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889B1 - 피로 특성이 우수한 Si 킬드강 선재 및 스프링 - Google Patents

피로 특성이 우수한 Si 킬드강 선재 및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889B1
KR101146889B1 KR1020117015446A KR20117015446A KR101146889B1 KR 101146889 B1 KR101146889 B1 KR 101146889B1 KR 1020117015446 A KR1020117015446 A KR 1020117015446A KR 20117015446 A KR20117015446 A KR 20117015446A KR 101146889 B1 KR101146889 B1 KR 101146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
mass
inclusions
steel wire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5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3759A (ko
Inventor
도모꼬 스기무라
고이찌 사까모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56310A external-priority patent/JP417740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56312A external-priority patent/JP413422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110083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8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006Adding metall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21C7/06Deoxidising, e.g. ki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로 특성이 우수한 스프링을 얻기 위한 Si 킬드강 선재, 및 이 Si 킬드강 선재로부터 얻어지는 피로 특성이 우수한 스프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Si 킬드강 선재는, Sr : 0.03 내지 20ppm(「질량ppm」의 의미, 이하 동일함), Al : 1 내지 30ppm 및 Si : 0.2 내지 4%(「질량%」의 의미, 이하 동일함)를 각각 함유하는 것 외에, Mg 및/또는 Ca을 합계 0.5 내지 30ppm의 범위에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Si 킬드강 선재는, 선재 중에 존재하는 산화물계 개재물이, SiO2 : 3O 내지 90%, Al2O3 : 2 내지 50%, MgO : 3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Ca0 : 50%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MnO : 20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및 SrO : 0.2 내지 15%를 각각 포함하고, 또한 (CaO + MgO)의 합계 함유량이 3% 이상이다. 이러한 강 선재로부터 스프링을 성형함으로써, 피로 특성이 우수한 스프링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피로 특성이 우수한 Si 킬드강 선재 및 스프링 {Si KILLED STEEL WIRE MATERIAL HAVING EXCELLENT FATIGUE PROPERTY AND SPRING}
본 발명은, 피로 특성이 우수한 Si 킬드강 선재 및 이 강 선재로부터 얻어지는 스프링에 관한 것이고, 예를 들어 고강도 스프링(특히 밸브 스프링) 등으로 했을 때에 높은 피로 특성을 발휘할 수 있고, 이러한 특성이 요구되는 자동차용 엔진의 밸브 스프링이나 클러치 스프링, 브레이크 스프링, 또한 현가 스프링이나 스틸 코드 등의 소재로서 유용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의 경량화나 고출력화의 요청이 높아짐에 따라서, 엔진이나 서스펜션 등에 사용되는 밸브 스프링이나 현가 스프링 등에 있어서도 고응력 설계가 지향되고 있다. 그로 인해 이들 스프링에는, 부하 응력의 증대에 대응하기 위해, 내피로성이나 내피로 변형성이 우수한 것이 강하게 기대되고 있다. 특히 밸브 스프링에 대한 피로 강도 증대의 요청은 매우 강하고, 종래 강 중에서도 피로 강도가 우수하다고 여겨지고 있는 SWOSC-V(JIS G 3566)라도 대응이 곤란하게 되고 있다.
높은 피로 강도가 요구되는 스프링용 선재에서는, 선재 중에 존재하는 절손 기점으로 되는 비금속 개재물을 최대한 저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강재로서는, 상기 비금속 개재물의 존재를 최대한 저감한 고청정 강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소재의 고강도화가 도모됨에 따라서, 비금속 개재물에 기인하는 단선, 피로 절손의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그 주 요인으로 되는 비금속 개재물의 저감ㆍ소형화의 요구는 한층 엄격한 것으로 되고 있다.
강재 중에 있어서의 경질인 비금속 개재물의 저감ㆍ소형화를 도모한다는 관점에서, 지금까지도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비특허 문헌 1에는, 개재물을 글래스질로 유지함으로써, 압연시에 개재물이 미세화되는 것, 및 CaO-Al2O3-SiO2계의 성분에서 글래스가 안정된 조성으로 개재물이 존재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글래스 부분의 변형을 촉진시키기 위해, 개재물의 융점을 낮추는 것이 유효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Ca, Mg, (La + Ce)의 양을 적절한 범위로 제어하면서 강재의 화학 성분 조성을 적절하게 조정하고, 또한 강 중의 비금속 개재물의 평균적 조성의 구성비(SiO2, MnO, Al2O3, MgO 및 CaO의 구성비)를 적절한 범위로 함으로써, 피로 특성이 우수한 스프링강이 얻어지는 것이 나타나 있다.
한편, 특허 문헌 3에는, C, Si, Mn, Cr 등의 기본 성분을 제어하는 동시에, Ca, Mg, Ba, Sr 중 1종 이상을 0.0005 내지 0.005%의 범위에서 함유시키고, 또한 비금속 개재물의 크기를 20㎛ 이하로 하는 것 등에 의해, 우수한「피로 변형 특성」을 발휘시킨 고강도 스프링용 선재가 제안되어 있다.
지금까지 제안되어 있는 각종 종래 기술에서는, 개재물 조성을 저융점 영역으로 제어하여, 미세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 중심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CaO-Al2O3-SiO2 3성분계 개재물에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3원계 상태도에 있어서, 3성분이 임의의 조성 범위에 저융점 영역이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어느 하나의 성분이 높아지는 조성에서는, 융점이 높아져 선재의 피로 강도가 저하되게 된다. 이러한 경향은, MgO-Al2O3-SiO2 3성분계 개재물의 경우라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각종 기술에서는, 피로 특성 등의 특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성은 나타나 있다. 그러나, 열간 가공시의 가열 시간이나 온도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비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성으로 제어하는 것만으로는, 반드시 완전한 글래스 상태를 유지할 수는 없고, 결정이 생성되는 일이 있다. 또한, 최근 가일층의 강 피로 강도화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글래스부의 변형도 보다 촉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강의 고강도화에 수반하여, 강의 성분은 고Si화되고 있고, 종래 알려져 있는 CaO-Al2O3-SiO2계에서의 목표 조성으로의 핀 포인트 제어의 난도는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예를 들어 특허 문헌 4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토탈뿐만 아니라, 용존 성분을 제어하는 등, 고도의 제어가 필요하게 되고 있다.
