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0292B1 - 턴테이블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턴테이블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0292B1
KR101120292B1 KR1020100053514A KR20100053514A KR101120292B1 KR 101120292 B1 KR101120292 B1 KR 101120292B1 KR 1020100053514 A KR1020100053514 A KR 1020100053514A KR 20100053514 A KR20100053514 A KR 20100053514A KR 101120292 B1 KR101120292 B1 KR 101120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resin
turntable
claw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1943A (ko
Inventor
고스케 나카니시
신야 다바타
도시히데 소노다
요시히사 기타무라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37539A external-priority patent/JP54458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45417A external-priority patent/JP4683350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1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0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0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provided on the turntable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의 턴테이블은 강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중앙에 배치되고,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하나로 연결된 부재인 중앙 수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수지 부재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부위의 외주부에서 아래쪽을 향해 신장하는 복수의 클로와, 상기 중앙 수지 부재의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로와 중첩되는 복수의 클로 위치 관통구멍을 상기 중앙 수지 부재가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클로 위치 관통구멍의 내측면이 전체둘레에 걸쳐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에지로부터 이간하는 동시에 상기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상기 에지 중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의 주위의 부위와 상기 복수의 클로 위치 관통구멍의 사이에 수지층이 존재한다.

Description

턴테이블 및 그 제조 방법{TURNT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록 디스크용의 턴테이블 및 그것을 구비하는 모터 및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에 따른 것이다.
종래부터,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에는 기록 디스크가 설치되는 턴테이블이 모터에 마련된다. 종래의 턴테이블은 턴테이블 본체와, 센터 스핀들을 구비한다. 턴테이블 본체는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센터 스핀들은 수지로 형성되며, 턴테이블 본체와 1개의 부재로 되어 있다. 센터 스핀들에는 위쪽을 향해 지름이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 둘레 면이 형성된다. 테이퍼 둘레 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의 디스크 받이편이 마련된다. 중심 구멍을 갖는 디스크가 턴테이블에 장착될 때에는 디스크 받이편이 중심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접촉해서 탄성 변형되는 것에 의해, 턴테이블 본체에 대한 디스크의 얼라인먼트(調芯)가 실행된다.
그런데, 종래의 턴테이블에서는 턴테이블 본체에 마련된 개구에 디스크 받이편이 위치한다. 이와 같은 턴테이블 본체에서는 디스크 받이편을 사출 성형으로 형성할 때에, 금형과 턴테이블 본체의 개구의 에지가 접촉해 버릴 우려가 있다. 디스크 받이편과 같은 디스크를 고정하는 클로(claw)부을 성형하는 금형의 부위와 금속 부품이 접촉하면, 클로을 고정밀도로 성형할 수 없다. 그 결과, 턴테이블이 디스크를 유지하는 정밀도가 저하할 우려가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형의 클로 형성부와 플레이트 부재의 간섭을 용이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의 턴테이블은 강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중앙에 배치되고,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하나로 연결된 부재인 중앙 수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수지 부재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부위의 외주부에서 아래쪽을 향해 신장하는 복수의 클로와, 상기 중앙 수지 부재의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로와 중첩되는 복수의 클로 위치 관통구멍을 상기 중앙 수지 부재가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클로 위치 관통구멍의 내측 면이 전체둘레에 걸쳐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에지로부터 이간하는 동시에 상기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상기 에지 중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의 주위의 부위와 상기 복수의 클로 위치 관통구멍의 사이에 수지층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의 턴테이블의 제조 방법은 2개의 금형의 한쪽에 강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부재를 부착하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2개의 금형을 체결하는 것에 의해 캐비티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캐비티내에 수지를 사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부재로서 중앙 수지 부재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 수지 부재를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금형의 각각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돌출된 복수의 클로 형성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지를 충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중앙 수지 부재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보다도 위쪽의 부위의 외주부에서 아래쪽을 향해 신장하는 복수의 클로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클로 형성부의 각각의 전체둘레가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에지로부터 이간하고, 상기 에지 중 상기 복수의 클로 형성부의 주위의 부위와 상기 복수의 클로 형성부의 전체둘레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지를 충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에지 중 상기 복수의 클로 형성부의 주위의 부위 위에 수지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시에 금형의 클로 형성부와 플레이트 부재의 간섭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턴테이블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플레이트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플레이트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턴테이블의 평면도이다.
도 6은 턴테이블의 평면도이다.
도 7은 턴테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8은 턴테이블의 저면도이다.
도 9는 턴테이블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클로을 확대해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턴테이블을 제조하는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금형 및 플레이트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금형 및 플레이트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금형 및 플레이트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다른 예에 따른 플레이트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레이트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턴테이블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또 다른 예에 따른 플레이트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턴테이블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턴테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플레이트 부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모터의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중심축 J1방향에 있어서의 상측을 단지「상측」이라 하고, 하측을 단지「하측」이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은 실제의 기기에 조립되었을 때의 위치관계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모터를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10)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10)는 모터(1)와, 액세스부(11)와, 이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상자형상의 하우징(12)을 구비한다. 도 1에서는 하우징(12) 및 기록 디스크(9)를 2점쇄선으로, 클램퍼(122) 및 클램프 마그네트(123)는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모터(1)는 섀시(121)에 의해 유지된다. 액세스부(11)는 헤드(111)와, 헤드 이동 기구(112)를 구비한다. 헤드(111)는 기록 디스크(9)에 대한 정보의 판독 및/또는 기입을 실행하는 광픽업 기구이다. 기록 디스크(9)로서, 예를 들면, 블루레이 디스크가 이용된다. 헤드 이동 기구(112)는 헤드(111)를 모터(1) 및 기록 디스크(9)에 대해 이동시킨다. 헤드(111)는 광출사부와 수광부를 갖는다. 광출사부는 기록 디스크(9)의 하면을 향해 레이저광을 출사한다. 수광부는 기록 디스크(9)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한다.
하우징(12)에는 도시 생략의 반송 기구가 마련된다. 반송 기구에 의해, 기록 디스크(9)의 하우징(12)에의 삽입이나, 하우징(12)으로부터의 꺼냄이 실행된다. 또한, 하우징(12)내에는 클램프 마그네트(123)를 갖는 클램퍼(122)가 마련된다.
기록 디스크(9)가 삽입되면, 기록 디스크(9)의 중앙의 디스크 중앙 구멍(91)이 모터(1)의 턴테이블(13)의 위쪽에 배치된다. 그리고 모터(1)가 상승해서, 기록 디스크(9)가 턴테이블(13)에 탑재된다. 클램프 마그네트(123)가, 턴테이블(13)의 금속의 플레이트 부재를 위쪽으로부터 흡착하는 것에 의해, 클램퍼(122)에 의해 기록 디스크(9)가 턴테이블(13) 상에 클램프된다.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10)에서는 모터(1)에 의해 기록 디스크(9)가 회전되고, 헤드 이동 기구(112)가 헤드(111)를 소요의 위치로 이동시켜, 기록 디스크(9)에 대한 정보의 읽어냄 및/또는 기입이 실행된다. 기록 디스크(9)를 꺼낼 때에는 클램퍼(122)가 기록 디스크(9)로부터 멀어지고, 모터(1)가 하강해서 기록 디스크(9)가 턴테이블(13)로부터 분리된다.
