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8603A - 척킹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척킹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8603A
KR20080078603A KR1020080016297A KR20080016297A KR20080078603A KR 20080078603 A KR20080078603 A KR 20080078603A KR 1020080016297 A KR1020080016297 A KR 1020080016297A KR 20080016297 A KR20080016297 A KR 20080016297A KR 20080078603 A KR20080078603 A KR 20080078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 portion
inner table
axial direction
shaft
roto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루히코 이토
다쿠야 야마네
시게오 가와무라
요시히사 기타무라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8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6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provided on the turntab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작업자가 디스크 구동장치에 모터를 조립할 때에, 척킹장치의 탑재면을 눌렸다고 해도, 척킹장치의 턴테이블부가 변형되는 일이 없는 고정밀도의 척킹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디스크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샤프트(21)에 고정된 로터 홀더(23)의 덮개부(232)의 상면에는 턴테이블부(41)인 샤프트(21)에 고정되는 금속재료제의 내측 테이블부(411)가 맞닿아 배치된다. 이 내측 테이블부(411)의 외주면에는 탑재면(461)을 갖는 수지재료제의 외측 테이블부(412)가 접착제로 고정된다. 그리고, 로터 홀더(23)의 덮개부(232)의 상면과 외측 테이블부(412)의 하면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척킹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장치{MOTOR HAVING CHUCKING DEVICE AND DISK DRIVING APPARATUS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척킹장치를 구비한 모터, 특히 척킹장치의 턴테이블에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턴테이블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는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원반형상의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모터에는 모터의 상부에 디스크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척킹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척킹장치는 디스크의 중심과 모터의 회전축을 일치시키도록 조정하는(이하, 단지 정합이라 한다) 센터링 케이스와, 디스크를 탑재하는 탑재면을 갖는 턴테이블(turntable)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척킹장치는 모터의 회전축이 되는 샤프트(shaft)와 체결되어 있다(종래의 척킹장치를 구비한 모터의 예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척킹장치를 구비한 모터(1a)의 구조에 대해,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종래의 모터를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모터(1a)는 소정의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회전부재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갖는다. 그리고 회전부재의 축방향 상측에는 척킹장치(2a)가 부착된다. 또한 회전부재에는 중심축 J1과 동축에 배치되고, 회전축이 되는 샤프트(1a1)를 구비한다. 또한 척킹장치(2a)에는 샤프트(1a1)에 고정되는, 디스크(도시하지 않음)를 탑재하는 탑재면(2a11)을 갖는 수지재료제의 턴테이블부(2a1)와, 디스크의 중심과 중심축 J1을 정합하는 센터링 케이스(2a2)를 구비한다.
(특허문헌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5-334779호
근래의 디스크 구동장치의 박형화의 요구에 수반하여, 모터의 박형화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척킹장치를 구비한 모터에 있어서는 모터의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박형화를 달성하기 위해 척킹장치의 박형화를 실행한다.
그러나, 디스크 구동장치를 조립하는 작업자가, 디스크 구동장치에 모터를 조립할 때에 척킹장치의 디스크를 탑재하는 탑재면을 눌러 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척킹장치의 박형화를 위한 샤프트(1a1)와 턴테이블부(2a1)의 체결의 축방향 길이를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또한 턴테이블부(2a1)이 수지재료제이기 때문에, 턴테이블부(2a1)가 변형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그 결과, 디스크가 회전시에 흔들려 버려, 디스크의 기록 재생에 에러를 발생해 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디스크가 회전시에 흔들려 버리는 것에 의한 진동도 문제로 되어 버린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작업자가 디스크 구동장치에 모터를 내장할 때에, 척킹장치의 탑재면을 눌렀다고 해도, 척킹장치의 턴테이블부가 변형되는 일이 없는 고밀도의 척킹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디스크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하면, 중심 개구부를 갖는 원반형상의 디스크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척킹장치를 구비하는 모터로서, 소정의 중심축과 동축에 배치되 는 샤프트와, 상기 중심축의 주위를 회전하는 로터 마그네트와, 해당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로터 마그네트를 유지하는 로터 홀더와, 상기 로터 홀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스테이터(stator)를 구비하고, 상기 척킹장치는, 상기 로터 홀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크를 탑재하는 탑재면을 갖는 턴테이블부와, 해당 턴테이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크의 상기 중심 개구부의 중심과 상기 중심축을 조정하는 축방향 하측을 향해 직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는 원고리형상의 정합면을 갖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콘(cone)부와,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콘부의 축방향의 사이에 배치되고 해당 콘부를 상측으로 부세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콘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해당 콘부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상측 이동규제부를 갖고, 상기 턴테이블부는 상기 샤프트와 고정시키는 금속재료제의 내측 테이블부와, 내측 테이블부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탑재면을 갖는 수지재료제의 외측 테이블부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 테이블부와 상기 외측 테이블부의 고정위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 테이블부는 상기 로터 홀더와 축방향으로 간격을 거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르면, 탑재면을 갖는 외측 테이블부를 로터 홀더의 상면에 맞닿지 않게 하는 것에 의해서, 탑재면의 위치를 로터 홀더의 상면의 흔들림의 영향이 없는 고밀도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로터 홀더를 샤프트와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서, 중심축과 로터 마그네트의 중심의 동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측 테이블부가 금속재료제이고, 샤프트와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탑재면에 축방향의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샤프트와 내측 테이블부의 고정부에 있어 서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외측 테이블부와 내측 테이블부에 있어서도, 외측 테이블부가 샤프트에 고정되는 경우에 비해, 모멘트력이 작아지므로, 외측 테이블부와 내측 테이블부의 고정부에 있어서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탑재면의 회전 흔들림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의하면, 중심 개구부를 갖는 원반형상의 디스크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척킹장치를 구비하는 모터로서, 소정의 중심축과 동축에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중심축의 주위를 회전하는 로터 마그네트와, 해당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로터 마그네트를 유지하는 로터 홀더와, 상기 로터 홀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척킹장치와 상기 로터 홀더의 사이에 구성되고 해당 모터의 회전밸런스를 자동적으로 수정하는 자동평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척킹장치는, 상기 로터 홀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크를 탑재하는 탑재면을 