또한, 개재물을 무해화(피로에 대해)하기 위한 기술로서는, 개재물 조성을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비특허 문헌 1에는, 밸브 스프링용 강에서는, 융점이 1400 내지 1500℃ 정도보다도 낮은 CaO-Al2O3-SiO2 3성분계 개재물로 제어하면, 피로 파괴의 기점으로는 되지 않아 피로 특성이 향상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5에는, 압연 강재의 L 단면에 있어서, 길이(l)와 폭(d)의 비가 1/d ≤ 5의 비금속 개재물의 평균 조성이, SiO2 : 20 내지 60%, MnO :10 내지 80%에, CaO : 50% 이하, MgO : 15% 이하의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함으로써, 냉간 가공성과 피로 특성이 우수한 청정도 강이 얻어지는 것이 나타나 있다.
특허 문헌 6에는, 압연 강재의 L 단면에 있어서, 길이(l)와 폭(d)의 비가 1/d ≤ 5의 비금속 개재물의 평균 조성이, SiO2 : 35 내지 75%, Al2O3 : 30% 이하, CaO : 50% 이하, MgO : 25% 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함으로써, 냉간 가공성과 피로 특성이 우수한 청정도 강이 얻어지는 것이 나타내어지고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개재물 중의 SiO2 : 25 내지 75%, Al2O3 : 35% 이하, CaO : 50% 이하, MgO : 40% 이하의 한쪽 혹은 양쪽 포함하고, MnO : 60%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피로 강도가 향상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개재물 중 가장 융점이 높기는 하나 융점을 1500℃ 이하로 제어함으로써, 피로 강도가 향상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수한 성분을 사용한 기술에서는, 특허 문헌 7의 Li2O 조성으로의 개재물 제어나, 특허 문헌 3의 강재 중에 Ba, Sr, Ca, Mg을 함유시키는 것이 있다.
이들 종래 기술에서는, 열연시의 개재물의 변형을 촉진시키기 위해, 글래스화하기 쉬운 조성으로 제어하는 것이나, 또한 변형을 촉진시키기 위해 개재물을 저융점 조성으로 제어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구체적인 개재물 조성으로서는, 글래스의 안정된 SiO2계 복합 산화물계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법만으로는, 금후 가일층의 고피로 특성화의 요구에 대응할 수 없다. 또한, 변형을 보다 촉진시키기 위해, 개재물을 더욱 저융점화시키고자 하여, 종래 다수 보고되고 있는 SiO2-Al2O3-CaO-MgO-MnO 등의 시스템에서, 각별한 저융점화를 겨냥해도, 이것 이상은 곤란한 레벨에 도달하고 있다.
또한 상기 특허 문헌 3에서는, Ba, Ca, Mg, Sr 등의 이용에 언급하고 있으나, 이들 저융점화 효과에만 착안하고, 또한 각각의 성분의 차이나 복합화의 효과를 활용할 수 없고, 그 결과 현재의 높은 요구에 견딜 수 있는 피로 강도를 실현할 수 없는 기술로 되어 있다.
또한, 비금속 개재물 중, Al2O3을 많이 포함하는 것에서는, 저융점 개재물을 얻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이러한 선재를 얻기 위한 강재는, Al 킬드강이 아니라, Si를 사용하여 탈산하는 소위「Si 킬드강」을 소재로 한 선재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비특허 문헌 1 :「제182ㆍ183회 니시야마 기념 기술 강좌」, (사단법인) 일본 철강 협회편, 제131 내지 134페이지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5-320827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소63-140068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소63-227748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9-310145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소62-99436호 공보
특허 문헌 6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소62-99437호 공보
특허 문헌 7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29888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 하에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개재물의 전체를 저융점으로 하여 변형되기 쉽게 함으로써, 또는 개재물을 저융점에서 변형되기 쉽게 함으로써, 피로 특성이 우수한 스프링 등을 얻기 위한 Si 킬드강 선재, 및 이러한 강 선재로부터 얻어지는 피로 특성이 우수한 스프링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상황 하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Sr, Si, Al, Mg, Ca의 농도를 균형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용강 중의 개재물을 적절한 조성으로 제어하고, 또한 주조시에도 유해한 개재물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일반론으로서는, 산화물의 복합화에 의한 저융점화는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강 중 개재물로서 제어할 수 있는 한정된 성분에 의해, Si 킬드강의 개재물 융점을 저하시키고, 또한 글래스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아, 구체적인 수단은 지금까지 실현할 수 없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자들은, Sr, Si, Al, Mg, Ca을 최적의 균형으로 제어함으로써 그것을 실현한 것이다. 특히, 종래 유사하다고 생각되고 있었던 Sr, Ca, Mg 중에서도, Sr, (Mg + Ca)을 각각 제어하는 것, 및 모두 함유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SiO2계의 글래스의 안정성에 대해 복잡한 영향을 발현하는 Al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현저하게 피로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 것이다.
즉,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던 본 발명의 Si 킬드강 선재의 제1 형태는, Sr : 0.02 내지 20ppm(「질량ppm」의 의미, 이하 동일함), Al : 1 내지 30ppm 및 Si : 0.2 내지 4%(「질량%」의 의미, 이하 동일함)를 각각 함유하는 것 외에, Mg 및/또는 Ca을 합계 0.5 내지 30ppm의 범위에서 포함하는 것인 점에 요지를 갖는 것이다.
상기한 각종 Si 킬드강 선재에 있어서는, Li을 0.03 내지 20ppm의 범위에서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 형태이다.
본 발명의 Si 킬드강 선재의 화학 성분 조성에 대해서는,「스프링」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나, 바람직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C : 1.2%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Mn : 0.1 내지 2.0%를 각각 포함하는 강재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강재에 있어서는, 또한 Cr, Ni, V, Nb, Mo, W, Cu, Ti, Co 및 희토류 원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들을 함유시킬 때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각각의 원소에 따라 다르나, Cr : 0.5 내지 3%, Ni : 0.5% 이하, V : 0.5% 이하, Nb : 0.1% 이하, Mo : 0.5% 이하, W : 0.5% 이하, Cu : 0.1% 이하, Tr : 0.1% 이하, Co : 0.5% 이하이다. 또한 개재물 점성을 낮추고, 보다 효과를 발휘하는 원소로서 REM을 0.05% 이하 정도 첨가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형태로서, 본 발명자들은, 개재물 중의 SiO2, Al2O3, MgO, Ca0, Mn0, Sr0을 균형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개재물의 융점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것을 발견했다.
