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663B1 - 모터 및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및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663B1
KR101142663B1 KR1020100080746A KR20100080746A KR101142663B1 KR 101142663 B1 KR101142663 B1 KR 101142663B1 KR 1020100080746 A KR1020100080746 A KR 1020100080746A KR 20100080746 A KR20100080746 A KR 20100080746A KR 101142663 B1 KR101142663 B1 KR 101142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ll prevention
bush
motor
stator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0202A (ko
Inventor
히데히코 히다카
시게오 하야시
히로유키 이치자키
아키히로 나카가와
다츠야 다타라
하루시게 오사와
아츠시 이노우에
가즈야 이치무라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9183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04420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1462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067084A/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0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only one end of the rot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9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with magnetic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Rotational Drive Of Disk (AREA)

Abstract

모터는 축받이 기구와, 상기 축받이 기구의 직경방향 외측에 마련된 스테이터를 갖는 정지부와, 상기 축받이 기구에 의해 상기 정지부의 위쪽에서 지지되고, 상기 정지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가 상기 스테이터를 덮는 덮개를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로터 요크를 구비하고, 상기 축받이 기구가, 프레스가공으로 성형된 바닥을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부시와, 상기 부시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부가 상기 부시로부터 돌출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에 삽입되는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부시의 상단의 위치가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상단보다도 낮거나 또는 상기 상단과 동일하다.

Description

모터 및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MOTOR AND STORAGE DISK DRIVE APPARATUS}
본 발명은 전동식의 모터 및 그 모터를 구비한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동식의 모터에는 슬라이딩 축받이를 거쳐서 회전부가 정지부에 대해 지지되는 것이 있다.
그런데, 박형의 모터에서는 슬리브를 유지하는 부시와 부시의 위쪽에 위치하는 덮개를 갖는 원통형상의 로터 요크의 사이에, 예압 마그네트 등을 마련하는 설계를 실행하면, 모터가 중심 축방향으로 커져 버린다. 또한, 슬리브가 샤프트를 적절히 지지하기 때문에, 슬리브 및 샤프트의 축받이면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모터의 제조 비용도 저감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부시와 로터 요크의 덮개부 사이에 모터의 다른 부품이 마련되는 경우에 있어서, 모터가 중심 축방향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한 모터 및 그를 구비한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는, 축받이 기구와, 상기 축받이 기구의 직경방향 외측에 마련된 스테이터를 갖는 정지부와, 상기 축받이 기구에 의해 상기 정지부의 위쪽에서 지지되고, 상기 정지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가, 상기 스테이터를 덮는 덮개를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로터 요크를 구비하고, 상기 축받이 기구가, 프레스가공으로 성형된 바닥을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부시와, 상기 부시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부가 상기 부시로부터 돌출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에 삽입되는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부시의 상단의 위치가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상단보다도 낮거나 또는 상기 상단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시와 로터 요크의 덮개부 사이에 모터의 다른 부품이 마련되는 경우에 있어서, 모터가 중심 축방향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빠짐 방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른 빠짐 방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B-B선을 따른 빠짐 방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모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모터의 조립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빠짐 방지 부재의 원(元)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빠짐 방지 부재 및 디스크 탑재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빠짐 방지 부재 및 예압 마그네트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회전부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회전부, 정지부 및 축받이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회전부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빠짐 방지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회전부, 정지부 및 축받이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부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빠짐 방지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빠짐 방지 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스테이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회전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중심축 J1 방향에 있어서의 상측을 단지 「상측」이라 하고, 하측을 단지「하측」이라 한다. 또, 「상측」 및 「하측」은 실제의 기기에 조립되었을 때의 위치 관계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10)는 모터(1)와, 액세스부(11)와, 이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상자형상의 하우징(12)을 구비한다. 모터(1)는 높이가 수㎜ 내지 십 수㎜의 슬림형이다. 모터(1)에서는 후술하는 척킹 장치(5)가 기록 디스크(9)의 중앙 구멍(91)에 끼워 맞춰지고, 척킹 장치(5)에 의해 기록 디스크(9)가 고정된다. 액세스부(11)는 헤드(111)와, 헤드 이동 기구(112)를 구비한다. 헤드(111)는 기록 디스크(9)에 대한 정보의 판독 및/또는 기입을 실행하는 광픽업 기구이다. 기록 디스크(9)로서, 예를 들면, 블루레이 디스크가 이용된다. 다른 종류의 광디스크가 이용되어도 좋다.
헤드 이동 기구(112)는 헤드(111)를 모터(1) 및 기록 디스크(9)에 대해 이동시킨다. 헤드(111)는 광출사부와 수광부를 갖는다. 광출사부는 기록 디스크(9)의 하면을 향해 레이저광을 출사한다. 수광부는 기록 디스크(9)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한다. 하우징(12)은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10)내에의 기록 디스크(9)의 부착 및 취출시에 개폐하는 덮개부(121)를 상부에 갖는다.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10)에서는 모터(1)에 의해 기록 디스크(9)가 회전되고, 헤드 이동 기구(112)가 헤드(111)를 소요의 위치로 이동시켜, 기록 디스크(9)에 대한 정보의 판독 및/또는 기입이 실행된다.
도 2는 모터(1)의 종단면도이다. 기록 디스크(9)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모터(1)는 고정 조립체인 정지부(2)와 축받이 기구(3)와 회전 조립체인 회전부(4)와 척킹 장치(5)를 구비한다. 회전부(4)는 정지부(2) 및 축받이 기구(3)의 위쪽에 위치하고, 축받이 기구(3)에 의해, 정지부(2)에 대해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척킹 장치(5)는 회전부(4)의 상부에 마련된다.
정지부(2)는 대략 판형상의 베이스부(21)와 스테이터(22)와 환상의 스테이터 유지 부재(23)와 회로 기판(24)을 구비한다. 베이스부(21)는 금속으로 형성된다. 베이스부(21)의 중앙에 마련된 원통형상의 축받이 홀더(211)에는 축받이 기구(3)가 부착된다. 스테이터(22)는 축받이 기구(3)의 직경방향 외측에 마련되고, 스테이터 코어(221)와, 스테이터 코어(221)상에 형성된 복수의 코일(222)을 구비한다. 스테이터 코어(221)는 적층 강판으로 형성된다. 회로 기판(24)은 베이스부(21)상에 배치된다. 스테이터 유지 부재(23)는 축받이 기구(3)의 주위에 마련되는 동시에, 스테이터(22)의 상단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한다. 정지부(2)에서는 스테이터 코어(221)가 스테이터 유지 부재(23)의 외주에 마련되는 것에 의해, 스테이터(22)가 축받이 기구(3)에 간접적으로 고정된다.
도 3은 축받이 기구(3)의 근방을 확대해서 도시하는 도면이다. 축받이 기구(3)는 샤프트(31)와, 바닥을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부시(32)와, 슬리브(33)와, 윤활유(34)를 구비한다. 부시(32)는 자성재료를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해 성형된다. 이것에 의해, 부시(32)는 저렴하게 제조 가능하다. 부시(32)의 하부는 축받이 홀더(211)의 내측에 고정된다. 윤활유(34)는 부시(32)의 내측에 유지된다.
부시(32)의 원통부(321)의 외측면에는 스테이터 유지 부재(23)가 부착된다. 원통부(321)의 상부는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플랜지부를 구비한다. 이하, 상부를 「플랜지부(321a)」라 한다. 플랜지부(321a)는 드로잉 가공으로 성형되는 것에 의해,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부시(32)에서는 플랜지부(321a)의 위치, 즉 부시(32)의 상단의 위치가 중심축 J1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코일(222)의 상단(222a)의 위치보다도 낮다. 부시(32)의 바닥부(322)의 내저면에는 원판형상의 스러스트 플레이트(35)가 마련된다. 스러스트 플레이트(35)는 슬리브(33)의 하단에 접촉하고 슬리브(33)에 눌러져 고정된다.
