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210B1 -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210B1
KR101154210B1 KR1020110125760A KR20110125760A KR101154210B1 KR 101154210 B1 KR101154210 B1 KR 101154210B1 KR 1020110125760 A KR1020110125760 A KR 1020110125760A KR 20110125760 A KR20110125760 A KR 20110125760A KR 101154210 B1 KR101154210 B1 KR 101154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fiber layer
separator
layer
manufacturing
nano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수
김병석
케이 와타나베
나오타카 기무라
김규오
이재환
Original Assignee
신슈 다이가쿠
주식회사 톱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슈 다이가쿠, 주식회사 톱텍 filed Critical 신슈 다이가쿠
Priority to US13/977,711 priority Critical patent/US9177729B2/en
Priority to EP12761231.5A priority patent/EP2642556A4/en
Priority to CN201280005469.3A priority patent/CN103314466B/zh
Priority to PCT/KR2012/000853 priority patent/WO2012128474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2Diaphragms;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Fibr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457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ll Separator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 및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평면에서 봐서 격자형상인 제 1 나노 섬유층(20)과,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20)의 한쪽 면에 설치되어 제 1 나노 섬유층(20)보다 얇은 제 2 나노 섬유층(30)과, 제 1 나노 섬유층(10)의 다른쪽 면에 설치되어 제 1 나노 섬유층(20) 보다 얇은 제 3 나노 섬유층(40)을 구비하는 세퍼레이터(10)와, 제 1 나노 섬유층(20)은 7㎛~30㎛의 범위 내의 두께를 갖고, 제 2 나노 섬유층(30) 및 제 3 나노 섬유층(40)은 모두 1㎛~5㎛의 범위 내에 있는 두께를 가지며, 높은 절연성, 높은 덴드라이트 내성, 높은 이온 전도성 및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진 세퍼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A method for manufacturing separator}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노 섬유층을 가진 세퍼레이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나노 섬유층을 가진 세퍼레이터는 일반적인 섬유층을 가진 세퍼레이터와 비교하여 섬유가 가늘고 공극(空隙)이 미세하고 균일하므로, 절연성 및 덴드라이트 내성이 높다. 이 때문에, 높은 절연성 및 높은 덴드라이트 내성을 유지한 채 세퍼레이터의 두께를 얇게 하여 이온 전도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나노 섬유층을 가진 세퍼레이터는 일반적인 섬유층을 가진 세퍼레이터와 비교하여 공극률이 크기 때문에 높은 전해액 유지성을 갖고, 이 때문에 이온 전도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나노 섬유층을 가진 세퍼레이터는 높은 절연성, 높은 덴드라이트 내성 및 높은 이온 전도성을 가진 세퍼레이터가 된다. 이와 같은 세퍼레이터는 전지(1차 전지 및 2차 전지를 포함함)나 콘덴서(캐퍼시터라고도 함) 등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나노 섬유란, 평균 직경이 수nm~수천nm의 섬유를 말한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제2009-510700호
그러나, 나노 섬유층을 가진 세퍼레이터는 나노 섬유층을 구성하는 나노 섬유가 극세(極細) 섬유로 이루어지므로, 기계적 강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나노 섬유층을 두껍게 하여 기계적 강도를 높이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나노 섬유층 자체를 두껍게 하여 기계적 강도를 높게 한 것은 이온 전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높은 절연성, 높은 덴드라이트 내성, 높은 이온 전도성 및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진 세퍼레이터를 제조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는 평면에서 봐서 격자형상인 제 1 나노 섬유층과,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의 한쪽 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보다 얇은 제 2 나노 섬유층과,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의 다른쪽 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보다 얇은 제 3 나노 섬유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 의하면, 평면에서 봐서 격자 형상인 제 1 나노 섬유층과, 제 1 나노 섬유층보다 얇은 제 2 나노 섬유층 및 제 3 나노 섬유층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제 2 나노 섬유층 및 제 3 나노 섬유층의 작용에 의해 높은 절연성, 높은 덴드라이트 내성 및 높은 이온 전도성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 의하면, 평면에서 봐서 격자형상인 제 1 나노 섬유층과, 제 1 나노 섬유층보다 얇은 제 2 나노 섬유층 및 제 3 나노 섬유층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평면에서 봐서 격자형상인 제 1 나노 섬유층을 두껍게 하여 기계적 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나노 섬유층을 두껍게 했다고 해도 제 1 나노 섬유층이 평면에서 봐서 격자형상인 구조를 가지므로 전해액의 유통이 양호하게 유지된 결과, 이온 전도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는 높은 절연성, 높은 덴드라이트 내성, 높은 이온 전도성 및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진 세퍼레이터가 된다.