일반론으로서는, 산화물의 복합화에 의한 저융점화는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강 중 개재물로서 제어할 수 있는 한정된 성분에 의해, 글래스의 안정된 SiO2계 개재물의 융점을 저하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아, 구체적인 수단은 지금까지 실현할 수 없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자들은, SiO2, Al2O3, MgO, CaO, MnO, SrO을 최적의 균형으로 제어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특히, 종래 유사하다고 생각되고 있었던 Ba, Ca, Mg 중에서도, Sr, (Mg + Ca)을 각각 제어하는 것, 및 모두 함유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Si02계의 글래스의 안정성에 대해 복잡한 영향을 발현하는 Al(Al2O3)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현저하게 피로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 것이다.
즉,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던 본 발명의 Si 킬드강 선재의 제2 형태는, 선재 중에 존재하는 산화물계 개재물이, SiO2 : 30 내지 90%(「질량%」의 의미), Al2O3 : 2 내지 35%, MgO : 3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CaO : 50%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MnO : 20%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및 SrO : 0.2 내지 15%를 각각 포함하고, 또한 (CaO + MgO)의 합계 함유량이 3% 이상인 점에 요지를 갖는 것이다.
상기한 각종 Si 킬드강 선재에 있어서는, 선재 중에 존재하는 산화물계 개재물이, 또한 Li2O : 0.1 내지 20%의 범위에서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 형태이다.
본 발명의 Si 킬드강 선재의 화학 성분 조성에 대해서는, 스프링용 강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C : 1.2 질량%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Si : 0.1 내지 4.0%, Mn : 0.1 내지 2.0%, Al : 0.01%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를 각각 포함하는 강재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강재에 있어서는, 또한 Cr, Ni, V, Nb, Mo, W, Cu, Ti, Co 및 희토류 원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를 함유하는 것이라도 좋다.
상기 성분 외(잔량부)에는, 기본적으로 Fe 및 불가피 불순물이다. 또한, 개재물에 큰 영향을 부여하지 않는 성분(예를 들어, B, Pb, Bi 등)은 강 특성 향상을 위해 부가해도,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Si 킬드강 선재를 사용하여, 스프링으로 성형함으로써, 피로 강도가 우수한 스프링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Sr을 함유시키면서 화학 성분 조성을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개재물의 전체를 저융점화하여 변형되기 쉽게 하는 동시에, 열연 전이나 열연 중의 가열시에 상분리해도 SiO2가 생성되기 어려운 것으로 할 수 있어, 피로 특성이 우수한 스프링을 얻기 위한 Si 킬드강 선재를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산화물계 개재물의 조성을 적절하게 제어함(최적의 균형으로 복합함)으로써, 저융점 또한 열연시에 글래스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열연시의 개재물 미세화를 촉진시켜, 피로 특성이 우수한 Si 킬드강 선재를 실현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열간 압연시의 변형비가 큰 선재에서는, 개재물은 열간 압연시에 연신 분단시켜 미세화하는 것이 유용한 것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정황 하에서, 응고 후의 가열, 열간 압연에 의한 개재물 형태의 변화도 고려하여, 스프링의 피로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개의 개재물의 조성과 형태에 대해, 다양한 각도에서 검토했다. 그 결과, Sr, Al, Si, Mg, Ca의 농도를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산화물계 개재물의 열연시의 변형이 현저하게 촉진되어 미세화되기 쉬워지는 것을 발견했다.
종래에 있어서도, Sr, Mg, Ca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 원소의 미량 첨가가 스프링의 특성 향상에 유효한 것은 알려져 있으나(예를 들어, 상기 특허 문헌 3), 어느 성분이라도 미량 첨가만하면 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을 균형적으로 함유시킴으로써, Si 킬드강 선재의 피로 특성이 각별히 향상될 수 있는 것이 판명된 것이다. 예를 들어, CaO-Al2O3-SiO2 3성분계 개재물에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3원계 상태도에 있어서, 3성분이 임의의 조성 범위에 저융점 영역이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어느 하나의 성분이 높아지는 조성에서는, 개재물의 융점이 오히려 높아져, 선재의 피로 특성이 저하되게 된다. 이에 반해, Sr, Al, Si, Mg, Ca의 농도를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3성분계 개재물 중의 어느 성분도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고, 또한 어느 하나의 성분이 없는 경우에 비해 보다 변형되기 쉬운 개재물로 되는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Si 킬드강 선재는, 상기와 같이 Sr, Al, Si, Mg, Ca 등의 성분을 균형적으로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나, 이들 성분의 범위 한정 이유는 다음과 같다.
[Sr : 0.03 내지 20ppm]
Sr은, 개재물을 복합화하여 저융점화하기 위해 없어서는 안되는 성분이다. 개재물 중에 SrO을 함유시키면, 글래스의 안정성은 그다지 저하시키지 않고, 저융점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Si 농도가 높은 강 중에 산소와의 결합력이 강한 Sr을 함유시킴으로써, 응고시에, 현저하게 SiO2 농도가 높은 개재물이 생성되어도, 어느 정도의 융점으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들 효과를 발현하기 위해서는, 최저 0.03ppm의 Sr이 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0.2ppm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좋다. 한편, Sr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면, 개재물의 다른 성분(Mg, Ca, Al, Si, Mn 등)의 농도를 낮추고, 가장 융점이 낮아지는 조성으로 제어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Sr 농도는 20ppm 이하로 할 필요가 있고, 바람직하게는 8ppm 이하로 하는 것이 좋다.