도 2는 모터(1)의 종단면도이다. 모터(1)는 회전 조립체인 회전부(2)와, 고정 조립체인 정지부(3)와, 턴테이블(13)과, 축받이기구(4)를 구비한다. 회전부(2)는 축받이기구(4)에 의해, 정지부(3)에 대해 그 위쪽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턴테이블(13)은 회전부(2)의 상단에 마련된다.
회전부(2)는 덮개를 갖는 대략 원통형상의 컵 부재(21)와, 둥근 링형상의 로터 마그네트(22)를 갖는다. 로터 마그네트(22)는 컵 부재(21)의 원통부의 내측면에 부착된다. 컵 부재(21)의 중앙에는 원통형상의 샤프트 고정부(23)가 마련된다. 축받이기구(4)의 샤프트(41)는 샤프트 고정부(23)에 삽입되어 컵 부재(21)에 고정된다.
정지부(3)는 대략 판형상의 베이스부(31)와, 스테이터(32)와, 회로 기판(33)을 구비한다. 회로 기판(33)은 베이스부(31)상에 배치된다. 베이스부(31)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베이스부(31)의 중앙의 구멍(311)에는 축받이기구(4)가 부착된다. 스테이터(32)는 스테이터 코어(321)와, 스테이터 코어(321) 상에 형성된 복수의 코일(322)을 구비한다. 스테이터 코어(321)는 적층 강판으로 형성된다. 스테이터(32)는 슬리브 유지부(42)의 원통부(421)의 외측면에 부착되고, 로터 마그네트(22)에 대해 중심축 J1에 수직인 방향에 대향한다. 모터(1)의 구동시에는 로터 마그네트(22)와 스테이터(32)의 사이에서 자기적 작용이 발생한다.
축받이기구(4)는 샤프트(41)와, 바닥을 갖는 원통형상의 슬리브 유지부(42)와, 슬리브(43)와, 원환형상의 빠짐 방지 부재(44)를 구비한다. 샤프트(41)의 하부의 선단에는 원환형상의 홈(411)이 형성된다. 슬리브(43)는 오일 함유성의 다공질 금속체에 의해 형성된다. 슬리브 유지부(42)는 원통부(421)와 고리형상의 단차부(422)와 바닥부(423)를 갖는다. 단차부(422)에서는 원통부(421)의 하단에서 중심축 J1을 향해 지름이 작아진다. 바닥부(423)는 단차부(422)의 하측에서 슬리브 유지부(42)의 하단을 폐색한다.
빠짐 방지 부재(44)는 수지 등의 탄성체에 의해 형성되고, 단차부(422)상에 탑재된다. 빠짐 방지 부재(44)의 내측의 단부는 샤프트(41)의 홈(411)내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샤프트(41)가 슬리브 유지부(42)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바닥부(423)의 내측에는 원판형상의 스러스트 플레이트(45)가 마련된다. 모터(1)의 구동시에는 샤프트(41)의 선단이 스러스트 플레이트(45)에 맞닿는 것에 의해, 샤프트(41)가 스러스트 방향으로 안정하게 지지가 된다. 또한, 샤프트(41)는 슬리브(43)에 의해, 오일을 사이에 두고 레이디얼 방향으로 지지가 된다.
턴테이블(13)은 원환형상의 플레이트 부재(131)와, 고리형상의 중앙 수지 부재(132)와, 고리형상 러버(133)를 구비한다. 모터(1)의 중심축 J1은 플레이트 부재(131)의 중심축이기도 하고, 중앙 수지 부재(132)의 중심축이기도 한다. 도 2에서는 플레이트 부재(131)의 안쪽측의 형상의 일부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플레이트 부재(131)는 연질의 강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프레스 가공으로 성형 된다. 플레이트 부재(131)의 두께는 0.8㎜ 정도이다. 플레이트 부재(131)는, 예를 들면, 전기 아연 도금 강판(SECC)이다.
플레이트 부재(131)는 플레이트 부재(131)의 외주부인 플레이트 외주부(51)와, 플레이트 부재(131)의 중앙부인 플레이트 중앙부(52)와, 플레이트 중앙부(52)와 플레이트 외주부(51)의 사이에 위치하는 굴곡부(53)를 구비한다. 플레이트 외주부(51)는 중심축 J1에 대략 수직이다. 플레이트 중앙부(52)는 중심축 J1에 대략 수직이고, 플레이트 외주부(51)보다도 위쪽에 위치한다. 턴테이블(13)에서는 도 1의 클램프 마그네트(123)와 플레이트 외주부(51)의 사이에서 충분한 자기적 작용을 기능 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플레이트 부재(131)는 연질의 강자성 재료이면 좋고, 저렴한 재료도 선택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턴테이블(13)이 저렴하게 제조된다.
중앙 수지 부재(132)는 플레이트 부재(131)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고,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플레이트 부재(131) 및 중앙 수지 부재(132)는 1개의 부품으로 된다. 또, 사출 성형은 프레스 가공에 비해 성형 정밀도가 높다. 구체적으로는 플레이트 부재(131)가 50㎛ 정도의 오차에서 성형 되는 것에 반해, 중앙 수지 부재(132)를 제작하는 금형부품은 5㎛~10㎛ 정도의 오차에서 성형 된다. 중앙 수지 부재(132)는 플레이트 외주부(51)보다도 위쪽으로 돌출한다. 중앙 수지 부재(132)가 플레이트 중앙부(52) 및 굴곡부(53)의 대략 전체를 덮고 있으므로, 플레이트 부재(131)가 중앙 수지 부재(132)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중앙 수지 부재(132)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 수지 부재(132)는 수지 원통부(61)와, 디스크 가이드부(631)와, 수지 연결부(632)와, 복수의 클로(633)을 구비한다. 이들 부위를 포함하는 중앙 수지 부재(132) 전체가 하나로 연결된 부재로서 형성된다. 수지 원통부(61)는 플레이트 부재(131)의 대략 중앙에 마련된 플레이트 중앙 구멍(55)의 내측에 위치하고, 플레이트 중앙 구멍(55)을 관통하는 중앙 수지 관통구멍(611)을 갖는다. 중앙 수지 관통구멍(611)에는 샤프트(41)의 상부가 고정된다.
디스크 가이드부(631)는 중앙 수지 부재(132)의 상부의 외주에 위치하고,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방향 바깥쪽이면서 동시에 아래쪽을 향해 경사진다. 플레이트 부재(131)의 굴곡부(53)는 디스크 가이드부(631)의 외주형상을 대략 따르도록 절곡되어 있다. 수지 연결부(632)는 플레이트 중앙부(52)상에 있어서, 플레이트 중앙부(52)의 상면 전체를 덮는 동시에, 수지 원통부(61)와 디스크 가이드부(631)를 연결한다. 중앙 수지 부재(132)에서는 디스크 가이드부(631) 및 수지 연결부(632)가 플레이트 부재(131)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상부(63)를 형성한다.