슬리브(33)는 함유성(含油性)의 다공질 소결 금속체에 의해 형성되고, 부시(32)의 내측면(321b)에 압입으로 고정된다. 슬리브(33)의 상부(331)는 부시(32)로부터 돌출된다. 슬리브(33)의 내측면(332)의 중앙부는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방향(이하, 단지「직경방향」이라 함)에 있어서의 바깥쪽을 향해 움푹 패인다. 슬리브(33)의 외측면(333)의 하부(333b)는 직경방향 안쪽을 향해 움푹 패이고, 외측면(333)과 부시(32)의 내측면(321b)의 사이에 간극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슬리브(33)는 소위, 중간 오목 구조(intermediate recess structure)를 갖고 있다. 슬리브(33)에 있어서, 움푹 패여 있는 내측면(332)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외측면(333)의 외주부의 일부분이 부시(32)에 가압되고 또한 외측면(333)의 상부(333a) 및 하부(333b)는 부시(32)에 가압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슬리브(33)는 내경의 정밀도가 확보되면서, 부시(32)에 고정된다.
모터(1)에서는 슬리브(33)에 삽입된 샤프트(31)의 하단이 스러스트 플레이트(35)를 거쳐서 부시(32)의 바닥부(322)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샤프트(31)가 스러스트 방향으로 안정하게 지지된다. 또한, 샤프트(31)는 슬리브(33)에 의해, 윤활유(34)를 거쳐서 반경방향으로 지지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부(4)는 덮개를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로터 요크(41)와, 로터 마그네트(42)와, 링형상의 예압 마그네트(43)와, 환상(環狀) 러버(44)와, 환상의 빠짐 방지 부재(6)를 구비한다. 로터 요크(41)는 자성재료로 형성되고 스테이터(22)를 덮는다. 로터 요크(41)는 덮개부와, 원통부(412)와, 원통형상의 샤프트 고정부(413)를 구비하고, 덮개부는 디스크 탑재부(411)로 되어 있다. 디스크 탑재부(411)는 중심축 J1에 대략 수직이고, 척킹 장치(5)의 주위로 확대된다. 디스크 탑재부(411)에는 둘레방향으로 복수의 관통 구멍(414)이 마련된다(도 8 참조). 환상 러버(44)는 디스크 탑재부(411)의 상면의 외주에 마련된다. 기록 디스크(9)는 환상 러버(44)를 거쳐서 간접적으로 디스크 탑재부(411)상에 탑재된다.
원통부(412)는 디스크 탑재부(411)의 외주로부터 아래쪽으로 신장한다. 원통부(412)의 내측면에는 로터 마그네트(42)가 부착된다. 로터 마그네트(42)는 스테이터(22)와 중심축 J1에 수직인 방향으로 대향한다. 모터(1)의 구동시에는 로터 마그네트(42)와 스테이터(22)의 사이에서 자기적 작용이 발생한다. 샤프트 고정부(413)는 디스크 탑재부(411)의 중앙에 마련된다. 샤프트 고정부(413)에는 샤프트(31)의 상부가 삽입된다.
예압 마그네트(43)는 부시(32)의 플랜지부(321a)와 중심축 J1 방향으로 대향하면서, 디스크 탑재부(411)의 하면 상에 마련된다. 예압 마그네트(43)는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방향(이하, 단지「둘레방향」이라 함)에 있어서, 다극 착자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단극 착자보다도 자기 루프가 작아지고, 다른 부재에의 자기적 영향이 줄어든다.
회전부(4)에서는 예압 마그네트(43)가 플랜지부(321a)와 중심축 J1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중첩되는 동시에 플랜지부(321a)에 근접해서 배치되기 때문에, 예압 마그네트(43)와 축받이 기구(3)의 사이에서 충분한 자기적 작용이 발생한다. 예압 마그네트(43)가 스테이터(22)보다도 직경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이것으로부터, 예압 마그네트(43)와 스테이터(22)의 사이에 있어서, 자기적인 간섭이 방지된다. 또한, 모터(1)에서는 예압 마그네트(43)가 스테이터(22)의 상부에 마련되는 경우에 비해, 예압 마그네트(43)에 의한 스테이터(22)의 전기 특성에의 영향이 줄어든다. 빠짐 방지 부재(6)는 디스크 탑재부(411)에 마련된다. 모터(1)는 빠짐 방지 부재(6)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샤프트(31)를 슬리브(33)로부터 용이하게 빼내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빠짐 방지 부재(6)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회전부(4)의 정지부(2)로부터의 분리가 방지된다. 빠짐 방지 부재(6)는 금속의 판 부재를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성형된다.
또한, 예압 마그네트(43)는 슬리브(33)와 축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모터(1)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일 없이, 회전부(4)에 예압을 가할 수 있다.
도 4는 빠짐 방지 부재(6)의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4 중의 화살표 A 및 B의 위치에서 빠짐 방지 부재(6)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에서는 안쪽측에 보이는 형상도 도시하고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6)는 중심축 J1에 수직인 원호형상의 3개의 맞닿음부(611)와, 3개의 상부 돌출부(621)와, 3개의 하부 돌출부(63)와,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3개의 탈락 방지부(64)를 구비한다.
상부 돌출부(621)는 맞닿음부(611)보다도 위쪽으로 돌출된다. 하부 돌출부(63) 및 탈락 방지부(64)는 맞닿음부(611)보다도 아래쪽으로 돌출된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상부 돌출부(621)는 중심축 J1에 평행하게 신장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6)가 디스크 탑재부(411)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부 돌출부(621)가 디스크 탑재부(411)를 향해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맞닿음부(611)는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상부 돌출부(621) 및 하부 돌출부(63)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맞닿음부(611)의 사이에 마련된다. 탈락 방지부(64)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하부 돌출부(63)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돌출부(621)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하부 돌출부(63)와 동일 위치에 위치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돌출부(621)에는 위쪽을 향하면서 직경방향 안쪽을 향하는 경사부(621a)가 마련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부(4)에서는 빠짐 방지 부재(6)의 맞닿음부(611)가 디스크 탑재부(411)의 하면에 접촉한다. 상부 돌출부(621)는 디스크 탑재부(411)의 관통 구멍(414)에 삽입되어 절곡되는 것에 의해, 디스크 탑재부(411)의 상면에 접촉한다. 정확하게는 상부 돌출부(621)는 관통 구멍(414)의 상측의 에지(414a)에 접촉한다.
3개의 맞닿음부(611) 및 3개의 상부 돌출부(621)가 디스크 탑재부(411)를 사이에 두고 있다. 이것에 의해, 디스크 탑재부(411)에 대한 중심축 J1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빠짐 방지 부재(6)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하, 3개의 맞닿음부(611)를 일괄해서 「하부 고정부(61)」라 하고, 3개의 상부 돌출부(621)를 일괄해서 「상부 고정부(62)」라 한다. 하부 고정부(61)는 스테이터(22)의 코일(222)보다도 직경방향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모터(1)를 중심축 J1 방향으로 크게 하는 일 없이, 코일(222)의 권선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하부 돌출부(63)는 디스크 탑재부(411)의 하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고, 스테이터(22)와 부시(32)의 사이에 위치한다. 하부 돌출부(63)에서는 선단부(631)가 직경방향 안쪽을 향해 신장하고, 플랜지부(321a)의 아래쪽에 근접해서 위치한다. 또한, 선단부(631)는 스테이터 코어(221)의 직경방향 내측에 있어서의 상단(221a)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한다. 모터(1)에서는 회전부(4)에 정지부(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에, 선단부(631)가 플랜지부(321a)에 접촉한 것에 의해, 회전부(4)의 정지부(2)로부터의 분리가 방지된다. 이하, 선단부(631)를 「빠짐 방지부(631)」라 한다.
또, 선단부(631)는 스테이터 유지 부재(23)의 상부와 축방향으로 중첩된다.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모터(1)의 자기 스페이스를 제한하는 일 없이, 회전부(4)의 정지부(2)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탈락 방지부(64)에서는 선단(641)이 예압 마그네트(43)의 하면의 아래쪽으로 굴곡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압 마그네트(43) 및 탈락 방지부(64)는 중심축 J1에 평행한 방향 및 직경방향으로 50㎛ 정도 이격된다. 또, 예압 마그네트(43) 및 탈락 방지부(64)는 서로 접촉하여도 좋다.
모터(1)에서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의해, 예압 마그네트(43)가 디스크 탑재부(411)로부터 가령 멀어져도, 예압 마그네트(43)가 탈락 방지부(64)의 선단(641)에 접촉하므로, 예압 마그네트(43)의 아래쪽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6)의 일부를 이용하는 간소한 구조로, 예압 마그네트(43)의 탈락이 용이하게 방지된다. 모터(1)에서는 별도로, 예압 마그네트(43)의 탈락을 방지하는 부품을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줄어든다.
