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548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548B1
KR101145548B1 KR1020100080167A KR20100080167A KR101145548B1 KR 101145548 B1 KR101145548 B1 KR 101145548B1 KR 1020100080167 A KR1020100080167 A KR 1020100080167A KR 20100080167 A KR20100080167 A KR 20100080167A KR 101145548 B1 KR101145548 B1 KR 101145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body
closing
blowe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8715A (ko
Inventor
신따로오 야마와끼
다이찌로오 야마시따
아쯔시 호리이
유끼히로 엔도오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8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54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댐퍼 장치에 의해 송풍 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에너지 절약 성능이 향상된 냉장고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송풍 덕트에 냉기를 송풍하는 제1 개구를 갖는 제1 프레임과, 제2 송풍 덕트에 냉기를 송풍하는 제2 개구를 갖는 제2 프레임과,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제1 개폐체 및 제2 개폐체와,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제1 개폐체 및 제2 개폐체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제1 개폐체의 일변도에 제1 구동축을 설치하고, 제1 개폐체의 상기 일변측과 대향하는 타변측에 제2 구동축을 설치하고, 송풍기의 상단부는 제1 개폐체 및 제2 개폐체의 회전 궤적의 교점의 하방 근방이면서, 또한 상기 제1 개폐체 및 상기 제2 개폐체의 회전 궤적의 최하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댐퍼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과 냉동 온도대의 저장실을 갖고, 냉각기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를 송풍 수단에 의해 각 저장실에 송풍하는, 소위 냉기 강제 순환 방식의 냉장고에 있어서, 각 저장실에의 냉기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2개의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에 각각 구비한 개폐체(일례로서, 배플 또는 플랩)를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해 동작시키는 개폐식의 댐퍼 장치, 소위 「트윈 댐퍼」(「더블 댐퍼」라고도 칭한다)를 구비하고, 상기 댐퍼 장치의 2개의 개폐체를 개폐 제어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댐퍼 장치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2개의 개폐 배플을 구동하는 구동 차를 각각 간헐 기어로 하고 그들을 동축 상에 겹쳐 배치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제1 플랩과 제2 플랩 양쪽이 각각 전체 개방 상태로부터, 제1 플랩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모터를 회전시키면, 제1 플랩만이 폐쇄되고, 재차 모터를 회전시키면 제2 플랩만이 폐쇄되고, 모터를 역회전시키면 제1 플랩이 개방되고, 재차 모터를 역회전시키면 제2 플랩이 개방된 상태로 되는 일련의 개폐 동작을 행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즉, 「제1 플랩/제2 플랩」이라고 하는 형태로 개폐 동작의 순서를 나타내면, 「개방/개방」→「폐쇄/개방」→「폐쇄/폐쇄」→「개방/폐쇄」→「개방/개방」으로 된다.
일본 특허 제3445723호 공보 일본 특허 제3814576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댐퍼 장치에 있어서는, 양쪽의 개구를 개방한 전체 개방 상태로부터 양쪽 모두 폐쇄한 전체 폐쇄 상태로 이행시키는 경우, 한쪽씩 순차적으로만 폐쇄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양쪽의 개구를 전체 개방으로부터 전체 폐쇄시킬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댐퍼 장치를 냉장고에 설치하는 경우, 송풍기 및 저장실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지 않으면, 저장 스페이스가 감소되고, 나아가 통풍 시에 댐퍼 장치가 방해가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댐퍼 장치에 의해 송풍 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에너지 절약 성능이 향상된 냉장고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에 구획 형성되어 각각 식품을 수납하는 복수의 저장실과, 상기 복수의 저장실을 냉각하는 냉기가 열교환되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가 설치되는 냉각기 수납실과, 상기 냉각기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를 상기 복수의 저장실에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복수의 저장실에 각각 냉기를 송풍하는 제1 송풍 덕트 및 제2 송풍 덕트와, 상기 제1 송풍 덕트 및 상기 제2 송풍 덕트에의 송풍을 제어하는 댐퍼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댐퍼 장치는, 상기 제1 송풍 덕트에 냉기를 송풍하는 제1 개구를 갖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송풍 덕트에 냉기를 송풍하는 제2 개구를 갖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제1 개폐체 및 제2 개폐체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개폐체 및 상기 제2 개폐체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개폐체의 일변측에 제1 구동축을 설치하고, 상기 제1 개폐체의 상기 일변측과 대향하는 타변측에 제2 구동축을 설치하고, 상기 송풍기의 상단부는 상기 제1 개폐체 및 상기 제2 개폐체의 회전 궤적의 교점의 하방 근방이면서, 또한 상기 제1 개폐체 및 상기 제2 개폐체의 상기 회전 궤적의 최하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댐퍼 장치의 전단부와 상기 냉각기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선보다 안측에 상기 송풍기의 하단부가 위치하고, 상기 송풍기의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저장실은 냉장 온도대실 및 상기 냉장 온도대실의 하방에 설치한 냉동 온도대실이며, 상기 냉동 온도대실의 후방에 상기 댐퍼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송풍 덕트는 냉장 온도대실에 연통되고, 상기 제2 송풍 덕트는 냉동 온도대실에 연통되고, 상기 제1 개폐체 및 상기 제2 개폐체를 개방한 경우, 상기 제2 개폐체는 상기 제1 개폐체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개폐체 및 상기 제2 개폐체는 상기 송풍기로부터의 냉기를 각각 제1 송풍 덕트 및 제2 송풍 덕트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개폐체를 개방한 경우, 상기 제1 개폐체의 연장선보다 전방에 상기 송풍기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댐퍼 장치에 의해 송풍 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에너지 절약 성능이 향상된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정면 외형도.
도 2는 도 1의 X-X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냉장고의 고내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주요부 확대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댐퍼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댐퍼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5의 Y-Y 단면도.
도 8은 도 5와 동일 방향에서 본 부분 투시도.
도 9는 도 5의 화살표 T 방향에서 본 전체 폐쇄 시의 부분 투시도.
도 10은 도 5의 화살표 T 방향에서 본 전체 개방 시의 부분 투시도.
도 11은 도 5의 U-U 단면도.
도 12는 도 5의 V-V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Z-Z 단면도.
도 14는 도 10의 W-W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댐퍼 장치에 있어서의 아이들러 기어 및 간헐 기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6a는 종래의 댐퍼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차트.
도 16b는 도 16a의 종래의 댐퍼 장치에 관한 타이밍 차트.
도 16c는 도 16a의 종래의 댐퍼 장치에 관한 상태표도.
도 17a는 본 발명에 의한 트윈 댐퍼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차트.
도 17b는 도 17a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댐퍼 장치에 관한 타이밍 차트.
도 17c는 도 17a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댐퍼 장치에 관한 상태표도.
도 18a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한 트윈 댐퍼의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차트.
도 18b는 도 18a의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댐퍼 장치에 관한 타이밍 차트.
도 18c는 도 18a의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댐퍼 장치에 관한 상태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댐퍼 장치의 구동 수단의 동작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폐쇄/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댐퍼 장치의 구동 수단의 동작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댐퍼 장치의 구동 수단의 동작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개방/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댐퍼 장치의 구동 수단의 동작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댐퍼 장치의 구동 수단의 동작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반개/반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댐퍼 장치의 구동 수단의 동작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댐퍼 장치의 구동 수단의 동작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댐퍼 장치의 구동 수단의 동작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폐쇄/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댐퍼 장치의 구동 수단의 동작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댐퍼 장치의 구동 수단의 동작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개방/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댐퍼 장치의 구동 수단의 동작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댐퍼 장치의 구동 수단의 동작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댐퍼 장치의 구동 수단의 동작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반개/반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댐퍼 장치의 구동 수단의 동작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제2 개폐체가 선행하여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댐퍼 장치의 구동 수단의 동작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며, 폐쇄/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4는 냉장고에 있어서의 압축기 정지 시의 동작 수순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도 35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1의 X-X 단면도.
도 36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을 구비한 트윈 댐퍼를 냉장고에 내장했을 때의 송풍기 및 냉각기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37은 도 35의 주요부 설명도이며 트윈 댐퍼와 송풍기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38은 도 37의 A-B선 단면 상당 설명도.
도 39는 도 37의 C-B선 단면 상당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냉장고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냉장고의 정면 외형도이다. 도 2는 냉장고의 고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1에 있어서의 X-X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냉장고의 고내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주요부 확대 설명도이며, 냉기 덕트나 분출구의 배치 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냉장고(1)는 상방부터 냉장실(2), 제빙실(3) 및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야채실(6)을 갖는다. 일례로서, 냉장실(2) 및 야채실(6)은 약 3 내지 5℃의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이다. 또한, 제빙실(3), 상단 냉동실(4) 및 하단 냉동실(5)은 약 -18℃의 냉동 온도대의 저장실이다. 또한, 냉장실(2) 내에는 칠드실(2d)이 설치되어 있다. 칠드실(2d)은 약 1℃의 온도대의 저장실이다.
냉장실(2)은 전방측에, 좌우로 분할된 좌우 양문형(소위 프렌치형)의 냉장실 도어(2a, 2b)를 구비하고 있다. 제빙실(3),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야채실(6)은 각각 서랍식의 제빙실 도어(3a), 상단 냉동실 도어(4a), 하단 냉동실 도어(5a), 야채실 도어(6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냉장고(1)는 상기 각 저장실에 설치한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각각 검지하는 도어 센서(도시 생략)와, 각 도어가 개방되어 있다고 판정된 상태가 소정 시간, 예를 들어 1분 이상 계속된 경우에,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알람(도시 생략)과, 냉장실(2)의 온도 설정이나 상단 냉동실(4)이나 하단 냉동실(5)의 온도 설정을 하는 온도 설정기(도시 생략)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의 고외와 고내는, 내부 케이스(10a)와 외부 케이스(10b) 사이에 발포 단열재(발포 폴리우레탄)를 충전함으로써 형성되는 단열 케이스체(10)에 의해 나누어져 있다. 또한, 냉장고(1)의 단열 케이스체(10)는 복수의 진공 단열재(36)를 실장하고 있다.
고내는, 상측 단열 구획벽(28)에 의해 냉장실(2)과, 상단 냉동실(4) 및 제빙실(3)(도 1 참조, 도 2 중에서 제빙실(3)은 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나누어지고, 하측 단열 구획벽(29)에 의해, 하단 냉동실(5)과 야채실(6)이 나누어져 있다.
냉장실 도어(2a, 2b)의 고내측에는 복수의 도어 포켓(32)이 구비되어 있다(도 1, 도 2 참조). 또한, 냉장실(2)은 복수의 선반(37)이 설치되어 있다. 선반(37)에 의해, 냉장실(2)은 세로 방향으로 복수의 저장 스페이스로 구획되어 있으며, 또한 최하단의 저장 스페이스에는 칠드실(2d)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및 야채실(6)은, 각각의 저장실의 전방에 구비된 도어와 일체로, 수납 용기(3b, 4b, 5b, 6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빙실 도어(3a), 상단 냉동실 도어(4a), 하단 냉동실 도어(5a) 및 야채실 도어(6a)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손잡이부에 손을 대고 전방측으로 꺼냄으로써, 수납 용기(3b, 4b, 5b, 6b)를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칠드실(2d)은 전방 개구를 개폐하는 칠드실 도어(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냉장실 도어(2a, 2b)를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칠드실 도어의 손잡이(도시하지 않음)에 손을 대고 칠드실 도어를 전방측으로 꺼냄으로써, 칠드실(2d)의 수납 용기를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기(7)는 하단 냉동실(5)의 대략 뒤쪽에 구비된 냉각기 수납실(8) 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각기 수납실(8) 내이며, 냉각기(7)의 상방에는 송풍기(9)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기(7)에 의해 열교환되어 차가워진 공기(이하, 냉각기(7)에 의해 열교환된 저온의 공기를 「냉기」라고 한다)는 송풍기(9)에 의해 냉장실 송풍 덕트(11), 야채실 송풍 덕트(25), 상단 냉동실 송풍 덕트(12), 하단 냉동실 송풍 덕트(13) 및 도시하지 않은 제빙실 송풍 덕트를 통하여, 냉장실(2), 야채실(6),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제빙실(3)의 각 저장실에 각각 보내진다. 각 저장실에의 송풍은, 제1 댐퍼 장치(20)와 제2 댐퍼 장치(50)의 개폐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제1 댐퍼 장치(20)는 2개의 개구부를 구비한 소위 트윈 댐퍼 장치이다. 제1 개구(20a)는 냉장실 송풍 덕트(11)에의 송풍을 제어하고, 제2 개구(20b)는 야채실 송풍 덕트(25)에의 송풍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덧붙여서 말하면, 냉장실(2), 제빙실(3),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및 야채실(6)에의 각 송풍 덕트는, 도 3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냉장고(1)의 각 실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댐퍼 장치(20)의 제1 개구(20a)가 개방 상태, 제2 댐퍼 장치(50)가 폐쇄 상태일 때에는 냉기는 냉장실 송풍 덕트(11)를 거쳐 다단으로 형성된 분출구(2c)로부터 냉장실(2)에 보내진다.