[Al : 1 내지 30ppm]
Al은, Si 킬드강의 개재물 조성을 저융점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재물 중의 CaO 등의 농도가 높아졌을 때에 글래스화를 제어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Al은, Ca, Sr 등에 비해 강 중에 용존하기 쉬운 성분이고, 응고시에 현저하게 SiO2 농도가 높은 개재물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다. 이들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1ppm 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Al 함유량이 높아지면, 응고시에 순수한 Al2O3이 생성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30ppm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개재물의 융점을 가장 낮추는 최적의 조성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20pp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 : 0.2 내지 4%]
Si는, Si 킬드강의 제강시에 있어서의 주된 탈산제이고, 본 실시 형태의 선재를 얻기 위한 필수적인 원소이다. 또한 고강도화에도 기여하고, 본 실시 형태의 피로 특성 향상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점에서도 중요한 원소이다. 또한, 연화 저항을 높여 내피로 변형성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한 원소이다. 이러한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Si 함유량은 0.2% 이상(바람직하게는 2% 이상)으로 한다. 그러나, Si 함유량이 과잉이 되면, 응고 중에 순수한 SiO2가 생성될 가능성이 있고, 표면 탈탄이나 표면 흔적이 증가하기 때문에 피로 특성이 오히려 저하되게 된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Si는 4% 이하, 바람직하게는 3% 이하로 한다.
[Mg 및/또는 Ca : 합계 0.5 내지 30ppm]
Mg이나 Ca은, 개재물을 최적인 복합 조성으로 하고, 저융점화하기 위해 필수적인 성분이다. Ba 단독, Mg 단독, Ca 단독, Al 단독을 함유시키면, 고융점의 개재물로 된다. 따라서, 어느 하나는 반드시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Mg이나 Ca은 산소와의 친화력이 강하고, 순수한 SiO2가 드물게 생성된 경우에, 그들을 복합 조성으로 개질하기 쉽다는 효과도 있다. 이들 효과를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Mg이나 Ca(Mg, Ca 단독 또는 병용)의 함유량(병용하는 경우에는 합계 함유량)은, 0.5ppm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각 원소를 적어도 0.1ppm 이상(단, 합계 함유량은 0.5ppm 이상) 함유시켜 병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이들 원소가 과잉이 되면, 개재물 중의 다른 성분의 농도가 낮아져, 최적인 저융점 조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그 상한은 30ppm(바람직하게는, 20ppm 이하)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Si 킬드강 선재에 있어서는, 상기 각 성분을 균형적으로 함유시킴으로써 피로 특성이 향상한 것으로 되나, 필요에 따라 Li을 함유시키는 것도 유용하다. Li은 개재물 중의 결정을 미세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 글래스를 안정적이고 또한 저융점으로 제어한 본 실시 형태의 강에 있어서, 만일 결정이 생성된 경우에도, 결정을 조대하게 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Li을 함유시키는 것도 유용하다. 이러한 작용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Li는 0.2 내지 20ppm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0.03ppm 정도의 첨가에 의해서도, 다소의 효과는 발휘한다고 생각되고, 저농도의 첨가에 의해 적어도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라고 추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프링의 소재로서 유용한 Si 킬드강 선재를 상정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강종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나, Mn은 강의 탈산에 기여하는 원소이고, 또한 켄칭성을 높여 강도 향상에 기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Mn은 0.1% 이상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Mn 함유량이 과잉이 되면, 인성, 연성이 나빠지므로 2% 이하로 해야 한다.
스프링용 강으로서의 기본 성분인 C 함유량에 대해서는,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C 함유량이 1.2%를 초과하면, 강재가 취화되어 실용적이지 않게 된다.
상기 기본 성분 외에는, Fe 및 불가피 불순물(예를 들어 0.02% 이하의 S, 0.02% 이하의 P 등)이지만, 필요에 따라 Cr, Ni, V, Nb, Mo, W, Cu, Ti, Co 및 희토류 원소(REM)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들을 함유시킬 때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각각의 원소에 따라 다르나, Cr : 0.5 내지 3%, Ni : 0.5% 이하, V : 0.5% 이하, Nb : 0.1% 이하, Mo : 0.5% 이하, W : 0.5% 이하, Cu : 0.1% 이하, Ti : 0.1% 이하, Co : 0.5% 이하, REM : 0.05% 이하이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자들에 의한 검토 결과, SrO, Al2O3, SiO2, MgO, CaO 및 MnO의 농도를 적절하게 제어하여, 산화물계 개재물 중의 각 산화물 성분의 비율을 적절화하도록 하면, 산화물계 개재물의 열연시의 변형이 현저하게 촉진되어 미세화되기 쉬워지는 것도 발견되었다.
종래에 있어서도, 산화물계 개재물계 중의 각 산화물의 비율을 적절하게 하는 것은, 강재의 특성 향상에 유효한 것은 알려져 있으나(예를 들어, 상기 특허 문헌 1 내지 3, 5 내지 7), 반드시 피로 강도가 양호해진다고는 한정되지 않고, 이들 성분을 균형적으로 함유시킴으로써, Si 킬드강 선재의 피로 특성이 각별히 향상될 수 있는 것이 판명된 것이다. 예를 들어, CaO-Al2O3-SiO2 성분계 개재물에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3원계 상태도에 있어서, 3성분이 임의의 조성 범위에 저융점 영역이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어느 하나의 성분이 높아지는 조성에서는, 개재물의 융점이 오히려 높아져, 선재의 피로 특성이 저하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Si 킬드강 선재는, 선재 중에 존재하는 산화물계 개재물의 조성을 적절하게 조정한 점에 특징을 갖는 것이나, 산화물계 개재물을 구성하는 각 산화물의 함유율을 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SrO : 0.2 내지 15%]
SrO은, 개재물을 복합화하여 저융점화하기 위해서는 없어서는 안되는 성분이다. 개재물 중에 SrO을 함유시키면, 글래스의 안정화는 그다지 저하시키지 않고, 저융점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 효과를 발현시키기 위해, 최저 0.2%의 SrO가 필요하고, 바람직하게는 1%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한편, SrO 농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반대로 개재물의 융점이 높아진다. 따라서, SrO은 15%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SiO2 : 30 내지 90%]
SiO2는, 글래스를 안정된 개재물로 하는데 필요 불가결한 성분이고, 최저 30%는 필요하다. 한편, SiO2 함유량이 지나치게 과잉이 되면, 경질인 SiO2 결정상이 생성되어, 열연시의 연신 분단이 저해되기 때문에, 90%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Al2O3 : 2 내지 35%]
Al2O3은, Si 킬드강의 개재물 조성을 저융점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재물 중의 CaO 등의 농도가 높아졌을 때에 결정화를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이들 효과를 발현하기 위해서는, 2% 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Al2O3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개재물 중에 Al2O3 결정이 생성되어, 열연시의 연신 분단이 저해되기 때문에, 35%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MgO : 35%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CaO : 50%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MgO + CaO : 합계 함유량이 3% 이상]
Mg0 및 Ca0은, 개재물을 최적인 복합 조성으로 하고, 저융점화하기 위해 필수적인 성분이다. Mg0 및 Ca0 모두, 단독으로는 고융점이나, Si02 산화물의 융점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 효과를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어느 하나 혹은 합계 3% 이상 함유시킬 필요가 있다. 단, 이들 농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개재물의 융점이 높아지거나, MgO, CaO의 결정이 생성되어, 열연시의 연신 분단을 저해한다. 따라서, 상한이 있다. Mg0과 Ca0에서는, 결정 생성 능력에 차가 있으므로 상한은 다르고, MgO은 35% 이하, CaO는 50% 이하로 한다.
