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925B1 - 개폐덮개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개폐덮개 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925B1
KR101125925B1 KR1020097026756A KR20097026756A KR101125925B1 KR 101125925 B1 KR101125925 B1 KR 101125925B1 KR 1020097026756 A KR1020097026756 A KR 1020097026756A KR 20097026756 A KR20097026756 A KR 20097026756A KR 101125925 B1 KR101125925 B1 KR 101125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ain body
opening
shaft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6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651A (ko
Inventor
도시오 핫토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00009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16K15/03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spring-loa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61Details of the tank inlet comprising a filler pipe shutter, e.g. trap, door or flap for fuel in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덮개체(22)를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에서, 덮개체(22)를 본체(18)에 대해서 화살표(A)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핀(50 ,52)을 축구멍(32, 34)에 삽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핀을 축구멍에 삽입할 때에 축구멍이 형성된 축받이판을 벌려서 탄성 변형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 시의 작업성이 좋다. 또, 직선적인 단순한 동작에 의해 핀(50, 52)을 축구멍(32, 34)에 삽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자동기에 의한 조립에도 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폐덮개 부착구조{OPENING/CLOSING LID ATTACHMENT STRUCTURE}
본 발명은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덮개의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개구를 개폐하는 개폐덮개의 부착구조에 관하여,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개구가 형성된 본체측에 축지지판을 형성하고, 이 축지지판에 축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또, 덮개체에는 샤프트가 형성되어 있고, 이 샤프트를 축지지판의 축구멍에 관통시키는 것에 의해 덮개체를 개폐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샤프트에 코일 스프링을 끼우고, 이 코일 스프링의 일단측을 본체에, 타단측을 덮개체에 부착해서, 코일 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해 덮개체를 폐색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문헌 1에서는, 샤프트를 축구멍에 삽입시킬 때, 상기 축지지판을 외측으로 압압(押壓)해서 대향하는 축지지판의 사이를 벌리고, 샤프트의 일단부를 일측의 축구멍에 삽입한 후, 샤프트의 타단부를 타측의 축구멍에 삽입한다.
즉, 축지지판을 탄성 변형시키고 복원시키는 것에 의해 샤프트를 축지지판에 부착하기 때문에, 샤프트를 통해서 축지지판을 탄성 변형시키는 압압력이 필요하게 되므로, 이와 같은 압압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작업과 비교하면 조립시의 작업성이 좋지 않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공개 평8-72565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고려해서, 본체에 덮개체를 부착할 때, 조립 시의 작업성이 좋은 개폐덮개의 부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하면, 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덮개체에 형성되고, 축구멍이 형성된 축받이판과; 상기 덮개체 또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축구멍의 축방향으로 상기 축받이판과 상대 이동해서 상기 축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부와; 상기 덮개체의 폐색상태에서부터 소정의 개방 각도 사이에서 상기 축구멍의 축방향으로 상기 축받이판과 상기 지지부가 상대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덮개 부착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한 개폐덮개 부착구조에서는, 본체(또는 덮개체)에 축받이판을 형성하고 있다. 또, 덮개체(또는 본체)에는 축받이판의 축구멍의 축방향으로 축받이판과 상대 이동하는 지지부를 형성하고 있고, 이 지지부가 축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덮개체의 폐색상태에서부터 소정의 개방 각도 사이에서 축받이판과 지지부가 상대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형성하고 있다. 즉, 덮개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부터 소정의 개방 각도에 이르기 전에 있어서는, 지지부(또는 축받이판)가 축구멍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지지부(또는 축받이판)가 축구멍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지지부를 축받이판의 축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시킨다.