[2]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서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은 7㎛~30㎛의 범위 내에 있는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제 1 나노 섬유층이 7㎛~30㎛의 범위 내에 있는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즉, 제 1 나노 섬유층이 7㎛ 미만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고, 제 1 나노 섬유층이 30㎛를 초과하는 두께를 가지는 경우에는 세퍼레이터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말하면, 제 1 나노 섬유층은 10㎛~20㎛의 범위 내에 있는 두께를 가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3]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서 상기 제 2 나노 섬유층 및 상기 제 3 나노 섬유층은 모두 1㎛~5㎛의 범위 내에 있는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제 2 나노 섬유층 및 제 3 나노 섬유층이 모두 1㎛~5㎛의 범위 내에 있는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즉, 제 2 나노 섬유층 또는 제 3 나노 섬유층이 1㎛ 미만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에는 절연성 및 덴드라이트 내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고, 제 2 나노 섬유층 또는 제 3 나노 섬유층이 5㎛를 초과하는 두께를 가지는 경우에는 이온 전도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말하면, 제 2 나노 섬유층 및 제 3 나노 섬유층은 모두 2㎛~4㎛의 범위 내에 있는 두께를 가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4]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서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은 평면에서 봐서 격자의 총면적 보다 큰 총면적을 가진 다수의 개구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제 1 나노 섬유층을 두껍게 하여 기계적 강도를 높게 했다고 해도 전해액의 유통이 양호하게 유지되는 결과, 이온 전도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5]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서 상기 개구는 평면에서 봐서 10㎛2~200㎛2의 범위 내에 있는 평균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가 평면에서 봐서 10㎛2~200㎛2의 범위 내에 있는 평균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즉, 개구가 평면에서 봐서 10㎛2 미만의 평균 면적을 가지는 경우에는 이온 전도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고, 개구가 평면에서 봐서 200㎛2 초과하는 평균 면적을 가지는 경우에는 세퍼레이터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말하면, 개구는 평면에서 봐서 20㎛2~100㎛2의 범위 내에 있는 평균 면적을 가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6]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은 절연성 지지체상에 위치하는 평면에서 봐서 격자형상인 컬렉터 전극과 노즐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한 상태로 상기 노즐로부터 폴리머 용액을 토출함으로써 상기 컬렉터 전극상에 평면에서 봐서 격자형상인 제 1 나노 섬유층을 형성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의 한쪽 면에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보다 얇은 제 2 나노 섬유층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의 다른쪽 면에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보다 얇은 제 3 나노 섬유층을 설치하는 제 2 공정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을 갖고, 높은 절연성, 높은 데드라이트 내성, 높은 이온 전도성 및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진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를 제조할 수 있다.
[7]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정에서는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으로서 7㎛~30㎛의 범위 내에 있는 두께를 가진 제 1 나노 섬유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함으로써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고, 또한 적절한 두께를 가진 세퍼레이터를 제조할 수 있다.
[8]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정에서는 상기 제 2 나노 섬유층 및 상기 제 3 나노 섬유층으로서 모두 1㎛~5㎛의 범위 내에 있는 두께를 가진 제 2 나노 섬유층 및 제 3 나노 섬유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함으로써 높은 절연성, 높은 덴드라이트 내성 및 높은 이온 전도성을 가진 세퍼레이터를 제조할 수 있다.
[9]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정에서는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으로서 평면에서 봐서 격자의 총면적보다 큰 총면적을 가진 다수의 개구를 가진 제 1 나노 섬유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함으로써 제 1 나노 섬유층을 두껍게 하여 기계적 강도를 높게 했다고 해도 전해액의 유통이 양호하게 유지되는 결과, 이온 전도성이 저하되지 않는 세퍼레이터를 제조할 수 있다.
