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502B1 - 암석낙하 등의 방지를 위한 포착네트 - Google Patents

암석낙하 등의 방지를 위한 포착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502B1
KR101148502B1 KR1020040071962A KR20040071962A KR101148502B1 KR 101148502 B1 KR101148502 B1 KR 101148502B1 KR 1020040071962 A KR1020040071962 A KR 1020040071962A KR 20040071962 A KR20040071962 A KR 20040071962A KR 101148502 B1 KR101148502 B1 KR 101148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holding
rope
rope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6876A (ko
Inventor
마르첼 젠하우저
Original Assignee
파처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처 아게 filed Critical 파처 아게
Publication of KR20050026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결속되어지며, 그 두개의 길이방향 측면들은 두개이상의 지지체(7,8,9,10) 사이에서 연장되는 홀딩로프(holding rope, 3,4)에 의해 각각 움직일 수 있도록 유지되어지는 요소들로 구성되는 네트(2)를 가지는 특히 암석낙하 방지를 위한 포착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두개의 홀딩로프(3,4)는 그 길이방향으로 개별적인 지지체(7,8,9,10)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유지되어지며 그 측면에서 인장되어진다. 지지체(7,8,9,10) 각각의 영역 내에서 각각의 홀딩로프(3,4) 상에서 지지체를 따라서 연장되어지는 하나이상의 러닝로프(37,38,39,40;47,48,49,50)들은 한쪽 측면의 단부는 홀딩로프(3,4)에 부착되어지고 다른쪽 측면상의 단부는 지지체(7,8,9,10)에 부착되어진다. 네트(2)는 러닝로프(37,38,39,40;47,48,49,50)에 의해서 지지체 영역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유지되어진다. 따라서 포착네트(1)는 네트를 통한 더 좋은 에너지의 흐름 뿐만 아니라 최적의 하중 분포를 보장한다.

Description

암석낙하 등의 방지를 위한 포착네트{Catchment net especially for rockfall blocking}
도 1은 암석의 충돌에 따라 수평 갤러리(gallery)로서 제공되는 본 발명의 포착네트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2는 암석의 충돌이전에 있는 도 1에서 도시된 포착네트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수직하게 정렬된 포착네트의 측면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지지체에 의해 유지되어지는 홀딩로프 및 러닝로프를 가지는 지지체 단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착네트 2 : 네트
3,4 : 홀딩로프 5,6 : 브레이킹 수단
7,8,9,10 : 지지체 37,38,39,40;47,48,49,50 : 러닝로프
본 발명은 포착네트(catchment net)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청구항 1에서 주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암석낙하를 차단하기 위한 포착네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포착네트는 예를 들어 유럽특허 EP A 1 205 603로부터 알 수 있다. 상기 포착네트는 서로 연결되어지며 그 길이방향 측면들은 가장자리(edge), 즉 각각의 홀딩로프(holding rope)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유지되어지는 링(ring)으로 구성된 네트(net)를 포함한다. 가장자리 로프들은 슬로프(slope), 암벽(rock wall) 등에 앵커되어지는 다수의 지지체(support body)에 부착되어진다. 상기 네트와 각각의 지지체 사이에는 추가적인 연결요소(connecting element)가 구현되어지는데, 상기 연결요소들은 동적 에너지(dynamic energy)를 흡수하기 위한 브레이킹 링(braking ring)의 형태로 된 브레이킹 수단(braking means)를 구비하는 것이 선호되어진다. 돌(stone)등이 네트속으로 떨어지게 될 때, 먼저 네트의 링 다발들이 충돌의 방향으로 링의 커튼과 같이 가장자리 로프를 따라서 열을 지어 움직이게 되고, 따라서 동적인 에너지의 일부가 흡수된다. 블레이킹 링들이 연장되어지고 연결요소들이 실질적으로 파열되기 전까지, 연결요소들은 이러한 움직임에 저항하며 링의 열(row)을 보유하는 효과가 있으며, 그 이후에 링의 열들이 더욱 당겨지게 될 때 다음의 연결요소들이 실현되어지게 된다. 파열된 연결요소들은 대체되어 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네트들은, 네트의 파열없이 그리고 네트를 통하여 차단되어져야 하는 암석의 떨어뜨림없이 암석의 충돌에 의해 발생된 에너지의 많은 부분들이 흡수되어지는 바와 같이, 많은 실용적인 분야에 있어서 그 자체로서 유용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암석의 충돌과정 동안, 충돌위치에 인접한 두개의 지지체 사이의 관련된 링 네트 표면들이 효과적이게 될 것이다. 충돌력(impact force)는 상기 네트 구역을 따라서 두개의 지지체, 즉 리테이닝 로프(retaining rope)에 의해 일반적으로 유지되어지는 그 지지헤드(support head) 뿐만 아니라 그 베이스 플레이트로 전달되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 기술된 형태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지만 개선된 효과를 포함하는 구성 및 유지보수의 포착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서 기술된 특징을 가진 포착네트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라서 해결되어진다.