빠짐 방지 부재(6)에서는 하부 돌출부(63) 및 탈락 방지부(64)가 예압 마그네트(43)의 외주에 근접해서 마련되어 있고, 간소한 구조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의한 예압 마그네트(43)의 직경방향 바깥쪽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압 마그네트(43)와 하부 돌출부(63)가 직경방향에 있어서 약간 이격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압 마그네트(43)와 하부 돌출부(63)는 서로 접촉하여도 좋다.
도 8은 모터(1)의 평면도이다. 도 8에서는 척킹 장치(5)의 세부의 도시를 생략하고, 디스크 탑재부(411)의 관통 구멍(414) 및 빠짐 방지 부재(6)의 상부 돌출부(621)를 파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척킹 장치(5)는 센터 케이스(51)와 3개의 발톱 부재(52)와 3개의 코일 스프링(53)과 3개의 얼라인먼트 발톱(調芯爪)(54)을 구비한다. 센터 케이스(51)는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하는 중공이고 또한 두꺼운 원판형상이다. 3개의 발톱 부재(52)는 둘레방향으로 배열되는 동시에, 센터 케이스(51)로부터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둘레방향에 있어서, 발톱 부재(52)의 사이에는 디스크 탑재부(411)의 관통 구멍(414)이 위치한다. 코일 스프링(53)은 센터 케이스(51)내에 수용되어, 발톱 부재(52)를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힘을 가한다. 모터(1)에서는 코일 스프링 대신에, 고무 등의 다른 탄성부재가 이용되어도 좋다. 3개의 얼라인먼트 발톱(54)의 각각은 인접하는 2개의 발톱 부재(52)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톱 부재(52)는 발톱부 본체(521)와 날개부(522)를 구비한다. 발톱부 본체(521)는 아래쪽을 향하는 동시에 직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진 하면(521a)을 갖는다. 날개부(522)는 발톱부 본체(521)의 둘레방향의 양측에 마련된다. 날개부(522)의 하면(522a)은 직경방향에 있어서 만곡된 대략 원통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기록 디스크(9)가 디스크 탑재부(411)상에 고정될 때에는 기록 디스크(9)가 발톱부 본체(521)에 접촉한 것에 의해, 발톱부 본체(521)가 도 9 중에서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운동하는 동시에, 직경방향 안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날개부(522)의 하면(522a)이 디스크 탑재부(411)의 상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한다. 기록 디스크(9)는 도 8의 얼라인먼트 발톱(54)에 의해 중심축 J1에 중심을 맞추면서, 디스크 탑재부(411)상에 탑재된다. 이 때,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톱부 본체(521)의 선단이 기록 디스크(9)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발톱 부재(52)가 코일 스프링(53)에 눌려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되돌려진다. 발톱 부재(52)는 기록 디스크(9)의 중앙 구멍(91)의 상측의 에지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척킹 장치(5)에서는 발톱부 본체(521)의 선단이 상하방향 및 직경방향으로 이동한다. 기록 디스크(9)는 발톱 부재(52)에 의해 직경방향 바깥쪽 및 아래쪽으로 향하는 힘을 받아 디스크 탑재부(411)상에 고정된다.
다음에, 모터(1)의 조립의 흐름, 특히 회전부(4)의 조립의 흐름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의 판부재가 프레스에 펀칭되는 것에 의해, 빠짐 방지 부재(6)의 원 부재(69)가 성형된다. 빠짐 방지 부재(6)에서는 원 부재(69)의 환상의 본체부가 하부 고정부(61)에 대응한다. 본체부에서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부위가 상부 돌출부(621)에 대응한다. 또한, 해당 바깥쪽으로 돌출된 부위의 직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부위가 하부 돌출부(63)에 대응한다. 해당 바깥쪽으로 돌출된 부위의 둘레방향의 양측에서, 직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된 부위가 탈락 방지부(64)에 대응한다.
이하, 원 부재(69)의 각 부위에는 빠짐 방지 부재(6)의 대응하는 부위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면서, 동일한 명칭으로 설명한다.
우선, 상부 돌출부(621)가 중앙부에서 약간 절곡되는 것에 의해, 도 5에 있어서의 경사부(621a)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 돌출부(63)의 선단이 위쪽으로 절곡되고, 하부 돌출부(63)의 선단에 도 5 및 도 6의 빠짐 방지부(631)가 형성된다. 탈락 방지부(64)의 선단도 위쪽으로 절곡된다.
다음에, 하부 돌출부(63)와 하부 고정부(61)의 사이의 부호 ‘65’를 붙이는 위치에서, 하부 돌출부(63)가 하부 고정부(61)로부터 아래쪽으로 절곡된다. 이하, 부호 ‘65’를 붙이는 위치의 부위를 「절곡부(65)」라 한다. 이 때, 하부 돌출부(63)와 직경방향으로 배열하는 상부 돌출부(621)가 위쪽을 향한다. 또한, 탈락 방지부(64)와 하부 고정부(61)의 사이의 부호 ‘66’을 붙이는 위치에서, 탈락 방지부(64)가 하부 고정부(61)에서 아래쪽으로 절곡된다. 이상의 흐름에 의해, 빠짐 방지 부재(6)가 성형된다(스텝 S1).
한편, 빠짐 방지 부재(6)의 성형에 병행해서, 도 2의 로터 요크(41)가 프레스로 성형된다(스텝 S2). 이 때,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 요크(41)의 디스크 탑재부(411)에서는 프레스에 의한 반블랭킹 가공으로 위쪽을 향해 움푹 패이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또한, 오목부의 바닥부가 아래쪽에서 위쪽을 향해 펀칭되는 것에 의해 관통 구멍(414)이 형성된다. 또, 관통 구멍(414)이 형성된 후에, 오목부가 형성되어도 좋다. 관통 구멍(414)에서는 하측의 에지(414b)를 중심축 J1을 포함하는 면으로 절단한 단면이 원활하게 볼록하게 되는 즉 대략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하, 에지(414b)를 「하측 에지(414b)」라 한다.
다음에,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돌출부(63) 및 탈락 방지부(64)가 유지기구(8)의 구멍에 삽입된다. 그리고, 탈락 방지부(64)의 선단(641)에 예압 마그네트(43)가 탑재된다(스텝 S3).
빠짐 방지 부재(6) 및 예압 마그네트(43)는 상대 위치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돌출부(621)가 디스크 탑재부(411)의 관통 구멍(414)에 삽입된다(스텝 S4). 빠짐 방지 부재(6)에서는 상부 돌출부(621)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직경방향의 폭, 즉 경사부(621a)보다도 선단의 부위(이하, 「선단부(621b)」라 함)의 내측면과 경사부(621a)보다도 하측의 하부(621c)의 외측면의 사이의 직경방향의 폭이 관통 구멍(414)의 직경방향의 폭보다도 작다. 이것에 의해, 상부 돌출부(621)가 관통 구멍(414)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삽입의 도중에 있어서, 관통 구멍(414)에서는 상부 돌출부(621)의 선단부(621b)는 관통 구멍(414)의 대략 중앙에 위치한다. 또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부 돌출부(621)의 경사부(621a)가 관통 구멍(414)의 하측 에지(414b)의 직경방향 외측의 부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동시에, 하부(621c)가 관통 구멍(414)의 내측면의 직경방향 외측의 부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한다.
하부 고정부(61)가 디스크 탑재부(411)의 하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빠짐 방지 부재(6)상에의 로터 요크(41)의 탑재가 완료된다. 예압 마그네트(43)는 자기적 작용에 의해 디스크 탑재부(411)의 하면에 접촉한다.
상부 돌출부(621)는 도 14 중에 화살표(89)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탑재부(411)의 상면을 향해 외측으로 절곡되고, 상부 돌출부(621)의 일부가 디스크 탑재부(411)의 상면, 정확하게는 관통 구멍(414)의 상측의 에지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상부 돌출부(621)인 상부 고정부(62) 및 하부 고정부(61)에 의해, 디스크 탑재부(411)가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해서, 디스크 탑재부(411)에 대한 중심축 J1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빠짐 방지 부재(6)의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각 상부 돌출부(621)의 하부(621c)의 외측면이 관통 구멍(414)의 직경방향 외측의 부위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디스크 탑재부(411)에 대한 빠짐 방지 부재(6)의 직경방향의 위치가 고정된다(스텝 S5).