제1 댐퍼 장치(20)의 제2 개구(20b)가 개방 상태, 제2 댐퍼 장치(50)가 폐쇄 상태일 때에는, 냉기는 야채실 송풍 덕트(25)를 거쳐 분출구(6c)로부터 야채실(6)에 보내진다.
또한, 냉장실(2)을 냉각한 냉기는, 냉장실(2)의 하부에 형성된 귀환구(2e)로부터 냉장실 귀환 덕트(16)를 거쳐, 냉각기 수납실(8)의 정면으로부터 보아, 우측 하부로 되돌아간다. 또한, 야채실(6)로부터의 귀환 공기는, 귀환구(6d)로부터 야채실 귀환 덕트(6e)를 거쳐, 냉각기 수납실(8)의 하부로 되돌아간다.
제2 댐퍼 장치(50)가 개방 상태일 때, 냉각기(7)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가 고내 송풍기(9)에 의해 도시 생략된 제빙실 송풍 덕트나 상단 냉동실 송풍 덕트(12)를 거쳐 분출구(3c, 4c)로부터 각각 제빙실(3), 상단 냉동실(4)에 송풍된다. 또한, 하단 냉동실 송풍 덕트(13)를 거쳐 분출구(5c)로부터 하단 냉동실(5)에 송풍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댐퍼 장치(50)는 후술하는 송풍기 커버(56)부의 상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빙실(3)에의 송풍을 쉽게 하고 있다.
또한,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제빙실(3)을 냉각한 냉기는, 하단 냉동실(5)의 안쪽 하부에 형성된 냉동실 귀환구(17)를 통하여 냉각기 수납실(8)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도 4에 있어서, 분출구(3c, 4c, 5c)를 형성하는 것이 구획 부재(54)이다. 이 구획 부재(54)는 냉동실(4), 제빙실(3) 및 하단 냉동실(5)과, 냉각기 수납실(8)을 구획한다.
참조 부호 55는, 고내 송풍기(9)가 설치되는 송풍기 지지 부재이다. 이 송풍기 지지 부재(55)는 냉각기 수납실(8)과 구획 부재(54) 사이에 설치되어 구획되어 있다.
송풍기(9)는, 이 송풍기 지지 부재(55)에 설치되어 있다. 참조 부호 56은 송풍기 커버이며, 송풍기(9)의 전방면을 덮고 있다. 이 송풍기 커버(56)와 구획 부재(54) 사이에는 제빙실 송풍 덕트(도시하지 않음), 상단 냉동실 송풍 덕트(12) 및 하단 냉동실 송풍 덕트(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송풍기 커버(56)의 상부는, 상기 제2 댐퍼 장치(50)가 설치된 분출구(56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 송풍기 커버(56)는 송풍기(9)의 전방면을 덮는 정류부(56b)를 구비한다. 정류부(56b)는 송풍기(9)에 대향하는 중앙 부근이 송풍기(9)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이에 의해, 분출되는 냉기가 일으키는 난류를 정류하여, 냉각 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소음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 커버(56)는 구획 부재(54)와의 사이에 송풍기(9)로부터 분출된 냉기를 분출구(3c, 4c, 5c) 등으로 유도하기 위해, 상단 냉동실 송풍 덕트(12) 및 하단 냉동실 송풍 덕트(13)의 후방벽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송풍기 커버(56)는 송풍기(9)가 분출하는 냉기를 제1 댐퍼 장치(20)측으로 송풍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즉, 송풍기 커버(56)부에 설치된 제2 댐퍼 장치(50)측으로 흐르지 않는 잉여의 냉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 덕트(15)를 경유하여 제1 댐퍼 장치(20)측으로 흐른다.
그리고, 냉동 온도대실[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및 제빙실(3)]과, 냉장 온도대실[냉장실(2) 및 야채실(6)] 양쪽의 저장실에 냉각기(7)를 거친 냉기를 보내는 경우에는, 대부분의 냉기가 제2 댐퍼 장치(50)측에 보내지고, 남은 약간의 냉기가 이 냉장실 덕트(15)측으로 보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냉장실 덕트(15)로 유도된 냉기는, 제1 댐퍼 장치(20)의 제1 개구(20a)만이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는 냉장실 송풍 덕트(11)로 유도된다. 제2 개구(20b)만이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는 야채실 송풍 덕트(25)로 유도된다. 제1 개구(20a)와 제2 개구(20b)의 양쪽이 개구되어 있는 경우에는 냉장실 송풍 덕트(11)와 야채실 송풍 덕트(25)의 양쪽으로 유도된다.
또한, 제1 댐퍼 장치(20)의 제2 개구(20b)는 야채실 송풍 덕트(25)가 아니고, 칠드실(2d)로 유도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의 경우, 칠드실(2d)을 통상의 칠드 온도대(약 1℃)보다 낮은 빙온대(약 -1℃)로 하는 온도 전환이 가능해진다. 즉, 수분이 많은 식품 등의 얼리고 싶지 않은 것은 칠드 온도대, 고기나 생선 등의 얼려서 저장하고 싶은 것은 빙온대로 하도록, 사용자가 저장 온도대를 선택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식품에 맞춘 적재 적온의 보존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 댐퍼 장치(20)는 도 4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2)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냉각기(7)의 하방에 제상 히터(22)가 설치되어 있고, 제상 히터(22)의 상방에는 제상수가 제상 히터(22)에 적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커버(53)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기(7) 및 그 주변의 냉각기 수납실(8)의 벽에 부착된 서리의 제상(융해)에 의해 발생한 제상수는, 냉각기 수납실(8)의 하부에 구비된 물 수용부(23)로 유입된 후에, 배수관(27)을 통하여 후기하는 기계실(19)에 배치된 증발 접시(21)에 도달하고, 후기하는 압축기(24) 및 응축기(도시하지 않음)의 열에 의해 증발된다.
또한, 냉각기(7)의 정면으로부터 보아 우측 상단부에는 냉각기(7)에 설치된 냉각기 온도 센서(35), 냉장실(2)에는 냉장실 온도 센서(33), 하단 냉동실(5)에는 냉동실 온도 센서(34)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각각 냉각기(7)의 온도(이하, 「냉각기 온도」라고 한다), 냉장실(2)의 온도(이하, 「냉장실 온도」라고 한다), 하단 냉동실(5)의 온도(이하, 냉동실 온도라고 한다)를 검지한다.
또한, 냉장고(1)는, 고외의 온도?습도 환경(외기 온도, 외기 습도)을 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외기 온도 센서와 외기 습도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야채실(6)에도 야채실 온도 센서(33a)를 배치해도 좋다.
단열 케이스체(10)의 하부 배면측에는 기계실(19)이 설치되어 있고, 기계실(19)에는 압축기(24) 및 도시하지 않은 응축기가 수납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고외 송풍기에 의해 응축기의 열이 제열된다. 덧붙여서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소부탄을 냉매로서 사용하고, 냉매 봉입량은 약 80g으로 소량으로 하고 있다.
냉장고(1)의 천장벽 상면측에는 CPU, ROM이나 RAM 등의 메모리, 인터페이스 회로 등을 탑재한 제어 기판(31)이 배치되어 있다. 제어 기판(31)은, 상기한 외기 온도 센서, 외기 습도 센서, 냉각기 온도 센서(35), 냉장실 온도 센서(33), 냉동실 온도 센서(34), 각 저장실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각각 검지하는 상기한 도어 센서, 냉장실(2) 내벽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온도 설정기, 하단 냉동실(5) 내벽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온도 설정기 등과 접속한다. 그리고, 상기 ROM에 미리 탑재된 프로그램에 의해, 압축기(24)의 ON/OFF나 회전수의 제어, 제1 댐퍼 장치(20) 및 제2 댐퍼 장치(50)를 개별적으로 구동하는 후술하는 각각의 구동 모터의 제어, 고내 송풍기(9)의 ON/OFF나 회전 속도의 제어, 상기 고외 송풍기의 ON/OFF나 회전 속도 등의 제어, 상기한 도어 개방 상태를 통지하는 알람의 ON/OFF 등의 제어를 행한다.
다음에, 제1 댐퍼 장치(20)가 폐쇄 상태이고, 또한 제2 댐퍼 장치(50)가 개방 상태에서, 냉동 온도대실[제빙실(3), 상단 냉동실(4) 및 하단 냉동실(5)]만의 냉각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 제빙실(3)에 제빙실 송풍 덕트를 통하여 송풍된 냉기 및 상단 냉동실(4)에 상단 냉동실 송풍 덕트(12)(도 2 참조)를 통하여 송풍된 냉기는, 하단 냉동실(5)로 하강한다. 그리고, 하단 냉동실(5)에 하단 냉동실 송풍 덕트(13)(도 2 참조)를 통하여 송풍된 냉기와 함께, 도 4 중에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냉동실 귀환 공기처럼 흐른다. 즉, 하단 냉동실(5)의 배면 하부에 배치된 냉동실 귀환구(17)를 경유하여 냉각기 수납실(8)의 하부 전방으로부터 냉각기 수납실(8)로 유입되어, 냉각기 배관(7a)에 다수의 핀이 설치되어 구성된 냉각기(7)에 의해 열교환된다.
덧붙여서 말하면, 냉동실 귀환구(17)의 횡폭 치수는, 냉각기(7)의 폭 치수와 거의 동등한 횡폭이다
한편, 제1 댐퍼 장치(20)가 개방 상태이고, 또한 제2 댐퍼 장치(50)가 폐쇄 상태에서, 냉장 온도대실[냉장실 내지 야채실(6)]만의 냉각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 냉장실(2)로부터의 귀환 냉기는, 도 3 중에 화살표 D로 나타내는 냉장실 귀환 공기와 같이, 냉장실 귀환 덕트(16)를 통하여 냉각기 수납실(8)의 측방 하부로부터 냉각기 수납실(8)로 유입되어, 냉각기(7)에 의해 열교환된다.
또한, 제1 댐퍼 장치(20)의 제2 개구(20b)를 경유하여 야채실(6)을 냉각한 냉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환구(6d)(도 4 참조)를 통하여 냉각기 수납실(8)의 하부로 유입되지만, 풍량이 냉동 온도대실을 순환하는 풍량이나 냉장실(2)을 순환하는 풍량에 비하여 적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장고(1) 내의 냉기의 전환은, 제1 댐퍼 장치(20) 및 제2 댐퍼 장치(50) 각각을 적절하게 개폐함으로써 행하는 구성이다.
(댐퍼 장치의 구성)
다음에, 도 5 내지 도 7을 사용하여, 제1 댐퍼 장치(20)(트윈 댐퍼 장치)의 구성과 동작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1 댐퍼 장치(20)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를 지면의 이면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있어서의 Y-Y 방향의 단면도이다.
제1 댐퍼 장치(20)는 제1 개구(62a)를 형성하는 제1 프레임(63a)과, 제2 개구(62b)를 형성하는 제2 프레임(63b)을 갖는다. 제1 개구(62a)와 제2 개구(62b)는, 가로로 길며 직사각 형상의 개구이며,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제1 프레임(63a) 및 제2 프레임(63b)에 각각 형성되어 배치된다. 또한, 제1 프레임(63a) 및 제2 프레임(63b)은, 예를 들어 수지제로 한다.
제1 프레임(63a)과 제2 프레임(63b) 사이에는 구동 수단(60)이 배치된다. 구동 수단(60)은 케이스(60a) 내에 수납되고, 제1 프레임(63a) 및 제2 프레임(63b) 각각의 높이보다 돌출된 형태이며, 모터나 감속 기어 등의 구동계를 구비한다. 그리고, 구동 수단(60)의 제1 프레임(63a)에 접하는 측에 제1 구동축(61a), 구동 수단(60)의 제2 프레임(63b)에 접하는 측에 제2 구동축(61b)이 설치되고, 구동 수단(60)으로부터의 구동력을 각각 출력한다. 또한, 케이스(60a)와 제1 프레임(63a) 또는 제2 프레임(63b)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일체로 구성한 경우에도, 상기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구동축(61a)에는 제1 개폐체(64a)의 일단부가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1 개폐체(64a)의 타단부는 제1 프레임(63a)에 설치된 제1 지지축(65a)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 개폐체(64a)는, 제1 프레임(63a)의 제1 개구(62a)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고, 제1 개폐체(64a)가 회동함으로써 제1 개구(62a)를 개폐하는 구성이다. 즉, 제1 개폐체(64a)는, 제1 구동축(61a)과 제1 지지축(65a)을 연결한 회동축의 주위로 요동 가능하며, 또한 상기 회동축은 제1 개폐체(64a)의 길이 방향의 1변과 따르도록 대략 평행하게, 그 1변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개폐체(64a)는, 수지제의 판 형상의 제1 개폐판(640a)과, 제1 개폐판(640a)의 1면에 발포 우레탄이나 발포 폴리에틸렌이라는 유연한 재료에 의해 성형된 시일 부재인 제1 밀폐 부재(641a)를 구비한다.