갖는 턴테이블부와, 해당 턴테이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크의 상기 중심 개구부의 중심과 상기 중심축을 조정하는 축방향 하측을 향해 직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는 원고리형상의 정합면을 갖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콘부와,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콘부와의 축방향의 사이에 배치되고 해당 콘부를 상측으로 부세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콘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해당 콘부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상측 이동규제부를 갖고, 상기 턴테이블부는 상기 샤프트와 고정시키는 금속재료제의 내측 테이블부와, 내측 테이블부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탑재면 및 외주부에 축방향 하측을 향해 개구된 환상 오목부를 갖는 수지재료제의 외측 테이블부로 구성되고, 상기 자동평형장치는 상기 외측 테이블부의 상기 환상 오목부와 상기 로터 홀더의 상면에 의해 둘러싸인 환상 공간과, 해당 환상 공간에 수용되는 복수의 밸런스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테이블부와 상기 외측 테이블부의 고정위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 테이블부는 상기 로터 홀더와 축방향으로 간격을 거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따르면, 탑재면을 갖는 외측 테이블부를 로터 홀더의 상면에 맞닿지 않게 하는 것에 의해서, 탑재면의 위치를 로터 홀더의 상면의 흔들림의 영향이 없는 고밀도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로터 홀더를 샤프트와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서, 중심축과 로터 마그네트의 중심의 동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측 테이블부가 금속재료제이고, 샤프트와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탑재면에 축방향의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샤프트와 내측 테이블부의 고정부에 있어서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외측 테이블부와 내측 테이블부에 있어서도, 외측 테이블부가 샤프트에 고정되는 경우에 비해 모멘트력이 작아지므로, 외측 테이블부와 내측 테이블부의 고정부에 있어서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탑재면의 회전 흔들림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7에 의하면, 중심 개구부를 갖는 원반형상의 디스크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척킹장치를 구비하는 모터로서, 소정의 중심축과 동축에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중심축의 주위를 회전하는 로터 마그네트와, 해당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로터 마그네트를 유지하는 로터 홀더와, 상기 로터 홀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스테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척킹장치는 상기 디스크의 상기 중심 개구부의 중심과 상기 중심축을 정합하는 정합면을 갖는 센 터링 케이스부와, 상기 정합면의 직경방향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의 하면이 맞닿는 탑재면을 갖는 턴테이블부를 갖고, 상기 턴테이블부는 상기 샤프트와 고정시키는 내측 테이블부와, 해당 내측 테이블부에 고정되고 상기 탑재면을 갖는 외측 테이블부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 테이블부와 상기 외측 테이블부의 고정위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 테이블부는 상기 로터 홀더와 축방향으로 간격을 거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7에 따르면, 탑재면을 갖는 외측 테이블부를 로터 홀더의 상면에 맞닿지 않게 하는 것에 의해서, 탑재면의 위치를 로터 홀더의 상면의 흔들림의 영향이 없는 고밀도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로터 홀더를 샤프트와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서, 중심축과 로터 마그네트의 중심의 동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측 테이블부가 금속재료제이고, 샤프트와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탑재면에 축방향의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샤프트와 내측 테이블부의 고정부에 있어서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외측 테이블부와 내측 테이블부에 있어서도, 외측 테이블부가 샤프트에 고정되는 경우에 비해, 모멘트력이 작아지므로, 외측 테이블부와 내측 테이블부의 고정부에 있어서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탑재면의 회전 흔들림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디스크 구동장치에 모터를 조립할 때에, 척킹장치의 탑재면을 눌렀다고 해도, 척킹장치의 턴테이블부가 변형되는 일이 없는 고밀 도의 척킹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디스크 구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위치관계 및 배향은 상/하, 좌/우로서 설명되는데, 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의 위치관계나 배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제 장치에 조립된 후의 구성요소의 위치관계 및 배향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또한,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축방향은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을 나타내며, 직경방향은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을 나타낸다.
<모터의 전체 구조>
본 발명의 모터의 실시예의 1형태에 대해,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모터를 축방향에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모터(10)는 소정의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체(20)와, 회전체(20)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고정체(30)와, 회전체(20)의 축방향 상측에 배치되고, 중심 개구부를 갖는 디스크(도시하지 않음)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척킹장치(40)로 구성된다.
회전체(20)는 중심축 J1과 동축에 배치되고, 회전축이 되는 샤프트(21)와, 중심축 J1의 주위를 회전하는 로터 마그네트(22)와, 샤프트(21)에 고정되고, 로터 마그네트(22)를 유지하는 로터 홀더(23)를 구비한다.
로터 홀더(23)는 샤프트(21)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하는 원통형상의 샤프트 고정부(231)와, 샤프트 고정부(231)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중심축 J1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하는 덮개부(232)와, 덮개부(232)의 외주연으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하는 원통형상의 원통부(233)로 구성된다. 이 원통부(233)의 내주면에는 로터 마그네트(22)가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된다. 또한 로터 홀더(23)는 박판의 철(鐵)계의 자성을 갖는 강판을 프레스가공에 의해서 성형된다.
고정체(30)는 샤프트(21)의 외주면과 직경방향으로 간극을 거쳐서 대향하고, 샤프트(21)를 직경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내주면을 갖는 대략원통형상의 슬리브(31)와, 슬리브(31)의 외주면의 축방향의 일부와 접촉하여 유지하는 내주면을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하우징(32)과, 하우징(32)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회전자계를 발생시키는 스테이터(33)와, 스테이터(33)의 축방향 하측에 배치되고, 회전체(20)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로기판(34)과, 하우징(32)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회로기판(34)을 고정시키는 상면을 갖는 부착판(35)을 구비한다.
하우징(32)은 슬리브(31)의 외주면을 유지하는 내주면을 갖는 유지 원통부(321)와, 유지 원통부(321)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되는 축경부(縮徑部)(322)와, 유지 원통부(321)와 축경부(322)를 연결하는 내측 연장부(323)와, 축경부(322)와 연속해서 형성되고 축경부(322)의 축방향 하측을 덮는 저면부(324)와, 유지 원통부(321)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직경방향 외측으로 원고리형상으로 연장하는 외측 연장부(325)로 구성된다.
슬리브(31)의 하단면과 내측 연장부(323)의 상면과의 축방향의 사이에는 환상의 빠짐 방지 부재(36)가 배치된다. 여기서, 샤프트(21)에 형성되고, 빠짐 방지 부재(36)의 내주면과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원고리 홈부(211)가 형성된다. 빠짐 방지 부재(36)의 내주면의 직경의 크기가 원고리 홈부(211)로부터 축방향 하측의 샤프트(21)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샤프트(21)의 축방향 상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빠짐 방지 기구가 구성된다.