복수의 클로(633)은 상부(63)의 외주부인 디스크 가이드부(631)의 복수 개소에 마련되고, 디스크 가이드부(631)로부터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방향 바깥쪽이면서 동시에 아래쪽을 향해 신장한다. 디스크 가이드부(631)와 클로(633)의 사이에는 언더컷이 형성된다. 이하,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하는 지름방향을 단지「지름방향」이라 하고,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방향을 단지「둘레방향」이라 한다.
도 1의 기록 디스크(9)가 턴테이블(13)에 부착될 때에는 디스크 가이드부(631)에 의해 디스크 중앙 구멍(91)이 클로(633)에 가이드 되고, 클로(633)이 디스크 중앙 구멍(91)에 접한다. 그리고 기록 디스크(9)가 플레이트 부재(131)상에 배치된다. 정확하게는 기록 디스크(9)는 플레이트 부재(131)상의 고리형상 러버(133)상에 탑재된다. 이 상태에서, 클로(633)은 수지 연결부(632)에 의해 지지가 되면서, 지름방향 안쪽으로 탄성 변형되고 있다. 클로(633)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기록 디스크(9)의 중심을 중심축 J1상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높은 얼라인먼트 성능이 요구되는 블루레이 디스크 등의 기록 디스크라도, 턴테이블(13)에 고정밀도로 부착된다.
도 3은 플레이트 부재(13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A의 위치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부재(131)의 단면도이다. 플레이트 부재(131)에는 플레이트 외주부(51) 및 굴곡부(53)의 7개소가 펀칭 되는 것에 의해, 둘레방향에 7개의 개구(54)가 형성된다. 플레이트 중앙 구멍(55)에는 플레이트 중앙 구멍(55)으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신장하는 3개의 절결(551)이 마련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절결(551)은 플레이트 중앙 구멍(55)의 중심, 즉 중심축 J1로부터 서로 이루는 각도가 90도 보다도 커지도록 신장한다. 플레이트 외주부(51)의 바깥가장자리부에는 다른 절결(511)이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은 턴테이블(13)의 평면도이다. 도 6에서는 중앙 수지 부재(132)에 평행 사선을 긋고 있다. 도 7은 도 5의 화살표 B의 위치에 있어서의 턴테이블(13)의 단면도이다. 도 7에서는 플레이트 부재(131)의 안쪽측의 형상의 일부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하, 다른 도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 연결부(632) 및 디스크 가이드부(631)에는 이들 부위를 타고 넘어 아래쪽을 향해 움푹하게 패이는 7개의 오목부(634)가, 둘레방향에 같은 간격으로 마련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앙 수지 부재(132)의 사출 성형시에는 오목부(634)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게이트로부터 금형내의 캐비티에 수지가 사출된다. 금형에서 성형품을 분리할 때에는 게이트에서 수지가 절단되기 때문에, 오목부(634)에는 볼록 형상의 게이트 흔적인 게이트 커트부(634a)가 형성된다.
도 8 및 도 9는 턴테이블(13)의 저면도이다. 도 9에서는 중앙 수지 부재(132)에 평행 사선을 긋고 있다. 이하, 다른 마찬가지의 도면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수지 부재(132)의 플레이트 부재(131)보다도 하측의 하부(64)에는 중앙 수지 관통구멍(611)의 주위에서 위쪽을 향해 움푹하게 패이는 고리형상 수지 오목부(641)가 마련된다. 중앙 수지 부재(132)의 사출 성형시에는 캐비티내에 복수 종류의 핀이 배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고리형상 수지 오목부(641)에는 핀의 흔적을 나타내는 복수의 오목부(671, 672)가 형성된다.
도 10은 도 5의 클로(633) 근방을 확대해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중앙 수지 부재(132)에 간격이 넓은 평행 사선을 긋고, 플레이트 부재(131)에 간격이 좁은 평행 사선을 긋고 있다. 또한, 플레이트 부재(131)의 개구(54)의 에지(541) 중, 중앙 수지 부재(132)에 의해 덮인 부분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7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수지 부재(132)에는 개구(54)의 에지(541) 상에 수지층(65)이 마련된다.
수지층(65)의 중심축 J1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 즉 개구(54)의 에지(541)와 수지층(65)의 내주의 사이의 최단거리는 사출 성형시에 있어서의 수지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0.5㎜ 이상으로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지의 점성이 높은 경우에도 수지의 쇼트를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상기 두께가 0.7㎜ 이상으로 된다. 또한, 수지층(65)이 과도하게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두께가 1㎜ 이하로 된다. 또, 수지의 유동성이나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는 치수범위를 고려해서 다양하게 치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전술한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지층(65)의 내측에는 클로(633)과 중심축 J1에 평행한 방향으로 중첩되는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이 형성된다. 환언하면,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의 내측면은 전체둘레에 걸쳐 개구(54)의 에지에서 수평방향에 대해 이간하고, 내측면 전체가 수지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중심축 J1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개구(54)의 에지(541)와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의 사이에 전체둘레에 걸쳐 수지층(65)이 존재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개구(54)의 에지(541)는 플레이트 부재(131)의 에지 중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의 주위의 부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로(633)의 선단은 클로 위치 관통구멍(66)내에 위치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로(633)과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은 동일 수이며, 1개의 클로(633)에 1개의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이 대응한다. 플레이트 부재(131)에서는 복수의 클로 위치 관통구멍(66)과 중첩되는 큰 1개의 원형개구를 중앙에 갖는 플레이트 부재에 비해, 강도가 확보된다.
다음에, 턴테이블(13)을 제조하는 흐름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복수의 플레이트 부재(131)가 프레스 가공으로 성형된다(스텝 S11). 복수의 플레이트 부재(131)는 소정의 수용부에 수용된다. 수용부 내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플레이트 부재(131)의 바깥가장자리부의 절결(511)이 봉형상부재에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고, 복수의 플레이트 부재(131)의 둘레방향의 위치, 즉 둘레방향의 방향이 대략 일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절결(511)은 플레이트 부재(131)가 금형에 부착되기 전의 둘레방향의 위치를 임시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것에 의해, 금형에 대한 플레이트 부재(131)의 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반송 기구에 의해, 1개의 플레이트 부재(131)가 흡착 유지되어 수용부로부터 꺼내진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131)의 중심축 J1이 수평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플레이트 부재(131)가 자기적 작용이나 에어의 흡인력 등을 이용해서, 가동 금형(82)에 부착된다(스텝 S12). 가동 금형(82) 및 플레이트 부재(131)는 중심축 J1을 따라 정지 금형(81)에 접근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지 금형(81) 및 가동 금형(82)에 의해, 플레이트 부재(131)가 사이에 배치되면서, 정지 금형(81) 및 가동 금형(82)이 체결된다. 정지 금형(81)과 가동 금형(82)의 사이에는 캐비티(89)가 형성된다(스텝 S13).
정지 금형(81)은 캐비티(89)내에 수지를 보내는 유로(811)와, 클로 형성부인 제 1 클로 형성 부품(812)을 구비한다. 제 1 클로 형성 부품(812)은 가동 금형(82)으로 돌출된다. 정지 금형(81)에는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하는 고리형상의 오목부(813)가 형성된다. 오목부(813)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7개소에는 플레이트 중앙부(52)를 향해 약간 돌출된 볼록부(814)가 형성된다. 볼록부(814)에는 유로(811)의 게이트(811a)가 위치한다.