그리고, 덮개체가 소정의 개방 각도에 도달하면, 규제수단에 의해 지지부(또는 축받이판)가 축구멍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지지부가 축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를 축구멍에 지지시키는 것에 있어서, 축받이판을 탄성 변형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본체에 덮개체를 부착할 때, 조립 시의 작업성이 좋다. 또, 축받이판을 탄성 변형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축받이판이 탄성부재일 필요가 없으므로, 축받이판의 재료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또, 축받이판과 지지부가 축구멍의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에 의해, 지지부가 축받이판의 축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직선적인 단순한 동작에 의해 지지부를 축구멍에 지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자동기(自動機)에 의한 조립에도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서는, 상기 개폐덮개 부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체의 사이에, 덮개체를 폐색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한 개폐덮개 부착구조에서는, 탄지수단에 의해 덮개체를 폐색시키는 방향으로 탄지시킴으로써, 덮개체에 의해 개구가 폐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서는, 상기 개폐덮개 부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덮개체 또는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는 1쌍의 축판과; 상기 축판에서 동일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축구멍에 삽입되는 핀;을 포함해서 구성되고, 상기 규제수단이, 대향해서 형성된 1쌍의 축받이판의 사이에 배치된 대좌(臺座, plinth)와; 상기 축판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체의 폐색상태에서부터 소정의 개방 각도 사이에서 상기 대좌의 측벽에 맞닿아서, 상기 축받이판과 상기 지지부가 상기 축구멍의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벽부;를 포함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한 개폐덮개 부착구조에서는, 지지부가 덮개체(또는 본체)에서 연장되는 1쌍의 축판을 구비하고, 이 축판에서 핀이 동일방향으로 돌출해서 본체(또는 덮개체)에 형성된 축받이판에 형성된 축구멍에 삽입되게 하고 있다.
한편, 규제수단은, 대향해서 형성된 1쌍의 축받이판의 사이에 배치된 대좌를 구비하고, 덮개체의 폐색상태에서부터 소정의 개방 각도 사이에서 상기 대좌의 측벽에 맞닿아서, 축받이판과 지지부가 축구멍의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벽부를 축판에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의한 개폐덮개 부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이 비틀림 스프링이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을 상기 핀에 끼우고, 일단부를 상기 본체에 부착하고, 타단부를 상기 덮개체에 형성된 돌기부에 맞닿게 해서, 상기 돌기부를 통해서, 핀이 상기 축구멍에서 빠지지 않는 방향으로 덮개체를 탄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의한 개폐덮개 부착구조에서는, 탄지수단을 비틀림 스프링으로 하고, 비틀림 스프링을 핀에 끼운 상태에서, 일단부를 본체에 부착하고, 타단부를 덮개체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덮개체를 폐색시키는 방향으로 탄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부를 덮개체에 형성한 돌기부에 맞닿게 하고, 이 돌기부를 통해서, 핀이 축구멍에서 빠지지 않는 방향으로 덮개체를 탄지하는 것에 의해, 본체에 덮개체를 부착한 후, 덮개체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에, 덮개체가 본체에서 빠지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서는, 상기 개폐덮개 부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연료탱크 내의 급유 파이프의 선단부에 부착되고, 급유 시의 연료의 유동압(流動壓)에 의해, 상기 덮개체가 상기 탄지수단에 저항해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의한 개폐덮개 부착구조에서는, 본체를 연료탱크 내의 급유 파이프의 선단부에 부착하는 것에 의해, 급유 시의 연료의 유동압에 의해 덮개체가 탄지수단에 저항해서 개방되게 하고, 연료의 급유가 끝나면 탄지수단의 탄지력에 의해 덮개체가 폐색되게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본체에 덮개체를 부착할 때, 조립 시의 작업성이 좋다. 또, 자동기에 의한 조립에도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개폐덮개 부착구조가 적용된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연료탱크의 전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개폐덮개 부착구조가 적용된 역류방지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개폐덮개 부착구조가 적용된 역류방지밸브의 덮개체를 본체에 부착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분해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개폐덮개 부착구조가 적용된 역류방지밸브의 덮개체를 본체에 부착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개폐덮개 부착구조가 적용된 역류방지밸브의 덮개체를 본체에 부착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개폐덮개 부착구조가 적용된 역류방지밸브의 덮개체를 본체에 부착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개폐덮개 부착구조가 적용된 역류방지밸브 의 덮개체를 본체에 부착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개폐덮개 부착구조가 적용된 역류방지밸브의 평면도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개폐덮개 부착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등에 구비되는 연료탱크(10)에는, 이 연료탱크(10) 내에 연료(12)를 급유하기 위한 인렛 파이프(급유 파이프, 1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인렛 파이프(14)의 선단부에 본 발명의 개폐덮개 부착구조가 적용된 역류방지밸브(16)가 부착되어 있다.
이 역류방지밸브(16)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렛 파이프(14)와 연결되는 중공형상의 본체(18)와, 이 본체(18)의 개구(20)를 개폐하는 덮개체(22)로 크게 나뉘며, 급유 시의 연료의 유동압(流動壓)에 의해 밸브체가 되는 덮개체(22)가 개방되고, 연료의 급유가 끝나면 후술하는 비틀림 스프링(24)의 탄지력에 의해 덮개체(22)가 폐색되어 개구(20)가 폐색되게 되어 있다.