[MnO : 20%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Mn0은, Si02계 산화물의 융점을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고Si 강에 있어서 그다지 고농도로 제어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기 때문에, 20% 이하로 했다.
본 실시 형태의 Si 킬드강 선재에 있어서는, 상기 각 성분을 균형적으로 함유시킴으로써 피로 특성이 향상된 것으로 되나, 필요에 따라 Li2O을 함유시키는 것도 유용하다. Li2O을 함유시키는 경우의 범위 설정 이유는 다음과 같다.
[Li2O : 0.1 내지 20%]
Li2O은, 개재물 중의 결정을 미세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 글래스를 안정적이고 또한 저융점으로 제어한 본 실시 형태의 강에 있어서, 만일 결정이 생성된 경우에도, 결정을 조대하게 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Li2O을 함유시키는 것도 유용하다. 이러한 작용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Li2O은 2% 정도 이상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0.1% 정도의 첨가에 의해서도, 다소의 효과는 발휘한다고 생각되고, 저농도의 첨가에 의해 적어도 나쁜 것은 일어나지 않는 것이라고 추정된다. 그러나, Li2O의 함유량이 20%를 초과하여 과잉으로 함유되어도 그 효과가 포화된다.
상기와 같이 개재물 중의 각 성분 비율을 적절하게 조정한 Si 킬드강 선재를 사용하여 스프링 성형함으로써, 피로 특성이 우수한 스프링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스프링의 소재로서 유용한 Si 킬드강 선재를 상정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강종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개재물 조성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탈산 성분인 Si나 Mn을 0.1% 이상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Si : 1.4%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9% 이상이다. 단, 이들 성분은, 과잉으로 함유되면, 강재가 취화되기 쉬워지므로, Si 4.0% 이하, Mn 2.0% 이하로 해야 한다.
Al은 산화물계 개재물의 조성 제어를 행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함유시키는 것도 가능하나, 지나치게 많으면 개재물 중의 Al2O3 농도가 높아져 단선의 원인으로 되는 조대 Al2O3이 생성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0.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용 강으로서의 기본 성분인 C 함유량에 대해서는,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C 함유량이 1.2%를 초과하면, 강재가 취화되어 실용적이지 않게 된다.
상기 기본 성분 외에는, Fe 및 불가피 불순물(예를 들어 0.02% 이하의 S, 0.02% 이하의 P 등)이지만, 필요에 따라 Cr, Ni, V, Nb, Mo, W, Cu, Ti, Co 및 희토류 원소(REM)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들을 함유시킬 때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각각의 원소에 따라 다르나, Cr : 0.5 내지 3%, Ni : 0.5% 이하, V : 0.5% 이하, Nb : 0.1% 이하, Mo : 0.5% 이하, W : 0.5% 이하, Cu : 0.1% 이하, Tr : 0.1% 이하, Co : 0.5% 이하이다. 또한 개재물 점성을 낮추고, 보다 효과를 발휘하는 원소로서 REM을 0.05% 이하 정도 첨가해도 좋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화학 성분을 적절하게 조정한 Si 킬드강 선재를 사용하여 스프링 성형함으로써, 피로 특성이 우수한 스프링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물론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을 받는 것이 아니라, 전ㆍ후기의 취지에 적합한 범위에서 적당히 변경을 가하여 실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고, 그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제1 실시예>
실험은, 실제 기계(또는 실험실 레벨)로 실시했다. 즉, 실제 기계에서는 전로에서 용제한 용강을 레이들에 출강하고(실험실에서는, 전로로부터 출강되는 용강을 모의한 500㎏의 용강을 용제하고), 각종 플럭스를 첨가하여 성분 조정, 전극 가열, 및 아르곤 버블링을 실시하고, 용강 처리(슬래그 정련)를 실시했다. 또한 다른 성분을 조정한 후, Ca, Mg, Ce, Ba, Li 등을 필요에 따라서 용강 처리 중에 첨가하고, 5분 이상 유지했다. 얻어진 강괴를 단조 및 열간 압연하여 직경 : 8.0㎜의 선재로 했다.
얻어진, 각 선재에 대해, 강 중의 Sr 및 Li의 함유량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는 동시에, 밸브 스프링을 모의한 회전 굽힘 피로 시험에 의한 평가 시험을 행했다.
[강 중의 Sr 및 Li의 함유량]
1) 함유량이 0.2ppm(㎎/kg) 이상인 경우(정량 하한값이 0.2ppm)
대상으로 되는 선재로부터 시료 0.5g을 채취하여 비이커에 취하고, 순수, 염산 및 질산을 가하여 가열 분해했다. 방냉 후, 100mL(밀리리터)의 메스 플라스크에 옮겨 넣고, 측정 용액으로 했다. 이 측정 용액을 순수로 희석하고, ICP 질량 분석 장치(형식 SPQ800O : 세이꼬인스트루먼트사제)를 사용하여, Sr 및 Li을 정량 분석했다.