[10]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개구는 평면에서 봐서 10㎛2~200㎛2의 범위 내에 있는 평균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함으로써 제 1 나노 섬유층을 두껍게 하여 기계적 강도를 높게 했다고 해도 전해액의 유통이 양호하게 유지되는 결과, 이온 전도성이 저하되지 않는 세퍼레이터를 제조할 수 있다.
[11]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정에서는 전계 방사법에 의해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의 한쪽 면에 상기 제 2 나노 섬유층을 형성하고, 또한 전계 방사법에 의해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의 다른쪽 면에 상기 제 3 나노 섬유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함으로써 제 1 나노 섬유층과 제 2 나노 섬유층 및 제 3 나노 섬유층의 접합 강도가 높은 고품질의 세퍼레이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2]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제 2 공정을 실시하기 전에 상기 제 2 나노 섬유층 및 상기 제 3 나노 섬유층으로서 전계 방사법에 의해 제조한 제 2 나노 섬유층 및 제 3 나노 섬유층을 준비하고, 상기 제 2 공정에서는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의 한쪽 면에 상기 제 2 나노 섬유층을 부착하고, 또한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의 다른쪽 면에 상기 제 3 나노 섬유층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함으로써 높은 생산성으로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높은 절연성, 높은 덴드라이트 내성, 높은 이온 전도성 및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진 세퍼레이터를 제공하고, 또한 그와 같은 세퍼레이터를 제조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0)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 이용하는 컬렉터(11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 이용하는 컬렉터(110a)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실시형태 3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세퍼레이터(14, 16, 18)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 및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면에 도시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1. 세퍼레이터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0)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a)는 세퍼레이터(10)의 단면도이고, 도 1의 (b)는 세퍼레이터(10)의 평면도이다.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방형의 개구를 가진 평면에서 봐서 종횡 격자형상인 제 1 나노 섬유층(20)과, 제 1 나노 섬유층(20)의 한쪽 면에 설치되어 제 1 나노 섬유층(20) 보다 얇은 제 2 나노 섬유층(30)과, 제 1 나노 섬유층(20)의 다른쪽 면에 설치되어 제 1 나노 섬유층(20) 보다 얇은 제 3 나노 섬유층(40)을 구비한다.
제 1 나노 섬유층(20)은 7㎛~30㎛의 범위 내에 있는 두께(예를 들면 15㎛)를 가진다. 제 2 나노 섬유층(30) 및 제 3 나노 섬유층(40)은 모두 1㎛~5㎛의 범위 내에 있는 두께(예를 들면 3㎛)를 가진다.
제 1 나노 섬유층(20)은 평면에서 봐서 격자(L)의 총면적(S1) 보다 큰 총면적 (S2)을 가진 다수의 개구(O)를 가진다. 개구(O)는 평면에서 봐서 10㎛2~200㎛2의 범위 내에 있는 평균 면적(예를 들면 50㎛2)을 가진다. 격자(L)는 평면에서 봐서 1㎛~10㎛의 범위에 있는 굵기(예를 들면 2㎛)를 가진다.
제 1 나노 섬유층(20)은 전계 방사법에 의해 제조된 제 1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다. 제 1 나노 섬유의 평균 직경은 30nm~3000nm(예를 들면 800nm)이다. 제 1 나노 섬유층(20)은 폴리머 재료(예를 들면 폴리올레핀)로 이루어진다.
제 2 나노 섬유층(30) 및 제 3 나노 섬유층(40)은 모두 전계 방사법에 의해 제조된 제 2 나노 섬유 및 제 3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다. 제 2 나노 섬유 및 제 3 나노 섬유의 평균 직경은 모두 30nm~3000nm(예를 들면 300nm)이다. 제 2 나노 섬유층(30) 및 제 3 나노 섬유층(40)은 모두 폴리머 재료(예를 들면 폴리올레핀)로 이루어진다.