가동 금형(82)은 복수 종류의 핀을 갖는다. 가동 금형(82)의 일부인 위치 결정 핀(821)은 플레이트 중앙 구멍(55)을 향해 돌출되고, 절결(551)에 삽입된다. 위치 결정 핀(821)이, 절결(551)과 중심축 J1에 수직인 방향으로 맞닿는 것에 의해, 플레이트 부재(131)의 가동 금형(82)에 대한 중심축 J1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하, 절결(551)을「위치 결정부(551)」라 한다. 위치 결정부(551)의 둘레방향의 폭과 위치 결정 핀(821)의 지름은 정확하게 동일하게 될 필요는 없으며, 후술하는 수지층 형성 공간(892)이 확보되는 것이면, 다소 간극이 마련되어도 좋다.
가동 금형(82)에는 클로 형성부인 제 2 클로 형성 부품(822)이 마련된다. 제 2 클로 형성 부품(822)은 제 1 클로 형성 부품(812) 측으로 돌출된다. 복수의 제 1 클로 형성 부품(812) 및 복수의 제 2 클로 형성 부품(822)은 플레이트 부재(131)의 복수의 개구(54)에 각각 삽입된다. 제 1 클로 형성 부품(812)과 제 2 클로 형성 부품(822)의 사이에, 클로(633)을 형성하기 위한 클로 형성 공간(891)이 형성된다. 또한, 중심축 J1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제 1 클로 형성 부품(812) 및 제 2 클로 형성 부품(822)과 개구(54)의 에지(541)의 사이에, 수지층(65)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층 형성 공간(892)이 형성된다. 환언하면, 제 1 클로 형성 부품(812) 및 제 2 클로 형성 부품(822)과 개구(54)의 에지(541)가 이간 되어 있다. 또, 위치 결정 핀(821)과 위치 결정부(551)의 사이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제 1 및 제 2 클로 형성 부품(812, 822)과 개구(54)의 에지(541)의 사이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도 작다.
정지 금형(81)에 대향하는 면에는 중심축 J1을 중심으로 하는 금형 고리형상 볼록부(826)가 마련되고, 금형 고리형상 볼록부(826)로부터는 복수의 지지 핀(823)이 돌출한다. 지지 핀(823)은 플레이트 중앙부(52)의 하면, 즉 도 13에 있어서의 우측의 면에 맞닿는 동시에, 유로(811)의 게이트(811a)에 대향한다. 지지 핀(823)은 게이트(811a)로부터의 수지의 흐름에 대해 플레이트 중앙부(52)를 지지한다.
또한, 가동 금형(82)에는 성형품을 금형에서 분리하기 위한 2종류의 이형 핀(824a, 824b)이 마련된다. 이형 핀(824a)의 선단은 단차를 가지며, 선단의 일부가 플레이트 외주부(51)에 맞닿는다. 이형 핀(824a)보다도 지름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이형 핀(824b)은 플레이트 중앙부(52)에 대향한다. 또, 이형 핀(824b)은 실제로는 도 13에 도시하는 단면과는 다른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플레이트 중앙부(52)에는 플레이트 중앙 구멍(55)에 중앙 핀(825)이 삽입된다. 중앙 핀(825)은 정지 금형(81)의 오목부(813)보다도 내측의 부위에 맞닿는다.
정지 금형(81) 및 가동 금형(82)이 체결되면, 게이트(811a)로부터 캐비티(89)내에 수지가 고압으로 사출된다(스텝 S14). 수지는 플레이트 부재(131)의 상면측에서 하면측으로 넓어지고, 클로 형성 공간(891) 및 수지층 형성 공간(892)을 포함하는 캐비티(89) 전체에 완전히 충전된다. 이것에 의해, 클로 형성 공간(891)에는 도 7에 도시하는 클로(633)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 1 클로 형성 부품(812) 및 제 2 클로 형성 부품(822)인 클로 형성부의 전체둘레에는 도 7에 도시하는 수지층(65)이 형성된다. 즉, 플레이트 부재(131)의 에지 중, 복수의 클로 형성부의 주위의 부위와 복수의 클로 형성부의 전체둘레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지층 형성 공간(892)에 수지를 충전하는 것에 의해, 중심축 J1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에지 중 복수의 클로 형성부의 주위의 모든 부위 위에 수지층(65)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 금형(82)에서는 지지 핀(823)이 플레이트 중앙부(52)를 지지하기 때문에, 수지의 흐름에 밀리는 것에 의한 플레이트 중앙부(52)의 변형이 방지된다. 그 결과, 플레이트 외주부(51)의 축방향의 위치 어긋남도 방지된다.
수지가 경화해서 중앙 수지 부재(132)가 형성되면,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금형(82)이 정지 금형(81)으로부터 멀어진다. 이때, 수지 원통부(61)와 중앙 핀(825)이 접촉하는 동시에, 고리형상 수지 오목부(641)와 금형 고리형상 볼록부(826)가 접촉한다. 이 때문에, 턴테이블(13)은 가동 금형(82)과 함께 정지 금형(81)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형 핀(824a, 824b)이, 도 8에서 평행 사선을 그어 도시하는 바와 같이, 턴테이블(13)의 11개소를 가볍게 가압하는 동시에, 반송 기구가 턴테이블(13)을 흡착 유지하는 것에 의해, 턴테이블(13)이 가동 금형(82)으로부터 분리된다(스텝 S15).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수지 부재(132)에서는 수지층(65)이 개구(54)의 에지(541)의 전체둘레를 중심축 J1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덮는 것에 의해, 개구(54)와 중첩되는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이 형성된다.
고리형상 수지 오목부(641)에는 위치 결정 핀(821)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면에서 위쪽을 향해 움푹하게 패이는 오목부(671)(이하,「위치 결정 핀 오목부(671)」라 함)가 형성된다. 위치 결정 핀 오목부(671)내에서는 위치 결정부(551)의 내주면이 노출되어 있다. 지지 핀(82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하면에서 위쪽을 향해 움푹하게 패이는 오목부(672)(이하,「지지 핀 오목부(672)」라 함)가 형성된다. 지지 핀 오목부(672)내에는 플레이트 부재(131)의 하면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 핀 오목부(671)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지지 핀 오목부(672)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 7에 도시하는 수지 연결부(632)의 내측에는 지름방향 바깥쪽을 향해 지름이 점차 증대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경사면과 수지 원통부(61)의 내측면의 사이에는 도 13에 도시하는 정지 금형(81)과 중앙 핀(825)의 접촉에 의해, 파팅 라인(parting line) 라인이 형성된다. 또, 모터(1)에서는 도 2의 샤프트(41)가 파팅 라인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며, 샤프트(41)와 파팅 라인이 접촉하는 일은 없다.
그 후, 턴테이블(13)은 반송 기구에 의해 소정의 용기에 수용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131)에서는 플레이트 중앙부(52)가 플레이트 외주부(51)보다도 위쪽으로 돌출하는 것에 의해, 플레이트 부재(131)의 위쪽에 있어서의 중앙 수지 부재(132)의 두께가 얇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레이트 중앙부(52)의 상면 전체가 덮이는 턴테이블(13)이어도, 중요 치수부인 디스크 가이드부(631)에서, 수지의 가라앉음(sinkage)의 발생이 방지된다.