제2 개폐체(64b)는, 제1 개폐체(64a)와 기본 구성은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으로, 제2 구동축(61b)에, 제2 개폐체(64b)의 일단부가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2 개폐체(64b)의 타단부는, 제2 프레임(63b)에 설치된 제2 지지축(65b)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2 개폐체(64b)는 제2 프레임(63b)의 제2 개구(62b)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고, 제2 개폐체(64b)가 회동함으로써 제2 개구(62b)를 개폐하는 구성이다. 즉, 제2 개폐체(64b)는 제2 구동축(61b)과 제2 지지축(65b)을 연결한 회동축의 주위로 요동 가능하며, 또한 상기 회동축은 제2 개폐체(64b)의 길이 방향의 1변과 따르도록 대략 평행하게, 그 1변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개폐체(64a)의 회전축과, 제2 개폐체(64b)의 회전축은, 서로 연장선 상에서 교차하지 않는 위치 관계로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구동축(61a)과 제2 구동축(61b)은 구동 수단(60)을 수납한 케이스(60a)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구동축(61a)을 설치한 제1 개폐체(64a)의 길이 방향의 일변측과 대향하는 타변측에 제2 구동축(61b)을 설치하고 있다. 즉, 제1 구동축(61a)과 제2 구동축(61b)은 축심을 어긋나게 하여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제1 개폐체(64a)와 제2 개폐체(64b)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1 프레임(63a)에는 제1 개구(62a)의 내주를 따라 제1 개폐체(64a)측으로 돌출된 제1 접촉부(66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개폐체(64a)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유연한 제1 밀폐 부재(641a)가 제1 접촉부(66a)와 탄성 변형될 정도로 접촉한다. 이에 의해, 제1 개구(62a)를 통하여 냉기가 흐르는 것을 억제한다. 모터를 회전시키면, 제1 구동축(61a)을 통하여 제1 개폐체(64a)가 화살표 방향(도 5, 도 7 참조)으로 약 90° 회동하여 제1 개폐체는 참조 부호 64a'로 나타낸 개방 위치로 되고,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를 제1 개폐체(64a)가 회전 동작함으로써, 개방 위치에 있어서는 제1 개구(62a)를 냉기가 통과할 수 있고, 폐쇄 위치에 있어서는 냉기의 흐름을 저지하여 폐쇄하는 구성이다.
제2 개폐체(64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 수단의 구성)
다음에, 구동 수단(60)의 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구동 수단(60)의 구성을 투시도로서 도시된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와 동일 방향의 사시도이며, 도 9와 도 10은 도 5의 T 방향으로부터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는 제1 개폐체(64a)와 제2 개폐체(64b)가 모두 폐쇄된 상태, 도 10은 모두 개방된 상태이다.
도 11은 도 5에 있어서의 U-U 단면도, 도 12는 도 5에 있어서의 V-V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있어서의 Z-Z 단면도, 도 14는 도 10에 있어서의 W-W 단면도이다. 도 15는 아이들러 기어(73)와 간헐 기어(76)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구동 수단(60)은 케이스(60a)에 수납되어 있다. 구동 수단(60)은 모터(70)를 내재하고 있다. 모터(70)의 출력축(71)에는 피니언 기어(72)가 설치되어 있고, 모터(70)의 구동과 함께 회전하여 토크를 출력한다. 아이들러 기어(73)는 아이들러 지지점(74)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 감속 기어이다. 아이들러 기어(73)의 외주에는, 피니언 기어(72)와 맞물리는 기어(73a)를 구비하고, 피니언 기어(72)로부터의 토크를 감속하면서 전달한다.
크랭크 기어(77)는 크랭크 기어 지지점(78)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고, 크랭크 기어(77)의 외주에는 아이들러 기어(73)와 맞물리는 기어(77a)를 구비하고, 아이들러 기어(73)로부터 회전 토크를 받아 회전한다. 크랭크 기어 핀(77b)은, 크랭크 기어 지지점(78)으로부터 편심되어 설치되어 있다.
크랭크 아암(79)은, 제1 구동축(61a)의 주위로 회동 가능하다. 또한, 구동 수단(60)에는 제1 축 구멍(60b)이 형성되어 있고(도 14 참조), 크랭크 아암(79)은 제1 축 구멍(60b)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제1 구동축(61a)이 제1 개폐체(64a)와 끼워 맞추어져 있으며, 제1 개폐체(64a)[제1 개폐판(640a), 밀폐 부재(641a)]와 크랭크 아암(79)은 연결되어 일체로서 회동한다. 즉, 제1 개폐체(64a)는 상기 제1 개폐체(64a)의 길이 방향의 구동축(제1 개폐체(64a)의 일단부가 제1 구동축(61a)에 축지지되고, 타단부가 프레임(63)의 제1 지지축(65a)에 축지지된 구동축) 주위로 구동한다.
크랭크 아암(79)의 제1 구동축(61a)과 반대측의 타단부는, 원기둥 형상의 감합축(79c)을 이루고 있다. 감합축(79c)은, 구동 수단(60)으로부터 연신된 원통 형상의 베어링부(85)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에 의해, 크랭크 아암(79)은 양단부를 제1 축 구멍(60b)과 베어링부(8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이다.
크랭크 아암(79)에는, 클랭크 아암 핀(79a)이 제1 구동축(61a)으로부터 편심되어 설치되어 있다. 연결 봉(80)의 일단부(80a)는 크랭크 기어 핀(77b)과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고, 타단부(80b)는 클랭크 아암 핀(79a)과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즉, 크랭크 기어(77)가 회전하면 연결 봉(80)을 통하여 클랭크 아암 핀(79a)이 요동하고, 크랭크 아암(79)을 통하여 제1 개폐체(64a)가 개폐하는 구성이다.
간헐 기어(76)는 아이들러 기어(73)와 동축의 아이들러 지지점(74)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고, 아이들러 기어(73)로부터 회전 토크를 받아 회전한다. 도 15에 의해 아이들러 기어(73)와 간헐 기어(76)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이들러 기어(73)의 일부 간헐 기어(76)에 면한 측에는 회전 중심 주위로 각도 θ1을 제외한 범위에 부채형의 돌기(73b)가 형성되어 있다.
간헐 기어(76)의 일부에는, 제1 부분 기어(76b)가, 예를 들어 간헐 기어(76)가 90° 회전하는 범위에만 설치되어 있다. 간헐 기어(76)의 제1 부분 기어(76b) 이외의 부분에는 원기둥 형상을 이룬 원기둥부(76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원기둥부(76c)의 외경은, 제1 부분 기어(76b)의 이끝부의 직경과 동등하다. 제1 부분 기어(76b)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각도 θ2의 범위에는 부채형의 돌기(76d)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부채형의 돌기(76d)는, 아이들러 기어(73)의 돌기(73b)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θ1의 범위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θ1>θ2로서, 아이들러 기어(73)를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돌기(73b)의 한쪽 단부면(73b1)이, 간헐 기어(76)의 돌기(76d)의 한쪽 단부면(76d1)에 접촉한 후, 간헐 기어(76)는 아이들러 기어(73)와 동기하여 회전한다. 또한 그 후, 아이들러 기어(73)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각도(θ1-θ2)의 범위는 부채형의 돌기(76d)와 아이들러 기어(73)의 돌기(73b)와는 접촉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서로 공회전하여 아이들러 기어(73)만이 회전한다. 그리고, 간헐 기어(76)의 돌기(76d)의 다른 쪽 단부면(76d2)이, 아이들러 기어(73)의 돌기(73b)의 다른 쪽 단부면(73b2)에 접촉한 후에는 간헐 기어(76)는 아이들러 기어(73)와 동기하여 회전한다.
즉, 간헐 기어(76)는 아이들러 기어(73)가 일방향으로 각도(θ1-θ2)만큼 회전하는 동안은 정지한 후에 동기하여 회전한다. 아이들러 기어가 다른 쪽으로 회전하면, 역시 각도(θ1-θ2)만큼 회전하는 동안은 정지한 후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구성이다.
도 8,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러 기어(73)가 케이스(60a)의 내측 벽면에 근접한 면에는 부채형의 오목부(73c)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60a)의 내측 벽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8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채형의 오목부(73c)의 내측에서 돌기(81)에 끼워 맞춤으로써, 아이들러 기어(73)의 회전 각도 범위를 소정의 각도 θ3으로 규제하고 있다.
다음에,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기어(75)는, 제2 구동축(61b)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된다. 출력 기어(75)의 일단부는 구동 수단(60)에 형성된 제2 축 구멍(60c)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제2 구동축(61b)은, 제2 개폐체(64b)와 끼워 맞추어져 있으며, 제2 개폐체(64b)[제2 개폐판(640b), 밀폐 부재(641b)]와 출력 기어(75)는 연결되어 일체로서 회동한다. 즉, 제2 개폐체(64b)는 상기 제2 개폐체(64b)의 길이 방향의 구동축(제2 개폐체(64b)의 일단부가 제2 구동축(61b)에 축지지되고, 타단부가 프레임(63)의 제2 지지축(65b)에 축지지된 구동축) 주위로 구동한다.
출력 기어(75)의 제2 구동축(61b)과 반대측의 타단부는, 원기둥 형상의 감합축(75e)을 이루고 있다. 감합축(75e)은 구동 수단(60)으로부터 연신된 원통 형상의 베어링부(84)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진다. 이에 의해, 출력 기어(75)는 양단부를 제2 축 구멍(60c)과 베어링부(8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이다.
출력 기어(75)의 일부에는 제2 부분 기어(75b)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부분 기어(75b)는 간헐 기어(76)의 일부에 설치된 부분 기어(76b)와 맞물린다. 출력 기어(75)는 간헐 기어(76)와 연동되어, 예를 들어 90°만 회전한다. 출력 기어(75)의 부분 기어(75b)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원호 형상을 한 제1 스토퍼(75c)와 제2 스토퍼(75d)가 설치된다. 출력 기어(75)의 제1 스토퍼(75c)와 제2 스토퍼(75d)는, 제2 개폐체(64b)가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에 있어서 간헐 기어(76)의 원기둥부(76c)와 서로 접촉하는 위치 관계에 있는 원호 형상이다. 출력 기어(75)가 부분 기어(75b)의 맞물리는 범위인 약 90° 회동함으로써 출력 기어(75)와 연결된 제2 개폐체(64b)가 회동하여 개폐되고, 그 후 제1 스토퍼(75c) 또는 제2 스토퍼(75d)가 간헐 기어(76)의 원기둥부(76c)와 접촉하여 회동 규제된다.
제1 댐퍼 장치(20)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 송풍 덕트(11)의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 수단(60)은 소형화가 요구되고, 특히 회전축 방향의 두께를 저감하여 제1 개폐체(64a)와 제2 개폐체(64b)의 서로의 간격을 좁혀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70)를 회전시키면, 아이들러 기어(73)는 크랭크 기어(77), 연결 봉(80), 크랭크 아암(79)을 통하여 제1 구동축(61a)의 주위로 제1 개폐체(64a)를 회전 구동시키는, 소위 크랭크 기구이다. 그와 함께 아이들러 기어(73)는 간헐 기어(76), 출력 기어(75)를 통하여 제2 구동축(61b)의 주위로 제2 개폐체(64b)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성이며, 부분 기어의 맞물림에 의해 구동되는, 소위 간헐 기어 기구이다.
여기서, 제1 구동축(61a)과 제2 구동축(61b)을 동축에 배치하려고 하면, 크랭크 기구와 간헐 기어 기구를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회전축 방향으로 세로로 겹쳐 실장해야 한다. 그러면, 구동 수단(60)을 수납하는 케이스(60a)가 회전축 방향으로 두꺼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크랭크 기구와 간헐 기어 기구를 횡배열로 배치하여 구동 수단(60)의 박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축(61a)과 제2 구동축(61b)은 서로 아이들러 기어(73)를 사이에 두고 상대하는 위치에 설치한다. 또한 아이들러 기어(73)에 대하여 크랭크 기어(77)와 출력 기어(75)를 거의 상대하는 위치에 배치한다. 크랭크 기어(77)와 출력 기어(75) 사이에는 모터(70)를 배치하여 피니언 기어(72)와 아이들러 기어(73)를 맞물리게 한다. 또한 크랭크 기구를 구성하는 연결 봉(80)과 크랭크 아암(79)이, 아이들러 기어(73)와 동축에 회동하는 간헐 기어(76)나 모터(70)와 간섭하지 않도록 서로 횡배열로 배치한다. 즉, 제1 개폐체(64a) 및 제2 개폐체(64b)는, 각각의 회전축[제1 구동축(61a)과 제2 구동축 (61b)] 주위로 구동하도록 배치하고, 제1 개폐체(64a)의 회전축과 제2 개폐체(64b)의 회전축은 대향하도록, 소위 동심축이 아니라 이축 배치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수단(60)의 박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도 13,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수단(60)의 두께는 모터(70)와 피니언 기어(72)의 두께의 합계와 거의 동등하다.