2.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도 2 및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 내지 도 2의 (c)는 세퍼레이터가 제조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의 (a) 내지 도 3의 (c)는 세퍼레이터가 제조되는 것을 나타내는 장치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 이용하는 컬렉터(11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컬렉터(110)의 하면도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의 A1-A1 단면도이고, 도 4의 (c)는 도 4의 (a)의 A2-A2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봐서 격자형상인 제 1 나노 섬유층(20)을 형성하는 제 1 공정(도 2의 (a) 참조)과, 제 1 나노 섬유층(20)의 한쪽 면에 제 1 나노 섬유층보다 얇은 제 2 나노 섬유층(30)을 설치하고, 또한 제 1 나노 섬유층(20)의 다른쪽 면에 제 1 나노 섬유층보다 얇은 제 3 나노 섬유층(40)을 설치하는 제 2 공정(도 2의 (b) 및 도 2의 (c) 참조)을 이 순서로 실시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하, 공정순으로 설명한다.
(1) 제 1 공정
제 1 공정은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계 방사 장치(100)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전계 방사 장치(100)는 컬렉터 전극(114)과, 컬렉터 전극(114)에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노즐(122)과, 컬렉터 전극(114)과 노즐(122)의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원 장치(130)와, 노즐(122)에 공급하는 폴리머 용액을 저장하는 원료 탱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컬렉터 전극(114)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지지체(112)상에 위치하는 평면이 격자형상인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지지체(112)와 컬렉터 전극(114)으로 컬렉터(110)가 구성되어 있다.
노즐(122)은 상부방향 노즐로 이루어지고, 노즐 블록(120)에 설치되어 있다. 전원 장치(130)의 양극은 컬렉터 전극(114)에 접속되고, 전원 장치(130)의 음극은 노즐 블록(12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공정에서는 컬렉터 전극(114)과 노즐(122)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한 상태로 노즐(122)로부터 폴리머 용액을 토출함으로써 컬렉터(110)상에 평면에서 봐서 격자형상인 제 1 나노 섬유층(20)을 형성한다.
(2) 제 2 공정
제 2 공정은 도 3의 (b) 및 도 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계 방사 장치(200)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전계 방사 장치(200)는 일반적인 전계 방사 장치이고, 컬렉터(210)는 평판 형상의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2 공정에서는 우선, 전계 방사 장치(200)의 컬렉터(210)에 제 1 나노 섬유층(20)을 설치한 후, 컬렉터(210), 노즐(222)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한 상태로 노즐(222)로부터 폴리머 용액을 토출함으로써 제 1 나노 섬유층(20)의 한쪽 면에 층형상의 제 2 나노 섬유층(30)을 형성한다(도 2의 (b) 참조).
그 후, 제 1 나노 섬유층(20) 및 제 2 나노 섬유층(30)으로 이루어진 적층체를 뒤집어 전계 방사 장치(200)의 컬렉터(210)에 설치한 후, 컬렉터(210)와 노즐(222)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한 상태로 노즐(222)로부터 폴리머 용액을 토출함으로써 제 1 나노 섬유층(20)의 다른쪽 면에 층형상의 제 3 나노 섬유층(40)을 형성한다(도 2의 (c) 참조).
이것에 의해,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0)를 제조할 수 있다.
