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049B1 - 코일 보빈, 액츄에이터, 및 카메라용 블레이드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보빈, 액츄에이터, 및 카메라용 블레이드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049B1
KR101150049B1 KR1020097008097A KR20097008097A KR101150049B1 KR 101150049 B1 KR101150049 B1 KR 101150049B1 KR 1020097008097 A KR1020097008097 A KR 1020097008097A KR 20097008097 A KR20097008097 A KR 20097008097A KR 101150049 B1 KR101150049 B1 KR 101150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coil
coil bobbin
flange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8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0047A (ko
Inventor
미츠루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프레시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80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0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4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U-shaped, E-shaped or similarly shaped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 Electromagnet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코일 보빈(50)은, 코일선(49)이 권회되는 통 모양의 몸통부(55)와, 몸통부(55)의 양단에 형성된 한 벌의 플랜지부와, 한 벌의 플랜지부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코일선(49)의 단부가 권회되는 단자부(51a, 51b)를 구비하고, 플랜지부는, 두께가 상위한 두꺼운 부분(52a, 52b), 얇은 부분(53a, 53b)을 가지고, 두꺼운 부분(52a, 52b)로부터 얇은 부분(53a, 53b)에 이를 때까지 서서히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고, 단자부(51a, 51b)는, 각각 두꺼운 부분(52a, 52b)에 형성되어 있다.
코일 보빈, 코일선, 몸통부, 플랜지부, 단자부, 두꺼운 부분, 얇은 부분

Description

코일 보빈, 액츄에이터, 및 카메라용 블레이드 구동 장치{COIL BOBBIN, ACTUATOR, AND BLADE DRIVE DEVICE FOR CAMERA}
본 발명은 코일 보빈(coil bobbin), 액츄에이터(actuator), 및 카메라용 블레이드(blade)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코일 보빈은 코일선이 권회되는 통 모양의 몸통부(body portion)와, 몸통부의 양단에 형성된 한 벌의 플랜지부(flange portion)와, 한 벌의 플랜지부의 각각에 설치됨과 아울러 코일선의 단부(end portion)가 권회되는 단자부(terminal portion)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코일 보빈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카메라용 블레이드 구동 장치와 같이 블레이드를 구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터에 채용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6-11293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이러한 카메라용 블레이드 구동 장치는 현재도 더욱 소형화가 바래지고 있고, 액츄에이터에 채용되는 코일 보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코일 보빈을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코일 보빈의 플랜지부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러나, 플랜지부를 얇게 형성하면 몸통부에 감겨진 코일선에 의해 플랜지부가 외측을 향해 휘도록 변형할 우려가 있다. 또, 이 플랜지부에는 단자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랜지부가 이와 같이 변형하면 단자부의 위치가 본래의 위치보다 어긋나게 된다.
한편, 플랜지부를 두껍게 형성하면 변형할 우려는 적게 되지만 코일 보빈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소형화를 유지함과 아울러 내구성이 향상된 코일 보빈, 액츄에이터, 및 카메라용 블레이드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은, 코일선이 권회되는 통 모양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양단에 형성된 한 벌의 플랜지부와, 상기 한 벌의 플랜지부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코일선의 단부가 권회되는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벌의 플랜지부 가운데 적어도 한쪽은, 두께가 상위한 두꺼운 부분 및 얇은 부분을 가지고, 상기 두꺼운 부분으로부터 상기 얇은 부분에 이를 때까지 서서히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두꺼운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보빈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한 벌의 플랜지부 가운데 적어도 한쪽은, 두께가 상위한 두꺼운 부분 및 얇은 부분을 가지고 있으므로, 몸통부에 감겨진 코일선에 의해 플랜지부가 외측으로 향해 휘는 것 같은 변형이 없고, 두꺼운 부분에 의해 플랜지부의 변형이 억제되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 플랜지부의 두께가 서서히 변화되므로 두께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에 의한 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한층 더 성형도 용이하다. 또, 단자부는 두꺼운 부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랜지부가 변형되는 것에 동반하여 단자부까지도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얇은 부분에 의해 코일 보빈의 소형화를 유지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얇은 부분은, 상기 몸통부의 중공 내부와 연통함과 아울러, 상기 코일선에의 통전에 의해 여자되는 고정자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를 가지고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두꺼운 부분에 고정자용의 삽입구가 설치된 경우와 비교하여, 코일 보빈에 의해 구속되는 고정자의 영역이 작아도 된다. 즉, 코일 보빈에 삽입되는 고정자의 영역을 작게 할 수가 있으므로 소형화된 고정자를 채용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한 벌의 플랜지부 가운데 적어도 한쪽은, 상기 얇은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고정자의 몸통부와 맞닿는 절결면을 가지고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다리부(leg portion)가 짧은 소형화된 고정자를 채용할 수가 있다.