하우징(32)의 저면부(324)의 상면에는 스러스트(thrust) 플레이트(37)가 배치된다. 이 스러스트 플레이트(37)는 슬라이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수지재료에 의해서 대략 원반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스러스트 플레이트(37)의 상면에는 샤프트(21)의 하단면이 배치된다. 이 샤프트(21)의 하단면은 대략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러스트 플레이트(37)는 샤프트(21)를 축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슬리브(31)의 상단면에는 오일사출 워셔(washer)(38)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오일사출 워셔(38)는 수지재료를 원고리형상의 내주면 및 외주면을 갖는 대략 원반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오일사출 워셔(38)의 외주면은 하우징(32)의 유지 원통부(321)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하우징(32)의 외측 연장부(325)의 상면과 축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로터 홀더(23)의 덮개부(232)의 하면에는 환상의 흡인 마그네트(24)가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터(33)는 박판의 전자(電磁) 강판을 축방향으로 복수개 적층하여 형성된 스테이터 코어(331)와, 스테이터 코어(331)에 도선을 감아 형성된 코일(332)로 구성된다. 스테이터 코어(331)는 하우징(32)의 유지 원통부(321)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내주면을 갖는 원고리형상의 코어백부(3311)와, 코어백부(3311)로부터 직경방 향 외측으로 연속해서 연장하는 톱니부(3312)로 구성된다. 톱니부(3312)는 둘레방향으로 이간되어 복수 형성된다. 이 톱니부(3312)의 각각에 도선을 복수층 감는 것에 의해서 코일(332)은 형성된다. 또한 톱니부(3312)의 외주면은 로터 마그네트(22)의 내주면과 직경방향으로 간극을 거쳐서 대향한다.
척킹장치(40)는 로터 홀더(23)의 덮개부(232)의 상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척킹장치(40)는 디스크의 하면과 맞닿는 탑재면(461)을 갖는 턴테이블부(41)와, 디스크의 중심과 중심축 J1을 정합하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콘부(42)와, 콘부(42)를 축방향 상측으로 부세하는 탄성부재(43)와, 콘부(42)와 맞닿는 것에 의해서 콘부(42)의 축방향 상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규제부(44)와, 이동규제부(44)의 상면에 고정되는 클램프 마그네트(45)를 구비한다. 또한 척킹장치(40)의 턴테이블부(41)의 상면에는 디스크의 하면이 맞닿는 탑재면(461)을 상면으로 하는 탑재부(46)가 고정되어 있다.
척킹장치(40)의 탑재면(461)에 디스크를 탑재하고, 스테이터(33)의 코일(332)에 전류를 통류하는 것에 의해서, 로터 마그네트(22)와 스테이터(33)의 사이에 회전 자로(磁路)가 형성되며, 회전체(20) 및 척킹장치(40)는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서, 디스크는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척킹장치의 구조>
다음에 본 발명의 척킹장치(40)의 구조에 대해 도 2 내지 도 5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척킹장치(40)를 상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척킹장치(40)의 주변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는 내측 테이블부(411)를 나타내며, 도 4a는 내측 테이블부(411)를 상측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4b는 내측 테이블부(411)를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외측 테이블부(412)를 나타내며, 도 5a는 외측 테이블부(412)를 상측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5b는 외측 테이블부(412)를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턴테이블부(41)는 샤프트(21)와 고정되는 금속재료제의 내측 테이블부(411)와, 내측 테이블부(411)에 직경방향 외측에 고정되는 탑재면(461)을 갖는 수지재료제의 외측 테이블부(412)로 구성된다.
내측 테이블부(411)는 금속재료인 놋쇠를 절삭에 의해서 반단면이 대략 ‘ㄴ’자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4b를 참조하여, 내측 테이블부(411)는 샤프트(21)의 외주면과 압입에 의해서 고정되는 내주면과, 내주면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베이스부(4111)와, 베이스부(4111)로부터 축방향 상측으로 연장하는 상측 연장부(4112)로 구성된다. 그리고 내측 테이블부(411)의 외주면은 베이스부(4111)의 외주면과 상측 연장부(4112)의 외주면을 포함한다. 내측 테이블부(411)의 외주면에는 원고리형상의 접착홈(4113)이 축방향으로 이간되어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3개) 형성된다.
또한 도 4a를 참조하여, 베이스부(4111) 및 상측 연장부(4112) 모두 원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접착홈(4113)도 원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접착홈(4113)은 원고리형상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내측 테이블부(411)의 내주면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내측 테이블부(411)를 회전시키고, 절삭 가공구를 외주면에 대어 절삭하는 것만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그 형성이 용이하 다. 특히 내측 테이블부(411)의 형상은 놋쇠를 절삭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그 절삭공정 중에 접착홈(4113)의 형성공정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내측 테이블부(411)를 수지재료를 금형에 의해서 사출 성형한 경우, 접착홈의 형성에는 별도로 절삭공정이 필요하게 되고, 금형의 성형공정과 절삭공정의 2개의 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절삭에 의해서 형성된 내측 테이블부(411)의 접착홈(4113)을 절삭에 의해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절삭공정의 1개의 공정으로 끝나기 때문에, 접착홈(4113)의 형성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내측 테이블부(411)의 베이스부(4111)의 상면은 상측 연장부(4112)의 내주면과 접속되어 있다.
외측 테이블부(412)는 수지재료인 폴리카보네이트를 금형에 의한 사출 성형에 의해서 단면이 대략 ‘ㄱ'자형상으로 성형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외측 테이블부(412)는 내측 테이블부(411)의 외주면과 맞닿는 균일한 원고리형상의 내주면을 갖는다. 도 5a를 참조하면, 외측 테이블부(412)의 상면은 중심축 J1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고리형상의 균일한 평면이다. 그리고 외측 테이블부(412)의 외주측 상면에 탑재부(46)가 맞닿는다.
콘부(42)는 수지재료로 성형되고, 샤프트(21)의 외주면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내주면을 갖는 원고리형상의 슬라이딩부(421)와, 슬라이딩부(421)로부터 연속해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이동규제부(44)의 외주면을 지나 연장하는 제 1 암부(422)와, 제 1 암부(422)로부터 연속해서 축방향 상측으로 연장하는 제 2 암부(423)와, 제 2 암부(423)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고, 직경방향 외측을 향해 축방향 하측으로 경사지는 안내부(424)와, 안내부(424)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고, 직경방향 외측을 향해 축방향 하측으로 경사지는 정합부(425)와, 제 2 암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고, 안내부(424) 및 정합부(425)에 접속하는 리브(ribs)(426)로 구성된다. 여기서, 리브(426)는 둘레방향으로 이간되고, 방사상으로 복수 형성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여, 콘부(42)의 안내부(424) 및 정합부(425)는 원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여, 탄성부재(43)는 코일스프링이고, 축방향 하측을 향해 외경이 커지도록 형성된다. 탄성부재(43)는 내측 테이블부(411)의 베이스부(4111)의 상면과 상측 연장부(4112)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서, 탄성부재(43)의 축방향 하측 및 직경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43)는 콘부(42)의 리브(426)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서, 탄성부재(43)는 콘부(42)를 축방향 상측으로 부세한다.