3.실시형태 1의 효과
(1) 세퍼레이터의 효과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0)는 평면에서 봐서 격자형상인 제 1 나노 섬유층(20)과, 제 1 나노 섬유층(20)보다 얇은 제 2 나노 섬유층(30) 및 제 3 나노 섬유층(40)을 구비하므로, 제 2 나노 섬유층(30) 및 제 3 나노 섬유층(40)의 작용에 의해 높은 절연성, 높은 덴드라이트 내성 및 높은 이온 전도성을 갖게 된다.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0)는 평면에서 봐서 격자형상인 제 1 나노 섬유층(20)과, 제 1 나노 섬유층(20)보다 얇은 제 2 나노 섬유층(30) 및 제 3 나노 섬유층(40)을 구비하므로, 평면에서 봐서 격자형상인 제 1 나노 섬유층(20)을 두껍게 하여 기계적 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나노 섬유층(20)을 두껍게 했다고 해도 제 1 나노 섬유층(20)이 평면에서 봐서 격자형상의 구조를 가지므로 전해액의 유통이 양호하게 유지되는 결과, 이온 전도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그 결과,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0)는 높은 절연성, 높은 덴드라이트 내성, 높은 이온 전도성 및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진 세퍼레이터가 된다.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0)는 제 1 나노 섬유층(20)이 7㎛~30㎛의 범위 내에 있는 두께를 가지므로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고, 또한 적절한 두께를 가진 세퍼레이터가 된다.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0)는 제 2 나노 섬유층(30) 및 제 3 나노 섬유층(40)이 모두 1㎛~5㎛의 범위 내에 있는 두께를 가지므로 높은 절연성, 높은 덴드라이트 내성 및 높은 이온 전도성을 가진 세퍼레이터가 된다.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0)는 제 1 나노 섬유층(20)이 평면에서 봐서 격자의 총면적보다 큰 총면적을 가진 다수의 개구를 가지므로, 높은 이온 전도성을 가진 세퍼레이터가 된다.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0)는 개구가 평면에서 봐서 10㎛2~200㎛2의 범위 내에 있는 평균 면적을 가지므로, 높은 이온 전도성을 가진 세퍼레이터가 된다.
(2)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의 효과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제 1 공정 및 제 2 공정을 이 순서로 포함하므로 상기한 구성을 갖고, 높은 절연성, 높은 덴드라이트 내성, 높은 이온 전도성 및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진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1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 2 공정에서는 전계 방사법에 의해 제 1 나노 섬유층(20)의 한쪽 면에 제 2 나노 섬유층(30)을 형성하고, 또한 전계 방사법에 의해 제 1 나노 섬유층(20)의 다른쪽 면에 제 3 나노 섬유층(40)을 형성하므로 제 1 나노 섬유층(20)과, 제 2 나노 섬유층(30) 및 제 3 나노 섬유층(40)의 접합 강도가 높은 고품질의 세퍼레이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2]
도 5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 이용하는 컬렉터(110a)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컬렉터(110a)의 하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의 A1-A1 단면도이며, 도 5의 (c)는 도 4의 (a)의 A2-A2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2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은 기본적으로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공정을 포함하지만, 제 1 공정에서 이용하는 컬렉터의 구조가 다르다. 즉, 실시형태 2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서 이용하는 컬렉터(110a)는 컬렉터 전극(114)이, 노즐(122)과 등전위의 전극체(118)에 절연부재(116)를 통해 매립된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2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은 제 1 공정에서 이용하는 컬렉터의 구조가 다르지만, 상기 제 1 공정 및 제 2 공정을 이 순서로 포함하므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구성을 갖고, 높은 절연성, 높은 덴드라이트 내성, 높은 이온 전도성 및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진 세퍼레이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2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세퍼레이터 보다 확실히 개구된 개구(O)를 가진 세퍼레이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2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은 제 1 공정에서 이용하는 컬렉터의 구조가 다른 것 이외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공정을 가지므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이 가지는 효과 중 해당하는 효과를 가진다.
[실시형태 3]
도 6은 실시형태 3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 내지 도 6의 (c)는 세퍼레이터가 제조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3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은 기본적으로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공정을 포함하지만, 제 2 공정의 내용이 다르다. 즉, 실시형태 3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공정을 실시하기 전에 제 2 나노 섬유층(32) 및 제 3 나노 섬유층(42)으로서 전계 방사법에 의해 제조한 제 2 나노 섬유층 및 제 3 나노 섬유층을 준비해 두고, 제 2 공정에서는 제 1 나노 섬유층(20)의 한쪽 면에 상기 제 2 나노 섬유층(32)을 부착하고, 또한 제 1 나노 섬유층(20)의 다른쪽 면에 제 3 나노 섬유층(42)를 부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3에 따른 세퍼레이터(12)를 제조하고 있다. 제 2 공정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고, 압력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으며, 열 및 압력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3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과는 제 2 공정의 내용이 다르지만, 상기 제 1 공정 및 제 2 공정을 이 순서로 포함하므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한 구성을 갖고, 높은 절연성, 높은 덴드라이트 내성, 높은 이온 전도성 및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가진 세퍼레이터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3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높은 생산성으로 세퍼레이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시형태 3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은 제 2 공정의 내용이 다른 것 이외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공정을 가지므로, 실시형태 1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이 가지는 효과 중 해당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변형도 가능하다.