본 발명의 포착네트의 추가적으로 선호적인 실시예는 종속항의 주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포착네트로서, 두개의 홀딩로프들은 개별적인 지지체에 의해 유지되어지고,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게 될 수 있으며, 그리고 측면에서 인장되어지고, 네트는 지지체를 따라서 연장되는 러닝로프에 의해서 지지체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유지되어지고 홀딩로프에 부착되어져서, 힘을 흡수하는 링 네트 표면이 종래의 포착네트와 비교해서 실질적으로 더욱 크게 될 수 있도록 한다. 포착네트는 네터를 통한 더 좋은 에너지의 흐름 뿐만 아니라 최적의 하중 분포를 보장하며, 따라서 시스템 전체에 걸쳐서 감소된 힘을 보장한다. 앵커되는 힘(anchoring force)은 또한 실질적으로 더 작게 되어서, 비용상 효과적인 기초가 실현될 수 잇도록 한다. 또한, 포착네트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매우 간단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더욱 상세하게 기술되어지게 된다.
도 1은 예를 들어 암석(rock) 또는 잡석(rubble)을 포착하기 위한 슬로프 또는 암벽(rock wall) 상에 구현되어질 수 있는, 거의 수평하게 배열되어지는, 소위 갤러리(gallery)로서 구조되어진 포착네트(catchment net, 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포착네트(1)는 서로 결속되어진 요소들, 선호적으로는 링(ring)들로 구성되어진 네트(net, 2)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는 두개의 길이방향 측면의 각각에 배치되어진 홀딩로프(holding rope, 3,4)에 의해 유지되어지며, 이는 다시 다수의 지지체 (support body), 예를 들어 네 개의 지지체(7,8,9,10)에 고정되어진다. 홀딩로프(3,4)는 측면에서 즉, 그 단부영역에서 슬로프(slope) 또는 암벽에 대해서 인장되어진다. 홀딩로프(3,4)의 상기 단부영역들 중 하나의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브레이킹 수단(braking means, 5,6)이 동적인 힘(dynamic force)을 흡수하기 위하여 포함되어지며, 두개의 브레이킹 수단(5,6) 각각은 도 1에 따라 홀딩로프(3,4)의 두개의 단부영역 내에 구현되어진다. 상기 브레이킹 수단(5,6)들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져 있으며, 예를 들어 미국특허 US-A-5,207,302호에 기술되어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단들은 여기서 상세히 기재되지는 않는다. 상기 수단들은 홀딩로프(3,4)에 제공되어지는 관련된 인장력의 영향 하에서 규정된 신장(stretching)의 효과를 가져오는 브레이킹 링(braking ring)으로 구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지지체(support body, 7,8,9,10)들은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7a, 8a, 9a, 10a)로서 슬로프 또는 암벽 내에 앵커되어지고, 이로부터 벗어나서 위쪽으로 비스듬히 연장된다. 그 자유단부에서, 슬로프 또는 암벽 내에 앵커되어진 리테이닝 로프(retaining rope, 11)를 통하여 지지부(7,8,9,10)는 지지헤드(support head, 7b,8b,9b,10b)로서 고정되어진다. 두개의 리테이닝 로프(11)는 각각의 지지헤드(7b,8b,9b,10b)로부터 슬로프 또는 암벽의 방향으로 후면으로 비스듬히 연장된다. 네트(2)의 두개의 좁은 측면에 배치되어진 바깥쪽 지지부(7,10), 즉 지지헤드(7b,10b)는 언히칭 로프(unhitching rope, 13)를 통하여 슬로프 또는 암벽에 연결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라서, 네트(2)를 고정하는 홀딩로프(3,4)들은 각각의 지지체(7,8,9,10)를 통하여 유지되어지고, 그 길이방향으로 즉, 지지체(7,8,9,10)를 통하여 또는 선호적으로는 슬로프 또는 암벽에 면하는 지지체의 측면 상에서 움직이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부드러운 유도를 보장하는 원형의 가이드 요소(guide element)들이 각각의 지지헤드(7b,8b,9b,10b) 상의 홀딩로프(3)를 위하여 그리고 홀딩로프(4) 상의 베이스 플레이트(7a,8a,9a,10a)를 위하여 구현되어진다. 그러나 도 1에서는 이들이 도시되어지지 않으며, 동일한 실시예가 도 3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기술되어진다.