이동규제부(44)는 자성을 갖는 금속재료에 의해서 대략 원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동규제부(44)의 내주면은 샤프트(21)의 외주면과 고정시킨다. 그리고 이동규제부(44)의 외주면은 콘부(42)의 제 2 암부(423)의 내주면과 간극을 거쳐서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동규제부(44)의 하면은 콘부(42)의 슬라이딩부(421)와 축방향에 대향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디스크가 탑재부(46)에 탑재되지 않는 상태(이하, 단지 스탠바이상태라 함)에 있어서, 콘부(42)의 슬라이딩부(421)의 상면과 이동규제부(44)의 하면은 맞닿는다. 또한 이동규제부(44)의 상면에는 원고리형상의 클램프 마그네트(45)가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내측 테이블부(411)와 외측 테이블부(412)는 내측 테이블부(411)의 외주면과 외측 테이블부(412)의 내주면이 접착제를 거쳐서 고정된다. 여기서, 내측 테이블부(411)의 외주면에 접착홈(4113)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내측 테이블부(411)와 외측 테이블부(412)의 고정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후, 내측 테이블부(411)에 상측 연장부(4112)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내측 테이블부(411)의 외주면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내측 테이블부(411)와 외측 테이블부(412)의 고정시키는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테이블부(411)과 외측 테이블부(412)의 고정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외측 테이블부(412)의 탑재부(46)에 축방향 하측의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외측 테이블부(412)의 내주면이 내측 테이블부(411)의 외주면에 대해 박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 결과, 탑재부(46)에 축방향 하측의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탑재부(46)가 축방향 하측으로 변위되어 버리는 것에 의한 외측 테이블부(412)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높은 척킹장치를 구비한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측 테이블부(411)의 상측 연장부(4112)의 상면은 콘부(42)의 정합부(425)의 하면과 축방향에 간극을 거쳐서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상측 연장부(4112)의 외주면(즉, 내측 테이블부(411)의 외주면)의 직경방향의 위치는 콘부(42)의 정합부(425)의 최외경의 직경방향의 위치보다도 직경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내측 테이블부(411)의 외경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서, 외측 테이블부(412)와 내측 테이블부(411)의 고정위치가 외주측에 위치하므로, 탑재부(46)에 축방향 하측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의 외측 테이블부(412) 자체에 가해지는 모멘트 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테이블부(412)의 변형을 막을 수 있다.
<척킹장치와 로터 홀더의 위치관계>
다음에 척킹장치(4)와 로터 홀더(23)의 위치관계에 대해 도 3 및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회전체(20)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내측 테이블부(411)의 하면은 로터 홀더(23)의 덮개부(232)의 상면과 맞닿아 있다. 그리고 외측 테이블부(412)의 내주면 부근의 하면은 로터 홀더(23)의 덮개부(232)의 상면에 대해, 축방향으로 작은 간극을 거쳐서 대향하고 있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여, 회전체(20)는 우선 샤프트(21)에 로터 마그네트(22)를 고정시킨 로터 홀더(23)를 압입한다(도 6의 스텝 S1). 그리고, 샤프트(21)에 내측 테이블부(411)를, 그 하면이 로터 홀더(23)의 덮개부(232)의 상면과 맞닿을 때까지 압입한다(도 6의 스텝 S2). 이것에 의해, 내측 테이블부(411)의 축방향의 위치를 용이하고 또한 고정밀도로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내측 테이블부(411)에 외측 테이블부(412)를 접착제로 고정시킨다(도 6의 스텝 S3). 여기서, 외측 테이블부(412)와 로터 홀더(23)는 축방향으로 간극을 갖고 있으므로, 로터 홀더(23)의 샤프트(21)에 대한 축방향의 조립 위치 정밀도에 관계없이, 샤프트(21)에 대한 외측 테이블부(412)의 축방향의 위치를 결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측 테이블부(412)를 축방향으로 고정밀도로 부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샤프트(21)의 하단면을 기준위치로 하여, 로터 홀더(23)의 덮개부(232)의 상면의 축방향의 위치 및 탑재부(46)의 상면의 축방향의 위치를 결정하고 있다.
다음에 내측 테이블부(411)의 상면에 탄성부재(43)를 배치하고, 그 상측에 콘부(42)를 배치한다(도 6의 스텝 S4). 그리고, 콘부(42)를 축방향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탄성부재(43)를 축방향 하측으로 압축한 상태에 있어서, 미리 클램프 마그네트(45)를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시킨 이동규제부(44)를 샤프트(21)에 압입한다(도 6의 스텝 S5). 이 이동규제부(44)의 축방향의 위치도 샤프트(21)의 하단면을 기준위치로 하여 결정하고 있다.