본체(18)는 원통체의 일부를 잘라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잘라낸 측이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그 대향하는 부분에서부터 서서히 두께가 증대하고 있다. 그리고, 본체(18)의 두께가 두꺼운 측의 일단부에 축받이부(26)가 형성되는데, 이 축받이부(26)에는 본체(18)의 외주면에서 더 연장되는, 후술하는 축받이판(28, 30)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다.
축받이부(26)에는 서로 대향해서 축받이판(28, 3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축받이판(28, 30)의 중앙부에는 축구멍(32, 34)이 관통되어 있다. 또, 축받이판(28)의 내면측 근방에는, 축받이부(26)의 단면에 노치부(36)가 형성되어 있어서, 비틀림 스프링(24)의 일단부(24A)를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축받이판(28)과 축받이판(30)의 사이에는, 그 중앙보다 축받이판(30)에 치우친 위치에 축받이판(28)과 평행하게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의 대좌{규제수단(臺座, 3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대좌(38)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한 형상으로 만곡되는 만곡면(38A)이 형성되고, 이 만곡면(38A)의 높이는 축받이판(28, 30)에 형성된 축구멍(32, 34)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로 되어 있다.
한편, 덮개체(22)는 대략 반원형을 이루고 있고, 본체(18)의 외주면과 거의 같은 면으로 이루어져서, 본체(18)의 개구(20)를 폐색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덮개체(22)의 표면{도 2 중 덮개체(22)의 하면}에는 직선형 단면의 중앙부에 리브(40)가 형성되어 있다. 또, 리브(40)의 근방에 있어서 축받이판(30)에 대응하는 측에는, 덮개체(22)의 단면으로 갈수록 리브(40)에서 멀어지도록, 리브(40)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된 리브(42)가 형성되어 있다.
또, 리브(40)를 사이에 두고 리브(42)의 반대측에는, 리브(42)와 함께 거의 ㅅ자형을 이루는 경사 리브(돌기부, 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 리브(44)는 덮개체(22)의 단면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되어 있고, 이 경사 리브(44)의 정상면(頂上面)에 비틀림 스프링(24)의 타단부(24B)가 맞닿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리브(40, 42)에는 대략 원판형상의 축판(지지부, 46,48)이 서로 대면하 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판(46)은 대좌(38)의 축받이판(28)측의 측벽과 맞닿을 수 있게 이루어지고, 축판(48)은 축받이판(30)의 외면과 맞닿을 수 있게 이루어진다.
또, 축판(46, 48)의 중앙부에는, 축판(46, 48)을 축받이판(28, 30)에 대면시킨 상태에서, 상기 축받이판(28, 30)을 향해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핀(지지부, 50,52)이 형성되어 있다. 핀(50)의 기부(基部)는 축구멍(32)보다 지름이 크고 비틀림 스프링(24)을 끼울 수 있는 삽입부(50A)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삽입부(50A)가 축받이판(28)에 맞닿은 상태, 또는 축판(48)이 축받이판(30)에 맞닿은 상태에서 축판(46, 48)의 이동이 규제되게 된다. 여기에서는 삽입부(50A)가 축받이판(28)에 맞닿은 상태에서 축판(48)이 축받이판(30)에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비틀림 스프링(24)을 삽입부(50A)에 끼운 상태에서, 비틀림 스프링(24)의 일단부(24A)는 본체(18)의 축받이부(26)의 노치부(36)에 장착되고, 비틀림 스프링(24)의 타단부(24B)는 덮개체(22)에 형성된 경사 리브(44)의 정상면에 맞닿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덮개체(22)가 개방된 상태에서 비틀림 스프링(24)에 탄성력이 축적된다.
