 쌍의 측 가장자리에 적어도 임의의 한 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3.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가 삽입되는 인플레이터 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어 전개 팽창되는 에어백;
    상기 인플레이터를 차체 측에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의 외측에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를 부분적으로 덮어서 장착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 및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인플레이터를 둘러 싸서 일체화하는 대상체 (帶狀體);
    상기 브래킷에 상기 브래킷의 두께를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 표면을 향하여 점점 감소시켜 형성되고, 상기 대상체를 따라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 표면과 상기 브래킷이 일련으로 연속되게 하는 두께 감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감소부는, 상기 대상체에 둘러싸이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5.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가 삽입되는 인플레이터 삽입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에서 가스가 유입하여 전개 팽창되는 에어백;
    상기 인플레이터를 차체측에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의 외측에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를 부분적으로 덮어서 장착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 및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인플레이터를 둘러싸서 일체화하는 대상체;
    상기 브래킷에, 상기 브래킷의 두께를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 표면을 향하여 점점 감소시켜 형성되고, 상기 대상 재료를 따라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 표면과 상기 브래킷이 일련으로 연속되게 하는 두께 감소부;
    상기 브래킷에 상기 대상체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대상체와 상기 인플레이터 삽입부 표면 사이에 생기는 틈을 봉쇄하는 봉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감소부는, 상기 대상체에 둘러싸이는 위치에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봉쇄부는 상기 대상체의 한 쌍의 측 가장 자리의 적어도 임의의 한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20107009730A 2007-10-30 2008-10-09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1155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82478 2007-10-30
JPJP-P-2007-282478 2007-10-30
PCT/JP2008/068341 WO2009057431A1 (ja) 2007-10-30 2008-10-09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995A KR20100075995A (ko) 2010-07-05
KR101155559B1 true KR101155559B1 (ko) 2012-06-19

Family

ID=40590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730A KR101155559B1 (ko) 2007-10-30 2008-10-09 차량용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8215664B2 (ko)
EP (1) EP2204307B1 (ko)
JP (1) JP5009995B2 (ko)
KR (1) KR101155559B1 (ko)
CN (1) CN101821137B (ko)
WO (1) WO20090574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21137B (zh) 2007-10-30 2012-02-22 奥托立夫开发公司 车辆用安全气囊装置
DE102008056946A1 (de) * 2008-11-07 2010-05-12 Takata-Petri Ag Airbagmodul mit einem Gassack und einem an einem Modulgehäuse befestigbaren Rohrgasgenerator
DE102009023923B4 (de) * 2009-06-04 2016-02-11 Autoliv Development Ab Befestigungsklemme und Gassack-Einheit
US8007000B2 (en) * 2010-01-07 2011-08-30 Autoliv Asp, Inc. Inflatable airbag assembly with an inflator bracket
DE102010052782A1 (de) * 2010-11-30 2012-05-31 Trw Automotive Gmbh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für ein Fahrzeug und Dichtungselement
FR3011400B1 (fr) * 2013-10-01 2015-09-04 Renault Sa Systeme et procede de charge d'une batterie de traction limitant l'appel de courant de capacites parasites
JP6500274B2 (ja) * 2015-09-01 2019-04-17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
US10196027B2 (en) * 2015-12-17 2019-02-05 Autoliv Asp, Inc. Clamping arrangement for securing an airbag to an inflator
DE202016107170U1 (de) * 2016-12-20 2017-02-07 Dalphi Metal Espana, S.A. Halterung, Befestigungssystem; Gassackmodul und Fahrzeugsicherheitssystem
US11214219B2 (en) * 2019-03-27 2022-01-04 Toyoda Gosei Co., Ltd. Airbag device
JP7367644B2 (ja) * 2020-09-15 2023-10-24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CN113212360B (zh) * 2021-06-23 2022-10-11 宁波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侧面气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3290A (ja) 1997-01-24 1998-08-04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H10217898A (ja) 1997-02-04 1998-08-18 Denso Corp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インフレータ装置
JP2003291772A (ja) 2002-04-02 2003-10-15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6395A (en) * 1996-07-24 1999-05-25 Denso Corporation Air bag apparatus, folded air bag, and method of folding the air bag
US6082761A (en) 1997-01-24 2000-07-04 Toyoda Gosei Co., Ltd. Side airbag device
JP2000085510A (ja) * 1998-09-14 2000-03-28 Takata Kk エアバッグ装置とインフレータとの連結構造
JP2002067868A (ja) * 2000-09-04 2002-03-08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
JP2002249013A (ja) * 2001-02-23 2002-09-03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003029177A (ja) 2001-07-17 2003-01-29 Mitsubishi Cable Ind Ltd 光スイッチの製造方法
JP3835257B2 (ja) * 2001-11-12 2006-10-18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3835264B2 (ja) * 2001-11-22 2006-10-18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DE102005024846B4 (de) * 2005-05-27 2014-03-13 Autoliv Development Ab Gassack-Einheit
US20070063489A1 (en) * 2005-09-20 2007-03-22 Autoliv Asp, Inc. Quick connect airbag coupling
CN101821137B (zh) 2007-10-30 2012-02-22 奥托立夫开发公司 车辆用安全气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3290A (ja) 1997-01-24 1998-08-04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H10217898A (ja) 1997-02-04 1998-08-18 Denso Corp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インフレータ装置
JP2003291772A (ja) 2002-04-02 2003-10-15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57431A1 (ja) 2009-05-07
EP2204307B1 (en) 2013-10-23
US8286993B1 (en) 2012-10-16
JP5009995B2 (ja) 2012-08-29
EP2204307A4 (en) 2012-10-31
KR20100075995A (ko) 2010-07-05
CN101821137B (zh) 2012-02-22
US20120256398A1 (en) 2012-10-11
US8302990B2 (en) 2012-11-06
JPWO2009057431A1 (ja) 2011-03-10
EP2204307A1 (en) 2010-07-07
CN101821137A (zh) 2010-09-01
US8215664B2 (en) 2012-07-10
US20120248744A1 (en) 2012-10-04
US20100207364A1 (en)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559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US6450528B1 (en) Vehicle seat housing an airbag device
JP4619914B2 (ja) 車両内装部材
EP2579406A2 (en) Wire harness installation structure and wire harness-flattening band
EP2671764A1 (en) Pretensioner device and seat belt device
US5261692A (en) Inflatable restraining device for motor vehicle occupants
CN105818781A (zh) 带扣装置
JP2013006447A5 (ko)
JP4189370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200139409A (ko) 커튼 에어백장치
US8783762B2 (en) Sleeve for the guiding-through of at least one line
JP2010168044A (ja) 車両内装部材
KR20190031150A (ko) 라이닝부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 시스템 및 자동차
CN110691913B (zh) 夹具
KR101409472B1 (ko) 이중 구조를 갖는 그로멧 결합장치
JP5215151B2 (ja) シール用のゴムパッキンの取り付け構造
JP2007230443A (ja) 乗員拘束装置
JP2005282836A (ja) 樹脂チューブ用プロテクタ
JP4837699B2 (ja) 締付けバンド
JP4949339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H11223282A (ja) ワイヤハーネス保護用チューブ
JP2006292117A (ja) ベルトクランプ
JP2011255829A (ja) フロントピラーガーニッシュ取付装置
JP5873313B2 (ja) リテーナ構造
JP3485218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グロ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