또, 상기 목적은, 여자용의 코일이 감겨진 코일 보빈과 둘레 방향으로 다른 극성으로 착자되고 회동(rotational movement)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자와, 상기 코일 보빈에 삽입 감합됨과 아울러 상기 코일에의 통전에 의해 상기 회전자에 자력에 의한 구동력을 주는 고정자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 보빈은, 코일선이 권회되는 통 모양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양단에 형성된 한 벌의 플랜지부와, 상기 한 벌의 플랜지부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코일선의 단부가 권회되는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벌의 플랜지부 가운데 적어도 한쪽은, 두께가 상위한 두꺼운 부분 및 얇은 부분을 가지고, 상기 두꺼운 부분으로부터 상기 얇은 부분에 이를 때까지 서서히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두꺼운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한 벌의 플랜지부 가운데 적어도 한쪽은, 두께가 상위한 두꺼운 부분 및 얇은 부분을 가지고 있으므로, 몸통부에 감겨진 코일선에 의해 플랜지부가 외측으로 향해 휘는 것 같은 변형이 없고, 두꺼운 부분에 의해 플랜지부의 변형이 억제되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 플랜지부의 두께가 서서히 변화되므로 두께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에 의한 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한층 더 성형도 용이하다. 또, 단자부는 두꺼운 부분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랜지부가 변형되는 것에 동반하여 단자부까지도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얇은 부분에 의해 코일 보빈을 소형화할 수가 있으므로 액츄에이터 자체의 크기도 소형화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얇은 부분은, 상기 몸통부의 중공 내부와 연통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자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를 가지고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두꺼운 부분에 고정자용의 삽입구가 설치된 경우와 비교하여, 코일 보빈에 의해 구속되는 고정자의 영역이 작아도 된다. 즉, 코일 보빈에 삽입되는 고정자의 영역을 작게 할 수가 있으므로 소형화된 고정자를 채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와 상기 플랜지부의 거리가 상기 두꺼운 부분 및 상기 얇은 부분의 두께 차보다 짧도록 설정되어 상기 회전자는 상기 얇은 부분에 근접하여, 상기 얇은 부분과 이 회전자의 외주면의 일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얇은 부분과 회전자가 근접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므로 액츄에이터 전체의 크기를 더욱 소형화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한 벌의 플랜지부 가운데 적어도 한쪽은, 상기 얇은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고정자의 몸통부와 맞닿는 절결면을 가지고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다리부가 짧은 소형화된 고정자를 채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
또, 상기 목적은, 셔터 개구를 가지는 기판과, 상기 셔터 개구를 개폐 자유롭게 지지된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구동원인 상기에 기재된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블레이드 구동 장치에 의해도 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소형화됨과 아울러 내구성이 향상한 카메라용 블레이드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발명의 효과>
소형화를 유지함과 아울러 내구성이 향상된 코일 보빈, 액츄에이터, 및 카메라용 블레이드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카메라용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카메라용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덮개를 기판으로부터 떼어냈을 때의 카메라용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덮개를 기판으로부터 떼어냈을 때의 전자 액츄에이터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5(a), (b), (c), (d)는 코일 보빈의 설명도이고, 도 5(a)는 코일 보빈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코일 보빈의 우측면도이고, 도 5(c)는 코일 보빈의 하면도이고, 도 5(d) 코일 보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코일 보빈과 회전자와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되는 일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카메라용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카메라용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덮개를 기판으로부터 떼어냈을 때의 카메라용 블레이드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카메라용 블레이드 구동 장치는, 전자 액츄에이터(10), 기판(20), 셔터 블레이드(61~64), 블레이드 받아들임판(70), 블레이드 누름판(80), 조임 블레이드용 전자 액츄에이터(90) 등으로 구성된다.