(1) 상기 각 실시형태의 각 구성 요소의 수, 위치 관계, 크기는 예시이고,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2)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정방형 개구를 가진 종횡 격자형상의 제 1 나노 섬유층을 구비하는 세퍼레이터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세퍼레이터(14, 16, 18)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나노 섬유층은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각형 개구를 가진 격자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고,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형 개구를 가진 격자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으며,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개구를 가진 격자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고, 그 외의 격자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즉, 본 발명에서 「격자형상」에는 임의의 형상을 가진 개구와 상기 개구를 칸막이하는 칸막이(격자)를 가진 것 전부가 포함된다.
(3)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상부방향 노즐을 가진 상부방향식 전계 방사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부방향 노즐을 가진 하부방향식 전계 방사 장치나 가로방향 노즐을 가진 가로방향식 전계 방사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을 실시할 수도 있다.
10, 12, 14, 16, 18 : 세퍼레이터
20 : 제 1 나노 섬유층
30 : 제 2 나노 섬유층
40 : 제 3 나노 섬유층
100, 200 : 전계 방사 장치
110, 110 a, 210 : 컬렉터
112, 212 : 지지체
114 : 컬렉터 전극
116 : 절연부재
118 : 전극체
120, 220 : 노즐 블록
122, 222 : 노즐
130, 230 : 전원 장치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절연성의 지지체상에 위치하는 평면에서 봐서 격자형상인 컬렉터 전극과 노즐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한 상태로 상기 노즐로부터 폴리머 용액을 토출함으로써 상기 컬렉터 전극상에 평면에서 봐서 격자형상인 제 1 나노 섬유층을 형성하는 제 1 공정, 및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의 한쪽 면에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보다 얇은 제 2 나노 섬유층을 설치하고,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의 다른쪽 면에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보다 얇은 제 3 나노 섬유층을 설치하는 제 2 공정을 이 순서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정에서는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으로서 7㎛~30㎛의 범위 내에 있는 두께를 가진 제 1 나노 섬유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정에서는 상기 제 2 나노 섬유층 및 상기 제 3 나노 섬유층으로서 모두 1㎛~5㎛의 범위 내에 있는 두께를 가진 제 2 나노 섬유층 및 제 3 나노 섬유층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정에서는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으로서 평면에서 봐서 격자의 총면적보다 큰 총면적을 가진 다수의 개구를 가진 제 1 나노 섬유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평면에서 봐서 10㎛2~200㎛2의 범위 내에 있는 평균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정에서는 전계 방사법에 의해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의 한쪽 면에 상기 제 2 나노 섬유층을 형성하고, 전계 방사법에 의해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의 다른쪽 면에 상기 제 3 나노 섬유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공정을 실시하기 전에 상기 제 2 나노 섬유층 및 상기 제 3 나노 섬유층으로서 전계 방사법에 의해 제조한 제 2 나노 섬유층 및 제 3 나노 섬유층을 준비하고,
    상기 제 2 공정에서는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의 한쪽 면에 상기 제 2 나노 섬유층을 부착하고, 상기 제 1 나노 섬유층의 다른쪽 면에 상기 제 3 나노 섬유층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KR1020110125760A 2011-03-20 2011-11-29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KR101154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77,711 US9177729B2 (en) 2011-03-20 2012-02-06 Sepa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parator
EP12761231.5A EP2642556A4 (en) 2011-03-20 2012-02-06 SEPA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PARATOR
CN201280005469.3A CN103314466B (zh) 2011-03-20 2012-02-06 分离器的制造方法
PCT/KR2012/000853 WO2012128474A2 (ko) 2011-03-20 2012-02-06 세퍼레이터 및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61841 2011-03-20
JP2011061841A JP5798346B2 (ja) 2011-03-20 2011-03-20 セパレーター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4210B1 true KR101154210B1 (ko) 2012-06-18

Family