여기에서, 비틀림 스프링(24)의 일단부(24A)와 타단부(24B)는 거의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노치부(36)는 축받이판(28)의 내면측 근방에 형성되고, 축받이판(28)의 내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24)을 본체(18) 및 덮개 체(22)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비틀림 스프링(24)의 일단부(24A)와 타단부(24B)는 핀(50)의 축선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도록 배치되게 된다(후술한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판(46)에는, 도면 중 상면측(덮개체(22)의 이면측)이 하면측(덮개체(22)의 표면측)보다 지름이 크도록, 지름이 작은 부분(46A)과 지름이 큰 부분{규제수단, 벽부(46B)}이 형성되고, 이 지름이 작은 부분(46A)과 지름이 큰 부분(46B)의 경계에는 단차부(46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판(48)은 지름이 작은 부분(46A)과 거의 같은 지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름이 작은 부분(46A)은 대좌(38)의 만곡면(38A)과 거의 동일한 지름을 이루고 있고, 서로 면(面)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축판(46)의 지름이 작은 부분(46A)과 대좌(38)의 만곡면(38A)이 면 접촉한 상태는 덮개체(22)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다. 또, 핀(50, 52)과 축받이판(28, 30)의 축구멍(32, 34)은 거의 같은 높이가 되도록 되어 있지만, 이 상태에서는 핀(50, 52)이 축받이판(28, 30)의 축구멍(32, 34)에 완전히 삽입되어 있지 않다.
가령, 이 상태에서, 덮개체(22)를 조금 폐색시키면(소정 각도 회동시키면), 축판(46)의 지름이 큰 부분(46B)이 대좌(38)에 맞닿기 때문에, 상기 축판(46)을 통해서 덮개체(22)의 회전이동이 규제되게 된다.
덮개체(22)를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에서, 덮개체(22)를 축받이판(28, 30)의 축구멍(32, 34)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하, 간단히 「슬라이드 이동」이라고 한다)시켜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50)의 삽입부(50A)를 축받이판(28)에 맞닿 게 하고, 혹은 축판(48)을 축받이판(30)에 맞닿게 하면, 핀(50, 52)이 축구멍(32, 34)에 완전히 삽입되고, 핀(50, 52)을 중심으로 덮개체(22)가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축판(46)은 대좌(38)의 내측{축받이판(28)측}에 배치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축판(46)의 회전이동이 규제되지 않기 때문에, 비틀림 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해 덮개체(22)가 폐색되는 방향으로 탄지되고,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22)가 폐색방향으로 회전해서 본체(18)의 개구(20)가 덮개체(22)에 의해 폐색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여기에서, 축판(46)에는 지름이 큰 부분(46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22)가 폐색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지름이 큰 부분(46B)이 대좌(38)와 서로 겹쳐지고, 대좌(38)에 의해 축판(46)의 슬라이드 이동이 규제된다. 즉, 핀(50, 52)이 축구멍(32, 34)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축판(46)의 지름이 작은 부분(46A)과 지름이 큰 부분(46B)의 경계에 형성되는 단차부(46C)의 높이는, 대좌(38)의 높이가 가장 낮은 부분보다 약간 낮게 되어 있어서, 축판(46)이 회동할 때에 지름이 큰 부분(46B)이 축받이부(26)의 상면에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개폐덮개 부착구조의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비틀림 스프링(24)을 삽입부(50A)에 끼운 상태에서, 비틀림 스프링(24)의 타단부(24B)를 덮개체(22)에 형성된 경사 리브(44) 의 정상면에 맞닿게 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22)를 뒤집어서(하면측을 위로 한다)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에서, 비틀림 스프링(24)의 일단부(24A)를 본체(18)의 축받이부(26)의 노치부(36)에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 축판(46)의 지름이 작은 부분(46A)을 대좌(38)의 만곡면(38A)에 면 접촉시키고, 핀(50, 52)과 축받이판(28, 30)의 축구멍(32, 34)을 위치 맞춤시킨 후, 덮개체(22)를 핀(50, 52)의 축방향(축구멍(32, 34)의 축방향)을 따라 화살표(A)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판(46)이 대좌(38)와 축받이판(28)의 사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핀(50)의 삽입부(50A)가 축받이판(28)에 맞닿고, 혹은 축판(48)이 축받이판(30)에 맞닿는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핀(50, 52)이 축구멍(32, 34)에 완전히 삽입되어, 핀(50, 52)을 중심으로 덮개체(22)가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축판(46)이 대좌(38)와 축받이판(28)의 사이에 배치되면, 비틀림 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해,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22)가 폐색방향으로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 축판(46)의 지름이 큰 부분(46B)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좌(38)와 서로 겹쳐지기 때문에, 축판(46, 48)의 슬라이드 이동이 규제되고, 핀(50, 52)이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개폐덮개 부착구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체(22)의 축판(46)의 지름 이 작은 부분(46A)을 본체(18)의 대좌(38)의 만곡면(38A)에 면 접촉시킨 후, 덮개체(22)를 본체(18)에 대해서 화살표(A)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핀(50, 52)을 축구멍(32, 34)에 삽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았지만, 핀을 축구멍에 삽입할 때에, 축구멍이 형성된 축받이판을 벌려서 탄성 변형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덮개체(22)를 본체(18)에 부착할 때, 조립 시의 작업성이 좋다.