또한, 제1 개폐체(64a) 및 제2 개폐체(64b)가 모두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제1 개폐체(64a)의 제1 구동축(61a)으로부터 가장 먼 측의 변은 제2 구동축(61b)의 근방에 있으며, 제2 개폐체(64b)의 제2 구동축(61b)으로부터 가장 먼 측의 변은 제1 구동축(61a)의 근방에 있도록 엇갈리게 배치한다. 또한 서로 개방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하면, 제1 개폐체(64a) 및 제2 개폐체(64b)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제1 개폐체(64a)와 제2 개폐체(64b)는 구동 수단(60)을 사이에 두고 서로 거의 동일면에 배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실장하기 쉽고, 소형화에 적합한 것이 된다.
또한, 크랭크 아암(79)과 출력 기어(75)는 동축이 아니고 서로 다른 축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있다. 그와 함께, 일단부를 구동 수단(60)에 형성된 제1 축 구멍(60b)과 끼워 맞추고, 타단부를 원통 형상의 베어링부(85)에 끼워 맞추고 있다. 즉, 양팔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덜걱거림이 적어, 고정밀도로 회전 지지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제1 개폐체(64a)와 제2 개폐체(64b)는 모두 고정밀도로 회전 지지됨으로써,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개폐체를 대형화한 경우의 휨 변형 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트윈 댐퍼의 동작)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2개의 개구를 개폐하는 제1 댐퍼 장치(20), 소위 트윈 댐퍼의 동작을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서 설명한다.
도 16은 종래 기술에 관한 트윈 댐퍼의 동작을, 도 16a는 동작 차트, 도 16b는 타이밍 차트, 및 도 16c는 상태표로서 표현한 것으로, 일련의 동작을 서로 다른 표기로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16a는 동작 차트의 보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트윈 댐퍼에 설치된 2개의 개폐체에는, 폐쇄/폐쇄, 개방/폐쇄, 개방/개방, 폐쇄/개방의 4개의 상태가 있으며, 이 순서로 일련의 동작이 행해진다. 일련의 동작이 완료되면 처음의 상태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이 동작을 편의상 360°의 1회전 동작이라고 생각하면, 각각의 상태로의 이동이 90°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회전 동작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이 각도는 편의상의 것이므로, 실체로서 어느 한 기어나 모터가 그 각도로 회전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또한 각 동작의 동작량이 서로 동등한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도 아니다.
제1 개폐체 A의 개폐 상태를 X축으로, 제2 개폐체 B의 개폐 상태를 Y축으로 한 이차원 그래프의 제1 상한으로 나타낸다. 폐쇄 상태를 원점(0, 0)으로 하고 개방 상태까지의 이동량을 1로 하면, 제1 개폐체 A만을 개방한 개방/폐쇄 상태의 좌표는 (1, 0), 제2 개폐체 B만을 개방한 폐쇄/개방 상태의 좌표는 (0, 1), 양쪽을 개방한 개방/개방 상태의 좌표는 (1, 1)이 되어, 개폐체의 상태는 (0, 0), (1, 0), (0, 1), (1, 1)의 4개의 좌표로서 나타낼 수 있다. 각 좌표의 근방에 개폐체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약도를 나타낸다. 상사점, 하사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도 16b의 타이밍 차트는 횡축에 0°부터 360°까지의 동작을 시간축으로서 취하고, 90°마다 개폐 동작이 행해지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c의 상태표는 그들의 개폐 상태와, 일련의 동작에 있어서의 모터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병기한 것이며, 모터가 일방향으로 끝까지 회전하여 회전 방향이 전환되는 점의 한쪽을 상사점, 다른 쪽을 하사점으로 하면, 모터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반복함으로써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를 왕복 동작하는 구성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종래 기술인,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일본 특허381457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제1 개폐체와 제2 개폐체(플랩)의 동작은, 우선 양쪽의 플랩이 전체 폐쇄된 폐쇄/폐쇄 상태(0, 0)로부터, 제1 플랩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모터를 구동하면 제1 플랩만이 개방된 개방/폐쇄 상태(1, 0)로 된다. 이 상태를 거쳐, 제2 플랩도 개방되어 개방/개방 상태(1, 1)로 된다. 다음에 모터를 제1 플랩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플랩만이 폐쇄된 폐쇄/개방 상태(0, 1)로 된다. 또한 모터를 회전시키면 제2 플랩이 폐쇄되어 폐쇄/폐쇄 상태(0, 0)로 되고, 처음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 동작을 도 16a의 동작 차트에 대응시킨다. 폐쇄/폐쇄 상태(0, 0)로 나타내어지는 0°의 위치인 하사점부터 개시하여, 다음 상태로 이행할 때까지의 1동작을 X축 또는 Y축에 평행한 화살표로 표현하면, 일련의 동작은 도시된 좌측 방향으로 4개의 상태를 한바퀴 도는 4동작으로 되는 것은 명확하다.
여기서, 도 16a 내지 도 16c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전체 동작 범위에 있어서 제1 개폐체와 제2 개폐체는 어느 한쪽이 개방 동작 내지 폐쇄 동작을 행하거나, 혹은 전체 개방 또는 전체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이다. 즉, 양쪽의 개폐체가 동시에 동작하는 기간은 없다. 따라서, 양쪽을 전체 개방한 상사점의 상태부터 양쪽의 개폐체를 폐쇄한 하사점 상태까지 동작하기 위해서는, 180°의 위치부터 360°(0°)의 위치까지의 2동작, 즉 동작 차트에 있어서의 화살표 2개분이 필요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제1 댐퍼 장치(20)의 동작을 도 17a 내지 도 33에 의해 설명한다. 도 17a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댐퍼 장치(20)의 동작을 도 16a와 동일한 차트로 나타낸 것이며, 도 18a는 그 변형예이다. 도 19 내지 도 33은, 도 17a에 도시된 차트에 나타낸 동작을 실현하는 구동 수단(60)의 일 실시예의 일련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7a의 동작 차트에 있어서, 제1 개폐체와 제2 개폐체가 폐쇄/폐쇄 상태(0, 0)로부터, 제1 개폐체(64a)만이 개방되어 개방/폐쇄 상태(1, 0)로 된다. 다음에 제1 개폐체를 폐쇄함과 동시에 제2 개폐체는 개방되어 폐쇄/개방 상태(0, 1)로 된다. 다음에 제1 개폐체(64a)만이 개방되어 개방/개방 상태(1, 1)로 된다. 다음에 양쪽의 개폐체(64)가 동시에 폐쇄되어 폐쇄/폐쇄 상태(0, 0)로 되돌아가는 일련의 동작이 된다. 즉, 1동작마다 화살표로 표현하면, 이들은 X축에 평행한 2개와, 대각을 향하는 2개가 있으며, 이들 4개의 화살표를 연결함으로써 4개의 개폐 상태를 한꺼번에 기입하여 일련의 동작으로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대각선을 향하는 2개의 화살표가 제1 개폐체(64a)와 제2 개폐체(64b)가 동시에 개폐 동작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개방/개방 상태(1, 1)로부터 양쪽의 개폐체(64)는 동시에 폐쇄되어 한번에 폐쇄/폐쇄 상태(0, 0)로 된다. 이에 의해, 양쪽의 개폐체의 전체 개방으로부터 전체 폐쇄까지는 270°의 위치부터 0°의 위치까지의 1동작, 화살표 1개분의 동작이어도 되므로, 도 16에 도시된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절반의 동작 시간이면 된다.
이 동작을 도 17b의 타이밍 차트에 의해 나타내면, 0°부터 360°까지의 일련의 동작에 있어서, 제1 개폐체(64a)는 개폐를 2왕복하고, 제2 개폐체(64b)는 간헐적으로 개폐를 1왕복하는 동작이 된다. 90°부터 180°, 및 270°부터 0°의 범위가, 양쪽의 개폐체가 동시에 동작하는 동시 동작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a와 마찬가지로, 폐쇄/폐쇄 상태(0, 0)를 모터 구동 범위의 하사점이라고 하면, 그곳으로부터 화살표 2개분의 동작을 행한 후의 폐쇄/개방 상태(0, 1)가 상사점이 된다. 본 구성에 있어서는 양쪽의 개폐체의 동시 동작, 즉 화살표가 대각으로 이동한 직후의 시점이 모터(70)에 의한 정회전 내지 역회전 구동이 완료된 상사점 또는 하사점이 된다.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도 18a 내지 도 18c에 도시된 변형예에 있어서, 도 18a의 동작 차트가 도 17a의 동작 차트와 다른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a에 있어서는, 개방/개방 상태(1, 1)로부터 대각선 형상으로 폐쇄/폐쇄 상태(0, 0)로 이행하는 것이 아니고, 제1 개폐체(64a)만이 폐쇄되어 폐쇄/개방 상태(0, 1)로 되고, 그 후 대각선 형상으로 개방/폐쇄 상태(1, 0)로 이행한다. 이때에 제1 개폐체(64a)가 개방됨과 동시에 제2 개폐체(64b)는 폐쇄된다. 다음에 제1 개폐체(64a)만이 폐쇄되어 폐쇄/폐쇄 상태(0, 0)로 되고, 다음에 양쪽의 개폐체(64)가 동시에 개방되어 개방/개방 상태(1, 1)로 되돌아가는 일련의 동작이 된다.
다음에 도 19 내지 도 33을 사용하여, 도 17에 도시된 동작을 행하는 구동 수단(6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9 내지 도 33에 있어서는, 설명을 위해, 다른 부품의 이측이 되는 부분에 대해서도 일부는 중복되어 있다. 또한, 도시 좌측의 면에 제1 개구(62a)와 제2 개구(62b)가 형성되어 있고, 제1 개폐체(64a)와 제2 개폐체(64b)는 모식적으로 굵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개폐체는 대략 연직 상태가 개구를 폐쇄한 상태를, 대략 수평의 상태가 개구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도 12와 동일하게, 구동 수단(60)은 제1 개폐체(64a)와 제2 개폐체(64b) 양쪽의 개폐체가 폐쇄된 상태, 즉 도 17의 차트에 있어서는 폐쇄/폐쇄 상태(0, 0)를 나타내고 있다.
크랭크 기어 지지점(78)과 크랭크 기어 핀(77b), 클랭크 아암 핀(79a)은 거의 일직선 상에 있으며, 연결 봉(80)을 통하여 제1 구동축(61a)의 주위로 화살표 방향의 토크를 부여하여 제1 개폐체(64a)를 폐지하고 있다. 간헐 기어(76)에 설치된 원기둥부(76c)는 출력 기어(75)의 제2 스토퍼(75d)와 끼워 맞추어져 있으며, 출력 기어(75)의 회동을 규제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압박하여 제2 개폐체(64b)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도 20은, 도 19의 상태로부터 모터(70)를 구동하여, 크랭크 기어(77), 연결 봉(80), 크랭크 아암(79), 피니언 기어(72), 아이들러 기어(73)는 각각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이며, 크랭크 아암(79)은 제1 구동축(61a)의 주위로 회동하고, 제1 개폐체(64a)는 개구부(62)로부터 멀어져 개방하기 시작한다.
아이들러 기어(73)의 회전과 함께, 돌기(73b)는 간헐 기어(76)의 단부면(76d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간헐 기어(76)는 도 19의 상태로부터 회전하지 않고 제2 개폐체(64b)는 폐쇄 상태 그대로이다.
도 21은 도 20보다 화살표 방향으로 더욱 회동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에 있어서는 크랭크 기어(77)의 회전에 수반하여 크랭크 아암(79)은 더욱 요동하고, 제1 개폐체(64a)는 개방 동작을 계속한다. 크랭크 기어 핀(77b), 크랭크 기어 지지점(78), 클랭크 아암 핀(79a)은 거의 일직선 상에 있고, 크랭크 아암(79)을 최대로 잡아당긴 상태로 되어 제1 개폐체(64a)를 제1 구동축(61a)의 주위로 전체 개방 위치에서 유지한다.
즉, 이 도 21에 도시된 상태가 도 17a의 차트에 있어서의 개방/폐쇄 상태(1, 0)이다. 이때 아이들러 기어(73)의 돌기(73b)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간헐 기어(76)의 단부면(76d1)에 접하는 위치까지 회전한다.
도 22는 도 21보다 화살표 방향으로 더욱 회동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모터(70)의 회전과 함께 크랭크 기어(77), 연결 봉(80), 크랭크 아암(79)은 각각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개폐체(64a)는 제1 구동축(61a)의 주위로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돌기(73b)는 간헐 기어(76)의 단부면(76d1)과 접하고, 간헐 기어(76)는 아이들러 기어(73)와 동기하여 회전한다. 출력 기어(75)의 일부인 부분 기어(75b)와 간헐 기어(76)의 일부에 설치된 부분 기어(76b)는 맞물리기 직전의 상태이다.