플레이트 부재(131)에서는 굴곡부(53) 및 플레이트 중앙부(52)가 디스크 가이드부(631) 및 수지 연결부(632)의 외표면의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 부재(131)의 굴곡부(53) 및 플레이트 중앙부(52)로부터 상측의 수지 부분의 두께가 대략 동일 정도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수지의 가라앉음의 발생이 방지된다.
플레이트 부재(131)에 플레이트 중앙부(52)를 마련했기 때문에, 중앙 수지 부재(132)와 플레이트 부재(131)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중앙부(52)를 플레이트 외주부(51)보다 상측에 위치시켰다. 이 구조로 인해, 플레이트 중앙부(52)를 수지에 의해 상하에 배치할 수 있고, 중앙 수지 부재(132)와 플레이트 부재(131)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재(131)와 중앙 수지 부재(132)가 박리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유로(811)의 게이트(811a)는 플레이트 부재(131)의 위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중앙 수지 부재(132)의 상부의 디스크 가이드부(631) 및 해당 상부에서 아래쪽으로 신장하는 클로(633)이 고정밀도로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방향에 있어서 클로(633)과 클로(633)의 사이에, 게이트 커트부(634a)가 위치한다. 즉, 도 13에 도시하는 인접하는 2조의 제 1 및 제 2 클로 형성 부품(812, 822)의 사이에 게이트가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디스크 가이드부(631)에 웰드라인이 위치하는 것이 방지된다.
게이트(811a)가 플레이트 부재(131)의 위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수지를 클로 형성 공간(891)에 빠른 시기에 충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중앙 수지 부재(132)에 있어서의 다른 부위보다 두께가 얇고, 또한 고도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클로(633)을, 가라앉음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고정밀도로 제작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수지 부재(132)의 하부(64)에서는 두께의 일부를 잘라낸 고리형상 수지 오목부(641)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하부(64)와 플레이트 부재(131)의 사이의 수지의 두께가 얇게 되어 있으므로, 하부(64)에 있어서의 수지의 가라앉음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수지 원통부(61)에 있어서의 수지의 가라앉음도 방지된다.
1개의 턴테이블(13)이 제조되면, 수용부로부터 새로운 플레이트 부재(131)가 꺼내지고, 스텝 S12~S15가 실행되며, 플레이트 부재(131)에 중앙 수지 부재(132)가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복수의 턴테이블(13)이 순차적으로 제조된다. 또, 고리형상 러버(133)는 후의 공정에서 플레이트 부재(131)에 점착된다.
턴테이블(13)에서는 중앙 수지 부재(132)가 정지 금형(81) 및 가동 금형(82)으로부터 분리되는 공정(스텝 S15)의 후에, 개구(54)의 에지(541)와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의 사이에 형성된 수지층(65)이 제거되어도 좋다(스텝 S16). 이것에 의해, 턴테이블(13)의 경량화가 도모된다. 또, 수지층(65)을 제거하는 공정은 복수의 턴테이블(13)이 제조된 후에, 일괄해서 실행되어도 좋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13)의 제조에서는 제 1 및 제 2 클로 형성 부품(812, 822)과 플레이트 부재(131)의 개구(54)가 비접촉인 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클로 형성 부품(812, 822)과 플레이트 부재(131)의 간섭이 용이하게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클로 형성 부품(812, 822)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클로 형성 부품(812, 822)과 플레이트 부재(131)의 개구(54)가 이간 되어 있기 때문에, 턴테이블(13)에서는 복수의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의 각각의 전체둘레에 수지층(65)이 존재하게 된다.
가령, 제 1 및 제 2 클로 형성 부품(812, 822)과 플레이트 부재(131)의 개구(54)의 에지(541)가 접촉하면, 플레이트 부재(131)의 가공 정밀도가 낮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클로 형성 부품(812, 822)과 에지(541)의 사이에 의도하지 않은 매우 작은 간극이 발생한다. 해당 간극에 수지가 들어가는 것에 의해, 버르(burr)가 발생한다. 턴테이블(13)에서는 제 1 및 제 2 클로 형성 부품(812, 812)과 개구(54)의 에지(541)의 사이에 충분한 폭을 마련하고, 적극적으로 수지를 흘려 넣어 수지층(65)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버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턴테이블(13)은 인서트 성형을 이용함으로써, 적은 공정수로 정밀도가 높게 제조할 수 있다. 플레이트 부재(131)에는 높은 성형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플레이트 부재(131)를 저렴한 프레스 가공으로 성형할 수 있다.
중앙 수지 부재(132)는 클로(633)의 선단이 클로 위치 관통구멍(66) 내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사출 성형시에 제 1 및 제 2 클로 형성 부품(812, 822)을 클로(633)에서 분리하기 위해 필요한 힘이 감소한다.
수지의 사출 성형이 실행될 때에, 플레이트 부재(131)의 정지 금형(81) 및 가동 금형(82)에 대한 위치 결정이 플레이트 중앙부(52)에서 실행된다. 이 구조로 인해, 클램프 마그네트(123)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플레이트 외주부(51)의 면적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 외주부(51)에 위치 결정용의 구멍을 마련하면, 구멍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플레이트 외주부(51)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위치 결정이 위치 결정부(551)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플레이트 외주부(51)의 평면도를 확보할 수 있고, 플레이트 외주부(51)와 클램프 마그네트(123)의 사이의 거리를 둘레 방향의 각 위치에서 대략 균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 부재(131)와 클램프 마그네트(123)의 사이에서 안정된 자기 흡인력을 얻을 수 있다.
플레이트 부재(131)의 위치 결정부(551)가 절결이기 때문에, 위치 결정 핀(821)이 위치 결정부(551)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플레이트 부재(131)가 정지 금형(81) 및 가동 금형(82)에 용이하게 고정된다. 위치 결정부(551)의 수가 3이기 때문에, 플레이트 부재(131)의 중심축 J1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안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도 15는 플레이트 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플레이트 부재(131)는 도 3에 도시하는 플레이트 부재(131)의 플레이트 중앙 구멍(55)과 복수의 개구(54)를 연통한 형상인 1개의 개구(56)를 갖는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개구(56) 중, 플레이트 중앙 구멍(55)에 대응하는 부위를「중앙 구멍부(561)」라 하고, 개구(54)에 대응하는 부위를「주변 개구(562)」라 한다. 또한, 중앙 구멍부(561)와 주변 개구(562)를 연통하는 절결에 부호 ‘563’을 붙인다. 도 15의 플레이트 부재(131)의 다른 형상은 도 3의 플레이트 부재(131)와 동일하다. 이하,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플레이트 부재(131)에는 도 5에 도시하는 것과 동일 형상의 중앙 수지 부재(132)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도 7과 마찬가지로, 중앙 수지 부재(132)에는 주변 개구(562)의 에지를 덮는 수지층(65)이 마련된다. 수지층(65)의 내측에는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이 형성된다. 플레이트 부재(131)에서는 도 15에 도시하는 복수의 주변 개구(562)가 도 7에 도시하는 복수의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의 각각과 중첩되는 복수의 개구로 되어 있고, 복수의 클로 위치 관통구멍(66)과 중첩되는 큰 원형의 1개의 개구를 갖는 플레이트 부재에 비해, 중앙 수지 부재(132)의 성형 후에 있어서의 강도가 확보된다.