2) 함유량이 0.2ppm(㎎/kg) 미만인 경우(정량 하한값이 0.03ppm)
대상으로 되는 선재로부터 시료 0.5g을 채취하여 비이커에 취하고, 순수, 염산 및 질산을 가하여 가수 분해를 행했다. 그 후 염산을 부가하여 산 농도를 조정하고, 메틸이소부틸케톤(MIBK)을 부가하여 흔들고, 철분을 MIBK상으로 추출했다. 정치 후, 수상(水相)만을 취출하고, 100mL의 메스 플라스크에 옮겨 넣고, 측정 용액으로 했다. 이 측정 용액을 순수로 희석하고, ICP 질량 분석 장치(형식 SPQ8000 : 세이꼬인스트루먼트사제)를 사용하여, 상기한 조건으로 Sr 및 Li을 정량 분석했다.
[피로 강도 시험(파단율)]
각 열간 압연 선재(직경 : 8.0㎜)에 대해, 표피 절삭(직경 : 7.4㎜) → 파텐팅(patenting) → 냉간 신선 가공(직경 : 4㎜) → 오일 템퍼[오일 켄칭과 연욕(약 450℃) 템퍼링 연속 공정]에 의해 직경 4.0㎜ × 650㎜의 와이어를 제작했다. 얻어진 와이어에 대해, 변형 제거 어닐링 상당 처리(400℃) → 숏피닝 → 저온 어닐링 200℃를 행한 후, 나까무라식 회전 굽힘 시험기를 사용하여, 공칭 응력 908㎫, 회전수 : 4000 내지 5000rpm, 중지 횟수 : 2 × 107회로 시험을 행했다. 그리고, 파단된 것 중에 개재물 절손(折損)된 것에 대해, 하기 식에 의해 파단율을 구했다.
파단율(%) = [개재물 절손 개수/(개재물 절손 개수 + 소정 횟수에 도달하여 중지한 개수)] × 100
이들 결과를, 각 선재 중의 개재물의 평균 조성과 함께,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Sr 및 Li 이외의 원소에 대해서는, 하기의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
C : 연소 적외선 흡수법
Si, Mn, Ni, Cr, V 및 Ti : ICP 발광 분광 분석법
Al, Mg, Zr 및 REM : ICP 질량 분석법
Ca : 무플레임 원자 흡광 분석법(flame-free atomic absorption)
O : 불활성 가스 융해법
Figure 112011051052458-pat00001
이들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이 고찰할 수 있다. 시험 No.1 내지 3, 5, 6, 9, 10, 13, 18 내지 27의 것에서는, 화학 성분 조성이 적절하고, 개재물 조성도 적절한 범위로 제어된 것으로 되어, 양호한 피로 강도가 얻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시험 No.4, 7, 8, 11, 12, 14 내지 17의 것에서는, 화학 성분 조성이 적절한 범위를 벗어나고, 개재물 조성이 적절한 범위로 제어된 것으로 되어 있지 않으므로, 피로 시험 결과가 좋지 않다.
시험 No.4, 7에서는, Sr, Ca 및 Mg은 적절하게 제어되고 있으나, Al 농도가 높거나 낮아 파단율이 높아져 있다.
시험 No.8, 11, 12에서는, Sr 농도가 높거나 낮아 파단율이 높아져 있다.
시험 No.14, 16에서는, Ba 및 Al 농도는 적절하나, Ca이나 Mg의 농도가 낮아 파단율이 높아져 있다.
시험 No.15, 17에서는, Ba 및 Al 농도는 적절하나, Ca이나 Mg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 절손율이 높아져 있다. 또한, 시험 No.18은, Li 농도가 바람직한 상한을 벗어나 있는 것이나, 시험 No.19의 것에 비해 효과가 포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Sr, Ca, Mg 및 Al 모두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제2 실시예>
실험은, 실제 기계 또는 실험실 레벨로 실시했다. 즉, 실제 기계에서는 전로에서 용제한 용강을 레이들에 출강하고(실험실에서는, 전로로부터 출강되는 용강을 모의한 500 ㎏의 용강을 용제하고), 각종 플럭스를 첨가하여 성분 조정, 적절하게 전극 가열(및 아르곤 버블링)을 실시하고, 용강 처리(슬래그 정련)를 실시했다. 또한 Ca, Mg, Ce, Sr, Li 등의 합금 원소를 필요에 따라서 용강 처리 중에 첨가했다. 계속해서, 상기 용강을 주조하여 강괴로 했다(실험실 레벨에서는, 실제 기계와 동등한 냉각 속도가 얻어지는 주형에 의해 주조함). 얻어진 강괴를 단조 및 열간 압연하여 직경 : 8.0㎜의 강 선재로 했다.
얻어진 각 강 선재에 대해, 선재 중의 산화물계 개재물의 조성을 측정하는 동시에, 밸브 스프링을 모의한 회전 굽힘 피로 시험에 의한 평가 시험을 행했다. 이들 측정 방법은, 하기와 같다.
[개재물 조성(단, LiO2을 제외함)]
열간 압연한 각 강 선재의 L 단면(축심을 포함하는 단면)을 연마하고, 상기 연마 단면에 존재하는 산화물계 개재물 300개에 대해, EPMA(Electron Probe Micro analyzer)로 조성 분석을 행하고, 산화물로 환산하고, 평균값을 구했다. 또한, S 농도가 5% 이하인 것을 산화물계 개재물로 했다. 이때의, EPMA의 측정 조건은 하기와 같다.
EPMA 장치 : JXA-8621MX(니혼덴시 가부시끼가이샤제)
분석 장치(EDS) : TN-5500(Tracor Northern사제)
가속 전압 : 20㎸
주사 전류 : 5nA
측정 방법 : 에너지 분산 분석으로 정량 분석(입자 전역을 측정)
[LiO2의 측정]
개재물 중의 LiO2 농도는 EPMA로는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SIMS(Secondary Ion Mass Spectroscopy : 2차 이온 질량 분석법)에 의한 분석법을 독자적으로 개발하고, 하기의 순서로 측정했다.