도 23은 도 22보다 화살표 방향으로 더욱 회동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크랭크 아암(79)은 재차 요동하고, 제1 개폐체(64a)는 재차 폐쇄되고, 한편 간헐 기어(76)는 아이들러 기어(73)의 돌기(73b)에 의해 단부면(76d1)은 더욱 눌려 회전하고, 부분 기어(76b)와 출력 기어(75)의 부분 기어(75b)는 맞물려 출력 기어(75)를 회전시키고, 제2 구동축(61b)의 주위로 제2 개폐체(64b)를 회전하여 개방하여, 제1 개폐체(64a) 및 제2 개폐체(64b) 모두 절반 정도 개방된 반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모터(70)를 정지하면, 제1 개폐체(64a)와 제2 개폐체(64b)는 반개/반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 개폐체(64a) 및 제2 개폐체(64b)는, 제1 개구(62a) 및 제2 개구(62b)를 모두 개방한 경우의 회전 각도를 모두 예각의 상태에서 대기시킨다. 또한, 제1 구동축(61a) 및 제2 구동축(61b)은 서로 종동 기어[아이들러 기어(73)]에 대하여 상대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1 개폐체(64a)의 개방 방향과 제2 개폐체(64b)의 개방 방향은 서로 역방향이다.
여기서, 제1 개폐체(64a) 및 제2 개폐체(64b)는 풍향판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제1 개폐체(64a)의 개방 방향과 제2 개폐체(64b)의 개방 방향을 고려하여 구조물에 배치함으로써, 통풍 저항을 저감하면서, 풍량 및 풍향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4에 있어서는, 도 23보다 화살표 방향으로 더욱 회동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1 개폐체(64a)는 폐쇄되기 직전이 되고, 제2 개폐체(64b)는 개방 동작을 계속한다.
도 25에 있어서는 크랭크 기어(77)가 더욱 회전하여, 크랭크 기어 핀(77b), 크랭크 기어 지지점(78), 클랭크 아암 핀(79a)은 거의 일직선 상에 접근하고, 제1 개폐체(64a)는 거의 전체 폐쇄의 상태로 되어 있다. 한편, 출력 기어(75)의 부분 기어(75b)는 간헐 기어(76)의 부분 기어(76b)의 맞물리기가 종료되어 개방 동작이 완료되어, 전체 개방의 위치로 된다.
또한 도 26의 상태에 있어서, 크랭크 기어(77)는 더욱 회전하여, 크랭크 기어 핀(77b), 크랭크 기어 지지점(78), 클랭크 아암 핀(79a)은 거의 일직선 상이 된다. 그리고, 제1 개폐체(64a)를 제1 구동축(61a)의 주위로 전체 폐쇄 위치에서 유지한다. 출력 기어(75)의 제1 스토퍼(75c)는 간헐 기어(76)의 일부인 원기둥부(76c)와 끼워 맞춘 상태에서 더욱 회전하여, 제2 개폐체(64b)를 개방 상태로 유지한다.
이 도 26에 도시된 상태가, 도 17a의 차트에 있어서의 폐쇄/개방 상태(0, 1)이다. 또한, 아이들러 기어(73)는 도시의 시계 방향으로 끝까지 회동한 위치에 있으며, 이것을 도 17a에 있어서의 「상사점」의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6은 「상사점」의 위치에 있으며, 도 27 이후는 모터(70)의 피니언 기어(72)를 역회전한다.
도 27에 있어서, 모터(70)를 역회전하면, 크랭크 기어(77)의 크랭크 기어 핀(77b)은, 제1 구동축(61a)으로부터 이반되는 측으로 이동한다. 클랭크 아암 핀(79)은 연결 봉(80)과 클랭크 아암 핀(79a)을 통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 개폐체(64a)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아이들러 기어(73)의 돌기(73b)는 간헐 기어(76)의 한쪽의 단부면(76d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아이들러 기어(73)와 간헐 기어(76)는 공회전하고, 간헐 기어(76) 및 출력 기어(75)는 도 26에 도시된 개방 위치로부터 이동하지 않아, 제2 개폐체(64b)는 개방 위치에서 유지된다.
도 28에 있어서, 모터(70)의 피니언 기어(72)를 더욱 회전시킴으로써, 아이들러 기어(73)를 통하여 크랭크 기어(77)는 더욱 회전한다. 그리고, 크랭크 기어(77), 연결 봉(80), 크랭크 아암(79)은, 도 21과 동일한 위치까지 이동하여, 제1 개폐체(64a)를 제1 구동축(61a)의 주위로 전체 개방 위치에서 유지한다. 아이들러 기어(73)의 돌기(73b)는 간헐 기어(76)에 형성된 다른 쪽의 단부면(76d2)에 접촉할 때까지 회전한다. 도 26부터 도 28까지의 상태에 있어서는, 아이들러 기어(73)와 간헐 기어(76)는 공회전한다. 간헐 기어(76)와 출력 기어(75)는 도 26에 도시된 개방 위치로부터 이동하지 않아, 제2 개폐체(64b)는 개방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도 28의 상태는 도 17의 차트에 있어서는 개방/개방 상태(1, 1)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72)를 더욱 약간 회전시키면, 크랭크 기어(77), 연결 봉(80), 크랭크 아암(79)은 거의 도 28과 마찬가지의 위치인 상태이므로, 제1 개폐체(64a)는 거의 전체 개방 상태인 채이다. 한편, 아이들러 기어(73)의 돌기(73d)는, 간헐 기어(76)에 형성된 다른 쪽 단부면(76d2)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간헐 기어(76)는 아이들러 기어(73)와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간헐 기어(76)의 부분 기어(76b)와 출력 기어(75)의 부분 기어(75b)는 맞물리기 시작한다.
또한 모터(70)를 회전시켜 도 30의 상태로 하면, 크랭크 기어(77), 연결 봉(80), 크랭크 아암(79)은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 개폐체(64a)를 제1 구동축(61a)의 주위로 폐쇄 방향으로 회동한다. 간헐 기어(76)는 출력 기어(75)와 부분 기어끼리 맞물려 회전하여, 제2 구동축(61b)의 주위로 제2 개폐체(64b)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또한 모터(70)를 구동하면 도 31의 상태에 이르러, 제1 개폐체(64a)는 제1 구동축(61a)의 주위로 폐쇄 동작을 계속한다. 또한, 제2 개폐체(64b)는 제2 구동축(61b)의 주위로 폐쇄 동작을 계속한다. 제1 개폐체(64a) 및 제2 개폐체(64b)는 어느 쪽이든 개폐 도중인 반개 상태로 된다. 단, 이 도 31의 상태에서는 제2 개폐체(64b)는 거의 폐쇄된 상태인 것에 비하여, 제1 개폐체(64a)는 제2 개폐체(64b)보다는 크게 개방된 상태로 된다.
다음에 도 32의 상태에 이르러, 제1 개폐체(64a)는 재차 폐쇄 동작을 계속한다. 한편, 간헐 기어(76)는 출력 기어(75)의 부분 기어와의 맞물리기가 종료되어, 제2 개폐체(64b)를 전체 폐쇄 위치로 한다. 이 도 32의 위치에 있어서, 제2 개폐체(64b)는 이미 전체 폐쇄 위치에 있지만, 제1 개폐체(64a)는 폐쇄 동작의 도중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3의 상태로 되어, 크랭크 기어(77), 연결 봉(80), 크랭크 아암(79)은 도 19와 마찬가지의 위치에 이르러, 제1 개폐체(64a)는 전체 폐쇄 위치로 된다. 도 32부터 도 33까지의 상태에 있어서는, 아이들러 기어(73)는 단부면(76d2)을 통하여 간헐 기어(76)를 회전시킨다. 출력 기어(75)의 제2 부분 기어(75b)는 간헐 기어(76)의 제1 부분 기어(76b)와의 맞물리기가 종료하고 있다. 또한, 출력 기어(75)의 제2 스토퍼(75d)는 간헐 기어(76)의 일부인 원기둥부(76c)와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서 더욱 회전하고, 제2 개폐체(64b)는 폐쇄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즉, 출력 기어(75)는 도 32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부터 이동하지 않아, 제2 개폐체(64b)는 폐쇄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도 33의 상태는, 도 19의 상태와 동일하고, 도 17의 차트에 있어서는 폐쇄/폐쇄 상태(0, 0)임과 동시에, 아이들러 기어(73)는 도시의 반시계 방향으로 끝까지 회전한 도 17에 있어서의 「하사점」의 위치에 있다. 즉, 도 19부터 도 33까지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도 17의 동작 차트에 의해 나타낸 폐쇄/폐쇄, 개방/폐쇄, 폐쇄/개방, 개방/개방으로부터 폐쇄/폐쇄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일련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환언하면, (1) 제1 개구(62a) 및 제2 개구(62b)가 폐쇄된 상태로부터 제1 개구(62a)를 개방하도록 제1 개폐체(64a)를 구동하는 제1 모드와, (2) 제1 개구(62a)를 폐쇄하고 제2 개구(62b)를 개방하도록 제1 개폐체(64a) 및 제2 개폐체(64b)를 모두 구동하는 제2 모드와, (3) 제2 개구(62b)를 개방한 상태에서 제1 개구(62a)를 개방하도록 제1 개폐체(64a)를 구동하는 제3 모드와, (4) 제1 개구(62a) 및 제2 개구(62b)가 모두 개방한 상태로부터 폐쇄된 상태로 되도록 제1 개폐체(64a) 및 제2 개폐체(64b)를 모두 구동하는 제4 모드를 구비하고, 이들 모드를 단일 구동 수단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다.
단일 구동 수단(60)은 정역(正役)회전 구동하여, 구동 수단(60)의 구동력을 제1 개폐체(64a) 및 제2 개폐체(64b)에 각각 전달하는 제1 구동 전달 수단 및 제2 구동 전달 수단을 구비한다. 제1 구동 전달 수단은, 구동 수단(60)이 정회전하는 동안 제1 개폐체(64a)를 개방 동작 후에 폐쇄 동작을 시키고, 역회전하는 동안 개방 동작 후에 폐쇄 동작을 시킨다. 제2 구동 전달 수단은, 구동 수단(60)이 정회전하는 동안 제2 개폐체(64b)를 동작시키지 않고 소정 시간 대기시킨 후, 개방 동작을 시키고, 역회전하는 동안 제2 개폐체(64b)를 동작시키지 않고 소정 시간 대기시킨 후, 폐쇄 동작을 시킨다.
여기서, 구동 수단(60), 상기 제1 구동 전달 수단 및 제2 구동 전달 수단을 접속하는 종동 기어[아이들러 기어(73)]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구동 전달 수단은, 크랭크 기어(77)와, 크랭크 아암(79)과, 크랭크 아암(79)과 크랭크 기어(77)를 접속하는 연결 봉(80)을 구비하고, 종동 기어[아이들러 기어(73)]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구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2 구동 전달 수단은,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공회전하고, 상기 소정의 각도 범위 이외에서는 종동 기어[아이들러 기어(73)]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제1 부분 기어(76b)를 구비한 간헐 기어(76)와, 제2 개폐체(64b)에 접속되어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제1 부분 기어(76b)와 맞물려서 회전함으로써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부분 기어(75b)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 32의 상태에 있어서, 제2 개폐체(64b)는 전체 폐쇄 상태로 되므로, 제2 밀폐 부재(641b)는 제2 개구(62b)에 설치된 제2 접촉부(66b)에 대하여 가압되어 압축 변형되어 제2 개구(62b)를 밀폐한다. 그로 인해, 모터(70)에는 출력 기어(75)와 간헐 기어(76), 아이들러 기어(73)를 통하여 제2 개폐체(64b)를 밀폐하기 위한 큰 회전 토크가 일시적으로 가해진다.
또한, 도 33에 도시된 상태에 있어서, 제1 개폐체(64a)는 전체 폐쇄 상태로 되므로, 제1 밀폐 부재(641a)는 제1 개구(62a)에 설치된 접촉부(66a)에 대하여 가압되어 압축 변형되어 제1 개구(62a)를 밀폐한다. 그로 인해, 모터(70)에는 크랭크 아암(79), 연결 봉(80), 크랭크 기어(77)를 통하여 제1 개폐체(64a)를 밀폐하기 위한 큰 회전 토크가 일시적으로 가해진다. 이때, 제2 개폐체(64b)는 이미 전체 폐쇄 상태에 있으므로, 간헐 기어(76)의 원기둥부(76c)는, 출력 기어(75)의 제2 스토퍼(75d)와 끼워 맞추어져 공회전하고 있는 상태이며, 간헐 기어(76)에 발생하는 회전 토크는 작다.