빠짐 방지 부재(6)에서는 도 11에 도시하는 상부 돌출부(621)의 둘레 방향의 폭이 절곡부(65)의 둘레 방향의 폭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부 돌출부(621)를 디스크 탑재부(411)의 상면을 향해 절곡할 때에 소요되는 힘이 절곡부(65)를 소성 변형시키는 힘보다도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빠짐 방지 부재(6)의 고정시에, 도 14에 있어서의 빠짐 방지부(631)의 방향이 변하는 것이 방지된다.
로터 요크(41)에서는 도 2의 디스크 탑재부(411)의 외주 및 원통부(412)의 각각에 환상 러버(44) 및 로터 마그네트(42)가 부착되고, 회전부(4)가 조립된다. 또, 빠짐 방지 부재(6)의 로터 요크(41)에의 부착 전에, 환상 러버(44) 및 로터 마그네트(42)가 부착되어도 좋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탑재부(411)상에 척킹 장치(5)가 부착된다(스텝 S6).
한편, 정지부(2) 및 축받이 기구(3)가 별도로 조립되고, 축받이 기구(3)가 정지부(2)에 부착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6)의 빠짐 방지부(631)와 부시(32)의 플랜지부(321a)가 상하방향으로 대향하도록, 회전부(4)가 축받이 기구(3)의 위쪽에 배치된다.
회전부(4)는 축받이 기구(3)를 향해 하강하고, 빠짐 방지부(631)가 플랜지부(321a)에 접촉한다. 빠짐 방지부(631)는 탄성 변형되고, 회전부(4)가 더욱 하강하면, 복원력에 의해 빠짐 방지부(631)가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오는 동시에, 빠짐 방지부(631)가 플랜지부(321a)의 아래쪽에 근접해서 위치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축받이 기구(3)를 거쳐서 회전부(4)와 정지부(2)가 조립된다(스텝 S7).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1)에서는 하부 고정부(61)를 디스크 탑재부(411)의 하면에 접촉하게 하면서, 상부 고정부(62)를 코킹에 의해 관통 구멍(414)의 상측의 에지에 접촉하게 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간단한 구조로 빠짐 방지 부재(6)를 디스크 탑재부(411)에 용이하고 또한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모터(1)의 제조의 자동화가 용이하게 실현된다. 빠짐 방지 부재(6)가 코킹에 의해 강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로터 요크(41)에 대한 빠짐 방지 부재(6)의 덜컹거림이 방지된다. 빠짐 방지 부재(6)가 환상인 것에 의해, 빠짐 방지 부재(6)의 디스크 탑재부(411)에의 고정 작업에 있어서, 빠짐 방지 부재(6)의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부 고정부(62) 및 하부 고정부(61)가 모두 직경방향 바깥쪽을 향하기 때문에, 빠짐 방지 부재(6)를 디스크 탑재부(411)에 더욱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회전부(4)에서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상부 돌출부(621)가 척킹 장치(5)의 발톱 부재(52)의 사이에 마련되기 때문에, 기록 디스크(9)의 부착시에 있어서, 디스크 탑재부(411)의 상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발톱 부재(52)가 상부 돌출부(621)에 간섭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모터(1)에서는 발톱 부재(52)와 빠짐 방지 부재(6)의 사이의 간섭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모터(1)의 설계가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척킹 장치(5)가 중심축 J1 방향으로 두껍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스테이터(22)는 스테이터 유지 부재(23)를 거쳐서 부시(32)에 고정되기 때문에, 스테이터 코어(221)를 부시(32)에 직접 고정시키는 경우에 비해, 스테이터 코어(221)의 형상이 간소화된다.
모터(1)에서는 플랜지부(321a)의 위치가 코일(222)의 상단(222a)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모터(1)를 중심축 J1 방향으로 크게 하는 일 없이, 부시(32)와 디스크 탑재부(411)의 사이에 예압 마그네트(43)를 마련할 수 있다. 예압 마그네트(43)가 플랜지부(321a)에 자기적으로 작용하므로, 별도로 축받이 기구(3)에 자성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부품수가 감소한다. 회전부(4)에서는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로터 요크(41)에 예압 마그네트(43)를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모터(1)의 제조의 자동화가 용이하게 된다. 축받이 기구(3)에서는 슬리브(33)의 상부(331)가 부시(32)로부터 돌출되는 것에 의해, 슬리브(33)의 내측면(332)인 축받이면의 상단과 하단의 사이의 거리가 확보된다.
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하부 돌출부(63)의 사이에 탈락 방지부(64)가 마련된다. 이 때문에, 하부 돌출부(63)에 탈락 방지부를 마련하는 경우에 비해, 탈락 방지부(64)가 용이하고 또한 정밀도 좋게 성형된다. 기술한 바와 같이, 상부 돌출부(621)에 경사부(621a)가 마련되는 동시에, 디스크 탑재부(411)의 관통 구멍(414)의 직경방향의 폭이 상부 돌출부(621)의 직경방향의 폭보다도 크다. 이것에 의해, 빠짐 방지 부재(6)의 디스크 탑재부(411)에의 고정시에, 중심축 J1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상부 돌출부(621)와 관통 구멍(414)이 약간 어긋나 버려도, 상부 돌출부(621)가 관통 구멍(414)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또한, 관통 구멍(414)에서는 하측 에지(414b)의 단면이 원활하게 볼록하게 되어 있다, 즉, 하측 에지(414b)가 관통 구멍(414)의 내측을 향해 원활하게 만곡된다. 이것에 의해, 빠짐 방지 부재(6)의 상부 돌출부(621)가 관통 구멍(414)에 삽입될 때에, 관통 구멍(414)에 대한 상부 돌출부(621)의 허용되는 어긋남량을 크게 할 수 있고, 상부 돌출부(621)를 용이하게 관통 구멍(414)에 삽입할 수 있다. 그 결과, 모터(1)의 제조의 자동화가 더욱 용이하게 실현된다.
정지부(2)에서는 스테이터 유지 부재(23)가 스테이터(22)의 상단, 즉 코일(222)의 상단(222a)보다도 중심축 J1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아래쪽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스테이터 유지 부재(23)를 향해 신장하는 하부 돌출부(63)의 길이가 충분히 확보된다. 이것에 의해, 회전부(4) 및 정지부(2)의 조립시에, 하부 돌출부(63)를 충분히 휘게 하면서, 빠짐 방지부(631)를 플랜지부(321a)의 아래쪽에 삽입할 수 있다. 빠짐 방지 부재(6)에서는 스테이터(22)와 부시(32)의 사이에서, 스테이터(22)의 상단보다도 아래쪽에 빠짐 방지부(631)가 위치하는 것에 의해, 모터(1)를 크게 하는 일 없이, 빠짐 방지를 실행할 수 있다.
모터(1)에서는 빠짐 방지 부재(6)의 디스크 탑재부(411)에의 고정이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실행되기 때문에, 모터(1)의 조립 공정수가 감소한다. 또한, 빠짐 방지 부재(6)를 용접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에 비해, 용접시에, 입상의 용융 금속, 소위 용접 볼의 비산이 방지된다. 외관 검사에 의해, 용접 볼의 유무를 확인하는 작업도 불필요하게 된다.
모터(1)에서는 축받이 기구내에서 빠짐 방지가 실행되는 구조의 모터에 비해, 빠짐 방지 부재를 부착하기 위해 필요한 샤프트나 부시의 가공이 불필요하게 되고, 제조 비용이 감소한다. 슬리브의 축방향 길이가 짧아지는 것도 방지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1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빠짐 방지 부재를 로터 요크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는 수지로 형성된 빠짐 방지 부재(6a)를 갖는다. 빠짐 방지 부재(6a)에서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빠짐 방지 부재(6)의 상부 돌출부(621) 대신에 봉형상의 3개의 상부 돌출부(622)를 구비한다. 도 16에서는 상부 돌출부(622)를 2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다른 형상은 빠짐 방지 부재(6)와 동일하다. 모터의 다른 구조는 도 2의 모터(1)와 동일하다. 이하,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모터가 조립될 때에는 우선, 소정의 금형으로 형성된 캐비티내에 수지가 유입되는 것에 의해, 빠짐 방지 부재(6a)가 성형된다(도 10: 스텝 S1). 빠짐 방지 부재(6a)의 성형에 병행해서, 로터 요크(41)가 프레스로 성형된다(스텝 S2). 이 때, 로터 요크(41)에는 원형의 관통 구멍이 아래로부터의 펀칭으로 형성된다. 다음에, 도 13과 동일하게, 빠짐 방지 부재(6a)가 유지 기구(8)에 유지된 상태에서, 빠짐 방지 부재(6a)의 내측에 예압 마그네트(43)가 탑재된다(스텝 S3).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6a)의 상부 돌출부(622)가 디스크 탑재부(411)의 관통 구멍(414)에 삽입되는 동시에(스텝 S4), 하부 고정부(61)가 디스크 탑재부(411)의 하면에 접촉한다. 상부 돌출부(622)는 가열되며, 디스크 탑재부(411)의 상면 상에 눌려 찌부러진다. 상부 돌출부(622)의 용융된 부위는 디스크 탑재부(411)의 상면에 접촉하게 되고, 디스크 탑재부(411)에 대한 중심축 J1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빠짐 방지 부재(6a)의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복수의 상부 돌출부(622)와, 관통 구멍(414)의 내측면의 직경방향 내측 또는 외측의 부위가 직경방향으로 접촉한 것에 의해, 디스크 탑재부(411)에 대한 빠짐 방지 부재(6a)의 직경방향의 위치가 고정된다(스텝 S5).