또한, 내측 테이블부(411)와 외측 테이블부(412)의 고정에 사용된 접착제는 외측 테이블부(412)의 하면과 로터 홀더(23)의 덮개부(232)의 상면의 간극에 개재해도 좋다. 이것은 내측 테이블부(411)에 미리 접착제를 도포하고, 내측 테이블부(411)에 대해 미리 외측 테이블부(412)를 축방향 상측으로부터 끼워 맞추는 것에 의해서, 접착제의 일부가 축방향 하측으로 이동하여 일어나는 현상이다. 그러나, 외측 테이블부(412)와 로터 홀더(23)의 덮개부(232)의 상면과의 간극에 접착제가 개재하는 것에 의해서, 외측 테이블부(412)는 로터 홀더(23)에 대해서도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외측 테이블부(412)의 탑재부(46)에 대해 축방향 하측으로의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외측 테이블부(412)의 고정 강도가 더욱 향상했으므로, 탑재부(46)가 축방향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탑재부(46)에 축방향 하측으로의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외측 테이블부(412)의 흔들림이 없는 척킹장치를 구비한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모터와의 비교>
다음에 종래의 수지재료만으로 구성된 턴테이블부를 갖는 모터(이하, 단지 종래의 모터라 함)와 본 발명의 금속재료제의 내측 테이블부와 수지재료제의 외측 테이블부로 구성되는 턴테이블를 갖는 모터(이하, 본 발명의 모터라 함)와의 탑재부에 축방향 하측의 힘을 가했을 때의 턴테이블부가 흔들리기 시작하는 힘의 변화에 대해,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횡축에 탑재부에 축방향 하측의 힘(모멘트하중: kgf·㎝)을 나타내고, 종축에 턴테이블부의 흔들림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그래프 중의 실선이 본 발명의 모터의 값이고, 점선이 종래의 모터의 값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종래의 모터에서는 모멘트하중이 3kgf·㎛ 부근에서 급격히 턴테이블부의 흔들림량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에 대해, 본 발명의 모터에서는 모멘트 하중이 13kgf·㎝부근까지 턴테이블부의 흔들림량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터의 탑재부는, 종래와 비교할 때, 약 10kgf·㎝ 의 축방향 하측의 힘(모멘트 하중)을 더 견딜 수 있다. 그 결과, 모터를 디스크 구동장치에 내장할 때에, 탑재부에 축방향 하측으로의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턴테이블부의 흔들림량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모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 8 내지 도 10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모터의 다른 실시예를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비해 척킹장치 및 샤프트의 길이를 변경하였다. 다른 부재는 동일하므로 도 1과 동일 번호를 이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a 및 도 9b는 내측 테이블부를 나타내며, 도 9a는 내측 테이블부를 상면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9b는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외측 테이블부를 나타내고, 도 10a는 외측 테이블부를 상면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10b는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척킹장치(40a)는 디스크의 하면과 맞닿는 탑재면(461a)을 갖는 턴테이블부(41a)와, 디스크의 중심과 중심축 J1을 정합하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콘부(42a)와, 콘부(42a)를 축방향 상측으로 부세하는 탄성부재(43a)와, 콘부(42a)와 맞닿는 것에 의해서 축방향 상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동규제부(44a)와, 이동규제부(44a)의 상면에 고정되는 클램프 마그네트(45a)와, 턴테이블부(41a)에 형성된 환상 오목부에 수용되는 회전체의 언밸런스를 수정하는 복수의 강구(鋼球)(47)와, 환상 오목부를 덮는 원고리형상의 밀봉판(48)을 구비한다. 또한 척킹장치(40a)의 턴테이블부(41a)의 상면에는 디스크의 하면이 맞닿는 탑재면(461a)을 상면으로 하는 탑재부(46a)가 고정되어 있다.
턴테이블부(41a)는 샤프트(21a)에 압입에 의해 고정되는 금속재료제의 내측 테이블부(411a)와, 내측 테이블부(411a)의 직경방향 외측에 고정되는 수지재료제의 외측 테이블부(412a)를 구비한다.
내측 테이블부(411a)는 금속재료인 놋쇠를 절삭에 의해서 단면이 대략 ‘ㄴ’자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9b를 참조하여, 내측 테이블부(411a)는 샤프트(21a)의 외주면과 압입에 의해서 고정되는 내주면과, 내주면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베이스부(411a1)와, 베이스부(411a1)로부터 축방향 상측으로 연장하는 상측 연장부(411a2)로 구성된다. 그리고 내측 테이블부(411a)의 외주면은 베이스부(411a1)의 외주면과 상측 연장부(411a2)의 외주면을 포함한다. 내측 테이블부(411a)의 외주면에는 원고리형상의 접착홈(411a3)이 축방향으로 이간되어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3개) 형성된다.
또한 도 9a를 참조하여, 베이스부(411a1) 및 상측 연장부(411a2) 모두 원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접착홈(411a3)도 원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접착홈(411a3)은 원고리형상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내측 테이블부(411a)의 내주면의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내측 테이블부(411a)를 회전시키고, 절삭 가공구를 외주면에 대어 절삭하는 것만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그 형성이 용이하다. 특히 내측 테이블부(411a)의 형상은 놋쇠를 절삭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그 절삭공정 중에 접착홈(411a3)의 형성 공정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내측 테이블부(411a)를 수지재료를 금형에 의해서 사출 성형한 경우, 접착홈의 형성에는 별도의 절삭공정이 필요하게 되고, 금형의 성형공정과 절삭공정의 2개의 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용이하지는 않다. 따라서, 절삭에 의해서 형성된 내측 테이블부(411a)의 접착홈(411a3)을 절삭에 의해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절삭공정의 1개의 공정으로 끝나기 때문에, 접착홈(411a3)의 형성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내측 테이블부(411a)의 베이스부(411a1)의 상면은 상측 연장부(411a2)의 내주면과 접속되어 있다.
외측 테이블부(412a)는 수지재료인 폴리카보네이트를 금형에 의한 사출 성형에 의해서 성형된다. 도 10b를 참조하여, 외측 테이블부(412a)는 내측 테이블부(411a)의 외주면과 맞닿는 균일한 원고리형상인 내주면을 갖는다. 도 10a를 참조 하여, 외측 테이블부(412a)의 상면은 중심축 J1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고리형상의 균일한 평면이다. 그리고 외측 테이블부(412a)의 외주측 상면에 탑재부(46a)가 맞닿는다.
또한, 외측 테이블부(412a)에는 축방향 하측에 개구된 원고리 오목부(412a1)가 형성된다. 또한 원고리 오목부(412a1)는 원고리 오목부(412a1)의 외주면을 구성하는 외측 원고리벽(412a2)과, 원고리 오목부(412a1)의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측 원고리벽(412a3)과, 외측 원고리벽(412a2)과 내측 원고리벽(412a3)을 접속하는 상측 원고리벽(412a4)으로 구성된다. 내측 원고리벽(412a3)과 상측 원고리벽(412a4)의 접속부분에는 직경방향 외측을 향하고 축방향 상측을 향하는 경사면(412a5)이 형성된다. 외측 테이블부(412a)는 사출 성형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원고리 오목부(412a1)를 갖는 복잡한 형상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원고리 오목부(412a1)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에는 원고리 오목부(412a1)보다 작은 형상인 내측 원고리 오목부(412a6)가 형성된다. 이 원고리 오목부(412a1) 및 내측 원고리 오목부(412a6) 모두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원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내측 원고리 오목부(412a6)의 외주면은 내측 원고리벽(412a3)의 내주면을 포함하고 있다.