네트(2)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러닝로프(37,38,39,40; 47,48,49,50)의 각각의 한쪽 단부(37a,38a,39a,40a; 47a,48a,49a,50a)는 관련된 지지체(7,8,9,10)의 한쪽 측면 상에 배치되어지고, 다른쪽 단부(37b,38b,39b,40b; 47b,48b,49b,50b)는 상기 지지체의 다른쪽 측면상에 배치되어지도록 하는 방법으로, 러닝로프(running rope, 37,38,39,40;47,48,49,50)는 지지체(7,8,9,10)의 영역 내의 양쪽의 홀딩로프(3,4)에 부착되어진다. 여기서 러닝로프(37,38,39,40; 47,48,49,50)는 지지부(7,8,9,10)를 자유롭게 지나가는데, 즉 비록 이들이 예외적인 상황에서는 언덕(hill)으로 향하는 측면상에서 위치되어질 수도 있지만, 선호적으로는 슬로프 또는 암벽으로부터 벗어나게 면하는 측면상에서, 즉 밸리(valley) 측면 상에 위치되어진다.
네트(2)는 한편으로는 홀딩로프(3,4)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유지되어지는데, 즉 길이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되어진 두개의 러닝로프(37,38, 39,40;47,48,49,50)의 러닝로프(37b,38a,38b,39a;39b,40a) 사이의 길이방향 영역 내에 유지되어지며, 다른 한편으로는 네트(2)는 지지체 영역 내의 관련 러닝로프(37,38,39,40;47,48,49,50)에 의해서 움직일 수 있도록 유지되어지고 지지체(7,8,9,10)를 지나가도록 유도되어진다. 네트(2)의 링 다발들이 관련된 로프를 따라서 커튼(curtain)과 같이 열(row)로서 움직이게 될 수 있기 때문에, 홀딩로프(3,4) 및 러닝로프(37,38,39,40;47,48, 49,50) 상에서 네트(2)의 움직일 수 있는 배열은, 가장자리 링 및 관련 로프 둘레에서 루프(loop)된 글라이드 요소(glide element)를 통하여 선호적으로 발생한다.
러닝로프(37,38,39,40;47,48,49,50)는 도 1 및 도 2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클립 요소(clip element)를 통하여 홀딩로프(3,4)에 그 단부로써 고정되게 연결되어지거나, 도는 홀딩로프에 움직일 수 있도록 부착되어지며, 홀딩로프(3,4)를 따라서 러닝로프 단부의 미끄럼 움직임(gliding movement)은 규정된 조절가능한 하중이 초과되어질 때 선호적으로 개시되어진다.