(1) 1차 표준 시료
1) 우선, 강 중 개재물의 CaO, MgO, Al2O3, MnO, SiO2, SrO 등의 각 농도를, EDX, EPMA 등에 의해 분석한다.
2) Li2O을 제외한 개재물 조성과 상기 조성의 합성 산화물과, 이들에 각종Li2O을 가한 합성 산화물을 다수 제작하고, 그들 Li2O 농도를 화학 분석에 의해 정량 분석하고, 표준 시료를 제작한다.
3) 제작한 각 합성 산화물의 Si에 대한 Li의 상대 2차 이온 강도를 측정한다.
4) Si에 대한 Li의 상대 2차 이온 강도와, 상기 1)에서 화학 분석한 Li2O 농도의 검량선을 긋는다.
(2) 2차 표준 시료(측정 환경 보정용)
5) 측정시의 환경 보정용으로서, 별도 Si 웨이퍼 상에 Li 이온을 이온 주입한 표준 시료를 제작하고, Si에 대한 Li의 상대 2차 이온 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2)를 실시할 때에 보정한다.
(3) 실제의 측정
6) 강 중 개재물의 Si에 대한 Li의 상대 2차 이온 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4)에서 구한 검량선에 의해 Li2O 농도를 구한다.
[피로 강도 시험(파단율)]
각 열간 압연 선재(직경 : 8.0㎜)에 대해, 표피 절삭(직경 : 7.4㎜) → 파텐팅 → 냉간 신선 가공(직경 : 4㎜) → 오일 템퍼[오일 켄칭과 연욕(약 450℃) 템퍼링 연속 공정]에 의해 직경 4.0㎜ × 650㎜의 와이어를 제작했다. 얻어진 와이어에 대해, 변형 제거 어닐링 상당 처리(400℃) → 숏피닝 → 저온 어닐링을 행한 후, 나까무라식 회전 굽힘 시험기를 사용하여, 공칭 응력 908㎫, 회전수 : 4000 내지 5000rpm, 중지 횟수 : 2 × 107회로 시험을 행했다. 그리고, 파단된 것 중 개재물 절손된 것에 대해, 하기 식에 의해 파단율을 구했다.
파단율(%) = [개재물 절손 개수/(개재물 절손 개수 + 소정 횟수에 도달하여 중지한 개수)] × 100
강 선재의 화학 성분 조성을, 용제시의 슬래그 조성과 함께 하기 표 1에, 각 강 선재의 개재물 조성 및 피로 특성(파단율)을 하기 표 2에 각각 나타낸다.
Figure 112011051052458-pat00002
Figure 112011051052458-pat00003
이들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이 고찰할 수 있다. 시험 No.31 내지 34, 36, 37, 40, 41, 46 내지 53의 것에서는, 개재물 조성이 적절하게 제어된 것이고, 양호한 피로 강도가 얻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시험 No.35, 38, 39, 42 내지 45의 것에서는, 개재물 중의 조성이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되어 있으므로, 피로 시험 결과가 좋지 않다.
상세하게는, 시험 No.35, 38에서는, SiO2, CaO 및 MgO의 농도는 적절하게 제어되고 있으나, Al2O3 농도가 높거나 낮아 파단율이 높아져 있다.
시험 No.39, 42에서는, SrO 높거나 낮아 파단율이 높아져 있다.
시험 No.43에서는, SiO2, CaO 및 Al2O3의 농도는 적절하게 제어되고 있으나, MgO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 파단율이 높아져 있다.
시험 No.44에서는, SiO2, MgO 및 Al2O3의 농도는 적절하게 제어되고 있으나, CaO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 파단율이 높아져 있다.
시험 No.45에서는, MgO, Al2O3 및 SrO 농도는 적절하게 제어되고 있으나, CaO + Mg0의 합계가 낮고, 파단율이 높아져 있다.

Claims (5)

  1. C : 1.2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하지 않음), Si : 1.9 내지 4.0질량%, Mn : 0.1 내지 2.0질량%, Al : 0.01질량% 이하(0질량%를 포함하지 않음)를 각각 포함하고, Mg, Ca, Sr의 원소를 더 함유하고, 잔량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인 강재이며, 선재 중에 존재하는 산화물계 개재물이, SiO2 : 30 내지 90질량%, Al2O3 : 2 내지 35질량%, MgO : 35질량%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CaO : 50질량%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MnO : 20질량% 이하(0%를 포함하지 않음) 및 SrO : 0.2 내지 15질량%를 각각 포함하고, 또한 (CaO+MgO)의 합계 함유량이 3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특성이 우수한 Si 킬드강 선재.
  2. 제1항에 있어서, 강 선재 중에 Li를 더 함유하고, 선재 중에 존재하는 산화물계 개재물이, Li2O : 0.1 내지 20%의 범위에서 더 포함하는 것인, 피로 특성이 우수한 Si 킬드강 선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Cr : 0.5 내지 3질량%, Ni : 0.5질량%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V : 0.5질량%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Nb : 0.1질량%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Mo : 0.5질량%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W : 0.5질량%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Cu : 0.1질량%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Ti : 0.1질량%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Co : 0.5질량%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 및 REM : 0.05질량% 이하(0을 포함하지 않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를 더 함유하는 것인, 피로 특성이 우수한 Si 킬드강 선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Si 킬드강 선재로부터 얻어진 것인, 스프링.
  5. 제3항에 기재된 Si 킬드강 선재로부터 얻어진 것인, 스프링.