그 후, 디스크 탑재부(411)상에 도 8에 도시하는 척킹 장치(5)가 부착된다(스텝 S6). 회전부(4)에서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척킹 장치(5)의 발톱 부재(52)의 사이에, 디스크 탑재부(411)의 관통 구멍(414)이 위치한다.
한편, 정지부(2) 및 축받이 기구(3)가 별도로 조립되고, 축받이 기구(3)가 정지부(2)에 부착된다. 도 15와 동일하게, 빠짐 방지 부재(6a)의 빠짐 방지부(631)와 부시(32)의 플랜지부(321a)가 상하방향으로 대향하면서, 회전부(4)가 축받이 기구(3)를 향해 이동한다. 빠짐 방지부(631)가 플랜지부(321a)에 접촉하면, 빠짐 방지부(631)가 탄성 변형된다. 회전부(4)는 아래쪽으로 더욱 이동하고, 빠짐 방지부(631)는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동시에 플랜지부(321a)의 아래쪽에 근접해서 위치한다.
이상과 같이 해서, 축받이 기구(3)를 거쳐서 회전부(4)와 정지부(2)가 조립된다(스텝 S7).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하부 고정부(61)를 디스크 탑재부(411)의 하면에 접촉하게 하고, 상부 고정부(62)를 소위 수지 용착 코킹에 의해 디스크 탑재부(411)의 상면에 접촉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간단한 구조로 빠짐 방지 부재(6a)가 디스크 탑재부(411)에 용이하고 또한 강고하게 고정된다. 그 결과, 모터의 제조의 자동화가 용이하게 실현된다.
(제 3 실시형태)
도 17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모터(1a)의 탑재되는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에서는 기록 디스크(9)가,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의 하우징에 마련된 가동식의 트레이에 탑재된 상태에서, 하우징내에 삽입되고, 하우징으로부터 취출된다.
디스크 탑재부(411)의 상부의 중앙에는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디스크 유지부(5a)가 마련된다. 디스크 유지부(5a)는 상부의 외주부에서 아래쪽을 향해 신장하는 복수의 발톱(55)을 갖는다. 또한, 둘레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발톱(55)의 사이에는 디스크 유지부(5a)의 하부에 절결부(56)가 마련된다. 디스크 유지부(5a)에는 또한 클램프 마그네트(57) 및 클램프 요크(58)가 마련된다. 회전부(4)에서는 절결부(56)와 중심축 J1에 평행한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빠짐 방지 부재(6)의 상부 돌출부(621)가 마련된다. 모터(1a)의 다른 구조는 도 2의 모터(1)와 동일하다.
기록 디스크(9)가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에 삽입되면, 기록 디스크(9)의 중앙 구멍(91)이 모터(1a)의 디스크 유지부(5a)의 위쪽에 배치된다. 이것과 함께, 모터(1a)가 상승하여, 디스크 유지부(5a)가 기록 디스크(9)의 중앙 구멍(91)에 끼워 맞춰진다. 또한, 클램프 마그네트(57)에 의해, 디스크 탑재부(411)와 클램퍼(13)의 사이에 기록 디스크(9)가 클램프된다. 이 때, 기록 디스크(9)의 중앙 구멍(91)과 발톱(55)이 접하고, 발톱(55)은 직경방향 안쪽으로 탄성 변형된다. 디스크 유지부(5a)에서는 발톱(55)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기록 디스크(9)의 중심을 중심축 J1상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모터(1a)에 있어서도, 하부 고정부(61)를 디스크 탑재부(411)의 하면에 접촉하게 하면서, 상부 고정부(62)를 코킹에 의해 디스크 탑재부(411)의 상면에 접촉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간단한 구조로 빠짐 방지 부재(6)를 디스크 탑재부(411)에 용이하고 또한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빠짐 방지 부재(6)의 구조는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해도 좋다.
(제 4 실시형태)
도 18은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빠짐 방지 부재(6) 및 플랜지부(321a)의 평면도이다. 플랜지부(321a)는 직경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작은 부위(711)를 갖는다. 이하, 부위(711)를 「협폭부(711)」라 한다. 또한, 플랜지부(321a)의 직경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협폭부(711)보다도 큰 부위를 「광폭부(712)」라 한다. 협폭부(711)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플랜지부(321a)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은 중심축 J1에 관해 비대칭이다.
협폭부(711)의 직경방향 외측의 에지의 반경은 중심축 J1에서 빠짐 방지부(631)의 선단까지의 거리보다도 작다. 부시(32)의 다른 형상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1)의 부시(32)와 동일하다. 모터의 다른 구조도 모터(1)와 동일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3개의 빠짐 방지부(631)를 구별할 때에는 도 18의 우측 하부의 것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제 1 내지 제 3 빠짐 방지부(631a~631c)」로 한다.
둘레방향에 있어서 협폭부(711)가 존재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하는 각도 θ1(이하, 단지 「협폭부(711)의 각도 θ1」이라 함)은 제 1 빠짐 방지부(631a)의 제 3 빠짐 방지부(631c)측의 단부(651)로부터, 제 2 빠짐 방지부(631b)의 제 3 빠짐 방지부(631c)측의 단부(652)를 향하는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하는 반시계방향의 각도 θ2보다도 크다. 또, 정확하게는 제 1 빠짐 방지부(631a)의 제 3 빠짐 방지부(631c)측의 단부(651)는 제 1 빠짐 방지부(631a)의 광폭부(712)와 중첩되는 부위의 제 3 빠짐 방지부(631c)측의 단부(651)를 가리킨다. 제 2 빠짐 방지부(631b)의 제 3 빠짐 방지부(631c)측의 단부(652)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협폭부(711)의 각도 θ1은 제 1 빠짐 방지부(631a)의 제 3 빠짐 방지부(631c)측의 단부(651)로부터, 제 3 빠짐 방지부(631c)의 제 1 빠짐 방지부(631c)측의 단부(653)를 향하는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하는 반시계방향의 각도 θ3보다도 작다. 협폭부(711)의 각도 θ1이 상기 범위인 것에 의해, 모터(1)의 회전시에 있어서, 항상 제 1 내지 제 3 빠짐 방지부(631a~631c) 중의 어느 하나의 전체가 협폭부(711)의 외측에 존재한다. 또한, 나머지 2개의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중심축 J1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광폭부(712)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모터(1)에서는 도 19에 도시하는 회전부(4)가 위쪽으로 이동했을 때에, 2개의 빠짐 방지부(631)가 플랜지부(321a)의 광폭부(712)와 접촉한다. 다른 1개의 빠짐 방지부(631)는 협폭부(711)의 외측에 위치하고, 플랜지부(321a)와 접하지 않는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빠짐 방지부(631)는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광폭부(712)와 2개의 빠짐 방지부(631)가 접촉하는 접촉 위치는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해서 180도에 차지 않는 범위내에 존재한다. 이와 같이, 맞닿음 위치의 존재하는 범위, 즉 빠짐 방지 부재(6)에 의해 회전부(4)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범위가 180도 미만인 것에 의해, 빠짐 방지 부재(6)의 협폭부(711) 근방의 부위가 위쪽을 향하도록, 회전부(4) 전체가 약간 경사진다.