예를 들어, 만일 암석(rock, 15)이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8,9) 사이에서 위치된 네트(2)의 영역 속으로 떨어지게 된다면, 먼저 네트(2)의 링 다발 들이 러닝로프(38,39,48,49) 및 홀딩로프(3,4)를 따라서 커튼(curtain)과 같이 충돌위치의 방향으로 움직여져서, 이러한 방법으로 동적 에너지의 일부가 이미 흡수되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홀딩로프(3)를 가지는 러닝로프 단부(38a,39b)의 연결점(connection point) 뿐만 아니라 홀딩로프(4)를 가지는 러닝로프(48,49)의 관련 연결점들이 지지체(8,9)에 도달될 때까지 지지체(8,9) 상에 움직일 수 있도록 유지되어지는 홀딩로프(3,4) 및 홀딩로프(3,4)에 부착되어지는 러닝로프(38,39,48,49)들은 아래로 당겨지고, 러닝로프(38,39,48,49) 및 관련 홀딩로프(3,4) 사이에서 고정된 연결이 존재할 때 추가적인 로프 움직임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네트(2)의 가능한 변위는 제한되어진다. 이러한 단계(phase) 동안, 지지체(8,9)의 다른 쪽 측면상에 이미 위치되어지고 러닝로프(38,39,48,49)를 따라서 지지체(8,9)를 자유로이 통과하여 움직일 수 있는 상기 링 열들이 또한 사용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호협동적인 링 네트 표면은 지지체(support body)에 고정되게 부착되어진 홀딩로프를 가지는 종래의 포착네트의 표면에 비해서 실질적으로 더 크게 된다. 만일 러닝로프 단부들(38a,38b, 39a,39b)들이 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되기 이전에 지지체(8,9)로부터 2m의 거리에서 각각 위치되어진다면, 지지체(8,9)들이 서로로부터 10m의 거리에서 위치되어질 때 도 1과 같이 충돌되는 동안 14m 길이의 링 네트 표면이 가능하게 될 것이며, 즉 서로로부터 10m로 이격된 지지체를 가진 종래의 포착네트의 표면에 비해서 40% 증가된 링 네트 표면이 가능하게 된다.
네트(2)속으로 충돌되는 동안 홀딩로프(3,4)로 제공되어지는 힘(force)들은 홀딩로프(3,4)의 측면영역 내에 통합되어지며 추가적인 에너지 흡수에 효과가 있는 브레이킹 수단(braking means, 5,6)의 작동에 효과를 미친다. 보호영역의 바깥쪽 측면영역 내에 브레이킹 수단(5,6)을 배열하는 것은, 교체의 목적을 위한 접근이 특히 용이하기 때문에 특별히 장점이 된다.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홀딩로프(3,4)를 통하여 양쪽 측면 상에서 지지체(7,8,9,10)에 부착되어지는 러닝로프(37,38,39,40;47,48,49,50)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라 포착 네트는, 다수의 지지체 상으로 개선된 분포를 가진 최적의 힘의 분포 및 네트(2)를 통한 더욱 선호적인 힘의 흐름을 보장함으로써, 따라서 전체 시스템에 걸쳐서 더 적은 힘이 적용되도록 한다. 따라서 정착되는 힘(anchoring force)은 실질적으로 더 작게 되면, 이는 다시 더 작은 정착길이(anchor length)의 결과가 되고 따라서 더욱 저렴한 기초(foundation)의 결과가 된다.
상기에서 언급되어진 바와 같이, 만일 마찰 또는 탄성변형 또는/및 소성변형(plastic distortion)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러닝로프(37,38,39,40; 47,48,49,50)가 홀딩로프(3,4)에 고정되지 않고 움직일 수 있도록 부착되어진다면, 미끄러짐 움직임(gliding movement) 동안 특정의 하중의 초과되어질 때 추가적인 에너지가 흡수되어질 수 있도록 일종의 브레이킹이 효과를 미친다.
도 3에서는 거의 수직하게 배열된 포착네트(1')의 외부영역이 도시되어지는데, 상기 포착네트는 도 1 및 도 2에 반대되는 경사진 슬로프 상에 위치되어지며, 예를 들어 암석과 같이 슬로프 아래로 구르는 재료를 포착한다. 여기서 원형 단면으로 된 지지헤드(support head, 10a')을 가지는 거의 수직하게 배열된 바깥쪽 지지체(10')가 포함되어지며, 상기 지지헤드 상에는 리테이닝 로프(retaining rope, 11')가 부드럽게 고정되어진다.