이와 같이, 직선적인 단순한 동작에 의해 핀(50, 52)을 축구멍(32, 34)에 삽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자동기에 의한 조립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축받이판(28, 30)을 탄성 변형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축받이판(28, 30)이 탄성부재일 필요가 없으므로, 본체(18)의 재료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틀림 스프링(24)의 일단부(24A)를 본체(18)의 노치부(36)에 장착하고, 비틀림 스프링(24)의 타단부(24B)를 덮개체(22)에 형성된 경사 리브(44)의 정상면에 맞닿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 노치부(36)를 축받이판(28)의 내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 위치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비틀림 스프링(24)의 타단부(24B)에는, 비틀림 스프링(24)의 타단부(24B)가 일단부(24A)와 거의 평행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살표(B)방향을 향한 응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24)의 타단부(24B)를 경사 리브(44)에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 이 경사 리브(44)를 통해서, 덮개체(22)에는 화살표(C)방향으로 분력(分力)이 작용하게 되므로, 덮개체(22)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에, 핀(50, 52)이 축구멍(32, 34)에서 빠지지 않는다.
또, 본체(18)는 인렛 파이프(14)의 형상에 따라 형상이 바뀌기 때문에, 도 2에 나타낸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여기에서는, 개폐덮개 부착구조가 적용된 역류방지밸브(16)로서 설명했지만, 이 개폐덮개 부착구조를 적용할 수 있으면 되므로, 역류방지밸브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단순히 수납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덮개에 적용시켜도 좋다.
또, 여기에서는, 본체(18)측에 축받이판(28, 30)을 형성하고, 덮개체(22)측에 핀(50, 52)을 형성했지만, 적어도 축받이판(28), 핀(50)이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축받이판(30)과 핀(52)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본체(18)측에 축받이판(28, 30)을 형성하고, 덮개체(22)측에 핀(50, 52)을 형성했지만, 덮개체(22)측에 축받이판을 형성하고, 본체(18)측에 핀을 형성해도 좋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22)를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에서, 덮개체(22)를 핀(50, 52)의 축방향에 따라 화살표(A)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했지만, 덮개체(22)를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에서, 본체(18)를 화살표(A)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도 좋다.
또한, 2007년 5월 2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7-138119호의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모든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고,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Claims (7)

  1. 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체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덮개체에 형성되고, 축구멍이 형성된 축받이판과,
    상기 덮개체 또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축구멍의 축방향으로 상기 축받이판과 상대 이동해서 상기 축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부와,
    상기 덮개체의 폐색상태에서부터 소정의 개방 각도 사이에서 상기 축구멍의 축방향으로 상기 축받이판과 상기 지지부가 상대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가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가, 상기 덮개체 또는 상기 본체에서 연장되는 1쌍의 축판과; 상기 축판에서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축구멍에 삽입되는 핀;을 포함해서 구성되고,
    상기 규제수단이, 대향해서 형성된 1쌍의 축받이판의 사이에 배치된 대좌(臺座, plinth)와; 상기 축판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체의 폐색상태에서부터 소정의 개방 각도 사이에서 상기 대좌의 측벽에 맞닿아서, 상기 축받이판과 상기 지지부가 상기 축구멍의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벽부;를 포함해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덮개 부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체의 사이에, 덮개체를 폐색하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덮개 부착구조.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이 비틀림 스프링이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을 상기 핀에 끼우고, 일단부를 상기 본체에 부착하고, 타단부를 상기 덮개체에 형성된 돌기부에 맞닿게 해서, 상기 돌기부를 통해서, 핀이 상기 축구멍에서 빠지지 않는 방향으로 덮개체를 탄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덮개 부착구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연료탱크 내의 급유 파이프의 선단부에 부착되고, 급유 시의 연료의 유동압(流動壓)에 의해, 상기 덮개체가 상기 탄지수단에 저항해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덮개 부착구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연료탱크 내의 급유 파이프의 선단부에 부착되고, 급유 시의 연료의 유동압에 의해, 상기 덮개체가 상기 탄지수단에 저항해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덮개 부착구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가, 연료탱크 내의 급유 파이프의 선단부에 부착되고, 급유 시의 연료의 유동압에 의해, 상기 덮개체가 상기 탄지수단에 저항해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덮개 부착구조.