그 결과, 도 19에 도시하는 샤프트(31)는 슬리브(33)의 내측면(332)에 강하게 접촉한다. 샤프트(31)와 슬리브(33)의 사이에는 마찰력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모터(1)에서는 빠짐 방지 부재(6)를 부시(32)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힘인 발거력(拔去力)을 증대할 수 있다.
한편, 모터(1)의 조립시에 있어서,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31)를 슬리브(33)에 삽입할 때에는 중심축 J1이 정확하게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지그에 의해 회전부(4)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부(4)가 아래쪽으로 눌러진다. 이 때, 3개의 빠짐 방지부(631) 중 1개의 빠짐 방지부(631)는 협폭부(711)를 비접촉으로 통과한다. 그런데,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시(32)의 플랜지부(321a)에서는 협폭부(711)의 직경방향의 폭이 광폭부(712)보다도 작기 때문에, 예압 마그네트(43)와 협폭부(711)의 사이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단위길이당 자기적 흡인력은 예압 마그네트(43)와 광폭부(712)의 사이의 자기적 흡인력보다도 작다. 모터(1)의 회전시에는 플랜지부(321a)와 예압 마그네트(43)의 사이에, 광폭부(712)측을 향해 샤프트(31)를 경사시키는 힘인 소위 측압이 발생한다. 특히, 모터(1)의 저속 회전시에는 측압에 의해, 샤프트(31)가 정지부(2)에 대해 일정한 방향으로 기운 상태가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저속 회전시에 있어서의 모터(1)의 회전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이상, 제 4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예압 마그네트가 회전부에 마련되는 구조의 모터에서는 예압 마그네트가 회전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예압 마그네트의 절반에만 착자시키거나, 예압 마그네트의 형상을 둘레방향으로 변화시켜도, 일정한 방향으로 샤프트(31)를 경사시킬 수 없다. 한편, 모터(1)에서는 플랜지부(321a)의 직경방향의 폭이 둘레방향에 있어서 변화하는, 환언하면, 플랜지부(321a)의 직경방향의 폭이 둘레방향에 있어서 일정하지 않은 것에 의해, 샤프트(31)를 일정한 방향으로 경사시키는 측압을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빠짐 방지부(631)와 플랜지부(321a)의 접촉 위치를 180도 미만의 범위에 편재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부(4)에 위쪽을 향하는 힘이 가해진 경우에 샤프트(31)를 경사시키는 소위 전도 모멘트가 발생한다. 그 결과, 발거력을 증대할 수 있고, 삽입 이탈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모터(1)에서는 삽입 이탈비를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샤프트(31)를 슬리브(33)에 삽입할 때에 필요한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이하, 해당 힘을 「삽입력」이라 한다.
삽입력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샤프트(31)의 슬리브(33)에의 삽입시에, 샤프트(31)에 의한 스러스트 플레이트(35)에의 충격이 작아지고, 스러스트 플레이트(35)의 손상이 방지된다. 부시(32)의 바닥부(322)에의 충격도 작아지고, 바닥부(322)의 변형에 수반하는 샤프트(31)의 회전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또한, 삽입시에 있어서의 회전부(4)의 각 부재에의 충격도 감소한다. 또한, 모터(1)의 각 부재의 조립 정밀도에의 영향도 감소한다. 그 결과, 모터(1)의 생산성이 향상한다. 제 4 실시형태에서는 빠짐 방지 부재(6)에 4개 이상의 빠짐 방지부(631)가 마련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적어도 2개의 빠짐 방지부(631)가 협폭부(711)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협폭부(711)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범위가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샤프트(31)를 슬리브(33)에 삽입할 때에, 적어도 2개의 빠짐 방지부(631)가 플랜지부(321a)와 비접촉으로 통과한다. 또, 협폭부(711)의 외측에 위치하는 빠짐 방지부(631)가 1개뿐이어도 측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광폭부(712)는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하는 180도 미만의 범위에 존재하는 빠짐 방지부(631)에만 중첩되도록 설계된다. 회전부(4)에 위쪽을 향하는 힘이 가해진 경우, 광폭부(712)가 복수의 빠짐 방지부(631)의 일부에만 접촉한다. 회전부(4)는 약간 경사지고, 샤프트(31)와 슬리브(33)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발거력을 증대할 수 있고, 삽입 이탈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1은 부시(32)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1에서는 예압 마그네트(43)를 2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평면에서 보아, 플랜지부(321a)의 직경방향 외측의 에지인 외측 에지(72)는 제 1 외측 에지(721)와 제 2 외측 에지(722)를 구비한다. 제 1 외측 에지(721)는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이다. 제 2 외측 에지(722)는 제 1 외측 에지(721)의 양단을 연결하는 직선형상이다. 플랜지부(321a)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된다.
플랜지부(321a)에서는 직경방향 내측의 에지인 내측 에지(73)와 제 2 외측 에지(722)의 사이의 직경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제 2 외측 에지(722)의 중앙을 향함에 따라 작아진다. 이 때문에, 플랜지부(321a)와 예압 마그네트(43)의 사이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단위길이당 자기적 흡인력은 제 2 외측 에지(722)의 중앙 근방에 있어서 가장 작아진다. 모터(1)의 회전시에는 플랜지부(321a)의 제 2 외측 에지(722)와는 반대측에 샤프트(31)가 기울도록 측압이 발생한다. 특히, 모터(1)의 저속 회전시에는 샤프트(31)가 일정한 방향으로 기운 상태가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도 19에 도시하는 모터(1)와 동일하게, 저속 회전시에 있어서의 모터(1)의 회전의 흔들림이 방지된다.
(제 5 실시형태)
도 22는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빠짐 방지 부재(6b)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에서는 부시(32)의 플랜지부(321a)를 2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빠짐 방지 부재(6b)에서는 도 18의 빠짐 방지 부재(6)의 제 1 내지 제 3 빠짐 방지부(631a~631c) 중, 제 3 빠짐 방지부(631c)가 생략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빠짐 방지 부재(6b)의 형상은 중심축 J1에 관해 비대칭이다. 빠짐 방지 부재(6b)에서는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하는 180도 미만의 범위내에 빠짐 방지부(631)가 존재한다. 빠짐 방지 부재(6b)의 다른 형상은 빠짐 방지 부재(6)와 동일하다.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의 다른 구조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2의 회전부(4)에 위쪽을 향하는 힘이 가해진 경우, 빠짐 방지 부재(6b)에서는 빠짐 방지부(631)가 마련되지 않은 부위, 즉 도 22에 있어서의 좌측 하부의 부위가 중심축 J1 방향에 있어서의 위쪽을 향하도록 회전부(4) 전체가 약간 기운다. 도 3에 도시하는 샤프트(31)는 슬리브(33)의 내측면(332)에 접촉하고, 마찰력이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발거력을 증대할 수 있고, 삽입 이탈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삽입력을 작게 하는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제 5 실시형태에서는 빠짐 방지부(631)의 수가 2 이외의 다른 수라도 좋다. 적어도 1개의 빠짐 방지부(631)가 플랜지부(321a)의 아래쪽에서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하는 180도 미만의 범위에 존재하는 것에 의해, 회전부(4)를 경사시킬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에서는 회전부(4)에 위쪽을 향하는 힘이 가해진 경우에, 항상 모든 빠짐 방지부(631)가 플랜지부(321a)와 접촉하기 때문에, 발거력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빠짐 방지 부재(6b)에서는 빠짐 방지부(631)가 마련되지 않은 부위의 직경방향에 있어서의 폭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빠짐 방지 부재(6b)의 무게의 편차가 방지되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부재(6)의 빠짐 방지부(631)가 직경방향 바깥쪽을 향하는 형상으로 되어도 좋다. 스테이터 코어(221)에는 직경방향 내측으로 약간 돌출된 돌기부(221b)가 마련되고, 빠짐 방지부(631)가 돌기부(221b)의 아래쪽에 근접해서 위치하는 것에 의해, 빠짐 방지가 실행된다. 이와 같이, 모터(1)에서는 빠짐 방지부(631)가, 정지부(2)의 일부 또는 축받이 기구(3)의 정지부(2)에 고정된 부위의 일부의 아래쪽에 근접해서 위치하는 것에 의해, 회전부(4)의 정지부(2)에 대한 빠짐 방지가 실행된다.