슬로프에 면하는 지지헤드(10a')의 측면 상에는, 상기에서 언급되어진 바와 같이 측면에서 인장되어지는 상부 홀딩로프(3')를 위한 가이드 요소(guide element)가 부착되어지며, 상기 가이드 요소는 도면부호 (55)로서 표기되어지며 움직일 수 있는 홀딩 로프(3')의 보호를 위하여 원형이 된다. 비록 도 3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유사한 가이드 요소들이 하부 홀딩로프를 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 근처의 지지체(10')의 하단부에서 구현되어질 수도 있다. 러닝로프(40')는 단지 하나만이 여기서 도시된 클립요소(clip element, 56)를 통하여 홀딩로프(3')에 부착되어지며, 상기 러닝로프(40')는 홀딩로프(3')와는 달리 지지체(10')의 다른 측면 상에 연장되어져서, 러닝로프(40')를 따라서 가이드 요소(51')를 통해 움직일 수 있는 네트(2')가 지지체(10') 전의 계곡측(valley side) 상에 위치되어지도록 한 다. 이와는 달리 네트(2')는 글라이드 요소(glide element, 51')를 통하여 다수의 외부 요소들을 가지는 러닝로프(40')의 영역 내의 홀딩로프(3')에 직접 부착되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지지체(10') 근처의 상부단부에서의 네트(2')의 위치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네트는 홀딩네트에 부착되어지는 러닝네트(40')의 두 단부에 의해 제한되어지는 홀딩네트(3')의 영역 내에서 개별적인 글라이드 요소(51')로서 맞추어질 수도 있거나 또는 도 1에서 도시되어진 네트를 위하여 구현되어진 바와 같이 될 수도 있다.
도 4에 따르면, 러닝로프(62)는 시작위치에서 미리 정해진 파열점(breaking point)을 형성하고 지지체 단부(70)의 아랫면(70')에 각각 부착되는 가이드 요소(guide element, 60)에 의해 유지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요소(60)는 서로 떨어진 위치에서 지지체에 부착된 두 개의 요소(63,64)들 및 상기 요소(63,64)들에 의해 고정되고 미리 정해진 파열점을 형성하는 볼트(bolt, 65)로 구성되며, 상기 러닝로프(62)는 상기 볼트(65)상에 배열된다. 러닝로프(62)는 상기 요소들 상에서 지지된다. 미리 정해진 특정 파열하중(breaking load)에 도달될 때, 상기 볼트(65)는 파열되고, 러닝로프(62)는 도 1에 도시된 방법으로 지지체를 향해 아래로 이동한다. 또한, 맞춤요소(fitting element, 67,68)와 함께 지지체(70)의 맞은편 측면상에 홀딩로프(66)가 유지된다.
도 4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러닝로프를 따라서 미끄러지는 네트의 링 열(row)은, 상기 볼트(65)가 파괴되어질 때만 관련된 지지체(8,9)를 넘어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다. 볼트(65)가 휨(bending)을 통해 러닝로프(62)에 의해 파괴되지 않는 한, 링들은 볼트(65)에 의해 뒤로 유지된다.