ID=46688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760A KR101154210B1 (ko) 2011-03-20 2011-11-29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77729B2 (ko)
EP (1) EP2642556A4 (ko)
JP (1) JP5798346B2 (ko)
KR (1) KR101154210B1 (ko)
CN (1) CN103314466B (ko)
WO (1) WO201212847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0874A (ko) * 2012-10-22 2014-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균일한 기공 배열을 갖는 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821049B1 (ko) 2016-07-15 2018-01-23 한국과학기술원 1차원의 고분자 나노섬유들이 준정렬된 그리드 형상으로 직교하여 적층되어 기공 분포 및 기공 크기가 제어된 3차원 고분자 나노섬유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58716B (zh) 2010-08-05 2017-11-10 奥驰亚客户服务公司 复合无烟烟草产品、系统及方法
RU2580483C2 (ru) 2010-08-05 2016-04-10 Олтриа Клайент Сервисиз Инк. Материал с табаком, спутанным со структурными волокнами
CN104104468B (zh) * 2013-04-03 2018-09-1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上下行配置信息传输方法和设备
US10763480B2 (en) * 2014-03-14 2020-09-01 Tokyo Ohka Kogyo Co., Ltd. Porous separator for secondary batteries and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EP3116331B1 (en) 2014-03-14 2019-05-22 Altria Client Services LLC Product portion enrobing process and apparatus
WO2015138899A2 (en) 2014-03-14 2015-09-17 Altria Client Services Inc. Polymer encased smokeless tobacco products
WO2015192885A1 (en) * 2014-06-17 2015-12-2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for informing switching patterns of half duplex communications in lte
KR102157935B1 (ko) * 2018-01-10 2020-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강화 분리막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강화 분리막 및 레독스 흐름 전지
KR20210029191A (ko) 2018-06-08 2021-03-15 어센드 퍼포먼스 머티리얼즈 오퍼레이션즈 엘엘씨 조정 가능한 나노섬유 부직포 제품
KR102145670B1 (ko) * 2018-10-31 2020-08-1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체와이어를 이용한 고분자 나노물질의 균일방사를 위한 전기방사장치
MX2021012490A (es) 2019-04-12 2021-11-12 Ascend Performance Mat Operations Llc Estructuras multicapa no tejidas que tienen capas de nanofibras.
KR20200135181A (ko)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 전지용 분리막 적층체, 이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리튬 이차 전지
US20220166109A1 (en) * 2019-05-22 2022-05-26 Lg Energy Solution, Ltd. Separator lamina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N112332020B (zh) * 2020-10-31 2022-06-14 华南理工大学 一种跨尺度微纳纤维素锂离子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8533A (ja) * 1995-05-26 1997-02-18 Minolta Co Ltd ベルト蛇行補正装置
JPH1021894A (ja) 1996-06-28 1998-01-23 Japan Vilene Co Ltd アルカリ電池用セパレータ
JPH1199836A (ja) * 1997-09-26 1999-04-13 Komatsu Forklift Co Ltd 産業車両のlpgボンベ脱着容易化装置
KR20060060188A (ko) * 2004-11-30 2006-06-0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다층형 고분자 막을 이용한 리튬 고분자 전지 및 그의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830B2 (ja) * 1990-02-02 2000-01-24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6277514B1 (en) * 1998-12-17 2001-08-21 Moltech Corporation Protective coating for separators for electrochemical cells
US6194098B1 (en) * 1998-12-17 2001-02-27 Moltech Corporation Protective coating for separators for electrochemical cells
TWI241732B (en) * 2002-09-25 2005-10-11 E I Du Pont Canada Company Mesh reinforced fuel cell separator plate
US20050208383A1 (en) * 2004-03-19 2005-09-22 Hiroki Totsuka Electronic component separ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803984B2 (ja) * 2004-09-22 2011-10-26 帝人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4734912B2 (ja) * 2004-12-17 2011-07-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91091B2 (ja) 2005-08-09 2013-04-24 日本バイリーン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DE102006049746A1 (de) * 2006-10-21 2008-04-24 Dilo Trading Ag Separator für Lithium-Polymer Batteri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S20080145750A1 (en) * 2006-12-18 2008-06-19 Szu-Nan Yang Electricity supply system