또한, 돌기부(221b)의 선단부와 중심축 J1의 사이의 거리를 둘레방향에 있어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부(4)에 위쪽을 향하는 힘이 가해진 경우에 있어서의 빠짐 방지부(631)와 돌기부(221b)의 사이의 접촉 위치를 180도 미만의 범위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회전부(4)가 경사지고, 샤프트(31)와 슬리브(33)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발거력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빠짐 방지부(631)를 180도 미만의 범위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회전부(4)를 경사시켜도 좋다. 제 2 및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상부 돌출부(621)의 경사부(621a)는 위쪽을 향하면서,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경사져도 좋다. 이 경우, 빠짐 방지 부재(6)가 디스크 탑재부(411)의 관통 구멍(414)에 삽입될 때에, 경사부(621a)가 하측 에지(414b)의 직경방향 내측의 부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면서, 위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부 돌출부(621)의 하부(621c)와 복수의 관통 구멍(414)의 직경방향 내측의 부위가 접촉한 것에 의해, 빠짐 방지 부재(6)의 직경방향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 유지 부재(23)를 생략하는 동시에, 스테이터 코어(221)의 내측의 단부의 일부를 직경방향 안쪽으로 돌출시켜, 스테이터 코어(221)가 부시(32)의 외주에 직접적으로 고정되어도 좋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돌출부(621)가 관통 구멍(414)의 상측의 에지에만 접촉한다. 그러나, 상부 돌출부(621)의 하부(621c)의 디스크 탑재부(411)에 대향하는 면이 디스크 탑재부(411)의 상면에 접촉하여도 좋다. 또한, 디스크 탑재부(411)의 상면에 모터(1)의 다른 부품이 고정되는 경우에는 상부 돌출부(621)는 해당 부품에 위로부터 접촉하는 것에 의해, 간접적으로 디스크 탑재부(411)의 상면에 접촉하여도 좋다. 동일하게,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부 돌출부(622)의 주위에 모터(1)의 다른 부품이 부착되는 경우에는 상부 돌출부(622)를 가열에 의해 해당 다른 부품상에 눌러 찌부려, 디스크 탑재부(411)의 상면에 간접적으로 접촉하게 해도 좋다.
하부 고정부(61)도 디스크 탑재부(411)의 하면에 간접적으로 접촉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하부 고정부(61)가 상부 고정부(62) 및 하부 돌출부(63)보다도 직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하부 고정부(61)가 예압 마그네트(43)의 하면에 접촉하여도 좋다.
상부 돌출부(621, 622) 및 하부 돌출부(63)의 수는 각각 3 이외라도 좋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하부 돌출부(63)는 바람직하게는 예압 마그네트(43)의 직경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둘레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3개 이상 마련된다.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환상의 하부 돌출부(63)가 마련되어도 좋다.
또한, 상부 돌출부(621, 622)와 하부 돌출부(63)가 다른 수라도 좋다. 이 경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돌출부(621)의 어느 하나가 하부 돌출부(63)의 어느 하나와 둘레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위치하는 것만이라도 좋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및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예압 마그네트(43)가 플랜지부(321a)의 상면 상에 마련되어도 좋다. 즉, 플랜지부(321a)를 요크로서 이용하면서, 예압 마그네트(43)와 디스크 탑재부(411)의 사이에서 자기적 작용이 발생해도 좋다. 환언하면, 모터(1)에서는 디스크 탑재부(411) 및 부시(32)의 적어도 한쪽이 자성 재료로 형성되고, 다른쪽의 해당 한쪽에 대향하는 위치에 예압 마그네트(43)가 마련된다. 이것에 의해, 예압 마그네트(43)에 대향하는 위치에 별도로 자성부재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예압 마그네트(43)는 도 2에 도시하는 위치보다도 중심축 J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어도 좋다. 이 경우, 예압 마그네트(43)는 정지부(2)와의 사이, 예를 들면, 스테이터 코어(221)와의 사이에서 자기적 작용을 발생한다. 로터 요크(41)에서는 디스크 탑재부(411)상의 환상 러버(44)가 생략되고, 기록 디스크(9)가 디스크 탑재부(411)의 상면 상에 직접적으로 탑재되어도 좋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부(4)에서는 예압 마그네트(43)가 생략되는 경우, 플랜지부(321a)와 디스크 탑재부(411)의 사이에 하부 고정부(61)가 위치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모터(1)를 중심축 J1 방향으로 크게 하는 일 없이, 빠짐 방지 부재(6)를 디스크 탑재부(4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러스트 플레이트(35)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부시(32)의 바닥부(322)의 내저면과 샤프트(31)의 선단의 사이에 수지층이 형성되지만, 바닥부(322)의 내저면 및 샤프트(31)의 선단의 적어도 한쪽이 수지로 코팅되는 것에 의해, 수지층이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부시(32)의 상단이 스테이터(22)의 상단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모터(1)를 중심축 J1 방향으로 크게 하는 일 없이, 부시(32)와 디스크 탑재부(411)의 사이에 예압 마그네트(43)를 배치할 수 있다. 척킹 장치(5)에서는 발톱 부재(52)가 상하방향 또는 직경방향의 한쪽으로만 이동하는 구조라도 좋다.
복수의 관통 구멍(414)의 각각은 둘레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발톱 부재(52)의 어느 하나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면, 관통 구멍(414)과 발톱 부재(52)는 반드시 둘레방향으로 교대로 존재할 필요는 없다. 발톱 부재(52)는 디스크 탑재부(411)에 슬라이딩 접촉하지 않은 경우에도, 각 관통 구멍(414)이 둘레방향에 있어서 발톱 부재(52)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에 의해, 발톱 부재(52)와 상부 돌출부(621)의 간섭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모터(1)는 로터 마그네트가 스테이터의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inner) 로터형이어도 좋다. 또한, 로터 요크의 상측에 별도로 디스크 탑재부가 마련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의 박형의 모터로서 특히 적합하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팬용의 모터 등의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 이외의 모터로서도 이용 가능하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모터 2 정지부
3 축받이 기구 4 회전부
6, 6a, 6b 빠짐 방지 부재 9 기록 디스크
10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 11 액세스부
12 하우징 22 스테이터
23 스테이터 유지 부재 31 샤프트
32 부시 33 슬리브
34 윤활유 41 로터 요크
43 예압 마그네트 64 탈락 방지부
221 스테이터 코어 222 코일
222a (코일의) 상단 321a 플랜지부
321b (부시의) 내측면 331 (슬리브의) 상부
332 (슬리브의) 내측면 333 (슬리브의) 외측면
411 디스크 탑재부 611 맞닿음부
631, 631a~631c 빠짐 방지부 J1 중심축

Claims (17)

  1. 축받이 기구와,
    상기 축받이 기구의 직경방향 외측에 마련된 스테이터를 갖는 정지부와,
    상기 축받이 기구에 의해 상기 정지부의 위쪽에서 지지되고, 상기 정지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가, 상기 스테이터를 덮는 덮개를 갖는 원통형상의 로터 요크를 구비하고,
    상기 축받이 기구가,
    프레스 가공으로 성형된 바닥을 갖는 원통형상의 부시와,
    상기 부시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부가 상기 부시로부터 돌출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에 삽입되는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부시의 상단의 위치가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의 상단보다도 낮거나 또는 상기 상단과 동일한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요크의 덮개부가 기록 디스크가 탑재되는 디스크 탑재부인 모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요크의 덮개부 및 상기 부시의 한쪽이 자성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 및 상기 부시의 다른쪽에 있어서의 상기 한쪽에 대향하는 위치에 예압 마그네트가 마련되는 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요크의 상기 덮개부에, 상기 회전부의 상기 정지부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는 빠짐 방지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빠짐 방지 부재가, 상기 스테이터와 상기 부시 사이에서, 상기 정지부 또는 상기 축받이 기구의 일부의 아래쪽에 근접해서 위치하는 빠짐 방지부를 구비하는 모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압 마그네트가 상기 덮개부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빠짐 방지 부재가 상기 예압 마그네트의 아래쪽으로 굴곡된 복수의 탈락 방지부를 구비하는 모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가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빠짐 방지부에 근접해서 위치하는 모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 방지부가 상기 스테이터의 스테이터 코어의 직경방향 내측에 있어서의 상단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는 모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 방지 부재가 상기 덮개부의 하면에 접촉하는 맞닿음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스테이터의 코일보다도 직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모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가 자성재료로 성형되고,
    상기 부시의 상부에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부가 상기 로터 요크의 덮개부의 하면에 마련되고, 상기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와 중첩되는 예압 마그네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직경방향의 폭이 둘레방향에 있어서 변화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 중에,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예압 마그네트 사이에, 상기 정지부에 대해 상기 샤프트를 일정한 방향으로 경사시키는 힘이 발생하는 모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상부에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로터 요크의 덮개부에 상기 회전부의 상기 정지부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는 빠짐 방지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빠짐 방지 부재가 상기 플랜지부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180도 미만의 범위에 존재하는 적어도 1개의 빠짐 방지부를 갖는 모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상부에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 플랜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플랜지부의 직경방향의 폭이 둘레방향에 있어서 변화하고,
    상기 로터 요크의 덮개부에 상기 회전부의 상기 정지부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는 빠짐 방지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빠짐 방지 부재가 상기 플랜지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복수의 빠짐 방지부를 갖고,
    상기 회전부가 위쪽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복수의 빠짐 방지부의 일부만이 상기 플랜지부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맞닿음 위치가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180도 미만의 범위에 존재하는 모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가 상기 부시의 내저면에 수지층을 거쳐서 접촉하는 것에 의해, 스러스트 방향으로 지지되는 모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외측면에 환상의 스테이터 유지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스테이터가 상기 스테이터 유지 부재의 외주에 마련되는 모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내측면의 중앙부가 직경방향 바깥쪽을 향해 움푹 패이고,
    상기 슬리브의 외측면의 하부와 상기 부시의 내측면의 사이에 간극이 마련되는 모터.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예압 마그네트는 상기 슬리브와 축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모터.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외측면에는 스테이터 유지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스테이터 유지 부재를 거쳐서 부시에 고정되고,
    상기 스테이터 유지 부재의 상부는 상기 빠짐 방지 부재와 축방향으로 중첩되는 모터.