중앙 수지 부재(132)가 사출 성형으로 형성되는 공정은 도 11과 마찬가지이다. 사출 성형에서는 도 13에 도시하는 복수의 클로 형성부인 제 1 및 제 2 클로 형성 부품(812, 822)이 전체둘레에 걸쳐 주변 개구(562)의 에지로부터 이간 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클로 형성 부품(812, 822)과 플레이트 부재(131)의 간섭이 용이하게 방지된다. 그리고 플레이트 부재(131)의 에지 중 제 1 및 제 2 클로 형성 부품(812, 822)의 주위의 부위 및 이 부위로부터 연속하는 모든 부위에 있어서, 중심축 J1에 수직인 방향으로 수지가 충전된다. 그 결과,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의 내측면 전체가 수지로 형성된다. 환언하면,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의 내주면이 전체둘레에 걸쳐 플레이트 부재(131)의 에지로부터 이간하고, 중심축 J1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의 주위의 에지인 주변 개구(562)의 에지(541)와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의 사이에 수지층(65)이 형성된다.
도 15에 도시하는 예의 경우, 중앙 구멍부(561)의 에지도 수지로 덮이고, 플레이트 부재(131)의 에지 중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의 주위의 부위 및 이 부위로부터 연속하는 모든 부위에 있어서, 중심축 J1에 수직인 방향에 수지가 존재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금형과 플레이트 부재(131)의 접촉을 최소한 억제해서 금형의 마모나 이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1 및 제 2 클로 형성 부품(812, 822)으로의 영향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이면, 중앙 구멍부(561)의 에지 상에 수지는 마련되지 않아도 좋다.
또, 플레이트 부재(131)가 금형내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위치 결정 핀(821)이 도 15에 도시하는 절결부(563)에 삽입된다. 절결부(563)은 위치 결정부의 역할을 하며, 플레이트 부재(131)의 금형에 대한 중심축 J1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도 16은 플레이트 부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플레이트 부재(131)에는 7개의 개구(54)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신장하는 7개의 절결(57)이 마련된다. 도 16의 플레이트 부재(131)의 다른 형상은 도 3의 플레이트 부재(131)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중앙 수지 부재(132)가 사출 성형으로 형성되는 공정은 도 11과 마찬가지이다. 사출 성형에서는 플레이트 부재(131)의 바깥가장자리부와 금형의 사이에 미소한 공간이 마련되면서, 플레이트 부재(131)가 금형내에 배치된다. 그 결과,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54)에 형성된 수지층(65)이 절결(57)을 통과하여 바깥가장자리부를 덮는다.
사출 성형에서는 도 13에 도시하는 제 1 및 제 2 클로 형성 부품(812, 822)이 전체둘레에 걸쳐 개구(54)의 에지로부터 이간 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클로 형성 부품(812, 822)과 플레이트 부재(131)의 간섭이 용이하게 방지된다. 그리고 플레이트 부재(131)의 에지 중 제 1 및 제 2 클로 형성 부품(812, 822)의 주위의 부위에 있어서, 중심축 J1에 수직인 방향으로 수지가 충전된다. 그 결과,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의 내측면 전체가 수지로 형성된다. 환언하면,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의 내측면이 전체둘레에 걸쳐 플레이트 부재(131)의 에지로부터 이간하고, 중심축 J1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의 주위의 에지인 개구(54)의 에지와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의 사이에 수지층(65)이 형성된다.
도 16에 도시하는 예의 경우, 절결(57)의 에지 및 바깥가장자리부도 수지로 덮이기 때문에, 플레이트 부재(131)의 에지 중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의 주위의 부위 및 해당 부위로부터 연속하는 모든 부위에 있어서, 중심축 J1에 수직인 방향으로 수지가 충전되어 수지층(65)이 형성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금형과 플레이트 부재(131)의 접촉을 최소한 억제해서 금형의 마모나 이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1 및 제 2 클로 형성 부품(812, 822)으로의 영향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것이면,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의 주위 이외의 에지에 수지는 마련되지 않아도 좋다. 후공정에 있어서, 수지층(65) 중 플레이트 부재(131)의 바깥가장자리부를 덮는 부위가 제거되어도 좋다.
도 18은 플레이트 부재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플레이트 중앙부(52)에서는 도 13에 도시하는 7개의 게이트(811a)에 대향하는 위치에 7개의 구멍부(521)가 형성된다. 가동 금형(82)으로부터는 지지 핀(823)이 생략된다. 중앙 수지 부재(132)가 형성될 때에는 게이트(811a)에서 구멍부(521)를 향해 수지가 사출된다. 이 때문에, 수지의 흐름에 의해 플레이트 중앙부(52)가 강하게 가압되지 않아, 플레이트 중앙부(52)의 변형이 방지된다. 그 결과, 플레이트 외주부(51)의 축방향의 위치 어긋남도 방지된다.
중앙 수지 부재(132)의 성형 후에는 도 5 및 도 7과 마찬가지로, 게이트 커트부(634a)가 형성되고, 게이트 커트부(634a)는 구멍부(521)와 중심축 J1에 평행한 방향에 대향한다. 또, 플레이트 부재(131)에는 구멍부(521) 대신에, 절결이 마련되어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도 19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턴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턴테이블(13a)을 화살표 C의 위치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턴테이블(13a)의 플레이트 부재(131a)는 중심축 J1에 수직인 원환형상이고, 도 4에 도시하는 플레이트 부재(131)에 비해 형상이 간소화된다. 플레이트 부재(131a)의 중앙에는 도 7에 도시하는 중앙 수지 부재(132)와는 다른 형상인 중앙 수지 부재(132a)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이하, 제 1 실시형태의 턴테이블(13)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수지 부재(132a)는 수지 주변부(681)와, 수지 주변부(681)의 내측에 위치하는 중앙 고리형상부(682)와, 7개의 클로(633)과, 7개의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을 구비한다. 수지 주변부(681)는 플레이트 부재(131a)의 큰 원형의 1개의 개구(58)의 에지(581)를 덮는다. 중앙 고리형상부(682)는 플레이트 부재(131a)보다도 상측으로 돌출된다. 7개의 클로(633)은 둘레방향으로 배열되는 동시에, 중앙 고리형상부(682)의 외주부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이고 또한 아래쪽을 향해 신장한다.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은 중심축 J1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클로(633)과 중첩되는 동시에, 플레이트 부재(131a)의 1개의 개구(58)와 중첩된다.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의 내측면은 전체가 수지로 형성된다.