KR1020117015446A 2006-12-28 2007-12-03 피로 특성이 우수한 Si 킬드강 선재 및 스프링 KR1011468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56310A JP4177404B2 (ja) 2006-12-28 2006-12-28 疲労特性に優れたSiキルド鋼線材およびばね
JPJP-P-2006-356310 2006-12-28
JP2006356312A JP4134224B2 (ja) 2006-12-28 2006-12-28 疲労特性に優れたSiキルド鋼線材およびばね
JPJP-P-2006-356312 2006-12-28
PCT/JP2007/073336 WO2008081673A1 (ja) 2006-12-28 2007-12-03 疲労特性に優れたSiキルド鋼線材およびばね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832A Division KR101108334B1 (ko) 2006-12-28 2007-12-03 피로 특성이 우수한 Si 킬드강 선재 및 스프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759A KR20110083759A (ko) 2011-07-20
KR101146889B1 true KR101146889B1 (ko) 2012-05-16

Family

ID=395883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446A KR101146889B1 (ko) 2006-12-28 2007-12-03 피로 특성이 우수한 Si 킬드강 선재 및 스프링
KR1020097012832A KR101108334B1 (ko) 2006-12-28 2007-12-03 피로 특성이 우수한 Si 킬드강 선재 및 스프링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832A KR101108334B1 (ko) 2006-12-28 2007-12-03 피로 특성이 우수한 Si 킬드강 선재 및 스프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62361B2 (ko)
EP (2) EP2123784B1 (ko)
KR (2) KR101146889B1 (ko)
CN (1) CN101982555B (ko)
BR (2) BR122016000461B1 (ko)
WO (1) WO2008081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4033A (ja) * 2008-01-28 2009-08-06 Kobe Steel Ltd 被削性に優れた機械構造用鋼
EP2682489B1 (en) * 2011-03-01 2021-01-13 Nippon Steel Corporation High-carbon steel wire rod excellent in drawability and fatigue characteristics after wire drawing
JP5937973B2 (ja) * 2013-01-15 2016-06-2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疲労特性に優れたSiキルド鋼線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ばね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6852A (ja) * 1987-01-30 1988-08-02 Nippon Steel Corp 耐熱性の良好な超高張力鋼線
KR20060127068A (ko) * 2004-01-22 2006-12-11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피로 강도 및 냉간 가공성이 우수한 고청정도 강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4666A (en) * 1977-05-24 1978-06-13 Metal Research Corporation Method for refining molten iron and steels
JPS629946A (ja) 1985-07-08 1987-01-17 Sumitomo Electric Ind Ltd 炭素繊維強化プラスチツクス製パイプの製造方法
JPH0674485B2 (ja) 1985-10-26 1994-09-21 新日本製鐵株式會社 高清浄度鋼
JPH0674484B2 (ja) 1985-10-26 1994-09-21 新日本製鐵株式曾社 高清浄度鋼
JPH076037B2 (ja) 1986-12-01 1995-01-2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疲労強度の優れたばね鋼
JPS63227748A (ja) 1986-12-19 1988-09-22 Nippon Steel Corp 高強度ばね用鋼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192846A (ja) 1987-02-04 1988-08-10 Nippon Steel Corp 極細鋼線用高張力鋼線材および極細鋼線の製造方法
JPH0234748A (ja) * 1988-07-22 1990-02-05 Kobe Steel Ltd 耐疲労性に優れた珪素キルド鋼
JP2898472B2 (ja) 1992-05-26 1999-06-02 株式会社 神戸製鋼所 疲労特性の優れたばね用鋼及びばね用鋼線並びにばね
JP4083828B2 (ja) 1996-05-17 2008-04-3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疲労特性に優れたばね用鋼
JP3504521B2 (ja) 1998-12-15 2004-03-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疲労特性に優れたばね用鋼
JP3548453B2 (ja) 1999-02-25 2004-07-2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伸線性に優れた炭素鋼の製法
JP4423050B2 (ja) 2003-06-18 2010-03-0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疲労強度および冷間加工性に優れた高清浄度鋼
JP4393335B2 (ja) * 2004-10-01 2010-01-0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疲労強度または冷間加工性に優れた高清浄度鋼の製造方法
JP4417792B2 (ja) 2004-06-30 2010-02-1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疲労強度又は冷間加工性に優れた高清浄度鋼
JP4347786B2 (ja) * 2004-11-24 2009-10-2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清浄度ばね用鋼
JP4476834B2 (ja) 2005-02-09 2010-06-0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耐遅れ破壊性に優れた高強度鋼
JP4478072B2 (ja) * 2005-06-09 2010-06-0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強度ばね用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6852A (ja) * 1987-01-30 1988-08-02 Nippon Steel Corp 耐熱性の良好な超高張力鋼線
KR20060127068A (ko) * 2004-01-22 2006-12-11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피로 강도 및 냉간 가공성이 우수한 고청정도 강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720475B1 (pt) 2017-06-06
EP2123784A8 (en) 2010-03-31
KR101108334B1 (ko) 2012-01-25
EP2123784A1 (en) 2009-11-25
US9062361B2 (en) 2015-06-23
KR20090087078A (ko) 2009-08-14
WO2008081673A1 (ja) 2008-07-10
EP2123784A4 (en) 2011-04-27
BR122016000461B1 (pt) 2017-05-30
BRPI0720475A2 (pt) 2014-10-14
EP2123784B1 (en) 2012-07-11
EP2410069B1 (en) 2012-09-19
CN101982555A (zh) 2011-03-02
US20100098577A1 (en) 2010-04-22
KR20110083759A (ko) 2011-07-20
CN101982555B (zh) 2013-05-08
EP2410069A1 (en)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5779B2 (en) Si-killed steel wire rod and spring
JP4163239B1 (ja) 疲労特性に優れた高清浄度ばね用鋼および高清浄度ばね
KR101815410B1 (ko) 피로 특성이 우수한 스프링용 강선재 및 스프링
KR101227239B1 (ko) 피로 특성이 우수한 스프링강 및 스프링
KR101146889B1 (ko) 피로 특성이 우수한 Si 킬드강 선재 및 스프링
JP5342827B2 (ja) 疲労特性に優れたばね鋼およびばね
JP4177403B2 (ja) 疲労特性に優れたSiキルド鋼線材およびばね
JP4177404B2 (ja) 疲労特性に優れたSiキルド鋼線材およびばね
JP4134224B2 (ja) 疲労特性に優れたSiキルド鋼線材およびばね
JP4134223B2 (ja) 疲労特性に優れたSiキルド鋼線材およびばね
JP4177405B2 (ja) 疲労特性に優れたSiキルド鋼線材およびばね
JP4134225B2 (ja) 疲労特性に優れたSiキルド鋼線材およびばね
JP5323416B2 (ja) 疲労特性に優れたばね鋼およびば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