전자 액츄에이터(10)는 셔터 블레이드(61~64)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이고, 후술하는 전자 액츄에이터(10)의 회전자(30)가 소정의 범위를 회동함으로써 셔터 블레이드(61~64)는 소정의 범위를 요동한다.
기판(20)은 그 중앙부에 개구(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21)는 피사체 광을 도시하지 않는 촬상 소자에 결상시키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기판(20)에는 카메라용 블레이드 구동 장치를 카메라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보스(attaching boss)(22)가 광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2곳에 형성되어 있다.
전자 액츄에이터(1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듯이 기판(20)의 일부에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된 수납부(24)에 수납되고, 덮개(cover)(23)에 의해 닫혀진다. 또, 덮개(23)에는 조부(pawl portion)(23a)가 형성되고 스냅핏팅(snap fitting) 결합에 의해 제1 기판(20)에 조립된다.
셔터 블레이드(61~64)는 기판(20)과 블레이드 받아들임판(70)의 사이에 그 일부가 겹친 상태로 배치된다.
블레이드 받아들임판(70)은 셔터 블레이드(61~64)의 슬라이딩성(slida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셔터 블레이드(61~64)와 블레이드 누름판(80)의 사이에 배치된다. 블레이드 받아들임판(70)의 중앙부에는 개구(71)가 형 성되어 있다. 블레이드 누름판(8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그 중앙부에 개구(81)가 형성되어 있다.
조임 블레이드용 전자 액츄에이터(90)는 미도시의 조임 블레이드의 구동원이다. 조임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개구(21), 개구(71), 개구(81)의 개구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전자 액츄에이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덮개를 기판으로부터 떼어냈을 때의 전자 액츄에이터의 확대 정면도이다. 전자 액츄에이터(10)는 회전자(30), 고정자(40), 코일 보빈(50) 등으로 구성된다.
회전자(30)는 둘레 방향으로 다른 극성으로 착자되고, 수납부(24)내에 형성된 축부에 관통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회전자(30)에는 그 회동을 셔터 블레이드(61~64)에 전달하는 출력 핀(pin)(31)이 조립되고, 회전자(30)와 일체로 출력 핀(31)도 요동한다. 출력 핀(31)은 수납부(24) 내에 형성된 원호구멍(25)과 계합하여 소정의 범위의 요동이 가능하게 된다.
고정자(40)는 고정자 몸통부(43)와, 고정자 몸통부(43)의 양단으로부터 대략 직각 방향으로 굴곡하여 신장된 한 벌의 다리부(41a, 41b)를 가지고 있고, U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41a, 41b)의 각각의 단부에는 회전자(30)의 표면과 대향하도록 자극부(42a, 42b)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자(40)에는 코일선(49)이 감겨진 코일 보빈(50)이 다리부(41b)에 삽입되고, 코일선(49)에의 통전에 의해 고정자(40)는 여자되어 자극부(42a, 42b)는 서로 다른 극성이 발생한다. 자극부(42a, 42b)에 발생한 극성에 의해 회전자(30)에 자력이 작용하여 회동한다.
또, 고정자(40)는 수납부(24) 내에 형성된 가이드 핀(24a~24f)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다음에, 도 4 및 도 5(a), (b), (c), (d)를 참조하여 코일 보빈(5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 (b), (c), (d)는 코일 보빈(50)의 설명도이다. 도 5(a)는 코일 보빈(50)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우측면도이고, 도 5(c)는 하면도이고, 도 5(d)는 사시도이다. 또, 도 5(a), (b), (c), (d)에 있어서는 코일선(49)은 감겨져 있지 않았다.