턴테이블(13a)의 제조의 흐름은 도 11에 도시하는 턴테이블(13)의 제조의 흐름과 마찬가지이다. 또, 지지 핀 및 위치 결정 핀은 생략된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수지 부재(132a)에서는 도 13의 제 1 및 제 2 클로 형성 부품(812, 822)과 대략 마찬가지의 클로 형성 부품이 삽입된 위치에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이 형성되고, 2개의 클로 형성 부품의 사이에 형성된 클로 형성 공간에 클로(633)이 형성된다. 플레이트 부재(131a)의 내측의 단부는 수지 주변부(681)에서 덮이고, 클로 위치 관통구멍(66)과 개구(58)의 에지(581)의 사이에 수지층(65a)이 형성된다. 환언하면, 중심축 J1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131a)의 에지 중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의 주위의 부위와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의 사이에 수지층(65a)이 존재한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클로 형성 부품과 플레이트 부재(131a)의 개구(58)가 비접촉인 것에 의해, 클로 형성 부품과 플레이트 부재(131a)의 간섭이 용이하게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클로(633)과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이 중심축 J1에 평행한 방향으로 중첩되는 즉, 중앙 수지 부재(132)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클로(633)과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이 중첩되는 것이면, 클로(633)의 선단이 클로 위치 관통구멍(66)의 상측이나 하측에 위치해도 좋다. 클로(633)의 수는 2 이상 이면 다른 수라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1개의 클로(633)이 손상되는 것에 의한 클로(633) 전체에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클로의 수는 5~7로 하는 것이 좋다. 위치 결정부(551)의 수도 2 이상이면, 다른 수라도 좋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위치 결정부(551)는 절결이지만, 구멍형상의 위치 결정부가 채용되어도 좋다. 도 3에 도시하는 플레이트 부재(131)에서는 복수의 클로 위치 관통구멍(66)과 중첩되는 복수의 개구가 마련되는 것이면, 클로 위치 관통구멍(66)과 개구(54)가 반드시 동일 수일 필요는 없다.
플레이트 중앙부(52)의 상면은 수지 연결부(632)에 의해 완전히 덮일 필요는 없다. 플레이트 중앙부(52)의 상면 위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수지 연결부(632)에 의해 수지 원통부(61)와 디스크 가이드부(631)가 연결되는 것이면, 다른 형상의 턴테이블이 채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도, 플레이트 부재(131)의 플레이트 중앙부(52)가 플레이트 외주부(51)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것에 의해, 디스크 가이드부(631)에 있어서의 수지의 가라앉음이 방지된다. 중앙 수지 부재(132)에서는 플레이트 중앙부(52)의 상하에 있어서 상부(63)의 두께와 하부(64)의 두께가 대략 동일하다. 그러나 상부(63) 및 하부(64)의 각각에서 수지의 가라앉음 등의 변형이 생기는 경우에는 상부(63) 및 하부(64)의 두께가 각각 서로 다른 두께로 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수지 부재(132)의 사출 성형시에, 플레이트 부재(131)가 정지 금형(81)에 부착된 상태에서, 정지 금형(81) 및 가동 금형(82)이 체결되어도 좋다. 정지 금형(81)에 턴테이블을 분리하는 기구가 마련되는 것이면, 턴테이블을 정지 금형(81)에 유지한 상태에서, 정지 금형(81)에서 가동 금형(82)이 멀어져도 좋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131)의 바깥가장자리부에 도 2의 컵 부재(21)에 대응하는 원통부(512)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회전부(2)의 상단에 턴테이블(13)이 마련되어도 좋다. 원통부(512)의 내측에는 로터 마그네트(22)가 배치된다. 모터(1)는 하드 디스크 구동 장치 등의 다른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에 탑재되어도 좋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모터 2: 회전부
3: 정지부 4: 축받이 기구
9: 기록 디스크 10: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
11: 액세스부 12: 하우징
13, 13a: 턴테이블 54, 58: 개구
65, 65a: 수지층 66: 클로 위치 관통구멍
81: 정지 금형 82: 가동 금형
89: 캐비티 122: 클램퍼
123: 클램프 마그네트 131, 131a: 플레이트 부재
132, 132a: 중앙 수지 부재 541, 581 : (개구의) 에지
633: 클로 812: 제 1 클로 형성 부품
822: 제 2 클로 형성 부품 891: 클로 형성 공간
892: 수지층 형성 공간 J1: 중심축

Claims (20)

  1. 강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부위의 외주부를 구비하고,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부재인 중앙 수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수지 부재가,
    상기 중앙 수지 부재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부위의 외주부에서 아래쪽을 향해 신장하는 복수의 클로와,
    상기 중앙 수지 부재의 중심축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로와 중첩되는 복수의 클로 위치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클로 위치 관통구멍의 내측면이 전체둘레에 걸쳐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에지로부터 이간하는 동시에 상기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상기 에지 중 상기 복수의 클로 위치 관통구멍의 주위의 부위와 상기 복수의 클로 위치 관통구멍의 사이에 수지층이 존재하는
    턴테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가 상기 복수의 클로 위치 관통구멍의 각각과 중첩되는 복수의 개구를 갖고,
    상기 복수의 클로 위치 관통구멍의 각각의 전체둘레에 상기 수지층이 존재하는 턴테이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상기 에지 중 상기 복수의 클로 위치 관통구멍의 주위의 부위 및 해당 부위로부터 연속하는 모든 부위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에 상기 수지가 존재하는 턴테이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가 상기 복수의 클로 위치 관통구멍과 중첩되는 1개의 개구를 갖는 턴테이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의 상기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가 0.5㎜ 이상 1㎜ 이하인 턴테이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로의 선단이 상기 복수의 클로 위치 관통구멍 내에 위치하는 턴테이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가 프레스 가공으로 성형되는 턴테이블.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중앙부인 플레이트 중앙부가 절결 혹은 구멍부를 갖고,
    상기 중앙 수지 부재가 하면에서 위쪽을 향해 움푹하게 패이는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절결 혹은 상기 구멍부의 내주면이 상기 오목부에 노출되어 있는
    턴테이블.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가 사출 성형의 금형의 일부인 복수의 위치 결정 핀에 의해 형성된 위치 결정 핀 오목부이고,
    상기 절결 혹은 상기 구멍부가 상기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플레이트 부재의 위치를 고정하는 복수의 위치 결정부인
    턴테이블.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가 중앙에 플레이트 중앙 구멍을 갖고,
    상기 복수의 위치 결정부가 상기 플레이트 중앙 구멍에서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신장하는 복수의 절결인 턴테이블.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위치 결정부가 3개의 절결을 포함하고,
    상기 3개의 절결이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이루는 각도가 90도보다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턴테이블.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가 바깥가장자리부에 절결을 갖는 턴테이블.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수지 부재의 상부가 사출 성형에 있어서의 복수의 게이트 커트부(gate cut portion)를 갖고,
    상기 중앙 수지 부재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보다도 하측의 부위가 사출 성형시에 상기 플레이트 중앙부의 하면에 맞닿는 복수의 지지 핀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지지 핀 오목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위치 결정 핀 오목부가 상기 복수의 지지 핀 오목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턴테이블.
  14. 정지부와,
    축받이 기구와,
    상기 축받이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상단에 마련된 청구항 1에 기재된 턴테이블
    을 구비하는 모터.