물론 링 네트를 연결하는 추가적인 연결요소 또는/및 더 높은 에너지 영역을 위한 유럽특허 EP-A-1 205 603의 시스템으로부터 공지된 것과 같은 브레이킹 요소 및 지지체를 가진 러닝로프를 가지는, 도 3의 포착네트(1') 뿐만 아니라 도 2 및 도 3에 따라 포착네트(1)를 갖추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더 낮은 에너지 영역을 위한 시스템을 위하여는, 본 발명이 포착네트의 홀딩로프의 측면 영역을 위하여 구현되어진 브레이킹 링(braking ring)이 충분하며, 즉 대략 40 내지 50 m의 차단경로(blocking path) 마다 8개의 브레이킹 링이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상기의 실시예를 참고로하여 충분히 기술되어진다. 그러나, 다르게 구성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러닝로프 대신에, 원칙적으로 로드(rod) 또는 밴드(band)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러닝로프 라는 용어는 그러한 실시예에도 사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위치에 여러개의 러닝로프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네트, 러닝로프 그리고 홀딩로프는 언덕(hill)의 측면 상에 위치되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때는 네트 및 로프가 지지체의 방향으로 배치되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만 한다. 물론, 지지체마다 단지 하나의 리테이닝 로프(11)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원칙적으로, 도 1에서 도시된 네트는 외부지지체(7,10)를 위하지는 않고 내부 지지체(8,9)를 위하여만 러닝로프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러닝로프는 브레이킹 링 또는 브레이킹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Claims (8)

  1. 서로 연결되는 요소들로 구성된 네트(2)를 가지고, 상기 네트에 형성된 두 개의 길이방향 측부들이 두 개이상의 지지체(7,8,9,10)들사이에서 연장되는 두 개의 홀딩로프(3,4)들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유지되는 포착네트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홀딩로프(3,4)는 상기 지지체(7,8,9,10)들에 의해 홀딩로프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유지되고 측면으로 인장되며, 상기 지지체(7,8,9,10)의 영역에서 각각의 홀딩로프(3,4)상에서 상기 지지체를 따라 두 개이상의 러닝로프(37,38,39,40,47,48,49,50)가 연장되고, 상기 러닝로프의 한쪽 단부는 한쪽 측면에서 상기 홀딩로프(3,4)에 부착되며, 상기 러닝로프의 다른 한쪽 단부는 다른 한쪽 측면에서 상기 지지체(7,8,9,10)에 부착되고, 상기 네트(2)는 상기 지지체의 영역에서 상기 러닝로프(37,38,39,40,47,48,49,50)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착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로프(3,4)는 슬로프 및 암벽에 면하는 지지체(7,8,9,10)의 측면 상에 위치되어지고, 러닝로프(37,38,39,40;47,48,49,50)는 지지체(7,8,9,10)의 다른 측면, 즉 밸리측면 상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착네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러닝로프(37,38,39,40;47,48,49,50)의 단부는 클립요소(56)에 의해 홀딩로프(3,4)와 고정상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착네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규정된 하중을 초과할 때 홀딩로프(3,4)를 따라 이동하고 네트(2)를 제동시키는 클립요소에 의해 상기 러닝로프(37,38,39,40;47,48,49,50)의 단부가 홀딩로프(3,4)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착네트.
  5. 제 1 항에 있어서, 동적 에너지의 흡수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브레이킹 수단(5,6)은 홀딩로프(3,4)의 인장을 위하여 구현된 측면 단부 영역 내에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착네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로프(3,4)를 위한 가이드 요소(55)는 지지체(7,8,9,10) 상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착네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연결요소들이 네트(2) 및 지지체(7,8,9,10) 사이에서 구현되며, 상기 추가적인 연결요소들은 동적인 에너지의 흡수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브레이킹 수단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착네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초기위치에서 러닝로프(62)는 상기 지지체(70)에 고정된 가이드요소(60)들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착네트.
KR1020040071962A 2003-09-10 2004-09-09 암석낙하 등의 방지를 위한 포착네트 KR101148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1546/03 2003-09-10
CH01546/03A CH696469A5 (de) 2003-09-10 2003-09-10 Auffangnetz, insbesondere für Steinschlagverbauun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876A KR20050026876A (ko) 2005-03-16
KR101148502B1 true KR101148502B1 (ko) 2012-05-24

Family

ID=3414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962A KR101148502B1 (ko) 2003-09-10 2004-09-09 암석낙하 등의 방지를 위한 포착네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188825B2 (ko)
EP (1) EP1516964B1 (ko)
JP (1) JP4426409B2 (ko)
KR (1) KR101148502B1 (ko)
CN (1) CN1594743B (ko)
CH (1) CH696469A5 (ko)
DE (1) DE502004002604D1 (ko)
ES (1) ES227999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97096A5 (de) * 2004-06-08 2008-04-30 Fatzer Ag Schutznetz, insbesondere für einen Steinschlagschutz oder für eine Böschungssicherung.