여기서, 제1 개폐체(64a)와 제2 개폐체(64b)가 완전히 동시에 폐쇄되는 구성인 경우, 모터(70)에는 2개의 개폐체를 폐쇄하는 큰 회전 토크가 거의 동시에 가해진다. 그로 인해, 출력 토크가 큰 모터(70)를 사용할 필요가 있어, 구동 수단(60)이 대형화됨과 함께, 모터(70) 구동 시의 소음도 커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개폐체(64b)가 전체 폐쇄된 후에, 시간차를 갖고 제1 개폐체(64a)가 폐쇄되는 구성이다. 환언하면, 제1 개폐체(64a) 및 제2 개폐체(64b)를 모두 구동하는 모드는, 제1 개폐체(64a) 또는 제2 개폐체(64b) 중 어느 한쪽의 구동이 완료된 후에, 다른 쪽의 구동이 완료되도록 제1 개구(62a) 및 제2 개구(62b)를 폐쇄한다. 즉, 모터(70)에 대해서는 최초로 제2 개폐체(64b)를 폐쇄하는 큰 회전 토크가 일단 가해진 폐쇄 동작을 완료시킨다. 그 후, 간헐 기어(76)가 공회전한 부하가 가벼운 상태에 있어서, 제1 개폐체(64a)를 폐쇄하기 위한 큰 회전 토크가 가해진다. 이에 의해, 모터(70)에 대하여 동시에 큰 회전 토크가 가해지지 않아, 모터(70)가 소형이어도 되므로, 구동 수단(60)의 소형화와 함께 모터 소음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도 26에 도시된 폐쇄/개방 상태의 「상사점」과, 도 19 또는 도 33에 도시된 폐쇄/폐쇄 상태의 「하사점」은, 아이들러 기어(73)의 동작 범위의 상한과 하한의 위치로 하면 된다. 어느 상태든 동작 방향의 여하에 관계없이, 제1 개폐체(64a)와 제2 개폐체(64b) 양쪽의 동시 동작이 완료된 시점이 된다. 이러한 동작 범위를 규정하기 위한 구성의 일례로서는 먼저 도 11과 도 13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부채형 오목부(73c)와 돌기(81)에 의해, 아이들러 기어(73)의 회전 각도 범위를 소정의 각도 θ3으로 규제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70)로서 스테핑 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스테핑 모터의 회전 각도로서, 아이들러 기어(73)의 오목부(73a)가 돌기(81)에 접촉하는 이상으로 여분의 동작 펄스수를 입력한다. 스테핑 모터는 여분의 동작 펄스분은 간단히 탈조하는 것뿐이며 회전하지 않는다. 그 직후는 아이들러 기어(73)는 「상사점」 또는 「하사점」의 위치에 정확하게 멈추게 된다. 즉, 위치 검지 수단이 없어도 아이들러 기어(73)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정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확정의 동작을 「이니셜라이즈」라고 칭한다.
도 17 및 도 18에 있어서는, 상기 설명과 같이 양쪽의 개폐체(64)의 동시 동작이 완료된 시점, 즉 동작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대각으로 이동한 후가 사점이 된다. 또한 상사점과 하사점이란 것은, 각각이 기구의 동작 범위의 양단부에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반드시 개폐체의 개폐 상태나 상하의 위치 관계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제1 댐퍼 장치(20)는 제1 개폐체(64a)와 제2 개폐체(64b)의 개폐 동작을 행한다. 즉, 제1 개폐체(64a)는, 제1 구동축(61a) 주위로 제1 회전 방향으로 구동하여 개방되고, 또한 제2 회전 방향으로 구동하여 폐쇄된다. 한편, 제2 개폐체(64b)는 제2 구동축(61b) 주위로 제2 회전 방향으로 구동하여 개방되고, 또한 제1 회전 방향으로 구동하여 폐쇄된다. 이와 같이, 제1 개폐체(64a) 및 제2 개폐체(64b)의 개폐 동작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행해진다.
다음에, 제1 개폐체(64a)만을 개폐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로부터 도 21의 상태, 즉 폐쇄/폐쇄 상태로부터 개방/폐쇄 상태로 한 후, 모터(70)를 역회전시키면, 도 21로부터 도 20을 거쳐 도 19의 상태에 이른다. 제2 개폐체(64b)는 폐쇄 상태를 유지한 상태이며, 제1 개폐체(64a)만이 개폐되어 폐쇄/폐쇄 상태로부터 개방/폐쇄 상태를 거쳐 폐쇄/폐쇄 상태로 되돌아간다. 즉, 도 19부터 도 21까지의 동작을 반복하면, 제2 개폐체(64b)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1 개폐체(64a)만의 개폐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도 26으로부터 도 28의 상태, 즉 폐쇄/개방 상태로부터 개방/개방 상태로 한 후, 모터(70)를 역회전시키면, 도 28로부터 도 27을 거쳐 도 26의 상태에 이른다. 이때, 제2 개폐체(64b)는 개방 상태를 유지한 상태이며, 제1 개폐체(64a)만이 개폐되어 개방/폐쇄 상태로부터 개방/개방 상태를 거쳐 개방/폐쇄 상태로 되돌아간다. 즉, 도 26부터 도 28까지의 동작을 반복하면, 제2 개폐체(64b)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 개폐체(64a)만의 개폐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폐체(64a)는 냉장실 송풍 덕트(11)에 접속되고, 제2 개폐체(64b)는 야채실 송풍 덕트(25)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도 19부터 도 21까지의 동작, 또는 도 26부터 도 28까지의 동작), 야채실 송풍 덕트(25)를 개방 또는 폐쇄한 상태에서, 냉장실 송풍 덕트(11)만을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냉장실(2)과 야채실(6)에의 냉기 풍량의 밸런스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반대로, 제1 개폐체(64a)를 야채실 송풍 덕트(25)에 접속하고, 제2 개폐체(64b)를 냉장실 송풍 덕트(11)에 접속한 것으로 하면, 냉장실 송풍 덕트(11)를 개방 또는 폐쇄한 상태에서, 야채실 송풍 덕트(25)만으로의 송풍을 개폐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야채실(6)과 냉장실(2)에의 냉기 풍량의 밸런스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개폐체(64a)를 냉장실 송풍 덕트(11)에 접속하고, 제2 개폐체(64b)를 칠드실(2d)에 송풍하는 덕트(도시 생략)에 접속한 경우, 냉장실 송풍 덕트(11)를 개방 또는 폐쇄한 상태에서, 칠드실 송풍 덕트만으로의 송풍을 개폐 제어할 수 있다.
이 구성의 경우, 칠드실(2d)을 통상의 칠드 온도대(약 1℃)보다 낮은 빙온대(약 -1℃)로 하는 온도 전환이 가능해진다. 즉, 수분이 많은 식품 등의 얼리고 싶지 않은 것은 칠드 온도대, 고기나 생선 등의 얼려서 저장하고 싶은 것은 빙온대로 하도록 사용자가 저장 온도대를 선택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식품에 맞춘 적재 적온의 보존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칠드실(2d)과 냉장실(2)에의 냉기 풍량의 밸런스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이 구성의 경우, 야채실(6)에의 송풍은, 야채실 송풍 덕트(25)에 다른 댐퍼 장치를 설치하여 송풍량을 제어하거나, 혹은 냉장실(2)로부터의 귀환 냉기를 야채실 송풍 덕트(25)로 유입시켜 야채실(6)에 송풍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어,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공지의 기술이면, 그것을 적용해도 좋다.
(압축기 및 댐퍼 장치의 동작)
다음에, 도 2, 도 3 및 도 34를 사용하여, 댐퍼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압축기(24)를 정지할 때의 동작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4는 냉동실과 냉장실의 동시 냉각 운전(이하 「FR 운전」이라고 칭한다)을 행하고 있는 시점부터 운전을 정지할 때까지의 송풍기(9), 제1 댐퍼 장치(20)(트윈 댐퍼)와 제2 댐퍼 장치(50)의 개폐 상태, 압축기(24)의 운전 정지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이다.
FR 운전 중은, 제1 댐퍼 장치(20)(트윈 댐퍼)와 제2 댐퍼 장치(50)를 모두 개방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압축기(24)를 운전하여 냉각기(7)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를, 송풍기(9)를 구동함으로써 냉장실(2),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내에 송풍하여 냉각한다.
온도 센서(34)에 의해 냉장실(2), 상단 냉동실(4) 및 하단 냉동실(5) 내가 충분히 냉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면 압축기(24)와 송풍기(9)를 정지하는 정지 동작을 행한다. 이때의 수순으로서는 (1) 송풍기(9)를 정지, (2) 제1 댐퍼 장치(20)(트윈 댐퍼) 및 제2 댐퍼 장치(50)를 폐쇄, (3) 압축기(24)를 정지,로 하고 있다.
운전 정지 시에, 송풍기(9)의 정지와 동시에 압축기(24)를 정지하면, 송풍기(9)도 압축기(24)도 정지한 상태에서 제1 댐퍼 장치(20) 및 제2 댐퍼 장치(50)를 전체 개방 상태로부터 전체 폐쇄 상태로 동작한다. 그러면, 그 댐퍼 장치의 동작음이 냉장고(1) 외부로 누설되어, 소음이 된다. 따라서, 댐퍼 장치의 동작 시간, 즉 t(초간) 동안은 송풍기(9)는 이미 정지된 상태로, 냉기가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및 냉장실(2) 어디에도 보내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제2 댐퍼 장치(50) 및 제1 댐퍼 장치(20)의 동작음을 상쇄하기 위하여 압축기(9)만이 불필요하게 운전되게 된다. 따라서, 댐퍼의 동작 시간은 가능한 한 단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제1 댐퍼 장치(20)(트윈 댐퍼)에 있어서는, 도 17a의 동작 차트 및 도 28 내지 도 33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개폐체(64a)와 제2 개폐체(64b)는 개방/개방 상태로부터 양쪽이 폐쇄되어 1동작으로 폐쇄/폐쇄 상태로 된다. 그로 인해, 냉동실 및 냉장실 냉각 운전부터 운전 정지할 때에 압축기(24)만을 운전하는 시간이 1동작뿐이어도 된다. 이것은, 도 16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있어서 개방/개방 상태로부터 폐쇄/폐쇄 상태로 될 때까지 2동작이 필요한 것에 비하여, 1/2의 시간으로 단축 가능한 것이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압축기(24)만을 불필요하게 운전하는 시간이 단축되므로 에너지 절약성이 높은 냉장고를 실현할 수 있다.
일례로서, 하루에 FR 운전으로부터의 정지 동작이 20회/1일인 것으로 하고, 개방으로부터 폐쇄 또는 폐쇄로부터 개방까지의 댐퍼의 1동작에 걸리는 시간을 6초로 한다. 그러면, 압축기(24)만을 운전시킬 때까지, 2동작이 필요하면 12초가 걸린다. 한편, 1동작이면 6초로 충분하므로, 1일당 20회×6초=2분간, 압축기(24)의 운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모터(70)의 회전 속도를 올리지 않고 전체 개방으로부터 전체 폐쇄까지의 동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동작 소음이 낮고, 동작이 빠른 댐퍼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체(64a)와 제2 개폐체(64b)의 폐쇄 동작에 시간차를 설정하였기 때문에, 모터(70)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를 저감하여 소형의 모터(70)로 실현할 수 있어, 구동 수단(60)의 소형화와 함께 모터 소음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7 및 도 19 내지 도 33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제1 댐퍼 장치(20)(트윈 댐퍼)에 있어서는, 폐쇄/폐쇄 상태는 도 17에 있어서의 「하사점」 위치로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70)를 재차 여분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니셜라이즈 동작을 행할 수 있어, 스테핑 모터의 회전 위치를 확정하여 위치 결정을 할 수 있으므로, 더욱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3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반개/반개 위치에 있어서, 모터(70)를 정지하여 제1 개폐체(64a) 및 제2 개폐체(64b)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댐퍼 장치(50)와 제1 댐퍼 장치(20)를 모두 개방한 상태에서 압축기(24)와 송풍기(9)를 운전하여, 상단 냉동실(4), 하단 냉동실(5), 냉장실(2) 및 야채실(6)을 모두 냉각하는 냉동/냉각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1 댐퍼 장치(20)를 반개/반개 상태로 함으로써, 제2 댐퍼 장치(50)와 제1 댐퍼 장치(20)를 통과하는 냉기 풍량의 비율을 가변하여, 적정한 풍량 비율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장실(2)의 과잉 냉각 등을 방지하여 에너지 절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댐퍼 장치(20)는 개방/개방 상태로부터 1동작으로 폐쇄/폐쇄 상태로 동작하기 때문에, 냉동실 및 냉장실 냉각 운전으로부터 정지할 때에 압축기(24)만을 운전하는 시간이 단축되므로, 냉장고(1) 내의 식품을 소정 온도 범위로 유지하면서 에너지 절약 성능을 확보하고, 식품의 저장 온도 유지를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모터의 회전 속도를 올리지 않고 전체 폐쇄로부터 전체 개방까지의 동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동작 소음이 낮고 동작 시간이 짧은 댐퍼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폐쇄/폐쇄 상태로 동작함과 동시에 스테핑 모터의 위치 확정 동작인 이니셜라이즈를 행할 수 있으므로, 위치 확정이 확실하여 동작 정밀도가 좋은 댐퍼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2개의 개폐체의 폐쇄에 시간차를 설정함으로써 모터의 부하 토크를 저감시켜 소형의 모터를 사용할 수 있어, 댐퍼 장치의 소형화와 저소음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댐퍼 장치(20)와 제2 댐퍼 장치(50)를 통과하는 냉기 풍량의 비율을 가변하여, 적정한 풍량 비율로 설정할 수 있어, 냉장실(2)의 과잉 냉각 등을 방지하여 에너지 절약성이 우수한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개폐체(64b)를 개방 또는 폐쇄한 상태에서 제1 개폐체(64a)만을 개폐할 수 있으므로, 냉장실(2)에 송풍되는 냉기 풍량과 야채실(6)에 송풍되는 냉기 풍량 또는 냉장실(2)에 송풍되는 냉기 풍량과 칠드실(2d)에 송풍되는 냉기 풍량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성이 우수한 냉장고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크랭크 아암(79)과 출력 기어(75)는 축심을 서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고 있다. 즉, 제1 구동축(61a)은 사각 형상의 제1 개폐체(64a)의 일변측에 설치한다. 그리고, 제2 구동축(61b)은, 제1 개폐체(64a)의 타변측이며, 또한 사각 형상의 제2 개폐체(64b)의 일변측에 설치한다. 또한, 제1 개폐체(64a)의 타변측 및 제2 개폐체(64b)의 일변도는 동일측의 변이 되도록 배치한다. 또한, 동축이 아니고 서로 상이한 축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했으므로, 모두 일단부를 구동 수단에 형성된 축 구멍과 끼워 맞추고, 타단부를 원통 형상의 베어링부에 끼워 맞춘, 소위 양팔로 지지한다. 그 때문에 덜걱거림이 적어, 고정밀도로 회전 지지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제1 개폐체(64a)와 제2 개폐체(64b)도 모두 고정밀도로 회전 지지된다. 이에 의해,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개폐체를 대형화한 경우의 휨 변형 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댐퍼의 대형화에 적합한 구성이다.