외측 원고리벽(412a2)의 하부의 직경방향 내측에는 단부(412a21)가 형성된다. 이 단부(412a21)에는 환상 플레이트인 밀봉판(48)의 외주연이 접촉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밀봉판(48)은 외측 원고리벽(412a2) 및 내측 원고리벽(412a3)에 접촉함으로써, 원고리 오목부(412a1)를 덮는다. 그리고 밀봉판(48)의 상면에는 원고리판 형상의 환상시트인 스페이서(spacer)(49)가 맞닿아 있다. 이 스페이서(49)의 상면에 맞닿도록 복수의 강구(47)가 원고리 오목부(412a1) 내에 배치된다.
밀봉판(48)은 금속판을 프레스가공에 의해 대략 원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밀봉판(48)의 내주측에는 원고리형상의 내주벽(481)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 내주벽(481)의 외주면은 내측 원고리벽(412a3)의 내주면에 압입에 의해서 고정된다. 또한 밀봉판(48)의 하면은 로터 홀더(23)의 덮개부(232)의 상면과 접촉한다.
내측 테이블부(411a)와 외측 테이블부(412a)는 내측 테이블부(411a)의 외주면과 외측 테이블부(412a)의 내주면이 접착제를 거쳐서 고정된다. 여기서, 내측 테이블부(411a)의 외주면에 접착홈(411a3)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서, 내측 테이블부(411a)와 외측 테이블부(412a)의 고정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측 테이블부(411a)에 상측 연장부(411a2)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내측 테이블부(411a)의 외주면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내측 테이블부(411a)와 외측 테이블부(412a)의 고정시키는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테이블부(411a)와 외측 테이블부(412a)의 고정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외측 테이블부(412a)의 탑재부(46a)에 축방향 하측의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외측 테이블부(412a)의 내주면이 내측 테이블부(411a)의 외주면에 대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탑재부(46a)에 축방향 하측의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탑재부(46a)가 축방향 하측으로 변위되어 버리는 것에 의한 외측 테이블부(412a)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이 높은 척킹장치를 구비한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측 테이블부(412a)의 내측 원고리 오목부(412a6)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의 하면과 로터 홀더(23)의 덮개부(232)의 상면의 사이에는 미소한 간극이 형성된다. 따라서, 내측 테이블부(411a)의 외주면과 외측 테이블부(412a)의 내주면의 사이의 접착제가 하측(즉, 로터 홀더(23)의 덮개부(232)의 상면측)에 넘쳤다고 해도 간극이 넘친 접착제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간극에 접착제가 충전되는 것에 의해서, 외측 테이블부(412a)의 내측 원고리 오목부(412a6)의 직경방향 내측의 하면과 로터 홀더(23)의 덮개부(232)의 상면이 접착제를 거쳐서 고정되게 되므로, 외측 테이블부(412a)가 로터 홀더(23)에 대해서도 고정된다. 따라서, 탑재부(46a)에 축방향 하측의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탑재부(46a)가 축방향 하측으로 변위되어 버리는 것에 의한 외측 테이블부(412a)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크 구동장치>
다음에, 본 발명의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장치의 실시예의 1형태에 대해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디스크 구동장치를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디스크 구동장치(50)는 중심에 개구구멍(61)을 가진 원반형상의 디스크(60)의 개구구멍(61)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디스크(60)의 회전중심과 동축으로 정합되고, 디스크(60)를 회전시키는 스핀들 모터(51)와, 디스크(60)에 레이저를 방사하는 것에 의해서 디스크의 정보의 기록 재생을 실행하는 픽업기구(52)와, 이 픽업기구(52)를 디스크(60)의 회전 직경방향으로 이동을 실행하는 기 어기구(53)와, 이들을 수용하는 케이스(54)를 구비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클램프부재가 디스크(60)의 상면을 누르는 것에 의해, 디스크(60)를 유지한다.
기어기구(53)는 출력축에 기어를 갖는 모터(531)와, 이 모터(531)의 회전토크를 전달받는 피전달측 기어(532)를 구비한다.
또한, 케이스(54)에는 디스크(60)의 이동과 기어기구(53)를 나누는 박판으로 형성된 경계판(5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스(54)에는 디스크(60)의 삽입 및 꺼냄을 실행하는 개구구멍(542)이 형성되어 있다.
픽업기구(52)는 레이저를 방사하는 기록 재생부(521)와, 이 기록 재생부(521)의 디스크(60)의 직경 방향으로의 이동방향과는 수직으로 마련되고, 기록 재생부(521)의 이동을 실행하는 이동부(522)를 구비한다. 이 이동부(522)는 피전달측 기어(532)와 맞물리는 맞물림부(522a)를 갖는다. 그리고 기록 재생부(521)에는 이동부(522)와 맞물리는 것에 의해서 직경방향으로 이동한다.
모터(531)에 부착된 기어부(531a)와 피전달측 기어(532)가 맞물리는 것에 의해서 피전달측 기어(532)는 회전하고, 피전달측 기어(532)가 이동부(522)의 맞물림부(522a)와 맞물리는 것에 의해서 이동부(522)가 직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이동부(522)의 이동에 의해서 기록 재생부(521)는 회전 직경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디스크 구동장치(50)의 스핀들 모터(51)에 본 발명의 모터(10)를 적용하는 것에 의해서, 스핀들 모터(51)를 디스크 구동장치(50)에 내장할 때에, 스핀들 모터(51)의 탑재부(도시하지 않음)에 축방향 하측의 힘이 가해졌다고 해도, 턴테이 블부(도시하지 않음)의 흔들림량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스핀들 모터(51)에 디스크(60)를 탑재했다고 해도, 기록 재생 에러를 막는 신뢰성이 높은 디스크 구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모터의 실시예에 대해 기재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테이블부(411, 411a)의 금속재료를 놋쇠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측 테이블부(411, 411a)는 쾌삭성(快削性)이 우수한 다른 금속재료이면 좋다. 또한 외측 테이블부(412, 412a)의 수지재료를 폴리카보네이트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척킹장치(40, 40a)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콘부(42, 42a)를 가진 구조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모터(10)의 척킹장치(40)는, 턴테이블부(41)와, 콘부(42)와, 탄성부재(43)와, 이동규제부(44)와, 클램프 마그네트(45)와, 탑재부(46)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척킹 장치는, 디스크를 탑재하는 탑재면을 가지는 턴테이블과, 디스크의 중심개구부의 중심과 중심축을 정합하는 정합면을 가지는 센터링 케이스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것은 척킹장치(40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척킹장치(40)는, 도시하지 않는 클램프부재를 자기적으로 흡인하기 때문에, 클램프 마그네트(45)를 구비했지만, 본 발 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클램프부재측에 마그네트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척킹장치(40)는 클램프 마그네트(45)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이것은 척킹장치(40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모터(10)의 척킹장치(40)의 턴테이블(41)은, 내측 테이블부(411)와 외측 테이블부(412)를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내측 테이블에 사출성형을 행하는 것에 의해, 외측 테이블을 내측 테이블에 일체로 마련해도 좋다. 이 경우, 내측 테이블의 외주면에 홈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내측 테이블과 외측 테이블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은 척킹장치(40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모터(10)의 척킹장치(40)의 내측 테이블(411)의 외주면은 상면에서 볼 때 원고리형상으로 형성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내측 테이블의 외측면을 상면에서 볼 때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외측 테이블의 내측 테이블에 고정되는 내측면은 마찬가지로 다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모터(10)의 척킹장치(40)의 내측 테이블(411)과 로터 홀더(23)의 덮개부(232)는, 접촉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내측 테이블(411)과 로터 홀더(23)의 덮개부(232)의 사이에 접착제가 끼워져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의 모터(10)의 척킹장치(40)의 내측 테이블(411)은, 샤프트(21)에 고정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로 터 홀더의 샤프트 고정부가 덮개부에서 상측을 향해 연장하는 경우, 내측 테이블은 샤프트 고정부의 외측면에 고정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의 척킹장치(40a)는 밀봉판(48)을 구비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밀봉판(48) 대신에 로터 홀더의 덮개부로 외측 테이블의 고리형상 오목부에 덮개를 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터의 실시예의 하나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척킹장치의 실시예의 하나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측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척킹장치의 주위를 확대한 확대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내측 테이블부를 나타내며, 도 4a는 내측 테이블부를 상측에서 본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4b는 내측 테이블부를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외측 테이블부를 나타내고, 도 5a는 외측 테이블부를 상측에서 본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5b는 외측 테이블부를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체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7은 탑재부에 축방향 하측으로의 힘을 가했을 때의 턴테이블부의 흔들림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모터의 다른 실시예의 하나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모터의 다른 실시예의 내측 테이블부를 나타내며, 도 9a는 내측 테이블부를 상측에서 본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9b는 내측 테이블부를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모터의 다른 실시예의 외측 테이블부를 나타내고, 도 10a는 외측 테이블부를 상측에서 본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10b는 외측 테이블부를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디스크 구동장치의 실시예의 하나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고,