JP4630792B2 (ja) * 2005-10-18 2011-02-09 東京製綱株式会社 落石防護ネット用支柱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落石防護ネット工法
JP4613864B2 (ja) * 2006-04-05 2011-01-19 株式会社ライテク 防護柵とその施工方法
DE102006060480A1 (de) * 2006-12-19 2008-06-26 Inglas Innovative Glassysteme Gmbh & Co. Kg Sensor und Überwachungsvorrichtung zur Überwachung von Objekten
JP4916968B2 (ja) * 2007-07-19 2012-04-18 東亜グラウト工業株式会社 落石防護柵
JP5479677B2 (ja) * 2007-12-17 2014-04-23 東亜グラウト工業株式会社 斜面用防護柵システム
CH702242B1 (de) * 2008-04-16 2011-05-31 Geobrugg Ag Seilführung für langs-, quer- bzw. höhenbewegliche Drähte, Litzen oder Seile.
IT1399103B1 (it) * 2010-03-26 2013-04-05 Lasar S R L In Liquidazione Struttura per la protezione e/o il consolidamento di versanti.
WO2011117790A1 (en) * 2010-03-26 2011-09-29 Lasar S.R.L. Structure for the protection and/or consolidation of slopes
NO339295B1 (no) * 2010-10-12 2016-11-21 Nat Oilwell Varco Norway As Fangkurvsystem for en underdekks rørhåndteringsmaskin
IT1404819B1 (it) * 2011-02-10 2013-11-29 Betonform S R L Dispositivo di contenimento
JP5843467B2 (ja) * 2011-04-20 2016-01-13 Jfe建材株式会社 斜面落下物防護ネット構造
CH706178B1 (de) 2012-02-24 2016-02-15 Geobrugg Ag Netz, insbesondere für den Schutz-, Sicherheits-, Gewässerzucht- oder Architekturbereich, sowie ein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 Netzes.
DE202014102250U1 (de) 2014-05-14 2015-08-17 Isofer Ag Dynamische Steinschlag-Schutzbarriere
DE202014102251U1 (de) 2014-05-14 2015-08-17 Isofer Ag Dynamische Steinschlag-Schutzbarriere
CN105019369A (zh) * 2015-07-31 2015-11-04 西南交通大学 主副索体系的柔性防护网
CN106836036A (zh) * 2017-03-30 2017-06-13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弹性消能隧道棚洞结构及施工方法
JP6644975B2 (ja) * 2017-04-11 2020-02-12 株式会社ライテク 防護柵
CN107881929B (zh) * 2017-11-06 2023-07-14 西南交通大学 一种快速评估灾害冲击等级的方法
CN109269754B (zh) * 2018-11-06 2020-08-04 西南交通大学 一种用于落石拦截系统中消能器动力试验的筒式导引定向冲击装置及试验方法
CN109506870B (zh) * 2018-11-06 2020-08-04 西南交通大学 一种用于落石防护系统消能器动力试验的绳索式导引定向冲击装置
DE102020101985A1 (de) * 2020-01-28 2021-07-29 Geobrugg Ag Energieabsorptionsvorrichtung, Stütze, Seilbremse, Schutznetzverbauung und Verfahren
DE102020113269B3 (de) 2020-05-15 2021-09-30 Pfeifer Isofer Ag Auffangnetz für Steinschlag-Schutzbarrieren
DE202020102781U1 (de) 2020-05-15 2021-08-17 Pfeifer Isofer Ag Auffangnetz für Steinschlag-Schutzbarrieren
JP7377582B1 (ja) 2023-05-26 2023-11-10 株式会社プロテックエンジニアリング 衝撃吸収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1515A (ja) 2000-11-13 2002-06-04 Fatzer Ag 落下岩石捕捉システム等用の捕捉ネット
JP2002302911A (ja) 2001-04-09 2002-10-18 Toa Grout Kogyo Co Ltd 落石防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185A (en) * 1891-03-31 Device for preventing banks froivi caving
FR2414586B1 (fr) * 1978-01-16 1985-09-06 Ind Entreprise Barriere de protection et de securite, notamment contre les chutes de pierres
US4610568A (en) * 1984-03-28 1986-09-09 Koerner Robert M Slope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FR2576047B1 (fr) * 1985-01-14 1987-02-13 Mecanroc Barriere de protection contre les chutes de pierres avec des cables d'amarrage susceptibles de glisser dans des organes amortisseurs
US4655637A (en) * 1985-06-19 1987-04-07 Vignocchi Harry J Revetment system for preventing bluff erosion
IT1184798B (it) * 1985-07-31 1987-10-28 Gianangelo Cargnel Struttura per parete paramassi elastica migliorata
US4710056A (en) * 1986-01-29 1987-12-01 Parker William L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oring a beach
CH676259A5 (ko) * 1988-10-12 1990-12-28 Isofer Ag
ATE104407T1 (de) * 1990-12-31 1994-04-15 Fatzer Ag Vorrichtung zur stossdaempfung fuer ein auf zug beanspruchtes seil fuer steinschlag- und schneeverbauungen.