코일 보빈(50)은 코일선(49)이 권회되는 원통형의 몸통부(55)와, 몸통부(55)의 양단에 형성된 한 벌의 플랜지부와, 한 벌의 플랜지부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코일선(49)의 단부가 권회되는 단자부(51a, 51b)를 가지고 있다. 코일 보빈(50)은 수지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몸통부(55)의 중공 부분(hollowing portion)에는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고정자(40)의 다리부(41b)가 삽입된다.
또, 플랜지부는 두께가 상위한 두꺼운 부분(52a, 52b), 얇은 부분(53a, 53b)을 가진다. 두꺼운 부분(52a, 52b)에는 각각 단자부(51a, 51b)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한 벌의 플랜지부는 몸통부(55)의 신장 방향으로 직교 함과 아울러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55a, 55b)을 가지고 있다.
단자부(51a, 51b)는 두꺼운 부분(52a, 52b)의 단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코일 보빈(50)은 그 형상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두꺼운 부분(52a, 52b)에 의해 플랜지부의 강도가 향상된다. 이 구성에 의해 두꺼운 부분(52a, 52b)에 의해 플랜지부의 변형이 억제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특히, 몸통부(55)에 코일선(49)을 권회했을 때에 생기는 플랜지부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얇은 부분(53a, 53b)에 의해 코일 보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단자부(51a, 51b)는 각각 두꺼운 부분(52a, 52b)에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두꺼운 부분(52a, 52b)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플랜지부가 변형되는 것에 동반하여 단자부(51a, 51b)까지도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단자부(51a, 51b)가 변형함으로 동반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 플랜지부는, 두꺼운 부분(52a)로부터 얇은 부분(53a)에 이를 때까지 서서히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의 두께가 서서히 변화되므로 두께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에 의한 플랜지부의 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두께가 서서히 변화하기 때문에 성형도 용이하다. 두꺼운 부분(52b), 얇은 부분(53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상세하게는 두꺼운 부분(52a, 52b)은, 일정한 폭을 가지고, 얇은 부분(53a, 53b)은 두꺼운 부분(52a, 52b)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taper)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얇은 부분(53a, 53b)은 몸통부(55)의 중공 내부와 연통함과 아울러, 고 정자(40)의 다리부(41b)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54a, 54b)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두꺼운 부분(52a, 52b)에 고정자(40)용의 삽입구가 설치된 경우와 비교하여, 코일 보빈(50)에 의해 구속되는 고정자(40)의 영역이 작아도 된다. 즉, 코일 보빈(50)에 삽입되는 고정자(40)의 영역을 작게 할 수가 있으므로 다리부(41b)가 짧아 소형화된 고정자를 채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전자 액츄에이터(10) 자체의 크기도 소형화된다.
또, 플랜지부에는, 얇은 부분(53a, 53b)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 절결면(cutout surface)(56a, 56b)을 가지고 있다. 절결면(56a, 56b)은 내측면(55a, 55b)과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고, 절결면(56a, 56b)이 형성된 곳에서의 플랜지부의 두께는 일정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절결면(56a, 56b)은 각각 몸통부(55)의 개구 가장자리(edge)로부터 얇은 부분(53a, 53b)의 두께가 서서히 얇아질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면(56a, 56b) 중에서 절결면(56b)은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고정자(40)의 고정자 몸통부(43)의 내측면과 맞닿는다. 절결면(56b)에서의 플랜지부의 두께는 얇은 부분(53a, 53b)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자(40)의 고정자 몸통부(43)를 수용하도록 작용한다. 즉, 절결면(56a, 56b)에 의해 고정자(40)의 고정자 몸통부(43)를 코일선(49)측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리부가 짧은 소형화된 고정자를 채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전자 액츄에이터(10)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
다음에, 코일 보빈(50)과 회전자(30)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은 코일 보빈(50)과 회전자(30)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나타낸 설명도이다. 또, 도 6에는 회전자(30) 및 회전자(30)측에 배치된 플랜지부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최단 거리 A는 얇은 부분(53a)의 측면으로부터 내측면(55a)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회전자(30)의 외주면에 이를 때까지의 거리 중에서 최단의 거리이다. 또, 도 6에 나타낸 두께 차는 두꺼운 부분(52a)과 얇은 부분(53a)의 두께의 차를 나타내고 있고, 최단 거리 A의 시점에 있어서의 얇은 부분(53a)의 두께와 두꺼운 부분(52a)의 최대의 두께(본 실시예에서는, 두꺼운 부분(52a)의 두께는 일정)의 차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듯이 회전자(30)와 플랜지부와의 위치 관계는 최단 거리 A가 두께 차보다 짧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자(30)는 얇은 부분(53a)의 측면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얇은 부분(53a)에 의해 두께가 얇아진 것만큼 회전자(30)를 얇은 부분(53a)에 근접시켜 배치할 수가 있다. 따라서, 코일 보빈(50)과 회전자(30)의 거리를 줄일 수가 있어 전자 액츄에이터(10)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관계되는 특정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형?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 보빈의 플랜지부는 양쪽 모두 두꺼운 부분 및 얇은 부분이 형성되어 있지만, 어느 쪽이나 한쪽에만 두꺼운 부분, 얇은 부분, 절결면을 형성해도 좋다.