도 12는 종래의 모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다.

Claims (20)

  1. 중심 개구부를 갖는 원반형상의 디스크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척킹장치를 구비하는 모터에 있어서,
    소정의 중심축과 동축에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중심축의 주위를 회전하는 로터 마그네트와,
    해당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로터 마그네트를 유지하는 로터 홀더와,
    상기 로터 홀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스테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척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터 홀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크를 탑재하는 탑재면을 갖는 턴테이블부와,
    해당 턴테이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크의 상기 중심 개구부의 중심과 상기 중심축을 조정하는 축방향 하측을 향해 직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는 원고리형상의 정합면을 갖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콘부와,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콘부의 축방향의 사이에 배치되고, 해당 콘부를 상측으로 부세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콘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해당 콘부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상측 이동규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턴테이블부는 상기 샤프트와 고정시키는 금속재료제의 내측 테이블부 와, 내측 테이블부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탑재면을 갖는 수지재료제의 외측 테이블부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 테이블부와 상기 외측 테이블부의 고정위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 테이블부는 상기 로터 홀더와 축방향으로 간극을 거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홀더는
    상기 샤프트와 고정시키는 샤프트 고정부와,
    해당 샤프트 고정부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덮개부를 갖고,
    상기 내측 테이블부는 상기 덮개부의 상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내측 테이블부와 외측 테이블부는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테이블부의 상기 외측 테이블부와 고정시키는 외주면에는 환상의 접착홈이 적어도 1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테이블부는 놋쇠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테이블부와 상기 로터 홀더의 상기 간극에는 접착제가 개재되고, 상기 외측 테이블부와 상기 로터 홀더는 상기 접착제를 거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테이블부의 외주측에는 해당 내측 테이블부의 상면이 축방향 상측으로 연장하는 상측 연장부를 갖고,
    상기 상측 연장부는 상기 내측 테이블부의 상기 외주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모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내측 테이블부의 상면 및 상기 상측 연장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테이블부의 외경은 상기 콘부의 외경 중, 가장 큰 직경보다도 크게 형성되고,
    상기 내측 테이블부의 외주부의 상면은 상기 콘부의 하면과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테이블부는 절삭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내측 테이블부의 상기 상측 연장부의 상면의 축방향의 위치는 상기 외측 테이블부의 상면보다도 축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1. 중심 개구부를 갖는 원반형상의 디스크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척킹장치를 구비하는 모터에 있어서,
    소정의 중심축과 동축에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중심축의 주위를 회전하는 로터 마그네트와,
    해당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로터 마그네트를 유지하는 로터 홀더와,
    상기 로터 홀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스테이터와,
    상기 척킹장치와 상기 로터 홀더의 사이에 구성되고, 해당 모터의 회전밸런스를 자동적으로 수정하는 자동평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척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터 홀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크를 탑재하는 탑재면을 갖는 턴테이블부와,
    해당 턴테이블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크의 상기 중심 개구부의 중심과 상기 중심축을 조정하는 축방향 하측을 향해 직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는 원고리형상의 정합면을 갖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콘부와,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콘부와의 축방향의 사이에 배치되고, 해당 콘부를 상측으로 부세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콘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해당 콘부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상측 이동규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턴테이블부는 상기 샤프트와 고정시키는 금속재료제의 내측 테이블부와, 내측 테이블부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탑재면 및 외주부에 축방향 하측을 향해 개구된 환상 오목부를 갖는 수지재료제의 외측 테이블부로 구성되고,
    상기 자동평형장치는
    상기 외측 테이블부의 상기 환상 오목부와 상기 로터 홀더의 상면에 의해서 둘러싸인 환상 공간과,
    해당 환상 공간에 수용되는 복수의 밸런스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테이블부와 상기 외측 테이블부의 고정위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 테이블부는 상기 로터 홀더와 축방향으로 간극을 거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테이블부의 상기 환상 오목부에는 해당 환상 오목부를 폐색하는 금속재료제의 환상 플레이트가 부착되어, 상기 환상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환상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상기 복수의 밸런스부재가 접촉하는 수지재료성의 환상시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내측 테이블부와 외측 테이블부는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테이블부의 상기 외측 테이블부와 고정시키는 외주면에는 환상의 접착홈이 적어도 1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5.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테이블부에 있어서의 상기 내측 테이블부와 고정시키는 내주면에서 상기 환상 오목부까지의 직경방향의 사이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접착제가 개재되고,
    상기 외측 테이블부의 해당 하면과 상기 로터 홀더의 상면은 상기 접착제를 거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6.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테이블부의 외주측에는 해당 내측 테이블부의 상면이 축방향 상측으로 연장하는 상측 연장부를 갖고,
    상기 상측 연장부는 상기 내측 테이블부의 상기 외주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7. 중심 개구부를 갖는 원반형상의 디스크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척킹장치를 구비하는 모터에 있어서,
    소정의 중심축과 동축에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중심축의 주위를 회전하는 로터 마그네트와,
    해당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기 로터 마그네트를 유지하는 로터 홀더와,
    상기 로터 홀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스테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척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의 상기 중심 개구부의 중심과 상기 중심축을 정합하는 정합면을 갖는 센터링 케이스부와,
    상기 정합면의 직경방향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의 하면이 맞닿는 탑재면을 갖는 턴테이블부를 갖고,
    상기 턴테이블부는 상기 샤프트와 고정시키는 내측 테이블부와, 해당 내측 테이블부에 고정되고 상기 탑재면을 갖는 외측 테이블부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 테이블부와 상기 외측 테이블부의 고정위치에 있어서, 상기 외측 테이블부는 상기 로터 홀더와 축방향으로 간극을 거쳐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8. 상기 디스크를 광학적으로 기록 재생하는 디스크 구동장치에 있어서,
    제 1 항, 제 11 항 및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터와,
    해당 모터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소정의 직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기록 재생부와,
    해당 기록 재생부의 이동을 실행하는 이동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구동장치.