  17. 기록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제 1 항에 기재된 모터와,
    상기 기록 디스크에 대해 정보의 판독 및 기입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액세스부와,
    상기 모터 및 상기 액세스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장치.
KR1020100080746A 2009-08-21 2010-08-20 모터 및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 KR101142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91832A JP2011044202A (ja) 2009-08-21 2009-08-21 モータおよび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JPJP-P-2009-191833 2009-08-21
JPJP-P-2009-191832 2009-08-21
JP2009191833 2009-08-21
JP2010114620A JP2011067084A (ja) 2009-08-21 2010-05-18 モータおよび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JPJP-P-2010-114620 2010-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202A KR20110020202A (ko) 2011-03-02
KR101142663B1 true KR101142663B1 (ko) 2012-05-10

Family

ID=43606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746A KR101142663B1 (ko) 2009-08-21 2010-08-20 모터 및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56513B2 (ko)
KR (1) KR101142663B1 (ko)
CN (1) CN1019966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7976A (ja) * 2012-03-07 2013-09-19 Nippon Densan Corp モータ、ディスク駆動装置およびモータの製造方法
US10177626B2 (en) * 2015-12-18 2019-01-08 Tokyo Parts Industrial Co., Ltd. Brushless mo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2945A (ja) 2001-07-18 2003-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3088074A (ja) 2001-09-17 2003-03-20 Nippon Densan Corp ファンモータ
KR100701203B1 (ko) 2005-10-18 2007-03-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핀들 모터
KR100907178B1 (ko) 2002-06-07 2009-07-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핀들 모터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8761Y2 (ko) 1985-05-11 1991-10-17
JP3711606B2 (ja) 1996-02-13 2005-11-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ンドルモータ
JP2000125505A (ja) * 1998-10-09 2000-04-28 Sankyo Seiki Mfg Co Ltd モータ
JP3332869B2 (ja) 1998-10-09 2002-10-07 油化電子株式会社 情報記憶ディスク用のターンテーブル装置
JP2000166171A (ja) 1998-11-30 2000-06-16 Sankyo Seiki Mfg Co Ltd 小型モータ
KR100315519B1 (ko) * 1998-12-30 2002-02-28 이형도 디스크구동모터
JP2000270510A (ja) 1999-03-15 2000-09-29 Nippon Densan Corp モータ
KR100377611B1 (ko) * 1999-03-17 2003-03-26 가부시기가이샤 산교세이기 세이사꾸쇼 소형모터
JP2001037141A (ja) 1999-07-15 2001-02-09 Hitachi Ltd ディスクモータ
JP2002197762A (ja) 2000-12-25 2002-07-12 Nippon Densan Corp 着脱式ディスク保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モータ
JP2003032932A (ja) 2001-07-23 2003-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回転用モータの抜け止め構造及びそれを備えるディスク回転用モータ
JP2003052143A (ja) 2001-08-07 2003-02-21 Minebea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
US6806601B2 (en) * 2002-03-20 2004-10-19 Nidec Corporation Brushless motor and disk drive including the same
US6936940B2 (en) * 2002-04-30 2005-08-30 Sankyo Seiki Mfg. Co., Ltd. Motor with resin base plate
JP2004248332A (ja) * 2002-12-25 2004-09-02 Tokyo Parts Ind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
TWI254286B (en) * 2003-05-27 2006-05-01 Sunonwealth Electr Mach Ind Co Positioning structure for a clamping device of a disc carrier
TWI253629B (en) * 2003-05-27 2006-04-21 Sunonwealth Electr Mach Ind Co Disc carrier for a compact disc drive
JP2005323420A (ja) 2004-05-06 2005-1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ブラシレスモータ
JP4458978B2 (ja) * 2004-08-02 2010-04-28 日本電産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6196139A (ja) 2004-12-15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駆動装置
KR100691607B1 (ko) * 2005-05-03 2007-03-12 (주)지엔더블유테크놀러지 유체동압베어링모터
JP2007082368A (ja) 2005-09-16 2007-03-29 Mabuchi Motor Co Ltd 片持ち軸受構成の小型モータ
KR100643936B1 (ko) 2005-11-04 2006-1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핀들 모터
JP2007185039A (ja) 2006-01-06 2007-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ブラシレスモータ
KR100797715B1 (ko) * 2006-05-25 2008-01-23 삼성전기주식회사 스핀들모터
KR100832633B1 (ko) 2006-11-17 2008-05-27 삼성전기주식회사 초박형 스핀들모터
JP5034457B2 (ja) * 2006-11-27 2012-09-26 ソニー株式会社 スピンドルモータおよび再生装置
JP5439708B2 (ja) * 2007-05-09 2014-03-12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4941156B2 (ja) * 2007-07-30 2012-05-30 日本電産株式会社 流体動圧軸受装置、スピンドル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2945A (ja) 2001-07-18 2003-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3088074A (ja) 2001-09-17 2003-03-20 Nippon Densan Corp ファンモータ
KR100907178B1 (ko) 2002-06-07 2009-07-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핀들 모터
KR100701203B1 (ko) 2005-10-18 2007-03-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핀들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56513B2 (en) 2012-04-10
CN101996654A (zh) 2011-03-30
KR20110020202A (ko) 2011-03-02
US20110047561A1 (en)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778B1 (ko) 척킹장치 및 이 척킹장치를 탑재한 브러시리스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JP4946208B2 (ja) 記録媒体の保持装置とそれを用いたモータユニット
JP5055886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ディスク駆動装置
KR101130943B1 (ko) 턴테이블, 그것을 구비한 모터 및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와 턴테이블의 제조 방법
KR101148349B1 (ko) 모터 및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와 모터의 제조 방법
KR101314373B1 (ko) 디스크 구동 장치
KR101142663B1 (ko) 모터 및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
KR101097481B1 (ko) 턴테이블 및 턴테이블의 제조 방법
JP2012165541A (ja) モータおよび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KR20040097283A (ko) 스핀들 모터
JP2011067084A (ja) モータおよび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KR20080078603A (ko) 척킹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구동장치
KR101120292B1 (ko) 턴테이블 및 그 제조 방법
JP2013187976A (ja) モータ、ディスク駆動装置およびモータの製造方法
JP2011067083A (ja) モータおよび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並びに、モータの製造方法
JP2012060780A (ja) 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5575389B2 (ja) ディスク回転用モータ
JP5778013B2 (ja) スピンドルモータ及びディスククランプ機構
JP5578346B2 (ja) チャッキング装置、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並びに、チャッキング装置の製造方法
JP2013187977A (ja) 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5778014B2 (ja) ディスククランプ機構
JP4683350B2 (ja) ターンテーブルおよびターンテーブルの製造方法
JP2010170631A (ja) チャッキング装置、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6005974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11044202A (ja) モータおよび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