제2 실시예
다음에 제2 실시예에 대해, 도 35 내지 도 3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5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1의 X-X 단면도이다. 도 36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을 구비한 트윈 댐퍼를 냉장고에 내장했을 때의 송풍기 및 냉각기와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37은 도 36의 주요부 설명도에서 트윈 댐퍼와 송풍기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8은 도 37의 A-B선 단면 상당 설명도이다. 도 39는 도 37의 C-B선 단면 상당 설명도이다.
여기서, 냉동 온도대의 저장실과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의 송풍 제어를 트윈 댐퍼 장치에 의해 행하는 경우, 상기 댐퍼 장치는 냉동 온도대의 저장실의 후방에 설치된다. 즉, 트윈 댐퍼 장치는, 냉각기 및 송풍기가 수납된 냉각기실 내에 설치된다.
그러나, 냉각기실은 냉동실의 높이 치수 내에 들어가는 사정상, 냉각기실의 높이 치수에는 제약이 있다. 그러면, 냉각기실 내에 설치되는 각 구성품은, 한정된 높이 치수 내에서 배치될 필요가 있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트윈 댐퍼 장치(100)를 냉각기 수납실(8)에 설치한다. 트윈 댐퍼 장치(100)는 냉장실(2)과 냉동 온도대실(하단 냉동실(5), 제빙실(3) 및 상단 냉동실(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의 송풍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냉장실(2)과 냉동 온도대실의 냉기량을 제어하여, 각 저장실 온도를 조정한다.
그런데, 이 구성에서는, 냉동 온도대의 영역에 트윈 댐퍼 장치(100)를 배치하므로, 냉장 온도대와의 온도차에 의해 트윈 댐퍼 장치(100)에 결로수가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 결로수의 배수와의 관계로부터, 각 구성 부품의 배치가 문제가 된다. 이하, 이 관점을 근거로 하여 본 실시예에 이러한 구성을 설명한다.
우선, 도 35에 있어서, 냉장고의 기본 구성은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도 2와 동일 부호를 부여한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5에 있어서, 참조 부호 100은 트윈 댐퍼 장치이다. 트윈 댐퍼 장치(100)는 냉각기 수납실(8)의 상부에 설치한다. 그리고, 냉각기 수납실(8) 내의 냉각기(7)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는, 송풍기(9)에 의해 송풍되어 트윈 댐퍼 장치(100)에 의해 송풍량이 제어된다. 도 2의 경우와 다른 점은, 트윈 댐퍼 장치(100)에 의해 송풍량이 제어되는 저장실이, 냉장실(2) 및 하단 냉동실(5)이라는 점이다.
도 37에 있어서, 트윈 댐퍼 장치(100)는, 제1 개구(102a)를 형성하는 제1 프레임(101a)과, 제2 개구(102b)를 형성하는 제2 프레임(101b)을 갖는다. 제1 개구(102a)와 제2 개구(102b)는 가로로 길며 직사각 형상의 개구이며,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제1 프레임(101a) 및 제2 프레임(101b)에 각각 형성되어 배치된다. 또한, 제1 프레임(101a) 및 제2 프레임(101b)은, 예를 들어 수지제로 한다.
제1 프레임(101a)과 제2 프레임(101b) 사이에는 구동 수단(60)이 배치된다. 구동 수단(106)은 케이스(106a) 내에 수납되고, 제1 프레임(101a) 및 제2 프레임(101b) 각각의 높이보다 돌출된 형태이며, 모터나 감속 기어 등의 구동계를 구비한다. 그리고, 구동 수단(106)의 제1 프레임(101a)에 접하는 측에 제1 구동축(104a), 구동 수단(106)의 제2 프레임(101b)에 접하는 측에 제2 구동축(104b)이 설치되어, 구동 수단(106)으로부터의 구동력을 각각 출력한다.
제1 개폐체(103a)의 회전축과, 제2 개폐체(103b)의 회전축은 서로 연장선 상에서 교차하지 않는 위치 관계로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구동축(104a)과 제2 구동축(104b)은 구동 수단(106)을 수납한 케이스(106a)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구동축(104a)을 설치한 제1 개폐체(103a)의 길이 방향의 일변측과 대향하는 타변측에 제2 구동축(104b)을 설치하고 있다. 즉, 제1 구동축(104a)과 제2 구동축(104b)은 축심을 어긋나게 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 수단의 기본 구성 및 동작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도 36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냉각기, 송풍기 및 트윈 댐퍼 장치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본 구성은, 냉각기(7)의 상방에 송풍기(9)가 배치되고, 더욱 상방에 트윈 댐퍼 장치(100)를 배치한다. 또한, 송풍기(9)는 하단부(9b)가 상단부(9a)보다 전방(도면에 있어서는 좌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체가 경사진 상태로 설치된다. 이에 의해, 냉각기(7)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를, 송풍기(9)를 통하여 더욱 상방의 트윈 댐퍼 장치(100)측에 송풍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트윈 댐퍼 장치(100)는 제1 개구(102a) 및 제2 개구(102b)가 냉각기(7)에 대하여 거의 수평해지도록 배치된다. 즉, 제1 개구(102a) 및 제2 개구(102b)가 모두 냉각기(7)에 대향하도록 제1 프레임(101a) 및 제2 프레임(101b)을 설치한다.
그리고, 제1 개폐체(103a) 및 제2 개폐체(103b)는 제1 개구(102a) 및 제2 개구(102b)를 각각 최대로 개방한 경우, 대략 수직 하방에 위치할 때까지 회동한다. 즉, 제1 개폐체(103a) 및 제2 개폐체(103b)는 제1 프레임(101a) 및 제2 프레임(101b)에 대하여, 각각 90도 정도의 회전 각도까지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가령 송풍기(9)의 구동축이 대략 연직이 되도록 설치한 경우, 제1 개폐체(103a) 및 제2 개폐체(103b)가 개방 위치까지 회동했을 때에 제1 개폐체(103a) 및 제2 개폐체(103b)에 부착된 결로수가, 송풍기(9)에 떨어질 우려가 있다. 그러면, 송풍기(9)에 부착된 결로수가 점차 동결되어, 동작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송풍기(9)는 트윈 댐퍼 장치(100)의 투영 하방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폐체(103a)가 개방 위치까지 회동한 상태에서, 제1 개폐체(103a)의 연장선보다 전방(도면에 있어서 좌측)에 배치한다.
제1 개폐체(103a)에 의해 냉장실(2)에의 송풍을 제어하는 경우,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적어도 제1 개폐체(103a)의 개방 시의 연장선보다 송풍기(9)가 전방에 위치함으로써, 결로수의 적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제1 개폐체(103a)가 냉장 온도대와 냉동 온도대의 경계가 되어, 온도차에 의해 제1 개폐체(103a)에 결로수가 많이 부착되는 것에 의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개폐체(103a) 및 제2 개폐체(103b)의 개방 시의 각각의 연장선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송풍기(9)를 배치한다. 제2 개폐체(103b)에 의해 냉동 온도대실에의 송풍을 제어하는 경우, 트윈 댐퍼 장치(100)는 동일하게 냉동 온도대의 환경 하에 설치하기 때문에, 제2 개폐체(103b)에의 결로는 적지만, 이 구성에 의해 신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기의 치수의 제한으로부터, 제1 개폐체(103a) 및 제2 개폐체(103b)의 개방 시의 각각의 연장선보다 내측에 배치할 수 없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제1 개폐체(103a)의 연장선 상을 피하여 송풍기(9)를 배치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35에 있어서, 냉동 온도대실[상단 냉동실(4), 제빙실(3) 및 하단 냉동실(5)]과 냉각기 수납실(8) 사이는 구획 부재(54)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기(9)는 송풍기 지지 부재(55)에 의해, 냉각기 수납실(8)과 냉동 온도대실 사이에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트윈 댐퍼 장치(100) 및 송풍기(9)는 냉각기(7)의 투영면 상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깊이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여 저장 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어, 스페이스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도 36에 있어서, 제1 개폐체(103a) 및 제2 개폐체(103b)의 회동 범위(궤적)의 최하단부 R보다 상방에 송풍기(9)가 배치된다. 또한, 송풍기(9)의 상단부(9a)는 제1 개폐체(103a) 및 제2 개폐체(103b)의 회동 궤적의 교점 Q 부근의 하방에 위치한다. 또한, 송풍기(9)의 하단부(9b)는 트윈 댐퍼 장치(100)의 전단부와 냉각기(7)를 연결하는 직선보다 전방(도면에 있어서 우측)에 설치한다. 이에 의해, 저장 공간을 더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2 개폐체(103b)의 개방 위치의 연장선보다 안측에 배치함으로써, 제2 개폐체(103b)로부터의 수분의 적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7에 있어서, 트윈 댐퍼 장치(100)와 송풍기(9)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면 송풍기(9)는 제1 개폐체(103a) 및 제2 개폐체(103b)가 개방된 경우, 정면으로부터 보아 사선 부분에서 겹친다. 즉, 제1 개폐체(103a) 및 제2 개폐체(103b)의 내측 코너부가, 정면으로부터 보아 송풍기(9)와 겹친다. 이에 의해, 송풍기(9)에 의해 송풍된 냉기가, 제1 개폐체(103a) 및 제2 개폐체(103b)에 바로 안내되도록 되어, 원활한 냉기 흐름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8에 있어서, 냉동 온도대실에의 송풍 구조 및 제어의 상세를 설명한다. 트윈 댐퍼 장치(100)의 제2 개폐체(103b)는 제2 개구(102b)의 개방을 조정함으로써, 냉동 온도대실[상단 냉동실(4), 제빙실(3) 및 하단 냉동실(5)]의 온도 제어를 한다. 제2 개구(102b)는 냉동 온도대실에 설치한 온도 센서(도시 생략)의 값에 기초하여 개폐하는 것이며, 설정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개방 위치까지 구동하고, 설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는 폐쇄 위치까지 구동한다.
구획 부재(107)는 송풍기(9)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고, 냉각기 수납실(8)과 냉동 온도대실을 구획한다. 또한, 구획 부재(54)와의 사이에 냉동 온도대실 송풍 덕트(108)를 갖고 있다. 그리고, 냉각기(7)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는, 송풍기(9) 및 댐퍼 장치(100)를 거쳐, 도 38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냉동 온도대실 송풍 덕트(108)로부터 냉동 온도대실로 분출된다.
또한, 구획 부재(107)의 송풍기(9)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정류부(107a)를 갖는다. 정류부(107a)에 의해, 송풍기(9)의 하류의 냉기를 정류한 후에 트윈 댐퍼 장치(100)측에 원활하게 송풍한다.