얇은 부분(53a, 53b)은 서서히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계단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그 도중의 두께가 일정하게 되는 것 같은 것이어도 좋다.
또, 두꺼운 부분(52a, 52b)은 그 두께가 일정하지만, 얇은 부분(53a, 53b)로부터 멀어질 정도로 두께가 서서히 늘어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두꺼운 부분과 얇은 부분에 의해 플랜지부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서서히 변화하는 테이퍼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 보빈(50)은 고정자(40)의 다리부(41b)에 삽입되어 있지만 고정자의 몸통부에 삽입해도 좋다.

Claims (8)

  1. 코일선이 권회되는 통 모양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양단에 형성된 한 벌의 플랜지부와, 상기 한 벌의 플랜지부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코일선의 단부가 권회되는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벌의 플랜지부 가운데 적어도 한쪽은, 두께가 상위한 두꺼운 부분 및 얇은 부분을 가지고, 상기 두꺼운 부분으로부터 상기 얇은 부분에 이를 때까지 서서히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두꺼운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보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얇은 부분은, 상기 몸통부의 중공 내부와 연통함과 아울러, 상기 코일선에의 통전에 의해 여자되는 고정자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보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벌의 플랜지부 가운데 적어도 한쪽은, 상기 얇은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고정자의 몸통부와 맞닿는 절결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보빈.
  4. 여자용의 코일이 감겨진 코일 보빈과 둘레 방향으로 다른 극성으로 착자되고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자와, 상기 코일 보빈에 삽입 감합됨과 아울러 상기 코일에의 통전에 의해 상기 회전자에 자력에 의한 구동력을 주는 고정자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 보빈은, 코일선이 권회되는 통 모양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양단에 형성된 한 벌의 플랜지부와, 상기 한 벌의 플랜지부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코일선의 단부가 권회되는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벌의 플랜지부 가운데 적어도 한쪽은, 두께가 상위한 두꺼운 부분 및 얇은 부분을 가지고, 상기 두꺼운 부분으로부터 상기 얇은 부분에 이를 때까지 서서히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두꺼운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얇은 부분은, 상기 몸통부의 중공 내부와 연통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자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와 상기 플랜지부의 거리가 상기 두꺼운 부분 및 상기 얇은 부분의 두께 차보다 짧도록 설정되어 상기 회전자는 상기 얇은 부분에 근접하고, 상기 얇은 부분과 상기 회전자의 외주면의 일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벌의 플랜지부 가운데 적어도 한쪽은, 상기 얇은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고정자의 몸통부와 맞닿는 절결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츄에이터.
  8. 셔터 개구를 가지는 기판과,
    상기 셔터 개구를 개폐 자유롭게 지지된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구동원인 제4항 또는 제5항의 기재된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용 블레이드 구동 장치.