  15. 기록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청구항 14에 기재된 모터와,
    상기 플레이트 부재를 위쪽으로부터 클램프 마그네트로 흡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록 디스크를 상기 턴테이블 상에 클램프 하는 클램퍼와,
    상기 기록 디스크에 대해 정보의 판독 및/또는 기입을 실행하는 액세스부와,
    상기 모터 및 상기 액세스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을 구비하는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
  16. 2개의 금형의 한쪽에 강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부재를 부착하고, 상기 플레이트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2개의 금형을 체결하는 것에 의해 캐비티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캐비티내에 수지를 사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중앙에 하나로 연결된 부재로서 중앙 수지 부재를 형성하는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 수지 부재를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금형의 각각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돌출된 복수의 클로 형성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지를 충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중앙 수지 부재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보다도 위쪽의 부위의 외주부에서 아래쪽을 향해 신장하는 복수의 클로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클로 형성부의 각각의 전체둘레가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에지로부터 이간하고, 상기 에지 중 상기 복수의 클로 형성부의 주위의 부위와 상기 복수의 클로 형성부의 둘레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수지를 충전하는 것에 의해,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에지 중 상기 복수의 클로 형성부의 주위의 부위 위에 수지층을 형성하는 턴테이블의 제조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를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한쪽의 금형에서 다른 쪽의 금형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위치 결정 핀을,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중앙부인 플레이트 중앙부에 마련된 복수의 위치 결정부와,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상기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고정하는 턴테이블의 제조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가 상기 복수의 클로 형성부의 각각이 삽입되는 복수의 개구를 갖고,
    상기 복수의 클로 형성부의 각각의 전체둘레에 상기 수지층을 형성하는
    턴테이블의 제조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상기 에지 중 상기 복수의 클로 형성부의 주위의 부위 및 해당 부위로부터 연속하는 모든 부위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수지가 충전되는 턴테이블의 제조 방법.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수지 부재를 상기 2개의 금형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상기 수지층을 제거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는 턴테이블의 제조 방법.
KR1020100053514A 2009-06-08 2010-06-07 턴테이블 및 그 제조 방법 KR101120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37537 2009-06-08
JPJP-P-2009-137539 2009-06-08
JP2009137539A JP5445832B2 (ja) 2009-06-08 2009-06-08 ターンテーブルおよびターンテーブルの製造方法
JP2009137537 2009-06-08
JPJP-P-2010-045417 2010-03-02
JP2010045417A JP4683350B2 (ja) 2009-06-08 2010-03-02 ターンテーブルおよびターンテーブル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943A KR20100131943A (ko) 2010-12-16
KR101120292B1 true KR101120292B1 (ko) 2012-03-06

Family

ID=43263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514A KR101120292B1 (ko) 2009-06-08 2010-06-07 턴테이블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41658B2 (ko)
KR (1) KR101120292B1 (ko)
CN (1) CN1019083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3347B2 (ja) * 2009-06-08 2011-05-18 日本電産株式会社 ターンテーブルおよびターンテーブルの製造方法
JP2011054260A (ja) * 2009-08-07 2011-03-17 Nippon Densan Corp ターンテーブル
CN106217777A (zh) * 2016-08-23 2016-12-14 全椒东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转盘的模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3544A (ja) * 1998-10-09 2000-04-21 Yuka Denshi Kk 情報記憶ディスク用のターンテーブル装置
JP2004146056A (ja) * 2003-12-05 2004-05-20 Tokyo Parts Ind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用ターンテーブル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8761Y2 (ko) 1985-05-11 1991-10-17
US5774445A (en) * 1993-08-09 1998-06-30 Funai Electric Co., Ltd. Disc clamp mechanism having radial disposed disc pressing elements
JPH08195010A (ja) * 1995-01-13 1996-07-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センタリング装置
JP2000339802A (ja) * 1999-05-27 2000-1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保持装置
JP2001037141A (ja) 1999-07-15 2001-02-09 Hitachi Ltd ディスクモータ
JP2002352496A (ja) * 2001-05-25 2002-12-06 Pioneer Electronic Corp クランプ機構および情報再生機構
JP3547429B2 (ja) * 2002-12-06 2004-07-28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クランパ及びその組立方法
JP3849874B2 (ja) * 2003-10-08 2006-11-2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媒体のチャッキング機構及び該機構を用いた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535045B2 (ja) * 2006-08-21 2010-09-01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このチャッキング装置を搭載した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US7802272B2 (en) * 2006-09-04 2010-09-21 Nidec Corporation Chucking device, and motor and disc drive device having loaded thereon a chucking device
WO2008032555A1 (fr) * 2006-09-12 2008-03-20 Ntn Corporation Dispositif à palier hydrodynamique
JP2008130208A (ja) 2006-11-24 2008-06-05 Ntn Corp 流体軸受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534256B2 (ja) * 2006-11-16 2010-09-01 日本電産株式会社 チャッキング装置、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8135129A (ja) 2006-11-29 2008-06-12 Nippon Densan Corp チャッキング装置およびチャッキング装置の製造方法、このチャッキング装置を搭載した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このブラシレスモータを搭載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8176850A (ja) * 2007-01-18 2008-07-31 Nippon Densan Corp チャッキング装置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4683347B2 (ja) * 2009-06-08 2011-05-18 日本電産株式会社 ターンテーブルおよびターンテーブルの製造方法
JP2011054260A (ja) * 2009-08-07 2011-03-17 Nippon Densan Corp ターンテーブ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3544A (ja) * 1998-10-09 2000-04-21 Yuka Denshi Kk 情報記憶ディスク用のターンテーブル装置
JP2004146056A (ja) * 2003-12-05 2004-05-20 Tokyo Parts Ind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用ターンテ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309588A1 (en) 2010-12-09
CN101908352B (zh) 2012-12-12
US8341658B2 (en) 2012-12-25
KR20100131943A (ko) 2010-12-16
CN101908352A (zh)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943B1 (ko) 턴테이블, 그것을 구비한 모터 및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와 턴테이블의 제조 방법
KR100956471B1 (ko) 척킹장치 및 이 척킹장치를 탑재한 브러시리스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CN101340118B (zh) 马达及其制造方法
KR101097481B1 (ko) 턴테이블 및 턴테이블의 제조 방법
KR101120292B1 (ko) 턴테이블 및 그 제조 방법
JP2008135129A (ja) チャッキング装置およびチャッキング装置の製造方法、このチャッキング装置を搭載した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このブラシレスモータを搭載したディスク駆動装置
JP2011116063A (ja) 樹脂成型品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ターンテーブルの製造方法
KR101148349B1 (ko) 모터 및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와 모터의 제조 방법
JP2011067084A (ja) モータおよび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KR101142663B1 (ko) 모터 및 기록 디스크 구동 장치
JP4683350B2 (ja) ターンテーブルおよびターンテーブルの製造方法
US8352975B2 (en) Chucking device with a cone including a sliding portion, brushless motor using the same, and disk drive apparatus using the same
JP5445832B2 (ja) ターンテーブルおよびターンテーブルの製造方法
JP2011067083A (ja) モータおよび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並びに、モータの製造方法
KR101198003B1 (ko)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
JP5578346B2 (ja) チャッキング装置、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並びに、チャッキング装置の製造方法
KR101107874B1 (ko) 척킹 장치, 모터 유닛 및 디스크 구동 장치
JP2011044202A (ja) モータおよび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