  19. 제 1 항, 제 11 항 및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샤프트에 상기 로터 홀더 및 상기 내측 테이블부를 고정시키는 공정과,
    b) 상기 내측 테이블부에 상기 외측 테이블부를 고정시키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b)공정은 상기 a)공정의 후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테이블부와 상기 외측 테이블부는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되고,
    상기 접착제의 일부는 상기 외측 테이블부의 하면과 상기 로터 홀더의 상면의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제조방법.
KR1020080016297A 2007-02-23 2008-02-22 척킹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구동장치 KR200800786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43450A JP2008210421A (ja) 2007-02-23 2007-02-23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このモータを搭載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JP-P-2007-00043450 2007-0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603A true KR20080078603A (ko) 2008-08-27

Family

ID=39717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297A KR20080078603A (ko) 2007-02-23 2008-02-22 척킹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구동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73971B2 (ko)
JP (1) JP2008210421A (ko)
KR (1) KR200800786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128B1 (ko) * 2008-12-29 2011-01-24 주식회사 삼홍사 스핀들모터 및 이를 채용한 회전 정보저장장치
KR101135283B1 (ko) * 2009-10-08 2012-04-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핀들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8346B2 (ja) * 2009-11-06 2014-08-27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並びに、チャッキング装置の製造方法
KR100990609B1 (ko) * 2009-01-26 2010-10-29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척킹 장치, 브러시리스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US8281331B2 (en) * 2009-01-28 2012-10-02 Nidec Corporation Data storage medium support member, chucking device, brushless motor, and disc driv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2545U (ko) 1987-09-08 1989-03-14
JP3287874B2 (ja) 1992-05-29 2002-06-04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センタリング機構
JP3558268B2 (ja) 1999-06-08 2004-08-25 三洋電機株式会社 回転盤装置
JP2001084684A (ja) 1999-09-13 2001-03-30 Sankyo Seiki Mfg Co Ltd ディスク駆動装置
JP4655178B2 (ja) 2001-03-23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モーターユニット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322446B2 (ja) 2001-07-25 2009-09-02 日本電産株式会社 ディスク駆動装置
JP4122931B2 (ja) * 2002-10-31 2008-07-23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US20060212884A1 (en) * 2003-09-28 2006-09-21 Dongzuo Yang Slot-in disc loading system with various disc size compatibility
JP4113522B2 (ja) * 2004-08-04 2008-07-09 日本電産株式会社 記録ディスク駆動用モータ及びこの記録ディスク駆動用モータを用いた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7318961A (ja) * 2006-05-29 2007-12-06 Nippon Densan Corp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の製造方法
JP4535045B2 (ja) * 2006-08-21 2010-09-01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このチャッキング装置を搭載した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4992497B2 (ja) * 2007-03-19 2012-08-08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このモータを搭載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5092476B2 (ja) * 2007-03-19 2012-12-05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このモータを搭載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5439708B2 (ja) * 2007-05-09 2014-03-12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128B1 (ko) * 2008-12-29 2011-01-24 주식회사 삼홍사 스핀들모터 및 이를 채용한 회전 정보저장장치
KR101135283B1 (ko) * 2009-10-08 2012-04-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핀들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09454A1 (en) 2008-08-28
JP2008210421A (ja) 2008-09-11
US7873971B2 (en) 201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341B1 (ko) 모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98778B1 (ko) 척킹장치 및 이 척킹장치를 탑재한 브러시리스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US7913268B2 (en)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4946208B2 (ja) 記録媒体の保持装置とそれを用いたモータユニット
US6700256B2 (en) Brushless mo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4455542B2 (ja)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このブラシレスモータを備えたディスク駆動装置
KR100982826B1 (ko) 모터, 디스크 구동 장치 및 모터의 제조 방법
US7538459B2 (en) Disk drive device having a mo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otor
US8189290B2 (en) Spindle motor and disk drive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996793B1 (ko)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KR20080085718A (ko) 척킹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구동장치
KR20080078603A (ko) 척킹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구동장치
US6445096B1 (en) Spindle motor
KR100982846B1 (ko) 척킹 장치를 구비한 모터 및 이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장치
KR101091345B1 (ko) 척 부재를 포함한 스핀들 모터
JP2012165541A (ja) モータおよび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KR101142663B1 (ko) 모터 및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
US20130020887A1 (en) Motor and recording disk driv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9011033A (ja) スリーブユニットの製造方法、スリーブユニット、モータおよびスリーブユニット製造装置
JP5578346B2 (ja) チャッキング装置、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並びに、チャッキング装置の製造方法
JP2011067083A (ja) モータおよび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並びに、モータの製造方法
JP2006005974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14093109A (ja)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このブラシレスモータを備えたディスク駆動装置
KR20110004616A (ko) 스핀들모터
JP2009254044A (ja) 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