또한, 제2 개폐체(103b)는 구획 부재(107)측에 위치한다. 환언하면, 송풍기(9)의 상단부(9a)보다 전방(도면에 있어서 좌측)에 제2 구동축(104b)이 위치한다. 이에 의해, 송풍기(9)로부터 송풍된 냉기는, 제2 개폐체(103b)에 의해 안내되어 냉동 온도대실 송풍 덕트(108)에 흐른다. 또한, 제2 개폐체(103b)를 약간 기울인 개방 상태에서 정지시킨 경우, 냉동 온도대실 송풍 덕트(108)의 방향(냉동 온도대실측)으로 적극적으로 흐르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냉동 온도대실 송풍 덕트(108)를 송풍기(9)의 근방까지 연장된 것과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39에 있어서, 냉장실(2)에의 송풍 구조 및 제어의 상세를 설명한다. 트윈 댐퍼 장치(100)의 제1 개폐체(103a)는 제1 개구(102a)의 개방을 조정함으로써, 냉장실(2)의 온도 제어를 한다. 제1 개구(102a)는 냉장실(2)에 설치한 온도 센서(도시 생략)의 값에 기초하여 개폐하는 것이며, 설정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개방 위치까지 구동하고, 설정 온도보다 낮은 경우는 폐쇄 위치까지 구동한다.
냉각기(7)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는, 송풍기(9) 및 트윈 댐퍼 장치(100)를 거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냉장실 송풍 덕트(109)로부터 냉장실(2)을 향하여 분출된다.
또한, 제1 개폐체(103a)는 송풍기(9)의 상단부(9a)보다 후방(도면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개방 시의 연장선 상에 송풍기(9)가 위치하지 않는 범위로 한다. 이에 의해, 제1 개폐체(103a)의 개방 시에, 결로수가 송풍기(9)에 적하되지 않고, 냉각기(7)측에 적하되는 것이다.
또한, 제1 개폐체(103a)가 개방됨으로써 송풍기(9)로부터의 냉기를 냉장실 송풍 덕트(109)측에 원활하게 송풍한다. 즉, 냉장실 송풍 덕트(109)를 송풍기(9)의 근방까지 연장된 것과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송풍기(9)는 그 하부를 구획 부재(107)에 연결하고, 상부는 냉각기 수납실의 후방벽에 연결한다. 상부의 연결은, 도 37의 정면으로부터 보아, 케이스(106a)의 부분에서 냉각기 수납실의 후방벽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냉장고 본체에 구획 형성되어 각각 식품을 수납하는 복수의 저장실과, 이 복수의 저장실을 냉각하는 냉기가 열교환되는 냉각기와, 이 냉각기가 설치되는 냉각기 수납실과, 냉각기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를 복수의 저장실에 송풍하는 송풍기와, 복수의 저장실에 각각 냉기를 송풍하는 제1 송풍 덕트 및 제2 송풍 덕트와, 이 제1 송풍 덕트 및 제2 송풍 덕트에의 송풍을 제어하는 댐퍼 장치를 구비하고, 댐퍼 장치는, 제1 송풍 덕트에 냉기를 송풍하는 제1 개구를 갖는 제1 프레임과, 제2 송풍 덕트에 냉기를 송풍하는 제2 개구를 갖는 제2 프레임과, 제1 개구 및 제2 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제1 개폐체 및 제2 개폐체와,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제1 개폐체 및 제2 개폐체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제1 개폐체의 일변측에 제1 구동축을 설치하고, 제1 개폐체의 일변측과 대향하는 타변측에 제2 구동축은 설치하고, 송풍기의 상단부는 제1 개폐체 및 제2 개폐체의 회전 궤적의 교점의 하방 근방이면서, 또한 제1 개폐체 및 제2 개폐체의 회전 궤적의 최하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설치 효율이 향상됨과 함께, 원활하게 냉기를 송풍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 성능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댐퍼 장치의 전단부와 냉각기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선보다 안측에 송풍기의 하단부가 위치하고, 이 송풍기의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한다. 이에 의해, 저장실의 유효 내부 용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저장실은 냉장 온도대실 및 상기 냉장 온도대실의 하방에 설치한 냉동 온도대실이며, 이 냉동 온도대실의 후방에 댐퍼 장치를 구비하고, 제1 송풍 덕트는 냉장 온도대실에 연통되고, 제2 송풍 덕트는 냉동 온도대실에 연통되고, 제1 개폐체 및 제2 개폐체를 개방한 경우, 제2 개폐체는 제1 개폐체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제1 개폐체 및 제2 개폐체는 송풍기로부터의 냉기를 각각 제1 송풍 덕트 및 제2 송풍 덕트로 안내한다. 이에 의해, 저장실에 배치에 대응하여 원활하게 냉기를 송풍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 성능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상기 제1 개폐체를 개방한 경우, 상기 제1 개폐체의 연장선보다 전방에 상기 송풍기가 위치한다. 이에 의해, 개폐체에 부착된 결로수가 송풍기에 적하되어 동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냉장고
2: 냉장실(냉장 온도대실)
2d: 칠드실
3: 제빙실(냉동 온도대실)
4: 상단 냉동실(냉동 온도대실)
5: 하단 냉동실(냉동 온도대실)
6: 야채실(냉장 온도대실)
20: 제1 댐퍼 장치(트윈 댐퍼)
50: 제2 댐퍼 장치
60: 구동 수단
60b: 제1 축 구멍
60c: 제2 축 구멍
61a, 104a: 제1 구동축
61b, 104b: 제2 구동축
62a, 102a: 제1 개구
62b, 102b: 제2 개구
63a, 101a: 제1 프레임
63b, 101b: 제2 프레임
64a, 103a: 제1 개폐체
64b, 103b: 제2 개폐체
65a: 제1 지지축
65b: 제2 지지축
66a: 제1 접촉부
66b: 제2 접촉부
70: 모터
71: 출력축
72: 피니언 기어
73: 아이들러 기어
74: 아이들러 지지점
75: 출력 기어
75e: 감합축
76: 간헐 기어
77: 크랭크 기어
78: 크랭크 기어 지지점
79: 크랭크 아암
100: 트윈 댐퍼 장치
107: 구획 부재
108: 냉동 온도대실 송풍 덕트(제2 송풍 덕트)
109: 냉장실 송풍 덕트(제1 송풍 덕트)

Claims (4)

  1. 냉장고 본체에 구획 형성되어 각각 식품을 수납하는 복수의 저장실과,
    상기 복수의 저장실을 냉각하는 냉기가 열교환되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가 설치되는 냉각기 수납실과,
    상기 냉각기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를 상기 복수의 저장실에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복수의 저장실에 각각 냉기를 송풍하는 제1 송풍 덕트 및 제2 송풍 덕트와,
    상기 제1 송풍 덕트 및 상기 제2 송풍 덕트에의 송풍을 제어하는 댐퍼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댐퍼 장치는,
    상기 제1 송풍 덕트에 냉기를 송풍하는 제1 개구를 갖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송풍 덕트에 냉기를 송풍하는 제2 개구를 갖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를 각각 개폐하는 제1 개폐체 및 제2 개폐체와,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개폐체 및 상기 제2 개폐체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개폐체의 일변측에 제1 구동축을 설치하고, 상기 제1 개폐체의 상기 일변측과 대향하는 타변측에 제2 구동축을 설치하고,
    상기 송풍기의 상단부는 상기 제1 개폐체 및 상기 제2 개폐체의 회전 궤적의 교점의 하방 근방이면서, 또한 상기 제1 개폐체 및 상기 제2 개폐체의 상기 회전 궤적의 최하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장치의 전단부와 상기 냉각기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선보다 안측에 상기 송풍기의 하단부가 위치하고, 상기 송풍기의 하단부가 상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저장실은 냉장 온도대실 및 상기 냉장 온도대실의 하방에 설치한 냉동 온도대실이며, 상기 냉동 온도대실의 후방에 상기 댐퍼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송풍 덕트는 냉장 온도대실에 연통되고, 상기 제2 송풍 덕트는 냉동 온도대실에 연통되고,
    상기 제1 개폐체 및 상기 제2 개폐체를 개방한 경우, 상기 제2 개폐체는 상기 제1 개폐체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개폐체 및 상기 제2 개폐체는 상기 송풍기로부터의 냉기를 각각 제1 송풍 덕트 및 제2 송풍 덕트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체를 개방한 경우, 상기 제1 개폐체의 연장선보다 전방에 상기 송풍기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00080167A 2010-05-24 2010-08-19 냉장고 KR101145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17914 2010-05-24
JP2010117914A JP5350322B2 (ja) 2010-05-24 2010-05-24 冷蔵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715A KR20110128715A (ko) 2011-11-30
KR101145548B1 true KR101145548B1 (ko) 2012-05-15

Family

ID=45008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167A KR101145548B1 (ko) 2010-05-24 2010-08-19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50322B2 (ko)
KR (1) KR101145548B1 (ko)
CN (1) CN1022617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2937B2 (ja) * 2012-03-13 2015-12-16 ハイアールアジア株式会社 冷蔵庫
JP5847626B2 (ja) * 2012-03-26 2016-01-27 ハイアールアジア株式会社 冷蔵庫及びその運転方法
JP5912746B2 (ja) * 2012-03-28 2016-04-27 アクア株式会社 冷蔵庫
KR101931940B1 (ko) * 2012-07-13 2018-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6165669B2 (ja) * 2014-04-17 2017-07-1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CN105546916B (zh) * 2015-12-30 2018-04-2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风道系统及具有该风道系统的冰箱
CN106247735B (zh) * 2016-07-12 2019-08-1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
CN107726706B (zh) * 2017-09-22 2019-12-31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控风装置和制冷设备
CN108283407A (zh) * 2017-12-14 2018-07-17 天津天阳时代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陈列架制冷装置
DE102020131304A1 (de) 2020-10-08 2022-04-14 Liebherr-Hausgeräte Ochsenhausen GmbH Kühl- und/oder Gefriergerä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7853A (ja) * 2001-05-08 2001-11-16 Sankyo Seiki Mfg Co Ltd ダブルダンパー装置
JP2005331148A (ja) * 2004-05-19 2005-12-02 Mitsubishi Material Cmi Kk 間冷式冷蔵庫の冷気調整用ダンパ
JP2006183892A (ja) * 2004-12-27 2006-07-13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924C (zh) * 1996-08-27 2003-11-05 Lg电子株式会社 在冰箱中供给冷气的装置和方法
JP3724978B2 (ja) * 1999-04-22 2005-12-0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ダブルダンパー装置
JP3819014B2 (ja) * 2004-12-15 2006-09-06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4739926B2 (ja) * 2005-11-24 2011-08-03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4646857B2 (ja) * 2006-06-09 2011-03-09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2008298332A (ja) * 2007-05-30 2008-12-11 Aisin Seiki Co Ltd 冷蔵庫
JP4564994B2 (ja) * 2007-09-07 2010-10-2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2009068800A (ja) * 2007-09-14 2009-04-02 Sharp Corp 冷蔵庫
JP5401889B2 (ja) * 2008-08-07 2014-01-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蔵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7853A (ja) * 2001-05-08 2001-11-16 Sankyo Seiki Mfg Co Ltd ダブルダンパー装置
JP2005331148A (ja) * 2004-05-19 2005-12-02 Mitsubishi Material Cmi Kk 間冷式冷蔵庫の冷気調整用ダンパ
JP2006183892A (ja) * 2004-12-27 2006-07-13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61790B (zh) 2014-04-16
JP5350322B2 (ja) 2013-11-27
CN102261790A (zh) 2011-11-30
KR20110128715A (ko) 2011-11-30
JP2011247440A (ja)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548B1 (ko) 냉장고
US8132423B2 (en) Refrigerator with selective airflow passages between the icemaker and the ice making evaporator
KR101250157B1 (ko) 댐퍼 장치 및 댐퍼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US8733113B2 (en) Ice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696846B1 (ko)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KR101121377B1 (ko) 댐퍼 장치 및 댐퍼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JP2006242463A (ja) 冷蔵庫
US20170292750A1 (en) Refrigerator
KR20110027565A (ko) 댐퍼 장치 및 댐퍼 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US2020014163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refrigerator through mechanical rotary knob
WO2009072773A2 (en) Refrigerator
JP2013256964A (ja) 冷媒切替弁及びこれを備えた機器
JP2011247438A (ja) ダンパ装置及びダンパ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H09303936A (ja) 冷蔵庫のダンパー装置
JP5530855B2 (ja) 冷蔵庫
JP2011058694A (ja) ダンパ装置及びダンパ装置を用いた冷蔵庫
JP5350321B2 (ja) 冷蔵庫
JP5372666B2 (ja) ダンパ装置及びダンパ装置を備えた冷蔵庫
CN112313462A (zh) 遮蔽装置及具有该遮蔽装置的冰箱
JP2012122704A (ja) 冷蔵庫
JP5331566B2 (ja) ダンパ装置及びダンパ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2013024441A (ja) ダンパ装置及び冷蔵庫
JP5380216B2 (ja) 冷蔵庫
WO2022135352A1 (zh) 冰箱
JP5202484B2 (ja) ダンパ装置及びダンパ装置を用いた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