KR1020097008097A 2006-12-27 2007-12-18 코일 보빈, 액츄에이터, 및 카메라용 블레이드 구동 장치 KR101150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51574A JP4869912B2 (ja) 2006-12-27 2006-12-27 コイルボビン、アクチュエータ及び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JPJP-P-2006-351574 2006-12-27
PCT/JP2007/074323 WO2008078607A1 (ja) 2006-12-27 2007-12-18 コイルボビン、アクチュエータ及び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0047A KR20090080047A (ko) 2009-07-23
KR101150049B1 true KR101150049B1 (ko) 2012-05-31

Family

ID=39562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8097A KR101150049B1 (ko) 2006-12-27 2007-12-18 코일 보빈, 액츄에이터, 및 카메라용 블레이드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17631B2 (ko)
JP (1) JP4869912B2 (ko)
KR (1) KR101150049B1 (ko)
CN (1) CN101558548B (ko)
WO (1) WO20080786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60644A1 (en) * 2012-12-07 2014-06-1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componen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799442B1 (en) * 2014-08-18 2017-10-24 Universal Lighting Technologies, Inc. Magnetic core structures for magnetic assembli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8105A (en) * 1995-12-21 1997-10-14 Polaroid Corporation Camera shutter and focus lens assembly
WO2005036251A1 (ja) 2003-10-14 2005-04-21 Nidec Copal Corporation カメラ付き携帯用情報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8122A (en) * 1981-02-19 1982-08-26 Tdk Electronics Co Ltd Voltage responsive current limiting element
JP2879179B2 (ja) * 1992-03-31 1999-04-05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コイルボビン、コイルボビンの成形方法及びその射出成形用金型
JP3274712B2 (ja) 1992-07-02 2002-04-15 昭和電工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条の脱脂装置及び製造方法
JPH0617206U (ja) * 1992-07-29 1994-03-04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コイル用ボビン
JPH0696963A (ja) * 1992-09-10 1994-04-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イル部品
JP4013449B2 (ja) * 2000-05-10 2007-11-28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テップモータ
JP2002170711A (ja) * 2000-12-04 2002-06-14 Olympus Optical Co Ltd 電磁駆動装置
JP3983527B2 (ja) * 2001-01-31 2007-09-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磁駆動シャッタ
JP4549115B2 (ja) * 2004-06-29 2010-09-22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US7135949B2 (en) * 2004-07-15 2006-11-1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ransformer or inductor containing a magnetic core having abbreviated sidewalls and an asymmetric center core por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8105A (en) * 1995-12-21 1997-10-14 Polaroid Corporation Camera shutter and focus lens assembly
WO2005036251A1 (ja) 2003-10-14 2005-04-21 Nidec Copal Corporation カメラ付き携帯用情報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17631B2 (en) 2010-05-18
JP4869912B2 (ja) 2012-02-08
US20090232490A1 (en) 2009-09-17
WO2008078607A1 (ja) 2008-07-03
CN101558548A (zh) 2009-10-14
CN101558548B (zh) 2011-08-31
KR20090080047A (ko) 2009-07-23
JP2008167522A (ja) 200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5225B2 (ja) 絞り装置
JP4187758B2 (ja) 光量調整装置
US7670068B2 (en) Actuator, shutter driving device for camer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ctuator
KR101180130B1 (ko) 구동 장치 및 광학 기기
KR101150049B1 (ko) 코일 보빈, 액츄에이터, 및 카메라용 블레이드 구동 장치
JP2005195845A (ja) 撮像装置
US8851767B2 (en) Magnetic driv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light amount controller, and optical apparatus
US8348528B2 (en) Blade drive device
JP4901551B2 (ja) 羽根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2258348A (ja) 光量制御装置および電磁駆動装置
JP2006317723A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01136725A (ja) 電磁駆動モー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量調節装置
JP2005249812A (ja) シャッターアイリス
JP3979039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4936945B2 (ja)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JP4667948B2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02369489A (ja) 電磁駆動モータ及びそれを有する電磁駆動絞り装置
JP4587689B2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
JP4237850B2 (ja) アクチュエータ
JP2005102354A (ja) アクチュエータ、光量調整装置、アクチュエータの製造方法
JP5373351B2 (ja)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JP4572070B2 (ja) セクタ駆動装置
JP3863521B2 (ja) 光量調節装置
JP2004151743A (ja) 光量調節装置の製造方法
JP2003186540A (ja) ロータリーアクチュエータのストッ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