KR101460640B1 (ko) * 2007-07-06 2014-12-02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세퍼레이터, 세퍼레이터를 이용한 전지, 및 세퍼레이터를제조하는 방법
WO2009050864A1 (ja) * 2007-10-18 2009-04-23 Kuraray Co., Ltd. 積層体、キャパシタ用セパレータおよびキャパシタ
JP5049092B2 (ja) * 2007-10-18 2012-10-17 株式会社クラレ キャパシタ用セパレータおよびキャパシタ
JP5396399B2 (ja) * 2008-11-11 2014-01-22 日本板硝子株式会社 密閉型鉛蓄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密閉型鉛蓄電池
WO2011035190A1 (en) * 2009-09-18 2011-03-24 Nano Terra Inc. Polyolefin fibers for use as battery separator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02544642A (zh) * 2010-12-13 2012-07-04 依诺特生物能量控股公司 隔离膜、隔离膜制造方法及有机电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8533A (ja) * 1995-05-26 1997-02-18 Minolta Co Ltd ベルト蛇行補正装置
JPH1021894A (ja) 1996-06-28 1998-01-23 Japan Vilene Co Ltd アルカリ電池用セパレータ
JPH1199836A (ja) * 1997-09-26 1999-04-13 Komatsu Forklift Co Ltd 産業車両のlpgボンベ脱着容易化装置
KR20060060188A (ko) * 2004-11-30 2006-06-05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다층형 고분자 막을 이용한 리튬 고분자 전지 및 그의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0874A (ko) * 2012-10-22 2014-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균일한 기공 배열을 갖는 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705305B1 (ko) 2012-10-22 2017-0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균일한 기공 배열을 갖는 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821049B1 (ko) 2016-07-15 2018-01-23 한국과학기술원 1차원의 고분자 나노섬유들이 준정렬된 그리드 형상으로 직교하여 적층되어 기공 분포 및 기공 크기가 제어된 3차원 고분자 나노섬유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14466B (zh) 2015-11-25
EP2642556A2 (en) 2013-09-25
JP5798346B2 (ja) 2015-10-21
US9177729B2 (en) 2015-11-03
CN103314466A (zh) 2013-09-18
WO2012128474A2 (ko) 2012-09-27
EP2642556A4 (en) 2014-08-20
WO2012128474A3 (ko) 2012-11-22
US20140004405A1 (en) 2014-01-02
JP2012199037A (ja) 201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210B1 (ko)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
US9843048B2 (en) Fiber mat for battery plate reinforcement
CN104662706B (zh) 薄电池隔板和方法
KR101256968B1 (ko) 이차전지 분리막용 pet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분리막
US20180269452A1 (en) Battery separators having a low apparent density
US20060159998A1 (en) Collector, battery electrode substrate,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US11233293B2 (en) Laminar textile material for a battery electrode
CN104157812A (zh) 锂离子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及锂离子电池
JP5191091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040040471A (ko) 납축전지용 강화 다층 격리판
JP5730442B2 (ja) 絶縁部材が装着された二次電池
KR20180055277A (ko) 다공성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층을 가지는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JPWO2004038833A1 (ja) 有機電解液電池用セパレータ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組み込んだ有機電解液電池
KR101722773B1 (ko) 전지용 전극 플레이트
JP6286861B2 (ja) 電極、電極の製造方法及び電池
JP2011210680A (ja) 電池用セパレータ
KR101337341B1 (ko) 세퍼레이터, 세퍼레이터 제조 방법 및 세퍼레이터 제조 장치
CN207637898U (zh) 一种锂电池极片
KR20190129814A (ko) 다공성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층을 가지는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9192484A (ja) アルカリ電池用セパレータ
JP2014075239A (ja) 蓄電デバイス用セパレ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電池
JP2019067680A (ja) 電気化学素子用セパレータ
US20140349194A1 (en) Sepa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eparator
JP2023022677A (ja) 電気化学素子用セパレータ
KR101746764B1 (ko) 기계적 물성 및 수축특성이 향상된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