US5395105A (en) * 1993-11-05 1995-03-07 Thommen, Jr.; Robert A. Safety net system
US5435524A (en) * 1993-12-06 1995-07-25 Ingram; L. Howard Impact fence
US6722817B2 (en) * 1996-01-03 2004-04-20 Beach Reclamation, Inc. Adjustable porous structures and method for shoreline and land mass reclamation
US5807024A (en) * 1996-06-17 1998-09-15 Beach Reclamation, Inc. Biodegradable groynes
US5961099A (en) * 1998-01-23 1999-10-05 Brugg Cable Products, Inc. Safety net system for debris and mud slides
KR100854138B1 (ko) * 2000-11-13 2008-08-26 파처 아게 낙석방지시스템을 위한 낙석방지네트
US6499911B2 (en) * 2000-12-01 2002-12-31 Parker Beach Restoration, Inc Compliant porous groin and shoreline reclamation method
US6929425B1 (en) * 2001-02-06 2005-08-16 Greenfix America Erosion control reinforcement m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1515A (ja) 2000-11-13 2002-06-04 Fatzer Ag 落下岩石捕捉システム等用の捕捉ネット
JP2002302911A (ja) 2001-04-09 2002-10-18 Toa Grout Kogyo Co Ltd 落石防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16964A1 (de) 2005-03-23
JP2005083191A (ja) 2005-03-31
US7188825B2 (en) 2007-03-13
DE502004002604D1 (de) 2007-02-22
CH696469A5 (de) 2007-06-29
CN1594743B (zh) 2010-07-14
CN1594743A (zh) 2005-03-16
ES2279999T3 (es) 2007-09-01
JP4426409B2 (ja) 2010-03-03
US20050050830A1 (en) 2005-03-10
EP1516964B1 (de) 2007-01-10
KR20050026876A (ko) 200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502B1 (ko) 암석낙하 등의 방지를 위한 포착네트
KR101470685B1 (ko) 충격 흡수 울타리
US8807535B2 (en) Rockfall protection system
CA2360744C (en) Catchment net for rockfall catchment systems or the like
GB2172027A (en) A protective barrier
JP4758922B2 (ja) 雪崩、落石または落木のための受止め柵
JP2008163596A (ja) 衝撃吸収防護柵
JP5079293B2 (ja) 落石防護装置
EP1811087B1 (en) Impact-absorbing device for use in earth-bank-protection systems
JP5793633B1 (ja) 防護柵
EP0484563A1 (de) Auffangzaun für Lawinen, Steinschlag oder Holzschlag
JP2907213B1 (ja) 衝撃吸収柵
JP6973767B2 (ja) 落石防護柵
CN210561796U (zh) 采用附加变形约束的柔性拦挡网
JP3639950B2 (ja) 衝撃吸収防護柵
JP2008106450A (ja) 衝撃吸収フェンス
JP7034464B2 (ja) 落石防護柵
JP2003003425A (ja) 衝撃吸収防護柵
JPH0742118A (ja) 落石防止用柵における支柱保護装置
KR100854138B1 (ko) 낙석방지시스템을 위한 낙석방지네트
JP6996801B1 (ja) 防護柵
JP2023524566A (ja) 落石防止柵
RU230465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т горных обвалов
AU709838B2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game of tenn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