KR1020097026756A 2007-05-24 2008-05-22 개폐덮개 부착구조 KR101125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38119A JP2008290574A (ja) 2007-05-24 2007-05-24 開閉蓋取付構造
JPJP-P-2007-138119 2007-05-24
PCT/JP2008/059441 WO2008143317A1 (ja) 2007-05-24 2008-05-22 開閉蓋取付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651A KR20100009651A (ko) 2010-01-28
KR101125925B1 true KR101125925B1 (ko) 2012-03-21

Family

ID=4003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6756A KR101125925B1 (ko) 2007-05-24 2008-05-22 개폐덮개 부착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290574A (ko)
KR (1) KR101125925B1 (ko)
WO (1) WO20081433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852A (ko) 2015-02-11 2016-08-19 최형남 악취차단과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7465B2 (ja) * 2009-06-08 2013-12-11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フラップ弁装置
KR101283564B1 (ko) * 2012-02-03 2013-07-15 문태호 무전원 약품 정량 주입기
JP6150772B2 (ja) * 2014-08-26 2017-06-21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用逆止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5560A (en) 1978-12-12 1980-09-05 Philips Nv Cable winder
JPS59150749A (ja) 1983-12-02 1984-08-29 Ricoh Co Ltd 印字装置用カセツト型タイプホイ−ル
JP2007022216A (ja) * 2005-07-13 2007-02-01 Piolax Inc 燃料逆流防止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5560U (ko) * 1979-01-31 1980-08-14
JPS59150749U (ja) * 1983-03-28 1984-10-08 日本電気株式会社 カバ−の取付け構造
JPH088792Y2 (ja) * 1989-10-13 1996-03-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洗濯機の蓋装置
JPH0872565A (ja) * 1994-09-07 1996-03-19 Nifco Inc 燃料逆流防止具
JP3656691B2 (ja) * 1997-07-14 2005-06-0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逆流防止弁
JP4657040B2 (ja) * 2005-07-13 2011-03-2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燃料逆流防止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5560A (en) 1978-12-12 1980-09-05 Philips Nv Cable winder
JPS59150749A (ja) 1983-12-02 1984-08-29 Ricoh Co Ltd 印字装置用カセツト型タイプホイ−ル
JP2007022216A (ja) * 2005-07-13 2007-02-01 Piolax Inc 燃料逆流防止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8852A (ko) 2015-02-11 2016-08-19 최형남 악취차단과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43317A1 (ja) 2008-11-27
JP2008290574A (ja) 2008-12-04
KR20100009651A (ko) 201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925B1 (ko) 개폐덮개 부착구조
JP6231843B2 (ja) 誤給油防止装置
US8800520B2 (en) Hydraulic lash adjuster, a valve train comprising the same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2156484B1 (ko) 차량 도어 체커
US9234602B2 (en) Tank opening-closing device
JP2008133680A (ja) フリーストップヒンジ
GB2365489A (en) Lid supporting mechanism
JP2004028043A (ja) 逆流防止バルブ
JP4351473B2 (ja) 真空バルブのシール構造
JP4832154B2 (ja) 燃料タンクの給油口構造
US20040209211A1 (en) Interference-free cam for hinged-lid lighters
US20130219795A1 (en) Urging device
EP1074685A2 (en) Hinge assembly
JP3707723B2 (ja) ロッカアーム用クリップ
JP2010275920A (ja) ロッカアームユニット及びクリップ
US6543088B2 (en) Hinge assembly
BRPI0508520B1 (pt) Electromagnetic fuel injection valve
KR102154268B1 (ko)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체크밸브
KR100535510B1 (ko) 디젤 연료 주입건을 위한 연료 주입구 장치
JP3998512B2 (ja) ドアチェック装置
JP2002213430A (ja) ボールジョイント
JP6715128B2 (ja) ロッカアームユニット
WO2010041765A1 (ja) ヒンジ装置
JP6955389B2 (ja) 給油口の閉鎖装置及び閉鎖装置の取付構造
JP5521974B2 (ja) 燃料タンクの給油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6